KR20180012114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114A
KR20180012114A KR1020160094967A KR20160094967A KR20180012114A KR 20180012114 A KR20180012114 A KR 20180012114A KR 1020160094967 A KR1020160094967 A KR 1020160094967A KR 20160094967 A KR20160094967 A KR 20160094967A KR 20180012114 A KR20180012114 A KR 20180012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urrent
voltage
glass modul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회
박진경
채윤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114A/en
Publication of KR2018001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1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9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window,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window includes: a window including an electrochromic glass module having a change in color density by power supply, and coupled to or spaced from a vehicle body, wherein the window and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a power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and supplying power to the glass modul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실시 예는 차량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ehicle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의 사방에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특히, 차량에 윗면에 형성되는 썬루프의 경우 차량 내부의 환경 조건을 최적화하여 운행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o the windows on all sides of the vehicle, the sunroof on the top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has the function of optimiz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side the vehicle and helping to operate it.

도 1의 예시도 (a) 내지 (c)는 차량에 장착되는 썬루프의 예시도이다.Fig. 1 (a) to Fig. 1 (c) of Fig. 1 are exemplary views of a sunroof mounted on a vehicle.

도 1의 예시도 (a) 내지 (c)를 참조하면, 차량의 윗면(11)에 개방부(12)를 형성하고,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썬루프(13)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썬루프(13)를 적절히 개방시킴으로써, 외부 공기를 충분히 차내로 유입시켜 쾌적한 차내 환경을 도모 한다.1 (a) to 1 (c), an opening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vehicle, and a sunroof 13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 is provided By adequately opening the sunroof 13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needs, the outside air is su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interior environment.

이러한 썬루프(13)는 인-대쉬 슬라이딩(in-dash sliding) 방식과 아웃 슬라이딩(out sliding)방식이 있다.The sunroof 13 may include an in-dash sliding method and an out sliding method.

도 1의 (b)에 도시된 예는 인-대쉬 슬라이딩 방식의 썬루프로서, 인-대쉬 슬라이딩 방식의 썬루프는 차량을 중심으로 후방 부분이 위로 들리는 틸트(tilt)기능과 썬루프가 차량의 지붕 철판과 내부 천정의 헤드라인 사이로 들어가는 인슬라이딩 방식이다.The example shown in FIG. 1 (b) is an in-dash sliding sunroof, in which an in-dash sliding sunroof includes a tilt function in which the rear portion is raised up around the vehicle, It is an in-sliding method that enters between the roof steel plate and the head of the inner ceiling.

(c)에 도시된 예는 아웃 슬라이딩 방식의 썬루프로서, 아웃 슬라이딩 방식의 썬루프는 차량을 중심으로 후방 부분이 위로 들리는 틸트 기능과 썬루프가 차량의 지붕 철판 위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이다.The example shown in (c) is an out-sliding sunroof, in which the out-sliding sunroof is a tilting function in which the rear portion is raised around the vehicle and the sunroof is slid over the roof plate of the vehicle.

이러한 인-대쉬 슬라이딩 방식과 아웃 슬라이딩 방식의 썬루프는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개방 또는 폐쇄된다.The sunroof of the in-dash sliding method and the out sliding method is opened or closed by operating a switc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utomobile interior.

이러한 썬루프에는 근래 들어 변색이 가능한 유리를 채택함으로써, 태양광, 조명광 등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리 변색을 위한 기능 구현을 위해서는 썬루프에 연결되는 복잡한 배선이 존재한다. 따라서,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 시 복잡한 배선들이 노출되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외형의 심미성 저하 되거나,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uch a sunroof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sunlight, illumination light and the like by adopting a glass capable of discoloration in the recent years. However, there is a complicated wiring to the sunroof in order to implement the function for glass discoloration. Therefore, when the sunroof is opened or closed, complicated wirings may be exposed or damaged,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outer shape or a problem of stabili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는 차량의 썬루프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변색이 가능한 유리를 채택하고, 변색에 요구되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을 최소화로 설계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적응성 높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며, 외형적 심미성이 우수한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embodiment adopts glass capable of discoloring a window including a sunroof of a vehicle and is designed to minimize wiring for power supply required for discoloration, Provided is a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which enhance user convenience and are superior in appearance aesthetic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present embodiments.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는 전원 공급에 의하여 색 농도 변화를 가지는 전기변색 유리모듈을 포함하고, 차체와 결합 또는 이격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차체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변색 유리모듈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차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시 상기 유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The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indow that is provided with an electrochromic glass module having a color density change by power supply and is coupled to or spaced from a vehicle body; Wherein the window and the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and the connecto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and supplying power to the glass modul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윈도우 제어 방법은 차체와 윈도우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체와 상기 윈도우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원부에서 전기변색 유리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 유리모듈이 착색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vehicle window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whether a vehicle body and a window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body and the window are connected by the connector,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at a power supply unit; And driving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in the color mode by the applied voltage.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와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썬루프에 변색 유리를 채택하고 상기 변색 유리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성 높은 차량 윈도우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vehicle window with high efficiency by adopting discoloration glass in the sunroof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voltag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coloration glass Effect.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와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변색 유리를 채택한 차량 썬루프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의 외형적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line for supplying voltage to the vehicle sunroof employing the discoloration glass,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esthetic of the vehicle.

도 1은 차량에 장착된 썬루프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썬루프 커넥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전기변색유리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썬루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폐쇄 및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착색 및 탈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의 전기 구동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전류 및 전압 변화에 따른 썬루프의 착색 및 탈색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ample of a sunroof mounted on a vehicl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nroof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nroof connector applied to this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glass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sunroof exploded perspective view applied to this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unroof closing and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sunroof coloring and discolor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lectric drive control operation of the sun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coloration and discoloration of a sunroof according to current and voltage chang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썬루프 커넥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전기변색유리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썬루프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nroof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nroof connector applied to this embodiment. Fig. 4 is a cross- And FIG. 5 is a sunroof exploded perspective view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및 제어 장치는 차체에 장착되는 제어 장치(100)와 상기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거나, 착색 또는 탈색되는 썬루프(200)로 구성된다.2 to 5, the sunroof a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device 100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a sunlight that is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00, Loop 200 as shown in FIG.

제어장치(100)는 전원부(110), 전원 제어부(120), 구동부(130), 전류 검출부(140), 커넥터(150), 사용자 입력부(160), 저장부(170), 출력부(180) 및 제어부(190)로 구성된다.The controller 100 includes a power supply 110, a power controller 120, a driving unit 130, a current detector 140, a connector 150, a user input unit 160, a storage unit 170, an output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전원부(110)는 상용전원을 입력 받아 제어장치(100)의 각 구성부에 대한 구동전압로 변환하고, 각 구동 전압을 해당 부에 제공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0 receives a commercial power supply, converts the power supply voltage into driving voltages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and provides the respective driving voltages to the corresponding units.

전원 제어부(120)는 전원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썬루프(200)의 유리모듈 (210) 구동을 위한 전압(예를 들어 2V)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20 converts a voltage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into a voltage (for example, 2 V) for driving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and provides the converted voltage.

구동부(130)는 전원부(110) 또는 전원 제어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류변환하여 유리모듈(210)의 색 농도를 변환시킨다.The driving unit 130 convert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110 or the power source control unit 120 to convert the current density of the glass module 210.

전류 검출부(140)는 전원 제어부(120)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구동부(140)에 공급되는 감지되는 전류를 측정한다. 상기 전류 검출부(140)는 전류 센서(current sensor)를 포함한다.The current detector 140 measures a current sensed by the driver 140 based on a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controller 120. The current detector 140 includes a current sensor.

제어부(190)는 상기 측정된 전류에 기초하여 유리모듈(210)의 착색 또는 탈색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감지되는 전류와 커넥터(150)가 접촉되어 폐쇄 상태로 인식되면 유리모듈(210)의 착색 상태 유지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estimat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r discoloration of the glass module 210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 Also, the controller 190 may continuously supply current to maintain the colored state of the glass module 210 when the sensed current and the connector 150 are recognized as being in a closed state.

커넥터(150)는 차량에 존재하는 제1 커넥터(151)와 썬루프에 존재하는 제2 커넥터(152)로 구성된다. 커넥터(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50 comprises a first connector 151 present in the vehicle and a second connector 152 present in the sunroof. The connector 151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as shown in FIG.

도 3의 예시도(a)는 접촉식 커넥터로서, 접촉 단자부(151a)와 상기 접촉 단자부(151a)에 접촉되는 접촉부(152a)로 구성된다. 상기한 접촉식 커넥터는 접촉 단자부(151a)에 접촉부(152a)가 접촉 또는 이탈 될 때 전원제어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된다. 3 (a) is a contact-type connector, which is composed of a contact terminal portion 151a and a contact portion 152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151a. In the contact type connector, a voltage applied through the power control unit 120 is supplied or cut off when the contact unit 152a contacts or detaches from the contact terminal unit 151a.

따라서, 썬루프의 폐쇄 시에는 상기 접촉 단자부(151a)와 접촉부(152a)가 접촉되어 있으며, 썬루프의 개방 시에는 상기 접촉 단자부(151a)와 접촉부(152a)의 접촉이 해제된다. 예를 들어, 접촉 단자부(151a)는 차체의 베젤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접촉부(1152a)는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 내에 삽입되어 유리 베젤부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접촉 단자부(151a)와 접촉부(152a)의 위치는 유동적일 수 있다. 즉, 접촉부(152a)가 차체의 베젤부에 존재하고, 접촉 단자부(151a)가 썬루프(200)의 유리모듈(210)에 삽입되어 베젤부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유리 모듈(210) 또는 차체의 베젤부에 접촉 단자(151a) 또는 접촉부(152a)가 삽입되더라도, 일측은 노출되어, 접촉부(152a) 접촉 단자(151a)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sunroof is closed,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151a and the contact portion 152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unroof is opened, the contact portion 151a and the contact portion 152a are disconnected. For example,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151a may exist in the bezel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ontact portion 1152a may be inserted in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and exist in the glass bezel portion. The positions of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151a and the contact portion 152a may be fluid. That is, the contact portion 152a may exist in the bezel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151a may be inserted in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and exist in the bezel portion. At this time, even if the contact terminal 151a or the contact portion 152a is inserted into the bezel portion of the glass module 210 or the vehicle body, one side is exposed to facilitate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52a.

도 3의 예시도(b)는 삽입식 커넥터로서, 암 커넥터(152b)에 수 커넥터(151b)가 삽입 또는 이탈됨에 따라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에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된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51b)는 차체의 베젤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암 커넥터(152b)는 썬루프(200)의 유리모듈(210)에 삽입되어 베젤부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암/수 커넥터(151b, 152b)의 위치는 유동적일 수 있다. 즉, 수 커넥터(151b)가 썬루프(200) 유리모듈(210)에 삽입되어 베젤부에 존재하고, 암 커넥터(152b)가 차체의 베젤부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유리 모듈(210) 또는 차체의 배젤부에 수 커넥터(151b) 또는 암 커넥터(152b)가 삽입되더라도 일측은 노출되어 암커넥터(152b) 또는 수커넥터(151b)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3 is an insertion type connector. As the male connector 151b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female connector 152b, the power supplied 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is supplied or blocked do. For example, the male connector 151b may exist in the bezel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female connector 152b may be inserted in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and exist in the bezel portion. The positions of the female / male connectors 151b and 152b may be fluid. That is, the male connector 151b may be inserted into the sunroof 200 glass module 210 to be present in the bezel, and the female connector 152b may be present in the bezel of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even if the male connector 151b or the female connector 152b is inserted into the bell portion of the glass module 210 or the vehicle body, one side is exposed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female connector 152b or the male connector 151b.

또한 상기한 커넥터 종류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커넥터 외에도 전기적 제어가 가능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types, various types of connectors may be used. Or a switch capable of being electrically controlled in addition to the connector.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패드,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스위치, 조그 휠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하여 썬루프(200)의 개방 및 폐쇄 동작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받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하여 썬루프 유리 모듈(210)의 착색 및 탈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60 may receive various operation control signals from a user. The user input unit 16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keypad, a switch, a touch pad, a jog switch, and a jog wheel.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sunroof 20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Also, a control signal for coloring and discoloring of the sunroof glass module 210 can be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따라서, 유리 모듈(210)은 커넥터(150) 접촉에 의해 썬루프(200) 폐쇄 상태에 따라 착색 상태가 지속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탈색 상태로 변경되거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lass module 210 may be changed to a discolored state or discontinued power supply if a user input is generated while the coloring state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closed state of the sunroof 200 by the contact of the connector 150.

저장부(170)는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 착색 또는 탈색에 기준이 되는 전압, 전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70)는 유리모듈(210)의 착색 또는 탈색 가역반응의 한계 상태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a program for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9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70 stores status information for opening or closing the sunroof. The storage unit 170 stores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as a reference for coloring or discoloring of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The storage unit 170 also stores voltage or curr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imit state of the coloring or decoloring reversible reaction of the glass module 210.

출력부(18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81), 오디오 출력부(182)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8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output unit 18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81, an audio output unit 182,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81)는 차량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1)는 썬루프(20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 정보와 착색 또는 탈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81 displays (output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The display unit 181 also displays information on the opening or closing state of the sunroof 200 and information on coloring or discoloring.

디스플레이부(181)는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오디오 출력부(182)는 차량 내/외부의 상태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2)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1)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오디오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audio output unit 182 can output the state of the inside / outside of the vehicle as audio. The audio output unit 182 may be a speaker, and output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1 as audio to provide the audio output to a user.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제어 장치(100) 및 썬루프(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썬루프(200)의 개방 및 폐쇄에 대한 제어 신호를 감지한다. 제어부(190)는 상기 감지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인가 및 차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전류 검출부(140)에서 검출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에 대한 탈색 및 착색 정도를 추정하고 그에 따른 전압 차단 및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유리모듈(210)의 착색 또는 탈색의 가역반응 한계치 전압 또는 전류의 범위를 넘는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을 차단한다.The control unit 19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sunroof 200. The control unit 190 senses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nroof 200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o generat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pplying or interrupt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ignal. The control unit 190 estimates the discoloration and coloring degree of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based on the current value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140 and controls the voltage cutoff and supply accordingly. For example, the controller 190 cuts off power when a power exceeding the range of the reversible threshold voltage or current of the coloring or decoloring of the glass module 2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is applied.

커넥터(150)의 연결 및 폐쇄 감지는 별도의 감지부(미도시)를 구성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커넥터(150)의 연결 및 해제를 감지하여 썬루프(200) 유리 모듈(210)의 변색을 위한 전압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Connection and detection of the connector 150 can be performed by constructing a separate sensing unit (not shown). The controller 190 detects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150 and controls the supply and cutoff of voltage for discoloration of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썬루프(200)는 차량의 제어장치(100)에 구성되는 제1 커넥터(151)와 연결되는 제2 커넥터(152), 착색 또는 탈색 기능이 부가된 유리 모듈(210)로 구성된다.The sunroof 200 includes a second connector 15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1 formed in the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and a glass module 210 having a coloring or discoloring function.

제2 커넥터(152)는 상술한 접촉식 커넥터의 접촉부 이거나, 삽입식 커넥터의 암 커넥터일 수 있다. 또는 구성 형태에 따라 접촉식 커넥터의 접촉 단자이거나, 삽입식 커넥터의 수 커넥터일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152 may be a contact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contact type connector, or it may be a female connector of the insertion type connector. Or may be a contact terminal of a contact-type connector, or a male connector of an insertion-type connector,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제2 커넥터(152)는 제1 커넥터(151)와 연결되고, 유리 모듈(210)의 착색을 위한 전압을 인가 받는다. 또한 제2 커넥터(152)는 제1 커넥터(151)와 연결이 해제되면 전압 인가가 중지된다.The second connector 15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1 and receives a voltage for coloring the glass module 210. When the second connector 152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connector 151, the voltage application is stopped.

유리 모듈(210)은 커넥터의 연결에 의해 제어장치(100)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유리가 변색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유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유리는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어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착색 또는 탈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glass module 210 is composed of an electrochromic glass including a function of discoloring the glass by applying a voltage from the controller 100 by connection of a connector.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glass maintains a colored or discolored state when a connector is disconnected and no voltage is appli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유리 모듈(210)에 적용되는 전기변색유리는 하부 유리기판(211), 상기 하부 유리기판(211)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전극(212), 하부전극(212) 상에 형성되며 전기 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과 반대 극성의 이온을 모으는 이온 스토리지(213)와 이온 스토리지(213)의 상에 형성되며 전기변색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이 포함된 이온 전도체(214)와, 이온 전도체(214) 상부에 형성되며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색이 변하는 전기변색물질(215)과 전기변색물질(215)에 전하를 공급하는 상부 전극(216)과 그 위에 형성된 상부 유리기판(2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변색물질층(215), 이온스트리지(213), 이온전도체(214)는 그 물질의 구성에 따라 배치 순서가 다를 수 있다.4, an electrochromic glass applied 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wer glass substrate 211, a lower electrode 212 formed on the lower glass substrate 211, a lower electrode 212 An ion storage 213 formed on the ion storage 213 for collecting ions of an opposite polarity to ions involved in the electrochromic reaction and an ion conductor 214 formed on the ion storage 213 and containing ions involved in the electrochromic reaction, An upper electrode 216 formed on the ion conductor 214 and supplying electric charge to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15 a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15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an applied electric signal, (217). The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215, the ion conductor 213, and the ion conductor 214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ord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유리모듈(210)의 동작을 설명하면, 하부 전극(212)과 상부 전극(216)에 전압이 인가되어 이온 스토리지(213)에서 전기 변색물질(215)로 전류가 흐르면(양(+)의 방향) 전기변색물질(215)이 착색되고, 반대방향(음(-)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기변색물질(215)이 탈색된다.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 212 and the upper electrode 216 and current flows from the ion storage 213 to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15 The direction of positive (+) directio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15 is colored a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15 is discolored when a current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negative direction).

상기한 하부 및 상부 유리기판(211, 217)은 유리 또는 다양한 필름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전극(212)과 상부전극(216)은 ITP, FTO등 투명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and upper glass substrates 211 and 217 may be made of glass or various film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lectrode 212 and the upper electrode 216 use transparent electrodes such as ITP and FTO.

그리고 이온 스토리지(213)는 전기변색물질(215)과 반대극성의 전기변색물질로 대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 전도체(214)는 액체 전해질, 젤 전해질, 고체 전해질, 폴리머 전해질,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공융 혼합물(eutectic mixtur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융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용융 온도가 낮아지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특히 상온에서 액상인 혼합염을 말한다. 이온 전도체(214)가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로 구성되는 경우 넓은 인가 전압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ion storage 213 may be replaced with an electrochromic material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15, and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And the ion conductor 214 is a liquid electrolyte, a gel electrolyte, a solid electrolyte, a polymer electrolyte, and an ionic liquid (Ionic Liquid). Eutectic mixture and the like can be used. Here, the eutectic mixture generally refers to a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materials are mixed to lower the melting temperature. In particular, it refers to a mixed salt which is in a liquid state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ion conductor 214 is composed of an electrolyte containing a eutectic mixture, it may have a wide applied voltage range.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유리 모듈(210)에 커넥터(150)를 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모듈(210)은 상기 유리모듈(2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베젤부(222)를 형성한다. 또한 차체에도 썬루프 영역에 대응되도록 베젤부(221)를 형성한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150 is disposed in the glass module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glass module 210 forms a bezel 222 in a form surrounding the glass module 210. A bezel portion 221 is also form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nroof region.

유리 모듈(210)의 하부 유리기판(211)과 하부 전극(2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216)과 상부 유리기판(217)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유리기판(211) 및 하부 전극(212)과 상부 전극(216) 및 상부 유리기판(217)의 폭 또는 길이 중 어느 하나는 전기변색층(213, 214, 215)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213, 214, 215)보다 크게 형성된 유리기판(217)에 커넥터(제2 커넥터)(1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제2 커넥터)(152)가 배치되는 영역은 상기 썬루프 베젤부(222)에 배치되어 외관상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glass substrate 211 and the lower electrode 212 of the glass modul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electrode 216 and the upper glass substrate 217 may also be integrally formed. At this time, either the width or the length of the lower glass substrate 211, the lower electrode 212, the upper electrode 216, and the upper glass substrate 217 may be larger than the electrochromic layers 213, 214, and 215 . A connector (second connector) 152 may be disposed on a glass substrate 217 formed larger than the electrochromic layers 213, 214, and 215. The area where the connector (second connector) 152 is disposed may be disposed on the sunroof bezel 222 so that it is not exposed.

차체에 형성된 베젤부(221)의 일측, 즉, 상기 썬루프 베젤부(222)에 배치되는 커넥터(제2 커넥터)(15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썬루프 커넥터(제2 커넥터)(152)와 연결되는 커넥터(제1 커넥터)(151)가 배치된다. A sunroof connector (second connector) (second connector) 15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one side of a bezel 221 formed in the vehicle body, that is, a connector (second connector) 152 disposed in the sunroof bezel 222 (First connector) 151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51 and the second connector 151 are disposed.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썬루프(200)가 개방 및 폐쇄 시 커넥터(150)의 연결 및 해제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6,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150 when the sunroof 200 is opened and clos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폐쇄 및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unroof closing and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예시도 (a)는 썬루프(200)가 폐쇄된 상태로, 커넥터(151, 152)가 상호 연결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썬루프(200)의 유리모듈(210)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152)와 차체의 베젤부(221)에 존재하는 제1 커넥터(151)가 연결된 상태이다. 이때 유리모듈(210)은 커넥터(150)를 통하여 전압을 인가 받게 된다. 유리 모듈(210)은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전류의 변화(양의 방향으로 증가)가 발생하고, 그에 따른 착색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썬루프(20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제어부(190)의 제어에 기초하여 인가 전압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전압 인가가 차단되면, 이미 진행된 유리모듈(210)의 착색 상태 또는 탈색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썬루프(200)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제어부(190)의 제어에 기초하여 역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착색된 유리모듈(210)이 탈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example (a), the connectors 151 and 152 are interconnected with the sunroof 200 closed. The second connector 152 connected 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and the first connector 151 existing in the bezel 221 of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At this time, the glass module 210 receives a voltage through the connector 150. In the glass module 210, a change in the current (increase in the positive direction) occurs due to the applied voltage, and the coloring mode is executed accordingly. In addition, even when the sunroof 200 is closed, the applied voltage can be sh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90. [ That is, when the voltage application is interrupted, the colored state or the discolored state of the glass module 210 already maintained is maintained. Also, when the voltage is applied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even when the sunroof 200 is closed, the colored glass module 210 may be discolored.

예시도 (b)는 썬루프(200)가 개방된 상태이다, 즉, 커넥터(151,152)가 연결 해제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에 연결된 제2 커넥터(152)와 차체의 베젤부(221)에 존재하는 제1 커넥터(151)가 이격된 상태이다. 이때 유리모듈(210)은 커넥터(150)가 연결된 상태에서 착색된 후 이격된 상태라면 착색 상태를 유지한다. 또는 착색 상태를 유지하다가 서서히 탈색상태로 천이한다.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sunroof 200 is open, that is, the connectors 151 and 152 are disconnected. The second connector 152 connected to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and the first connector 151 existing in the bezel 221 of the vehicle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glass module 210 maintains the colored state when the connector 150 is colored and separated from the connected state. Or the colored state is maintained, and then the color gradually changes to the decolored state.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초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의 착색 및 탈색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coloring and decoloring operation of the sun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착색 및 탈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썬루프 착색 및 탈색 시 전압 및 전류 변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7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unroof coloring and discolo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voltage and current changing states in sunroof coloring and decolor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하여 썬루프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71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부(160)를 통하여 썬루프의 폐쇄 또는 개방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7 and 9,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sunroof operati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sunroof operati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A control signal for closing or opening can be inputted.

본 실시 예에서는 썬루프의 폐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은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trol signal for closing the sunroof is inputted.

제어부(190)는 썬루프 폐쇄 요청 신호가 감지되면 커넥터(150) 연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20) 상기 커넥터 연결 여부는 별도의 센서를 구성하여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sunroof closing request signal is detected,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150 is connected or not (S720).

제어부(190)는 차체에 구성되는 제1 커넥터(151)와 썬루프(200) 유리 모듈(210)에 구성되는 제2 커넥터(152)가 상호 결합한 상태로 감지되면, 썬루프 폐쇄 모드로 감지하게 된다.(S730)The control unit 190 detects the sunroof closed mode when the first connector 151 formed in the vehicle body and the second connector 152 formed in the sunroof 200 glass module 210 are detect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730)

제어부(190)는 썬루프 폐쇄 모드 시 전원 인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74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전원 제어부(120)를 통하여 썬루프(200) 유리 모듈(210)의 착색을 위한 전원 인가가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n in the sunroof closing mode in step S74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20 to supply power to the sunroof 200, It is judged whether authorization is made.

제어부(190)는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로 착색을 위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유리 모듈(210)은 상기 전압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착색 모드 또는 탈색 모드로 동작한다.(S750)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to apply a voltage for coloring and the glass module 210 operates in a color mode or a color fading mode by a current generated according to the voltage (S750)

구체적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인가 방향에 따라 착색 또는 탈색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유리모듈(210)은 착색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유리모듈(210)은 탈색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전압의 인가 방향에 따라 유리모듈(210)은 착색되거나 탈색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operates in the coloring or discoloring mod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applied voltage. For example, when the forward voltage is applied, the glass module 210 operates in the coloring mode. When the reverse voltage is applied, the glass module 210 operates in the decolorizing mode. Therefore, even if a voltage is applied, the glass module 210 may be colored or discolor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voltage application.

이때 제어부(190)는 출력부(180)를 통하여 착색 또는 탈색 모드에 따른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760)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81)를 통하여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이 폐쇄된 상태이고, 전압 인가에 따라 착색 모드로 동작하며, 시간에 따른 착색 정도(흡수율)의 정보를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다양한 컨텐츠 형태로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0 may output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oring or discoloring mode through the output unit 180. [ (S76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to be in a closed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181, operates in a color mod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Absorption rate) in various contents such as image, image, and text.

반면, 제어부(190)는 썬루프 동작 제어 신호가 수신되어(S710) 커넥터(15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720) 확인 결과 제1 커넥터(151)와 제2 커넥터(152)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로 확인되면 썬루프(200)가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770) 따라서 제어장치(10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공급이 불가한 상태이므로, 유리모듈(210)은 착색 상태에서 임계시간 이후 탈색상태로 천이한다.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sunroof operation control signal in step S710 and confirms whether the connector 150 is connected in step S72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at the conn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51 and the second connector 152 The glass module 210 determines that the sunroof 200 is in an open state (S770). Accordingly, since the supply of the voltage to be applied through the controller 100 is impossible, Transition from the colored state to the decolored state after the critical time.

또한 제어부(190)는 썬루프(200)의 폐쇄 상태로 감지되더라도(S730) 전압 인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인 경우 유리모듈(210)은 이전에 수행된 착색 또는 탈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lso, even if the control unit 190 detects the closed state of the sunroof 200 (S730), the glass module 210 maintains the previously colored or discolored state in the state where no voltage is applied.

이때 제어부(190)는 출력부(180)를 통하여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 여부와 탈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79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90 may output information on whether the sunroof is open or closed or discolored through the output unit 180. In operation S790,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81)를 통하여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이 개방된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이고, 전압 인가의 부재에 따라 탈색, 대기(썬루프 개방 상태에서 전력인가가 이루지지 않는 상태) 모드로 동작하며, 시간에 따른 탈색 정도(흡수율)의 정보를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의 다양한 컨텐츠 형태로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glass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to be in an opened state or a closed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181, , And outputs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bsorption rate) with time in various contents such as image, image, and text.

상기와 같이 전압 인가에 따른 썬루프의 착색 및 탈색 동작을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loring and decoloring operation of the sunroof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

도 9(a) 예시도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상태를 나타낸 선(910)과 같이 전압 인가 구간(ON)에서는 유리 모듈(210)의 착색을 위한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유리모듈(210)로 인가되는 전압은 2V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a voltage for coloring the glass module 210 is applied during a voltage application period (ON) as indicated by a line 910 showing a power supply state. The voltage applied to the glass module 210 may be 2V.

유리 모듈(210)은 전압이 정방향으로 인가되는 구간(Fw)동안 도(b)의 흡수도 선(930)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착색된다. 특히 전압 인가 구간(Fw) 중 제1 구간(Fw_a)에서는 유리모듈의 착색율이 급속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전압인가 구간(ON) 중 임계 시간이 경과된(착색이 임계치 이상 진행 되면) 제2 구간(Fw_b)에서는 저속으로 착색율이 증가하게 된다. The glass module 210 is colored as shown in the absorption diagram line 930 in Fig. (B) during the period Fw during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in the normal direction. Particularly, in the first section Fw_a of the voltage application period Fw, the coloring rate of the glass module increases rapidly. The coloring ratio is increased at a low speed in the second section Fw_b when the critical time elapses during the voltage application period ON (when the coloring proceeds beyond the threshold value).

이후 역전압(Rev)이 인가되면 유리모듈(210)은 탈색모드로 천이한다. 이때 역전압 구간(Rev)중 제1 구간(Rev_a)에서는 유리모듈(210)의 탈색율이 급속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후 임계 시간이 경과되는 제2 구간(Rev_b)에서는 탈색모드를 종료하게 된다.Then, when the reverse voltage Rev is applied, the glass module 210 transitions to the decoloring mode. At this time, in the first period (Rev_a) of the reverse voltage section (Rev), the decoloring rate of the glass module 210 rapidly decreases. In the second period (Rev_b) where the critical time has elapsed, the discoloration mode is terminated.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커넥터가 접촉되어 전압이 유리모듈로 인가되면 착색 모드를 진행하고, 커넥터의 접촉이 해제되어 있거나, 커넥터가 접촉된 상태라도 전압이 유리모듈로 인가되지 않으면 착색 또는 탈색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when the connector is contacted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glass module, the coloring mode is advanced. If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glass module even if the connector is disconnected or the connector is in contact, It is ..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썬루프 착색 모드 동작 시의 전압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oltage control operation in the sunroof color mod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썬루프 착색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Fig. 8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unroof coloring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150)가 연결된 썬루프 폐쇄 상태에서 제어부(190)는 전력 제어부(120)를 통하여 썬루프(200)의 유리 모듈(210)로 전압이 인가되는 윈도우 착색 모드로 동작한다.(S751)8 and 9, in a closed state of the sunroof to which the connector 150 is connected,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window module 210 of the sunroof 200, Mode (S751).

전류 검출부(140)에서는 유리모듈(210)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가 유리 모듈(210)의 변색 동작에 대응하게 가변되는 전류량을 감지하고, 전류 검출부(140)는 상기 구동부(130)가 감지한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S752) The current detector 140 detects the current applied to the glass module 210.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30 senses a variable curr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iscoloration operation of the glass module 210, and the current detection unit 140 detects the current sensed by the driving unit 130. In operation S752,

제어부(190)는 전류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유리 모듈(210)의 착색 정도를 추정한다.(S753)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유리 모듈(210)이 전류 인가 시 변색의 가변적 동작을 하고, 구동부(130)에서 전류 인가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전류 측정부(140)는 구동부(130)에서 감지된 전류를 측정하고, 제어부(190)는 전류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전류에 기초하여 착색 정보를 확인한다. The control unit 190 estimates the degree of coloring of the glass module 210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unit 14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glass module 210 has discolored And the driving unit 130 senses a current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current measuring unit 140 measures the current sensed by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90 confirms the coloring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140.

제어부(190)는 전류 검출부(140)에서 확인되는 전류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또는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 이상 또는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전류 검출부(140)에서 확인된 전류량에 기초하여 추정된 유리모듈(210)의 착색 정도와 기준 착색 정도를 비교한다.(S754)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change amou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14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hange amount. Or whether the current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value. Accordingly, the degree of coloring of the estimated glass module 210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oloring degree based on the amount of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unit 140 (S754)

제어부(190)는 전류 변화량 또는 기준 전류값 또는 착색 정도 중 어느 하나의 결과에 따라 유리 모듈(210)의 착색이 기준치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755)The controller 190 cuts off the power applied when the coloring of the glass module 210 progresses beyond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either the current change amount, the reference current value, or the degree of coloring (S755).

도 9의 (b)예시도는 유리모듈(210)의 착색 또는 탈색에 따른 전류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9 (b)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amount of current due to coloration or discoloration of the glass module 21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도 9(b)예시도에서와 같이 착색 구간(ON)에서는 전류(940)가 인가되어 유리 모듈(210)의 착색이 진행된다. 9 (b), the controller 190 applies a current 940 during the coloring period (ON), and the coloring of the glass module 210 proceeds.

착색 구간(ON) 초반에는 유리 모듈(210)로 유입하는 전류량이 높지만 착색이 진행될수록 전류량이 감소하게 된다. In the early stage of the coloring period (O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to the glass module 210 is high, but the amount of current decreases as the coloring progresses.

제어부(190)는 전류 검출부(140)에서 검출되는 전류 변화량이 임계 수준 이내로 감지되는지 또는 전류값이 임계값 이내로 도달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전류 변화량의 임계 범위는 -75 내지 10 μA/sec 일 수 있다. 그리고, 전류값의 임계 범위는 -1.2 내지 2.8mA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전류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류 변화량 또는 전류량에 따라 유리모듈(210)의 착색율을 추정하여 착색율이 임계 범위 이내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착색율 임계 범위는 투과도 T%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한 전류 변화량의 임계범위, 전류값의 임계범위 및 착색율에 대한 임계범위는 실시 형태 또는 소자의 특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checks whether the current variation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140 is within the threshold level or the current value reaches the threshold value or less. The critical range of the current change amount may be -75 to 10 μA / sec. The threshold value range of the current value may be -1.2 to 2.8 mA. The control unit 190 may estimate the coloring rate of the glass module 21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or the amount of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140 to determine whether the coloring rate has reached a critical range. The coloring rate threshold range can be expressed as the transmittance T%. However, the critical range of the current change amount, the critical range of the current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range for the coloring rate described above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

제어부(190)는 상기와 같이 전류값이 임계 범위 이내이거나, 착색율이 임계 범위 이내에 도달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만족하게 되면 전압을 차단하여 유리모듈(210)에 전압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 한다. If the current value is within the critical range or the coloring rate reaches the critical rang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90 cuts off the voltage to supply the voltage to the glass module 210 .

도 9(b)예시도에서는 착색 구간(ON)에서 전류 하강 구간이 상기한 조건에 부합하는 구간(945a)으로, 상기 임계 범위 구간(945a)에 도달하면 전압 공급을 중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임계 범위 구간에서 전압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압 공급의 효율성을 가질 수 있으며 유리 모듈(21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In the example of FIG. 9 (b), the voltage supply is stopped when the current falling period in the coloring period ON coincides with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and reaches the threshold range 945a. Thus, by shutting off the voltage supply in the critical range as described above, the voltage supply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glass module 210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또한 전압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임계 시간 동안은 잔상효과(memorial effect)의해 착색 상태가 유지(950)될 수 있다. Also, even if the voltage supply is interrupted, the colored state can be maintained (950) by the memorial effect during the critical time.

또한 전압 공급이 진행되는 착색 상태의 구간에서 전류는 양(+)의 방향으로 증가하지만, 전압 공급이 중단되는 탈색 구간에서는 전류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모듈(210)은 전압 공급이 중단된 이후에는 잔상효과(memorial effect)에 의해 착색 상태가 유지되나, 임계 시간이 지나면 탈색된다. 잔상효과(memorial effect)는 유리모듈(210)의 전기변색층(412,413,414)을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increases in the positive (+) direc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colored state where the voltage is supplied, but the current increases in the negative (-) direction in the decolored section in which the voltage supply is interrupted. Therefore, after the supply of the voltage is stopped, the glass module 210 is maintained in the colored state by the memorial effect, but is discolored after the critical time. The memorial effect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electrochromic layers 412, 413 and 414 of the glass module 210.

제어부(190)는 상기와 같이 전압 인가에 따른 전류량을 확인하여 착색 상태 및 탈색 상태를 감지하고, 착색율 및 탈색율 정보를 출력부(180)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may detect the coloring state and the discoloring state by checking the amount of current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and may output the coloring rate and discoloration ratio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8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mou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어 장치
110: 전원부 120: 전압 제어부
130: 구동부 140: 전류 검출부
150: 커넥터 160: 사용자 입력부
170: 저장부 180: 출력부
190: 제어부
200: 썬루프
210: 유리 모듈
100: Control device
110: power supply unit 120: voltage control unit
130: driver 140: current detector
150: connector 160: user input
170: storage unit 180: output unit
190:
200: Sunroof
210: glass module

Claims (19)

전원 공급에 의하여 색 농도 변화를 가지는 전기변색 유리모듈을 포함하고, 차체와 결합 또는 이격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차체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변색 유리모듈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차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접촉 시 상기 유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A window including an electrochromic glass module having a color change by a power supply, the window being coupled to or spaced from the vehicle body;
The window and the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The connector
A first connec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at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and supplying power to the glass modul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이격 시 상기 유리 모듈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nd dis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glass modul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류 변환하여 색 농도를 변환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iving unit for converting a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convert the current dens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서 감지된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에 공급되는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current detector for measuring a current sensed by the driv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supply or blocking of a voltage supplied to the window based on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urrent det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와 차체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ow and the vehicle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and power is supplied to or blocked from the window through th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하부 유리기판;
상기 하부 유리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배치되고, 이온 스토리지층, 이온 전도체,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배치되는 상부 전극;
상기 상부 전극 상에 배치되는 상부 유리기판을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A lower glass substrate;
A lower electrode disposed on the lower glass substrat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including an ion storage layer, an ion conductor,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an upper glass substrate disposed on the upper electr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리기판과 상기 상부 유리기판은 상기 전기변색층보다 폭 또는 길이 중 어느 하나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크게 형성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커넥터가 배치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er glass substrate and the upper glass substrate have a width or a l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a connector is disposed in any one of the reg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접촉식, 스위치식, 또는 삽입식 커넥터 중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A vehicle window control device comprising one of contact, switch or insertable connecto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리모듈의 착색 또는 탈색 정도를 추정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nd estimates the coloring or discoloring degree of the glass module based on the current value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s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상기 유리모듈의 착색 정도에 따라 상기 유리모듈로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glass module is cut off or suppli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coloring degree of the glass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변화율에 따라 상기 유리모듈로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And a voltage applied to the glass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rate of change of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값에 따라 상기 유리모듈로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And a voltage applied to the glass module is cut off or supplied according to a current value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유리모듈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oltag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to the glass module from the powe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연결 또는 해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전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urrent detector
A vehicle window control device comprising a current sensor.
차체와 윈도우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체와 상기 윈도우가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원부에서 전기변색 유리모듈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 유리모듈이 착색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방법.
Confirming that the vehicle body and the window are connected by the connect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body and the window are connected by the connector,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at a power supply unit;
And driving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in a color mode by the applied voltage.
제16항에 있어서,
구동부에서 상기 인가된 전압을 전류변환하고, 상기 변환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류와 상기 전기변색 유리모듈의 착색 또는 탈색에 기준 전압 또는 기준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Current-converting the applied voltage in a driving unit and measuring the converted current;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and the coloring or discoloring of the electrochromic glass module with a reference voltage or a reference current;
And blocking the applied volta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모듈의 착색 또는 탈색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checking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r discoloration of the glass modu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전압 인가 시 상기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유리모듈에 인가하기 위한 전압으로 가변하는 전압 가변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changing a voltage applied to the window to a voltage for applying the voltage to the glass modul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window.
KR1020160094967A 2016-07-26 2016-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KR201800121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67A KR20180012114A (en) 2016-07-26 2016-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67A KR20180012114A (en) 2016-07-26 2016-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14A true KR20180012114A (en) 2018-02-05

Family

ID=6122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67A KR20180012114A (en) 2016-07-26 2016-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211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8644B2 (en) Control of electrochromic device
JP6782682B2 (en) Electro-optic mirror system and its method
KR100733925B1 (en) ECD control apparatus
US99959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electrochromic devices
WO2016126460A2 (en) Electrochromic devices
US9756291B2 (en) Display room mirror system
JPS60169347A (en) Drive device for antiglaring mirror for vehicle
JP2009540376A (en) Variable transmission window system
CN107402488B (en) Method for driving electrochromic el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ding voltage
KR20070089370A (en)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romic device
US11524558B2 (en) Vehicle window, glass structure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KR20180012113A (en) Vichi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 of vichile
JP7295801B2 (en) Vehicle window with variable transmittance
TW201432643A (en) Anti-glare rearview mirror and its color changing method
KR20180012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ndow of vichile
KR102480700B1 (en) Electrochromic system
US20230009557A1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improved switching speed
CN113504684A (en) Current integral differential control-based electrochromic glass coloring and fading method
JP2002234391A (en) Indoor mounting type anti-glare mirror device
WO2018225672A1 (en) Electrochromic mirror
WO20190368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ariable transmittance optical filter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temperature, color, and current
CN114072726B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one or more electrically controllable privacy glazing structures
JPH0738906Y2 (en)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EC anti-glare mirror for automobiles
JPH0637397Y2 (en)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EC anti-glare mirror for automobiles
JP2603131Y2 (en) Electrochromic mi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