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110A -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110A
KR20180012110A KR1020160094962A KR20160094962A KR20180012110A KR 20180012110 A KR20180012110 A KR 20180012110A KR 1020160094962 A KR1020160094962 A KR 1020160094962A KR 20160094962 A KR20160094962 A KR 20160094962A KR 20180012110 A KR20180012110 A KR 20180012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y
control
user terminal
plan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6712B1 (en
Inventor
하정락
강유화
김창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9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712B1/en
Publication of KR2018001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2Routing based on the source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In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where a control plane (CP) and a user plane (U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P is responsible for allocating and deallocating an IP address, and accordingly the UP performs efficient processing of traffic. When the control entities of the CP for controlling the entities of the U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network where the entities of the UP are distributed while the entities of the CP are also distributable, control for a user′s IP address and traffic is managed.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storing information in a common database; and a step of performing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traffic.

Description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이 분리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IP 주소의 할당과 해제를 위한 방법{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llocating and releasing an IP address in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in which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분산 네트워크의 특징을 가진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IP 주소의 할당과 해제에 관한 방법으로서, 특히,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과 같이 CP(제어평면, control plane)와 UP(데이터평면, user plane)가 분리되어 구분된 특징을 갖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서의 IP 주소의 할당과 해제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ssigning and releasing user IP addresses in a network having characteristics of a distributed network for efficient processing of users' traffic, and more particularly, , a control plane, and a UP (data plane, user plane)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 method for allocating and releasing an IP address in the operation of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에서는 CP(Control Plane, 제어평면)와 UP(User Plane, 데이터평면)를 구분하여 CP에서 각종 제어를 담당하며, UP에서는 CP의 제어에 따라 통신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UP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데이터 전달기능만을 담당하고, 스위치의 제어기능은 CP로 떼어 내어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다.In the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the control plane (CP) and the UP (user pla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ntrol the CP. In the UP, the communication traffic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P do. UP is hardware based, and only the data transfer function. The control function of the switch is separated by CP and managed by software, so that the network can be efficiently managed and operated.

사용자의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접속한 위치와 가까운 에지(edge)에서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이 분산 네트워크의 형태로 나타난다.As a way to reduce the load on the network as the user's traffic continues to increase, a method for handling user traffic at the edge near the user's access point is being studied, and this technique is in the form of a distributed network .

종래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CP와 UP의 분리를 표방하고 있으나, SDN의 관점에서 보면 CP 기능의 상당부분이 UP와 혼재되어 있다. 특히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해제하는 PGW(PDN Gateway)는 CP와 UP가 구분되어 있지 않는 기능 엔티티(entity)이다. 또 종래의 LTE망에서는 IP 주소 라우팅을 담당하는 장치인 PGW에서 중앙 집중형으로 IP 주소를 할당함으로 인해 통신 트래픽의 경로가 중앙으로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a conventional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expresses separation of CP and UP, a large part of the CP function is mixed with the UP in terms of SDN. In particular, PGW (PDN Gateway) that assigns and releases IP (Internet Protocol) addresses is a functional entity that is not distinguished between CP and UP.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TE network, the PGW, which is an apparatus for IP address routing, allocates an IP address in a centralized manner,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path of communication traffic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P(제어평면)와 UP(데이터평면)가 분리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P가 IP 주소의 할당과 해제를 담당하고 이에 따라 UP가 트래픽의 효율적인 처리를 수행하되, UP의 엔티티(entity)가 분산된 네트워크(CP의 엔티티도 분산 가능)에서 UP의 엔티티들을 제어하는 CP(제어평면)의 제어 엔티티(entity)가 서로 다를 경우 이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IP 주소 및 트래픽에 대한 제어권을 관리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in which a CP (control plane) and an UP A control entity of a control plane (CP), which controls the entities of the UP in the network in which UPs perform efficient processing of traffic, and UP entities are dispersed And managing the control of the IP address and traffic of the user between them if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을 분리하여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은, 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및 해제하고 해당 정보를 공통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의 제어를 받으며 복수의 통신방식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합코어망에 접속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할당된 상기 IP 주소를 받아, 상기 IP 주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 노드 사이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by separating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signing and releasing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common database; And an entity of a data plane receiving control of an entity of the control plane and supporting a user terminal to connect to a wired and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chemes, And performing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data traffic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node based on the IP address.

상기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서, 복수의 제어평면의 엔티티들과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 간에, 1:1, 1:N, N:M(N, M은 자연수)의 관계로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an entity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and an entity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are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a relationship of 1: 1, 1: N, N: M (N and M are natural numbers) Interface.

상기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서, 복수의 제어평면의 엔티티들에서, 상기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상기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 터널링, 버퍼링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한다.In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refer to the common database, wherein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are configured to perform routing, tunneling, buffering And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the data traffi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of an entity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and requesting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perform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n an entity of a first control plane managing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in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hat manages an entity of the second data plan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occur in the second data plane. After the requesting step, an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 To an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진행할 것임을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rder to pass control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of the entity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To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that manages the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in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naging the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and proceeding with the process of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Notifying; And controlling, at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a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an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occur in the second data plane. After the requesting step, an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 To an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을 분리하여 운영하기 위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및 해제하고 해당 정보를 공통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저장하는 제어평면의 엔티티; 및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의 제어를 받으며 복수의 통신방식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합코어망에 접속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는,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할당된 상기 IP 주소를 받아, 상기 IP 주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 노드 사이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A distributed network system for separating and operating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cates and releases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information on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 entity of a control plane that updat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a common database; And an entity of a data plane that is under the control of an entity of the control plane and supports a user terminal to connect to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chemes, wherein the entity of the data plane comprises: Receives the IP address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data traffic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node based on the IP address.

상기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복수의 제어평면의 엔티티들과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 간에, 1:1, 1:N, N:M(N, M은 자연수)의 관계로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an interactive interface is used between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and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in a relationship of 1: 1, 1: N, and N: M (N and M are natural numbers).

상기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복수의 제어평면의 엔티티들에서, 상기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상기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 터널링, 버퍼링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한다.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refer to the common database, and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ntities in the plurality of control plane entities by routing, tunneling, and buffering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the data traffic.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요청한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of an entity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quest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perform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in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managing the entity of the second data plane, In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in the second data plane.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y request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request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y be transmitted to the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진행할 것임을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로 통보하고,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요청한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In order to pass control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of the entity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To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that manages the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in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naging the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and proceeding with the process of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in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be performed in the second data plane.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request to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to request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request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y be transmitted to the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본 발명에 따른 CP(제어평면)와 UP(데이터평면)가 분리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UP의 엔티티(entity)가 분산된 네트워크(CP의 엔티티도 분산 가능)에서 UP의 엔티티들을 제어하는 CP의 제어 엔티티(entity)가 서로 다를 경우 이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IP 주소 및 트래픽에 대한 제어권을 관리함으로써, 종래의 PGW(PDN Gateway)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엔티티에서 중앙 집중형으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라우팅을 담당하여 통신 트래픽의 경로가 중앙으로 집중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in which the CP (control plane) and the UP (data pla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ities of UP can be classified into entities of UP in a distributed network If the control entities of the controlling C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IP address and the traffic of the user is managed between them, so that the functional entity processing data such as the conventional PGW (PDN Gateway) Address assignment, and routing, thereby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 of centralized routing of communication traffic.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운 네트워크 상의 에지(edge)에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 데이터의 라우팅 경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에 대하여도 CP의 제어 엔티티에 의한 IP 주소의 관리를 통하여 사용자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ssigning an IP address at the edge of the network close to the user's location, not only the routing path of the user data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nagement of the IP address by the control entity of the CP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cess the user traffic.

도 1은 일반적인 중앙집중형 네트워크인 LTE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LTE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경로상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 UE1이 상대 노드 CN1과 통신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이다.
도 4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UE1의 위치에서 UE2로 이동한 경우 이동전 노드 CN1 및 새로운 노드 CN2와 통신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이다.
도 5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의 코어망을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의 관점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UE의 이동시 eUCE들과 CGW들 간의 제어처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6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UE의 이동시 eUCE들과 CGW들 간의 제어처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 6c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UE의 이동시 eUCE들과 CGW들 간의 제어처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이다.
도 6d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UE의 이동시 eUCE들과 CGW들 간의 제어처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eUCE가 관리하는 정보의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eUCE가 UE의 접속에 대해 IP 주소를 할당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eUCE가 UE의 단절에 대해 IP 주소를 해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GW 및 기지국 등이 eUCE로부터 IP 주소 할당 정보를 받고 해당 IP 주소에 대한 트래픽 처리를 위한 설정 절차를 보인 예다.
도 9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CGW 및 기지국 등이 eUCE로부터 IP 주소 할당의 해제 정보를 받고 해당 IP 주소에 대한 해제 절차를 보인 예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n LTE network which is a general centralized type network.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n a data traffic path in the LTE network of FIG. 1;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n example of the flow of data when the user terminal UE1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ent node CN1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4B is an example of a flow of data when communicating with a node CN1 and a new node CN2 before movement in a case where a user terminal moves from UE1 to UE2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core network of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in terms of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FIG. 6A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ontrol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eUCEs and CGWs in the movement of a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FIG.
6B is another example for explaining the control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UCEs and the CGWs in the movement of the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6C is another example for explaining the control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UCEs and the CGWs in the movement of the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FIG. 6D is another example for explaining the control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UCEs and the CGWs in the movement of the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FIG.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haring of information managed by the eUC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FIG.
FIG. 8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dure in which the eUCE assigns an IP address to a connection of a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FIG.
8B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dure in which the eUC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releases the IP address for the disconnection of the UE.
FIG. 9A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procedure for traffic processing for a corresponding IP address by receiving IP address al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eUC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FIG. 9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GW, the BS, and the like receive the release information of the IP address allocation from the eUC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of FIG. 3 and release procedures for the IP addres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일반적인 중앙집중형 네트워크인 LTE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n LTE network which is a general centralized type network.

도 1을 참조하면, 각 eNB(evolved Node B, 기지국)는 UE(User Equipment, 사용자 단말)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망인 코어망에 접속시킨다. 코어망의 SGW(Serving Gateway)는 UE의 eNB간 핸드오버에 대해 앵커링(anchoring) 역할을 담당하며, PGW(PDN Gateway)는 UE의 SGW간 핸드오버에 대해 앵커링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PGW는 UE에 대해 IP 주소를 할당한다. MME(Mobility Management Enity)는 UE의 이동성을 관리하고 EPS(Evolved Packet Service) 베어러를 관리한다. Referring to FIG. 1, each evolved Node B (eNB) connects a UE (User Equipment) to a core network, which is a wired network, through a wireless interface. The Serving Gateway (SGW) of the core network plays an anchor role for the handover between eNBs of the UE, and the PGW (PDN Gateway) plays an anchoring role for the SGW handover between the UEs. In particular, the PGW assigns an IP address to the UE. The MME (Mobility Management Enity) manages the mobility of the UE and manages the Evolved Packet Service (EPS) bearer.

도 2는 도 1의 LTE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경로상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n a data traffic path in the LTE network of FIG. 1; FIG.

도 2와 같이, PGW에서 UE들(UE1~UE4)의 IP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UE1과 UE2 간의 통신, UE1과 UE3 간의 통신, UE1과 UE4 간의 모든 통신 경로가 PGW까지를 거쳐야 한다. PGW가 IP를 할당하는 주체이며 사용자 트래픽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entity이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각 eNB에서 PGW까지는 IP 터널링되어 트래픽(데이터)이 전송되므로 UE들(UE1~UE4)의 트래픽의 라우팅은 PGW가 담당한다.As shown in FIG. 2, by allocating the IP addresses of the UEs (UE1 to UE4) in the PGW, communication between UE1 and UE2, communication between UE1 and UE3, and communication paths between UE1 and UE4 must go through PGW. This problem occurs because the PGW is the entity that assigns IP and is the entity responsible for routing user traffic. Since the traffic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IP tunneling from the eNB to the PGW, the PGW handles the routing of the traffic of the UEs (UE1 to UE4).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이 분리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IP 주소의 할당과 해제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 method for allocating and releasing IP addresses in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in which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UCE(Universal control entity, 통합 제어 엔티티), 하나 이상의 eUCE(edge UCE, 에지 통합 제어 엔티티)(예, eUCE1, eUCE2), 하나 이상의 CGW(Converged GateWay, 통합 게이트웨이)(예, CGW1~CGW4)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합코어망을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 통합코어망은 이외에도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서버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niversal Control Entity (UCE), at least one edge UCE (edge integrated control entity) eUCE1, eUCE2), one or more Converged GateWay (CGW) (e.g., CGW1 to CGW4), and the like.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or an apparatus necessary for system operation such as an HSS (Home Subscriber Server)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각 UE는 비면허 대역의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WiFi(Wireless Fidelity) BS(base station) (예, IEEE 802.11 계열의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유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Fixed SW(switch)(예, 유선 IP 접속기술을 지원하는 L3 스위치), 향후의 비면허 대역 및 면허대역 등을 통합한 접속 기술(예, 5G 무선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5G(5generation) BS 등 유무선 기지국이나 스위치를 통하여, 해당 위치의 CGW에 접속하여 유무선 통합코어망을 이용할 수 있다. CGW는 복수의 통신방식(예, 5G, WiFi, Fixed 등)에 의한 UE들이 유무선 통합코어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계한다. Each UE includes a wireless fidelity (BS) base station (e.g., an access point supporting IEEE 802.11 series wireless access technology), a Fixed SW (switch) supporting wired connection technology (5G) BS that supports connection technology (eg, 5G wireless access technology) that incorporates future license-exempt bands and licensed bands (eg, L3 switch supporting wired IP acces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CGW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use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The CGW relays the UEs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ethods (eg, 5G, WiFi, Fixed, etc.) to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도면에서는 각 UE가 5G BS, WiFi BS, Fixed SW 및 CGW를 통해서 유무선 통합코어망에 연결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각 UE는 5GBS, WiFi BS, Fixed SW로부터 eUCE로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In the figure, each UE is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through 5G BS, WiFi BS, Fixed SW, and CGW, but each UE can directly access eUCE from 5GBS, WiFi BS and Fixed SW.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5G, WiFi, Fixed(유선접속) 등의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이외에도 본 발명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3G, 4G 등의 다양한 무선 접속기술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Although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 access technology such as 5G, WiFi, Fixed (wired connection) and the like,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3G, 4G, etc.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various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ies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 UE는 5G/WiFi/Fixed의 각 접속망 중 5G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접속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이다. 즉, 사용자 단말 UE는 이들 다양한 접속기술 중 하나 이상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현된 장치일 수 있고, 혹은 이들 다양한 접속기술을 통합한 형태로 구현된 장치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UE is a terminal supporting one or more access technologies including 5G among 5G / WiFi / Fixed access networks. That is, the user terminal UE may be a device that is individually implemented for one or more of these various access technologies, or a device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tegrating these various access technologies.

CGW는 사용자 단말 UE의 트래픽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entity이며, 5G BS, WiFi BS, Fixed SW등과 CGW는 IP(Internet Protocol) 터널링되어 트래픽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CGW는 유무선 통합코어망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고, UCE는 코어망에서 CGW들/eUCE들 등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며, HSS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또한, UCE는 eUCE들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UCE/eUCE는 UE들에 대한 IP 주소의 할당과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3GPP LTE와 대비하면, CGW는 SGW나 PGW의 역할과 비슷하며, UCE는 MME와 역할이 비슷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CGW is an entity responsible for routing traffic of the user terminal UE. The 5G BS, the WiFi BS, the Fixed SW, and the CGW are tunneled through the IP (Internet Protocol) tunnel. CGW is responsible for data processing in integrated wired and wireless core networks, UCE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CGWs / eUCEs in the core network, and HSS for storing and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Also, UCE supports mobility between eUCEs, and UCE / eUCE can control allocation and release of IP addresses to UEs. Compared to 3GPP LTE, CGW is similar to SGW and PGW, and UCE is similar to MME.

도 4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 UE1이 상대 노드 CN1과 통신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이다. 도 4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이 UE1의 위치에서 UE2로 이동한 경우 이동전 노드 CN1 및 새로운 노드 CN2와 통신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이다.4A is an example of the flow of data when the user terminal UE1 communicates with the counterpart CN1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FIG. 4B is an example of a flow of data when communicating with a node CN1 and a new node CN2 before movement in a case where a user terminal moves from UE1 to UE2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도 4a와 같이, 사용자 단말 UE1이 상대 노드 CN1과, 5G, WiFi, Fixed(유선접속) 등 다양한 접속 방법 중, 예를 들어, 5G를 통해 통신할 때, 사용자 단말 UE1은 eUCE1으로부터 CGW1이 서비스하는 IP 주소의 범위 중의 주소 IP1을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다.4A, when the user terminal UE1 communicates with the counterpart node CN1 via 5G among various connection methods such as 5G, WiFi, Fixed (wired connec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UE1 receives the service from the eUCE1 to the CGW1 IP1 address in the range of IP address can be allocated and used.

사용자 단말이 UE1의 위치에서 UE2로 이동한 경우, 도 4b와 같이, 이전 CGW1은 터널(tunnel)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UE2의 접속을 관리하는 CGW2로, 상대 노드 CN1과 연결되어 있던 IP1에 대한 세션 정보를 전달하고, CGW2는 자신이 서비스하지 않는 IP 주소의 범위인 UE1의 주소 IP1에 대해서도 서비스한다. 또한, CGW2를 제어하는 eUCE2는, UE2가 WiFi 등 다른 접속 방식으로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 CN2와 새로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CGW2가 서비스하는 IP 주소의 범위 중의 새로운 주소 IP2를 UE2에 할당하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moves from the location of the UE 1 to the UE 2, as shown in FIG. 4B, the previous CGW 1 is a CGW 2 managing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UE 2 by using a tunnel or the like, And CGW2 also services the address IP1 of UE1, which is a range of IP addresses that it does not service. The eUCE 2 that controls the CGW 2 assigns a new address IP 2 in the range of the IP address served by the CGW 2 to the UE 2 so that the UE 2 can perform new communication with another node CN 2 on the network in a different access method such as WiFi, .

도 5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코어망을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의 관점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re network of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3 in terms of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먼저, 도 1의 LTE 구조에서 MME가 각종 제어를 담당하고, 데이터는 PGW, SGW가 담당하여 마치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이 분리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PGW와 SGW가 Gateway기능의 제어부분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는 않은 구조이다. First, in the LTE structure of FIG. 1, the MME takes charge of various kinds of control, and the PGW and the SGW take charge of data, so that the control plane and the data plane are separated as if the PGW and the SGW have control portions of the gateway function Therefore, the control plane and the data plane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제어평면에서 제어를 담당하는 entity를 eUCE들/UCE들로 하고 데이터평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entity를 CGW들로 한다. eUCE와 CGW 간에 1:1, 1:N, N:M(N, M은 자연수)의 관계로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UCE들(1~n)은 각각 데이터평면의 CGW들(1~m) 중 하나 이상과 인터페이스한다. 각 eUCE는 각종 제어정보를 CGW에게 내려주어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eUCE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데 CGW의 스위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CGW에게 내려 제공한다. 특히, 각 eUCE는 해당 CGW에 접속한 UE(들)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해제한다. CGW는 eUCE로부터 각종 제어정보를 받아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담당한다. CGW는 데이터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에 필요한 각종 처리들을 수행한다. 특히, CGW는 사용자 트래픽의 라우팅(routing)과 tunneling 처리를 수행하는데, IP 주소를 비롯한 5-tuple을 포함하는 상세정보에 따라서 처리한다. 5-tuple은 source IP address/port number(소스 IP 주소와 포트번호), destination IP address/port number(목적지 IP 주소와 포트번호), protocol(프로토콜) 정보이다. 이중 IP 주소는 eUCE가 할당한 UE의 IP 주소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CGWs are entities for controlling in the control plane as eUCEs / UCEs and processing data in the data plane. Interactive interfaces can be formed between eUCE and CGW with 1: 1, 1: N, and N: M (N and M are natural numbe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UCEs (1 to n) each interface with one or more of the CGWs (1 to m) of the data plane. Each eUCE sends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CGW to perform necessary control. The eUCE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and provides the CGW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witch control of the CGW. Specifically, each eUCE allocates and releases an IP address to the UE (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GW. The CGW receives various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eUCE and takes charge of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user data traffic. The CGW performs various processes necessary for transferring user data traffic on the data plane. In particular, CGW performs routing and tunneling processing of user traffic, and processes it according to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5-tuple including IP address. 5-tuple is source IP address / port number, destination IP address / port number, and protocol information. The dual IP address contains the IP address of the UE assigned by the eUCE.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UE의 이동시 eUCE들과 CGW들 간의 제어처리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들이다.6A to 6D are examples for explaining the control proces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UCEs and the CGWs in the movement of the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사용자 단말 UE이 eUCE1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고 CGW1에 접속한 후 CGW2로 이동한 경우(도 4b 참조),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은 방식으로 CGW2를 관리하는 eUCE2에게 제어권을 넘겨줄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UE is allocated an IP address from the eUCE 1 and accesses the CGW 1 and then moves to the CGW 2 (see FIG. 4B), the control right can be given to the eUCE 2 managing the CGW 2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6A to 6D.

먼저, 도 6a와 같이, 사용자 단말 UE이 CGW2로 이동한 것을 판단한 eUCE1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eUCE2에게 요청(IP Manager Change Req., IP 매니저 변경 요청)한다(611). 이에 대하여 eUCE2는 eUCE1에 해당 응답(IP Manager Change Resp.)을 전송한다(612). 또한, eUCE1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eUCE2가 지시할 것이라는 메시지(Control Change Req.)를 CGW1에게 전송한다(613). 이에 대하여 CGW1은 eUCE1에 해당 응답(Control Change Resp.)을 전송한다(614). 이후 eUCE2는 기 할당된 IP 주소 처리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를 CGW2에 내려주고(615) CGW2는 이에 응답한다(616). 이후 eUCE2의 제어를 받는 CGW2를 통해 사용자 단말 UE에 끊김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First, as shown in FIG. 6A, the eUCE 1, which ha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UE has moved to the CGW 2, requests the eUCE 2 (IP Manager Change Req., IP manager change request) for control processing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liminarily assigned to the UE 611). In response to this, the eUCE2 transmits a corresponding response (IP Manager Change Resp.) To the eUCE1 (612). Also, the eUCE 1 transmits a message (Control Change Req.) To the CGW 1 that the eUCE 2 will instruct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pre-assigned to the UE (613). In response to this, the CGW1 transmits a corresponding response (Control Change Resp.) To the eUCE1 (614). The eUCE2 then forwards th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pre-assigned IP address processing to the CGW2 615 and the CGW2 responds 616 to it. Thereafter, continuous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UE through the CGW2 under the control of the eUCE2.

또한, 도 6b와 같이, eUCE2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지시할 것이라고 CGW1에게 알리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UE이 CGW2로 이동한 것을 판단한 eUCE1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eUCE2에게 요청(IP Manager Change Req., IP 매니저 변경 요청)한다(621). 이에 대하여 eUCE2는 eUCE1에 해당 응답(IP Manager Change Resp.)을 전송한다(622). 또한, eUCE2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지시할 것이라는 메시지(Control Change Req.)를 CGW1에게 전송한다(623). 이에 대하여 CGW1은 eUCE2에 해당 응답(Control Change Resp.)을 전송한다(624). 이후 eUCE2는 기 할당된 IP 주소 처리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를 CGW2에 내려주고(625) CGW2는 이에 응답한다(626). 이후 eUCE2의 제어를 받는 CGW2를 통해 사용자 단말 UE에 끊김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Also, as shown in FIG. 6B, a method of notifying the CGW1 that the eUCE2 will instruct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assigned to the UE can be used. That is, the eUCE 1 judging that the user terminal UE has moved to the CGW 2 requests the eUCE 2 (IP Manager Change Req., IP manager change request) (621) to control processing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liminarily assigned to the UE. In response to this, the eUCE2 transmits a corresponding response (IP Manager Change Resp.) To the eUCE1 (622). In addition, the eUCE2 transmits a message (Control Change Req.) To the CGW1 indicating that it will instruct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assigned to the UE (623). In response, the CGW1 transmits a corresponding response (Control Change Resp.) To the eUCE2 (624). The eUCE2 then forwards th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pre-assigned IP address processing to the CGW2 (625) and the CGW2 responds (626). Thereafter, continuous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UE through the CGW2 under the control of the eUCE2.

또한, 도 6c와 도 6d는, 사용자 단말 UE이 CGW2로 이동하여 접속한 것을 판단한 eUCE2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담당할 것임을 eUCE1에게 알리는 방법을 나타낸다.6C and 6D show a method of informing the eUCE 2 that the eUCE 2 judging that the user terminal UE has moved to the CGW 2 and connected thereto will be in charge of processing of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assigned to the UE.

즉, 도 6c에서, 사용자 단말 UE이 CGW2로 이동한 것을 판단한 eUCE2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담당하는 것을 eUCE1에게 요청(IP Manager Change Req., IP 매니저 변경 요청) 메시지를 통해 알린다(631). 이에 대하여 eUCE1은 eUCE2에 해당 응답(IP Manager Change Resp.)을 전송한다(632). 또한, eUCE1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eUCE2가 지시할 것이라는 메시지(Control Change Req.)를 CGW1에게 전송한다(633). 이에 대하여 CGW1은 eUCE1에 해당 응답(Control Change Resp.)을 전송한다(634). 이후 eUCE2는 기 할당된 IP 주소 처리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를 CGW2에 내려주고(635) CGW2는 이에 응답한다(636). 이후 eUCE2의 제어를 받는 CGW2를 통해 사용자 단말 UE에 끊김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6C, the eUCE 2 judging that the user terminal UE has moved to the CGW 2 requests the eUCE 1 (IP Manager Change Req., IP manager change request) to take charge of processing of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 Through the message (631). In response to this, the eUCE1 transmits a response (IP Manager Change Resp.) To the eUCE2 (632). Also, the eUCE1 transmits a message (Control Change Req.) To the CGW1 that the eUCE2 will instruct the process of the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assigned to the UE (633). In response to this, the CGW1 transmits a corresponding response (Control Change Resp.) To the eUCE1 (634). The eUCE2 then forwards th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pre-assigned IP address processing to the CGW2 (635) and the CGW2 responds (636). Thereafter, continuous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UE through the CGW2 under the control of the eUCE2.

그리고, 도 6d에서, 사용자 단말 UE이 CGW2로 이동한 것을 판단한 eUCE2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담당하는 것을 eUCE1에게 요청(IP Manager Change Req., IP 매니저 변경 요청) 메시지를 통해 알린다(641). 이에 대하여 eUCE1은 eUCE2에 해당 응답(IP Manager Change Resp.)을 전송한다(642). 또한, eUCE2은 UE에 기 할당된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지시할 것이라는 메시지(Control Change Req.)를 CGW1에게 전송한다(643). 이에 대하여 CGW1은 eUCE2에 해당 응답(Control Change Resp.)을 전송한다(644). 이후 eUCE2는 기 할당된 IP 주소처리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를 CGW2에 내려주고(645) CGW2는 이에 응답한다(646). eUCE2의 제어를 받는 CGW2는 CGW1에게 해당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routing), 터널링(tunneling), 버퍼링(buffering)에 대해 지시하여 CGW2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 UE에 끊김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6D, the eUCE 2 judging that the user terminal UE has moved to the CGW 2 requests the eUCE 1 (IP Manager Change Req., IP manager change request) to take charge of control processing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 Message (641). In response to this, the eUCE 1 transmits a response (IP Manager Change Resp.) To the eUCE 2 (642). Also, the eUCE2 transmits a message (Control Change Req.) To the CGW1 indicating that it will instruct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pre-assigned to the UE (643). In response to this, the CGW1 transmits a corresponding response (Control Change Resp.) To the eUCE2 (644). The eUCE2 then forwards th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pre-assigned IP address processing to the CGW2 (645) and the CGW2 responds (646). The CGW 2 under the control of the eUCE 2 instructs the CGW 1 about routing, tunneling, and buffering of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thereby enabling continuous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UE moving to the CGW 2.

도 7은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eUCE가 관리하는 정보의 공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haring of information managed by the eUC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본 발명의 유무선 통합코어망에는, 사용자 콘텍스트(User context) 정보를 저장하는 DB(데이터베이스)(710), 및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이동성(mobility), 정책(policy), QoS(Quality of Service) 등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정보를 저장하는 DB(720)가 운영된다. 사용자 콘텍스트(User context) 정보 DB(710)에는, 사용자의 이동성을 비롯한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로써 각 UE의 IP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정보 DB(720)에는, 사용자 접속에 따라 eUCE가 HSS로부터 획득한 가입자 정보와 관련된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관리된다.The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710 for storing user context information, a database 710 fo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AA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mobility, and a DB 720 for storing user profile information such as a service of the user.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DB 710, IP address information of each UE is stored and managed as information for supporting connectivity including user mobility. In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DB 720, a profile related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acquired by the eUCE from the HSS according to the user connection is stored and managed.

각 eUCE는 DB들(710, 720)의 User context 정보나 User Profile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DB들(710, 720)은 다른 eUCE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즉, 각 eUCE가 DB들(710, 720)에 관리하는 User context 정보나 User Profile 정보를 다수의 eUCE가 공유하여, CGW들이 적절히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Each eUCE may update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or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of the DBs 710 and 720, and the updated DBs 710 and 720 may be referred to by other eUCEs. That is, a plurality of eUCEs may share User Context information or User Profile information managed by the eUCEs in the DBs 710 and 720, so that the CGWs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switch function to support data traffic delivery.

도 8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eUCE가 UE의 접속에 대해 IP 주소를 할당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eUCE가 UE의 단절에 대해 IP 주소를 해제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dure in which an eUCE assigns an IP address to a connection of a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8B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dure in which the eUCE releases the IP address for the disconnection of the 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먼저, 도 8a에서, UE가 5G, WiFi, Fixed 등 접속 기술의 기지국이나 액세스포인트 또는 스위치 등(이하 기지국 등)을 통해 접속하면(810), eUCE가 기지국 등을 통한 UE의 접속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아 UE를 인증한 후(811) UE에 대해 IP 주소를 할당한다(812). UE의 기지국 등을 통한 접속에 대한 정보는 eUCE가 코어망으로부터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다. eUCE가 UE에 할당한 IP는 해당 UE가 존재하는 CGW가 처리할 수 있는 IP 주소의 범주에 속한다. eUCE는 할당된 IP 주소를 CGW 및 기지국 등에게 제공하고(813) 각 사용자 단말별 IP 주소 할당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User Context 정보 DB(710)에 해당 주소를 업데이트 저장한다(814). 종래에는 PGW가 해당 사용자 단말들의 IP 주소를 할당하여 저장하였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성에 대해 유연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8A, when the UE accesses 810 through a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 switch, or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of a connection technology such as 5G, WiFi, Fixed or the like (811) and assigns an IP address to the UE (812).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UE can be received by the eUCE from the core network by a NAS (Non Access Stratum) message. The IP assigned to the UE by the eUCE belongs to the category of the IP address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GW in which the UE exists. The eUCE provides the allocated IP address to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813), and updates the corresponding address in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DB (710) storing information on the IP address allocation for each user terminal (814). Conventionally, the PGW allocates and stores the IP addresses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s. However, in the related art, it is impossible to select a flexible path for the user's mobility.

한편, 도 8b에서, UE가 기지국 등을 통한 접속을 단절하면(820), eUCE가 기지국 등을 통한 UE의 접속 단절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UE의 IP 주소의 회수를 결정하고 그 회수 정보를 CGW와 기지국 등에게 제공한다(821). eUCE는 이와 같이 회수된 해당 UE의 IP 주소를 User Context 정보 DB(710)로부터 삭제한다(822). 과금 등을 위하여 IP 주소의 회수 정보는 별도의 DB에 관리될 수 있다(823).8B, when the UE disconnects the connec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or the like (820), the eUCE receive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bout the disconnection of the UE through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number of times of the IP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UE,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821). The eUCE deletes the IP address of the UE thus retrieved from the user context information DB 710 (822). The billing information of the IP address can be managed in a separate DB (823).

도 9a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CGW 및 기지국 등이 eUCE로부터 IP 주소 할당 정보를 받고 해당 IP 주소에 대한 트래픽 처리를 위한 설정 절차를 보인 예다. 도 9b는 도 3의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CGW 및 기지국 등이 eUCE로부터 IP 주소 할당의 해제 정보를 받고 해당 IP 주소에 대한 해제 절차를 보인 예다.FIG. 9A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procedure for traffic processing for a corresponding CGW and a base station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3 receiving IP address allocation information from an eUCE. FIG. 9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GW, the BS, and the lik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of FIG. 3 receive the release information of the IP address allocation from the eUCE and release procedures for the IP address.

먼저, 도 9a에서, eUCE가 CGW에게 UE에 대한 IP 주소를 할당했음을 알리는 IP 주소 할당 정보를, CGW 및 기지국 등에게 전송할 수 있다(910). 이에 따라 CGW 및 기지국 등은 IP 주소 할당에 대해, 라우팅(routing) 테이블(911), 터널링(tunneling) 테이블(912), 다운링크 버퍼링(buffering) (913) 정보를 각각 설정하고, UE의 해당 IP 주소에 대한 트래픽 라우팅(routing), 터널링(tunneling), 버퍼링(buffering) 등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들 911 내지 913은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First, in FIG. 9A, the eUCE may transmit the IP address allocation information to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to notify the CGW that the IP address for the UE has been allocated (910). Accordingly,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set the routing table 911, the tunneling table 912, and the downlink buffering 913 information for the IP address allocation,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support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user data traffic such as traffic routing, tunneling, buffering to an address. These 911 to 913 can change the order.

마찬가지로, 도 9b에서, eUCE가 CGW에게 UE의 IP 주소를 회수(해제)했음을 알리는 IP 주소 회수 정보를 CGW 및 기지국 등에게 전송할 수 있다(920). 이에 따라 CGW 및 기지국 등은 IP 주소 회수에 대해, 라우팅(routing) 테이블(921), 터널링(tunneling) 테이블(922), 다운링크 버퍼링(buffering) (923) 정보를 각각 업데이트 설정(설정 해제)하고, UE의 해당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routing), 터널링(tunneling), 버퍼링(buffering) 등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의 지원을 중지할 수 있다. 이들 921 내지 923은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Similarly, in FIG. 9B, the eUCE may transmit the IP address retrieval information to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which informs the CGW that the IP address of the UE has been retrieved (released) (920). Accordingly,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update (unset) the routing table 921, the tunneling table 922, and the downlink buffering 923 information for the IP address retrieval, respectively , The switch function for transmitting user data traffic such as routing, tunneling, buffering, etc. to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of the UE can be stopped. These 921 to 923 can change the order.

이와 같이, eUCE의 요청에 따라 CGW 및 기지국 등이 각각 라우팅(routing) 테이블, 터널링(tunneling) 테이블, 다운링크 버퍼링(buffering) 정보의 순서로 해당 설정이나 설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eUCE가 UE에 IP 주소를 할당하면, CGW 및 기지국 등에게 라우팅(routing) 테이블, 터널링(tunneling) 테이블, 다운링크 버퍼링(buffering) 정보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설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설정 해제에 대하여도 eUCE는 위와 같은 정보들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설정 해제를 요청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setting or deactivation in the order of the routing table, the tunneling table, and the downlink buffering information,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eUCE. However, in some cases, when the eUCE assigns an IP address to the UE, it may request the CGW and the base station to separately set routing tables, tunneling tables, and downlink buffering information. The eUCE may also request to unconfigure each of the above information.

한편, 다운링크 버퍼링은 여기서는 CGW나 기지국 등(5G, WiFi, Fixed 등 접속 기술의 기지국이나 액세스포인트 또는 스위치 등) 중 어느 하나가 담당하거나 양쪽 모두에서 담당할 수 있다. 기지국 등에서의 라우팅(routing) 테이블의 설정은 해당 접속망의 링크 특성에 맞도록 링크 계층에서의 전달을 위한 설정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downlink buffering can be handled by either a CGW or a base station (a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or a switch of a connection technology such as 5G, WiFi, and Fixed), or both. The configuration of a routing table at a base station or the like includes a setting for delivery at the link layer to match the link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networ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P(제어평면)와 UP(데이터평면)가 분리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운영에서는, UP의 엔티티(entity)가 분산된 네트워크(CP의 엔티티도 분산 가능)에서 UP의 엔티티들을 제어하는 CP(제어평면)의 제어 엔티티(entity)가 서로 다를 경우 이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IP 주소 및 트래픽에 대한 제어권을 관리함으로써, 종래의 PGW(PDN Gateway)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 엔티티에서 중앙 집중형으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라우팅을 담당하여 통신 트래픽의 경로가 중앙으로 집중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운 네트워크 상의 에지(edge)에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 데이터의 라우팅 경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에 대하여도 CP의 제어 엔티티에 의한 IP 주소의 관리를 통하여 사용자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in which the CP (control plane) and UP (data pla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ty of the UP is distributed to the network (PDN Gateway), by controlling the control of the user's IP address and traffic between the control entities of the control plane (CP) controlling entities of the UP The functional entity that handles the assignment of IP addresses in a centralized manner and takes charge of the routing,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path of the communication traffic is cente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ssigning an IP address at the edge of the network close to the user's location, not only the routing path of the user data can be reduced, but also the management of the IP address by the control entity of the CP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cess the user traffic.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100)
UCE(Universal control entity, 통합 제어 엔티티)
eUCE(edge UCE)
CGW(Converged GateWay, 통합 게이트웨이)
WiFi(Wireless Fidelity) BS(base station)
Fixed SW(switch)
5G(5generation) BS
사용자 단말(UE)
In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100,
UCE (Universal control entity)
eUCE (edge UCE)
Converged GateWay (CGW)
WiFi (Wireless Fidelity) BS (base station)
Fixed SW (switch)
5G (5generation) BS
The user terminal (UE)

Claims (14)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을 분리하여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및 해제하고 해당 정보를 공통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의 제어를 받으며 복수의 통신방식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합코어망에 접속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할당된 상기 IP 주소를 받아, 상기 IP 주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 노드 사이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A method for operat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by separating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Allocating and releasing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information on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e entity of the control plane, and upd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common database; And
Wherein the control plane entity is controlled by an entity of the control plane and supports a user terminal to connect to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s, wherein the entity of the control plane receives the IP address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data traffic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node based on the IP addres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평면의 엔티티들과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 간에, 1:1, 1:N, N:M(N, M은 자연수)의 관계로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operat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using an interactive interface in a relationship of 1: 1, 1: N, and N: M (N and M are natural numbers) between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and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 평면의 엔티티들에서, 상기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상기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 터널링, 버퍼링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refer to the common database to communicate the data traffic, including routing, tunneling, and buffering, to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 method for operating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that controls to support switch fun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among entities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Determining a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in an entity of a first control plane that manages an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and requesting an entity of a second control plane to perform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in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hat manages an entity of the second data plan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occur in the second data plan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fter the requesting step,
Wherein an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 / RTI >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진행할 것임을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among entities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Managing an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that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naging entity of the second data plane is to proceed with processing of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by determining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Notifying an entity of a first control plane; And
Controlling, in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an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occur in the second data plan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requesting step,
Wherein an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 / RTI >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어평면과 데이터평면을 분리하여 운영하기 위한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및 해제하고 해당 정보를 공통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저장하는 제어평면의 엔티티; 및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의 제어를 받으며 복수의 통신방식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통합코어망에 접속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는, 상기 제어평면의 엔티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해 할당된 상기 IP 주소를 받아, 상기 IP 주소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대 노드 사이에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for operating a control plane and a data plane separately,
An entity of a control plane for allocating and releasing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information on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common database; And
A data plane entity 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entity of the control plane and supports a user terminal to connect to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re network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chemes,
The entity of the data plane receives the IP address allocat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entity of the control plane and performs a switch function for transferring data traffic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node based on the IP address Distributed network system.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평면의 엔티티들과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 간에, 1:1, 1:N, N:M(N, M은 자연수)의 관계로 인터랙티브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using an interactive interface in a relationship of 1: 1, 1: N, and N: M (N and M are natural numbers) between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and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어 평면의 엔티티들에서, 상기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복수의 데이터평면의 엔티티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상기 IP 주소에 대한 라우팅, 터널링, 버퍼링을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In entities of a plurality of control planes, entities of a plurality of data planes refer to the common database to communicate the data traffic, including routing, tunneling, and buffering, to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 distributed network system that controls the switch function to suppo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요청하고,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among entities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Requesting an entity of a second control plane to control the process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by determining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in an entity of a first control plane that manages an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2 control entity in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hat manag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such that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occurs in the second data pla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요청한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requesting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process th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n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Wherein an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an entity of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데이터평면의 엔티티 중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 후 이동하여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주기 위하여,
상기 제2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을 판단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진행할 것임을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를 관리하는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로 통보하고,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스위치 제어가 상기 제2데이터평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n entity of a first data plane among entities of the data plane and then accesses an entity of a second data plane,
Managing an entity of the first data plane that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managing entity of the second data plane is to proceed with processing of control related to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by determining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Notifies an entity of a first control plane and controls, at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witch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occur in the second data pla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를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로 요청한 후에,
상기 제1제어평면의 엔티티 또는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와 관련된 제어의 처리가 상기 제2제어평면의 엔티티에 의해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데이터평면의 엔티티로 전송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requesting the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to process the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t the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Wherein an entity of the first control plane or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sends a message indicating that processing of control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is to be performed by an entity of the second control plane, To an entity of the distributed network system.
KR1020160094962A 2016-07-26 2016-07-26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KR102216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62A KR102216712B1 (en) 2016-07-26 2016-07-26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62A KR102216712B1 (en) 2016-07-26 2016-07-26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110A true KR20180012110A (en) 2018-02-05
KR102216712B1 KR102216712B1 (en) 2021-02-17

Family

ID=6122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62A KR102216712B1 (en) 2016-07-26 2016-07-26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7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3515A (en) * 2022-12-23 2023-03-31 广州市保伦电子有限公司 Separable conference terminal IP configura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2234A1 (en) * 2012-03-30 2015-02-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entralized ip address management for distributed gatew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2234A1 (en) * 2012-03-30 2015-02-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entralized ip address management for distributed gateway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23.714 v0.4.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3515A (en) * 2022-12-23 2023-03-31 广州市保伦电子有限公司 Separable conference terminal IP configura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medium
CN115883515B (en) * 2022-12-23 2023-09-08 广东保伦电子股份有限公司 Separable conference terminal IP configura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712B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079B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ssion management
CN106792936B (en) PGW swit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maintaining service continuity
CN109246747B (en) Establishment method of forward interface, UE access method, U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CN105338655B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user plane bearer
CN113873596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upporting local service distribution under dual-connection architecture
EP3114874B1 (en) Ran based gateway functions
US11129054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upporting local breakout in small cell architecture
CN101500213B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for user equipment urgent access
CN104902580B (en) Method for supporting data forwarding in small cell system
US9113455B2 (en) Method and device relating to replay technique
US20180242198A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84114A1 (en) User plane setup during 5g system to evolved packet system handover
US20100226314A1 (en) Method for user equipment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s via hnb access systems
CN114390618B (en) Method for supporting switching
JP62944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flow setup or modification, primary node, secondary node, U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00092760A1 (en) Switch supporting method
JP2013219838A (en) Traffic offload method and core network device
WO2020063649A1 (en) Network servic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60255539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9521588A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network element
US20190058521A1 (en) Multi-core communication system to serve wireless relays and user equipment
KR201401349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wording data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 in communication network
JP2018137791A (en) Setup or correction of data flow between user equipment in dual connection
EP3178220B1 (en) Ipv6 interface id filter using a single pdn connection
KR102216712B1 (en) Method for allocation and deallocation of IP address in Distributed Network System having Seperated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