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741A -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 Google Patents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741A
KR20180010741A KR1020160093329A KR20160093329A KR20180010741A KR 20180010741 A KR20180010741 A KR 20180010741A KR 1020160093329 A KR1020160093329 A KR 1020160093329A KR 20160093329 A KR20160093329 A KR 20160093329A KR 20180010741 A KR20180010741 A KR 2018001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ireless
module
main body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김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filed Critical 김지태
Priority to KR102016009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741A/en
Publication of KR2018001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The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comprises: a body case which has one opened surface to form an withdrawal port; an withdrawal case which has an exposure surface exposed outside; guide members which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body case and both sides of the withdrawal case corresponding thereto, and support the withdrawal case to be slidablle; a withdrawal driving source which includes a transfer screw disposed in a withdrawal direction of the withdrawal case, and a lifting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thdrawal case and screwed to the transfer screw to linearly move by interlocking; and a control unit which includes a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det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ignal of an authenticated smartphone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thereof, a position sens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withdrawal cas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and the position sens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and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a driving motor.

Description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벽체나 가구 또는 테이블 등과 같은 구조물에 매립하여 필요시 수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증 처리된 스마트폰의 접근시 이를 식별하여 수납공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납공간에 구비된 물품의 보관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which is embedded in a structure such as a wall, a furniture, a table or the like and exposes the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when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and securing the storage stability of an articl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주방의 씽크대에는 각종 물품이 비치되고 있음에 따라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폐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서랍이나 수납장을 비치하고 있으나 대부분 부피가 작은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부피가 큰 물품의 보관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큰 폐단이 있었다.Generally, there are various kinds of articles in a desk, a table, or a kitchen sink.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rawer or a cabinet for storing various items is provided. However, since it is used for storing small-sized small items, it is not suitable for storing bulky items, there was.

일례로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데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모니터로 인하여 책상이나 테이블 위의 공간활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For example, when a computer monitor is placed on a desk or a ta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on the desk or table is limited due to the monitor even when the monitor is not used.

또한, 주방의 씽크대의 경우에도 식기와 주방용품들이 올려져 있는데, 자주 사용하지 않는 식기와 주방용품은 수납장에 수납시켜 사용시에만 꺼내 사용할 수 있으나 매일 사용하는 식기와 주방용품들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올려져 있음에 따라 그 주변은 항상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되고 미관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었다.Also, in the case of kitchen sink, tableware and kitchen utensils are put on, but utensils and kitchen utensils that are not used frequently can be stored in the cabinet and can be taken out only when they are used. However, daily dishes and kitchen utensil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surroundings were always cluttered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was hindered.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사용시에만 노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다양한 수납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disadvantage, a variety of storage systems have been proposed, which can expose only a variety of articles when they are used.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416호에 개시된 싱크대 수납시스템이 있으며, 그 청구항 2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상부장과, 상기 상부장의 하부에 설치된 개수대를 포함하는 싱크대 수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의 내벽에 결합된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부장의 하부에 위치하는 식기 건조대와; 상기 식기 건조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가이드결합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수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기 건조대의 하부에는 물받이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물받이함의 일측은 개방되며, 상기 물받이함에서 떨어진 물이 상기 개수대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함은 상기 개수대와 수직적으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0002]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sink storage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7416. 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nk storage system comprising a top stag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bottom, A first guide member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upper surface; A table dryer plac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guide member attached to the tableware drying table and guided by the first guide member, wherein a water receiving tray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table drying tray, and one side of the water receiving tray is opened And the water receptacle is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water receptacle so that wat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water receptacle can flow into the water receptacle.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싱크대 수납시스템은 구동원인 승하강장치를 통해 수납요소인 식기건조대를 상부장 내에 매립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장치는 모터와 풀리 및 와이어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승강동작을 정확한 위치에서 제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승강동작중 물품이나 신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정지 동작없이 구동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The sink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used by embedding a table drying drum, which is a storage element, in a top chamber or by pulling it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driving up / down apparatus, and the up / down apparatus includes a motor, a pulle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elevating operation at an accurate position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great risk of a safety accident because the elevating operation is driven without a stopping operation even in case of contact with an article or a body during an elevating operation.

한편,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457호를 통해 보호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엘씨디모니터 수납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한 1에는 LCD모니터가 수납되면서 책상 또는 테이블 내부에 장착되는 수납몸체와, 상기 수납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LCD모니터를 장착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시켜주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주는 도르래수단과, 상기 도르래수단을 작동시켜주는 구동수단과, 상기 수납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내부면을 개폐하는 보호덮개로 구성된 LCD모니터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LCD모니터 수납장치는 상기 보호덮개의 내측 하면에 고정설치된 연결브라케트와, 상기 연결브라케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연결조인트와, 일단은 상기 연결조인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크랭크에 연결 설치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크랭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주는 작동로울러로 구성되어 상기 보호덮개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승과 하강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LCD모니터 수납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n LCD monitor retractor for automatically opening / closing a protective cover through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7457 has been proposed. In Claim 1, an LCD monitor is housed in a desk or a table A lifting plat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body for slid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with the LCD monitor mounted thereon, pulley means for lifting or lowering the lifting plate, driving means for actuating the pulley means And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o open and close an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body, the LCD monitor storage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bracket fix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A connecting joint provided at one end of the kettle,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joint,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a crank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body and an operation roller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plate and rotating up or down while rotating the crank forward or reverse, And the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rise and fall of the plate.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엘씨디모니터 수납장치를 비롯한 대부분의 수납장치는 모터와 기어장치 또는 도르래 장치 등을 이용하여 모니터를 상,하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승강동작을 정확한 위치에서 제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승강동작중 물품이나 신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정지 동작없이 구동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Most of the storage devices including the LCD monito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onitor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using a motor, a gear device or a pulley device,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great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being driven without a stopping operation even in the case of contact with an article or a body during an elevating operation.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원을 이용한 수납장치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신호에 의해 승강 동작이 행해지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원을 구성하는 구조가 모터와 풀리 및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승강동작에 대한 정확한 위치 규제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in the storage device using the driving sour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witch signal of the user,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and the structure constituting the driving source is constituted by the motor, the pulley and the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regulate the position.

한편, 기존의 수납장치는 단순히 스위치 신호에 연동하여 수납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귀금속이나 보안을 요하는 물품의 보관은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torage device allows the storage space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witch signal simply, but storage of the noble metal or the article requiring security has been severely impaired.

일례로, 여성들이 사용하는 악세사리나 귀금속 등은 악세사리 수납장에 진열형태로 배치해놓고 필요시 꺼내어 사용하고 있으나, 고가의 악세사리나 귀금속은 분실의 우려가 있어 별도의 금고 등에 보관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클 뿐만 아니라 부주의하게 보관하는 경우 자?? 분실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accessories or precious metals used by women are arranged in a display form in the accessory storage cabinets and taken out when necessary. However, since expensive accessories or precious metals are likely to be lost and stored in a separate safe, inconvenience If you are careless as well as large, There was a problem leading to loss.

이외에도 대부분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 중요자료를 보관하고 있으나, 컴퓨터는 별도의 시건장치로 보호되지 않고 있어 절도에 의해 도난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 제3자가 자료 등을 복사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모금융권의 경우 컴퓨터 담당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제3자가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컴퓨터 내의 개인정보 수십만건을 복사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심각한 범죄행위로 이어지는 폐단이 있었다.In addition, most office computers store important data, but the computer is not protected by a separate locking device. Theft may cause theft. In addition, if the user leaves the room, In fact, in the case of the parent banking system, there was a case in which a third party used a USB memory to copy hundreds of thousands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a computer and leak it out to a serious criminal act while a computer person was absent .

등록특허 제10-1477416호(2014.12.22), '싱크대 수납시스템′Registration No. 10-1477416 (December 22, 2014), "sink storage system" 등록실용신안 제20-0457457호(2011.12.14), '보호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엘씨디모니터 수납장치′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57457 (Dec. 14, 2011), 'LCD monitor hold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탁자, 식탁, 싱크대, 책상 등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물에 매립 구성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을 통해 별도의 인증절차나 열쇠의 사용없이 자동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아울러 제품이 적용된 테이블, 탁자, 식탁이나 싱크대의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를 한층 높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space capable of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a table, a table, a table, a sink,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withdraw without using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or ke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nd further increasing freedom of design design of table, table, table or sink to which product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요소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싱크대의 상면이나 측면 또는 싱크대의 상부장 하부 수평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하고 사용시에만 구동원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점유도를 최소화하여 설치에 대한 자유도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storage element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it is embedded in a top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a desk, a table or a sink or a horizontal surface of a bottom surface of a sink,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installation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는, 테이블 및 가구 등의 구조물에 매립되어 구동원에 의해 출몰하여 내부의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인출구를 형성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그 내부공간을 노출시키는 것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을 갖는 인출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 양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인출케이스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호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 및 이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인출케이스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인출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나선 체결되어 연동되는 것에 의해 직선이동을 이루는 승강브라케트로 이루어진 인출구동원;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 설정되어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인출무선모듈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 또는 인출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인증처리 된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신호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인증스위치 및 상기 인출케이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와 위치센서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that is embedded in a structure such as a table and furniture to expose an interior storage space by a drive source, A main body case which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and is open at its one side to form an outlet; A drawer case having an exposed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the main body case and protruding outwardly through a through hole to expose an inner space thereof; A guide member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cas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drawer cas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case to enable mutual slide movement; a drive mo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case for generating a normal and rotational drive force; And a lifting bracket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rawer case and which is coupled to the conveying screw by a spiral so as to make a linear move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one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withdrawal case to perform authentication pro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ignal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and the position sensor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인출케이스는 인출 동작시 상기 노출면에 접촉되는 사용자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인출동작을 규제토록 하는 비상정지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비상정지감지부는 상기 노출면의 일측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누름판 및 이 누름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누름판의 눌림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1~4개의 비상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out case includes an emergency stop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 or an object contacting the exposed surface during a drawing operation and for limiting the drawing operation by applying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stop detection unit is comprised of a pressure plate provided at a siz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xposed surface and one to four emergency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side the pressure plate for sensing whether the pressure plate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nd applying the detected pressure plate to the controller It is 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인출케이스는 상기 노출면에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등이 설치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case is provided with an LED illumination lamp that is illumin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xposed surf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모듈로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과 인증통신을 하도록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모듈로 구비되는 인출무선모듈; 상기 인출케이스의 노출된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조작패널;, 또는, 상기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는 무선수신모듈과 이 무선수신모듈과 무선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인가하는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한 무선리모트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is provided as a Bluetooth module or an NF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smart phone or the NFC module mounted on the user A withdrawal wireless module; An operation panel provided on one exposed surface of the drawing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 receiving operation force from a user or a wireless receiving modul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a circuit, And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for receiving and apply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납요소인 인출케이스가 구동원에 의해 본체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본체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만 노출시켜 수납공간의 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과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The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rawer case, which is a storage elemen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main body case o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ase by the drive sou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ill be useful effects for enhancing convenience of use and interior decorating effect.

특히, 본 발명의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는 인출동작시 노출면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거나 또는 물품 등이 접촉하는 경우 비상정지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인출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Particularly, in the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touches the exposed surface in the drawing operation or when an article or the like touches, the emergency stop sensing part senses this and stops the draw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a useful effect that can enhance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is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을 부가 구성하고 있어 인출 케이스가 수납된 상태에서 조명등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수납기능 외에 조명을 이용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D illumina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using illumination in addition to the storage function, by performing the role of an illumination lamp in a state in which the drawing case is hous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FIG. 1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Fig. 1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bottom view of FIG. 1 for illustrat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FIG. 1 for illustrat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FIG. 2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ottom view of FIG. 8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8 for illustrat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rear view of Fig. 8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 side view of Fig. 8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in this appl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acts, ,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convenienc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at i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인출 케이스(20)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인출 케이스(20)가 상부로 돌출되어 출몰됨으로써 그 내부공간(21)을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to 7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a drawer case 20 is housed in a main body case 10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wer case 2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to expose the inner space 21 when the drawer 20 is protruded upward.

도면에는, 테이블이나 가구 등의 각종 구조물에 매립되어 구동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몰하여 내부의 수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며 각종 전장품이 탑재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슬라이드 끼움으로 조립되어 선택적으로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로 그 일부가 돌출되어 내부공간(21)을 노출시키는 인출 케이스(20) 그리고 이들 본체 케이스(10)와 인출 케이스(20)를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30) 및 상기 인출 케이스(20)를 출몰 또는 수납되게 이동시키는 인출구동원(40)을 포함하고, 특히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 설정되어 인증 통신을 수행하는 인출무선모듈(51′)이 회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10) 또는 인출 케이스(2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인증처리된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 신호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러(55)로 인가하는 무선 인증스위치(51) 및 인출 케이스(20)의 인출 동작시 사용자의 신체나 물체에 접촉하는 돌발 상황에 비상정지를 수행하는 비상정지부(60)를 구비한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The figure shows a main body case 10, which is embedd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table or furniture and which is selectively protruded and retracted by a driving source to expose an inside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and on which various electric components are mounted, A drawer case 20 which is assembled by slidingly inserting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and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to expose the internal space 21, A guide member 30 for slidably supporting the mobile phone 20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40 for moving the mobile phone 20 so as to protrude or retract the mobile phone 20, Module is configured to be paired with the module and configured to perform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is configured as a circuit, a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body case 10 and the withdrawal case 20 A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for det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ignal of a smartphone authenticated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55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for contacting the body or an object of the user during a drawing operation of the drawer case 20, There is shown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1 including a control section 50 having an emergency stop section 60 for performing an emergency stop in an unexpected situ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배면도이다. FIG. 3 is a rear view of FIG. 1 for illustrat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각종 구조물에 매립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된 인출구를 형성한 사각통체 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10)와, 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내부공간(21)을 노출시키는 인출 케이스(20) 그리고 이들 본체 케이스(10)의 양내측면과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양 외측면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30)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0)와 인출 케이스(20)의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인출 케이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으로 구동모터(41) 및 이 구동모터(41)에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43) 그리고 이 이송스크류(43)에 나선결합되어 이송스크류(43)의 회전시 나선을 따라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는 승강브라케트(45)로 이루어진 인출구동원(40)로 구성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The figure shows a main body case 10 having a rectangular tubular shape in which an outflow opening with one side thereof is opened and which is embedded in various structures by forming an outer body and a main body case 1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each of the body case 10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drawer case 20 so as to be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 driving motor 41 and a driving motor 41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41 by linearly moving the drawing case 20 between the main body case 10 and the drawing case 20, And a feed screw 43 which is connected to the feed screw 43. The feed screw 43 is spirally coupled to the feed screw 43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piral of the feed screw 43 A smart automatic retracting device (1) consisting of mobilization outlet 40 formed in the lifting bracket 45 is show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평면도이다. FIG. 4 is a plan view of FIG. 1 for illustrat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사각 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아래쪽은 전면을 향하는 부분이고, 위쪽은 본체 케이스(1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인출구동원(40)이 제공되며, 이 인출구동원(40)의 일측으로는 제어부(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인출구(1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루는 노출면(23)으로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무선 인증무선 인증스위치(51)가 구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고정레일(31)과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인출레일(33)이 구성된 인출 케이스(20)가 도시되어 있다.The drawing has a rectangular tubular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coin outlet 40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ase 10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50 is configured. The exposed surface 23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 of the main body case 10 is constituted by a wireless authenticated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for receiving operation power from the user, There is shown a drawer case 20 in which a drawer rail 33 is slidably engaged with a fixed rail 3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case 10.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 설정되어 인증 통신을 수행하는 인출무선모듈(51′)이 회로 구성된 무선 인증스위치(51)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는 감지정보를 컨트롤러(55)로 인가하여 구동모터(4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in which a drawing radio module 51 'configured to pair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a smart phone and perform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is configured as a circuit And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applies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55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4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저면도이다. Fig. 5 is a bottom view of Fig. 1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테이블이나 씽크대 또는 가구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에 매립되는 것으로 사각 통체 형상을 가지며 일면이 개방된 본체 케이스(10)와, 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가이드부재(3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인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그 내부공간(21)을 노출시키는 인출 케이스(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41) 및 이 구동모터(41)에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43) 그리고 이 이송스크류(43)에 체결되어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되 그 일단이 상기 인출 케이스(20)에 결합되는 승강브라케트(45)로 이루어진 인출구동원(40)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The main body case 10 is embedd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table, a sink, or furniture, and has a square tubular shape. The main body case 10 is opened at one side. A drawer case 20 which is slidably provided so as to selectively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s so as to expose the inner space 21; a driving motor 41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And a conveying screw 43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41 for rotation and which is coupled to the conveying screw 43 so as to linearly move along the spiral an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drawer case 20, (45) and an outlet opening (4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측면도이다. FIG. 6 is a side view of FIG. 1 for explain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FIG. 2 for illustrating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각종 구조물에 매립설치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이 본체 케이스(1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 케이스(20),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41) 및 이 구동모터(41)에 축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43)를 일부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44)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43)에 일단이 나선체결되는 것에 의해 직선 이동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일단에 결합고정되는 승강브라케트(45)로 이루어진 인출구동원(40)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The drawing shows a main body case 10 embedded in various structures, a drawing case 2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And a cover (not shown) which partially covers the feed screw 43, which is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41 and rotates integrally and vertically, And a lifting bracket 45 which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drawer case 20 by linearly moving the one end of the lifting bracket 45 by being screwed to the conveying screw 43. [ A smart automatic containment device 1 is shown.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승강브라케트(45)는 일단이 상기 이송스크류(43)에 나선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44)는 상기 승강브라케트(45)의 일단이 이송스크류(43)에 나선체결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거리만큼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One end of the lifting bracket 45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screw 43 while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bracket 45 is coupled to the conveying screw 43. [ A hole should be formed by a distance for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in a state of being helically fastened.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저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측면도 끝으로 도 11은 배면도이다., 이러한 도 8 내지 도 12에서 나타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대동소이하며 다만 인출 케이스(20)가 본체 케이스(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승강배치 구조를 갖는 차이가 있다. 8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ottom view,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8 and Fig. 11 is a rear view. The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shown in Figs. 8 to 12 is similar to the abov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case 20 has a lifting and lowering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e case 20 protrudes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씽크대의 상부장 등과 같은 구조물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으로 인출구가 형성된 사각통체 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10)와, 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가이드부재(3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인출구를 통해 하향 돌출되어 그 내부공간(2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인출 케이스(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이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 케이스(20)의 노출면(23)에 제공되는 것으로 하강 동작시 상기 이면에 사용자의 신체나 또는 물체가 접촉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하강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인출동작을 규제하는 비상정지부(60)가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비상정지부(60)는 상기 노출면(23)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나 물체가 접촉되는 누름판(61)과, 이 누름판(61)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누름판(61)의 눌림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의 컨트롤러(55)에 인가하는 비상감지센서(63)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The main body case 10 includes a main body case 10 having a rectangular tubular shape with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to be embedded in a structure such as a top surface of a sink for forming an outer body, (20) protruded downward through the outlet to expose the internal space (21) to the outside by being guided by the guide member (30), and a case body And is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23 of the drawer case 20 to be exposed. When the body or the object of the user touches the back surface in the descending operation, the emergency stopper The emergency stop unit 60 is provided outside the exposed surface 23 and includes a pressing plate 61 contacting the user's body or an object, This configuration is provided to the inside consisting of an emergency sensor (63) applied to the controller 55 of the pressure plate 61 detects the depression and whether or not this controller 50 by an external force of the plate 61 is show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인출조작을 입력받아 구동제어를 하는 무선 인증스위치(51) 및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수납위치와 인출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감지요소인 위치센서(53) 그리고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와 위치센서(5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55)로 이루어진 제어부(50)를 구비한다.The figure shows a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that receives a fetch operation from a user and performs drive control, a position sensor 53 that is a sensing element for regulating a storage position and a fetch position of the fetch case 20, And a controller 55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53 and the controller 55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motor 41. [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모듈과 쌍방향 무선인증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또는 NFC모듈이 사용되는 인출무선모듈(51′)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는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노출된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도록 복수의 버튼과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이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조작패널(51a)을 구비하며, 이외에도 상기 컨트롤러(55)에 회로 연결되는 무선수신모듈(51b) 및 이 무선수신모듈(51b)과 무선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인가하는 무선송신모듈(51ca)을 구비한 무선리모트컨트롤러(51c)가 구비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includes 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wireless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a smart phone owned by the user or an extraction wireless module 51 'using an NFC module. The authentication switch 51 is provided on one exposed surface of the drawing case 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an operation panel 51a including an indicator lamp or a display indicating operation states,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51c having a wireless receiving module 51b connected to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55 by a circuit and a wireless transmitting module 51ca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51b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ng signal, A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1 is shown.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된 사각 통체 형사으로 구비되어 테이블이나 가구 또는 싱크대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에 매립되는 본체 케이스(10)와, 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그 내부공간(21)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인출 케이스(2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와 인출 케이스(20)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30)와, 상기 인출 케이스(20)를 구동력으로 출몰시키는 인출구동원(40) 그리고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출몰을 위한 인출구동원(40)의 동작을 단속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 설정되어 해당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한 스마트폰의 접촉 또는 근접시 이를 스위치 신호를 처리하는 인출무선모듈(51′)을 탑재한 무선 인증스위치(51)를 포함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A smart automatic contain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case (10) which is formed by a rectangular cylinder mold having one side open and which is formed with an outer body and is embedd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table, a furniture or a sink, A case 20 which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 and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expose the inner space 21 to the outside; A guide member 30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supporting the drawer case 20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 outflow port mobilization source 40 for projecting and withdrawing the withdrawal case 20 by driving for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 is pair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phone held by the user so that the contact or proximity of the smart phon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en it is configured as a control unit 50 including a certification with the radio switch 51 it is drawn out to the wireless module (51) to process the switch signals.

본체 케이스(10)는 테이블이나 싱크대 등의 가구를 비롯하여 각종 수납형 구조물 내부에 매립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인출구를 형성한 사각통체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main body case 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tubular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n outlet is formed, which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various storage type structures including furniture such as a table and a sink.

이러한 본체 케이스(10)는 골조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나 운반 및 그 내부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막힌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실시례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통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실시례에서는 하면이 개방된 사각통체 형상으로 구비된다.Although the main body case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case 10 is provided in a clogged form in order to protect the transportation and its internal structur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7, 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8 to 12, it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tubular shape in which a bottom surface is opened.

인출 케이스(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인출구를 통해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그 내부공간(21)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요소로서, 내부공간(21)에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이 구성되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drawer case 20 is an element that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body case 10 and selectively protruded through the drawer to externally expose the inner space 21, It is also possible that a shelf is configured to store or store various items or a door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though not shown.

이러한 인출 케이스(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23)을 구비하며, 이 노출면(23)에는 무선 인증스위치(51)를 비롯하여 엘이디조명(25)이 구성될 수 있다.The drawer case 20 has an exposed surface 23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10. The exposed surface 23 is provided with a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 Can be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인출 케이스(20)는 도 9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노출면(23)에 복수의 엘이디로 구성된 엘이디조명(25)이 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엘이디조명(25)의 일측으로 터치 방식의 무선 인증스위치(51)가 구성될 수 있다. 9, an LED light 25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23, and one side of the LED light 25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of the touch type can be configured.

가이드부재(3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인출 케이스(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소로, 공지의 가이드레일 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The guide member 30 is provided on bo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case 10 and the corresponding side surfaces of the drawer case 20 and supports the guide member 30 so that the guide members 30 can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A known guide rail structure may be applied .

이러한 가이드부재(30)는 상호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 또는 엘엠 가이드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제공되는 고정레일(31)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외부 양측면에 제공되는 인출레일(33)을 구성하여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The guide member 30 may be provided with a rail or an LM guide capable of mutual slide mov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onary rail 31 provid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main body case 10, And a drawer rail 33 provid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drawer case 20 so as to be slidable together.

인출구동원(40)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41)와, 이 구동모터(41)에 축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인출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외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된 이송스크류(43)와, 상기 이송스크류(43)의 일단에 나선결합되어 정,역 회전시 나선을 따라 직선 이동을 이루는 것으로 그 일단은 상기 인출 케이스(20)에 결합되는 승강브라케트(45)로 구성된다.The outflow port assembly 40 includes a driving motor 41 fix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ing powe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 conveying screw 43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screw 43 and rotates to form a spir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wer case 20 along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drawer case 20, And one end thereof is constituted by a lifting bracket 45 coupled to the pull-out case 20. As shown in FIG.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인출 조작을 입력받아 인출구동원(40)의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 인증스위치(51) 및 상기 인출 케이스(20)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위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10)로부터 완전히 돌출되어 그 내부공간(21)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인출위치를 감지하는 한 쌍의 위치센서(53) 그리고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와 위치센서(5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55)로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50 includes a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for receiving a retrieval operation from a use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etrieval port driving unit 40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etrieval case 20, A pair of position sensors 53 that completely protrude from the main body case 10 and sense a withdrawal position for exposing the inner space 21 to the outside and a pair of position sensors 53 connected to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and the position sensor 53 And a controller 55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e motor 41.

한편,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 설정되어 인증신호로 처리하는 인출무선모듈(51′)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의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인출무선모듈(51′)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 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그 구성 및 원리 그리고 페어링 설정을 위한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includes a wireless module 51 'that is configured to pair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a smart phone and proces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as an authentication signal. A Bluetooth module or an NFC module may be used as the outgoing radio module 51 ', and the radio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a known technology.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principle and the method for setting the pairing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을 스위치 신호를 사용하기 위한 인출무선모듈(51′)을 구성한 무선 인증스위치(51) 외에도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노출된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패널(51a)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컨트롤러(55)에 회로 연결되는 무선수신모듈(51b) 그리고 이 무선수신모듈(51b)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 입력받은 조작신호를 인가하는 무선송신모듈(51ca)을 포함한 무선리모트컨트롤러(51c)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constituting the withdrawing wireless module 51 'for using the switch signal,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 phone held by the user, A wireless receiving module 51b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5 and having an operation panel 51a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for inputting operation force from a user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51b wirelessly And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51c including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51ca for connecting an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한편, 상기 인출 케이스(20)는 인출동작시 상기 이면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신체나 물체를 감지하여 이를 컨트롤러(55)에 인가함으로서 인출동작을 규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기기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는 비상정지부(60)가 설치된다.Meanwhile, the pull-out case 20 senses the user's body or object contacting the back surface during the pull-out operation, and controls the pull-out operation by applying the detected body or object to the controller 55,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An emergency stop section 60 is provided to prevent breakage or damage of the vehicle.

상기 비상정지부(60)는 상기 노출면(23)의 일측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누름판(61) 및 이 누름판(61)과 노출면(23) 사이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누름판(61)의 눌림 연결관부(41)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50)를 구성하는 컨트롤러(55)에 인가하는 1~4개의 비상감지센서(63)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55)는 비상감지센서(63)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The emergency stop section 60 includes a pressure plate 6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xposed surface 23 and a pressing plate 61 disposed between the pressure plate 61 and the exposed surface 23, And one to four emergency detecting sensors 63 for detecting the pressed connecting tube portion 41 of the controller 50 and applying the sensed pressure to the controller 55 constituting the controller 50. The controller 55 includes an emergency sensor And applies a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4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63.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비상정지부(60)는 사용자의 신체나 물체 등에 의해 인출 케이스(20)의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 이를 사용자에 알릴 수 있도록 점멸등 또는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스피커를 부가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emergency stop unit 60 may include a buzzer speaker for generating a flashing buzzer or a buzzer sound to inform the user when the operation of the drawer case 20 is stopped by the user's body or an object And such a configuration is implemented by a 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1)의 동작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smart automatic receiv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자동인출 수납장치(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본 발명의 자동인출 수납장치(1)에 설치된 무선 인증스위치(51)의 인출무선모듈(51′)과 페어링 설정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의 페어링 설정은 본 발명의 인출무선모듈(51′)이 블루투스 모듈이나 NFC 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공지의 페어링 설정방법을 준용한다.First, in order to use the automatic withdrawal accommod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ust set the smart phone equipp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wned by him / her with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installed in the automatic withdrawal accommod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pairing setting process with the outgoing radio module 51 '. The pairing setting at this time is based on a known pa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luetooth module or the NFC module of the drawing radio module 51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1과 같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인출 케이스(20)가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본 발명의 자동인출 수납장치(1)의 근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한 무선통신모듈과 무선 인증스위치(51)의 인출무선모듈(51′)이 상호 쌍방향 인증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이 인증신호는 상기 인출무선모듈(51′)에 연결된 컨트롤러(55)로 인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the user moves the smart phone held by the user to the vicinity of the automatic withdrawal receiv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ithdrawing case 2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se 10.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smart phone and the drawing wireless module 51 'of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perform bidirectional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is authent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5).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55)는 구동모터(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회전력을 생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 구동모터(41)의 회전에 의해 이송스크류(43)가 연동하여 회전을 이루며, 상기 이송스크류(43)에 나선체결된 승강브라케트(45)가 상승 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승강브라케트(45)의 일단이 결합된 인출 케이스(20)가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부로 돌출된다. Then, the controller 55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drive motor 41 to generate a drive torque. As a result, the drive screw 41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crew 41, As the lifting bracket 45 which is spirally fastened to the conveying screw 43 moves upwardly, the drawer case 20 to which the one end of the lifting bracket 45 is coupled moves upward, Respectively.

이어서 상기 인출 케이스(20)가 규제 위치까지 상승 이동되면, 위치센서(53)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55)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고, 상기 인출 케이스(20)는 그 내부공간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게 된다.When the drawer case 20 is moved up to the regulation position, the position sensor 53 senses the movement of the drawer case 2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41 through the controller 55, The inner sp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store or retrieve the article.

한편, 상기 인출 케이스(20)의 사용이 끝난 뒤 다시 본체 케이스(10)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본 발명의 자동인출 수납장치(1)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러면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51)의 인출무선모듈(51′)간의 무선통신이 끊어지게 되고, 이 신호를 기준으로 컨트롤러(55)가 구동모터(41)를 역 구동시켜 상기 승강브라케트(45)를 하강 이동을 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인출 케이스(20)가 규제 위치까지 하강 이동을 이루면, 위치센서(53)가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55)를 통해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인출 케이스(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완전 수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order to accommodate the withdrawing case 20 again in the main body case 10 after the use of the withdrawing case 20, the user separates the smartphone from the automatic withdrawing and accommod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phone and the withdrawing wireless module 51 'of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is cut off. Based on this signal, the controller 55 reversely drives the driving motor 41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bracket 45 is moved downward. The position sensor 53 senses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otor 41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41 via the controller 55 and the drawing case 20 is moved And is completely housed in the main body case 10.

한편, 본 발명은 무선 인증스위치(51)를 구동시킴에 있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과 인증통신을 하는 인출무선모듈(51′)을 이용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인출 케이스(20)를 인출 또는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외에도, 노출면(23)에 제공되는 조작패널(51a)을 사용하여 인출 케이스(20)의 승강동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1 is driven, the user can use the outgoing wireless module 51 ', which performs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 phon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drawer case 20 by using the operation panel 51a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23 in addition to moving the drawer 20 to the drawing or storage position.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10 : 본체 케이스
11 : 인출구 20 : 인출 케이스
21 : 내부공간 23 : 노출면
25 : 엘이디조명 30 : 가이드부재`
31 : 고정레일 33 : 인출레일
40 : 인출구동원 41 : 구동모터
43 : 이송스크류 45 : 승강브라케트
50 : 제어부 51 : 무선 인증스위치
53 : 위치센서 55 : 컨트롤러
60 : 비상정지부 61 : 누름판
63 : 비상감지센서
1: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10: Body case
11: outlet 20: outlet case
21: inner space 23: exposed surface
25: LED illumination 30: guide member `
31: fixed rail 33: withdrawal rail
40: circulation outlet 41: drive motor
43: Feed screw 45: Lift bracket
50: control unit 51: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53: Position sensor 55: Controller
60: Emergency stop section 61:
63: Emergency sensor

Claims (4)

테이블 및 가구 등의 매립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에 매립되어 구동원에 의해 출몰하여 내부의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인출구를 형성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그 내부공간을 노출시키는 것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노출면을 갖는 인출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 양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인출케이스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호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 및 이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인출케이스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인출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나선 체결되어 연동되는 것에 의해 직선이동을 이루는 승강브라케트로 이루어진 인출구동원;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모듈과 페어링 설정되어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인출무선모듈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 또는 인출 케이스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인증처리 된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모듈신호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인증스위치 및 상기 인출케이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와 위치센서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A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which is embedded in a structure for providing a space for embedding, such as a table and furniture, and is exposed by a driving source to expose an interior storage space,
A main body case which is embedded in the structure and is open at one side to form an outlet;
A drawer case having an exposed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the main body case and protruding outwardly through a through hole to expose an inner space thereof;
A guide member provid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case and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drawer case corresponding thereto to support mutually sliding movement;
A driving mot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for generating a normal and rotational driving force, a conveying screw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in an axial direction and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motor and is disposed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drawing case, An eleva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elevating brackets and engaged with the elevating bracke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one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withdrawal case to perform authentication pro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ignal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wireless authentication switch and the position sensor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motor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A control unit;
And a second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케이스는 인출 동작시 상기 노출면에 접촉되는 사용자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인출동작을 규제토록 하는 비상정지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비상정지감지부는 상기 노출면의 일측으로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누름판 및 이 누름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누름판의 눌림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1~4개의 비상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ing case includes an emergency stop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 or an object contacting the exposed surface during a drawing operation and for limiting a drawing operation by applying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emergency stop detection unit includes a pressure plate provided at a siz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xposed surface, and one to four emergency sensors provided inside the pressure plate for sensing whether the pressure plate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nd applying the pressure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housing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케이스는 상기 노출면에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The smart automatic storage devi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rawer case is provided with an LED illumination lamp which is illumin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xpos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증스위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모듈로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과 인증통신을 하도록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모듈로 구비되는 인출무선모듈(51′);
상기 인출케이스의 노출된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조작패널;,
또는, 상기 컨트롤러에 회로 연결되는 무선수신모듈과 이 무선수신모듈과 무선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인가하는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한 무선리모트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자동 수납장치.
The wireless authent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 outgoing radio module 51 'which is provided as a Bluetooth module or an NFC module corresponding to an authenticated communication with a radio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as a Bluetooth module or an NFC module mounted on a smart phone owned by a user;
An operation panel provided on one exposed surface of the drawing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 receiving operation force from a user;
Or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wireless receiving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a circuit and a wireless transmitting module that wirelessly connects with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f a user to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Smart auto storage with features.
KR1020160093329A 2016-07-22 2016-07-22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KR201800107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29A KR20180010741A (en) 2016-07-22 2016-07-22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329A KR20180010741A (en) 2016-07-22 2016-07-22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41A true KR20180010741A (en) 2018-01-31

Family

ID=6108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329A KR20180010741A (en) 2016-07-22 2016-07-22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7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89B1 (en) * 2019-06-19 2020-12-15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home system changeable layout and shape of furniture according to demand of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89B1 (en) * 2019-06-19 2020-12-15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home system changeable layout and shape of furniture according to deman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084B2 (en) Electric vehicle holder
CN104470403B (en) Drawer sliding rail and electroluminescent dynamic formula locking mechanism
KR20180010742A (en)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EP3015033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EP3628189B1 (en) Makeup table
US1158559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25533B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drawing the monitor of computer desk
KR20180010741A (en) Auto guide equipment for Storage devices
CN203873315U (en) Multifunctional drawer cabinet
KR100887157B1 (en) Electronic lecture table
KR20190001092U (en) Bed head
CN105350857A (en) Fingerprint head-telescopic safe box door sheet
US20180153311A1 (en) Mattress and hidden compartment combination system
KR101718859B1 (en) Handset cradle
JP2006193198A (en) Automatic lid opener apparatus
KR101382698B1 (en)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IT201800009301A1 (en) ACTIVATION / DEACTIVATION SYSTEM OF AN ELECTRIC ACCESSORY OF A FURNITURE
KR101302451B1 (en) Desk
KR20170072619A (en) Tableware cabinet
CN207234427U (en) A kind of foldable wireless charger
KR20100011334U (en) The door having a display panel modual
CN112353102B (en) Support and desk
CN211107216U (en) Compact electric bracket
WO2012007751A1 (en) Lid operating system
GB2484724A (en) Lid or cover opening system for television cabinet, in particular tv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