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849A -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849A
KR20180009849A KR1020160091495A KR20160091495A KR20180009849A KR 20180009849 A KR20180009849 A KR 20180009849A KR 1020160091495 A KR1020160091495 A KR 1020160091495A KR 20160091495 A KR20160091495 A KR 20160091495A KR 20180009849 A KR20180009849 A KR 2018000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field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9697B1 (en
Inventor
정세중
김종호
임정인
Original Assignee
(주)한울전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울전력기술 filed Critical (주)한울전력기술
Priority to KR102016009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697B1/en
Publication of KR2018000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Io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where an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device in a power plant is recorded, a monitoring server for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and classifying it into identification codes, and a field terminal which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generates a report where status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startup for each device set in the field and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measurement data for each device are combined,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ing server. It is possible to share ope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between drivers.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Interne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에서 주제어실의 운전원과 현장 점검원간에 실시간으로 발전소내 장치의 운전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objects Internet that can share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in a power plant in real time System and method.

발전소(원자력, 화력, 수력 발전소 중 어느 하나)의 정비작업은 경상정비와 계획예방정비 등으로 구분하여 모두 사전에 계획, 품질, 작업승인, 작업, 복귀 등의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Maintenance work of power plants (either nuclear, thermal, or hydropower plants) is divided into regular maintenance and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all of which are performed in advance through planning, quality, approval of work, work and return.

모든 단계별로 착수와 종료일시를 설계하여 관리하며 실제 작업 착수 및 종료시간들이 기록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위하여 활용되어 왔지만 발전소 리스크 측면에서 중요한 기기가 동시에 작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활용되고 있는 추세다.Design and manage start and end times at every step, and actual start and end times are recorded. This is basically used for efficient process management, but it is also being used in the aspect of risk management such as preventing equipment that is important in terms of power plant risk from being operated at the same time.

이러한 관리 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작업오더를 용지로 출력하고 지면에 기록된 정보를 기본으로 하며, 실제 작업 단계별 수행 이력은 수기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관리된다. 이런 작업 이력정보를 리스크관리 등 별도의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스프레드시트 등을 활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se management programs are tradition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aper by outputting the work order to the paper, and the execution history per actual work step is managed by a handwriting or computer system. We use spreadsheet to use this work history information for other purpose such as risk management.

기존 발전소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정보들은 지면에 수기로 기록된 정보형태로 관리되어 왔다. 최근에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등이 도입되면서 단위 작업별 각 액티비티의 수행 이력을 전산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여 왔다.Work information for the maintenance of existing power plants has been managed in the form of handwritten information on the ground. 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system, users have manually input the execution history of each activity per unit work using a computerized system.

작업자가 긴급히 처리해야 하는 액티비티 및 많은 작업자가 투입되는 작업에 있어서는 액티비티 수행시간을 실시간으로 입력하지 못하고 추후에 입력해야 하여 실시간 실적 관리가 어려워진다. 또한, 레거시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종전의 관리 방법으로는 방대한 작업 정보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 정보들이 작업자와 전산시스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 및 관리되어 특히 작업시간 정보에 대해서는 방대한 정보를 한정된 시간에 관리하게 되어 입력 시 인적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In the case of an activity that an operator has to deal with urgently and a task in which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input, the activity execution time can not be input in real time,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real time performance by inputting later. In addition, as the demand for various applications using legacy programs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manage vast amount of work information by the conventional management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work information is manually input and managed by the operator and the computer system us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human error may occur at the time of input because the user manages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about the work time information in a limited time.

또한, 종래의 발전소 내의 네트워크는 해킹이나 장보유출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현장 점검원과 각 장치의 제어를 위한 운전원 단말기간에 통신을 차단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발전소내 시설물의 현장 점검원이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주제어실의 운전원과 무전기로서 각 장치별 운전정보를 확인하면서 현장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network in the power pla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n-site inspector and the operator terminal for controlling each device is blocked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hacking or leaking out. Therefore, in the past, a site supervisor of a facility in a power plant has created a site report by check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device as an operator and a radio in the main room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즉, 종래에는 발전소의 네트워크가 컨트롤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현장 점검원과 주제어실의 운전원 및/또는 타 현장 점검원이나 관리자간에 운전정보를 공유함에 있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기에 돌발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since the network of the power plan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control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can not be shared in real time between the operator of the field inspector, the operator of the main engine roo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pe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또한, 종래에는 발전소에서 신규 장치나 계통이 설치될 경우에 일정시간 시운전 후 가동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시운전 과정에서 각 장치나 계통의 특성별로 설정된 시운전 점검항목(예를 들면, 온도와 진동 및 압력, 밸브의 개폐유무 및 위치)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여 작업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계측기등을 이용하여 직접 확인해야 되었다. 그러나, 발전소 특성상 작업자가 작업할 공간이 부족하거나 접촉이 불가능한 장소가 존재함에 따라 시운전중 장치나 계통에서 점검에 필요한 데이터의 획득이 불가능하거나 생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conventionally, when a new apparatus or system is installed in a power plant, the system is put in operation after commission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ere, conventionally, there is no method for automatically obtaining a test run check item (for example, temperature, vibration and pressure, presence / absence of opening / closing of a valve, and the like) set for each device or system in the trial run, And visited them to check them directly using a measuring instrumen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ower plant, there is a space where the worker can not work or there is a place where it can not be contact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or impossible to obtain data necessary for the inspection in the apparatus or system during the test oper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0584903호(2006.05.23)Patent Registration No. 10-0584903 (2006.05.23) 등록특허공보 제10-1494163호(2015.02.11)Patent Registration No. 10-1494163 (Feb.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발전소 내에서 현장 점검원과 주제어실의 운전원간에 각 장치별 실시간 운전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problems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a things Internet so that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shared between the on-site inspectors and the main engineers in the power plant.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현장운전원이 현장 운전 점검시 실시간의 운전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점검 결과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lant using the Internet, which can provide a means for sharing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on-site operation inspection by the on-site operator and automatically process inspection results have.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발전소 시설과 사물인터넷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해킹 및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enhancing security in order to prevent hacking and information leakag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a power plant facility and an object Internet.

또한, 본 발명에 네 번째 목적은, 발전소에서 시운전중인 장치나 계통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a thing Internet so that the state of a device or system under test in a power plant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컨트롤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전소내의 장치의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운전원 단말기와, 상기 운전원 단말기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소 장치별 기동 및 정지 상태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타를 포함하는 운전정보를 상기 발전소 장치별로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운전정보 서버와, 운전정보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운전정보를 단방향으로 송신하여 컨트롤 네트워크와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차단하는 단방향 송신부와, 발전소 내의 장치별 고유의 식별코드가 기록되어 각 장치에 부착되는 식별태그와, 식별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장치별 식별코드로서 운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현장 단말기와, 단방향 송신부에서 실시간 수신되는 운전정보를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하여 현장 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a driver terminal for controlling start and stop of a device in a power plant through a control network; An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for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at one or more stations in real time for each of the power plant apparatuses; a unidirectional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in one direction, A fiel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as an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device by perform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tag by recording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 to each device in the power plant, Monitor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transmitter And provides the monitoring server to transmit to the field terminal through the ring network.

또한, 위 실시예의 모니터링 서버는 운전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의 시간 이력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운전정보를 저장하고, 현장 단말기는 식별코드로서 해당 장치의 이전 운전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of the above embodiment sto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history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and the site terminal requests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s the identification code.

따라서, 본 발명은 원거리에 위치된 주제어실의 운전원과 현장의 점검원간에 사물 인터넷을 통하여 장치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고, 현장 점검원이 필요에 따라 이전 운전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발전소내에 설치된 각 장치의 운전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발전소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ar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real time between the operator of the main control room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check point of the site in real time, and the field supervisor can retrieve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as needed It is possible to shar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device installed in the power plant so that it is easy to manage the power plant.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발전소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체크 리스트 및 기타 보고서를 수기로 작성하지 않고,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작성 및 송신이 가능함에 따라 업무처리의 효율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transmit data through the Internet without creating a checklist and other reports for managing power plant facilities in the field.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현장 정보와 운전정보 및/또는 유지보수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기에 위험지역 또는 고소지역에 있는 계기 및 밸브, 펌프와 같은 시설물의 정비 및 정비 이력과 관리를 위한 접근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hare site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and / or maintenanc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of objects, so that it can be used for maintenance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instruments, valves, pumps, There is an effect of easy access.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현장 정보를 취득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인증된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하도록 보안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of information by providing a security device so that only a user who is authenticated can access the portable terminal that obtains the site information using the object Internet, thereby improving security .

또한, 본 발명은 시운전중인 발전소의 장치나 계통의 운전 또는 프로세스(PROCESS)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본격 가동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건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operation or process status of the apparatus or the system of the power plant during trial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incidents and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full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을 개략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운전정보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의 데이타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타베이스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현장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무선센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연결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유선 연결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정보보안단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정보보안단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운전정보 및 현장 취득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onitor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and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ta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eld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wired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7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재",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absent ", " part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을 개략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재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운전정보 서버와 모니터링 서버의 데이타 송수신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member in a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and the monitoring server.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은 발전소에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및 계측 장비를 포함하는 장치부재(30)와, 장치부재(30)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운전정보 서버(40)와, 발전소 장치의 기동/정지관련 운전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부재(10)와, 운전정보 서버(40) 및 장치부재(30)로부터 출력된 운전정보를 모니터링부재(10)로 출력하는 단방향 송신부(60)와, 컨트롤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치부재(30)를 제어하는 운전원 단말기(80)와, 모니터링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상기 운전정보 서버(40)의 실시간 운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1 to 3, the power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member 30 including one or more control and measurement devices installed in a power plant, A monitoring member 10 for receiving start / stop relate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ower plant unit, and a monitoring member 10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utputt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and the device member 30 to the monitoring member 10), a driver terminal (80) for controlling the device member (30) via a control network, and a real tim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for real tim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through the monitoring network Requesting and receiving manager terminals.

운전원 단말기(80)는 장치부재(30)의 각 장치별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주제어실의 단말기이다. 여기서 장치부재(30)의 장치는 운전원 단말기(80)의 제어에 의하여 기동 및/또는 정지되며, 각 장치별로 설치된 제어 및/또는 계측기는 기동 및/또는 정지상태에서 설정된 항목에 따른 데이타를 측정하여 운전정보 서버(40)로 실시간 송신한다. 여기서 각 장치별로 측정 및 송신되는 데이타는 기동 및/또는 정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운전정보에 해당된다. The driver terminal 80 is a main control room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start and stop of the device member 30 for each device. Here, the device of the device member 30 is started and / or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r terminal 80, and the control and / or the meter installed for each device measures data according to the set item in the start and / And transmits it to the driving information server 40 in real time. Here, the data measured and transmitted for each device corresponds to operation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start and / or stop state.

단방향 송신부(60)는 보안 및 안전과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정보 서버(40)와 모니터링 부재(10)간에 통신이 단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단방향 송신부(60)는 운전정보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장치별 기동 및/또는 정지 상태의 데이타가 포함된 실시간 운전정보와 이전 운전정보를 모니터링부재(10)로 출력하되, 반대로 모니터링 부재(10) 및 기타 관리자 단말기(70)로부터의 장치부재(30)의 제어를 차단한다.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nit 60 allows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and the monitoring member 10 in order to prevent security, safety, and malfunction. That is,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nit 60 outputs the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ata of the start and / or stop state of each devic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to the monitoring member 10, (30)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10) and other manager terminals (70).

운전정보 서버(40)는 장치부재(30)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부재로 송신하고, 상기 운전정보의 측정된 시간과 함께 데이타DB(41)에 저장하여 이전 운전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운전정보 서버(40)는 고장이나 이상상황에 대한 알람 이벤트를 송신한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member 30 to the monitoring member in real time and stores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data DB 41 together with the measured tim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transmits an alarm event for a failure or an abnormal situation.

실시간 운전정보는 장치부재(30)에 포함된 제어 및 계측 장비에서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데이타이며, 저장된 운전정보는 과거에 저장된 데이타로서 설정된 시간이나 조건에 따라서 모니터링 부재(10)로 송신된다. The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is data measured at the present time in the control and measurement equipment included in the device member 30, and the stored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member 10 according to the time or condition set as data stored in the past.

운전정보 서버(40)의 알람이벤트는 장치부재(30)의 기동 및/또는 정지 중에서 발생된 이상 상황에 따른 경보로 단방향 송신부(6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 및/또는 운전원 단말기(80)로 송신된다. The alarm event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is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and / or the driver terminal 80 via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nit 60 as an alarm according to an abnormal situation generated during the start and / .

모니터링 부재(10)는 현장의 운전원이 소지하여 현장에서 확인된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하는 현장단말기(100)와, 현장단말기(100)에 운전정보를 송신하는 모니터링 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출력된 운전정보를 무선 데이타로 변환시켜 현장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모바일서버(500)와, 현장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식별태그(400)와, 현장단말기(100)에 보안 데이타의 저장 유무를 확인하는 보안단말기(600)를 포함한다. The monitoring member 10 includes a field terminal 100 for inputting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on-site operator on site, a monitoring server 200 for transmitting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site terminal 100, A mobile server 500 that conver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nto wireless data and transmits the wireless data to the field terminal 100, an identification tag 400 that performs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terminal 100, And a secure terminal 600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ecurity data is stored in the secure terminal 100.

식별태그(400)는 발전소 장치의 고유 식별코드와 모니터링 서버(200) 및/또는 모바일 서버(500)의 URL정보가 기록된다. 여기서 고유 식별코드는 모니터링 서버(200)에 저장되는 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 식별정보에 해당된다. 식별태그(400)는 고유 식별코드가 기록된 RFID 및 NFC태그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tag 400 record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ower plant unit and the URL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 or the mobile server 500. Her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devices stored in the monitoring server 200. [ The identification tag 400 can be selected from RFID and NFC tags in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rded.

모니터링 네트워크(20)는 모바일 서버(500)와 무선중계기(510)를 이용하여 현장 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기(70)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현장 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기(70)간에 유선으로 연결하는 유선 네트워크중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The monitoring network 20 includes a wireless network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eld terminal 100,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using the mobile server 500 and the wireless repeater 510, 100, a monitoring server 5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70. In this case,

이중, 무선 네트워크는 모니터링 서버(2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70)와 유선 연결되는 모바일 서버(500)와, 모바일 서버(500)와 현장 단말기(100)간의 무선신호를 중계하는 무선 중계기(510)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network includes a mobile server 500 connected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 or the manager terminal 70 and a wireless repeater 510 relaying wireless signals between the mobile server 500 and the field terminal 100 ).

유선 네트워크는 모니터링 서버(200)와 관리자 단말기(70) 및 현장 단말기(100)가 발전소 내부에 가설된 유선으로 연결된다. In the wired network, the monitoring server 200,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and the field terminal 100 are connected to a wired line inside the power plant.

모바일서버(500)는 현장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간의 통신 및/또는 현장단말기(100)와 현장단말기(100) 사이의 무선신호를 중계한다. 즉, 모바일서버(500)는 현장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 및 알람 정보와, 현장 보고서를 모니터링 서버(200)에 송신하고,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기동/정지 상태및 실시간 운전정보, 이전 운전정보 및/또는 유지보수 정보를 현장단말기(100)에 송신한다. The mobile server 500 relay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 or the wireless signal between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field terminal 100. That is, the mobile server 5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alar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site report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displays the start / stop state and the real-time oper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o the on-site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maintenance information.

여기서 무선 중계기(510)는 발전소 내부의 전체 영역 또는 설정된 영역의 무선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다 수개가 상호간에 무선을 중계하도록 메쉬형(예를 들면, 단독 중계기, 이동통신회사의 모바일 무선 통신망(LTE, 2.4G, 5G))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현장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가 포함된 운전정보 요청신호는 제1무선중계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최초 수신되고, 제1무선중계기에서 제2무선중계기 및 제3무선중계기(도시되지 않음)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모바일 서버(500)로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반대로 모니터링 서버(200)의 운전정보는 모바일 서버(500)에서 무선으로 출력되고, 모바일 서버(500)의 무선신호를 수신한 제3무선 중계기(도시되지 않음)에서 제2무선중계기와 제1무선중계기를 순차 경유하여 현장 단말기(100)로 송신된다. Here, the radio repeater 510 may be a mesh type (e.g., a sole repeate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LTE), or the like) so as to relay radio signals between the entire area within the power plant, , 2.4G, 5G). For example, the oper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field terminal is received first in the first wireless repeater (not shown), and the second wireless repeater and the third wireless repeater (not shown) in the first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s the wireless signal to the mobile server 500. [ In contras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output from the mobile server 500 in a wireless manner. In the third wireless repeater (not shown) receiving the wireless signal of the mobile server 500, And transmitted to the field terminal 100 via the repeater sequentially.

즉, 본 발명의 무선중계기(510)는 다 수개가 메쉬형으로 설치되어 모바일 서버(500)와 현장 단말기(100)간의 무선신호를 중계한다. That is, a plurality of wireless repeaters 5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mesh type to relay radio signals between the mobile server 500 and the field terminal 100.

아울러, 본 발명은 유선으로서 현장 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wirelessly connect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as a wir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현장 단말기와 모니터링 서버간의 유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d network between a field terminal and a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무선중계기(510) 및 모바일 서버(500)에 의한 현장 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간의 데이타 송수신과 달리, 현장에서 모니터링 서버(200)에 유선 연결되는 모니터링 네트워크(20)를 구성한다. 4,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between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by the wireless repeater 510 and the mobile server 500, And configures the monitoring network 20 to be connected.

예를 들면, 모니터링 네트워크(20)는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에서 장치별 위치로 각각 연장되는 다 수개의 지선에 커넥터(21, 예를 들면, USB)를 설치한다. 여기서 커넥터(21)는 각 장치별로 설치되되, 식별태그(400)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대응된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monitoring network 20 installs connectors 21 (e.g., USB) on a number of branch lines that each extend from a cable extending from the monitoring server to a device specific location.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or 21 is provided for each device,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tag 400 is given.

따라서, 발전소 내에서 현장 단말기(100)와 현장 단말기(100), 관리자 단말기(70), 모니터링 서버(200)간에 무선 및/또는 유선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을 통하여 정보의 공유 및 상황전파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information sharing and state propagation can be quickly performed between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field terminal 100,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and / Lt; / RTI >

여기서 운전정보는 모니터링 서버(200)가 단방향 송신부(6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및 이전 운전정보로, 예를 들면, 진동수, 밸브의 개폐 유무, 습도, 압력, 회전수, 온도중 하나 이상의 측정데이타를 포함한다. 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measurement data of at least one of frequency, presence / absence of opening and closing of valves, humidity, pressure, number of revolutions, and temperature as real time and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nit 60 by the monitoring server 200 .

실시간 운전정보는 식별코드로서 운전정보를 요청한 현장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현장 단말기는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되기에 최초 출력된 운전정보에서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The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field terminal reques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s the identification code. Therefore, the field terminal is updat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that is output first sin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s received in real time.

유지보수 정보는, 예를 들면, 배관의 누수여부, 오일누수와 같은 보수를 위한 도면이나 이전 작업 보고서, 매뉴얼, 문서 및 영상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유지보수 정보는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저장하여 현장 단말기(100)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70)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에 송신된다. Maintenanc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drawings, previous work reports, manuals, documents and images for maintenance such as piping leaks, oil leaks, and the like. The maintenan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transmitted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field terminal 100 and / or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

현장 취득 정보는 현장 점검원이 현장에서 장치의 운전중 상태를 확인하여 현장 단말기(100)에 입력하는 운전 상태 정보(예를 들면, 장치별 지시계 또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온도, 압력, 진동수, 회전수, 전력, 전류값)와, 유지보수관련하여 현장에서 확인된 정보(예를 들면, 장비의 수리 및 교체 작업의 진행상태 및 결과, 신규 장비 설치 및 결과)에 해당된다.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y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pparatus at the site by the site inspector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pressure, frequency, rotation number , Power and current values), information that has been confirmed on site in relation to maintenance (eg, progress and results of equipment repair and replacement operations, installation and results of new equipment).

보안단말기(600)는 현장단말기(100)에서 수신된 데이타(예를 들면,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의 저장 유무를 감지하여 강제 삭제명령을 현장단말기(100)에 송신한다. 여기서 보안단말기(600)는 발전소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하나 이상이 설정된 위치에서 각각 설치되어 출입자 또는 이동중인 현장단말기(100)를 감지한다. The security terminal 600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stored in the field terminal 100 (for exampl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 forced deletion command to the site terminal 100. Here, the security terminal 6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one or more of the security terminal 600 is install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power plant, and detects the on-site or on-the-spot field terminal 100.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단말기(100)와 식별태그(400) 정보를 등록하고, 운전정보 서버(40)로부터 실시간 운전정보 및 이전 운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타베이스(300)에 저장 및 현장단말기(100)로 실시간 송신한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200)는 식별태그(400)에 각각의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기록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서버(200)는 발전소 장치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를 식별코드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The monitoring server 200 registers the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identification tag 400 and receives the real tim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and stores the real tim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300, 100). At this time, the monitoring server 200 assigns and records each unique identification code to the identification tag 400. Therefore, the monitoring server 200 classifies and sto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plant unit into an identification code.

예를 들면, 모니터링 서버(200)는 발전소 기동/정지 및/또는 유지보수와 관련된 상황이 발생 되면, 관리자 단말기(70)의 요청에 의하여 위치정보가 확인된 현장 단말기(100)에 해당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메세지를 송신한다. For example, when a situation related to start / stop and / or maintenance of the power plant occurs, the monitoring server 200 transmit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o the field terminal 100 w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at the request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The message is transmitted.

이때,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 단말기(100)로부터 현장 운전 상태가 포함된 현장 취득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관리자 단말기(70)로 송신한다. 관리자는 해당 현장 운전상태를 확인하여 상황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At this time, the monitoring server 200 receives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ield operation state from the field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The manager confirms the on-site operation status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tuation is terminated.

또는,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 단말기(100)에서 식별태그(400)에 기록된 식별코드가 포함된 운전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현장 단말기(100)의 요청신호가 수신된 직후부터 운전정보 서버(40)로부터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예를 들면, 모터의 진동수, 온도, 펌프의 압력의 실시간 또는 저장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종료시점까지 송신한다. Alternatively, the monitoring server 200 may receive the oper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recorded in the identification tag 400 from the field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frequency of the motor, the temperature, the real time of the pressure of the pump, or the stored data) of the apparatus from the server 40 to the end point in real time.

따라서 현장 단말기(100)는 장치의 식별태그(400)를 태깅한 이후부터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기에 최초 출력된 운전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따라서 현장 점검원은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에 따라 주제어실의 운전원 단말기(80)와 정보의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tag 400 of the device is tagged, the field terminal 10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real tim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itially outputted is updated in real time. Therefore, as the field supervisor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real time, the information sharing with the operator terminal 80 of the subject field room can be realized in real time.

또한, 모니터링 서버(200)는 유지보수 정보를 현장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200 selectively provides maintenanc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field terminal 100.

즉, 현장 단말기(100)는 현장 상황에 따라서 모니터링 서버(200)에 유지보수 정보(예를 들면, 이전 수리나 교체 작업관련 보고서, 매뉴얼, 도면, 문서와 동영상 및 이미지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field terminal 100 requests the monitoring server 200 for maintenance information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previous repair or replacement work report, manual, drawing, document, video, and image) And receive.

여기서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 단말기(100)에 운전정보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를 앱(App)으로 송신한다. 앱은 운전정보 서버(40)의 운전정보의 출력 및 현장 취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항목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로는 장치별로 설정된 항목별 체크리스트 및 측정 데이타의 입력 및 출력 항목이 포함된다. Here, the monitoring server 200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to the field terminal 100 to the app. The app includes items such tha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server 40 can be output and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can be input. Preferably, the app includes an item check list and input and output items of measurement data do.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앱은 유지보수 정보를 요청하는 메뉴와, 관리자 단말기 및 타 현장 단말기와의 정보공유를 위한 메뉴(예를 들면, 메신져)가 포함된다. More preferably, the app includes a menu for requesting maintenance information and a menu (for example, a messenger)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other field terminals.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단말기(100)로부터 현장 취득 정보(예를 들면, 장치의 운전중 체크리스트 또는 기동/정지 및 유지보수 관련한 현장 상태정보)가 입력된 앱이 수신되면,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를 조합하여 설정된 보고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When the monitoring server 200 receives an application to which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check list during operation of the apparatus or on-sit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start / stop and maintenance) is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0, And generates and stores a report that is set by comb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FIG.

이를 위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는 운전정보와, 식별태그(400) 및 현장단말기(100)의 등록정보와, 현장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현장 취득 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300)를 포함한다. 데이타베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To this end, the monitoring server 200 includes a database 300 for s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tag 400,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report including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0 ). The database is a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타베이스(300)는 장치별 식별코드가 저장되는 태그DB(310)와, 식별코드별로 분류되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시간 이력과 함께 운전정보가 저장되는 운전DB(320)와, 현장단말기(100)의 등록정보(전화번호, 현장 점검원, 등록 지문, 식별정보중 하나 이상)가 저장되는 단말DB(330)와, 현장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현장 취득정보와, 이를 통하여 생성된 보고서가 저장되는 현장DB(340)와, 유지보수 정보가 저장되는 유지보수DB(3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database 300 includes a tag DB 310 storing device-specific identification codes, a driving DB 320 storing driving information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time history received from the device, A terminal DB 330 in which registr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a field inspector, registered fingerprin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100 is stored,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0, A field DB 340 in which the generated report is stored, and a maintenance DB 350 in which maintenance information is stored.

태그DB(310)는 각 장치별로 부착되는 식별태그(400)에 기록된 식별코드가 저장된다. 상기 식별코드는 현장 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해당 장치를 확인하고,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기 위한 식별정보로서 사용된다. The tag DB 310 stores an identification code recorded in the identification tag 400 attached to each device.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운전DB(320)는 운전정보 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이전 운전정보가 저장된다. 이전 운전정보는 측정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DB 320 stores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 The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단말DB(330)는 현장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현장 점검원의 신상정보, 지문, 식별정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식별정보는 현장단말기(100)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이다. The terminal DB 3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lephone number of the field terminal 100, personal information of a field inspector, fingerprin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for each of the field terminals 100.

여기서 현장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식별태그의 식별코드는 인증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dentification tag can be utilized a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즉, 모니터링 서버(200)는 모바일서버(500)와 현장단말기(100)간의 통신 접속에 대한 인증을 식별태그(400)에 저장된 식별코드로서 확인 및 진행한다. 즉, 모니터링 서버(200)는 별도의 인증이나 사용자 확인 과정을 장치별로 설정된 식별코드로서 진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monitoring server 200 identifies and proceeds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server 500 and the field terminal 100 as th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tag 400. That is, the monitoring server 200 can perform separate authentication or user confirmation processes as identification codes set for each device.

현장 DB(340)는 현장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보고서가 저장된다. 현장단말기(100)의 보고서는 운전정보와 유지보수 정보중 어느 하나와 함께 현장에서 입력된 현장취득정보를 포함한다. The field DB 340 stores the report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0. The report of the field terminal 100 includes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in the fiel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maintenance information.

유지보수 DB(350)는 유지보수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유지보수 정보는 장치별 교체나 보수 작업관련한 이전 보고서나 사진, 동영상, 문서, 도면 및 매뉴얼중 하나 이상에 해당된다. The maintenance DB 350 stores maintenance information. Here, the maintenance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a previous report, photograph, video, document, drawing and manual relating to the replacement or maintenance of each device.

현장단말기(100)는 현장 점검원의 이동중에 사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예를 들면, 태블릿 PC, 스마트폰, PDP, PDA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n-site terminal 100 is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used while the on-site inspector is on the move, for example,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DP, or a PDA. A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현장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eld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현장단말기(100)는 각 구성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110)와,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유지보수 정보와 운전정보 및 현장취득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는 정보입출력부(120)와, 모바일서버(500) 내지 타 현장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140)와, 식별태그(400)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태그리더부(150)와,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과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현장 취득정보 및 운전정보가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60)와, 보안코드가 기록되는 보안통신부(170)와, 모니터링 서버(200) 및/또는 모니터링 네트워크(20)의 커넥터(21)가 연결되는 유선커넥터(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eld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each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isplay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erver 500 or another field terminal 100 and a tag reader unit 130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recorded in the identification tag 400. [ A storage unit 160 for storing the fingerprint of the registered user, the application and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for recording the security code, And a wired connector 180 to which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 or the connector 21 of the monitoring network 20 are connected.

정보입출력부(120)는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가 포함된 앱을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는 정보출력모듈(121)과,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모듈(122)과,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오류를 감지하는 오류감지모듈(123)과,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지문인식모듈(124)과, 현장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현장 취득정보를 운전정보가 포함된 앱에 입력하는 입력모듈(125)과, 설정된 삭제조건에 해당 되면 정보를 삭제하는 보안모듈(126)과,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위치정보모듈(127)을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20 includes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for outputting an app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o the terminal display 130, an alarm module 122 for issuing an alarm,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4 for perform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 photographing / scene acquisition information photographing / photographed by the field terminal 100, which includes operation information An input module 125 for inputting to an app, a security module 126 for deleting information when the deleting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27 for transmitting posi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정보출력모듈(121)은 단말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 및/또는 유지보수 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한다. 이때, 운전정보 및/또는 유지보수 정보는 현장 취득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앱(App)으로 수신된다. 운전정보는 도 14 내지 도 17에서 일예로 소개되었다.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outpu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 or mainten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terminal display 130. At this time,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maintenance information are received by an application (App) capable of inpu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has been introduced by way of example in FIG. 14 to FIG.

아울러 정보출력모듈(121)은 정보송신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앱을 단말통신부(140)로 출력한다.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outputs the application output to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w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오류감지모듈(123)은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현장 취득 정보와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모듈(122)에 오류경보신호를 출력한다. The error detection module 123 compares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when an error exceeding the set reference range is generated, And outputs an alarm signal.

경보모듈(122)은 오류감지모듈(123)의 오류감지 여부에 따라서 음성, 발광, 문자 중 적어도 하나로서 경보를 발령하고, 오류 발생메세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서버(200), 운전원 단말기(80), 관리자 단말기(70) 및 타 현장 단말기(100)중 설정된 하나 이상에 문자메세지를 발송한다.The alarm module 122 issues an alarm as at least one of voice, light emission, and characters according to whether the error detection module 123 detects an error, generates an error occurrence message, and transmits the alarm occurrence message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 text message is sent to at least one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 and the other field terminals 100.

지문인식모듈(124)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지문과 단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입력된 지문의 일치 여부를 감지하여 정보출력모듈(121)에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정보출력모듈(121)은 지문인식모듈(124)의 지문인식 결과가 일치될 경우에만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4 detects whether the fingerpri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matches the fingerprint input through the terminal display 130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output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o the terminal display 130 only whe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result of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4 is matched.

입력모듈(125)은 단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현장 취득 정보를 앱에 입력한다. 이때 입력되는 현장취득 정보는 사진이나 동영상 및 데이타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put module 125 inputs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erminal display 130 to the app. At this time,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may include one or more of photographs, moving images, and data.

보안모듈(126)은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유지보수 정보 및/또는 운전정보와 현장 취득정보를 설정된 삭제조건에 따라 삭제한다. 여기서 삭제조건은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정보가 출력된 이후에 태깅되어 다른 식별코드가 수신되거나 부팅 여부, 보안단말기의 삭제명령 및 설정 시간 중 하나 이상으로 설정된다. The security module 126 deletes the maintenance information and / or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according to the set deletion condition. Here, the deletion condition is set to one or more of whether the other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or booted, the delete instruction of the security terminal, and the setup time after th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current terminal display 130.

또한, 보안모듈(126)은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운전정보 및 현장취득정보의 저장명령이 입력되면, 보안코드를 부여하여 설정된 파일로서 저장한다. 여기서 보안코드 정보는 보안통신부(170)를 통하여 보안단말기(600)에 송신된다. Also, when a command to store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cene acquisi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is input, the security module 126 provides the security code and stores the security code as a set file. Here, the security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urity terminal 600 through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더욱 바람직하게로, 보안모듈(126)은 현장 점검원의 실수에 의하여 발전소 장치의 정보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거나 또는 보안단말기(600)의 명령이 수신되면 보안코드가 부여된 저장 파일을 강제 삭제한다. More preferably, the security module 126 determines whether a security code has been assigned to the security terminal 600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o prevent leakage of the information of the power plant equipment to the outside by mistake of the field installer, Forcibly delete the saved file.

위치정보모듈(127)은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모바일서버(50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현장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송신은 장치가 운전중에 정지하는 유지보수 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장치와 인접한 현장 단말기(100)를 검색하여 확인메세지의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7 transm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server 500 in real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on-site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by searching the on-site terminal 100 adjacent to the on-site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a confirmation message when a maintenance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apparatus is stopped during operation.

즉, 본 발명은 발전소에 설치된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현장 점검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site inspectors for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installed in the power plant in real time, and to cope promptly when an emergency occurs.

단말통신부(14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모듈(125)에 의하여 입력된 현장 취득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에 송신한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and transmi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ted by the input module 125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태그리더부(150)는 식별태그(4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식별코드 및/또는 URL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식별코드 및/또는 URL정보는 단말제어부(110)로 출력된다. The tag reader unit 15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 or the URL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tag 400. The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and / or URL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저장부(160)는 저장명령에 의하여 보안코드가 설정된 파일과, 삭제된 정보의 이력이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60 stores a file in which the security code is set by the storage command and a history of the deleted information.

보안통신부(170)는 보안단말기(6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저장부(160)에 보안코드가 설정된 파일이 저장되었다면, 보안코드가 부여된 파일의 저장을 알리는 확인신호를 보안단말기(600)에 송신한다.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urity terminal 600 and transmits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security terminal 600 to notify the storage of the file to which the security code is attached if the file having the security c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

여기서 보안단말기(600)는 발전소의 내부 및/또는 출입구등에서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출입자가 소지한 현장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보안코드가 부여된 파일의 저장유무를 감지하여 강제 삭제명령을 출력한다. In this case, one or more security terminal 600 is installed in the inside and / or the entrance of the power plant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terminal 100 held by a visitor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orage of a file having a security code, Print the command.

즉, 보안단말기(600)는 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되는 현장 단말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현장 단말기(100)의 보안 통신부를 호출하여 보안코드가 부여된 파일의 저장유무를 확인하여 삭제명령을 송신한다. That is, the security terminal 600 detects a field terminal located within a set range, calls a security communication unit of the detected field terminal 100, confirms whether or not a file having a security code is stored, and transmits a delete command.

따라서, 보안모듈(126)은 수신된 강제 삭제명령에 따라 저장된 파일을 강제 삭제한다. Accordingly, the security module 126 forcibly deletes the stored file according to the received forced delete command.

유선커넥터(180)는 모니터링 네트워크(20)에 연결되는 커넥터(21)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단말제어부(110)에 출력하거나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한 데이타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출력한다. The wired connector 180 outputs data received from the connector 21 connected to the monitoring network 20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or outputs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

단말제어부(110)는 태그리더부(150)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식별코드에 따른 운전정보 요청신호를 출력하도록 단말통신부(140)를 제어하고, 단말통신부(140)에 운전정보가 수신되면 정보출력모듈(121)을 구동시켜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한다. 아울러, 단말제어부(110)는 온라인 상태에서 정보 송신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통신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현장 취득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에 송신한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to output an oper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unit 150,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is driven and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ted in the online stat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의 시운전 과정에서 장치부재의 기동중에 각 계통의 압력, 온도, 진동 및 밸브의 개폐유무등과 같은 현장정보를 주제어실의 운전원 단말기(8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운전 감시부재(700)(도 7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운전 감시부재(70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that enables the operator terminal 80 of the main control room to confirm real-time information such as pressure, temperature, vibration, and opening / closing of valves during start- Member 700 (see FIG. 7). Such a commissioning monitoring member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도 7의 무선센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wireless sensor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운전 감시부재(700)는 각 장치 및 장치의 계통에 장착되어 설정된 항목(이하에서는 시운전 점검항목)을 감지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복수개의 무선센서(710)와, 무선센서(710)의 감지신호를 중계하는 시운전 무선수신기(720)와, 시운전 무선수신기(720)에서 수신된 무선감지신호를 주제어실의 운전원 단말기(80)로 송신하는 시운전 중계서버(7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commissioning monitoring memb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7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mmissioning " A commissioning relay server 720 for relay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wireless sensor 710 to the commissioning relay server 720 and a commissioning relay server 720 for transmitting the radio sensing signal received by the commissioning radio receiver 720 to the operator terminal 80 of the main control room 730).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는 복 수개의 무선센서(710)에서 발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시운전 중계서버(730)로 출력한다. 여기서,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는 복 수개로서 장치부재가 설치된 공간내에 분산되어 상호 간에 무선신호를 중계하도록 메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Commissioning The wireless receiver 72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710 and outputs the signals to the commissioning relay server 730. Here, the trial radio receiver 720 may be installed in a mesh-like manner so as to be dispersed in a space where the device member is installed as a couple of repeaters, and relay the radio signals to each other.

시운전 중계서버(730)는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를 통하여 복 수개의 무선센서(710)로부터 송신된 무선 감지신호를 운전원 단말기(80)에 출력한다. The commissioning relay server 730 outputs the wireless sens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710 to the driver terminal 80 via the commissioning wireless receiver 720. [

또는,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는 시운전 중계서버(730)를 거치지 않고, 운전원 단말기(80)에 직접 송신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는 무선공유기로서 유선 랜(LAN)을 이용하여 수신된 무선감지신호를 운전원 단말기(80)에 중계한다. Alternatively, the trial radio receiver 720 may transmit directly to the driver terminal 80 without going through the trial operation relay server 730. [ For example, the trial wireless receiver 720 relays the received wireless sense signal to the driver terminal 80 using a wired LAN as a wireless router.

무선센서(710)는 복 수개로서 시운전중인 장치 및/또는 계통(예를 들면, , 배관, 밸브)에 직접 장착되어 설정된 시운전 점검항목을 감지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시운전 점검항목은 압력, 온도, 진동 및 밸브의 개폐유무(또는 위치)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센서(710)의 상세한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wireless sensor 710 is directly mounted on a device under test and / or a system (for example, a pipe, a valve) and detects a test operation check item set and transmits it wirelessly. For example, the test run check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essure, temperature, vibration, and presence / absence (or position) of the valv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sensor 710 is as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무선센서(710)는 다 수개의 센서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센서모듈(711)과, 센서모듈(711)에서 감지된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는 신호변환모듈(712)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713)을 구비한다.8, the wireless sensor 710 includes a sensor module 711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 signal conversion module 712 for converting and amplifying signals sensed by the sensor module 71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713 for wireless transmission.

센서모듈(711)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밸브의 개폐유무를 감지하는 밸브개폐감지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71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emperature,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nd a valve opening / closing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alve.

즉, 센서모듈(711)은 설치 대상인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배관의 표면에 설치되는 무선센서(710)는 온도센서와 진동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관로를 개폐시키는 밸브에는 밸브의 동작유무 및/또는 개폐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밸브개폐감지센서와 밸브에 연결된 배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sensor module 71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ns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o be installed. For example, the wireless sensor 710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and a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pipe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opening / closing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piping connected to the valve.

밸브개폐감지센서의 경우에는 밸브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될 경우를 감지하거나, 회전위치에 따라서 전기적 신호의 통전(또는 전자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기술과, 그외 밸브의 작동유무등을 할 수 있다. 밸브 개폐 감지센서는 상술한바 외에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감지하는 모든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valv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there is a technique of detecting when the valve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or the closing position, or detecting whether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by making the electric signal (or electromagnet) And the like. The valv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may be applied to any device that senses opening / closing of a valve by applying a known techniqu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신호변환모듈(712)은 해당 장치 및/또는 계통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설정되며, 센서모듈(711)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통신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모듈(713)에 출력한다. An identification code capable of identifying the device and / or the system is set in the signal conversion module 712. The signal conversion module 712 converts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711 into a sig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outputs it to the module 713.

무선통신모듈(713)은 신호변환모듈(712)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 및 식별코드가 포함된 센서감지신호를 운전원 단말기(80)로 송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713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conversion module 712 and the sensor sensing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driver terminal 80.

운전원 단말기(80)는 무선센서(71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운전원 단말기(80)는 무선센서(710)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코드와 장치 및/또는 계통 정보(예를 들면, 명칭과 위치)가 포함된 별도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er terminal 8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sensor 710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To this end, the operator terminal 80 may include a separate database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device and / or system information (e.g., name and location) so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for each wireless sensor 710 can be identified have.

여기서, 운전원 단말기(80)는 각 장치의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주제어실의 단말기이다. 즉, 주제어실의 운전원은 시운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 장치 및 계통의 상태를 무선센서(710)로부터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Here, the driver terminal 80 is a main control room terminal that controls start and stop of each device. That is, the operator of the main control room can check the status of each device and the system generated in the commissioning process from the wireless sensor 710 in real time.

더욱 바람직하게로, 운전원 단말기(80)는 시운전 무선수신기(720)와 랜(LAN)으로 직접 연결되어 시운전 중계서버(730)를 거치지 않고 무선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driver terminal 8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rial operation wireless receiver 720 via a LAN so as to receive the wireless detection signal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est operation relay server 7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은 현장 점검원의 현장단말기(100)와 각 장치별로 부착된 식별태그(400)의 정보를 등록하는 모니터링 서버(200)의 등록단계(S100)와, 온라인을 통하여 모니터링 서버(200)에 현장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현장단말기(100)의 무선 연결단계(S200)와, 모니터링 서버(200)와 유선 연결되어 현장 취득 정보를 송신하는 유선 연결단계(S300)와, 현장단말기(100)의 수신 및 저장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정보 보안단계(S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a method of managing a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gistering a monitoring server 200 that registers information of a field terminal 100 of a site inspector and an identification tag 400 attached to each device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S200 of the field terminal 100 that transmi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online and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S200 of wired connection with the monitoring server 200 to transmit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 wired connection step (S300), and an information security step (S400) for deleting the reception and storage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100).

모니터링 서버(200)의 등록단계(S100)는 현장단말기(100)와 식별태그(400) 및 장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현장단말기(100) 등록정보는 현장단말기(100)의 사용자(현장 점검원)의 신상정보와, 전화번호, 송신된 어플리케이션의 포함된 고유코드를 포함한다. 식별태그(400)의 등록정보는 장치별로 설치되는 식별태그(400)의 식별코드가 등록된다. The registration step S100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a step of registering the field terminal 100, the identification tag 400 and the device information. The field terminal 100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field supervisor) of the field terminal 100, a telephone number, and a unique code including the transmitted application. A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g 400,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dentification tag 400 installed for each device is registered.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단말기(100) 정보를 단말DB(330)와 식별태그(400) 정보를 태그DB(310)에 저장한다. The monitoring server 200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100 in the terminal DB 330 and the identification tag 400 information in the tag DB 310.

또한, 모니터링 서버(200)는 식별태그(400)가 부착되는 각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운전정보를 저장하는 운전DB(320)에서 식별코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설정하고, 장치별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의 항목으로 포함하는 앱을 생성 및 저장한다. 현장DB(340)는 각 현장단말기(100)에 부여된 고유코드로 분류되어 날짜와 시간, 식별코드(장치명)와, 보고서 명칭 및 오류 발생 여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configured to classify and store the classified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operation DB 320, which sto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device to which the identification tag 400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Create and save apps that include as items. The field DB 340 is classified into a unique code assigned to each field terminal 100 and includes a date and time, an identification code (device name), a report name, and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아울러, 모니터링 서버(200)의 등록단계(S100)는 등록된 현장단말기(100)에 운전정보의 출력 및 현장 취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앱을 식별코드별로 생성하여 장치별로 수집되는 운전정보와 시간대별 이력 정보와 함께 운전DB(320)에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step S100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generates an app for each of the identification codes, which is capable of outpu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inpu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o the registered site terminal 100, And is stored in the operation DB 320 together with the history information.

아울러, 현장단말기(100)의 등록정보는 현장 점검원의 지문과 신상정보 및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지문인식은 등록된 현장 점검원이 아닌 타인에 의한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100 includes fingerprints, personal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inspectors. Such fingerprint recognition is intended to prevent the leakage of information by a person other than the registered field inspectors.

무선 연결단계(S200)는 현장단말기(100)가 모바일서버(500)의 중계를 통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에 현장에서 확인된 현장 취득 정보를 입력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운전정보는 현장 단말기(100)가 식별태그(400)를 태깅한 이후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다. 따라서, 현장 점검원은 식별태그를 태깅한 이후부터 현장 단말기에서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된다. In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S200, the field terminal 100 inpu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field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hrough the relay of the mobile server 500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 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real time after the field terminal 100 tags the identification tag 400. Therefore, the field supervisor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n real time from the field terminal after tagging the identification tag.

유선 연결단계(S300)는 현장 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가 유선케이블로 구성도는 모니터링 네트워크(20)로 연결되어 운전정보와 현장 취득 정보를 비교하여 기동/정지 및 유지보수와, 현장 감시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In the wired connection step S300,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are connected to the monitoring network 20, which is composed of a wired cable, and compa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with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his is the step of generating the field surveillance report.

유선 연결단계(S300)는 현장 단말기(100)가 장치가 설치된 현장으로 연장된 케이블에 연결된 커넥터(21)에 체결된 후에 식별태그(400)를 태깅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이후 입력된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가 조합된 보고서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The wired connection step S300 is performed by tagging the identification tag 400 after the field terminal 100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21 connected to the cable extended to the site where the device is installed and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 And then transmits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 report in which the input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are combined.

이때, 본 발명은 유선 연결단계(S300)에서 현장까지 유선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현장 단말기에서 현장 취득정보를 저장한 뒤에 모니터링 서버(200)가 위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모니터링 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직접 연결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현장 단말기와 모니터링 서버(200)간의 직접 연결단계(S310)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At this time, if the wired cable is not connected from the wired connection step (S300) to the site, the field terminal acquire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moves to the location where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located, And can be connected directly to wired and wireless. The direct connection step (S310) between the field terminal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아울러, 유선 연결단계(S300)와 무선 연결단계(S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정보 서버(40)에서 컨트롤 네트워크(50)에 연결되는 각 장치별 운전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In the wired connection step S300 and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S200,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coll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network 50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Not shown).

정보보안단계(S400)는 무선 연결단계(S200)와 유선 연결단계(S300)에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삭제조건에 해당 되면 현장단말기(100)에 수신된 운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서 도 12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S400 is a step of dele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ield terminal 100 when the deletion condition set in order to prevent information leakage in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S200 and the wired connection step S300 is satisfi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as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연결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현장단말기(100)의 무선 연결단계(S200)는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정보 송신단계(S210)와,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메세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메세지 수신단계(S220)와, 식별태그(400)로부터 장치별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식별코드 수신단계(S230)와, 식별코드가 포함된 운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운전정보 수신단계(S240)와, 운전정보에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하는 현장 취득정보 입력단계(S250)와, 오류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현장 취득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260)와, 유지보수 정보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유지보수 정보 선택 판단단계(S270)와, 유지보수 정보 선택 판단단계에서 유지보수 정보의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모니터링 서버(200)에 유지보수 정보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정보 요청 단계(S280)를 포함한다. 10,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S200 of the field terminal 1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10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 message reception step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message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An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step S230 for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device from the identification tag 400,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40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S250) for inpu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nto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S250), a transmission step (S260) for transmi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of an error, and a maintenance In the information selection determination step S270 and the maintenance information selection determination step, whe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request command is input, the maintenance information request step S280 of requesting maintenanc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

위치정보 송신단계(S21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위치정보모듈(127)은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한다.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10) is a step of transmitting posi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7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in real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따라서 모니터링 서버(200)는 다 수개의 현장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위치정보를 통하여 유지 보수 관련 상황이 발생되면 근접한 현장 단말기(100)를 호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nitoring server 200 can check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the field terminals 100 in real time, and can call the nearby field terminal 100 when the maintenance related situation occurs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메세지 수신단계(S220)는 단말제어부(110)가 단말 통신부(140)를 통하여 메세지를 수신하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말 디스플레이(130)는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장치의 점검 또는 보수 명령(예를 들면, 펌프의 보수)이 포함된 메세지를 출력한다. The message receiving step S220 is a step in which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receives a message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and output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terminal display 130. [ Here, the terminal display 130 outputs a message including a check or repair command (for example, repair of the pump) of the device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

식별코드 송신단계(S230)는 단말제어부(110)가 태그 리더부(15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하여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The identification code transmission step S230 is a step in which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unit 150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reques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운전정보 수신단계(S240)는 단말제어부(110)가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40 is a step in which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outputs the receiv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isplay 130. [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운전정보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송신되는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를 현장 단말기(100)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The monitoring server 200 confirms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to the field terminal 100 in real time.

여기서 운전정보는 앱으로서 송신된다. 이때, 앱은 각 장치별 식별코드에 따른 입력항목이 표시되며,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운전정보에 포함된 데이타를 앱에 표시된 항목에 따라 입력하여 현장 단말기(100)로 송신된다. 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s an app.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displays an input item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device,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inputs the data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tem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field terminal 100.

또는, 앱은 현장 단말기(100)에서 자체 저장되어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를 각 항목별로 입력하여 출력함도 가능하다. 즉, 앱은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현장 단말기(100)에 자체 저장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application may also store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by itself in the field terminal 100, and output the inputted oper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app may be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or stored in the field terminal 100 itself.

이하에서는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가 포함된 앱을 수신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receiving an app including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는 도 14 내지 도 17에서 일예가 소개되었다. One exampl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shown in FIG. 14 to FIG.

이중, 도 14는 기동/정지 관련한 앱을 도시한 화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장치의 운전상태에 대한 현장 감시를 입력하는 앱을 도시한 화면이다. 14 is a screen show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start / stop, and FIGS. 15 to 17 are screens showing an application for inputting on-site monitoring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기동/정지 관련한 운전정보는, 예를 들면, 체크리스트로서 기동전 현장 확인 항목(131a)과, 기동 후 현장 확인 사항(131d)과, 장치의 상태정보(131b)와 선택메뉴(131c)가 포함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4, th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start / stop includes, for example, a pre-activation confirmation field 131a, a post-activation field confirmation 131d, And a selection menu 131c.

이중에서 기동전 현장확인 항목과 기동후 현장확인 사항은 현장 점검원이 현장에서 상태를 확인하여 각 항목(예를 들면, 오일 누유, 온도, 소음, 압력)별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항목이며, 장치의 상태정보는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장치로부터 수집된 측정정보가 표시된다. Of these, the field check items before the start of operation and the field check items after start are checked by the field inspector on the sit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y abnormality by each item (for example, oil leakage, temperature, noise and pressure) The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onitoring server 200 as measure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pparatus.

따라서, 현장 단말기(100)는 장치의 상태정보가 포함된 운전정보를 실시간 수신받는다. 이때 기동전 현장 확인 항목과 기동후 현장 확인 사항은 공란으로서 이상 유무가 체크 되지 않은 상황이다. Accordingly, the field terminal 10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pparatus in real time. At this time, confirmation items on the field prior to the start of operation and on-site confirmation items after the start-up are blank and the abnormality is not checked.

만약, 장치의 정상운전중에 현장 감시보고 상황이라면, 모니터링 서버(200)는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은 현장 감시에 관련된 항목 및 운전정보가 포함된 앱을 송신한다. If it is a field monitoring report state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apparatus, the monitoring server 200 transmits an app including items related to field monitoring and oper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15 to 17.

즉,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식별태그(400)가 펌프와 연계되었다면, 해당 식별코드가 수신된 시간 이후부터 운전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펌프의 측정 데이타를 도 15 내지 도 17의 앱을 통하여 현장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That is, if the identification tag 400 received from the field terminal 100 is associated with the pump, the monitoring server 200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pump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after the tim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To the field terminal 100 via the app of Fig.

이때, 도 15은 펌프의 운전상태를 결정하는 펌프의 부속장치와 연결구조에 대한 현장 취득 정보의 입력과, 모니터링 서버(200)의 운전정보가 출력된 메인 앱을 도시한 화면이며, 15 is a view showing the main app that outpu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input of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for the accessory devic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ump,

여기서, 운전정보는 펌프(31)의 운전상태에 따른 부속장치의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의 배관과 밸브의 압력상태가 표시된 도면 및 데이타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1)의 출구측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배관과 밸브의 압력은 운전정보 서버로부터 실시간 수신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accessory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mp 3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diagram and data showing the pressure state of the piping and the valve of the pump may include the pressure at the outlet side of the pump 31, as shown in Fig. 17. [ And the pressure of the valve are updated in real time as they are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이와 같은 각각의 앱은 하단에서 현장 점검원이 현장에서 확인된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현장 취득 정보 입력항(131a)과, 상측에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가 출력되는 운전정보 출력창(132b)이 포함된다. Each of the apps includes a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field 131a for allowing the field supervisor to input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confirmed at the site, And an information output window 132b.

현장취득 정보 입력단계(S250)는 단말제어부(110)는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앱화면을 통하여 입력명령이 수신되면, 입력모듈(125)을 제어하여 운전정보가 포함된 앱에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In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step S250,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input module 125 when an input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scree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And inputting information.

예를 들면, 현장 점검원은 운전정보에 포함된 장치의 상태정보와 현장 상태를 비교 확인하여 기동 전 현장 확인 사항 및/또는 기동후 현장 확인 사항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체크 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0)는 현장 점검원의 선택명령에 따라서 입력모듈(125)을 구동시켜 앱 화면에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한다.For example, the field inspectors compar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with the field conditions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ield confirmation items before the start and / or the field confirmation items after the start. At this tim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input module 125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site inspector, and inpu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screen.

바람직하게로 상술한 앱은 현장 점검원의 확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황별 상세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 및/또는 선택메뉴(131e)를 더 포함함도 가능하다. Preferably, the above-described app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and / or selection menu 131e for inputt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ituation in order to input confirm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inspector.

또는, 현장 취득정보는 현장 감시 보고를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압력지시계의 지시값을 확인하여 입력된 값이다. Alternatively,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s a value inputted by confirming the indication value of the pressure indicator in the field, as shown in Fig. 17, for the site monitoring report.

여기서 모니터링 서버(200)의 운전정보는 펌프의 출구측 압력의 측정데이타를 포함한다. 이는 펌프에 설치되는 압력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타로 식별코드가 수신된 시간 이후부터 측정된 압력값이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includes measurement data of the outlet-side pressure of the pump. This is the measured data from the pressure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pump and the pressure value measured after the tim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is output in real time.

송신단계(S260)는 단말제어부(110)가 현장 취득정보의 입력 후 송신명령이 수신되면, 단말통신부(140)를 통하여 상술한 운전정보와 조합된 현장 취득정보를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운전정보중 상태정보(131b)의 측정데이타와 동일한 항목에 대한 현장 확인 데이타(예를 들면, 지시계의 지시값)를 비교하여 오류발생 여부를 경보한다.In the transmission step S260, when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transmission instruction after inpu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 Here, the present invention alerts the user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by comparing the on-site confirmation data (for example, an indicator value of the indicator) with the same item a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tatus information 131b.

즉, 단말제어부(110)는 입력모듈(125)에 의하여 현장 취득 정보가 입력되면, 오류감지모듈(123)을 제어하여 운전정보와 현장 취득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오차가 발생 되면 경보모듈(122)에 오류발생신호를 출력한다. That is, when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s input by the input module 125,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error detection module 123 to compare the operation information with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if an error exceeding the set error range is generated And outputs an error occurrence signal to the alarm module 122.

따라서 경보모듈(122)은 음성, 문자, 발광신호중 어느 하나로서 오류를 경보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오류 발생여부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서버(200) 및/또는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 및/또는 타 현장 단말기(100), 주제어실의 운전원 단말기(80)등에 송신한다. Accordingly, the alarm module 122 alerts an error as one of voice, text, and light emission signals, and more preferably, generates a message including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 or the set administrator terminal and / The other field terminal 100, the driver terminal 80 of the main control room, and the like.

또는, 단말제어부(110)는 운전정보와 현장 취득정보가 조합된 앱(이하에서는 현장보고)에 오류 발생여부를 포함하여 모니터링 서버(200)로 송신한다.Alternatively,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combined applica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hereinafter, the site report).

그러면, 모니터링 서버(200)는 수신된 현장 보고를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기(70)로 송신하고,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여 상황의 종료여부를 결정하여 현장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Then, the monitoring server 200 confirms the received field report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r terminal 70, and the manager confirms whether the field report is to be terminated, and transmits it to the field terminal 100.

따라서, 현장 점검원은 현장단말기(100)에 수신된 상황 종료 메세지를 수신하여 현재 상황을 종료하고, 다음 상황에 대비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field installer receives the received status termination message to the field terminal 100, end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pares for the next situation.

유지보수 정보 선택 판단단계(S270)는 단말제어부(110)가 입력모듈(125)을 통하여 유지보수 정보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I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selection decision step S270,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a maintenance information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125. [

유지보수 정보 요청 및 수신단계(S280)는 단말제어부(110)가 입력모듈(125)로부터 유지보수 선택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통신부(140)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서버(200)에 유지보수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단말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In the maintenance information request and reception step S280, when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maintenance selec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125,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0 to request the monitoring server 200 for maintenance information And receives and displays it on the terminal display 130.

즉, 현장 단말기(100)는 현장 점검원이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식별코드로서 해당 장치의 유지 보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매뉴얼이나 도면, 이미지, 동영상, 매뉴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지 보수 정보를 식별코드로 요청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eld terminal 100 can use the mainten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manuals, drawings, images, moving pictures, and manuals that can confirm the maintenance status of the device as an identification code Can be request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이는 상술한 현장 단말기의 식별코드 수신단계(S230)와, 식별코드가 포함된 운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운전정보 수신단계(S240)와, 운전정보에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하는 현장 취득정보 입력단계(S250)와, 오류 발생 여부를 포함하는 현장 취득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S260)중에서 임의대로 선택될 수 있다. This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field terminal (S230),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40) of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e scene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step (S250), and a transmission step (S260) of transmitting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of an error.

즉, 본 발명은 현장 점검원이 태블릿 PC를 통하여 장치의 기동/정지 관련한 운전정보와 유지보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장에서 비교함에 따라 현장 점검원과 주제어실의 운전원 간에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eld supervisor receives operational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rt / stop of the device through the tablet PC, and can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field supervisor and the operator of the main field by comparing them in the field.

특히, 현장 단말기(100)는 운전정보 서버(40)에서 실시간으로 송신됨에 따라 식별 태그(400)를 태깅한 이후부터 해당 장치(30)의 운전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field terminal 100 is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40,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30 is output in real time after the identification tag 400 is tagged.

또는, 모니터링 서버(200)는 운전정보 서버(40)에서 수신된 실시간 및/또는 이전 운전정보를 측정된 시간 이력과 함께 데이타베이스(300)의 운전DB(320)에 저장한다. 따라서 현장 단말기(1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현재의 운전 정보뿐만 아니라 이전 시간대의 운전정보 역시 식별코드로서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의 수신 단계 내지 송신단계(S240~S260)중에서 임의대로 선택하여 진행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onitoring server 200 stores the real time and / or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server 40 in the driving DB 320 of the database 300 together with the measured time history. Therefore, the field terminal 100 can request and receive not only the current operation information measured in real time but also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 time as an identification code. This can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among the receiving step and transmitting step (S240 to S260) of the identification code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정보 보안을 위하여 지문인식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유지 보수 보고 단계뿐만 아니라 전체 과정에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process for information security. This can be included in the entire process as well as the maintenance reporting step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단말제어부(110)는 식별코드가 수신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운전정보가 수신되면, 지문인식모듈(124)을 구동시켜 현장 점검원의 지문을 요청한다.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o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4 to request a fingerprint of the field inspector.

따라서, 지문인식모듈(124)은 단말 디스플레이(130)를 통하여 지문입력창을 출력하고, 지문이 입력되면,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해당 지문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다. According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4 outputs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through the terminal display 130, and when the fingerprint is inputted, the monitoring server 200 requests the inquiry about the fingerprint.

그러므로, 모니터링 서버(200)는 모바일서버(500)의 중계를 통하여 지문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현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현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는 지문검색 요청신호와 함께 수신된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200)는 단말DB(330)에 일치된 고유코드로 분류된 지문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현장단말기(100)에 송신한다. Therefore, when the fingerprint search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relay of the mobile server 500, the monitoring server 200 checks the unique code of the corresponding field terminal 100. Here, the unique code of the field terminal 100 is received together with the fingerprint search request signal. Then, the monitoring server 200 compares the fingerprint classified into the unique code matched to the terminal DB 330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field terminal 100.

지문인식모듈(124)은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지문인식 결과를 정보출력모듈(121)로 출력하고, 정보출력모듈(121)은 그 결과를 확인하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운전정보를 출력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4 outpu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o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and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confirms the result and outpu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isplay 130 Output.

바람직하게로는, 지문인식과정은 운전정보의 수신 이전에 진행되고, 최초 지문 인식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식별태그(400)의 태깅이 없거나 재부팅 또는 화면 갱신 및 기타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단말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을 오프시킨 뒤에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Preferab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process is performed prior to the recep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if there is no tagging of the identification tag 400 for a set time after the first fingerprint is recognized, or if a reboot, It is also possible to proceed after turning off the screen of FIG.

또는, 지문인식과정은 식별코드가 수신되거나 식별태그(400)에 태깅될 때마다 진행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문인식과정은 사업자나 설계자에 의하여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Alternative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process may proceed whenever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or tagged to the identification tag 400. [ Such a fingerprint recognition proces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various options can be selected by a business operator or a designer.

도 11은 본 발명의 유선 연결단계에서 현장 단말기와 모니터링 서버의 직접연결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direct connection step between a field terminal and a monitoring server in the wired conn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직접 연결단계(S311)는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현장 단말기(100)의 식별코드 수신단계(S311)와, 현장 단말기(100)에 현장 취득 정보의 입력 및 저장하는 현장단말기(100)의 현장 취득 정보 저장단계(S312)와, 모니터링 서버(200)의 식별코드 및 현장 취득정보 수신단계(S313)와, 식별코드의 수신 시점에 일치되는 시간에 수집된 운전정보를 검색 및 호출하는 모니터링 서버(200)의 정보검색단계(S314)와, 운전정보와 현장 취득 정보를 조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서버(200)의 보고서 생성단계(S315)를 포함한다. 11, the direct connection step S311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step S311 of the field terminal 100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a field terminal (Step S312),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a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tep S313), and a step of searching and retrie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time of the identification code (S315)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a report generating step (S315)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report by comb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현장단말기(100)의 식별코드 수신단계(S311)는 현장 단말기(100)가 장치별로 부착된 식별태그(400)를 인식하여, 식별태그(400)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step S311 of the field terminal 100 is a step in which the field terminal 10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tag 400 attached to each device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recorded in the identification tag 400. [

여기서 현장 단말기(100)의 단말제어부(110)는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정보출력모듈(121)을 통하여 해당 식별코드에 분류된 장치의 현장 취득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앱을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Whe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of the field terminal 100 transmits an application to the terminal display 130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

현장 단말기(100)의 정보저장단계(S312)는 현장 단말기(100)에서 현장 취득정보를 앱에 입력 후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0)는 입력모듈(125)을 구동시켜 입력된 현장 취득 정보를 앱에 입력 후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때, 입력되는 정보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및 이미지가 추가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step S312 of the field terminal 100 is a step of storing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 the field terminal 100 and storing it in the app. Her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input module 125 to input the input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o the app, and then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60. At this time, information to be inputted may be text, photograph, moving picture and image.

모니터링 서버(200)의 정보수신단계(S313)는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현장 단말기(100)로부터 현장취득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이다. 현장 점검원은 현장 취득 정보의 입력 후 모니터링 서버(200)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유선케이블(예를 들면, USB) 또는 무선 통신(와이파이 및/또는 데이타통신)으로 모니터링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현장 취득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수신된 현장취득정보는 식별코드와 시간을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13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a step of receiving,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from the field terminal 100 via wireless or wire. After inpu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he site inspector moves to the location where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located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a wired cable (for example, USB) or wireless communication (Wi-Fi and / or data communication) And acquires the acquir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nitoring server 200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time.

모니터링 서버(200)의 운전정보 검색 및 호출단계(S314)는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수신된 식별코드 및 시간에 일치되는 장치의 운전정보중에서 일치된 시간대에 수집된 운전정보를 검색 및 호출하는 단계이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searching and calling step (S314)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searches for and recalls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matching time zone from amo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match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to be.

여기서 모니터링 서버(200)는 식별태그(400)가 인식한 시간(예를 들면, 현장 단말기(100)에서 식별태그(400)의 수신시간)을 확인하고, 해당 장치의 운전정보중에서 일치된 시간대에 수집된 운전정보를 검색 및 호출한다. Here, the monitoring server 200 checks the time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tag 400 (for example, the reception time of the identification tag 400 in the field terminal 100) Search and invoke the collected operation information.

모니터링 서버(200)의 보고서 생성 및 저장단계(S315)는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현장 취득 정보와 운전정보를 조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모니터링 서버(200)는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를 설정된 방식으로 조합하여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보고서는 데이타베이스(300)의 현장DB(340)에 저장된다. 보고서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항목과, 이상 여부, 측정 데이타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앱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port generation and storage step (S315) of the monitoring server 200 is a step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storing a report by combin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monitoring server 200. [ The monitoring server 200 automatically generates and stores a report by combin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stored report is stored in the field DB 340 of the database 300. As shown in FIG. 14 to FIG. 17, it is preferable that the report is generated as an app including at least one of items, abnormality, and measurement dat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단말기(100)와 모니터링 서버(200)가 모바일 서버(500)의 중계를 통한 실시예와, 유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실시예와, 내부 상황에 따라 현장단말기와 모니터링 서버간 직접 연결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현장 감시 및 유지보수를 위한 보고서의 생성에 매우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200 are connected through the relaying of the mobile server 500 through the wired network, and between the field terminal and the monitoring server It is very easy to generate reports for on-site monitoring and maintenance through direct connected embodiments.

아울러, 본 발명은 무선 및 유선 연결단계(S200, S300)와, 직접 연결단계(S310)에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보보안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이중 정보보안단계(S400)의 제1실시예(S410)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제2실시예(S420)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에서 제1실시예는 무선 및 유선연결단계에서의 정보보안을 위한 실시예이며, 제2실시예는 현장 단말기와 모니터링 서버간의 직접 연결단계에서의 정보보안을 위한 실시예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security step (S400) to prevent information leakage in the wireless and wired connection steps (S200, S300) and direct connection step (S310). The first embodiment (S410) of the dual information security step (S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the second embodiment (S4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irst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information security in a wireless and wired connection step,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information security in a direct connection step between a field terminal and a monitoring server.

도 12는 본 발명의 정보보안단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보보안단계의 제1실시예(S410)는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단계(S411)와, 신규 정보의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규 정보 판단단계(S412)와, 운전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설정시간 판단단계(S413)와, 신규 식별코드가 수신되거나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정보를 삭제하는 정보삭제단계(S414)와, 정보 삭제단계(S416) 이후에 삭제 이력을 생성하는 이력정보 생성단계(S41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2, a first embodiment S410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output step S411 of outputting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a new information determination A step S412 of determining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a step S413 of determining whether the new ID code has been received or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414), and a history information generating step S415 for generating a deletion history after the information deletion step S416.

정보출력단계(S411)는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0)는 최초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정보출력모듈(121)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보안모듈(126)을 구동시킨다. The information output step S411 is a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 Her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121 and the security module 126 when the initial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신규정보 판단단계(S412)는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앱이 실행된 이후에 타 장치의 현장 취득정보 및/또는 운전정보가 출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로는 보안모듈(126)은 최초 식별코드가 수신된 이후에 다른 식별코드가 수신되는지 또는 현장 보고서의 송신 여부로 판단한다. The new information determination step S412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 or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 is output aft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on the terminal display 130. [ Preferably, the security module 126 determines whether another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or an on-site report is sent after the initial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설정시간 판단단계(S413)는 보안 모듈에서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정보가 출력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The set time determination step S413 is a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t time is exceeded by counting the time since the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terminal display 130 in the security module.

예를 들면, 보안모듈(126)은 단말 디스플레이(130)는 펌프의 운전 상태의 감시를 위한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가 출력되면, 운전정보가 수신된 이후부터 시간을 카운팅 하거나, 식별코드가 수신된 이후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For example, the security module 126 may cause the terminal display 130 to count the time aft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when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ump are output, The time is cou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정보삭제단계(S414)는 보안모듈(126)에서 설정된 삭제조건(신규정보 및/또는 시간)에 해당되면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이다. The information deleting step S414 is a step of deleting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when the deletion condition (new information and / or time) set in the security module 126 is satisfied.

예를 들면, 보안모듈(126)은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이전 식별코드에 의한 현장취득정보 및/또는 운전정보가 출력된 상황에서 신규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정보를 모두 삭제한다. 또는, 보안모듈(126)은 모니터링 서버(200)에 현장 보고서의 송신 여부를 확인하여 정보를 삭제함도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new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 o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output based on the previous identification code on the current terminal display 130, the security module 126 outputs the information . Alternatively, the security module 126 may confirm whether the site report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and delete the information.

또는, 보안모듈(126)은 장치의 식별코드가 수신된 시간, 운전정보가 수신된 시간 또는 앱의 실행 후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다면,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정보를 모두 삭제한다. Alternatively, if the security module 126 has reached the set time by counting the time at which the device identification code was received,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was received, or the time after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

아울러, 삭제조건은 현장 단말기(100)의 부팅 여부와 보안 단말기(600)의 강제삭제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모듈(126)은 현장 단말기(100)가 재부팅 되었을 경우에 이전 정보를 모두 삭제한다. 보안 단말기(600)에 의한 강제삭제명령은 제2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deletion condition may include whether the field terminal 100 is booted and whether the security terminal 600 is forced to delete it. For example, the security module 126 deletes all previous information when the field terminal 100 is rebooted. The forced deletion instruction by the secure terminal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embodiment.

이력정보 생성단계(S415)는 삭제 이력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보안모듈(126)은 삭제된 정보의 이력(예를 들면, 식별코드와 시간)을 생성한다. The history information generating step S415 is a step of generating and storing the deletion history information. The security module 126 generates a history (e.g., identification code and time) of the deleted information.

이와 같은 정보의 삭제조건은 사업자나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위와 같은 정보보안단계(S400)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무선 연결단계에서 적용된다. The deletion conditions of such information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operator or the designer. More preferably,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S400 is appli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step described above.

도 13은 본 발명의 정보보안단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정보보안단계의 제2실시예(S420)는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단계(S421)와, 정보출력단계(S421)에서 저장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저장명령 판단단계(S422)와, 저장명령이 입력되면 보안코드를 생성하는 보안코드 생성 및 저장단계(S423)와, 설정된 삭제조건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정보삭제판단단계(S424)와, 삭제조건에 해당 되면 정보를 삭제하는 정보삭제단계(S42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second embodiment S420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tep may include an information output step S421 of outputt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isplay 130 and a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a storage command is input in the information output step S421 A security code generation and storage step S423 for generating a security code when a storage command is input; an information deletion determination step S424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urity code corresponds to a set deletion condition; And an information deletion step (S425) of deleting the information if the condition is met.

정보출력단계(S421)는 현장단말기(100)의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된 앱을 통하여 현장 취득정보가 출력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0)는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보안모듈(126)을 구동시켜 오프라인 상태에서의 정보보안과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The information output step S421 is a step of output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off-line state of the field terminal 100. [ Her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security module 126 to control the information security process in the offline stat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저장명령 판단단계(S422)는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앱의 저장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현장 점검원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수신받지 못함에 따라 장치별 현장취득정보를 입력 후 현장단말기(100)에 저장하여 나중에 모니터링 서버(200)에 직접 연결하여 확인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단말제어부(110)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저장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The storage command determination step S422 determines whether a storage command of the applic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is input. In this case, since the field inspectors do not receive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in real time, the field inspectors input the field-by-apparatus acquisi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m in the field terminal 100, and then directly connect to the monitoring server 200 It goes through. 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a store command is inputted in an off-line state.

보안코드 생성 및 저장단계(S423)는 단말제어부(110)가 보안모듈(126)을 구동시켜 파일을 저장하고, 파일별로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보안모듈(126)은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앱을 하나의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저장 파일별로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보안코드는 파일의 저장 시간과 장치의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In the security code generation and storage step S423,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security module 126 to store files, and generates and registers a security code for each file. Here, the security module 126 converts the applic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130 into a file,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60, generates a security code for each storage file, and stores the generated security code in the storage unit 160. The security code includes the storage time of the file an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device.

예를 들면, 보안통신부(170)는 근거리 무선태그로 설치되고, 보안모듈(126)은 보안코드가 생성된 직후에 보안통신부(170)에 보안코드의 저장 유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기록함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is installed in a short-range wireless tag, and the security module 126 records information capable of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security code is stored in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immediately after the security code is generated It is possible.

또는, 보안모듈(126)은 정보의 저장 여부와 상관없이 신규 운전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신규 현장 취득정보가 입력되면, 무조건으로 해당 앱에 보안코드를 설정한다.Alternatively, the security module 126 sets the security code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nconditionally,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stored, when the new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or the new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s input.

정보삭제 판단단계(S424)는 설정된 삭제조건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삭제조건은 시간과 보안코드, 신규정보의 입력 및 수신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eletion determination step (S424)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eletion condition is satisfied. Here, the deletion condi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time, the security code, and the input and reception of new information.

정보삭제단계(S425)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이다. The information deleting step S425 is a step of deleting the file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

시간에 의한 삭제조건은 파일이 저장된 이후부터 설정된 시간, 또는 저장된 파일의 단말 디스플레이(130)에 출력된 시간, 또는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운전정보가 수신된 직후부터 설정된 시간, 현장취득정보의 입력 후 시간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The time-based deletion conditions include a time set after the file is stored, a time output from the terminal display 130 of the stored file, a time set from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200, / RTI > and / or < / RTI >

따라서 보안 모듈은 위 시간조건중 어느 하나에 해당 되면 저장 파일을 삭제하고, 보안통신부(170)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한다. Therefore, if the security module is in any one of the above time conditions, the security module deletes the storage file and updates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

또는, 보안모듈(126)은 저장 파일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 이후에 또 다른 파일이 선택되면, 이전 선택파일을 삭제한다. Alternatively, the security module 126 deletes the previous selection file if another file is selected after any one of the storage files is executed.

또는, 보안모듈(126)은 보안단말기(600)로부터 강제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보안코드가 설정된 저장파일을 일괄삭제한다. Alternatively, when the forcible delet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ecurity terminal 600, the security module 126 deletes the save file to which the security code is set.

여기서 보안단말기(600)는 보안통신부(170)에 기록된 저장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강제 삭제명령을 현장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현장 점검원이 자신의 현장단말기(100)에 파일이 저장된 상태에서 외출하거나 보안단말기(600) 근처로 이동되면, 보안단말기(600)는 보안통신부(17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보안통신부(170)에 기록된 파일 저장정보(즉, 보안코드의 유무)를 수신한다. 그리고, 보안단말기(600)는 현장단말기(100)에 보안코드가 생성된 파일의 저장정보가 확인되면, 현장단말기(100)에 삭제명령을 송신한다. Here, the security terminal 600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torage file recorded in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and transmits a forced deletion command to the field terminal 100. [ For example, when the field inspectors go out of the home terminal 100 in a state where files are stored in the field terminal 100 or move to the vicinity of the security terminal 600, the security terminal 6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And receives the file storage information (i.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curity code) recorded in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70. [ The security terminal 600 transmits a delete command to the field terminal 100 when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ile in which the security code is generated is confirmed in the field terminal 100. [

따라서, 단말제어부(110)는 보안단말기(600)의 강제삭제명령이 수신되면, 경보모듈(122)을 구동시켜 경보를 발령하고, 보안모듈(126)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보안모듈(126)은 보안코드가 생성된 저장파일 전체를 일괄 삭제한다. Accordingly, when the forcible delete command of the security terminal 600 is receiv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10 drives the alert module 122 to issue an alert and drives the security module 126. Therefore, the security module 126 deletes the whole storage file in which the security code is gen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모니터링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장치별 현장취득정보와 운전정보를 취합하여 기동전과 후의 상태와, 운전상태를 감시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through the monitoring network 20 of the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and can monitor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and maintenance and repair are easy.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운전 감시부재(700)를 통하여 시운전과정에서 각 장비 및/또는 계통의 시운전 점검항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운전 감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st run monitoring step of checking the test run check items of each equipment and / or the system in real time through the test run monitoring member 700 described above.

여기서, 무선센서(710)는 시운전중인 대상 장치 및/또는 계통에 설치되어 시운전 점검항목에 해당되는 특성을 감지하여 무선감지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는 무선센서(710)로부터 수신된 무선감지신호를 시운전 중계서버(730)에 송신하고, 시운전 중계서버(730)는 운전원 단말기(80)로 송신한다. 또는 시운전 무선수신기(720)에서 운전원 단말기(8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sensor 710 is installed in the target device and / or system in the test operation, and senses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test operation check item and transmits the wireless detection signal. The commissioning wireless receiver 720 transmits the wireless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sensor 710 to the commissioning relay server 730 and the commissioning relay server 730 transmits it to the driver terminal 80. [ Or directly from the commissioning radio receiver 720 to the operator terminal 80.

운전원 단말기(80)는 시운전 중계서버(730) 또는 시운전 무선수신기(720)로부터 수신된 무선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장치 및/또는 계통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장치명이나 위치등을 포함한 시운전 점검항목의 측정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driver terminal 80 receives the wireless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trial operation relay server 730 or the trial operation wireless receiver 720 and confirms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device and / or the system, Output the measurement data of the test run check item.

따라서, 운전원은 운전원 단말기(80)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시운전 점검항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eck the data output from the driver terminal 80 and check the test operation check item in real time.

즉, 본 발명은 종래에 시운전 과정에서 점검항목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데이터를 획득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troublesome problem that the operator has to acquire data directly in the field in order to acquire the data set as the inspection item in the trial operation.

10 : 모니터링부재 20 : 모니터링 네트워크
30 : 장치부재 40 : 운전정보 서버
50 : 컨트롤 네트워크 60 : 단방향 송신부
100 : 현장단말기 310 : 단말제어부
120 : 정보입출력부 121 : 정보출력모듈
122 : 경보모듈 123 : 오류감지모듈
124 : 지문인식모듈 125 : 입력모듈
126 : 보안모듈 127 : 위치정보모듈
130 : 단말 디스플레이 140 : 단말통신부
150 : 태그리더부 160 : 저장부
170 : 보안통신부 180 : 유선커넥터
200 : 모니터링 서버 300 : 데이타베이스
310 : 태그DB 320 : 운전DB
330 : 단말DB 340 : 현장DB
400 : 식별태그 500 : 모바일서버
510 : 무선중계기 600 : 보안단말기
700 : 시운전 감시부재 710 : 무선센서
720 : 시운전 무선 수신기 730 : 시운전 중계서버
10: Monitoring member 20: Monitoring network
30: device member 40: driving information server
50: control network 60: one-way transmitter
100: field terminal 310:
120: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121: Information output module
122: alarm module 123: error detection module
124: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125: input module
126: Security module 127: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30: terminal display 140:
150: tag reader unit 160:
170: Secure communication unit 180: Wired connector
200: Monitoring server 300: Database
310: Tag DB 320: Driving DB
330: terminal DB 340: field DB
400: identification tag 500: mobile server
510: wireless repeater 600: security terminal
700: Commissioning monitoring member 710: Wireless sensor
720: Commissioning radio receiver 730: Commissioning relay server

Claims (18)

발전소 내에 설치되는 장치와 통신 연결하는 컨트롤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전소내의 장치의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운전원 단말기;
상기 운전원 단말기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소 장치별 기동 및 정지 상태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타를 포함하는 운전정보를 상기 발전소 장치별로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운전정보 서버;
상기 운전정보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운전정보를 단방향으로 송신하여 컨트롤 네트워크와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차단하는 단방향 송신부;
발전소 내의 장치별 고유의 식별코드가 기록되어 각 장치에 부착되는 식별태그;
상기 식별태그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장치별 식별코드로서 운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현장 단말기;
상기 단방향 송신부에서 실시간 수신되는 운전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현장 단말기에 송신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는 발전소 관리 시스템.
A driver terminal for controlling start and stop of a device in a power plant through a control network communicating with an apparatus installed in the power plant;
A driving information server for receiving, in real time, operating information including measurement data measured in at least one of starting and stopping states of each of the power plant unit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driver terminal;
A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nit for unidirectionally transmitting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in real time to shut down the control network and the monitoring network;
An identification tag to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 to each device in the power plant is recorded and attached to each device;
A field terminal for perform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tag to request and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as an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device;
And a monitoring server for transmitting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nit to the field terminal through the monitoring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운전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의 시간 이력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운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현장 단말기는 식별코드로서 해당 장치의 이전 운전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server
S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ime history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Wherein the site terminal requests prev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as an identification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현장 단말기에서 수신된 식별코드에 해당되는 장치의 운전정보를 상기 현장 단말기에 실시간 송신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server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site terminal to the site terminal in real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장치별 유지 보수를 위한 문서와 동영상 및 이미지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유지보수 정보와, 상기 운전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운전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타베이스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server
Mainten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ocument, a moving image, and an image for maintenance for each apparatus, and a database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단말기는
상기 식별태그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태그리더부;
상기 모니터링 서버 및 타 현장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와, 입력된 현장 취득정보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여부가 포함된 현장 보고서를 생성하는 정보입출력부; 및
상기 태그리더부로부터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통신부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서버에 장치별 운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정보입출력부에 의해 생성된 현장 보고서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ield terminal
A tag reader unit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code recorded in the identification tag;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server and other field terminals;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for compa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with the input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 site report including an error occurrence; An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o request oper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to the monitoring server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unit and to transmit the site report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to the monitoring server; Included objects Power st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출력부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와, 입력되는 현장 취득 정보를 설정된 형식에 따른 앱으로 출력하는 정보출력모듈;
상기 정보출력모듈에 의하여 출력된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지를 확인하여 오류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오류감지모듈;
상기 모니터링 서버, 현장 단말기, 운전정보 서버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정보모듈; 및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운전정보 및 현장 취득정보가 설정된 삭제조건에 해당 되면 삭제하는 보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삭제조건은
상기 앱이 실행된 이후의 시간과, 식별코드가 수신된 이후의 시간, 이전 식별코드가 수신된 이후에 신규 식별코드의 수신 여부, 현장 보고서의 송신 여부,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의 화면 갱신 여부, 운전정보, 유지보수 정보 및 현장 취득 정보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입력과 출력 시간과, 현장 단말기의 재부팅 여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information input /
An informatio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input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to an app according to the set format;
An error detection module that compares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output by the information output module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falls within a set reference range and detects an error occurrenc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monitoring server, the field terminal,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server; And
And a security module for deleting,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cene acquisi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display correspond to a set deletion condition,
The deletion condition
The time after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time after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whether or not the new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after the previous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whether the on-site report is transmitted, the screen update of the terminal display, , At least one of input and output time selected from maintenance information and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whether to reboot the sit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네트워크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현장 단말기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모바일 서버; 및
상기 현장단말기 및 모바일 서버를 통신연결하는 복 수개의 무선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시스템.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network
A mobile serve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field terminal; And
And a plurality of wireless repeaters communicatively connecting the site terminal and the mobil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네트워크는
상기 현장 단말기에 체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유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network
Wherein the network is a wired network hav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eld terminal.
발전소 장치별로 설치되는 식별태그를 태깅하여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현장 단말기의 식별코드 수신단계;
상기 식별코드로 분류된 장치별 운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운전정보를 모니터링 서버로 요청하는 현장 단말기의 운전정보 요청단계;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운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운전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에 따라 현장에서 확인되는 현장 취득 정보를 입력하는 현장 단말기의 현장 취득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가 포함된 현장 정보를 송신하는 현장 단말기의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a field terminal for tagging an identification tag installed for each plant device and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An operation information requesting step of requesting, from a monitoring server, oper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 operation state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device;
A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step of a field terminal for outputting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inputting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field according to each item included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the site information includ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단말기의 운전정보 요청단계 및 현장 취득정보 입력단계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식별코드로서 해당 장치의 유지 보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지보수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tep of reques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terminal and the step of inputting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nd requesting and receiving maintenanc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maintenance status of the device as the identification c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계는
상기 현장 취득정보와 운전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를 초과하면 오류 발생을 경보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And compar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alerting the occurrence of an error when the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정보는
상기 현장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태그를 태깅한 이후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ag is tagged in the field terminal in real time.
제9항에 있어서, 신규 식별코드, 신규 운전정보의 수신, 현장 단말기의 화면 갱신, 현장단말기의 전원 온오프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 되면,
상기 현장 단말기에 출력되는 현장 취득정보 및 운전정보를 삭제하는 정보보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receiving at least one of a new identification code, reception of new operation information, screen update of a field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delet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sit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신규 식별코드의 수신, 신규 운전정보의 수신, 현장 단말의 화면 갱신, 현장단말기의 전원 온오프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 되면,
상기 현장 단말기에 지문입력을 요청하여 입력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과 비교하는 지문인식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receiving at least one of reception of a new identification code, reception of new operation information, screen update of a field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fingerprint recognition step of requesting input of a fingerprint to the field terminal and comparing the inputted fingerprint with a registered fingerprint.
장치별로 부착된 식별태그를 태깅하여 저장된 장치별 고유의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현장 단말기의 식별코드 수신단계;
상기 식별코드에 일치되는 장치의 현장 감시 항목을 포함하는 현장 취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앱을 출력하고, 상기 앱을 통하여 입력된 현장 취득정보를 저장하는 현장단말기의 정보 저장단계;
상기 현장 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와 상기 현장 취득 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서버의 식별코드 및 현장 취득정보 수신단계;
상기 모니터링 서버에서 상기 현장취득 정보의 식별코드와 정보 입력시간을 확인하여 해당 식별코드로 분류된 장치의 해당 시간대에 수신된 운전정보를 검색 및 호출하는 모니터링 서버의 정보검색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정보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운전정보와 현장 취득 정보를 조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서버의 보고서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An identification code receiving step of a field terminal for tagging an identification tag attached to each device and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 to each device;
An information storage step of a field terminal for outputt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ncluding a site monitoring item of the apparatus conform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storing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a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of a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from the site terminal;
An information searching step of a monitoring server for check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formation input time of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at the monitoring server and searching and call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at the corresponding time zone of the device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nd generating a report by comb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retrieved in the information retrieval step of the monitoring server with the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 신규 식별코드의 수신 여부, 현장 취득정보의 송신 여부, 신규 식별코드가 수신된 이후의 설정 시간, 현장 취득정보의 입력 후 설정된 경과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 되면, 입력된 현장 취득정보를 삭제하는 현장 단말기의 정보보안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5, wherein if it is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new identification code, transmit the field acquisition information, set the time after receiving the new identification code, And an information security step of a field terminal for deleting site acquisition information.
제9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발전소 장치별로 연결되는 컨트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장치의 운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운전정보 서버의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5,
Further comprising a transmitting step of collecting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device through a control network connected to each plan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in real time.
제1항에 있어서, 시운전중인 장치 및 계통을 감시하는 시운전 감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운전 감시부재는
상기 시운전중인 장치 및 계통의 온도, 진동, 압력, 전기특성, 밸브 개폐상태 및 밸브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무선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복 수개의 무선센서; 및
상기 복 수개의 무선센서에서 송신된 무선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운전원 단말기로 중계하는 시운전 무선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는 발전소 관리 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issioning monitoring member for monitoring the commissioning apparatus and the system,
The commissioning monitoring member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wireless detection signal that sens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vibration, pressure, electrical characteristics, valve opening / closing state, and valve position of the apparatus and system being tested; And
Further comprising a commissioning radio receiver for receiving the radio det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adio sensors and relaying the radio detection signals to the operator terminal.

KR1020160091495A 2016-07-19 2016-07-19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69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95A KR101869697B1 (en) 2016-07-19 2016-07-19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95A KR101869697B1 (en) 2016-07-19 2016-07-19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849A true KR20180009849A (en) 2018-01-30
KR101869697B1 KR101869697B1 (en) 2018-06-22

Family

ID=6107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95A KR101869697B1 (en) 2016-07-19 2016-07-19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69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9368A1 (en) * 2020-03-13 2021-09-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a exchange tool
CN114577457A (en) * 2022-03-10 2022-06-03 杭州承宇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Energy efficiency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densation heat exchanger
KR102432837B1 (en) * 2022-05-02 2022-08-19 주식회사 나온웍스 One-way edge gateway
CN115542049A (en) * 2022-09-29 2022-12-30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西部检修试验分公司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state of auxiliary equipment for mechanized automatic learning
KR20230036312A (en) * 2021-09-07 2023-03-14 한국원자력연구원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atomic energy facility
CN116345676A (en) * 2023-02-15 2023-06-27 西安宇翔电气工程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cabinet
CN116207855B (en) * 2023-02-13 2024-05-31 湖北清江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of centralized control center of river basin step power pl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815B1 (en) 2021-03-26 2021-12-15 (주)모백스 Intelligent NFC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facilit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903B1 (en) 2004-07-27 2006-05-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for real time controlling driving data of power plant
KR101494163B1 (en) 2013-09-16 2015-02-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aintenance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using bar-code
KR20150080041A (en) * 2013-12-27 2015-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ower Plant
JP5800345B1 (en) * 2015-02-13 2015-10-28 新川センサテクノロジ株式会社 Wireless sensor,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7491B1 (en) * 2014-12-30 2016-01-21 한국중부발전(주) Safety Maintenance System for Power Plant Electr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903B1 (en) 2004-07-27 2006-05-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for real time controlling driving data of power plant
KR101494163B1 (en) 2013-09-16 2015-02-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Maintenance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using bar-code
KR20150080041A (en) * 2013-12-27 2015-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ower Plant
KR101587491B1 (en) * 2014-12-30 2016-01-21 한국중부발전(주) Safety Maintenance System for Power Plant Electric Equipment
JP5800345B1 (en) * 2015-02-13 2015-10-28 新川センサテクノロジ株式会社 Wireless sensor,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9368A1 (en) * 2020-03-13 2021-09-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a exchange tool
WO2021180585A1 (en) * 2020-03-13 2021-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a exchange tool
KR20230036312A (en) * 2021-09-07 2023-03-14 한국원자력연구원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atomic energy facility
CN114577457A (en) * 2022-03-10 2022-06-03 杭州承宇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Energy efficiency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densation heat exchanger
CN114577457B (en) * 2022-03-10 2024-01-23 杭州承宇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Energy efficiency test system and method for condensing heat exchanger
KR102432837B1 (en) * 2022-05-02 2022-08-19 주식회사 나온웍스 One-way edge gateway
CN115542049A (en) * 2022-09-29 2022-12-30 南方电网调峰调频发电有限公司西部检修试验分公司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state of auxiliary equipment for mechanized automatic learning
CN115542049B (en) * 2022-09-29 2024-05-14 南方电网储能股份有限公司西部检修试验分公司 State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learning auxiliary equipment of machine
CN116207855B (en) * 2023-02-13 2024-05-31 湖北清江水电开发有限责任公司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of centralized control center of river basin step power plant
CN116345676A (en) * 2023-02-15 2023-06-27 西安宇翔电气工程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cabinet
CN116345676B (en) * 2023-02-15 2024-02-06 西安宇翔电气工程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697B1 (en)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697B1 (en)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EP3746998B1 (en) Safety device inspection
US10129047B2 (en) Home automation system deployment
JP2018520416A (en) Integrated asset integrity management system
KR101386591B1 (en) CCTV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N110412904B (en) Building maintenance system and building maintenance support method
CN106249707B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KR101628269B1 (en) Power Plant Fiel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y using QR code
KR101727530B1 (en) Maintenance System for electric installation based on mobile app
US9915929B1 (en) Monitoring availability of facility equipment
KR102122588B1 (en)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KR102122590B1 (en)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KR102122589B1 (en) Method for processing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JP6177113B2 (en) Maintenance inspection system
KR101480784B1 (en) River Facility Maintenance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60149806A (en) System for managing safety/check(patrol)/facility and method thereof and terminal thereof
KR20120013005A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plant based on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US20130176113A1 (en) Wireless bidirectional information interchange system
KR20160108883A (en)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of builings
KR101947100B1 (e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construction site
KR101378781B1 (en) Method for providing check service by using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ying the same
KR20160099902A (en) Part Life Management System
KR20150129337A (en) 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customiz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1811532B1 (en) Autonomous Maintenance System for a Plural of Facilities
KR102019282B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