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419A -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419A
KR20180008419A KR1020177029909A KR20177029909A KR20180008419A KR 20180008419 A KR20180008419 A KR 20180008419A KR 1020177029909 A KR1020177029909 A KR 1020177029909A KR 20177029909 A KR20177029909 A KR 20177029909A KR 20180008419 A KR20180008419 A KR 2018000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everage
slider
shell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르도 피라스
푸리오 수기 리베라니
엘로테리오 프로이아
모리지오 가스파린
코시모 푸스코
Original Assignee
일리카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카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일리카페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0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카트리지로(14)부터 음료를 추출하고 전달하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유닛(16)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로서, 복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 및 공급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 적어도 카트리지 장착 위치,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하고 음료 추출 유닛(16)과 정렬된 음료 추출 위치,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 사이에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대응하여 카트리지(14)를 수용하도록 자동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음료 추출 위치 모두에서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가지며, 또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AUTOMATED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CARTRIDGES}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분말 형태의 물질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피 또는 다른 음료의 제조를 위한 기계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카트리지에 수용된 분말 물질을 통해 압력하에 열수를 투과시킴으로서 음료를 추출하고, 추출 단계의 끝에서 사용한 카트리지를 배출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제조하는 어떤 기계 또는 이러한 종류의 카트리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다른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 커피를 사용하여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커피 음료(이하 간단히 커피라고 함)는 일반적으로 추출, 즉 가압하에 끓는 물로 퍼콜레이션(percolation)됨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분말 커피가 수용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생분해성 플라스틱 또는 폴리락트산(PLA)과 같은 다른 생분해성 또는 퇴비화 가능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 기계로부터 커피 베이스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은 열수 또는 가압 증기가 추출 챔버로 도입되는 단계, 커피에 열수 또는 가압 증기를 주입하는 단계, 및 수집 용기, 예를 들어, 머그 또는 컵, 글래스 또는 다른 적합한 용기로 최종적으로 획득한 음료를 전달하여 마실 수 있도록 준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기계의 단점 중 하나는, 추출 챔버 내부에서 커피를 전달하기 위한 모든 작업에 대해 카트리지를 수동으로 도입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한잔의 커피를 제조할 때마다 각각의 카트리지를 수동으로 기계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커피를 전달한 후에는 사용된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없애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이뤄진다.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배출하는 동작은 소정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는 이러한 기계의 지속적이고 신속한 사용을 방해한다.
이러한 기계의 또 다른 단점은 카트리지가 특정 삽입 방향으로 추출 챔버에 삽입되도록 사용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삽입 방향을 제어하려는 시도 중 하나는 추출 챔버와 관련된 성형 가이드 또는 도입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기계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일련의 커피가 바, 커피 숍 등에서 빠르게 제조되어야 할 때, 조작자가 필요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막힘, 끈적거림, 잘못된 제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단점은 에스프레소 커피 제조 기계가 예를 들어 바 또는 커피 숍에서 여러 사람 또는 여러 작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한 사용자가 다른 하나를 삽입하기 전에 추출 챔버에서 사용된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 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
이 경우에도 역시 제거되지 않은 사용된 카트리지로 인해 막힘과 끈적거림의 문제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기계가 손상되고 에스프레소 음료 공급을 느려질 수 있다.
문서 US-A-2011/0041701은 캡슐의 자동 컨베이어 및 뜨거운 음료의 재조를 위한 유닛을 기술한다.
문헌 US-A-2003/0071056은 음료 분배기용 카트리지 배출기를 기술한다.
문서 JP-A-2001 155241은 하우징 실린더 내의 부적절한 방향으로부터 올바른 방향으로 카트리지 내의 제품의 방향을 보정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용 카트리지에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문헌 WO-A-2006/059015는 적층된 캡슐을 포함하는 수직 가이드 지지체를 구비한 캡슐 분배기를 개시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할 수 있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를 완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커피가 전달되는 매번마다 커피 또는 다른 음료의 제조를 위해 기계의 추출 챔버 내에 수동으로 카트리지를 삽입할 필요가 없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자동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또는 다른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업자가 이를 제거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된 카트리지를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자동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편적인, 즉 커피 및/또는 분말 물질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다른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상이한 유형의 기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쉽고, 사용을 위해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계에 대한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이점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을 고안, 시험 및 구현했다.
종래의 솔루션 및 기술의 다른 제한들 및 단점들은 도면 및 후술될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을 읽은 후에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연관된 기술 분야의 설명은 여기에 기술된 것이 선행 기술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커피가 전달되는 매번마다 커피 또는 다른 음료의 제조를 위해 기계의 추출 챔버 내에 수동으로 카트리지를 삽입할 필요가 없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자동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 또는 다른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업자가 이를 제거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된 카트리지를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자동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편적인, 즉 커피 및/또는 분말 물질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다른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상이한 유형의 기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쉽고, 사용을 위해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계에 대한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항에서 설명되고 특징지워지는 반면, 종속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또는 주요 발명 사상에 대한 변형예를 기술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유닛,
- 복수의 카트리지를 수용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와,
- 적어도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기 음료 추출 유닛과 정렬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한 음료 추출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상기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음료 추출 위치 모두에서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가지며, 또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사용된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갖는다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결합될 때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의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형성하고, 카트리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오목 안착부를 형성하는 전방 세미-쉘 및 후방 세미-쉘을 포함한다. 둘이 분리되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의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형성하고, 사용된 카트리지를 배출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세미-쉘 및 후방 세미-쉘은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는 적어도 카트리지 장착 위치, 음료 추출 위치 및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의 이동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추출 유닛은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 헤드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가 음료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추출 헤드를 카트리지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위치 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용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적어도 :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한 음료 추출 위치;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상기 음료 추출 위치 모두에서,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기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상기 사용된 카트리지의 배출을 위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로부터의 음료의 제조를 위한 자동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를 사용하여 복수의 카트리지를 수용 및 공급하는 단계,
-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를 자동으로 수용하는 단계;
- 음료의 추출 및 전달을 위해 음료 추출 유닛과 정렬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한 음료 추출 위치로 상기 카트리지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단계;
- 추출 후에,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해,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로 사용된 카트리지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일 측면 및 다른 측면, 특성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도면 및 첨부된 청구 범위를 참조하여 더 잘 이해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 된 다양한 양태 및 특성은 가능하면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양상, 예를 들어 명세서에 기재된 양상 및 설명 또는 첨부된 종속항에 기술 된 양태 및 특성은 분할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허 과정에서 이미 알려진 모든 측면이나 특성은 청구되지 않으며 권리 불요구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커피가 전달되는 매번마다 커피 또는 다른 음료의 제조를 위해 기계의 추출 챔버 내에 수동으로 카트리지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커피 또는 다른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업자가 이를 제거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된 카트리지를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편적인, 즉 커피 및/또는 분말 물질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다른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상이한 유형의 기계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사용하기 쉽고, 사용을 위해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기계에 대한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주어진 몇몇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도 1의 자동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실시예의 도 1의 단면 A를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비활성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상세도의 도 3의 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비활성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상세도의 도 1의 단면 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상세도의 도 1의 단면 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추출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상세도의 도 1의 단면 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이한 동작 조건에서 도 7의 상세도의 도 1의 단면 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단면 C을 따라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단면 C을 따라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11은 카트리지 배출 위치를 향해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상세도의 도 1의 단면 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단면 B를 따라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13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은 음료 추출 유닛과 협력하여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의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의 다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의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의 배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XX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XXVI-XXV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XXVII-XX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도 27의 XXVIII-XXV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서 동일한 공통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가능한 경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다. 일 실시예의 요소들 및 특성들은 더 이상의 설명없이 다른 실시예들로 편리하게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이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로 도시된 또는 설명된 특성은 다른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 또는 그와 관련하여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배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본 발명의 설명이 제한되지 않음을 또한 명확히 해야 한다. 본 설명은 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획득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제한적으로 간주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해야 한다. "함유하는", "포함하는", "갖는" 및 이들의 변형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그 뒤에 나열된 요소 및 그 등가물 및 추가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장착된", "연결된", "지지된" 및 "결합된" 및 그 변형과 같은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직접 및 간접 조립, 연결, 지지 및 결합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된" 및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 또는 결합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고온 주입, 즉 끓는 물 및/또는 가압 증기로 여과함으로써 원하는 음료를 얻기 위해, 분말 형태의 물질을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커피 또는 다른 음료의 제조 기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10)를 설명한다. 커피 이외의 다른 음료의 예로는 차, 초콜렛, 약탕, 예를 들어 허브, 과일 또는 다른 채소 등을 우린 차, 우유 또는 유사 음료 또는 음료 형태로 소비되는 유사한 음식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카트리지는 금속, 플라스틱, 생분해성 플라스틱 또는 폴리락트산(PLA)과 같은 기타 생분해성 또는 퇴비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원에서 설명된 카트리지(14)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유닛(16)을 포함하는 장치(10)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장치(10)는 또한
- 복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 및 공급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 또는 카트리지 로더(12),
- 적어도
카트리지(14)(도 6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
음료 추출 유닛(16)(도 7 및 도 8 참조)과 정렬되고,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하며, 음료를 전달시키는 음료 추출 위치,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상기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음료 추출 위치 모두에서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가지며, 또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갖는다(예를 들어, 도 11, 12).
여기 또는 이후에서 "자동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자동으로"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은, 조작자 또는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카트리지 이동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14)를 수용하여 음료 추출 위치로 이송한 후, 연속적으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카트리지 배출 위치로 축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또한 커피 또는 다른 음료를 생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물 공급원, 예를 들어 물이 수용된 탱크 및 물을 탱크로부터 여과(percolation) 및 음료의 전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추출 헤드로 가져오도록 구비된 유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추출 유닛(16)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을 수용하는 탱크 및 유압 회로는 공지된 유형일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을 사용하여 기술된 실시예에 따라, 장치(10)는 베이스(25)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 벽(26)에 의해 상부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된 측벽(24)을 갖는 외부 수납 쉘(21)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외부 수납 쉘(21)의 전방에 배치된다. 외부 수납 쉘(21)은 내부에 추출 챔버(15)를 구비한다. 추출 챔버(15)는 음료 추출 위치에 카트리지(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음료 추출 유닛(16)은 음료를 전달시킬 수 있게 작용하도록 제공된다.
그 내부에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 음료 추출 유닛(16) 및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수용하는 외부 수납 쉘(21)의 체적(V)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 수납 쉘(21)의 측벽(24), 베이스(25) 및 상부 벽(26)은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대응하여 제공된 전방부(27) 및 전방부(27)에 대향하는 후방부(28)와 결합한다. 특히,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외부 수납 쉘(21)의 전방부(27)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일부 실시 예에서, 장치(10)는 또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배출 챔버(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외부 수납 케이싱(21)의 체적(V)은 또한 카트리지 배출 챔버(18)를 수용한다.
전방부(27) 상측은 음료 추출 유닛(16)을 내부에 수용하고, 그것에 견고하게 부착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돌출 수용체(29)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 경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돌출 수용체(29) 상에 배치된다.
전방부(27) 하측은 음료 추출 유닛(16)으로부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의 연장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지지 베이스(30)를 가지며, 카트리지(14)를 통해 가압된 열수의 여과(percolation)를 통해 얻어진 음료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머그컵, 컵, 글라스 또는 임의의 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또한 어떠한 카트리지(14)도 지지하지 않는 비활성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비활성 위치는 음료 추출 위치와 일치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비활성 위치는 음료 추출 위치와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음료 추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4 내지 12를 사용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카트리지 지지 구조가 조립된 구성일 수 있는 반면, 카트리지 해제 구조는 그 분해된 구성일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지지 구조는 지지 베이스를 공급하는 카트리지(14)를 지지하는 것을 제공하는 한편, 카트리지 해제 구조에서는 지지 베이스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도록 전복되거나 뒤집힐 수 있다.
도 4 내지 12를 사용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조립된 구성 및 분해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조립된 구성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세미-쉘 또는 세미-슬라이더(32)와 후방 세미-쉘 또는 세미-슬라이더(34)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에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분해된 구성에서 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특히, 이러한 분리는 카트리지가 배출되기 위해 카트리지(14)가 더 이상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 또는 그 일부에 의해 적절하게 지지되지 않고 중력 및/또는 적절한 추출기, 스러스터(thruster), 이젝터 또는 유사한 부재의 영향으로 자유 낙하할 수 있기에 적합하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조립된 구성일 때, 전방 세미-쉘(32)과 후방 세미-쉘(34)은 서로에 대해 카트리지(14)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 오목 안착부(46)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은 카트리지(14)의 상부 부분의 프로파일에 적응하도록 에지를 길게 지지하는 형상을 갖는 홈(48)을 갖는다.
카트리지(14)는 오목 안착부(46)에 삽입될 수 있고 홈(4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제로, 카트리지(14)는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 엣지(49) 또는 칼라를 갖는 상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어서, 상보적인 프로파일, 이 경우에는 오목 안착부(46)의 그루브(48) 상에 놓일 돌출부를 생성한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4)는 오목 안착부(46)와 상보적인 절두 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오목 안착부(46)는 결합된 전방 세미-쉘(32)과 후방 세미-쉘(34)에 의해 측 방향으로만 경계가 정해진다. 오목 안착부(46)는 상부에서 카트리지(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하부에서 음료의 전달 및 사용된 카트리지(14)의 후속 배출을 허용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은 이송 슬라이더(20)의 조립된 구성에서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에 의해 카트리지 서로에 대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9 및 도 10를 사용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52)를 포함한다. 레버(52)는 오목 안착부(46)에 대해 외부 부분에서 전방 세미-쉘(32)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56) 상에서 핀(54)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58), 가능하면 복수의 결합 요소(58)를 포함한다. 결합 요소(58)는 레버(52)와 협력하여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52)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58)에 적응하고 연결되도록 구성된, 후크 형상을 갖는 자유단(60)를 가질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58)는 오목 안착부(46)에 대해 외부 부분에서, 전방 세미-쉘(32) 상에 존재하는 레버(52)의 측면에 대응하여, 적어도 후방 세미-쉘(34)의 측벽(62)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58) 또는 복수의 결합 요소(58)는 후방 세미-쉘(34)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역으로 배치 될 수 있으며, 특히 레버(52)는 후방 세미-쉘(34)에 대해 선회될 수 있고 결합 요소(58)는 전방 세미-쉘(32)에 연결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전방 세미-쉘(32)의 각 측벽(56)에는 레버(52)가 있고, 후방 세미-쉘(34)의 각 측벽(62)에는 결합 요소(58)가 있다.
가능한 변형 예에 따르면,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자석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 타입의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한 쌍의 자석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극성이 결정된 제1 자석 요소는 전방 세미-쉘(32)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자석 요소와 극성이 상이한 제2 자석 요소는 후방 세미-쉘(34)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자석 요소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동일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고, 동일한 상대적 높이에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조립된 구성에서, 제1 및 제2 자석 요소는 서로 끌어당겨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석 요소는 예를 들어, 칼라마이트(calamite) 또는 전자석과 같은 영구 자석이거나, 자석 요소 중 하나가 칼라마이트인 반면 다른 자석 요소는 그 자기 특성으로 인해 칼라마이트에 의해 끌어당겨질 수 있는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가능한 변형에 따라, 각각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의 각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된 2 쌍의 자석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 도 17 및 도 18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복수의 자석 요소(47) 및 대응하는 강자성 요소(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34) 또는 그 반대로, 또는 교차하는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전방 세미-쉘(32)은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14)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이젝터 요소(35)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조립된 구성에서 이젝터 요소(35)는 전방 세미-쉘(32)의 중공 내부에 한정되어 중공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될 수 있다.
조립된 구성으로부터 분해된 구성까지 통과하는 동안, 이젝터 요소는 핀 상에서 회전하고 중공으로부터 빠져 나와서 카트리지(14)를 가압한다.
도 5, 도 11,도 12 및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로부터 사용된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해제 구조에서 카트리지(14)와 협업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 인출 또는 유지 요소(55)가 제공된다. 가능한 예에서, 예를 들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탄성 인출 요소(55)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하나 또는 두 개의 탄성 인출 요소(55)는 후방 세미-쉘(34)에 고정된다.
탄성 인출 요소(55)는 전방 세미-쉘(32)에 대해 후방 세미-쉘(34)의 분리 운동에서 카트리지(14)의 유지 및 견인 요소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14)가 이동하는 후방 세미-쉘(34)을 따르도록 하는 탄성 인출 요소(55)는 후방 세미-쉘(34)과 일시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카트리지(14)를 전방 세미-쉘(3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이후, 소정의 견인력이 가해지면, 탄성 인출 요소(55)는 배출될 수 있는 카트리지(14)를 배출하고 더 이상 유지하지 않을 때까지, 후술할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젝터 요소(37)의 도움을 받아 점차적으로 변형되고 넓어진다. 예를 들어, 탄성 인출 요소(55)는 얇은 금속 블레이드 또는 포일, 특히 탄성 스프링, 더욱이 탄성 포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인출 요소(55)는 본질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14)의 측면의 형상과 정합한다.
특히, 탄성 인출 요소(55)는 예를 들어 나사(53) 또는 다른 부착 부재에 의해 일 단부가 후방 세미-쉘(34)의 측벽(62)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인출 요소(55)는 비활성 상태에서 전방 세미-쉘(32)을 향해 연장되는 자유 단부가 카트리지(14)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전단 세미 쉘(32)에 구속된 단부와 반대편의 자유 단부에 대응하여 탄성을 가지므로, 탄성 인출 요소(55)는 응력을 받으면, 외부를 향해 넓어지면서 변형되어 카트리지(14)를 통과시키고, 그러므로 카트리지는 탄성 인출 요소(55)에 의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 사실상, 탄성 인출 요소(55)는 카트리지(14)가 카트리지(14)가 탄성 인출 요소(55)의 자유 단부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는 그 이상에서, 노 리턴(no return) 지점을 통과할 때까지 확장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안착부(57)는 탄성 인출 요소(55)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전방 세미-쉘(32)에 제공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 인출 요소(55)를 인입시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인출 요소(55)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카트리지(14)가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형상에 맞게 전방 세미-쉘(32)에 넣어져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세미-쉘(34)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통과하도록 변환될 때, 전방 세미-쉘(32)로부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인출 요소(55)는 카트리지(1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카트리지(14)가 후방 세미-쉘(34)과 함께 옮겨져 그것의 분리를 결정할 때, 카트리지(14)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이젝터 요소(37)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젝터 요소(37)는 전술한 이젝터 요소(35)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일 수 있다.
이젝터 요소(37)는 안착부(64) 내에, 상부에 근접하여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젝터 요소(37)는 카트리지(14)의 이동(translation) 운동과는 반대 방향으로, 사용된 카트리지(14)와 간섭하도록 구성되어, 카트리지를 유지하거나 카트리지 배출 챔버(18) 아래로 떨어뜨리는 탄성 인출 요소(55)의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한다.
이젝터 요소(37)는 예를 들어, 그것이 이동식인지 또는 고정식인지에 따라 수용되거나 공급되는 추력(thrust)에 의해 카트리지(14)와 간섭할 수 있다. 특히, 이젝터 요소(37)는 고정되어 카트리지(14)의 충격을 수용할 수 있거나, 이동 가능하여 카트리지(14)에 양의 추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젝터 요소(37)는 예를 들어 못(peg), 바, 핀, 티스(tooth) 또는 유사하거나 카트리지(14) 자체의 움직임에 반대로 반대 방향으로 카트리지(14)와 선형적으로 간섭할 수 있는 유사한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세미-쉘(34)은 그 후방에 이젝터 요소(37)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그루브(48)에 대응하여 리세스(recess) 또는 통로 채널(63)을 가질 수 있어서, 카트리지(14)와의 접촉에 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젝터 요소(35, 37)의 존재로 인하여, 주입된 물 또는 증기의 압력, 또는 과도한 열 때문에 추출 단계 동안 카트리지(14)가 변형되는 경우, 사용된 카트리지(14)의 배출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 및 도 11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장치(10)는 적어도 카트리지 장착 위치, 음료 추출 위치 및 카트리지 배출 위치를 추정하도록,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이동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부재(2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22)는 전기 모터, 공압 모터, 유압 피스톤, 압전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구동 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22)는 또한 원형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운동 전달 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부재(22)는 구동 부재(36)에 의해 전달된 원형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환은 일반적으로 잭 스크류, 볼 스크류 액츄에이터 및 롤 스크류 액츄에이터와 같은 스크류 액츄에이터, 또는 드럼, 기어, 풀리 또는 샤프트 등과 같은 휠 및 축, 레이징 케이블(raising cable), 윈치(winch), 랙 앤드 피니언 유닛(a rack and a pinion unit), 체인 트랜스미션, 벨트 트랜스미션 리지드 체인 및 리지드 벨트(견고한 체인 및 강체 벨트)를 가진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메커니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도 11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전달 부재(38)는 구동 샤프트(40)를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40)는 일단에 의해 구동 부재(36)에 연결되고 구동 부재(36)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만들어진다. 운동 전달 부재 부재(38)는 또한 구동 샤프트(40)의 자유단에 견고하게 부착된 톱니 바퀴(42)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36)는 구동 샤프트(40)를 회전축(X)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구동 샤프트(40)는 차례로 그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된 톱니 바퀴(42)를 회전시킨다.
가능한 구현 예에서, 톱니 바퀴(42)는 랙(44)과 결합될 수 있어서, 톱니 바퀴(42)의 톱니가 랙(44)의 톱니와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40)의 회전 운동은 수평 방향(D)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랙(44)은 나사(45)에 의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후방 세미-쉘(34)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이러한 방식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지지 구조, 특히 조립된 구성에 있을 때,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운동을 작동시킨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해제 구조, 특히 분해된 구성에 있을 때, 랙(44)은 오직 후방 세미-쉘(34)만의 운동을 작동시켜, 축(X) 둘레로 구동 샤프트(40)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여(도 11), 전방 세미-쉘(32)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근처로 가져간다 .
도 3 내지 12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안착부(64)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안착부(64)는 측방향 한정 요소(66)에 의해 측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고, 이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측방향 한정 요소(66)는 안착부(64)의 내부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방향 D로 직선 운동 중에 측 방향으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지지하는 지지 요소(68)를 포함할 수 있다.
측 방향 한정 요소(66)는 적어도 하나의 홈(70), 특히 안착부(64)의 각각의 종 방향 벽에 대응하는 홈(70)을 종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홈(70)은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와 협업하여,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의 결합 해제를 작동시킨다.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홈(7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전방부(27)를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반면, 후방부(28)를 향하는 방향에서 상향 경사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부재(22)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음료 추출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배출 위치로 이동시킬 때, 측면 제한 요소(66)와 함께 홈(70)의 형태는 레버(52)가 핀(54) 둘레를 회전하여 결합 요소(58)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분리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측 방향 한정 요소(66)는 레버(52)의 형상에 상보적인 각형 단부를 갖는 성형 요소(66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 요소(66a)를 만날 때, 레버(52)는 이로써 간섭되고, 핀(54) 주위로 강제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방 세미-쉘(32)과 후방 세미-쉘(34)은 분리되고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분해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취한다.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전방 세미-쉘(32)은 하부에 각각의 측벽(56)에 근접하여, 후방부(28) 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59)를 포함한다. 또한, 후방 세미-쉘(34)은 측벽(62)으로부터 돌출하여 슬라이딩 가이드(59) 상에 안착되는 적당한 돌출 지지 요소(61)를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지지 구조로부터 카트리지 해제 구조로 또는 그 역으로 통과하는 동안, 슬라이딩 가이드(59)는 전방 세미-쉘(32)로부터 멀어지거나 향해가도록 슬라이딩하는 동안의 후방 세미-쉘(34)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후방 세미-쉘(34)의 각각의 측 방향 부분(62) 상에 제공된 각각의 돌출 지지 요소(61)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전방 세미-쉘(32)의 각 측벽(56)과 관련된 2 개의 슬라이딩 가이드(59)가 제공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전방 세미-쉘(32)은 하부에 각각의 측벽(56)에 근접하여, 후방부(28)를 향해 연장되고, 각각의 측벽(62)에 대응하여 후방 세미-쉘(34)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 적절한 공동에 삽입 및 결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가이드(59)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부재(22)에 의해 이동된 후방 세미-쉘(34)은 전방 세미-쉘(32)의 슬라이딩 가이드(59) 상에서 항상 그에 구속된 채로 전방 세미-쉘(32)로부터 멀어지거나 향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의보다 용이한 결합이 제공될 수 있고, 카트리지 지지 구조로부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카트리지 해제 구조까지 및 그 반대의 경우에서의 통로에서 더 큰 효율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세미-쉘(32)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위치를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또는 음료 추출 위치에서 보다 안정하게 만들 수 있고, 및/또는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후방 세미-쉘(34)로부터의 전방 세미-쉘(32)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지 요소(72)와 협력할 수 있다.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요소(72)는 전방 세미-쉘(32) 및/또는 지지 베이스(74) 상에 배치되어 전방 세미-쉘(32)과 지지 베이스(74)의 왕복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
가능한 구현예들에서, 지지 베이스(74)는 음료 추출 유닛(16)과 정렬하여 위치될 수 있고, 안착부(64)의 지지 요소들(68)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들에서, 전방 세미-쉘(32) 상의 유지 요소들(72)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안착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베이스(74)의 유지 요소(72)는 또한 지지 베이스(74)에 삽입되고, 예를 들어 스프링(80)에 의해 그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핀(7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80)이 더 이상 응력을 받지 않는 유지 안착부(76)와 정렬될 때, 스프링(80)은 유지 안착부(76)에 핀(78)을 삽입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핀(78)은 전방 세미-쉘(32)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유지 안착부(76)는 지지 베이스(7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유닛(16)과 정렬된 음료 추출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배출 위치, 즉 카트리지 배출 챔버(18)를 향하여 이동할 때, 유지 안착부(76)는 핀(78)을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방 세미-쉘(34)이 계속 이동하고,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예를 들어 조립된 카트리지 지지 구조(예를 들어, 도 7 및 8 참조)으로부터 카트리지 해제 구조(예를 들어, 도 11 및 12 참조)까지 통과하는 동안, 전방 세미-쉘(32)이 유지된다.
가능한 구현들에서, 지지 베이스(74)는 카트리지 배출 챔버(18)의 에지에 도달할 때 전방 세미-쉘(32)에 대한 주행 종료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후방 세미-쉘(34)은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위치를 안정화시키는 유지 요소(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오목 안착부(46)는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와 완벽하게 정렬되고,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의해 공급되는 카트리지(14)는 오목 안착부(46)에 완전히 삽입되어 홈(48)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세미-쉘(32)은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어,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오목 안착부(46)를 카트리지(14)와 정렬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복수의 카트리지(14), 특히 미리 결정된 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카트리지(1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단면을 갖는 중공 실린더를 의미하는 튜브형 또는 원통형을 가진 카트리지 용기(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용기(82) 내부의 카트리지(14)는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특히, 카트리지(14)의 열이 카트리지 용기(82) 내에 삽입되어 형성되며, 여기서 제1 카트리지(14)는 카트리지 열, 즉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의해 추출 챔버(15) 내로 각각 삽입되는 카트리지의 열에서 가장 낮은 카트리지를 정의한다.
카트리지 용기(82)는 상부 개구(84)와 하부 개구(86)를 갖는다.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또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딩하는 베이스(88)를 포함한다.
전방부(27)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장치(10)의 상부 벽(26)으로부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의 하부 개구(86)까지 연장되는 수직 개구(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개구(90)는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 내부에서 이용 가능한 카트리지(14)의 개수를 항상 표시하여, 카트리지가 거의 소진될 때 즉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 용기(82)에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14)의 수는 카트리지 용기(82)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4)의 최대 개수는 예를 들어 2보다 많은 수, 예를 들어, 3, 4, 5, 6, 7, 8, 9, 10 또는 10보다 큰 수일 수 있다. 그들이 카트리지 용기(82)에서 너무 길게 유지되지 않고 그들의 감각적 특성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과도한 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당연히 음료의 준비 및 소비 빈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개구(84)는 스토퍼(92)에 의해 폐쇄되어 카트리지(14)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카트리지가 너무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을 때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개구(86)는 카트리지(14)를 위한 통로 또는 개구(87)을 형성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14)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통로(87)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한 번에 하나의 카트리지(14)를 공급할 수 있게 카트리지(14)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이동 폐쇄 요소(94)에 의해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환 될 수 있으며, 통로(87)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취한다.
도 5 내지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폐쇄 수단(94)이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전방 세미-쉘(3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폐쇄 수단(94)은 카트리지 용기(82)에 적층 된 카트리지(14)를 지지하여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폐쇄 수단(94)은 이송 슬라이더가 비활성 위치에 있을 때 하부 개구(8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고, 음료를 추출하거나 사용된 카트리지(14)를 꺼내기 적합한 편평한 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부(27)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장착 위치 내에 있을 때 이동 폐쇄 수단(94)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수평 슬릿(96)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이동 폐쇄 수단(94)은 통로(87)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취한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이동 폐쇄 수단(94)은 통로(87)를 "닫힌" 상태로 복귀시키고, 나머지 카트리지(14)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이동 폐쇄 수단(94)은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포함된다. 이동 폐쇄 수단(94)은 유지 수단,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장착 위치로의 이동에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통로(87)를 "개방" 상태로 하고 카트리지(14)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이동 폐쇄 수단(94)을 가압한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면, 더 이상 응력을 받지 않는 스프링이 이동 폐쇄 수단(94)을 원래의 상태로, 통로(87)를 "폐쇄" 상태로 복귀시킨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14)는 수용 안착부(26)에 의해 지지될 뿐만 아니라, 지지 안착부(98)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안착부(98)는 지지 베이스(74) 상에 형성되고, 음료 추출 유닛(16)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는 관통 개구(100)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추출 유닛(16)은 추출 헤드(102), 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을 취하여 추출 헤드(102)에 가압 열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압 회로, 및 추출 헤드(10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부재(104)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위치 설정 부재(104)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있는 카트리지(14)에 근접하여 추출 헤드(102)를 위치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 헤드(102)는 카트리지(14)와 협동하여, 이를 천공하여 카트리지(14) 내부에서 가압하에 물의 통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추출 헤드(102)는 카트리지(14)의 상부를 천공하여, 통로를 생성하고 가압 열수를 카트리지(14) 내로 주입하도록 그 안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첨단 단부(pointed end, 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 헤드(102)는 지지 플레이트 또는 지지 전달체(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추출 헤드(102)는 지지 플레이트(110)에 제공된 공동(108) 내에 수용될 수 있고, 공동(108)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 및 추출 헤드(102)는 그것과 함께 비활성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및 그 역으로 수직 방향(F)(도 7 및 도 8)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면(106)의 수직 직선 운동은 위치 설정 유닛(104)에 의해 작동된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하강시, 상부에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실제로 폐쇄하고, 추출 챔버(15) 내의 카트리지(14)의 음료 추출 위치에서, 음료 추출 유닛(16)이 음료를 전달시키도록 작동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위치 설정 유닛(104)은 구동 샤프트(114)가 구비되고, 지지면(106)의 원하는 운동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부재(112)는 특히 , 고유하게 회전하는 운동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모터일 수 있거나, 또는 선형 운동을 원형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유닛(104)은 또한 위치 설정 부재(116)를 포함한다. 위치 설정 부재(16)는 구동 샤프트(112)와 연계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위치 설정 부재(116)는 특히 구동 샤프트(114)의 원형 운동을 지지 플레이트(110)의 수직 방향(F)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위치 설정 부재(116)는 원형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달하고 변환하기에 적합한 공지된 유형의 기구일 수 있다. 기구의 유형은 잭 스크류, 볼 스크류 액츄에이터 및 롤 스크류 액츄에이터 등의 스크류 액츄에이터, 또는 예를 들어 드럼, 기어, 풀리 또는 샤프트 등의 휠과 축, 랙 및 피니언 유닛, 체인 트랜스미션, 벨트 트랜스미션, 단단한 체인 및 강체 벨트가 있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설정 부재(116)는 웜 스크류(118)를 포함할 수 있다. 웜 스크류(118)는 구동 샤프트(114)에 부착되고 구동 샤프트(114)와 일체로 회전한다.
웜 스크류(118)는 연결 요소(120)와 연계될 수 있다. 연결 요소(120)는 웜 스크류(118)와 결합되는 일 측면 상에 나선형 티스(teeth)를 가지며, 다른 측면에 실린더(122)가 안정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다.
연결 요소(120)는 웜 스크류(118) 자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웜 스크류(118)를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구속된다.
두 개의 캠 요소(124)는 실린더(122) 상에서 연결 요소(120)에 대해 한 측에 하나, 다른 측에 하나씩 결합된다. 캠 요소(124)는 구동 샤프트(11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추출 헤드(102)를 하향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상방으로 취할 수 있도록, 휠 요소(126)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10)에 슬라이딩식으로 구속되는 편심 요소이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110)는 꼭지점이 아래로 향하는 원뿔 형태의 돌출 요소(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요소(125)는 전방 세미-쉘(32) 및/또는 후방 세미-쉘(34) 상에 존재하는 상보적인 형상의 공동(127)과 협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플레이트(110)가 하방으로 이동될 될 때, 지지 플레이트(110)의 돌출 요소(125)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공동(127)에 삽입될 수 있고, 추출 및 후속적인 음료의 전달 동안 두 요소의 안정적인 결합을 달성한다.
추출 헤드(102)가 카트리지(14)의 내부에 삽입되면, 추출 헤드(102)는 카트리지(14)에 수용된 분말 물질을 통해 물을 퍼콜레이트(percolate)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규정된 온도 및 압력으로 열수를 주입한다.
제조된 음료는 관통 개구(100)을 통해 흐르고, 장치(10)의 전방부(27)에 대응하여 지지 베이스(30)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적절한 컵 또는 유리에 수집된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 챔버(18)에 대응하여, 지지 베이스(74)는 카트리지(14)의 배출 개구보다 큰 배출 개구(128)를 갖는다.
개구(128)는 역시 카트리지(14)의 배출 챔버(18)로의 낙하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사실상, 전방부(27)를 향한 벽에서, 개구(128)는 카트리지(14)를 지지하지 않도록, 카트리지(14)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이동하는 방향(D)에 수직으로 벽을 갖는다. 한편, 후방부(28)를 향한 벽에서는, 상방에서 아래로 넓어지도록 뒤집어진 원추형 상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카트리지(14)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배출 챔버(18) 내로 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지지 구조(도 7 및 도 8)로부터 카트리지 해제 구조(도 11 및 도 12)으로 통과할 때, 초기의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서 더 이상 그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사용된 카트리지(14)는 배출 개구(128)를 통과하여 배출 챔버(18)에 도달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전달 후에,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이동 부재(22)에 의해 D 방향으로 이동된 카트리지 배출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D 방향으로의 이동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전방 세미-쉘(32) 및 지지 베이스(74) 상에 존재하는 유지 요소(72)가 결합하여 전방 세미-쉘(32)을 차단할 때까지 계속된다.
동시에, 측 방향 한정 요소(66)는 전방 세미-쉘(32)을 후방 세미-쉘(34)로부터 분리하도록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와 협업하여, 카트리지(14)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전방 세미-쉘(32)만이 후방부(28)를 향하여 이동을 계속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탱크로부터 내보내진 물을 음료의 퍼콜레이션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써모-블록(thermo-block,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조합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는 역류 방지 전자 밸브(non-return electro-valve, 13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밸브(132)는 카트리지 내에서 가압된 열수의 주입으로 인한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물의 주입 후에 그리고 압력 때문에, 음료와 혼합된 물, 예를 들면 커피와 혼합된 물이 유압 회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14)의 자동 공급 장치(10)는 사용자가 음료를 선택할 때 구동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133)가 전방부(27)에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명령 장치(132), 예를 들어 선택 버튼, 터치 스크린, 또는 장치(10)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명령 장치(132)는 신호를 처리하고 선택된 음료의 전달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36)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136)은 작업 사이클의 제어, 자동화 또는 관리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명령 장치(132)를 사용하여 음료 또는 해야할 작업을 선택할 때, 이들은 제어 유닛(136)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각각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 및 추출 헤드(102)를 움직이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36, 112)를 순서대로 구동한다
음료를 제조하는 명령에 따라, 구동 부재(36)는 이동 부재(22)를 구동시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로부터 카트리지(14)를 수용하고, 그 다음에 이동 부재(22)는 그것을 음료 추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카트리지(14) 내로 가압 하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 구동 부재(112)가 구동되어 위치 설정 부재(116)가 추출 헤드(102)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도록 이동한다.
가압 하에 열수를 카트리지(14) 내로 주입한 직후에, 적절한 컵 또는 글라스 내로 커피가 직접 전달된다.
커피 추출 단계가 완료되면, 구동 부재(112)는 위치 설정 부재(116)를 구동하여 추출 헤드(102)를 상방으로 복귀시키고, 구동 부재(36)는 이동 부재(22)를 구동하여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카트리지 배출 위치로 이동시킨다.
전방 세미-쉘(32)이 유지 요소(72)에 의해 클램핑될 때, 후방 세미-쉘(34)은 전방 세미-쉘(3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D로 직선 운동을 계속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카트리지 지지 구조로부터 카트리지 해제 구조로 이동하고, 더 이상 오목 안착부(46)를 갖지 않아, 카트리지(14)가 떨어지거나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장치(10)는 사용자가 카트리지(14)를 수동으로 적재하거나 사용되었을 때 그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자동 방식으로 음료를 준비하게 한다.
도 14, 15, 16, 17 및 18은 여기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장치(10)는 추출 헤드(102)와 결합된 지지판(110)에 대해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센터링 시스템(150)을 구비한다.
이러한 측면은 유리하게도, 예를 들어 발생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110)와의 부정확 또는 정확하지 않은 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센터링을 향상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장점은 지지 플레이트(110)와 추출 헤드(102)를 하강시키고 해제하는 사이클 시간의 감소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센터링 시스템(150)의 존재로 인하여, 지지 플레이트(110)는 센터링 시스템(150)이 없는 솔루션과 비교하여 낮은 초기 위치에서 시작할 수 있고, 하강 시간과 상승 시간 모두의 감소가 있기 때문이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센터링 시스템(150)은 지지 플레이트(110)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제공되는 맞물림 센터링 홈 또는 안착부(154)를 포함한다.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는, 지지 플레이트(110)가 F 방향으로 하강 이동할 때,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정확한 정렬 위치로 동반시킨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는 돌출된 티스(teth), 특히, 내부 플레어(flare)를 갖는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조율된 방식으로 센터링 홈(154)은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사선의 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터링 홈(154)은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를 위한 리드인(lead-in)으로 동작한다. 지지 플레이트(110)에서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의 위치와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서 센터링 홈(154)의 위치는 맞닿는데(coordinate), 즉, 센터링 홈(154)은 지지 플레이트(110)의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가 맞물리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동일한 구역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둘, 셋, 넷 또는 그 이상의 성형된 센터링 부재(152)가 제공될 수 있고, 대응되는 숫자의 센터링 홈(154)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8은 트리지 공급 챔버(12)가 제거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가능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공급 챔버(12)는 장치(10)의 외부 수납 케이싱(21), 이 경우 전방부(27)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 공급 챔버(12)는 외부 수납 케이싱(21)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70)을 포함한다.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은 상기 카트리지 용기(82)를 지지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과 착탈을 위해, 외부 수납 케이싱(21)은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과 착탈되도록 설정된 고정된 지지 유닛(164)과 함께, 전방, 예를 들어 전방부(27)에 제공된다. 이런 목적으로,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은 한 쌍의 부착 블레이드(166)를 포함한다. 부착 블레이드(166)는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의 부착/분리를 돕기 위해, 유리하게 탄성이 있다. 더욱이, 부착 블레이드(166)는 끝단에 정지 쐐기(168)를 구비하고,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 지지 유닛(164)은 조정된 부착 안착부(170)를 구비한다. 정지 쐐기(168)는 부착 안착부(17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고정된 지지 유닛(164)은 바람직하게는 정렬 가이드(172)를 구비한다.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은 상기 부착 블레이드(166)에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차단/차단해제 버튼(162)을 구비한다. 차단/차단 해제 버튼(162)에 의해 고정된 지지 유닛(164)에 대해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의 차단/차단해제가 가능하다. 특히, 고정된 지지 유닛(164)로부터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은 파지될 수 있고, 바깥쪽으로 당겨져 차단/차단해제 버튼(162)이 눌러질 수 있다. 후자는 두 개의 각각의 부착 블레이드(166)에 작동하여, 눌러지면, 부착 안착부(170)로부터 끝단에서 두 개의 정지 쐐기(168)의 분리가 일어나서, 외부 수납 케이싱(21)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카트리지 공급 챔버(12)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 고정된 지지 유닛(164)에 대해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을 위치시키는 것은 충분하고, 따라서 부착 블레이드(166)와 각각의 정지 쐐기(168)는 끝단에서 상기 정렬 가이드(172)와 정렬이 되고, 제거 가능한 하우징 안착부(160)를 정지 쐐기(169)까지 밀고, 부착 안착부(170)는 결합된다.
카트리지 공급 챔버(12)가 외부 수납 케이싱(21)로부터 제거 가능한 실시예는 카트리지 공급 챔버(12)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고, 예를 들어 카트리지(14)의 막힘 또는 장애의 경우 또는 추출 챔버(15)에서 장치(10)의 정확한 작동을 막는 다른 문제 또는 청소 및/또는 유지를 위해서 수동 또는 공구를 가지고 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출 챔버(15)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 내지 도 28은, 여기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카트리지 공급 챔버(12)가 카트리지 용기(82)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컬럼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제1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1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80)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측면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공급 챔버(12)가 제거 가능한 실시예들의 조합에 유리한데, 이는 카트리지 용기(82)를 비우지 않고 카트리지 공급 챔버의 제거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 공급 챔버(12)가 제거될 때, 카트리지(14)는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제1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80)은 카트리지 공급 챔버(12)가 각각 제거되고 외부 저장 케이싱(21)에 연결될 때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80)은 조우(jaw) 또는 그리퍼(gripper)로서 설정되고 스프링(184)(도 22 및 27)에 의해 명령되는 두 개의 제1 카트리지 유지 블레이드(182)(도 21, 22, 23, 25 및 27)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제1 카트리지 유지 블레이드(182)는 제1 카트리지의 상부 크라운(crown) 또는 뚜껑(lid)이 있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에 배치된다.
제1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8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이 고정된 지지 유닛(164)에 연결될 때, 두 개의 제1 카트리지 유지 블레이드(182)는 고정된 지지 유닛(164)의 형상 및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제1 카트리지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의한 추출 챔버(15)에서 카트리지(14)의 정상적인 장착(loading)을 방해하지 않다. 대신에,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이 고정된 지지 유닛(164)으로부터 추출될 때, 두 개의 제1 카트리지 유지 블레이드(182)는, 스프링(184)의 동작으로 인해, 자동으로 제1 카트리지 근처로 이동하여 움켜잡고(gripping) 고정한다(clamping). 이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 공급 챔버(12)가 외부 수납 케이싱(21)으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될 때, 카트리지(14)가 하부로부터 카트리지 용기(82) 밖으로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도 19 내지 도 28을 사용하여 설명되고, 본원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와 결합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제2 카트리지, 즉 카트리지 용기(82) 내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열에서 제1 카트리지 바로 위에 있는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제2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90)을 구비한다. 이러한 측면은 제1 카트리지가 추출 챔버(15) 내에 위치되도록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삽입될 때, 제2 카트리지가 제1 카트리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카트리지(190)는 제거 가능한 하우징 케이싱(160)에 배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9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슈(192)(예를 들어, 도 21, 도 23, 도 24, 도 25 및 도 28 참조)를 포함하며, 그것은 각각의 구동 레버(194)에 연결되어 명령한다(예를 들어,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8 참조). 구동 레버(194)는 선회 요소(197)에 의해 실질적으로 중앙 영역에서 선회된다. 또한, 구동 레버(194)는 대향 단부에 횡 방향으로 위치된 정지 요소(196)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정지 요소(196)는 못, 핀, 실린더, 작은 판, 텅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스프링(198)은 정지 요소(196)에 맞춰진다. 정지 요소(196)는 구동 레버(194)를 횡단하며 내부, 즉 제2 카트리지가 있는 영역을 향하여 대면하고, 제2 카트리지와 결합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동 슈(192), 구동 레버(194) 및 정지 요소(196)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의 유사한 그룹은 카트리지의 열에 대해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90)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제 1 카트리지의 장착 이동을 진행할 때, 특히 원하는 이동에 의해 이동 슈(192)를 외부로 밀어 낸다. 결과적으로, 이동 슈(192)가 연결되는 구동 레버(194)는 그 하부에서 멀어지고, 실질적으로 중앙 영역에서 선회되어, 정지 요소(196)를 제2 카트리지 근처로 이동시켜, 기계적으로, 특히 그것의 상부 크라운 또는 뚜껑의 약간 아래에서 클램핑하여, 제1 카트리지 아래를 방해하거나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제1 카트리지의 장착을 진행하고, 반환 주행에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의해 더 이상 외부로 가압되지 않는 이동 슈(192)가 비활성 위치로 복귀하여, 구동 레버(194)가 또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상부를 이격시키고, 정지 요소(196)를 자유롭고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제2 카트리지로부터 해제하고, 제1 카트리지에 의해 점유된 위치로 취하여,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사용을 위한 제1 카트리지가 된다. 특히, 이동 슈(192)에 대한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추력은 스프링(19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발생하여 압축을 결정하고, 더 이상 이동 슈(192)에 대해 추력이 없을 때 스프링(198)은 구동 레버(194)를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고, 따라서 정지 요소(196)는 제2 카트리지를 더 이상 간섭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영역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10)에 부품의 변경 및/또는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몇몇 특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청구항에 설명된 바와 같은 특성들 및 그에 따라 정의된 보호 범위 내의 모든 특성들을 갖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와 동등한 형태의 많은 다른 자동 장치를 확실히 달성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언급하고 있지만,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주요 보호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의 청구항들에서, 괄호 안의 도면 부호의 유일한 목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청구항들에서 청구된 보호 분야와 관련하여 제한적인 요소들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5)

  1. 카트리지(14)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유닛(16)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와,
    적어도 카트리지(14)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기 음료 추출 유닛(16)과 정렬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한 음료 추출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상기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기 음료 추출 위치 모두에서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배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는, 결합될 때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상기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카트리지(1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오목 안착부(46)를 형성하고, 분리될 때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상기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카트리지(14)를 배출시키는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세미-쉘(32)과 상기 후방 세미-쉘(34)은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핀(54)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상기 전방 세미-쉘(32)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레버(52)와, 상기 후방 세미-쉘(34)에 부착되고 상기 후방 세미-쉘(34)에 결합된 상기 전방 세미-쉘(32)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52)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는 자석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적어도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상기 음료 추출 위치, 및 상기 카트리지 배출 위치를 취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7. 제3항 및 제6항 또는 제4항 및 제6항에 있어서,
    내부에서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안착부(64)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64)는 상기 전방 세미-쉘(32)을 상기 후방 세미-쉘(3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탈착 가능한 부착 부재(50) 및 상기 이동 부재(22)와 협동하도록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홈(70)을 형성하는 측면 구속 요소(66)에 의해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22)는,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연결된 운동 전달 부재(38)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부재(36)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36)에 의해 공급된 회전 운동을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달 부재(38)는 상기 구동 부재(36)에 의해 회전하도록 만들어진 구동 샤프트(40), 상기 구동 샤프트(40)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0)와 일체로 회전하는 톱니 바퀴(42),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톱니 바퀴(42)와 협력하는 랙(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또는 음료 추출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위치 설정을 안정화하기 위해, 및/또는 카트리지 배출 위치에서 전방 세미-쉘(32)을 후방 세미-쉘(3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유지 요소(72)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와 협업하도록 구성된 지지 베이스(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하나가 다른 카트리지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동 폐쇄 요소(9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하부 개구(86)를 구비하는 원통형 용기(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폐쇄 요소(94)는 상기 하부 개구(8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translation)하는 동안 상기 하부 개구(86)을 개방하도록 상기 전방 세미-쉘(32)에 부착된, 편평한 혀 형상(tongue shap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16)은 상기 카트리지(14)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 헤드(102) 및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가 음료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추출 헤드(102)를 상기 카트리지(14)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유닛(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추출 헤드(10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유닛(104)은 구동 샤프트(114)를 구비하는 구동 부재(112) 및 상기 추출 헤드(102)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114)의 회전 운동을 수직 방향(F)으로 상기 추출 헤드(10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위치 설정 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부재(116)는 상기 구동 샤프트(114)에 견고하게 부착된 웜 스크류(worm screw, 118)와,
    한쪽 면에서 상기 웜 스크류(118)와 결합하는 티스(teeth)를 갖고, 다른 면에서 실린더(122)가 견고하게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연결 요소(12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1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 방향(F)에서 상기 추출 헤드(10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캠 요소(124)가 휠 요소(126)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에 슬라이딩되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해제 구조에서 카트리지(14)와 협업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 인출 요소(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그 퇴출을 결정하여 카트리지(14)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젝터 요소(35, 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19. 제14항 및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출 헤드(102)와 연계된 지지 플레이트(110)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를 센터링하도록 구성된 센터링 시스템(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는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 내에 존재하는 카트리지 열 내의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1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 내에 존재하는 카트리지 열 내의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1 카트리지 바로 위에 배치된 제2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카트리지 유지 시스템(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3. 카트리지(10)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장치용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로서,
    상기 슬라이더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적어도
    카트리지(14)를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 위치,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한 음료 추출 위치;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상기 음료 추출 위치 모두에서,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기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상기 사용된 카트리지(14)의 배출을 위한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는, 결합될 때 이송 슬라이더의 카트리지 지지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카트리지(1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오목 안착부(46)를 형성하고, 분리되었을 때 상기 카트리지 이송 슬라이더(20)의 상기 카트리지 해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카트리지(14)의 배출을 허용하는 전방 세미-쉘(32) 및 후방 세미-쉘(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25. 음료 추출 유닛(16)에 의해 카트리지(14)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를 사용하여 복수의 카트리지(14)를 수용 및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카트리지 공급기 챔버(12)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14)를 자동으로 수용하는 단계;
    음료의 추출 및 전달을 위하여, 상기 음료 추출 유닛(16)과 정렬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와 상이한 음료 추출 위치로 상기 카트리지(14)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추출 후에, 상기 카트리지(14)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 위치 및 상기 음료 추출 위치와 상이한 카트리지 배출 위치로 사용된 카트리지(14)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방법.
KR1020177029909A 2015-03-17 2016-03-17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KR201800084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D2015A000036 2015-03-17
ITUD20150036 2015-03-17
PCT/EP2016/055895 WO2016146793A1 (en) 2015-03-17 2016-03-17 Automated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cartrid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419A true KR20180008419A (ko) 2018-01-24

Family

ID=5317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09A KR20180008419A (ko) 2015-03-17 2016-03-17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10358A1 (ko)
EP (1) EP3270745A1 (ko)
KR (1) KR20180008419A (ko)
CN (1) CN107635439A (ko)
CA (1) CA2979936A1 (ko)
WO (1) WO2016146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3123B2 (ja) * 2016-11-29 2020-06-2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及び該変換装置に備わる取付板
IT201700069604A1 (it) * 2017-06-22 2018-12-22 Ali Group Srl Carpigiani Unità di ricezione e trattamento per capsule contenenti un preparato di base per un prodotto di gelateria.
KR101837348B1 (ko) * 2017-07-24 2018-04-19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커피 자동판매기
PT3501345T (pt) * 2017-12-22 2021-05-20 Nestle Sa Cartucho trocável para distribuidor de porção de bebid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241A (ja) * 1999-11-25 2001-06-08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US7063238B2 (en) * 2001-06-29 2006-06-20 Robert Hale Cartridge ejector for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FR2849760B1 (fr) * 2003-01-15 2005-08-26 Unic Dispositif et machine pour l'extraction d'une substance pour la production de boisson
FR2878719A1 (fr) * 2004-12-02 2006-06-09 Dominique Dautun Distributeur de dosettes, procede d'utilisation d'un tel distributeur et cartouche correspondante
JP2011518597A (ja) * 2008-04-28 2011-06-30 タタ ティー リミテッド 新鮮で温かい飲料の自動ポッドコンベア及び浸出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9936A1 (en) 2016-09-22
US20180110358A1 (en) 2018-04-26
WO2016146793A1 (en) 2016-09-22
CN107635439A (zh) 2018-01-26
EP3270745A1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9387B1 (en) Infusion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single-serving capsules with capsule centering device
AU2012298465B2 (en) Cartridge positioning system
EP1937117B1 (en) Espresso coffee machine
EP2747608B2 (en)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KR20180008419A (ko)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자동 장치
EP2747610B1 (en) Cartridge removal system
EP2520203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 powder material contained in a sealed cartridge
EP2244616B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ith granular infusion cartridge loading and ejecting device
IL152400A (en) Device for extracting a substance
EP2139369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from a powder contained in capsules
US10537201B2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