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78U - Grain pulverization machine - Google Patents

Grain pulverization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78U
KR20180003078U KR2020170001940U KR20170001940U KR20180003078U KR 20180003078 U KR20180003078 U KR 20180003078U KR 2020170001940 U KR2020170001940 U KR 2020170001940U KR 20170001940 U KR20170001940 U KR 20170001940U KR 20180003078 U KR20180003078 U KR 201800030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grain
impeller
contain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8169Y1 (en
Inventor
박회만
이선호
박종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170001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6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3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7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4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로부터 낙하하여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이 균일하도록 조절하는 공급조절부; 상기 공급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쇄핀이 돌출 형성된 원판 형태의 임펠러가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부로부터 투입된 곡물을 회전시켜 분해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곡물가루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곡물의 분쇄를 위해 회전하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 및 상기 공급조절부의 곡물에 대한 분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분쇄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건식상태에서 분쇄하기 때문에, 습식상태에서 분쇄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분쇄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어, 곡물의 식품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grind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o a hopper to which grains to be crushed are injected; A supply regulating unit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hopper and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grains dropp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to be uniform; A crush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ly control unit and rotating the crushed granular material by rotating the impregnated granular material having a disk-shaped impeller protruding from the feed adjusting unit;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rush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ground powder crushed in the crush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mpeller rotating for crushing of the grain and the crushing amount for the grain of the feed adjusting uni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ins are crushed in the dry state, the grinding amount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an in the case of grinding in the wet state and the grain can be crushed finely And the food processing ability of the grain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곡물 분쇄장치{Grain pulverization machine}[0001] Grain pulverization machine [0002]

본 고안은 곡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분쇄 시 발생하는 열을 줄이면서 곡물을 건식 상태로 분쇄할 수 있는 곡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grin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in grinding apparatus capable of grinding grain into a dry state while reducing heat generated during grain grinding.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쌀 소비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쌀 재고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벼농사를 짓는 농촌의 소득이 줄어드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he westernization of the eating habits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rice consumption by the people and a sharp increase in the stock of rice, resulting in a serious problem such as a decrease in the income of the farming villag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쌀 소비를 촉진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중에서도 쌀을 이용한 가공 식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methods for promoting rice consumption. Among them, R & D on processed foods using rice has been concentrated.

특히, 쌀을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은 쌀알 그대로의 형태로 이용하기 보다는 쌀을 분쇄하여 미세한 입자를 갖는 쌀가루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식품 개발에 용이하다.In particular, it is easy to develop food by using rice as raw material rather than using it in the form of rice flour, instead of pulverizing rice and transforming it into a rice flour having fine particles.

그러므로, 쌀을 이용한 가공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쌀알을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하여 쌀가루로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processed foods using rice, it is necessary to crush the rice grains to have fine particles and make them into rice flour.

종래에 쌀가루를 만들기 위해서는 쌀을 일정 시간 동안 물에 불린 후, 2개가 한 쌍으로 맞닿아 설치되는 롤러가 물에 불린 쌀을 압착함으로써, 쌀을 분쇄하는 습식 분쇄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ake rice flour, the rice was called 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the two roller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pair, mainly used a wet grinding method in which rice is crushed by squeezing rice called water.

하지만, 이러한 습식 분쇄방식은 건식 분쇄방식으로 생성되는 밀가루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분쇄비용이 소요되고, 쌀이 젖은 상태로 미세 입자를 갖도록 정밀하게 분쇄하기 어려우며, 식품의 가공성 또한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However, such a wet grinding method requires a relatively large grinding cost as compared with a wheat flour produced by a dry grinding method, and it is difficult to finely grind the rice so as to have fine particles in a wet state, and the workability of food is also very low Has occurred.

뿐만 아니라, 건식 분쇄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핀밀 분쇄기는 분쇄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기와 핀의 마찰로 인해 내부에 열이 쉽게 발생하여 분쇄된 쌀가루의 온도 또한 함께 상승하며, 이에 따라 쌀가루의 영양분 손상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In addition, the pinhole grinder mainly used in the dry mill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longer the milling time is, the more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air and the fin, and the temperature of the pulverized rice flour rises together with the nutritional damage of the rice flour Problems such as loss occurred.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52514호(1999.04.27.)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52514 (Apr. 27, 1999)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3632호(2009.04.20.)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3632 (Apr. 20, 2009)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물을 건식 방식으로 분쇄할 때, 분쇄부 내부에 발생하는 기류를 통해 곡물과 분쇄핀 사이의 충돌 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켜, 분쇄된 곡물에 대한 영양분 감소를 방지하면서 곡물을 용이하게 건식 상태로 분쇄하는 곡물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the grains are crushed by the dry method,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grain and the crushing pin through the airflow generated inside the crushing portion And to provide a grain grinding apparatus which easily grinds the grains into a dry state while preventing the reduction of nutrients of the grains.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곡물 분쇄장치는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로부터 낙하하여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이 균일하도록 조절하는 공급조절부; 상기 공급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쇄핀이 돌출 형성된 원판 형태의 임펠러가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부로부터 투입된 곡물을 회전시켜 분해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곡물가루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곡물의 분쇄를 위해 회전하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 및 상기 공급조절부의 곡물에 대한 분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into which grains to be crushed are fed; A supply regulating unit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hopper and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grains dropp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to be uniform; A crush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ly regulating unit and rotating the granular material introduced from the supply regulating unit as the disc-shaped impeller in which the plurality of crushing fins protrude is seated inside and rotates;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rush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ground powder crushed in the crush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mpeller rotating for crushing of the grain and the crushing amount for the grain of the feed adjusting unit.

상기 배출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분쇄가루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ction fan connected to an end of the discharge unit and sucking the pulverized powder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상기 분쇄부는 내부가 중공 상태이고, 내측면의 일부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과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상기 공급조절부로부터 낙하하는 곡물이 투입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전면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커버 케이스; 복수 개의 분쇄핀이 표면 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중앙에 안착되어 회전하며, 투입된 곡물을 분쇄하는 원판 형태의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분쇄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rushing section has a cylindrical container whose inside is hollow and a part of the inside surfac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ection; A cover case which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and into which grains to be dropped from the supply regulating portion are inserted through an inlet formed at an upper center and covers or opens the upper front face of the container; A disk-shaped impeller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and rotated to crush the input grain; And a crushing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impeller.

상기 임펠러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직선, 사선 및 곡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may b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crushing pins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disk in at least one of a linear, oblique, and curved shape.

상기 임펠러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원판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직선 또는 사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분쇄핀부; 및 상기 제 1 분쇄핀부로부터 외곽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의 분쇄핀이 상기 제 1 분쇄핀부를 둘러싸도록 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분쇄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쇄핀부의 높이 및 길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의 높이 및 길이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impeller includes: a first crushing fin portion protruding in a straight or oblique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surround the center of the disk; And a second crushing fin portion protruding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surround the first crushing pin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por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second crushing pin portion.

상기 제 1 분쇄핀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 1 분쇄핀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의 길이보다 좁을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crushing fin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rushing pin portion may be narrow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rushing pin portion.

상기 분쇄부는 상기 임펠러의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덮는 분쇄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rushing cover having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mpeller and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상기 컨테이너는 내측면에 둘러싸며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 홈;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내측면의 일부에 곡면 형태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컨테이너 배출구; 및 상기 컨테이너 배출구에 삽입되어, 분쇄된 곡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걸러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d and recessed grooves formed in an inner side surface thereof; A container outlet formed in a curved shape on a part of an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a sieve net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to filter the pulverized grai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discharge it to the outlet.

상기 요철 홈은 직선, 사선, 나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cavo-convex grooves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linear, oblique, and spiral shape.

상기 공급조절부는 상기 호퍼의 하단에 위치하여, 횡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호퍼에서 낙하하는 곡물의 분쇄여부를 결정하는 차단바; 상기 차단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을 통해 상기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분쇄량을 조절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모터; 및 상기 공급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롤러를 통해 분쇄량이 조절된 곡물을 상기 분쇄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upply regulating unit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hopp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grains falling from the hopper are to be crushed through slide movement in a lateral direction; A supply roller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and adjusting a pulverization amount of the cereal to b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portion through rotation; A roller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eeding roller; And a guide ba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feed roller and moving the grain, the amount of which has been adjusted through the feed roller, to the crushing sec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분쇄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건식상태에서 분쇄하기 때문에, 습식상태에서 분쇄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분쇄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어, 곡물의 식품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ins are crushed in the dry state, the grinding amount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an in the case of grinding in the wet state and the grain can be crushed finely And the food processing ability of the grai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분쇄장치에 따르면,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을 공급조절부를 통해 일정하게 조절하여, 분쇄 구동모터의 과열을 줄이고, 분쇄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분쇄된 곡물가루의 영양분 감소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cereal to b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constant through the supply control unit, thereby reducing the overheating of the crushing drive motor and reducing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crushing unit, The nutrient reduction phenomenon of the crushed grain powd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분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곡물 분쇄장치 내 공급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임펠러의 안착 전 컨테이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컨테이너에 임펠러가 안착된 분쇄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는 컨테이너에 임펠러가 안착된 분쇄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분쇄부 내 임펠러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분쇄부 내 임펠러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도 7의 임펠러가 컨테이너 내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분쇄부 내 임펠러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분쇄부 내 임펠러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분쇄부 내 임펠러와 분쇄 덮개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ly control section in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ainer before the impeller is seated.
4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rushing unit with the impeller mounted on the container.
Fig. 5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rushing part with the impeller mounted on the container. Fig.
FIG. 6 is a plan view of an impeller in a crushing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eller in the crush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eller of FIG. 7 of the present invention seated in a container.
9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eller in the crush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eller in the crush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mpeller and the crushing lid in the crush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at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고안의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t is to be noted that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nd components of different drawings can be cited when necessary in describing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urther, in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matters are unnecessarily blurr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본 고안은 곡물을 건식 형태로 분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곡물의 분쇄 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줄여 분쇄된 곡물 가루의 영양분 손실을 줄이는 곡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grinding apparatus which is used for pulverizing grains into a dry form and reduces frictional heat generated during grinding of the grain to reduce the nutrient loss of the pulverized grain flour.

이러한 본 고안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분쇄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곡물 분쇄장치(100)는 호퍼(110), 공급조절부(130), 분쇄부(150), 배출부(170), 흡입팬(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1, a grain grin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110, a feed adjusting unit 130, a crushing unit 150, a discharging unit 170, a suction fan 180, 190).

호퍼(110)는 테이블(101) 상에 위치하여, 한 쪽의 입이 다른 쪽보다 큰 각추상의 통 모양으로 이루어져,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g)이 투입된다.The hopper 110 is placed on the table 101 and has an annular abstract shape with one of its mouths larger than the other, so that the grain g to be crushed is introduced.

공급조절부(130)는 상기 호퍼(11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110)로부터 낙하하여 분쇄부(150)로 투입되는 곡물(g)의 투입량 즉, 상기 곡물(g)을 분쇄하고자 하는 양을 균일하게 제어한다.The supply regulat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10 and feeds the amount of the grains g falling from the hopper 110 into the crushing unit 150 to crush the grains g To be controlled uniformly.

분쇄부(150)는 상기 공급조절부(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쇄핀이 돌출 형성된 원판 형태의 임펠러가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부(130)로부터 투입된 곡물을 회전시켜 분쇄한다.The crushing unit 150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eed adjusting unit 130 and rotates the grain fed from the feed adjusting unit 130 as the disk-shaped impeller having a plurality of crushing fins protruded therein is seated and rotated Crush it.

배출부(170)는 상기 분쇄부(15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쇄부(150)에서 분쇄된 곡물가루를 외부로 배출한다.The discharge unit 17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150 and discharges the crushed powdered grain in the crushing unit 150 to the outside.

흡입팬(180)은 상기 배출부(170)의 끝단과 연통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는 곡물(g)의 분쇄가루를 흡입한 후, 외부의 저장장치로 전달한다.The suction fan 18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70 in a communicative manner to suck the pulverized powder of the grain g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170 and then transfer the pulverized powder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제어부(190)는 곡물(g)의 분쇄를 위해 회전하는 상기 임펠러(157)의 회전속도 및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g)에 대한 상기 공급조절부(130)의 곡물 분쇄량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임펠러(157) 및 상기 공급조절부(130)로 각각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impeller 157 rotating for crushing the grain g and the amount of the crushed grain of the feed adjusting unit 130 for the grain g to be crush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impeller 157 and the supply controller 130,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공급조절부(13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upply controlle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고안의 곡물 분쇄장치 내 공급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ly control section in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곡물 분쇄장치 내 공급조절부(130)는 차단바(132), 공급롤러(134), 롤러 구동모터(136) 및 가이드 바(138)를 포함한다.2, the feed regulating section 130 in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ut-off bar 132, a feed roller 134, a roller drive motor 136, and a guide bar 138. As shown in FIG.

차단바(132)는 곡물(g)이 투입되는 호퍼(110)의 하단과 차단바 홀더(133)의 상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위치하고, 횡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호퍼(110)에서 낙하하는 곡물(g)의 분쇄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호퍼(110) 내 존재하는 곡물을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바(132)가 상기 호퍼(110)의 외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호퍼(110)의 하단을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호퍼(110) 내 존재하는 곡물을 공급조절부(130)로 낙하시킨다. 또는, 이전의 작업 과정에서 낙하한 곡물의 분쇄가 완료되지 않았거나, 곡물의 분쇄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바(132)가 상기 호퍼(110)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호퍼(110)의 하단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호퍼(110) 내 곡물이 낙하하지 않고. 그대로 상기 호퍼(110)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다.The shut-off bar 132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10 into which the grain g is introduc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holder 133 and moves down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ther the grain (g) is crushed or not is determined. That is, in order to crush the grain present in the hopper 110, the blocking bar 132 slides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hopper 110 to open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10, And the grains present in the hopper 110 are dropped into the supply controller 130. If the crushing of the grains dropped in the previous operation is not completed or the crushing of the grain is not desired, the blocking bar 132 slides inward of the hopper 110 to move the hopper 110, The grains in the hopper 110 do not fall down. And is present in the hopper 110 as it is.

특히, 이때, 상기 차단바(132)의 슬라이드 이동 시간을 조절하면, 상기 공급조절부(130)로 낙하하는 곡물의 양을 대략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Particularly,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slide movement time of the cut-off bar 132, the amount of the grain falling to the supply control part 130 can be roughly adjusted.

예를 들어, 상기 차단바(132)가 상기 호퍼(110)의 외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5초후 다시 상기 호퍼(110)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호퍼(110)의 하단이 5초간 개방되고, 이때 상기 공급조절부(130)로 낙하하는 곡물의 양이 약 200g 정도 된다고 가정한다. 만약 상기 차단바(132)가 상기 호퍼(110)의 외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약 3초후, 다시 상기 호퍼(110)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공급조절부(130)로 낙하하는 곡물의 양이 120g 정도가 된다. 즉, 상기 차단바(132)를 통해 상기 호퍼(110)의 하단 개방시간을 5초에서 3초로 2초 줄임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부(130)로 낙하하는 곡물(g)의 양을 200g 에서 120g으로 약 80g 정도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ut-off bar 132 slid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hopper 110 and slides backward in the hopper 110 after 5 seconds,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the grain falling to the supply regulator 130 is about 200 g. If the blocking bar 132 slides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hopper 110 and slides backward in the hopper 110 after about 3 seconds, Is about 120 g. That is, when the lower end opening time of the hopper 110 is reduced from 5 seconds to 3 seconds by 2 seconds through the cut-off bar 132, the amount of the grain g falling into the feed adjusting part 130 is 200 g 120g can be reduced by about 80g.

이에 더하여,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차단바(132)의 슬라이드 이동 주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용량의 곡물(g)이 상기 호퍼(110) 내 먼저 투입되고, 이후, 상기 제어부(190)가 미리 설정된 차단바(132)의 슬라이드 이동 주기에 따라 차단바(132)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단바(13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바(132)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동 및 주기적으로 상기 호퍼(110) 내 곡물을 상기 공급조절부(130)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물(g)의 분쇄 시작을 위한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lide movement period of the shut-off bar 132 can be set in advance by the control unit 190.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grain g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hopper 110, and then the controller 190 moves the shutting bar 132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lide movement period of the shutting bar 132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hut-off bar 132.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shut-off bar 132, the grains in the hopper 110 can be automatically and periodically dropped to the supply regulator 130. Accordingly, no separate labor force is required for starting the grinding of the grain (g).

공급롤러(134)는 상기 차단바(132)의 하부 즉, 상기 차단바(132)의 하부와 테이블(101)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139)의 일측에 위치하며, 소정 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분쇄부(150)로 투입되는 곡물(g)의 분쇄량을 차단바(132)를 이용한 분쇄량보다 더 미세하게 조절한 후, 조절된 곡물(g)을 롤러 배출구(137)를 통해 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바(132)가 초당 40g 단위로 곡물의 분쇄량을 조절한다면, 상기 공급롤러(134)는 회전 각도당 1 내지 5g 단위로 곡물의 분쇄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feeding roller 134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bar 132, that is, at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139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bar 132 and the table 101, The amount of pulverization of the grain g to be supplied to the pulverizing unit 150 is finer than the amount of pulverization using the blocking bar 132 and then the adjusted grain g is discharged through the roller outlet 137. For example, if the blocking bar 132 controls the amount of grain crushing in units of 40 grams per second, the feed roller 134 can finely control the amount of grain crushing in units of 1 to 5 grams per rotation angle.

즉, 상기 차단바(132)를 통해 호퍼(110) 내 존재하는 곡물(g)의 분쇄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g)의 양을 대략적으로 조절할 뿐만 아니라, 공급롤러(134)를 통해서도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g)의 양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rain g existing in the hopper 110 is crushed through the blocking bar 132 and the amount of the grain g to be crushed is roughly adjusted, The amount of the grain g to be crushed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롤러 구동모터(136)는 상기 고정 프레임(139)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이에 따라 상기 공급롤러(134)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공급롤러(134)를 회전시킨다.The roller driving motor 136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frame 139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190 and accordingly transfers energy to the feeding roller 134, 134).

가이드 바(138)는 상기 고정 프레임(139)의 일측 중 상기 공급롤러(134)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롤러(134)의 회전을 통해 분쇄량이 미세하게 조절된 곡물(g)을 분쇄부(150)로 이동시킨다.The guide bar 138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eed roller 134 in one side of the fixed frame 139 and rotates the feed roller 134 so that the grain g finely- (150).

이처럼, 공급조절부(130) 내 차단바(132) 및 공급롤러(134)를 통해 분쇄부(150)로 투입되는 곡물(g)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분쇄부(150) 내 임펠러(157)를 회전시키는 분쇄 구동모터에도 균일한 부하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분쇄 구동모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쇄부(150)의 내부 온도가 증가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By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cereals g to b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unit 150 through the shut-off bar 132 and the feed roller 134 in the supply control unit 130 to be constant, A uniform load is also applied to the crushing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crushing drive mo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ushing drive motor from overheating, thereby preven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rushing unit 150 from increasing.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곡물의 분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분쇄부(15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rushing unit 150 in which the crushing of the grain is substantially perform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o 5 described above.

도 3은 임펠러의 안착 전 컨테이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컨테이너에 임펠러가 안착된 분쇄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는 컨테이너에 임펠러가 안착된 분쇄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ainer before the impeller is mounte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crushing unit in which the impeller is seated in the container, and FIG. Fig.

분쇄부(150)는 컨테이너(151), 커버 케이스(153), 투입구(155), 임펠러(157) 및 분쇄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The crushing unit 150 includes a container 151, a cover case 153, an inlet 155, an impeller 157, and a crushing drive motor (not shown).

컨테이너(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상태이며, 내측면의 일부가 배출부(170)와 연결되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컨테이너(151)는 내측면을 둘러싸며 다수의 요철 홈(15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70)와 연결되는 내측면 일부에 곡면 형태로 개방된 컨테이너 배출구(151b)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태의 상기 컨테이너 배출구(151b)에 거름망(151c)이 삽입되어, 분쇄된 곡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걸러 배출부(170)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배출구(151b)는 상기 배출부(170)와 연결되는 내측면 전부에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170)와 연결되는 내측면 상부 일부에만 형성되고, 하부 일부에는 다수의 요철 홈(151a)이 내측면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부(170)와 연결되는 컨테이너(151)의 내측면의 상부에는 컨테이너 배출구(151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 홈(151a)이 나누어져 형성됨에 따라, 곡물이 회전 기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다수의 요철 홈(151a)과 충돌할 수 있는 면적이 더욱 넓어져 보다 미세하게 곡물을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분쇄가 완료되어, 질량이 가벼워진 곡물이 상기 컨테이너 배출구(151b)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ntainer 151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and a part of the inside surfac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170. The container 151 surrounds the inner side and has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grooves 151a. The container outlet 151b is opened in a curved shape on a part of the inner si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170, A sieve net 151c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outlet 151b in an opened state to separate the pulverized grai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discharge it to the discharge portion 170. [ 3, the container outlet 151b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170,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151a may be formed to continuously surround the inner surface. That is, a container outlet 151b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51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170 and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151a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The area that can collide with the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151a is further widened, and the grain can be more finely crushed. In addition, the crushing is completed, and the grain, which is light in weigh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iner outlet 151b.

특히, 컨테이너(15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 홈(151a)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나선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grooves 151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51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as shown in FIGS. 3 to 4, or may be formed in an oblique shape as shown in FIG. And may also be formed in a spiral form.

커버 케이스(153)는 상기 컨테이너(151)의 일측과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155)를 통해 공급조절부(130)로부터 낙하하는 곡물이 투입되며, 상기 컨테이너(151)의 상부 전면을 덮거나 개방시킨다.The cover case 153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container 151 and the grains falling from the supply control unit 130 are inserted through the inlet 155 formed at the upper center, Cover or open.

임펠러(157)는 복수 개의 분쇄핀(158)이 표면 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 중앙에 안착된 후 회전하여 투입된 곡물을 분쇄한다. 즉, 상기 임펠러(157)가 회전하면,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에 강력한 회전 기류가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커버 케이스(153)의 투입구(155)를 통해 컨테이너(151)의 내부 즉, 임펠러(157)의 상부로 투입된 곡물(g)이 발생된 회전 기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임펠러(157) 상에 형성된 분쇄핀(158)과, 상기 컨테이너(15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 홈(151a)과 연속적으로 충돌하면서 곡물의 입자가 잘게 분쇄된다.The impeller 157 has a plurality of crushing fins 158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hereof. The impeller 157 is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151 and then rotates to crush the input grains. That is, when the impeller 157 rotates, a strong rotating air current is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151.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51 through the inlet 155 of the cover case 153, A crushing pin 158 formed on the impeller 157 while moving along the generated rotary flow of the cereal g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157 and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151a ), The grain of the grain is finely pulverized.

분쇄 구동모터(미도시)는 상기 컨테이너(151)의 하부 즉, 도 1에 도시된 테이블(101)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임펠러(157)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분쇄 구동모터는 제어부(190)로부터 임펠러(15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동력을 생산한 후, 상기 임펠러(157)로 전달하여 상기 임펠러(157)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crushing drive motor (not shown) is located below the container 151, that is, inside the table 101 shown in FIG. 1, and rotates the impeller 157. The crushing drive motor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mpeller 157 from the control unit 190 and generates a pow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then transmits the power to the impeller 157, 157 can be rotated.

특히, 상기 임펠러(157)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사선, 직선, 및 곡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임펠러(157)의 다양한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impeller 157 may have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disk in at least one of oblique, straight, and curved shape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6 to 11, The various structures of the controller 15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에 도시된 임펠러(157)의 첫 번째 실시 예는 복수 개의 분쇄핀(158)이 사선 형태로 길게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쇄핀(158)의 높이는 상기 원판의 외곽에서 가장 높고, 상기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기울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peller 157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the crushing fins 158 may protrude out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disk in a diagonal shape, And can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ular plate.

또한, 도 7에 도시된 임펠러(157)의 두 번째 실시 예는 복수 개의 분쇄핀을 분류하여, 각각 제 1 분쇄핀부(158a) 및 제 2 분쇄핀부(158b)와 같은 서로 다른 그룹으로 각각 나눌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peller 157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the crushing pins are divided into separate groups such as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158a and the second crushing fin portion 158b, respectively have.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는 복수 개의 분쇄핀(158a)이 원판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사선 또는 직선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분쇄핀부(158b)는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로부터 외곽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의 분쇄핀(158b)이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를 둘러싸도록 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의 높이 및 길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158b)의 높이 및 길이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의 높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158b)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의 길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158b)의 길이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fin portions 158a and 158b may protrude obliquely or linearly so that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158a surround the center of the circular plate. A plurality of crushing fins 158b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surround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s 158a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crushing fin portions 158a. In this case,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first crushing fin 158a may be different from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second crushing fin 158b.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158b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rushing fin portion 158b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rushing pin portion 158a may be narrow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rushing pin portion 158b.

이와 같이, 도 7을 통해 상술한 제 1 분쇄핀부(158a) 및 제 2 분쇄핀부(158b)를 포함하는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157)가 컨테이너(151)의 내부에 안착되는 모습을 도 8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impeller 15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ing the first crushing fin 158a and the second crushing fin 158b is seated inside the container 151 8.

도 8은 본 고안의 도 7의 임펠러가 컨테이너 내부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peller of FIG. 7 of the present invention seated in a container.

도 8을 살펴보면, 원통형의 컨테이너(151)의 내부 중앙에 상기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157)가 안착되고, 이후 공급조절부(130)로부터 기설정된 양의 곡물(g)이 상기 임펠러(157)의 상부로 낙하하면, 분쇄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상기 임펠러(157)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임펠러(157) 상에서 회전 기류가 발생하여, 투입된 곡물(g)이 발생된 회전 기류에 의해 컨테이너(151)의 내부 곳곳을 이동한다. 즉, 상기 곡물(g)이 회전 기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임펠러(157)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제 1 분쇄핀부(158a) 및 제 2 분쇄핀부(158b)와 충돌하고, 임펠러(157)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인해, 컨테이너(151)의 내측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요철 홈(151a)과도 연속적으로 충돌한다.8, an impeller 15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seated in the center of a cylindrical container 151, and t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g from the feed controller 130 is supplied to the impeller 157 157, the impeller 157 is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crushing drive motor. Thus, a rotating airflow is generated on the impeller 157, and the introduced grains g move arou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51 by the generated rotating air current. That is, the grains g collide with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158a and the second crushing fin portion 158b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mpeller 157 while the grains g move by the rotating airflow, The concave / convex groove 151a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151, and the concave / convex groove 151a is continuously collided with the concave / convex groove 151a.

따라서, 상기 곡물(g)이 상기 제 1 분쇄핀부(158a) 및 제 2 분쇄핀부(158b) 및 요철 홈(151a)과 충돌할 때마다 입자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며 잘게 분쇄된다. 특히, 임펠러(157) 상에 곡선 형태로 길게 형성된 제 2 분쇄핀부(158b)에 상기 곡물(g)이 충돌할 때, 상기 곡물(g)에 더욱 큰 원심력이 작용한다.Therefore, the grain siz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finely crushed each time the grain g collides with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158a, the second crushing fin portion 158b and the irregular groove 151a. Particularly, when the grain (g) impacts on the second crushing fin portion (158b) formed in a curved shape on the impeller (157), a larger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grain (g).

그러므로, 상술한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와 동일한 회전수 및 회전시간을 적용하여 상호 비교하면,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입자 크기로 더 빠르게 곡물(g)을 분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am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same rotation time as those of the impe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impe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otates at the same time and the same number of revolutions, The grain (g) can be crushed quickly.

또한, 상술한 임펠러(157)의 또 다른 구조는 도 9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임펠러(157)의 구조는 원판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의 분쇄핀(158)이 상기 원판의 외곽 방향을 향하여 곡선 형태로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nother structure of the impeller 157 described above can also be confirmed from FIG. The structure of the impeller 157 shown in FIG. 9 may be formed such that each of the crushing fins 158 protrudes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circular pl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와 같이, 도 9에서 설명한 임펠러의 구조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제 1 분쇄핀부(158a) 또는 제 2 분쇄핀부(158b)와 같이 여러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종류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원판의 중심과 맞닿으면서 사선 또는 직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앞서 도 7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임펠러의 구조와 차이를 갖는다.9, the plurality of pulverizing pins are not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s such as the first pulverizing fin portion 158a or the second pulverizing fin portion 158b, but also the plurality of pulverizing pins corresponding to one kind 7 to 8 in that the fin does not protrude obliquely or linearly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disk.

또한, 도 10에 도시된 임펠러(157)의 세 번째 실시 예는 임펠러(157)상에 분쇄핀(158)이 직선 형태로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특히, 도 6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157)의 형성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임펠러(157)상에 투입된 곡물(g)이 상기 임펠러(157)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회전 기류에 의해, 상기 임펠러(157)의 중심부와 외곽부를 통과하며 더욱 빠르게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 이동 중에 분쇄핀 또는 요철 홈과 충돌하며 잘게 분쇄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impeller 157 shown in Fig. 10 has the crushing pin 158 formed on the impeller 157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disk in a linear shape, The length of the impeller 157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mpeller 15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grain g put on the impeller 157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impeller 157 by the rotating air curren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57, and rotates more rapidly, Crushing fin or crushed groove and crushed finely.

이러한 분쇄부(150)는 상술한 구성 외에도 분쇄 덮개(159)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분쇄 덮개(159)는 임펠러(157)의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151)의 상부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의 상부에 공급조절부(130)의 가이드 바(138)가 위치하여,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로 곡물(g)이 투입된다.The crush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crushing lid 159. In this case, the crushing lid 159 has a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mpeller 157, (Not shown). At this time, the guide bar 138 of the supply control part 1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le, and the grain g is put into the container 151.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 덮개(159)가 상기 컨테이너(151)의 상부면을 덮도록 상기 컨테이너(151)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임펠러(157)의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에 안착된 상기 임펠러(157)가 분쇄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에 강한 회전 기류가 발생하고, 이러한 회전 기류에 상기 임펠러(157) 상에 존재하는 곡물이 편승하여 회전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157) 상에 돌출 형성된 분쇄핀(158)과 상기 컨테이너(15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 홈(151a)과 곡물(g)이 연속적으로 충돌하면서 그 입자가 잘게 쪼개진다. 특히, 이때, 상기 임펠러(157)의 회전에 따라 발생한 강력한 회전 기류에 의해 곡물(g)이 회전 이동하면서 곡물(g)의 일부가 원심력에 의해 컨테이너(151)의 외부로 이탈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컨테이너(151)의 상부에 분쇄 덮개(159)가 안착되면, 컨테이너(151)의 상부면이 폐쇄되므로, 곡물(g)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공급조절부(130)에서 조절되어 분쇄부(150)로 투입된 곡물의 처음 양과 동일한 양의 곡물에 대한 곡물 가루를 획득할 수 있다.A crushing lid 159 may be seated on the container 151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51,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impeller 157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peller 157 seated inside the container 151 is rotated by the crushing drive motor, And the grains existing on the impeller 157 are piled up and rotated by the rotating airflow. At this time, the grinding fins 158 protruding on the impeller 157 and the grains g continuously collide with the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151a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51, and the particles are finely divided. Particularly, at this time, the grains g are rotated by the strong rotating air curren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57, so that a part of the grains g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51 by the centrifugal force. However, when the crushing lid 159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5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51 is closed so that the grains g ar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o obtain the grain flour for the same amount of grain as the initial amount of the grain put into the crushing section 150. [

또한, 이외에도 상기 임펠러(157)의 다른 실시 예는 복수 개의 분쇄핀(158)이 초승달 형태로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eller 157, a plurality of the crushing fins 158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disk in the shape of a crescent moon.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임펠러가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 및 곡물이 함유하는 영양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As described abo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impeller having various structures affect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and the nutrients contained in the grain.

본 실험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총 4개의 임펠러에 대하여 각각 회전수를 달리하여 쌀을 분쇄하고, 이때 분쇄된 쌀의 수분 함유량, 컨테이너의 내부 온도 및 그에 따른 쌀의 전분 손상도를 각각 측정하였고, 그 측정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In this experiment, rice was pulverized with different number of revolutions for four impeller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pulverized ri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and the starch damage of the rice were measured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utm00001
Figure utm00001

※ 원료쌀 함수율: 15%, ( ): 외기 온도, 거름망: 200mesh(74㎛) 원료 쌀백도: 37.9※ Moisture content of raw rice: 15%, (): Ambient temperature, Filter: 200mesh (74㎛) Raw white rice: 37.9

즉, 본 실험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임펠러에 대하여 분당 회전수를 4000, 4500, 5000 rpm으로 다르게 회전시켜 제 1 실험을 진행하였고, 도 7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임펠러를 분당 회전수를 달리하여 회전시켜 제 2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도 10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임펠러를 분당 회전수를 달리하여 회전시켜 제 3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7에서 설명한 구조의 임펠러에 분쇄 덮개를 배치한 도 11에서 설명한 구조의 임펠러를 분당 회전수를 달리하며 회전시켜 제 4 실험을 진행하였다.That is, in this experiment, the first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rotating the impell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in FIG. 6 at 4000, 4500, and 5000 rpm at different rpm, and the impell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in FIG. And the secon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third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rotating the impell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in FIG. 10 at different revolutions per minute. Finally, the fourth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rotating the impell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in Fig. 11, in which the crushing lid was disposed on the impell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in Fig. 7, at different revolutions per minute.

상술한, 임펠러의 각 구조에 따른 총 4번의 실험 중에서도 실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제 1 실험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experiment showing the best experimental results among the four exper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structures of the impell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온도가 24 ℃로 동일한 상태에서 도 6에서 설명한 동일한 구조 즉, 다수의 분쇄판이 사선 형태로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임펠러를 분쇄 구동모터에 의해 분당 회전수(rpm) 4,000으로 회전시키면, 곡물 내 수분 함유량인 함수율이 12.40 %이고,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 온도는 43 ℃이며, 이때, 상기 컨테이너(151) 내 존재하는 쌀의 전분 손상도는 12.58 %인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impeller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in FIG. 6, that is, a plurality of crushing plate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disk in a diagonal shape, is manufactured by the crushing drive motor The water content in the grain is 12.40%,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51 is 43 ° C. At this time, the starch damage degree of the rice present in the container 151 Is 12.58%.

하지만,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임펠러(157)를 분당 회전수 4000 rpm에서 4,500 rpm으로 변경하여 회전시키면, 함수율이 12.55%이고,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 온도는 37 ℃이며, 전분 손상도는 12.85 %인 것을 알 수 있다.However, when the impeller 157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rotated at 4,000 rpm to 4,500 rpm and rotated, the water content is 12.55%,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51 is 37 ° C, the starch damage degree is 12.85% .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임펠러(157)를 분당 회전수 5,000 rpm으로 회전시키면, 분쇄된 쌀의 함수율이 12.04 %이고, 상기 컨테이너(151)의 내부 온도는 34 ℃이고, 전분 손상도는 11.51 %인 것을 알 수 있다.When the impeller 157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rotated at a revolution rate of 5,000 rpm per minute, the water content of the pulverized rice is 12.04%,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51 is 34 ° C, and the starch damage degree is 11.51% .

결과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임펠러(157)에 대하여 분당 회전수를 4000 rpm, 4500 rpm, 5000 rpm 으로 각각 변경해가며 쌀을 분쇄시키면, 5,000 rpm에서 분쇄된 쌀이 비교적 높은 함수율을 가지면서도 컨테이너(151)의 내부 온도가 가장 낮아, 분쇄된 쌀의 전분 손상도 또한 가장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rice is pulverized by changing the revolution speed per minute to 4,000 rpm, 4500 rpm and 5000 rpm for the impeller 157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the pulverized rice at 5,000 rpm has a relatively high water content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51 is the lowest, and the starch damage of the crushed rice is also lowes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분쇄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건식상태에서 분쇄하기 때문에, 습식상태에서 분쇄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분쇄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어, 곡물의 식품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ains are crushed in the dry state, the grinding amount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an in the case of grinding in the wet state and the grain can be crushed finely And the food processing ability of the grai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분쇄장치에 따르면,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을 공급조절부를 통해 일정하게 조절하여, 분쇄 구동모터의 과열을 줄이고, 분쇄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분쇄된 곡물가루의 영양분 감소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cereal to b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constant through the supply control unit, thereby reducing the overheating of the crushing drive motor and reducing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crushing unit, The nutrient reduction phenomenon of the crushed grain powd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The appended claim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10: 호퍼 101: 테이블
g: 곡물 130: 공급조절부
132: 차단바 133: 차단바 홀더
134: 공급롤러 136: 롤러 구동모터
137: 롤러 배출구 138: 가이드 바
139: 고정 프레임 150: 분쇄부
151: 컨테이너 151a: 요철 홈
151b: 컨테이너 배출구 151c: 거름망
153: 커버 케이스 155: 투입구
157: 임펠러 158: 분쇄핀
159: 분쇄 덮개 170: 배출부
190: 제어부
110: hopper 101: table
g: grain 130: feed regulator
132: blocking bar 133: blocking bar holder
134: feed roller 136: roller drive motor
137: roller outlet 138: guide bar
139: fixed frame 150: crushing part
151: Container 151a: Uneven groove
151b: container outlet 151c:
153: Cover case 155:
157: impeller 158: crushing pin
159: Crushing cover 170:
190:

Claims (10)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호퍼로부터 낙하하여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이 균일하도록 조절하는 공급조절부;
상기 공급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쇄핀이 돌출 형성된 원판 형태의 임펠러가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부로부터 투입된 곡물을 회전시켜 분해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곡물가루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곡물의 분쇄를 위해 회전하는 상기 분쇄부의 회전속도 및 상기 공급조절부의 곡물에 대한 분쇄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곡물 분쇄장치.
A hopper into which the grain to be crushed is fed;
A supply regulating unit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hopper and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grains dropp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d to the crushing unit to be uniform;
A crush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ly control unit and rotating the crushed granular material by rotating the impregnated granular material having a disk-shaped impeller protruding from the feed adjusting unit;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rush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ground powder crushed in the crush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rushing unit rotating for crushing of the grain and the crushing amount for the grain of the feed adjusting unit;
And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gr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분쇄가루를 흡입하는 흡입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ction fan connected to an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sucking pulverized powder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rinding the gra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내부가 중공 상태이고, 내측면의 일부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과 체결되고, 상부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상기 공급조절부로부터 낙하하는 곡물이 투입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전면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커버 케이스;
복수 개의 분쇄핀이 표면 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중앙에 안착되어 회전하며, 투입된 곡물을 분쇄하는 원판 형태의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분쇄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ushing section
A cylindrical container in which the inside is hollow and a part of the inside surfac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A cover case which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and into which grains to be dropped from the supply regulating portion are inserted through an inlet formed at an upper center and covers or opens the upper front face of the container;
A disk-shaped impeller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and rotated to crush the input grain; And
A crushing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impeller;
Wherein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직선, 사선 및 곡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원판의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mpeller
Wherein the plurality of crushing pin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linear, oblique, and curved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dis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복수 개의 분쇄핀이 원판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직선 또는 사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분쇄핀부; 및
상기 제 1 분쇄핀부로부터 외곽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의 분쇄핀이 상기 제 1 분쇄핀부를 둘러싸도록 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분쇄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쇄핀부의 높이 및 길이는 상기 제 2 분쇄분핀부의 높이 및 길이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mpeller
A first crushing fin portion protruding and formed in a straight or oblique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surround the center of the original plate; And
A second crushing fin portion protruding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surround the first crushing pin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t; / RTI >
Wherein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first crushing fin portion are different from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second crushing fin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쇄핀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제 1 분쇄핀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분쇄핀부의 길이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height of the first crushing pin portion is high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crushing pin portion and a length of the first crushing pin portion is narrower than a length of the second crushing pin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임펠러의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면을 덮는 분쇄 덮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rushing section
A crushing cover having a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mpeller and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gravity grinding device for grinding the gra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내측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 홈;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내측면의 일부에 곡면 형태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컨테이너 배출구; 및
상기 컨테이너 배출구에 삽입되어, 분쇄된 곡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걸러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거름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ainer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side;
A container outlet formed in a curved shape on a part of an inner surfac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A squeezing net inserted in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to discharge the pulverized grai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to the outlet;
Wherein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홈은
직선, 사선, 나선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cavo-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eeders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linear, oblique, and spiral sha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절부는
상기 호퍼의 하단에 위치하여, 횡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호퍼에서 낙하하는 곡물의 분쇄여부를 결정하는 차단바;
상기 차단바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을 통해 상기 분쇄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분쇄량을 조절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모터; 및
상기 공급롤러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롤러를 통해 분쇄량이 조절된 곡물을 상기 분쇄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regulator
A blocking ba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hopper to determine whether to crush the grain falling from the hopper through slide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A supply roller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ut-off bar and adjusting a pulverization amount of the cereal to b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portion through rotation;
A roller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eeding roller; And
A guide bar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feed roller and moving the grain whose amount of pulverization is adjusted through the feed roller to the pulverizer;
Wherein the grain grinding apparatus comprises:
KR2020170001940U 2017-04-18 2017-04-18 Grain pulverization machine KR2004881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40U KR200488169Y1 (en) 2017-04-18 2017-04-18 Grain pulverization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40U KR200488169Y1 (en) 2017-04-18 2017-04-18 Grain pulverization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78U true KR20180003078U (en) 2018-10-26
KR200488169Y1 KR200488169Y1 (en) 2018-12-21

Family

ID=6404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40U KR200488169Y1 (en) 2017-04-18 2017-04-18 Grain pulverization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6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4U (en)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Grain Pulverization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326B1 (en) 2021-10-22 2022-03-21 안신 Powder metering system
KR102442432B1 (en) * 2021-10-22 2022-09-08 안신 Powder transf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03Y1 (en) * 2005-01-19 2005-04-14 몽 필 김 grain grinder
JP4452047B2 (en) * 2003-08-26 2010-04-21 ツカサ工業株式会社 mi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2047B2 (en) * 2003-08-26 2010-04-21 ツカサ工業株式会社 mill
KR200381603Y1 (en) * 2005-01-19 2005-04-14 몽 필 김 grain grind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3632호(2009.04.20.)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52514호(1999.04.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4U (en)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Grain Pulverization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69Y1 (en)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846B2 (en) Electric flour grinder
KR200488169Y1 (en) Grain pulverization machine
CA2705342C (en) Fine grinding roller mill
JP2010517739A5 (en)
JP3947913B2 (en) Grain impact crusher
JP6544672B1 (en) Dry crusher
US3926380A (en) Grain milling device
KR101065459B1 (en)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pellet
CN104540592A (en) Comminution of grinding stock in a vertical roller mill
JP4113222B2 (en) Powder and granulator
KR101065460B1 (en) Crusher
CN207563024U (en) A kind of fertilizer reducing mechanism
KR102251626B1 (en) Rice Crusher
CN206452782U (en) A kind of new grinding and wire kneading machine
KR20200000904U (en) Grain Pulverization Machine
KR101932391B1 (en) Coffee bean milling device
JP6592753B1 (en) Roll mill
CN208839752U (en) A kind of feed multi-stage crushing device
JP6415298B2 (en) Rotary classifier and vertical mill
JPH05277389A (en) Vertical roller mill
KR100364247B1 (en) an apparatus for feeding the grain powder
KR20150057060A (en) Grain grinding machine
RU2511291C1 (en) Coarse grains disc grinder
CN216631034U (en) Processing colloid mill for production of herbal essence tea
RU224069U1 (en) DEVICE FOR GRINDING GRAIN FOOD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