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73U - Mobile phone cas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73U
KR20180002873U KR2020170001524U KR20170001524U KR20180002873U KR 20180002873 U KR20180002873 U KR 20180002873U KR 2020170001524 U KR2020170001524 U KR 2020170001524U KR 20170001524 U KR20170001524 U KR 20170001524U KR 20180002873 U KR20180002873 U KR 20180002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lid
mobile phone
phone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5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0887Y1 (en
Inventor
김현재
Original Assignee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재 filed Critical 김현재
Priority to KR2020170001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87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7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내부에 보강심을 고정 형성하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 일측이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에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부(2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lid for covering a fixed mobile phone and configured to fix a reinforcing shim in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received product, 10); And a lid part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so as to cover the mobile phone fixed to the fixing part 10.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Mobile phone case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내부에 보강심을 고정 형성하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ular 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llular phone cas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lid for covering a fixed cellular phone, in which a reinforcing shim is fixedly formed inside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received product.

모바일 기기 중 특히 휴대폰은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소형화로 인해 필수 소지품의 하나가 되었으며, 고유기능인 통화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면서 고가의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의 휴대폰을 긁힘, 흠집, 파손 등의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외관을 다양한 형태로 꾸미기를 원하고 있다.Mobile devices, especially mobile phones, have become one of the essential items due to the development and miniatur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unique function of call function,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internet access,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and digital camera are added, It is being released. As a result, consumers want to protect their mobile phone from external impacts such as scratches, scratches, breakage, and foreign matter, while at the same time decorat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in various forms.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의 휴대폰 케이스가 개발, 판매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크게 비닐이나 인조 가죽 재질의 소프트 케이스와,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하드 케이스로 구분할 수 있다.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mobile phone cases of various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an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oft cases made of vinyl or artificial leather and hard case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723호(2014.05.12. 등록)는 카드나 명함 등을 함께 수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상방 또는 하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하방 또는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일면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갖는 커버; 및 일면에 오목하게 요입 형성되는 수납부를 갖되, 수납부가 커버의 삽입구 하방에 위치하도록 커버에 내장되는 심재를 포함하며, 카드나 명함이 커버의 삽입구로 삽입되어 심재의 수납부에 안착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심재의 표면에 오목하게 요입된 수납부가 형성됨으로써 커버의 삽입구를 통해 카드나 명함 등이 삽입되어 수납되더라도 커버의 표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이 유지될 수 있고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723 (registered May 12, 2014) discloses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toring a card or a business card together, which is formed in an upwardly or downwardly opened shape, A frame in which the electronic apparatus is housed; A cover which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lower part or the upper part of the frame and has an insertion port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core embedded in the cover such that the cradle is positioned below the insertion port of the cover, and the card or business car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cover and is seated in the cradle of the core. .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since the housing portion concavely recess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is formed, even if a card or a business card is inserted and stored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cover, the surface of the cover does not protrude convexly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can be maintain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279호(2010.10.27. 등록)는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심재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되, 커버에 형성된 기능홀과 상응하여 관통되어 있는 심재의 관통공 주변에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관통공을 포함하는 기능홀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서로 접합되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고, 어느 한쪽에는 기능 홀이 형성된 커버몸체; 커버몸체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재 되며,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기능 홀과 상응하여 일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둘레에는 함몰되는 형태의 설치홈이 구비되는 심재; 및 설치홈에 상응하여 끼워져 결합 되며, 어느 한쪽에는 심재의 관통공과 상응하여 일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3279 (registered on October 27, 2010)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in a core member provided inside the cover, and a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cor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hole formed in the cover And a reinforcing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functional hole including a through hole from being easily deformed or cut by an external force by providing a memb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cover body, which is composed of an inner skin and an outer skin bonded to each other, and on one of which functional holes are formed; A core member embedd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 functional hole on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having an installation groove recessed around the through hole; And a reinforcing member formed on one of the holes an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the core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커버의 전체 부분에 심재를 내장하기에, 커버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심재를 제작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재료 비용의 증가로 제작 비용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cellular phone cas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re material is built in the entire area of the cover so as to have a size substantially equal to the area of the cover, thereby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due to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커버의 전체 부분에 심재를 내장함과 동시에, 커버에 형성된 기능홀과 상응하여 관통되어 있는 심재의 관통공에 보강부재를 더 설치함으로써, 제작 과정이 까다롭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 및 제작 소요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re member is embedded in the entire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core member penetrating correspondingly to the function hole formed in the cover.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ncreases production cost and production time.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72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72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279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3279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내부에 보강심을 고정 형성하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phone, which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lid for covering a fixed mobile phone, It is about a cell phone cas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휴대폰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xing part for inserting and fixing a mobile phone; And a lid part for covering the mobile phone fixed to the fixing part,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덮개수납부; 및 상기 덮개수납부의 내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덮개수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lid storage uni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unit for accommodating a deliverable product; And a reinforcing portion fixed to the inside of the lid receiving portion to reinforce the lid receiv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부는, 복수 개의 보강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shim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심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수납부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되,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shims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id-accommodating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arranged to be inclin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심 하나를 하나의 대각선 상에 배치하며, 상기 보강심 중 제일 바깥쪽에 위치한 두 개의 가운데 부분에 각각 고정 형성되면서 각 인접 모서리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is disposed on one diagonal line, and each of the reinforcing portions is formed to be fixed to each of the two center portion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reinforcing padding and extended to each adjacent edge.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심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수납부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되,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shims are inserted into the cover accommodating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form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inclin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부는, 가운데 위치한 두 개를 각각 대각선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centers located at the center are arranged diagonall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d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d to receive the receiving artic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삽입하기 위한 제1삽입공간;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삽입하기 위한 제2삽입공간; 및 상기 제1삽입공간과 상기 제2삽입공간의 사이에 고정 형성되어,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for inserting the receiving article; A second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for inserting the delivering article; And a reinforcement plate fixedly form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space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and reinforcing durabilit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삽입공간, 상기 보강판, 상기 제2삽입공간의 테두리를 한꺼번에 박음질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cepta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s of the first insertion space,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are integrally formed at a time.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내부에 보강심을 고정 형성하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덮개에 심재를 내장하지 않는 동시에, 수납부 내부의 전체 부분에 심재를 내장하지 않고, 수납부 내부의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심재를 내장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며,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phone case, which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cover for covering a fixed mobile phone, and which is embodied so that a reinforcing shim is fixedly formed inside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receiving article, In addition, since the core material is not embedded in the entire part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part and the core material is embedded in a part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production is simple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I hav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심재를 수납부에 형성된 홀을 제외한 공간에 내장하여 홀과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재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작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홀 부분에 보강부재를 더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 과정이 간략해지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 및 제작 소요 시간을 절약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material is embedded in the space excluding the hole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holes,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orming the through holes in the core material can be omitted,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cost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saved.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eiving portion shown in Fig. 5;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A)는, 고정부(10), 및 덮개부(2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obile phone case A includes a fixing portion 10 and a lid portion 20.

고정부(10)는, 일측에 덮개부(20)의 일측이 연결 형성되며, 휴대폰을 삽입하여 고정해준다.One side of the lid part 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a mobile phone is inserted and fixed.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0)는, 복수 개의 홀(11)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1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11. [

홀(11)은, 휴대폰의 음향 버튼, 홀드 버튼,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휴대폰이 고정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음향 및 홀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The holes 1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buttons, the hold buttons, and the camera of the cellular phone, respectively, so that the cellular phone can perform the sound and hold functions even when the cellular phone is inserted into the stationary portion 10, So that a photograph can be taken.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0)는, 내부에 심재를 내장하지 않아 제작이 간편하며,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10 does not include a core material therein,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덮개부(20)는, 일측이 고정부(1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고정부(10)에 고정된 휴대폰을 덮어줌으로써,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하도록 해준다.The lid part 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on one side and covers the cellular phone fixed to the fixing part 10, thereby protecting the cellular phone from external impact and making it look beautiful.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20)는, 홀(21)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portion 20 may include a hole 21.

홀(21)은, 휴대폰의 스피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덮개부(20)가 덮인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잘 전달되도록 해준다.The hole 2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so that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can be transmitted well even when the lid portion 20 is covered.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20)는, 내부에 심재를 내장하지 않아 제작이 간편하며,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 portion 20 does not have a built-in core material,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A)는, 덮개수납부(30), 및 보강부(40)를 더 포함한다.The cellular phone case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lid-accommodating portion 30 and a reinforcing portion 40.

덮개수납부(30)는, 덮개부(2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보강부(40)를 고정 형성하며, 카드, 신분증 등과 같은 수납품을 수납하도록 해준다.The cover accommodating portion 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20 and fixes the reinforcing portion 40 therein to accommodate a receipt such as a card or an identification card.

일 실시 예에서, 덮개수납부(30)는, 복수 개의 삽입 공간(3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삽입 공간(31)에 카드, 신분증 등과 같은 수납품을 삽입하여, 수납품을 수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accommodating portion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spaces 31, and a received product such as a card, an identification card or the like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1 to receive the received product .

일 실시 예에서, 덮개수납부(30)는, 홀(32)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d-accommodating portion 30 may have a hole 32. [

홀(32)은, 휴대폰의 스피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덮개수납부(30)가 덮인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잘 전달되도록 해준다.The hole 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so that the sound signal outputted from the speaker of the cellular phone can be transmitted well even when the lid compartment 30 is covered.

보강부(40)는, 덮개수납부(30)의 내부에 고정 형성되어,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을 보강해주며, 이에 따라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이 보다 튼튼하도록 해줄 수 있으며,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이 가죽, 천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졌을 때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4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lid compartment 30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lid compartment 30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lid compartment 30 can be made more robust The lid part 20 and the lid compartment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when they ar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leather, cloth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플라스틱, 종이, 금속 등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을 견고히 해주는 동시에, 모양의 변형을 방지해준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40 is formed of a relatively rigid material such as plastic, paper, metal, etc. to secure the durability of the lid 20 and the lid compartment 30, .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복수 개의 보강심(41)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shims 41.

일 실시 예에서, 보강심(41)은, 일정 간격을 두고 덮개수납부(30)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되,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을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여기서, 보강심(41) 간의 사이 간격은 1~2c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각도는 덮개수납부(30)의 대각선 상에 배치된 보강심(41)과 덮개수납부(30)의 테두리가 이루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dding 41 is inserted into the lid compartment 30 at regular intervals and can be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and thus the lid portion 20 and the lid compartment 30 can be made durable.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padding 41 and the reinforcing padding 41 may be about 1 to 2 cm and the inclined angle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padding 41 disposed on the diagonal line of the lid compartment 30, As shown in FIG.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보강심(41) 하나를 덮개수납부(30)의 하나의 대각선 상에 배치하며, 보강심(41) 중 제일 바깥쪽에 위치한 두 개의 가운데 부분에 각각 고정 형성되면서 각 인접 모서리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의 모서리 부분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40 is disposed on one diagonal line of the cover accommodating portion 30, and one of the reinforcing padding 41 and the reinforcing padding 4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dges of the lid part 20 and the lid storage part 30 from being deformed.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덮개수납부(30) 중 홀(32)이 없는 공간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40 can be fixedly formed in the space of the cover accommodating portion 30 without the hole 32.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A)는, 가죽, 천, 실리콘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llular phone case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leather, cloth, silicone, and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A)는, 휴대폰의 고정부(10) 및 덮개부(20)에 심재를 내장하지 않는 동시에, 덮개수납부(30) 내부의 전체 부분에 심재를 내장하지 않고, 덮개수납부(30) 내부의 일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심(41)을 내장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며,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cellular phone case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oes not incorporate a core material in the stationary portion 10 and the lid portion 20 of the cellular phone and also does not include a core material in the entire portion inside the lid storage portion 30 By embedding the reinforcing shim 41 at a certain interval in a part of the inside of the lid-accommodating portion 30,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A)는, 보강부(40)을 홀(32)을 제외한 공간에 내장하여 홀(32)과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강부(40)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작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홀(32) 부분에 보강부재를 더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 과정이 간략해지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 및 제작 소요 시간을 절약 가능하다.The cellular phone case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form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portion 40 in a space excluding the hole 32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hole 32, there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reinforcing portion 40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omitt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further provide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hole 32,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saved.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B)는, 고정부(10), 덮개부(20), 덮개수납부(30) 및 보강부(4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3, the mobile phone case B includes a fixing portion 10, a lid portion 20, a lid accommodating portion 30, and a reinforcing portion 40. As shown in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2 are not described, and only the other parts are described.

보강부(40)는, 복수 개의 보강심(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adding 41.

일 실시 예에서, 보강심(41)은, 일정 간격을 두고 덮개수납부(30)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되,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을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여기서, 보강심(41) 간의 사이 간격은 1~2c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각도는 덮개수납부(30)의 하나의 대각선 상에 배치된 보강심(41)과 덮개수납부(30)의 테두리가 이루는 각도 및 덮개수납부(30)의 다른 하나의 대각선 상에 배치된 보강심(41)과 덮개수납부(30)의 테두리가 이루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adding 41 is inserted into the lid storage portion 30 at regular intervals and is form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lid storage portion 30 It can be solid. Here,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padding 41 may be about 1 to 2 cm. The inclined angle may be determined by the reinforcing padding 41 disposed on one diagonal line of the lid compartment 30, The angle formed by the rim of the lid 30 and the angle formed by the rim of the lid receptacle 30 and the reinforcing shim 41 disposed on the other diagonal line of the lid compartment 30 may be formed.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가운데 위치한 두 개의 보강심(41)을 각각 대각선 상에 배치하여,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의 모서리 부분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40 is disposed diagonally on each of two centering reinforcing shims 41 so that the shape of the edge portion of the lid portion 20 and the lid accommodating portion 30 is deformed .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덮개수납부(30) 중 홀(32)이 없는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40 can be formed in the space of the lid-accommodating portion 30 without the hole 32. [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C)는, 고정부(10), 덮개부(20), 덮개수납부(30), 및 보강부(4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4, the mobile phone case C includes a fixing portion 10, a lid portion 20, a lid accommodating portion 30, and a reinforcing portion 40. As shown in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2 are not described, and only the other parts are described.

일 실시 예에서, 보강부(40)는, 보강판(42)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40 may include a reinforcement plate 42.

보강판(42)은, 덮개수납부(30)의 내부에 고정 형성되고, 홀(3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을 보강해준다. 이에 따라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의 내구성이 보다 튼튼하도록 해줄 수 있으며, 덮개부(20) 및 덮개수납부(30)가 가죽, 천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졌을 때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4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lid compartment 30 and has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32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id 20 and the lid compartment 30 Reinforce.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lid part 20 and the lid compartment part 30 more durable. When the lid part 20 and the lid compartment part 30 ar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leather, cloth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있는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using portion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D)는, 도 2의 구성 요소에 수납부(5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5 to 6, the cellular phone case D further includes a housing portion 50 i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2 are not described, and only the other parts are described.

수납부(50)는, 덮개부(2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도록 해준다.The housing part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id part (20) so as to accommodate the supplied article.

일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50)는, 제1삽입공간(51), 제2삽입공간(52), 및 보강판(53)을 포함할 수 있다.6, the receiving portion 5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space 51, a second insertion space 52, and a reinforcing plate 53. In this embodiment,

제1삽입공간(51)은, 수납부(5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제2삽입공간(52)과의 사이에 보강판(53)을 고정 형성하며, 수납품을 삽입하도록 해준다.The first insertion space 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50 and fixes the reinforcing plate 53 between the second insertion space 52 and allows insertion of the supplied article.

일 실시 예에서, 제1삽입공간(51)은, 일측에 홀(511)을 구비하며, 홀(511)로 카드, 주민등록증 등과 같은 수납품을 삽입하여, 보강판(53)과 제1삽입공간(51)의 사이 공간에 수납품을 수납할 수 있어, 별도의 천을 덧댈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insertion space 51 includes a hole 511 at one side thereof, and a receiving part such as a card, a personal identification card,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hole 511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53, It is possible to store the supplied article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51, so tha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loth,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제2삽입공간(52)은, 수납부(5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제1삽입공간(51)과의 사이에 보강판(53)을 고정 형성하여, 수납품을 삽입하도록 해준다.The second insertion space 5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50 and allows the reinforcing plate 53 to be fix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space 51 and the receiving space.

일 실시 예에서, 제2삽입공간(52)은, 복수 개의 홀(521)을 구비하며, 홀(521)로 카드, 주민등록증 등과 같은 수납품을 삽입하여, 보강판(53)과 제2삽입공간(52)의 사이 공간에 수납품을 수납할 수 있어, 별도의 천을 덧댈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insertion space 52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521, and a receiving member such as a card, a personal identification card,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hole 521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53, It is possible to store the supplied article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52,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loth,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보강판(53)은, 제1삽입공간(51)과 제2삽입공간(52)의 사이에 고정 형성되어, 수납부(50)의 내구성을 보강해줄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53 is fixedly form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space 51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52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storage portion 50. [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50)는, 제1삽입공간(51), 보강판(53), 제2삽입공간(52)의 테두리를 한꺼번에 박음질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ortion 50 can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ims of the first insertion space 51, the reinforcing plate 53,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52 can be jointly formed at one time.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50)는, 제1삽입공간(51)과 제2삽입공간(52)의 사이에 보강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고정 형성하여, 수납부(50)의 내구성을 보강해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portion 50 is formed by fixing a reinforcing shim (not shown in the drawing) between the first insertion space 51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52, Thereby reinforcing the durability of the base member 50.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ar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s are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A,B,C,D: 휴대폰 케이스
10: 고정부
11: 홀
20: 덮개부
21: 홀
30: 덮개수납부
31: 삽입공간
32: 홀
40: 보강부
41: 보강심
42: 보강판
50: 수납부
51: 제1수납공간
52: 제2수납공간
53: 보강판
511: 홀
521: 홀
A, B, C, D: Mobile phone case
10:
11: Hall
20:
21: Hall
30: lid compartment
31: Insertion space
32: hole
40:
41: reinforcement core
42: reinforcing plate
50:
51: First storage space
52: Second storage space
53: reinforcing plate
511: Hall
521: hole

Claims (5)

휴대폰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 및
일측이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에 고정된 휴대폰을 덮기 위한 덮개부(20)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A fixing part 10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mobile phone; And
And a lid part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0) and covering the mobile phone fixed to the fixing part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수납품을 수납하기 위한 덮개수납부(30); 및
상기 덮개수납부(30)의 내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덮개수납부(30)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d storage portion 3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portion 20 for storing a received product; And
And a reinforcing part (40) fixed to the inside of the lid storage part (30) and reinforcing the lid storage part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40)는,
복수 개의 보강심(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40)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shims (4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41)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덮개수납부(30)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되,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shim (41)
Wherein the cover case is inserted into the cover housing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inclin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40)는,
상기 보강심(41) 하나를 하나의 대각선 상에 배치하며, 상기 보강심(41) 중 제일 바깥쪽에 위치한 두 개의 가운데 부분에 각각 고정 형성되면서 각 인접 모서리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40)
Wherein one of the reinforcing paddings (41) is arranged on one diagonal line, and each of the reinforcing padding (41) is formed to be fixed to each of the two center portions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reinforcing padding (41) .
KR2020170001524U 2017-03-28 2017-03-28 Mobile phone case KR2004908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24U KR200490887Y1 (en) 2017-03-28 2017-03-28 Mobile phon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24U KR200490887Y1 (en) 2017-03-28 2017-03-28 Mobile phone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73U true KR20180002873U (en) 2018-10-08
KR200490887Y1 KR200490887Y1 (en) 2020-01-16

Family

ID=6386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524U KR200490887Y1 (en) 2017-03-28 2017-03-28 Mobile phon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8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582B1 (en) 2019-04-01 2020-04-08 김현재 Mobile phone ca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81B1 (en) * 2013-03-22 2013-06-17 임창수 Protective case for mobile
KR200472723Y1 (en) 2012-09-05 2014-05-21 김재성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3279Y1 (en) 2012-10-29 2014-06-24 주식회사 뉴빛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KR200475232Y1 (en) * 2013-11-29 2014-11-18 전진우 Dust proof bag for clean room exit and entrance
KR20150002587U (en) * 2013-12-24 2015-07-02 서평일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23Y1 (en) 2012-09-05 2014-05-21 김재성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3279Y1 (en) 2012-10-29 2014-06-24 주식회사 뉴빛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KR101275281B1 (en) * 2013-03-22 2013-06-17 임창수 Protective case for mobile
KR200475232Y1 (en) * 2013-11-29 2014-11-18 전진우 Dust proof bag for clean room exit and entrance
KR20150002587U (en) * 2013-12-24 2015-07-02 서평일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582B1 (en) 2019-04-01 2020-04-08 김현재 Mobile phon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87Y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0290B1 (en) Protective folio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62099B2 (en) Mobile device case
US7248904B2 (en) Belt covering for a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033282B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US10256860B2 (en) Card storage mobile phone case
KR101084548B1 (en) Shield case for wireless port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406222B1 (en) Case for mobile phone
KR200473279Y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KR101585383B1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 device
KR20180002873U (en) Mobile phone case
KR200488737Y1 (en) Mobile phone case
KR200472846Y1 (en) Case for mobile equipped with stitch mark
KR101388290B1 (en)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and role
US20220142315A1 (en)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50068831A (en) Outter case for portable cellular telephone
KR20110052292A (en) Cellular phone case and cellular phone manufacture method
KR200464932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72573Y1 (en)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TWM601937U (en) Protective shell for cellular phone
KR20190002608U (en) Mobile phone housing
KR20130002185U (en) A mobile phone case
KR101247406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03345B1 (en)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CN219627760U (en) Mobile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with detachable back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