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07U -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 Google Patents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07U
KR20180002607U KR2020170000906U KR20170000906U KR20180002607U KR 20180002607 U KR20180002607 U KR 20180002607U KR 2020170000906 U KR2020170000906 U KR 2020170000906U KR 20170000906 U KR20170000906 U KR 20170000906U KR 20180002607 U KR20180002607 U KR 20180002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hotographing
camera
clos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9889Y1 (en
Inventor
이영섭
정훈성
Original Assignee
에스투원 주식회사
정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투원 주식회사, 정훈성 filed Critical 에스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0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8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0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8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light-reducing "factor" of filter or other obturator used with or on the lens of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본체, 카메라 연결부, 제1 슬롯, 제2 슬롯, 및 지지 다리를 포함한다.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카메라 연결부는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카메라가 부착된다. 제1 슬롯은 본체의 하부의 전면에 상하 방향과 90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1 광학 필터가 삽입된다. 제2 슬롯은 본체의 하부의 전면에 상하 방향과 4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2 광학 필터가 삽입된다. 지지 다리는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본체를 지지한다.The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includes a main body, a camera connecting portion, a first slot, a second slot, and a support leg. The main body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mera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camera is attached. The first slot is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optical filter is inserted. The second slot is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optical filter is inserted. The support leg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supports the main body.

Description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본 고안은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ing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일반적으로 과학 수사에 있어서 사건 현장에서 촬영되는 다양한 사진들이 사건 해결에 중요한 증거로 사용된다. 특히, 지문, 혈흔 등과 같은 핵심 증거에 대해서는 보다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근접 촬영이 필요하다.In general, various photographs taken at the crime scenes in scientific investigation are used as important evidence for case resolution. In particular, for key evidence such as fingerprints and blood, close-up photography is required to obtain a more precise image.

그러나 촬영자의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 촬영 시에 정밀한 이미지의 획득에 어려움이 있으며, 근접 촬영 시에는 촬영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이미지 정밀도의 하락은 더욱 크게 나타난다.However, when the shaking of the photographer occurs, it is difficult to acquire a precise imag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nd in the case of close-up photographing, the decline of the image precision due to the shaking of the photographer becomes more significant.

따라서 과학 수사 현장에서 높은 정밀도를 갖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근접 촬영 시에 촬영자의 손떨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photographer in close-up photography in order to obtain images with high precision at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site.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과학 수사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촬영자의 손떨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which can be easily used at a scientific investigation sit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a camera shake of a photographer.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본체, 카메라 연결부, 제1 슬롯, 제2 슬롯, 및 지지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카메라가 부착된다.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본체의 하부의 전면에 상기 상하 방향과 90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1 광학 필터가 삽입된다.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본체의 하부의 상기 전면에 상기 상하 방향과 4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2 광학 필터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 다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close-up photographing including a main body, a camera connecting portion, a first slot, a second slot, and a support leg. The main body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mera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amera is attached. The first slot is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optical filter is inserted. The second slot is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optical filter is inserted. The support leg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supports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제1 광학 필터는 컬러 필터에 상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optical filter inserted in the first slot may correspond to a color fil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제2 광학 필터는 반투과 투명 필터에 상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optical filter inserted in the second slot may correspond to a transflective transparent fil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상기 본체의 하부의 상기 전면에 상기 상하 방향과 13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롯과 수직하며, 제3 광학 필터가 삽입되는 제3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stan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t an angle of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lot, and a third slot into which the third optical filter is inserted .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3 슬롯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The second slot and the third slot may intersect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연결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상기 전면 상에서 상기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부착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mera connection portion may attach the camera so that the camera is directed in the up-down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mera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the up-and-down direction.

상기 카메라 연결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연결부에 부착되는 상기 카메라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amera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on part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a depth at which the camera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상기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상기 본체의 상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카메라 연결부에 접하는 카메라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연결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카메라 고정 볼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Wherein the close-up photographing photographing stand further comprises a camera fixing bolt which penetrates a part of the main bod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camera connecting par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camera connecting part is inserted Can be controlled by the camera fixing bol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다리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leg may have a folding structure that is switched to a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상기 지지 다리는, 제1 끝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끝단을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지지부, 및 중심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제2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을 축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leg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low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rotating in a first direction about the first e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center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that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bout the cen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제1 끝단이 상기 본체의 상기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끝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하 방향과 평행한 접힘 상태와 상기 상하 방향과 수직한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핸드 그립(hand gr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up photographing photographing stand has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end folded in a folded state parallel to the up-and-down direction, And a hand grip having a folding structure that is switched to the hand grip.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를 사용하여 촬영 대상물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의 손떨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촬영 대상물에 대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When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using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camera shake of the photographer and acquire a precise image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컬러 필터 및 반투과 투명 필터를 삽입할 수 있는 슬롯들을 포함하므로, 다양한 방식의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lots for inserting a color filter and a transflective transparent filter, so that various types of photographing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를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7b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의 동축(co-axial) 촬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front direc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unit shown in Figs. 1 and 2. Fig.
Figs.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axial photographing function of the close-up photographing photographing stand shown in Figs. 1 and 2.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mere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를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direction.

도 3 내지 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3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unit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3 내지 5는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후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에 카메라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된다.Figs. 3 to 5 show the use states of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units shown in Figs. 1 and 2 and Fig. 6 shows the use states of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units shown in Figs.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not attached to the close-up photographing photographing stand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본체(100), 카메라 연결부(200), 및 지지 다리(400)를 포함한다.1 to 6,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ncludes a main body 100, a camera connecting portion 200, and a support leg 400.

본체(100)는 상하 방향(UD)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0)는 전면(110)과 후면(120)은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고, 양 측면들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100)는 상하 방향(UD)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the front face 110 and the rear face 120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and both sides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카메라 연결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연결된다.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20)는 카메라 연결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When a photograph is taken using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the camera 20 may be connected to the camera connection unit 20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연결부(200)는 카메라(20)가 본체(100)의 전면(110) 상에서 상하 방향(UD)을 향하도록 카메라(2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20)가 카메라 연결부(200)에 부착되는 경우, 카메라(20)의 광축은 상하 방향(UD)과 수평일 수 있다.3 to 5, the camera connec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amera 20 such that the camera 20 is di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o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main body 100 Can be attached. Therefore, when the camera 20 is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on unit 200,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20 can be horizontal in the up-and-down direction UD.

도 1 내지 6에는 예시적으로 카메라 연결부(200)에 홈(210)이 형성되고, 카메라(20)의 밑면에 형성되는 삼각대 연결 부재가 카메라 연결부(200)의 홈(210)에 삽입됨으로써 카메라(20)가 카메라 연결부(200)에 부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연결부(200)는 카메라(20)를 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1 to 6 illustratively show a groove 210 formed in the camera connecting part 200 and a tripod connecting memb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mera 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0 of the camera connecting part 200, 20 are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on unit 2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to which the camera 20 can be attached.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를 카메라 연결부(200)에 부착한 상태에서 촬영 대상물(30)이 카메라(20)의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촬영 대상물(30)이 위치하는 평면에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놓은 후, 촬영 대상물(30)을 촬영을 할 수 있다.3 to 5, when the camera 20 is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the plane of the image capture object 30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20 such that the image capture object 30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20. [ The photographing object 30 can be photographed after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s placed.

도 3 내지 5에는 예시적으로 촬영 대상물(30)이 지문(finger print)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혈흔 등과 같은 임의의 대상물을 촬영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3 to 5 illustrate that the object to be imaged 30 is a finger pri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close-up imaging photographing stan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n arbitrary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연결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서 본체(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UD)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1 to 6, the camera connecting part 20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이 경우, 카메라 연결부(200)가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에 기초하여 카메라 연결부(200)에 부착되는 카메라(20)는 상하 방향(UD)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mera 20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based on the depth at which 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본체(100)의 상부의 후면(120)으로부터 본체(100)의 일부를 관통하여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카메라 연결부(200)에 접하는 카메라 고정 볼트(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nd 6,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a camera fixing bolt 510 contacting 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camera fixing part.

이 경우, 카메라 연결부(200)가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는 카메라 고정 볼트(5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pth at which the camera connection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can be controlled by the camera fixing bolt 510.

예를 들어, 카메라 고정 볼트(510)를 풀어 카메라 고정 볼트(510)가 카메라 연결부(20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카메라 연결부(200)를 상하 방향(UD)으로 이동시켜 카메라 연결부(200)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 후, 카메라 고정 볼트(510)가 카메라 연결부(200)에 접할 때까지 카메라 고정 볼트(510)를 조임으로써 카메라 연결부(200)가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fixing bolt 510 is loosened to move the camera connecting par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in a state where the camera fixing bolt 510 is separated from the camera connecting part 200,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camera connecting portion 200 into the main body 100 can be adjusted by tightening the camera fixing bolt 510 until the camera fixing bolt 510 contacts the camera connecting portion 200 have.

따라서 촬영 대상물(30)과 카메라 연결부(200)에 부착되는 카메라(20) 사이의 거리는 가변될 수 있다.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30 to be photographed and the camera 20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on unit 200 can be varied.

지지 다리(400)는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본체(100)를 지지한다.The support leg 40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support the main body 1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다리(400)는 본체(100)의 하부 좌측면 및 하부 우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leg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and lower right side of the body 100,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400)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6, the support leg 400 may have a foldable structure that is switched between the folded and unfolded states.

도 1 및 2에는 지지 다리(400)가 상기 접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도 3 내지 6에는 지지 다리(400)가 상기 펼침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In Figures 1 and 2, the support leg 400 is shown in the folded state, and in Figures 3-6, the support leg 400 is shown in the extended st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다리(400)는 제1 지지부(410) 및 제2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leg 4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410 and a second support 420, as shown in FIGS. 3-6.

제1 지지부(410)의 제1 끝단(411)은 본체(100)의 하부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nd 411 of the first support part 4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제1 지지부(410)는 제1 끝단(411)을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제1 지지부(410)의 제2 끝단이 본체(100)의 하부의 상기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낸다.The first support part 410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bout the first end 411. The first direction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따라서 제1 지지부(410)가 제1 끝단(411)을 축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지지부(410)는 제1 지지부(410)의 상기 제2 끝단이 본체(100)의 하부의 상기 측면에 접하는 상기 접힘 상태 및 제1 지지부(410)의 상기 제2 끝단이 본체(100)의 하부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410 is rotated about the first end 411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support end part 410 of the first support part 410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folded stat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10 may be switched to the extended state awa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제2 지지부(420)의 중심(421)은 제1 지지부(410)의 상기 제2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center 421 of the second support part 4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410.

제2 지지부(420)는 중심(421)을 축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420 may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bout the center 421.

따라서 제2 지지부(420)가 중심(421)을 축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지지부(420)는 제1 지지부(410)와 평행한 상기 접힘 상태 및 제1 지지부(410)와 수직한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part 420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bout the center 421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420 is in the folded state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art 410, Can be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410) 및 제2 지지부(420)를 각각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When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s not used, as shown in Figs. 1 and 2, by switch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4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420 to the folded state, The base 10 can be easily stored.

한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410) 및 제2 지지부(420)를 각각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한 후 제2 지지부(420)를 촬영 대상물(30)이 위치하는 평면에 놓고 촬영을 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촬영 대상물(30)에 대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3 to 6, when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s used, the first supporting part 410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420 are respectively converted into the extended state, It is possible to acquire a precise image of the object 30 to be photographed without shaking by placing the support 420 on the plane on which the object 30 is placed.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제1 지지부(410)의 제1 끝단(411)이 본체(100)의 하부의 상기 측면에 연결되는 구조 및 제2 지지부(420)의 중심(421)이 제1 지지부(410)의 상기 제2 끝단에 연결되는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지지부(410)는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100)에 연결되고 제2 지지부(4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지지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nd 411 of the first support part 410 shown in FIGS. 1 to 6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421 of the second support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410 The first support 4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in various ways and the second support 4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410 in various ways,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4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지지 다리(400)가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지지 다리(400)에 부착되는 길이 계측용 자(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up photographing stand 10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measuring member 430 attached to the support leg 400 after the support leg 400 is switched to the extended state .

촬영 대상물(30)에 인접한 위치에 길이 계측용 자(430)가 위치하도록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놓은 후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길이 계측용 자(430)는 촬영 대상물(30)과 함께 촬영될 수 있다.When a photograph is taken after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s placed so that the length measuring member 430 is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hotographing object 30, Can be taken together.

일반적으로 과학 수사 현장에서 주로 촬영되는 지문, 혈흔 등과 같은 촬영 대상물(30)은 그 크기 역시 수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계측용 자(430)를 부착한 후 촬영 대상물(30)과 길이 계측용 자(430)를 함께 촬영하는 경우, 수사관은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촬영 대상물(30)의 크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Generally, the size of a photographed object 30 such as fingerprints, blood marks, and the like, which is mainly photographed at a scientific investigation sit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investig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hotographing object 30 and the length measuring device 430 are photographed together after the length measuring member 430 is attached, the inspector can determine the size of the object 30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It is easy to grasp.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핸드 그립(hand grip)(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may further include a hand grip 520.

핸드 그립(520)의 제1 끝단(521)은 본체(100)의 상기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nd 521 of the hand grip 52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핸드 그립(520)은 제1 끝단(521)을 축으로 하여 핸드 그립(520)의 제2 끝단이 본체(100)의 상기 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hand grip 520 may be rotated to move the second end of the hand grip 5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bout the first end 521. [

따라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그립(520)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S. 2-6, the hand grip 520 may have a foldable structure that is switched between the folded and unfolded states.

즉, 핸드 그립(520)이 제1 끝단(521)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핸드 그립(520)은 상하 방향(UD)과 평행한 상기 접힘 상태 및 상하 방향(UD)과 수직한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hat is, the hand grip 520 rotates about the first end 521 to turn the hand grip 520 into the folded state parallel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and the extended state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그립(520)을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When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s not used,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can be easily stored by switching the hand grip 520 to the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한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그립(520)을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한 후 촬영자가 핸드 그립(520)을 잡고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촬영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is used, as shown in FIGS. 3 to 6, after the hand grip 520 is switched to the extended state, the photographer holds the hand grip 520, The photographing stand 10 can be easily moved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또한, 지문, 혈흔 등과 같은 촬영 대상물(30)이 수평한 바닥이 아니라 문, 벽, 유리창 등과 같은 임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촬영자가 핸드 그립(520)을 잡고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촬영 대상물(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놓은 후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함으로써, 손떨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촬영 대상물(30)에 대한 정밀한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object 30 to be photographed such as a fingerprint, a blood mark, or the like is loc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such as a door, a wall, a window or the like instead of a horizontal floor, the photographer grasps the hand grip 520 and takes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cquire a precise image of the object 30 to be imaged 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camera shake by photographing the object 30 after the object 30 is position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object 30 to be imaged.

도 2 및 6에 도시된 핸드 그립(520)이 본체(100)의 상기 후면에 연결되는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서 핸드 그립(520)은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100)의 상기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hand grip 520 shown in FIGS. 2 and 6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illustrative and the hand grip 52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various manners, Can be connected.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0)를 카메라 연결부(200)에 부착한 상태에서 촬영 대상물(30)이 카메라(20)의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촬영 대상물(30)이 위치하는 평면에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놓은 후,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함으로써 촬영자의 손떨림을 방지하여 촬영 대상물(30)에 대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object 30 to be photographed is positioned so that the object 30 is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20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20 is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or 2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It is possible to acquire a precise image of the object 30 to be imaged by preventing the camera shake of the imager by photographing the object 30 after the close-up photographing stand 10 is placed on a plane where the object 30 is loc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손전등 거치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may further include a flashlight holder 530.

손전등 거치대(530)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lashlight holder 530 may have a folding structure that is switched between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손전등 거치대(5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lashlight holder 530 is turned into the folded state by being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6, State.

이 경우, 손전등 거치대(530)를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한 후, 손전등을 손전등 거치대(530)에 부착한 상태에서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손전등을 별도로 손으로 들고 촬영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촬영자의 편의성은 증가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the flashlight holder 530 is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the subject 30 can be photographed while the flashlight is attached to the flashlight holder 530. [ Therefore, the photographer does not have to take a flashlight separately by holding it with his hand, so the convenience of the photographer can be increa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본체(100)의 후면(120)으로부터 본체(100)의 일부를 관통하여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손전등 거치대(530)에 접하는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5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nd 6,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rear surface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a flashlight mount fixing bolt 531 contacting the flashlight mount 530 inserted in the flashlight mount 530. [

이 경우, 손전등 거치대(530)는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531)에 의해 상기 접힘 상태 및 상기 펼침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ashlight mount 530 can be controlled by the flashlight mount fixing bolt 531 to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예를 들어,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531)를 풀어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531)가 손전등 거치대(53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손전등 거치대(530)를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하거나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시킨 후,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531)가 손전등 거치대(530)에 접할 때까지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531)를 조임으로써 손전등 거치대(530)를 상기 접힘 상태 및 상기 펼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lashlight mount fixing bolt 531 is loosened, the flashlight mount 53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while the flashlight mount fixing bolt 531 is separated from the flashlight mount 530,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flashlight mount 530 to the folded state and the extended state by tightening the flashlight mount fixing bolt 531 until the flashlight mount fixing bolt 531 touches the flashlight mount 530 have.

손전등 거치대(530)의 세부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손전등 거치대(530)는 일반적인 손전등을 부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lashlight holder 53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and the flashlight holder 5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ny structure capable of attaching a common flashlight.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삼각대 고정 크래들(cradle)(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may further include a tripod fixing cradle 540.

일반적으로 과학 수사 현장에서는 근접 촬영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사건 현장을 촬영하는 일반 촬영도 필요하다. 그런데 근접 촬영 시에는 카메라를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에 장착한 후 촬영하고, 일반 촬영 시에는 카메라를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로부터 분리한 후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의 불편함이 증가할 수 있다.Generally,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up picture as well as a general picture of the entire crime scene at the scene of the investig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lose-up photography, the camera may be mounted on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and when the camera is taken in a normal photographing mode, the camera may be separated from the close-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삼각대 고정 크래들(540)을 포함하므로, 근접 촬영 시에는 카메라(20)를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에 장착한 후 촬영하고, 일반 촬영 시에는 카메라(20)를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에 그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삼각대 고정 크래들(540)을 통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일반적인 삼각대에 장착하여 촬영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stand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ripod-setting cradle 540, when the close-up photographing is performed, the camera 20 is attached to the close-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can be mounted on a general tripod via the tripod-fixing cradle 540 while the camera 20 is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have.

따라서 카메라(20)를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에 장착한 상태에서 근접 촬영 및 일반 촬영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촬영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both the close-up photographing and the general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camera 20 is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hotographer can be increased.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제1 슬롯(310), 제2 슬롯(320), 및 제3 슬롯(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the close-up photographing zone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lot 310, a second slot 320, and a third slot 330.

제1 슬롯(310)은 본체(100)의 하부의 전면(110)에 상하 방향(UD)과 9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ot 310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o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롯(310)에는 제1 광학 필터(311)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optical filter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3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학 필터(311)는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학 필터(311)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광신호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optical filter 311 may be a color filter. In this case, the first optical filter 311 can pass only the optical signal of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광학 필터(311)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 및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중의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optical filter 311 may be one of a low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and a band pass filter.

일반적인 과학 수사에서, 지문, 혈흔 등과 같은 감식 대상물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감식 대상물에 다양한 종류의 분말 또는 시약을 뿌린 후, 사용된 분말 또는 시약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절한 주파수의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카메라의 렌즈 앞에 장착하여 촬영한다. 이 경우, 감식 대상물이 변경되거나 사용하는 분말 또는 시약의 종류가 변경될 때마다, 카메라에 장착된 컬러 필터를 매번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general scientific investigation, when an object to be inspected such as a fingerprint or a blood sample is photographed, various kinds of powders or reagents are sprayed on the object to be inspected, and a color Attach the filter to the front of the camera lens and shoot. In this case, whenever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changed or the kind of powder or reagent to be used is changed,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color filter attached to the camera every time.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사용된 분말 또는 시약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절한 주파수의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카메라(20)에 직접 장작하지 않고 제1 슬롯(310)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식 대상물이 변경되거나 사용하는 분말 또는 시약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1 슬롯(310)에 장착된 컬러 필터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과학 수사 현장에서 컬러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hotographing using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filter for passing an optical signal of an appropriate frequency based on the type of powder or reagent used is not directly burnt on the camera 20 And can be mounted in the first slot 310. Therefore, even when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changed or the kind of powder or reagent to be used is changed, only the color filter installed in the first slot 310 can be replaced, so that the color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at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site.

제2 슬롯(320)은 본체(100)의 하부의 전면(110)에 상하 방향(UD)과 45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lot 320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vertical direction UD o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제3 슬롯(330)은 본체(100)의 하부의 전면(110)에 상하 방향(UD)과 135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슬롯(330)은 제2 슬롯(320)과 수직할 수 있다.The third slot 330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135 degrees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on the front surface 11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us, the third slot 33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lot 3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롯(320) 및 제3 슬롯(330)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slot 320 and the third slot 330 may be form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롯(320)에는 제2 광학 필터(321)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optical filter 32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32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슬롯(330)에는 제3 광학 필터(331)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third optical filter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slot 3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광학 필터(321) 및 제3 광학 필터(331)는 반투과 투명 필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학 필터(321) 및 제3 광학 필터(331)는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optical filter 321 and the third optical filter 331 may be semi-transparent filters. Therefore, the second optical filter 321 and the third optical filter 331 can pass part of the incident light and reflect the remaining part.

예를 들어, 제2 광학 필터(321) 및 제3 광학 필터(331)는 입사되는 광의 절반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절반은 반사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optical filter 321 and the third optical filter 331 can pass half of the incident light and reflect the other half.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0)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의 좌측에 있는 경우, 반투과 투명 필터(321)를 제2 슬롯(320)에 삽입한 후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할 수 있다.4, when the light source 4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stand 10, the semi-transparent filter 3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320, Can be photographed.

이에 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0)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의 우측에 있는 경우, 반투과 투명 필터(331)를 제3 슬롯(330)에 삽입한 후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할 수 있다.5, when the light source 4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table 10, the transflective transparent filter 331 is inserted into the third slot 330, (30).

제2 슬롯(320)에 반투과 투명 필터(321)를 삽입하거나 제3 슬롯(330)에 반투과 투명 필터(331)를 삽입한 이후에 광원(40)을 사용하여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하는 경우 동축(co-axial)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After the transflective filter 3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320 or the transflective filter 331 is inserted into the third slot 330, the object 30 is photographed using the light source 40 Co-axial imaging can be performed.

도 7a 및 7b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의 동축 촬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s.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axial photographing function of the close-up photographing photographing stand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7a 및 7b에는 제2 슬롯(320)에 반투과 투명 필터(3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동축 촬영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7A and 7B illustrate a coaxial photograph taken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lective filter 3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320. FIG.

또한, 반투과 투명 필터(321)는 입사되는 광의 절반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절반은 반사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Further, it is explained that the transflective filter 321 passes half of the incident light and reflects the other half.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0)으로부터 방사되는 세기가 K인 광신호가 상하 방향(UD)과 수직한 각도로 반투과 투명 필터(321)에 입사되는 경우, 상기 광신호의 절반은 반투과 투명 필터(321)를 통과하고, 나머지 절반은 반투과 투명 필터(321)에서 반사되어 상하 방향(UD)과 평행한 방향으로 촬영 대상물(30)에 입사될 수 있다.7A, when an optical signal having intensity K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0 is incident on the transflective filter 321 at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up-and-down direction UD, half of the optical signal is half Pass filter 321 while the other half is reflected by the transflective filter 321 and can be incident on the object 3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and-down direction UD.

따라서 촬영 대상물(30)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상기 광신호의 세기는 (1/2)*K일 수 있다.Therefore,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perpendicularly incident on the object 30 may be (1/2) * K.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대상물(30)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세기가 (1/2)*K인 상기 광신호는 촬영 대상물(30)에서 반사되어 상하 방향(UD)과 평행한 방향으로 반투과 투명 필터(321)에 입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optical signal having an intensity (1/2) * K vertically incident on the object 30 is reflected by the object 3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It may be incident on the semi-transparent filter 321.

반투과 투명 필터(321)에 입사되는 세기가 (1/2)*K인 상기 광신호의 절반은 반투과 투명 필터(321)에서 반사되고, 나머지 절반은 반투과 투명 필터(321)를 통과하여 카메라(20)의 렌즈에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다.Half of the optical signal having an intensity of (1/2) * K incident on the transflective transparent filter 321 is reflected by the transflective transparent filter 321 and the other half passes through the transflective transparent filter 321 And may be incident on the lens of the camera 20 perpendicularly.

따라서 카메라(20)의 렌즈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상기 광신호의 세기는 (1/4)*K일 수 있다.Therefore,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perpendicularly incident on the lens of the camera 20 may be (1/4) * K.

이와 같이,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영 대상물(30)에 카메라(20)의 광축 방향으로 광신호를 입사시킨 후, 촬영 대상물(30)로부터 카메라(20)의 광축 방향으로 반사되어 카메라(20)의 렌즈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신호를 촬영하는 동축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lose-up photographing photographing stand 10 is used for photographing, the optical signal is incident on the object 30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20, It is possible to perform coaxial photographing for photographing an optical signal reflec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perpendicularly incident on the lens of the camera 20.

반투과 투명 필터를 제2 슬롯(320) 및 제3 슬롯(330)에 삽입하지 않은 채 임의의 위치에 있는 광원을 사용하여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 대상물(30)에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광신호가 촬영 대상물(30)에서 난반사를 일으키므로, 촬영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의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When the image pickup object 30 is photographed using a light source at an arbitrary position without inserting the transflective filter into the second slot 320 and the third slot 330, The irregularity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ed object 30 may be degraded.

그러나,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반투과 투명 필터를 제2 슬롯(320) 또는 제3 슬롯(330)에 삽입한 후, 상하 방향(UD)과 수직한 각도로 반투과 투명 필터에 입사되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원(40)을 사용하여 동축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촬영 대상물(30)에 대한 더욱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after the transflectiv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320 or the third slot 330, the transflective filter is transparent at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When coaxial photography is performed using a light source 40 that generates an optical signal to be incident on the filter, a more accurate image of the object 30 can be obtained.

도 1 내지 7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사용하여 촬영 대상물(30)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자의 손떨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촬영 대상물(30)에 대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B, in the case of photographing the object 30 using the photographing stand 10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amera shak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cise image of the image 30.

또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는 컬러 필터를 삽입할 수 있는 제1 슬롯(310) 및 반투과 투명 필터를 삽입할 수 있는 제2 슬롯(320) 및 제3 슬롯(330)을 포함하므로,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10)를 통해 분말 또는 시약을 사용한 촬영 및 동축 촬영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stand 10 includes a first slot 310 in which a color filter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slot 320 and a third slot 330 in which a semi-transparent filter can be inserted , Photographing using powders or reagents, and coaxial photography through the close-up photography photographing stand 10 can be easily performed.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는 과학 수사 현장 등과 같이 근접 촬영을 수행하는 현장에서 촬영 대상물에 대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hotographing unit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to acquire a precise image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t a scene where close-up photography is performed, such as a scientific investigation sit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100: 본체
200: 카메라 연결부 310: 제1 슬롯
320: 제2 슬롯 330: 제3 슬롯
400: 지지 다리 410: 제1 지지부
420: 제2 지지부 430: 길이 계측용 자
510: 카메라 고정 볼트 520: 핸드 그립
530: 손전등 거치대 531: 손전등 거치대 고정 볼트
540: 삼각대 고정 크래들
10: Close-up picture taking 100: Body
200: camera connection part 310: first slot
320: second slot 330: third slot
400: support leg 410: first support portion
420: second supporting portion 430: length measuring member
510: camera fixing bolt 520: hand grip
530: Flashlight Cradle 531: Flashlight Cradle Fixing Bolt
540: tripod mount cradle

Claims (12)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고, 카메라가 부착되는 카메라 연결부;
상기 본체의 하부의 전면에 상기 상하 방향과 90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1 광학 필터가 삽입되는 제1 슬롯;
상기 본체의 하부의 상기 전면에 상기 상하 방향과 4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제2 광학 필터가 삽입되는 제2 슬롯;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A body formed to be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A camer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o which a camera is attached;
A first slot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up-and-down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of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first optical fil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slot;
A second slot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a second optical filter is inserted; And
And a support leg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제1 광학 필터는 컬러 필터에 상응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tical filter inserted in the first slot is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corresponding to a color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제2 광학 필터는 반투과 투명 필터에 상응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Th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optical filter inserted in the second slot is a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corresponding to a semi-transparent fil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의 상기 전면에 상기 상하 방향과 135도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롯과 수직하며, 제3 광학 필터가 삽입되는 제3 슬롯을 더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slot formed at an angle of 1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lot and into which a third optical filter is inserte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3 슬롯은 서로 교차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slot and the third slot intersect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연결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상기 전면 상에서 상기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부착시키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The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connecting portion attaches the camera so that the camera is direc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on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The photographing stand for photographing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the up-and-down direc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연결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연결부에 부착되는 상기 카메라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8.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amera attached to the camera connecting portion based on a depth at which the camera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카메라 연결부에 접하는 카메라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연결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카메라 고정 볼트에 의해 제어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amera fixing bolt penetrating a part of the main bod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camera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depth at which the camera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s controlled by the camera fixing bol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The photographing stand for close-up photograp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leg has a folding structure that is switched between a folded state and a unfolded stat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는,
제1 끝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끝단을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지지부; 및
중심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제2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을 축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low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rotating in a first direction about the first end; A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t a center thereof and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bout the center.
제1 항에 있어서,
제1 끝단이 상기 본체의 상기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끝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하 방향과 평행한 접힘 상태와 상기 상하 방향과 수직한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핸드 그립(hand grip)을 더 포함하는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nd grip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irst end folded in a folded state rotated about an axis and a folded state vertical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grip) for taking close-up pictures.
KR2020170000906U 2017-02-23 2017-02-23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KR2004898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06U KR200489889Y1 (en) 2017-02-23 2017-02-23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06U KR200489889Y1 (en) 2017-02-23 2017-02-23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07U true KR20180002607U (en) 2018-08-31
KR200489889Y1 KR200489889Y1 (en) 2019-08-26

Family

ID=6340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06U KR200489889Y1 (en) 2017-02-23 2017-02-23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8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26A (en) * 2020-08-04 2022-02-11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Apparatus and method for shooting scattered blood marks at right ang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32Y1 (en) 2022-06-17 2022-10-17 김준모 Rotary working table for filming art wor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008A (en) *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US20120257034A1 (en) * 2009-12-22 2012-10-11 Genial Light Co., Ltd. Intravital observation device
KR20120123791A (en) * 2011-05-02 2012-11-12 홍충기 supporter for video camera
KR101255945B1 (en) * 2011-09-16 2013-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WO2014033697A1 (en) * 2012-09-03 2014-03-06 Phronema S.R.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plant orientation of a donor cornea lens in a receiving stromal b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008A (en) *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US20120257034A1 (en) * 2009-12-22 2012-10-11 Genial Light Co., Ltd. Intravital observation device
KR20120123791A (en) * 2011-05-02 2012-11-12 홍충기 supporter for video camera
KR101255945B1 (en) * 2011-09-16 2013-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WO2014033697A1 (en) * 2012-09-03 2014-03-06 Phronema S.R.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plant orientation of a donor cornea lens in a receiving stromal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26A (en) * 2020-08-04 2022-02-11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Apparatus and method for shooting scattered blood marks at right ang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89Y1 (en)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705B2 (en) Flash device
WO2014156747A1 (en) Panoramic-imaging digital camera, and panoramic imaging system
JP2000314908A (en) Ring light guide device for camera
TW201508325A (en) Portable terminal adaptor for microscope, and microscopic imaging metho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daptor
US8781311B1 (en) Document holder for a portable imaging apparatus
JP2008051957A (en) Optical axis adjustment method for imaging optical system, and lens device
KR20180002607U (en) Photograph stand for close-up photography
TW440689B (en) Image fetching apparatus
JP2002250613A (en) Optical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system
CN109210326B (en) Micro-distance shooting instrument for smart phone
RU80967U1 (en) VIDEO CAMERA MODULE
KR101473088B1 (en) Electron magnifier
JP2005070296A (en) Photographing apparatus
CN210042037U (en) Portable digital viewer for miniature objects
JPH07140373A (en) Image input device
KR101715721B1 (en) Multi-dimensional imaging device
JPH01217445A (en) Photograph printing device with monitor
KR20170108525A (en) 2-dimensional projection measuring device using a DSLR camera and a concave mirror
JP4243938B2 (en) 3D image adapter and 3D image capturing device mounting mechanism
JPH11109451A (en) Still camera illuminating system adapter
JP4507117B2 (en) Dust detector
JP2006270620A (en) Object-photographing method, face-photographing method and object-photographing apparatus, face-photographing apparatus, and split photographing adaptor
JP4158092B2 (en) 3D image adapter and 3D image capturing device mounting mechanism
JP2006251228A (en) Compound eye photographing apparatus
JPH09233373A (en) Image fe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