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68A -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68A
KR20180001368A KR1020160080411A KR20160080411A KR20180001368A KR 20180001368 A KR20180001368 A KR 20180001368A KR 1020160080411 A KR1020160080411 A KR 1020160080411A KR 20160080411 A KR20160080411 A KR 20160080411A KR 20180001368 A KR20180001368 A KR 20180001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guide plate
steering
column tub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6011B1 (en
Inventor
홍성종
임정문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11B1/en
Publication of KR2018000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has a guide plate positioned at an end of a steering shaft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upport means to generate frictional torque due to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in a surface contact manner, thereby improving response of the steering shaft, and has an improved structure to minimize a change value in the rotational torque when rotated in a normal direction and in a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includes a steering shaft rotated by rotation of a steering wheel; and a column tube having a hollow allowing the steering shaft to be inserted thereinto, comprises: a frictional bearing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to be coupled; a plat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to be rotated while being interlinked with the steering shaft when the steering shaft is rotate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rim portion of one side surface there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lumn tube; and a support means allowing the guide pl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lumn tube.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0001]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축의 단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면접촉방식으로 조향축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조향축의 응답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회전토크의 변동값을 최소화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guide plate elastically supported at an end portion of a steering shaft by a supporting means to generate a friction torque due to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 And a structure of the vehicle is improved so as to minimize variations in rotational torque dur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랙-피니언 기구부로 전달하는 조향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조향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한편 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steering column is configured to surround a steering shaft that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a driver's steering wheel operation to a rack-and-pinion mechanism unit and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and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bracket to fix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shaft .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텔레스코프(Telescope) 또는 틸트(Tilt)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데, 틸트는 스티어링 휠의 고정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텔레스코프는 축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중공 관을 삽입하여 형성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조향축 및 조향 컬럼이 컬랩스(Collapse)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도 갖는다.Such a steering column may add a telescope or a tilt function to the driver's convenience. The tilt is for adjust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telescope can extend and contrac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teering shaft and the steering column are collapsed at the time of a collision of an automobile to absorb impact energy.

따라서, 스티어링 컬럼은 전술한 기능에 따라 텔레스코프식 또는 틸트식으로 나누어 지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텔레스코프식 스티어링 컬럼에 틸트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으며, 운전자는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스티어링 휠의 돌출 정도 또는 기울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teering column may be divided into a telescopic type or a tilted type according to the function described above. In some cases, a tilt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telescopic type steering column.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the steering wheel by adjusting the degree of projection or tilt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이와 같은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프 또는 틸트 작동은 조작레버의 조임과 해제 동작에 따라 아우터 튜브가 이너 튜브를 압박 또는 압박이 해제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였다.Such a telescopic or tilt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is generally performed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inner tube by the outer tube according to the tightening and releas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또한, 스티어링 컬럼은 조향축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을 감싸는 튜브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었다.In addition, the steering column is provided with a bearing between the steering shaft and the tube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for smooth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기존 스티어링 컬럼의 베어링 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3041호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베어링 어셈블리"(공개일자 : 2007.07.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로워 자켓 및 어퍼 자켓의 일부가 서로 오버랩되고, 상기 로워 자켓 및 어퍼 자켓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로워 샤프트 및 어퍼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로워 샤프트와 로워 자켓 사이에 구비되는 로워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 상기 로워 베어링 어셈블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다수의 판 형상의 판 스프링과, 상기 판 스프링이 결합가능한 다수의 슬롯을 내측 소정위치에 형성한 대략 도넛 형상의 로워 부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로워 부싱의 슬롯에 압입 및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Prior art related to the bearing structure of existing steering column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73041 entitled " Lower bearing assembly for automotive steering column "(Published date: 2007.07.10) A steering column and a lower bearing assemb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shaft and the lower jacket, wherein the lower shaft and the upper shaf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a part of the jacket overlaps with the lower jacket and the upper jacket, The lower bearing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haped leaf springs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a substantially donut-shaped lower bushing having a plurality of slots to which the leaf springs can be coupled, And is press-fitted into the slot of the bushing.

그런데, 최근에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시 회전 저항으로 인한 무게감 있는 조향이 이루어지는 고급 승용차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luxury passenger car in which a heavy steering due to rota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그러나,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에는 조향축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구성만이 적용될 뿐 스티어링 휠, 특히 조향축의 회전시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 무게감 있는 조향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전혀 개시된 바 없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only the configuration for smoothly rotating the steering shaft is applied, and no configuration has been disclosed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n particular, the steering wheel with heavy weight by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during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has never been disclosed.

따라서, 조향축의 회전시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 무게감 있는 조향이 이루어지는 개선된 형태의 스티어링 컬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n improved steering column in which a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o provide a weighted steering.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25070호 "스티어링 컬럼"(등록일자 : 2013.10.2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 및 상기 조향축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의 일단을 반경방향의 마찰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튜브에 고정되는 구름체와 이 구름체를 전후 또는 내외를 감싸도록 형성된 내외륜으로 구성되는 마찰베어링; 상기 마찰 베어링을 고정하도록 상기 조향축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마찰 베어링과 고정너트 사이의 조향축에 개재되어 상기 내륜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베어링은 구름체로서 니들이 채용되고 상기 니들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축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는 프릭션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의 마찰 베어링이 설치되는 후단 내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외륜의 축방향 밀림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끼워지고, 상기 조향축과 튜브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구름 베어링은 c-링에 의해 상기 조향축에 고정되며 상기 마찰 베어링의 외륜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다.Conventional prior art for improving this includes a steering shaft and a tube formed in a hollow shape to insert the steering shaf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5070, entitled "Steering Column" Wherein the steering column includes a rolling body fixed to the tube so as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in a rad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and an inner and outer ring formed to surround the rolling body in front and rear or inside and outside; A fixing nut screwed to the steering shaft to fix the friction bearing;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riction bearing and the fixing nut to transmit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ring, wherein the friction bearing employs a needle as a rolling body, and a plurality of the needles are arranged radially, Wherein a snap ring is formed in the rea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o which the frictional bearing of the tube is attached, and a snap ring for preventing axial movement of the outer ring is inserted in the engaging groove, The rolling bearing is fixed to the steering shaft by a c-ring, and the outer ring of the friction bearing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그런데, 상기의 경우에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볼베어링 내의 리테이너를 가압하여 마찰 토크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접촉부의 마모가 발생할 경우 조향 응답성이 저하되고 조향축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시 회전 토크의 변동값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a method of generating a frictional torque by pressing the retainer in the ball bearing using the elastic member is adopted. However, in this case, when abrasion of the contact portion occurs, the steering responsiveness is lowered and the steering shaf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ariation value of the rotation torque becomes relatively larg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3041호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베어링 어셈블리"(공개일자 : 2007.07.10)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73041 entitled "Lower bearing assembly of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Published date: 2007.07.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25070호 "스티어링 컬럼"(등록일자 : 2013.10.29)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5070 entitled "Steering Column" (registered on October 29,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향축의 단부에 면 접촉 구조를 부여하여 조향축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조향축의 응답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회전토크의 변동값을 최소화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surface contact structure at an end portion of a steering shaft to generate a friction torque due to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to improve responsiveness of the steering shaft,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in which the structure thereof is improved so as to minimize a variation value of a rotational torque dur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이 삽입되도록 중공을 갖는 컬럼 튜브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로서, 상기 조향축의 일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찰 베어링과, 상기 조향축의 일단부에 끼워져 상기 조향축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 테두리 부위가 상기 컬럼 튜브의 일단측과 면접촉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컬럼 튜브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teering shaft rotated by rotation of a handle; and a column tube having a hollow for insertion of the steering shaft, A guide plate fitt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and interlocked with the steering shaft when the steering shaft rotates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its center and having one side edge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side of the column tube; And a support means for bringing the support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측면에 상기 마찰 베어링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토크 조정단과, 상기 회전 토크 조정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찰 베어링의 구름체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 가능한 걸림돌기가 더 구비된다.The guid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protruding toward the friction bearing on one side thereof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so as to enter the gap between the rolling bodies of the friction bearing.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조향축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와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컬럼 튜브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The supporting means includes a fixing nut screw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and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nut and the guide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guide plate toward the column tube.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측면 통공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부위가 수용되도록 단턱진 단턱부가 더 구비된다.The support means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p-like step portion formed at a rim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to accommodate one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스프링인 것이다.The elastic member is a wave spring.

상기 컬럼 튜브는 일단측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 부위가 수용되도록 요홈진 수용홈부가 형성된다.The column tube has a recessed groove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accommodate one side of the guide plate.

본 발명은 조향축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부위가 컬럼 튜브의 일단측과 면접촉되도록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지지수단으로 하여금 가이드 플레이트를 컬럼 튜브측으로 면마찰되도록 밀착시켜 조향축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조향축의 회전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회전토크를 제공하여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에 따른 토크 변동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late is fitted to one end of a steering shaft and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column tub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lumn tube, The rotational response of the steering shaft can be improved by generating a frictional torque during the reverse rotation, and it has a useful effect of suppressing the torque fluctuation due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by providing the stable rotation torque.

또한, 본 발명은 회전 토크 조정단과 리테이너가 접촉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의 회전시 회전 토크 조정단과 리테이너 사이의 접촉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걸림돌기의 단부가 구름체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도록 조립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의 회전시 리테이너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어 조향축의 회전 토크의 변동없이 토크값을 안정적으로 하락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and the retain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and the retainer during rotation of the guide plate is generated and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assembl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rolling bodies The retainer is interlocked and rotated when the guide plate is rotated, so that the torque value can be stably lowered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스티어링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가이드 플레이트의 전면과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1;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핸들(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축(100)과, 상기 조향축(100)이 삽입되도록 중공을 갖는 컬럼 튜브(200)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로서, 상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찰 베어링(300)과, 상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져 상기 조향축(10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중앙에 통공(405)이 형성되고 일측면 테두리 부위가 상기 컬럼 튜브(200)의 일단측 테두리 부위와 면접촉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를 상기 컬럼 튜브(200)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수단(500)으로 구성된다.1 to 4, the steer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shaft 100 rotated by the rotation of a steering wheel (not shown), and a steering shaft 100 having a hollow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column tube (200), comprising: a friction bearing (300) fitted to and join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 steering shaft (100) fitt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A guide plate 400 having a through hole 40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one side edge portion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dge of one end of the column tube 200, And a support means 500 for closely contacting the column tube 200 sid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향축(100)은 컬럼 튜브(200)의 중공 내에 삽입되고 틸팅 조절레버에 의해 틸팅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 the steering shaft 100 is inserted in the hollow of the column tube 20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ilting is controlled by a tilting lever.

조향축(100)은 타단이 핸들과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며, 일단부가 컬럼 튜브(200)의 중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된 마찰 베어링(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steering shaft 10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friction bearing 30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lumn tube 200 so as to be received in the hollow of the column tube 200.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is connected to the handle and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

이를 위해 마찰 베어링(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내륜(310)과, 컬럼 튜브(200)의 내주에 수용되는 외륜(320)과, 내,외륜(310,320) 사이에 리테이너(340)를 매개로 개재되어 조향축(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복수의 구름체(350)로 구성된다.2, the friction bearing 300 includes an inner ring 310 fitt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n outer ring 320 accommodat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lumn tube 200, And a plurality of rolling bodies 350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ings 310 and 320 via a retainer 340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100.

상기 구름체(350)는 니들 또는 볼부재 혹은 롤러를 채용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340)를 매개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다.The rolling bodies 350 may employ needles or ball members or rollers,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rough the retainer 340.

또한, 마찰 베어링(300)의 조립을 위해 조향축(100)의 외주에 결합되어 마찰 베어링(300)을 조향축(100)에 고정시키는 링부재(330)가 더 구비된다. A ring member 33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ering shaft 100 for fixing the friction bearing 300 to the steering shaft 100 for assembling the friction bearing 300 is further provided.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중앙에 조향축(100)이 관통되도록 통공(405)이 형성되고, 일측면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컬럼 튜브(200)의 일측단 부위와 면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guide plate 400 has a through hole 40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allow the steering shaft 100 to pass therethrough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rim portion on one side is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portion of the column tube 200.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일측면에 상기 마찰 베어링(300)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토크 조정단(425)과, 상기 회전 토크 조정단(425)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찰 베어링(300)의 구름체(350)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 가능한 걸림돌기(420)가 복수개 형성되고,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 통공(405) 테두리 부위에 요홈지도록 단턱진 단턱부(410)가 형성된다.3B, the guide plate 400 includes a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protruding toward the friction bearing 300 at one side thereof, a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420 protruding outwardly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s 425 and capable of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rolling bodies 350 of the friction bearing 300 are formed, A stepped step portion 410 is formed so as to be concave on the portion.

상기 회전 토크 조정단(425)은 마찰 베어링의 내륜(310)과 외륜(320) 사이로 연장되어 리테이너(340)와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between the inner ring 310 of the friction bearing and the outer ring 320 and contacts the retainer 340.

상기 걸림돌기(420)는 상기 회전 토크 조정단(425)의 표면으로부터 마찰 베어링 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마찰 베어링(300)과 일부 오버랩되는 구조를 가지며, 마찰 베어링(300)의 리테이너(340)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rotrusion 420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to extend toward the friction bearing and partially overlaps with the friction bearing 300. The engaging protrusion 420 extends toward the retainer 340 side of the friction bearing 300 The width may be gradually narrowed.

또한, 걸림돌기(420)는 조립시 단부가 마찰 베어링(300)의 구름체(350) 사이의 간극으로 배치되어 리테이너(340)와 걸리도록 조립되며,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회전시 구름체(350)를 같이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engaging protrusion 420 is assembled such that the end of the engaging protrusion 420 is engaged with the retainer 340 when the guide plate 400 rotates and the end of the engaging protrusion 420 is disposed as a gap between the rolling bodies 350 of the friction bearing 300, 350) are linked together.

상기 지지수단(500)은 상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너트(510)와, 상기 고정너트(510)와 가이드 플레이트(4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를 컬럼 튜브(200)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0)로 구성된다.The supporting means 500 includes a fixing nut 510 which is screw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a fixing nut 510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nut 510 and the guide plate 400, And an elastic member 520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lumn tube 200 side.

상기 고정너트(510)는 육각형 너트를 채용할 수 있으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탄성부재(5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부재(52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fixing nut 510 can adopt a hexagonal nut and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520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520 from being separated by being screw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상기 탄성부재(520)는 일 예로 웨이브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일측이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단턱부(410)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고정너트(51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elastic member 5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20 is accommodated in the step portion 410 of the guide plate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5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nut 510.

상기 컬럼 튜브(200)는 일단측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일측 부위가 수용되도록 요홈진 수용홈부(210)가 형성된다.The column tube 200 has a recessed groove receiv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accommodate one side portion of the guide plate 400.

상기 수용홈부(210)는 지지수단(500)에 의해 마찰 베어링(300) 측으로 밀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일측 부위가 수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receiving groove 210 receives a portion of the guide plate 400 which is closely contacted to the friction bearing 300 by the support means 500 to prevent the guide plate 400 from being separated.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400)에는 수용홈부(210)에 수용되어 면접촉되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진 마찰부(4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late 400 is formed with a friction portion 430 which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10 and flattened to be in surface contact.

그리고, 마찰부(430)에는 수용홈부(210)에 장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단턱진 걸림부(430a)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iction portion 430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210 and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stopping portion 430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400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상세히, 걸림부(430a)는 수용홈부(210)의 원주방향 내측 테두리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조향축(100)의 회전시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찰부(430)의 테두리를 따라 단턱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latching portion 430a is stably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eceiving groove 210, and is formed to be stepped along the rim of the friction portion 430 so as to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steering shaft 100 rotates. .

또한, 조향축(100)과 컬럼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조향축(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름베어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olling bearing may further include a rolling bearing which is fitt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100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steering shaft 100 and the column tube 20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베어링(300)이 컬럼 튜브(200)의 중공 내에 삽입된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한 후에,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통공(405)을 조향축(100)의 일단부가 관통하도록 끼움 결합시켜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일측 부위가 컬럼 튜브(200)의 수용홈부(2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시키고, 탄성부재(520)를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서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타측 부위에 밀착되도록 한 후에, 탄성부재(520)를 지지하는 고정너트(510)를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체결하면 조립작업이 완료된다.4, after the friction bearing 300 is fitted to fit in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inserted in the hollow of the column tube 200, the guide plate 400, The through hole 405 of the steering shaft 10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so that one side of the guide plate 40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10 of the column tube 200, Is fitt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400 and then the fixing nut 510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520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ssembly work is completed.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일측 부위가 수용홈부(210)에 수용됨과 아울러, 걸림돌기(420)가 마찰 베어링(300)의 외륜(320)과 내륜(310) 사이에 위치하며 구름체(350)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guide plate 4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42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ring 320 and the inner ring 310 of the friction bearing 300, As shown in FIG.

상기한 조립이 완료된 후에 조향축(10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향축(100)과 체결된 고정너트(510)가 연통 회전되면서 회전력이 탄성부재(520)를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400)에 전달된다.When the steering shaft 100 is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assembly is completed, the steering shaft 100 and the fixed nut 510 fastened to the steering shaft 100 are rotated to rotate,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uide plate 400 through the elastic member 520, .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탄성부재(52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일측 부위가 컬럼 튜브(200)의 수용홈부(21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컬럼 튜브(200)의 일단과 밀착되도록 면 접촉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회전시 컬럼 튜브(200)와의 접촉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guide plate 400 is in surfac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lumn tube 2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lumn tube 20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0 of the column tube 200 due to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20, A contact friction force with the column tube 200 is generated when the guide plate 400 rotates.

상기한 접촉 마찰력은 조향축(100)의 회전시 회전토크를 안정적으로 확보함에 따라 조향축(100)의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조향축(10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회전토크 변동값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contact friction force improves the responsiveness of the steering shaft 100 as the rotational torque dur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100 is stably secured and minimizes the rotational torque variation value dur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steering shaft 100 .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회전 토크 조정단(425)은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회전시 마찰 베어링(400)의 리테이너(340)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지만, 걸림돌기(420)가 리테이너(340)를 회전시켜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리테이너(340)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회전토크의 변동없이 회전토크값을 안정적으로 하락시킬 수 있게 된다.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of the guide plate 4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tainer 340 of the friction bearing 400 when the guide plate 400 rotates and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stably lower the rotation torque value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 torque even if the wear of the guide plate 400 and the retainer 340 occurs.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조향축(100)의 회전시 상기 회전 토크 조정단(425)과 리테이너(340)와의 접촉 마찰력 및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컬럼 튜브(200)와의 접촉 마찰력이 배가되어 안정적인 조향축(100)의 회전토크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contact friction force between 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and the retainer 340 and the contact friction force between the guide plate 400 and the column tube 200 are doubled when the steering shaft 100 rotates, The steering torque of the steering shaft 100 can be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은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움 결합되고 일측 테두리 부위가 컬럼 튜브(200)의 일단측 테두리 부위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고, 회전 토크 조정단(425)과 리테이너(340)가 접촉되도록 결합된 가이드 플레이트(400)를 구비하여 조향축(10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 마찰 토크를 발생시켜 조향축(100)의 회전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회전토크를 제공하여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에 따른 토크 변동을 억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and the retainer 3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are engaged with one end edge of the column tube 200, And a guide plate 400 coupled to the guide plate 400 so as to generate friction torque dur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100 to improve the rotational response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torque fluctuation due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can be suppress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가지는 개념과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deformation at any time.

100 : 조향축 200 : 컬럼 튜브
210 : 수용홈부 300 : 마찰 베어링
310 : 내륜 320 : 외륜
330 : 링부재 340 : 리테이너
350 : 구름체 400 : 가이드 플레이트
405 : 통공 410 : 단턱부
420 : 걸림돌기 425 : 회전 토크 조정단
500 : 지지수단 510 : 고정너트
520 : 탄성부재
100: Steering axis 200: Column tube
210: receiving groove 300: friction bearing
310: inner ring 320: outer ring
330: ring member 340: retainer
350: rolling body 400: guide plate
405: through hole 410:
420: stopping gear 425: rotating torque adjusting end
500: Support means 510: Fixing nut
520: elastic member

Claims (8)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축(100)과, 상기 조향축(100)이 삽입되도록 중공을 갖는 컬럼 튜브(200)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로서,
상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찰 베어링(300)과,
상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끼워져 상기 조향축(10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중앙에 통공(405)이 형성되고 일측면 테두리 부위가 상기 컬럼 튜브(200)의 일단측과 면접촉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를 상기 컬럼 튜브(200)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지지수단(5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steering shaft (100) rotated by rotation of a handle; and a column tube (200) having a hollow for insertion of the steering shaft (100)
A friction bearing 300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The steering shaft 100 is interlocked with the steering shaft 100 when the steering shaft 100 rotates. The through hole 40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one side edge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ne end side of the column tube 200 A guide plate 400,
And a support means (500) for closely contacting the guide plate (400) to the column tube (200)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일측면에 상기 마찰 베어링(300)측으로 돌출되는 회전 토크 조정단(425)과,
상기 회전 토크 조정단(425)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찰 베어링(300)의 구름체(350)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 가능한 걸림돌기(4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late 400 includes a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protruding toward the friction bearing 300 on one sid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rotrusion (420)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otation torque adjusting end (425) and capable of entering the gap between the rolling bodies (350) of the friction bearing (3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500)은 상기 조향축(100)의 일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너트(510)와,
상기 고정너트(510)와 가이드 플레이트(4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를 컬럼 튜브(200)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means 500 includes a fixing nut 510 screw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100,
And a resilient member (520)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nut (510) and the guide plate (40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guide plate (400) toward the column tube (2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50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타측면 통공(405)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20)의 일측 부위가 수용되도록 단턱진 단턱부(4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means 5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pped step portion 410 formed at the edge of the other side through hole 405 of the guide plate 400 to receive one sid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20 Of the steering colum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20)는 웨이브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ember (520) is a wave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 튜브(200)는 일단측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의 일측 부위가 수용되도록 요홈진 수용홈부(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umn tube (200) has a recessed groove receiv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receive one side portion of the guide plate (40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에는 상기 수용홈부(210)의 안착면과 면접촉되도록 편평하게 이루어진 마찰부(4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uide plate (400) is formed with a friction portion (430) flatten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430)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가 상기 수용홈부(210)에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단턱진 걸림부(43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riction portion (430) is formed with a step portion (430a)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guide plate (40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0) and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KR1020160080411A 2016-06-27 2016-06-27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KR1020760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11A KR102076011B1 (en) 2016-06-27 2016-06-27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11A KR102076011B1 (en) 2016-06-27 2016-06-27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68A true KR20180001368A (en) 2018-01-04
KR102076011B1 KR102076011B1 (en) 2020-02-12

Family

ID=6099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11A KR102076011B1 (en) 2016-06-27 2016-06-27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3923A (en) * 2018-06-12 2021-01-08 株式会社昭和 Steering angle limi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041A (en) 2006-01-03 2007-07-1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A lower bearing assembly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20130048906A (en) * 2011-11-03 2013-05-13 남양공업주식회사 Steering column
KR101325070B1 (en) 2012-04-30 2013-11-05 최준영 Wood deck comprising solar lighting means
KR20140115911A (en) * 2013-03-22 2014-10-01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Pre-stressed rolling bearing, notably for a steering colum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041A (en) 2006-01-03 2007-07-1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A lower bearing assembly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20130048906A (en) * 2011-11-03 2013-05-13 남양공업주식회사 Steering column
KR101325070B1 (en) 2012-04-30 2013-11-05 최준영 Wood deck comprising solar lighting means
KR20140115911A (en) * 2013-03-22 2014-10-01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Pre-stressed rolling bearing, notably for a steering colum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3923A (en) * 2018-06-12 2021-01-08 株式会社昭和 Steering angle limiting device
CN112203923B (en) * 2018-06-12 2023-03-07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Steering angle limi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011B1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738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8443929B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5708838B2 (en) Steering device
EP3299253B1 (en) Steering device of vehicle
EP3173313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6256663B2 (en) Worm reducer
US20130074639A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WO2018096916A1 (en) Power seat slide device
WO2006022351A1 (en) Universal joint
KR101325072B1 (en) Steering column
JP2007203771A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KR20180001368A (en) Steering structure of a vehicle
US20090294202A1 (en) Noise reduction device of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JP5765628B2 (en) Vehicle steering device
WO2020039880A1 (en) Rack-and-pinion type steering gear unit
JP5015751B2 (en) Shaft coupling structure
US20210293273A1 (en) Rotational bearing arrangement for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WO2022269932A1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2124534B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WO2022168849A1 (en) Steering device
KR20190012672A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688422B1 (en) A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Vehicles
CN110719868B (en) Steering device
JPH0515187Y2 (en)
JP2018052180A (en) Vehicle ste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