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131A - Pollination device using bees - Google Patents

Pollination device using be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131A
KR20170141131A KR1020170073780A KR20170073780A KR20170141131A KR 20170141131 A KR20170141131 A KR 20170141131A KR 1020170073780 A KR1020170073780 A KR 1020170073780A KR 20170073780 A KR20170073780 A KR 20170073780A KR 20170141131 A KR20170141131 A KR 20170141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hopper
housing
extension passage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5242B1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파수꾼영농조합법인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수꾼영농조합법인, 김성호 filed Critical 파수꾼영농조합법인
Publication of KR2017014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2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ination device for utilizing Bombus terrestr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device is installed on an outlet of a beehive storing Bombus terrestris being used for pollination of fruit trees including apple trees to coat the bodies of Bombus terrestris with pollens, thereby using the pollens and the Bombus terrestris at the same time for maximizing the pollination performance. The pollination device includes: an extended path unit (10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utlet (1) of the beehive of Bombus terrestris; a pollen hopper (2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nded path unit (100) to store the pollens; and a pollen feeder (300) sensing the number of Bombus terrestris passing through the extended path unit (100) to supply the pollens of the pollen hopper (200) to the extended path unit (100) after a preset number of Bombus terrestris passes through the extended path unit (100). The extended path unit (100) is curved and narrows in an outward direction to coat a wider area of the bodies and legs of Bombus terrestris with a greater amount of pollens to enable effective pollination.

Description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Pollination device using bees}Pollination device using bees

본 발명은 수정벌을 활용한 수분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과나무를 비롯한 각종 과수 등의 수분을 위하여 사용되는 수정벌이 들어있는 수정벌통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외부로 나가는 수정벌의 몸에 꽃가루를 묻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정벌과 꽃가루를 동시에 사용하여 수정벌의 수분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특히 출구의 연장통로 형태를 커브형으로 형성하고 그 단면적으로 바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수정벌의 머리와 몸통 및 다리에 전체적으로 꽃가루가 많이 넓게 묻도록 하여 효과적인 수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출구를 입구로 착각하여 수정벌끼리 맞부딪히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device using a quartz bee,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a quartz beehive containing a quartz bee used for moisture such as apple trees and the like, and pollen is buried in the quartz bee And the pollen of the fertilizer can be maximized by using the fertilizer and pollen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it is formed into a curved shape by the extension pipe of the outlet, and is formed so a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outside as a cross- The pollen on the head, the torso and the leg as a whole is wider so that effective water can be obtained, but the exit is mistaken as an entrance, so that a situation in which the pollen is struck against each other does not occur.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야생벌을 비롯한 수많은 화분매개 곤충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늘어난 오늘날에는 병해충 및 잡초관리를 위한 농약살포가 보편화된 반면, 야생벌에게 적합한 서식지와 서식환경을 잃어가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유리온실,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시설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화와 개발로 인한 서식처 파괴로 자연계 내에도 화분매개곤충의 종류와 밀도가 감소하여, 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현재 농작물의 화분매개에 이용하고 있는 곤충으로는 꿀벌 및 뒤영벌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은 화분매개용 벌(수정벌)을 이용한 수분작업은 인위적인 수분작업보다 노동과 시간을 줄일 뿐 아니라 탁월한 결실효과를 보여준다.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n general, a large number of pollen-borne insects, including wild bees, were active. However,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population growth, pesticide application for pest control and weed control has become common, while habitat and habitat suitable for wild bears are being lost.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cultivation area of crops grown in facility houses such as glass greenhouses and vinyl houses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and the type and density of pollen-borne insects have also decreased in the natural world due to the habitat destruction due to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The demand for pollen-borne insects is increasing rapidly. The insects that are currently used to pollinate crops include bees and insects. This pollen-borne hydroponics not only saves labor and time, but also has a remarkable deleterious effect over artificial hydroponics.

화분매개용 벌은 별도로 제작된 벌통을 이용하여 사육 및 증식할 수 있으며, 벌통은 시설하우스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면 벌이 화분매개 행동을 하여 수분(受粉) 작업을 행한다. 상기 화분매개용 벌통에는 여왕벌 한 마리와 다수의 일벌 그리고 번데기, 유충 및 알이 들어있으며 보통 약 2개월 분의 충분한 먹이가 공급되어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도록 되어있다.The pollen-medicinal bee can be raised and proliferated using a separately manufactured beehive. When the beehive is installed at any position inside the facility house, the bee performs pollen-mediated action to pollinate. The pollen beehive contains a queen bee, a large number of work bees, a pupa, a larva and an egg, and generally sufficient food for about two months is supplied so that no special care is required.

이와 같은 화분매기용 벌 즉, 수정벌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특허문헌은 수정벌통 자체의 구조 및 기능향상에 관련된 기술로 수정벌을 활용하여 수정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Patent literature 1 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 such prior art related to fertilizer, that is, fertilization bee. The patent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improvement of the crystal beehive itself, There is no direct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for maximizing efficiency.

한편, 이와 같은 수정벌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방법 외에도 벌 없이 꽃가루를 붓에 묻혀서 다른 꽃 암술머리 부분에 발라주거나 분사기를 이용하여 꽃가루를 암술머리에 분무해는 것을 인공수정 또는 인공수분이라고 하는데, 이는 수분할 과수가 많을 경우 다수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작업을 할 인력을 구할 수도 없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using such a modified bee, the pollen is sprayed on the stigma of the other pistil by spraying the pollen on the head of the other stigma or spraying the pollen on the stigma with the sprayer, If there is a large number of fruit trees, a large number of workers must be input, which raises the labor cost, and there is a real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the manpower to do such work.

한국등록특허 제10-0682982호(2007.02.098.등록) 뒤영벌 사육 및 화분매개용 벌통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82982 (Registered on February 2, 2007)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4394호(2010.11.29.공개) 뒤영벌 사육 및 판매용 상자의 접이식 출입용 개폐기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24394 (disclosed on Nov. 29, 201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수정이 아닌 수정벌에 의한 수분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utilizing a fertilizer which can maximize the water capacity by a fertilizer rather than an artificial fertiliz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정벌통의 출구 외측에 설치되는 연장통로와; 꽃가루가 저장되어 상기 연장통로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화분호퍼와; 상기 연장통로를 지나는 수정벌의 마리수를 감지하여 설정된 마리수의 통과시마다 상기 화분호퍼의 화분을 연장통로에 일정량 공급하는 화분공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neycomb structure comprising: an extension passage provided outside the outlet of a crystal beehive; A flowerpot hopper which is stor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ipe and stores pollen; And a pollen feede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mules of the fertilizer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passage and supplying the pollen of the pollen hopper to the extension pipe at a predetermined amount each time the set water passes.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공급기는 연장통로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화분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화분호퍼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와 기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지된 신호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같아지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센서와 액추에이터 및 제어회로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로 이루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llen feeder includes a sensor installed in the extension pipe, an actuator installed under the pollen hopper and operated by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to open the pollen hopper, A control circuit for comparing the preset data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tuator when the sensed signal becomes equal to predetermined data, and a battery for driving the sensor, the actuator and the control circuit.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통로는 커브형태를 이루고, 상기 연장통로는 그 내부 단면적이 후단부는 넓고 선단부쪽으로 올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수정벌이 출구를 입구로 착각하여 수정벌끼리 맞부딪히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xtension channel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tension channel is formed such that the rear end portion thereof is wide and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so that a situation in which the quadrangle- do.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공급기는 하우징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그 하부 내측에 연장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 일측에는 수정벌통의 입구와 일치되는 위치에 입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홀의 전방에는 착륙판이 구비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feeder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he housing has an extension passage inside the lower portion thereof, an inlet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inlet of the crystal beehive, A landing plat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entrance hole.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호퍼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측에는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커버는 연장통로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수정벌이 벌통으로 들어가기 위한 착륙판을 형성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t hopper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and a cover is removably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e cover forming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assage, Form a landing plat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수정벌이 벌통에서 나올때 꽃가루를 듬뿍 묻힌상태로 나와 꽃을 찾아서 활동화면서 수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므로 수정벌이 꽃에서 묻은 꽃가루만을 갖고 수분을 하는 경우보다 수분의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수의 인력을 투입하여 인공수분을 해주지 않아도 과수 등의 수정을 확실히 시킬 수 있게 되어 과수의 수확량 증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e comes out of the beehive, the pollen is filled with the pollen so that the pollen of the flower is found and the moisture of the activity screen is made. Therefore, the pollen of the bee is maximized And it is possible to make correction of fruit juices and the like without increasing the artificial moisture by inputting a lot of manpower,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uit yield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가 설치된 수정벌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가 설치된 수정벌통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가 설치된 수정벌통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장치의 출입구부 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화분 공급기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화분 공급기의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화분 공급기의 개략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정벌 화용 수분장치의 사시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화분 공급기의 동작상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ystal beehive provided with a crystal bee utilizing moist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crystal beehive with the quartz utility moisture device shown in Fig. 1 installed,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crystal beehive with the quartz utility moisture device shown in Figure 1 installed;
4 is an enlarged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an entrance portion of the mois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len feeder,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len feed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len feeder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beehive moistur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quartz utility moisture device shown in FIG. 8,
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modifier utility moisture device shown in Figure 8;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pollen feeder in Fig.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의 구조 및 수정벌통에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s. 1 to 4 show the structure of the quartz-pollinating moistu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tallation state thereof in the crystal honeycom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분장치는 수정벌통(B)의 출구(1) 외측에 설치되는 연장통로(100)와, 꽃가루가 저장되어 상기 연장통로(10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화분호퍼(200)와, 상기 연장통로(100)를 지나는 수정벌의 마리수를 감지하여 설정된 마리수의 통과시마다 상기 화분호퍼(200)의 화분을 연장통로(100)에 공급하는 화분공급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xtension pipe 100 installed outside the outlet 1 of the crystal beehive B, And a pollen feeder (100) for feeding the pollen of the pollen hopper (200) to the extension path (100) each time the set number of moles passes through the extension pipe (100) 300).

먼저, 상기 화분공급기(300)는 연장통로(100)에 설치되는 센서(310), 상기 화분호퍼(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3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화분호퍼(200)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320), 상기 센서(310)에서 감지된 신호와 기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지된 신호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같아지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32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회로(330) 및 상기 센서(310)와 액추에이터(320) 및 제어회로(33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인 배터리(3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 공급기(300)는 모두 하우징(350)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있다.The pollen feeder 300 includes a sensor 310 installed in the extension passage 100 and a sens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llen hopper 200 to be operated by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310, A controller 320 for compar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310 with predetermined data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tuator 320 when the sensed signal becomes equal to preset data, And a battery 340 that i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sensor 310 and the actuator 320 and the control circuit 330. The pollen feede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50, .

상기 하우징(350)은 그 하부 내측에 연장통로(1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연장통로(100)의 후단은 수정벌통(B)의 출구(1)에 밀착되어 출구(1)를 통해 나온 수정벌이 연장통로(100)를 거쳐서만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통로(100)는 도 2의 평면도 및 도 4의 평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형 통로가 아닌 일종의 S자형 커브를 이루고 있고, 이 연장통로(100)는 그 내부 단면적이 후단부는 넓고 선단부쪽으로 올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통로(100)의 선단 즉, 최종 출구(100a)는 수정벌이 입구로 착각하여 들어올 염려가 없는 크기로 축소되어 있어 연장통로(100)에서 나가는 수정벌과 들어오는 수정벌이 서로 부딪히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let 1 of the quartz beehive B and passes through the outlet 1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350, 2 and the flat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the elongated passage 100 forms a kind of S-shaped curve, not a straight passage, The end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that is, the final outlet 100a, is in contact with the entrance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So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modifying bee coming out of the tool box 100 and the incoming modifying bee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does not occur.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통로(100)가 커브형으로 굽어진 이유는 이를 직선형으로 제작할 경우 연장통로(100)에 공급된 화분이 수정벌의 특정부위에만 묻고,수정벌의 몸통과 머리 및 다리 전체에 넓게 묻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며, 연장통로(100)가 커브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수정벌이 밖으로 나갈 때 몸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최종출구(100a)로 향하게 되므로 연장통로(100)에 공급된 화분이 수정벌의 머리와 몸통 및 다리에 전체적으로 넓은 범위로 묻게 됨으로써 꽃에 접촉할 때 더욱 효과적인 수분(受粉)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pipe 100 is curved in a curved shape when the pollen supplied to the extension pipe 100 is buried only in a specific part of the modification pipe, Since the extension tube 10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body is moved toward the final outlet 100a while moving the body when the modification plug is moved out. Therefore, This is because the supplied pollen is applied to a wide range of the head, body, and legs of the fertilizer as a whole, so that more effective pollination can be achieved when contacting the flower.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350)의 하단 일측에는 수정벌통(B)의 입구(2)와 일치되는 위치에 입구홀(3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입구홀(351)의 전방에는 외부활동을 마친 수정벌이 입구홀(351)로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착륙판(352)이 구비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nlet hole 351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using 350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inlet 2 of the crystal beehive B. In front of the inlet hole 351, And a landing plate 352 is provided for facilitating entrance of the correction hole after the external activity into the entrance hole 351.

도면 중 부호 3은 상기 수정벌통(B)의 출,입구(1,2)를 모두 개방하거나 입구만을 개방하거나 또는 모두 폐쇄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개폐판(3)이며,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분장치는 이 개폐판(3)의 동작과 무관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폐판을 떼어내고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벌에 쏘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수분장치를 탈거하거나 장착할 경우에도 상기 개폐판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이의 신속하고 안전한 탈거와 장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Reference numeral 3 in the drawings denotes a slide type opening / closing plate 3 which can open all of the outlet and inlet ports 1 and 2 of the crystal beehive B,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pinching that may occur when the open / close board is removed and installed, and even when the moisture device is removed or mounted,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safely removed and mounted.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350)의 전방에는 화분호퍼(200)를 안착시키기 위한 호퍼 안착부(353)가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350)의 후방에는 화분공급기(30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320)와 제어회로(330) 및 배터리(340)가 설치되는 후방공간(354)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hopper seating portion 353 for seating the pollen hopper 200 is opened upwardly and a pollen feeder 3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350 And a rear space 354 in which the actuator 320, the control circuit 330, and the battery 340 are installed.

상기 하우징(350)은 수정벌통(B)의 상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는 수정벌통(B)과 하우징(350)의 저면에 각각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반복 착탈이 가능한 점착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housing 35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quartz crystal bead B by attaching male and female velcro tapes to the quartz crystal beads B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50, Tape or the like can be us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통로(100)의 상부측에는 상기 화분호퍼(200)의 하단출구(210)가 접하는 화분투입구(100b)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llen inlet port 100b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so that the lower end outlet 210 of the pollen hopp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outlet port 100b.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호퍼(200)는 하단출구(210)는 좁고, 상부입구(220)는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입구(220)에는 개폐가능한 덮개(230)가 구비되어 있어서 열어서 화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호퍼(200)의 외측 중간부위에는 하우징(350)의 호퍼 안착부(353)에 안착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llen hopper 200 has a narrow bottom outlet 210, a wide top inlet 220, and an openable lid 230 on the top inlet 220 to open the pot And a flange portion 240 is formed at an outer middle portion of the pollen hopper 200 to maintain a stable state when the hopper receiving portion 353 of the housing 350 is seated.

또, 상기 화분호퍼(200)의 하단출구(210) 상부측에는 액추에이터(320)에 의해 동작되는 셔터(322)가 삽입되는 셔터홀(250)이 형성되어 있다.A shutter hole 250 through which the shutter 322 operated by the actuator 320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lower outlet 210 of the pollen hopper 20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20)는 일종의 솔레노이드로 전기(電氣)의 인가에 의해 직진운동을 하고, 전기의 차단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직동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셔터(322)가 열렸다가 닫히는 것에 의해 화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tuator 320 is a linear solenoid that linearly moves by the application of electric power, and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by shutting off the electric power, so that the shutter 322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pollen can be supplied.

본 발명은 상기 액추에이터(320)가 직동식 솔레노이드가 아닌 다른 방식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은 회전형 액추에이터(모터)로, 직선운동을 하는 셔터(322)대신 회전수차형 셔터(322)를 적용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랙-피니언 방식으로 개폐되는 셔터(322)를 적용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류식 셔터(322)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화분호퍼(200) 내부의 화분입자가 서로 뭉친 상태를 이루어 정상적으로 공급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셔터의 개폐방식과 셔터의 구조는 이러한 뭉친 상태를 와해시키면서 정량공급이 가능한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actuators other than the direct acting type solenoid, which is a rotatable actuator (motor) as shown in FIG. 5, in which a shutter 322, which performs linear motion, The shutter 322 may be applied or a shutter 322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a rack-and-pinion manner as shown in FIG. 6 may be applied, or a screw-type shutter 322 as shown in FIG. 7 may be applied Since the pollen grains in the pollen hopper 200 are in a state in which the pollen grains are bundled together and may not be normally supplied, the shutter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shutter structure may be any type Metho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는 연장통로(100)에 설치된 센서(310)에서 수정벌이 나가는 것을 마릿수로 감지하여 제어회로(330)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제어회로에서는 기 설정된 마릿수, 예를 들면 5~20마리 정도, 바람직하게는 10마리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데, 설정된 마릿수가 감지되게 되면 액추에이터(320)에 동작신호를 송출하여 액추에이터(320)가 작동하게 되어 셔터(322)가 열렸다 닫히게 되면서 화분호퍼(200)에 저장되어 있던 화분(꽃가루)가 벌이 지나가는 연장통로(100)의 화분투입구(100b)로 일정량 공급되게 됨으로써 연장통로(100)에 화분이 널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정벌이 최종 출구(100a)를 찾아 지나가게 되면서 수정벌의 머리와 몸통 및 다리에 화분이 달라붙은 상태로 외부로 비행하여 꽃을 찾아다니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정벌에 붙은 꽃가루가 과수의 꽃 암술머리에 옮겨붙게 되어 수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ensor 310 installed in the extension passage 100 senses that the crystal is out of the senso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330, the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For example, about 5 to 20, preferably about 10, and when the set number of digits is sensed, an operation signal is sent to the actuator 320 so that the actuator 320 is operated and the shutter 322 is opened The pollen stored in the pollen hopper 200 is supplied to the pollen inlet 100b of the extension pipe 100 through which the pollen passes and the pollen is widely spread in the extension pipe 100. In this state, As the fertilized bee searches for the final exit (100a), the flowerpot flew out with the flowerpot sticking to the head, body and legs of the fertilized bee, Bee pollen stuck open carefully modified butge is transferred to the fruit of the flower stigmas is that the water be made.

도 8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분장치도 도시 안 된 수정벌통의 출구(1) 외측에 설치되는 연장통로(100)와, 꽃가루(화분)가 저장되어 상기 연장통로(10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화분호퍼(200)와, 상기 연장통로(100)를 지나는 수정벌의 마리수를 감지하여 설정된 마리수의 통과시마다 상기 화분호퍼(200)의 화분을 연장통로(100)에 공급하는 화분공급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8 to 11 show a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provided with an extension pipe 100 (not shown) installed outside the outlet 1 of the crystal honeycomb A pollen hopper 200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with pollen stored therein and a control unit 200 that detects the number of mules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passage 100, And a pollen feeder (300) for feeding pollen of the pollen hopper (200) to the extension passage (100) at every time.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분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수분장치와 기본적인 형태 및 원리는 동일하며, 다만, 화분호퍼(200)가 하우징(3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화분호퍼(200)의 내측 하부에 수평으로 진퇴작동되는 셔터 대신 일정각도로 회동되는 회전날개(322')가 설치되어 센서(3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회동되면서 화분호퍼(200) 하부의 하단출구(210)로 화분호퍼(200) 내부에 담긴 화분을 배출시킴으로써 연장통로(100)로 화분이 투하되도록 되어 있는 차이점이 있다.The basic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mois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oisture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except that the pot hopper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350, A rotating blade 322 'tha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stead of a shutte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horizontally is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hopper 200 and is rotated by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310, 210, the pollen contained in the pollen hopper 200 is discharged, and the pollen is discharged into the extension passage 100.

본 실시 예에서도, 연장통로(100)가 직선형 통로가 아닌 일종의 S자형 커브를 이루고 있고, 이 연장통로(100)는 그 내부 단면적이 후단부는 넓고 선단부쪽으로 올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통로(100)의 선단 즉, 최종 출구(100a)는 수정벌이 입구로 착각하여 들어올 염려가 없는 크기로 축소되어 있어 연장통로(100)에서 나가는 수정벌과 들어오는 수정벌이 서로 부딪히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oo, the extension passage 100 is a kind of S-shaped curve, not a straight passage. The extension passag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cross section thereof is wide at the rear end portion and narrows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The final exit 100a is reduced to a size that does not allow the user to mistaken the entrance to the entrance so that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to the entrance 100 and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to the exit 100a ar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본 실시 예에서, 센서(310)는 상기 연장통로(100)의 선단부 좌우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밖으로 나가는 수정벌의 마리수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된 신호는 하우징(350)의 후방공간(354)에 설치된 제어회로(330)로 신호가 송출되고, 제어회로(330)에서는 기설정된 수와 일치되는 경우 액추에이터(320)에 동작신호를 송출하여 액추에이터(320)가 작동하게 되는바, 본 실시 예의 액추에이터(320)는 일종의 서보모터로 이루어져 있어서 크랭크 방식의 링크기구(324)를 구동시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개(32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킨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됨으로써 화분호퍼(200)에 저장되어 있던 화분(꽃가루)이 벌이 지나가는 연장통로(100)로 일정량 투하되게 됨으로써 연장통로(100)에 화분이 널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정벌이 최종 출구(100a)를 찾아 지나가게 되면서 수정벌의 머리와 몸통 및 다리에 화분이 달라붙은 상태로 외부로 비행하여 꽃을 찾아다니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정벌에 붙은 꽃가루가 과수의 꽃 암술머리에 옮겨붙게 되어 수분(受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or 31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ip portion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to detect the number of the beads going out, and the sens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ar space A signal is sent to the control circuit 330 provided in the control circuit 330 and the control circuit 330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tuator 320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is coincident with the predetermined number, The exemplary actuator 320 is a kind of servo motor that drives the crank-type link mechanism 324 to rotate the rotary vane 322 'by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11,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ollen (pollen) stored in the pollen hopper 200 is dropped by a predetermined amount into the extension path 100 through which the bee passes, so that pollen is spread in the extension path 100. In this state, As the bee finds the final exit (100a), the pollen of the fertilized bee clings to the head, body, and legs of the fertilized bee and flew out to the flower and naturally the pollen attached to the fertilized bee was transferred to the pistil And pollination is carried out.

본 실시 예에 의한 수분장치는 하우징(350)의 하부 측에 하부커버(35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하부커버(355)는 연장통로(100)의 바닥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우징(350)의 측부 즉, 하우징(350)의 후방 내측에 설치된 액추에이터(320)와 링크기구(324)의 청소와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되며, 일측에는 수정벌이 벌통으로 들어가기 위한 착륙판(352)을 형성하고 있다.The lower cover 355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350. The lower cover 355 forms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and the housing 355 350 and the actuator 320 and the link mechanism 324 provid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350 to facilitate cleaning and inspection and a landing plate 352 are formed.

본 실시 예에서, 하우징(350)과 하부커버(355)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벌통 내부의 수정벌이 빛을 찾아 자연스럽게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야 하며, 센서(310)가 설치된 부위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측을 불투명한 도료로 도포를 하거나 불투명 테이프 등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350 and the lower cover 355 are made of a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quill within the beehive should be lighted out naturally. It is necessary to coat the outside with an opaque paint or to attach an opaque tape or the lik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날개(322')는 대략 90~120°의 범위에서 회동동작하게 되며, 3개의 날개가 30~40°의 각도로 부착되어 있어 날개 사이의 공간에 화분이 채워져 있다가 하방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화분호퍼(200)의 화분을 하부의 연장통로(100)로 강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vane 322 'is pivoted in a range of approximately 90 to 120 °, and the three vanes are attached at an angle of 30 to 40 °, and the space between the vanes is filled with pollen And the pollen of the pollen hopper 200 is forcibly discharged to the lower extension passage 100 by rotating downward.

상술한 여러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는 수정벌을 매개로 하되, 수정벌이 벌통에서 나올때 꽃가루를 머리와 몸통 및 날개와 다리 등에 듬뿍 묻힌상태로 나와 꽃을 찾아서 활동화면서 수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정벌이 꽃에서 묻은 꽃가루만을 갖고 수분을 하는 경우보다 수분의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인위적으로 채취한 꽃가루를 이용하여 인공수분을 해주지 않아도 과수 등의 수정을 확실히 시킬 수 있게 되어 과수의 수확량 증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인공수분에 의한 방법에서는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수분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수정벌만에 의한 수정만으로도 효과적인 과수의 수분을 달성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의 절감도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various embodiments, the pollen-utilizing moistur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diated by a fertilization bee. When the fertilization bee comes out of the beehive, pollen is embedded in the hair and body and wings and leg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uccess rate of water rather than to pollinate the pollen only with the pollen from the flower,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water success rate by using the artificial polle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yield of fruit juice. In the artificial moisture method, a large number of laborers are required. 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ffective fruit water content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reduce labor costs All.

B : 수정벌통
1 : 출구
2 : 입구
3 : 개폐판
100 : 연장통로
100a : 최종 출구
100b : 화분투입구
200 : 화분호퍼
210 : 하단출구
220 : 상부입구
230 : 덮개
240 : 플랜지부
250 : 셔터홀
300 : 화분공급기
310 : 센서
320 : 액추에이터
322 : 셔터
322' : 회전날개
324 : 링크기구
330 : 제어회로
340 : 배터리
350 : 하우징
351 : 입구홀
352 : 착륙판
353 : 호퍼 안착부
354 : 후방공간
355 : 하부커버
B: Crystal beehive
1: exit
2: Entrance
3: opening and closing plate
100: With toolbox
100a: Final exit
100b: Flowerpot
200: Flowerpot hopper
210: Bottom exit
220: upper entrance
230: cover
240: flange portion
250: Shutter hole
300: Flowerpot supply
310: Sensor
320: Actuator
322: Shutter
322 ': Rotating blade
324: Link mechanism
330: control circuit
340: Battery
350: housing
351: entrance hole
352: Landing plate
353: Hopper seating portion
354: rear space
355: Lower cover

Claims (12)

수정벌통(B)의 출구(1) 외측에 설치되는 연장통로(100)와; 꽃가루가 저장되고 상기 연장통로(10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화분호퍼(200)와; 상기 연장통로(100)를 지나는 수정벌의 마리수를 감지하여 설정된 마리수의 통과시마다 상기 화분호퍼(200)의 화분을 연장통로(100)에 공급하는 화분공급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An extension passage (100) provided outside the outlet (1) of the crystal beehive (B); A pollen hopper 200 in which pollen is stor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cylinder 100; And a pollen feeder (300)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arrels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passage (100) and supplying pollen of the pollen hopper (200) to the extension barrel (100) Features a modified bee utilizing a moistur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분공급기(300)는 연장통로(100)에 설치되는 센서(310), 상기 화분호퍼(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3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화분호퍼(200)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320), 상기 센서(310)에서 감지된 신호와 기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감지된 신호가 기 설정된 데이터와 같아지는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320)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어회로(330) 및 상기 센서(310)와 액추에이터(320) 및 제어회로(33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feeder 300 includes a sensor 310 installed in the extension passage 100 and a sens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llen hopper 200 to operate the pollen hopper 200 A control circuit 330 for compar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310 with predetermined data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actuator 320 when the sensed signal becomes equal to predetermined data, And a battery (340) for driving the sensor (310), the actuator (320) and the control circuit (3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로(100)는 커브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extension passage (100) is in the form of a curve.
청구항 1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로(100)는 그 내부 단면적이 후단부는 넓고 선단부쪽으로 올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xtension passag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is wide at the rear end portion and narrows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분공급기(300)는 하우징(350) 내부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50)은 그 하부 내측에 연장통로(100)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50)의 하단 일측에는 수정벌통(B)의 입구(2)와 일치되는 위치에 입구홀(351)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홀(351)의 전방에는 착륙판(35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feede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50. The housing 35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ssage 100 inside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rystal honeycomb 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350. [ Characterized in that an inlet hole (351) is formed at a position coincident with the inlet (2) of the inlet port (35) and a landing plate (35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nlet hole (35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50)의 전방에는 화분호퍼(200)를 안착시키기 위한 호퍼 안착부(353)가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350)의 후방에는 화분공급기(30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320)와 제어회로(330) 및 배터리(340)가 설치되는 후방공간(3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hopper seating part 353 for seating the pollen hopper 200 is opened upward and an actuator 320 constituting a pollen feeder 3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350. [ And a rear space (354) in which a control circuit (330) and a battery (340) are install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50)은 수정벌통(B)의 상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수정벌통(B)과 하우징(350)의 저면에 각각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350) is provided with velcro tape of male and female on the bottoms of the crystal beehive (B) and the housing (350) so that the housing (35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crystal beehive (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로(100)의 상부측에는 상기 화분호퍼(200)의 하단출구(210)가 접하는 화분투입구(100b)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호퍼(200)는 하단출구(210)는 좁고, 상부입구(220)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입구(220)에는 개폐가능한 덮개(230)가 구비되고, 상기 화분호퍼(200)의 외측 중간부위에는 하우징(350)의 호퍼 안착부(353)에 안착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화분호퍼(200)의 하단출구(210) 상부측에는 액추에이터(320)에 의해 동작되는 셔터(322)가 삽입되는 셔터홀(2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en hopper 200 has a lower outlet 210 and a lower outlet 210. The pollen hopper 200 has a lower outlet 210 and a lower outlet 210. The upper outlet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outlet 210 of the upper hopper 200, The hopper 200 is provided with a cover 230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at the inlet 220. A middle portion of the hopper 200 is secured to the hopper seating portion 353 of the housing 350, A shutter hole 250 into which a shutter 322 operated by an actuator 320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a lower exit 210 of the pollen hopper 2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cloth.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분호퍼(200)는 하우징(35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50)의 하부 측에는 하부커버(355)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커버(355)는 연장통로(100)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커버(355)의 일측에는 수정벌이 수정벌통(B)으로 들어가기 위한 착륙판(3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lower cover 355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350 and the lower cover 355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assage 100. [ And a landing plate (35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cover (355) for entering the crystal beehive (B) into the crystal bevel.
청구항 5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50)은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9,
Wherein the housing (350) is made of a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20)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지고, 링크기구(324)를 구동시켜서 화분호퍼(200) 내부에 설치된 회전날개(322')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킨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화분을 연장통로(100)로 일정량 투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ctuator 320 is composed of a servomotor and drives the link mechanism 324 to rotate the rotary vane 322 'provided inside the pot hopper 200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o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extension passage (10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322')는 90~120°의 범위에서 회동동작하고, 복수의 날개가 30~40°의 각도로 부착되어 날개 사이에 화분을 받고 있다가 하방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화분호퍼(200)의 화분을 하부의 연장통로(100)로 강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벌 활용 수분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ry vane 322 'rotates in the range of 90 to 120 °, and the plurality of blades are attached at an angle of 30 to 40 ° to receive the pollen between the blades and then rotate downward to rotate the pollen hopper 200 ) Is forcedly discharged to the lower extension passage (100).
KR1020170073780A 2016-06-13 2017-06-13 Pollination device using bees KR1018952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947 2016-06-13
KR20160072947 2016-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31A true KR20170141131A (en) 2017-12-22
KR101895242B1 KR101895242B1 (en) 2018-09-10

Family

ID=6093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80A KR101895242B1 (en) 2016-06-13 2017-06-13 Pollination device using be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24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179A1 (en) * 2018-04-11 2019-10-17 The New Zealand Institute For Plant And Food Research Limited A device for dispensing a substance
WO2020013372A1 (en) * 2018-07-13 2020-01-16 신상훈 Biopesticide distributing apparatus using honeybees
KR20200071424A (en) *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Beehive of bombus agrorum including pollination device
KR20200142811A (en) * 2019-06-13 2020-12-23 (주)나리소 Dispenser apparatus for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35B1 (en) * 2019-06-07 2021-06-16 대한민국 Pollen attachment apparatus for pollination of be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717A (en) * 1992-09-18 1994-05-24 Saneji Komatsu Method for pollinating flower by bee and device for pollinating flower and mating pollen
KR100682982B1 (en) 2006-10-02 2007-02-16 주식회사 세실 Beehive for rearing and application of bumblebee
KR20100124394A (en) 2009-05-19 2010-11-29 임일규 The collapsible gate of bumble bee box for breeding and sa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717A (en) * 1992-09-18 1994-05-24 Saneji Komatsu Method for pollinating flower by bee and device for pollinating flower and mating pollen
KR100682982B1 (en) 2006-10-02 2007-02-16 주식회사 세실 Beehive for rearing and application of bumblebee
KR20100124394A (en) 2009-05-19 2010-11-29 임일규 The collapsible gate of bumble bee box for breeding and sa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179A1 (en) * 2018-04-11 2019-10-17 The New Zealand Institute For Plant And Food Research Limited A device for dispensing a substance
WO2020013372A1 (en) * 2018-07-13 2020-01-16 신상훈 Biopesticide distributing apparatus using honeybees
KR20200071424A (en) * 2018-12-11 2020-06-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Beehive of bombus agrorum including pollination device
KR20200142811A (en) * 2019-06-13 2020-12-23 (주)나리소 Dispenser apparatus for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242B1 (en) 201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242B1 (en) Pollination device using bees
CN107094595B (en) Intelligent irrigation system with partitioned frame rai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7028B1 (en) Apparatus for direct seeding using drone
IT201900001789A1 (en)
KR101248985B1 (en) A plant cultivation box
Papa et al. Mechanical distribution of beneficial arthropods in greenhouse and open field: A review
CN203492502U (en) Cultivation chamber used for selecting seed of paddy rice
CN206390013U (en) A kind of beehive for being used to pollinate for fruits and vegetables in greenhouse
KR101352398B1 (en) Pollinating insectarium device
CN208572908U (en) A kind of two-door beehive applied to greenhouse fruits and vegetables honeybee pollination
KR100944662B1 (en) Case for rearing and polinating of the Bombus spp.
KR101460099B1 (en) System for Observating Growth of Insect
CN206149979U (en) Cultivation equipment of chinese rose seedling
CN109328765A (en) A kind of production method and device of no phytotoxicity agricultural product
KR20200007533A (en) Biological pesticide spraying device using bee
CN210630245U (en) A reducing mechanism for farmland straw
CN211241354U (en) Energy-saving earthworm breeding device
CN210987787U (en) Device is raised to paddy field spider
KR102145627B1 (en) Beehive of bombus agrorum including pollination device
CN209002612U (en) A kind of two-door beehive of heat preservation of greenhouse fruits and vegetables honeybee pollination
CN208657711U (en) A kind of greenhouse that natural enemy is bred on a large scale
TWM513566U (en) Aeroponic and fogponic type culturing system
CN220457864U (en) Seed germination cultivation device for agricultural planting
CN205093396U (en) Box is raised to snail
CN204557265U (en) A kind of greenhous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