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260A -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 Google Patents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260A
KR20170139260A KR1020160071519A KR20160071519A KR20170139260A KR 20170139260 A KR20170139260 A KR 20170139260A KR 1020160071519 A KR1020160071519 A KR 1020160071519A KR 20160071519 A KR20160071519 A KR 20160071519A KR 20170139260 A KR20170139260 A KR 2017013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attern
sensors
fall
bed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구
이승원
정승우
양신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16007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260A/en
Publication of KR2017013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2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 fall preventing system is provided. The system includes: a control device which analyzes a position of a person to be monitored on a bed by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sensing the pressing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located on the bed, and predicts a fall risk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based on a location analysis result; a management server which receives fall risk prediction resul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nages the fall prevention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and a terminal which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displays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erson from falling on the bed in advance.

Description

낙상 예방 장치,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낙상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에서 낙상 방지를 위한 낙상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preven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ll prevention system for preventing falls in a bed.

최근, 침대의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사용자가 수면 중에 침대로부터 무의식적으로 이탈하여 지면으로 떨어지는 침대 낙상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침대를 사용하는 유아, 노인, 환자 등은 침대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자의 관찰이 필요하다.In recent years, as the utilization rate of a bed has increased, a user has fallen into the ground unintentionally from the bed while sleeping, and a bed fall accident frequently occurs. Especially, infants, elderly people, patients using beds, Observation of the guardian is necessary.

이러한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용 사이드 레일이 구비된 침대가 있으나, 이러한 침대는 주로 병원용 침대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일반 가정용 침대에서는 사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bed fall, there is a bed provided with a side rail for preventing separation. However, such a bed is mainly used as a hospital bed, and in most ordinary household beds, a side rail is not provided.

설령, 이탈 방지용 사이드 레일이 설치된 침대의 경우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이드 레일의 자유로운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이드 레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Even in the case of a bed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side rail, the side rails can be released freely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preventing a bed falling accident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rails are released.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prevent a bed fall accident.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낙상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ll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which can prevent a bed fall acciden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은,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ll prevention system for analyzing a position of a person to be monitored on a bed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that detect a depression of a monitoring subject placed on a bed, A controller for predicting a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A management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prediction of the falling risk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aging fall preven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And a terminal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낙상 예방 장치는,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패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ll prevention apparatus comprising: a sensor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sing of a monitoring subject placed on a bed; And a controller for predicting a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for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낙상 예방 방법은, 침대 위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이,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ll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sing of a monitoring target by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n a bed; Estimating a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fall risk prediction from the control device and managing fall preven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sult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user of the terminal monitors the resul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에서 유아, 환자, 노인의 움직임(자세, 위치)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의 관리자 또는 단말의 사용자가 침대로부터 낙상이 예측되는 경우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낙상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sensed information sensed by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posture, position) of a child, a patient, and an elderly person to a bed in real time to a management server and a terminal, It is possible to quickly recognize the case where the fall is predicted from the fall, thereby preventing the fall accident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1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에 설치된 앱 모듈의 실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낙상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예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all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nsor pad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sensor pad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shown in Fig.
FIGS. 6 to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xamples of first to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which are compared with actual distribution patterns of sensors that sense the pressing of a monitoring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views showing execution screens of an appl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terminal shown in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fall prevention method using the fall prevention system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and / or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ch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r "comprising" or " comprising ", when used herein, refers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etc., and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to one or more additional features, acts or components. Furthermor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e." ,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may be combined with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bin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all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예방 시스템(100)은 센서 패드(110), 제어 장치(130), 통신망(150), 관리 서버(170) 및 단말(19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낙상 예방 장치"는 센서 패드(110) 및 제어 장치(130)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1, a fall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pad 110, a controller 130, a communication network 150, a management server 170, and a terminal 190 . On the other hand, in the claims appended hereto, the "fall preven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include only the sensor pad 110 and the control apparatus 130.

센서 패드(110)는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감지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는, 예를 들면,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 부위가 침대를 누르는 눌림을 감지하고, 감지된 눌림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센서일 수 있다. 침대는 가정용 침대(가정용 매트리스) 또는 병원용 침대(병원용 매트리스)일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 유아, 병원에 입원한 환자일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하지 않은 일반인도 포함될 수 있다. The sensor pad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objec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or the mattress for the bed) and output the detection result as a sensing signal. Each sensor may be, for example, a sensor that senses the pressing of the body part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against the bed, and converts the sensed pressure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output. The bed may be a household bed (household mattress) or a hospital bed (hospital mattress). The subject to be monitored may be a patient who is hospitalized in an elderly, infant, or hospital who has an uncomfortable mobility, and may include a general person who is not inconvenienced.

제어 장치(130)은 센서 패드(110)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센서 패드(1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장치(130)와 센서 패드(110) 간의 통신 연결은 유선으로 가정한다. 다만, 제어 장치(130)와 센서 패드(110)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RFID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센서 패드(110)에 포함된 각 센서는 RFID 태그(RFID tag)로 기능하고, 제어 장치(130)는 RFID 리더(RFID reader)로 기능을 할 수 있다. 각 센서가 태그(tag)로 기능하는 경우,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nsor pad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nsor pad 110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or pad 110.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ler 130 and the sensor pad 110 is assumed to be a wire. However, when wirelessly connecting the controller 130 and the sensor pad 110,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can be used. When RFID technology is used, each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pad 110 functions as an RFID tag, and the controller 130 functions as an RFID reader. When each sensor functions as a tag,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ea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dentification data capable of identifying itself.

제어 장치(130)는 센서 패드(11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 전 상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의 전면 상에서 낙상 사고 위험 영역(falling accident dangerous zone)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device 130 analyzes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object on the bed (or the mattress for the b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pad 11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is located in a falling accident dangerous zone.

판단 결과, 모니터링 대상자가 낙상 사고 위험 영역(침대의 주변 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의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모니터링 대상자 또는 근처에 있는 보호자에게 사용자의 낙상 사고 위험을 알린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the risk area of the fall accident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bed), the control device 130 is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notifying the risk of the user's fall, Announces the risk of falls.

또한, 제어 장치(130)는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 전 면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낙상 예측을 하고, 그 분석 및 예측 결과를 통신망(150)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관리 서버(170) 및 단말(19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190)이 관리 서버(170)를 거쳐 분석 및 예측 결과를 제공받는 것으로 가정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position and the posture of the us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or the mattress for a bed), predicts fall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n analyzes and predi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170 and the terminal 190.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190 receives analysis and prediction results via the management server 170. [

통신망(150)은 제어 장치(130)와 관리 서버(170) 및 제어 장치(130)와 단말(190) 간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통신 자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자원은 기지국, 라우터, 게이트웨이, 케이블 등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50 provide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ontrol device 130 and the management server 170 and between the control device 130 and the terminal 190. The communication network 150 includes all kinds of communication resources supporting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 Here, the communication resource may be a base station, a router, a gateway, a cable, or the like.

관리 서버(170)는 통신망(170)을 통해 제어 장치(13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또는 침대용 매트리스)의 전면 상에서 낙상 사고 위험 영역(falling accident dangerous zone)에 위치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 소유의 단말(190)로 낙상의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사고 방지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수행한다.The management server 170 collects and analyz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70 and analyz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subject on the front face of the bed (or bed mattress) the risk of falling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90 owned by the guardia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n the case of a falling accident dangerous zone.

단말(190)은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비디오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 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90 may be a communication device connectable to a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 desktop personal computer A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MP3 player, a mobile medical device,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E.g., a head-mounted-device (HMD) such as electronic glasses, an electronic garment, an electronic bracelet, an electronic necklace, an electronic app apparel, or a smart watch).

단말(190)의 사용자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이거나, 모니터링 대상자 본인일 수도 있다. 보호자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가족, 친인척관계에 있거나, 간병인을 포함한다.The user of the terminal 190 may be the guardia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or the monitoring person himself. The caregiver includes the family member of the person being monitored, a relative who is in close contact, or a caregiver.

단말(190)은, 통신망(150)을 통해, 제어 장치(130)로부터 침대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190)은 제어 장치(130)로부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이 예측되는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팝업창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terminal 190 colle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n real time from th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Also, the terminal 190 may receive a warning message from the controller 130 to inform the user of the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fall of the monitoring subject is predicted, and may provide the warning message to the user. Such a warning messag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침대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와 낙상 사고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단말(190)에는 낙상 예방과 관련된 앱 모듈이 설치된다. The terminal 190 is provided with an app module related to fall prevention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and the risk of a fall acciden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ed.

단말(190)은, 통신망(150)을 통해 관리 서버(17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190)은, 관리 서버(170)를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정보와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사고 위험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190 may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17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50. [ In this case, the terminal 190 may receive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and the risk of a fall risk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70. [

이하, 도 1에 도시한 주요 구성들(110, 130, 190)에 대해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main components 110, 130, and 19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센서 패드(110)The sensor pad (110)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센서 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 2 및 4에서, 센서 패드가 과장된 두께로 표현된다.2 is a plan view of the sensor pad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3 to be. For ease of understanding, in Figures 2 and 4, the sensor pads are represented by an exaggerated thickness.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센서 패드(110)는 침대용 매트리스(50) 위에 배치되며, 침대 매트리스(50)의 모든 면적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2 to 4, the sensor pad 110 may be disposed on the mattress 50 for the bed, and may have a size enough to cover all the areas of the mattress 50.

센서 패드(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센서(SE)들를 포함한다.The sensor pad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SE arranged in a matrix form.

다수의 센서(SE)를 구현하기 위해, 센서 패드(110)는 상부 패드(112), 하부 패드(116) 및 상기 상부 패드(112)와 상기 하부 패드(116) 사이에 개재된 중간 패드(114)를 포함한다. The sensor pad 110 includes an upper pad 112 and a lower pad 116 and an intermediate pad 114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ad 112 and the lower pad 116. In order to implement the plurality of sensors SE, ).

상기 상부 패드(112)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제어 장치(130)로부터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상부 전극(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pads 112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ar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electrodes 12 to which electrical signals are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30.

상기 하부 패드(116)는 상기 다수의 상부 전극(12)과 각각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전극(1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하부 전극(16)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The lower pad 116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16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the plurality of upper electrodes 1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16 are also arranged in a matrix form.

상기 중간 패드(114)는 탄성 재질로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개구부(OP)를 갖는다. 각 개구부(OP)는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개구부(OP)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개구부(OP)는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 간의 물리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렇게 상기 개구부(OP)를 사이에 두고, 상하 구조로 배치되는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은 하나의 센서(SE)로 구현된다.The intermediate pad 114 is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openings OP arranged in a matrix. Each of the openings OP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12 and the lower electrode 16.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openings OP are also arranged in a matrix form. This opening OP provides a space for forming a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upper electrode 12 and the lower electrode 16. [ The upper electrode 12 and the lower electrode 16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with the opening OP therebetween are embodied as a single sensor SE.

센서(SE)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ensor SE is as follows.

중간 패드(114)를 구성하는 탄성 재질이 갖는 탄성력보다 충분히 큰 압력(또는 눌림)이 상기 상부 전극(12)에 가해지면, 상기 중간 패드가 수축되어, 하부 전극(16)쪽으로 이동하고, 개구부(OP)에 의해, 상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6)은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The intermediate pad is contracted and moved toward the lower electrode 16 when a pressure (or pressing)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pad 114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12, OP), the upper electrode 12 and the lower electrode 1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러면, 상부 전극(12)에 인가된 전기 신호는 상기 하부 전극(16)으로 전달되고, 상기 하부 전극(16)은 상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상기 압력(모니터링 대상자의 하중)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로서 제어 장치(130)로 송신한다. Then,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12 is transmitted to the lower electrode 16, and the lower electrode 16 transmits the transmitted electric signal a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load of the monitoring object) To the control device 130.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제어 장치(130)는 센서(SE)들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침대 전면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및 자세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낙상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control device 130 analyzes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monitoring subject on the front of the b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from the sensors SE,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제어 장치(130)The control device 130,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장치(13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130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30)는 신호 생성부(131), 신호 수집부(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출력부(135) 및 통신부(136)를 포함한다.5, the controller 13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131, a signal collector 132, a controller 133, a storage 134, an output 135, and a communication unit 136 .

신호 생성부(131)는, 제어부(133)의 동작 제어에 따라, 센서 패드(110)에 포함된 센서(SE)들 각각이 감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센서(SE)들로 출력한다.The signal generating unit 131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for each of the sensors SE included in the sensor pad 110 to perform the sensing opera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electric signal And outputs them to the sensors SE.

신호 수집부(132)는, 제어부(133)의 동작 제어에 따라, 센서(SE)들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버퍼일 수 있으며, 수집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133)로 제공한다.The signal collecting unit 132 may be a buffer for periodically collecting the sensing signals output from the sensors S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3 and may be a buffer,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133.

제어부(133)는 전술한 구성들(131, 132, 134, 135 및 13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소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으로 지칭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3 may be referred to as a so-called microcontroller unit (MCU), which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131, 132, 134, 135 and 136.

이러한 제어부(133)는 센서(SE)들로부터 수집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침대 전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33 analyzes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user on the front of the b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collected from the sensors SE and determines the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구체적으로, 제어부(133)는 침대의 전면에서 각 센서(SE)에 할당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감지 신호를 출력한 센서(SE)들이 침대의 전면에서 어떠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분포 패턴을 분석한다. 분석된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를 가상화한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로 변화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3 determines a distribution pattern indicating how the sensors SE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s S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are distribut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Analyze. The analyzed distribution pattern can be changed into image type data that virtualizes the monitoring target.

제어부(133)는 분석된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침대 위에서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를 분석하여,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는 저장부(134)에 저장된다.The control unit 133 analyzes the posture and the position of the monitoring object on the bed based on the analyzed distribution pattern, and generates postur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postur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4.

제어부(133)는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과 기준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이 예상되는 위험 상황을 예측한다. The controller 133 compare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d the pressure with the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and predicts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a fall of the monitoring subject is expected.

제어부(133)는 예측 결과를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 서버(170) 및/또는 사용자 단말(190)에게 통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33 performs a series of processing tasks for notifying the management server 170 and / or the user terminal 190 of the prediction results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이 예측되는 분포 패턴을 사전에 학습한 데이터로, 이는 실험 및/또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The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data obtained by previously learning the distribution pattern in which the fall of the monitoring subject is predicted, which can be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and / or simulations.

이러한 기준 분포 패턴은, 낙상 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that are classified stepwi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ll risk,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first through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제1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안전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한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의 전면에서 안전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다. 여기서, 안전 영역은, 침대의 전면을 중심 영역(도 3의 C)과 중심 영역(C)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도 3의 P)으로 구분할 때, 중심 영역(C)으로 정의된다. 주변 영역(P)의 면적은 중심 영역(C)의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중심 영역(C)은 모니터링 대상자를 완전히 포함하는 면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심 영역(C)의 면적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연령 및 침대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중심 영역(C)의 면적이 모니터링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설정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가 유아인 경우에 설정되는 중심 영역(C)의 면적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성인인 경우에 설정되는 중심 영역(C)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compared with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s the pressure to recognize that the monitoring subject is in the safety state. The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detects the pressure when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the safe area in front of the b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one sensor (SE) is learned. Here, the safe area is defined as the center area C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is divided into a central area (C in Fig. 3) and a peripheral area surrounding the central area (C in Fig. 3). The area of the peripheral region 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central region C. [ The central area C may be set to an area that completely covers the monitoring target. The area of the central area C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ge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and the area of the bed. In the case where the area of the central region C is se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monitoring subject, the area of the central region C, which is set when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s an infant, Can be set smaller than the area.

제2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주의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모니터링 대상자가 중심 영역(C)과 주변 영역(P)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며, 이때, 중심 영역(C)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는 주변 영역(P)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보다 크게 설정된다.The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compared with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s the pressure in order to recognize that the monitoring subject is in a state of cauti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 sensing the pressure in the central region C is determined b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 sensing the pressure in the peripheral region P. In this case, SE).

제3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경고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상기 제2 기준 분포 패턴의 설정 방식과 유사하게, 모니터링 대상자가 중심 영역(C)과 주변 영역(P)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며, 다만, 중심 영역(C)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는 주변 영역(P)에서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도보다 작게 설정되는 점에서 상기 제2 기준 분포 패턴의 설정 방식과 차이가 있다.The thir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compared with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s the pressure in order to recognize that the monitoring subject is in a warning state. Similarly to the setting method of the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 sensing the pressure in the central region C and the peripheral region P is learned. Is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setting the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n that the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ors SE that sense the pressure in the peripheral region P. [

제4 기준 분포 패턴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위험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비교되는 기준 분포 패턴으로, 모니터링 대상자가 주변 영역(P)에 위치한 경우에 압력을 감지한 센서(SE)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이다. 여기서, 제4 기준 분포 패턴은 중심 영역(C)에서의 분포도와 주변 영역(P)에서의 분포도 간의 분포 비율이 1:9 이상임을 전제로 한다. The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compared with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s the pressure in order to recognize that the monitoring subject is in a dangerous state.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 Here, the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assumes that the distribution ratio between the distribution in the center region (C) and the distribution in the peripheral region (P) is 1: 9 or more.

제어부(133)는 사전에 학습된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을 예측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면, 압력을 감지한 센서들의 실제 분포 패턴과 제1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안전 상황으로, 실제 분포 패턴과 제2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주의 상황으로, 실제 분포 패턴과 제3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주의 상황으로, 경고 상황으로, 실제 분포 패턴과 제4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각각 예측 판단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33 performs processing tasks for predicting the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first to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previously learned. For example, when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nsed by the pressure and the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s set as a safety situation, and when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second standard distribution pattern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s set as a state of caution, and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standard distribution pattern are matched , A process of predicting and judg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as a dangerous situation is performed whe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s a warning situation, and when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ourth standard distribution pattern are matched .

한편, 낙상의 예측 판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어부(133)는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별로 실제 분포 패턴과의 매칭 비율을 다르게 하여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minimize an error occurring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a fall, the controller 133 performs a processing task of predicting fall risk by making a matching ratio with an actual distribution pattern different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

이러한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가 도 6 내지 9에 각각 도시되는데, 도 6은 안정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1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주의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2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경고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3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위험 상황을 예측 판단하기 위한 제3 기준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6 to 9 illustrate examples of the first to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FIG. 6 shows an example of a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for predicting a stable situation, and FIG. FIG. 8 shows an example of a thir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for predicting a warning situation. In FIG. FIG. 9 shows an example of a thir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for predicting a dangerous situation.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의 중심 영역(C)에 위치한 상황, 즉, 낙상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상황에서는 제어부(133)가 위험 상황을 예측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지라도 모니터링 대상자에게는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 낮다. In a situation where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C of the bed, that is, in a situation where the probability of falling is lowest, even if there is an error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dangerous situation by the control unit 133, .

그러나 모니터링 대상자가 침대의 주변 영역(P)에 위치한 상황 즉, 낙상 발생 확률이 가장 높은 상황에서는 제어부(133)가 위험 상황을 예측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에, 실제 분포 패턴과 각 기준 분포 패턴들 간의 매칭 비율을 낙상 발생 확률이 높은 순으로 단계적으로 낮게 설정함으로써,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 한다.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the peripheral region P of the bed, that i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fall is highest, the control unit 133 should minimize the error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the dangerous situation. Thus, the error rate of judgment is minimized by setting the matching ratio between the actual distribution pattern and eac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stepwise lower in descending order of the fall occurrence probability.

저장부(134)는 제어부(133)에서 생성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정보,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33)의 지시에 따라 제어부(133)에 제공되는 기준 분포 패턴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4 stores the attitud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33 and stores the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33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33, And a non-volatile memory.

출력부(135)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33)에서 예측 판단한 모니터리 대상자의 위험 상황 정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정보 형태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135)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오디오 출력부, 디지털 출력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위험 상황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며,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디지털 출력부는 위험 상황을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지털 형태로 출력하며, 이러한 디지털 출력부는, 예를 들면, 위험 상황을 정도를 알리는 메시지를 텍스트, 그래픽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출력하는 표시화면 또는 색상 별로 출력하는 LED 등일 수 있다.The output unit 135 outpu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degree of dangerous situation of the monitored subject predicted and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33, in the form of visual or auditory information. To this end, the output unit 135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a digital output unit, and the like, 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e degree of dangerous situation in audio form, and the audio output unit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The digital output unit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e degree of a dangerous situation in a digital form. The digital output unit may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e degree of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text, graphics, Output LED, and the like.

통신부(136)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150)에 접속된 관리서버(170) 및 단말(190)에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정보, 위치 정보 및 모니터링 대상자가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70)가 병원 내에 구비된 서버인 경우, 통신부(136)는 각 병실 내에 구비된 간호사 호출(nurse call) 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6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170 and the terminal 19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3 th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real time to support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ireless fidelity (WFI), Bluetooth (B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r cellular communication (e.g.,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or GSM, etc.). The wired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recommended standard 232 (RS-232) or a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When the management server 170 is a server provided in a hospital, the communication unit 136 may be connected to a nurse call device provided in each hospital room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도 10 내지 12는 도 1에 도시한 단말에 설치된 앱 모듈로서, 제어 장치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연동하는 낙상 예방 앱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10 to 12 are views showing execution screens of a fall prevention app linked with a control device or a management server, which 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shown in Fig.

단말(190)에 설치된 앱 모듈의 실행 화면은 크게 인증 화면, 모니터링 대상자의 목록 화면 및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 화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다.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terminal 190 can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n authentication screen, a list screen of a monitoring target person, and individual screens of a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먼저, 인증 화면의 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인증 화면은 단말(190)의 사용자가 관리 서버(17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실행 화면으로,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는 영역(61),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영역(63) 및 관리 서버(170)로부터 수신된 인증 번호를 입력하는 영역(65)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an example of the authentication screen is as shown in FIG. The authentication screen is an execution screen provided for the user of the terminal 190 to perform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190 can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170. The authentication screen includes an area 61 for inputting a user's name, And an area 65 for input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63 and the management server 170. [

단말(190)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과 핸드폰 번호를 해당 영역들(61, 63)에 각각 입력한 후, 인증 번호 발송 버튼(67)을 터치하여,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 The user of the terminal 190 enters his or her name and mobile phone number into the corresponding areas 61 and 63 and touches the authentication number dispatch button 67 to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management server do.

이후, 단말(190)이 관리 서버(170)로부터 인증 번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증 번호를 해당 영역(65)에 입력한 후 인증 완료 버튼을 터치하여, 인증 번호를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170)는 설정 시간 이내에 단말(190)로부터 인증 번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 후, 인증 번호의 수신을 확인하면, 사용자에 대한 일련의 인증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terminal 19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numb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170, the terminal 190 inputs the received authentication number into the corresponding area 65, touches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button,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management server 170 do. The management server 17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90 within the set time, and then confirms the reception of the authentication number, thereby completing a series of authentication procedures for the user.

모니터링 대상자의 목록 화면의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에 대한 일련의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관리 서버(170)에 등록된 모니터링 대상자들의 목록이 단말(190)에 제공되는 데, 모니터링 대상자의 목록화면은 관리 서버(170)로부터 제공된 모니터링 대상자들의 목록들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An example of the list scree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s as shown in Fig. When a series of authentication procedures for the user is completed, a list of the monitoring subject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70 is provided to the terminal 190. The list screen of the monitoring subjects includes a list of monitoring subjects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70 .

도 11에 나타나는 목록은 환자 목록으로서, 이 경우, 낙상 예방 앱은 병원 관계자의 단말에 설치된 것임을 가정한 것이다. 여기서, 병원 관계자는 의사, 간호사, 간병인 등일 수 있다.The list shown in FIG. 11 is a patient list, in which case the fall prevention application is assumed to be installed in a terminal of a hospital official. Here, the hospital personnel may be doctors, nurses, caregivers, and the like.

각 목록에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이름(또는 아이디)과 함께, 해당 모니터링 대상자가 사용하는 제어 장치(130)의 켜짐 또는 커짐 상태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를 터치하면, 목록화면은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 화면으로 전환된다.In each list, the name of the person to be monitored (or an ID)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tate of the control device 130 being used by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person. When the user touches the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himself / herself to check, the list screen is switched to the individual screen of the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화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별화면은 크게 5개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81)에는 현재 화면의 "상태 보기"와 함께, 이전의 목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제2 영역(83)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이름 또는 모니터링 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와 함께, 관리 서버(170)와 제어 장치(130), 단말(190)과 관리 서버(170) 또는 단말(190)과 제어 장치(130) 간의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제3 영역(85)에는 실제 센서(SE)들에 각각 대응하는 센서 아이콘(85A)들의 배치 상태가 표시되며, 눌림을 감지한 센서에 대응하는 센서 아이콘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4 영역(87)에는 이름, 연락처, 키, 몸무게, 주소와 같은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상세 개인 정보가 표시된다. 제5 영역(89)에는 특정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험 상황 또는 경고 상황의 발생 이력이 표시된다.The individual screen of the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is as shown in Fig. Individual screens of a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five display areas. In the first area 81, an icon (<) for moving to the previous list screen is displayed along with a "status display" of the current screen. The management server 170, the control unit 130, the terminal 190, and the management server 170, together with the name of the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selected by the user or the ID for identifying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Or a message indicating the connection completion status between the terminal 190 and the control device 130 is displayed. In the third area 85, the arrangement states of the sensor icons 85A corresponding to the actual sensors SE are displayed, and the sensor icons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ensors can be displayed in specific colors. In the fourth area 87, detailed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monitoring target such as a name, a contact, a key, a weight, and an address is displayed. In the fifth area 89, the occurrence history of the dangerous situation or warning situation of the specific monitoring target person is displayed.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낙상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낙상 예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의 각 단계에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13 is a flowchart showing a fall prevention method using the fall prevention system shown in FIG. In the following steps,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310에서, 침대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센서가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센서들은 패드 형태로 구현되며, 패드 형태로 구현된 센서들은 침대(침대용 매트리스) 위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3, in step S1310,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matrix form on a bed output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sing of a monitoring subject. Sensors are implemented as pads, and sensors implemented as pads are installed on beds (mattresses for beds).

이어, 단계 S1320에서,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분포 패턴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개수,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위치 및 개수와 위치를 기반으로 침대에 정의된 영역별 분포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320, the controller analyze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outputting the detection signal. The distribution pattern may include a number of sensors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 a position and number of sensors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 and a distribution map for each region defined on the bed based on the number and position.

이어, 단계 S1330에서, 제어 장치가, 상기 분석한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고, 추가로, 상기 분석한 분포 패턴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자의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 정보 등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방법은 분포 패턴과 낙상 위험 레벨(또는 낙상 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각각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분포 패턴과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은 서로 다른 매칭 비율로 각각 비교될 수 있다.Next, in step S1330, the control device predicts the fall risk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analyzed distribution pattern, and further, based on the analyzed distribution pattern, Is performed.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fall risk can be performed in a manner of comparing a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which are classifi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all risk level (or the risk of fall risk).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t different matching ratios.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은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4 기준 분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낙상 위험 레벨은 안전, 주의, 경고 및 위험으로 나눌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irst to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that are classified stepwise according to the fall risk level. Falls risk levels can be divided into safety, attention, warning and risk.

제1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중심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패턴이고, 제2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의 둘러싸는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패턴이고, 제3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패턴이다. 그리고 제4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으로 학습된 패턴일 수 있다.Wherein the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nsed by the pressing member is learned when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ed and the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pattern in which, Wherein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nsing the pressing in the center region is learned from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sensing the pressing in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thir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is a pattern obtained by learn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s the pressing when the monitoring object is located over the central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Wherein a distribution of the sensed sensors indicates that the pressing Is less tha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ors. And the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 pattern learned by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that senses the pressing when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the peripheral region.

이어, 단계 S1340에서, 제어 장치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결과 정보에는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는 물론,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 정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자세 및 위치 정보의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40,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postur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history of the monitoring subject who changes with tim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s well as the result of prediction of the risk of falling.

이어, 단계 S1350에서, 관리 서버가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단말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의 관리자는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 장치로부터 주의, 경고, 위험 상황 중 어느 하나의 낙상 위험 레벨에 따른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모니터링 대상자의 휴대폰 또는 보호자의 휴대폰 또는 데스크탑 등으로 경고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In step S1350,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fall preven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sul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manager of the management server monitors the monitoring subject in real time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and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ll risk level of any one of the caution, warning, and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The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cellular phone or the guardian's mobile phone or desktop to monitor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falling person in real time.

이어, 단계 S1360에서,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말에는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앱 모듈이 설치되며, 이 앱모듈은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딩하여 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단말에 설치된 앱모듈은 모니터링 대상자를 모니터링 하도록 단말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실행화면은,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이름과 상기 관리 서버와 제어 장치 간의 연결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과, 상기 다수의 센서를 나타내고 상기 눌림에 따라 특정 색상으로 표시되는 센서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화면 구성과,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개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 및 상기 결과 정보의 이력을 표시하는 화면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앱모듈은 관리 서버로부터 경고 상황 및 위험 상황 등과 같은 낙상이 예측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팝업창 형식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tep S1360, the terminal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s the result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monitors the result information. The terminal has an application module link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which can be downloa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appl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terminal provides an execution screen that can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of the terminal to monitor the monitoring target. The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for example, a screen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the name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a connection completion status between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rol device, and a sensor icon indicating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is displayed, and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a history of the resul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app module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alert message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to inform the alert module when the result information that predicts a fall, such as a warning situation and a dangerous situation,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Claims (9)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침대 위에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위치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말;
을 포함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A control device for analyzing a posi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on the bed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that detect the press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positioned on the bed and predicting a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a result of analyzing the position;
A management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prediction of the falling risk from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aging fall preven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
제1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포 패턴과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 중에서 상기 분포 패턴에 매칭되는 기준 분포 패턴에 설정된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In the first aspect,
And compar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classifi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all risk level to calculate the fall risk according to the fall risk level set in the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matching the distribution pattern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Wherein the fall prevention system comprises:
제2항에서, 상기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중심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으로 학습된 제1 기준 분포 패턴;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의 둘러싸는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크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제2 기준 분포 패턴;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걸쳐서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학습한 것으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도보다 작게 설정되도록 학습된 제3 기준 분포 패턴;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눌림을 감지한 센서들의 분포 패턴으로 학습된 제4 기준 분포 패턴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3. The apparatus of claim 2,
A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learned by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nsed when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ed;
Wherein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nsed by the sensing member is learned when the monitoring object is positioned over the peripheral region surrounded by the central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A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that is learned so as to be set to be larger than a distribution of sensors that sense the pressing in the peripheral region;
Wherein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nsors sensed by the pressing member is learned when the monitoring subject is located over the central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an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ensors sensing the pressing in the central region learns the pressing A thir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learned so as to be set smaller than a distribution of sensed sensors; And
When the monitoring object is located in the peripheral region, the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Wherein the fall prevention system comprises:
제3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1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안전 상황으로 예측하고,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2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주의 상황으로 예측하고,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3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경고 상황으로 예측하고,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제4 기준 분포 패턴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낙상 위험 레벨을 위험 상황으로 예측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시스템.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predicts the fall risk level as a safety situation when the distribution pattern matches the first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and predicts the fall risk level as a state of caution when the distribution pattern matches the secon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And estimating the fall risk level as a warning condition when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third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are matched. When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ourth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 are matched, Wherein the predicted fall prevention system comprises:
침대 위에 위치한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패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낙상 예방 장치.
A sensor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f the monitoring object placed on the bed; And
A controller for predicting a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
.
제5항에서,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은,
개구부를 갖는 탄성 재질의 중간 패드;
상기 중간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중간 패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눌림에 의해 상기 탄성 재질의 중간 패드가 수축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상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상기 상부 전극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기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로서 출력하는 하부 전극
을 포함하는 낙상 예방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comprises:
An intermediate pa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n opening;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pad and to which an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device is applied; And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elastic pad of the elastic material shrinks due to the pressing, The lower electrode
.
제5항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사전 학습을 통해,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분포 패턴과 상기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제어부;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디지털 형태 및 오디오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장치.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classified in stages according to a fall risk level through prior learning;
A controller comparing the distribution pattern with the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to predict the fall risk;
And outputting the falling risk of the monitoring subject in a digital form and an audio form based on the prediction result of the falling risk,
Wherein the fall prevention device comprises:
침대 위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들이, 모니터링 대상자의 눌림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어 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들의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단계;
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관리하는 단계; 및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결과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상 예방 방법.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on the be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Estimating a risk of falling of the monitoring subject using a distribution pattern of sensors outputting the sensing signal;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fall risk prediction from the control device and managing fall prevention of the monitoring subject based on the received result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receiving th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ing the result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monitors the result information;
&Lt; / RTI &gt;
제8항에서, 상기 낙상 위험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분포 패턴과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다수의 기준 분포 패턴을 서로 다른 매칭 비율로 각각 비교하여, 상기 낙상 위험을 상기 낙상 위험 레벨에 따라 단계별로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별로 예측된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 또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오디오 및 디지털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예방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predicting the fall risk comprises:
Compar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distribution patterns classifi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fall risk level with different matching ratios to predict the fall risk in stages according to the fall risk level; And
And outputting the predicted results in the audio and digital manner to notify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or the guardian of the monitoring target person
Wherein the fall preven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KR1020160071519A 2016-06-09 2016-06-09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KR201701392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519A KR20170139260A (en) 2016-06-09 2016-06-09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519A KR20170139260A (en) 2016-06-09 2016-06-09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260A true KR20170139260A (en) 2017-12-19

Family

ID=6092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519A KR20170139260A (en) 2016-06-09 2016-06-09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26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176A (en) 2019-08-27 2021-03-09 (주)한국아이티에스 Apparatus for predicting falldown
KR20220125758A (en)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나인벨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medical robot bed for bedsore preven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126838A (en) * 2021-03-09 2022-09-19 (주)에이블 디자인스 Method for providing posture changing solu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176A (en) 2019-08-27 2021-03-09 (주)한국아이티에스 Apparatus for predicting falldown
KR20220125758A (en)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나인벨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medical robot bed for bedsore preven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126838A (en) * 2021-03-09 2022-09-19 (주)에이블 디자인스 Method for providing posture changing solu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21303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KR2018001044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US7652569B2 (en) Mobile telephonic device and base station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CN104113618A (en) Flexible screen based wearable monitoring device
CN105979110B (en) Nursing cal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nursing call extension set and mobile terminal
US20110237226A1 (en) Guardian system for a cognitively-impaired individual
CN203122372U (en) Real-time health monitoring and intelligent warning system based on Android technology and Internet of Things
CN104042196A (en) Real-time health monitoring and intelligent pre-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803359B1 (en) A smart device system for providing fall detections and emergency sevice, and a method for fall detections
EP3288000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KR20170139260A (en) Apparutus for preventing fall, system including the apparu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KR101535596B1 (en) Smart accessory for socially vulnerable person and ordinary person
KR20140049795A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 using the same
US8395512B2 (en) Signature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2014166196A (en) Supervis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989932B2 (en) Emergency contact device and emergency contact system using this
JP2019197263A (en) System and system control method
KR20170035459A (en) (system for managing solitude oldster and patient using living body signals sensing fun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KR20190070068A (en) System for Managing Fall Accident using Wearable Device
JP2006146827A (en) Daily life watching method and system
JP2009110038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US11172861B2 (en) Detection devices and monitoring systems including detection devices
Brezmes et al. User activity monitoring using conventional cell 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