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314A -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314A
KR20170137314A KR1020160069270A KR20160069270A KR20170137314A KR 20170137314 A KR20170137314 A KR 20170137314A KR 1020160069270 A KR1020160069270 A KR 1020160069270A KR 20160069270 A KR20160069270 A KR 20160069270A KR 20170137314 A KR20170137314 A KR 2017013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put
output
battery pa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9758B1 (en
Inventor
문경준
최창훈
Original Assignee
(주)데바텍
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바텍, 최창훈 filed Critical (주)데바텍
Priority to KR102016006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58B1/en
Publication of KR2017013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02J7/000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and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capable of charging a built-in battery and outputting voltage to charge a mobile device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pack comprises: a battery; a connector (12)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connector (12) to output power to the connector (12) from the battery and input power outputted from the connector (12) in the battery. The control circuit includes: a battery charging part (14) connected to the battery; a boosting circuit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ing part (14); a micro control unit (MCU) (16)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boosting circuit to raise or lower voltage; and an input/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connected to the MCU (16).

Description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본 발명은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충전과 방전을 입력과 출력 각각의 독립적인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자체 배터리의 충전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압 출력을 같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capable of simultaneously outputting a voltage output for charg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battery.

PDA, PMP, PSP,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들로 어떻게 전원을 공급할 것이냐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들은 고유의 어댑터(adapter)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어댑터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In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DAs, PMPs, PSPs, laptops and the lik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s how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supplied with power by using a unique adapter. When the adapter is not used, power is supplied from an internal battery.

이때,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내부의 배터리에 충전을 하기 위하여 배터리팩이 제공되고, 배터리팩과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사이는 유에스비 케이블과 같은 전원 공급용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어, 배터리팩으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기기 내부의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 자체도 가정용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량의 전원이 충전되어 있어야 배터리팩에서 모바일 기기의 내부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 battery pack is provided for charging the battery inside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a charging cable for power supply such as a USB cable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battery in the mobile device is charged. Meanwhile, the battery pack itself must also be charged with a certain amount of power by being supplied with household power, so that the internal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can be charged in the battery pack.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들 각각은 고유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필요한 전압으로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며, 소비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 각각의 고유 충전기를 휴대용 전자 장치와는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소비자들이 휴대용 전자 장치를 구매할 때마다 그 휴대 장치용 충전기를 별도로 구매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라 할 것이다.In general, eac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es its own charger to charge the internal battery with its required voltage, and the consumer often has to purchase the unique charger of each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parately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rchasing the charger for the portable device every time the consumer purcha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an economically large loss.

또한, 기존에는 일반적인 배터리팩의 층전과 방전은 입력과 출력 각각의 독립적인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기존에는 배터리팩의 내장 배터리를 층전해야 하는 충전 입력 단자와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출력 단자를 독립적으로 각각 구비하여 입력과 출력을 별개로 구분하는 장치가 전부였다.In addition, in the past, a conventional battery pack should use a separate connector for input and output of each layer. In the past, all of the devices that separately provided the input and output of the battery pack were provided with independent charging input terminals for charging the built-in battery of the battery pack and output terminals for charging the smartphone, respectively.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4461호(2015.12.11 공개)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20-2015-0004461 (disclosed on December 11, 2015)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4005호(2009.04.29 공개)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4005 (Released on April 29, 2009)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2898호(2008.12.11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2898 (registered on December 11, 2008)

본 발명은 기존에 배터리팩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충전 입력 단자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출력 단자를 독립적으로 각각 구비하여 입력과 출력을 별개로 구분해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기존의 독립적인 입출력 단자를 하나의 커넥터로 구현함으로써 자체 배터리의 충전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압 출력을 함께 할 수 있는 새로운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 charge input terminal for charging a built-in battery of a battery pack and an output terminal for charg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re separately provided to separately separate input and output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which can integrate the existing independent input / output terminal with one connector to charge the self-battery and the voltage output for charging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배터리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커넥터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커넥터에서 상기 배터리으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부; 상기 배터리 충전부에 연결된 승압 회로; 상기 승압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연결된 입출력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comprising: a battery;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a control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connector to output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connector or allow power to be input from the connector to the battery, wherein the control circuit includes: a battery charging unit connected to the battery; A boosting circuit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ing unit; A micro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p-up circuit to raise or lower a voltage; And an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icro control unit.

본 발명의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은 기존의 독립적인 입출력 단자를 하나의 커넥터로 구현하였으며 이로 인한 제품의 용적률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로 표현되는 구조물을 축소화하여 보다 더 탁월한 기능을 구현한 효과를 가진다. 여러 개의 다른 USB 커넥터를 가지고 입출력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공간의 소비를 해결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alizing a more excellent function by reducing the volume ratio of the product due to the conventional independent input / output terminal and by miniaturiz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external.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space consumption of input / output with several different USB connector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배터리팩에 접속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팩에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microUSB cable connected to a battery pack,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cro USB bus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shown in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은 커넥터(12)가 배터리팩(10)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팩(10)과 커넥터(12) 사이에는 제어 회로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배터리팩(10)에서 커넥터(12)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커넥터(12)에서 배터리팩(10)으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12)는 배터리팩(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젠더가 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12 connected to a battery pack 10, a control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pack 10 and the connector 12, The connector 12 and the battery pack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or 12 and the battery pack 10,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12 may be a gend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10.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제어 회로는 배터리 충전부(14), 승압회로(15),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 입출력 센싱 제어부(17)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의 양단에 구비된 두 개의 플러그(22) 중에서 하나의 플러그(22)가 배터리팩(10)에 구비된 커넥션 소켓(13)에 접속되고,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의 다른 쪽 플러그(22)는 스마트폰과 같은 충전 대상물이 모바일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control circuit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harging unit 14, a boosting circuit 15, a micro control unit 16, and an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One of the two plugs 2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icro USB bus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10 and the microUSB interface cable 20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charging object such as a smart phone.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팩(10) 자체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인쇄회로기판의 메인 아이씨(IC)에 배터리 충전부(14), 승압회로(15),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 입출력 센싱 제어부(17)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d circuit board is incorporated in the battery pack 10 itself, and a battery charging unit 14, a boosting circuit 15, a micro control unit 16, an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not shown) 17 may be provided.

한편, 젠더 바디에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젠더 바디의 일측에는 커넥션 소켓(13)이 구비된 젠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젠더의 플러그가 배터리팩(10)의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 연결된 젠더 소켓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젠더는 젠더 바디에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되어, 배터리팩(10)의 젠더 소켓에 젠더의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젠더 바디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젠더의 플러그와 커넥션 소켓(13)이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집적회로가 탑재되고, 상기 집적회로에 제어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상기와 같은 배터리 충전부(14), 승압회로(15),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 입출력 센싱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플러그(22)에 연결되는 기기(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나 마이크로 유에스 오티지 케이블 등)에 대응하여 상기 플러그(22)와 커넥션 소켓(13)의 입출력 모드를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ender body further includes a plug having a plug and a connection socket at one side of the gender body. The plug of the gender is connected to a gender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of the battery pack (10) Lt; RTI ID = 0.0 > socket. ≪ / RTI > The gender is provided with a plug (not shown) in the gender body so that a plug of the gender can be connected to the gender socket of the battery pack 10.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mbedded in the gender body, the plug of the gender and the connection socket 13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integrated circuit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control circuit includes the battery charging unit 14, the boosting circuit 15, the micro control unit 16, and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circuit is configured to switch the input / output mode of the plug 22 and the connection socket 13 corresponding to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mobile device such as a micro- .

상기 배터리팩(10)에는 배터리 충전부(14)가 연결된다. 배터리팩(10)이나 젠더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배터리 충전부(14)가 구비될 수 있다.A battery charging unit 14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10. A battery charging unit 14 may be provid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10 or the gender.

상기 승압 회로는 배터리 충전부(14)에 인쇄회로기판의 패턴화된 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booster circuit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er 14 through a patterned circuit of a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은 승압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한다.The micro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p-up circuit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tage.

본 발명에서 입출력 센싱 제어부(17)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에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팩(10)에는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 연결된 커넥션 소켓(13)이 구비되며, 상기 커넥션 소켓(13)에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이 연결된다.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의 양단 플러그(22) 중에서 한쪽의 플러그(22)가 배터리팩(10)의 커넥션 소켓(13)에 접속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is connected to the micro control unit 16. The battery pack 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socket 13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and a micro USB interface cable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One of the plugs 22 on both ends of the micro USB bus cable 2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of the battery pack 10.

한편, 상기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는 입출력 역전압 방지용 보호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된 메인 아이씨(IC)에 입출력 연전압 방지용 보호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may include a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input / output reverse voltage. The main IC (IC)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input / output softening.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Features of the integrated I / O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일반적인 배터리 팩의 충전과 방전은 입력과 출력 각각의 독립적인 커넥터(12)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입력과 출력 각각의 독립적인 커넥터(12) 구조를 하나의 커넥터(12)를 이용하여 자체 배터리의 충전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압 출력을 같이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터리팩(10) 자체에 커넥션 소켓(13)이 구비되거나 젠더에 커넥션 소켓(13)이 구비되어, 외부 전원에 연결된 충전기를 커넥션 소켓(13)에 접속하면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서 감지하여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커넥션 소켓(13)에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을 연결하면,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의 접속을 감지하여 스마트폰 등의 충전을 위한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충전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이 접속되어 입력 모드와 출력 모드로 전환되므로, 상기 충전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이 접속되는 배터리팩(10) 자체의 커넥션 소켓(13)이나 젠더의 커넥션 소켓(13)이 하나의 커넥터(12)가 될 수 있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general battery pack requires the use of an independent connector 12 for each of the input and the outpu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pendent connector 12 structure of each of the input and the output is connected The battery can be charged together with the voltage output for charging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connection socket 13 is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10 itself or the connection socket 13 is provided in the gender and when the charger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the input /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micro USB bus 20 when the micro-USB interface cable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And switches to the charging mode for charging the smartphone or the like. Since the charger or the micro USB interface cable 20 is connected to switch between the input mode and the output mode, the connection socket 13 of the battery pack 10 itself to which the charger or the micro USB interface cable 20 is connected The connector socket 13 of the gender can be a single connector 12.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의 내장 배터리를 층전을 해야 하는 충전 입력 단자와 스마트 폰 을 층전할 수 있는 출력 단자를 독립적으로 각 각 구비하여 입력과 출력 을 별개로 구분 하는 장치가 전부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독립적인 입출력 단자를 하나의 커넥터(12)로 구현하였으며 이로 인한 제품의 용적률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로 표현되는 구조물을 축소화하여 보다 더 탁월한 디자인은 물론 보다 더 탁월한 기능을 구현한다.In general, all of the charging input terminals for charging the built-in battery of the battery pack and the output terminals for transferring the layer of the smartphone ar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input and the output are separately classifi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put / output terminal is implemented as one connector 12, thereby reducing the volume ratio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structure expressed by the outside, thereby realizing more excellent design and more excellent functions.

배터리팩(10)의 층전을 위하여 5V의 전원을 공급받아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MCU)에서 4.2V의 정전압/정전류로 다운시키는 충전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4.2V의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5V로 승압하는 정전압/정전류 컨버터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에 상기 컨버터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The microcontroller 16 (MCU) is supplied with a power supply of 5V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10, and has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10 down to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of 4.2V. Constant-voltage / constant-current converter circuit that boosts the voltage. The microcontroller unit 16 may be provided with the converter circuit.

하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을 이용한 입력과 출력의 조건을 감지하여 내부에서 자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It detects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s using a single micro USB socket and enables automatic switching from the inside.

마이크로 유에스비의 OTG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 시 내장 배터리의 4.2V을 5V로 승압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을 개시한다.By using OTG function of micro USB interface, 4.2V of internal battery is boosted to 5V at the time of output, and charging of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is started.

배터리팩(10)의 충전은 일반적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를 가지는 가정용 층전기 등을 이용하여 5V를 4.2V의 정전압 /정전류로 층전하며 이러한 연결 조건은 본 발명의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에 의해 자동으로 전환된다.    The charging of the battery pack 10 is carried out at a constant voltage of 4.2 V / constant current of 5 V by using a household electric furnace or the like having a general micro-USB plug, and such connection conditions are automatically switched by the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연속적인 동작은 내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 및 제어 회로에서 센싱하여 적절한 입출력 조건에 맡는 해당 동작을 진행한다.The above-described continuous operation is sensed by the internal micro control unit 16 and the control circuit, and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priate input / output condition is performed.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배터리팩(10)에 여러 종류의 커넥터(12)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roviding various types of connectors 12 in one battery pack 10 by using such a function.

한편, 본 발명에서는 5V의 전원을 공급받아 4.2V의 정전압/정전류로 감압시키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입력 모드와 4.2V의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5V로 승압하는 출력 모드로 전환하지만, 9V, 12V의 전원을 공급받아 4.2V의 정전압/정전류로 감압시킬 수도 있고, 4.2V의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9V, 12V로 승압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규격의 전압을 감압 또는 승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of 5V is supplied and the mode is switched to an input mode for charging the battery by reducing the voltage to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of 4.2V and an output mode for boosting to 5V by using a battery voltage of 4.2V. The power can be supplied and the voltage can be reduced to a constant voltage / constant current of 4.2 V or the voltage can be increased to 9 V and 12 V by using a battery voltage of 4.2 V.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ducing or increasing the voltage of various standards.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배터리팩(10)의 micro USB 커넥터(12)에 전용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투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Micor USB TO Micro USB OTG Cable)을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동작 조건이 충전 인지 출력 인지를 감지하여 인풋/아웃풋 센싱 컨트롤 회로(IN/OUT Control 회로)에 신호를 전달한다.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이 인풋/아웃풋 센싱 컨트롤 회로라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condition for using the micro USB connector 20 (Micor USB TO Micro USB OTG Cable) dedicated to the micro USB connector 12 of the battery pack 10 is basically charged Sense outpu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circuit (IN / OUT control circuit).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and the micro control unit 16 may be referred to as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circuits.

인풋/아웃풋 센싱 컨트롤 회로에서 이러한 입출력 신호를 확인하고 내부 회로를 제어 조건에 맞는 동작을 하게 된다.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circuit checks these input / output signals and operates the internal circuit according to the control conditions.

내부 배터리 충전 조건이면 배터리 충전 회로를 동작시켜 내부 4.2V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 층전조건이면 5V 승압 회로를 동작시켜 스마트폰을 충전한다.If the internal battery charg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is operated to charge the internal 4.2V battery, and if the condition of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overloaded, the 5V step-up circuit is operated to charge the smartphone.

이러한 동작조건의 감지는 전용의 마이크로 오티지 케이블을 이용하여 감지하며 충전 시에는 이러한 전용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을 사용하여 충전을 한다. 전용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이 배터리팩(10)의 커넥션 소켓(13)에 접속되면 출력 모드로 전환되어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충전한다.  The sensing of these operating conditions is detected using a dedicated micro-otzi cable and is charged using this dedicated micro USB interface cable 20 when charging. When a dedicated micro USB interface cable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of the battery pack 10, it is switched to an output mode to charg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connected to the micro USB bus 2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의 층전은 일반적인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를 사용하는 모든 스마트폰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용 충전기를 배터리팩(10)에 구비된 커넥션 소켓(13)에 접속하면,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서 이를 감지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백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Meanwhile, all the smartphone chargers using a general micro USB plug can be used for the stacking of the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rger for a mobile device such as a general smart phon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10,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ler 17 senses this and charges the internal battery of the battery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인풋 아웃풋 센싱 제어부에는 입출력 역전압 발생 방지용 보호 회로가 더 포함되어, 배터리팩(10) 충전시 접속된 충전기로의 역전압이 인가되거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 충전시 배터리팩(10)으로 역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입출력 동작의 안정화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output sensing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input / output reverse voltage. When a reverse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er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10 when charging the battery pack 10, 10 to prevent reverse voltage from being applied. It is possible to further stabilize the input / output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으로 인하여 여러 개의 다른 USB 커넥터(12)를 가지고 입출력을 해야하는 불편함과 공간의 소비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space consumption of input / output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USB connectors 12 due to the above functions.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배터리팩 12. 커넥터
13. 커넥션 소켓 14. 배터리 충전부
15. 승압회로 16.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17. 입출력 센싱 제어부 20.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
22. 플러그
10. Battery pack 12. Connector
13. Connection socket 14. Battery charging part
15. Boost circuit 16. Micro control unit
17. I / O sensing control unit 20. Micro USB
22. Plug

Claims (5)

배터리(10);
상기 배터리(10)에 연결되는 커넥터(12);
상기 배터리(10)와 상기 커넥터(1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10)에서 상기 커넥터(12)로 전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커넥터(12)에서 상기 배터리(0)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A battery 10;
A connector 12 connected to the battery 10;
A controller 12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0 and the connector 12 for outputting power from the battery 10 to the connector 12 or for inputting power from the connector 12 to the battery 0, And an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배터리(10)에 연결된 배터리 충전부(14);
상기 배터리 충전부(14)에 연결된 승압 회로;
상기 승압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도록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6)에 연결된 입출력 센싱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ircuit comprising:
A battery charging unit 14 connected to the battery 10;
A boosting circuit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ing unit 14;
A micro control unit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p-up circuit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oltage;
And an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connected to the micro control unit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0)에는 상기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 연결된 커넥션 소켓(3)이 구비되며,
상기 커넥션 소켓(13)에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오티지 케이블(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ttery (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socket (3)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ler (17)
And the micro-USB interface cable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는 입출력 역전압 방지용 보호 회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is provided with a protection circuit for preventing input / output reverse voltage.
제2항에 있어서,
젠더 바디에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젠더 바디의 일측에는 커넥션 소켓(13)이 구비된 젠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젠더의 상기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10)의 상기 입출력 센싱 제어부(17)에 연결된 젠더 소켓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g of the gender is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sensing control unit (17) of the battery (10), and the gender is connected to the plug socket (13) To the gender socket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integrated battery pack.
KR1020160069270A 2016-06-03 2016-06-03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KR1018697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70A KR101869758B1 (en) 2016-06-03 2016-06-03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70A KR101869758B1 (en) 2016-06-03 2016-06-03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14A true KR20170137314A (en) 2017-12-13
KR101869758B1 KR101869758B1 (en) 2018-06-21

Family

ID=6094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70A KR101869758B1 (en) 2016-06-03 2016-06-03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46B1 (en) * 2020-04-14 2020-12-15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Serial/parallel dc-dc converter device and fuel cell system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98Y1 (en) 2007-04-06 2008-12-19 문오형 Cellphone battery charger having a domestic plug and a cigar jack plug
KR20090004005U (en) 2007-10-25 2009-04-29 주식회사 세네카 Multi charger for a car
KR20100007346U (en) * 2009-01-09 2010-07-19 백동철 1 Power control device combind with 1 port type DC input and output
KR20100100549A (en) * 2009-03-04 2010-09-15 정승용 Battery connecting gender
KR20140130806A (en) *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뷰컴 Portable charging apparatus using solar cell
KR20150004461U (en) 2014-06-03 2015-12-11 허진수 battery for vehicle recharg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98Y1 (en) 2007-04-06 2008-12-19 문오형 Cellphone battery charger having a domestic plug and a cigar jack plug
KR20090004005U (en) 2007-10-25 2009-04-29 주식회사 세네카 Multi charger for a car
KR20100007346U (en) * 2009-01-09 2010-07-19 백동철 1 Power control device combind with 1 port type DC input and output
KR20100100549A (en) * 2009-03-04 2010-09-15 정승용 Battery connecting gender
KR20140130806A (en) * 2013-05-02 2014-11-12 주식회사 뷰컴 Portable charging apparatus using solar cell
KR20150004461U (en) 2014-06-03 2015-12-11 허진수 battery for vehicle rechar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46B1 (en) * 2020-04-14 2020-12-15 (주)프라즈마 사이언스 Serial/parallel dc-dc converter device and fuel cell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758B1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8020B (en) Concentrator
CN105789991B (en) Concentrator with combined power supply
TWI568136B (en)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9203254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SB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doing the same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US7017055B1 (en) Hub that can supply power actively
US105740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10250059B2 (en) Charging circuit for battery-powered device
US20140253038A1 (en) Mobile devices and cases with built-in power supplies
US20090309542A1 (en) Multi-input charger
JP2007014163A (en) Charging ic, charge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299532B (en) Charging device
US20130113414A1 (en) Automatic mobile device detector
CN102231769A (en) Method for turning on mobile phone with over-discharged cell and mobile phone
EP3100335A1 (en) Battery charger
KR101869758B1 (en) Input output integration battery pack
KR101051060B1 (en) Standard Charger / Adapter Converter
CN103167060A (en) Mobile phone and patch cord
KR20170098461A (en) Apparatus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of external device by using potable device
CN109375758B (en) Charging device for computer host configuration
CN110622388A (en) Charging method and charger
KR200458625Y1 (en) Data cable
KR200463271Y1 (en) Gender for Charging Battery of Portable Equipmen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Portable Equipments
KR20120013514A (en) Potable power supply with plural output terminal
CN210839024U (en)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