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976A -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976A
KR20170136976A KR1020170057443A KR20170057443A KR20170136976A KR 20170136976 A KR20170136976 A KR 20170136976A KR 1020170057443 A KR1020170057443 A KR 1020170057443A KR 20170057443 A KR20170057443 A KR 20170057443A KR 20170136976 A KR20170136976 A KR 2017013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g
big data
management unit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수욱
이승윤
인민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607,86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351722A1/en
Publication of KR2017013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9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19Large Object storage;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A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data specification are provided. A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can provide the real 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data specificatio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manages the data specification and receives a request for processing the data specification from a big data consumer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processing the data specificatio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generates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and transmits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big data in real time.

Description

데이터 명세서 기반 빅데이터 실시간 가공 및 유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FIELD OF THE INVENTION [0001]

아래의 실시예들은 빅데이터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the provision of big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al 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빅데이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빅데이터 서비스 사업자들은 개인, 기관, SNS 및 센서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사용자가 데이터 마켓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구매하는 활동도 보편화되고 있다.As the use of big data increases, big data service providers collect and use various data such as individuals, institutions, SNS and sensor information. In addition, data users are searching for and purchasing data they want through the data market.

빅데이터 유통을 위한 데이터 마켓을 운영하기 위해, 데이터 판매자는 다양한 데이터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의 보유에 있어서, 분석 목적,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포맷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In order to operate the data market for big data distribution, the data vendor should have priority for various kinds of data to meet the requirements of various data users. Further, in data retention, the purpose of analysis,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user's system environment, and the like should be considered.

일반적으로, 데이터 사용자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수집 또는 구매된 데이터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처리 과정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는 내부 시스템 또는 서비스 환경에 따른 다양한 유형들의 데이터 형태들로 변화할 수 있다.Generally, the data collected or purchased in the process of utilizing the big data by the data user is subjected to a preprocessing process.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the same data can change into various types of data types depending on the internal system or the service environment.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대부분 단순 및 반복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처리 과정은 높은 컴퓨팅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This preprocessing process is mostly simple and iterative. Therefore, the preprocessing process does not require high computing performance.

또한, 데이터 마켓은, 데이터 판매자가 자신의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카탈로그를 통해 공개하고, 데이터 사용자는 카탈로그를 검색하고, 카탈로그를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운영에 따라서, 데이터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판매자는 판매를 위한 데이터를 미리 분류 및 가공하고, 분류 및 가공된 데이터를 대규모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분류, 가공 및 저장으로 인해 높은 저장소 운영 비용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data market is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eller of the data discloses his or her own data through the catalog, the data user searches the catalog, and downloads the retrieved data through the catalog. In accordance with this operation,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data consumer, the data seller must pre-sort and process the data for sale and store the classified and processed data in a large-scale data store. This sorting, processing and storage creates high storage operating costs.

이러한 상황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판매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또는 수집 가능한 데이터들에 바탕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 및 유통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cope with this situa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disclos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data in real time on the basis of data that a data seller has or collects.

이러한 데이터 명세서 기반 빅데이터 실시간 가공 및 유통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판매자는 자신이 초기에 보유하고 있거나 자신의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에 바탕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명세서들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하고, 개발된 데이터 명세서들을 시스템에 등록함으로써 데이터 사용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data specification-based big data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support system, a data seller should be able to develop various kinds of data specifications based on data that he / she initially owns or can collect in real time,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demand of data users by registering the developed data specification in the system.

빅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에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5-0071737호가 제시된 바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71737 has been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a big data transaction system and a transaction method.

일 실시예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마켓을 운영하여 데이터를 유통하고자 하는 빅데이터 판매자가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공될 수 있는 데이터 명세서를 미리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big data seller who wants to distribute data by operating a data market in a big data environment can write data specimens that can be processed based on his own data or data that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And methods.

일 실시예는 미리 작성된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마켓에 공개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may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pre-written data specification to be disclosed in a data market.

일 실시예는 빅데이터 소비자가 데이터 명세서를 선택하고 데이터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may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cessing of data in real time and providing processed data when a big data consumer selects a data specification and wants to purchase data.

일 실시예는 빅데이터 판매자가 가용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 대한 가공 정보를 데이터 명세서 형태로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big data seller to generate processing information on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form of a data specification based on available data.

일 실시예는 데이터 명세서를 빅데이터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모두를 저장소에서 유지 또는 관리하지 않고도 최소한의 규모의 저장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ata specification to a big data consumer, thereby enabling various types of data to be provided using a minimal amount of storage without maintaining or managing all of the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repository .

일 실시예는 빅데이터 소비자가 자신의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데이터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can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big data consumer to select and utilize various data suitable for his / her system environment.

일 실시예는 빅데이터 소비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선택 및 활용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may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cost of analyzing and utilizing the data required by a big data consumer in selecting and utilizing various data.

일 측에 있어서,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명세서를 관리하고,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수신하는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 및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하는 빅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An apparatus for real 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ng big data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the system comprising: a data specification managing unit for managing a data specification and receiving a request for processing a data specification from a big data consumer apparatus; And a big data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상기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는,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게 판매될 수 있는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하는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tatement managing unit may include a data statement registering unit that registers the data statement that can be sold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in the data statement list.

상기 데이터 명세서는,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생성 절차 및 데이터의 판매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source data, a procedure of generating data, and a sales policy of data.

상기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use environment setting unit that sets a big data use environment.

상기 빅데이터 사용 환경은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제공되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 및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가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usage environment may include a type of the processed data provided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and a manner in which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obtains the processed data.

상기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는, 상기 장치에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에 대한 검색을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statement retrieval unit that provides the retrieval of data statements registered in the apparatus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실시간 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n real-time data resources.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자원은 상기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장치가 데이터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자원 또는 상기 장치가 수집할 수 있는 자원일 수 있다.The real-time data resource may not be stored in the device, but may be a resource that the device can download in real time through a data request or a resource that the device can collect.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접근 정보, 수집 정보 및 저장 형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y include data access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orage type information.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may collect real-time data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가용 데이터 자원에 기반하여 판매의 목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명세서의 형태로 생성하는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specification publishing unit for generating, in the form of a data specification, data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sale based on available data resources by a user of the apparatus.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데이터 정책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policy management unit that performs a review on the processed data and corrects the processed data when a modification to the processed data is required.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가 가상화된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될 경우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기입(write) 권한, 독출(read) 권한 및 데이터 내의 개인정보 관련 사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 정책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in the form of a virtualized database,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right to write, read, And a data policy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control on the data policy management unit.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및 외부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unit that obtains data stored in the device and real-time data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based on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the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And the data processing unit can process the data in a form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big data use environment.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상기 장치의 데이터 저장소 내의 어떤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관리하는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where the data stored in the device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of the device.

상기 데이터 명세서는, 제품 카탈로그 부분, 사용자 선택 부분 및 데이터 생성 정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a product catalog portion, a user selected portion, and a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ortion.

상기 사용자 선택 부분은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가 구매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 및 데이터의 사용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selection portion may provide information for setting a range of data to be purchased by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data.

상기 데이터 생성 정보 부분은 데이터의 제공자가 선택한 정보 및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art may provide information for generating data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provider of the data an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다른 일 측에 있어서,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On another side, receiving a request for processing a data specification from a big data consumer device; Generating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상기 가공된 데이터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에 따라서 선택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The processed data can be processed into a selected form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big data use environment.

또 다른 일 측에 있어서,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데이터의 가공 이력에 기반하여 데이터 명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명세서 등록 방법이 제공된다.In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 dat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of data; Generating a data specification based on a processing history of the processed data; And registering the data specification in a data list, wherein the data includes real-tim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nother method, apparatus,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마켓을 운영하여 데이터를 유통하고자 하는 빅데이터 판매자가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 또는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공될 수 있는 데이터 명세서를 미리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a big data seller who wants to operate a data market in a big data environment to distribute data to create a data specimen that can be processed based on his own data or data that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do.

미리 작성된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마켓에 공개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previously prepared data specification to be disclosed in a data market is provided.

빅데이터 소비자가 데이터 명세서를 선택하고 데이터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실시간으로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cessing of data in real time and providing processed data when a big data consumer selects a data specification and wants to purchase data.

빅데이터 판매자가 가용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 대한 가공 정보를 데이터 명세서 형태로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big data seller to generate processing information on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form of a data specification based on available data.

데이터 명세서를 빅데이터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모두를 저장소에서 유지 또는 관리하지 않고도 최소한의 규모의 저장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ata specification to a big data consumer so that various types of data can be provided using a minimum-sized storage without maintaining or managing all the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storage.

빅데이터 소비자가 자신의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데이터를 선택 및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big data consumer to select and utilize various data suitable for his / her system environment is provided.

빅데이터 소비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선택 및 활용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Devices and methods are provided that reduce the cost of analyzing and utilizing the data required by large data consumers in selecting and utilizing the various dat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제공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은 일 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의 워크 플로우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제공 장치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1 shows a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shows a structure of a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shows a configuration of a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4 shows the information of the workflow of the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5 is a flowchart of a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llustrates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a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후술하는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실시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예시적 실시예들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The shape and siz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구성이 예시적 실시예들의 실시 또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component)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examples,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And that additional configurations may be encompassed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the technical ideas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two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of the components.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상기의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above. The abov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또한, 실시예들에 나타나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단위로만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요소로 나열된 것이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의 구성요소들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 또한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ele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re shown independently to represent different characteristic functions, and do not mean that each element is composed of separate hardware or a single software constituent unit. That is, each component is listed as each compon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ingle component. Also, one componen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integrated embodiments and the separate embodiments of each of these compon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또한, 일부의 구성요소는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요소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실시예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와 같은, 선택적 구성요소가 제외된 구조 또한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Also, some components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to perform essential functions, but may be optional components only to improve performanc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only with components that are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essentials of the embodiments, and structures within which the optional components are excluded, such as, for example, components used only for performance enhancement,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이하에서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1 shows a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 및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A system 100 for providing real 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a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a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and an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제공할 수 있다.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can provide real 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the big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으며,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유통하는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may represent a system for processing big data in real time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and may represent a system for distributing big data in real time.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소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be used by the big data consumer.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빅데이터 소비자는 검색된 데이터 명세서들을 통해 빅데이터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명세서를 선택할 수 있다.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선택된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를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게 요청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can retrieve the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s registered in the big data providing device 110. [ The big data consumer can select the data specification of the data that the big data consumer wants to purchase through the retrieved data specifications.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can request the data of the selected data specification to the big data providing device 110. [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can perform processing of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can provide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여기에서, 데이터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일 수 있고,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의 데이터일 수 있다.Here, the data may be data held by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and may be data of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에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따라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may collect real-time data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can request data to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in real time and can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in real time upon request.

전술된 것과 같이,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데이터 명세서 관리 기능 및 빅데이터 관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 data statement management function and a big data management function.

데이터 명세서 관리 기능은 1) 데이터 명세서의 등록, 2)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의 데이터 검색, 3)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의 데이터 요청 및 4)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의 데이터 제공 등을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 명세서에 따른 데이터 가공 요청을 빅데이터 관리 기능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functions include: 1) registration of a data specification; 2) retrieval of data from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3) data request from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and 4) Data provision and the like, and the data processing request according to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big data management function.

빅데이터 관리 기능은, 1) 데이터 가공, 2)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의 데이터 요청, 3)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4)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등을 처리할 수 있다.3) data transmission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4) data transfer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to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the like.

이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제공하는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기능, 처리 절차, 정보의 구성 등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Detailed functions, processing procedures, configuration of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system 100 for providing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o.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제공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FIG. 2 shows a structure of a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한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지원할 수 있다.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can support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the big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 빅데이터 관리부(220) 및 시스템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 data specification management unit 210, a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and a system control unit 230.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는 데이터 명세서를 관리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managing unit 210 can manage the data specification.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210 can receive a processing request for the data specification from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빅데이터 관리부(220)는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can generate the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빅데이터 관리부(220)는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can transmit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는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211),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 및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management unit 210 may include a data specification registration unit 211, a data usage setting unit 212, and a data specification search unit 213.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211)는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게 판매될 수 있는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register 211 can register the data specification that can be sold to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in the data list.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함에 있어서,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 의해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의 판매 정책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211)는 데이터의 판매 정책을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In registering the data statement in the data list, the sales policy of the data of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The data specification registering unit 211 may include the data sales policy in the data specification information.

판매 정책은 판매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ales policy may include the selling price and the like.

등록되는 데이터 명세서는, 1)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 2) 데이터의 생성 절차 및 3) 데이터의 판매 정책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1) information about source data, 2) a procedure for generating data, and 3) a sales policy of data.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The data use environment setting unit 212 can set a big data use environment.

빅데이터 사용 환경은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제공되는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 및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가공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usage environment may include the type of processed data provided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and the way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obtains the processed data.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The data use configuration unit 212 can receive a request for setting up a big data use environment from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의 요청에 따라서,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 및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가공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The data use configuration unit 212 can set the type of the processed data and the manner in which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acquires the processed data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etting of the big data use environment.

예를 들면, 빅데이터 판매자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의 설정을 통해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복수의 전송 방식들 중 하나를 가공된 데이터의 전송 방식으로서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ig Data Seller may enable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chemes as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ocessed data through the setting of the manner of acquiring the data.

예를 들면,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는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을 데이터 명세서에 추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use configuration unit 212 may add a method of receiving the set data to the data specification.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는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에 대한 검색을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retrieving unit 213 may provide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with a search for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s.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는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retrieving unit 213 may receive a request for information of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s from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Upon receipt of the request for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 the data description retrieving unit 213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빅데이터 관리부(220)는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222), 데이터 정책 관리부(223), 데이터 가공부(224),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 데이터 저장소(226) 및 데이터 전송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includes a real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a data specification publishing unit 222, a data policy management unit 223, a data processing unit 224, a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a data storage 226, And a data transfer unit 227.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실시간 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 자원은, 데이터 저장소(226)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나,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가 데이터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자원 또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가 수집할 수 있는 자원일 수 있다.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can manage information on real-time data resources. The real-time data resource is not stored in the data store 226, but may be a resource that can be downloaded in real time via the data request by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or a resource that can be collected by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

실시간 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보는 1) 데이터 접근 정보, 2) 수집 도구 정보 및 3) 저장 형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y include 1) data access information, 2) collection tool information, and 3) storage type information.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에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따라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can collect real-time data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sion device 130. [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can request data to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in real time and can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in real time upon request.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122)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의 사용자에 의해 가용 데이터 자원에 기반하여 판매의 목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명세서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222)는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211)에 등록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publishing unit 122 can generate data generated in the form of a data specification for the purpose of sale based on the available data resources by the user of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 The data specification publishing unit 222 can register the data specification in the data specification registration unit 211. [

데이터 정책 관리부(223)는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검토를 수행할 수 있고,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 가공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The data policy management unit 223 can perform a review on the processed data and modify the processed data when a modification to the processed data is required.

데이터 정책 관리부(223)는 가공된 데이터가 가상화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의 형태로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전송될 경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기입(write) 권한, 독출(read) 권한 및/또는 데이터 내의 개인정보 관련 사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policy management unit 223 may write and / or read the processed data when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in the form of a virtualized database, and /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matters in the data can be performed.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4 can obtain th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and the real time data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based on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 및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에게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저장된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4 can request data from the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and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based on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The data may include stored data and real-time data.

예를 들면,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생성 정보가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가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에게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can request data from the storage data map manager 225 when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at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is requested.

예를 들면,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생성 정보가 실시간 데이터 자원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에게 실시간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request real-time data from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when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at a real-time data resource is required.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부(224)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에 따라서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 의해 선택된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section 224 can generate the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can process data in a form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big data use environment.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에 따라서 준비된 데이터를 가공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준비된 데이터는,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에 의해 제공된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 내에 저장된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에 의해 제공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section 224 can generate the processed data by processing the prepare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ata specification. The prepared data may includ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sion apparatus 110 provided by the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and real time data provided by the real 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

데이터 가공부(224)는 가공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소(226)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temporarily store the processed data in the data storage 226. [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데이터 저장소(226) 내의 어떤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The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can manage where th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sion apparatus 110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226. [

데이터 저장소(226)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 내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외부로 전송될 가공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store 226 may physically store th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or the processed data to be transmitted externally.

데이터 전송부(227)는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transfer unit 227 can transfer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

시스템 제어부(230)는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 및 빅데이터 관리부(220)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위한 처리 프로세스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30)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 및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 간의 인터랙션을 처리할 수 있다.The system control unit 230 can manage and control a process for interactions between the data specification management unit 210 and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230 can proc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and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명세서 관리부(210), 빅데이터 관리부(220), 시스템 제어부(230),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211),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222), 데이터 정책 관리부(223), 데이터 가공부(224),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 데이터 저장소(226) 및 데이터 전송부(227) 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으며, 외부의 장치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빅데이터 제공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system control unit 230, the data specification registering unit 211, the data usage setting unit 212, the data specification searching unit 213, the data management unit 210, the data management unit 210,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the data specification publishing unit 222, the data policy management unit 223,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the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the data storage 226, and the data transfer unit 227 At least some of which may be program modules and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e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도 3은 일 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의 구성을 나타낸다.3 shows a configuration of a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데이터 명세서는, 1) 제품 카탈로그 부분, 2) 사용자 선택 부분 및 3) 데이터 생성 정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1) a product catalog portion, 2) a user selection portion, and 3) a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ortion.

제품 카달로그 부분은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데이터의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catalog portion may provide information for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to identify the product of the data.

사용자 선택 부분은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구매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 및 데이터의 사용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selection part may provide information for setting the range of data that the big data consumer or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desires to purchase and how to use the data.

데이터 생성 정보 부분은 데이터의 제공자가 선택한 정보 및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ortion may provide information for generating data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provider of the data an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

예를 들면, 데이터 명세서의 제품 카탈로그 부분은 1) 데이터의 제품 명, 2) 데이터의 데이터 도메인, 3) 데이터의 활용 분야, 4) 데이터의 시간 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catalog por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1) the product name of the data, 2) the data domain of the data, 3)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data, and 4) the time range of the data.

예를 들면, 사용자 선택 부분은 데이터의 구매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의 구매 방식은 데이터의 부분적 구매 및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전송 방식은 데이터의 다운로드 방법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selection portion may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purchase the data. The purchase method of the data may include a partial purchase of the data and a transmission method of the data.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may be a data download method.

말하자면, 사용자 선택 부분은,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구매하고자 할 때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택 부분은,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복수의 전송 방식들 중 하나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선택 및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송 방식들 중 하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전송일 수 있다.That is to say, the user selection portion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enables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to partially purchase the data when it is intended to partially purchase the data. In addition, the user selection portion may provide information that allows the Big Data Consumer or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to select and set one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chemes. For example, one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chemes may be transmission using cloud storage.

데이터 생성 정보는,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데이터 소스 및 기능에 대한 워크 플로우(work flow)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명세서가 선택될 때, 데이터 명세서의 설정 변수들의 값들이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워크 플로우 실행을 위하여, 설정 변수들의 설정 값들은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 소비자가 선택한 데이터의 범위나 데이터의 전송 방식에 따라서 갱신될 수 있다. 갱신을 위한 설정 값들은 빅데이터 관리부(220)의 데이터 가공부(224)로 전송될 수 있다. 설정 값들의 전송됨에 따라서 판매될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다.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data source used to generate the data and a work flow for the function. Basically, when a data specification is selected, the values of the configuration variables of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defined in advance. For the workflow execution, the setting values of the setting variables can be updated according to the range of data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data consumer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or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data. The setting values for updat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of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 Data to be sold can be generated in real time as the set values are transmitted.

워크 플로우의 정보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된다.
The information of the workflow is separately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4은 일 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의 워크 플로우의 정보를 나타낸다.4 shows the information of the workflow of the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데이터 명세서의 워크 플로우의 기능들은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기능들로서, 도 4에서는, FC_3223, FC_0482 및 FC_0156가 도시되었다.The functions of the workflow of the data specification may be plural. As a plurality of functions, FC_3223, FC_0482 and FC_0156 are shown in Fig.

또한, 도 4에서는, FC_3223, FC_0482 및 FC_0156과 같은 예시적인 기능들에 대한 설정 변수들의 값들이 기설정된 값으로부터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 의해 결정된 설정 값으로 결정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4,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values of the setting variables for exemplary functions such as FC_3223, FC_0482, and FC_0156 from the preset values to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setting value determined by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is shown in Fig. .

기능의 입력은 데이터 명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의 입력은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명세서는 다른 기능으로부터 출력된 임시의 데이터 명세서일 수 있다. 복수의 기능들 중 최초의 기능의 입력은 데이터 명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들 중 비-최초의 기능의 입력은 임시의 데이터 명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of the function may include a data specification. Further, the input of the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data. Here, the data specification may be a temporary data specification output from another function. The input of the first of the plurality of functions may include a data specification. The input of the non-first function of the plurality of functions may include a temporary data specification.

기능의 출력은 임시의 데이터 명세서 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기능들 중 최종의 기능의 출력은 데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기능들 중 비-최종의 기능의 출력은 임시의 데이터 명세서일 수 있다.
The output of the function may be a temporary data specification or data. The output of the final fun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data. The output of the non-final function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may be a temporary data specification.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단계들(510, 520, 530, 540, 550, 560, 570 및 580)을 통해,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한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이 제공될 수 있다.Through the steps 510, 520, 530, 540, 550, 560, 570 and 580,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the big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provided.

단계(510)에서,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In step 510,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retrieve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s registered in the big data providing device 110. [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로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may transmit a request of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s to the data description retrieval unit 213. [ The data specification retrieving unit 213 may receive a request for information of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s from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는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213)로부터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Upon receipt of the request for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 the data description retrieving unit 213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can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s from the data description retrieving unit 213. [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or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use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s to select the data it desires.

단계(520)에서,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In step 520,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set the Big Data usage environment.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형태들 중 하나의 형태를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의해 제공하는 복수의 전송 방식들 중 하나의 전송 방식을 가공된 데이터의 전송 방식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or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types provided by the big data providing device 110 as a form of processed data. In addition, the big data consumer or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can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thods provided by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as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ocessed data.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의 요청을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can transmit a request for setting the big data use environment to the data use configuration unit 212. [ The data use configuration unit 212 can receive a request for setting up a big data use environment from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212)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의 요청에 따라서,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 및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가 가공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The data use configuration unit 212 can set the type of the processed data and the manner in which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acquires the processed data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etting of the big data use environment.

단계(530)에서,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At step 530,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send a request for processing of the data specification to the data statement manager 210. 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210 can receive a processing request for the data specification from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210)는 시스템 제어부(230)를 통해, 데이터 명세서를 빅데이터 관리부(220)의 데이터 가공부(2240)로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빅데이터 가공부(224)로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pecification management unit 210 can transmit the data specification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240 of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through the system control unit 230 and can send the data specification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240 of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220, It is possible to send a request for processing to the big data processing unit 224.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을 위해 실시간 데이터 자원이 요구되는 경우, 데이터 가공부(224)는 실시간 데이터의 요청을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데이터 가공부(224)로부터 실시간 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When a real-time data resource is required for processing the data specification,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transmit a request for real-time data to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may receive a request for real-time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

실시간 데이터의 요청을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로 전송한 후, 데이터 가공부(224)는 실시간 데이터의 준비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After transmitting the request of the real-time data to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can wait until the preparation of the real-time data is completed.

단계(540)에서,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step 540,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may collect real-time data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sion apparatus 130. [

단계(550)에서,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준비된 데이터는,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에 의해 제공된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 내에 저장된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에 의해 제공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550,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can recognize that the preparation of data used for processing the data specification is completed. The prepared data may includ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sion apparatus 110 provided by the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and real time data provided by the real 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

단계(560)에서,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에 따라서 준비된 데이터를 가공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560, the data processing section 224 can generate the processed data by processing the prepared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ata specification.

데이터 가공부(224)는 가공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소(226)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temporarily store the processed data in the data storage 226. [

단계(570)에서, 데이터 정책 관리부(223)는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검토를 수행할 수 있고,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 가공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In step 570, the data policy management unit 223 can perform a review of the processed data and modify the processed data when a modification to the processed data is required.

단계(580)에서, 데이터 전송부(227)는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580, the data transfer portion 227 may transfer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명세서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data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단계들(610, 620, 630, 640, 650, 660 및 670)을 통해,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한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위한 데이터 명세서가 생성될 수 있다.Through the steps 610, 620, 630, 640, 650, 660, and 670, a data specification for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the big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generated.

단계(610)에서,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122)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에게 가용 데이터 자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t step 610, the data specification publisher 122 may provide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with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data resources.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가용 데이터 자원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실시간 데이터의 수집의 요청을 데이터 가공부(224)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부(224)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부터 실시간 데이터의 수집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can identify the available data resources and, if necessary, send a request for the collection of real time data to the Data Processing portion 224.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receive a request for collection of real-time data from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

실시간 데이터는 데이터 명세서의 생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집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 real-time data may b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데이터 가공부(224)는 실시간 데이터의 수집의 요청을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데이터 가공부(224)로부터 실시간 데이터의 수집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transmit a request for collection of real-time data to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may receive a request for collection of real-time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

실시간 데이터의 수집의 요청을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로 전송한 후, 데이터 가공부(224)는 실시간 데이터의 준비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wait until the preparation of the real time data is completed after transmitting the request for the collection of the real time data to the real 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

단계(620)에서,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130)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operation 620,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may collect real-time data from the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apparatus 130. [

단계(630)에서, 데이터 가공부(224)는 데이터 명세서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준비된 데이터는,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225)에 의해 제공된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 내에 저장된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221)에 의해 제공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630,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recognize that the preparation of data for gener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is completed. The prepared data may include data stored in the big data provision apparatus 110 provided by the storage data map management unit 225 and real time data provided by the real 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221. [

단계(640)에서, 데이터 가공부(224)는 준비된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부(224)는 준비된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의 가공에 있어서, 데이터 가공부(224)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가공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가공된 데이터는 데이터 명세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In step 640, the data processing unit 224 may perform processing of the prepared data. The data processing section 224 can generate the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of the prepared data. In processing the data, the data processing function provided by the data processing section 224 may be used. The processed data may be data that can be generated in real time through the data specification.

단계(650)에서, 데이터의 가공이 완료되면,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222)는 가공된 데이터의 가공 이력에 기반하여 데이터 명세서를 생성할 수 있다.At step 650, when the processing of the data is completed, the data specification publisher 222 can generate the data specification based on the processing history of the processed data.

가공된 데이터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서 선택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단계(660)에서, 데이터 가공부(224)는 가공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The processed data can be selectively deleted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In step 660, the data processing section 224 may delete the processed data.

단계(670)에서,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211)는 생성이 완료된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할 수 있다.In step 670, the data specification registration unit 211 may register the data specification that has been generated in the data specification list.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함에 있어서,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의 판매 정책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명세서들의 정보는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의 판매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In registering the data specification in the data list, the sales policy of the data in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determined. The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may include a sales policy of the data of the data specification.

전술된 설명한 절차를 통해 빅데이터 판매자는 데이터 명세서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 명세서를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등록할 수 있다.Through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the big data seller can generate the data specification and register the generated data specification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

빅데이터 소비자 또는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는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를 주문할 수 있다.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요청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할 수 있고,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Big Data Consumer or Big Data Consumer Device 120 may retrieve the registered data specification and order the data of the retrieved Data Specificatio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can process the requested data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120.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제공 장치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a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는 도 7에서 도시된 전자 장치(7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700)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로서 동작하는 범용의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may be implemented as the electronic apparatus 700 shown in Fig. The electronic device 700 may be a general purpose computer system that operates as the big data provision device 110. [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700)는 처리부(710), 통신부(720), 메모리(730), 저장소(740) 및 버스(79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710), 통신부(720), 메모리(730) 및 저장소(740) 등과 같은 전자 장치(700)의 구성요소들은 버스(790)를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7, the electronic device 70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 processing unit 710, a communication unit 720, a memory 730, a storage 740, and a bus 790. As shown in FIG.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700, such as the processing unit 710, the communication unit 720, the memory 730, and the storage 74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bus 790.

처리부(710)는 메모리(730) 또는 저장소(740)에 저장된 프로세싱(processing) 명령어(instruction)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71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710 may be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the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730 or the storage 740.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710 may be at least one hardware processor.

처리부(710)는 전자 장치(7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710)는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처리부(710)의 동작 또는 단계의 코드를 실행(execute)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710 may process the job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700. [ The processing unit 710 may execute the code of the operation or step of the processing unit 710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처리부(710)는 후술될 실시예에서 설명될 정보의 생성, 저장 및 출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전자 장치(700)에서 이루어지는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710 may perform generation, storage, and output of information to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perform operations of steps performed in the other electronic device 700. [

통신부(720)는 네트워크(799)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7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7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네트워크(799)를 통해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720)는 네트워크 칩(chip) 또는 포트(port)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72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799. May receive data or information require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700 and may transmit data or information required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700. [ The communication unit 720 can transmit data to another device via the network 799 and can receive data from another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720 may be a network chip or a port.

메모리(730) 및 저장소(7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30)는 롬(ROM)(731) 및 램(RAM)(7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740)는 램, 플레시(flash)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내장형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탈착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Memory 730 and storage 740 may b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7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M 731 and a RAM 732. The storage 740 may include internal storage media such as RAM, flash memory and a hard disk, and may include removable storage media such as memory cards and the like.

전자 장치(700)의 기능 또는 동작은 처리부(710)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730) 및/또는 저장소(7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은 처리부(71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unction 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700 may be performed as the processing unit 710 executes at least one program module. The memory 730 and / or the storage 740 may store at least one program module. The at least one program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processing unit 710.

전자 장치(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입력 디바이스(750) 및 UI 출력 디바이스(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I 입력 디바이스(750)는 전자 장치(7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UI 출력 디바이스(760)는 전자 장치(700)의 동작에 따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7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UI) input device 750 and a UI output device 760. The UI input device 750 may receive the input of the us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700. The UI output device 760 may output information or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700. [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가 예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ollowing scenario can be exemplified.

빅데이터 판매자는 지도의 데이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의 데이터, 매장 정보의 데이터 및 유동 인구의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다. 빅데이터 판매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역에 따른 상권 및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명세서로서 작성할 수 있다. 데이터 명세서를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에 등록할 수 있다.The Big Data Seller can hold map dat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data, store information data, and floating population data. The big data seller can create information on the trade area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as data specification based on the data held by the seller. The data specification can be registered in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

빅데이터 소비자는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서의 최근 1년동안의 의류 메이커 선호도 정보를 디비-에이피아이(DB-API)로 제공되는 형식으로 구매할 수 있다.The big data consumer can purchase the clothing maker's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last one year in the area desired by the big data providing device 110 in a format provided by DB-API.

빅데이터의 판매자는 데이터 명세서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제공 장치(110)의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는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 기능을 통해 빅데이터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정보를 온라인 API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ller of the big data can generate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big data consumer through the real 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big data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of the big data providing apparatus 110 based on the data specification, It can be provided in API form.

이러한 방식의 데이터의 제공을 통해. 빅데이터 판매자는 빅데이터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면서 데이터의 판매를 위한 저장소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빅데이터 소비자는 데이터의 사용을 위해 제공된 API를 자신의 장치에서 매시업(mashup)을 통해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vision of data in this manner. Big data sellers can minimize the storage capacity for sales of data while meeting the requirements of big data consumers, and big data consumers can use APIs provided for the use of data through their mashups on their devices Thereby saving time and cost for analyzing the data.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100: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을 제공하는 시스템
110: 빅데이터 제공 장치
120: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
130: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
100: System that provides real-tim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big data based on data specification
110: Big data provider
120: Big Data Consumer Device
130: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device

Claims (20)

데이터 명세서에 기반하여 빅데이터의 실시간 가공 및 유통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명세서를 관리하고,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수신하는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 및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하는 빅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는 장치.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distributing big data in real time based on a data specification,
A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data specification and receiving a request for processing of the data specification from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And
A big data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a data specific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는,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게 판매될 수 있는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하는 데이터 명세서 등록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A data specification registering unit for registering the data specification which can be sold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명세서는, 소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 데이터의 생성 절차 및 데이터의 판매 정책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specification comprises information on source data, a procedure for generating data, and a sales policy for th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데이터 사용 환경 설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 사용 환경은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제공되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 및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가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A data use setting unit for setting a big data use environment
Lt; / RTI >
Wherein the big data usage environment includes a type of the processed data provided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and a manner in which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obtains the processe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명세서 관리부는,
상기 장치에 등록된 데이터 명세서들에 대한 검색을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명세서 검색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statement management unit,
A data statement retrieval unit for providing retrieval of data statements registered in the apparatus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실시간 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자원은 상기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장치가 데이터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자원 또는 상기 장치가 수집할 수 있는 자원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A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n real-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real-time data resource is not stored in the device, but is a resource that the device can download in real time via a data request or a resource that the device can coll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자원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접근 정보, 수집 정보 및 저장 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real-time data resource includes data access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d storage type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자원 관리부는 외부 데이터 자원 제공 장치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al-time data resource management unit collects real-time data from an external data resource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가용 데이터 자원에 기반하여 판매의 목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명세서의 형태로 생성하는 데이터 명세서 출판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A data specification publisher for generating data generated for sale purposes in the form of a data specification based on available data resources by a user of the device;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데이터 정책 관리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A data policy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a review on the processed data and correcting the processed data when a modification to the processed data is required,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가 가상화된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될 경우 상기 가공된 데이터에 대한 기입(write) 권한, 독출(read) 권한 및 데이터 내의 개인정보 관련 사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 정책 관리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When the processed data is transferred to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in the form of a virtualized database, control is performed on the write right, the read righ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matters in the data Data policy management uni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명세서의 데이터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및 외부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이터 가공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A data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data stored in the device and real-time data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based on data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specification,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가공부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형태로 데이터를 가공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comprises a dat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e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Lt; / RTI >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processes data in a form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apparatus according to setting of a big data use environ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상기 장치의 데이터 저장소 내의 어떤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관리하는 저장 데이터 맵 관리부
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g data management unit,
A storage data map manager for managing where the data stored in the device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of the device,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명세서는, 제품 카탈로그 부분, 사용자 선택 부분 및 데이터 생성 정보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specification comprises a product catalog portion, a user selected portion and a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 부분은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가 구매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 및 데이터의 사용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user selection portion provides information for setting a range of data to be purchased by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dat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 정보 부분은 데이터의 제공자가 선택한 정보 및 상기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ortion provides information for generating data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provider of the data an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명세서에 대한 가공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사용하는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가공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Receiving a request for processing a data specification from a big data consumer device;
Generating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using the data specific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big data consumer device
/ RTI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데이터는 빅데이터 사용 환경의 설정에 따라서 선택된 형태로 가공되는 데이터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rocessed data is processed into a selected form according to setting of a big data use environment.
데이터의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가공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데이터의 가공 이력에 기반하여 데이터 명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명세서를 데이터 명세서 목록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명세서 등록 방법.
Generating processed data by performing processing of the data;
Generating a data specification based on a processing history of the processed data; And
Registering the data statement in a data statement list
Lt; / RTI >
Wherein the data includes real-tim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KR1020170057443A 2016-06-02 2017-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KR201701369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07,869 US20170351722A1 (en) 2016-06-02 2017-05-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8992 2016-06-02
KR1020160068992 2016-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976A true KR20170136976A (en) 2017-12-12

Family

ID=6094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443A KR20170136976A (en) 2016-06-02 2017-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97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88A1 (en) * 2019-01-29 2020-08-06 ㈜티비스톰 Data trading method managed through blockchain, and platform therefor
KR102193230B1 (en) * 2020-07-27 2020-12-18 김태광 Publishing guide system
KR20210126388A (en)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코어닷투데이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orytelling data
KR20220078412A (en) 2020-12-03 2022-06-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ethod and server for generating dataset relationship automatical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88A1 (en) * 2019-01-29 2020-08-06 ㈜티비스톰 Data trading method managed through blockchain, and platform therefor
KR20210126388A (en)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코어닷투데이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orytelling data
KR102193230B1 (en) * 2020-07-27 2020-12-18 김태광 Publishing guide system
KR20220078412A (en) 2020-12-03 2022-06-1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ethod and server for generating dataset relationship automatical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4514B2 (en) Automated deployment of applications with tenant-isolation requirements
US20220021627A1 (en) On-demand resource provisioning
US9720709B1 (en) Software container recommendation service
JP7413255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computer programs for performing interactive workflows
US10140639B2 (en) Datacenter-based hardware accelerator integration
US11340910B2 (en) Dynamically determining a mode of a data processing application
US20150128133A1 (en) Virtual appliance integration with cloud management software
US20140344808A1 (en) Dynamically modifying workload patterns in a cloud
KR201701369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JP70979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cloud applications into cloud service broker platforms using the Automatic Universal Connector Package
US9792140B2 (en) Maintenance of a software discovery catalog in a virtual machine environment
US201703517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big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based on data specifications
US20160042030A1 (en) Performing actions on objects as a result of applying tags to the objects
US20150120508A1 (en) Purchasing Systems and Methods
US8838799B2 (en) Command management in a networked computing environment
US20240087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enabling data marketplace purchases and sales of integrated data
KR2015000911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market service for sale contents base on a software as a service
JP7073394B2 (en) Technology to generate and distribute integrated connectors for cloud service intermediary systems
US11816020B2 (en) Online query execution using a big data framework
US202203581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providing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service
US10643228B2 (en) Standardizing customer and test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on for run time and historical profiling environments and workload comparisons
US10423579B2 (en) Z/OS SMF record navigation visualization tooling
KR2014014357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tension data according to request of user using wire or wireless network
US10754838B1 (en) Registration framework for an analytics platform
CN110888649A (en) Application deployment method, application baseline creation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