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822A -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822A
KR20170131822A KR1020170125873A KR20170125873A KR20170131822A KR 20170131822 A KR20170131822 A KR 20170131822A KR 1020170125873 A KR1020170125873 A KR 1020170125873A KR 20170125873 A KR20170125873 A KR 20170125873A KR 20170131822 A KR20170131822 A KR 20170131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dvertisement
server
subscriber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조
Original Assignee
박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조 filed Critical 박성조
Priority to KR1020170125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1822A/ko
Publication of KR20170131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04L41/028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for search or classification or discovery of web services providing management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광고 매체 간에 정보 교환을 지원함으로써, 광고 노출 회수의 산정이 어려운 광고 매체에게 보다 효과적인 광고 서비스를 실현하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정 통신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기와,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광고를 출력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가입자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보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센터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기반하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광고 매체 간에 정보 교환을 지원함으로써, 광고 노출 회수의 산정이 어려운 광고 매체에게 보다 효과적인 광고 서비스를 실현하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특정 상품, 서비스, 기업 등 알리고자 하는 대상을 다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행위로써, 광고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광고 형태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것이었으나 이동통신이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을 통한 광고 형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을 통한 광고 매체는 사용자의 행위 즉, 마우스의 클릭이나 화면 상에서의 재생시간 등에 의해 광고 노출 회수를 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노출 회수를 산출하는 근거가 명확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광고비 산정이 비교적 정확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차세대 광고 매체로써 DID 즉,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와 같은 옥외 광고 매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LED 모듈 및 조명 기술이 발달하면서 옥외 광고 매체는 대형화 및 고급화를 실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옥외 광고 매체는 약 15초 정도의 광고를 예정된 스케줄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옥외 광고 매체의 경우에는 옥외 광고 매체가 설치된 장소의 평균적인 보행자 수에 근거하여 대략적인 광고비를 산정하던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옥외 광고 매체는 광고 효과가 탁월함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광고 매체에 비하여 광고비의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옥외 광고 매체와 같이 광고 노출 회수의 산정이 어려운 광고 매체에 의한 광고 노출 회수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광고를 본 사용자들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의 특징은,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광고 출력 중에, 무선통신 세션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보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시스템의 특징은, 특정 통신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기;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광고를 출력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가입자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보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센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외 광고 매체에 의한 광고 노출 회수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으므로 광고비를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광고비 책정에 신뢰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광고를 접한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또한 가입자 정보의 제공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거부감 없이 가입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고 노출 회수의 산정은 물론 광고를 본 사용자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광고 서버(200)와 통신서비스 사업자의 통신서비스 센터(300)와 광고주 서버(40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사업자에 가입된 것으로, 통신서비스 센터(300)의 중계에 따라 일반적인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서비스 센터(300)가 지원하는 통신서비스에 가입된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기술 중 하나인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소유자(이하, 사용자)는 통신서비스 사업자에게 가입할 당시 정해진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며,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10)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고유한 가입자 식별번호와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부여된 고유한 단말기 식별번호를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부여된 고유한 가입자 식별번호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부여된 고유한 단말기 식별번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조될 때 부여된 고유한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가입자 정보(성명, 성별, 나이, 주소, 이메일 주소 등)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입력한 정보를 제1 가입자 정보, 사용자가 가입 당시에 통신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제2 가입자 정보로 정의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광고 서버(2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저장된 제1 가입자 정보를 광고 서버(200)에 전송하며, 제1 가입자 정보를 전송할 시에 무선통신 어플리케이션은 제1 가입자 정보의 전송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그 정보 출력의 형태는 음성이나 텍스트로써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예로써, 사용자 단말기(100)가 광고 서버(200)로 제1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이외에, 통신서비스 센터(300)가 제2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가입자 정보를 전송할 시에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제2 가입자 정보의 전송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서비스 센터(3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음성이나 텍스트로써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1 가입자 정보를 전송할 때나 통신서비스 센터(300)에서 제2 가입자 정보를 전송할 때는 모두 사용자에게 전송 여부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허가를 받은 후에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1 가입자 정보의 전송을 허가하겠습니까?" 와 같이 문의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긍정적인 응답(OK)을 선택할 시에 제1 가입자 정보를 광고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제2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 허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제2 가입자 정보의 전송을 허가하겠습니까?" 와 같이 문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에 대해, 사용자가 긍정적인 응답(OK)을 선택할 시에 제2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면서 통신서비스 센터와도 통신 연결된 중계 서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광고 서버(200)와 광고주 서버(40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광고 서버(200)와 광고주 서버(400)를 하나의 서버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 광고를 광고 서버(200)에 제공하거나 새로운 광고를 업데이트하는 등의 제어를 광고주 서버(400)에서 실시하며, 그 광고주 서버(400)가 최종적으로 제1 및 2 가입자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광고주 서버(400)는 그 제1 및 2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10)를 구비하며,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된 제1 및 2 가입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 광고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완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200)는 중계 서버의 역할을 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다수 광고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옥외 광고 매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광고 서버(200)가 제1 내지 N개의 광고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광고 서버(200)에서 출력되는 제1 내지 N 광고는 각기 고유한 식별번호를 갖는다.
광고 서버(200)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탐색(Search)하며, 그 탐색 주기마다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광고 서버(200)의 탐색 대상은 자신과 무선통신 연결을 허용한 단말기이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광고 서버(200)와의 무선통신 연결을 허용한 상태로 설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들면, 광고 서버(200)는 블루투스를 위한 세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100)를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탐색(Search)한다.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를 들면, 광고 서버(200)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와이파이 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탐색(Search)한다.
광고 서버(200)의 탐색 주기는 30초마다 또는 1분마다 와 같이 일정한 시간 간격일 수 있으며, 또는 각 광고가 시작될 때마다, 또는 각 광고가 끝날 때마다, 또는 하나의 광고가 시작될 때와 끝날 때마다 일 수 있다.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때 제1 가입자 정보는 광고 서버(200)로부터 광고주 서버(400)에 직접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통신서비스 센터(300)를 경유하는 식으로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광고 서버(200)가 제1 가입자 정보를 전송할 시에는 제1 가입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때 출력된 광고의 식별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즉, 광고 서버(200)에서 광고주 서버(4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1 가입자 정보와 하나의 광고를 식별하는 광고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만약 동일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서로 다른 광고를 봤다면, 광고 서버(200)는 제1 가입자 정보는 동일하되 광고 식별번호만 다른 데이터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 그에 따라, 광고주는 동일한 사용자가 어떤 광고를 봤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서버(200)는 통신서비스 센터(300)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서비스를 위한 중계 서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일반적인 음성통화나 화상통화나 데이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시에 통신서비스 센터(300)와 연동한다. 그에 따라, 광고 서버(200)를 설치하는데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광고주의 공동 투자가 가능해지므로, 통신서비스를 위해 중계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통신서비스 사업자와 옥외 광고 매체를 또한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광고주의 설비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 광고주 서버(400)로부터 제2 가입자 정보의 제공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하는 제2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
부가적인 예로써,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가입자 정보와 함께 자신이 구비한 식별정보(사용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식별번호, 사용자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 식별번호)를 광고 서버(200)로 전송한다.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와 함께 수신된 식별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하며, 광고주 서버(400)는 통신서비스 센터(300)에 제2 가입자 정보를 요청할 시에, 제1 가입자 정보와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가입자 정보를 배제한 식별정보만을 광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하며, 광고주 서버(400)는 통신서비스 센터(300)에 제2 가입자 정보를 요청할 시에,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주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제1 가입자 정보 및/또는 제1 가입자 정보를 제공함에 따른 보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 보상 데이터는 광고주가 운영하는 특정 사이트에서 사용가능한 적립금이나 통신서비스 센터(300)에서 제공하는 통신서비스(일반 통신서비스나 부가서비스) 사용료의 할인액일 수 있으며, 특정 사이트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쿠폰 등 일정한 가치를 갖는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그 보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보상 데이터를 해당하는 사이트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시하여 사용한다.
또한, 광고주 서버(400)는 가입자 정보와 함께 수신된 광고 식별번호에 근거하여, 해당 광고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광고의 상세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광고주 서버(400)가 보상 데이터나 광고의 상세정보를 전송할 때는, 통신서비스 센터(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광고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별도의 예로써, 지금까지 설명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동성이 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TV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으로,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집하는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서버(200)는 서로 다른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다수 광고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한다.
그 광고 출력 중에, 광고 서버(200)는 탐색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탐색(Search)한다. 그에 따라, 광고 서버(200)는 통신서비스 연결이 유효한 사용자 단말기(100)과 통신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그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다(A).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도 같이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서버(200)는 수신한 제1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하며, 이때는 광고 식별번호를 제1 가입자 정보와 함께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 광고 서버(200)에서 광고주 서버(400)까지 제1 가입자 정보의 전달 경로는 통신서비스 센터(300)를 경유할 수도 있다.([A]).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제1 가입자 정보를 광고 식별번호에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하며, 제1 가입자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광고 서버(200)로 사용자에 대한 보상 데이터를 전송한다(B). 그에 따라 광고 서버(400)는 수신된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광고주 서버(400)는 광고 서버(2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하거나 통신서비스 센터(300)를 더 경유하여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B]). 특히 통신서비스 센터(300)를 경유할 시에는 광고 서버(200)가 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중계 서버인 것을 감안하여 그 광고 서버(200)를 통해 보상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으로, 제1 및 2 가입자 정보를 수집하는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 서버(200)는 서로 다른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다수 광고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한다.
그 광고 출력 중에, 광고 서버(200)는 탐색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탐색(Search)한다. 그에 따라, 광고 서버(200)는 통신서비스 연결이 유효한 사용자 단말기(100)과 통신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그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다(A).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도 같이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서버(200)는 수신한 제1 가입자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하며, 이때는 광고 식별번호를 제1 가입자 정보와 함께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제1 가입자 정보 및 식별정보를 광고 식별번호에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하며, 제1 가입자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광고 서버(200)로 사용자에 대한 보상 데이터를 전송한다(B). 그에 따라 광고 서버(400)는 수신된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광고주 서버(400)는 광고 서버(2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B]).
이어,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제1 가입자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서비스 센터(300)에 제2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다(C).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광고주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제2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따른 제2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D).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제2 가입자 정보를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1 가입자 정보에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으로, 제2 가입자 정보를 수집하는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 서버(200)는 서로 다른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다수 광고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한다.
그 광고 출력 중에, 광고 서버(200)는 탐색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탐색(Search)한다. 그에 따라, 광고 서버(200)는 통신서비스 연결이 유효한 사용자 단말기(100)과 통신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그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A").
광고 서버(200)는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하며, 이때는 광고 식별번호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와 함께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광고 식별번호에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이어,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통신서비스 센터(300)에 제2 가입자 정보를 요청한다(E).
통신서비스 센터(300)는 광고주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제2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따른 제2 가입자 정보를 광고주 서버(400)에 전송한다(F).
광고주 서버(400)는 수신된 제2 가입자 정보를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에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한다.
광고주 서버(400)는 제2 가입자 정보의 제공에 대한 응답으로 광고 서버(200)로 사용자에 대한 보상 데이터를 전송한다(B). 그에 따라 광고 서버(400)는 수신된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광고주 서버(400)는 광고 서버(2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보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B]).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광고 서버
300 : 통신서비스 센터 400 : 광고주 서버

Claims (2)

  1.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광고 출력 중에, 무선통신 세션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보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2. 특정 통신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기;
    광고 식별번호를 갖는 광고를 출력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가입자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보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센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시스템.
KR1020170125873A 2017-09-28 2017-09-28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70131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73A KR20170131822A (ko) 2017-09-28 2017-09-28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73A KR20170131822A (ko) 2017-09-28 2017-09-28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208A Division KR20120069884A (ko) 2010-12-21 2010-12-21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22A true KR20170131822A (ko) 2017-11-30

Family

ID=6081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873A KR20170131822A (ko) 2017-09-28 2017-09-28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176B1 (ko) 복수의 온라인 장치와 연결된 프로필에 근거한 텔레비전 표적 광고
US9351053B2 (en)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a profile linked to an online device associated with a content-selecting device
JP5086421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管理装置、広告配信管理方法、及び広告配信管理プログラム
RU2482539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сылки информации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20070242643A1 (en) Using a wireless beacon broadcast to provide a media message
US2010022313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by communicating tones to a mobile device
KR20070048415A (ko) 광고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40628A1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a device and an advertisement insertion method using a femtocell
CN106603601A (zh) 服务处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设备
KR20120102256A (ko) 단말 위치 패턴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09145659A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целевой рекламы и/ил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120143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pecific advertisement on basis of m2m communication, and mobile terminal
GB2376600A (en) Varying access codes for data requests
KR20120076639A (ko)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고객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88754A1 (en) Method of advertising to a targeted buyer
KR20170131822A (ko)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50059418A (ko) Did를 통해 기부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06504A (ko) 특정 멤버간 콘텐츠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8313A (ko) 개인방송 서비스 송신장치 및 모바일 단말
KR20160097792A (ko) Lte 브로드캐스트 기법을 사용한 대형 쇼핑몰의 모바일 기기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JP2017033441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KR20120069884A (ko) 네트워크 기반 정보 제공 및 수집 방법 그리고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518839B1 (ko) 네트워크를 통한 교통 승객에 대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광고 서버
KR20020007650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RU2362212C1 (ru)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рекламных сообщ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