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761A - A variable storage box - Google Patents

A variable storag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761A
KR20170131761A KR1020160061632A KR20160061632A KR20170131761A KR 20170131761 A KR20170131761 A KR 20170131761A KR 1020160061632 A KR1020160061632 A KR 1020160061632A KR 20160061632 A KR20160061632 A KR 20160061632A KR 20170131761 A KR20170131761 A KR 20170131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artition
lower storage
storage spaces
storage spac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9005B1 (en
Inventor
손성훈
박성희
Original Assignee
유비라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라커산업(주) filed Critical 유비라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6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05B1/en
Publication of KR2017013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7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riable storage box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and a lower storage space therein, whose front portion is opened; a first horizontal partition which is hing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a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to be rotated upwards, and blocks a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a second horizontal partition which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to be rotated upwards, and block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a locking means to couple the first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a pull switch which is arranged on a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relieves a coupl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while being pulled; and doors arranged in front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to independently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The pull switch can be pulled only while the doors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are opened to rotate the first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upwards only when the doors of the upper and the lower storage space are opened.

Description

가변 보관함{A VARIABLE STORAGE BOX}{VARIABLE STORAGE BOX}

본 발명은 가변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의 수납공간이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모두 수평인 상태에서는 일면을 형성하는 2개의 칸막이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고, 상·하부 수납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해주는 문을 구비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상기 2개의 칸막이가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storage box, in which a storage space in a main body is rotatable in a left upper direction and a right upper direction, And a door that allows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to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and that the two partition members are rotatable in the left upper direction and the right upper direction only when the doors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both open And a variable storage box.

가변 보관함은 여러 층의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가지면서도 필요에 따라 층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접거나 회전시켜 2 이상의 층을 터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보관함으로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택배하물 등의 보관을 위해 사용된다. 온라인 쇼핑시장의 성장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가변 보관함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variable storage box is used for storage of various sizes of courier articles and the like, which has independent storage spaces of several layers, but can be folded or rotated by dividing the partitioning compartments as necessary to use two or more layers . Due to the growth of the online shopping market, the demand for such variable storage boxes is increasing.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가변 보관함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나타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1]의 가변 보관함은 수납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칸막이가 일측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2의 가변 보관함은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좌우대칭으로 설치된 2개의 가변 칸막이에 의해 상부와 하부 수납공간이 나누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 보관함들의 경우 상부나 하부 수납공간에 대한 사용권한만 가진 사용자가 무단으로 하부 또는 상부의 수납공간까지 사용할 수 있는 구조여서 실제적인 활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가변 보관함의 경우 2개의 가변 칸막이가 사용 중에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1 and 2 show concrete examples of a conventional variable storage box. Specifically, the variable storage box of FIG. 1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ition dividing the storage space into upper and lower parts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And the variable storage box of FIG. 2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by two variable partition plates installed symmetrically so as to be rotatable in a left upper direction and a right upper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se variable storage boxes, a user having only the right to use the upper or lower storage space can use the lower or upper storage space unauthorizedly, which is difficult to be practically u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ariable storage box shown in FIG. 2, it is also pointed out that a problem that two variable partitions fall down during use is a problem.

등록특허 제10-0792738호 “칸막이 연동기능을 가진 배달하물보관상자”, 2008. 01. 08.Registered Patent No. 10-0792738 " Delivery box storage box with partitioning function, " 2008. 01. 08. 등록특허 제10-0792739호 “칸막이 연동기능을 가진 배달하물보관상자”, 2008. 01. 08.Registered Patent No. 10-0792739 entitled " Delivered goods storage box with partitioning function, " 2008. 01. 08.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수납공간이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모두 수평인 상태에서는 일면을 형성하는 2개의 칸막이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고, 상·하부 수납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해주는 문을 구비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상기 2개의 칸막이가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in the main body is rotatable in the upper left direction and the upper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and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by two partitions forming one surface in the state of being both horizontal, Wherein the two compartments are rotatable in the left upper direction and the right upper direction only when the doors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both open, It has its purpose.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하부 수납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 일측면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의 일부를 막아주는 제1수평칸막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 타측면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의 나머지 부분을 막아주는 제2수평칸막이; 상기 제1수평칸막이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를 체결하여 주는 잠금수단; 상기 제1수평칸막이의 전방에 구비되되,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수단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주는 당김 스위치; 및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하여 주는 문; 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 스위치는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당겨질 수 있게 되어 있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을 모두 열어야만 상기 제1수평칸막이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를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 front side and an upper and a lower storage space therein; A first horizontal partition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boundary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and blocks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 second horizontal partition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o block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boundaries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A pulling switch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in a pulled state; And door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nd independently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nd the pull switch can be pull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both open, so that only the doors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opened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Respectively,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이때, 상기 제1수평칸막이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의 후단부 일부와 전단부를 막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may be formed in a L-shape so as to block a rear end portion and a front end portion of a boundary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변 보관함은, 상기 본체 내부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칸막이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는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variable storage box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are fixed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fastening means while being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당김 스위치와 연동되어 거동하도록 상기 제1수평칸막이에 구비되되 상기 당김 스위치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단부가 상기 제2수평칸막이와 접하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막대; 및 상기 막대의 돌출된 일단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평칸막이 측면에 구비된 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may include a bar provided o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pull switch, and one end projecting to a side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when the pull switch is not pulled; And a ho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so that the protruding end of the bar can enter into the hole;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변 보관함은, 상기 제1수평칸막이 또는 상기 제2수평칸막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평칸막이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가 모두 수평 상태인지 감지하는 위치 센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orage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provided o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to detect whether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are both in a horizontal state;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보관하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 수납공간을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면서도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칸막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부 또는 하부 수납공간에 대한 사용권한만을 가진 자에 의한 하부 또는 상부 수납공간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1.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can be used as on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stored, but the partition can be adjusted only when the doors of both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open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unauthorized use of the lower or upper storage space by a person having only the right to use the space.

2. 칸막이가 힌지 회전하는 가변형임에도 수평 상태일 때 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2. Although the partition is a variable type that rotates with a hinge, it does not sag downward when it is horizontal.

[도 1] 및 [도 2]는 종래 가변 보관함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의 일 실시예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가변 보관함에서 제1수평칸막이와 제2수평칸막이가 상방향으로 힌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FIG. 1 and FIG. 2 show embodiments of a conventional variable storage device.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each show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are hingedly rotated upward in the variable storage box of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도 3]의 가변 보관함에서 제1수평칸막이와 제2수평칸막이가 상방향으로 힌지 회전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show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in the variable storage of FIG. 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하부 수납공간을 구비한 본체(10);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 일측면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일부를 막아주는 제1수평칸막이(20);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 타측면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나머지 부분을 막아주는 제2수평칸막이(30);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체결하여 주는 잠금수단(40);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의 전방에 구비되되,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수단(4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주는 당김 스위치(50); 및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하여 주는 문(60); 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 스위치(50)는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당겨질 수 있게 되어 있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을 모두 열어야만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front opening and an upper and a lower storage space therein; A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hinged to one side of the boundary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and to cover a part of the boundary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o cover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Locking means (40) for fastening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 pulling switch (50)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40) in a pulled state; And a door (60) provided respectively in front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for independ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nd the pull switch 50 can be pulled only when the doors 60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all opened so that the doors 60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all opened, So that the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can be rotated upwards, respectively.

상기 가변 보관함은 종래 가변 보관함과 같이 보관하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 수납공간을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면서도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칸막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문(60)이 각각 개별적인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상부 또는 하부 수납공간에 대한 사용권한만을 가진 자에 의한 하부 또는 상부 수납공간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variable storage box allows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to be used as one storag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stored, such as a conventional variable storage box, It is adjustable. Therefore, when the door 6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authorized use of the lower or upper storage space by the person having only the right to use the upper or lower storage space.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의 회전 거동 모습이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이를 보면, 상기 제1수평칸막이(2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후단부 일부와 전단부를 막아주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는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에 의해 막아지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막아주게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4 and 5 show details of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s shown in FIG.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i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A", and blocks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in a horizontal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partition 30 blocks the remaining portion that is not blocked by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의 형태가 위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칸막이가 가변형임에도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수평 상태일 때 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의 측면 중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와 접하는 부분의 하단에 돌출된 테두리 형태로 받침부가 구비될 경우 처짐 현상의 방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variable, but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The sagg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does not occur when the sash 30 is horizontal. If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m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the efficiency of preventing sagging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의 세부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전반부 및 후반부를 각각 막아주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tailed shapes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may be provided to block the front half and the rear half of the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respectively.

상기 가변 보관함은 상기 본체(10) 내부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는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와 하부의 수납공간을 터서 사용할 때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또는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The variable storage box further includes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and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rotated upward To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 by the fix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or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from rotating downward when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used.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철재로 이루어져 있다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10) 내부 좌·우측면에 내장된 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는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이 제공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밀착되게 되므로 상부의 수납공간과 하부의 수납공간을 터서 사용할 때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 상기 자석은 적절할 자력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데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과정에서 힘조절이 어려워져 손끼임 등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ne specific embodiment, i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made of steel, the fastening means may be embodied as a magnet embed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 . In this case,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rotated in the left upper direction and the right upper direction, respectively, Or the right side surface, so that convenience can be secured when the upper storage space and the lower storage space are used by mistake. However, in this case, the magnet is made to have a proper magnetic force so that the user does not use excessive force to retur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to a horizontal state desirable.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orce in the process of using it, and it may cause injury such as pinching of hands.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당김 스위치(50)와 연동되어 거동하도록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에 구비되되 상기 당김 스위치(50)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단부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와 접하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막대(41) 및 상기 막대(41)의 돌출된 일단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평칸막이(30) 측면에 구비된 홀(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막대(41)의 외주연에는 스프링이 끼움 결합되어 당김에 대한 탄성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S. 3 to 6, the locking means 40 is provided o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pull switch 50, and the pull switch 50 is pulled A rod 4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30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nd a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so that the protruded end of the rod 41 can enter. And a hole 42 formed therein. If necessary, a spring may b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d 41 to provide an elastic resistance against pulling.

상기 잠금수단(40)의 역할은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모두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의 독립적인 회전이 불가하도록 상호 체결하여 주는 것인데, 체결 상태의 해제가 상기 당김 스위치(50)가 당겨진 상태에서만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당김 스위치(50)는 상부 수납공간의 문(60) 및 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당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잠금수단(40)의 구체적인 형태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The function of the locking means 40 may be such that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both horizont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The pulling switch 50 is operated only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switch 50 is pulled out and the pulling switch 50 is pulled out of the door 60 of the upper storage space and the door 60 of the lower storage space If the door 60 is configured to be pullable only when all of the doors 60 are opened, the specific form of the locking means 40 may be modified to any extent.

상기 가변 보관함의 사용방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The use of the variable storage box is summarized as follows.

상·하부 수납공간을 터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부 수납공간의 문(60)과 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을 모두 개방한다. 이어서 상기 당김 스위치(50)를 당겨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모두 회전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각각 좌측 상방향 및 우측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When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to be used, both the door 60 of the upper storage space and the door 60 of the lower storage space are first opened.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can be rotated while pulling the pull switch 50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both rotatable. 30 may be rotated in the upper left direction and the upper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상·하부 수납공간이 하나로 터져 있는 상태에서 상·하부 수납공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부 수납공간의 문(60)과 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을 모두 개방하고,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각각 좌측 하방향 및 우측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당김 스위치(50)를 당겨주어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수평상태가 될 수 있게 해준 다음 상기 당김 스위치(50)를 놓으면 된다.When it is desired to independently use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blown out, the door 60 of the upper storage space and the door 60 of the lower storage space are both opened,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rotated in the left downward direction and the right downward direction and the pulling switch 50 is pulled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30) to be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n the pull switch (50) is released.

한편, 상기 가변 보관함은,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또는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는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모두 수평 상태인지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또는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의 측면 중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인접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는 외부의 모니터링 기기로 감지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상기 가변 보관함의 전체적인 수납공간 활용상황을 외부의 모니터링 기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or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in a horizontal state Sensor which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between the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or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 And may be provided on adjacent side surfaces. Preferably, the position sensor is configured to transmit a detection result to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In this case,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storage space of the variable storage can be grasped through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또한, 상기 가변 보관함은 각 수납공간 별로 보관 중인 물건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물건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물건 센서는 외부의 모니터링 기기로 감지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orage box may further include a goods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n article being stored for each storage space, and the goods sens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detection result to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또 한편, 상기 위치 센서 및 상기 물건 센서가 동시에 구비되되 모두 외부의 모니터링 기기로 각각의 감지결과를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문(60)도 개별적인 잠금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장치도 외부의 제어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경우 상기 가변 보관함의 종합적인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and the object sensor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all of them are sent to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and the door 60 is also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ing device, A comprehensive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variable storage can be realiz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보관함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위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한다.The variab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10: 본체
20: 제1수평칸막이
30: 제2수평칸막이
40: 잠금수단
41: 막대 42: 홀
50: 당김 스위치
60: 문
10: Body
20: first horizontal partition
30: second horizontal partition
40: locking means
41: rod 42: hole
50: Pull switch
60: Doors

Claims (5)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하부 수납공간을 구비한 본체(10);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 일측면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일부를 막아주는 제1수평칸막이(20);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 타측면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힌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나머지 부분을 막아주는 제2수평칸막이(30);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체결하여 주는 잠금수단(40);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의 전방에 구비되되,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수단(4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주는 당김 스위치(50); 및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하여 주는 문(60); 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 스위치(50)는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이 모두 열린 상태에서만 당겨질 수 있게 되어 있어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문(60)을 모두 열어야만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를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
A main body 10 having an open front and an upper and a lower storage space therein;
A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hinged to one side of the boundary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direction, and to cover a part of the boundary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hing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o cover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Locking means (40) for fastening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 pulling switch (50)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40) in a pulled state; And
A door (60)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nd independ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 RTI >
The pull switch 50 can be pulled only when the doors 60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all opened so that only the doors 60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opened, )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respectively, in the upward direction.
제1항에서,
상기 제1수평칸막이(2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부 수납공간의 경계부(B)의 후단부 일부와 전단부를 막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so as to block a rear end portion and a front end portion of a boundary portion (B) of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제1항에서,
상기 본체(10) 내부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및 상기 제2수평칸막이(30)는 각각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by the fixing means while being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locker.
제1항에서,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당김 스위치(50)와 연동되어 거동하도록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에 구비되되 상기 당김 스위치(50)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단부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와 접하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막대(41); 및
상기 막대(41)의 돌출된 일단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평칸막이(30) 측면에 구비된 홀(42);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means (40)
In the state in which the pulling switch 50 is not pulled, the one end is protruded to a side contacting with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while the pulling switch 50 is provided i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pulling switch 50 A rod 41; And
A hole (42) provided i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so that the projected end of the rod (41) can enter; And a variable storage container.
제1항에서,
상기 제1수평칸막이(20) 또는 상기 제2수평칸막이(3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평칸막이(20)와 상기 제2수평칸막이(30)가 모두 수평 상태인지 감지하는 위치 센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A position sensor provided on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or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to sense whether the first horizontal partition 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ition 30 are horizontal;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variable storage container.
KR1020160061632A 2016-05-19 2016-05-19 A variable storage box KR101839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32A KR101839005B1 (en) 2016-05-19 2016-05-19 A variable storag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32A KR101839005B1 (en) 2016-05-19 2016-05-19 A variable storage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61A true KR20170131761A (en) 2017-11-30
KR101839005B1 KR101839005B1 (en) 2018-03-16

Family

ID=6081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32A KR101839005B1 (en) 2016-05-19 2016-05-19 A variable storage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0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9844A (en) * 2019-11-28 2020-04-03 徐州苏创信息技术有限公司 Categorised storage device of electronic product
CN111731652A (en) * 2020-06-24 2020-10-02 王健 Food preservation equipment with adjustable partition plate height
CN113002932A (en) * 2021-04-19 2021-06-22 青岛酒店管理职业技术学院 Scenic spot contraband storage device for tourism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32B1 (en) 2019-12-26 2020-08-24 유연순 Storage space adjustable furni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9844A (en) * 2019-11-28 2020-04-03 徐州苏创信息技术有限公司 Categorised storage device of electronic product
CN111731652A (en) * 2020-06-24 2020-10-02 王健 Food preservation equipment with adjustable partition plate height
CN111731652B (en) * 2020-06-24 2022-04-08 山东欧力克电器有限公司 Food preservation equipment with adjustable partition plate height
CN113002932A (en) * 2021-04-19 2021-06-22 青岛酒店管理职业技术学院 Scenic spot contraband storage device for tourism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05B1 (en)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05B1 (en) A variable storage box
CN100587373C (en) Drawer element for refrigeration device
US6125668A (en) Recorded media security container
US20120187815A1 (en) Tamper-evident fastener
KR101879621B1 (en) Foldable parcel storage box placed in a front door
US10538941B2 (en) Locks for storage containers and the like
US20230397750A1 (en) Theft-resistant deposit box
US20180319571A1 (en) Garbage Bag Dispensing Assembly
US2163356A (en) Delivery shutter
JP3902761B2 (en) Safety receiving device
US9216697B1 (en) Vehicle vault assembly
US20040263029A1 (en) Delivery box and method
KR100564941B1 (en) A receiving box for delivery goods in the wall
KR101117812B1 (en) A Locking Device for Door Hinge
KR100681848B1 (en) Security receipt door in the front door of an apartment house
US9993102B2 (en) Mailbox apparatus
CN211342570U (en) Novel security door with memorandum storage cabinet
JP2022188639A (en) Box device
BRPI1102114A2 (en) battery safety compartment
CN209785125U (en) Upward and outward opening door take-out device of vending machine
KR20130058437A (en) Deposit box for safekeeping things
KR200414916Y1 (en) The box receive accept for a rail
KR200219407Y1 (en) One's thing chest
KR200154047Y1 (en) Inputting hole which is setted at door
IT202100010541A1 (en) LUGGAG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