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326A -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326A
KR20170130326A KR1020170153754A KR20170153754A KR20170130326A KR 20170130326 A KR20170130326 A KR 20170130326A KR 1020170153754 A KR1020170153754 A KR 1020170153754A KR 20170153754 A KR20170153754 A KR 20170153754A KR 20170130326 A KR20170130326 A KR 2017013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information
publication medium
sou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8795B1 (en
Inventor
곽진
Original Assignee
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 filed Critical 곽진
Priority to KR102017015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795B1/en
Publication of KR2017013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3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blish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nd a smart phone application which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at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is read, an effect execu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effect is designat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executing the designated effect if the effect is designated, and an effect storage unit in which the effects sequentially executed as the readable information is read are stored. If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a listener can feel a vivid sound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whe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ublishing medium is read.

Description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0001]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0002]

본 발명은 출판 매체에 대한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판 매체와 사용자 단말기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for a publication medium. More specifically, to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publishing medium, a user terminal, or an application.

출판 매체는 인간 사회에 대한 폭 넓은 정보 전달을 위해 먼 과거로부터 유용하게 이용되었다. 그런데, 최근 극도의 흥미를 유발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종래의 출판 매체는 점점 사용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The publishing media have been used from the distant past to provid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on human society. However, in a multimedia environment that has recently caused extreme interest, conventional publishing media are increasingly being ignored by users.

한편,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개인 정보 기기의 발달은, 기존의 종이 대신 전자적 표시 수단에 출판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의 이른바 전자책(E-북) 형태의 출판 매체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점점 사용자들로부터 외면받는 상황은 전자책 형태의 출판 매체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smart phones has created a so-called electronic book (E-book) type publication medium in which electronic information is displayed on electronic display means instead of conventional paper. However, the situation in which users are getting out of the picture is not much different in the case of e - book - type publishing media.

예컨대, 동화책은 출판물 또는 전자책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책으로 제공되는 동화책은 동화책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시각화함으로써, 인쇄물로 제공되는 동화책 보다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a fairy tale book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ublication or an electronic book. Here, the assimilation book provided as an e-book enables visualization of the image of the assimilation book content, so that it can be felt more fun than the assimilation book provided as a printed matter.

그러나, 동화책을 보는 사용자 즉, 어린이는 집중력이 낮고, 금방 지루함을 느끼게 됨에 따라, 어린이로 하여금 보다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동화책을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However, as a user who views a fairy tale book, that is, a child has a low concentration and soon becomes bored, a technique for providing a fairy tale book that can induce a child more interesting is needed.

한국공개공보 10-2002-0025916호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2-0025916

본 발명은 출판 매체에 담긴 정보의 낭독에 맞춰 생생한 음향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vivid sound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of information contained in a publication mediu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낭독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 출판 매체; 및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가 낭독되는 것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효과를 실행하는 효과 실행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publication medium i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nd an effect execu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effect is designat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for executing a specified effect when an effect is designated, Smartphone applications.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를 낭독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들이 저장된 효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effect storage unit for storing effects that are sequentially executed as the readable information is read.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출판 매체에 구비된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에 필요한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효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자동 다운로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download module that recognizes a mark provi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downloads the eff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dable information, and stores the downloaded effect information in the effect storage unit.

여기서, 상기 출판 매체는, 상기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를 식별시키는 바코드, ISBN, KC 인증번호(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번호),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publishing medium may include a barcode, an ISBN, a KC authentication number (autonomous security check report number), a QR code, or an NFC tag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martphone and identify the publication medium.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이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 LAN, WAN 등 네트워크 수단을 경유하여 엑세스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의 컨텐츠의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phone may further include an effect information server that can access the smartphone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a WAN, and the like, and stores effects that are executed according to the read aloud of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

여기서, 상기 효과 정보 서버는, 다수개의 출판 매체들에 대한 각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출판 매체 컨텐츠 DB;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들로서,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효과 정보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DB;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출판 매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출판 매체의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may include: a publication medium content DB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ublication media; The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fect information DB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designated for each content;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ublication medium from the application and providing the application with the eff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input publication medium.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그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효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관리, 요금 관리, 서비스 대상 출판 매체에 대한 관리 등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uthentication unit may authenticate the application or the user.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application;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subscriber management, charge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a service target publication medium with respect to the service providing the effect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낭독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 출판 매체; 및 낭독되는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효과를 실행하는 효과 실행부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publication medium o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ad-out publication medium, an effect execu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effect is designat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when an effect is designated, Device.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를 낭독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들이 저장된 효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ffect storage unit for storing effects that are sequentially executed by reading the readabl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출판 매체에 구비된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에 필요한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효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자동 다운로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download module for recognizing the mark provi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downloading eff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dabl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downloaded effect information in the effect storage section.

여기서, 상기 출판 매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를 식별시키는 바코드, ISBN, KC 인증번호(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번호),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publishing medium may include a barcode, an ISBN, a KC authentication number (autonomous security check certificate number), a QR code, or an NFC tag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terminal device and identify the publication medium.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가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 LAN, WAN 등 네트워크 수단을 경유하여 엑세스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의 컨텐츠의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ffect information server that can access the terminal device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a WAN, and the like, and stores effects that are executed according to the readout of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 medium.

여기서, 상기 효과 정보 서버는, 다수개의 출판 매체들에 대한 각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출판 매체 컨텐츠 DB;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들로서,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효과 정보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DB;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출판 매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출판 매체의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may include: a publication medium content DB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ublication media; The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fect information DB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designated for each content;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ublication medium from the terminal apparatus and providing the effec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pparatus, the effect information being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input publication medium.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그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효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관리, 요금 관리, 서비스 대상 출판 매체에 대한 관리 등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uthentication unit may authenticate the terminal or the user.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terminal device;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subscriber management, charge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a service target publication medium with respect to the service providing the effec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휴대폰, PDA, 태블릿,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PC), 스캐너 단말기, 교육용 단말기, 또는 E-북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terminal device may be any one of a mobile phone, a PDA, a tablet, a notebook, a personal computer (PC), a scanner terminal, an education terminal, or an E-

여기서, 상기 출판 매체에는,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 중 상기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부분에 효과 있음이 표시될 수 있다.Here, in the publication medium, an effect may be displayed on the portion to which the effect is designated among the readabl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효과 실행부는, 기본적인 낭독 상황에서는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고, 음향 효과가 설정된 단어 뒤에 해당 의성어가 낭독되는 것을 인식하면 설정된 음향 효과를 재생하는 음향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Here, the effect execution unit may operate in an acoustical off mode in which a sound effect is not reproduced in a basic read aloud state, and a sound effect is reproduced when recognizing that the corresponding aloud is read after a word for which a sound effect is set.

여기서, 상기 효과 실행부는, 미리 지정된 특정 소리를 인식하면, 상기 출판 매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저장된 효과들 중 바로 직전에 실행한 효과의 다음번 효과를 실행하는 오류 대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Here, the effect execution unit can operate in an error correspondence mode in which, when recognizing a predetermined sound specified in advance, the next effect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effect among sequentially stored effects on the publication medium is executed.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을 실시하면, 출판 매체에 담긴 정보를 낭독함에 있어 청취자가 낭독에 맞춰 생생한 음향 효과를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publication medium is read, the listener can enjoy a vivid sound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alou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 정보 서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를 실행할 수 있는 출판 매체의 일 실시예로서 낭독용 동화책을 도시한 도면.
1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ffect information server for providing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reading assimilation book as an embodiment of a publication medium capable of executing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may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for the sol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mprising, " or " comprising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을 도시한다.1 shows a system for providing a sound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martphone application.

도 1에 도시한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낭독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 출판 매체로서 아동/유아용 동화책(400); 및 부모 등 낭독자(양육자)의 스마트폰(100)에 설치되어 효과를 실행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1 is a publication medium o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 child / child story book 400;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phone 100 of a reader (caretaker) such as a parent to execute an effect.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낭독되는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120); 상기 인식된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효과를 실행하는 효과 실행부(140); 및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낭독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들이 저장된 효과 저장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includes software modules, a voice recognition unit (120) for recogniz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read aloud; An effect execution unit (140) for judging whether an effect is assigned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for executing a specified effect when an effect is designated; And an effect storage unit 160 storing the effects that are sequenti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read aloud of the readable information.

상기 음성 인식부(120)는,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사용자가 읽는(낭독하는) 음성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120)는, 상기 인식된 낭독할 수 있는 정보(낭독 정보라 약칭)를 부분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성 인식부(120)는, 상기 인식된 낭독 정보를 음절 단위 또는 단어 단위로 분석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가 지정된 단어 또는 음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는 공지된 다양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공지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겠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120 analyzes sound information input from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smartphone 10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is voice information read by the user (read aloud) can do. The voice recognition unit 120 can partly analyze and determine the recognized readable information (abbreviated as read alou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peech recognition unit 120 may analyze the recognized read-aloud information in syllable units or word units to determine whether a word or syllable having an effect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Various known speech recognition algorithms can be applied to this proces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algorithms will be omitted.

상기 효과 실행부(140)는, 시각적 효과나, 진동(촉감)이나 후각 등의 감각적 효과도 적용이 가능하나, 음향 효과를 위한 것이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하는데 유리하다. 예컨대, 상기 효과 실행부(140)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구동하여, 실행하려는 각 효과에 지정된 효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effect execution unit 140 can also apply visual effects, sensory effects such as vibration (touch) and smell, but is advantageous for applying sound effects at low cost. For example, the effect execution unit 140 may drive a speaker provided in the smartphone 100 to output an effect sound assigned to each effect to be executed.

여기서, 상기 효과 실행부(140)는 상기 효과저장부(160)에서 적합한 효과를 찾아낼 수 있다. 상기 효과 저장부(160)는 상기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 수단을 엑세스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effect execution unit 140 may find an appropriate effect in the effect storage unit 160. [ The effect storage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that accesses a dat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smartphone 100. [

인간의 낭독 활동은 문자열 정보를 음파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는 시계열적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효과 저장부(160)에는 상기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들이, 그 실행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것이, 상기 효과 실행부(140)가 상기 효과 저장부(160)에서 적합한 효과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는데 유리하다.Since the human read aloud is to convert the string information into the form of sound waves, the effect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performed in a time-sequentially sequential manner. Accordingly, the effect storage unit 160 stores the effects sequenti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execution, and the effect storage unit 160 searches for the appropriate effect information in the effect storage unit 160 quickly It is advantageous.

상기 음성 인식부(120), 효과실행부(140) 및 효과 저장부(160)의 구체적인 동작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낭독 정보 중 특정 단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성 인식부(120)에서는 인식한 음성 정보(낭독 정보)에서 상기 특정 단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단어의 존재가 확인되면 상기 효과 실행부(140)는, 상기 효과 저장부(160)에서 상기 인식된 특정 단어에 지정된 효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효과를 실행한다. 예컨대, 동화 구현 중 천둥이라는 단어에 대하여 천둥 음향 효과를 지정하여, 낭독자가 천둥을 발음할 때, 상기 스마트폰(100) 스피커에서 천둥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A concrete operation example of the speech recognition unit 120, the effect execution unit 140, and the effect storage unit 16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If an effect is assigned to a specific word among the read aloud information, the voice recognition unit 120 checks whether the specific word exists in the recognized voice information (read aloud information). If the existence of the specific word is confirmed, The effect execution unit 140 searches the effect storage unit 160 for an effect assigned to the recognized specific word, and executes the searched effect. For example, a thunder sound effect may be assigned to a word 'thunder' during the assimilation, and a thunder sound may be output from the speaker of the smartphone 100 when the reader pronounces thunder.

구현에 따라, 상기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상기 출판 매체의 컨텐츠의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는 다수의 출판 매체 및/또는 다수의 컨텐츠들이 소정 분류 규칙에 따라 분류되고, 각 컨텐츠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00)이나 단말 장치는,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 LAN, WAN 등 네트워크 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에 엑세스하여 각 컨텐츠 및/또는 각 컨텐츠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독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comprise an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for storing effect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of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 medium.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may store a plurality of publishing media and / or a plurality of contents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rule, and effects executed according to each content read aloud. The smartphone 100 or the terminal device accesses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via a network means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a WAN, and the like, and effects the contents and / Read, or download.

한편, 동화책만 하더라도 전세계의 수많은 이야기에 기인하여 텍스트 자체가 상당한 정보량을 차지할 수 있는 바, 모든 동화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컨텐츠 및 각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상기 효과 저장부(160)에 저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해당 효과 정보 서버(300)에서 필요한 효과 정보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이 유리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xt itself can occupy a considerable amount of information due to a large number of stories all over the world, the effect storage unit 160 stores each content and effec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conten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selectively download the necessary effect information.

예컨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스마트폰(100)으로 동화책에 관련된 효과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동화 컨텐츠에 포함된 효과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아, 상기 효과 저장부(160)에 저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현에 따라서는, 상기 효과 저장부(160)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효과 정보를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에서 실시간 독출하여, 효과를 실행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related to the storybook with the smartphone 100 using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vely download the eff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cessary animated contents, and store the effect information in the effect storage 160 desir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ffect information may be read out from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in real time without the effect storage unit 160, and the effect may be performed.

정보 및 저장 매체 용량, 데이터 통신망 부하량, 사용자의 편의성 등에서 최적의 타협점을 찾는다면, 물리적인 출판 매체 단위(예 : 동화책 1권) 또는 이야기(스토리) 컨텐츠 단위로 상기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낭독자)가 편리하게 상기 출판 매체 단위 또는 이야기 컨텐츠 단위로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낭독자가 낭독하려는 동화책(400)에 구비된 QR 코드나 NFC 태그를 스마트폰(100)으로 인식시키면, 상기 동화책(400)의 낭독 정보에 필요한 효과 정보들이 다운로드 되도록 자동 다운로드 모듈(180)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구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00) 등 입력수단으로 상기 동화책(400)에 대한 바코드(별도의 본 발명의 서비스 전용 바코드이거나, 판매용 바코드일 수 있음)를 인식시키거나, 상기 동화책(400)의 ISBN (출판물에 부여되는 고유번호로서 도서에 기재됨) 또는 KC 인증번호(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번호)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자동 다운로드 모듈(180)을 동작시킬 수 있다.The effect information is downloaded and stored in units of physical publishing media (for example, a story book) or a story (story content) if an optimum compromise is found in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capacity, data network load, user convenience, It is advantageous. To this end, the user (reader) can conveniently have means for downloading the effect information in units of the publishing media or story contents unit. For example, when the QR code or the NFC tag included in the storybook 400 to be read by the reader is recognized by the smartphone 100, the automatic download module 180 may be configured to download the eff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d aloud information of the storybook 400 And can be provided in the application. Alternatively, the user may recognize a barcode (which may be a separate service bar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barcode for sale) for the assimilation book 400 as an input means such as the smartphone 100, The user can operate the automatic download module 180 in such a manner that the KC authentication number (registered in the book a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the publication) or the KC authentication number (autonomous safety check report number) is input.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실행을 위한 전용 단말 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을 도시한다.FIG. 2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a sound eff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dedicated terminal device for executing a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낭독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 출판 매체로서 아동/유아용 동화책(400); 및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2 is a publication medium o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 child / child story book 400; And a terminal device 200 for execu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단말 장치(200)는 휴대폰(스마트폰을 포함)이나 PDA, 태블릿,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PC), 전자펜 형상의 스캐너 단말기(스캐너를 구비한 펜 형태의 개인 정보 기기), 별도의 교육용 단말기, 출판사를 위한 E-북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may be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a notebook, a personal computer (PC), a scanner type scanner (a personal information device with a pen having a scanner) , An e-book terminal for publishers, and the like.

상기 단말 장치(200)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낭독되는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220); 상기 인식된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효과를 실행하는 효과 실행부(240); 및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낭독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들이 저장된 효과 저장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is a hardware and / or software module, and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220 for recogniz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read aloud; An effect execution unit (240) for judging whether an effect is designated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for executing a specified effect when an effect is designated; And an effect storage unit 260 storing the effects that are sequentially executed according to the read aloud of the readable information.

상기 음성 인식부(220)는,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사용자가 읽는(낭독하는) 음성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 음향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220)는, 상기 인식된 낭독할 수 있는 정보(낭독 정보라 약칭)를 부분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다.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0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is voice information read by the user (read aloud). The voice recognition unit 220 can partially analyze and determine the recognized readable information (abbreviated as read aloud information).

상기 효과 실행부(240)는, 시각적 효과나, 진동(촉감)이나 후각 등의 감각적 효과도 적용이 가능하나, 음향 효과를 위한 것이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하는데 유리하다. 예컨대, 상기 효과 실행부(240)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실행하려는 각 효과에 지정된 효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효과 실행부(240)는 상기 효과 저장부(260)에서 적합한 효과를 찾아낼 수 있다. 상기 효과 저장부(260)는 Flash RAM, EEPROM 등 데이터 저장 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저장부(260)에는 상기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효과들이, 그 실행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것이, 상기 효과 실행부(240)가 상기 효과 저장부(260)에서 적합한 효과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는데 유리하다.The effect execution unit 240 can also apply visual effects and sensory effects such as vibration (touch) and smell, but it is advantageous to apply sound effect for low cost. For example, the effect execution unit 240 may include a speaker to output an effect sound assigned to each effect to be executed. Here, the effect execution unit 240 can find an appropriate effect in the effect storage unit 260. [ The effect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a data storage medium such as Flash RAM and EEPROM. It is advantageous for the effect execution unit 240 to quickly search for the effect information in the effect storage unit 260 that the effects sequentially executed in the effect storage unit 260 are stor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

상기 음성 인식부(220), 효과 실행부(240) 및 효과 저장부(260)의 구체적인 동작례는 상기 도 1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겠다.The concrete operation examples of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20, the effect execution unit 240, and the effect storage unit 260 are similar to those in the case of FIG. 1, and thus a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구현에 따라, 상기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상기 출판 매체의 컨텐츠의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는 다수의 출판 매체 및/또는 다수의 컨텐츠들이 소정 분류 규칙에 따라 분류되고, 각 컨텐츠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200)는,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 LAN, WAN 등 네트워크 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에 엑세스하여 각 컨텐츠 및/또는 각 컨텐츠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독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 장치(200)는 USB 접속 수단을 통해 PC를 경유하여,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에 엑세스하거나, 내장된 와이파이 모듈 및 무선 랜을 통해 상기 효과 정보 서버(300)에 엑세스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comprise an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for storing effect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of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 medium.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may store a plurality of publishing media and / or a plurality of contents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rule, and effects executed according to each content read aloud. The terminal device 200 accesses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via network means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a WAN, and reads out effects executed according to each contents and / or contents read- You can download it.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200 can access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via the PC via the USB connection means, access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300 through the built-in Wi-Fi module and the wireless LAN have.

한편, 동화책만 하더라도 전세계의 수많은 이야기에 기인하여 텍스트 자체가 상당한 정보량을 차지할 수 있는 바, 모든 동화책 컨텐츠에 대하여, 각 컨텐츠 및 각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상기 효과 저장부(260)에 저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해당 서버(300)에서 필요한 효과 정보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받는 것이 유리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xt itself can occupy a considerable amount of information due to a large number of stories from all over the world, the effect storage unit 260 stores the contents and the effect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contents And it is advantageous for the server 300 to selectively download necessary effect information.

상기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낭독자)가 편리하게 상기 출판 매체 단위 또는 이야기(스토리) 컨텐츠 단위로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낭독자가 낭독하려는 동화책(400)에 구비된 QR 코드나 NFC 태그를 단말 장치(200)으로 인식시키면, 상기 동화책(400)의 낭독 정보에 필요한 효과 정보들이 다운로드 되도록 자동 다운로드 모듈(280)을 상기 단말 장치에 구비시킬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200 may have a means by which a user (a reader) can conveniently download the effec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publishing media unit or the story content unit. For example, if the QR code or the NFC tag included in the storybook 400 to be read by the reader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200, the automatic download module 280 may be configured to download the effec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d aloud information of the storybook 400 And can be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구현에 따라,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음향 오프 모드(의성어 모드) 및 오류 대응 모드(만능 trigger mode)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음향 효과 출력 기능에 일시적으로 발생된 에러에 대응하는 사용자(낭독자)의 의도 또는 낭독자의 다른 교육적 의도에 부합하도록, 음향 오프 모드(의성어 모드) 및 오류 대응 모드(만능 trigger mode)로 동작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1 or FIG. 2 may perform an acousto-off mode (omnidirectional mode) and an error response mode (universal trigger mode). That is, in order to meet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reader) corresponding to the error temporarily generated in the sound effect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other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reader, the sound off mode trigger mode).

상기 음향 오프 모드에서는 정확히는 자동 음향 출력이 오프되는 것이며, 음향 출력 기능은 온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소정의 효과 음향이 재생되는 조건이, “천둥”과 같은 '해당 단어 자체의 낭독 소리'가 아니라, “천둥+우르릉”과 같이 “해당 단어의 낭독 소리 + 해당 의성어 낭독 소리”가 된다.In the acoustical off mode, the automatic acoustical output is correctly turned off, and the acoustical output function remains on. However, the condition in which the predetermined effect sound is reproduced is not the sound of the corresponding word itself such as "Thunder" but the sound of the corresponding word + the sounds of the righteous words, such as "Thunder + Urrune".

즉, 이 모드에서는 기본적인 낭독 상황에서는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음향 오프 모드라고 칭하며, 음향 효과가 설정된 단어 뒤에 해당 의성어가 붙지 않는 한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는다. That is, in this mode, the acoustic effect is not reproduced in a basic read-aloud state, so it is called an acoustic-off mode, and the acoustic effect is not reproduced unless the corresponding pronoun is attached after the word for which the sound effect is set.

상기 음향 오프 모드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음향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전체 음향DB 100개 중에서 낭독자가 원하는 단어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함), 의성어 개념에 대한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다.Through the acoustical off mode, the user can selectively select and play the soun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produce only the word desired by the reader out of the total sound DB 100) .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음향 효과 출력 기능을 수행할 때, 낭독하는 환경 및 낭독자의 특유의 발음/억양 때문에, 특정 단어 및/또는 특정 시점(예: 열차가 지나가는 큰 소음 발생)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낭독자가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은 부분을 다시 읽는 것은 낭독자와 듣는 이 모두에게 분위기를 흐리게 할 수 있다. When performing a sound effect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icult to temporarily recognize sound of a specific word and / or a specific time (e.g., large noise passing through a train) due to a listening environment or a specific pronunciation / The effect may not be reproduced. In this case, re-reading of the part where the reader has not reproduced the sound effect may blur the atmosphere to both the reader and the listener.

오류 대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술한 일시적으로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으면, 낭독자가 시스템이 인식하기 쉬운 특정 소리(예: 호루라기 소리)를 낭독자가 발생시키고,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은 상기 특정 소리를 인식하면, 바로 직전에 재생한 음향 효과의 다음번 음향 효과를 재생한다. 이 모드는 음향 효과들이 도서의 스토리 진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된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If the sound effect is temporarily not reproduced as described above, the reader may generate a specific sound (e.g., a whistle sound) that is easy for the system to recognize, and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may recognize the specific sound The next sound effect of the sound effect reproduced immediately before is reproduced. This mode can be easily applied when the sound effects are sequentially stored according to the story progress of the book.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를 도 1의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 또는 도 2의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server 300 for providing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martphone 100 application of FIG. 1 or the terminal device 200 of FIG.

도시한 서버(300)는, 다수개의 출판 매체들에 대한 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출판 매체 컨텐츠 DB(320);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들로서,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구비(지정)된 효과 정보들을 (각 컨텐츠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효과 정보 DB(340);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도 1의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 또는 도 2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출판 매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출판 매체의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 단말 장치(200)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360); 도 1의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 또는 도 2의 단말 장치(200)를 인증하거나, 또는, 그것들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370); 도 1의 스마트폰(100) 어플리케이션 또는 도 2의 단말 장치(2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390); 및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를 제공/실행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관리, 요금 관리, 서비스 대상 출판 매체에 대한 관리 등을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erver 300 includes a publication medium contents DB 320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each of a plurality of publication media; An effect information DB 340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provided for each content, as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 publication medium is input from the smartphone 100 application of FIG. 1 or the terminal device 200 of FIG. 2, and effects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s of the input publication medium, A service provider 360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An authentication unit 370 for authenticating the smartphone 100 application of FIG. 1 or the terminal device 200 of FIG. 2 or for authenticating users thereof; A data communication unit 390 forming a smartphone 100 application of FIG. 1 or a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terminal device 200 of FIG. 2;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380 for performing subscriber management, charge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a service target publication medium with respect to a service for providing / executing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컨텐츠 DB(320) 및/또는 효과 정보 DB(340)는 상기 서버(300)의 내부에 장착된 저장 수단을 관리하는 SW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된 DB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DB 320 and / or the effect information DB 340 may be implemented as a SW module that manages a storage unit installed in the server 30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B server .

상기 서비스 제공부(360) 및 상기 서비스 관리부(380)는 상기 서버(300)의 연산 장치(CPU 등)에서 실행되는 펌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360 and the service managing unit 38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irmware or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a computing device (CPU or the like) of the server 300.

상기 인증부(370)는 상기 서버(300)의 연산 장치(CPU 등)에서 실행되는 펌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인증용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37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irmware or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a computing device (CPU or the like) of the server 300, or may include hardware / software for authentication.

상기 인증부(370), 상기 데이터 통신부(390) 및 상기 서비스 관리부(380)는, 가입자 인증 및 가입자 관리를 위한 기술 및 서버의 데이터 통신 기술에 대한 공지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겠다.The authentication unit 370, the data communication unit 390, and the service management unit 380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techniques known in the art for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subscriber management an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a server, I will not.

상기 서비스 제공부(360)는 도 1 또는 도 2의 자동 다운로드 모듈(180, 280)을 확인하고, 상기 자동 다운로드 모듈(180, 28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ID에 대한 효과 정보들을 제공한다, 구현에 따라(예: E-북)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360 confirms the automatic downloading modules 180 and 280 shown in FIG. 1 or 2 and provides the effect information on the content ID received from the automatic downloading modules 180 and 280. (E.g., E-book) according to the content ID.

하기 표 1 내지 표 3은, 상기 컨텐츠 DB(320) 및/또는 효과 정보 DB(340)의 데이터 저장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현에 따라, 표 1을 상기 컨텐츠 DB(320)에 저장하고, 표 2 및 표 3을 상기 효과 정보 DB(340)에 저장하거나, 또는, 표 1 및 표 2를 상기 컨텐츠 DB(320)에 저장하고, 표 3을 상기 효과 정보 DB(340)에 저장할 수 있다.Table 1 to Table 3 below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data storage structure of the content DB 320 and / or the effect information DB 34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table 1 may be stored in the contents DB 320, the tables 2 and 3 may be stored in the effect information DB 340, or the tables 1 and 2 may be stored in the contents DB 320 , And stores the table 3 in the effect information DB 340.

태그 IDTag ID 컨텐츠 IDContent ID 제목title 전자컨텐츠 어드레스Electronic content address 2A1B2A1B 101101 해님 달님Sun and moon xxx.xxx.xxx.xxxxxx.xxx.xxx.xxx AA78AA78 101101 해님 달님Sun and moon xxx.xxx.xxx.xxxxxx.xxx.xxx.xxx F126F126 174174 토르Thor xxx.xxx.xxx.xxxxxx.xxx.xxx.xxx ...... ...... ...... ......

상기 표 1은 상술한 자동 다운로드 모듈(18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ID에 대한 효과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컨대, 상기 태그 ID는 동화책(400)에 구비된 QR 코드나 NFC 태그를 스마트폰(100)으로 인식시킬 때, 획득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ID는 상기 동화책(400)을 식별할 수 있는 부호일 수 있다. 상기 제목은 상기 동화책(400)의 제목으로서, 구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컨텐츠 ID에 해당하는 전자 컨텐츠(예: E-북)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의 경우, 상기 전자 컨텐츠가 저장된 메모리나 DB의 위치를 가리키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전자컨텐츠 어드레스 필드를 구비할 수 있다.Table 1 is a table for providing effect information on the content ID received from the automatic download module 18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tag ID may be information obtained when the QR code or the NFC tag included in the storybook 400 is recognized by the smartphone 100. The content ID may be a code capable of identifying the assimilation book 400. The title is the title of the storybook 400, and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nic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D (e.g., an e-book) may be provided together. In this case, in order to record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emory or DB in which the electronic content is stored, And a content address field.

효과 IDEffect ID 효과 내용Effect contents 424424 storm.wavstorm.wav ...... ...... 428428 thunder.wavthunder.wav ...... ...... 430430 mem.wavmem.wav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를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파일 자체가 아니라, 파일이 저장된 장소를 가리키는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Table 2 above stores files necessary to imple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implementations, information may be written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file is stored, rather than the file itself.

상기 표 2에서는 효과 수단으로서 wave 파일(*.wav)을 기재하였으나, WAV, WMA, MP3, OGG 등등 다른 오디오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 나아가, 진동, 섬광 등을 출력하는 파일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In Table 2, although a wave file (* .wav) is described as an effect means, it can be applied to other audio files such as WAV, WMA, MP3, OGG, and the like, or a video file. Further, it may be applied to a file format that outputs vibration, flash, and the like.


효과 트리거

Effect Trigger

효과 ID

Effect ID

예상 간격

Expected Interval

천둥

Thunder

428

428

25초

25 seconds

매미소리

Cicadas

430

430

55초

55 seconds

폭풍

storm

424

424

40초

40 seconds

...

...
...... ......

표 3은 하나의 동화책(즉, 출판 매체 단위) 또는 상기 표 1의 컨텐츠 ID로 정의되는 하나의 컨텐츠에 속하는 효과 정보들을 기재한 테이블이다. 표 3에서 위에서 아래로의 순서가 스토리(이야기) 진행(낭독)에 따라 효과들이 실행되는 순서가 될 수 있다. 예상 간격은 이야기 낭독시 이전 효과가 실행된 시점부터 해당 효과가 실행될 때까지의 예상 간격일 수 있다. 최초 효과의 경우, 이야기 낭독 시작부터의 해당 효과가 실행될 때까지의 예상 간격일 수 있다.Table 3 is a table describing effect information belonging to one piece of content defined by one assimilation book (i.e., a publication medium unit) or the content ID of Table 1 above. In Table 3, the order from top to bottom can be the order in which effects are executed according to story (read). The expected interval may be the expected interval from the time the previous effect is executed to the execution of the effect when the story is read aloud. In the case of the first effect, it may be the expected interval from the beginning of the narrative reading to the time the corresponding effect is executed.

서버(300)로부터의 다운로드 등의 수행을 통해 상기 효과 저장부(160, 260)에는 표 2 및 표 3의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음성 인식부(120, 220)는 이야기 낭독 소리를 인식하던 중, 상기 표 3의 효과 트리거에 해당하는 단어가 인식되면, 해당 효과 ID의 실행을 상기 효과 실행부(140, 240)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실행부(140, 240)는 상기 실행을 요청받은 효과 ID를 상기 표 2에서 검색하여, 해당 효과 파일을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효과를 실행할 수 있다.Tables 2 and 3 are stored in the effect storage units 160 and 260 through downloading from the server 300 and the like. When recognizing the story aloud sound, the speech recognition units 120 and 220 can request the effect execution units 140 and 240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effect IDs, if the words corresponding to the effect triggers of Table 3 are recognized have. The effect execution units 140 and 240 can perform the effect by searching the table 2 for the effect ID requested to be executed and executing the effect file.

상술한 과정으로, 낭독자가 이야기를 낭독하던 중 "천둥"을 낭독하면, 도 1의 스마트폰(100) 또는 도 2의 단말 장치(200)의 스피커에서는 천둥 음향을 출력하여, 낭독의 실감을 높여 줄 수 있다.When the reader reads the "thunder " while reading the story, the speaker of the smartphone 100 of Fig. 1 or the speaker of the terminal 200 of Fig. 2 outputs a thunder sound, You can give.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를 실행할 수 있는 출판 매체의 일 실시예로서 낭독용 동화책을 도시한다. Fig. 4 shows a reading assimilation book as an embodiment of a publishing medium capable of executing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출판 매체로서 도시한 동화책(400)에는,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스토리) 중 상기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부분(단어)에 효과 있음이 시각적으로 드러나도록 표시(421, 422)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낭독자에게 해당 단어의 발음에 의해 효과가 발생되니, 해당 단어의 발음을 보다 정확하게 하여야 함을 주의시키기 위한 것이다.It can be seen that in the storybook 400 shown as a publication medium, displays 421 and 422 are visually revealed to be effective on the part (word) to which the effect is designated among the readable information (story) . This is to note that the pronunciations should be pronounced more precisely because the pronunciator will have the effect of pronouncing the word.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책(400)의 표지에는 동화책 자체를 도 1의 스마트폰(100)이나 도 2의 단말 장치(200)로 식별시키기 위한 NFC 태그(440)가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FC 태그(440)를 도 1의 스마트폰(100)으로 인식시킬 때, 상기 동화책(400)을 식별할 수 있는 부호로서, 표 1의 컨텐츠 ID 등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an NFC tag 440 for identifying the storybook itself as the smartphone 100 of FIG. 1 or the terminal device 200 of FIG. 2 may be attached to the cover of the storybook 400. For example, when the NFC tag 440 is recognized by the smartphone 100 of FIG. 1, information such as the content ID of Table 1 may be obtained as a code capable of identifying the assimilation book 40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NFC 태그 대신 QR 코드나 바코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FC 태그를 도 2의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또는, 패턴 인식 모듈)로 인식시킬 때, 상기 동화책(400)을 식별할 수 있는 부호로서, 표 1의 컨텐츠 ID 등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QR 코드나 바코드는 E-북에서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ISBN, KC 인증번호(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번호)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other implementations may place QR codes or bar codes instead of NFC tags. For example, when recognizing the NFC tag as a camera module (or a pattern recognition module)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200 of FIG. 2, a content ID Can be obtained. QR codes and bar codes are also useful in e-book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method of inputting an ISBN, a KC authentication number (autonomous safety confirmation report number), etc. as described above.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주로 인쇄 출판 매체로 구현된 경우로 구체화하여 표현하였지만, 인쇄 출판 매체의 형태는 E-북의 형태로 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바, E-북 매체로 구현된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E-북 매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동일한 스마트 기기(예: 태블릿 or 스마트폰)에 설치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E-북 매체가 스마트 기기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고, 별도의 단말 장치를 구비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FIGS. 1 and 2 are mainly embodied as a print publication medium, the form of the print publication medium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E-book,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E-book medium and the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and the same smart device (e.g., tablet or smart phone). Alternatively, the E-book medium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for a smart device and a separate terminal devic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동일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출판 매체로서의 E-북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ID를 식별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Although not shown, when smart phone application and E-book as publishing medium are installed together in one same smart phone or tablet,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content ID is as follows.

첫째 방안은, 사용자가 해당 E-북 컨텐츠를 재생시키면, E-북 재생 장치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서, 재생하려는 E-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전달하는 방식이다.In the first method, when the user reproduces the corresponding E-book content, the content ID of the E-book content to be reproduced is transmitted while the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in the E-book reproducing apparatus.

둘째 방안은, E-북 재생 화면에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실행 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실행 키를 터치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서, 재생하려는 E-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전달하는 방식이다.In the second method, a smartphone application execu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E-book reproducing screen. When the user touches the execution key,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And transmits the content ID to the book content.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ID를 식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E-북 매체는 서적(동화책) 매체와 경우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Except for identifying the content ID as described above, the E-book medium may implemen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a book (fairy tale) medium and the case.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마트폰 120 : 음성 인식부
140 : 효과 실행부 160 : 효과 저장부
180 : 자동 다운로드 모듈 300 : 효과 정보 서버
320 : 출판 매체 컨텐츠 DB 340 : 효과 정보 DB
360 : 서비스 제공부 370 : 인증부
380 : 서비스 관리부 390 : 데이터 통신부
400 : 동화책
100: smartphone 120: voice recognition unit
140: effect execution unit 160: effect storage unit
180: automatic download module 300: effect information server
320: publishing medium contents DB 340: effect information DB
360: service providing unit 370: authentication unit
380: service management unit 390: data communication unit
400: Children's Books

Claims (16)

낭독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 출판 매체; 및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가 낭독되는 것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효과를 실행하는 효과 실행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출판 매체에 구비된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에 대응되는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하는 자동 다운로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효과 실행부는, 기본적인 낭독 상황에서는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고, 음향 효과가 지정된 단어의 앞 또는 뒤에 기설정된 단어 또는 단어들이 낭독되는 것을 인식하면 설정된 음향 효과를 재생하는 음향 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A publication medium o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nd
A speech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at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is read out;
A smart phone applicat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an effect is designated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executing an effect specified when an effect is designated;
/ RTI >
Wherein the application includes an automatic download module for recognizing a mark provi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and downloading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able information,
The effect execution unit may include a sound effect mode including an acoustic off mode for reproducing the set sound effect when the sound effect is not reproduced in the basic read aloud state and the recognized sound word or words are read before or after the designated word,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를 낭독함에 따라 실행되는 지정된 효과들이 저장된 효과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The designated effects to be executed by reading the readabl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stored effect storage unit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 매체는,
상기 스마트폰이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를 식별시키는 바코드, ISBN, KC 인증번호(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번호),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구비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blication medium includes:
An ISBN, a KC authentication number (an autonomous security check report number), a QR code, or an NFC tag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martphone and identifies the publication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 LAN, WAN 등 네트워크 수단을 경유하여 엑세스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의 컨텐츠의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phone can access the network via network means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a WAN, and the like.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정보 서버는,
다수개의 출판 매체들에 대한 각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출판 매체 컨텐츠 DB;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들로서,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효과 정보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DB;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출판 매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출판 매체의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comprises:
A publication medium content DB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ontent for a plurality of publication media;
The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fect information DB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designated for each content;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publication medium from the application and providing the application with effect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the input publication medium,
And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또는 그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효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관리, 요금 관리, 서비스 대상 출판 매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application or the user;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application; And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subscriber management, charge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a service target publication medium for the service providing the effect information.
낭독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 출판 매체; 및
낭독되는 상기 출판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정보에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효과를 실행하는 효과 실행부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출판 매체에 구비된 표식을 인식하여,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에 대응되는 효과 정보들을 다운로드하는 자동 다운로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효과 실행부는, 기본적인 낭독 상황에서는 음향 효과가 재생되지 않고, 음향 효과가 지정된 단어의 앞 또는 뒤에 기설정된 단어 또는 단어들이 낭독되는 것을 인식하면 설정된 음향 효과를 재생하는 음향 오프 모드를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A publication medium on which information that can be read is recorded; And
A speech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read out;
A terminal device for judging whether or not an effect is assigned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and for executing an effect specified when an effect is designated;
Lt; / RTI >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n automatic download module for recognizing a mark provided on the publication medium and downloading eff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able information,
The effect execution unit may include a sound effect mode including an acoustic off mode for reproducing the set sound effect when the sound effect is not reproduced in the basic read aloud state and the recognized sound word or words are read before or after the designated word, Delivery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를 낭독함에 따라 실행되는 지정된 효과들이 저장된 효과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The designated effects to be executed by reading the readabl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stored effect storage unit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 매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를 식별시키는 바코드, ISBN, KC 인증번호(자율안전확인신고필증번호), QR 코드 또는 NFC 태그를 구비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ublication medium includes:
An ISBN, a KC authentication number (an autonomous security check certificate number), a QR code, or an NFC tag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terminal device and identifies the publication mediu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 LAN, WAN 등 네트워크 수단을 경유하여 엑세스할 수 있으며, 상기 출판 매체의 컨텐츠의 낭독에 따라 실행되는 효과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device can access the network via network means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AN, a WAN, and the like.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정보 서버는,
다수개의 출판 매체들에 대한 각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출판 매체 컨텐츠 DB;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효과 정보들로서,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지정된 효과 정보들을 저장하는 효과 정보 DB;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출판 매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출판 매체의 컨텐츠에 구비된 효과 정보들을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ffect information server comprises:
A publication medium content DB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ontent for a plurality of publication media;
The eff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fect information DB for storing effect information designated for each content;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publication medium from the terminal apparatus and providing the effec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그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효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관리, 요금 관리, 서비스 대상 출판 매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device or the user;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terminal device; And
And a service management unit for performing subscriber management, charge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a service target publication medium for the service providing the effect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휴대폰, PDA, 태블릿,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PC), 스캐너 단말기, 교육용 단말기, 또는 E-북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rminal device is any one of a cellular phone, a PDA, a tablet, a notebook, a personal computer (PC), a scanner terminal, an education terminal, or an 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판 매체에는, 상기 낭독할 수 있는 정보 중 상기 효과가 지정되어 있는 부분에 효과 있음이 표시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publication medium displays an effect on a portion to which the effect is designated among the readable information.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단어 또는 단어들은, 상기 음향 효과가 지정된 단어에 대한 해당 의성어인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preset word or words are the corresponding monologue for the designated word.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실행부는, 미리 지정된 특정 단어를 인식하면, 상기 출판 매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저장된 효과들 중 바로 직전에 실행한 효과의 다음번 효과를 실행하는 오류 대응 모드를 포함하는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effect execution unit includes an error correspondence mode for executing a next effect of an immediately preceding effect among sequentially stored effects on the publication medium when the predetermined specific word is recognized.
KR1020170153754A 2017-11-17 2017-11-17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KR101868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54A KR101868795B1 (en) 2017-11-17 2017-11-17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54A KR101868795B1 (en) 2017-11-17 2017-11-17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18A Division KR20170129979A (en) 2016-05-12 2016-05-12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460A Division KR20180010281A (en) 2018-01-16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reading of publication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326A true KR20170130326A (en) 2017-11-28
KR101868795B1 KR101868795B1 (en) 2018-07-19

Family

ID=6081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754A KR101868795B1 (en) 2017-11-17 2017-11-17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7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83A (en) * 2017-12-04 2019-06-12 김세원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palying audio file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WO2019245084A1 (en) * 2018-06-21 2019-12-26 곽진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16A (en) 2002-02-09 2002-04-04 서영현 Fairy tale book marking method by using the sticker which the reader's information are printed on
KR20110070496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in electronic book system
KR20140147378A (en)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이드웨어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ment of the pronunciation accuracy and expressiveness during language beginners reading an e-book aloud
KR101532479B1 (en) * 2013-05-03 2015-07-01 정기태 Systeme for supplying image and sound of book rea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16A (en) 2002-02-09 2002-04-04 서영현 Fairy tale book marking method by using the sticker which the reader's information are printed on
KR20110070496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in electronic book system
KR101532479B1 (en) * 2013-05-03 2015-07-01 정기태 Systeme for supplying image and sound of book reading
KR20140147378A (en)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이드웨어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ment of the pronunciation accuracy and expressiveness during language beginners reading an e-book alou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민경 외 1인."도서관의 시맨틱 기반 사물인터넷(IoT) 적용에 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2014.06.30.제45권,제2호,(제235면 내지 제260면)*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683A (en) * 2017-12-04 2019-06-12 김세원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palying audio file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WO2019112280A1 (en) * 2017-12-04 2019-06-13 김세원 Audio file generating/playing device and method for foreign 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WO2019245084A1 (en) * 2018-06-21 2019-12-26 곽진 Sound effect provi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795B1 (en)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0809B (en) Dictation content gen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30076788A1 (en) Apparatus, method and software products for dynamic content management
CN101253548B (en) Incorporation of speech engine training into interactive user tutorial
US20160012136A1 (en) Simultaneous Local and Cloud Searching System and Method
US20120196260A1 (en) Electronic Comic (E-Comic) Metadata Processing
CN105975569A (en) Voic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9129602B1 (en) Mimicking user speech patterns
CN107170432B (en) Music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N101149812A (en) 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paper writing, service system and interactive reading matter
CN106067310A (en) Recordi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KR1022927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CN107274731A (en) Towards children's study method, facility for study and storage medium
WO2014154097A1 (en) Automatic page content reading-aloud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789057B1 (en) Automatic audio book system for blind peop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0347848A (en) A kind of PowerPoi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1868795B1 (en)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JP20195140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gual interactive self-learning
KR20160131505A (en) Method and server for conveting voice
CN104505103A (en) Voice quality evaluation equipment, method and system
JP2012074015A (en) Data processing system applying optical identification devices, metho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0781417A (en) Method and system for spreading speakable works based on two-dimension code
CN108847066A (en) A kind of content of courses reminding metho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20170129979A (en) System for providing sound effect
KR200486582Y1 (en)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reading of publication using mobile device
KR101987644B1 (en) System for providing effect based on a re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