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20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820A
KR20170128820A KR1020160059333A KR20160059333A KR20170128820A KR 20170128820 A KR20170128820 A KR 20170128820A KR 1020160059333 A KR1020160059333 A KR 1020160059333A KR 20160059333 A KR20160059333 A KR 20160059333A KR 20170128820 A KR20170128820 A KR 2017012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obile terminal
output
input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윤
추정훈
장유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820A/ko
Priority to US15/218,042 priority patent/US20170329571A1/en
Priority to EP16192594.6A priority patent/EP3246916B1/en
Publication of KR2017012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04M1/72519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 센싱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1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상기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텍스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센싱된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의 이동 단말기에서는 LG전자의 Q보이스, 애플의 시리(siri), 구글 보이스, 삼성전자의 S보이스 등 음성 인식 기술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나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등 웨어러블 장치에서의 음성 인식은 가장 주요한 문자 입력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나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기 때문에 음성 인식 이후 텍스트를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수정을 원하는 영역을 정확히 터치하는 것이 불편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에 기초하여 제 1 텍스트를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3 텍스트를 제 1 텍스트와 인접한 영역에 추가하여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 센싱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1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상기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2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센싱되는 제 2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4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4 텍스트는 상기 제 1 텍스트와 인접한 기 설정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텍스트의 기 설정된 위치에 커서 인디케이터(Cursor indicator)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1 텍스트의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제 1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character)의 앞 또는 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제 3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를 상기 제 1 텍스트 상에서 이동시키되,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 3 음성 입력에 의해 센싱되는 문자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는 중에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동안 입력되는 제 4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5 텍스트로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를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제 1 텍스트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는 중에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가 센싱된 이후에 제 5 음성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상기 제 5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6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트리거 신호는, 기 설정된 제스처 신호 또는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트리거 신호가 제 3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입력 신호가 센싱된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발송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1 발송 인디케이터는 제 2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2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 1 텍스트의 전송 대기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 2 발송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3 텍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제 4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제 1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추천 동작 메뉴는 기호 추가 메뉴, 이모티콘 추가 메뉴 및 사진 추가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 5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블록 설정하고, 상기 제 5 입력 신호가 센싱된 이후 제 3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6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상기 블록 설정된 영역을 상기 제 6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7 텍스트로 대체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블록 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 5 입력 신호가 센싱된 면적 및 상기 제 5 입력 신호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1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2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센싱되는 제 2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4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더라도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커서 인디케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된 커서 인디케이터가 음성 입력에 따라 이동하고, 이동된 커서 인디케이터가 수정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문자 앞에 위치했을 때,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더라도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이후 텍스트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설정된 영역의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의 사시도이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401)과 제2 프레임(4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4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제어 모듈(480), 음향 출력 모듈(4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4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480)은 이동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 모듈(480)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8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 모듈(4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모듈(4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4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4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4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421)가 제어 모듈(48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421)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제어 모듈(4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423a, 4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4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15에서는, 이동 단말기로서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30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로 구현될 수 있음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 200, 300, 400) 중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 및 이해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과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이 참고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마이크(510), 센싱부(520), 디스플레이부(530), 무선통신부(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51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마이크(510)는 도 1a의 마이크(122) 또는 도 3a의 마이크로폰(322)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510)는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520)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이동 단말기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55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싱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0)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싱부(520)는 도 1a의 센싱부(140) 또는 도 3b의 센싱부(340) 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520)는 트리거 신호 및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 및 입력 신호는 제스처 신호 및 터치 신호 등 다양한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3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텍스트, 인디케이터, 아이콘,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30)는 제어부(5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530)는 도 1a의 디스플레이(151) 또는 도 3a의 디스플레이부(351)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530)는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40)는 이동 단말기와 외부 디바이스 간에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 통신부(540)는 도 1a의 무선 통신부(11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540)를 통해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4) 중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부(540)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이동 단말기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550)는 도 1a의 제어부(180)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50)는 마이크(510)로부터 센싱한 음성 입력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50)는 변화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530)상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5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이동 단말기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트리거 신호를 설명하는 실시예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를 센싱함에 따라 텍스트 수정 모드 또는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텍스트 수정 모드 또는 텍스트 추가 모드를 구별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6의 실시예에서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텍스트는 음성 입력에 기초한 텍스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마이크로부터 센싱한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STT, Speech to text)은 종래의 공지된 모든 기술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텍스트는 소프트-키(soft-key) 또는 하드-키(hard-key)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는 마이크를 통해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ur hot dogs'라는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four hotdogs'라고 음성을 입력하였으나 이동 단말기는 'four'을 'for'로 잘못 인식하여 'fo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잘못 인식한 음성 입력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도 6의 (a) 및 (b)는 음성 입력된 텍스트를 수정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트리거 신호로 제스처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트리거 신호로 터치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텍스트를 출력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는 제스처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신호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착용된 손목을 뒤집는 제스처 또는 이동 단말기가 착용된 손목을 사용자의 입 근처로 가져오는 제스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 수정 모드는 기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대기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센싱된 제 1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기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텍스트를 출력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는 도 6의 (a)와 달리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신호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제 1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기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를 통해 기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하는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트리거 신호의 센싱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동안 자동으로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지 않더라도 3초동안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대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3초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이 센싱되는 경우, 제 1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실시예
이동 단말기는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센싱되는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은 터치 입력을 센싱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음성 입력에 따라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8은 텍스트를 수정하지 않고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9는 도 7과 상이한 터치 입력을 센싱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음성 입력에 따라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7의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71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710)가 출력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7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720)는 상술한 도 6의 트리거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신호(720)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720)는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720)를 센싱함에 따라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시간 인디케이터(73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인디케이터(730)는 기 설정된 시간(도 7에서, t초)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6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720)를 센싱하지 않더라도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시간 인디케이터(73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인디케이터(730)는 숫자 모양의 인디케이터, 시계 모양의 인디케이터 및 모래시계 모양의 인디케이터 등 기 설정된 시간을 나타내는 다양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740)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3초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740)를 센싱할 수 있다. 도 7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740)으로 'four'를 센싱할 수 있다.
도 7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센싱된 제 1 음성 입력(740)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예를 들어, four)가 제 1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텍스트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발음 유사에 기반한 판단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발음 유사에 기반한 판단 방법은 종래의 공지된 모든 기술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공지된 기술에는 SoundEx 알고리즘, NYSIIS 알고리즘 및 Metaphone 알고리즘 등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으로 발음 유사에 기반한 판단 방법을 예로 들었으나 종래 개발된 다양한 판단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텍스트(710)는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이고, 제 2 텍스트는 'fou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인 'for'과 제 2 텍스트인 'four'이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인 'for'를 제 2 텍스트인 'four'로 대체할 수 있다.
도 7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740)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제 1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경우, 제 1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75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3 텍스트(750)로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u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3 텍스트(750)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인디케이터(76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도 7의 첫번째 도면에서 상술한 t초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텍스트(750)가 출력된 상태에서 3초가 경과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인디케이터(76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송 인디케이터(760)는 'send' 아이콘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의 다섯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발송 인디케이터(76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 3 텍스트(75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인디케이터(760)를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 제 3 텍스트(75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 출력된 텍스트 내에 잘못 인식된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잘못 인식된 텍스트 영역을 직접 터치 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잘못 인식된 텍스트를 한번 더 음성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이후 텍스트를 전송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8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810)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810)로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텍스트(8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시간 인디케이터(82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인디케이터(820)는 제 1 텍스트(810)의 발송 대기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발송 대기 시간은 3초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대기 시간인 3초 이내에 텍스트 수정 모드에 대한 트리거 신호 또는 텍스트의 수정을 위한 음성 입력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제 1 텍스트(81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두번째 및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대기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인디케이터(820)를 출력하되, 여기에서, 시간 인디케이터(820)는 3초를 카운트 다운(count down)할 수 있다. 도 8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3초, 2초, 1초로 카운트 다운되는 시간 인디케이터(82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의 네번째 및 다섯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대기 시간이 경과한 이후 발송 인디케이터(830)를 출력할 수 있다. 발송 인디케이터(83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 1 텍스트(81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이 1초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인디케이터(830)로 'send' 아이콘이 출력된 이후 1초가 경과하면 제 1 텍스트(81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발송 인디케이터(830)가 출력된 이후 발송 인디케이터(830)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제 1 텍스트(81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9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로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91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910)는 상술한 도 6에서의 트리거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신호(910)는 도 7 및 도 8의 트리거 신호와 상이한 트리거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 신호(910)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910)는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롱 터치 입력 신호(long touch input)에 대응한 경우, 도 9의 트리거 신호(910)는 숏 터치 입력 신호(short touch input)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롱 터치 입력 신호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부를 길게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의미하며, 숏 터치 입력 신호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로 디스플레이부를 짧게 터치하는 입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910)를 센싱하는 경우,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 추가 모드는 기 출력된 텍스트와 인접한 기 설정된 영역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대기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텍스트 수정 모드와 텍스트 추가 모드를 구별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시간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인디케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도 9에서, t초)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920)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3 초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920)을 센싱할 수 있다. 도 9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920)으로 'Three if it does not'를 센싱할 수 있다.
도 9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센싱된 제 1 음성 입력(920)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930, 예를 들어, Three if it does not)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와 인접한 기 설정된 영역에 제 2 텍스트(930)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의 가장 마지막 문자의 오른쪽 영역에 제 2 텍스트(930)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텍스트(930)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발송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송 인디케이터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제 1 텍스트 및 제 2 텍스트(930)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커서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실시예
이동 단말기는 커서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수정하거나 추가하고자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음성 입력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11은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는 기 출력된 텍스트의 중간에 새로운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13은 기 출력된 텍스트의 마지막에 새로운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0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9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의 (a)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01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010)로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텍스트(10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1020)를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1020)를 센싱함에 따라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0의 (a)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Cursor indicator, 103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커서 인디케이터(1030)는 단위 문자의 높이와 동일한 바(bar) 형태를 가진 인디케이터 또는 단위 문자 크기의 블록(block) 형태를 가진 인디케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1 텍스트(101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1 텍스트(1010)에 포함된 문자의 앞 또는 뒤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1 텍스트(1010)에 포함된 가장 첫번째 문자의 앞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010)인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의 첫번째 문자인 'L'의 왼쪽에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의 (a)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04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음성 입력(1040)은 기 출력된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음성과 동일한 음성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텍스트(1010)가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인 경우, 제 1 음성 입력(1040)은 'Looks delic…'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040)에 기초하여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1 텍스트(1010)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음성 입력(1040)이 'Looks delic'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인 'Looks delic'의 'c'의 오른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제 1 음성 입력(1040)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a)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제 1 음성 입력(1040)에 따라 제 1 텍스트(1010)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 신호(1050)는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의 왼쪽에 위치했을 때, 터치 입력 신호(1050)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 신호(105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를 모두 지날 때까지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롱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가 센싱되는 동안 입력되는 제 2 음성 입력(1060)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2 음성 입력(1060)에 기초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a)의 세번째 도면과 달리, 제 2 음성 입력(1060)은 기 출력된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음성과 상이한 음성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가 'for hotdogs'인 경우, 제 2 음성 입력(1060)은 'four hamburger'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300)는 센싱되는 제 2 음성 입력(1060)의 음절 수 또는 내용에 기초하여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제 2 음성 입력(1060)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영역을 블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의 영역이 선택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가 센싱되는 상태에서, 제 2 음성 입력(1060)으로 'four hamburgers'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인 'for hotdogs' 영역을 블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의 (a)의 다섯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된 제 2 음성 입력(1060)에 기초하는 제 2 텍스트(1070)로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가 센싱되는 동안 입력되는 제 2 음성 입력(1060)이 'four hamburgers'인 경우, 커서 인디케이터(1030)에 기초하여 블록 설정된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for hotdogs'를 제 2 텍스트(1070)인 'four hamburgers'로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 1 텍스트(10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커서 인디케이터(1030)의 이동 상태, 터치 입력 신호(1050)의 센싱 상태 및 제 1 음성 입력(1040) 및 제 2 음성 입력(1060) 여부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즉, 제 1 텍스트(10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030)를 제 1 음성 입력(1040)에 기초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음성 입력(1040)에 기초하여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이동하던 중,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050)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신호(1050)가 센싱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300)는 제 2 음성 입력(1060)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제 2 음성 입력(1060)에 기초하여 커서 인디케이터(1030)가 이동하는 영역을 블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는 블록 설정된 제 1 텍스트(10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제 2 음성 입력(1060)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1070)로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1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110)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텍스트(11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1120)를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트리거 신호(1120)를 센싱함에 따라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1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1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010)인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r hotdogs'의 첫번째 문자인 'L'의 왼쪽에 커서 인디케이터(11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130)를 기 설정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과 달리 이동 단말기(300)는 음성 입력을 센싱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제 1 텍스트(1010)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제 1 텍스트(1010) 상에서 0.1초에 한 문자 단위씩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이동한지 1초가 지났다면,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130)를 제 1 텍스트(1010)의 10번째 문자인 'i'의 오른쪽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공백을 한 문자 단위로 판단할 것인지 여부는 이동 단말기(300)의 설정에 따를 수 있다.
도 11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제 1 텍스트(1110) 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신호(1140)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가 센싱되는 동안 제 1 음성 입력(1150)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도 10과 달리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가 센싱되는 동안 기 설정된 속도로 커서 인디케이터(1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제 1 텍스트(1110)의 적어도 일부인 'for hotdogs'의 첫번째 문자인 'f'의 왼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커서 인디케이터(1110)가 제 1 텍스트(1110)의 적어도 일부인 'for hotdogs'의 마지막 문자인 's'의 오른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기 설정된 속도로 제 1 텍스트(1110)의 적어도 일부인 'for hotdogs'를 이동하는 동안 터치 입력 신호(1140)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커서 인디케이터(1130)가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제 1 텍스트(1110) 상을 이동하는 영역을 블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의 영역이 선택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제 1 음성 입력(1150)을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과 달리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150)과 무관하게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1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150)으로 'four hamburgers'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1의 다섯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된 제 1 음성 입력(1150)에 기초하는 제2 텍스트(1150)로 제 1 텍스트(1110)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four hamburgers'를 센싱한 경우, 터치 입력 신호(1140)의 센싱이 유지되는 동안 블록 설정된 제 1 텍스트(1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for hotdogs'를 'four hamburgers'로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2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의 첫번째 도면은 도 10의 (a)의 세번째 도면 또는 도 11의 세번째 도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12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210)를 도 10 또는 도 11의 실시예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로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u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210)를 제 1 텍스트 상에서 기 설정된 속도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300)가 커서 인디케이터(1210)를 제 1 텍스트 상에서 기 설정된 속도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210)가 제 1 텍스트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2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입력 신호(1220)는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터치 입력 신호(1220)는 도 10 및 도 11의 터치 입력 신호(1050, 1140)와 상이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의 터치 입력 신호(1050, 1140)가 롱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경우, 도 12의 터치 입력 신호(1220)는 숏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도 10 및 도 11의 터치 입력 신호(1050, 1140)와 도 12의 터치 입력 신호(1220)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 인디케이터(1210)가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인 'four hotdogs'의 'r'의 오른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숏 터치 입력 신호(1220)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2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신호(1220)가 센싱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230)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210)가 'r'의 오른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230)을 센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230)으로 'double cheese'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2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230)에 기초한 제 2 텍스트(1240)를 커서 인디케이터(1210)의 위치에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210)가 위치한 'r'의 오른쪽 영역에 제 1 음성 입력(1230)에 기초한 제 2 텍스트(1240)로 'double cheese'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함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위치에 텍스트를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3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1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의 첫번째 도면을 도 12의 첫번째 도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13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커서 인디케이터(1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로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ur hotdogs'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310)가 제 1 텍스트 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이동 단말기(300)는 터치 입력 신호(13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커서 인디케이터(1310)는 제 1 텍스트의 가장 마지막 문자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310)는 'Looks delicious please give me four hotdogs'의 's'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터치 입력 신호(1320)는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신호(1320)는 도 12의 터치 입력 신호(1220)와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의 터치 입력 신호(1050, 1140)와 상이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 신호(1320)는 숏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310)가 's'의 오른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숏 터치 입력 신호(1320)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3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신호(1320)가 센싱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330)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커서 인디케이터(1310)가 's'의 오른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330)으로 'Three if it does not'을 센싱할 수 있다.
도 13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음성 입력(1330)에 기초한 제 2 텍스트(1340)를 커서 인디케이터(1310)의 위치에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커서 인디케이터(1310)가 위치한 's'의 오른쪽 영역에 제 1 음성 입력(1330)에 기초한 제 2 텍스트(1340)로 'Three if it does not'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함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위치에 텍스트를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
텍스트의 내용에 따라 기호, 이모티콘 또는 사진을 추가하는 실시예
이동 단말기는 기 출력된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기호 및 이모티콘 추가 메뉴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15는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사진 추가 메뉴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4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13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14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410)로 'Where are you'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텍스트(14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입력 신호(14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1420)는 추천 동작 메뉴(1430)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 설정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1420)는 이동 단말기(300)가 착용된 손목을 뒤집는 제스처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입력 신호(1420)를 센싱함에 따라, 제 1 텍스트(1410)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143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동작 메뉴(1430)는 기호 추가 메뉴(1431), 이모티콘 추가 메뉴(1432) 및 사진 추가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 추가 메뉴에 대하여는 이하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410)의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된 제 1 텍스트(1410)의 내용에 맞는 기호 및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것을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추천 동작 메뉴(143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텍스트(1410)의 내용이 'Where are you'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410)의 내용이 의문문인 것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제 1 텍스트(1410)의 말미에 물음표나 물음 이모티콘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는 추천 동작 메뉴(14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추천 동작 메뉴(1430)를 출력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사용자로부터 추천 동작 메뉴(1430) 중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동작 메뉴(1430)로 기호 추가 메뉴(1431)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호 리스트(144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추천 동작 메뉴(1430)로 이모티콘 추가 메뉴(1432)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리스트(145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호 리스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 리스트 중 하나의 기호 또는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410)의 말미에 선택된 기호 또는 이모티콘을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410)에 추가된 기호 또는 이모티콘을 포함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4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제 1 텍스트(151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510)로 'I will send you pictures taken today'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텍스트(15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입력 신호(15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1520)는 추천 동작 메뉴(1530)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 설정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1520)는 이동 단말기(300)가 착용된 손목을 뒤집는 제스처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300)는 입력 신호(1520)를 센싱함에 따라, 제 1 텍스트(1510)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천 동작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동작 메뉴는 사진 추가 메뉴(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510)의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0)는 분석된 제 1 텍스트(1510)의 내용 중 '사진을 전송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에게 어떤 사진을 추가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사진 추가 메뉴(153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1 텍스트(1510)의 내용이 'I will send you pictures taken today'인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510)의 내용이 상대방에게 사진을 전송하겠다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는 어떤 사진을 추가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사진 추가 메뉴(1530)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300)는 사진 추가 메뉴(1530)로 적어도 하나의 사진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 리스트 중 특정 사진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300)는 제 1 텍스트(1510)에 선택된 사진을 추가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블록 설정된 영역의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설정된 영역의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6의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1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SMS 컨텐츠 상에서 제 1 텍스트(16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텍스트(1610)는 음성 입력, 소프트-키 또는 하드-키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텍스트(1610)로 'Did you arribe? Please come on exit 3'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텍스트(16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텍스트(1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터치하는 제 1 입력 신호(1620)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텍스트(1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 1 입력 신호(1620)가 센싱되는 면적 및 제 1 입력 신호(1620)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입력 신호(1620)에 따라 제 1 텍스트(1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블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텍스트(1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u arribe?'를 블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텍스트(16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블록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1630)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음성 입력(1630)으로 'arrive'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6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블록 설정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음성 입력(1630)과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경우, 블록 설정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음성 입력(1630)에 대응하는 텍스트(1640)로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수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이후 인식되는 음성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수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7의 각 단계는 도 1a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S1710)에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텍스트는 음성 입력, 소프트-키 또는 하드-키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S1720)에서,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트리거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트리거 신호는 제스처 신호 또는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1 트리거 신호를 센싱함에 따라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 수정 모드는 기 출력된 텍스트를 수정하는 입력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대기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S1730)에서,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3초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싱에서 이동 단말기는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지 않는 경우, 출력된 제 1 텍스트를 그대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740)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경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종래의 공지된 모든 기술을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 2 텍스트가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제 3 텍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추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8의 각 단계는 도 1a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실시예에서 도 1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S1810)에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820)에서,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2 트리거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트리거 신호는 도 17에서의 트리거 신호와 상이한 트리거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서의 트리거 신호가 롱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경우, 도 18에서의 트리거 신호는 숏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 2 트리거 신호를 센싱함에 따라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 추가 모드는 기 출력된 텍스트와 인접한 기 설정된 영역에 텍스트를 추가하는 입력 신호는 센싱하기 위한 대기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텍스트 수정 모드와 텍스트 추가 모드를 구별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S1830)에서,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2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3초 이내에 제 2 음성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단계(S1840)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2 음성에 대응하는 제 4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센싱된 제 2 음성에 대응하는 제 4 텍스트를 기 출력된 제 1 텍스트의 인접한 기 설정된 영역에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1 텍스트의 마지막 문자의 오른쪽 영역에 제 4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0)

  1. 마이크;
    센싱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1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상기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2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센싱되는 제 2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4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텍스트의 기 설정된 위치에 커서 인디케이터(Cursor indicator)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1 텍스트의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제 1 텍스트에 포함된 문자(character)의 앞 또는 뒤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3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를 상기 제 1 텍스트 상에서 이동시키되,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 3 음성 입력에 의해 센싱되는 문자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는 중에 제 1 입력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 신호가 센싱되는 동안 입력되는 제 4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5 텍스트로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를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제 1 텍스트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는 중에 제 2 입력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가 센싱된 이후에 제 5 음성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커서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상기 제 5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6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 5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블록 설정하고,
    상기 제 5 입력 신호가 센싱된 이후 제 3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6 음성 입력을 센싱하고,
    상기 블록 설정된 영역을 상기 제 6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7 텍스트로 대체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블록 설정된 영역은 상기 제 5 입력 신호가 센싱된 면적 및 상기 제 5 입력 신호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
  9. 디스플레이부 상에 제 1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수정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수정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1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음성 입력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2 텍스트가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기 설정된 유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 1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텍스트로 대체된 제 3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2 트리거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텍스트 추가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추가 모드가 활성화된 이후 제 2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센싱되는 제 2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 4 텍스트를 추가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60059333A 2016-05-16 2016-05-16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8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33A KR20170128820A (ko) 2016-05-16 2016-05-16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5/218,042 US20170329571A1 (en) 2016-05-16 2016-07-24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6192594.6A EP3246916B1 (en) 2016-05-16 2016-10-06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33A KR20170128820A (ko) 2016-05-16 2016-05-16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20A true KR20170128820A (ko) 2017-11-24

Family

ID=5720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333A KR20170128820A (ko) 2016-05-16 2016-05-16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29571A1 (ko)
EP (1) EP3246916B1 (ko)
KR (1) KR20170128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61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입력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KR101922663B1 (ko) 2013-06-09 2018-11-28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10296160B2 (en) 2013-12-06 2019-05-21 Apple Inc. Method for extracting salient dialog usage from live data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633004B2 (en) 2014-05-30 2017-04-25 Apple Inc.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10152299B2 (en) 2015-03-06 2018-12-11 Apple Inc. Reducing response latency of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1227589B2 (en) 2016-06-06 2022-01-18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0474753B2 (en) 2016-09-07 2019-11-12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2391298B1 (ko) * 2017-04-24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0417266B2 (en) 2017-05-09 2019-09-17 Apple Inc. Context-aware ranking of intelligent response suggestions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US10395654B2 (en) 2017-05-11 2019-08-27 Apple Inc. Text normalization based on a data-driven learning network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11301477B2 (en) 2017-05-12 2022-04-12 Apple Inc. Feedback analysis of a digital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EP3602542A2 (en) * 2017-05-15 2020-02-05 Apple Inc. Multi-modal interfaces
US10403278B2 (en) 2017-05-16 2019-09-03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honetic matching in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10311144B2 (en) 2017-05-16 2019-06-04 Apple Inc. Emoji word sense disambiguation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JP2019129366A (ja) * 2018-01-23 2019-08-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音声伝送システ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10733375B2 (en) 2018-01-31 2020-08-04 Apple Inc. Knowledge-based framework for improv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10592604B2 (en) 2018-03-12 2020-03-17 Apple Inc. Inverse text normaliz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CN108762531B (zh) * 2018-04-12 2022-07-2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输入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984780B2 (en) 2018-05-21 2021-04-20 Apple Inc. Global semantic word embeddings using bi-direc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s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1386266B2 (en) 2018-06-01 2022-07-12 Apple Inc. Text correction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201870355A1 (en) 2018-06-01 2019-12-1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OPERATION IN MULTI-DEVICE ENVIRONMENTS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496705B1 (en) 2018-06-03 2019-12-03 Apple Inc. Accelerated task performance
US11010561B2 (en) 2018-09-27 2021-05-18 Apple Inc. Sentiment prediction from textual data
US10839159B2 (en) 2018-09-28 2020-11-17 Apple Inc. Named entity normalization in a spoken dialog system
US11170166B2 (en) 2018-09-28 2021-11-09 Apple Inc. Neural typographical error modeling vi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638059B2 (en) 2019-01-04 2023-04-25 Apple Inc. Content playback on multiple devices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US20220155948A1 (en) * 2020-11-13 2022-05-19 Adobe Inc. Offset touch screen edit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9266B2 (en) * 2007-03-07 2015-02-03 Vlingo Corporation Multiple web-based content category searching in mobile search application
US9189158B2 (en) * 2013-03-28 2015-11-17 Vasan Su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entering textual representations of words into a computing device by processing user physical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the computing device
EP2947861B1 (en) * 2014-05-23 2019-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message call service
KR20160062565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필기 컨텐트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61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입력 단어에 대한 오타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6916B1 (en) 2020-12-02
EP3246916A1 (en) 2017-11-22
US20170329571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88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00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2933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828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43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165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78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609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2516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00051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804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916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5398B1 (ko) 밴드 타입 단말기
KR2016001927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82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62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737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53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9235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9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1329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7009489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602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804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