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136A -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136A
KR20170126136A KR1020160056141A KR20160056141A KR20170126136A KR 20170126136 A KR20170126136 A KR 20170126136A KR 1020160056141 A KR1020160056141 A KR 1020160056141A KR 20160056141 A KR20160056141 A KR 20160056141A KR 20170126136 A KR20170126136 A KR 20170126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ir
hood
airflow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명국
윤복중
이길수
임훈
신희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136A/en
Publication of KR2017012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1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17/93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01S7/4039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of sensor or antenna obstruction, e.g. dirt- or ice-coating
    • G01S2007/403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2007/4975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device for preventing pollution of a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body; an air current generating part generating an air current around the sensor; and an air supplying part supplying the air to the air current generating part. The air current generating part can form a descending current of the air so a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flowing toward the sensor as the moving body drives from being attached to the sensor or so as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preventing pollution of a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body can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sensor due to strong air current.

Description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본 발명은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또는 건설기계 등 움직이는 이동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거리 등을 측정하는 센서의 표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o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or a construction machine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object, To a sensor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ensor.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승용차, 건설기계 등의 차량들은 대부분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의 환경정보를 파악한다. 그러나, 영상장치 정보 만으로 획득할 수 있는 주행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영상장치에 레이다(RADAR) 센서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레이다 센서보다는 가격이 비싼 라이다(LIDAR) 센서를 이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환경정보를 획득한다. Currently, vehicles such as passenger cars, construction machines, etc. mostly use video device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However, the driving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only by the video device information is very limit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a radar senso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video device, or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vehicle under running is acquired using a LIDAR sensor, which is more expensive than a radar sensor.

더욱이, 최근 차량 및 건설기계의 지능화 및 무인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차량 주변 및 이동경로 상의 3차원 환경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센서들이 적용된다. 이때, 센서는 차량의 외부에 노출된 채로 장착되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 및 작업 시 센서의 표면에 먼저, 흙, 벌레 등과 같은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다. 센서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게 되면 센서가 측정하는 값이 신뢰성이 떨어지고, 센서가 주변 환경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recent years, sensors and sensors have been applied to acquire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 periphery of a vehicle and on a moving route as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and unattended operation of vehicles and construction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At this time, since the sensor is mount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foreign matter such as earth, insect, etc.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at the time of moving and working of the vehicle. If the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becomes unreliable, and the sensor does not recogn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self.

한편, 종래에는 센서 전면에 투명한 전면 유리창(또는 투과창)을 장착하여 이물질이 센서로 바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센서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Conventionally, a transparent front window (or a transmission window)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ensor, or the foreign objec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is directly removed by the driver.

그러나, 센서 전면에 투명한 유리창 등을 창작하게 되면 센서의 측정값이 오차가 발생되므로, 거리 측정을 정밀하게 수행하여야 하는 센서의 경우 적용이 불가능하다. However, if a transparent window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an error occurs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so that it is not applicable to a sensor that requires precise distance measurement.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특개평5-87580호(발명의 명칭: 차간거리 경보 장치, 공개일: 1993. 11. 26. )가 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here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5-87580 (entitled " The date of publication: November 26, 1993).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건설기계와 같은 이동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거리 등을 측정하는 센서의 주변에 기류를 형성하여 센서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bile body external mounting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body such as a vehicle or a construction machine and capable of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sensor surface by forming an air current around a sensor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체의 외부에 장착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생성부; 및 상기 기류생성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생성부는 상기 이동체가 주행함에 따라 상기 센서를 향해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센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센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강기류를 형성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body; An airflow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irflow around the sensor; And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airflow generating unit; Wherein the airflow generating unit is mounted on a moving body that prevents a foreign body contained in air flowing toward the sensor from being attached to the sensor as the moving body travels or forms a downward flow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sensor This is accomplished by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sensor.

상기 기류생성부에서 생성되는 기류의 세기, 속도 또는 분사 방향은 상기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The intensity, speed, or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airflow generato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상기 기류생성부는, 상기 센서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의 주변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분출홀이 하면에 형성된 후드; 및 상기 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후드가 상기 센서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후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flow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hood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or and having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for ejecting air toward the periphery of the sensor; And a hood supporter connected to the hood to support the hoo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ensor.

상기 분출홀은, 상기 후드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상기 후드의 배면에 형성되는 외측분출홀; 및 상기 외측분출홀 보다 상기 후드의 중앙부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드의 배면에 형성되는 내측분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ejection hole includes: an outer ejection hole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hood to be close to an edge of the hood; And an inner ejection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od so as to be position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hood than the outer ejection hole.

상기 외측분출홀은 공기가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분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분출홀은 공기가 상기 센서를 향해 분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spray holes are formed such that air is sprayed vertically downward, and the inner spray holes are formed such that air is sprayed toward the sensor.

상기 후드는, 상기 센서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센서의 상하방향 외면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센서의 전방 부분이 상기 센서의 후방 부분보다 많이 돌출된 유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od may be formed to have a streamlined shape in which a front portion of the sensor protrudes more than a rear portion of the sensor so as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sensor.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이동체에 마련되는 공조장치와 연동되거나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장치 또는 공기 탱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를 상기 기류생성부로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may supply the air to the airflow generating unit through any one of a hydraulic device or an air tank that is interlocked with 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moving body.

상기 공기공급부는,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위한 공기필터; 및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n air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supplied air; And a temperature regulator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상기 센서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센서를 이동체에 고정시키는 센서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이동체에 의해 상기 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And a sensor moun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ensor to fix the sensor to the moving object, wherei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can reduce or absorb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ensor by the moving object.

상기 센서장착부의 상하방향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상기 센서장착부의 상하방향 외면은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센서장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마련될 수 있다. The sensor mounting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outer surface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sensor mounting portion has a trapezoidal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drain hole may be provided i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상기 후드 지지부에는 상기 후드의 분출홀과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hood supporter may be provided with a channel connecting the ejection hole of the hood and the supply unit.

상기 센서는, 라이다(LIDAR) 센서 또는 레이다(RADAR) 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ensor may be a LIDAR sensor or a RADAR sensor.

상기 후드에는 상기 내측분출홀 또는 상기 외측분출홀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분사각도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ood may be provided with an ejectio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ejecting direction of the inner ejection holes or the outer ejection holes.

본 발명의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는, 센서 주변에 형성되는 강한 기류에 의해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a sensor due to a strong air flow formed around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는, 거리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이물질 등에 의하여 오염되더라도 센서 주변에 형성된 기류를 통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or the like is contaminated by a foreign substance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hrough an air current formed around the sensor.

더욱이, 본 발명의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는, 운전자가 센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의 작동을 멈출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drive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ensor,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는, 이동체의 주행 속도에 따라 기류 분사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체의 주행 속도와 무관하게 센서의 계측 신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r strength of airflow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e sensor constant regardless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기류생성부의 후드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hood of the airflow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2.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100, 이하 '오염 방지 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llution prevention device") of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기류생성부의 후드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bile body external mounting sensor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bile body external mounting sensor shown in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the hood of the airflow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mination preventing device for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장치(100)는 이동체(1)의 외부에 장착되는 센서(110), 센서(110)의 주변에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생성부(120) 및 기류생성부(12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11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object 1, an air flow generated around the sensor 110 And an air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air to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n air supply unit 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장치(100)는 차량, 건설기계 또는 이동 기계 등 소정의 속도로 주행하는 이동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거리 등을 측정하는 센서의 오염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염 방지 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The anti-fou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vehicle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speed, such as a vehicle, a construction machine, or a moving machine.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100 is mounted on a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장치(100)는 차량인 이동체(1)의 외부에 장착되는 센서(110)의 주변에 하강기류(에어커튼)를 생성하여, 이동체(1)의 주행에 의해 센서(1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먼지, 안개, 수증기, 빗물, 눈, 벌레 등의 오염물이 하강기류 또는 에어커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센서(11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a contamination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ownward air stream (air curtain) around a sensor 110 mounted on the outside of a moving vehicle 1 So that contaminants such as dust, mist, water vapor, rainwater, snow, insects, etc., which may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110 by the traveling of the moving body 1, are removed by the downward current or air curtain, To prevent contamination.

여기서, 센서(110)의 주변에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 도 2 참조)의 세기 또는 방향은 이동체(1)의 속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체(1)의 속도가 빨라지면 센서(110)의 주변에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세기도 커지게 되고, 이동체(1)의 속도가 느려지면 센서(110)의 주변에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세기도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이동체(1)의 주행 속도가 빠르면 센서(110)의 주변에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센서(110)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 방향을 조절하고, 이동체(1)의 주행 속도가 느리면 센서(110)의 주변에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센서(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Here, the intensity or direction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 flow B (see FIG. 2) generated around the sensor 110 may vary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For example, if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is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in the periphery of the sensor 110 is increased. If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is slowed, The intensity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in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can also be reduced.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body 1 is high, the direction of spraying is adjust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around the sensor 110 is jet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nsor 110, The injection directio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sensor 110 is spray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nsor 110. [ At this time, the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이동체(1)의 외부에 장착되는 센서(110)는 주행 또는 작업 중인 이동체(1)의 주변 환경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예를 들면, 센서(110)는 차량 또는 건설기계 등 이동체(1)의 지능화/무인화 구현을 위해서 이동체 주변 및 이동경로 상의 3차원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거리측정센서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11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object 1 is a sensor for grasp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1 while traveling or in operation.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b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acquiring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moving object and the moving path for realizing the intelligent / unmanned state of the moving object 1 such as a vehicle or a construction machine.

이러한, 센서(110)는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이동 또는 작업 중인 이동체(1) 주변 환경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이동체(1)의 외면 상단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or 11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unit 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river's view because the sensor 110 is used for grasp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unit 1 during movement or operation using a laser or the like.

센서(110)는 이동체(1)의 외부에 장착되어 이동 및 작업 중인 이동체(1)와 주변 물체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체(1)과 주변 물체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10)는 라이다 센서(LIDAR SENSOR) 또는 레이다 센서(RADAR SENSOR)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라이다 센서 및 레이다 센서는 이동체(1)의 주변 180도 내지 360도 상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광범위 거리측정센서 등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실린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라이다 센서 및 레이다 센서는 고가이지만, 환경요소에 강인하고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The sensor 11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object 1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object 1 and the surrounding object during movement and operation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moving object 1, Can be measured. In this case, the sens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either a LIDAR sensor or a RADAR sensor. The Lidar sensor and the radar sensor refer to a wide range distance sensor or the like for measuring a distance on the periphery of the moving object 1 from 180 degrees to 360 degrees and can be generally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like a cylinder. Lidar sensors and radar sensors are expensive, but they are robust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have high accurac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류생성부(120)는 센서(110)의 주변에 하강 기류 또는 에어커튼(air curtain)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시 말해서, 기류생성부(120)는 센서(110)의 주변에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를 생성하기 위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류생성부(110)는 후드(122) 및 후드지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 downward air stream or an air curtain around the sensor 110. In other words,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may blow air to generate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in the vicinity of the sensor 110. The airflow generat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hood 122 and a hood supporting portion 126.

기류생성부(120)는 센서(11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마련되며 이동체(1)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센서(110)의 전방을 덮거나 가리지 않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류생성부(120)는 센서(1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flow generating part 120 is provided in a form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110 and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front side of the sensor 110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1. [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sensor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기류생성부(120)의 후드(122)는 센서(110)의 상부(또는 위쪽)에 위치하며, 센서(110)의 상단을 덮는 형태로 마련되어 센서(110)의 주변을 향해서 공기를 분출하거나 하강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후드(122)는 센서(110)의 상하방향 외면보다 크게 형성되며, 센서(110)의 전방 부분이 센서(110)의 후방 부분보다 많이 돌출된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동체(1)에 장착되는 센서(110)에는 사방에서부터 먼지, 눈, 비 등의 이물질이 튀게 된다. 만약, 후드(122)가 센서(110)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센서(110)의 전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반대로, 후드(122)의 둘레가 센서(110)의 높이 방향 둘레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센서(110)의 상면을 향해 떨어지는 이물질과 직접적인 접촉 및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through 3, the hood 122 of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110 and covers the upper end of the sensor 110, The air can be blown toward the periphery of the air blower, or a downward airflow can be gene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d 122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sensor 110 protrudes more than the rear portion of the sensor 110. This is becaus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now, rain, etc. are splashed from the four sides of the sensor 110 mounted on the moving body 1. If the hood 1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nsor 110, it is difficul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110. On the contrary, when the periphery of the hood 12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nsor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contact and collision with foreign matter fall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110.

뿐만 아니라, 센서(110)의 전방에는 이동체(1)의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가 이동체(1)의 주행 속도에 대략 비례하여 불어오게 되고, 이러한 이동체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에는 먼지, 눈, 비 등의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센서(110)를 기준으로 센서(110)의 전방에 보다 많은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를 형성하도록 후드(122)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후드(122)는 그 전방이 후방보다 길게 형성되거나 보다 돌출되도록 유선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irflow A generated when the moving object 1 is moved in the front of the sensor 110 is blown in proportion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and the airflow A generated when the moving object moves is dus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such as snow, rain, etc. may be contained. Therefore, since the hood 122 must be formed so as to form mor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in front of the sensor 110 on the basis of the sensor 110, the hood 122 is longer than the rear Or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so as to protrude more.

한편, 후드(122)의 하면(배면)에는 센서(110)로 공기를 분출하거나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후드(122)에 마련되는 분출홀은 센서(11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센서(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back surface) of the hood 122 to eject air to the sensor 110 or to form a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At this time, the ejection hole provided in the hood 122 may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sensor 110 or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ensor 110.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출홀은 후드(122)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후드(122)의 배면에 형성되어 센서(11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분출홀(123a, 123b)과, 후드(122)의 중앙부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후드(122)의 배면에 형성되어 센서(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내측분출홀(124a, 124b)을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eje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od 122 so as to be close to the edge of the hood 122 and have external ejection holes 123a and 123b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sensor 110. [ And inner spray holes 124a and 124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od 122 to be positioned near the center of the hood 122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ensor 110. [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분출홀(123)은 후드(122)의 외면, 즉 둘레를 따라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형성되도록 공기를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이때, 외측분출홀(123a, 123b)은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아래로 떨어지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형성되고,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는 이동체(1)의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 즉 이동체(1)의 진행에 따라 센서(110)로 불어오는 기류와 충돌하면서 이동체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를 차단(상쇄)시켜 이물질이 센서(11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분출홀(123a, 123b)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ir can be blown vertically downward so that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od 122, that is, around the periphery. At this time, the outer spray holes 123a and 123b form a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 flow B falling downward by blowing air vertically downward, an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 flow B moves The foreign object is attached to the sensor 110 by blocking the airflow A generated, that is, the airflow A generated when the moving object moves while colliding with the airflow blown to the sensor 110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moving object 1 Can be preven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jection holes 123a and 123b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내측분출홀(124a, 124b)은 외측분출홀(123a, 123b) 보다 후드(122)의 내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센서(110) 쪽으로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분출홀(124a, 124b)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센서(110)를 향해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내측분출홀(124a, 124b)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센서(110)로 향하게 되고, 센서(110)를 향해서 분출된 공기에 의해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형성되어 센서(110)를 향해서 형성되어 센서(1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inner spray holes 124a and 124b are formed inside the hood 122 rather than the outer spray holes 123a and 123b so that air can be sprayed toward the sensor 110. [ At this time, the inner ejection holes 124a and 124b may be formed obliquely toward the sensor 110 rather tha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air blown out from the inner spray holes 124a and 124b is directed to the sensor 110 an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is formed by the air blown toward the sensor 110, So that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ensor 110 can be removed.

참고로, 후드(122)의 돌출된 전방에 마련되는 외측분출홀(123a) 및 내측분출홀(124a)의 개수는 후드(122)의 후방에 마련되는 외측분출홀(123b) 및 내측분출홀(124b)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센서(110)의 전방에는 이동체(1)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가 이동체(1)의 주행 속도에 대략 비례하여 불어오게 되고, 이러한 이동체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에는 먼지, 눈, 비 등의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센서(110)의 전방에 외측분출홀(123a) 및 내측분출홀(124a)의 개수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서 이동체(1)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불어오는 기류(A)를 상쇄하지 못하는 세기의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외측분출홀(123a) 및 내측분출홀(124a)을 통해서 형성된다면, 센서(110)의 전방에 이물질이 그대로 부착되고,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센서(110)가 이동체(1) 주변의 환경을 제대로 감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후드(122)의 전방에 형성되는 분출홀(123a, 124a)의 개수가 후방에 형성되는 분출홀의 개수보다 더 많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umber of the outer discharge holes 123a and the inner discharge holes 124a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hood 122 protrudes from the outer discharge holes 123b and the inner discharge holes 123a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ood 122 124b. This is because the airflow A generated at the time of moving the moving object 1 is blow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in front of the sensor 110 and the airflow A generated at the time of moving the moving object is dus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rain may be included. If the number of the outer blowing holes 123a and the number of the inner blowing holes 124a are not sufficiently formed in front of the sensor 110 and the airflow A blow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 can not be canceled I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of the intensity is formed through the external discharge hole 123a and the internal discharge hole 124a, the foreign matter is adhered directly to the front of the sensor 110, Is difficult to properly detect the environment around the mobile device 1. [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ejection holes 123a, 124a formed in front of the hood 122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ejection holes formed at the rear sid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외측분출홀(123a, 123b) 및 내측분출홀(124a, 124b)의 분출방향을 조절하는 분사각도조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각도조절부(미도시)는 이동체(1)의 속도센서(2, 도 4 참조)와 연동되어, 이동체(1)의 주행 속도에 따라 외측분출홀(123a, 123b) 및 내측분출홀(124a, 124b)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체(1)의 주행 속도가 빠를 경우, 외측분출홀(123a, 123b) 및 내측분출홀(124a, 124b)가 센서(110)를 향하지 않고 센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이동체(1)의 주행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이동체(1)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의 세기도 커지게 되므로, 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외측분출홀(123a, 123b) 및 내측분출홀(124a, 124b)을 통해 분사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센서(110)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분사각도조절부(미도시)는 스프링이 구비된 기계식 분사각도조절부로 마련되거나 전자식 분사각도조절부로 마련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pray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spray direction of the outer spray holes 123a and 123b and the inner spray holes 124a and 124b may be formed. The spraying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interlocks with the speed sensor 2 (see FIG. 4) of the moving object 1 to adjust the jetting angle of the moving object 1 to the outer jetting holes 123a and 123b and the inner jetting holes 124a, 124b. For example,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is fast, the spray angle of the outer spray holes 123a, 123b and the inner spray holes 124a, 124b is adjusted so that they are spray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ensor 110, Can be adjusted. That is, as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A generated when the moving object 1 moves in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cancel the flow of the airflow A, the outer discharge holes 123a, 123b and the inner discharge holes 124a, Removing flow B is direc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nsor 110.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For reference, the spray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mechanical spray angle adjusting unit having a spring or an electronic spray angle adjusting unit.

후드지지부(126)는 후드(122)가 센서(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후드(122)를 연결하고 후드(12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후드지지부(126)의 일측은 센서(110)를 지지하는 센서장착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드(122)와 연결되어, 후드(122)가 센서(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후드(122)를 지지할 수 있다. The hood support portion 126 is a portion that connects the hood 122 and supports the hood 122 so that the hood 122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nsor 110. [ 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hood support part 126 is connected to the sensor mounting part 140 supporting the sensor 1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hood 122 so that the hood 122 is positioned above the sensor 110 The hood 122 can be supported.

또한, 후드지지부(126)는 후드(122)와 공기공급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후드지지부(126)를 통해서 후드(122)와 공기공급부(13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드지지부(126)의 내부에는 유로(127)가 형성될 수 있다. 후드지지부(126)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27)는 공기공급부(13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후드(122)로 전달하여 후드(122)가 센서(110) 쪽으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hood support portion 126 may connect the hood 122 and the air supply portion 130. That is, the hood 122 and the air supply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od support unit 126. For this purpose, a flow path 127 may be formed in the hood support portion 126. The flow path 127 formed in the hood support portion 126 transfers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ion 130 to the hood 122 so that the hood 122 can discharge the air toward the sensor 110.

이러한 후드지지부(126)는 얇은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드(122)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후드지지부(126)는 복수개의 기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참고로, 후드지지부(126)의 형태는 기둥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The hood supporter 126 may be formed in a thin column shape and the hood supporter 126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illar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hood 122. For reference, the shape of the hood supporter 126 is not limited to a pillar shape, but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s necessary.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공급부(130)는 기류생성부(120)에 공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부(130)는 이동체(1)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조장치 또는 공조장치가 아닌 별도로 형성된 유압장치 또는 공기 탱크 등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되, 센서(110)의 주변 공기와 차단된 공기를 후드(122)로 공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air supply unit 130 supplies air to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Specifically, the air supply unit 130 supplies air from a hydraulic device or an air tank formed separately from the air conditioner or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side the mobile unit 1, To the hood 122.

한편, 공기공급부(130)에는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필터(132)와,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기(134)가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n air filter 132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pplied air,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134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또한, 공기공급부(130)는 이동체(1)의 속도센서(2)와 연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체(1)의 주행 속도에 따라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분사 속도 또는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공급부(130)는 이동체(1)의 속도센서(2)와 연동하여 공기 공급량 또는 공급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센서(2)에 의해 감지된 이동체(1)의 속도가 빠를 경우, 공기공급부(130)는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늘리거나 공기의 공급 속도를 빠르게 한다. 이에 따라, 기류생성부(120)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속도 또는 유량이 증가됨은 물론 센서(110)의 주변에 생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속도가 더욱 빠르게 되고 세기도 증가하여 센서(11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air supply unit 130 can be interlocked with the speed sensor 2 of the moving object 1. In other words, in order to adjust the injection speed or intensity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by the air ejected accor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The air supply amount, the supply speed,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in cooperation with the air conditioner 2. 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sensed by the speed sensor 2 is fast, the air supply unit 130 increases the amount of supplied air or speeds up the supply speed of air. As a result, the speed or flow rate of the air blown out from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is increased, the speed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around the sensor 110 is further increased, 11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adhered to each other.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장치(100)는 센서(110)를 이동체(1)에 고정시키는 센서장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mounting unit 140 for fixing the sensor 110 to the moving object 1.

센서장착부(140)는 센서(110)를 이동체(1)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센서장착부(140)는 센서(110)의 하단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체(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is for fixing the sensor 110 to the mobile body 1.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1 whil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ensor 110.

또한, 센서장착부(140)는 센서(110)가 이동체(1)에 고정 장착 될 때, 이동체(1)에서부터 센서(110)로 전달되는 진동(고주파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장착부(140)는 고무, 스프링 등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센서장착부(140)는 일종의 댐퍼(damper)일 수 있다.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can reduce vibration (high frequency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moving object 1 to the sensor 110 when the sensor 110 is fixedly mounted on the moving object 1. [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 such as rubber, spring, etc., and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may be a kind of damper.

상기와 같은 센서장착부(140)는 센서(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확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센서장착부(140)의 상하방향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센서장착부(140)의 상하방향 외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or mounting part 14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ensor 110 and may be inclined so as to be enlarg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n other words,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may have an inclined outer surface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센서장착부(140)의 상하방향 외면이 경사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기류생성부(120)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생성된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센서장착부(140)의 경사진 외면을 따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has an inclined shape,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generated by the air ejected from the airflow generating portion 120 moves along the inclined outer surface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It can pass smoothly.

또한, 센서장착부(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142)이 마련될 수 있다. 배수홀(142)을 통해서 이동체(1)의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A)에 포함되거나 센서(110)에 부착된 눈, 비 등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기류생성부(120)에 의해 센서(110)에 부착된 눈, 비,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센서(110)의 표면에서 흘러내리면, 배수홀(142)을 통해 센서장착부(1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홀(142)은 센서장착부(140)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장착부(140)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Also, at least one drain hole 142 may be provided i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Foreign matter such as snow or rain that is contained in the airflow A generated when the moving object 1 is moved through the drain hole 142 or attached to the sensor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i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rain, dust, and the like attached to the sensor 110 are removed by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and flowed down from the surface of the sensor 110, the sensor mounting unit 1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rain hole 1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over the entir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only a part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14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10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operation of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운전자가 이동체(1)의 시동을 켜면, 공기공급부(130)가 작동된다. 단,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공기공급부(130)가 작동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When the driver turns on the starting of the movable body 1, the air supply unit 130 is operated. However, the air supply unit 130 may not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그 다음, 이동체(1)의 속도센서(2)가 이동체(1)의 속도를 감지한다. 이때, 이동체(1)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빠를 경우에는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많은 양의 공기를 기류생성부(120)로 공급하고, 이동체(1)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느릴 경우 공기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적은 양의 공기를 기류생성부(120)로 공급한다. Then, the speed sensor 2 of the moving body 1 senses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1. Then, At this time, if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1 is fas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the speed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30 is increased or a large amount of air is supplied to the airflow generation unit 120, The speed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30 is slowed or a small amount of air is supplied to the airflow generation unit 120 when the speed of the air supply unit 130 is s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speed.

그 다음, 기류생성부(120)가 공기공급부(13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센서(110)의 주변으로 분출한다. 분출된 공기에 의하여 센서(110)의 주변에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에 의해 센서(11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이물질이 부착되더라도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분출된 공기의 속도에 따라 센서(110)의 주변에 형성되는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B)의 속도도 달라지게 된다. Then, the airflow generating unit 120 sprays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ing unit 130 to the periphery of the sensor 110. [ An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is generated around the sensor 110 by the jetted air.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 flow B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sensor 110, and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even if foreign matter adheres thereto. Meanwhile, the velocity of the foreign matter blocking / removing airflow B formed around the sensor 110 varies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he air blown out.

이때, 운전자의 판단에 따라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센서(110)의 주변으로 분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후드(122)에 마련된 분사각도조절부(미도시)를 조절하여 기류생성부(120)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분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 주변의 온도 및 환경을 판단하여, 온도조절기(134)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peed of the air blown to the periphery of the sensor 110 may be adjusted by using a separate device according to the driver's judgment, or the blowing angle adjust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hood 122 may be adjusted, 12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ngle of ejection of the air. Further, the driver may determine the temperature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nd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using the temperature controller 134. [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100)는, 센서 주변에 형성되는 강한 기류에 의해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reign object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due to strong air flow formed around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100)는, 거리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이물질 등에 의하여 오염되더라도 센서 주변에 형성된 기류를 통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ensor for measuring a distance or the like is contaminated by a foreign substance or the like, the foreign object attached through the air current formed around the sensor can be removed .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100)는, 운전자가 센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의 작동을 멈출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fouling prevention apparatus 100 of the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drive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enso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는, 이동체의 주행 속도에 따라 기류 분사 방향 또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체의 주행 속도와 무관하게 센서의 계측 신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ving object external mounting sensor can adjust the airflow direction or intensity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so that the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e sensor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110: 센서
120: 기류생성부 122: 후드
123a, 123b: 외측분출홀 124a, 124b: 내측분출홀
126: 후드지지부 127: 유로
130: 공기공급부
132: 공기필터 134: 온도조절기
140: 센서장착부 142: 배수홀
A: 이동체 이동시 생성되는 기류
B: 이물질 차단/제거 기류
100: Pollution prevention device of external mounting sensor of moving object
110: sensor
120: Airflow Generator 122: Hood
123a, 123b: outer ejection holes 124a, 124b: inner ejection holes
126: hood support part 127:
130:
132: air filter 134: thermostat
140: sensor mounting part 142: drain hole
A: Air flow generated when moving object
B: foreign substance blocking / removing air flow

Claims (13)

이동체의 외부에 장착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주변에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생성부; 및
상기 기류생성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생성부는 상기 이동체가 주행함에 따라 상기 센서를 향해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센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센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강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A sensor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body;
An airflow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irflow around the sensor; And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airflow generating unit;
/ RTI >
Wherein the airflow generating unit forms a downward flow to preven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ir flowing toward the sensor from adhering to the sensor or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ensor as the moving body travels, Sensor pollution preven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생성부에서 생성되는 기류의 세기, 속도 또는 분사 방향은 상기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nsity, velocity, or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airflow generat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생성부는,
상기 센서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의 주변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분출홀이 하면에 형성된 후드; 및
상기 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후드가 상기 센서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후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flow generating unit
A hood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nsor and having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formed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for ejecting air toward the periphery of the sensor; And
And a hood supporter connected to the hood to support the hood so that the hood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은,
상기 후드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상기 후드의 배면에 형성되는 외측분출홀; 및
상기 외측분출홀 보다 상기 후드의 중앙부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드의 배면에 형성되는 내측분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pray hole
An outer ejection hole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hood to be close to an edge of the hood; And
And an inner ejection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hood so as to be position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hood than the outer ejection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분출홀은 공기가 하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분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분출홀은 공기가 상기 센서를 향해 분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er spray hole is formed such that air is sprayed vertically downward, and the inner spray hole is formed such that air is sprayed toward the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상기 센서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센서의 상하방향 외면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센서의 전방 부분이 상기 센서의 후방 부분보다 많이 돌출된 유선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od,
Wherein the sensor is formed so as to have a streamlined shape in which a front portion of the sensor is protruded more than a rear portion of the sensor so as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senso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이동체에 마련되는 공조장치와 연동되거나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장치 또는 공기 탱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를 상기 기류생성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Wherein the air supply unit supplies air to the airflow generating unit through one of a hydraulic device or an air tank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mobile unit or separately provid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위한 공기필터; 및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An air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supplied air; And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센서를 이동체에 고정시키는 센서장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이동체에 의해 상기 센서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거나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or moun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sensor to fix the sensor to a moving body,
Wherei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reduces or absorbs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ensor by the moving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부의 상하방향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상기 센서장착부의 상하방향 외면은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센서장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is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nsor mounting portion becomes a trapezoidal shape,
Wherei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ain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지지부에는 상기 후드의 분출홀과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od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connecting the blow hole of the hood and the suppl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라이다(LIDAR) 센서 또는 레이다(RADAR) 센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includes:
Wherein the sensor is provided with any one of a LIDAR sensor and a RADAR sens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는,
상기 내측분출홀 또는 상기 외측분출홀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분사각도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외부 장착 센서의 오염 방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hood,
Wherein an injectio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ner spray hole or the outer spray hole is formed.
KR1020160056141A 2016-05-09 2016-05-09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KR201701261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141A KR20170126136A (en) 2016-05-09 2016-05-09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141A KR20170126136A (en) 2016-05-09 2016-05-09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36A true KR20170126136A (en) 2017-11-17

Family

ID=608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141A KR20170126136A (en) 2016-05-09 2016-05-09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136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38A (en) * 2018-05-15 2019-1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leaner device for lidar sensor
KR20200076988A (en) * 2018-12-20 2020-06-30 (주)이지인스트루먼트 Monitering device for filter pollution of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CN113167867A (en) * 2018-10-03 2021-07-23 小马智行 Sensor housing drainage
US11408984B2 (en) 2019-05-08 2022-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nsor-drainage apparatus
US11460546B2 (en) 2020-03-09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nsor-drainage apparatus
WO2024085338A1 (en) * 2022-10-20 2024-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venting sensor contamin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38A (en) * 2018-05-15 2019-1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leaner device for lidar sensor
US11840204B2 (en) 2018-05-15 2023-12-12 Hyundai Mobis Co., Ltd. Cleaner for lidar sensor
CN113167867A (en) * 2018-10-03 2021-07-23 小马智行 Sensor housing drainage
KR20200076988A (en) * 2018-12-20 2020-06-30 (주)이지인스트루먼트 Monitering device for filter pollution of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US11408984B2 (en) 2019-05-08 2022-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nsor-drainage apparatus
US11460546B2 (en) 2020-03-09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nsor-drainage apparatus
WO2024085338A1 (en) * 2022-10-20 2024-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venting sensor cont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6136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ensor equipped at outside of moving body
CN106573581B (en) Integrated multiple image sensor and lens wash nozzle assembly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cleaning multiple image sensors
US20180265049A1 (en) Sensor and cleaning apparatus
US11579252B2 (en) Sensor-cooling apparatus
CN109515389A (en) Sensor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ensor system for vehicle
US20210031732A1 (en) Sensor assembly with cleaning
US11408984B2 (en) Sensor-drainage apparatus
US11237028B1 (en) Sensor apparatus with cooling
US20200406274A1 (en) Device for protecting a sensor window
US20060242784A1 (en) Drying gantry for a vehicle wash plant
US20230074027A1 (en) Roof Module for Forming a Vehicle Roof Comprising a Cleaning Nozzle
CN209566890U (en) Cleaning device, radar system and vehicle
CN112277828A (en) Sensor airflow apparatus
KR102661159B1 (en) lidar sensor cleaning device for vehicle
US20230144240A1 (en) Roof module for forming a vehicle roof comprising a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 see-through area
CN209191896U (en) Sensor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ensor system for vehicle
JP2008183839A (en) Mist detector, and fluid jet apparatus
KR102539583B1 (en) lidar sensor cleaning device for vehicle
KR102600098B1 (en) lidar sensor cleaning device for vehicle
US20230101656A1 (en) Sensor assembly with velocity stack
KR102661160B1 (en) lidar sensor cleaning device for vehicle
JP2021076414A (en) Sensor unit for vehicles
KR102527597B1 (en) Washer nozzle integrated thermal imaging camera module
CN115476773A (en) Roof module for forming a vehicle roof with a cleaning device
CN216374482U (en) Vehicle-mounted sensor's belt cleaning devic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