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475A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475A
KR20170120475A KR1020160100075A KR20160100075A KR20170120475A KR 20170120475 A KR20170120475 A KR 20170120475A KR 1020160100075 A KR1020160100075 A KR 1020160100075A KR 20160100075 A KR20160100075 A KR 20160100075A KR 20170120475 A KR20170120475 A KR 2017012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irplane
policy
speed
uav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병열
박상준
서범수
장철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12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64C2201/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bstract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는, 무인 항공기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waypoi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 운항 목표 입력부, 상기 무인 항공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 정책 정보 입력부, 상기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권역 설정부, 설정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운항 경로 생성부, 그리고 상기 무인 항공기가 상기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하는 무인 항공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A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re disclosed. A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for an unmanned ai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for inputting a navig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an unmanned airplane, A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 domain setting unit for setting a domain that can be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nd an unmanned airpla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operates the unmanned airplane.

Description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unmanned airplane,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인 항공기가 운항하는 3차원 공간 상의 다양한 제약 조건을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based on various constraints on a three-dimensional space operated by an unmanned airplane.

무인 항공기 기술의 발전과 수요 증대로, 무인 항공기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고성능 무인 항공기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오늘날, 150kg 이상의 군용 중대형 무인 항공기에 대한 개발은 이미 시제품 단계를 넘어 감시/정찰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unmanned aircraft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demand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various types of high performance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Today, the development of more than 150kg military mid- to large-sized unmanned aerial vehicles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in surveillance / reconnaissance beyond the prototype stage.

민간용 소형 무인 항공기의 경우, 중국의 DJI, 프랑스의 Parrot 등과 같이 개인용/오락용을 시작으로 Google이나 Amazon, 알리바바 등의 IT 기업이나 물류 기업들이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무인 항공기에 대한 법적, 제도적인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In the case of civilian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IT companies and logistics companies such as Google, Amazon, and Alibaba are starting various initiatives such as DJI in China and Parrot in France. As a result,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on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in full swing.

향후, 이러한 민간 무인 항공기들이 항공기의 공역이나 도심 지역의 저고도 지역으로 진입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경우, 3차원 공간 상에서 무인 항공기가 어떤 길로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에 대한 제한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In the future, if these civilian unmanned aerial vehicles enter the airspace of the airplane or enter the low - altitude area of the urban area to perform various missions, it is expected that restrictions on how the unmanned airplane should move in the three - dimensional space will be needed.

자율 주행 차량과 마찬가지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 계획을 수립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자율 주행 차량은 도로에 대한 정밀한 지도와 GNSS/센서 정보를 매핑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차량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주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인 항공기의 경우에도 각 무인 항공기의 특성에 따라, 갈수 없는 경로나 갈수 있는 경로에 대한 제약 사항을 기반으로 운항 계획을 수립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A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flight plan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The autonomous vehicle maps the precise map of the road and the GNSS / sensor information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establish various travel pla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us, in the ca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for establishing a flight plan based on the constraints of the inflow route and the inflow rout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기존 항공 분야에서, 지상의 기지국과의 통신 및 항공기의 고도 등의 정보를 통해, 사람이 스스로 항공기가 다녀야 하는 길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운항하였다. 상업용 무인 항공기 역시, 지상의 통신 기지국을 통해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역을 제어하거나, 정해진 고도 및 위치 등에 대해 미리 입력된 방식으로 제어하는 Geofencing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the existing aeronautical field, information on the way that a person must travel by himself is determined and operated through information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n the ground and the altitude of the aircraft. Commercial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also being developed for geofencing,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area of the unmanned airplane through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on the ground or controls the inputted altitude and position in advance.

그러나, Geofencing에 대한 기술은 GPS에 의존하여 무인 항공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출입을 억제하는 것이 목적이며, 특정 지역에서의 속도, 고도, 임무 등에 대한 제한을 가하거나 드론의 운항 인증을 관리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심지 또는 주요 지역의 특성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속도, 고도 및 임무 등을 제한해야 하는 환경에서, 보안 문제 및 개인 사생활 보호법 위반 문제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for geofencing is based on GPS and it is aimed to suppress access based on the position of UAV, and it limits the speed, altitude and mission in specific area, . Therefore,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speed, altitude and mission of the UAV must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owntown area or the main area,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security problem and the violation of the personal privacy protection law.

따라서, 무인 항공기가 비행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속도, 고도 및 임무 등을 제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limit the speed, altitude and miss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UAV is flying.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16915호, 2010년 02월 16일 공개(명칭: 무인항공기의 비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16915, February 16, 2010 (name: flight control device of unmanned airpla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항공기의 운항 경로와, 무인 항공기의 운항 방식을 제어함으로써, 무인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afe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by controlling a navigation route of an unmanned airplane and a navigation system of an unmanned airpla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역 별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함으로써, 무인 항공기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navig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by areas, thereby preventing an unspecified number of privacy infringements caused by the unmanned airplane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항공기와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smooth traffic flow with other aircraf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는 무인 항공기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waypoi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 운항 목표 입력부, 상기 무인 항공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 정책 정보 입력부, 상기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권역 설정부, 설정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운항 경로 생성부, 그리고 상기 무인 항공기가 상기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하는 무인 항공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ration support device for an unmanned airplane, including: a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for inputting a navig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an unmanned airplane; A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navigation target; a domain setting unit for setting a domain that can be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operates the unmanned airplane.

이때, 상기 권역 설정부는, 허가된 권역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속도, 임무 및 상기 권역의 요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zone setting unit may set the zone that can be op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ermitted zone information, the weight, the speed, the mission, and the charge information of the zone.

이때, 상기 운항 경로 생성부는,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서의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avigation path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altitude, coordinates, speed and fun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operable reg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ree-dimensional path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ble region And the constraint condition may be generated.

이때, 상기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는, 상기 권역에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종류별로 설정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 속도 정책 및 기능 제한 정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licy information for the zo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titude policy, a speed policy, and a function restriction policy of the UAV that is set for each type of the UAV in the region.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 및 상기 권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eigh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the region.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set by the weight of the UAV may be set so that the altitude of the UAV is proportional to the weight of the UAV.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set by the speed of the UAV may be set so that the altitude of the UAV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UAV.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권역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권역 별로 설정된 최고 속도 제한 및 최저 속도 제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zone of the UAV may be set so that the altitude of the UAV i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maximum speed limit and a minimum speed limit set for each zone.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기능 제한 정책은, 상기 권역이 거주지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촬영 기능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unction restriction policy of the UAV may be to stop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function and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UAV when the region is a residence.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임무가 긴급 임무이거나, 상기 권역이 유료 영역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속 운항을 허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eed policy of the unmanned airplane may allow the unmanned airplane to operate at a high speed if the unmanned airplane's mission is an emergency mission or the zone is a paid area.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waypoi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인 항공기가 상기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 a method for supporting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performed by an operation supporting device of an unmanned air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inputting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the unmanned airplane; Inputt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AV and the navigation target, setting a zone that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Generating a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based on the navigable area, and controlling navig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operates the navigation route.

이때,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허가된 권역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속도, 임무 및 상기 권역의 요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setting the operable region may set the operable region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permitted region information, weight, speed, mission and charge information of the region.

이때,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서의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p of generating the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may include: generating,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three-dimensional route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avigable area, The altitude, the coordinates, the speed, and the function restriction conditions of the navigation path.

이때, 상기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는, 상기 권역에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종류별로 설정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 속도 정책 및 기능 제한 정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licy information for the zo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titude policy, a speed policy, and a function restriction policy of the UAV that is set for each type of the UAV in the region.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 및 상기 권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eigh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the region.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set by the weight of the UAV may be set so that the altitude of the UAV is proportional to the weight of the UAV.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set by the speed of the UAV may be set so that the altitude of the UAV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UAV.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권역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권역 별로 설정된 최고 속도 제한 및 최저 속도 제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zone of the UAV may be set so that the altitude of the UAV i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maximum speed limit and a minimum speed limit set for each zone.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기능 제한 정책은, 상기 권역이 거주지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촬영 기능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unction restriction policy of the UAV may be to stop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function and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UAV when the region is a residence.

이때,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임무가 긴급 임무이거나, 상기 권역이 유료 영역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속 운항을 허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eed policy of the unmanned airplane may allow the unmanned airplane to operate at a high speed if the unmanned airplane's mission is an emergency mission or the zone is a paid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의 운항 경로와, 무인 항공기의 운항 방식을 제어함으로써, 무인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지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safe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route of the unmanned airplane and the operation manner of the unmanned airplan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권역 별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함으로써, 무인 항공기로 인한 불특정 다수의 사생활 침해를 예방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by each z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specified number of privacy invasion due to the UAV, and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항공기와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ooth traffic flow with other aircraft can be maintain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텍스트 DB에 저장된 정책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역별 정책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vironment to which an operation supporting apparatus for an unmanned air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upport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upporting navig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policy information stored in an air context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nvironment to which an operation supporting apparatus for an unmanned air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지원하기 위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관제 시스템(300) 3D 에어 맵(400) 및 에어 컨텍스트 DB(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an unmanned airplane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air map 400 and an air context DB 500 One can communicate with the other.

먼저, 무인 항공기(100)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 및 드론(drone) 등과 같이 조정사를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를 의미한다. First, the UAV 100 refers to a flight body manufactured to perform a designated mission without carrying an arbitrator such as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a drone.

이때, 무인 항공기(100)는 광학, 적외선, 레이더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장비를 탑재하여, 감시/정찰, 정밀공격무기의 유도, 통신/정보중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군용 목적의 무인 항공기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nmanned airplane 100 may be a military purpose unmanned airplane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such as optical, infrared, and radar sensors, and performing tasks such as monitoring / reconnaissance, precision attack weapon induction, communication / information relay .

또한, 무인 항공기(100)는 상업, 공공, 취미 생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민간 무인 항공기일 수 있다. 무인 항공기(100)는 물품을 배송하는 임무를 수행하거나, 재난 지역의 구호품 배송과 같은 응급 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항공기(100)는 무선 인터넷 망 구축 사업, 항공지도 제작 사업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거나, 영상 촬영 분야에서 활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AV 100 may be a civilian UAV that is used for commercial, public, hobby, and the like. The UAV 100 may perform the task of delivering goods or perform emergency rescue missions, such as delivering relief items in a disaster area. The UAV 100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 air map production business, or the like in the field of image shooting.

공공 목적의 무인 항공기(100)는 산불 감시 등의 재해 관측, 범죄자 추적, 국경 및 해안 경비, 불법조업 어선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개인의 취미 생활을 목적으로 사진을 촬영하거나, 녹화하는 용도로도 무인 항공기(100)가 사용될 수 있다. The public purpose UAV 100 may perform missions such as observing the fire, monitoring the criminals, border and coast guard, and watching illegal fishing boats. Also, the unmanned airplane 100 can be used for photographing or recording pictures for the purpose of personal hobbies.

다음으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waypoi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목표를 설정받을 수 있다. Next,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can receive the navigation goal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the unmanned airplane. At this time,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set the operation target of the UAV 100 from the control system 300.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현재 위치와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에어 컨텍스트 DB(500)로부터 정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receives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operation target of the UAV 100. At this time,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receive policy information from the air context DB 500. [

예를 들어, 현재 위치 A로부터 B까지 운항하는 운항 목표가 설정된 경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A에서 B까지의 경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avigation target for the current location A to B is set,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can receive policy information on one or mor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oute from A to B. [

정책 정보를 입력받은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이용하여,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설정된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한다. Th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which receives the policy information, sets the region that can be operated using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Then,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reates a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based on the set operational areas.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가 생성된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한다.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에 탑재된 비행 제어 모듈로 운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 제어 모듈은 무인 항공기(100)의 자세 제어 및 비행 제어에 사용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so that the UAV 100 can operate the generated operation route. At this time,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by transmitting a flight control signal to the flight control module mounted on the UAV 100. Here, the flight control module may refer to a module used for attitude control and flight control of the UAV 100.

그리고 관제 시스템(300)은 일반적인 원격 조정기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목표를 설정한다. 이때, 관제 시스템(300)은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system 30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eneral remote controller or a monitoring system, and sets the operation target of the UAV 100. At this time, the control system 300 can set the oper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the target point coordinate and the way point.

다음으로 3D 에어맵(3D Air Map)(400)은 무인 항공기(100)가 운항할 수 있는 항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 정보와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지원하는 정보 등을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에 제공한다. 이때, 운항 경로 정보는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3D Air Map (400) is used to provid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ut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AV 100, information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To the device 200. At this time, th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ree-dimensional path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마지막으로 에어 컨텍스트 DB(Air Context DB)(500)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가 요청한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제공한다. Finally, the air context database (DB) 500 provides policy information on the region requested by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에어 컨텍스트 DB(500)는 중량 별 고도 정책, 속도 별 고도 정책, 권역 별 고도 정책, 권역 별 속도 정책, 임무 성격 별 속도 및 고도 정책, 권역 별 임무 제한 정책, 요금 별 속도 및 고도 정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에어 컨텍스트 DB(500)의 정책 정보는 후술할 도 4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air context DB 500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ltitude policy by weight, an altitude policy by speed, an altitude policy by region, a speed policy by region, a speed and altitude policy by mission characteristic, a mission restriction policy by region, The above policy information can be stored.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air context DB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upport devic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운항 목표 입력부(210), 정책 정보 입력부(220), 권역 설정부(230), 운항 경로 생성부(240) 및 무인 항공기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2,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includes a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210, a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220, a region setting unit 230, a navigation path generating unit 240, (250).

먼저, 운항 목표 입력부(210)는 무인 항공기(100)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다. 이때, 운항 목표 입력부(210)는 무인 항공기(100)를 조종하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운항 목표를 입력받거나,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운항 목표를 수신할 수 있다. First, the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210 receives a navig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the UAV 100. At this time, the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210 can receive the navigation target directly from the user who controls the UAV 100, or receive the navigation target from the control system.

그리고 정책 정보 입력부(220)는 무인 항공기(100)의 현재 위치와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정책 정보 입력부(220)는 하나 이상의 권역에 대하여, 각각의 정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에어 컨텍스트 DB로부터 정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220 receives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AV 100 and the navigation target. At this time, the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220 can receive the respective policy information for one or more regions, and can receive the policy information from the air context DB.

다음으로 권역 설정부(230)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한다. 이때, 권역 설정부(230)는 허가된 권역 정보, 무인 항공기(100)의 기체 중량, 속도, 임무 및 권역의 요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Next, the domain setting unit 230 sets the domain that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t this time, the zone setting unit 230 can set a zone that can be op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permitted zone information, gas weight, speed, mission of the UAV 100, and charge information of the zone.

그리고 운항 경로 생성부(240)는 설정된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운항 경로 생성부(240)는 3D 에어 맵으로부터,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운항 경로 정보는 해당 권역의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항 경로 생성부(240)는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100)의 고도,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path generating unit 240 may generate a navigation path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based on the settable regions. At this time, the navigation route generating unit 240 can receive, from the 3D air map, th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that can be operated. The navigation path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ree-dimensional path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n addition, the navigation route generating unit 240 generates a navigation ro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ltitude, coordinates, speed, and function restriction conditions of the UAV 100 based on th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al region .

마지막으로, 무인 항공기 제어부(250)는 무인 항공기(100)가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한다. Finally, the unmanned airplan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100 operates the navigation path.

무인 항공기 제어부(250)는 무인 항공기(100)의 고도,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항 경로를 무인 항공기(100)로 전송하여,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한다. The unmanned airplane control unit 250 transmits a navigation ro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ltitude, coordinates, speed, and function restriction conditions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to the unmanned airplane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do.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supporting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performed by an operation supporting device of an unmanned air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through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upporting navig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다(S310).First,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receives input of a navigation target of the UAV 100 (S310).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다.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운항 목표를 입력받거나,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운항 목표를 수신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100 receives the oper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 point of the UAV 100. At this time,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receive the navigation target directly from the user or receive the navigation target from the control system.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현재 위치와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다(S320).In operation S320,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AV 100 and the policy information of each zon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arget.

이때, 무인 항공기(100)의 현재 위치는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이거나,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현재 위치와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에어 컨텍스트 DB로부터 정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AV 100 may be received from the UAV 100 or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receives policy information on one or mor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operation target of the unmanned airplane. Here,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receive policy information from the air context DB.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컨텍스트 DB에 저장된 정책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policy information stored in an air context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컨텍스트 DB는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정책 정보는 GPS 좌표를 기준으로 특정 권역에서 무인 항공기의 종류 별로 기체의 고도, 속도, 제한 임무 등을 기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air context DB may store one or more policy information. Here, the policy information may mean that the altitude, speed, and restriction task of the gas are recorded by the type of the UAV in a specific region based on the GPS coordinates.

특히, 에어 컨텍스트 DB는 중량 별 고도 정책, 속도 별 고도 정책, 권역 별 고도 정책, 권역 별 속도 정책, 임무 성격 별 속도 및 고도 정책, 권역 별 임무 제한 정책, 요금 별 속도 및 고도 정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ir context D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titude policy by weight, an altitude policy by speed, an altitude policy by region, a speed policy by region, a speed and altitude policy by mission type, a mission restriction policy by region, Policy information can be stored.

예를 들어, 중량 별 고도 정책은 무인 항공기 기체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 고고도로 비행하고, 기체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 저고도로 비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속도 별 고도 정책은 무인 항공기의 속도가 빠른 경우 고고도로 비행하고, 속도가 느린 경우 저고도로 비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altitude policy by weight may be set to fly at high altitude if the we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heavy, and to fly at low altitude if the weight of the aircraft is light. And the altitude policy according to the speed may be set to fly at high altitude if the speed of the UAV is fast and to fly at low altitude if the speed is low.

또한, 권역 별 고도 정책은 특정 권역의 최대 제한 높이 및 최소 제한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무인 항공기(100)가 해당 권역에서 제한 높이를 준수하며 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권역 별 속도 정책은 특정 권역에서의 최고 속도 및 최저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titude policy for each zone can set at least one of the maximum limit height and the minimum limit height of a specific zone so that the UAV 100 can fly in compliance with the limit height in the corresponding zone. And the regional speed policy may be set to at least one of a maximum speed and a minimum speed in a specific area.

임무 성격 별 속도 및 고도 정책은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임무가 구조, 구호품 배송 등의 긴급 임무일 경우 무인 항공기(100)의 고속 비행 및 저고도 비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허용하고,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임무가 상업적 용도이거나 긴급 임무가 아닌 경우 무인 항공기(100)의 고속 비행 및 저고도 비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한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The speed and altitude policy according to the mission characteristics allows at least one of the high speed flight and the low flight flight of the UAV 100 when the mission of the UAV 100 is an emergency mission such as rescue and relief delivering, ) May be configured to limit at least one of the high-speed flight and the low-altitude flight of the UAV 100 when the flight mission of the UAV 100 is for commercial use or is not an emergency mission.

다음으로 권역 별 임무 제한 정책은 해당 권역이 개인 주택 지역이거나 개인 사유지인 경우, 무인 항공기(100)의 카메라 및 마이크의 동작을 중지하여, 무인 항공기(100)가 비행 중에 촬영이나 녹음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요금 별 속도 및 고도 정책은 해당 권역이 유료 영역인 경우 고속 비행 및 저고도 비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허용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Next, when the zone is restricted to a private residential area or a private place, the operation restriction of the cameras and microphones of the UAV 100 is stopped so that the UAV 100 can not perform shooting or recording in flight Can be set. In addition, the rate and altitude policy for each rate may be set to allow at least one of high-speed flight and low-altitude flight if the zone is a pay zone.

그리고 에어 컨텍스트 DB는 권역별 진입 및 진출을 제한하는 정책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해당 권역에 진입 또는 진출할 때의 무인 항공기의 속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The AirContext DB may also include policies that restrict entry and entry into zones, and may limit the speed of unmanned aircraft when entering or advancing into that zone.

다음으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한다(S330). Next, th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sets up a domain that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S330).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 운항 목표, 허가된 권역 정보, 무인 항공기(100)의 기체 중량, 속도, 임무 및 권역의 요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한다.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is operated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policy information on a zone, a navigation target, permitted zone information, the weight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the weight, speed, Set the available regions.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복수 개의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운항 가능한 권역 중에서 최적의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set a plurality of operational regions, and can select and set an optimal operational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al reg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권역별 정책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권역들 각각에 정책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역 A 및 권역 B에는 정책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권역 C는 유료 영역으로 요금과 관련된 정책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policy information may be set in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For example, the policy information may not be set in the area A and the area B, and the area C may have the polic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ee as the fee area.

그리고 권역 D는 고도 200m 이상, 최고 속도 200km/h 및 영상 수집 금지가 정책 정보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역 E는 비행 금지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역 F는 긴급 임무 시 비행을 허용하고, 일반 임무 시에는 비행을 금지할 수 있으며, 구역 G는 고도 100m 이하의 비행을 금지하고, 최고 속도를 20km/h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구역 H는 기체 중량이 12kg 이상, 23kg 미만인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허용하고, 고도를 100m로 제한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100)의 최저 속도를 40km/h로 설정할 수 있다. Region D may have an altitude of 200 m or more, a maximum speed of 200 km / h, and image collection prohibition may be set as policy information, and Zone E may be set as a non-flying zone. In addition, Zone F may prohibit flights during emergency missions, prohibit flights during normal missions, Zone G may prohibit flights below 100 m altitude, and may limit the maximum speed to 20 km / h. Zone H allows the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100) having a weight of 12 kg or more and less than 23 kg, an altitude of 100 m, and a minimum speed of 40 km / h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도 5와 같이, 무인 항공기(100)의 현재 위치(510) 및 목표 지점 좌표(웨이 포인트)(520)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가 권역 A, 권역 D 및 권역 F를 통하여 목표 지점 좌표(520)에 도달하도록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5, when the current position 510 and the target point coordinate (waypoint) 520 of the UAV 100 are set,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AV 100 is a region A, region D, and region F to reach the target point coordinate 520. In this case,

또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가 권역 B, 권역 C, 권역 H 및 권역 G를 통하여 목표 지점 좌표(520)에 도달하도록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may set a region that can be operated so that the UAV 100 reaches the target point coordinates 520 through the zones B, C, H, and G.

이와 같이,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권역들 각각에 설정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set a plurality of operational regions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set in each of the regions.

예를 들어, 무인 항공기(100)가 구호물품을 배송하는 긴급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권역 A, 권역 D 및 권역 F를 제1 운항 가능한 권역으로 설정하고, 권역 B, 권역 C, 권역 H 및 권역 G를 제2 운항 가능한 권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nmanned airplane 100 performs an urgent task of delivering relief items, th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sets the region A, the region D, and the region F as the first operable region, The region B, the region C, the region H, and the region G as the second operable region.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제1 운항 가능한 권역 및 제2 운항 가능한 권역 중에서 최단 시간, 최단 거리, 최소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최적인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선택할 수 있다.Then,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select a region that is optimal for at least one of the shortest time,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minimum cost among the first and the second operable regions.

반면, 무인 항공기(100)가 상업적인 목적으로 택배를 배송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권역 B, 권역 C, 권역 H 및 권역 G만을 운항 가능한 권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AV 100 performs the task of delivering the courier for commercial purposes, the oper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set the region B, region C, region H, .

다시 도 3에 대하여 설명하면,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설정된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한다(S340).Referring back to FIG. 3,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100 generates a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of the UAV 100 (S340), based on the settable regions.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3D 에어 맵으로부터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항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receive flight path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ree-dimensional path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from the 3D air map. And,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generate the navigation route of the UAV 100 based on the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navigation device can operate.

또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고도, 좌표, 속도 및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의된 웨이포인트(waypoint)를 포함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generate a navigation route including a waypoint in which at least one of altitude, coordinates, speed, and restriction conditions is defined.

예를 들어, S330 단계에서, 권역 B, 권역 C, 권역 H 및 권역 G가 운항 가능한 권역으로 선택된 경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권역 B, 권역 C, 권역 H 및 권역 G 각각에 상응하는 좌표를 웨이포인트로 설정하고, 각각의 권역 별 무인 항공기(100)의 고도 및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S330, when the navig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selects the area B, the area C, the area H, and the area G,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can be set as waypoints, and the altitude and speed of each UAV 100 can be set.

또한, 특정 권역에 영상 수집 금지 등과 같은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해당 권역에서 무인 항공기(100)가 해당 제한 조건에 상응하는 운항을 수행하도록 제한 조건을 정의한 웨이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restriction condition such as prohibition of image collection is set in a specific area,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can not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in the corresponding area You can set a defined waypoint.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설정된 복수 개의 운항 가능한 권역 중에서, 무인 항공기(100) 및 운항 목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운항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generate a navigation route based on the operational area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and the navigation target among the plurality of the operational areas.

마지막으로,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가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한다(S350). Finally,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so that the UAV 100 operates the operation route (S350).

이때,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하는 운항 제어 신호를 무인 항공기(100)의 비행 제어 모듈로 전송하여,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can transmit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to the flight control module of the UAV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have.

여기서, 운항 제어 신호는 무인 항공기(100)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 웨이포인트 정보, 운항 경로에 상응하는 권역 별 무인 항공기(100)의 고도, 방향,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navigation control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ltitude, direction, coordinates, speed, and function restriction conditions of the UAV 100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route, waypoint information, and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UAV 100 .

그리고 기능 제한 조건은 무인 항공기(100)의 센서(카메라, 마이크 등)의 작동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센서의 작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100)가 기능 제한 조건에 상응하는 운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unction limiting condi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a sensor (a camera, a microphone, etc.) of the UAV 100. The operation support device 200 of the UAV may us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ns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AV 100) to perform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restriction condi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개별 무인 항공기(100)이 운항 목표에 대한 정밀 지도 및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칩과, 무인 항공기(100)의 비행 제어 모듈 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for an unmanned air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vigation chip including the precision map for the navigation target and the policy information for the area, and the navigation chip for the unmanned airplane 100 100) can be provided.

이를 통하여,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가 비행하는 공간 상에서, 무인 항공기(100)의 정보 및 권역별 정책 정보에 상응하도록 운항하도록 무인 항공기(100)의 운항을 지원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200)는 무인 항공기(100)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us,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nmanned airplane supports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so as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and the policy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100 in the space where the unmanned airplane 100 is flying Or control. In addition, the navigation support apparatus 200 of the UAV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UAVs 10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6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600)은 버스(6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 메모리(630), 사용자 입력 장치(640), 사용자 출력 장치(650) 및 스토리지(6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600)은 네트워크(6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630)나 스토리지(6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630) 및 스토리지(6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631)이나 RAM(63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600, such a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6, the computer system 6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610, a memory 630, a user input device 640, a user output device 650, and a storage 630, which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via a bus 620. [ 660 < / RTI > In addition, the computer system 600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670 connected to the network 680. The processor 6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the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630 or the storage 660. [ Memory 630 and storage 660 may b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may include a ROM 631 or a RAM 632.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Th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or in a non-volatile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When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 processor, the instructions readable by the computer are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UA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various implementations All or some of the example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 무인 항공기
200: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210: 운항 목표 입력부
220: 정책 정보 입력부
230: 권역 설정부
240: 운항 경로 생성부
250: 무인 항공기 제어부
300: 관제 시스템
400: 3D 에어맵
500: 에어 컨텍스트 DB
600: 컴퓨터 시스템
610: 프로세서
620: 버스
630: 메모리
631: 롬
632: 램
640: 사용자 입력 장치
650: 사용자 출력 장치
660: 스토리지
6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680: 네트워크
100: Unmanned aircraft
200: Operation support device of unmanned airplane
210: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220: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230:
240: Navigation path generating unit
250: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unit
300: Control system
400: 3D Air Map
500: Air Context DB
600: Computer system
610: Processor
620: bus
630: Memory
631: Rom
632: RAM
640: User input device
650: User output device
660: Storage
670: Network interface
680: Network

Claims (20)

무인 항공기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waypoi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 운항 목표 입력부,
상기 무인 항공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 정책 정보 입력부,
상기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권역 설정부,
설정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운항 경로 생성부, 그리고
상기 무인 항공기가 상기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하는 무인 항공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A navigation target input unit for inputting a navig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the UAV,
A policy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AV and the navigation target,
A domain setting unit for setting a domain that can be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A navigation rout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based on the set operational area,
The unmanned airplan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operates the navigation path
Wherein the navigation device is a navig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역 설정부는,
허가된 권역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속도, 임무 및 상기 권역의 요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gion setting unit,
And sets the operable region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the permitted zone information, the weight, the speed, the mission of the unmanned airplane, and the charge information of the z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경로 생성부는,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서의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avigation path generating unit comprises:
Coordinates, speed, and function limitation condition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operable region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three-dimensional path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ble region The navigation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는,
상기 권역에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종류별로 설정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 속도 정책 및 기능 제한 정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icy information for the domain includes,
And an altitude policy, a speed policy, and a function restriction policy of the unmanned airplane set for each type of the unmanned airplane in the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 및 상기 권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ltitude poli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plane,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plane, and the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we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rein the height of the unmanned airplane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weight of the unmanned airpla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speed of the UAV is,
Wherein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irplane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pla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권역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권역 별로 설정된 최고 속도 제한 및 최저 속도 제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zon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Wherein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et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maximum speed limit and a minimum speed limit set for each of the zon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기능 제한 정책은,
상기 권역이 거주지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촬영 기능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unctional restriction poli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stop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function and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when the area is a reside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임무가 긴급 임무이거나, 상기 권역이 유료 영역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속 운항을 허용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peed policy of the UAV,
Wherein the unmanned airplane allows the unmanned airplane to operate at a high speed when the mission of the unmanned airplane is an emergency mission or when the area is a toll area.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목표 지점 좌표 및 웨이포인트(waypoi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운항 목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각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기반으로,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인 항공기가 상기 운항 경로를 운항하도록,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A method for supporting operation of an unmanned airplane performed by an operation support device of an unmanned airplane,
Receiving a navigation targe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target point coordinate and a waypoint of the UAV;
Receiving policy information for each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AV and the navigation target;
Setting a domain that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policy information for each domain,
Generating a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based on the set navigable area,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operates the navigation path
Wherein said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허가된 권역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속도, 임무 및 상기 권역의 요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을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tting of the operable region comprises:
And setting the operable region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authorized zone information, weight, speed, mission of the unmanned airplane, and charge information of the zo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목표에 상응하는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 상응하는 3차원 경로 정보, 고도 정보 및 표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운항 가능한 권역에서의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좌표, 속도 및 기능 제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경로를 생성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a navig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target comprises:
Coordinates, speed, and function limitation condition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operable region based on at least any one of three-dimensional path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an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ble region Wherein the navigation system is operable to generate the navigation rou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역에 대한 정책 정보는,
상기 권역에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종류별로 설정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 속도 정책 및 기능 제한 정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licy information for the domain includes,
A speed policy, and a function restriction policy of the unmanned airplane set for each type of the unmanned airplane in the reg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 및 상기 권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ltitude poli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plane,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plane, and the reg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중량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we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rein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irplane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weight of the unmanned airpl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speed of the UAV is,
Wherein the elev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speed of the unmanned airpla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권역 별로 설정된 고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도가, 상기 권역 별로 설정된 최고 속도 제한 및 최저 속도 제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altitude policy set for each zon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Wherein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et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maximum speed limit and a minimum speed limit set for each of the area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기능 제한 정책은,
상기 권역이 거주지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촬영 기능 및 녹음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unctional restriction poli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stop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ing function and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when the area is a residen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속도 정책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운항 임무가 긴급 임무이거나, 상기 권역이 유료 영역인 경우, 상기 무인 항공기의 고속 운항을 허용하는 무인 항공기의 운항 지원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eed policy of the UAV,
Wherein the unmanned airplane permits high speed opera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when the mission of the unmanned airplane is an emergency mission or when the region is a charged area.
KR1020160100075A 2016-04-21 2016-08-05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701204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25 2016-04-21
KR20160048825 2016-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75A true KR20170120475A (en) 2017-10-31

Family

ID=6030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75A KR20170120475A (en) 2016-04-21 2016-08-05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47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7197A (en) * 2019-01-21 2019-04-16 南京航空航天大学 The busy grade stage division of way point based on probability density
CN109637198A (en) * 2019-01-21 2019-04-16 南京航空航天大学 The busy grade grading plant of way point
KR102269792B1 (en) * 2021-04-12 2021-06-28 주식회사 디지털커브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ltitude for flying unmanned air vehicle and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CN113359833A (en) * 2021-06-22 2021-09-07 西安爱生技术集团有限公司 Task planning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formation cooperative reconnaissance
KR102391924B1 (en) * 2021-10-08 2022-04-2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planning of unmanned air vehic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7197A (en) * 2019-01-21 2019-04-16 南京航空航天大学 The busy grade stage division of way point based on probability density
CN109637198A (en) * 2019-01-21 2019-04-16 南京航空航天大学 The busy grade grading plant of way point
CN109637197B (en) * 2019-01-21 2021-04-20 南京航空航天大学 Method for classifying busy grades of waypoints based on probability density
CN109637198B (en) * 2019-01-21 2021-04-23 南京航空航天大学 Waypoint busy grade grading device
KR102269792B1 (en) * 2021-04-12 2021-06-28 주식회사 디지털커브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ltitude for flying unmanned air vehicle and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CN113359833A (en) * 2021-06-22 2021-09-07 西安爱生技术集团有限公司 Task planning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formation cooperative reconnaissance
CN113359833B (en) * 2021-06-22 2023-07-28 西安爱生技术集团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formation collaborative reconnaissance task planning method
KR102391924B1 (en) * 2021-10-08 2022-04-2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planning of unmanned ai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3133B2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safety concerning drones
US1145589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power management
US1123037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platform
JP5523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JP6389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light paths of an autonomous airplane
CN107407938B (en) Open platform for flight-limiting area
US9646283B2 (en) Secure payload deliveries via unmanned aerial vehicles
US9542849B1 (en) Risk-based flight path data generating system, device, and method
KR201701204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60300495A1 (en) Secure communication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701397B1 (en)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unmanned vehicle and system
US20220189313A1 (en) Exposure-time-based cost function for route planning
Campaña et al. Air tracking and monitoring for unmanned aircraft traffic management
JP2023162867A (en) Route generation device, route gene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
JPWO2019181896A1 (en) Mobile management system
Lin et al. DAA Solution on UTM
KR20180027855A (en) intelligent flight control apparatus for nunmanned vehicle
KR20200049158A (en) A Restricted Zone Intrusion Prevention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