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530A -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530A
KR20170116530A KR1020160044414A KR20160044414A KR20170116530A KR 20170116530 A KR20170116530 A KR 20170116530A KR 1020160044414 A KR1020160044414 A KR 1020160044414A KR 20160044414 A KR20160044414 A KR 20160044414A KR 20170116530 A KR20170116530 A KR 2017011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mage
biometric
authent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현
신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6004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530A/ko
Priority to PCT/KR2016/004054 priority patent/WO2017179751A1/ko
Publication of KR2017011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06K9/000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6K9/00087
    • G06K9/0010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82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2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 H01S5/32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 H01S5/323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omprising PN junctions, e.g. hetero- or double- heterostructures in AIIIBV compounds, e.g. AlGaAs-laser, InP-based laser emitting light at a wavelength longer than 1000 nm, e.g. InP-based 1300 nm and 1500 nm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87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emitting more than one wave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장치는 가시광선 대역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 광이 생체지문에서 반사되어 생성되는 이미지가 위조지문과 차이가 있는 점을 이용하여 위조지문과 생체 지문을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Fake Fingerprint Using Wave Length of Light}
본 발명은 가시광선 대역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 광이 생체지문에서 반사되어 생성되는 이미지가 위조지문과 차이가 있는 점을 이용하여 위조지문과 생체 지문을 판별할 수 있는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기를 이용한 개인 인증에 불변성과 유일성이 뛰어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이미 일반화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지문인식은 매우 간단한 구조에 대비하여 성능이 매우 뛰어난 편이기 때문에 다른 수단에 비해 가장 주목되고 일반화된 인증수단이 되고 있다.
지문인증을 위해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프리즘 등을 이용하는 광학식과 반도체 칩을 이용하는 반도체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광학식은 프리즘, 렌즈와 같은 광학장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프리즘에 접촉한 사용자 지문으로 광을 비추어 사용자 지문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광을 렌즈를 통해 이미지 센서에 결상시켜 이미지로 획득하는 방법이고, 반도체식은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칩 표면에 지문을 직접 접촉시킬 때 칩 표면에서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지문 이미지가 획득되면, 지문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등록된 지문과 비교하는 인증과정을 수행한다.
통상의 개인인증은, 출입제어,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개인용 컴퓨터(PC)의 보안 및 사무적 결재체계 등과 같이 보안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바, 등록된 사용자 본인의 지문이 아닌 위조된 지문(이하 '위조지문'이라 함)을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위조지문은 투명필름이나 종이에 지문 이미지를 인쇄한 것이거나 지문 틀(Mold)에 실리콘, 고무, 젤라틴, 목공용 본드 등의 소재에 넣어 굳혀서 지문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조지문은 실제 사람 지문 위에 붙이거나, 기타 고정물에 붙여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위조지문을 종래의 지문인식장치에 입력하면, 생체 지문과 유사한 지문 이미지가 획득되고, 특징점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생체 지문과 구분없이 처리된다. 종래에도 위조지문을 판별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들이 많이 있었다. 기본적으로는 지문을 접촉하는 면의 일 측에 생체 자체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두는 방법이 있었다.
또한,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874688호와 제1179559호를 통해, 프리즘을 향해 소정 범위 내의 입사각으로 광을 출사하는 별도의 광원을 더 배치하여 위조지문을 판별하기 위한 별도의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모조지문이 프리즘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할 경우 전반사를 위한 임계각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관련 발명]
1. 모조지문을 판별할 수 있는 지문인식장치 및 그 판단방법(대한민국 특허 제874688호, 특허 제11795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선 대역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보라색 광이 생체지문에서 반사되어 생성되는 이미지가 위조지문과 차이가 있는 점을 이용하여 위조지문과 생체 지문을 판별할 수 있는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문 판별방법은, 광굴절기를 이용한 광학식으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되 380nm 내지 450nm 대역에서 선택된 파장의 제1 광을 상기 광굴절기에 조사하여 상기 광굴절기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색상 분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색상 분포가 기설정된 생체지문의 색상 분포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방법은,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된 경우에, 그 지문 이미지를 그대로 이용하여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상기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조지문 판별방법은, 상기 제1 광원과 다른 제2 광원으로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을 소등하고, 상기 380nm 내지 450nm 대역에 속하지 않는 제2 광을 상기 광굴절기에 조사하여 상기 광굴절기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으로부터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용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인지 위조지문인지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추출한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색상정보가 없는 경우,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최대값(±오차 포함)에 해당하는 경우, 및 전체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로 낮은 경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지문을 위조지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문센서부, 색상정보추출부 및 생체판단부를 포함하는 위조지문 판별장치에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문 판별장치는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원을 사용하여 획득한 지문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재 지문이 위조지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지문 이미지를 그대로 이용하여 지문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조지문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상기의 광원 이외에, 지문 인증을 위한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원 별도로 두는 방법도 적용 가능하며, 두 개의 광원을 스위칭하면서 사용하더라도 지문 이미지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위조지문 판별용 지문 이미지와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 모두 획득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을 사용하여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예,
도 4는 지문종류별 색상정보의 통계치를 도시한 그래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조지문 판별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장치(100)는 지문센서부(110), 색상정보추출부(130) 및, 생체판단부(150)를 포함한다.
지문센서부(110)는 광굴절기(111), 제1 광원(113), 렌즈(115) 및 이미지센서(117)를 포함하며,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한 지문이 생체지문인지 위조지문인지 판별하기 위하여 광학식 지문인증방법에 따라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한 지문으로부터 '위조지문 판별용 지문 이미지(이하에서는, '제1 지문 이미지'라고도 함)를 획득한다. 지문센서부(110)의 지문 이미지 획득 방법은 산란식 및 흡수식을 포함하여 광학식으로 알려진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광굴절기(111)는 통상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프리즘을 사용하지만, 프리즘을 대신하여 넓은 개념의 광굴절기를 사용할 수 있다. 광굴절기(111)는 지문이 접촉되는 지문접촉면(111a)과, 지문접촉면(111a)에서 반사 또는 산란된 광(지문영상)이 출사되는 출사면(111b)과, 내부의 제1 광원(113)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11c)을 구비한다.
제1 광원(113)은 위조지문 판별용 광원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380 nm 내지 450nm 대역에서 선택된 파장의 광을 출사한다.
가시광선 대역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통상 380 nm 내지 700 nm 대역을 말하므로, 380 nm 내지 450nm 대역은 가시광선 대역 중 가장 짧은 파장 대역이며 대략 보라색 계열의 가시광선이며 인체에는 무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에는 녹색(G)과 청색(B) 성분뿐만 아니라, 적색(R)도 포함되어 있다. 다만 적색(R) 성분은 녹색(G)과 청색(B) 성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되어 있다.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은 피부 조직으로 침투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 대역의 광을 이용하여 생성한 지문 이미지는 그 선명도가 다른 대역, 특히 일반적으로 지문 인증에 널리 사용되는 500 ~ 600nm 대역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380 내지 450 nm 대역은 지문 인증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대역이다.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은 표피에서 직접 반사/흡수 되지 않고 피부 내에서 흡수 또는 반사된다. 이때,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 내에 포함된 적색 성분이 다른 청색이나 녹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지만, 헤모글로빈이 있는 곳까지 침투하였다가 헤모글로빈 등에 의해 충분히 반사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생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위조지문에서 380 내지 450 nm 대역의 광은 완전히 흡수되거나 특정 색상이 흡수되어 반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생체지문에서의 특성과 다른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380 내지 450nm 대역의 광의 이러한 특성을 발견하고 이를 위조지문 판단에 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판단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지문센서부(110)의 위조 지문 판별용 지문 이미지 획득 과정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지문접촉면(111a)에 지문을 접촉시키면, 제1 광원(113)에서 조사된 광이 광굴절기(111)의 입사면(111c)과 지문접촉면(111a)을 거쳐 생체지문(또는 위조지문)으로 입사되고, 생체지문(또는 위조지문)에서 흡수/반사/산란되면서 지문 이미지를 포함하게 된다. 지문에서 반사/산란된 광이 다시 광굴절기(111)로 입사되어 출사면(111b)을 거치면서 렌즈(115)에 결상되어 이미지센서(117)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산란식 지문센서부(110)에서, 제1 광원(113)에서 출사된 광은 직각 또는 전반사를 위한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지문접촉면(111a)에 입사된다. 제1 광원(113)에서 출사된 광은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된 지문의 골과 융선에 따라 통과되거나 산란되어 지문 영상을 형성한다. 이미지센서(117)는 입사되는 지문 영상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디지털 지문 이미지를 생성한다.
지문센서부(110)가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면, 색상정보추출부(130)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지문 이미지에서 RGB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생체판단부(150)는 RGB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문이 생체지문인지 위조지문인지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색상정보추출부(130)와 생체판단부(15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방법을 설명한다.
<지문 접촉에 따른 지문 이미지 획득: S201, S203>
광굴절기(111)의 지문접촉면(111a)에 지문이 접촉하면(S201), 지문센서부(110)는 제1 광원(113)을 점등하여 앞에서 설명하는 과정을 거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한다(S203). 이때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해 제1 광원(113)에서 출사되는 광은 380 내지 450 nm 대역에서 선택된 파장을 가지는 광으로서 위조지문 판별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3의 지문 이미지는 제1 광원(113)을 이용하여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예이다. 도 3의 (a)는 생체 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이고, (b)는 종이에 지문을 인쇄한 위조지문, (c)는 투명 필름에 지문을 인쇄한 위조지문, (d)는 지문 틀(Mold)에 고무를 부어 굳혀 만든 고무 재질의 위조지문, (e)는 지문 틀에 젤라틴을 부어 만든 젤라틴 재질의 위조지문, 그리고 (f)는 지문 틀에 실리콘을 부어 만든 실리콘 재질의 위조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이다.
지문센서부(110)는 생성한 지문 이미지를 색상정보추출부(130)에게 제공한다.
<지문이미지로부터 색상정보 추출: S205>
색상정보추출부(130)는 지문센서부(110)가 생성한 지문 이미지로부터 RGB 색상정보(또는 RGB 색상 분포)를 추출한다.
RGB 색상정보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각 성분의 밝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각 R, G, B 각 색상의 밝기를 0에서 255의 계조로 (R, G, B)의 형식으로 표시할 때, 검정색은 (0, 0, 0)으로 표시할 수 있고, 백색은 (255, 255, 255), 순수 적색은 (255, 0, 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색상정보추출부(130)는 지문센서부(110)가 생성한 지문 이미지의 각 픽셀의 RGB 색상정보를 구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별로 평균하여 구한 평균값을 해당 지문 이미지의 RGB 색상정보로 구한다. 예컨대, 도 4의 (a)는 제1 광원(113)을 사용하여 지문센서부(110)에 접촉한 생체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색상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20, 150, 214)이다.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위조지문 판별: S207 내지 S215>
생체판단부(150)는 색상정보추출부(130)가 추출한 RGB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지문센서부(110)의 광굴절기(111)의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한 지문이 생체지문인지 위조지문인지 최종 판단한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은 복수 개의 생체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색상정보의 통계치와 각종 위조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색상정보의 통계치가 될 것이며, 통계에 사용된 생체지문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정확한 기준이 될 것이다.
도 4는 지문 종류별 색상정보의 통계치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a)는 생체 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색상정보이고, (b) 내지 (f)는 위조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색상정보이다. (b)는 종이, (c)는 투명 필름, (d)는 고무, (e)는 젤라틴, 그리고 (f)는 실리콘 재질의 위조지문이다.
도 4의 (b)와 (c)를 참조하면, 종이나 투명 필름으로 된 위조지문에서 획득한 지문 이미지에서는 어떠한 색상정보도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3의 (b)에서처럼 종이와 같은 불투명 재질의 위조지문이나, (C)에서처럼 필름 같은 투명 재질의 위조지문 모두에서 지문 형태가 거의 보이지 않는 검은 색상의 지문 이미지가 획득된 것이다. 다른 대역과 달리, 380 내지 450nm 대역의 짧은 파장이 종이와 필름, 그리고 그 인쇄부분에서 반사되지 않는 것이다.
도 3의 (d)와 (e)에서처럼, 고무나 젤라틴으로 만든 위조지문을 통해 획득한 지문 이미지는 녹색과 청색이 혼합된 색상의 이미지가 획득되고, 도 4의 (d)와 (e)를 통해 확인되는 색상정보도 녹색과 청색만 확인되고 적색성분이 하나도 나오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3의 (f)에서처럼, 실리콘으로 만든 위조지문을 통해 획득한 지문 이미지는 생체 지문과 유사한 색상의 이미지가 획득되고, 도 4의 (f)를 통해 확인되는 색상정보도 생체지문에서처럼 녹색과 청색뿐만 아니라 적색 성분도 확인된다. 다만, 생체지문과 비교하여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가 모두 낮아 전체적으로 어두운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생체판단부(150)이 생체지문과 위조지문을 구분하는 기준이 추출된다.
생체판단부(150)는 (1)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색상정보가 없는 경우에 위조지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7). (2) 또는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최대값(-오차 포함)에 해당하면 위조지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9). (3) 또는 전체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로 낮은 경우에도 위조지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S211).
위 3가지 조건에 모두 해당하지 않으면 해당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하고(S213), 위 3가지 조건에 어느 하나에라도 해당하면 해당 지문을 위조지문으로 판단한다(S215).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위조지문 판별과정이 수행된다.
<생체 지문 판단에 따른 속행 절차 1>
위 도 2의 방법에 따라 지문센서부(110)에 접촉한 지문이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단되면, 지문 입력의 본래 목적에 따른 기능을 속행해야 한다. 그러한 기능에는, (1) 기등록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이 동일한 지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문 인증과정이 일반적이며, (2) 지문 인증에 기초한 추가른 절차(출입문을 개방, 온라인 금융 절차 등)도 포함될 수 있다. (3) 그 외에도 지문 인증의 기초가 되는 지문을 등록하는 과정도 위조지문 판단과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지문 인증은 통상 현재 지문센서부(110)에 접촉한 지문으로부터 획득한 지문 이미지에서 특징점(또는 특징점 데이터)을 추출하고, 그 특징점 데이터가 기등록된 지문의 특징점 데이터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새로 추출한 특징점 데이터가 기 등록된 특징점 데이터와 동일하면, 두 개의 지문은 동일한 지문이 되는 것이다.
도 1의 위조지문 판별장치(100)가 위조지문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1 광원(113)을 이용하여 획득한 지문 이미지에서도 특징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방법에 따라 생체지문으로 판별되면, 즉시 지문 인증을 위한 특징점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가적인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필요없이 지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생체 지문 판단에 따른 지문 인증 2>
다른 방법으로, 제1 광원(113)이 아닌 다른 제2 광원을 사용하여 지문 인증을 위한 지문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을 1회 입력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할만한 과정 중에, 제1 광원(113)과 제2 광원을 이용한 두 개의 지문 이미지 생성과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광원을 사용하는 방법이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문 인증장치(500)는 지문센서부(510)와, 지문센서부(510)를 제어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제어부(530)는 색상정보추출부(130), 생체판단부(150), 특징점추출부(531) 및 지문인증부(533)를 포함한다. 색상정보추출부(130) 및, 생체판단부(150)는 도 1의 색상정보추출부(130) 및, 생체판단부(150)와 동일한 구성이다.
지문센서부(510)는 도 1의 제1 광원(113)에 더하여 제2 광원(501)을 더 포함한다. 제2 광원(501)은 지문 이미지 획득용 광원으로서,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500nm 내지 600 nm 대역에서 선택된 녹색 계열의 광을 사용한다. 이 대역의 광이 비교적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된다. 한편, 제2 광원(501)의 위치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제1 광원(113)의 후단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1 광원(113)과 나란하게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지문센서부(510)는 지문인증부(533)의 제어에 따라, 제1 광원(113)과 제2 광원(501)을 스위칭하게 된다. 제1 광원(113)이 점등되고 제2 광원(501)은 소등되어 있는 동안 위조지문 판별용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광원(113)이 소등되고 제2 광원(501)은 점등되어 있는 동안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또는 '제2 지문 이미지'라고 함) 생성한다.
지문인증부(533)는 색상정보추출부(130)와 생체판단부(150)에 의해 수행되는 도 2의 위조지문 판별과정과 그 결과에 따른 지문 인증과정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S207 내지 S213 단계에서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한 지문이 생체판단부(150)에 의해 생체지문으로 판단되면, 지문인증부(533)는 지문센서부(510)로 하여금 제1 광원(113)을 소등하고 제2 광원(501)을 점등하여 제2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지문이 광굴절기(111)의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해 있는 중에, 지문센서부(510)는 제1 광원(113)을 소등하고 제2 광원(501)을 점등하여 인증용 지문 이미지(제2 지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특징점추출부(531)는 지문센서부(510)가 획득한 제2 지문 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특징점추출부(531)의 특징점 추출방법은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지문인증부(533)는 특징점추출부(170)가 추출한 특징점을 이용하여 지문접촉면(111a)에 접촉한 지문이 이미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S201 내지 S213 단계에 이어지는 제2 지문 이미지 획득과 특징점 추출 및 인증 과정은 사용자가 단순히 1회 지문 입력으로 인식할만한 매우 짧은 시간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8)

  1. 광굴절기를 이용한 광학식으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되, 380nm 내지 450nm 대역에서 선택된 파장의 제1 광을 상기 광굴절기에 조사하여 상기 광굴절기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색상 분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색상 분포가 기설정된 생체지문의 색상 분포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광을 소등하고, 상기 380nm 내지 450nm 대역에 속하지 않는 제2 광을 상기 광굴절기에 조사하여 상기 광굴절기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으로부터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용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색상정보가 없는 경우,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최대값(±오차 포함)에 해당하는 경우, 및 전체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로 낮은 경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지문을 위조지문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방법.
  5. 광굴절기와, 380nm 내지 450nm 대역에서 선택된 파장의 광을 상기 광굴절기에 조사하는 제1 광원과,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광학식으로 상기 광굴절기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지문센서부;
    상기 획득한 지문 이미지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색상 분포를 추출하는 색상정보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색상 분포가 기설정된 생체지문의 색상 분포에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하는 생체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판단부가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특징점을 기초로, 상기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지문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센서부에 내장되어,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굴절기로 380nm 내지 450nm 대역에 속하지 않는 광을 상기 광굴절기로 출사하는 제2 광원;
    상기 생체판단부가 상기 지문을 생체지문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지문센서부로 하여금 상기 제1 광원을 소등하고 상기 제2 광원을 점등하여 상기 광굴절기의 지문접촉면에 접촉한 지문으로부터 상기 인증용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지문인증부; 및
    상기 인증용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인증부는 상기 추출한 특징점을 기초로, 상기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판단부는,
    상기 색상정보추출부가 추출한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색상정보가 없는 경우,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라도 최대값(±오차 포함)에 해당하는 경우, 및 전체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의 밝기가 기준값 이하로 낮은 경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지문을 위조지문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문 판별장치.




KR1020160044414A 2016-04-11 2016-04-11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16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14A KR20170116530A (ko) 2016-04-11 2016-04-11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6/004054 WO2017179751A1 (ko) 2016-04-11 2016-04-19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414A KR20170116530A (ko) 2016-04-11 2016-04-11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530A true KR20170116530A (ko) 2017-10-19

Family

ID=6004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414A KR20170116530A (ko) 2016-04-11 2016-04-11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16530A (ko)
WO (1) WO201717975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0090B2 (en) 2019-08-21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US11423691B2 (en) 2019-11-07 2022-08-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514723B2 (en) 2019-08-26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iveness
US11758793B2 (en) 2019-09-06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ngerprint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867B2 (en) * 2019-03-20 2022-12-13 Ricoh Company, Ltd. Surface emitting laser element, illumination device, projection device, measurement device, robot, electronic apparatus, mobile body, and mode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39B1 (ko) * 2008-09-08 2010-11-12 주식회사 에스원 지문인식장치 및 방법, 위조지문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054314B1 (ko) * 2009-12-10 2011-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조 지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9342729B2 (en) * 2010-08-06 2016-05-17 Secugen Corporation Fake fingerprint detection system
KR20100123812A (ko) * 2010-11-12 2010-11-25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생체지문 판단장치 및 그 판단방법
KR101436786B1 (ko) * 2013-03-21 2014-09-11 주식회사 슈프리마 위조 지문 판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0090B2 (en) 2019-08-21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US11568036B2 (en) 2019-08-21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US11514723B2 (en) 2019-08-26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iveness
US11758793B2 (en) 2019-09-06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ngerprint sensor
US11423691B2 (en) 2019-11-07 2022-08-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751A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643B1 (ko) 생체지문 판단장치 및 그 판단방법
US9165178B2 (en) Determination device, fingerprint input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program for detecting the forgery of a finger
CN107438854B (zh) 使用移动设备捕获的图像执行基于指纹的用户认证的系统和方法
CN110326001B (zh) 使用利用移动设备捕捉的图像执行基于指纹的用户认证的系统和方法
US76271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biometric feature definition
KR20170116530A (ko) 광 파장 특성을 이용한 위조지문 판별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29164A1 (en) Identit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hybrid biometrics
JP2004265269A (ja) 個人認証装置
CN115273162A (zh) 用于身份验证的有机体检测系统和方法
US20220300593A1 (en)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identification of a subject
KR20100029604A (ko) 지문인식장치 및 방법, 위조지문 판별 시스템 및 방법
JP2708051B2 (ja) 指紋像入力装置
KR20170136692A (ko) 위조 지문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 휴대용 보안인증기의 인증방법
JP2008015939A (ja) 非接触型指紋入力装置及び指紋照合装置
Rowe et al. Multispectral imaging for biometrics
KR20100123812A (ko) 생체지문 판단장치 및 그 판단방법
JP2008527544A (ja) マルチスペクトル画像化を用いるバイオメトリック認識/検証
KR100607577B1 (ko) 광학식 지문취득 장치의 모조지문 판별방법 및 장치
JP4694352B2 (ja) 指紋照合装置
KR10060757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모조지문 판별방법 및 장치
JP2713311B2 (ja) 指紋像入力装置
KR100904902B1 (ko) 광학식 지문영상 취득 장치의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
CN115457602A (zh) 一种生物特征识别方法和系统
JPH06162175A (ja) 指紋照合処理装置
CN113627347A (zh) 一种活体指纹识别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