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834A -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 Google Patents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834A
KR20170114834A KR1020160042414A KR20160042414A KR20170114834A KR 20170114834 A KR20170114834 A KR 20170114834A KR 1020160042414 A KR1020160042414 A KR 1020160042414A KR 20160042414 A KR20160042414 A KR 20160042414A KR 20170114834 A KR20170114834 A KR 2017011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verage
filter
ca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2434B1 (en
Inventor
윤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빈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to KR102016004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34B1/en
Priority to EP16833337.5A priority patent/EP3332677A4/en
Priority to PCT/KR2016/008521 priority patent/WO2017023101A2/en
Priority to US15/750,435 priority patent/US20180352993A1/en
Publication of KR2017011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안착되는 필터; 및 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는 캡;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피스톤 방식으로 내용물을 가압하는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내용물이 담기는 메인몸체를 신축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stretch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xtract beverage by pressing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filter mount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ap provid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the main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unlike the conventional art in which the contents are pressed by the piston syst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extract the beverage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Description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0001]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0002]

본 발명은 음료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기는 내용물을 가압하여 차,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a pressure capable of extracting a beverage such as tea, coffee, etc. by pressing contents contained therein.

일반적으로 차, 커피 등과 같은 음료는 구입하여 음용하거나, 티백 또는 인스턴트 식품 등을 이용하여 음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 커피 등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두커피 분말이나 찻잎 분말 등의 원재료를 구입하여, 개인의 기호대로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Generally, drinks such as tea and coffee are purchased and consumed, or tea bags or instant foods are used for drinking.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purchase raw materials such as coffee bean powder and tea leaf powder, which are necessary for manufacturing tea and coffee, and drink and make drink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individuals.

한편, 원두커피의 경우에는 핸드 드립(Hand drip) 방식,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 방식 및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 방식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핸드 드립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커피 제조 방식으로, 깔때기 모양의 드립퍼(driper)에 원추형의 여과지를 깔고, 원두커피 분말을 담은 다음 뜨거운 물을 원두커피 분말에 부어 드립퍼 아래에 위치된 용기로 흘러내리게 하는 방식이고, 에스프레소 머신 방식은 에스프레소머신을 이용하여 빠르게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며, 프렌치 프레스 방식은 주사기와 같은 형태로 관 형태의 유리용기 안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준 후에 금속 재질의 필터로 원두커피 분말을 가압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ffee beans,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a hand drip method, an espresso machine method, and a French press method. Hand Drip is the most commonly used coffee making method, in which a conical filter paper is laid on a funnel shaped drier, the coffee bean powder is poured, the hot water is poured into a coffee bean powder, The espresso machine method extracts coffee quickly by using an espresso machine. In the French press method, coffee powder is put into a tube-shaped glass container like a syringe, hot water is poured, and then a metal material filter And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by pressurizing the bean coffee powder.

요즘에는 간편하고 빠른 에스프레소 머신 방식을 많이 이용하지만, 에스프레소머신의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일반 가정 또는 개인의 경우에는 핸드 드립 방식이나 프렌치 프레스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핸드 드립의 경우에는 물을 붓는 방법이나 물의 양에 따라 커피 맛이 달라지고 커피를 추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프렌치 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Nowadays, although a lot of simple and fast espresso machines are used, espresso machines are expensive and bulky, so they usually use hand drips or French presses for ordinary households or individuals. Especially, in the case of hand drip, the coffee tas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ouring water or the amount of water,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extract the coffee. Therefore, a lot of people extract coffee using the French press method.

프렌치 프레스 방식의 커피 추출방식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내에 원두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붓고, 상부로부터 필터가 장착된 거름망을 삽입하여 원두커피 분말을 걸러내는 방식으로서 비교적 커피를 빠르게 우려낼 수 있기 때문에 에스프레소 커피에 근접한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rench-style coffee extrac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method of pouring coffee bean powder and hot water into a container and inserting a filter-equipped sieve net from the upper part to filter the coffee bean pow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duce coffee close to espresso coffee.

한편, 이와 같은 프렌치 프레스 방식은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우려난 커피(물)와 원두커피 분말을 분리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거름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두커피 분말을 눌러서 원두커피 분말과 커피(물)을 분리한 후 컵에 따라 음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렌치 프레스 방식의 경우에는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커피(물)을 추출함에 있어서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렌치 프레스 기기의 경우에도 휴대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휴대용으로 들고다니면서 원두커피를 추출하기에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eparate the coffee (water) and the coffee bean powder from the coffee bean powder using such a French press method, the user presses the bean coffee powder by using a plurality of holes, ), And drink according to the cup.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French press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much time and power to extract coffee (water) from the coffee bean powder.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French press machine, it is not impossible to carr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extract the coffee bean while carrying it in a portable manner.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주입 프레스, 등록일: 2012. 08. 06. )가 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there is disclosed a coffee infusion press for a stackable cup, .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which can extract a beverage easily with a small force by a user and uses pressure that is easy to carry and sto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안착되는 필터; 및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는 캡; 을 포함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a main body having a main body formed in a longitudinally stretchable shape so as to be able to extract beverage by pressing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filter mount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ap provid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상기 메인몸체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tretchable corrugated pipe.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주름관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캡과 결합되고, 음료 추출 시 별도의 용기에 대해 상기 주름관을 지지하는 결합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ellows pipe and coupled to the cap and supporting the bell tube with respect to a separate container when extracting a beverage.

상기 메인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신축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guide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guiding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기 주름관을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body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rrugated pipe.

상기 가이드몸체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The guide body may have a telescopic structure.

상기 가이드몸체는,상기 메인몸체의타측에 결합되는 프레스 유닛; 및 상기 프레스 유닛에 연결되고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다단 구조의 텔레스코픽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body includes: a press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multi-stage telescopic unit connected to the press unit and having a gradually expanding diameter.

상기 텔레스코픽유닛에는, 장공 형태로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 및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The telescopic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slot provided in the form of a slot; And a guide protrusion moved along the guide slot.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주름관의타단부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The press unit can fix the other end of the bellows pipe.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주름관의 플랜지부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다단 구조의 텔레스코픽유닛의최하단의텔레스코픽유닛과 결합할 수 있다. And the engaging bracket can engage with the telescopic unit at the lowermost end of the telescopic unit of the multi-stage structure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corrugated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결합브라켓의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면이 상기 플랜지부와 함께 실링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And a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lange portion.

상기 캡은 내부에 상기 필터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에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ap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filter is received therein.

상기 캡은 상기 메인몸체 및 상기 가이드몸체가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메인몸체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몸체의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main body and the guide body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main body and the guide body are being compressed, the cap may block the inflow of air into the main body to maintain the main body in a compressed state.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ap.

상기 주름관과 상기 결합브라켓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결합브라켓이 상기 주름관보다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The corrugated pipe and the coupling bracke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coupling bracke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rder than the corrugated pipe.

상기 결합브라켓에는, 음료 추출 시 상기 메인몸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홈이 마련될 수 있다. The coupling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groove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when extracting a beverage.

상기 필터는, 상기 결합브라켓에 안착되는 메인필터; 및 상기 메인필터와 상기 결합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omprising: a main filter mounted on the coupling bracket; And an auxiliary filter interposed between the main filter and the step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본 발명의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피스톤 방식으로 내용물을 가압하는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내용물이 담기는 메인몸체를 신축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the main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which the contents are pressed by the piston syst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xtract beverag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메인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몸체가 마련됨으로써 메인몸체의가압시 불필요한 압력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손실 마찰력을 최소화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body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loss friction is minimized so that unnecessary pressure loss is not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is pres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xtract the beverage.

더욱이, 본 발명의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캡을 이용하여 메인몸체가 압착된 상태가 되어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compressed by using the cap, so that the volume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itself using pressure can be reduced,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를 뒤집은 상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에서메인몸체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1 in an inverted state.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is compressed in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 이하 '음료 추출기' 라 함)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ink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를 뒤집은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에서메인몸체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4. Fig.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the pressur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몸체(110), 메인몸체(110) 개방된 일측에 안착되는 필터(120) 및 메인몸체(110)에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는 캡(140)을 포함한다. 1 to 6, a beverage extra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not shown)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extract beverage by pressing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filter 120 that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a cap 140 that is opened on th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110,

도 1을 참조하면, 메인몸체(110)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긴다. 이때, 메인몸체(110)에 담기는 내용물은 추출하고자 하는 음료에 따라 달라지며, 원두커피 분말, 찻잎 분말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메인몸체(110)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메인몸체(11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어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main body 110 contains contents therein.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main body 110 varies depending on the beverage to be extracted, and may be various forms such as coffee bean powder, tea leaf powder, and the like. That is, the main body 1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and re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extract beverage by pressing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nd the volum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이와 같은 메인몸체(110)는 주름관(112)을 포함한다. 주름관(112)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주름관(112)은 '자바라', '벨로우즈'와 같은 명칭으로 불리는 것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주름관(112)은 변형되더라도 복원이 용이한 용기이다. 한편, 주름관(112)의 개방된 일측의양단부는일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2a)가 마련된다. 주름관(112)의 플랜지부(112a)는 후술할 결합브라켓(114) 및 가이드몸체(13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corrugated pipe 112. The corrugated tube 112 is formed to be stretchable. Here, the corrugated pipe 112 has the same shape as the name of 'bellows' and 'bellows', and the corrugated pipe 112 is a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recovered even if it is deformed. 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open tube of the corrugated tube 112 are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112a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flange portion 112a of the corrugated tube 112 facilitates engagement with the engaging bracket 114 and the guide body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메인몸체(110)는 결합브라켓(114)을 포함한다. 결합브라켓(114)은 주름관(112)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브라켓(114)은 일부는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다른 일부는 원통형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flange)형태로 마련된다. 결합브라켓(114)의 원통형으로 마련된 부분은 주름관(112)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고, 플랜지 형태로 마련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시 별도의 음료 용기(B)에 대해 메인몸체(110)를 지지한다. 더욱이, 결합브라켓(114)의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부분의 상단 내주면 및 외주면은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마련되는 결합브라켓(114)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필터(120)가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후술할 캡(140)이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coupling bracket 114. The engaging bracket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corrugated pipe 112. Specifically, the coupling bracket 114 is provided in a partially open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ng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ylindrical shape.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coupling bracket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corrugated pipe 112 and the flang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of the corrugated tube 112, And supports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container (B). Further, the upp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engagement bracket 114 are formed with threads. A filter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4 provided in this form, and a cap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결합브라켓(114)에는 음료 추출기(100)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 시 메인몸체(1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홈(116)이 마련된다. 공기 배출홈(116)은 그루브 또는 홈의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기만 하면 된다. 만약, 결합브라켓(114)에 공기배출홈(116)이 마련되지 않고 메인몸체(110)의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는 채로 음료를 추출하려고 할 경우에는, 메인몸체(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메인몸체(110)를 압착하는데 많이 힘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메인몸체(110)를 완전히 압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음료를 추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결합브라켓(114)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풀홈(1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bracket 114 is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groove 116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when the beverage extractor 100 is used to extract the beverage. The air discharge groove 116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gro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discharging air. When the beverage is to be extracted while the air is not present in the main body 110 without the air vent groove 116 in the joint bracket 114, the air existing in the main body 110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queeze the main body 110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ess the main body 110.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tract the bevera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air lift groove 116 is formed in the engagement bracket 114. [

한편, 주름관(112)과 결합브라켓(114)은 서로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데, 결합브라켓(114)은 주름관(112) 보다 단단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주름관(112)은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주름관(112)은 연성의 실리콘(Silicone)수지 재질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손쉽게 신축되며, 더욱이 실리콘 수지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므로 주름관(112) 내부에 담기는 내용물을 가압하여 추출된 음료를 안심하고 마실 수 있다. 반면, 결합브라켓(114)은 후술할 필터(120) 및 캡(140)과 결합되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B)의 상단부에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된다. The bellows tube 112 and the bellows bracket 114 are made of different kinds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The bellows bracket 11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rder than the bellows tube 112. Because the corrugated tube 112 is for pressing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it should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other words, the corrugated pipe 112 is made of a soft silicon resin material and is easily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more, since the silicone resin material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corrugated pipe 112 is pressurized, You can drink with confidence. The coupling bracket 114 is preferably formed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since it is combined with the filter 120 and the cap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ust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eparate container B for extracting beverage , For example, polypropylene (PP) material.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120)는 메인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에안착된다. 이러한 필터(120)는 메인필터(122)와 보조필터(124)를 포함한다. 메인필터(122)는 메인몸체(110)의 개방된 일측, 즉 결합브라켓(114)의 일측에 안착된다. 다시 말해서, 메인필터(122)의 일부분은 결합브라켓(114)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결합브라켓(114)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메인필터(122)는 금속 필터(metal filter)로 마련되되, 거름망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메인필터(122)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4, the filter 120 is seat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110. This filter 120 includes a main filter 122 and an auxiliary filter 124. The main filter 122 is seated on one open side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one side of the coupling bracket 114. In other words, a portion of the main filter 122 is seated in the upper end of the engagement bracket 114 and the rest is engag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ement bracket 114. The main filter 122 is formed of a metal filter, and has a filter net shape. The shape of the main filter 122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한편, 보조필터(124)는 메인필터(122)와 결합브라켓(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13) 사이에 개재된다. 보조필터(124)는 메인필터(122)와는 다른 형태 및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데, 예컨대 종이필터(paper filter)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메인필터(122) 또는 보조필터(124)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메인필터(122)와 보조필터(124)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인몸체(110)에 담기는 내용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메인필터(122) 및 보조필터(124)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filter 124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filter 122 and the step 113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bracket 113. The auxiliary filter 124 is provid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filter 122, and is preferably provided, for example, as a paper filter. The beverage extra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use either the main filter 122 or the auxiliary filter 124 or the main filter 122 and the auxiliary filter 124 together Can be used. In other words, either the main filter 122 or the auxiliary filter 124 may be used together or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of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10)는 메인몸체(110)의 신축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13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몸체(130)는 메인몸체(110)의 상하 움직임을 얻기 위한 가이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이드몸체(130)는 메인몸체(110)를 에워싸도록 마련되는데,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마련되되, 메인몸체(110)의 불필요한 압력 손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력을 최소화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to 4, the beverage extract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body 130 for guid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The guide body 130 means a guide structure for obtaining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The guide body 13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main body 110. The guide body 130 may be formed in a telescopic structure so as to minimize frictional force to prevent unnecessary pressure loss of the main body 110 desirable.

여기서, 가이드몸체(130)는 메인몸체(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프레스 유닛(134)과 프레스 유닛(134)에 연결되어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다단 구조의 텔레스코픽유닛(132)을 포함한다. 우선, 텔레스코픽유닛(13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직경이 최상단에서최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다단 구조로 마련된다. 만약, 사용자가 메인몸체(110)를 가압하여 메인몸체(110)가 압착되면, 텔레스코픽유닛(132)도 메인몸체(110)와 함께 1단으로 압착된다. 이때, 메인몸체(110)의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양에 따라 압착된 텔레스코픽유닛(132)의 단수가 달라질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메인몸체(110)와 함께 1단으로 압착된다. 이때, 텔레스코픽유닛(132)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좁은 단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넓은 단의 내부로 위치되어 결과적으로 1단으로 압착되게 되는 것이다. The guide body 130 includes a press unit 134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a multi-stage telescopic unit 132 connected to the press unit 134 and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First, the telescopic unit 132 is provid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lowermost stag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presses the main body 110 to press the main body 110, the telescopic unit 132 is also press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10 in one step.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pressed telescopic units 132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 but they are commonly press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10 in one step. At this time, the telescopic unit 132 is positioned inside the relatively large steppe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as a result, the telescopic unit 132 is compressed in one step.

참고로, 텔레스코픽유닛(132)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데,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텔레스코픽유닛(132)은 메인몸체(110)의 신축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이므로, 메인몸체(110)가 완전히 압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텔레스코픽유닛(132)을 투명한 재질로 마련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도 메인몸체(110)의 압착 여부를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메인몸체(110)로 가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For reference, the telescopic unit 132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ecause the telescopic unit 132 guides the telescopic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it is necessary to grasp whether or not the main body 110 is completely compressed. Therefore, the telescopic unit 13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whether the main body 110 is pressed by the naked eye,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또한, 텔레스코픽유닛(132)에는 가이드 슬롯(135)과 가이드 돌기(136)가 마련된다. 가이드 슬롯(135)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다단으로 마련되는 텔레스코픽유닛(132)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2개로 마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메인몸체(110)를 압착하면 텔레스코픽유닛(132)도 같이 압착되는데, 이때 복수개로 마련된 가이드 슬롯(135)에 의해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돌기(136)도 다단으로 마련되는 텔레스코픽유닛(132)의 각가에 마련된다. 가이드 돌기(136)의 크기는 가이드 슬롯(135)을 따라 이동가능한 크기로 마련되는데, 가이드 슬롯(135) 당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36)가 마련되어 슬라이딩 된다.Further, the telescopic unit 132 is provided with a guide slot 135 and a guide projection 136. The guide slots 135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slot, preferably two slots, in each of the multi-stage telescopic units 132. When the main body 110 is squeezed, the telescopic unit 132 is also compressed. At this time, the telescopic unit 132 can be stably pressed by the plurality of guide slots 135. The guide protrusions 136 are also provided at each of the multi-stage telescopic units 132. The guide protrusion 136 has a siz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guide slot 135.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36 per guide slot 135 is provided and slid.

여기서, 가이드 돌기(136)는 동일한 단의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된 가이드 슬롯(135)에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인접하게 마련된 다른 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135)에 끼워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최상단의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된 가이드 슬롯(135a)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 돌기(136a)는 프레스 유닛(134)에 마련되고, 최하단의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된 가이드 슬롯(135c)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 돌기(136c)는 최상단텔레스코픽유닛(132)과 최하단텔레스코픽유닛(132) 사이에 위치된 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되는 것이며, 최상단텔레스코픽유닛(132)과 최하단텔레스코픽유닛(132) 사이에 위치되는 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된 가이드 슬롯(135b)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 돌기(136b)는 최상단텔레스코픽유닛(132)에 마련되는 것이다. Here, the guide protrusion 136 is not fitted in the guide slot 135 provided in the telescopic unit 132 at the same stage, but is fitted in the guide slot 135 provided in another adjacent telescopic unit 132 provided. 1 to 3, a guide protrusion 136a slid along a guide slot 135a provided in the uppermost telescopic unit 132 is provided in the press unit 134, and a guide protrusion 136a is provided on the lowermost telescopic unit 132 The guide protrusion 136c which is slid along the guide slot 135c is provided in the telescopic unit 132 located between the uppermost telescopic unit 132 and the lowermost telescopic unit 132 and includes the uppermost telescopic unit 132, The guide protrusion 136b sliding along the guide slot 135b provided in the telescopic unit 132 located between the lowermost telescopic units 132 is provided in the uppermost telescopic unit 132. [

한편, 프레스 유닛(134)은 텔레스코픽유닛(132)의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프레스 유닛(134)은 텔레스코픽유닛(132)와 결합되어 텔레스코픽유닛(1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스 유닛(132)은 텔레스코픽유닛(132) 뿐만 아니라 메인몸체(110)의 타단부를 결합 고정한다. 이때, 프레스 유닛(132)에 돌기를 마련하여 메인몸체(110)의 타단부를 결합 고정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메인몸체(110)의 타단부의 직경을 프레스 유닛(132)의 직경과 비슷하게 형성하여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스 유닛(132)과 메인몸체(110)의 타단부의 결합 고정의 형태는 메인몸체(110)가 프레스 유닛(132)으로부터 흠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 unit 134 serves as a support for the telescopic unit 132. [ In other words, the press unit 134 is coupled with the telescopic unit 132 to stably support the telescopic unit 132. 4, the press unit 132 fixes not only the telescopic unit 132 but als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press unit 132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ixedly coupled or fixed using an adhesive, or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ixed to the press unit 132. [ (132), and may be coupled and fixed in an interference fit. The shape of the press unit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is such that the main body 110 is not dented or released from the press unit 132.

또한, 프레스 유닛(134)은 텔레스코픽유닛(132) 및 메인몸체(110)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 시,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결합브라켓(114)과 프레스 유닛(134)을 파지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결합브라켓(114) 아래에 용기(B)를 위치시키기 않고도 음료를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재질의 용기(B)가 위치되더라도 용기(B)의 변형 및 손상이 없이 손쉽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The press unit 134 guides the telescopic unit 132 and the main body 110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beverage extrac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extract drinks,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nveniently extracted. In other words, since the user can extract the beverage by holding the joining bracket 114 and the press unit 134,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beverage without necessarily placing the container B under the joining bracket 114 , It is possible to easily extract the beverage without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container B even if the container B of any material is located.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주름관(112), 결합브라켓(114) 및 텔레스코픽유닛(132)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결합브라켓(114)은 주름관(112)의 플랜지부(112a)를 개재한 상태에서 다단 구조의 텔레스코픽유닛(132)의 최하단의텔레스코픽유닛(132)과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결합브라켓(114)의 내부에 주름관(112)의 일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부(112a)가 개재되고, 최하단의텔레스코픽유닛(132)이 개재된 플랜지부(112a)를 에워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브라켓(114)의 플랜지부(112a)와 접촉하는 면이 플랜지부(112a)와 함께 실링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플랜지부(112a)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돌기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실링구조 및 환형 돌기에 의해 주름관(112)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유수를 막고 액체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메인몸체(110)를 가압할 때 손실 마찰력, 즉 손실 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and 5, the joint structure of the corrugated pipe 112, the coupling bracket 114, and the telescopic unit 132 will be described. The coupling bracket 114 is engaged with the lowermost telescopic unit 132 of the multi-stage telescopic unit 132 with the flange portion 112a of the corrugated tube 112 interposed therebetween. In other words, a flange portion 112a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corrugated tube 112 is interposed in the coupling bracket 114, and the flange portion 112a in which the lowermost telescopic unit 132 is interposed is surrounded . Here, the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114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112a is provided with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lange portion 112a. At least one annular protrus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12a. The sealing structure and the annular protrusion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rrugated pipe 112 from being held and safely store the liquid cont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main body 110, the loss of friction, that is,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캡(140)은 메인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캡(140)은 내부에 필터(120)를 수용한 사태에서 메인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캡(140)은 메인몸체(110) 및 가이드몸체(130)가 압착된 상태에서 메인몸체(110)에 결합되어 메인몸체(110)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메인몸체(110)의 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음료 추출기(100) 자체가 컴팩트(compact)한 구조로 형성되어, 음료 추출기(110)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메인몸체(110)의 내부에 필터(120)를 수용한 상태에서 캡(140)이 메인몸체(110)에 결합되게 되면, 필터(120)를 보호하고, 필터(120) 및 메인몸체(11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cap 140 is coupled to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110. In other words, the cap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120 is accommodated therein. The cap 1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and the guide body 130 are compressed so as to block the inflow of air into the main body 110, . Accordingly, the beverage extractor 100 itself is formed in a compact structure so a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everage extractor 110 to improve storage and portability. In addition, when the cap 1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while the filt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0, the filter 120 is protected and the filter 120 and the main body 110 from entering foreign matter.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메인몸체(110)와 캡(140)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150)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패킹(150)은 메인몸체(110)의 결합브라켓(114)의 플랜지 형태부분에 안착되게 된다. 패킹(150)이 메인몸체(110)와 캡(14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메인몸체(110)에 대한 캡(150)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메인몸체(110) 및 가이드몸체(130)의 압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Referring to FIG. 1, a packing 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cap 140. In other words, the packing 150 is seated in the flange-shaped portion of the coupling bracket 114 of the main body 110. The packing 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cap 140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of the cap 15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and to prevent the main body 110 and the guide body 130 from being compressed Stat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 이하 '음료 추출기' 라 함)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메인몸체(110)에 결합된 캡(140)을 분리한다. First, the cap 140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is separated.

그 다음, 메인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 메인필터(122)를 빼낸다. 만약, 보조필터(124)가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조필터(124)도 외부로 빼낸다. Then, the main filter 122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is taken out. If the auxiliary filter 124 is provided, the auxiliary filter 124 is also taken out to the outside.

그 다음, 메인몸체(110)의 주름관(112) 내부에 추출하고자 하는 음료의 원두커피 분말 또는 찻잎 분말과 같은 내용물을 담고, 담긴 내용물의 양에 대응되는 뜨거운 물 또는 차가운 물을 담는다. 여기서, 담기는 물의 양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주름관(112)의 내부에 표시된 표시선(미도시)까지 물을 담는다. 이때, 담기는 물의 양이 주름관(112)에서 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Next,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tube 112 of the main body 110 is filled with the contents such as bean coffee powder or tea leaf powder of the beverage to be extracted, and hot water or cold wat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contents. Here, the amount of water to be add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ontents, and the water is filled up to a marking line (not shown) inside the corrugated pipe 112. At this time, care should be taken that the amount of water does not overflow in the corrugated pipe 112.

그 다음, 메인몸체(110)로부터 빼낸 메인필터(122)를 다시 안착시킨다. 이때,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보조필터(124)를 메인몸체(110)의 내주면의 단척(113)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Then, the main filter 122 removed from the main body 110 is seated again. At this time, the auxiliary filter 124 may be additionally positioned on the step 113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if necessary.

그 다음, 추출될 음료를 담을 별도의 용기(B)에 대해 음료 추출기(100)를 도 6의 왼쪽 그림과 같이 결합브라켓(114)의 단부가 별도의 용기(B)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Next, the beverage extractor 1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separate container B as shown in the left-hand side of FIG. 6, with respect to the separate container B for holding the beverage to be extracted.

그 다음, 도 6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이드몸체(130)의 프레스 유닛(134)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 여기서, 용기(B)의 재질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프레스 유닛(134)과 결합브라켓(114)을 동시에 엄지와 검지로 파지하여 둘 사이의 간격을 좁혀 메인몸체(110)의 주름관(112) 내부에 담긴 원두커피 분말 또는 찻잎 분말과 같은 내용물로부터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추출한다. 6, the press unit 134 of the guide body 13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press unit 134 and the engagement bracket 114 are grasped by the thumb and forefinger at the same tim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m so that the inside of the corrugated pipe 112 of the main body 110 Such as coffee or tea, from the contents such as ground coffee powder or tea leaf powder.

마지막으로, 음료 추출을 완료한 음료 추출기(100)를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된 음료 추출기(100)는 메인몸체(110) 및 가이드몸체(130)를 동시에 압착하여 메인몸체(1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난후에, 캡(140)을 이용하여 메인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닫아 메인몸체(110)의 부피를 줄여 압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Finally, the beverage extractor 100, which has completed the beverage extraction, is cleaned, and the beverage extractor 100, which has been cleaned, compresses the main body 110 and the guide body 130 at the same time, The cap 140 is used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reduce the volume of the main body 110 to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피스톤 방식으로 내용물을 가압하는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내용물이 담기는 메인몸체를 신축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contents are pressed by the piston method, the main body containing the contents is stretchable, The beverage can be easily extracted by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메인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몸체가 마련됨으로써 메인몸체의가압시 불필요한 압력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손실 마찰력을 최소화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body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frictional force so that unnecessary pressure loss is not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is pres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xtract the beverag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는 캡을 이용하여 메인몸체가 압착된 상태가 되어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100 us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compressed using the cap, so that the volume of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itself using the pressure can be reduced, so that the portable beverage extractor 100 can be easily carried and m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110: 메인몸체 112: 주름관
113: 단턱 114: 결합브라켓
116: 공기 배출홈
120: 필터
122: 메인필터 124: 필터
130: 가이드몸체
132: 텔레스코픽유닛 134: 프레스 유닛
135: 가이드 슬롯 136: 가이드 돌기
140: 캡
150: 패킹
100: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110: main body 112: corrugated tube
113: step 114: engaging bracket
116: Air discharge groove
120: Filter
122: main filter 124: filter
130: Guide body
132: telescopic unit 134: press unit
135: guide slot 136: guide projection
140: cap
150: Packing

Claims (18)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안착되는 필터; 및
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는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A main body formed into a shape which can be stretch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extract a beverage by pressing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filter mount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ap provid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beverage extractor is a pressure-activated portable beverage extr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portable beverage extractor using pressur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retchable corrugated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주름관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캡과 결합되고, 음료 추출 시 별도의 용기에 대해 상기 주름관을 지지하는 결합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ellows pipe and coupled to the cap and supporting the bellows pipe with respect to a separate container when extracting a bever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신축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guide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guid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기 주름관을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body is formed to surround the bellows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body is provided in a telescopic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의타측에 결합되는 프레스 유닛; 및
상기 프레스 유닛에 연결되고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다단 구조의 텔레스코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body comprises:
A press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nd a telescopic unit of a multi-stage structure connected to the press unit and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유닛에는,
장공 형태로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 및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telescopic unit,
A guide slot provided in a slot shape; And
And a guide protrusion that is moved along the guide slot is provid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주름관의타단부를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ss unit is adapted to fix the other end of the bellows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주름관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캡과 결합되고 음료 추출 시 별도의 용기에 대해 상기 주름관을 지지하는 결합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주름관의 플랜지부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다단 구조의 텔레스코픽유닛의 최하단의 텔레스코픽유닛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bra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bellows pipe and coupled with the cap and supporting the bellows pipe with respect to a separate container when extracting a beverage,
Wherein the engaging bracket engages with the telescopic unit at the lowermost end of the telescopic unit of the multi-stage structure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corrugated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의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면이 상기 플랜지부와 함께 실링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a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flan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부에 상기 필터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while the filter is receiv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메인몸체가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면 상기 메인몸체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몸체의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in a compressed state, the cap blocks the inflow of air into the main body to maintain the main body in a compressed st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캡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packing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a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과 상기 결합브라켓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결합브라켓이 상기 주름관보다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rrugated pipe and the coupling bracket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coupling bracke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rder than the corrugated pi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는,
음료 추출 시 상기 메인몸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coupling bracket,
And an air discharge groove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결합브라켓에결합되는메인필터; 및
상기 메인필터와상기 결합브라켓의내주면에 형성된단턱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lter includes:
A main filter coupled to the coupling bracket; And
And an auxiliary filter interposed between the main filter and the step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 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되는 캡; 및
상기 메인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신축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A main body formed into a shape which can be stretch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extract a beverage by pressing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cap provided on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And
And a guide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for guid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main body.

KR1020160042414A 2015-08-03 2016-04-06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KR101832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14A KR101832434B1 (en) 2016-04-06 2016-04-06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EP16833337.5A EP3332677A4 (en) 2015-08-03 2016-08-02 Portable drink extractor using pressure
PCT/KR2016/008521 WO2017023101A2 (en) 2015-08-03 2016-08-02 Portable drink extractor using pressure
US15/750,435 US20180352993A1 (en) 2015-08-03 2016-08-02 Portable drink extractor using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14A KR101832434B1 (en) 2016-04-06 2016-04-06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34A true KR20170114834A (en) 2017-10-16
KR101832434B1 KR101832434B1 (en) 2018-02-26

Family

ID=6029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14A KR101832434B1 (en) 2015-08-03 2016-04-06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977A (en) * 2018-12-25 2019-04-16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quantitative drop filter extra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modulation bever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780B1 (en) 2018-03-29 2020-01-06 이왕일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642A (en) * 2004-10-25 2005-02-17 Atsumi Yamamoto Suction cup integrated type vessel
US20090229472A1 (en) * 2008-03-12 2009-09-17 Ferrara Jr Daniel A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KR101395307B1 (en) * 2013-09-03 2014-05-16 (주) 아이앤에이 글로벌 Ectract apparatus of water drip coffe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977A (en) * 2018-12-25 2019-04-16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quantitative drop filter extra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modulation beverage
CN109619977B (en) * 2018-12-25 2023-12-01 杭州啊啦屋里智能科技有限公司 Portable quantitative drip filtration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434B1 (en)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8359B2 (en)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EP2628423B1 (en) thermos bottle
CN100581423C (en) Coffee infusion press filter for stackable cups
US10820739B2 (en) French coffee press
US20150282664A1 (en) Beverage pod press
US20180352993A1 (en) Portable drink extractor using pressure
KR101832434B1 (en) Beverage extractor for using pressure
KR100445749B1 (en)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US10039408B2 (en) Hanging device with disposable beverage filter bag
KR101926670B1 (en) Portable beverage extractor of espresso method
KR101711415B1 (en) Portable pressure drink extraction apparatus
KR20170016404A (en) Portable pressure drink extraction apparatus
CN206228200U (en) A kind of handheld portable coffee machine
CN113384116B (en) Leak protection heart shape bowl cover and tea-drinking concentration controlling means
KR101890578B1 (en) Portable espresso extractor
KR101910061B1 (en) A container for drawing out liquid
CN211984844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environment-friendly water cup
CN209219818U (en) A kind of telescopic cup convenient for adjusting
CN105768447A (en) Changeable functional tool with retractable spring
CN206044223U (en) A kind of water tumbler
JP2002102068A (en) Filter for coffee or the like
JP6398593B2 (en) Assembly type pressure extractor
KR20140050441A (en) A bottle with a piston
US20200121116A1 (en) Filterin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it
CN104433761B (en) A kind of juice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