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681A - Vehicle charginh apparatus - Google Patents

Vehicle charginh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681A
KR20170111681A KR1020160037611A KR20160037611A KR20170111681A KR 20170111681 A KR20170111681 A KR 20170111681A KR 1020160037611 A KR1020160037611 A KR 1020160037611A KR 20160037611 A KR20160037611 A KR 20160037611A KR 20170111681 A KR20170111681 A KR 20170111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unit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지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681A/en
Publication of KR2017011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11/1851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40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 B60L2230/16
    • B60L2230/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충전 장치는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 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어플리케이션부의 동작에 따라 충방전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차량 내 또는 외부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and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execution, An application unit including an application module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n or ou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unit.

Description

차량 충전 장치{VEHICLE CHARGINH APPARATUS}VEHICLE CHARGING APPARATUS

차량의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o a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An electric vehicle is an automobile which is operated by electricity, and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battery-powered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Here, a pure electric vehicle is an automobile that travels only by using electricity without using fossil fuel, and is generally called an electric vehicle.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re meant to run on electricity and fossil fuels. Such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for running. Particularly, a pure electric vehicle and a plug-in type hybrid electric vehicle charge a battery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drive an electric motor using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가정 등에 구비된 소켓이 제공하는 60Hz의 상용 그리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가 사용된다.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ssemblies are used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commercial grid power of 60 Hz provided by a socket provided in a home or the like.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소켓에 연결되는 플러그, 이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를 연결하는 전력 선을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ssembly include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a plug connected to the socket, and a power line connecting the connector and the plug.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는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한정하여 수행함으로써, 그 기능이 제한적이며, 수동 적인 장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general is limited in its function of charging a battery in the vehicle using electric power, so that its function is limited and it functions as a passive device.

따라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서비스가 구현되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적 요구사항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services are implemented in one device and the technical requirements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the user are not satisfi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을 위한 장치의 구성이 통신 모듈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탑재하여 차량 및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실행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충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harging a vehicl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various application modules to provide a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execute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required for a vehicle and a user do.

또한,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상태와 주행 상태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의 충전 및 주행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차량 운행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lso, by providing various applications for charging and running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state and the external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running state, the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can be increased do.

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충전 장치는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 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어플리케이션부의 동작에 따라 충방전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차량 내 또는 외부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and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execution, An application unit including an application module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n or ou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 장치에 통신 모듈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부가하여 차량의 상태 및 주행에 따라 차량의 충전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module and various application modules are added to a charging device of a vehicle to easily charge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and travel of the vehicle Have.

또한, 충전 장치에 부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 및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주행정보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various application modules and communication modules added to the charging device, and to cope with the situation, the efficiency of the vehicle management can be maximized .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하는 충전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충전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제공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품질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to 7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a charging device for performing a power supply ev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ower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charging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 배터리 충전장치(20), 자동차 인렛(30), 통신부(40), 운행정보 제공부(50), 출력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1, an electric vehicle 1 includes a battery 10, a battery charger 20, a car inlet 30, a communication unit 40,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an output unit 60, (70).

배터리(10)는 전기 자동차(1)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전기 자동차(1)에 제공한다.The battery 10 provides the electric vehicle 1 with electric power for operating the electric vehicle 1.

전기 자동차 인렛(30)은 외부로부터 배터리(1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기 위한 커넥터이다. The electric vehicle inlet 30 is a connector for receiving electric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10 from the outside.

배터리 충전 장치(20)는 전기 자동차 인렛(30)을 통해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0)를 충전한다.The battery charger 20 charges the battery 10 using electric power provided through the electric car inlet 30.

통신부(40)는 외부 충전기 또는 충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harger or a charging device.

운행정보 제공부(50)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따른 경로 정보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행정보 제고부(50)는 일예로, 네비게이션과 같은 출력 장치일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driving state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rout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riving information correcting unit 50 may be an output devic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출력부(60)는 차량의 상태, 주행 정보 및 사용자 인지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의 출력을 위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출력부(60)는 오디오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0)는 오디오 모듈을 통하여 차량의 정보 및 주행 정보 또는 사용자 인지 정보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 모듈은 오디오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영상으로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60 can perform an operation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vehicle, the traveling information, and the user's perception information. The output unit 60 may include at least one module for outputting audio and video. The output unit 6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udio and / or driving information or user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udio module as audio data. The video output module may include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information output by the audio module into an image and outputting the processed image.

저장부(70)는 차량의 주행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70)는 차량의 충전 시 충전 정보 및 그에 따른 과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70 may store various data for driving the vehicle, or may store programs.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70 may store charging information and bill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제어부(80)는 전기 자동차(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harg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20)는 전력 공급부(210), 제어부(220),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을 포함한다.2, the charging apparatus 2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and an application module 240.

전력 공급부(210)는 전기 자동차 인렛(30)을 통하여 배터리(10)로 인가되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battery 10 through the electric vehicle inlet 30.

제어부(220)는 차량의 충전을 위한 제어 동작 및 어플리케이셔 실행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충전 제어부(221)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charging the vehicle and a control operation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The controller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harge controller 221 and an application controller 222.

충전 제어부(221)는 전력 공급부(210)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10)로 제공되는 전력 및 충전 동작에 대한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21)는 차량의 배터리(10)의 충전시 자동차 인렛(30)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력량을 제어하거나, 외부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력을 요청하는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충전 제어부(221)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 등에 요구되는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harge control unit 221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10 of the vehicle and charging operation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10. [ The charging control unit 221 may control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hrough the vehicle inlet 30 when charging the battery 10 of the vehicle or perform a control operation of request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221 can perform control on operations required for battery charging and the like of the vehicle.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22)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충전장치(20)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22)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의 동작에 따른 차량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2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configured in the charg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22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22)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에 대응되게 구성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22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application module 240, o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odule.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의 동작에 요구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 동작에 따라 취득되는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 또는 차량 내의 구성부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는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따라 외부의 충전 장치 또는 전력 회사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충전 정보 및 과금벙보 그리고, 충전을 위한 장소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의 동작에 따라 차량의 운행 정보를 차량 운행 정보 제공부(50)로부터 입력 받거나, 충전 위치 및 충전 시점 등에 대한 정보를 차량 내의 운행 정보 제공부(50)로 출력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can perform communic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 In addition,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may perform communication for transferring data ac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to an external terminal or a component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harging device or an electric power company according to an application module, and may request and receiv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fee, can do. Also,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or may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position and the charging time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

어플리케이션 모듈(240)는 차량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에서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은 지리정보 취득부(241), 온도/습도 계측부(242), 사용자 인증부(243), 충전 요금 정보 처리부(244) 및 전력 품질 계측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한 구성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module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module required in various application operations of the vehicle. The application module 240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1, a temperature / humidity measurement unit 242, a user authentication unit 243, a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4, and a power quality measurement unit 245, . ≪ / RTI > The application modu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지리정보 취득부(241)는 차량의 운행을 위한 지리 정보를 취득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리정보 취득부(241)는 차량의 운행 정보에 대응하는 지리 정보를 취득하여 운행 정보 제공부(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지리정보 취득부(241)는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거리 산출 및 배터리 충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1 can acquir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cquired geographic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1 may acquir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output it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section 241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alculation of the travel distance and the battery charging position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온도/습도 계측부(242)는 차량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측하고, 차량의 주행 및 충전 상태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온도 및 습도가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22)를 통하여 차량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unit 242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hat may affect the traveling and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are detected, And information that allows control of humidity.

사용자 인증부(243)는 차량의 주행 및 충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고, 그에 따른 인증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43 can authenticate user information for driving and charging the vehicle, and output the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accordingly.

충전 요금 정보 처리부(244)는 차량의 충전을 위한 요금 정보를 산출하거나 외부 장치 및 전력 회사 등으로부터 차량의 충전량 및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한 관금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The charging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4 can calculate charge information for charging the vehicle or acquire and process the charge information based on the charge amount and charg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 power company.

전력 품질 계측부(245)는 차량의 배터리 충전 동작 시 인가되는 전력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전력의 인가 상태 및 충전 상태 등에 기초하여 충전상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력 품질 계측부(245)는 확인된 전력의 품질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차량 및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245 detec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applied during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can check whether the charging state is abnormal based on the power application state and the charging state. Also, the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245 can output the information to the vehicle and the outside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based on the confirmed quality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wer and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 장치(2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을 구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의 동작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입수하거나, 상기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device 2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s various application modules 240 and obtain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And an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vehicle interior or exteri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에 따른 충전 장치의 동작을 실시 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실시 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충전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20)의 제어부(220)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의 지리정보 취득부(310)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운행 정보 제공부(50)를 통해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310) 3,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harging device 2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10 of the application module 240, (S310)

제어부(220)는 차량의 배터리(1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220)는 차량의 현재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취득하고, 지리정보 취득부(310) 및 운행 정보 제공부(50)를 통해 취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차량이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동안 배터리의 에너지 잔량이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15)The control unit 220 can confirm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10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220 acquire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sets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based on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1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remaining energy level of the battery is sufficient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제어부(220)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를 기초하여 목적지 도착에 요구되는 배터리 잔량이 현재 배터리 잔량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0)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required for destination arriv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urrent remaining battery amount based on the battery status information and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S320)

제어부(220)는 지리정보 취득부(310)의 요청에 의해 통신부(210)를 통하여 배터리의 충전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S325) 상세하게, 제어부(220)는 현재 배터리 잔량이 목적지 도착에 요구되는 배터리 잔량 미만으로 확인되면, 차량의 충전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 배터리 잔량 및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인트를 선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an confirm the charging point of the batter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at the request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10. (S325) In detail,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for selecting a charging posi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charging point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vehicle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current remaining battery leve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제어부(220)는 지리정보 취득부(241)가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 및 배터리 충전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취득된 배터리 충전 포인트를 선정하고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충전 포인트가 복수개로 선정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주행 상태 정보를 기초하여 우선 순위에 따른 배터리 충전 포인트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선 순위는 차량과의 인접 정도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battery charging point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by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41.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0 can select the acquired battery charging point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point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220 can select a battery charging point according to the priority based o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the runn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priority may be a degree of proximity to the vehicle.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선정된 배터리 충전 포인트에 충전 예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상세하게, 제어부(220)는 배터리 충전 포인트로 선정된 외부 충전 기기 및 충전 스테이션에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해당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충전할 에너지량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may transmit the charging schedule information to the selected battery charging poi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S330) In detail,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selected at the battery charging point and th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on the vehicle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nergy to be charged,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220)는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주행 정보 제공부(50)에 상기 선정된 충전 포인트 및 충전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220 may output the selected charging point and charging information to the travel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50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and provide the selected charging point and charging information to the user.

도 4는 실시 예에 따라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충전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based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20)의 제어부(220)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배터리(10)의 충전 중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온도와 습도를 온도/습도 계측부(242)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S410)4,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harging device 2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or during charging of the battery 10 through 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unit 242 have. (S410)

제어부(220)는 온도/습도 계측부(242)를 통하여 감지된 온도 및 습도에 대하여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5)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amount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ed through 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ement unit 242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r continuously increases or decreas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415)

제어부(220)는 온도/습도 계측부(242)에서 계측된 변화량이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 하는 경우 차량의 외부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S420) 상세하게, 온도/습도 계측부(242)에서 계측된 데이터가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차량의 외부 온도 및 습도와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차량의 온도 및 습도 제어가 요구되는지를 제어부(220)는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an check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hicle when the change amount measured by 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unit 242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r continuously increases or decreas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420). In detail, If the data measured by the humidity measuring unit 242 is determined to be erroneous, 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of the vehicle is required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hicle.

따라서 제어부(220)는 온도/습도 계측부(242)에서 계측된 데이터와 외부 온도/습도 데이터를 비교하고, 차량의 온도/습도 및 환경의 온도/습도의 제어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해당 계측 결과 값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S430)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0 compares the data measured by the temperature / humidity measuring unit 242 with the external temperature / humidity data, and when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vehicle and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environment are not required to be controlled, And output it to the user (S430)

반면, 제어부(220)는 온도 및 습도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 전 상태의 제어 및 외부 상태의 제어 등의 차량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435) 상세하게, 온도/습도 계측부(242)에서 계측된 온도 데이터가 외부 온도에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도달한 경우 차량의 충전 또는 주행 상태의 모드를 정지하기 위한 알림을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를 통하여 차량 내부의 알람 또는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온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도달한 경우 외부의 온도 제어를 위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30)를 통하여 내부의 알람 또는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re required,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such as control of the entire state and control of the external state. (S435) In detail, the temperature / 242) reaches or rises above the reference value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temperature, a notification for stopping the charging or running mode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via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As shown in FIG. O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rises or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formation for external temperature control can be output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30 to the internal alarm or to the outside.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harging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장치(20)의 제어부(220)는 차량의 충전 요청 신호가 감지되면,(S510)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요청 할 수 있다.(S515) 상세하게,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에 구성되는 사용자 인증부(243)은 영상 인증, 음성인증, 차량 식별자 인증 등의 다양한 인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차량 충전 요청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한 사용자 인증부(243)의 인증 모듈을 구동하여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S515) 상기 사용자 인증부(243)를 통하여 차량의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520)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비인가 사용자 인지를 판단하고(S525) 비사용자 인가가 아닌 경우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인가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 충전기기에 전송하여 차량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530)5,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harging device 20 can request user information through a sensor for user authentication when a charging request signal of the vehicle is sensed (S510). (S515) In detail,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43 configured in the application module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authentication modules such as image authentication, voice authentication, and vehicle identifier authentication. The control unit 220 requests the user information by driving th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43 when the vehicle charging request signal is detected at step S515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for charging the vehicle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43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an unauthorized user (S525). If the user is not a non-user, the controller 220 completes the user authentication and transmits the authorized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To an external charger to perform charging of the vehicle. S530)

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증 절차가 완료되어, 비인가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기 설정된 목적지(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보안 업체 등)에 비인가 사용자의 접근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차량의 알람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user is unauthorized, the control unit 220 notifies the unauthorized user of access to the predetermined destination (e.g., user terminal, security company, etc.)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or output as an alarm of the vehicle.

도 6 내지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제공 이벤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6 to 7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a charging device for performing a power supply ev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충전장치(20)의 제어부(220)는 차량의 충전 모드 수행 시 충전 요금 정보 처리부(244)를 통하여 충전량을 계측하고(S610) 계측된 충전량 정보를 과금 정보 취득을 위하여 전력회사 또는 외부 충전기기에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S615)6 to 7, the control unit 220 of the charging device 20 measures the charged amount through the charging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4 when the charging mode of the vehicle is performed (S610)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to the power company or the external charger unit (S615)

제어부(220)는 예를 들어 전력 회사로 과금정보 취득을 위한 충전량 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전력 회사에 기 등록된 전력 제공 이벤트 이력에 대한 확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620) 상기 전력 제공 이벤트 이력은 도 7에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220 can acquire confirmation information on the power supply event history registered in the power company, for example, when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for acquiring the char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wer company. (S620) The histor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차량과 전력의 충방전을 위해 연결된 스테이션 또는 장치로부터 전력 제공 요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요청된 목적지에 차량의 배터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S715) 이때 제어부(220)는 제공된 전력을 계측하고(S720) 상기 계측된 제공 전력에 대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해 전력 회사 또는 기 설정된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충전 요금 정보 처리부(244)에 저장할 수 있다.(S725)As shown in FIG. 7, when receiving a power supply request event from a station or a device connect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ic power with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220 provides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to the requested destination (S715).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0 measures the provided power (S720), and transmits the measured data about the provided power to a power company or a destination for calculating predetermined charging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Or may be stored in the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4. (S725)

제어부(220)는 전력 제공 이벤트 처리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525) 전력 제공 이벤트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전력 제공 및 충전량에 따른 과금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630) 또한 상기 산출된 과금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력 회사와 같이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wer supply event processing history (S525), and if there is the power supply event history information, calculate the char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nd the charging amount. (S630)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to a destination that calculates billing information like a utility company.

제어부(220)는 충전 요금 정보 처리부(244)에서 차량의 충전량 및 전력 제공 이벤트 이력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에 대한 정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an output the settlement information on the charge charge based on the charge amount of the vehicle and the power supply event history in the charge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4. [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전력 품질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power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충전 모드 수행 중 어플리케이션부(240)의 전력 품질 계측부(245)를 통하여 전력 품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10) 상세하게, 전력 품질 계측부(245)는 충전 모드 수행 중 인가되는 전력에 대한 이상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력 이상 여부는 요구되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유사 범위 내에서 인가되는지의 여부 등일 수 있다.8, the control unit 220 can check whether the power quality is abnormal through the power quality measurement unit 245 of the application unit 240 during the charging mode (S810). Specifically, the power quality measurement unit 245 ) Can confirm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ower applied during the charging mode. Preferably, the power anomaly may be whether or not the required power is continuously applied within a similar range, and so on.

전력 품질 계측부(245)는 충전 모드 수행 중 인가되는 전력에 대한 전력 품질 이상을 감지한 경우(S815) 전력 품질 이상 여부 및 이상 정보를 전력 회사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S820) 상세하게, 제어부(220)는 전력 품질 계측부(245)에서 계측된 전력 품질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통신부(210)를 통해 전력 회사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245 detects an abnormality in the power quality of the power applied during the charging mode (S815), the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245 may transmit the abnormality of the power quality and the abnormality information to the electric power company or the like (S820) 22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ower quality measured by the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245 to the power company through th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210. [

제어부(220)는 전력 회사로부터 전송된 전력 품질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충전 상태 정보, 충전 포인트 변경 정보, 재충전 정보 또는 충전 완료 등에 대한 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0 may receive processing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the charging point change information, the recharging information, or the charging comple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quality transmitted from the power company.

따라서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충전을 지속하거나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o continue or terminate charg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충전 장치 내에 통신부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부를 구성하고, 차량의 충방전 및 주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동작을 별도의 장치 없이 충전 장치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의 전장부의 부하 최소화 및 용이한 데이터 송수신, 그에 따른 처리 동작을 신속 및 정확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various application units are configured in the charging apparatus, and various operations required for charging, discharging, and running of the vehicle,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therefor can be performed in the charging apparatus Th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ad on the electric field in the vehicle, facilitat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speed up and correct the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ly.

Claims (7)

차량 충전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 충방전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 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의 동작에 따라 충방전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차량 내 또는 외부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장치.
In the vehicle charging apparatu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electric power of the battery, execut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and outputting the execution result;
An application module including an application module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executed when the battery is charged and dischar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o or from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리 정보 취득부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unit
And a geographic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차량의 충전 시 인가되는 전력을 품질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 품질 계측부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unit
And a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quality of electric power applied at the time of charging the veh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품질 계측부는
인가되는 전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력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wer quality measuring unit
And confirm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pplied electric power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electric power is abnor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충전 요금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배터리 충전 및 방전에 따른 요금 정산을 처리하는 차량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unit
A charging charg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vehicle charging device that handles charge settlement due to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harge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n appl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차량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n application module configured in the application unit.
KR1020160037611A 2016-03-29 2016-03-29 Vehicle charginh apparatus KR201701116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11A KR20170111681A (en) 2016-03-29 2016-03-29 Vehicle charginh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11A KR20170111681A (en) 2016-03-29 2016-03-29 Vehicle charginh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81A true KR20170111681A (en) 2017-10-12

Family

ID=6014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611A KR20170111681A (en) 2016-03-29 2016-03-29 Vehicle charginh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6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47471B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WI661373B (e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transaction management
CN109715435B (en) Power feed management device,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charging device, and program
KR102114707B1 (en) Server and charging system
US10942036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30328527A1 (en) Apparatus for bidirectional electric power supply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smart grid and method of bidirectionally supplying electric power employing the same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N103987564A (en) Electrical storage device, electronic instrument, power system, and electric vehicle
KR20180106908A (en) Vehicle,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and charging system
US10984611B2 (en) Server and information system matching a power-supplying vehicle and a power-receiving vehicle
US8483901B2 (en) Power charging station administration device
JP7028052B2 (en) Control device
JP2013188032A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calculation of electric power
CN114655076B (en) Server, vehicle, and vehicle diagnosis method
KR20170111681A (en) Vehicle charginh apparatus
US20210261013A1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and external power supply method
US20210380009A1 (en) Vehicle, charging equipment, and charging method for vehicle
JP5855212B1 (en) Charging system
JP2018117500A (en) vehicle
KR20140121965A (en) Electric car and intermediate server for location based power mediation
CN112018794A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715957B2 (en) Power amount measurement system, power amount measurement method, and power amount measurement device
US20240166084A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attery Information
JP2023136062A (en) Vehicl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22116971A (en) Electric powe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