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279A -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279A
KR20170109279A KR1020160033176A KR20160033176A KR20170109279A KR 20170109279 A KR20170109279 A KR 20170109279A KR 1020160033176 A KR1020160033176 A KR 1020160033176A KR 20160033176 A KR20160033176 A KR 20160033176A KR 20170109279 A KR20170109279 A KR 2017010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on equipment
unit
smartphone
plc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3311B1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규 filed Critical 박영규
Priority to KR102016003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11B1/en
Publication of KR2017010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7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RFID associated with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perating automation equipment. More specifically, disclosed is a technical field about a control system of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phone, which can easily control automation equipment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by easily grasp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on equipment through monitoring using the smartphone and can easil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automation equipment without using an expensive programmable logic control (PLC) used in automation equipment while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by using the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has effects of: enabling an easy control at low cost without professionally learning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by using a smartphon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without using a PLC; easily grasping the cause of malfunction and making repairs without a professional maintenance technician when repairing and checking automation equipment; and reducing production cost by the above-described effects.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of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자동화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화장비를 제어하되, 자동화장비에 사용되는 고가의 PLC(Programable Logic Control)을 사용하지 않고 장동화장비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자동화장비의 동작상태를 쉽게 파악함으로써,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자동화장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perating an autom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ntrolling an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And a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that can easily control an automation apparatus without any special knowledge by easily grasp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on apparatus through monitoring using a smart phone Technology.

일반적으로, 자동화장비는 각종 공정의 자동화를 위하여 조립, 용접, 시험 등의 공정을 사람 대신 로봇이나 장비들이 대신 수행하는 것으로서, 생산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자동화 장비들은 GPIB, UART, SDIO, SPIO, SPI 등의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호스트 컴퓨터(Host PC) 및 이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된다.In general, automation equipment is a robot or a device instead of a person performing assembly, welding, and testing processes for the automation of various processes. The automation equipment used in the production site is GPIB, UART, SDIO, SPIO, SPI A host computer connected by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of the host computer, and various equipment control programs installed in the host computer.

상기와 같은 자동화장비는 가공물 즉, 생산물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제품생산이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듈러 타입의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콘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를 기반을 최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고, 상기 PLC는 자동화장비 즉, 산업 플랜트의 자동 제어 및 감시에 사용하는 제어 장치로서, 입력을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논리 처리하고 그 출력 결과를 이용해 연결된 외부장치를 제어하고, 순차제어(sequential control)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치이며,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SCADA 등의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The above-mentioned automation equipment is based on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f a modular type so that the shape of the workpiece, that is, the product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becomes automatable, The PLC is a control device used for automatic control and monitoring of an automation equipment, that is, an industrial plant. The PLC sequentially processes the input by a program, controls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by using the output result, (sequential control), which can be used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a system such as SCADA.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PLC는 산업현장에서 기계제어 등에 많이 사용하고, 여러개의 입력과 출력을 가지며, 광범위한 온도범위와 전기적 노이즈 및 진동과 충격에 강하다.In addition, the PLC is wide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for machine control, has several inputs and outputs, and is resistant to a wide temperature range, electrical noise, vibration and shock.

또한, 상기 PLC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배터리 백업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에 대해 실시간 처리 능력을 가짐으로써 정해진 시간의 입력 조건에 대해 출력은 정해진 시간 안에 반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C stores a program for control in a battery backup and nonvolatile memory, and has real-time processing capability for an input, so that the output can respon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o a predetermined time input condition.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는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자동화장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나 모니터 등을 직접 눈으로 봐가면서 자동화장비의 가공공정이나 진행 과정 등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화장비에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전문 정비기술자가 공장에 없는 경우에 정비기술자가 복귀할 때까지 자동화장비를 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usually requires the operator to check the process or progress of the automation equipment while observing the controller or the monitor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directly. Therefore, , There was a difficulty in repairing the automation equipment until the maintenance technician returned to the factory if the factory had no professional maintenance technician capable of repairing the failure.

또한, 상기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는 원격지에 있는 전문 정비기술자와 자동화장비의 제어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일반 전화 등을 통하여 통화하면서 수리를 할 수 도 있으나, 전문 정비기술자가 직접 확인하면서 보수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리 및 점검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In addition, the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can repair a professional maintenance technician at a remote location and a person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through a telephone call while repairing it, Because it is not, it took much time to repair and inspect.

또한, 상기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는 원격지에서 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만큼 가동율이 떨어지게 되어 결국 생산성의 저하문제가 있었고, 생산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수리할 수 있는 전문 정비기술자가 항상 자동화장비 주변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낭비에 따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In addition, if the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is not smoothly performed at a remote place, production using automation equipment can not be performed,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utilization rate,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ering of productivity. As a professional maintenance technician always has to be in the vicinity of automation equipment, it caused a rise in manufacturing cost due to waste of manpower.

아울러, 상기 PLC를 단순한 동작이 필요한 소형의 저가 자동화장비에 사용할 경우 많은 개발비용과 PLC 자체의 고가 비용에 의하여 생산품의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PLC 기반의 자동화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이 필요하여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PLC is used in a small-sized low-cost automation device requiring simple operation,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due to a large development cost and the high cost of the PLC itself. In order to operate the PLC- There is a problem of raising the labor cos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7175호Korean Patent No. 10-138717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838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2838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는 제어를 위해 PLC의 프로그램 동작에 대한 해당 기술 영역의 전문지식이 필요하여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과 자동화장비의 수리 및 점검시 전문 정비기술자가 필요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 및 소형의 저가 자동화장비의 구동에 고가의 PLC를 이용할 경우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PLC를 대체하여 다양한 기계에 적용 가능한 저가의 인쇄회로기판 및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화장비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Conventional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requires expert knowledge of a corresponding technology area for PLC program operation for control, In the repair and maintenance of the automation equipment, a professional maintenance technician is needed. Therefore, when the expensive PLC is used for driving the small-sized low-cost automation equipment and the time-consuming problems, the manufacturing cost is raised. As a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ow cost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ble to various machines and a control system of an automated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that can directly control the automated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자동화장비에 설치되어 자동화장비의 각 구성에 출력정보를 전달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연결되고, 자동화장비를 제어하는 앱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PCB 이고, 동화장비의 각 구성으로부터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을 제시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phone installed in an automation equipment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on equipment and an app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And the connection unit is a PCB,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each component of the moving imag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앱은 연결부로부터 자동화장비의 각 구성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자동화장비의 각 구성의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자동화장비의 각 구성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동작명령을 확인하여 각 구성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을 찾아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정보를 연결부에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each configuration operation status of the automation equipment from a connection uni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on equipment,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hecking the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to find a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to generate output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the connection unit, do.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은 PLC를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과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저가의 비용으로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를 전문적인 학습을 하지 않고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와 자동화장비의 수리 및 점검시 전문 정비기술자가 없어도 쉽게 고장의 원인을 파악 및 수리할 수 있는 효과 및 상기 효과에 따른 생산품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ed equipment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mart phon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without using a PLC,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asily detecting and repairing the cause of the failure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effect even when there is no special maintenance technician in the repair and inspection of the automation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PLC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장비 시스템의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의 계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의 제1세부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의 제2세부 계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system.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detailed view of a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detailed schematic diagram of a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PLC(Programable Logic Control)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장비에서 PLC를 사용하지 않고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PLC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20)에 저장하여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을 제어하고,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자동화장비(100)의 동작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자동화장비(100)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perating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 -based automation apparatus without using a PLC.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toring a PLC program in a smartphone (20)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tomation apparatus 100 can be easily grasped by controlling each of the configurations 110 of the smartphone 100 and performing monitoring using the smartphone 20. Accordingly, A control system of an automation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which can easily control a vehicle.

즉, 본 발명은 고가의 PLC Unit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인쇄회로기판(PCB)와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a product by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using a low-cost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smartphone 20 without using an expensive PLC unit It makes it realize.

또한, 본 발명은 PLC Unit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PLC 프로그램의 전문 정비기술자 또는 전문적인 지식을 학습한 사용자가 아니어도 쉽게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PLC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automation apparatus 100 even if it is not a professional maintenance technician of a PLC program or a user who has learned specialized knowledge, thereby realizing an effect of reducing labor costs do.

아울러, 본 발명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균일성과 신뢰성이 높으며, 오배선의 우려가 적고, 생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배선, 검사의 공정수가 적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경량화되며, 잡음, 온도 및 진동과 충격에도 내성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전문 인력이 없이도 쉽게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ss production, high uniformity and reliability of products, less concern of miswiring, less cost of production, fewer steps of assembly, wiring and inspection, By 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at is resistant to noise, temperature, vibration and shock,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effect of easy installation and use can be achieved without the need of a specialis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자동화장비(100)에 설치되어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에 출력정보를 전달하는 연결부(10);와 연결부(10)에 연결되고,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하는 앱(22)을 구비하는 스마트폰(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unit 10 installed in an automation apparatus 100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to each configuration 110 of an automation apparatus 100, a connection unit 1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0, And a smartphone (20) having an app (22)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10)는 PCB이고,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으로부터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CB,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앱(22)은 연결부(10)로부터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3);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24);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25);와 입력부(24)로부터 입력된 동작명령을 확인하여 각 구성(11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을 찾아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26); 및 중앙처리장치(26)로부터 출력정보를 연결부(10)에 전달하는 출력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23 for receiving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from the connection unit 10, An input unit 24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nd a storage unit 25 for storing an operation program of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nd an operation command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4, A central processing unit (26) for searching for a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110)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to generate output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27)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to the connection unit (10).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110)요소인 스마트폰(20)은The smartphone 20, which is a key component (110) elem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후에 설명될 연결부(10)에 연결되고,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하는 앱(22)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20)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0)의 화면을 이용하여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의 동작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n app 22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The application unit 22 can be implemented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Not only the respective components 110 of the automation apparatus 100 are controlled but also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110 of the automation apparatus 100 can be confirmed us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20 .

즉, 본 발명의 스마트폰(20)은 종래의 PLC기반의 자동화장비(100')에서 PLC Unit(20') 및 PLC Unit(20')에 자동화장비의 각 구성(110)의 동작에 대한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터치모니터(10')의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smartphon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to the PLC unit 20 'and the PLC unit 20' in the conventional PLC-based automation equipment 100 '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touch monitor 10 'for inputting information.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20)은 PLC Unit(20')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구비된 앱(22)에 저장하고, 터치모니터(10')로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스마트폰(2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명령을 입력하면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의 동작명령을 중앙처리장치(26)를 통해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출력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출력정보를 이후에 설명될 연결부(10)에 전달함으로써,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을 제어하여 동작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smartpho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ogram included in the PLC unit 20 'in an app 22 and inputs input information input to the touch monitor 10' When the operation command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re input by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automation equipment 2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utput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control and operate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폰(20)은 이후에 언급될 연결부(10)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고, 이때 무선 통신망 중 원거리 통신망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WiBro), WiMAX,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de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MBS), and the local area network includes Bluetooth, RFID, , UWB, ZigBee, and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NFC).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20)은 이후에 언급될 연결부(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고, 유선 연결 즉, 유선 통신망은 전력선 통신(PLC),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martpho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by wire, and the wired connection may be a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Coaxial cable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20)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의 동작상태 정보, 자동화장비(100)의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 등을 이용한 주변환경 정보를 이후에 언급될 연결부(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smartpho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using camera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10).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20)에 구비되는 앱(22)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24)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25)와 입력부(24)로부터 입력된 동작명령을 확인하여 각 구성(11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을 찾아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26) 및 중앙처리장치(26)로부터 출력정보를 연결부(10)에 전달하는 출력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p 22 provided in the smartpho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24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The control unit 110 confirms the operation command inputted from the storage unit 25 and the input unit 24 in which the operation program of the configuration 110 is stored and finds the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110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program to generate the output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27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to the connection unit 10. [

즉, 상기 앱(2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스마트폰(20)에 설치되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유선으로 자동화장비(100) 즉, 이후에 언급될 자동화장비(100)에 설치된 연결부(10)에 연결되었을 때는 연결된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무선으로 특정 자동화장비(100)에 연결되었을 때는 특정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That is, the application 22 realiz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ontrol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desired by the user even if the smartphone 20 is installed in a commonly used smartphone 20, Whe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0 installed in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to be described later, a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nected automation equipment 100 can be automatically applied, and it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specific automation equipment 100 A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cific automation apparatus 100 can be selected and wirelessly communicated.

구체적으로, 상기 앱(22)의 입력부(24)는 자동화장비(100)의 각각의 구성(110)에 동작명령을 입력하거나, 동시에 각각의 구성(110)에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 방법은 스마트폰(20)의 터치스크린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입력된다.The input unit 24 of the application 22 can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or simultaneously input an operation command to each configuration 110, The method is entered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smartphone 20 by the user.

또한, 상기 앱(22)의 저장부(25)는 종래에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100')에 사용되는 PLC Unit(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이후에 언급될 연결부(10)에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로부터 수신되는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 후 사용자가 현재 상태와 이전의 상태를 비교하여 정상적인 작동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도록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storage unit 25 of the application 22 stores a program stored in the PLC unit 20 'used in the PLC-based automation apparatus 100' and stores the program stored in the connection unit 10, And receive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components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stores the receiv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then allows the user to compare the current state with the previous state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state is normal or not .

즉, 상기 앱(22)의 저장부(25)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중앙처리장치(26)가 입력부(24)에서 입력된 동작명령을 확인한 후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을 찾아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torage unit 25 of the application 22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each of the components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is to be operated aft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confirms an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24, And serves as a database that can find a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program.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앱(22)의 중앙처리장치(26)는 앞서 스마트폰(20)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앱(22)의 실행과 동시에 스마트폰(20)의 중앙처리장치를 앱(22)에 적용시켜 입력부(24)에 입력된 동작명령을 확인하여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부(25)에서 찾아 실행시켜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이후에 언급될 출력부(27)에 생성한 출력정보를 전달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of the application 22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built in the smartphone 20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martphone 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smartphone 20 is applied to the application 22 at the same time as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22 to confirm the operation command inputted to the input unit 24 and to output the configuration 110 in the storage unit 25 to generate outpu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utput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27 to be described later.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26)는 종래에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100')에 사용되는 PLC Unit(20')의 CPU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들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serves as a CPU of a PLC unit 20 'used in a PLC-based automation apparatus 100', and can directly control the respective units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s shown in FIG.

아울러, 상기 앱(22)의 출력부(27)는 종래에 PLC 기반의 자동화장비(100')에 사용되는 PLC Unit(2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른 각 구성(110)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출력 유니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6)로부터 출력정보를 받아 이후에 언급될 연결부(10)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27 of the application 22 has a signal for operating each component 110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a PLC unit 20 'used in a PLC-based automation apparatus 100' And receives outpu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and transmits the output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앱(22)은 이후에 언급될 연결부(10)로부터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23)는 자동화장비(100)의 각각 구성(110)들의 동작상태 정보인 온·오프 상태 정보, 모드별 상태 정보, 파츠 카운트 정보, 실행 시간 정보(또는, 런 타임 정보), 스핀들 정보(예를 들어, 목표값, 실제값 등 포함), 피드 정보(예를 들어, 목표값, 실제값 등 포함), 도구 정보 등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고, 앱(22)의 저장부(25)로부터 프로그램 정보, 동작명령 정보 등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22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23 for receiving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from the connection unit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23 displays on / off status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for each mode, part count information, execution time information (or runtime information), spindle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values, actual values, etc.), feed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values, actual values, etc.), tool information, and the like, Including the program information, the operation command inform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연결부(10)는The connecting part 10, which is a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자동화장비(100)에 설치되어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에 출력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PLC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장비(100')의 PLC Unit(20')처럼 자동화장비(100)에 직접 설치되고, 앞서 설명된 스마트폰(20) 즉, 앱(22)의 출력부(27)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를 전달 받아 입력부(24)에 입력된 동작명령에 따른 출력정보에 해당하는 구성(110)으로 전달한다.The PLC unit 20 'is installed in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nd transmits the output information to the respective units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The PLC unit 2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 And receives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utput unit 27 of the smartphone 20, that is, the app 22, and outputs the out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24 To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110).

즉, 본 발명의 연결부(10)는 자동화장비(10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스마트폰(20)의 앱(22)에서 입력되는 동작명령에 따른 출력정보를 해당하는 자동화장비(100)의 구성(110)에 전달함으로써, 스마트폰(20)에 의해 자동화장비(1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control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but transmits outpu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input from the app 22 of the smartphone 20 to the corresponding automation equipment 100 To the configuration 110 so that the automation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phone 20.

아울러, 본 발명의 연결부(10)는 스마트폰(20)에서 전달되는 출력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PLC Unit(20')보다 저가인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인쇄회로기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균일성과 신뢰성이 높으며, 오배선의 우려가 적고, 생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배선, 검사의 공정수가 적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경량화되며, 잡음, 온도 및 진동과 충격에도 내성을 가지고 있고, 제조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전문 인력이 없이도 쉽게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which is lower in price than the PLC unit 20 'capable of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0, As described above, since mass production is possible, product uniformity and reliability are high, there is less concern of miswiring, production cost is low, and the number of steps of assembly, wiring and inspection is small, , It is resistant to temperature, vibration and shock, further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is easily installed and used even without a specialist.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연결부(10)는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으로부터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폰(20)의 앱(22) 표시부(23)와 저장부(25)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nd displays the application 22 display unit 23 of the smartphone 20 and the storage unit 25 To the control unit.

즉, 본 발명의 연결부(10)는 자동화장비(100)의 각각의 구성(110)에 설치되어 있는 동작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감지센서, 온도센서 등)로부터 각각의 구성(110)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스마트폰(20)의 앱(22) 표시부(23)와 저장부(25)에 전달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동화장비(100)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후 이전 데이터와 비교하여 각각의 구성(110)들의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ach configuration 110 from a sensor (a sensor, a temperature sensor, etc.) capable of measuring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nstalled in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23 and the storage unit 25 of the application 22 of the smartphone 20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each of the structures 110 can be compared with the data.

일예로,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어제의 동작상태 정보에 따른 생산량과 금일의 동작상태 정보에 따른 생산량을 비교할 수도 있고, 불량품 생산량을 비교하여 어떠한 구성(110)의 노후화가 더 많이 진행되었는지 또는 수리를 요구하는 작동불량이 있는 지를 확인하여 쉽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thod of grasping the degree of aging may compare the amount of production according to yesterday'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according to today'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t is easy to identify the cause by confirming that there is a malfunction that requires repair.

이때, 상기 이전 데이터는 스마트폰(20)의 저장용량에 따라 많은 정보를 저장부(25)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일정량의 데이터만을 저장하도록 하며, 순차적으로 오래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하여 스마트폰(20)이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하는 것이 무리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vious data may store a lot of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5 according to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martphone 20, but only a certain amount of data is stored, and the old data is automatically deleted, It is desirable to make it unnecessary for the pawn 20 to control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아울러, 본 발명의 연결부(10)는 앞서 설명한 스마트폰(20)과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고, 이때 무선 통신망 중 원거리 통신망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이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20 described abov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may be a wireless LAN (WLAN) (WiBro), WiMAX, HSD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and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MBS), and the local area network includes Bluetooth, RFID, IrDA, UWB , ZigBee, and adjacent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NFC).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10)는 스마트폰(2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고, 유선 연결 즉, 유선 통신망은 전력선 통신(PLC), USB 통신, 이더넷, 시리얼 통신, 광·동축 케이블 등이 연결될 수 있는 포트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 by wire, and the wired connection may be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 USB communication, an Ethernet, a serial communication, Ports that can be connected can be included.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의 일예로, 실린더로 하강되어 모터의 회전으로 나사를 조립하는 자동화장비에 있어서, 스마트폰(20)의 앱(22)의 입력부(24)에 실린더의 승하강 동작명령인 X00를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26)는 X00에 해당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찾고, X00가 지정하는 프로그램을 찾아 실린더의 승강 또는 하강에 해당하는 출력정보인 Y00를 출력부(27)로 전달하며, 출력부(27)는 출력정보 Y00를 연결부(10)에 전달함으로써, 연결부(10)는 실린더에 Y00 출력정보를 전달하여 실린더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In this connection, in the automation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equipment for assembling the screw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by being lowered by the cylind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finds all the programs corresponding to X00, and finds a program designated by X00. T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finds a program designated by X00, and outputs information Y00 corresponding to the ascending or descending of the cylinder To the output unit 27. The output unit 27 transmits the output information Y00 to the connecting unit 10 so that the connecting unit 10 transmits the Y00 output information to the cylinder so that the cylinder is lifted or lowered.

즉,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은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자동화장비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장비(100)에 따라 연결부(10)인 PCB를 제작하여 설치하고, 특정 자동화장비(100) 또는 복수 개의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앱(22)을 이용하여 전문 지식을 학습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directly control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the smartphone 20 but also manufactures the PCB as the connection unit 10 according to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 user who has not learned the expertise can easily control the automation apparatus 100 by using the app 22 in which a specific automation apparatus 100 or a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the automation apparatuses 100 is stored. have.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changes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자동화장비 110 : 구성
10 : 연결부 20 : 스마트폰
22 : 앱 23 : 표시부
24 : 입력부 25 : 저장부
26 : 중앙처리장치 27 : 출력부
100: Automation equipment 110: Configuration
10: Connection 20: Smartphone
22: App 23: Display
24: input unit 25: storage unit
26: central processing unit 27: output unit

Claims (5)

자동화장비(100)에 설치되어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에 출력정보를 전달하는 연결부(10);와
연결부(10)에 연결되고, 자동화장비(100)를 제어하는 앱(22)을 구비하는 스마트폰(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
A connection unit 10 installed in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to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nd a smartphone (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0) and having an app (22) for controlling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는
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10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PC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는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으로부터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10
Wherein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앱(22)은
연결부(10)로부터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app 22
And a display unit (23)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from the connection unit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22)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24);와
자동화장비(100)의 각 구성(110)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25);와
입력부(24)로부터 입력된 동작명령을 확인하여 각 구성(11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을 찾아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장치(26); 및
중앙처리장치(26)로부터 출력정보를 연결부(10)에 전달하는 출력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화장비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 22
An input unit 24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each configuration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A storage unit 25 in which an operation program of each component 110 of the automation equipment 100 is stored;
A central processing unit (26) for confirming an operation command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4) and searching for a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110) and opera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to generate output information; And
And an output unit (27) for transmitting outpu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6) to the connection unit (10).
KR1020160033176A 2016-03-21 2016-03-21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KR101833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76A KR101833311B1 (en) 2016-03-21 2016-03-21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176A KR101833311B1 (en) 2016-03-21 2016-03-21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79A true KR20170109279A (en) 2017-09-29
KR101833311B1 KR101833311B1 (en) 2018-02-28

Family

ID=6003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176A KR101833311B1 (en) 2016-03-21 2016-03-21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3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25B1 (en) * 2017-01-23 2019-07-03 당현식 Research Assistant IO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33Y1 (en) * 2006-03-09 2006-09-06 박경익 Guard and regulating system for automatic machinery by using authentic c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311B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0256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field devices through portable communicator
CN106066637B (en) On-site equip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10153034A1 (en) Universal human machine interface for automation installation
CN107203196B (en) Industrial equip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9669432B (en) Setting system, setting device, and setting method
US201900202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managing electric motors
EP3729211B1 (en) Fieldbus controller interface including configuration, monitoring and controlling functionalities
US10099376B2 (en) Method for setting up and/or calibrating a robot
KR20130028385A (en)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using smart phone for plc based pres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33311B1 (en)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on equipment using a smart phone
KR101370979B1 (en) Logic edit typ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trumenatation and measurement of water facilities
EP3062304A1 (en) Amalgamated alphanumeric character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12113308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diagnosis system and diagnosis method
US202003489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managing electric motors
KR20180115899A (en) Automated Device Control Tools by aduino
US20170191690A1 (en) Field-testing system
KR102006125B1 (en) PLC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452692B1 (en) Iot-based termination apparatus of assembly type
US20210366437A1 (en) Device state reproduction device, device state reprodu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682611A2 (en) Apparatus for commanding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an actuator
KR20210051947A (en) Monitoring system using HMI optimized for smart factory construction
CN110978055A (en) Robot spare part testing station, building method and robot spare part testing method
US201803072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human-machine interface
US201800954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industrial network troubleshooting for automation systems
EP4365689A1 (en) Closed-loop input/output points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