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37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37A
KR20170104837A KR1020160027762A KR20160027762A KR20170104837A KR 20170104837 A KR20170104837 A KR 20170104837A KR 1020160027762 A KR1020160027762 A KR 1020160027762A KR 20160027762 A KR20160027762 A KR 20160027762A KR 20170104837 A KR20170104837 A KR 2017010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mobile terminal
display
s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호성
김성필
이보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837A/en
Priority to PCT/KR2016/014522 priority patent/WO2017155187A1/en
Publication of KR2017010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segment continuously connected in one direction with a flexible display, and the segment may include a slot and a pole. The pole can slide on the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The segment overlaps in a connected direction to form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an be bent without slipping on the body.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바디에 미끄러짐 없이 벤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display bends without slipping on a body.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바디에 미끄러짐 없이 벤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bending a display without sliding on a body.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시스템을 실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후면에 연결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되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구비하고, 상기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는, 상기 슬롯에서 슬라이딩하는 폴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And a bod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the body being sequentially connect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and having a plurality of segment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t least one of the segments includes a slot and at least another segment of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segments includes a pole that slides in the slot.

또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2 세그먼트의 연결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ots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또한, 상기 슬롯은 굽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slot may be curved.

또한, 상기 슬롯은,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세그먼트의 배열 방향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lo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which is in an incl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from the first end.

또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바디가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의 엣지를 향할수록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gment may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as the body is bent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towards the edge in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또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바디가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의 엣지 사이의 일 지점에서 가장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The segment may also have the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at one point between the center of the display and the edge in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with the body bending.

또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의 엣지를 향할수록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gment may have a smaller width toward the edge of the display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는, 메인 세그먼트와, 상기 메인 세그먼트와 교번으로 연결된 서브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 세그먼트와 상기 서브 세그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include a main segment and a sub segment that is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main segment, and the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ain segment and the sub segment.

또한, 상기 메인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단에 위치하는 메인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서브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양단에 위치하는 서브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segment includes a main plat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ain connection porti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The sub-segment includes a sub-plat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b- .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하면을 형성하고, Further, the main plate forms a low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상면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b-plate may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support the display.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며 지지하는 상부 제1 면과, 상기 제1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비스듬히 향하는 상부 제2,3면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plate may have an upper first surface facing the display while the body is flat, and a second upper surface facing the display. And a second upper surface and a second upper surface facing the display while the body is flat.

또한, 상기 상부 제1면과 상기 상부 제2,3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first surface and the upper second surface may support the display.

또한, 상기 서브 세그먼트의 상기 상부 제2,3 면은, 상기 서브 세그먼트와 이웃하는 상기 메인 세그먼트가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어, 상기 상부 제1면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and second surfaces of the sub-segment correspond to the angles formed by the main segments adjacent to the sub-segment, and may form an angle with the upper first surface.

또한, 상기 메인 연결부와 서브 연결부는, 상기 폴이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위치에 따라, 다른 넓이의 오버랩 영역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nection part and the sub connection part may have overlapping areas of different widths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pawl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또한, 상기 제1,2 세그먼트는, 상기 폴이 상기 슬롯에서 슬라이딩하여 변경한 위치에 따라,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may form an angle according to a position changed by sliding the pole in the slot.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된 각도를 형성하며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overlap each other to form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바디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양단이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형태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힘을 제공하는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betwee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To the body in a direction that is opposite to the body.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지지부바디; 상기 지지부 바디의 양단에서 연장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에 힘을 제공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ary support may include: a support bod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body; And a holder for providing a force to the engaging portion in a direction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지지부바디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support body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a frictional plate that abuts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provides a frictional force to the engaging portion in a direction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마찰력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frictional force plate may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마찰력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may include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riction plate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돌기에 대응하는 홀더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tching portion may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and the holder may include a holder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protrusion.

또한, 상기 걸림부돌기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 방향에 경사진 형상의 걸림부돌기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돌기는, 상기 걸림부돌기경사면에 대응하는 홀더돌기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protrusion which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and the protrusion of the holder may have a protrusion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홀더돌기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holder protrusion may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홀더돌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may include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 protrusion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바디에 미끄러짐 없이 벤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nd without slipping on the bod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가 벤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 이동 단말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세그먼트(MSM)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 메인 세그먼트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세그먼트(SSM)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연결부와 서브 연결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메인 연결부와 서브 연결부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와 디스플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벤딩된 이동 단말기의 곡률반경에 관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양 세그먼트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HPT)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 점선 영역의 고정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 및 30은, 도 27 고정지지부(HPT)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2 및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HP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bent.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5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6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7 is a rear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user.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segment (M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main segment of FIG. 12; FIG.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sub segment (S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main connection part and a sub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ain connection part and the sub connection part in Fig.
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gment and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9-24 are diagrams of radius of curvature of a mobile terminal b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segm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segments in Fig. 25 are bent.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support (H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in the dotted line in Fig. 27;
29 and 3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in Fig.
31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tted line portion in Fig.
32 and 33 illustrate a fixed support (H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축은, 카테시안(Cartesian) 좌표계로서 직교 좌표계인 XYZ좌표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축인 XYZ좌표축은,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축인 XYZ 좌표축에서, 양(positive)의 Z축 방향은,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을 감쌀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일 수 있다.The coordinate axe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Cartesian coordinate systems and XYZ coordinate axes which ar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s. The XYZ coordinate axis, which is a coordinate axi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left handed direction. In other words, in the XYZ coordinate axe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sitive Z axis direction may be the direction pointed by the thumb when the Y axis is wrapped around the X axis with the left h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 메인 바디(MBD), 제1,2 서브 바디(SBD1,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51)와 제1,2 서브 바디(SBD1,2)는, 바디(BD)에 포함될 수 있다. 바디(BD)는, 시스템을 실장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151, a main body (MBD), and first and second sub-bodies SBD1 and SBD2 as shown in FIG. 1 . The main body 151 and the first and second sub-bodies SBD1 and SBD2 may be included in the body BD. The body (BD) can mount the system.

디스플레이(151)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151)는, 외부의 힘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51)는, 외부의 힘에 의해 벤딩(bending)되면서도 화면을 전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The display 151 may be flexible. In other words, the display 151 can be bent by an external force. Alternatively, the display 151 can display the screen while being bending by an external force. The 'display unit'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display'.

메인 바디(MBD)는, 디스플레이(151)의 후면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또는 후방은, 디스플레이(151)가 화면을 전시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의 후면 또는 후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positive)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The main body MBD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151. [ Here, the rear face or rear face may refer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151 displays the screen. The rear or rear of the display 151 may be a positive Z-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메인 바디(MBD)는, 디스플레이(151)의 형상 또는 모양에 대응된 형상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151)가 플랫(flat)한 형상이면, 메인 바디(MBD)는 플랫(flat)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1)가 벤딩(bending)된 형상이면, 메인 바디(MBD)는 벤딩(bending)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MBD)가 벤딩함으로써 형성되는 평면은 YZ평면일 수 있다. The main body MB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r shape of the display 151. [ In other words, if the display 151 has a flat shape, the main body MBD may be flat. Further, if the display 151 is a bending shape, the main body MBD may be a bended shape. For example, the plane formed by bending the main body (MBD) may be a YZ plane.

메인 바디(MBD)는, 벤딩(bending)되더라도, 디스플레이(151)와 마주보는 영역이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바디(MBD)의 상측 면적은, 메인 바디(MBD)가 벤딩되더라도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바디(MBD)의 상측은, 디스플레이(151)를 마주보는 면이 될 수 있다. 메인 바디(MBD)의 형상이 디스플레이(15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메인 바디(MBD)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 SM)를 포함할 수 있다.Even if the main body MBD is bended, the area facing the display 151 may not be changed. In other words, the upper area of the main body MBD may not change even if the main body MBD is bent. Here,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MBD may be a surface facing the display 151. [ The main body MB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SM so that the shape of the main body MBD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splay 151. [

세그먼트(SM)는, 복수 개로서 디스플레이(151)의 후면 또는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가 연결된 방향은,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이 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 중 제1,2 세그먼트는, 이웃할 수 있다. The segments SM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or rear of the display 151 as a plurality of segments.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be connected in series.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can be sequentially connect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are connected may be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Or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be adjacent.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가 벤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벤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다르게, 길이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벤딩되는 이동 단말기가 고려될 수 있다. FIG. 2 is a view showing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bent. FIG.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Unlike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a mobile terminal bent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가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볼록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바디(BD)는 디스플레이(151)의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벤딩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nt convex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151 is directed. Further, the body (BD) can be bent concavely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151.

디스플레이(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1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15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는 일반적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15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The de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warping, bending, folding, twisting, and curling of the display 151. This deformable display 151 may be referred to as a " flexible display ". Here, the flexible display 151 may include both a general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paper (e-paper) and a combination thereof.

일반적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A typical flexible display is a sturdy display that is lightweight and does not break easily, such as paper, which is fabricated on a thin,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nd, bend, fold, twist, or curl like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technology to which general ink characteristics are applied, and the point that the reflected light is used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The electronic paper can be changed by using a twist ball or electrophoresis (electrophoresis) using a capsul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51 is not deformed (for example, a state having an infinite radius of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151 becomes flat. In the first state, the display area may be a curved surface in a stat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a state having a finite radius of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state may be time information output on the curved surfac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151 may be placed in a bent state (e.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51 is bent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stead of a flat state in the first state. In this case,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151, the flexible display 151 may be deformed into a flat state (or a less bent state) or a more bent state.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XX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lexible display 151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to implement a flexible touch screen. When a touch is made to the flexibl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80 (see FIG. XX) can perform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he flexibl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touch input in the first state as well as the second state.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XX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deformation sensing means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see FIG.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 등에 구비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flexible display 151 or the like to sen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51.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may b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151 is deformed, the degree of deformation, the deformation position, the deformation time, and the acceleration at which the deformable flexible display 151 is restored, And may be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due to warping of the flexible display 151.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chang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151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151 sensed by the deformation sensing unit, May be generated.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include a case 201 that accommodates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The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25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The state change of the flexible display 151 is not limited to the exter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flexible display 151 has a first state, it may be transformed into a second state by a command of a user or an 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벤딩됨으로써 막대 형상을 가지는 물건에 거치될 수 있다. By bending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Alternativel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a bar-shaped object by bending.

디스플레이(151)는, 메인 바디(MBD)의 벤딩된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가 구부러진 형상이 되면, 디스플레이(151)가 보여지는 각도는 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가 플랫(flat)한 경우, 디스플레이(151)는 음의 Z축에서 양의 Z축 방향으로 화면을 전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가 벤딩된 경우, 디스플레이는 Z축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도 화면을 전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15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nd shape of the main body MBD. The display 151 may have a curved shape. When the display 151 becomes a curved shape, the angle at which the display 151 is viewed can be increased. When the display 151 is flat, the display 151 can display the screen in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on the negative Z-axis. When the display 151 is bent, the display can display the screen not only in the Z-axis but also in the Y-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D)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SM)와 고정지지부(HP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플랫(flat)한 상태 또는 벤딩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HPT)는, 바디(BD)의 형태 변화를 억제하는 일정 수준의 힘을 바디(BD)에 제공할 수 있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As shown in FIG. 3, the body B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SM and a fixed support portion HP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need to maintain a flat or bend state.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can provide a certain level of force to the body BD to suppress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body BD.

세그먼트(SM)는 복수 개로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일렬로 또는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can be sequentially arranged.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be arranged in a line or in series.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be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세그먼트(SM)는 복수 개로서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그먼트(SM)는 이웃하는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세그먼트(SM)는 내부에 고정지지부(HPT)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can be sequentially connected. In other words, the segment SM can be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segment SM. The segment SM can penetrate at least a part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therein.

고정지지부(HPT)는, 바디(BD)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HPT)는, 양 단이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HPT)는, 바디(BD)의 형태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바디(BD)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지지부(HPT)가 바디(BD)에 제공하는 힘은, 바디(BD)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HPT)가 바디(BD)에 제공하는 힘보다 큰 힘이 바디(BD)에 가해지면, 바디(BD)의 형태는 변화될 수 있다.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D. The fixed support (HP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at both ends. The fixed support (HPT) can provide force to the body (B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hape change of the body (BD). Here, the force provided by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to the body BD can cause the body BD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If a force larger than the force provided by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to the body BD is applied to the body BD, the shape of the body BD can be changed.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D)가 벤딩되면 세그먼트(SM)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세그먼트(SM)사이에 좁아지는 부분은, 바디(BD)의 하면일 수 있다.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As shown in FIG. 4, when the body BD is bent, a gap between the segments SM may be narrowed. The narrowing portion between the segments SM may be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D.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는 바디(BD)의 상면은 그 면적이 일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디(BD)가 벤딩되더라도 바디(BD)에 연결된 디스플레이(151)는, 바디(BD)에 연결된 지점과의 상대적 위치가 일정할 수 있다. 바디(BD)의 상면(upper face)은 디스플레이(151)를 향할 수 있다. 바디(BD)의 상면의 넓이는 바디(BD)의 벤딩된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할 수 있다. 또는 바디(BD) 상면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바디(BD)의 벤딩된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할 수 있다.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D facing the display 151 may be constant. In other words, even if the body BD is bent, the display 151 connected to the body BD may have a constant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a point connected to the body BD. An upper face of the body BD may face the display 151. [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D can be constant regardless of the bend state of the body BD. Or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D) may be constant regardless of the bending state of the body (BD).

바디(BD)가 벤딩되면, 바디(BD)는 곡률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BD)가 벤딩되어도 바디(BD) 상면의 넓이가 일정한 경우, 바디(BD)가 벤딩되면 바디(BD)의 총 부피(volume)는 줄어들 수 있다. 바디(BD)의 총 부피는 세그먼트(SM)의 연결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웃하는 세그먼트(SM)의 오버랩(overlap)되는 넓이가 커지면, 바디(BD)의 총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When the body BD is bent, the body BD can form a radius of curvature. If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D is constant even though the body BD is bent, the total volume of the body BD may be reduced if the body BD is bent. The total volume of the body B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gment SM. When the overlapping extent of the neighboring segments SM is large, the total volume of the body BD can be reduced.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서브 세그먼트(SSM)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As shown in FIG. 5,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include a main segment (MSM) and a sub segment (SSM).

메인 세그먼트(MSM)는, 메인 바디(MBD)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세그먼트(MSM)는 서브 세그먼트와 교번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메인 세그먼트(MSM) 중 두 개의 메인 세그먼트(MSM)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SSM)가 위치할 수 있다.The main segment MSM can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The main segment (MSM) may be alternately connected with the subsegment. In other words, at least one sub-segment (SSM) may be located between two main segments (MSM) of a plurality of main segments (MSM).

서브 세그먼트(SSM)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이웃하여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세그먼트(SSM)는, 디스플레이(151)를 지지할 수 있다. 서브 세그먼트(SSM)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연결되어 오버랩(overlap)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서브 세그먼트(SSM)와 메인 세그먼트(MSM)의 오버랩 영역은, 벤딩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서브 세그먼트(SSM)와 메인 세그먼트(MSM)의 오버랩된 영역은, 바디(BD)의 부피(volum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sub-segment (SSM) may be connected next to the main segment (MSM). The sub segment (SSM) may support the display 151. [ The sub-segment (SSM) may have an area that is connected to and overlapped with the main segment (MSM). The overlap region of the sub segment (SSM) and the main segment (MSM)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bending. Or the overlapped area of the sub segment (SSM) and the main segment (MSM) may vary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body (BD).

바디(BD)의 상면은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는 면일 수 있다. 바디(BD)의 하면은 디스플레이(151)에 반대되는 면일 수 있다. 바디(BD)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바디(BD)의 상면과 하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BD may be a surface facing the display 151. [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D may be a surface opposite to the display 151. [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D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rea in a state where the body BD is flat.

도 6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D)가 굽혀지면, 세그먼트(SM)의 연결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상태는, 이웃하는 세그먼트(SM)의 오버랩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세그먼트(SM)의 연결 상태는, 이웃하는 세그먼트(SM)에 의해 형성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6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As shown in FIG. 6, when the body BD is ben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gment SM can be changed. Here, the connection state may mean the overlapping degree of the neighboring segment SM. Or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gment SM may mean an angle formed by the neighboring segment SM.

메인 세그먼트(MSM)는, 바디(BD)가 벤딩됨에 따라 인접한 다른 메인 세그먼트(MSM)와의 짧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접한 양 메인 세그먼트(MSM) 사이의 거리는, 바디(BD)가 벤딩됨에 따라 짧아질 수 있다. 인접한 양 메인 세그먼트(MSM) 사이에 서브 세그먼트(SSM, 도 5)가 위치할 수 있다. The main segment (MSM) may have a short distance from another adjacent main segment (MSM) as the body (BD) is bent. 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adjacent main segments MSM can be shortened as the body BD is bent. (SSM, Figure 5) may be located between adjacent two main segments (MSM).

서브 세그먼트(SSM)와 메인 세그먼트(MSM)의 오버랩된 영역은, 바디(BD)의 벤딩된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세그먼트(SSM)와 메인 세그먼트(MSM)의 오버랩된 영역은, 바디(BD)가 벤딩될수록 넓어질 수 있다. The overlapped area of the sub segment (SSM) and the main segment (MSM)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ody (BD). For example, the overlapped area of the sub segment (SSM) and the main segment (MSM) may become wider as the body (BD) bends.

세그먼트(SM)는, 바디(BD)가 벤딩된 상태에 따라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그먼트(SM)는, 바디(BD)가 벤딩된 상태에서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SM)는, 바디(BD)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무한대의 곡률반경은, 유한의 곡률반경에 비하여 상당히 큰 곡률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egment SM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body BD is bent. In other words, the segment SM can have a finite radius of curvature in the state where the body BD is bent. Also, the segment SM may have a substantially infinite radius of curvature with the body BD flat. Here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infinity may mean a radius of curvature that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finite.

세그먼트(SM)는, 세그먼트의 폭(width)과, 세그먼트(SM)에 이웃하는 세그먼트(SM)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및 이웃하는 세그먼트(SM)의 폭(width)에 의해 결정되는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웃하는 양 세그먼트(SM)가 형성하는 곡률반경은, 이웃하는 양 세그먼트(SM)가 형성하는 각도와 양 세그먼트(SM)의 폭(width)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segment SM has a radius of curvature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segment and the angle formed by the segment SM adjacent to the segment SM and the width of the neighboring segment SM . Or the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neighboring two segments SM can be determined by the angle formed by the neighboring two segments SM and the width of both segments SM.

여기서 세그먼트(SM)의 폭은,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으로 세그먼트(SM)의 길이(length)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SM)의 폭은, 복수 개의 세그먼트(SM)가 배열된 방향으로 세그먼트(SM)의 길이(length)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segment SM may mean the length of the segment S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The width of the segment SM may also mean the length of the segment SM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are arranged.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BD)는 플랫(flat)한 상태이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는 플랫(flat)한 상태이다. 7 is a rear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The body B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is in a flat state. Or the display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is in a flat state.

세그먼트(SM)는, 메인 세그먼트(MSM)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세그먼트(MSM)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D) 또는 메인 바디(MBD)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BD)의 하면이 향하는 방향은, 디스플레이(151)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메인 세그먼트(MSM)는, 바디(BD)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인접한 메인 세그먼트(MSM)와 이격될 수 있다. The segment SM may include a main segment MSM. The main segment MSM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BD or the main body MBD as shown in FIG. Here,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D may be opposite to that of the display 151. The main segment MSM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main segment MSM with the body BD flat.

메인 세그먼트(MSM)는, 배열된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세그먼트(SM)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반경은, 세그먼트(SM)의 폭(width)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세그먼트(MSM)가 배열된 위치에 따라 메인 세그먼트(MSM)의 폭이 달라지면, 메인 세그먼트(MSM)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반경이 메인 세그먼트(MSM)가 배열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main segment (MSM)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ranged position. The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segment SM may vary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segment SM. In other words, if the width of the main segment (MSM) diffe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in segment (MSM), the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main segment (MSM)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main segmen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고정지지부(HPT)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HPT)의 적어도 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SM)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ed support unit (HP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HPT) may be located inside the segment SM, as shown in Fig.

도 8은, 도 7 이동 단말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도 7의 이동 단말기(100)를 A-A'로 자른 모습이다. 도 7에서 A-A'는 지지부바디(HPTB)가 위치하는 선(line)일 수 있다. 고정지지부(HTP)는, 지지부바디(HTPB), 지지부바디(HTPB)에 연결된 걸림부(HK, 미도시), 그리고 결림부(HK, 미도시)에 힘을 제공하는 홀더(HD)를 포함할 수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8 i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7 is cut at A-A '. In FIG. 7, A-A 'may be a line where the support body (HPTB) is located. The fixed support HTP includes a support body HTPB, a retainer HK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HTPB, and a holder HD that provides force to the stiffener HK (not shown) .

지지부바디(HTPB)는, 세그먼트(SM)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지지부바디(HTPB)가 세그먼트(SM)에 전달하는 힘은, 바디(BD)의 형태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바디(HTPB)가 세그먼트(SM)에 전달하는 힘은, 이웃하는 세그먼트(SM) 사이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세그먼트(SM)에 전달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HTPB) can transmit force to the segment (SM).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support body HTPB to the segment SM can be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body BD. Further,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support body HTPB to the segment SM can be transmitted to the segment SM in such a direction as to suppress the relative positional change between the adjacent segments SM.

지지부바디(HTPB)는, 디스플레이(151)의 전후 방향으로 세그먼트(SM)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바디(HTPB)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서브 세그먼트(SSM)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바디(HTPB)는, 메인 플레이트(MPT)와 서브 플레이트(SPT)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는 메인 세그먼트(MSM)에 포함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서브 세그먼트(SSM)에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와 서브 플레이트(SPT)는, 디스플레이(151)의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gments SM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For example,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located between the main segment (MSM) and the sub-segment (SSM). In particular,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plate (MPT) and the sub-plate (SPT). The main plate MPT may be included in the main segment MSM. The sub-plate SPT may be included in the sub-segment SSM. The main plate MPT and the sub-plate SPT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지지부바디(HTP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바디 (HTPB1)와 제2 지지부바디(HTPB2)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HTPB)는, 제1 지지부바디(HTPB1)와 제2 지지부바디(HTPB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바디 (HTPB1)와 제2 지지부바디(HTPB2)는, 디스플레이(151)의 중심부에 인접하여 분리된 형상일 수 있다.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provided as a first support body HTPB1 and a second support body HTPB2 as shown in FIG. The support body HTPB can be divided into a first support body HTPB1 and a second support body HTPB2. The first support body HTPB1 and the second support body HTPB2 may be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지지부바디(HTPB)는, 세그먼트(SM)에 연결됨으로써 세그먼트(SM)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바디(HTPB)의 일 측은 일 세그먼트(SM)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지지부바디(HTPB)의 타 측은 걸림부(HK, 미도시)를 통해 홀더(HD, 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타 세그먼트(SM)에 간접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지지부(HTP)는, 세그먼트(SM)에 연결됨으로써 세그먼트(SM)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지지부(HTP)는, 바디(BD)의 형태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세그먼트(SM)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connected to the segment SM to provide a force to the segment SM. For example,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ne segment SM,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ody HTPB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HD (not shown) through a hook HK (not shown) So that it can be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segment SM. In other words, the fixed support HTP can provide a force to the segment SM by being connected to the segment SM. For example, the fixed support HTP can provide force to the segment SM in a direction that suppresses the shape change of the body BD.

제1 지지부바디(HTPB1)는, 디스플레이(151)의 중심부에 인접한 세그먼트 (SM)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바디(HTPB1)는 제1 세그먼트(SM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바디(HTPB2)는, 디스플레이 (151)의 중심부에 인접한 세그먼트 (SM)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바디(HTPB2)는 제2 세그먼트(SM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M1)와 제2 세그먼트(SM2)는, 인접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body HTPB1 may be connected to the segment SM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body HTPB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gment SM1. The second support body HTPB2 may be connected to the segment SM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body HTPB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gment SM2. The first segment SM1 and the second segment SM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이동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MBD)의 양 측에 연결된 제1,2 서브 바디(SBD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서브 바디(SBD1,2)는, 각각 제1,2 회로 기판(PCB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회로 기판(PCB1,2)는, 이동 단말기(100)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b-bodies SBD1 and SBD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MBD. The first and second sub-bodies SBD1 and SBD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PCB1 and PCB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PCB1 and 2 may control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굽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800)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벤딩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nt.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bent to be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800.

이동 단말기(100)가 플랫(flat)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통상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flat,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used in a manner using a conventional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as shown in Fig. 9,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used in a manner using a wearable device.

도 1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 바디(BD), 그리고 고정지지부(HPT)를 포함할 수 있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10,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151, a body (BD), and a fixed support (HPT).

바디(BD)는, 디스플레이(151)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D)는, 디스플레이(151)를 기준으로 양의 Z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BD)는 디스플레이(151)의 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BD)는, 메인 바디(MBD)와 제1,2 서브 바디(SBD)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BD)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151. As shown in FIG. 10, the body BD may be positioned in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151. The body (B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151. The body BD may include a main body MBD and first and second sub-bodies SBD.

메인 바디(MBD)는, 디스플레이(151)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바디(MBD)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MBD)가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151)가 바디(BD)에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MBD)는, 세그먼트(SM)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MBD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151. [ The main body MBD can be connected to a display. The area where the main body MBD faces the display 151 may include an area where the display 151 is located on the body BD. The main body MBD may include a segment SM.

세그먼트(SM)는, 복수 개로서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세그먼트(SM)는, 메인 바디(MBD)의 상면(upper face)과 하면(lower face)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MBD)의 상면은,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는 면(face)일 수 있다. 메인 바디(MBD)의 하면은, 디스플레이(151)에 반대된 방향을 향하는 면(face)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세그먼트(SM)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는, 고정지지부(HPT)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can be sequentially connected.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be arrang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 The segment SM can form an upper face and a lower face of the main body MB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may be a face facing the display 151. [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may be a face facing the display 151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least one segment SM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may pas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HPT).

세그먼트(SM)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서브 세그먼트(SSM)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세그먼트(SM)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서브 세그먼트(SSM)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세그먼트(MSM)와 서브 세그먼트(SSM)는, 교번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세그먼트(SSM)는, 인접하는 두 개의 메인 세그먼트(MSM)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서브 세그먼트(SSM)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세그먼트(MSM)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gment SM may include a main segment MSM and a sub segment SSM. Or the segment SM may be provided in the main segment MSM and the sub segment SSM. The main segment (MSM) and the sub segment (SSM) can be arranged alternately. The sub segment (SSM) may connect two adjacent main segments (MSM). Or sub-segment (SSM)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main segment (MSM).

메인 세그먼트(MSM)는, 디스플레이(15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스크루(RSCR)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디스플레이(151)를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세그먼트(MSM)는, 배터리(191)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세그먼트(MSM)는, 메인 플레이트(MPT)와 메인 연결부(MLK)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segment (MSM)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151. For example, the rear screw (RSCR) can connect the display segment 151 with the main segment (MSM). The at least one main segment (MSM) may provide space in which the battery 191 is seated. The main segment MSM may include a main plate MPT and a main connection MLK.

메인 플레이트(MPT)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대해 측면으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는, 메인 연결부(MLK)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는, 메인 플레이트(MPT)에 조립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메인 연결부(MLK)는, 메인 플레이트(MPT)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plate MPT may have a lengthwise direction sideways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The main plate MP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can be coupled by being assembled to the main plate MPT. Or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plate MPT.

메인 연결부(MLK)는, 메인 플레이트(MPT)의 양 단에 연결되어 메인 세그먼트(MSM)의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는, 메인 바디(MBD)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plate MPT and can perform the connection function of the main segment MSM.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can form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메인 플레이트(MPT)는, 메인 바디(MBD)의 하면 또는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착용되는 경우, 사용자에 접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는,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인 플레이트(MPT)는, 직사각형 기둥이 밑면에 누운 형상일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는, 지지부바디(HPTB)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메인 플레이트(MPT)는, 지지부바디(HPTB)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The main plate MPT can form a lower surface or a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The main plate MPT can be in contact with the us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the user. The main plate MPT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Alternatively, the main plate MPT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rectangular column lies on the bottom surface. The main plate MPT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body HPTB. Or the main plate MPT can support the support body HPTB upward.

메인 연결부(MLK)는, 메인 세그먼트(MSM)가 서브 세그먼트(SSM)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일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는, 메인 플레이트(MPT)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또는 메인 연결부(MLK)는, 디스플레이(151)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The main connection MLK may cause the main segment MSM to be connected to the sub segment SSM.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as a whole. The main connection MLK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te MPT. Or the main connection MLK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splay 151. [

서브 세그먼트(SSM)는, 서브 플레이트(SPT)와 서브 연결부(SLK)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측면으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서브 연결부(SLK)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는, 서브 플레이트(SPT)에 조립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스크루(FSCR)는, 서브 연결부(SLK)와 서브 플레이트(SPT)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는, 서브 플레이트(SPT)의 양 단에 연결되어 서브 세그먼트(SSM)의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ub-segment SSM may include a sub-plate SPT and a sub-connection SLK. The sub-plate SPT may have a lengthwise direction sideways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The sub-plate SPT can be connected to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The sub connection portions SLK can be coupled by being assembled to the sub-plate SPT. For example, the front screw (FSCR) can connect the sub-connection portion SLK and the sub-plate SPT. The sub connection part SLK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b plate SPT and can perform the connection function of the sub segment SSM.

서브 플레이트(SPT)는, 메인 바디(MBD)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디스플레이(151)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일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지지부바디(HPTB)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메인 플레이트(MPT)와 함께, 지지부바디(HPTB)의 통로가 될 수 있다. The sub-plate SPT can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The sub-plate SPT can support the display 151 upward. The sub-plate SPT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The sub-plate SPT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body HPTB. The sub-plate SPT, along with the main plate MPT, can be a passage for the support body HPTB.

서브 연결부(SLK)는, 서브 세그먼트(SSM)가 메인 세그먼트(MSM)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는, 서브 플레이트(SPT)의 적어도 일부에 또는 디스플레이(151)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The sub-connection SLK may be such that the sub-segment SSM is connected to the main segment MSM.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as a whole.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can be at least part of the sub-plate SPT or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splay 151. [

고정지지부(HPT)는, 메인 바디(MBD) 또는 바디(BD)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HPT)는, 메인 바디(MBD) 의 형상 변화를 억제하는 힘을 메인 바디(MBD)에 제공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HPT)는, 지지부바디(HPTB), 걸림부(HK), 그리고 홀더(H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may b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MBD or the body BD.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can provide the main body MBD with a force that suppresses the shape change of the main body MBD.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may include a support body HPTB, an engagement portion HK, and a holder HD.

지지부바디(HPTB)는, 일 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는, 다른 일 측에서 걸림부(HK)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는, 디스플레이(151)에서 바디(BD)를 향하는 방향으로, 세그먼트(SM)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바디(HPTB)는, 메인 플레이트(MPT)와 서브 플레이트(SPT)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on one side.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connected to the latching portion HK at the other side.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gments SM in a direction from the display 151 toward the body BD. For example,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in plate (MPT) and the sub-plate (SPT).

걸림부(HK)의 일 측은, 지지부바디(HPTB)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HK)의 다른 일 측은, 홀더(HD)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HK)는, 홀더(HD)를 기준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걸림부(HK)는, 홀더(HD)에 대한 위치 변경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홀더(HD)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다. 걸림부(HK)는, 홀더(HD)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One side of the latching portion HK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HPTB. The other side of the hook HK can be connected to the holder HD. The latching portion HK can be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HD. The latching portion HK can receive a force from the holder HD in a direction for restraining the positional change with respect to the holder HD. The latching portion HK can be inserted or fitted in the holder HD.

홀더(HD)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SM)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HD)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으로 엣지(edge)에 위치하는 메인 세그먼트(MSM)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HD)는, 걸림부(HK)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HD)는, 걸림부(HK)에게 바디(BD)의 상태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걸림부(HK)에게 전달된 힘은, 지지부바디(HPTB)에 전달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에 전달된 힘은, 지지부바디(HPTB)의 상하부에 위치한 메인 플레이트(MPT)와 서브 플레이트(SPT)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디(BD)의 상태 변화를 억제하는 힘(force)이, 복수 개의 세그먼트(SM)에 전달될 수 있다. The holder HD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For example, the holder HD may be fixed to the main segment MSM located at the edg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The holder HD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latching portion HK. The holder HD can provide a force in the direction to suppress the change of the state of the body BD to the engagement portion HK.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latch portion HK can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body (HPTB).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plate MPT and the subplate SPT locat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ody HPTB. In other words, a force for restricting the state change of the body BD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서브 바디(SBD)는, 메인 바디(MBD)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바디(SBD)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으로 메인 바디(MBD)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ub-body SB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MBD. For example, the sub-body SB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MB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 SM.

서브 바디(SBD)는, 서브백커버(SBC)와 서브프론트커버(SFC)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백커버(SBD)는, 서브 바디(SBD)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백커버(SBC)는, 회로 기판(PCB)를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프론트커버(SFC)는, 서브 바디(SBD)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바디(SBD)는, 제1,2 서브 바디(SBD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body SBD may include a sub-back cover SBC and a sub-front cover SFC. The sub back cover SBD can form the back side of the sub body SBD. The sub back cover (SBC) can provide a space for seating the circuit board (PCB). The sub front cover (SFC) can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sub-body (SBD). The sub-body SBD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sub-bodies SBD1 and SBD2.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1)의 분해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151)는, 윈도우(151a), 윈도우 테이프(151b), 광학용 투명 접착제(151c), 디스플레이 프론트커버(151d), 디스플레이 패널(151e), 디스플레이 테이프(151f), 그리고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151 includes a window 151a, a window tape 151b, an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151c, a display front cover 151d, a display panel 151e, a display tape 151f, and a display back plate 151g ). The display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not shown).

윈도우(151a)는, 디스플레이(15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151a)는, 플렉시블(flexible)할 수 있다. 윈도우(151a)는, 외부의 충격에 강할 수 있다. 윈도우(151a)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할 수 있다. The window 151a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151. [ The window 151a may be flexible. The window 151a can be strong against an external impact. At least a part of the window 151a may be transparent.

윈도우 테이프(151b)는,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 프론트커버(151d)를 결합할 수 있다. 광학용 투명 접착제(151c)는,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 패널(151e)을 결합하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론트커버(151d)는, 디스플레이 패널(151e)의 외주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테이프(151f)는,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와 디스플레이 패널(151e)을 연결할 수 있다. The window tape 151b can engage the window 151a and the display front cover 151d. The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151c can provide a bonding force for joining the window 151a and the display panel 151e. The display front cover 151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play panel 151e. The display tape 151f can connect the display back plate 151g and the display panel 151e.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디스플레이(151)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바디(BD)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세그먼트(MSM)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디스플레이 (151)의 강성(剛性)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back plate 151g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151. [ The display back plate 151g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BD. For example, the display back plate 151g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Or the display back plate 151g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main segment (MSM). The display back plate 151g can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display 151. [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분절체(分節體, 151h)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절체(151h)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절체(151h)는,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는,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는, 분절체(151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절체(151h)의 연결 방향으로 이웃하는 양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 사이에 하나의 분절체(151h)가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back plate 151g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partition bodies 151h. Here, the splitter 151h may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o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The split switches 151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ack plate connection portion 151i. The backplate connection portion 151i may be connected to the segment SM. The backplate connection portion 151i may be located between the splitters 151h. One splitter 151h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backplate connection portions 151i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splitter 151h.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디스플레이(151)의 벤딩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바디(BD)의 벤딩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The display back plate 151g can guide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 Or the display back plate 151g can guide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ody BD.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는, 굽혀지더라도 전체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가 벤딩되면, 바디(BD)는 디스플레이 백플레이트(151g)의 형상에 대응되어 벤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1)는 바디(BD)에 대하여 슬라이딩(sliding)하지 않으면서도 굽혀질 수 있다. 분절체(151i)에 연결된 세그먼트(SM)의 양 지점 사이의 거리는 바디(BD)의 벤딩에 관계 없이 일정하므로, 디스플레이(151)가 바디(BD)에 대하여 슬라이딩(sliding)하지 않으면서 굽혀질 수 있다. The display back plate 151g can be kept constant in its entire area even when bent. In other words, when the display back plate 151g is bent, the body BD can be ben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display back plate 151g. Also, the display 151 can be bent without sliding against the body B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of the segment SM connected to the split switch 151i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bending of the body BD so that the display 151 can be bent without sliding against the body BD have.

분절체(151h)의 폭(width)은, 분절체(151h)의 배열 방향일 수 있다. 분절체(151h)의 폭은, 분절체(151h)마다 다를 수 있다. 분절체(151h)의 폭은,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에서 엣지(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로 향할수록 작을 수 있다. 또는 분절체(151h)의 폭은,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에서 엣지(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 사이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The width of the split switch 151h may b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plit switches 151h. The width of the split switch 151h may be different for each branch switch 151h. The width of the split switch 151h may be smaller toward the edg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 Or the distribution switch 151h may be the smallest between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and the edg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세그먼트(MSM)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세그먼트(MSM)는, 메인 플레이트(MPT)와 메인 플레이트(MPT)의 양 측에 연결된 메인 연결부(MLK), 그리고 메인 플레이트(MPT)에 형성된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는, 슬롯(SLT)과 폴(PL)을 포함할 수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segment (M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he main segment MSM includes a main plate MPT, a main connection MLK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plate MPT, and a support body guide MPG formed on the main plate MPT. . ≪ / RTI >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may include a slot SLT and a pole PL.

메인 플레이트(MPT)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플레이트(MPT)의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MPT)는, 디스플레이(15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plate (MPT)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late MPT may be the X-axis direction. The main plate (MPT)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151).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메인 플레이트(MPT)의 면에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메인 플레이트(MPT)로부터 메인 연결부(MLK)가 연장된 방향으로, 메인 플레이트(MPT)의 일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메인 플레이트(MPT)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지지부바디(HPTB)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바디 가이드(MPG)의 메인 플레이트(MPT)로부터의 높이는, 지지부바디(HPTB)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guide MPG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plate MPT. The support body guide MPG can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main plate MP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connection MLK extends from the main plate MPT. The support body guide MPG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plate MPT. The support body guide MPG can support the support body HPTB upward. The height of the support body guide MPG from the main plate MPT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ody HPTB.

슬롯(SLT)은, 메인 연결부(MLK)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SLT)은, 홀(hall)의 형상일 수 있다. 슬롯(SLT)은,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슬롯(SLT)은, 연장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슬롯(SLT)은, 세그먼트(SM)의 연결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슬롯(SLT)의 방향은, 슬롯(SLT)의 연장된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슬롯(SLT)은, 굽은(bent) 형상일 수 있다. 슬롯(SLT)은, 메인 플레이트(MLT)의 내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굽은(ben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롯(SLT)은, 디스플레이(151)를 향해 굽어진(ben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롯(SLT)은, 원호(arc of circ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롯(SLT)은, 하나의 메인 연결부(MLK)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lot SL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The slot SLT may be in the shape of a hall. The slot SLT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ot SLT may have an extended direction. The slot SLT can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direction of the segment SM. Here, the direction of the slot SLT may be the extended direction or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lot SLT. The slot SLT may be a bent shape. The slot SLT may have a bent shap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plate MLT faces. The slot SLT may have a bent shape toward the display 151. The slot SLT may have the shape of an arc of a circle. The slots SLT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one main connection MLK.

폴(PL)은, 메인 연결부(MLK)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폴(PL)은, 돌기의 형상일 수 있다. 폴(PL)은, 메인 연결부(MLK)에서 메인 플레이트(MPT)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폴(PL)은, 다른 세그먼트(SM)에 구비된 슬롯(SLT)에 끼워질 수 있다. 폴(PL)은, 다른 세그먼트(SM)에 구비된 슬롯(SLT)에서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다. 폴(PL)의 슬라이딩(sliding)은, 이웃하는 세그먼트(SM)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pawl PL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The pole (PL) may b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he pawl PL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from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plate MPT. The pawl PL can be fitted in the slot SLT provided in the other segment SM. The pawl PL can slide in a slot SLT provided in the other segment SM. Sliding of the pawl PL can chang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neighboring segments SM.

도 13은, 도 12 메인 세그먼트의 정면도이다. 도 13에서, 음의 Z축 방향은 상방(上方)일 수 있다. 메인 세그먼트(MSM)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MPT), 메인 연결부(MLK), 그리고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main segment of FIG. 12; FIG. In Fig. 13, the negative Z-axis direction may be upward (upward). The main segment MSM may include a main plate MPT, a main connection MLK, and a support body guide MPG, as shown in FIG.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지지부바디(HPTB)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메인 플레이트(MPT)로부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바디 가이드(MPG)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MPT)로부터 hg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body guide MPG can support the support body HPTB upward. The support body guide MPG can have a height from the main plate MPT. For example, the support body guide (MPG) 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height h g from the main plates (MPT) as shown in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세그먼트(SSM)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세그먼트(SSM)는, 서브 플레이트(SPT)와 서브 플레이트(SPT)의 양 측에 연결된 서브 연결부(SLK)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sub segment (S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the sub-segment SSM may include a sub-plate SPT and a sub-connection SLK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b-plate SPT.

서브 플레이트(SPT)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플레이트(SPT)는, 세그먼트(SSM)의 배열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상부 제1,2,3면(USF1,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b-plate SPT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ub-plate SPT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SM. The sub-plate SPT may have the shape of a plate. The sub-plate SPT may include upper first, second, and third surfaces USF1, USF2, and USF3.

상부 제1면(USF1)은, 바디(BD)가 플랫(flat)한 경우, 디스플레이(151)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제1면(USF1)은, 바디(BD)가 평평한 경우, 디스플레이(151)를 정면으로 향할 수 있다. 상부 제1면(USF1)은, 플레이트(plate)의 형상일 수 있다.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can support the display 151 when the body BD is flat.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can direct the display 151 to the front if the body BD is flat.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상부 제2면(USF2)과 상부 제3면(USF3)은, 상부 제1면(USF1)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제2면(USF2)과 상부 제3면(USF3)은, 상부 제1면(USF1)으로부터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상부 제2면(USF2)과 상부 제3면(USF3)은, 상부 제1면(USF1)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제2면(USF2)과 상부 제3면(USF3)은, 디스플레이(151)를 비스듬히 향할 수 있다. 상부 제1면(USF1)과 상부 제2,3면(USF2,3)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151)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The upper second surface USF2 and the upper third surface USF3 may be positioned with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therebetween. The upper second surface USF2 and the upper third surface USF3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SM. The upper second surface USF2 and the upper third surface USF3 may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For example, the upper second surface USF2 and the upper third surface USF3 may face the display 151 obliquely. At least one of the upper first surface USF1 and the upper and second upper surfaces USF2, USF3 can support the display 151 upward.

서브 연결부(SLK)는, 슬롯(SLT)과 폴(PL)을 구비할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SLT)은, 홀(hall)의 형상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슬롯(SLT)은, 디스플레이(151)를 향해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롯(SLT)은, 하나의 서브 연결부(SLK)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에 형성된 폴(PL)은,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슬롯(SLT)에 끼워질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에 형성된 폴(PL)은,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슬롯(SLT)에서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다.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may include a slot SLT and a pole PL. The slot SLT formed at one side of the sub connection part SLK may be in the shape of a hall. The slot SLT formed in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may have a shape curved toward the display 151. [ The plurality of slots SLT may be formed in one sub-connection portion SLK. The pawl PL formed i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can be inserted into the slot SLT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The pawl PL formed i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can slide in the slot SLT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폴(PL)은, 서브 연결부(SLK)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폴(PL)은, 돌기의 형상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폴(PL)은, 서브 세그먼트(SSM)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폴(PL)은, 메인 연결부(MLK)에 형성된 슬롯(SLT)에 끼워져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다. The pawl PL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The pole (PL) may b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he pawl PL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sub segment SSM. The pawl PL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can be slid in the slot SLT formed i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는, 슬롯(SLT)과 폴(PL)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폴(PL)이 다른 세그먼트(SM)에 형성된 슬롯(SLT)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면,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상대적 위치는 변화할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상대적 위치 변화는,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vement)과 회전 운동(rotational movement)에 기인할 수 있다.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and th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aving a slot SLT and a pole PL.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ub connection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may vary if the pawl PL slides in the slot SLT formed in the other segment SM. The relative positional change of the sub connecting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ng part MLK may be caused by translational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연결부와 서브 연결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는, 폴(PL)과 슬롯(SLT)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1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main connection part and a sub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can be connected using the pawl PL and the slot SLT.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는, 교번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연결부(MLK)는, 양 측에 서브 연결부(SLK)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메인 연결부(MLK)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연결부(SLK)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서브 연결부(SLK)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연결부(MLK)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can be connected alternately. In other words,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can be connected to the sub connection part SLK on both sides. Or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ub connection part SLK. Or the sub connection portion SLK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main connection portion MLK.

메인 연결부(MLK)에 형성된 폴(PL)은, 서브 연결부(SLK)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에 형성된 폴(PL)은,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슬롯(SLT)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다. The pawl PL formed i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can protrude toward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The pawl PL formed i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can be slid in the slot SLT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폴(PL)은, 메인 연결부(MLK)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에 형성된 폴(PL)은, 메인 연결부(MLK)에 형성된 슬롯(SLT)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pawl PL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can protrude toward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The pawl PL formed in the sub connecting portion SLK can be slidably inserted in the slot SLT formed i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MLK.

슬롯(SLT)은, 제1 단부(EP1)와 제2 단부(E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단부(EP1,2)는, 슬롯(SLT)의 양 끝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부(EP1)와 제2 단부(EP2)를 잇는 선분은,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경사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단부(EP2)는, 제1 단부(EP1)로부터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경사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슬롯(SLT)은, 휘어진(curved) 형상일 수 있다. The slot SLT may include a first end EP1 and a second end EP2. The first and second ends EP1 and EP2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ot SLT. Th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first end EP1 and the second end EP2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SM. In other words, the second end portion EP2 may be at an inclined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SM from the first end portion EP1. The slot SLT may be a curved shape.

제2 단부(EP2)가 제1 단부(EP1)에 대하여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나란한 경우, 세그먼트(SM)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2 단부(EP2)가 제1 단부(EP1)에 대하여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경우, 세그먼트(SM)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end portion EP2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SM with respect to the first end portion EP1, the segments SM can move i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When the second end portion EP2 is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 SM with respect to the first end portion EP1, the segments SM can mov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gments SM are arranged.

도 16은, 도 15의 메인 연결부와 서브 연결부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의 연결 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BD)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16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ain connection part and the sub connection part in Fi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shown in FIG. 16 may indicate a state where the body B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도 16에 도시된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는, 도 15에 도시된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의 연결 관계와 다른 연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폴(PL)과 슬롯(SLT)의 상대적 위치는, 도 15에 도시된 폴(PL)과 슬롯(SLT)의 상대적 위치와 다를 수 있다.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shown in FIG. 16 may have connection relationship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shown in FI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awl PL and the slot SLT shown in Fig. 16 may be different from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awl PL and the slot SLT shown in Fig.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상대적 위치 변화는,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가 피봇(pivot) 연결된 경우,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상대적 위치 변화는 회전각(rotational angle) 변화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MLK)가 가이딩(guiding) 연결된 경우,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상대적 위치 변화는 단순한 변위(displacement)일 수 있다.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연결 구조가 피봇 연결 및 가이딩 연결된 경우, 서브 연결부(SLK)와 메인 연결부(MLK)의 위치 변화는 회전각 변화와 변위를 모두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PL)은 슬롯(SLT)에 피봇 연결 및 가이딩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폴(PL)은, 슬롯(SLT)에 끼워져 가이딩(guiding)될 뿐만 아니라 슬롯(SLT)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The relative positional change of the sub connecting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ng part MLK may be affected by translational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When the sub connecting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ng part MLK are pivotally connected, the relative positional change of the sub connecting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ng part MLK may be a rotational angle change. When the sub connection part MLK is guided,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between the sub connection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may be a simple displacement.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b connection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is pivotally connected and guided,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sub connection part SLK and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can have both the rotation angle change and the displacement. As shown in Fig. 16, the pawl PL can be pivotally connected and guided to the slot SLT. In other words, the pole PL can be guided not only in the slot SLT but also in the slot SLT.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는,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는, 폴(PL)이 슬롯(SLT)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오버랩되는 영역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 또는 메인 연결부(MLK)와 서브 연결부(SLK)는, 바디(BD)가 벤딩된 정도에 따라 오버랩되는 영역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may overlap.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may have different overlapping areas as the pawls SL slide in the slots SLT. Alternatively, the main connection part MLK and the sub connection part SLK may have different overlapping areas depending on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ody BD.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와 디스플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및 18에서, 메인 세그먼트(MSM)와 디스플레이(151)의 결합 부분이 도시된다. 또한 도 17 및 18에서, 서브 플레이트(SPT)와 서브 연결부(SLK)의 결합 부분이 도시된다. 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gment and a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the combined portion of the main segment (MSM) and the display 151 is shown. 17 and 18,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b-plate SPT and the sub-connection SLK is shown.

후면 스크루(RSCR)는, 메인 세그먼트(MSM)와 디스플레이(151)를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의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는, 후면 스크류(RSCR)에 연결될 수 있다. 후면 스크류(RSCR)는, 분절체(151h) 사이에 위치한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에 연결될 수 있다. 후면 스크류(RSCR)와 백플레이트 연결부(151i)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The rear screw (RSCR) can connect the display segment 151 with the main segment (MSM). The backplate connection 151i of the display 151 may be connected to a rear screw (RSCR). The rear screw (RSCR) can be connected to the backplate connection portion 151i located between the split members 151h. The rear screw (RSCR) and the backplate connection portion 151i can be screwed together.

서브 플레이트(SPT)는, 디스플레이(151)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을 향하여 디스플레이(151)를 지지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SPT)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51)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ub-plate SPT can support the display 151 upward. The sub-plate SPT can support the display 151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151. [ At least a part of the sub-plate SPT can support the display 151. Fig.

도 19 내지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벤딩된 이동 단말기의 곡률반경에 관한 도면이다. Figures 19-24 are diagrams of radius of curvature of a mobile terminal b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벤딩된 이동 단말기의 각 지점과 그 지점에서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이동 단말기(100)의 복수 개 세그먼트(SM)는, 메인 바디(MBD)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세그먼트(MSM)는, 메인 바디(MBD)의 측면을 형성할 수있다. Figure 19 shows the radius of curvature at each point and at that point of the be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9, the plurality of segments SM of the bent mobile terminal 100 may form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The plurality of main segments MSM may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MBD.

인접한 메인 세그먼트(MSM)는, 메인 바디(MBD)가 벤딩되면, 실질적으로 하나의 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인접한 메인 세그먼트(MSM)가 만나는 점에서 곡률반경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djacent main segment (MSM) can meet at substantially one point when the main body (MBD) is bent. A radius of curvature may be formed at the point where adjacent main segments (MSM) meet.

도 19에서 메인 세그먼트(MSM)는, 전방 제1 세그먼트(MSM1 ,1), 전방 제2 세그먼트(MSM1,2), 전방 제3 세그먼트(MSM1 ,3), 그리고 전방 제4 세그먼트(MSM1,4)를 연속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In FIG. 19, the main segment (MSM) includes a forward first segment (MSM 1 , 1 ), a forward second segment (MSM 1,2 ), a forward third segment (MSM 1 , 3 ), and a forward fourth segment 1,4 ). ≪ / RTI >

도 19에서 메인 세그먼트(MSM)는, 후방 제1 세그먼트(MSM2 ,1), 후방 제2 세그먼트(MSM2,2), 후방 제3 세그먼트(MSM2 ,3), 그리고 후방 제4 세그먼트(MSM2,4)를 연속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와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는 인접할 수 있다. 19, the main segment (MSM) includes a rear first segment (MSM 2 , 1 ), a rear second segment (MSM 2,2 ), a rear third segment (MSM 2 , 3 ), and a rear fourth segment 2,4 ).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and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may be adjacent.

인접하는 메인 세그먼트(MSM) 사이의 지점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전방 제2 세그먼트(MSM1 ,2) 사이의 지점은 P1, 1으로 표시될 수 있다. P1,1에서의 곡률반경은 R1,1로 표시될 수 있다. P1,1은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전방 제2 세그먼트(MSM1 ,2) 가 형성하는 지점일 수 있다. 곡률반경 R1,1은, 제1 세그먼트(MSM1,1)와 전방 제2 세그먼트(MSM1 ,2) 가 형성하는 곡률반경일 수 있다. A point between adjacent main segments (MSM)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a point between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front second segment (MSM 1, 2) may be represented by P 1, 1. The radius of curvature at P 1,1 can be expressed as R 1,1 . P 1,1 may be a forward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front second segment which forms a branch (MSM 1, 2). The radius of curvature R can be a 1,1, a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front second segment (MSM 1, 2) the radius of curvature for forming the.

도 20은, 인접하는 양 세그먼트(SM)가 형성하는 곡률반경이 도출되는 방식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P0,0에서 곡률반경 R0,0이 산출될 수 있다. 즉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이 형성하는 곡률반경 R0,0이 산출될 수 있다.Fig. 20 shows a manner in which the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adjacent two segments SM is derived. For example, at P 0,0 , the radius of curvature R 0,0 can be calculated. That is, the radius of curvature R 0,0 formed by the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segment MSM 2,1 rearward can be calculated.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의 길이는 d1으로 표시될 수 있다.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의 길이는 d2로 표시될 수 있다.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이 형성하는 각도(angle)는, theta로 표시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orward first segment (MSM 1,1 ) may be denoted by d 1 . The length of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 may be denoted by d 2 . An angle formed by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may be represented by theta.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이 형성하는 곡률반경 R0,0은, P0,0, P1,1, P2,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이 형성하는 곡률반경 R0,0은, P0,0, P1,1, P2,1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일 수 있다.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이 형성하는 곡률반경 R0,0은, d1,1, d1,2, theta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radius of curvature R 0,0 formed by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 and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 can be determined by P 0,0 , P 1,1 , P 2,1 have. The radius of curvature R 0,0 formed by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is a triangle formed by P 0,0 , P 1,1 , P 2,1 , Lt; / RTI > radius of the circumscribed circle. The radius of curvature R 0,0 formed by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can be determined by d 1,1 , d 1,2 , theta.

도 21은, 도 19 이동 단말기의 곡률반경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표시된 Y축은, 플랫(flat)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에서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P0, 0는, 플랫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중심부에 대응될 수 있다. P1,3과 P2,3은 플랫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 엣지(edge) 부근에 대응될 수 있다. Fig. 21 is a graph show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9; The Y axis shown in FIG. 21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gments SM are arranged in a flat mobile terminal. That is, P 0, 0 may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in the flat mobile terminal 100. P 1,3 and P 2,3 may correspond to a vicinity of a one-directional edge of the display 151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flat state.

벤딩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 엣지(edge)를 향할수록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SM)는,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 엣지(edge)를 향할수록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bent state may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oward the one-directional edge of the display 151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 The segment SM may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oward the one-directional edge of the display 151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벤딩되면 사용자의 손목(wrist)에 착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목은, 원형 보다 타원에 가까울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타원에 가깝게 벤딩되면, 벤딩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 a user's wrist when bent. The user's wrist may be closer to the ellipse than the circular shap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close to an ellipse, the bendable mobile terminal 100 can be easily worn on the user's wrist.

인접한 양 세그먼트(SM)에 의해 형성된 곡률반경은,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 엣지(edge)를 향할수록 작아지다 커질 수 잇다. 다시 말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의 중심과 일 방향의 엣지(edge) 사이의 일 지점에서 가장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1,2 또는 R2,2가 가장 작은 곡률반경일 수 있다.The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adjacent two segments SM may become smaller and smaller toward the one-directional edge of the display 151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 In other word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the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at one point between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and the edg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R 1,2 or R 2,2 may be the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벤딩된 이동 단말기의 세그먼트(SM)와 세그먼트(SM)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이동 단말기(100)의 세그먼트(SM)는,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되면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SM)가 가지는 곡률반경은, 세그먼트(SM)와 세그먼트(SM)에 인접하는 양 세그먼트(SM)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22 show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and the segment SM of the bent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gment SM of the mobile terminal 100 bent as shown in FIG. 22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can be determined by the segment SM and both segments SM adjacent to the segment SM.

도 22에서 메인 세그먼트(MSM)는, 전방 제1 세그먼트(MSM1 ,1), 전방 제2 세그먼트(MSM1,2), 전방 제3 세그먼트(MSM1 ,3), 그리고 전방 제4 세그먼트(MSM1,4)를 연속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22, the main segment MSM includes a first forward segment MSM 1 , a forward second segment MSM 1,2 , a forward third segment MSM 1 , 1,4 ). ≪ / RTI >

도 22에서 메인 세그먼트(MSM)는, 후방 제1 세그먼트(MSM2 ,1), 후방 제2 세그먼트(MSM2,2), 후방 제3 세그먼트(MSM2 ,3), 그리고 후방 제4 세그먼트(MSM2,4)를 연속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와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는 인접할 수 있다. 22, the main segment MSM includes a rear first segment MSM 2 , 1 , a rear second segment MSM 2,2 , a rear third segment MSM 2 , 3 , and a rear fourth segment MSM 2 , 2,4 ).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and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may be adjacent.

세그먼트(SM)의 후면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으로, 세그먼트(SM)의 곡률반경이 고려될 수 있다. 지점 Q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으로 세그먼트(SM)의 후면에서 중점이 될 수 있다. 즉 지점 Q는, 세그먼트(SM)의 후면에서 세그먼트(SM) 폭의 중점이 될 수 있다. 지점 Qi,j는 세그먼트(MSMi,j)의 중점일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segment SM may form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can be considered. The point Q can be the center point at the rear side of the segment SM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 SM. In other words, the point Q can be the center of the segment SM width at the back of the segment SM. The point Q i, j may be the center of the segment (MSM i, j ).

도 23은, 세그먼트(SM)가 가지는 곡률반경이 도출되는 방식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후방 세그먼트(MSM2,1)이 가지는 곡률반경인 R2,1이 산출될 수 있다. 세그먼트(SM)가 가지는 곡률반경은, 세그먼트(SM)의 중점을 이용해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2,1은, Q1,1, Q2,1, Q2,2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일 수 있다. 23 shows a manner in which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is derived. For example, R 2,1 , which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rear segment MSM 2,1 , can be calculate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can be calculated using the midpoint of the segment SM. For example, R 2,1 may be the radius of a triangular circumscribed circle formed by Q 1,1 , Q 2,1 , Q 2,2 .

다시 말하면 R2,1은,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의 길이 d1,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의 길이 d2, 후방 제2 세그먼트(MSM2,2)의 길이 d3, 전방 제1 세그먼트(MSM1,1)와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이 형성하는 각도 theta1, 그리고 후방 제1 세그먼트(MSM2,1)와 후방 제2 세그먼트(MSM2,2)가 형성하는 각도 theta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세그먼트(SM)의 곡률반경은, 세그먼트(SM)의 폭(width)과 세그먼트(SM)에 인접한 양 세그먼트(SM)의 폭(width) 및 각도(angl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at is, R is 2,1, the length of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length d 1, the first rear segment (MSM 2,1) length d 2, the rear second segment (MSM 2,2) of the d 3 , the angle theta 1 formed by the front first segment MSM 1,1 and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 and the rear first segment MSM 2,1 and the rear second segment MSM 2, , 2 ) can be determined by theta 2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can be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segment SM and the width and angle of both segments SM adjacent to the segment SM.

도 24는, 도 22 이동 단말기의 곡률반경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 표시된 Y축은, 플랫(flat)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에서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Q1,1 또는 Q2,1은, 플랫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중심부에 대응될 수 있다. Q1,4와 Q2,4는 플랫한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 엣지(edge) 부근에 대응될 수 있다. Fig. 24 is a graph show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22; Fig. The Y-axis shown in Fig. 24 may be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in the mobile terminal in a flat state or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Fig. Q 1,1 or Q 2,1 may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in the flat mobile terminal 100. Q 1,4 and Q 2,4 may correspond to a vicinity of a one-directional edge of the display 151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flat state.

세그먼트(SM)는,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151)의 일 방향 엣지(edge)를 향할수록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세그먼트(SM)는, 세그먼트(SM) 배열의 중심에서 세그먼트(SM) 배열의 엣지로 향할수록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The segment SM may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oward the one-directional edge of the display 151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151. [ Or the segment SM may have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oward the edge of the segment (SM) array at the center of the segment (SM) array.

세그먼트(SM)가 가지는 곡률반경은, 세그먼트(SM) 배열의 중심에서 세그먼트(SM) 배열의 엣지로 향할수록 작아지다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1,3 또는 R2,3가 가장 작은 곡률반경일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gment SM may become smaller and smaller toward the edge of the segment (SM) array at the center of the segment (SM) array. For example, R 1,3 or R 2,3 may be the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서, Y축은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도 25에서, Z축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의 Z축 방향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일 수 있다. 음의 Z축 방향은, 바디(BD)에서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2 세그먼트(SM)의 상면은, 음의 Z축 방향의 면일 수 있다. FIG. 25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segm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Fig. 25, the Y-axis may be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or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In Fig. 25, the Z-axis may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positive Z-axis direction may be the rear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negative Z-axis direction may be the direction from the body BD to the display 151.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SM may be a surface in the negative Z-axis direction.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SM)는,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SM1,2)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SM)는, 폴(PL)과 슬롯(SLT)을 포함할 수 있다. 폴(PL)은, 슬롯(SLT)에 삽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5, the segment SM may includ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The segment SM may include a pole PL and a slot SLT. The pole PL can be inserted into the slot SLT.

제1 세그먼트(SM1)에 구비된 제1 폴(PL1)은, 제2 세그먼트(SM2)에 구비된 제2 슬롯(SLT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폴(PL1)은, 음(negative)의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폴(PL1)과 제2 슬롯(SLT2)은, 도 25에서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first pawl PL1 provided in the first segment SM1 can be inserted and slid into the second slot SLT2 provided in the second segment SM2. The first pole PL1 may protrude in the negative X-axis direction. The first pole PL1 and the second slot SLT2 may be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제2 세그먼트(SM2)에 구비된 제2 폴(PL2)은, 제1 세그먼트(SM1)에 구비된 제1 슬롯(SLT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2 폴(PL2)은, 양(positive)의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pawl PL2 provided in the second segment SM2 can be inserted and slid into the first slot SLT1 provided in the first segment SM1. The second pole PL2 may protrude in the positive X-axis direction.

제1 세그먼트(SM1)와 제2 세그먼트(SM2)의 거리는, 제1 세그먼트(SM1)의 상면과 제2 세그먼트(SM2)의 상면 사이의 거리로 볼 수 있다. 제1,2 세그먼트(SM1,2)의 상면에 디스플레이(151)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M1)와 제2 세그먼트(SM2) 사이의 거리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세그먼트(SM1,2)의 상면 사이의 거리인 상측거리(UD)일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gment SM1 and the second segment SM2 can be see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gment SM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gment SM2. The display 15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gment SM1 and the second segment SM2 may be an upper distance UD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as shown in Fig.

도 26은, 도 25의 양 세그먼트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벤딩된 상태의 제1,2 세그먼트(SM1,2) 사이의 거리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5에 도시된 상측거리(UD)일 수 있다. Fig.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segments in Fig. 25 are b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in the bending state may be the upper distance UD shown in Fig. 25, as shown in Fig.

다시 말하면, 인접하는 제1,2 세그먼트(SM1,2)가 벤딩되더라도, 제1,2 세그먼트(SM1,2) 사이의 상측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또는 인접하는 제1,2 세그먼트(SM1,2)가 벤딩되더라도, 디스플레이(151)에 인접한 면에서의 제1,2 세그먼트(SM1,2) 사이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are bent, the upper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may be constant. The distan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on the surface adjacent to the display 151 may be constant even if the adjacent first and second segments SM1 and SM2 are bent.

제1 폴(PL1)과 제2 슬롯(SLT2)의 상대적 위치 및 제2 폴(PL2)과 제1 슬롯(SLT1)의 상대적 위치에 의해, 특정한 면에서 제1,2 세그먼트(SM1,2)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By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pole PL1 and the second slot SLT2 and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econd pole PL2 and the first slot SLT1, Can be kept constant.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HPT)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지지부(HPT)는, 지지부바디(HPTB), 걸림부(HK), 그리고 홀더(HD)를 포함할 수 있다.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support (H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may include a support body HPTB, an engagement portion HK, and a holder HD.

지지부바디(HPTB)는, 디스플레이(15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지지부바디(HPTB)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의 일 측은,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의 다른 일 측은, 걸림부(HK)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HPTB)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51). Or the support body HPTB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ody (HPTB) can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portion HK. A plurality of support body (HPTB) may be provided.

걸림부(HK)의 일 측은, 지지부바디(HPTB)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HK)의 다른 일 측은, 홀더(HD)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HK)는, 걸림부(HK)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홀더(HD)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다. 걸림부(HK)에 전달된 힘은, 지지부바디(HPTB)에 다시 전달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latching portion HK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HPTB. The other side of the hook HK can be connected to the holder HD. The latching portion HK can receive a force from the holder HD in a direction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latching portion HK.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latch portion HK can be transmitted to the support body HPTB again.

홀더(HD)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HD)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HD)는, 걸림부(HK)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HD)는, 걸림부(HK)의 이동을 억제하는 힘을 걸림부(HK)에게 전달할 수 있다. The holder HD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The holder HD can be fix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The holder HD can be connected to the latch portion HK. The holder HD can transmit a force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atching portion HK to the latching portion HK.

도 28은, 도 27 점선 영역의 고정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스크루(SCR)는, 지지부바디(HPTB)와 걸림부(HK)를 연결할 수 있다. 걸림부(HK)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HD)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HK)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HD)에 끼워질 수 있다.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in the dotted line in Fig. 27; The screw (SCR) can connect the support body (HPTB) and the engagement portion (HK). At least a part of the latching portion HK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er HD. At least a part of the latching portion HK can be fitted in the holder HD.

도 29 및 30은, 도 27 고정지지부(HPT)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걸림부(HK)에 힘이 가해져 걸림부(HK)가 홀더(HD)에 삽입되는 또는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29 and 3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in Fig. 29 shows a state in which a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ing portion HK to insert or fit the latching portion HK into the holder HD.

걸림부(HK)는, 걸림부돌기(HKP)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돌기(HKP)는, 고정지지부(HPT)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돌기(HKP)는, 세그먼트(SM)의 배열 방향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돌기(HKP)는, 지지부바디(HPTB)의 길이 방향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잇다. 걸림부돌기(HKP)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걸림부돌기(HKP)는, 나사산의 형상일 수 있다. The latching portion HK may include a latching portion projection HKP.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HKP can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ing portion HPT. The latching projection HKP can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gments SM. The latching projection HKP can protrude late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HPTB. The locking projection (HKP) may be plural. The latching projection (HKP) may be in the form of a thread.

홀더(HD)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SM)에 연결되는 홀더프레임(HFR)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HD)는, 홀더프레임(HFR)에 연결된 스프링(SPR)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HD)는, 스프링(SPR)에 연결된 홀더돌기(HDP)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복수 개일 수 있다. The holder HD may comprise a holder frame HFR connected to at least one segment SM. The holder HD may comprise a spring (SPR) connected to the holder frame HFR. The holder HD may include a holder projection HDP connected to a spring SPR. The holder protrusions (HDP) may be plural.

스프링(SPR)은, 홀더돌기(HDP)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SPR)은, 세그먼트(SM) 배열 방향의 측면 방향으로 홀더돌기(HDP)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pring SPR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 projection HDP. The spring SPR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 projection HDP in the side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SM.

홀더돌기(HDP)는, 걸림부돌기(HKP)에 대응될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걸림부돌기(HKP)에 대응될 수 있다. 홀더돌기(HDP)의 형상은, 걸림부돌기(HKP)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나사산의 형상일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걸림부돌기(HKP)에 맞물릴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스프링(SPR)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걸림부돌기(HKP)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홀더돌기(HDP)에 의해, 걸림부(HK) 또는 지지부바디(HPTB)는, 이동하기 위하여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힘은, 스프링(SPR)에 의해 제공되는 힘에 양의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가질 수 있다. The holder projection HDP may correspond to the engagement projection HKP. The holder protrusion HDP may correspond to the latching protrusion HKP. The shape of the holder projection HDP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ngagement projection HKP. The holder protrusions HDP may be plural. The holder protrusion (HDP) may be in the form of a thread. The holder projection HDP can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jection HKP. The holder protrusion (HDP) can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by a spring (SPR). The holder protrusion (HDP) can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retaining portion projection (HKP) by using the elastic force. In other words, by the holder protrusion HDP, the latching portion HK or the support body HPTB may require a force to move. The force required here ma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SPR).

도 30은, 걸림부(HK)가 홀더(HD)에 삽입된 또는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걸림부돌기(HKP)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돌기(HDP)에 끼워질 수 있다. 걸림부돌기(HKP)와 홀더돌기(HDP)는, 나사산의 형상일 수 있다. 30 show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HK is inserted or fitted in the holder HD.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HKP can be fitted in the holder projection HDP as shown in Fig. The latching projection (HKP) and the holder projection (HDP) may be in the form of a thread.

도 30에서, 걸림부(HK)는 고정된 상태의 홀더(HD)에 삽입된 상태이다. 도 30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도 2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에 비하여 벤딩된 상태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151)에 접하는 세그먼트(SM)의 면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하면, 바디(BD)의 하면을 형성하는 세그먼트(SM)의 면은 감소할 수 있다. 지지부바디(HPTB)는, 세그먼트(SM)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BD)가 벤딩하면, 지지부바디(HPTB)가 통과하는 세그먼트(SM)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바디(BD)가 벤딩하면 이웃하는 세그먼트(SM)의 오버랩 영역이 증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In Fig. 30, the latching portion HK is inserted into the holder HD in a fixed state.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30 is bent in comparis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the surface of the segment SM contacting the display 151 may be constant. However,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bent, the surface of the segment SM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D may be reduced. The support body HPT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gment SM. When the body BD bends, the length of the segment SM through which the support body HPTB passes can be shortened. The reason may be that the overlap region of the neighboring segment SM increases when the body BD bends.

지지부바디(HPTB)가 통과하는 세그먼트(SM)의 길이가 짧아지면, 지지부바디(HPTB)의 단부가 위치하는 세그먼트(SM)에서 외부로 연장된 지지부바디(HPTB)의 길이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세그먼트(SM)의 외부로 연장된 지지부바디(HPTB)의 길이 만큼, 걸림부(HK)가 홀더(HD)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If the length of the segment SM through which the support body HPTB passes is shortened, the length of the support body HPTB extending outward from the segment SM where the end of the support body HPTB is located may increase. The latching portion HK can be inserted into or inserted into the holder HD by the length of the support body HPTB extending outwardly of the segment SM.

도 31은, 도 30의 점선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1에서, 홀더돌기(HDP)와 걸림부돌기(HKP)는, 분리하여 표시되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돌기(HKP)는, 홀더돌기(HDP)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돌기(HKP)는, 홀더돌기(HDP)에 맞물릴 수 있다. 31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tted line portion in Fig. In Fig. 31, the holder projections HDP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HKP are separately shown. As shown in Fig. 31, the latching projection HKP can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der projection HDP. The latching projection (HKP) can be engaged with the holder projection (HDP).

걸림부돌기(HKP)는, 걸림부돌기경사면(HKPS)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돌기(HDP)는, 홀더돌기경사면(HDPS)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HKP may include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inclined surface HKPS. The holder protrusion HDP may include a holder protrusion inclined surface HDPS.

걸림부돌기경사면(HKPS)은, 고정지지부(HPT)의 길이 방향에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돌기경사면(HKPS)은, 세그먼트(SM) 배열 방향에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돌기경사면(HKPS)은,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과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 may have a shap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HPT.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egments SM. The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clined surface HKPS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clined surface HKPS1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jection inclined surface HKPS2.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은, 세그먼트(SM) 배열 방향의 거리 H1, 세그먼트(SM) 배열 방향에 수직 거리 Vp를 가질 수 있다. H1과 Vp는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의 경사진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은, 걸림부(HK)가 홀더(HD)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때 홀더돌기(HDP)에 접하며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은,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되는 것을 억제하는 힘과 관련될 수 있다.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의 경사진 정도가 크면,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커질 수 있다. 제1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의 경사진 정도가 작으면,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The first latch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1 may have a distance H1 in the segment arrangement direction SM and a vertical distance Vp in the segment arrangement direction SM. H1 and Vp can determine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first latch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1.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ant surface HKPS1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in contact with the holder projection HDP when the engaging portion HK is inserted or fitted in the holder HD. The first latching projection slant surface HKPS1 may relate to a force that suppresses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being bent. If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first latching portion projecting surface HKPS1 is large, the force for restraining the bend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increased. If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ant surface HKPS1 is small, the force for restraining the bend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reduced.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1)은, 세그먼트(SM) 배열 방향의 거리 H2, 세그먼트(SM) 배열 방향에 수직 거리 Vp를 가질 수 있다. H2와 Vp는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2)의 경사진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2)은, 걸림부(HK)가 홀더(HD)에서 나오거나 배출될 때 홀더돌기(HDP)에 접하며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2)은, 이동 단말기(100)가 펴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과 관련될 수 있다.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2)의 경사진 정도가 크면, 이동 단말기(100)가 펴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커질 수 있다. 제2 걸림부돌기경사면(HKPS2)의 경사진 정도가 작으면, 이동 단말기(100)가 펴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The second latch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1 may have a distance H2 in the segment alignment direction SM and a vertical distance Vp in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segment SM. H2 and Vp can determine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2 can be provided with a force in contact with the holder projection HDP when the engaging portion HK comes out or comes out of the holder H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projection slope surface HKPS2 may be related to a force for restraining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spreading. If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projecting face HKPS2 is large, the force for restraining the spread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increased. If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econd engagement projection protruding face HKPS2 is small, the force for restraining the extens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reduced.

도 32 및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HP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걸림부(HK)가 홀더(HD)에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걸림부(HK)가 홀더(HD)에 삽입된 또는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32 and 33 illustrate a fixed support (HP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ing portion HK is inserted or fitted into the holder HD. Fig. 3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ing portion HK is inserted or fitted in the holder HD.

홀더(HD)는, 마찰력 플레이트(FPT)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지지부바디(HPTB)의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스프링(SPR)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걸림부(HK)에 접할 수 있다.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걸림부(HK)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holder HD may include a frictional force plate (FPT).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can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HPTB.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may be connected to the spring SPR to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HK.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can provide a frictional force to the engaging portion HK.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걸림부(HK)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걸림부(HK)에 마찰력(friction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력(FF)은 걸림부(HK)와 마찰력 플레이트(FPT)에 작용될 수 있다. 마찰력(FF)은, 도 33에서 양쪽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찰력(FF)은, 걸림부(HK)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마찰력 플레이트(FPT)에 접하는 걸림부(HK)에 대하여 일정 값 이상의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마찰력 플레이트(FPT)는, 이동 단말기(100)가 벤딩되거나 펴지는 것을 억제하는 힘을 바디(BD)에 제공할 수 있다.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can provide the engaging portion HK with a friction force in a direction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HK. For example, the frictional force FF can be applied to the engaging portion HK and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The frictional force FF can be indicated by double arrows in Fig. The frictional force FF can act in a direction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engagement portion HK.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may have a friction coefficient of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HK contacting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The frictional force plate FPT can provide force to the body BD to restrai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bending or spreading.

도 3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4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나타낸다. 3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4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도 3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4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and thus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100. [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226,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a part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e.g., telephone call receiving function, message receiving function, and ca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2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IG.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
191: 배터리 BD: 바디
HPT: 고정지지부 PL: 폴
SLT: 슬롯 SM: 세그먼트
100: mobile terminal 151:
191: Battery BD: Body
HPT: fixed support PL: pole
SLT: Slot SM: Segment

Claims (2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시스템을 실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후면에 연결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되 복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를 구비하고,
상기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세그먼트는, 상기 슬롯에서 슬라이딩하는 폴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A flexible display; And
And a bod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The body is sequentially connected along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and has a plurality of segments,
Wherein at least one segment of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segments comprises a slot,
Wherein at least one segment of the first and second neighboring segments comprises a pole that slides in the slot,
A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2 세그먼트의 연결 방향에 대해 경사진,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ot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being inclined with respect to a connect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굽어진,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id slot being cur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세그먼트의 배열 방향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ot
A first end; And
And a second end located at an oblique position relative to an orientation of the segments from the first end.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바디가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의 엣지를 향할수록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gment includes:
Wherein the body has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toward an edge in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바디가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의 엣지 사이의 일 지점에서 가장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gment includes:
The body having a smallest radius of curvature at one point between the center of the display and the edge in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방향의 엣지를 향할수록 작은 폭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gment includes:
Wherein the display has a smaller width from a center of the display toward an edge in one direction of the display,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는,
메인 세그먼트와,
상기 메인 세그먼트와 교번으로 연결된 서브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 세그먼트와 상기 서브 세그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gments include:
The main segment,
And a sub segment that is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main segment,
Wherein the display comprises: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segment and the sub segment,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단에 위치하는 메인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서브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양단에 위치하는 서브 연결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segment includes a main plat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ain connection porti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Wherein the sub-segment includes a sub-plat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b-connection porti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ub-
Mobil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의 상면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plate forms a lower surface of the body,
The sub-plat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support the display,
Mobile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며 지지하는 상부 제1 면과,
상기 제1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가 플랫(flat)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비스듬히 향하는 상부 제2,3면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b-
An upper first surface for supporting the body facing the display in a flat state,
With the first sid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upper surface and a second upper surface facing the display with the body flat.
Mobil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면과 상기 상부 제2,3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이동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t least one of the upper first surface and the upper second surface,
Supporting the display,
Mobil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세그먼트의 상기 상부 제2,3 면은,
상기 서브 세그먼트와 이웃하는 상기 메인 세그먼트가 형성하는 각도에 대응되어, 상기 상부 제1면과 각도를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upper and second surfaces of the sub-
And an angle formed by the main segment adjacent to the sub-segment, and forming an angle with the upper first surface,
Mobil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부와 서브 연결부는,
상기 폴이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위치에 따라, 다른 넓이의 오버랩 영역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connection part and the sub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pawl has an overlap area having a different width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pawl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세그먼트는,
상기 폴이 상기 슬롯에서 슬라이딩하여 변경한 위치에 따라, 각도를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may include:
Wherein the pawl forms an angle according to a position changed by sliding in the slot,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이웃하는 제1,2 세그먼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상에 대응된 각도를 형성하며 오버랩(overlap)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egmen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overlaps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양단이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형태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힘을 제공하는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ationary support portion loc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betwee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to provide a force to th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change in shape of the body The mobile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지지부바디;
상기 지지부 바디의 양단에서 연장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에 힘을 제공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xed-
A support bod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body; And
And a holder for providing a force to the engaging portion in a direction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Mobile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바디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upport body,
Provided as a plurality,
Mobile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걸림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nd a frictional plate that abuts on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provides frictional force to the engaging portion in a direction to suppress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Mobile termina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rictional force plate comprises: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elasticit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Mobile terminal.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마찰력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nd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riction plate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Mobile termi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부돌기에 대응하는 홀더돌기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0027]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nd a holder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Mobile terminal.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돌기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 방향에 경사진 형상의 걸림부돌기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돌기는,
상기 걸림부돌기경사면에 대응하는 홀더돌기경사면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engaging projection
And an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The holder projection
And a holder protrusio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projection,
Mobile terminal.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돌기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holder projection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elasticit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Mobile termina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지지부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홀더돌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nd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holder projection in a side direction of the fixed support portion.
Mobile terminal.
KR1020160027762A 2016-03-08 2016-03-08 Mobile terminal KR2017010483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62A KR20170104837A (en) 2016-03-08 2016-03-08 Mobile terminal
PCT/KR2016/014522 WO2017155187A1 (en) 2016-03-08 2016-12-12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62A KR20170104837A (en) 2016-03-08 2016-03-0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37A true KR20170104837A (en) 2017-09-18

Family

ID=5979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762A KR20170104837A (en) 2016-03-08 2016-03-08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04837A (en)
WO (1) WO2017155187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8014A1 (en) * 2020-02-07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O2022245012A1 (en) * 2021-05-21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WO2023128681A1 (en) * 2021-12-29 2023-07-06 (주)에이유플렉스 Wearabl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5607B (en) * 2017-12-19 2020-02-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Shell based on flexible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804A (en)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팬택 Portable terminal transformable into the form of a bracelet
US8467270B2 (en) * 2011-10-26 2013-06-18 Google Inc. Smart-watch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US20140337621A1 (en) * 2013-05-07 2014-11-13 Serguei Nakhimov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security complex and user interface
KR102014445B1 (en) * 2013-09-27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KR20150099677A (en)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8014A1 (en) * 2020-02-07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O2022245012A1 (en) * 2021-05-21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WO2023128681A1 (en) * 2021-12-29 2023-07-06 (주)에이유플렉스 Wear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187A1 (en)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357B1 (en) Mobile terminal
KR102319310B1 (en) Mobile terminal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03499A (en) Proximity illumination sensor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50125374A (en) Mobile terminal
EP3187966B1 (en) Mobile terminal
US20160128217A1 (en) Mobile terminal
KR20170104837A (en) Mobile terminal
KR102152168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30023A (en) Mobile terminal
KR20170052964A (en) Mobile terminal
KR20150133053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041300A (en) Mobile terminal
KR101731375B1 (en) Mobile terminal
KR102150630B1 (en) Mobile terminal
KR20160144105A (en) Mobile terminal
KR20160055577A (en) Wearable device
KR20170028018A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081A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60054777A (en) Display module and mobilterminal having it
KR20170136315A (en) Mobile terminal
KR102643355B1 (en) Adhesive tapes and mobile terminals
KR20170111969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8019A (en) Mobile terminal
KR20160100732A (en) Electron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