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233A -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233A
KR20170103233A KR1020160025749A KR20160025749A KR20170103233A KR 20170103233 A KR20170103233 A KR 20170103233A KR 1020160025749 A KR1020160025749 A KR 1020160025749A KR 20160025749 A KR20160025749 A KR 20160025749A KR 20170103233 A KR20170103233 A KR 2017010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tag
call
recog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233A/en
Publication of KR2017010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2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94Proxi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2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 H04M2207/206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composed of PSTN and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30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providing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for sensing a position of an extension line subscriber to automatically connect an incoming call to an extension line telephone adjacent to the subscriber, and an exchange system theref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ag recognizer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by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tag of the user, a PBX server updates a call management DB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user moves from a first user terminal area to a second user terminal area, and connects call receiv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call.

Description

이동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교환 시스템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0001]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내선 이동 가입자에 대한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 가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근접한 내선 전화기로 착신호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for an extension mobile subscriber in a private branch exch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xtension subscriber and connecting an incoming call to an adjacent extension telephone.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는 전화국의 교환기를 소형화한 것으로서, 많은 수의 전화기 또는 통신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일반 회사에서 주로 내부 전화망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사설교환기는 회선망(PSTN) 기반의 사설교환기가 일반적이었으나, 인터넷이 활성화됨에 따라 패킷망인 IP망에 기반한 사설교환기(Pure IP 사설교환기로서, 예컨대 IP-PBX)가 도입되고 있다. IP 기반 사설교환기는 H.323 또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컨대 음성 또는 화상 통신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한다. In general, a private branch exchange (PBX) is a miniaturization of a telephone exchange, and is used mainly for establishing an internal telephone network in a general company using a large number of telephones or communication terminals. Private branch exchange (PSTN) based private branch exchange (PSTN) private branch exchange is common, but as the Internet is activated, private branch exchange (Pure IP private branch exchange, for example, IP-PBX) based on IP network which is packet network is being introduced. An IP-based PBX provides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oice or video communication VoIP services over an IP network using H.323 or SIP protocols.

PBX는 회사나 학교 등의 지역을 하나의 지역으로 하여 각종 서비스, 예컨대 호 전환, 호 대기, 삼자통화 및 착신전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교환기를 일컫는 것으로, 전화, 팩시밀리, 컴퓨터 등이 여기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PBX는 한 공간 및 건물에서 여러 대의 전화 교환 업무 지원을 수행한다. 또한, PBX는 회사 또는 다른 지역 사설 교환기와 연결하여 단말기, 컴퓨터, 기타 정보 처리기기들 간의 통신 통제 가능 근거리 통신망 회선의 추가 설치 없이 일반전화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PBX는 국선교환기에 연결되어 단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적으로는 PBX 망의 교환기로 사용된다. PBX에 의하여 현재 회선의 확장과 같은 시설의 번거로움과 이동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The PBX refers to a telephone exchange, a facsimile, a computer, or the like, which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a company or a school as one area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call transfer, call hold, Is used. The PBX performs multiple telephone exchange tasks in a single space and building. In addition, the PBX can be connected to a company or other local PBX to enable communication control between terminals, computers, and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A PBX can use a local area network by using a public telephone line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local area network. In addition, the PBX is connected to a CO switch and functions as a UE, and internally it is used as a PBX network switch. The PBX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facilities such as expansion of the current line.

PBX에는 착신호 전환(Call Transfer) 기능이 있어, 사설교환기 내선 가입자 A가 자신의 내선번호 A에 연동된 단말기(내선 단말기 A)가 아니라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다른 내선번호 B에 연동된 단말기(내선 단말기 B)에서 자신의 내선번호 A로 착신되는 호를 전환하여 수신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이동시 자신이 있는 위치의 전화번호 C를 착신호 전환 기능에 설정해 두면 내선번호 A로 착신되는 호를 전화번호 C로 전환하여 수신할 수 있게 한다. PBX의 착신호 전환 기능을 위해서는 해당 기능이 지원되는 내선 단말기가 필요하고, 착신호 전환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착신호 전환번호를 이동 전에 입력시켜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만약 착신호 전환번호를 사전에 입력해 두지 않으면 착신호 전환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PBX has a call transfer function, so that the subscriber A of the private branch exchange is not a terminal (extension terminal A) linked to the extension A of his / her own, but a terminal interworking with another extension B subscribed to the private branch exchange The terminal B can switch the incoming call to the extension A and receive it, or if the telephone number C of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is set to the incoming call transfer function, C and receive it. An extension terminal for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supported is required for the call forwarding function of the PBX. In the case of a terminal supporting the call forwarding func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n incoming call forwarding number must be entered before moving. If an incoming call forwarding number is not entered in advance, the call forwarding function will not be activated.

즉, 착신호 전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내선 단말기 A에서는 내선 가입자 A가 자리에 없는 경우 통화가 성립되지 않는다. 그리고, 내선 단말기 A가 착신호 전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내선 가입자 A는 착신호 전환받는 다른 내선 단말기 B의 내선번호 B를 알고 있어야 하고, 이동 전에 내선번호 B를 자신의 내선 단말기 A에 미리 입력시켜 놓아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해서 착신호 전환 기능을 활성화시켜도, 내선 가입자 A가 실제 내선 단말기 B 근방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또다시 이동하여 내선 단말기 B 근방에 없는 경우에는, 내선 가입자 A가 다시 자리로 돌아가 착신호 전환 기능을 해제하지 않는 한, 내선번호 A로 걸려 오는 모든 착신호가 내선 단말기 B로 전달되므로, 내선 단말기 B의 가입자 입장에서는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That is, in the extension terminal A that does not support the call forwarding function, the call is not established when the extension subscriber A is not present. When the extension terminal A supports the call forwarding function, the extension subscriber A must know the extension number B of the other extension terminal B to which the call is to be transferred, and input the extension number B to the extension terminal A in advance Should be. If the extension subscriber A does not move near the actual extension terminal B or moves again and is not in the vicinity of the extension terminal B even after activating the call forwarding function by taking the inconvenience, the extension subscriber A returns to the seat, Unless the switching function is canceled, all incoming calls to the extension number A are transmitted to the extension terminal B, which is troublesome for the subscriber of the extension terminal B.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45884호(2003.06.12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45884 (published on Jun. 12, 2003)

본 발명은 착신호 전환번호를 사전에 입력해 놓지 않아도, 내선 가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입자에 근접한 내선 전화기로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and an exchange system therefor, in which an incoming call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n extension phone near to a subscriber by sensing the position of an extension subscriber without inputting an incoming call transfer number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착신호 전환번호를 사전에 입력해 놓지 않아도, 내선 가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입자에 근접한 내선 전화기로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교환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인식기가 사용자의 무선 태그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PBX 서버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매핑시켜 콜 관리 DB를 갱신하고, 이후 착신시, 제1 사용자 단말로 착신되는 호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연결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incoming subscriber's location and automatically connecting an incoming call to an extension phone close to a subscriber without inputting an incoming call transfer number in advance, / RTI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g recognizer communicates with the user's wireless tag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re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The call management DB is updated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time of incoming call.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호 전환번호를 사전에 입력해 놓지 않아도, 내선 가입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입자에 근접한 내선 전화기로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oming call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an extension telephone close to a subscriber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xtension subscriber without inputting an incoming call transfer number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콜 관리 D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콜 관리 D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change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l management D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bound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change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all management D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bound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례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과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 "part "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softwar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part,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be broadly interpreted as referring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 and the "part " can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 "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은 PBX 시스템 뿐만 아니라, PRI(Primary Rate Interface in ISDN) 혹은 BRI(Basic Rate Interface in ISDN) 급의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을 이용한 키폰 시스템, UC(Unified Communication)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간의 내선 통화를 위한 내부 스위칭 및 단말이 ISDN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의 외부망에 접속 가능하게 해주는 IP 키폰 장치를 포함하는 DECT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외에도,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IVR(Interative Voice Response) 장비, 컨퍼런스(conference) 장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not limited to a PBX system, a key telephone system using an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of a Primary Rate Interface (ISI) or a BRI (Basic Rate Interface) System and the like.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DECT system including an internal keying device for internal lin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an IP key telephone device for allowing a terminal to connect to an external network such as ISDN and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terminal using a SIP protocol, an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device, a conference device, and the like.

PBX 서버(20)는 회사 등에서 사용되는 일정 수의 외부 전화회선을 모든 직원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가입자들(예컨대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 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전화 교환 서버이다. PBX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회사의 모든 종업원들에게 일일이 일반 전화회선을 배정할 경우 들어가게 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PBX는 전화회사가 아닌 일반 기업체의 소유로서 그 기업체의 책임하에 운영된다. 사용자 단말 A(11-1)는 통신망(전화망(PSTN), 이동통신망 등)을 경유하여 PBX 서버(20)와 연결되고 PBX 내부 가입자와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The PBX server 20 shares a certain number of external telephone lines used in a company or the like with all the employees and transmits the internal subscribers (e.g., user terminals B, C, D (11-2, 12-1, 12 -2)) to automatically connect the phone to the telephone exchange server. The main purpose of using a PBX is to reduce the cost of assigning a regular phone line to all employees of the company. The PBX is owned by the general business entity, not the telephone company, and is operat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entity. The user terminal A-1-1 is connected to the PBX server 20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PST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is capable of telephone conversation with an internal subscriber of the PBX.

프레즌스 서버(21)는 PBX 내부 가입자 간에 현재 상태정보(통화중 등)를 알려 줄 수 있다. 프레즌스 서버(21)는 PBX 내부 가입자의 발/착신 상태를 파악하여 해당 내부 가입자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다. 일례로, 내부 가입자들은 키폰 전화기의 유동 버튼에 내부 가입자들의 번호(내선번호)를 등록해두고, 등록된 내부 가입자들의 통화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PBX 내부 가입자의 사용자 단말 B(11-2)는 다른 내부 가입자의 사용자 단말 C, D(12-1, 12-2) 뿐만 아니라, 타 PBX 시스템 또는 PSTN의 외부 가입자인 사용자 단말 A(11-1)와도 전화 연결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는 프레즌스 서버(21)를 공유하는 PBX 시스템의 가입자들로서, 서로 간의 프레즌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A(11-1)는 프레즌스 서버(21)를 공유하지 않는 타 시스템 가입자로서, PSTN 등에 유선 혹은 휴대 전화 혹은 인터넷 전화 등으로 PBX 서버(20)와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원칙적으로 내부 가입자의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와 통화는 가능하지만, 이들과는 프레즌스 정보를 공유할 수는 없다. The presence server 21 can inform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such as during a call) between the internal subscribers of the PBX. The presence server 21 detects the incoming / outgoing state of the PBX internal subscriber and notifies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rnal subscriber. For example, the internal subscribers can register the number of the internal subscribers (extension number) in the flow button of the key phone and check the status of the registered internal subscribers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B (11-2) of the PBX internal subscriber can not only be the user terminal C (12-1, 12-2) of another internal subscriber but also the user terminal A -1). Here,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12-1, and 12-2) are subscribers of the PBX system sharing the presence server 21 and may share presenc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A-1 is another system subscriber who does not share the presence server 21 and is connected to the PBX server 20 via a trunk line, such as a PSTN or the like via a wired line, a cellular phone, or an internet telephone, Although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s B, C, D (11-2, 12-1, 12-2) of the internal subscriber, they can not share the presence information with them.

PBX 서버(20)는 IP 망을 통해 다수의 VoIP 장치(도시하지 않음), 다수의 VoIP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 중계(Intermediate) 서버(도시하지 않음), UC 서버(30) 등과 연결되어, 일반 전화기(SLT), 디지털 키폰 전화기(DKT), UCS(Unified Communication Solution), WiFi 단말기, 유/무선 IP폰 등의 단말에게 SIP나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VoIP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장치 간에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이 구비되고, 특히 PBX 서버(20)에는 각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를 관리하고 로드밸런스(load balance) 및 인입/인출 신호(incoming/outgoing signaling)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해당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로 라우팅하기 위해 패킷의 주소 변환(address translation)을 위한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가 구비된다. The PBX server 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oIP devices (not shown), a plurality of VoIP gateways (not shown), an intermediate server (not shown), a UC server 30, And provides a VoIP service using a SIP or H.323 protocol to terminals such as a general telephone (SLT), a digital key telephone (DKT), a Unified Communication Solution (UCS), a WiFi terminal, and a wired and wireless IP phone. In particular, the PBX server 20 manages each VoIP device / VoIP gateway, loads balance and incoming / outgoing signals, a device driver is provided for address translation of packets to route signaling and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packets to the VoIP device / VoIP gateway.

여기서, 라우팅이란, IP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라우터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려면 라우터는 해당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라우팅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이 정보에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따라서, 라우터들은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를 가지고 이웃의 라우터들과 경로정보를 교환하는데, 이때 경로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한다.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로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BGP(Border Gateway Protocol) 등이 있다.Here, routing refers to a function that allows an IP packet to be transmitted to a destination. To allow a router to forward a packet to its destination, the router must know the route information (routing information) for that destination and forward the packet according to this information. Therefore, routers exchange route information with neighboring routers with route information for the destination, and the protocol that exchanges route information at this time is called a routing protocol.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Open Shortest Path First (OSPF), and Border Gateway Protocol (BGP) are examples of typical routing protocols.

PBX 서버(20)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얻은 라우팅 정보와 각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얻은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VoIP 서비스에 대한 로드밸런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PBX 서버(20)는 각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VoIP 서비스를 위한 VoIP 호 정보)를 알고 있다. 그 이유는 VoIP 장치를 포함하여 PBX 서버(20)에 등록되는 모든 장치는 PBX 서버(20)의 호(call)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BX 서버(20)는 프로토콜(예컨대, IPKT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각 등록된 장치들의 기본 정보 및 현재의 상태정보 등을 항상 관리하고 있다.The PBX server 20 provides the load balancing service for the VoIP service based on the routing information obtained using the routing protocol and the topology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VoIP device / VoIP gateway. Basically, the PBX server 20 knows the status information (VoIP call information for VoIP service) of each VoIP device / VoIP gateway. This is because all the devices registered in the PBX server 20 including the VoIP device provide the VoIP service to the user by using the call function of the PBX server 20. Therefore, the PBX server 20 always manages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each registered devices by using a protocol (for example, IPKTS protocol).

KTS 또는 IP KTS와 연계된 통합 커뮤니케이션(UC) 솔루션을 위해서 PBX 서버(20)와 UC 서버(30)가 연결되고, 각 사용자(UC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단말 D(12-2))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예컨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을 통해 UC 서버(30)에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메시지나 파일 등을 주고받는다. 또한, PBX 서버(20)가 부여하는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사용자 단말 D(12-2)는 소프트폰(soft phone)으로 동작하여 타 UC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면서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 통신망(전화망(PSTN),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등)의 사용자 단말 A, B, C(11-1, 11-2, 12-1)와도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이때, 외부 통신망을 통해 PBX 서버(20)에 호가 착신되면, UC 서버(30)는 사용자 단말 D(12-2)에서 등록한 호 처리 테이블의 내용(시나리오)에 따라 호를 처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D(12-2)에서 호가 발신되면, UC 서버(30)는 사용자 단말 D(12-2)에서 등록한 호 처리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 호를 처리한다. The PBX server 20 and the UC server 30 are connected for a unified communications (UC) solution associated with the KTS or the IP KTS and each user (user terminal D 12-2 of the UC client) , An instant messaging client program, etc.) to exchange messages and files with other user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 (12-2), given the telephone number given by the PBX server 20, operates as a soft phone to enable telephone conversation while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other UC clients, (11-1, 11-2, 12-1) of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PST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red and wireless Internet, etc.). At this time, when a call is received to the PBX server 20 via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e UC server 30 processes the call according to the content (scenario) of the call processing table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D 12-2. When a call is originated at the user terminal D 12-2, the UC server 30 processes the call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ll processing table registered at the user terminal D 12-2.

사용자 단말 D(12-2)는 UC 서버(30)와 연동하며, 인스턴트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 파일 전송(file sending), 파일 공유(fle sharing), 웹 푸쉬(web push), 음성호(voice call), 영상호(imaging call)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The user terminal D 12-2 interlocks with the UC server 3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UC server 30 through an instant messaging (IM), file sending, file sharing, web push, (voice call), imaging call,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에서 PBX 서버(20)는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를 지원한다.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는, 사용자가 제1 단말(예컨대 desk phone인 사용자 단말 B(11-2))의 위치(영역)를 벗어나 이동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 변동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1 단말로 착신된 호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제2 단말(예컨대 desk phone인 사용자 단말 C(12-1))로 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 단말은 desk phone 뿐만 아니라, soft phone을 탑재한 IP전화기나 스마트폰 등이 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BX server 20 supports 'missed call forwarding service'. The missed call forwarding service automatically detects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user when the user moves out of the position (area) of the first terminal (e.g., the user terminal B (11-2) as a desk phone) To a second terminal (e.g., user terminal C (12-1) which is a desk phone) close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 second terminal may be not only a desk phone but also an IP telephone or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soft phone.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찾아내기 위한 RFID 태그(50)가 부착된 ID 카드 형태의 부속물이 필요하다. RFID 태그(50)에는 개개인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정보(예컨대 성명이나 사원번호 등의 직원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개인별로 할당된 전화번호 정보(예컨대 내선번호)나, 개인의 보안 등급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For the missed call forwarding service, an ID card-type accessory to which an RFID tag 5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attached is needed. In the RFID tag 50,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employee information such as a name and an employee number) that can identify an individual is recorded. Further, phone number information (e.g., an extension number) Information can be recorded.

개인의 RFID 정보(사용자 식별 정보 등)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무선으로 RFID 태그(50)와 통신하여 RFID 정보를 스캐닝(scanning)하고 스캐닝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PBX 서버(20)로 전달하는 무선 태그 인식기(40)가 필요하다. In order to read individual RFID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a wireless tag recognizer (not shown)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RFID tag 50 to scan the RFID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canned data to the PBX server 20 via the network (40) is required.

RFID 태그(50)는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따라 135kHz 이하 대역, 13.56MHz 대역, 433MHz 대역, 860~960MHz 대역, 2.45GHz 대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식 거리를 높이기 위해서는, 433MHz 대역과 860~960MHz 대역의 극초단파(UHF)나 2.45GHz 대역의 마이크파를 사용할 수 있다. RFID 태그(50)는 능동형 태그(active tag), 수동형 태그(passive tag), 반수동형 태그(semi-passive tag)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433MHz 대역에서는 능동형 태그를 사용하고, 860~960MHz 대역이나 2.45GHz 대역에서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UHF의 경우 10m 이내, 마이크로파의 경우 30cm 이내)에서는 수동형 태그를, 비교적 원거리(UHF의 경우 100m 이내, 마이크로파의 경우 1km 이내)에서는 능동형 태그를 사용한다.The RFID tag 50 can be divided into a band of less than 135 kHz, a band of 13.56 MHz, a band of 433 MHz, a band of 860 to 960 MHz, and a band of 2.45 GHz, depending on a radio frequency band to be us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distance, it is possible to use the 433 MHz band and the microwave of the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the 2.45 GHz band of the 860 to 960 MHz band. The RFID tag 50 may be classified into an active tag, a passive tag, and a semi-passive tag. For example, an active tag is used in the 433 MHz band and a passive tag is used 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within 10 m for UHF and within 30 cm for microwave) in the 860-960 MHz band or 2.45 GHz band, , The active tag is used.

무선 태그 인식기(40)는 RFID 태그(50)의 정보를 수신 판독하여 PBX 서버(20)로 전송하고, RFID 태그(50)와 일대일 혹은 일대다의 통신이 가능하다.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receives and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50 and transmits the read information to the PBX server 20 and is capable of one-to-one or one-to-many communication with the RFID tag 50.

PBX 서버(20)는 기본적으로 콜 관리 DB(23)에 전화번호, 사용자 단말,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mapping)시켜 관리하고, 콜 서버(22)를 통해 발/착신 호를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 1에 대해 내선번호 "1000"번, 사용자 단말 B(11-2)를 매핑시켜 관리한다. 콜 서버(22)는 콜 관리 DB(23)를 바탕으로 외부 또는 내부(예컨대 사용자 단말 A(11-1))에서 내선번호 "1000"번으로 전화가 오면 사용자 단말 B(11-2)에 전화벨(ring)을 울리고, 사용자 1은 착신을 인식하여 전화를 받는다. 본 발명의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 1의 위치 변동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1 단말(사용자 단말 B(11-2))로 착신된 호를 사용자 1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제2 단말(예컨대 사용자 단말 C(12-1))로 호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콜 관리 DB(23)에서 이동 사용자 1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PBX server 20 basically maps and manages a telephone number, a user terminal,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all management DB 23, and controls the call / incoming call through the call server 22. For example, the user 1 is managed by mapping the extension number "1000 " and the user terminal B 11-2. The call server 22 sends a telephone call to the user terminal B 11-2 when the call is made to the extension number "1000" from the outside or inside (e.g., the user terminal A 11-1) ring 1, and user 1 recognizes the incoming call and receives a call. In order to perform the missed call forwarding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 change of the user 1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a call arriving at the first terminal (user terminal B 11-2) is referred to as a second terminal User terminal C (12-1)). In order to do this, the call management DB 23 must additionally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user 1.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change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 인식기(41, 42, 43)가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일대일 대응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missed call forwarding service, 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tag recognizers 41, 42, and 43 ar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and 12-1 , 12-2.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태그 인식기(41, 42, 43)가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탑재되고,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일대일 대응되어 RFID 태그(50)와 통신할 수 있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adio tag recognizers 41, 42 and 43 ar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respectively 11-2, 12-1 and 12-2, and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RFID tags 50-1, 50-2, 50-2, 50-3, 50-2, 50-3, 50-2,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태그 인식기(41, 42, 43)가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탑재되지 않고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와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일대일 대응되어 RFID 태그(50)와 통신할 수 있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adio tag recognizers 41, 42 and 43 are not mounted on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respectively 11-2, 12-1 and 12-2,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12-1, 12-2) Thereby forming respective user terminal area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FID tag 50.

상기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일대일 대응되는 무선 태그 인식기(41, 42, 43)는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할 수도 있고, 동일 공간에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사무실 A에 무선 태그 인식기(41)와 사용자 단말 B(11-2)가 쌍(pair)으로 존재하고 사무실 B에 무선 태그 인식기(42)와 사용자 단말 C(12-1)가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 A의 일 공간에 무선 태그 인식기(41)와 사용자 단말 B(11-2)가 쌍(pair)으로 존재하고 동일한 사무실 A의 다른 공간에 무선 태그 인식기(42)와 사용자 단말 C(12-1)가 쌍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tag recognizers 41, 42, and 43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12-1, and 12-2) Or may coexist in the same space.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1 and the user terminal B 11-2 exist in a pair in the office A and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2 and the user terminal C 12-1 exist in a pair in the office B. have.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1 and the user terminal B 11-2 exist in a pair in a space of the office A and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2 and the user terminal C 12 -1) may be present in pair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콜 관리 DB(23)는, 사용자별로,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무선 태그 인식기(41~43)의 고유 번호와, 제1 사용자 단말 영역(예컨대 사용자 단말 B(11-2)의 통신 영역)에서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예컨대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ID No.)를 관리한다.The call management DB 2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adio tag recognizers 41 to 43 forming the user terminal area an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No.) of the user 1 that has mo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e.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1-2)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e.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 관리 DB(23)는, 사용자(사용자1~3)별로, 식별 정보(ID No.)와, 사용자 단말 전화번호(예컨대 사용자 1은 내선번호 "1000"번, 사용자 3은 내선번호 "1002"번), 사용자 단말 위치(예컨대, 사무실의 각 구역을 나타내는 A-1, B-1, B-2)와, 태그 인식기 고유 번호(AP-A-1, AP-B-1, AP-B-2)와, 사용자 존재(Presence) 여부 정보(예컨대, 부재중이 아닌 경우는 "On"으로, 부재중인 경우는 "Off"로 표시)와, 사용자의 이동 검출 정보(예컨대, 사용자 1이 기존 위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위치에서 검출된 경우 "T1"을 표시) 등을 관리한다.3, the call management DB 23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No.), a user terminal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the user 1 is an extension number "1000" A-1, B-1, and B-2), a tag identifier unique number (AP-A-1, AP- B-1, and AP-B-2),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e.g., "On" when the user is absent and "Off" For example, "T1" is displayed when the user 1 is detected at a new position after departing from an existing position).

즉,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1은 T1 태그를 사용하고 그 식별 정보(ID No.)가 "T1"이고, 자신에게 할당된 전환번호는 내선번호 "1000"이며, 내선번호 "1000"번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 B(11-2)는 사무실 A-1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 B(11-2)에 일대일 할당된 무선 태그 인식기(41)의 고유 번호는 "AP-A-1"이다. 3, the user 1 uses the T1 ta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No.) thereof is "T1 ", the conversion number assigned to the user is the extension number" 1000 ", the extension number & The user terminal B 11-2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B 11-2 is located in the office A-1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1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B 11-2 on a one-to-one basis is "AP- .

만약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통신 영역을 벗어나면, 무선 태그 인식기(41)는 사용자 1이 자리에 없음을 PBX 서버(20)로 알려 주고, PBX 서버(20)는 콜 관리 DB(23)에서 사용자 1을 자리 부재중으로 갱신(즉, 사용자 존재 여부 정보를 "Off"로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 1이 사무실 A-1에서 사무실 B-2로 이동할 경우, 사무실 B-2의 무선 태그 인식기(고유 번호는 "AP-B-2")(42)가 T1을 감지하고,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PBX 서버(20)로 알려 주고, PBX 서버(20)는 콜 관리 DB(23)에서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 T1을 사용자 3의 정보 필드(이동 검출 정보)에 추가한다.If the user 1 leave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the radio tag recognizer 41 informs the PBX server 20 that the user 1 is not in position, and the PBX server 20 performs call management The DB 23 updates the user 1 to the position of absence (i.e., display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as "Off "). When the user 1 moves from the office A-1 to the office B-2, the wireless tag recognizer (unique number "AP-B-2") 42 of the office B-2 detects T1, The PBX server 20 informs the PBX server 20 that it has moved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terminal C 12-1 and the PBX server 20 moves from the call management DB 23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And add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1 of the user 1 to the information field (movemen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3. [

이후 사용자 단말 A(11-1)로부터 내선번호 "1000"번으로 전화가 걸려 올 경우, PBX 서버(20)의 콜 서버(22)는 콜 관리 DB(23)를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 A(11-1)의 영역 내에 사용자 1이 부재중(presence 정보가 "off")임을 확인하고, 부재중이면 T1이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있는지를 추가로 검사하여, 내선번호 "1002"번에 연동된 사용자 단말 C(12-1)의 영역에 T1이 있음을 찾아내 내선번호 "1000"번 전화를 내선번호 "1002"번으로 전환해 준다.The call server 22 of the PBX server 20 inquires the call management DB 23 to inquire the user terminal A 11-1 of the extension number "1000" (Presence information is "off") within the region of the extension number "-1002 " 12-1), and converts the extension number "1000" to the extension number "1002".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bound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콜 관리 DB(23)에는 사용자 단말 C(12-1)와 사용자 3의 전화번호가 매핑되어 콜 관리 DB(23)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사용자 1이 이동하면 무선 태그 인식기(42)는 사용자 1의 RFID 태그(50)와 통신하여 사용자 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S401), 사용자 1의 식별 정보(ID No.)를 PBX 서버(20)로 전달한다.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3 is mapped in the call management DB 23 and stored in the call management DB 23 and the user 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2 communicates with the RFID tag 50 of the user 1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 (S401)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No.) of the user 1 to the PBX server 20 do.

그러면, PBX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 내에서 사용자 1의 존재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 1의 이동을 감지한다(S402). 즉,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통신 영역을 벗어나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감지한다. Then, the PBX server 2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user 1 as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user 1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S402). That is,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1 has moved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out of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사용자 1의 이동을 감지함에 따라(S403), PBX 서버(20)는 사용자 1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 C(12-1)에 매핑시켜 콜 관리 DB(23)를 갱신한다(S404). 이후, 사용자 단말 A(11-1)로부터 사용자 1의 전화번호로 호가 착신되면(S405), PBX 서버(20)의 콜 서버(22)는 콜 관리 DB(23)의 사용자 1의 존재 여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6).Upo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1 (S403), the PBX server 20 updates the call management DB 23 by mapp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1 to the user terminal C12-1 (S404). Thereafter,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11-1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1 (S405), the call server 22 of the PBX server 20 transmi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1 of the call management DB 23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1 exists in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S406).

만약,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존재하면(presence 정보가 "on"으로서, 부재중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 B(11-2)로 착신을 시도한다(S407).If the user 1 exists in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if the presence information is "on" and is not in the absence), the user terminal B 11-2 attempts an incoming call (S407).

한편,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presence 정보가 "off"로서, 부재중인 경우), 호 전환을 위해 콜 관리 DB(23)에서 타인의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를 검사하고,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가 사용자 3의 정보 필드(이동 검출 정보)에 있으므로, 사용자 1의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사용자 3의 단말 C(12-1)로 호 전환한다(S408).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1 does not exist in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the presence information is "off" and the user is absent), the call management DB 23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 that has moved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is in the information field (movemen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3, The call is transferred to the terminal C (12-1) of the user 3 (S408).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change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재중 착신전환 서비스를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 인식기(40)가 사용자 단말 B, C, D 각각(11-2, 12-1, 12-2)에 탑재되지 않고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와 이격 배치되며,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에 일대다(1;N)로 대응되어 RFID 태그(50)와 통신할 수 있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missed call forwarding service, as shown in FIG. 5, the radio tag recognizer 4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12-1, 12-2 C, and D (11-2, 12-1, and 12-2) in a stand-alone manner instead of being mounted on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 12-1, 12-2 to correspond to one-to-many (1; N) to form respective user terminal area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FID tag 50.

공간(사무실)별로 무선 태그 인식기(40)가 구비될 수 있고, 동일 공간에서도 복수의 무선 태그 인식기(40)가 존재할 수도 있다. A wireless tag recognizer 40 may be provided for each space (office), and a plurality of wireless tag recognizers 40 may exist in the same space.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는 동일 공간에 존재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사무실 A에서 무선 태그 인식기(40)가 사용자 단말 B, C, D(11-2, 12-1, 12-2)를 일대다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 A에서 제1 무선 태그 인식기가 사용자 단말 B(11-2)를 관리하고, 이격된 사무실 B에서는 제2 무선 태그 인식기가 사용자 단말 C(12-1), 사용자 단말 D(12-2)를 관리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12-1, and 12-2) may exist in the same space or may exist in different spaces. That is,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can manage the user terminals B, C, and D (11-2, 12-1, and 12-2) one-to-many in the office A. In the office A, the first radio tag recognizer manages the user terminal B 11-2. In the separated office B, the second radio tag recognizer manages the user terminal C 12-1, the user terminal D 12-2 ).

이하에서는 사무실 A에는 사용자 단말 B(11-2)가 존재하고 별도의 무선 태그 인식기(미도시됨)에 의해 관리되며, 사무실B에는 사용자 단말 C, D(12-1, 12-2)가 존재하고 무선 태그 인식기(40)에 의해 관리된다고 가정한다.Hereinafter, a user terminal B (11-2) exists in the office A and is managed by a separate wireless tag recognizer (not shown), and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12-2) And is managed by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콜 관리 DB(23)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콜 관리 DB(23)는, 사용자별로,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무선 태그 인식기(40)의 고유 번호와, 제1 사용자 단말 영역(예컨대 사용자 단말 B(11-2)의 통신 영역)에서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예컨대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ID No.)와 더불어, 별도의 무선 태그 인식기(도시되지 않음)와 사용자 단말 B(11-2) 간의 거리 정보 및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사용자 단말 C, D(12-1, 12-2) 간의 거리 정보와,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예컨대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무선 태그(50)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관리한다.5, the call management DB 23 includes a unique identifier of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that forms a user terminal area for each us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and 12-2)) in the first user terminal area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Not shown) and the user terminal B 11-2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radio tag recognizer 40 and the user terminals C and D (11-2)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No.) of one user 1, 12-1 and 12-2 and the wireless tag 50 of the user 1 mov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and 12-2) And manages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 관리 DB(23)는, 사용자(사용자1~3)별로, 식별 정보(ID No.)와, 사용자 단말 전화번호(예컨대 사용자 1은 내선번호 "1000"번, 사용자 3은 내선번호 "1002"번), 사용자 단말 위치(예컨대 사무실의 각 구역을 나타내는 A-1, B-1, B-2)와, 태그 인식기 고유 번호(AP-1-1, AP-B-1, AP-B-2)와, 사용자 존재(Preasence) 여부 정보(예컨대, 부재중이 아닌 경우는 "On"으로, 부재중인 경우는 "Off"로 표시)를 관리하고 있고, 사용자의 이동 검출 정보(예컨대, 사용자 1이 기존 위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위치에서 검출된 경우 "T1"을 표시) 등을 관리한다.6, the call management DB 23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No.), a user terminal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the user 1 is an extension number "1000" 1, B-1, and B-2) and the tag identifier unique numbers (AP-1-1, AP-B (For example, "On" when the user is not in the office and "Off" when not in the absence of the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1" is displayed when the user 1 is detected at a new position after leaving the existing position), and the like.

여기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2 혹은 사용자 3 중 어느 하나에 갱신되는데, 이는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거리로 환산한 값을 바탕으로 기록된다.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ved user 1 is updated in either the user 2 or the user 3, which is recorded based on the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nto distanc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무선 태그 인식기(40)가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단말 C, D(12-1, 12-2)를 관리하는 경우,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사용자 단말 C, D(12-1, 12-2) 간 각각의 거리정보가 콜 관리 DB(23)에 저장되어, 이동한 사용자 1의 무선 태그(50)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거리로 환산한다. 예컨대, 무선 태그(50)의 수신신호세기가 70dBm 이상(RF감도 '상')이면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단말 간의 거리가 3m 이내, 30~70dBm(RF감도 '중')이면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단말 간의 거리가 3~10m, 30dBm(RF감도 '하') 이하이면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단말 간의 거리가 10m 이상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신신호세기가 70dBm 이상(RF감도 '상')인 경우,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사용자 단말 C, D(12-1, 12-2) 간의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근접한 사용자 단말 C(12-1)를 찾을 수 있다. 즉, 가장 근접한 사용자 단말 C(12-1)는 RF감도 '상'인 단말이다. Specifically, when one radio tag recognizer 40 manages at least two user terminals C, D (12-1, 12-2), the radio tag recognizer 40 and the user terminals C, D (12- 1 and 12-2 are stored in the call management DB 23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50 of the user 1 is converted into a distance.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and the terminal is within 3 m and 30 to 70 dBm (RF sensitivity is' middle ')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tag 50 is 70 dBm or more (RF sensitivity'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and the terminal is 10 m or m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40 and the terminal is 3 to 10 m and 30 dBm (lower than RF sensitivity). Therefore,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70 dBm or more (RF sensitivity 'on'),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radio tag recognizer 40 and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and 12-2) C (12-1) can be found. That is, the nearest user terminal C (12-1) is a terminal with RF sensitivity 'above'.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1은 그 식별 정보(ID No.)가 "T1"이고 자신에게 할당된 전화번호는 내선번호 "1000"이며, 내선번호 "1000"번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 B(11-2)는 사무실 A-1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 B(11-2)에 할당된 무선 태그 인식기(도시되지 않음)의 고유 번호는 "AP-A-1"이다. 6, the user 1 has the user terminal B (11) assigned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ID No.) of "T1", the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the user 1 is the extension number "1000" -2 is located in the office A-1,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wireless tag recognizer (not shown)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B 11-2 is "AP-A-1".

만약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통신 영역을 벗어나면, 무선 태그 인식기(도시되지 않음)는 사용자 1이 자리에 없음을 PBX 서버(20)로 알려 주고, PBX 서버(20)는 콜 관리 DB(23)에서 사용자 1을 자리 부재중으로 갱신(즉, 사용자 1 존재 여부 정보를 "Off"로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 1이 사무실 A-1에서 사무실 B-2로 이동할 경우, 사무실 B-2의 무선 태그 인식기(40)(고유 번호 "AP-B-2")가 T1을 감지하면,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PBX 서버(20)로 알려 주고, PBX 서버(20)는 콜 관리 DB(23)에서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 T1을 사용자 2, 3의 정보에 추가하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무선 태그(50)의 수신신호세기 정보에 따라 사용자 2 혹은 사용자 3의 정보 필드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수신신호세기가 70dBm 이상(RF감도 '상')이면 사용자 3의 정보 필드(이동 검출 정보)에 기록한다. If the user 1 leave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the wireless tag recognizer (not shown) notifies the PBX server 20 that the user 1 is not in position, and the PBX server 20 The call management DB 23 updates the user 1 to the seat absence (i.e., display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1 as "Off"). If the user 1 moves from the office A-1 to the office B-2, if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unique number "AP-B-2 & D 12-1 and 12-2 to the PBX server 20 and the PBX server 20 notifies the call management DB 23 of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12-1, 12-2)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s C, D (12-1, 12-2). In this case, 1 to the information field of the user 2 or the user 3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50. For example, i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70 dBm or more (RF sensitivity 'on'), th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information field (movemen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3.

이후 사용자 단말 A(11-1)로부터 내선번호 "1000"번으로 전화가 걸려 올 경우, PBX 서버(20)의 콜 서버(22)는 콜 관리 DB(23)를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사용자 1이 부재중(presence 정보가 "off")임을 확인하고, 부재중이면 T1이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있는지를 추가로 검사하여, 내선번호 "1002"번에 연동된 사용자 단말 C(12-1)의 영역에 T1이 있음을 찾아내 내선번호 "1000"번 전화를 사용자 1에 가장 근접한 사용자 단말 C(12-1)의 내선번호 "1002"번으로 전환해 준다. The call server 22 of the PBX server 20 inquires the call management DB 23 to inquire the user terminal A 11-1 of the extension number "1000" (Presence information is "off") in the region of the extension number "1002 " 12-1), and convert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extension number "1000" to the extension number "1002" of the user terminal C (12-1) closest to the user 1.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bound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콜 관리 DB(23)는 사용자 단말 C, D(12-1, 12-2)와 사용자 2, 3의 전화번호를 매핑시켜 관리하고 있다가,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으로 사용자 1이 이동하면 무선 태그 인식기(40)는 사용자 1의 RFID 태그(50)와 통신하여 사용자 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S701), 사용자 1의 식별 정보(ID No.)와 사용자 1의 무선 태그(50)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PBX 서버(20)로 전달한다.The call management DB 23 manages the telephone numbers of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and 12-2) and the users 2 and 3, The wireless tag recognizer 40 communicates with the RFID tag 50 of the user 1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 (S701),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No.) of the user 1 to the RFID tag 50 of the user 1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50 of the user 1 to the PBX server 20.

그러면, PBX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C, D(12-1, 12-2)의 통신 영역 내에서 사용자 1의 존재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 1의 이동을 감지하고, 예컨대 수신신호세기가 70dBm 이상(RF감도 '상')인 경우, 무선 태그 인식기(40)와 사용자 단말 C, D(12-1, 12-2) 간의 거리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 C(12-1)가 사용자 1에 근접한 단말임을 인지한다(S702). 즉,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통신 영역을 벗어나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감지한다.Then, the PBX server 2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user 1 by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user 1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s C, D (12-1, 12-2), and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70 dBm or mor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radio tag recognizer 40 and the user terminals C and D (12-1, 12-2), the user terminal C (12-1) (Step S702). That is,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1 has moved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out of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사용자 1의 이동을 감지함에 따라(S703), PBX 서버(20)는 사용자 1의 전화번호와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 C(12-1)에 매핑시켜 콜 관리 DB(23)를 갱신한다(S704). 이후, 사용자 단말 A(11-1)로부터 사용자 1의 전화번호로 호가 착신되면(S705), PBX 서버(20)의 콜 서버(22)는 콜 관리 DB(23)의 사용자 1의 존재 여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06).Upo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1 (S703), the PBX server 20 updates the call management DB 23 by mapp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1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 (12-1) S704). Thereafter,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11-1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1 (S705), the call server 22 of the PBX server 20 transmi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1 of the call management DB 23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1 exists in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S706).

만약,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존재하면(presence 정보가 "on"으로서, 부재중이 아닌 경우), 사용자 단말B(11-2)로 착신을 시도한다(S707).If the user 1 exists in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the presence information is "on ", and the user is not in the absence), the user terminal B 11-2 attempts an incoming call (S707).

한편, 사용자 1이 사용자 단말 B(11-2)의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presence 정보가 "off"로서, 부재중인 경우), 호 전환을 위해 콜 관리 DB(23)에서 타인의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를 검사하고, 사용자 단말 C(12-1)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1의 식별 정보가 사용자 3에 있으므로, 사용자 1의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사용자 3의 단말 C(12-1)로 호 전환한다(S708).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1 does not exist in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B 11-2 (the presence information is "off" and the user is absent), the call management DB 23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 is check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 moved to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user terminal C 12-1 is in the user 3. Therefore, 12-1) (S708).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 has been described through particular embodiments, the method may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1,12: 사용자 단말 20: PBX 서버
30: UC 서버 40: 무선 태그 인식기
50: RFID 태그
11, 12: user terminal 20: PBX server
30: UC server 40: wireless tag recognizer
50: RFID tag

Claims (16)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으로서,
태그 인식기에 의해, 사용자의 무선 태그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PBX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매핑시켜 콜 관리 DB를 갱신하는 단계와,
착신시, 상기 PBX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착신되는 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by the tag recogniz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communication with the user's wireless tag;
Updating the call management DB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PBX server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re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And connecting, by the PBX server, a call destin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a call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PBX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매핑시켜 상기 콜 관리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pping, by the PBX serve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storing the telephone number in the call management D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에 일대일로 탑재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mount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on a one-to-one basi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area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alone)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a stand-al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nd forming a user terminal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alone)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동일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일대다로 대응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ag recognizer is a stand-al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re present in the same space, the tag recognizer can 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in a one- There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area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alone)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a stand-al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exist in different spac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regions are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terminal comprising a user terminal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region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adio ta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태그 인식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단말인, 착신호 연결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is a terminal closest to a location of the wireless tag amo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 the tag recognizer area.
착신호 연결 서비스를 위한 교환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매핑시켜 관리하는 콜 관리 DB와,
사용자의 무선 태그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인식기와,
상기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매핑시켜 상기 콜 관리 DB를 갱신하고, 착신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착신되는 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연결하는 PBX 서버를 포함하는 교환시스템.
An exchange system for an incoming call connection service,
A call management DB for mapping and mana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and a user,
A tag recogniz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wireless tag and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f the user moves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re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map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PBX server for connecting a call destin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upon receiving a cal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에 일대일로 탑재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교환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mount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on a one-to-one basi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area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alone)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교환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a stand-al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nd forms a user terminal area.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콜 관리 DB는, 사용자별로,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태그 인식기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교환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call management DB stores at least one of a unique number of the tag recognizer forming the user terminal area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v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for each u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alone)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동일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일대다로 대응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교환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ag recognizer is a stand-al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are present in the same space, the tag recognizer can 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in a one- There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area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기는,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 가능한 스탠드 얼론(stand-alone) 장치로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공간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되어, 상기 무선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교환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ag recognizer is a stand-alon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ag,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exist in different spac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regions correspond to at least one terminal comprising a user terminal,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 regions being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adio ta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태그 인식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무선 태그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단말인, 교환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is a terminal closest to a location of the wireless tag amo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 the tag reader area.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 관리 DB는, 사용자별로, 사용자 단말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태그 인식기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영역으로 이동한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상기 태그 인식기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 거리 정보와, 상기 무선 태그의 수신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교환시스템.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Wherein the call management DB includes a unique number of the tag recognizer forming the user terminal are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ov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rea, a distance between the tag recognizer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nformation, and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PBX 서버는, 상기 무선 태그의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거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최근접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호 전환하는, 교환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BX server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and refers to the distance information to call the second user terminal that is closest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user, .
KR1020160025749A 2016-03-03 2016-03-03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KR201701032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49A KR20170103233A (en) 2016-03-03 2016-03-03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749A KR20170103233A (en) 2016-03-03 2016-03-03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233A true KR20170103233A (en) 2017-09-13

Family

ID=5996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749A KR20170103233A (en) 2016-03-03 2016-03-03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23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924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STN based network roaming and SCP based subscriber management for internet telephony systems
EP1534025A2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of call pickup service in a proprietary enterpris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EP2475151B1 (en) Establishing a connection
US20110163848A1 (en) Telephone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telephone connection control system
JP2008245292A (en) Providing routing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EP208875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routing mode base on strategy
US200602054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rging wireless telephone service with existing wired telephone equipment in a facility
EP1684486A1 (en) Cal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Fi network
US20070165825A1 (en) Cal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dual mode terminal
US20050113134A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of a proprietary enterprise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1005669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network ARS service using call switching service of the exchange
US11159675B2 (en) Method for telephonic linking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numbers
US9788256B2 (en) Redu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costs in enterprises
KR20170103233A (en) Method for call transfer service of migration and exchange system for the same
KR100923569B1 (en) Location server,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lo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location server
US7729340B2 (en) IP telephone apparatus
KR100717825B1 (en) Method of call transfer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0941551B1 (en) Method for direct exchanging information among voip wireless phone by using wireless lan
KR100785381B1 (en) The optimum a message received apparatus and method of wire and wireless telephone
JP3047903B1 (en) Network
KR100353713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processing union voice and data
JP2009100209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coming call
KR2007001198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lective call transferring and call forwarding service
CN100548018C (en) The carry-on subordinate machine system of short-distance wireless and answer speech method
KR100555408B1 (en) switching system for transformation of Call ID and method of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