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808A -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 Google Patents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808A
KR20170096808A KR1020160018529A KR20160018529A KR20170096808A KR 20170096808 A KR20170096808 A KR 20170096808A KR 1020160018529 A KR1020160018529 A KR 1020160018529A KR 20160018529 A KR20160018529 A KR 20160018529A KR 20170096808 A KR20170096808 A KR 2017009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tor
terminal
creditor
documen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기
김병진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기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브텍 filed Critical (주)기브텍
Priority to KR102016001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808A/ko
Publication of KR2017009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06Q4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은, 채무자와 채권자 간 전자 차용증을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채권자 단말과 채무자 단말 사이에 교환된 차용증정보를 근거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채무자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채무자 단말을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 신청 시, 상기 채무자 단말에서 지정한 공증인 단말로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여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공증인의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과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Method for Providing Digital Notarization of a Promissory Note by using Videotelephony Certification of Debtor}
본 발명은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기반으로 전자적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되어 전자문서보관소에 보관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하여 채무자가 지정한 공증인과의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원격 대면 인증을 기반으로 채권자와 채무자 및 공증인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여 전자문서보관소에 보관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법무부는 2016년2월 현재 지정된 공증인을 통하여 전자화된 문서를 공증하는 전자공증시스템(http://enotary.moj.go.kr/)을 운영하고 있다. 종래 공증이 종이문서에 대해서만 공증인을 통해 공증할 수 있었던 반면, 전자공증은 전자화된 문서에 대해서도 지정된 공증인을 공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법무부에서 운영하는 종래 전자공증시스템은 오로지 사서증서, 정관, 의사록에 한해서만 전자공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촉탁인 본인(즉, 1인)이 본인의 문서를 전자화하여 전자공증시스템에 등록하여 전자공증을 신청한 후, 반드시 지정된 공증인 사무소에 방문하여 면전확인을 거친 후 공증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전자공증시스템은 촉탁인 본인이 작성한 본인의 전자화 문서(그 중에서도 사서증서, 정관, 의사록으로만 제한)만 전자공증을 신청할 수 있을 뿐, 타인과 합의하여 작성한 문서에 대해서는 전자공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전자공증을 위해서는 종래 종이문서의 공증과 마찬가지로 공증인 사무소를 방문하여 면전확인 후 공증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기반으로 전자적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되어 전자문서보관소에 보관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채무자 단말에서 지정한 공증인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여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공증인의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한 후,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과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은, 채무자와 채권자 간 전자 차용증을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채권자 단말과 채무자 단말 사이에 교환된 차용증정보를 근거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채무자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채무자 단말을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 신청 시, 상기 채무자 단말에서 지정한 공증인 단말로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여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공증인의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과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는 상기 채권자 단말과 연동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채무자 단말과 연동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패키지화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서버 측 인증서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패키지에 대한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조합에 대한 메타정보를 생성하고 연계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서버 측 인증서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조합에 대한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서버 측 인증서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메타정보의 조합에 대한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는 하나 이상의 화상인증 과정에서 상기 공증인 단말을 통해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시,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공증인 단말과 채무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상기 공증인 단말을 통해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시,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공증인 단말과 채권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상기 공증인 단말을 통해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조합하여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동일성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동일성 인증 시,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조합하여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생성된 공증인 전자서명값과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생성된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에 첨부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기반으로 전자적으로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해 화상인증 기반의 전자공증을 제공함으로써,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거래에 분쟁 발생 시 전자공증된 차용증 공증문서를 기반으로 재판이나 소송 절차 없이도 분쟁을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용증 전자공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용증 전자문서의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 발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채무자 단말의 요청을 기반으로 전자공증을 처리하기 위한 채무자 단말과 공증인 단말 간 화상통화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위한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위한 채무자 측 공증문서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처리하기 위한 채권자 단말과 공증인 단말 간 화상통화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위한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용증 전자공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기반으로 전자적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되어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하여 채무자가 지정한 공증인과의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원격 대면 인증을 기반으로 채권자와 채무자 및 공증인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여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공증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채권자가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전자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가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전자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최종 합의를 통해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공증인 단말(190)과,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전자문서 생성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채권자가 채무자 간 최종 합의된 내용을 포함하고 채권자와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 내지 관리하며, 지정된 공증인을 통한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원격 대면 인증을 기반으로 채권자와 채무자 및 공증인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여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는 상기 운영서버(100) 내에 구비되거나,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공인된 기관에 구비된 공인전자문서보관소(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채권자가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채권자가 이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채권자 단말(185)이 무선단말 내지 유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권자가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단말이라면 어떠한 단말이라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전자공증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채권자 단말(185)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은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 생성 내지 전자공증을 위한 전자서명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서명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프로그램과 연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의 메모리부(또는 채권자 단말(185)과 접촉식/비접촉 연동하는 매체)에는 상기 전자서명을 위한 채권자의 인증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서는 공인인증기관에서 채권자에게 발급한 공인인증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인증서버(도시생략)에서 채권자에게 발급한 전자문서 서명용 인증서(예컨대, ECC 기반 인증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의 종류나 서명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은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위한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프로그램과 연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제공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다.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채무자가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채무자가 이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채무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채무자 단말(180)이 무선단말 내지 유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무자가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해 이용하는 단말이라면 어떠한 단말이라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및/또는 전자공증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은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 생성 내지 전자공증을 위한 전자서명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서명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프로그램과 연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의 메모리부(또는 채무자 단말(180)과 접촉식/비접촉 연동하는 매체)에는 상기 전자서명을 위한 채무자의 인증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서는 공인인증기관에서 채무자에게 발급한 공인인증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인증서버(도시생략)에서 채무자에게 발급한 전자문서 서명용 인증서(예컨대, ECC 기반 인증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의 종류나 서명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은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위한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프로그램과 연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제공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공증인이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하여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공증인이 이용하는 PC,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공증인이 이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증인 단말(190)이 유선단말 내지 무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증인이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하여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단말이라면 어떠한 단말이라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공증인 단말(19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은 전자공증을 위한 전자서명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서명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프로그램과 연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공증인 단말(190)의 메모리부(또는 공증인 단말(190)과 접촉식/비접촉 연동하는 매체)에는 상기 전자서명을 위한 공증인의 인증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서는 공인인증기관에서 공증인에게 발급한 공인인증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인증서버(도시생략)에서 공증인에게 발급한 전자문서 서명용 인증서(예컨대, ECC 기반 인증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의 종류나 서명 알고리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은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위한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통화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프로그램과 연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제공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전자문서 생성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는 절차, 상기 채권자가 채무자가 최종 합의한 내용을 전자문서화하는 절차, 채권자와 채무자의 전자서명을 통해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절차,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절차, 화상인증 기반의 원격 대면 인증을 제공하는 절차,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해 전자공증을 처리하는 절차, 채권자와 채무자 및 공증인의 전자서명을 통해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절차, 상기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하나의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호 연계된 둘 이상의 서버 조합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비된 서버장치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운영서버(100)는 물리적인 서버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한다면, 본 발명의 운영서버(100)의 범주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는 차용 금액을 빌려주고 빌리는 차용 거래를 행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차용 거래와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전자문서 생성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는 절차, 상기 채권자가 채무자가 최종 합의한 내용을 전자문서화하는 절차, 채권자 및/또는 채무자의 전자서명을 통해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절차, 상기 생성된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차용 거래 실시예에 따르면, 채권자와 채무자는 개별적으로 당사자 간 차용 거래를 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는 서로 만나 대면하여 현금(또는 현금에 대응하는 유가증권이나 현물)을 빌려주고 빌리는 차용 거래를 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는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되지 않은 별도의 금융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형태로 차용 거래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차용 거래 실시예에 따르면, 채권자와 채무자는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금융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용 거래를 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는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계된 금융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좌이체 형태로 차용 거래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차용 거래 실시예에 따르면, 채권자와 채무자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차용증 전자문서를 작성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또는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 생성) 시(또는 후)에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지정된 금융거래 시스템을 통해 상기 채권자의 지정된 계좌(예컨대, 차용증 전자문서에 포함된 채권자 명의의 계좌)로부터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포함된 차용 금액을 출금하여 임시 보관(예컨대, 에스크로우 계좌에 보관)한 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 생성과 동시(또는 후)에 지정된 절차(예컨대, 채무자 본인 인증 등)를 거쳐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상기 임시 보관 중인 차용 금액을 채무자의 지정된 계좌(예컨대, 차용증 전자문서에 포함된 채무자 명의의 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차용 거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 거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차용 거래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용 거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차용 거래 실시예를 기반으로 도출 가능한 모든 차용 거래를 포함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응하는 차용증정보를 생성하는 차용증정보 생성부(105)와,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 단말(180) 사이에 상기 생성된 차용증정보를 교환하여 채권자와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상호 합의하게 처리하는 차용증정보 교환부(110)와,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정보에 대응하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 생성부(115)와,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기반으로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채무자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와,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하는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관리하는 전자문서 관리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차용 거래와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응하는 차용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차용증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개시하고,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채권자정보(예컨대, 채권자개인정보, 채권자계좌정보, 채권자연락처, 채권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권자 단말(185)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채무자정보(예컨대, 채무자개인정보, 채무자계좌정보, 채무연락처, 채무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무자 단말(180)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차용정보(예컨대, 차용금액, 차용일시, 상환기간 또는 상환일시, 상환방식, 이자율, 이자지급방식, 지연손해금규정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정보 내지 차용증에 포함될 각종 정보 등)를 입력받고, 상기 채권자정보와 채무자정보 및 차용정보를 지정된 서식에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또는 제3 차용 거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차용증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개시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채권자정보(예컨대, 채권자개인정보, 채권자계좌정보, 채권자연락처, 채권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권자 단말(185)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채무자정보(예컨대, 채무자개인정보, 채무자계좌정보, 채무연락처, 채무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무자 단말(180)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차용정보(예컨대, 차용금액, 차용일시, 상환기간 또는 상환일시, 상환방식, 이자율, 이자지급방식, 지연손해금규정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정보 내지 차용증에 포함될 각종 정보 등)를 입력받고, 상기 채권자정보와 채무자정보 및 차용정보를 지정된 서식에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또는 제3 차용 거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차용증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거나 채권자 단말(185)과 연계된 금융거래 시스템과 연동하여 채권자가 채무자와 차용 거래를 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채권자 단말(185)에서 금융거래 시스템을 통한 금융거래(예컨대, 계좌이체 거래 등)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해당 금융거래가 차용 거래임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입력/선택한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금융거래가 채권자(예컨대, 송금인)와 채무자(예컨대, 수취인) 사이의 차용 거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와 채권자 측 금융거래 시스템을 통해 확인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정보(예컨대, 채권자개인정보, 채권자계좌정보, 채권자연락처, 채권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권자 단말(185)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채무자정보(예컨대, 채무자개인정보, 채무자계좌정보, 채무연락처, 채무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무자 단말(180)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차용정보(예컨대, 차용금액, 차용일시, 상환기간 또는 상환일시, 상환방식, 이자율, 이자지급방식, 지연손해금규정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정보 내지 차용증에 포함될 각종 정보 등)를 확인하고, 상기 채권자정보와 채무자정보 및 차용정보를 지정된 서식에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 예를들어, 상기 제2 차용 거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 및/또는 채권자 측의 금융거래 시스템과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차용증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거나 채무자 단말(180)과 연계된 금융거래 시스템과 연동하여 채권자가 채무자와 차용 거래를 행함을 확인할 수 있다. 통상의 금융거래(예컨대, 계좌이체 거래 등) 과정에서 채무자(예컨대, 계좌이체 거래의 수취인)에 대한 본인 인증이나 전자서명 등은 수행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라 금융거래 시스템을 이용한 차용 거래의 경우에 채무자가 채권자로부터 차용한 금액을 채무자의 계좌로 입금받거나 및/또는 입금된 금액을 출금하기 위해서는 채무자에 대한 본인 인증이나 전자서명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무자가 차용 금액을 입금받거나 및/또는 입금된 금액을 출금하기 위한 절차와 연동하여 채권자가 채무자와 차용 거래를 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정보와 채무자 측의 금융거래 시스템을 통해 확인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정보(예컨대, 채권자개인정보, 채권자계좌정보, 채권자연락처, 채권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권자 단말(185)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채무자정보(예컨대, 채무자개인정보, 채무자계좌정보, 채무연락처, 채무자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 내지 채무자 단말(180)과 통신하기 위한 정보 등), 차용정보(예컨대, 차용금액, 차용일시, 상환기간 또는 상환일시, 상환방식, 이자율, 이자지급방식, 지연손해금규정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정보 내지 차용증에 포함될 각종 정보 등)를 확인하고, 상기 채권자정보와 채무자정보 및 차용정보를 지정된 서식에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 예를들어, 상기 제2 차용 거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 및/또는 채무자 측의 금융거래 시스템과 연동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차용증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차용증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채권자정보와 채무자정보 및 차용정보를 포함하는 차용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5 차용증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를 기반으로 차용증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교환부(11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 단말(180) 사이에 상기 생성된 차용증정보를 교환하여 채권자와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상호 합의하게 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차용증 교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를 통해 상기 채권자 단말(185) 및/또는 채권자 측 금융거래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차용증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교환부(110)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무자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구비된 앱(또는 브라우져)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무자의 '동의' 또는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상기 표시된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채무자에 의해 수정(또는 수정 요청)되는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교환부(110)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수정(또는 수정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권자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또는 차용증정보와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수정내용)을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구비된 앱(또는 브라우져)는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또는 차용증정보와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수정내용)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또는 차용증정보와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수정내용)에 대한 채권자의 '승인' 또는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 단말(180)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를 교환 및/또는 수정하는 과정은,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교환(또는 수정 후 교환)되는 차용증정보에 대하여 채무자가 '동의'하고 채권자가 '승인'함이 확인되어 채권자와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합의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차용증 교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부(105)를 통해 상기 채무자 단말(180) 및/또는 채무자 측 금융거래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차용증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교환부(110)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권자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구비된 앱(또는 브라우져)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권자의 '승인' 또는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표시된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채권자에 의해 수정(또는 수정 요청)되는 경우, 상기 차용증정보 교환부(110)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수정(또는 수정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무자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또는 차용증정보와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수정내용)을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구비된 앱(또는 브라우져)는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또는 차용증정보와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수정내용)을 수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또는 차용증정보와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수정내용)에 대한 채무자의 '동의' 또는 '수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를 교환 및/또는 수정하는 과정은, 상기 채무자와 채권자 사이에 교환(또는 수정 후 교환)되는 차용증정보에 대하여 채권자가 '승인'하고 채무자가 '동의'함이 확인되어 채권자와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합의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차용증정보 교환부(110)를 통해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 단말(180) 사이에 교환(또는 수정 후 교환)되는 차용증정보에 대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의 합의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는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포함하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서식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포함하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는 별도의 지정된 서식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최종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포함하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는 워터마크(예컨대, 히든워터마크), DRM, 바코드, 2차원바코드, 패턴무늬, 불법복제방지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를 통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포함하는 차용증 전자문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지정된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지정된 채권자 측 매체(예컨대, 단말, IC칩, USB메모리의 보안저장영역, 휴대폰의 메모리부, USIM, SE(Secure Element), 보안저장영역 등)에 발급된 상기 채권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지정된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지정된 채무자 측 매체(예컨대, 단말, IC칩, USB메모리의 보안저장영역, 휴대폰의 메모리부, USIM, SE(Secure Element), 보안저장영역 등)에 발급된 상기 채무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에 대한 지정된 실명 인증(예컨대, 실명인증기관을 통한 채권자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예컨대, ID/PW인증, 2채널 인증, OTP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채권자 본인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상기 채무자에 대한 지정된 실명 인증(예컨대, 실명인증기관을 통한 채무자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예컨대, ID/PW인증, 2채널 인증, OTP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채무자 본인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 내지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는,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가 상기 채권자 단말(185) 내지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같은 시간대에 동기화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 단말(180) 중 일 측의 단말과 연동하여 일 측의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한 후 다른 일 측의 단말과 연동하여 다른 일 측의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비동기 형태로 처리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전자서명값을 처리하는 순서는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하든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하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된다.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되면,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첨부된 채권자 전자서명값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첨부된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첨부된 채권자 전자서명값의 유효성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하나의 파일(또는 데이터)로 패키지화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각각의 파일(또는 데이터)로 유지하되 이에 대한 메타정보(예컨대,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조합을 설명/관리하는 정보)를 생성 내지 연계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비된 서버 측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서버 측 전자서명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버 측 전자서명값을 첨부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조합에 대한 서버 측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조합(또는 차용증 전자문서)에 첨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하나의 파일(또는 데이터)로 패키지화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에 대한 서버 측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패키지에 첨부할 수 있다. 또는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메타정보의 조합에 대한 서버 측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조합(또는 차용증 전자문서)에 첨부할 수 있다.
상기 차용증 원본 생성부(120)를 통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생성되면,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는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한다.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통해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저장되면, 상기 전자문서 관리부(130)는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관리하기 위한 차용증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DB(도시생략)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문서 관리부(13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로그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문서 관리부(130)는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통해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용 메타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문서 관리부(130)는 상기 자문서 보관부를 통해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식별하는 색인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채권자 단말(185)이나 채무자 단말(180) 또는 별도의 지정단말에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색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로부터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를 통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통해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문서 관리부(130)가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관리하는 중에,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에 대한 전자공증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전자적으로 공증할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하는 공증대상 확인부(135)와,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 단말(180) 및/또는 채권자 단말(185)로 전자공증 절차를 위한 티켓을 발행하는 티켓 발행부(140)와, 상기 티켓을 발행받은 단말과 연동하여 전자공증 절차를 수행할 공증인을 확인하는 공증인 확인부(145)와, 상기 확인된 공증인 단말(190)로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을 통해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된 차용증 전자문서 중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의 조회권한을 부여하는 전자문서 제공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를 통해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통해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되는 차용증 전자문서 중에서 전자적으로 공증할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공증대상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생성/저장되는 경우,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는 본인이 이용하는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상기 채무자와 채권자 간 합의를 통해 생성/저장되는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전자공증 요청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공증대상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생성/저장되는 경우,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권자는 본인이 이용하는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통해 생성/저장되는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전자공증 요청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공증대상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를 통해 생성되는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 및/또는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통해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되는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판독하여 전자적으로 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선별하기 기준값(예컨대, 전자적으로 공증할 차용금액 기준값, 상환기간 기준값, 상환방식 기준값, 이자율 기준값, 이자지급방식 기준값, 지연손해금규정 기준값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값을 근거로 상기 생성/저장되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판독하여 전자적으로 공증해야 할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공증대상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전자문서 생성부(115)를 통해 생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전자문서 보관부(125)를 통해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되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자동으로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공증대상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공증대상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공증대상 확인부(135)를 통해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가 확인되면, 상기 티켓 발행부(14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에 대응하는 채무자 단말(180)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티켓을 발행한다. 상기 티켓 발행부(14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권자에 대응하는 채권자 단말(185)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티켓을 발행한다. 상기 티켓은 특정 프로그램(예컨대, 화상인증을 위한 프로그램, 전자공증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설치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공증 절차에 이용될 단말을 고유 식별/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공증에 이용될 단말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발행되는 고유한 식별자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티켓은 중복되지 않는 코드값 형태로 발급되며, 적어도 전자공증 절차가 완료되지 전까지(또는 그 이후에도) 상기 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안전하게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티켓 발행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티켓 발행부(140)는 특정 단말에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 최초 실행(또는 최초 화상인증 전 실행 또는 최초 전자공증 전 실행) 시 상기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한 단말로 고유 발행되며, 상기 발행된 티켓은 상기 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고유 저장된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단말을 통해 화상인증 내지 전자공증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티켓은 단말과 서버 사이에 교환되어 화상인증 내지 전자공증의 각 단계 별 유효성 검증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티켓 발급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티켓 발행부(140)는 특정 단말에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되어 화상인증 내지 전자공증 절차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예컨대, 실명인증표 촬영 등),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단말로 발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발행된 티켓은 상기 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고유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단말을 통해 화상인증 내지 전자공증 절차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티켓은 단말과 서버 사이에 교환되어 화상인증 내지 전자공증의 각 단계 별 유효성 검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화상인증 내지 전자공증 후 폐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티켓은 차용증 전자문서와 전자공증을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차용증 전자문서의 생성 내지 저장은 하루 24시간 중 언제라도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전자공증은 공증인의 업무시간에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내지 저장 후 바로 전자공증을 하려고 해도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내지 저장 후 전자공증을 할 채무자와 채권자 등에게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함으로써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내지 저장과 전자공증 사이에 발생하는 시간적 불합치를 연계시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채무자와 채권자 사이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전적으로 공증하기 위해서는 계약의 당사자인 채무자와 채권자가 공증인과 대면(예컨대, 화상인증 기반 원격 대면)해야 하지만, 시간적 내지 공간적으로 채무자와 채권자가 동시에 공증인과 대면하기란 난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채무자와 채권자 등에게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함으로써 채무자와 채권자 및 공증인 등이 동시에 상호 대면하지 않더라도(예컨대, 시간 차를 두고 대면하더라도) 그와 같이 대면한 것과 동등한 효과를 발휘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티켓이 발행된 경우,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발행된 티켓은 특정 프로그램(예컨대, 화상인증을 위한 프로그램, 전자공증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설치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공증 절차에 이용될 채무자 단말(180)을 고유 식별/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채무자를 고유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티켓이 발행된 경우,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발행된 티켓은 특정 프로그램(예컨대, 화상인증을 위한 프로그램, 전자공증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설치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공증 절차에 이용될 채권자 단말(185)을 고유 식별/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채권자를 고유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확인부(145)는 채무자 단말(180)(예컨대, 상기 티켓을 발행받은 채무자 단말(180) 등) 및/또는 채권자 단말(185)(예컨대, 상기 티켓을 발행받은 채권자 단말(185) 등)과 연동하여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 절차를 수행할 공증인을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 절차를 수행할 공증인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공증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인 확인부(145)는 채무자 단말(180)(예컨대, 상기 티켓을 발행받은 채무자 단말(180) 등)로 하나 이상의 공증인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지정된 공증인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공증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인 확인부(145)는 채권자 단말(185)(예컨대, 상기 티켓을 발행받은 채권자 단말(185) 등)로 하나 이상의 공증인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지정된 공증인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공증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인 확인부(145)는 하나 이상의 공증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증인 정보 중 공증업무 분담(또는 업무 잔량)이 적은 공증인을 찾거나 또는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 업무를 처리할 공증인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공증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증인 확인부(145)는 상기 제1 내지 재3 공증인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공증인을 확인하거나 또는 기 확인된 공증인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공증인 확인부(145)를 통해 차용증 전자문서를 전자공증할 공증인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문서 제공부(150)는 상기 생성/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상기 확인된 공증인 단말(190)로 제공하여 상기 공증인으로 하여금 상기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검토하도록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을 통해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된 차용증 전자문서 중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의 조회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공증인으로 하여금 상기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조회하여 검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공증인과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처리하여 채무자의 원격 대면 인증을 처리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공증인과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권자 간 화상인증을 처리하여 채권자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을 처리하는 화상인증 처리부(155)와, 상기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원격 대면 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고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공증인의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공증문서 처리부(160)와, 상기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과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하는 공증문서 보관부(170)를 구비하며,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동일성을 인증하는 동일성 인증부(1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내지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을 비동기식(또는 순차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공증인과 채무자 및 채권자 간 화상인증을 동기화하여 다자간 화상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처리할 채무자 단말(180)(또는 채무자 단말(180)의 접속)을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티켓 발행부(140)를 통해 티켓을 발행받은 채무자 단말(180)은 운영서버(100)에 접속하면서 상기 티켓을 제공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티켓을 인증하여 상기 채무자 단말(180)이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처리할 채무자 단말(180)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예컨대, 티켓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 등)에 따르면, 채무자 단말(180)은 운영서버(100)에 접속하여 채무자 본인 인증 후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인증 요청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티켓 발행부(140)를 통해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공증인과 화상인증하기 위한 권한을 인증하는 티켓을 발행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처리할 채무자 단말(180)(또는 채무자 단말(180)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채무자 본인의 실명인증표(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실명인증을 위해 지정된 각종 신분증 등) 촬영을 요청한다.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카메라를 통해 채무자 본인의 실명인증표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티켓을 함께 전송하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티켓을 수신하고, 상기 티켓을 인증하여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가 채무자의 실명인증표를 촬영한 이미지임을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수신된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상기 채무자의 티켓(또는 차용증 전자문서)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한다.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가 수신 보관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채무자와 화상통화를 연결하여 화상인증을 처리할 공증인이 이용하는 공증인 단말(190)을 확인하고,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통화를 요청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공증인의 조작에 따라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통화를 수락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서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통화가 수락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를 연결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면서,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표시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전자문서 제공부(150)를 통해 기 제공받은 채무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화면 상의 다른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상기 채무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면서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차용증 전자문서를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채무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표시되는 차용증 전자문서와 공증인 단말(190)에 표시되는 차용증 전자문서는 동일해야 한다.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 내용(예컨대, 화상통화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화상통화 내용은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인증정보 중의 하나로 처리될 수 있다.
공증인은 공증인 단말(190)에 표시된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화상통화 연결된 채무자의 안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채무자가 실명인증표 이미지에 표시된 안면사진의 본인인지 확인한다. 그러나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안면사진과 화상통화 화면의 채무자 안면 이미지는 육안 식별만으로 동일성을 확인하기 난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안면사진이 지나치게 과거 사진이기 때문에 현재의 안면 이미지와 상이할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실명인증표의 안면사진이 훼손된 상태이거나 또는 성형수술을 비롯한 각종 왜곡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을 극복하기 위해 공증인은 화상통화를 통해 채무자에게 각종 개인정보나 차용증 전자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음성 질의하여 채무자의 답변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공증인과 화상통화 중인 자가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채무자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서 상기 화상통화 중인 채무자 단말(180)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간 화상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상기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표시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키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서 상기 화상통화 화면을 통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결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원격 대면 인증결과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인증정보 중의 하나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채무자 단말(180)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화상인증과 원격 대면 인증에 근거하여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화상인증과 원격 대면 인증을 근거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인증문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이를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채무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무자와 공증인간 화상인증 내지 원격 대면 인증 과정에서 생성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과 채무자의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공증인 단말(190)과 연동하여 지정된 공증인 측 매체(예컨대, 단말, IC칩, USB메모리의 보안저장영역, 휴대폰의 메모리부, USIM, SE(Secure Element), 보안저장영역 등)에 발급된 상기 공증인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화상통화를 연결한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지정된 채무자 측 매체(예컨대, 단말, IC칩, USB메모리의 보안저장영역, 휴대폰의 메모리부, USIM, SE(Secure Element), 보안저장영역 등)에 발급된 상기 채무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연동하여 상기 공증인에 대한 본인 인증(예컨대, ID/PW인증, 2채널 인증, OTP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공증인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공증인에 대한 본인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상기 채무자에 대한 지정된 실명 인증(예컨대, 실명인증기관을 통한 채무자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예컨대, ID/PW인증, 2채널 인증, OTP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채무자 본인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 내지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는,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가 상기 공증인 단말(190) 내지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같은 시간대에 동기화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중 일 측의 단말과 연동하여 일 측의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한 후 다른 일 측의 단말과 연동하여 다른 일 측의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비동기 형태로 처리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전자서명값을 처리하는 순서는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하든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하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된다.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부터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한다.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공증인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한다.
상기 동일성 인증부(165)는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와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인증하며,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동일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공증인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의 전자서명과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후,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하여 채권자와 공증인 간 화상인증 내지 원격 대면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처리할 채권자 단말(185)(또는 채권자 단말(185)의 접속)을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티켓 발행부(140)를 통해 티켓을 발행받은 채권자 단말(185)은 운영서버(100)에 접속하면서 상기 티켓을 제공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티켓을 인증하여 상기 채권자 단말(185)이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처리할 채권자 단말(185)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예컨대, 티켓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 등)에 따르면, 채권자 단말(185)은 운영서버(100)에 접속하여 채권자 본인 인증 후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인증 요청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티켓 발행부(140)를 통해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공증인과 화상인증하기 위한 권한을 인증하는 티켓을 발행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공증인과 화상인증을 처리할 채권자 단말(185)(또는 채권자 단말(185)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채권자 본인의 실명인증표(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실명인증을 위해 지정된 각종 신분증 등) 촬영을 요청한다.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카메라를 통해 채권자 본인의 실명인증표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티켓을 함께 전송하며,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티켓을 수신하고, 상기 티켓을 인증하여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가 채권자의 실명인증표를 촬영한 이미지임을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수신된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상기 채권자의 티켓(또는 차용증 전자문서)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임시) 보관한다.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가 수신 보관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채권자와 화상통화를 연결하여 화상인증을 처리할 공증인이 이용하는 공증인 단말(190)을 확인하고,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통화를 요청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공증인의 조작에 따라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통화를 수락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서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통화가 수락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를 연결한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면서,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표시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전자문서 제공부(150)를 통해 기 제공받은 채권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하여 화면 상의 다른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상기 채권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면서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차용증 전자문서를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채권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표시되는 차용증 전자문서와 공증인 단말(190)에 표시되는 차용증 전자문서 및 앞서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표시된 차용증 전자문서는 동일해야 한다.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 내용(예컨대, 화상통화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화상통화 내용은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인증정보 중의 하나로 처리될 수 있다.
공증인은 공증인 단말(190)에 표시된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화상통화 연결된 채권자의 안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채권자가 실명인증표 이미지에 표시된 안면사진의 본인인지 확인한다. 그러나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안면사진과 화상통화 화면의 채권자 안면 이미지는 육안 식별만으로 동일성을 확인하기 난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안면사진이 지나치게 과거 사진이기 때문에 현재의 안면 이미지와 상이할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실명인증표의 안면사진이 훼손된 상태이거나 또는 성형수술을 비롯한 각종 왜곡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을 극복하기 위해 공증인은 화상통화를 통해 채권자에게 각종 개인정보나 차용증 전자문서에 기재된 사항을 음성 질의하여 채권자의 답변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공증인과 화상통화 중인 자가 상기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채권자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에서 상기 화상통화 중인 채권자 단말(185)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 간 화상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표시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키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서 상기 화상통화 화면을 통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화상인증 처리부(155)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결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원격 대면 인증결과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인증정보 중의 하나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채권자 단말(185)에 대한 원격 대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화상인증과 원격 대면 인증에 근거하여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화상인증과 원격 대면 인증을 근거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인증문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이를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채권자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권자와 공증인간 화상인증 내지 원격 대면 인증 과정에서 생성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또는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과 채권자의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공증인 단말(190)과 연동하여 지정된 공증인 측 매체(예컨대, 단말, IC칩, USB메모리의 보안저장영역, 휴대폰의 메모리부, USIM, SE(Secure Element), 보안저장영역 등)에 발급된 상기 공증인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화상통화를 연결한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지정된 채권자 측 매체(예컨대, 단말, IC칩, USB메모리의 보안저장영역, 휴대폰의 메모리부, USIM, SE(Secure Element), 보안저장영역 등)에 발급된 상기 채권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연동하여 상기 공증인에 대한 본인 인증(예컨대, ID/PW인증, 2채널 인증, OTP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공증인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공증인에 대한 본인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에 대한 지정된 실명 인증(예컨대, 실명인증기관을 통한 채권자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예컨대, ID/PW인증, 2채널 인증, OTP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채권자 본인 인증 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 내지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는 절차는,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가 상기 공증인 단말(190) 내지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같은 시간대에 동기화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 중 일 측의 단말과 연동하여 일 측의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한 후 다른 일 측의 단말과 연동하여 다른 일 측의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비동기 형태로 처리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전자서명값을 처리하는 순서는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하든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먼저 생성하여 첨부하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된다.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부터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한다.
상기 동일성 인증부(165)는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와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저장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의 차용증 전자문서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일성 인증부(165)는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전자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간 화상인증 내지 원격 대면 인증을 근거로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공증인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가 수신되고,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 간 화상인증 내지 원격 대면 인증을 근거로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공증인 전자서명값과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가 수신되면, 및/또는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동일성과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동일성이 인증되면,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및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각종 전자서명값과 차용증 공증문서를 조합하여 공증인의 전자서명과 채무자의 전자서명 및 채권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한다.
상기 공증문서 보관부(170)는 상기 공증문서 처리부(160)를 통해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과 연계하여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하여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증문서 보관부(170)는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과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같은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하거나 각기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하여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전자적으로 작성된 차용증을 채무자 단말(180)과 교환하여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채무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차용 거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띠라 채권자와 차용 거래 절차를 수행하며(200), 상기 채권자도 상기 제1 내지 제4 차용 거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채무자와 차용 거래 절차를 수행한다(205).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채권자는 본인이 이용하는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상기 채무자와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을 전자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채권자정보, 채무자정보, 차용정보를 입력하고(210), 상기 입력된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차용증정보 생성을 요청한다(2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 요청을 확인하고(220),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채권자정보, 채무자정보, 차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한다(2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무자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여 채무자로 하여금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동의'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230).
채무자 단말(180)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채권자가 작성한 차용증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235),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동의' 또는 '수정(또는 수정 요청)'하는지 확인한다(240). 만약 상기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동의'한다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무자의 동의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280),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동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한다(290).
한편 상기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정(또는 수정 요청)'한다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채무자가 수정한 차용증정보 또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무자의 수정 요청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245).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에 의해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를 확인하고(250),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권자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여 채권자로 하여금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에 대한 '승인'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255).
채권자 단말(185)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채무자가 수정(또는 수정 요청)한 차용증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260),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승인' 또는 '수정(또는 수정 요청)'하는지 확인한다(265). 만약 상기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승인'한다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권자의 승인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285),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한다(290).
한편 상기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정(또는 수정 요청)'한다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채권자가 수정한 차용증정보 또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권자의 수정 요청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270).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에 의해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를 확인하고(275),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무자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여 채무자로 하여금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동의'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230). 상기 과정은 상기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동의'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승인'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가 최종 합의될 때까지 반복된다. 만약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차용증정보는 전자문서화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하여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전자적으로 작성된 차용증을 채권자 단말(185)과 교환하여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채권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차용 거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띠라 채무자와 차용 거래 절차를 수행하며(300), 상기 채무자도 상기 제1 내지 제4 차용 거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채권자와 차용 거래 절차를 수행한다(305).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채무자는 본인이 이용하는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상기 채권자와의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을 전자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채권자정보, 채무자정보, 차용정보를 입력하고(310), 상기 입력된 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차용증정보 생성을 요청한다(3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차용증정보 생성 요청을 확인하고(320),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채권자정보, 채무자정보, 차용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무자와 채권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정보를 생성한다(325).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권자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여 채권자로 하여금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승인'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330).
채권자 단말(185)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335),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승인' 또는 '수정(또는 수정 요청)'하는지 확인한다(340). 만약 상기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승인'한다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권자의 승인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385),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한다(390).
한편 상기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정(또는 수정 요청)'한다면,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채권자가 수정한 차용증정보 또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권자의 수정 요청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345).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에 의해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를 확인하고(350),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무자정보를 기반으로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를 제공하여 채무자로 하여금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동의'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355).
채무자 단말(180)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채권자가 수정(또는 수정 요청)한 차용증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360),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동의' 또는 '수정(또는 수정 요청)'하는지 확인한다(365). 만약 상기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동의'한다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무자의 동의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380),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동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된 차용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에 대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한다(390).
한편 상기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수정(또는 수정 요청)'한다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채무자가 수정한 차용증정보 또는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채무자의 수정 요청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370). 이 과정에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에 의해 수정(또는 수정 요청)된 차용증정보를 확인하고(375), 상기 차용증정보에 포함된 채권자정보를 기반으로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차용증정보를 제공하여 채권자로 하여금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승인' 또는 '수정'을 요청한다(330). 상기 과정은 상기 채권자가 상기 차용증정보를 '승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무자가 상기 차용증정보에 '동의'하여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가 최종 합의될 때까지 반복된다. 만약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상기 차용증정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상기 차용증정보는 전자문서화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 또는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차용 거래를 수행한 채권자와 채무자 간 최종 합의를 기반으로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채권자 전자서명과 채무자 전자서명을 첨부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한 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하여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2 또는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차용 거래를 수행한 채권자와 채무자 간 최종 합의를 바탕으로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한다(4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채권자 전자서명과 채무자 전자서명을 첨부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경우 지정된 채무자 인증 절차 및/또는 채권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채무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405a),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기 위한 채무자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410a).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는 채권자 단말(185)과 연동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채권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405b),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기 위한 채권자 실명 인증 및/또는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410b). 본 발명은 상기 채무자를 인증하는 절차와 채권자를 인증하는 절차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최종 합의를 통해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응하는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가 최종 합의하여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서명을 요청하며(415a),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지정된 매체에 구비된 채무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무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420a), 상기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처리되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425a).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가 최종 합의하여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서명을 요청하며(415a),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지정된 매체에 구비된 채권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420b), 상기 채권자의 전자서명이 처리되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425b). 본 발명은 상기 채무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채권자의 전자서명 절차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2 또는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가 최종 합의하여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한다(430).
만약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이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저장하며(435), 상기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상기 채권자와 채무자 간 차용 거래의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으로 관리한다(44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용증 전자문서의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 발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통해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을 위해 채권자 단말(185)과 채무자 단말(180)로 전자공증을 위한 화상인증 권한을 부여하는 티켓을 발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티켓 발행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5를 참조하면,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통해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에 대응하는 채무자 단말(180)에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요청함에 의해(500a), 운영서버(100)는 전자공증을 처리할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한다(505).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 단말(180)로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하고(510a),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받아 해당 채무자 단말(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515a).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권자 단말(185)로도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하며(510b),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받아 해당 채권자 단말(18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515b).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로 티켓이 발행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로 발행된 티켓을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와 연계되도록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52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5를 참조하면,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통해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에 대응하는 채권자 단말(185)에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요청함에 의해(500b), 운영서버(100)는 전자공증을 처리할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확인한다(505).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권자 단말(185)로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하고(510b),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받아 해당 채권자 단말(18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515b).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 단말(180)로도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하며(510a),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받아 해당 채무자 단말(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515a).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로 티켓이 발행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로 발행된 티켓을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와 연계되도록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52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면5를 참조하면, 채권자와 채무자 간 합의를 통해 차용증 전자문서가 생성/보관되면, 운영서버(100)는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로 확인할 수 있다(505).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무자 단말(180)로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하고(510a),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의 채권자 단말(185)로도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하며(510b),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받아 해당 채무자 단말(18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515a),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인증 기반 전자공증을 위한 티켓을 발행받아 해당 채권자 단말(18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515b).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로 티켓이 발행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채권자 단말(185)로 발행된 티켓을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와 연계되도록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520).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채무자 단말(180)의 요청을 기반으로 전자공증을 처리하기 위한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채무자 단말(180)에서 공증인을 지정하여 전자공증을 요청하는 경우에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통화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채무자 단말(180)로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처리할 공증인 정보를 제공하며(600),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공증인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 후(605), 채무자로부터 전자공증을 처리할 공증인을 선택받는다(610). 채무자를 통해 공증인이 선택되면,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공증인 선택에 대응하는 공증인 선택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6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선택된 공증인을 확인한다(620).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연동하지 않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처리할 공증인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620),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처리할 공증인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공증인에 대응하는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함으로써(625), 상기 공증인으로 하여금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검토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공증대상 차용증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30).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발행된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한 화상인증 권한의 인증을 요청하며(63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발행된 티켓을 근거로 상기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인증 권한을 인증한다(640). 만약 상기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인증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상기 채무자 본인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요청하며(645),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통화 연결 전에 채무자 본인의 실명인증표를 촬영하여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생성한 후(650), 상기 생성된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발행된 티켓과 함께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65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티켓을 수신하고, 상기 티켓의 유효성을 인증한다(660). 만약 상기 티켓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화상인증을 위한 채무자와 공증인 간 화상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임시) 저장하여 관리한다(66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하며(670),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공증인 단말(190)과 화상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한다(675a). 만약 공증인 단말(190)에서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통화 연결을 수락한 경우(675b),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며(680b), 이에 반응하여 상기 채무자 단말(180)도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화상통화를 연결한다(680a).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간 화상통화 연결을 확인하고(685),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간 화상통화를 기반으로 전자공증을 위한 화상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위한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한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공증인 단말(190)과 채무자 단말(180) 간 화상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하며(700),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채무자 단말(180)과의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한다(70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 가능하며(710),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71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안면사진과 화상통화의 채무자 안면을 비교 인증한 결과를 요청하며(720),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채무자와의 화상통화에 근거하 채무자 안면 인증결과를 입력받고(725), 상기 입력된 채무자 안면 인증결과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73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부터 상기 채무자의 안면 인증결과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채무자의 안면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735). 만약 상기 채무자의 안면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화상인증 오류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790),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하고(795a),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795b).
한편 상기 채무자 안면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여(740), 화상통화 중인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통화 화면으로 상기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하며(745),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여 화상통화 화면 상에 출력한다(750).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화상통화 화면을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를 입력받아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고(75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상기 화상통화 화면을 통해 입력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760), 상기 채무자 단말(18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확인한다(765).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화상인증 오류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790),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하고(795a),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795b).
한편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공증인 단말(190)로 화상통화 중 채무자 단말(180)로 제공하여 입력받은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결과를 제공하며(770),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무자 단말(180)의 화상통화 중 채무자 단말(180)을 통해 입력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775).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원격 대면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의 생성을 요청하며(78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을 통해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를 확인한다(785).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하는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 및/또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위한 채무자 측 공증문서 생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공증인의 전자서명과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공증문서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전자서명할 차용증 공증문서를 확인하고(800), 채무자 단말(180)과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의 전자서명을 요청한다(805). 상기 채무자 단말(180)은 지정된 매체에 구비된 채무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무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810a), 상기 채무자의 전자서명이 처리되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815a). 또한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지정된 매체에 구비된 공증인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의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810b),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이 처리되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815b). 본 발명은 상기 채무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공증인의 전자서명 절차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무자의 전자서명값과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확인하고(820),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동일성을 인증한다(825). 만약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동일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와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임시) 저장하여 관리한다(830).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처리하기 위한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전자공증을 처리하기 위한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통화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발행된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한 화상인증 권한의 인증을 요청하며(90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발행된 티켓을 근거로 상기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인증 권한을 인증한다(905). 만약 상기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인증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상기 채권자 본인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요청하며(910),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통화 연결 전에 채권자 본인의 실명인증표를 촬영하여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생성한 후(910), 상기 생성된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발행된 티켓과 함께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9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티켓을 수신하고, 상기 티켓의 유효성을 인증한다(925). 만약 상기 티켓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를 화상인증을 위한 채권자와 공증인 간 화상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임시) 저장하여 관리한다(93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하며(935),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공증인 단말(190)과 화상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한다(940a). 만약 공증인 단말(190)에서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통화 연결을 수락한 경우(940b),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화상통화를 연결하며(945b), 이에 반응하여 상기 채권자 단말(185)도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화상통화를 연결한다(945a).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 간 화상통화 연결을 확인하고(950), 상기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 간 화상통화를 기반으로 전자공증을 위한 화상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자공증을 위한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차용증 전자문서의 전자공증을 위한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공증인 단말(190)과 채권자 단말(185) 간 화상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하며(1000),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와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의 화상통화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한다(100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 가능하며(1010),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101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의 실명인증표 이미지의 안면사진과 화상통화의 채권자 안면을 비교 인증한 결과를 요청하며(1020),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채권자와의 화상통화에 근거하 채권자 안면 인증결과를 입력받고(1025), 상기 입력된 채권자 안면 인증결과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103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부터 상기 채권자의 안면 인증결과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상기 채권자의 안면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1035). 만약 상기 채권자의 안면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화상인증 오류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090),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하고(1095a),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095b).
한편 상기 채권자 안면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여(1040), 화상통화 중인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통화 화면으로 상기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하며(1045),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여 화상통화 화면 상에 출력한다(1050).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화상통화 화면을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를 입력받아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고(105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상기 화상통화 화면을 통해 입력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1060), 상기 채권자 단말(185)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확인한다(1065).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화상인증 오류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090),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하고(1095a),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화상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095b).
한편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공증인 단말(190)로 화상통화 중 채권자 단말(185)로 제공하여 입력받은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결과를 제공하며(1070), 상기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채권자 단말(185)의 화상통화 중 채권자 단말(185)을 통해 입력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075).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상기 화상인증에 근거하는 원격 대면 인증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의 생성을 요청하며(108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증인 단말(190)을 통해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를 확인한다(1085).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하는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 및/또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공증인의 전자서명과 채권자의 전자서명이 첨부된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생성하고,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와 조합하여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여 전자문서보관소(175)에 보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생성/보관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전자서명할 차용증 공증문서를 확인하고(1100),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의 전자서명을 요청한다(1105). 상기 채권자 단말(185)은 지정된 매체에 구비된 채권자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110a), 상기 채권자의 전자서명이 처리되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1115a). 또한 상기 공증인 단말(190)은 지정된 매체에 구비된 공증인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의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110b),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이 처리되면,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1115b). 본 발명은 상기 채권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공증인의 전자서명 절차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값과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확인하고(1120),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동일성을 인증한다(1125).
만약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동일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 채무자 전자서명값,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확인하고, 상기 채권자 단말(185)과 공증인 단말(190) 간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조합하여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첨부하여 실시 방법에 따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또는 채권자 전자서명값을 첨부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한다(1135). 만약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이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175)에 상기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저장하여 관리한다(1140).
100 : 운영서버 105 : 차용증정보 생성부
110 : 차용증정보 교환부 115 : 전자문서 생성부
120 : 차용증 원본 생성부 125 : 전자문서 보관부
130 : 전자문서 관리부 135 : 공증대상 확인부
140 : 티켓 발행부 145 : 공증인 확인부
150 : 전자문서 제공부 155 : 화상인증 처리부
160 : 공증문서 처리부 165 : 동일성 인증부
170 : 공증문서 보관부 175 : 전자문서보관소
180 : 채무자 단말 185 : 채권자 단말
190 : 공증인 단말

Claims (18)

  1. 채무자와 채권자 간 전자 차용증을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채권자 단말과 채무자 단말 사이에 교환된 차용증정보를 근거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최종 합의된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채권자의 전자서명 절차와 채무자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생성된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지정된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채무자 단말을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공증 신청 시, 상기 채무자 단말에서 지정한 공증인 단말로 전자공증할 차용증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여 생성된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상기 공증인의 전자서명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공증인의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과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용증정보는,
    상기 채권자 단말과 연동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채무자 단말과 연동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을 패키지화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서버 측 인증서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패키지에 대한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조합에 대한 메타정보를 생성하고 연계하여 차용증 전자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서버 측 인증서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 및 채무자 전자서명값의 조합에 대한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서버 측 인증서를 통해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와 채권자 전자서명값과 채무자 전자서명값 및 메타정보의 조합에 대한 전자서명값을 생성하여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용증 공증문서는,
    하나 이상의 화상인증 과정에서 상기 공증인 단말을 통해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시,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공증인 단말과 채무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상기 공증인 단말을 통해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시,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공증인 단말과 채권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대한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수신하거나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첨부된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차용증 전자문서를 공증한 공증인의 인증문 전자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는,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 과정에서 상기 공증인 단말을 통해 획득된 화상인증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조합하여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에 포함된 차용증 전자문서의 동일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성 인증 시, 상기 채무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와 상기 채권자 측 차용증 공증문서를 조합하여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공증인과 채무자 간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생성된 공증인 전자서명값과 상기 공증인과 채권자 간 화상인증을 기반으로 생성된 공증인 전자서명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공증인 전자서명값을 상기 차용증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차용증 공증문서에 첨부한 차용증 공증문서 원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KR1020160018529A 2016-02-17 2016-02-17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KR20170096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529A KR20170096808A (ko) 2016-02-17 2016-02-17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529A KR20170096808A (ko) 2016-02-17 2016-02-17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808A true KR20170096808A (ko) 2017-08-25

Family

ID=5976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529A KR20170096808A (ko) 2016-02-17 2016-02-17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68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149A1 (ko) 2017-07-31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US20220100905A1 (en) * 2020-09-30 2022-03-31 Liveoak Technologies, Inc. Platform for providing remote online notarization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149A1 (ko) 2017-07-31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US20220100905A1 (en) * 2020-09-30 2022-03-31 Liveoak Technologies, Inc. Platform for providing remote online notarization service
US11687676B2 (en) * 2020-09-30 2023-06-27 Liveoak Technologies, Inc. Platform for providing remote online notarization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0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ransmission, storage, and retrieval of authenticated electronic original documents
US5974148A (en) Method for securing information relevant to a transaction
CN112037068B (zh) 资源转移方法、系统、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10208600A1 (en) Point of Sal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7624441B2 (en) CA in a card
EP3631717A1 (en) System of hardware and software to prevent disclosure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JPWO2004066177A1 (ja) 指紋センサ付き携帯型電子機器を用いたカード決済方法
US20170316479A1 (en)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linking a randomly generated number to the user and a physical item
CN110969531A (zh) 借款存证、在线查证方法及其系统
KR20210058608A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이력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08428135A (zh) 身份验证方法
CA2669789C (en) Verification of a transactor's identity
US20090144200A1 (en) Medical care record management system, medical care record management program, and medical care record management method
JP2005222268A (ja) 電子融資契約システム及び電子融資契約方法
CN110766403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装置、方法及存储介质
WO2017105297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ecurity documents and bank cheque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s
KR20170096808A (ko) 채무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US74347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tdating of financial transactions
KR20210017964A (ko) 블록체인 기반의 p2p 대출 서비스 자율보증증명 방법 및 장치
CN113628042B (zh) 基于区块链和联邦学习的银行保函优化方法、装置及设备
KR20170096816A (ko) 채권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CN114820240A (zh) 一种便捷安全的不动产智能交易方法
KR20170096829A (ko) 주계약자 화상인증을 이용한 계약서 전자공증 방법
KR20170096804A (ko)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KR20170096823A (ko) 다자간 화상인증을 이용한 차용증 전자공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