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862A -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862A
KR20170093862A KR1020177017579A KR20177017579A KR20170093862A KR 20170093862 A KR20170093862 A KR 20170093862A KR 1020177017579 A KR1020177017579 A KR 1020177017579A KR 20177017579 A KR20177017579 A KR 20177017579A KR 20170093862 A KR20170093862 A KR 20170093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panels
node
sele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블레어
죠셉 존 케니
Original Assignee
지이 인텔리전트 플랫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인텔리전트 플랫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이 인텔리전트 플랫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09Configuration of display device, operator pan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36Display all subsystems, select one and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sub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입력부와 출력부를 가진 인터페이스 및 이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관련 접근법이 제공된다. 상기 출력부는 제1 패널을 디스플레이의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패널은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뿐만 아니라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다. 산업 제어 시스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는 추가의 패널들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추가의 패널들도 또한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HIERARCHICAL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목적 조직 및 데이터 치리 환경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장치에서 임의 수의 폴더 및 서브폴더를 포함한 트리 구조의 사용을 포함한, 계층적 관계를 가진 데이터의 시각화에서 다양한 접근법이 사용되어왔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트리 구조는 운용 데이터 구조로 유도될 수 있는 임의 수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에 불과하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서, 이러한 계층은 전통적으로 현재 계층 레벨을 나타내는 단일 구획(pane)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계층 구조는 복수의 서브레벨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현재 운용 레벨을 신속히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계층에서 빠져나오는 것은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특히 한번에 하나의 계층 레벨만이 보여지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에서, 계층의 현재 운용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한 때문에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전형적인 구조는 필요할 때에만 서브레벨 또는 "자식"(children)을 로드한다. 이것은 많은 브랜치 또는 노드를 가진 계층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브랜치 자신이 많은 서브레벨을 가질 때 시각적 난제(visual challenge) 등을 생성한다. 게다가, 큰 계층 구조는 가끔 상당한 양의 컴퓨터 메모리를 소비하고, 따라서 구조를 내비게이트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통신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전의 접근법은 이전 노드의 시각화를 유지하면서 큰 결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법을 결정하려고 시도할 때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계층은 가끔 사용자가 복수의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운용 데이터 구조에 링크된다. 이러한 태스크를 수행할 때, 태스크의 요소들에 액세스하고 요소들을 수정하는 능력을 유지하면서 계층 구조 내에 포함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계층에 대한 전술한 제한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들은 그러한 정보 검색을 허용하지 않는다.
현재의 기술적 환경에서, 사용자는 인식 가능한 의미를 가진 데이터를 신속히 요구한다. 계층이 임의 수의 트리 또는 다른 요소들을 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계층의 개별적인 층들을 신속히 명확하게 보는 것이 가끔 어렵다.
전술한 문제점들은 종래의 접근법에서 일부 사용자 불만족을 야기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접근법들은 예컨대 데스크톱 및 모바일 환경과 같은 각종 컴퓨팅 환경에서 고전적 계층 시각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를 보고 조직화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접근법들은 본래 계층 구조인 임의의 데이터 구조(예로서 두가지만 언급하면 자산 모델과 즐겨찾기)에 적용될 수 있고, 수천 가지의 요소를 조직하고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원하는 계층 레벨에서 맥락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내비게이션은 사용자를 잠재적으로 큰 계층 내의 임계 정보로 안내한다. 내비게이션 내의 임계 데이터 포인트는 각각의 노드 레벨에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접근법은 데이터의 경로 및 시스템을 통한 작업 흐름을 합리화하고 콘텍스트를 변경하거나 시스템의 다른 곳을 내비게이트할 필요 없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접근법에서, 사용자는 제공된 콘텐츠(예를 들면, 경보 심각도 또는 경보의 수)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계층을 재배열하고 내비게이션의 콘텍스트 민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도, 기존의 전통적인 계층적 시각화와 여기에서 설명하는 접근법 간의 유사성 때문에, 전통적인 계층적 시각화를 경험한 사용자는 상당한 훈련을 요구하지 않고 신속히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접근법에서,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출력부는 디스플레이의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1 패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널은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다.
입력부가 선택 가능한 노드들 중의 하나 이상의 선택을 수신한 때, 프로세서는 서버에 액세스하고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패널은 하나 이상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특정 개수의 패널을 수용하고 디스플레이의 작업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무관하게 패널들 간의 내비게이션을 허용하도록,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패널 및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출력부를 통해 가변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많은 이러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노드 및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임의 수의 추가 패널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의 최대 개수에 대응하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를 제공된 패널의 수와 비교하며, 그 다음에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최대 개수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 있어서,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는 제어 시스템 경보 상태 데이터 및 제어 시스템 운용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드의 식별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산업 제어 시스템 및 노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노드의 식별에 관한 정보와 산업 제어 시스템 및 노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의 입력부에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계층적 내비게이션을 위한 접근법이 제공된다. 제1 패널이 디스플레이의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된다. 제1 패널은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갖는다. 다음에, 디스플레이의 제1 패널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노드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이 제공된다. 그 다음에, 복수의 패널을 수용하도록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가 액세스되고, 데이터 서버는 산업 제어 시스템 및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접근법은 제1 패널 및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가변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들 중의 하나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고, 가변 패널 입력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패널은 하나 이상의 제3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 있어서, 제1 패널,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 및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이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추가의 패널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많은 이러한 접근법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에 대응하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결정된 크기가 제공된 패널들의 수와 비교되고,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최대 개수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공된 패널들의 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보다 더 클 때, 방법은 추가의 패널들이 숨겨져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고 표시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어느 패널이 현재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의 표시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때, 여기에서 설명하는 접근법은 상이한 크기 및 구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및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계층 구조 내에서 현재 위치를 신속히 식별할 수 있고, 또한 레벨들 사이를 자유롭게 내비게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레벨의 요소들에 관한 맥락 정보에 또한 액세스할 수 있고 작업부에 내포된 콘텐츠를 보유하면서 계층 구조를 내비게이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접근법은 페이징의 응용이 계층 구조와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주어진 시간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킨다. 페이징을 통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에서 제공되도록 정보를 신속히 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른 도 1의 예시적인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를 보인 디스플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예시적인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를 보인 디스플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를 보인 디스플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를 보인 디스플레이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형태에 따른 계층적 내비게이션을 위한 접근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당업자라면 도면 내의 요소들이 간편성 및 명확성을 갖도록 예시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소정의 동작 및/또는 단계들이 특정의 발생 순서로 설명 및 도시되지만, 당업자라면 순서와 관련된 그러한 한정성은 실제로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표현은 특수한 의미가 여기에서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그들의 대응하는 각각의 조사 및 연구 영역과 관련된 그러한 용어 및 표현과 일치하는 통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복수의 상이한 장치들에 걸쳐 계층적 데이터 구조를 효율적으로 시각화하는 접근법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이 접근법은 복수의 상이한 구성을 가진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계층 구조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계층 구조는 디스플레이의 작업부가 그 안에 내포된 콘텐츠를 유지하는 동안 또한 내비게이트될 수 있다. 계층 구조는 현재 보이는 패널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고 다른 패널들의 디스플레이를 허용하도록 내비게이트할 수 있다. 계층 구조는 또한 식별 정보 외에 맥락 정보(예를 들면, 폴더명, 제목 또는 다른 공통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맥락 정보는 사용자가 계층 구조를 내비게이트하고 디스플레이의 현재 작업부를 빠져나가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계층적 내비게이션 시스템(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115)의 일 예를 설명한다. 계층적 내비게이션 시스템(100)은 입력부(104) 및 출력부(106)를 구비한 인터페이스(102)와, 프로세서(108)와, 사용자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02)는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제어 시스템 또는 서버와 같은 컴퓨팅 장치로부터 신호 또는 통신을 입력부(104)에서 수신하고 발생된 통신을 출력부(106)에서 역시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는 사용자 디스플레이(1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 프로그램 및/또는 하드웨어이다. 인터페이스(102)의 기능은 프로세서(108)가 사용자 시스템 및 컴퓨팅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부 예에서 입력부(104)에 결합된 컴퓨팅 장치는 인터페이스(102)와 통신하는 별도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계층 구조와 관련된 입력을 처리하고 계층 구조를 내비게이트하며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계층 구조에 관한 통신을 발생,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송하도록 선택적으로 선정된 하드웨어 장치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 조합이다. 프로세서(108)는 계층 구조의 소정 부분을 선택 및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종 컴포넌트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는 범용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프로세서(108)는 독립형 컴포넌트일 수 있고, 또는 인터페이스(102)에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디스플레이(115)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 계층적으로 배열된(즉, 구조의 최상위 레벨이 디스플레이(115)의 일측에 제공됨) 임의 수의 패널(120, 130, 140),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 작업부(150), 내비게이션부(160) 및 임의 수의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널(120, 130, 140)은 계층 구조의 다른 레벨에 대응하는 임의 수의 노드 또는 브랜치(122, 124, 1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패널(120)의 노드(122, 124, 126)는 제1 패널(120) 내의 서브레벨에 대응한다. 제2 패널(130)은 제1 패널(120)에서 선택된 노드(122, 124, 126)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추가의 패널(140)은 선행 패널에서 선택된 노드에 대응한다.
만일 사용자가 원하면, 임의 수의 노드(122, 124, 126)는 각 노드에 첨부된 맥락 표시자(123, 125, 127)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상기 맥락 표시자(123, 125, 127)는 노드와 관련되고, 그 노드에 관한 정보의 신속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패널 자체는 디스플레이된 패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패널에 첨부된 맥락 데이터를 또한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맥락 표시자(123, 125, 127)은 노드, 계층 레벨, 패널 또는 제어 시스템의 임의 양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맥락 표시자(123, 125, 127)는 경보의 존재, 현재 경보 조건의 수, 압력 및 온도와 같은 현재 동작 파라미터, 또는 장치가 전원 온, 즉 사용중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들도 예상되고 시각화되는 시스템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와 작업부(150) 둘 다를 크기 조정(resize)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될 수 있다.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작업부(150)는 사용자가 태스크를 수행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또는 원하는 기능을 완료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부(150)는 그래픽 표시 또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명령(command)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작업부(150)의 콘텐츠는 계층 구조의 초기 선택에 의존한다.
내비게이션부(160)는 사용자가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 내의 패널들 사이에서 내비게이트할 수 있게 한다.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는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패널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내비게이션부의 추가적인 세부는 후술한다.
동작시에, 계층 구조에서 시작점 또는 초기 레벨을 선택한 때, 출력부(106)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제1 패널(12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널(120)은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122, 124, 126)를 갖고 맥락 표시자(123, 125, 127)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초기 선택 레벨은 제어 시스템의 기업 층(enterprise layer)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예컨대 제1 패널(120)에서 특정 노드(122, 124, 126)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부(104)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서버(도시 생략됨)에 액세스하고 이전에 선택된 노드(122, 124, 126)와 연관된 패널(130)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이 패널은 제어 시스템의 이전에 선택된 기업 층의 특정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설명한 것처럼, 이 패널(130)은 임의 수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정보, 및/또는 패널(1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전에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제1 패널(120) 및 제2 패널(130)을 출력부(106)를 통해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또한 원할 때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를 선택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임의 수의 패널(120, 130, 140)을 수용하도록 출력부(106)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패널(120, 130, 140)에서 제공된 선택에 기초해서, 콘텐츠가 작업 평면에서 제공된다. 일 예로서, 패널(120, 130, 140)에서 임의 수의 노드를 선택한 때, 작업 평면은 제어 시스템의 동작 중에 사용되는 차트,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작업부(150)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무관하게 패널(120, 130, 140)들 사이에서 내비게이션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계층 구조를 더욱 내비게이트하기 위해 패널에 내포된 임의 수의 추가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이들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의 패널에서 상기 선택된 노드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복수의 레벨을 가진 계층 구조에서, 복수의 패널이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의 크기가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115)의 물리적 크기뿐만 아니라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제한된 수의 패널(120, 130, 140)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추가 패널 열기(opening)를 야기하는 추가 노드가 선택된 때, 프로세서(108)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크기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8)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의 크기가 주어진 시간에 디스플레이되는 최대 3개의 패널만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8)는 또한 상기 결정된 크기를 제공 패널의 수와 비교하고 디스플레이 가능한 최대 개수의 패널을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08)는 노드가 선택된 때마다 최대 개수의 패널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장한다. 프로세서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치수에 대하여 이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이용 가능한 화면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계층 구조의 임의 레벨에서 맥락 표시자(123, 125, 127)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표시자들은 노드 제목 및/또는 설명 명칭 외에 계층 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표시자는 계층 구조에 의해 표시되는 요소들의 동작 조건에 관계될 수 있다. 맥락 표시자(123, 125, 127)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맥락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그들의 개별 방위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맥락 표시자는 주어진 시간 프레임 내에서 컴포넌트 또는 요소가 경험한 경보 조건의 수를 표시하는 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맥락 표시자(123, 125, 127)는 또한 특정 이벤트의 심각성 또는 비율을 표시하도록 부호화 또는 형상화된 색일 수 있다. 맥락 표시자는 계층 구조의 임의 수의 다른 양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부 예에서, 및 특히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다른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 맥락 정보 또는 표시자를 수신하기 위해 노드 위에서 호버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작업부(150)에서 임의 수의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고 구조 내의 상위 레벨 요소에 대한 맥락 정보, 즉 내부의 현재 위치로부터 제거된 몇 개의 단계를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작업부(150)를 빠져나가지 않고, 사용자는 계층 구조의 이 지점까지 패널을 내비게이트하고, 패널에 내포된 맥락 정보를 보고 필요에 따라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 있어서, 계층적 내비게이션 시스템(100)은 서버(도시 생략됨)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서버는 노드의 식별에 관한 정보 및 산업 제어 시스템 및 노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는 또한 노드의 식별, 산업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및 노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패널(120, 130, 1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의 입력부(104)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는 식별 및 맥락 정보뿐만 아니라, 계층 구조 내의 노드들의 관계를 상세화하는 관계 정보를 내포한 임의 수의 데이터 요소를 내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요소는 노드의 제목 또는 명칭, 노드에 관한 맥락 정보, 및 계층 구조에서 데이터 요소의 위치를 설명하는 부모 및/또는 자식 정보를 내포할 수 있다. 노드에 관한 맥락 정보는 임의의 빈도로 외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데이터 요소에 내포된 나머지 정보로부터 독립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노드에 액세스한 때, 프로세서(108)는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데이터 요소에 액세스하고 그 데이터 요소에 내포된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디스플레이(115)의 추가 특징을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내비게이션부(160)는 임의 수의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를 포함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는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를 이용함으로써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패널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도 3은 제1 패널(120) 및 제2 패널(1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크기 정해진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를 나타내고,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는 음영, 크로스 해칭, 하이라이팅, 또는 변화를 표시하는 임의의 다른 대안예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패널들을 일괄(bracket)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계층 구조의 다른 층을 표시하는 패널, 예를 들면 패널(130, 140)을 보기 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비게이션부(160)에서 원하는 패널을 선택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는 다른 패널들이 선택되었고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볼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 리사이저(148)를 이용함으로써 3개의 패널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를 크기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표시자(162)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116)에서 볼 수 있는 3개의 가시 패널을 표시한다. 내비게이션부(160)는 내비게이션 표시자(162)에 의해 표시되는 다른 패널들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화살표 등과 같은 추가의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게다가, 소정의 환경에서,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표시자(162) 위에서 자신의 마우스 또는 셀렉터를 호버링하여 계층 구조 내의 총 패널들의 수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5)의 임의의 요소도 사용자에 의해 크기 조정 및/또는 최소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임의 수의 패널(120, 130, 140)이 페이징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페이징"에 의해 및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네트워크 관점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가 신속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아이템의 큰 리스트 또는 실질적인 리스트를 취하고 이들을 분할하는 접근법을 의미한다. 페이징을 디스플레이(115)에 통합함으로써, 임의 수의 패널(120, 130, 140)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일부만을 전송할 것이고, 이것은 데이터 전달 비용을 낮추고 이 데이터 전달에 기인하는 지연을 감소할 수 있다. 페이징의 일 예는 무한 스크롤링이고, 이로써, 제공된 정보는 현재 제공된 페이지의 끝까지 스크롤링할 때 후속의 분할된 정보를 자동으로 페이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계층적 내비게이션을 위한 접근법이 제공된다. 먼저, 단계 602에서, 제1 패널이 디스플레이의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된다. 제1 패널은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갖는다. 다음에 단계 604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노드 중의 하나가 디스플레이의 제1 패널에서 선택된다. 그 다음에 단계 606에서,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이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된다. 단계 608에서, 복수의 패널을 수용하도록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된다. 일부 예에서, 이 접근법은 산업 제어 시스템 및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서버에 또한 액세스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 있어서, 이 접근법은 제1 패널 및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가변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방법은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가변 패널 입력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 패널은 하나 이상의 제3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이 접근법은 제1 패널,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 및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추가의 패널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많은 이러한 예에서, 이 접근법은 또한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에 대응하는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를 제공된 패널들의 수와 비교하고,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최대 개수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공된 패널들의 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보다 더 클 때, 방법은 추가의 패널들이 숨겨져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고 표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어느 패널이 현재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지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이 접근법은 제1 패널과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또한 페이징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서버는 제1 패널 및/또는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액세스된다. 그래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가 신속히 및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정보가 분할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각종 양태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변형예도 또한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서 특수성을 갖고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당업자에게 명백하고 본 출원의 교시와 익숙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들의 그러한 수정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6)

  1.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가진 제1 패널을 디스플레이의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패널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중의 하나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되고, 하나 이상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 패널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는 복수의 패널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패널들 간의 내비게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작업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무관한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 중의 하나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되고, 하나 이상의 제3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선택된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 패널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상기 선택된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패널, 및 상기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선택 가능한 노드들과 연관된 추가적인 패널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크기를 제공된 패널들의 개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개수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패널들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보다 더 큰 경우, 추가적인 패널들이 숨겨져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패널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 및 상기 선택 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페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추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 서버가 액세스되는 것인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진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를 가진 제1 패널을 디스플레이의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선택 가능한 노드 중의 하나 이상의 선택을 수신한 때,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에 액세스하고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되고 하나 이상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 패널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특정 개수의 패널을 수용하게끔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작업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무관하게 패널들 간의 내비게이션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패널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노드 및 상기 선택된 노드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추가 패널을 더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의 최대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결정된 크기를 제공된 패널들의 개수와 비교하고 상기 최대 개수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패널들을 상기 가변 패널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과 연관된 정보는 제어 시스템 경보 상태 데이터와 제어 시스템 운용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의 식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의 선택 가능한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의 선택 가능한 노드의 식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산업 제어 시스템과 상기 노드들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의 상기 입력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7017579A 2014-12-03 2014-12-03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70093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68315 WO2016089386A1 (en) 2014-12-03 2014-12-03 Hierarchical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862A true KR20170093862A (ko) 2017-08-16

Family

ID=5609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579A KR20170093862A (ko) 2014-12-03 2014-12-03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357664A1 (ko)
EP (1) EP3227767B1 (ko)
JP (1) JP2018505461A (ko)
KR (1) KR20170093862A (ko)
CN (1) CN107003794A (ko)
WO (1) WO2016089386A1 (ko)
ZA (1) ZA201704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82465A1 (en) * 2018-09-11 2020-03-12 Yi Li Method and system to generate a multi-panel ui based on hierarchy data corresponding to digital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6400B1 (en) * 1998-04-02 2001-05-22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hierarchical information
US6850255B2 (en) * 2002-02-28 2005-02-01 James Edward Muschetto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information, computer programs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8302019B2 (en) * 2002-11-05 2012-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process flows
US7917232B2 (en) * 2005-08-22 2011-03-29 Trane International Inc. Building automation system data management
US8321790B2 (en) * 2006-04-11 2012-11-27 Invensys Systems, Inc. System management user interface providing user access to status information for process control system equipment including a search function
US20070260982A1 (en) * 2006-04-11 2007-11-08 Invensys Systems, Inc. Runtime human-machine interface for process control having enhanced graphical views of detailed control information
US20080141166A1 (en) * 2006-12-11 2008-06-12 Cisco Technology, Inc. Using images in alternative navigation
US8547347B2 (en) * 2008-09-26 2013-10-01 Htc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multiple windows frames, electronic device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method
US9256219B2 (en) * 2009-08-11 2016-02-0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ystem configuration using templates
US8825183B2 (en) * 2010-03-22 2014-09-0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s for a data driven interface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control tags
US20110291964A1 (en) * 2010-06-01 2011-12-01 Kn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of a Dual Panel Electronic Device
DE112014001427T5 (de) * 2013-03-15 2016-03-0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Emerson Process Management Navigieren in einer grafischen Darstellung einer Prozesssteuerungsanlage
US10013149B2 (en) * 2013-03-15 2018-07-0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for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514668B2 (en) * 2013-03-15 2019-12-24 Fisher-Rosemount Systems, Inc. Graphical process variable trend monitoring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ing a navigation pane
CN104063134B (zh) * 2014-07-03 2018-01-0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Android Launcher桌面管理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7767A4 (en) 2018-07-04
CN107003794A (zh) 2017-08-01
EP3227767B1 (en) 2020-06-17
EP3227767A1 (en) 2017-10-11
WO2016089386A1 (en) 2016-06-09
ZA201704118B (en) 2019-09-25
US20170357664A1 (en) 2017-12-14
JP2018505461A (ja)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21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0261659B2 (en) Orbit visualization for displaying hierarchical data
US8600967B2 (en) Automatic organization of browsing histories
US8418070B2 (en) Developing user interface element settings
US9396241B2 (en) User interface controls for specifying data hierarchies
EP2564325B1 (en) Temporary formatting and charting of selected data
US8930851B2 (en) Visually representing a menu structure
US9959358B2 (en) Navigation tool for device user interface
US20150262396A1 (en) Automatic data sharing between multiple graph elements
WO2012116287A1 (en) Methods for electronic document searching and graphically representing electronic document searches
US10860675B2 (en) Informational tabs
EP12040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cenarios in spreadsheet documents
US10523523B2 (en) Infographic search
KR20170093862A (ko) 계층적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US20160267151A1 (en) Tile-based graphical exploration of collections of objects
US20170075869A1 (en) Recency Sensitive User Interface
JP4221007B2 (ja) データ表示処理システム
KR101737070B1 (ko)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018325A1 (en) Business intelligence systems and methods
JP2012027602A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