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216A -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216A
KR20170084216A KR1020177015904A KR20177015904A KR20170084216A KR 20170084216 A KR20170084216 A KR 20170084216A KR 1020177015904 A KR1020177015904 A KR 1020177015904A KR 20177015904 A KR20177015904 A KR 20177015904A KR 20170084216 A KR20170084216 A KR 20170084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pplication
display
display content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355B1 (ko
Inventor
쿤지에 장
차오군 진
웬슈오 저우
샤오난 펭
광웬 종
칸 리
리핑 저우
쳉 구오
웨이 수
샤오 송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6Availability of hardware or computational resources, e.g. encoding based on power-saving criter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21Dynamic linking or loading; Link editing at or after load time, e.g. Java class loading
    • G06F9/44526Plug-ins; Add-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방법은,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표시하는 단계(S100);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는 단계(S110);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본 방법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 플로팅 영역 내에 동적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로딩하고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ON SAME SCREEN, AND TERMINAL DEVICE}
본 출원은 중국특허출원 제201510259367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2015년 5월 20일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가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콘텐츠 표시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드로이드 및 IOS와 같은 지능형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보급과 함께,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단말 장치에 로딩된다. 그러나 현재 상기한 지능형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반의 대부분의 단말 장치는 동일한 인터페이스 상에서 다중-윈도 태스크(multi-window task)를 지원하지 않고, 이 지능형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반의 단말 장치는 PC와 같이 동일 스크린 상에 다중 콘텐츠를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지능형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반의 단말 장치에서 동일 스크린 상에 다중 콘텐츠 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 현재 연구의 중점이 되고 있다.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현재의 방법은 플로팅 윈도 기술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에 관계되지 않은 플로팅 윈도가 단말 장치에 의해 현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고, 일부 기능이 그 플로팅 윈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서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그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한다. 플로팅 윈도 기술을 이용하면,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에 관계되지 않는 플로팅 윈도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플로팅 윈도를 통해 일부 기능을 달성하게 된다.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현재의 방법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플로팅 윈도가 메모리 비우기 명령과 같은 일부 장치 관리 명령을 결속시키는 것에 의해 단말 장치에 대한 메모리 비우기(cleaning memory) 및 휴지통 비우기(cleaning garbage)와 같은 장치 관리 기능을 주로 달성하고, 플로팅 윈도는 동적 콘텐츠를 표시할 수는 없다. 예컨대, 단말 장치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플로팅 윈도는 현재의 플로팅 윈도 기술에 의하면 게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고, 플로팅 윈도는 메모리 비우기 명령과 같은 장치 관리 명령에 결속될 뿐이다. 단말 장치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플로팅 윈도를 통해 메모리 비우기와 같은 오브젝트를 달성할 수 있을 뿐이고, 동적 콘텐츠는 그 플로팅 윈도를 통해 표시될 수 없다. 예컨대, 단말 장치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비디오를 시청하는 오브젝트는 게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플로팅 윈도를 통해서는 달성될 수 없다.
이상을 고려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 스크린 상에 동적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기술적 해결수단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로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동일한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가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로서 표시하도록 구성된 플로팅 영역 표시 모듈;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로더 설정 모듈;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도록 구성된 표시 콘텐츠 로딩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또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해결 수단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로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때,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구축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의 플로팅 영역에 동적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콘텐츠가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통해 플로팅 영역에 로딩되어 표시되므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와, 플로팅 영역에 표시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 사이에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적 콘텐츠가 플로팅 영역에 안정적으로 로딩되고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보다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종래 기술 또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여기서 간단히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여기 기술된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에 불과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창작 노력 없이도 본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유추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서 플로팅 영역을 통해 동일 스크린 상에서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영역에 픽처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예의 개략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수단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함께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된다. 분명한 것은, 여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창작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본 방법은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단말 장치는, 지능형 전화, 태블릿 컴퓨터 및 랩톱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이 방법은 단계 S100 내지 S130을 포함한다.
단계 S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고, 플로팅 영역이 그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단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때,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가 단말 장치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가 그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팅 영역이 플로팅 윈도 기술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표시되는 플로팅 영역의 수는 1과 같거나 그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팅 영역의 표시 크기는 조정될 수 있고, 또 플로팅 영역은 축소될 수도 있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서 드래그되어 표시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110에서,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가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가 구축되고, 플로팅 영역에 표시될 콘텐츠는 콘텐츠 로더를 통해 로딩된다. 이 콘텐츠 로더는 클래스로더(Classloader)일 수도 있다.
단계 S120에서,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가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가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단계 S130에서, 콘텐츠 로더가 호출되어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표시 콘텐츠를 로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로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때,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구축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의 플로팅 영역에 동적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콘텐츠가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통해 플로팅 영역에 로딩되어 표시되므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와, 플로팅 영역에 표시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 사이에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적 콘텐츠가 플로팅 영역에 안정적으로 로딩되고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로딩하는 메커니즘은 플로팅 영역에 표시 콘텐츠를 로딩하는 메커니즘과 동일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는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구축된 콘텐츠 로더를 통해 로딩되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는 단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호출되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installation package) 내의 콘텐츠를 로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안드로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Qmi interface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방법은 단계 S200 내지 S250을 포함한다.
단계 S2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단계 S210에서,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호출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 내의 콘텐츠를 로딩한다.
선택적으로는, 단계 S210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연속적 로딩 및 동적 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안드로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는, 단말 장치가 Qmi interface를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 후에 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 내의 콘텐츠를 로딩하고, 이것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또 그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계 S220에서,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플로팅 로더가 설정된다.
단계 S230에서, 플로팅 영역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단계 S240에서,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가 결정된다.
단계 S250에서, 콘텐츠 로더가 호출되어,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로딩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220 내지 S250가 단계 S210과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안드로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본 실시예에서 예로 하면,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된 후, Qmi interface가 호출되어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로딩하고,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Classloader가 호출되어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로딩한다. 따라서, 표시 콘텐츠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로딩하는 메커니즘과는 다른 로딩 메커니즘을 통해 플로팅 영역에 안정적이고 동적으로 로딩되고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함에 있어서, 플로팅 영역에 표시할 콘텐츠에 대한 여과 조건(filtration condition)이,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 여과 프레임을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이로써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며, 획득된 표시 콘텐츠를 콘텐츠 로더가 로딩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 방법은 단계 S300 내지 S330을 포함한다.
단계 S300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고, 플로팅 영역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단계 S310에서,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가 설정된다.
단계 S320에서,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조건이 결정되고, 이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가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획득된 표시 콘텐츠는 픽처, 비디오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표시 콘텐츠의 구체적인 유형은 조정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콘텐츠 로더가 호출되어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로딩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가 서버로부터 표시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표시 콘텐츠를 표시하는 본 방법은, 단계 S400 내지 S410을 포함한다.
단계 S400에서,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가 서버로 전송된다.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여과 조건을 포함하고, 서버는 이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결정한다.
이 단계에서, 여과 조건은 표시 콘텐츠의 이름 또는 URL이거나, 또는 발행 시간이나 표시 콘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와 같은 표시 콘텐츠의 어떤 속성 조건일 수도 있다. 여과 조건의 구체적인 유형은 실제 적용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가 서버에 설치되어 표시 콘텐츠 및 그 표시 콘텐츠의 기술(description)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과 조건을 수신한 후, 서버는 표시 콘텐츠의 기술 정보에 기초하여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기술 정보를 찾고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기술 정보의 표시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다.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결정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만들어지고,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팅 영역 내에서 동일 스크린 상에 비디오를 동적으로 표시하는 예를 든다.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서 동일 스크린 상의 플로팅 영역을 표시한 후에, 비디오 탐색 조건이 플로팅 영역에서 비디오 브라우징 프레임 내에 입력된다. 예컨대, 비디오 탐색 조건은 그 비디오의 비디오 이름, 그 비디오에 대응하는 URL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입력된 비디오 탐색 조건에 대응하는 비디오를 서버에 요청한다. 비디오 탐색 조건에 대응하는 비디오를 탐색한 후, 서버는 그 비디오의 비디오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 장치에 설정된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는 획득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 내의 비디오 브라우징 프레임으로 로딩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플로팅 영역을 통해 동일 스크린 상에서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자명하지만,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된 콘텐츠 또한 픽처 또는 텍스트일 수도 있고, 그 콘텐츠의 구체적인 형태는 실제 구현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와 관련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참고 콘텐츠일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는 비디오에 대한 코멘트 콘텐츠일 수 있다. 비디오가 비디오 인터페이스 상에서 재생될 때, 그 비디오에 대한 코멘트 콘텐츠는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 플로팅 영역을 통해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게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는 게임을 위한 전략 콘텐츠(예컨대, 전략 비디오, 전략 픽처, 게임 매트릭스 방법 소개)일 수 있고, 게임을 위한 전략 콘텐츠는 게임 인터페이스에 게임 콘텐츠가 표시되는 때에 게임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 플로팅 영역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한다. 단계 S320이 추가로 단계 S610을 포함한다.
단계 S610에서,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참고 콘텐츠가 표시 콘텐츠로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획득된다.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를 결정하고,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타깃 참고 콘텐츠를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로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와, 표시할 참고 콘텐츠에 대한 여과 조건을 수신한 후,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를 결정하고,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타깃 참고 콘텐츠를 결정하며, 단말 장치로 그 결정된 타깃 참고 콘텐츠를 전송한다.
게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 후, 단말 장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Qmi interface를 통해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로부터 표시를 위해 게임 인터페이스에 게임 콘텐츠를 로딩한다.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팅 윈도 기술을 가지고 플로팅 영역이 게임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게임 참고 콘텐츠(예컨대, 게임 매트릭스 방법)를 위한 여과 프레임이 플로팅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여과 프레임으로부터 게임 참고 콘텐츠에 대한 여과 조건을 선택한 후, 단말 장치는 서버로부터 선택된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게임 참고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가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게임 참고 콘텐츠를 단말 장치로 전송한 후, 단말 장치는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게임 참고 콘텐츠를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Classloader를 통해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로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된 게임 참고 콘텐츠는 픽처, 비디오, 게임에 대한 코멘트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플로팅 영역은 로딩된 픽처를 표시하기 위해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을 설정하고, 로딩된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해 비디오 브라우징 프레임을 설정하고, 로딩된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해 텍스트 프레임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참고 콘텐츠를 플로팅 영역에 표시함에 있어서, 참고 콘텐츠가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는 메커니즘이 본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게임 매트릭스 방법이 게임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이로써 게임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매트릭스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는 본 방법은 단계 S700 내지 S710을 포함한다.
단계 S700에서,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된 타깃 참고 콘텐츠가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가, 획득된 타깃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깃 참고 콘텐츠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된 참고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는 프로세스 간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 전달될 수 있다. 콘텐츠 식별자를 획득한 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는,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예컨대 Qmi interface)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로부터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탐색하고, 이로써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게임 시나리오를 예로 든다. 게임이 게임 인터페이스 상에 매트릭스 방법으로 플레이되는 때, 그 게임의 다른 매트릭스 방법의 정보(예컨대, 그 매트릭스 방법의 픽처 및 비디오)가 게임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표시된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의 게임 매트릭스 방법을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매트릭스 방법으로 변경하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제어 컴포넌트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된 매트릭스 방법 식별자가 프로세스 간 통신을 통해 게임 프로세스에 전달될 수 있고, 게임 프로세스는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Qmi interface와 같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로부터 매트릭스 방법 식별자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방법의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고, 이로써 게임 인터페이스 상에 탐색된 매트릭스 방법의 콘텐츠를 표시하고 게임에서 사용되는 매트릭스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비정상적인 네트워크의 경우,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획득할 수 없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는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가 비정상인 경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는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가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획득된 표시 콘텐츠를 로딩한다.
또한,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새로운 표시 콘텐츠를 획득한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가 갱신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에 의해 전송된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수신한 후, 단말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다.
로컬 저장 장치로부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표시 콘텐츠의 유형 및 플로팅 영역에서의 후속하는 표시 처리 전략은 표시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요청하는 경우의 전략과 유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픽처가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때, 그 픽처는 압축되고, 압축된 픽처가 플로팅 영역의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 내에 표시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영역 내에 픽처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이 방법은 단계 S800 내지 S820을 추가로 포함한다.
단계 S800에서, 픽처의 압축비가 픽처의 데이터양, 픽처의 폭 및 높이, 그리고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폭 및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은 플로팅 영역 내에서 픽처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단계 S810에서, 픽처 처리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가 호출되어 그 압축비에 기초하여 픽처를 압축한다.
단계 S820에서, 압축된 픽처가 플로팅 영역 내의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 내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팅 영역을 위한 픽처 브라우징 컴포넌트가 최적화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픽처가 시스템의 픽처 처리 API를 채용하여 압축된다. 압축비는 픽처의 데이터양, 픽처의 폭 및 높이, 그리고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압축비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 전략은 실제 구현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픽처를 줌(zoom)하거나 드래그하는 것과 같은 기능에 추가하여, 픽처 브라우징 컴포넌트는,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 내의 픽처가 보이지 않는 곳까지 드래그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픽처를 드래그함에 있어서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에 대해 경계-감지 메커니즘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처가 드래그될 때, 드래그된 픽처의 위치가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했는지 결정되고, 드래그된 픽처의 위치가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하는 경우 그 경계를 향해 픽처가 드래그되는 것을 금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때,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구축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과 동일 스크린 상의 플로팅 영역에 동적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콘텐츠가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통해 플로팅 영역에 로딩되어 표시되므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와, 플로팅 영역에 표시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 사이에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적 콘텐츠가 플로팅 영역에 안정적으로 로딩되고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예를 예로서 타워 방어 게임 시나리오를 가지고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타워 방어 게임 대형(formation) 및 배치(arrangement) 정보의 사진, 텍스트, 비디오와 같은 기능들이 대부분 게임 인터페이스 상의 플로팅 영역을 통해 구현된다. 플로팅 영역에 의해 구현되는 이러한 기능들은 플러그인(plug-in)의 형태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한다. 타원 방어 게임 및 플로팅 영역의 플러그인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Qmi interface를 통해 게임 설치 패키지 내의 게임 콘텐츠를 호출하고, 그 게임 콘텐츠를 게임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한다. 또 게임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플로팅 영역의 표시 크기는 조정 가능하다. 도 9는 단지 플로팅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플로팅 영역은, 대형 레벨 및 대형 기능과 같은 여과 프레임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표시할 대형에 대한 여과 조건을 선택한 후(예컨대, 대형 레벨 및 대형 기능과 같은 여과 조건이 선택된 때), 단말 장치는 서버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타원 방어 게임의 대형 정보에서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대형 정보를 요청한다. 대형 정보는, 예컨대 대형의 픽처, 비디오 및 텍스트 기술을 포함한다.
서버로부터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대형 정보를 획득한 후, 단말 장치는 Classloader를 통해 플로팅 영역에 그 대형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형 픽처가 플로팅 영역 내의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에 로딩될 수 있고, 텍스트가 플로팅 영역 내의 텍스트 브라우징 프레임에 로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버는 대형 ID, 대형 기술 정보(form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및 대형 정보(대형의 픽처, 비디오 등을 포함함) 간의 대응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대형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서버는 여러 대형의 대형 기술 정보에 기초하여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타깃 대형 기술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타깃 대형 기술 정보에 대응하는 대형 정보 및 대형 ID를 탐색하고, 그 대형 정보를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이 비정상인 경우, 단말 장치는 여과 조건에 대응하는 대형 정보를 로컬 캐시로부터 직접 탐색할 수 있고, 그 로컬 캐시 내에서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대형 정보를 Classloader를 통해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로딩할 수 있다.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된 대형의 픽처, 텍스트 또는 심지어 비디오를 본 때, 만일 사용자가 게임의 현재 대형을 현재 보여지는 대형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이 대형을 선택"이라는 제어 컴포넌트를 클릭하여 현재 보여지는 대형을 게임에 적용할 수 있다. 비디오를 보기 위해, 현재 보여지는 대형에 대응하는 비디오 URL을 서버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대형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URL이 서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대형 ID에 대응하는 비디오를 요청한 경우, 대형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URL의 비디오 데이터가 탐색되어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그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Classloader를 통해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그 비디오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기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참고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본 장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한다. 본 장치는 플로팅 영역 표시 모듈(100), 로더 설정 모듈(200),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300) 및 표시 콘텐츠 로딩 모듈(400)을 포함한다. 플로팅 영역 표시 모듈(100)은,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로더 설정 모듈(200)은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300)은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콘텐츠 로딩 모듈(400)은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플로팅 영역에 표시를 위해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로딩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로 하고, 이 장치는 다만, 시스템의 하부 계층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 내의 콘텐츠를 로딩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로딩 모듈(50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300)의 선택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 12를 참고하면, 이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300)은 여과 조건 결정 유닛(310) 및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320)을 포함한다. 여과 조건 결정 유닛(310)은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조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320)은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320)의 선택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 13을 참고하면,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320)은 요청 서브-유닛(321) 및 표시 콘텐츠 수신 서브-유닛(322)을 포함한다. 요청 서브-유닛(321)은 서버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콘텐츠 수신 서브-유닛(322)은 서버에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여과 조건을 포함하고, 서버는 이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표시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참고 콘텐츠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청 서브-유닛(321)은 표시할 참고 콘텐츠에 대한 여과 조건과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표시 콘텐츠 수신 서브-유닛(322)은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로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결정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서버에 의해 만들어지고,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여과 조건은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참고 콘텐츠를 표시 콘텐츠로서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를 결정하고,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타깃 참고 콘텐츠를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로서 결정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는, 본 개시의 도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며, 다만 이 장치는, 적용 모듈(600) 및 조정 모듈(700)을 더 포함한다. 적용 모듈(600)은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모듈(700)은 참고 콘텐츠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비정상적인 네트워크 경우,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300)은 추가로,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지만, 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로컬 콘텐츠 갱신 모듈(80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는 픽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고 표시를 위해 플로팅 영역에 픽처를 로딩하는 프로세스에서, 표시 콘텐츠 로딩 모듈(400)은 픽처의 데이터양, 픽처의 폭 및 높이, 그리고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폭 및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픽처의 압축비를 결정하고, 픽처 처리 API를 호출하여 그 압축비에 따라 픽처를 압축하고, 플로팅 영역 내의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에 압축된 픽처를 표시를 위해 로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에 대한 경계-감지 메커니즘이 픽처를 드래그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지만, 이 장치는 경계 처리 모듈(900)을 더 포함하며, 이 경계 처리 모듈(900)은, 픽처가 드래그되는 때, 드래그되는 픽처의 위치가 플로팅 영역 내의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하는지를 결정하고, 드래그되는 픽처의 위치가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하는 경우 그 경계를 향해 픽처가 드래그되지 않도록 금지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이 단말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서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 콘텐츠를 동적으로 로딩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와 플로팅 영역 내에 표시 콘텐츠를 로딩하고 표시하는 프로세스 간의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적 콘텐츠가 안정적으로 로딩되어 플로팅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1), 통신 인터페이스(2), 메모리(3), 및 통신 버스(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 통신 인터페이스(2) 및 메모리(3)는 통신 버스(4)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2)는, GSM 모듈의 인터페이스와 같은 통신 모듈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3)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이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작동 명령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중앙처리장치(CPU),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메모리(3)는 고속 RAM 메모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을 표시하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를 설정하고,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고,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플로팅 영역에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로딩하도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점진적인 방식으로 설명되었고, 각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강조하였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하나의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장치는,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방법에 대응하고 대응하는 부분은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을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여러 예들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에 서로 교환 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여러 예들의 구성요소 및 단계가 기능적 표현으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로 구현될 것인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적 해결 수단의 실제 응용 및 설계 제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술한 기능을 각각의 실제 응용을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 또는 알고리즘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또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 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종래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따라, 본 개시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여러 변형예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고, 본 개시의 보호 범위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 다른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개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에서 개시된 원리와 신규 특징들에 따른 가장 넓은 범위에 있음이 명백한다.

Claims (19)

  1.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하부 계층(underlying layer)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 내의 콘텐츠를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상기 여과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결정함 -;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구축되고, 상기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조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참고 콘텐츠를 상기 표시 콘텐츠로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를 결정하고, 또 상기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타깃 참고 콘텐츠를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로서 결정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상기 타깃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타깃 참고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콘텐츠는 픽처이고,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픽처의 데이터양, 상기 픽처의 폭 및 높이, 그리고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폭 및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픽처에 대한 압축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은 상기 플로팅 영역에서 상기 픽처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임 -;
    픽처 처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압축비에 기초하여 상기 픽처를 압축하는 단계; 및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 내의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에 상기 압축된 픽처를 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픽처가 드래그될 때, 상기 드래그된 픽처의 위치가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된 픽처의 위치가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경계를 향해 상기 픽처가 드래그되는 것을 금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동일한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동일 스크린 상에 플로팅 영역(floating region)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플로팅 영역 표시 모듈;
    상기 플로팅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로더(loader)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로더 설정 모듈;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 및
    상기 콘텐츠 로더를 호출하여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에 로딩하도록 구성된 표시 콘텐츠 로딩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하부 계층(underlying layer)과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 내의 콘텐츠를 로딩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로딩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콘텐츠 결정 모듈이,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조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여과 조건 결정 유닛; 및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이,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요청 서브-유닛 - 상기 표시 콘텐츠 요청 메시지는 상기 여과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결정함 -;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표시 콘텐츠 수신 서브-유닛 - 상기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구축되고, 상기 표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상기 결정된 표시 콘텐츠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조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은 추가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참고 콘텐츠를 상기 표시 콘텐츠로서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를 결정하고, 또 상기 여과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참고 콘텐츠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타깃 참고 콘텐츠를 상기 플로팅 영역의 표시 콘텐츠로서 결정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영역에 표시된 상기 타깃 참고 콘텐츠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적용 모듈; 및
    상기 획득된 타깃 참고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이 추가로,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표시 콘텐츠 획득 유닛이 추가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여과 조건을 충족하는 표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표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로컬 캐시에 저장된 콘텐츠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콘텐츠는 픽처이고,
    상기 표시 콘텐츠 획득 모듈은 추가로,
    상기 픽처의 데이터양, 상기 픽처의 폭 및 높이, 그리고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폭 및 높이의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픽처에 대한 압축비를 결정하고, -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은 상기 플로팅 영역에서 상기 픽처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임 -
    픽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상기 압축비에 기초하여 상기 픽처를 압축하고,
    표시를 위해 상기 플로팅 영역 내의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에 상기 압축된 픽처를 로딩하도록 구성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픽처가 드래그될 때, 상기 드래그된 픽처의 위치가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했는지 결정하고, 상기 드래그된 픽처의 위치가 상기 픽처 브라우징 프레임의 경계에 도달한 경우, 상기 경계를 향해 상기 픽처가 드래그되는 것을 금지하도록 구성된 경계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177015904A 2015-05-20 2016-04-25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 KR102008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59367.XA CN104808907B (zh) 2015-05-20 2015-05-20 一种内容同屏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201510259367.X 2015-05-20
PCT/CN2016/080158 WO2016184297A1 (zh) 2015-05-20 2016-04-25 内容同屏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216A true KR20170084216A (ko) 2017-07-19
KR102008355B1 KR102008355B1 (ko) 2019-08-07

Family

ID=5369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904A KR102008355B1 (ko) 2015-05-20 2016-04-25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98559B2 (ko)
JP (1) JP6668357B2 (ko)
KR (1) KR102008355B1 (ko)
CN (1) CN104808907B (ko)
WO (1) WO2016184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8907B (zh) * 2015-05-20 2018-01-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内容同屏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4820541B (zh) * 2015-05-25 2017-04-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参考内容展示的方法及装置
CN105187939A (zh) * 2015-09-21 2015-12-23 合一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实现网页游戏中播放视频的方法及装置
CN105554424A (zh) * 2015-12-24 2016-05-04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在应用中进行视频播放的方法和装置
CN105653143B (zh) * 2015-12-29 2020-04-03 深圳市贝克希尔智能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操作界面的处理方法及实现该方法的移动终端
CN105786997A (zh) * 2016-02-19 2016-07-20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iOS系统的图片缓存与压缩方法
CN106227398A (zh) * 2016-06-29 2016-12-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相机图像文字显示方法及装置
CN106331832B (zh) * 2016-09-14 2019-09-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和装置
CN106803978A (zh) * 2017-03-16 2017-06-06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移动终端以及基于悬浮窗口播放视频的方法
CN107596687B (zh) * 2017-08-24 2021-03-0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画面显示系统及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
CN107754308A (zh) * 2017-09-28 2018-03-0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419117B (zh) * 2018-04-28 2020-09-08 中广热点云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视频小窗口播放的装置及方法
WO2020056690A1 (zh) * 2018-09-20 2020-03-26 太平洋未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内容关联界面的呈现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597009B (zh) * 2018-09-21 2023-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显示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7134247B2 (ja) * 2018-11-09 2022-09-0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CN110286960B (zh) * 2019-06-27 2022-07-22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图像文件的加载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662113B (zh) * 2019-09-25 2021-06-11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74186B (zh) * 2021-01-08 2023-05-23 深圳市灰鲨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终端的交互显示系统及方法
CN114237473A (zh) * 2021-11-24 2022-03-25 微民保险代理有限公司 同屏交互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CN115098012A (zh) * 2022-06-24 2022-09-2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CN115185421A (zh) * 2022-07-01 2022-10-14 钉钉(中国)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085A (en) * 1997-02-28 1999-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resource or security contexts in a multithreaded application
JP2012515506A (ja) * 2009-01-15 2012-07-05 ソニー株式会社 Tv個別指導ウィジェット
KR20130126430A (ko) * 2012-05-11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133616A (zh) * 2014-07-30 2014-11-05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KR20140131863A (ko) * 2013-05-06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관련 창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487A (en) * 1996-06-10 1999-08-31 Lsi Logic Corporation Object-oriented multi-media architecture
AU2001238466A1 (en) * 2000-02-18 2001-08-27 Xsid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omplementary user interface on a display surface
EP1997044B1 (en) * 2006-03-15 2014-05-07 Google, Inc. Automatic display of resized images
JP2007323544A (ja) 2006-06-05 2007-12-1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P2011005909A0 (en) * 2009-03-04 2011-10-31 Mandar Patil Method for display offline, targeted, individuallyscheduled advertisements in any desktop display.
WO2013169070A1 (en) 2012-05-11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9916072B2 (en) * 2013-02-20 2018-03-13 Lg Electronics Inc. Application and notification window display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EP2833640A1 (en) * 2013-08-02 2015-02-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ideo caching
US20150046812A1 (en) * 2013-08-12 2015-02-12 Google Inc. Dynamic resizable media item player
CN103957447B (zh) * 2014-05-08 2017-07-18 济南四叶草信息技术有限公司 悬浮多窗口播放系统
CN104346216A (zh) * 2014-05-30 2015-02-11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设备的多任务执行方法和设备
CN104065814A (zh) * 2014-06-13 2014-09-24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
US10157588B2 (en) * 2014-09-19 2018-12-18 Excalibur I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optimization
CN104808907B (zh) * 2015-05-20 2018-01-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内容同屏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085A (en) * 1997-02-28 1999-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resource or security contexts in a multithreaded application
JP2012515506A (ja) * 2009-01-15 2012-07-05 ソニー株式会社 Tv個別指導ウィジェット
KR20130126430A (ko) * 2012-05-11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31863A (ko) * 2013-05-06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관련 창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CN104133616A (zh) * 2014-07-30 2014-11-05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08907B (zh) 2018-01-09
KR102008355B1 (ko) 2019-08-07
US10698559B2 (en) 2020-06-30
US20170364210A1 (en) 2017-12-21
CN104808907A (zh) 2015-07-29
JP2018511843A (ja) 2018-04-26
WO2016184297A1 (zh) 2016-11-24
JP6668357B2 (ja)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355B1 (ko) 동일 스크린 상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 장치
KR101744183B1 (ko) 호스트 디바이스의 능력들의 증강
JP6062608B2 (ja) ウェブページアクセス方法、装置、サーバ、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491320B (zh) 基于混合模式移动应用的载入方法和装置
EP207571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trieving/downloading content on a communication device
JP6289764B2 (ja) 機器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100154B6 (ja) プロセッサコア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装置、端末及び記憶媒体
CN109885314B (zh) 小程序自动布局方法和装置
US20220291929A1 (en) Method for multi-core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71025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314391B2 (en) Navigation bar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CN111259441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938427B (zh) 媒体内容的拍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15061745A (zh) 页面资源的预加载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007470B1 (en)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in instance hosting environment and service system therefor
CN105279164B (zh) 一种基于ios系统的文件处理方法及装置
CN112825072A (zh) 通信终端以及数据共享方法
CN107623788B (zh) 应用启动速度的提高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163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smart television
CN113721936A (zh) 一种应用管理方法及智能终端、装置及存储介质
CN115470427A (zh) 页面加载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4398173A (zh) 一种资源分配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7271066B (zh) 应用部署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242970B (zh) 车机摄像头数据共享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80080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api 제공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