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096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096A
KR20170082096A KR1020160001300A KR20160001300A KR20170082096A KR 20170082096 A KR20170082096 A KR 20170082096A KR 1020160001300 A KR1020160001300 A KR 1020160001300A KR 20160001300 A KR20160001300 A KR 20160001300A KR 20170082096 A KR20170082096 A KR 2017008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initial position
rai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3211B1 (en
Inventor
최대진
배원섭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0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11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33647.1A priority patent/CN107709910B/en
Priority to EP21167764.6A priority patent/EP3889528B1/en
Priority to CN202011219346.2A priority patent/CN112524877B/en
Priority to CN202011218264.6A priority patent/CN112524876B/en
Priority to CN202011217885.2A priority patent/CN112524875B/en
Priority to US15/554,839 priority patent/US10612836B2/en
Priority to PCT/KR2016/012607 priority patent/WO2017078436A1/en
Priority to EP16862452.6A priority patent/EP3217130B1/en
Priority to CN202011217557.2A priority patent/CN112524874B/en
Priority to EP22201872.3A priority patent/EP4141365A1/en
Priority to TW105135937A priority patent/TWI627375B/en
Publication of KR2017008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96A/en
Priority to US15/692,431 priority patent/US10724787B2/en
Priority to US15/692,312 priority patent/US10557662B2/en
Priority to US15/692,207 priority patent/US105202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11B1/en
Priority to US16/825,009 priority patent/US10876789B2/en
Priority to US17/101,927 priority patent/US11274878B2/en
Priority to US17/585,023 priority patent/US11725874B2/en
Priority to US18/316,761 priority patent/US202302800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입/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 홀더를 탄성 변형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pull in / out a stored produc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use a drawer for receiving a stored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includ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oor is opened; Wherein the drawer is resilient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drawer move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 electric drive par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drawer holder; And a rail provided so that the guide can be mov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입/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pull in / out a stored produc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use a drawer for receiving a stored product.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refrigerator discharges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etc.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freeze or refrigerate food or the like.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refrigerator generally comprises a freezing room for storing food or beverage by freezing as a storage room, and a refrigerator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a low temperature.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top mount type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i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is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side by side type compartment in which a freezing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 By Side Type). In this case, each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door,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door.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In addition to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is a refrigerator which allows access to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rough a single door. Such a refrigerator is generally small in size, and a freezer is generally provided in a certain space insid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치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치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Also, among the top mount type refrigerators, there is provided a French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upper refrigerating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right and left doors.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French-type refrigerator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right and left doors.

냉장실과 냉동실에는 저장물이 놓이는 선반이나 저장물이 담겨있는 수납 박스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수납 박스는 저장실 내부에서 독립적인 저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채소나 과일 등을 다른 저장물과 독립적으로 보관하거나 육류나 어폐류 등을 다른 저장물과 독립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수납 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generally provided with a shelf in which the stored product is placed and a storage box containing the stored product. The storage box is generally provided to form an independent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room. That is, a storage box may be provided to store vegetables, fruits, etc., independently of other storage materials, or to store meat, oysters, etc. separately from other storage materials.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장실의 전후 폭이 커지게 되므로, 내부 깊숙히 저장되어 있는 저장물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수납 박스는 대부분 드로워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잡아당겨 인출하여 내부의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드로워 형태의 수납 박스는 대부분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Recently,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since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storage room such a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become large, it is not easy to take stored stored contents deep inside. Therefore, most of the storage boxe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drawers. That is, the user pulls out the storage box by pulling it out and can take out the stored contents. In particular, most of these drawer-type storage boxes are provided in the lower area of the refrigerator,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어, 도어 배면을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능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즉, 도어의 기능이 단순히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을 넘어서, 도어가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얼음이나 냉수의 생성 및 공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어 배면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가 더욱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도어 배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단부가 도어의 배면과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a home-bar, an ice maker, a shelf or a door box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door of a refrigerato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used as a separate storage space or as a separate functional space have. That is, the function of the door merely goes beyond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door forms an additional storage space or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he generation and supply of ice or cold water. For this reason, the distance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drawn in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is getting longer. Therefore,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helf or the storage box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reez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interferes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이러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단부는 냉장고의 본체 전면에서 소정 거리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단부는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후방으로 더욱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박스가 드로워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수납 박스의 전단부를 잡고 인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손을 저장실 내부로 더욱 깊이 넣은 후 수납 박스를 인출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수납 박스가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웅크린 자세에서 손을 뻗어 수납 박스를 인출하는 것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라 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such interference, the front end of the shelf or the storage box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rea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helf or the storage box may be positioned further behind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fore, when the storage box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rawer,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grasp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box and pull it out. In other words, the user may have difficulty in putting his / her hand deep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aking out the storage box. Particularly, when the storage box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it is not inconvenient to extend the hand from the crooked posture and pull out the storage box.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인출하기 위해 도어를 열었을 때, 수납 박스의 전단부(즉, 수납 박스의 손잡이)가 사용자 바로 앞에 있지 않고 저장실 깊숙이 위치되어 있다고 상상하면, 이러한 불편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nconvenience can be easily understood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to open the storage box and imagines that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box (i.e., the handle of the storage box) is not in front of the user but deep in the storage room.

한편, 종래의 냉장고에서의 드로워 특히 냉동실의 드로워는 레일을 통해서 인입 및 인출된다. 일반적으로 레일은 저장실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에는 레일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연결부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드로워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awers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in particular the drawers in the freezer compartment, ar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rails. Generally, the rails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s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drawers are provided with rail connection portions. The rail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 roller shape, and the drawer is moved back and forth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ail.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드로워는 드로워를 레일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드로워에 무거운 저장물들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드로워를 든 상태에서 레일에 롤러를 끼워 맞추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라 할 수 있다. However, this type of drawer is not easy to join the drawer to the rail. In particular, it is not easy to fit the rollers on the rails with the drawers in the state that the heavy stores are stored in the drawers.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드로워를 인출시킨 후 저장물들을 수납하거나 저장물들을 꺼내는 것이 아닌, 드로워 전체를 냉장고에서 분리시킨 후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일이 상기 레일에서 상기 레일 연결부를 분리시키고 다시 결합하는 것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는 드로워의 분리 필요성을 알면서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drawer may b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after being taken out of the drawer and then taken out of the storage or taken out of the storage. In this case, it is not a troublesome task to separate the rail connection part from the rail and re-engage it. Therefore,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e user may know the necessity of separating the drawer and use it without separa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냉장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wherein a drawer provided in a storage compartment is automatically drawn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a user opens a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drawer is to be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 이외에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is automatically moved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through an electric drive unit, and a user does not need to exert additional force other than a force for opening the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닫았을 때 자동으로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드로워를 인출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임과 동시에,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드로워를 인입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from an operating position to an initial position when a user closes a door of the refrigerator.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reduce the labor of the user who draws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and reduce the labor of the user who draws the drawer from the oper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wherein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and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시 자동으로 이동하는 드로워 사이에 간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도어 열림(닫힘)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각도에서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drawers that automatically move when a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sensor that senses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with high accuracy. That is, when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in which interference between a door and a drawer is minimized, it is desired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detecting door opening (closing) with high accuracy at the set ang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기설정된 도어 열림 각도가 제품 모델에 따라 변경이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openness sens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flexibly cope with a change of a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gle according to a product mode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 감지와 도어의 닫힘 감지가 동일한 각도일 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refrigerator and can be detec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door is closed through the same sens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저장실 내부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n interior design of a storage compartment which can protect the electric drive unit by preventing the structure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being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drawer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through one electric drive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입 및 인출이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 또는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 구동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 which automatic draw-in and draw-out of a drawer can be performed with reliability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which can minimize damage to the electric drive unit due to overload of the electric drive unit or repeated us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와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부 등 이러한 구성들과 연관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필요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 refrigerator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and easily repaired when necessary, such as a drawer to b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an electric driver for automatically drawing a drawer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RTI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which can automatically draw out a plurality of drawers integrally,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에 상기 드로워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the drawer to a rail supporting a dra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레일과 드로워의 레일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유지한 채, 바스켓만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separate and combine a basket for accommodating a stored product in a drawer. That i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separate and reassemble only the basket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s and the rail connection portions of the draw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레일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visual exposure of a rail to a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드로워에 대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that minimizes a load of a motor and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conditions of use of a drawer.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 홀더를 탄성 변형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oor is opened; Wherein the drawer is resilient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drawer move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 electric drive par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drawer holder; And a rail provided so that the drawer is mov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따라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의 전방 이동(인출)은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되며, 드로워의 후방 이동(인입)은 드로워 홀더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rawer holder includes a hook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resiliently restored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and a distance of the hook member. That is, the spring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orward in a state where the hook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awer.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drawer is removed while the hook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awer, the drawer can be moved backward by elastic restoration of the spring. Therefore, the forward movement (withdrawal) of the draw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part, and the backward movement (drawing) of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rawer holder.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드로워 홀더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draw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atch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걸이부재가 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드로워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rawer holder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 slot for receiving the spring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ooking member. The housing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and the hooking member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course, the hook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move together with the drawer.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hooking member may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및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motor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The moving frame may be mov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includes a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drawer, and the transmitting member pushes the drawer so that the drawer can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는 하나의 걸림부재를 통해서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The motor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assembly and a transmitting member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move the engaging member of the drawer forward through the holding member. Accordingly, the automatic draw-out and automatic draw-in are possible through the single latching member provided on the drawer.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드로워 홀더의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의 돌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걸이부재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hook member protrudes from the housing of the drawer holder and is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of the drawer.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ook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hooking member.

상기 걸이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상기 걸이부재로 안정적인 힘과 변위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oking member so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Accordingly, stable transmission of force and displacement from the transmitting member to the hooking member becomes possible.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이 상기 걸이부재에 전달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상기 걸이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밀도록 구비되지만 당기도록 구비되지는 않는다. The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hooking member as the transmitting memb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moved forward, and when the transmitting member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moved backward,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hooking member Is disconnected. That is, the transmitt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push the hooking member, but is not provided to pull the hooking member.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걸이부재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oor is opened; A drawer holder including a retain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retaining member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resiliently restored by movement of the retaining member; An electric drive unit including a transmitting member for pushing the hook memb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and a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transmitting member by electric power; And a rail provided so that the drawer is mov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간에서 드로워의 인출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tching member and the latching member is maintain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Therefore,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drawing out the drawer in the section.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더욱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드로워의 인출이 더 이상 상기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tching member and the latching member is released as the drawer is further pulled forward at the operating position so that the drawer can be manually pulled out. That is,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tching member and the latching member is released, the drawing of the drawer no longer resiliently deforms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 spring is preferably maintaine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상기 드로워를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더 이상 상기 드로워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In ord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e electric drive unit is preferably driven to move the transmitting member backwar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ing force of the drawer is no longer transmitted to the drawer. Accordingly, as the spring is resiliently restored, the retaining member moves the retaining member backward so that the drawer can be return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rawer holder includes a housing having the slot for receiving the spring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ooking member.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드로워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hanger member protrudes toward the draw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이부재를 전방으로 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transmitt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latching member, and is configured to push the latching member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latching member.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들 각각에 상기 전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달부재를 일체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vertically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is provided with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electric drive unit is provided to move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integrally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이격되도록 상기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magnet provided on the door and configured to rotate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around a rotation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The magnet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agn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and is fixed to the cabinet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reaches a preset opening angle, And a reed switch having a critical point of the reed switch.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직 거리는 유지되고 수평 거리만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 스위치와 상기 마그넷의 수평 거리가 임계점을 벗어나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로 개방됨을 감지하게 된다. The magnet may be provided such that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reed switch is maintained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changed, and only the horizontal distance is variable. 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and the magnet is out of the critical point, the reed switch senses that the door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gnet may be mounted inside a door decor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under the magnet.

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좌우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수직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may be formed as a vertical axis so that the door rotates right and left to be opened and closed, and is spaced from the left or right of the cabinet so as to be spaced forwardly of the cabinet.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축에서 상기 캐비닛의 좌우 중심 쪽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biased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cabine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지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힌지 커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eed switch is provided on a hinge cover which forms a rotation axis of the door and is form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의 수직 상부를 지나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평 거리가 증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s provided such that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eed switch increases along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reed switch as an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 전환에 의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감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점 전환은 동일한 도어 개방 각도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대략 9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어 90도 각도까지 개방되면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어는 더욱 개방될 수 있다. 도어가 90도를 초과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면서 90도 각도까지 닫히면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by switching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switching is performed at the same door opening angle. The door opening angle may be set to approximately 90 degrees. When the door is opened and opened to an angle of 90 degrees,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is switched and the opening of the door can be sensed. Thereafter, the door can be further opened. When the door is closed in a state that the door is opened in excess of 90 degrees and the door is closed to an angle of 90 degrees,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can be switched to detect the closing of the door.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마그넷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오차 및 제품들 사이의 편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magne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This makes it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errors and deviations between products, rather than using only one magnet.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길이 방향이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수평 마그넷과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마그넷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 마그넷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ncludes a horizontal magnet arranged to be parallel to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and a vertical magnet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agnet.

상기 마그넷은 막대 자석이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의 높이에 비하여 길이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is a rod magnet and the length thereof i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magnet in a mounted state.

상기 리드 스위치는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 마그넷과 수직 마그넷의 길이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transverse side and a longitudinal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reed switch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reed switch. Preferably,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vertical magnet are larger than the transverse sides of the reed switch.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90도일 때,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 사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90도임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90 degrees,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side of the reed switch is preferably substantially 90 degrees.

상기 수평 마그넷의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회전 반경이 상기 수직 마그넷의 회전 반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turning radius of the horizontal magnet with respect to the door rotation axis is smaller than a turning radius of the vertical magnet.

상기 임계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도어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평 마그넷이 장착되고, 상기 임계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도어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수평 마그넷이 장착될 수 있다. Wherein the horizontal magnet is mounted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door rotation axis is reduced in order to in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and in order to reduc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The horizontal magnet may be mounted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door rotation axis is increased.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마그넷,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에 의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에서 접점이 전환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reed switch provided on the door and fixed to the cabinet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the reed switch having a contact point at a critical point of strength of the effective magnetic force by the magnet A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An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 rail provided so that the drawer is mov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직 거리는 유지되고 수평 거리만 가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s provided such that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reed switch is maintained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hanges, and only the horizontal distance is variable.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s mounted inside a door decor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reed switch is provided below the magnet.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는 바스켓 안착부와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상기 레일 결합부를 통해 상기 레일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movably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And a rail for supporting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the drawer including: a basket for receiving a storage; And a drawer frame having a basket mounting part on which the basket is mounted and a rail coupling part mounted on the rails and coupled with the rails. Therefore, the basket can be easi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awer frame. In addition, the draw frame can be easi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rail through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바스켓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바스켓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바스켓은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basket may be vertically downwardly seated in the basket seating part and coupled with the draw frame, and the basket may be vertically moved upward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draw frame.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raw frame, and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상기 바스켓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하부 바스켓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스켓과 상부 바스켓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ket may include a lower baske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an upper basket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lower basket and the upper basket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바스켓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가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ail coupling portion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frame, and the upper basket is formed to have a greater lateral width than the lower basket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from the upper por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l and the rail coupling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visually.

상기 레일은, 상기 드로워와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ail includes a movable rail which moves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drawer.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상기 이동 레일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ail coupling portion may have a channel-shaped cross-section such that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seated while the moving rail is enclosed.

상기 이동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걸려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방 이동과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a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hooked to the rear of the moving rail to form a latch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earward movement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latching portion may be formed to insert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이동 레일의 전단에는 탄성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된 후 탄성 복원되면서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moving rail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protrusion, and a mounting hole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to elastically deform the elastic protrusion and then elastically restore the elastic protrusion.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상기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된 후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As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is moved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the elastic projection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o be coupled.

즉,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방이 후방보다 높게 위치시킨 후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을 먼저 상기 걸림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의 좌우 및 전후 위치가 가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방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방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다. 이로써 레일 결합부의 좌우 전후 지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레일 결합부를 레일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좌우에 각각 위치한 탄성 돌기를 누를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돌기를 누른 상태에서 레일 결합부의 전방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레일 결합부의 전방과 레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전방으로 당긴 후 레일 결합부 전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레일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rear portion,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first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portion. Thus,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rail can be tentatively determined. Then,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moved downward.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moved downward, the elastic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hus, the right and left front and rear support points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formed. Therefore,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rail very easily. On the contrary, the user can press the elastic projections located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front portion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lifted upward while pressing the elastic projection. Through this,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the rail are disengaged. Thereafter, the user can pull the rail coupling portion forward and lift the entire rail coupling portion upward. Thereby,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ail.

한편, 상기 레일 결합부가 형성된 드로워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 프레임을 먼저 레일 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드로워 프레임과 바스켓을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분리 순서는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에 저장물이 저장된 상태에서는 드로워 자체의 무게가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 전체를 레일에서 한 번에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바스켓과 드로워 프레임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로워를 레일에 결합시키거나 레일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Meanwhile, the draw frame formed with the rail coupling por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ket as described above. Thus, the user can engage the draw frame with the basket after first coupling the draw frame to the rail engaging portion. Of course, the separation order can be reversed. The weight of the drawer itself may be significant in the state where the stored product is stored in the baske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or join the entire drawer at a time on the rails. However, since the basket and the draw fram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it is very easy to couple the drawer to the rail or to separate it from the rail.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드로워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상기 탄성 돌기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전후좌우 4개의 지지점을 통해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ovable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and the drawer frame is fixed to the movable rail through four forward, rearward, left and right support points by the elastic projec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 레일 하부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고정된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ail includes a fixed rail provided under the movable rail and fix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the movable rail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상기 드로워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기 드로워의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전방 하부에 좌우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데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데코를 통해서 상기 레일과 레일 결합부가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rawer may include a draw deco that extends laterally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basket so as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in front of the draw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l-rail coupling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visually through the draw decor.

구체적으로, 레일과 레일 결합부의 상부에서는 바스켓이 커버하고 전방에서는 상기 드로워 데코가 커버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basket is cover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rail coupling portion, and the draw decor is covered at the front portion.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과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including a draw frame, which is provided in the storage room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has a basket for receiving stored items and a rail coupling portion; And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wherein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and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rail And a rear end of the rail is formed with a latch portion into which a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and an elastic protrus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rail to be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have.

상기 레일은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e rail includes a movable rail and a fixed rail slidably supporting the movable rail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and the rail coupling is coupled to the movable rail.

상기 장착홀은 상기 이동 레일의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ing hole is formed in a side flange covering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moving rail, and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enter directions of the drawer and is then restored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상기 고정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를 상기 고정 레일에 형성하기 위한 탄성 돌기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과 상기 탄성 돌기 사이에는 상기 탄성 돌기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하여 절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성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탄성 돌기 브라켓이나 탄성 돌기의 구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ront end of the fixed rail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rojection bracket for forming the elastic projection on the fixed rail, and a cut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projection bracket and the elastic projection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rojection . Therefore, since the elasticity of the structure itself is utilized,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projection bracket and the elastic projection can be very simple.

상기 장착홀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장착홀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돌기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be easily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or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the elastic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 레일을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 브라켓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rail preferably includes a rail bracket for fixing the stationary rail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고정 레일의 전후에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는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드로워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ail bracket includes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front and rear of the fixed rail at predetermined distances. Therefore, the rail can be stably supported. Thus, the drawer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재는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rawer frame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member protruding toward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transmis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ward the draw frame to push the engaging member from the rear of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 That is,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And an electric driving part that moves the latching memb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and moves the drawer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이러한 전달부재의 전후 이동이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와 걸림부재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Suc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can be interfered by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engaging member are provided so as to mov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and the operating position.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레일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 지지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저장실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 drawer frame movably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the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for receiving stored contents, a rail coupling part, and a latching member protruding in the side wall direction of the storage room;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drawer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and supported on a side wall 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rough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And a transfer member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ward the draw fram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the latch member is mov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to move the drawer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an electric driving part for moving the driving member to an operating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rein the transmit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and the operating positio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ar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무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including a latching member;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nd a moving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측벽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에서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프레임, 모터 어셈블리, 레일 그리고 무빙 프레임 전체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해서 일체로 상기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assembly comprising: a support frame adapted to engage the side wall; A motor assem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facing the side wall;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transmission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to move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in a spac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support frame, the transmission member being configured to penetrate the support frame to push the engagement member from the rear side Frame. Therefore, the support frame, the motor assembly, the rails, and the entire moving frame can be integral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ide wall through the support frame.

상기 측벽은 좌우로 저장실을 각각 구획하는 격벽이며,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The side wall is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moving assembly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left side surface and a right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상기 격벽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partition may be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motor assembly is inserted.

상기 격벽의 좌우에 각각 무빙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는 일측의 모터 어셈블리와 타측의 모터 어셈블리가 각각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로 인하여 상기 격벽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격벽의 두께 증가로 인한 저장실 공간의 축소를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the moving assemblies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the through-holes are formed so that the motor assembly on the one side and the motor assembly on the other side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hol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from becoming large due to the motor assembly. This means that the reduction of the storage spa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can be prevented.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격벽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관통부를 덮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to cover the penetration part when the support frame is engaged with the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에는 상기 격벽을 내부를 통해 전선을 연장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tending the electric wire through the inside of the partition.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모터 어셈블리까지 연장되기 위한 전선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말단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결선되기 위한 결선부 또는 전선 결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artition has a wire penetrating portion for extending the electric wire to the motor assembly, and a wire connecting portion or a wire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otor assembly to the electric wire is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electric wire.

따라서, 상기 전선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결선된 후, 상기 무빙 어셈블리가 일체로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무빙 어셈블리를 일체로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서 분리된 후 상기 전선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결선이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빙 어셈블리를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motor assembly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 coupling portion, the moving assembly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wall. Conversely, after the moving assembly is detached integrally from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the connection of the motor assembly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wire coupling part. Thereafter, the moving assembly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지지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s.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모터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모터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회피홈을 통해서 상기 격벽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상기 지지 프레임 전체가 저장실 내부로 돌출되는 체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저장실의 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support frame may be formed with a motor avoidance groove that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s the motor of the motor assembly. The thickness of the entire partition wall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motor avoidance groove or the volume of the entire support frame projecting into the storage chamber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This means that the reduction of the space of the storage chamber can be minimized.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레일은 복수 개의 레일을 지지하도록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모터 회피홈은 특정 레일과 상기 특정 레일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는 레일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drawers are vertically provided to support a plurality of rails, and the motor avoidance grooves are formed between a specific rail and a rail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specific rail, desirable.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전후로 형성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ing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slit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transmitting member may penetrate the sli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rame.

상기 레일은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상기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rail is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through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and the slit is form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의 인입 시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에 제공하는 드로워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moving assembly includes a drawer holder that elastically deforms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pulled in, the drawer holder being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

상기 드로워 홀더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스프링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발생시키며,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rawer hold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lo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pring; And a hook member moving along the slot to generat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of the spring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 결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rawer comprising: a basket for receiving the storage; And a rail coupling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and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to surround the rail.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a rear end of the rail is formed with a latch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and an elastic protrusion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rail.

상기 드로워는,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는 바스켓 안착부와 상기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rawer includes a basket seat on which the basket is placed, and a draw frame having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서 상기 저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atch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rawer frame toward a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무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전후로 슬릿이 형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측벽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에서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including a latching member;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nd a moving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hamber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A support fram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the support frame having a front and rear slit; A motor assem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facing the side wall;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transmission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in a spac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support frame, the transmiss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slit and pushing the engagement member from the rear side, A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모터 어셈블리까지 연장되기 위한 전선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말단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결선되기 위한 결선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artition wall has a wire penetrating portion for extending the electric wire to the motor assembly, and a wire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otor assembly to the electric wir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후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정지하는 정지 단계; 그리고 상기 정지 단계 후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motor, a drawer provided in a storage room provided in a cabinet, the drawer being movable back and forth,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in a waiting state; A drawing step of driving the motor in one direction to move the transmission member forward to perform the draw-out to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determining step; A stopping step of stopping the drawing of the drawer by maintaining unidirectional driving of the motor after the drawing step; And a returning step of returning the transmitting member to the rear by driving th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stopping step.

상기 정지 단계에서 상기 드로워는 조작위치에서 정지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은 유지된다. 즉,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은 유지하게 된다. 즉, 모터의 일방향 구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가 자동으로 조작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더욱 인출하려고 하는데도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stopping step, the drawer is stopped at the operating position. However, the one-directional drive of the motor is maintained. That is, the pushing force of the drawer is maintained. That is, the draw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utomatically drawn in a state where the one-directional driving of the motor is maintain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wer from being automatically drawn in even when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out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user tries to further draw the drawer.

상기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대기 상태의 시작을 위해,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초기화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냉장고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재가 초기 위치와는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And an initial step of moving the transfer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by driving the motor in a reverse direction to start the standby stat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initialization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initial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initial stage, the motor is preferably driven in a reverse directio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hall sensor for sensing the initial position 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판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시작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in the initial stage, a waiting state for performing the determining step is preferably started.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in the initial stage, a notification step is performed to notify that the operation is abnormal when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the operation position or when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drawing step, the motor is preferably drive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the operating position or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상기 모터는 BLDC(Brushless DC) 모터이며,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시 발생하는 신호(FG, Frequency generator)를 산출하여 산출된 FG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비(duty ratio)를 달리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FG의 산출은 소정 시간마다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100 ms(밀리세컨드)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FG가 클수록 상기 듀티비를 크게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is a BLDC (Brushless DC) motor. In the drawing, a signal (FG, Frequency Generator)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motor is calculated and a duty ratio for driving the motor is vari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A control box is preferable. The calculation of the FG is preferably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every 100 ms (milliseco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duty ratio is controlled to be larger as the calculated FG is larger.

상기 인출 단계 도중, 상기 산출된 FG가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방해하는 장애물에 대응하는 장애물 FG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지 단계가 수행되지 않고 상기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f the calculated FG is smaller than the obstacle FG corresponding to the obstacle obstructing the drawing of the drawer during the drawing step, the stopping step is not performed and the returning step is performed.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taking-out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notification step is performed to notify that the operation is abnormal when the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hall sensor for sensing the initial position or when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

상기 정지 단계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듀티비 중 최소 듀티비로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topping step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a minimum duty ratio of the duty ratio for driving the motor.

상기 정지 단계에서 FG를 산출하며, 상기 정지 단계 도중 산출된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The FG is calculated in the stopping step, and when the FG calculated during the stopping step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FG, the returning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상기 복귀 단계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eturning step includes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returning step, the motor is preferably driven in a reverse directio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hall sensor for sensing the initial position 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so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returning step, when the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the operation position or when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the notification step is performed to notify that the operation is abnormal.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to switch to the standby state.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개방 각도일 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센서를 통한 도어 개방 신호의 발생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refrigerator includ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room and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generation of a signal.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밀착 여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Wherein the refrigerator includes a door switch for sens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contact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도어 스위치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further includes door opening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상기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 수행 도중, 상기 센서를 통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수행하는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를 정지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If the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during the drawing or stopping step, an emergency returning step is performed to stop the drawing-out step or the stopping step and drive th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he transmitting member backward .

상기 긴급 복귀 단계 수행 시작 시, 상기 모터가 일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소정 시간 정지한 후 역방향으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motor is driven in one direction at the start of the emergency return step,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o drive th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room can be automatically drawn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automatically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 이외에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rough the electric drive unit, thereby providing a refrigerator in which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dditional force other than the force to open the door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닫았을 때 자동으로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드로워를 인출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임과 동시에,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드로워를 인입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automatically return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reduce the labor of the user who draws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and reduce the labor of the user who draws the drawer from the oper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part, and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시 자동으로 이동하는 드로워 사이에 간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도어 열림(닫힘)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각도에서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drawers that automatically move when a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sensor that detects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with high accuracy. That is, when the door opening (closing) angle at which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and the drawer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sense door opening (closing) very accurately at the set ang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기설정된 도어 열림 각도가 제품 모델에 따라 변경이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or openness sens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that can flexibly cope with a change of a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gle according to a product mode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 감지와 도어의 닫힘 감지가 동일한 각도일 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refrigerator and can be detec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door is closed through the same sens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저장실 내부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n interior design that can protect the electric drive unit and is easy to use and beautiful, by preventing the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being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drawers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through one electric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입 및 인출이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 또는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 구동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utomatic drawing and drawing of a drawer can be performed with reliability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minimize damage to the electric drive unit due to overload of the electric drive unit or repeated us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와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부 등 이러한 구성들과 연관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필요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and easily repaired when necessary, such as a drawer to b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an electric driver for automatically drawing a drawer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automatically draw out a plurality of drawers integrally,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에 상기 드로워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connect and detach the drawer to a rail supporting a dra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레일과 드로워의 레일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유지한 채, 바스켓만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separate and combine only a basket for storing food in a draw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only the baske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joined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s and the rail connection portions of the draw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레일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minimize the visible exposure of a rail to a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드로워에 대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that minimizes a load of a motor and can flexibly respond to various conditions of use of a dra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하부 저장실 부분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의 일실시예와 상기 센서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센서의 다른 실시예와 상기 센서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측벽과 무빙 어셈블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빙 어셈블리에서, 지지 프레임에 레일과 드로워 홀더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무빙 어셈블리에서,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의 초기위치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무빙 어셈블리에서,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의 조작위치를 도시하고,
도 9는 드로워와 무빙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을 확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10은 드로워 특히 드로워 프레임과 무빙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에 대한 측면을 도시하고,
도 11은 드로워의 인출(인입) 거리에 따른 드로워와 드로워 홀더 사이의 연결 관계를 도시하고,
도 12는 무빙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작위치에서의 드로워의 걸림부재, 드로워 홀더의 걸이부재 그리고 전달부재의 위치 및 연결관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작위치에서 드로워가 더욱 인출된 상태에서 걸림부재, 걸이부재 그리고 전달부재의 위치 및 연결관계를 도시하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드로워를 도시하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일을 도시하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드로워가 도 16에 도시된 레일과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드로워의 전단이 도 16에 도시된 레일의 전단과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의 블럭도이며,
도 20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서 각각의 단계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ure 1,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sensor shown in FIG. 2 and the mounting of the sensor,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shown in Fig. 2 and a mounting view of the sensor,
Figure 5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side wall and moving assembly shown in Figure 2,
Fig. 6 shows a view of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 5, in which the rails and drawer holders ar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Figure 7 show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ving frame in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ure 8 shows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ving frame in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ure 9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drawer and the moving assembly,
Figure 10 shows a side view of the drawer, particularly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rawer frame and the moving assembly,
11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awer and the drawer holder according to the drawing distance of the drawer,
Figure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moving assembly,
Fig. 13 shows the position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atching member of the drawer, the hooking member of the drawer holder, and the transmitting member in the operating pos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14 shows the position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engaging member, the hook member, and the transmit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further drawn out from the operating pos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Figure 15 illustrates a drawe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shows a rail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shown in Fig. 15 is engaged with the rail shown in Fig. 16,
Fig. 18 shows the front end of the drawer shown in Fig. 15 combi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rail shown in Fig. 16,
19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that may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6 are flowcharts for respective steps in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정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에 냉장실(11) 그리고 하부에 냉동실(12, 13)이 구비되는 4 도어 냉장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상부 냉장실의 좌우 도어는 생략되었고, 하부 냉동실의 좌측 도어는 생략되어, 하부 냉동실의 우측 도어(20)만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는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뿐만 아니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형태의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하는 드로워가 구비되는 냉장고이면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1 show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shown an example of a four-door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11 at the top and freezing chambers 12 and 13 at the bottom.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left and right doors of the upper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omitted, and the left door of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 is omitted, and only the right door 20 of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 is shown. Of course,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cable not only to this type of refrigerator but also to a side-by-side refrigerator. 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nd a drawer for moving the storage chamber back and forth.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11, 12, 13)이 구비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실이 복수 개이면, 이에 대응하여 도어도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storage rooms 11, 12 and 13 and a door 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room. As described abov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rooms, a plurality of door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냉장실(11)과 냉동실(12, 13)은 수평 격벽(14)을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냉동실(12)과 우측 냉동실(13)은 별도의 측벽 내지는 격벽(16)을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격벽(16)을 편의상 수직 격벽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1), 좌측 냉동실(12) 그리고 우측 냉동실(13)은 각각 개별적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a horizontal partition 14.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12 and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separate side walls or partitions 16. [ The barrier ribs 16 may be referred to as vertical barrier rib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1,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12, and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individual doors, respectively.

저장실(11, 12, 13), 특히 냉동실(12, 13)에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을 포함하는 드로워(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하로 3 개의 드로워(30a, 30b, 30c)가 우측 냉동실과 좌측 냉동실 각각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냉동실뿐만 아니라 냉장실에 드로워가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나의 도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드로워가 하나의 도어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4 개 이상의 드로워가 하나의 도어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 drawer 30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rooms 11, 12 and 13, and in particular, the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including a basket 31 for storing stored contents. A plurality of the drawers 30 may be provided up and down.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drawers 30a, 30b and 30c are provided in the right and left freezers, respectively. Of course,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drawer is provided in a freezer compartment as well as a freezer compartment. In addition, one or two drawers can be automatically interlocked with a single door,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four or more drawers automatically interlock with one door.

본 실시예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및/또는 개폐와 연동되어, 상기 드로워(30)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20)를 통해 우측 냉동실(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상기 우측 냉동실(13)에 구비되는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드로워의 자동 이동은 양쪽 냉동실(12, 13)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냉동실이 아닌 냉장실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moved for the sake of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opening and / or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2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can be automatically moved as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20. Of course, such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can be applied to either of the two freezing chambers 12, 13, or to both of them.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other than a freez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하부 냉동실(12, 13)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생략된 좌측 냉동실 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라 할 수 있고, 우측 냉동실 도어(20)는 열려 있는 상태이다. FIG. 2 shows only the lower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in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The left freezing compartment door is in a closed state, and the right freezing compartment door 20 is in an open state.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는 우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에 비해 저장실 내측으로 더욱 인입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모습을 기준으로, 좌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위치를 초기위치 그리고 우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위치를 조작위치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an the drawer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2,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operating position.

다시 말하면, 도어(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의 드로워(30)는 초기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며, 도어(2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의 드로워(30)는 조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rawer 3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is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drawer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can be said to be loc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배면에 수납 박스나 바스켓(25)들이 구비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도어 저장 영역(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 특히 도어에 구비되는 바스켓(25)과 드로워(30)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드로워는 초기위치로 인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저장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도어(20)를 열면, 상기 드로워(30)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조작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의 전단부 또는 손잡이(35)가 사용자와 보다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storage box or basket 2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and a separate door storage area 21 can be formed through the storage box or the basket 25. In order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basket (25) provided on the door (20), especially the door, and the drawer (30), the drawer is pulled to the initial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door (20) is closed.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20 to withdraw the stored product,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forwardly moved operating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draw the drawer. Therefore, since the front end of the drawer or the handle 35 is moved to a position closer to the user, the user can more easily draw the drawer.

즉, 초기위치는 드로워가 실질적으로는 최대로 저장실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드로워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조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위치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5)를 잡기 위해 저장실 깊숙이 손을 집어넣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드로워(3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위치는 대기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드로워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위치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may be a draw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drawer is substanti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toreroom, and the operation position may be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operating posi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drawer 30 very conveniently because he or she does not need to put his / her hand deep into the storage room to hold the handle 35. [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tandby position. This is because, on the drawer side, it may be a position waiting for user's opera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는 조작위치에서도 저장실의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20)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드로워(30) 특히 드로워의 전단부 또는 손잡이(35)가 개구부(17)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여전히 드로워(30)가 저장실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한다는 것은 반드시 드로워(30)의 사용 내지는 인출을 의도한 것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도어 저장 영역(21)을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20)를 개방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 개의 드로워(30)가 있는 경우, 특정 드로워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출되지 않을 드로워(30)가 저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것은 냉기 손실만을 야기할 뿐이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does not depart from the opening 17 of the storage chamber even in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even if the door 20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drawer 30, particularly the drawer, or the handle 35 is positioned behind the opening 17.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is still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This is because opening the door 20 by the user may not necessarily be intended for use or withdrawal of the drawer 30. [ For example, the door 20 may be opened to use the door storage area 21. Furth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awers 30, drawers 30 which are not drawn out can be taken out of the storeroom only because specific drawers can be taken out, which causes only cold loss.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도어 개방 형태, 특히 도어 개방 각도에 따라, 드로워가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하게 드로워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기 손실 및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드로워와 도어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is automatically moved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manner of the user, in particular, the door opening angle. This prevents unnecessary movement of the drawer, thereby reducing cold loss and energy los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and the door can be minimized.

또한, 도어가 열리면 기본적으로 저장실의 냉기가 손실된다. 그리고,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드로워의 바스켓 내부의 냉기도 손실된다. 즉, 드로워의 인출 길이가 커짐에 따라 바스켓 내부의 냉기 손실이 가속되며, 특히 드로워가 상기 개구부보다 더욱 전방으로 인출되면 냉기의 손실은 더욱 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의 바스켓 내부의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드로워의 조작위치에서도 상기 드로워(30)가 저장실 내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lso,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ld air in the storage room is basically lost. As the drawer is drawn, the cold air inside the drawer's basket is also lost. That is, as the draw-out length of the drawer increases, the loss of cold air in the basket accelerates, and the loss of cold air can be further accelerated, especially when the drawer is drawn further forward than the opening.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cold air inside the basket at the operat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does not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even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상기 조작위치는 일례로 상기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대략 120mm 이동된 위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의 간격은 냉장고의 형태, 드로워의 위치, 상기 도어의 저장 영역(21)이 저장실 내부로 인입된 거리 그리고 냉장고의 용량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조작위치는 상기 드로워의 전단부 또는 손잡이(35)가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는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개구부보다 내측에 상기 전단부 또는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ng position may be, for example, a position shifted approximately 120 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course, the interval between the operation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the position of the drawer, the distance the door 21 is drawn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of the drawer or the handle 35 does not come out of the opening 17 of the storage room.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portion or the handle is locat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without leaving the opening portion.

본 실시예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열리면 상기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인출)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150,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는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0, 도 3 참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is automatically moved (drawn out)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when the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Accordingly,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tor drive unit 150 (see FIG. 5) for moving the drawer and includes a sensor 40 (see FIG. 3) for sensing the condition of driving the motorized drive unit desirable.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40)는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40)에서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 구동부(10)가 작동하여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the sensor 40 is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20, and when the sensor 40 senses the opening of the door 20, the electric driving unit 10 operates, The lower lev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도어(20)는 스윙 타입 도어로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도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상기 개구부(17)를 완전히 막는 상태를 0도 각도라 정의하면, 상기 도어(20)는 90도를 초과하도록 회전시켜 개방될 수 있다. The door 20 may be a swing-type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That is, if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completely closes the opening 17 is defined as a 0 degree angle, the door 20 can be opened and rotated by more than 90 degrees.

여기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개구부(17)에서 조금 벗어나는 경우도 넓게 보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와 개구부(17)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도어가 개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 배면에 구비되는 가스켓(22)과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도어(20)가 개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기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Here, even when the door 20 slightly deviates from the opening 17,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is open when viewed from a wide angle. For example, whe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opening 17 is released,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is open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gasket 22 and the cabinet 1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is released, the door 20 is opened. Therefore, in such a state, cold air loss can inevitably occur.

이러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해제됨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켜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가 켜진 후 상기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수행되면 상기 조명장치가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개방 각도를 통해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기구적으로 스윙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door switch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The door switch may b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is released through the door switch, the lighting device can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If the door 2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cabinet 10 through the door switch after the illumination device is turned on, the illumination device can be controlled to be large. Therefore, the door switch sens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relatively small opening angle. Generally, such a door switch can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of swinging mechanical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상기 도어 스위치와 조명장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Details of the door switch and the ligh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의 개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인출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도어(20)를 개방할 때, 상기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드로워 인출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전술한 도어 스위치에서 감지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the opening of the door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aid to be the draw-out of the draw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20 on the assumption that the drawer is drawn out and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draw-ou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detected by the door switch described above.

일례로, 사용자가 도어(20) 배면의 도어 저장 영역(21)에 수용된 저장물만을 인출하려 할 때, 도어를 40도 내지 50도 각도로만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는 계속해서 초기위치 상태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도어 스위치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한 상태라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tends to draw out only the stored contents stored in the door storage area 21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20, the door can be opened only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In this case, the drawer would preferably be in the initial position state continuously. Of course, in the door switch,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여 사용하려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경험적으로 도어를 90도 이상 개방해야 함을 알고 있다. 왜냐하면, 90도 이하의 도어 개방 각도에서는 드로워가 완전히 인출되기 전에 상기 드로워가 도어 배면의 바스켓(25) 등에 걸리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드로워가 도어와의 간섭없이 완전히 인출되기 위해서는, 도어가 일례로 100도 이상 개방되어야 함이 일반적이다.When a user tries to draw and use a drawer, he or she generally knows that the user must open the door 90 degrees or more. This is because, at the door opening angle of 90 degrees or less, the drawer is caught on the basket 25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before the drawer is completely drawn out. In order for the drawer to be fully withdrawn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door, it is common for the door to be opened, for example by more than 100 degrees.

따라서, 드로워의 자동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실질적으로 8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 전후 각도임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어 전동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하는 데 일정 시간이 소요됨을 감안하기 위함이다. 즉,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각도는 드로워와 도어 사이의 간섭이 완전히 배제되는 도어의 개방 각도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드로워가 자동 이동을 시작하는 각도는 상기 도어와 조작위치에서의 드로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drawer is substantially 80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approximately 90 degrees or so.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at such an angle so that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This is because it takes a certain time for the drawer to move to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the angle at which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 which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and the door is completely exclud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at which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and the drawer starts to automatically move is determined so that the drawers at the door and the operating position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상기 드로워가 조작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배면 바스켓(25)과 간섭되지 않는 각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25)은 도어의 배면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25)은 개구부(17)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드로워가 상기 개구부(17)까지 인출되기까지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바스켓(25)과 간섭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된다. 물론, 도어가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를 더욱 인출하는 경우 상기 드로워(30)와 바스켓(25) 사이의 간섭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를 완전히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개방 각도가 더욱 커져야 함을 전술한 바 있다.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drawer may be an angl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ar basket 25 of the door when the drawer is drawn to the opera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2, the basket 25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herefore, when the door is opened at 90 degrees, the basket 25 is located at a position out of the opening 17. [ This means that the drawer 30 is not interfered with the basket 25 until the drawer is drawn to the opening 17. Of cours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basket 25 may occur if the drawer is further drawn out with the door 90 degrees open. Therefo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must be further increased in order to fully draw the drawer.

이러한 이유로, 상기 센서(40)는 도어(20)가 드로워 인출을 위한 기설정된 도어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센서(40)는 마그넷(42)과 리드 스위치(41, reed switch)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리드 스위치(41)만을 센서라 할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마그넷(42)을 통해서 기설정된 도어 개방 각도를 감지한다고 할 수도 있다.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40 is a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sensing a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gle for drawing out the door 20. To this end, the sensor 40 preferably includes a magnet 42 and a reed switch 41. Of course, only the reed switch 41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and the reed switch may detect the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e magnet 42. [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의 거리가 가변됨에 따라 리드 스위치에 가해지는 자력 세기가 가변된다. 즉,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특정 이격 거리, 즉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되는 거리는, 상기 마그넷(42) 자체의 자력을 달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varies,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reed switch varies. That is, the specific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that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41 is changed, can be estimated relatively accurately by chang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itself.

도 3에는 센서(40)에 대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도어(20)가 90도 각도로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지면에 고정된 레그(2) 인근에 위치되는 힌지 커버(45)에 대해서 도어(20)가 90도 회전되어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지면에서 상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이다. Fig. 3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n an embodiment of the sensor 40. Fig. 3, the door 20 is ope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hat is, the door 20 i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inge cover 45 located near the leg 2 fixed to the ground. 3 is a view from the ground toward the upper part.

상기 리드 스위치는 힌지 커버(45)에 위치되고 상기 마그넷(42)은 도어(2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도어(20)의 캡 데코(24)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리드 스위치를 도어(20)에 위치시키고, 상기 마그넷(42)을 힌지 커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점이 형성되고, 외부로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이 리드 스위치이므로, 상기 리드 스위치는 고정된 구성, 즉, 상기 힌지 커버(45)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reed switch may be located in the hinge cover 45 and the magnet 42 may be provided under the door 20. Specifically, the magnet 42 may be provided on the cab decor 24 of the door 20. Of course, the reed switch can be placed on the door 20, and the magnet 42 can be placed on the hinge cove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ed switch is located in the fixed configuration, that is, the hinge cover 45, because the contact is formed and the configuration for transferring the door open signal or the closing signal to the outside is the reed switch.

도어(20)는 힌지축(23), 즉 도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리드 스위치(41)과 마그넷(42)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는 도어(20)의 개방 각도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그러나,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수평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힌지축(23)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고 회전하게 되며, 이때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마그넷(42)과의 수평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because the door 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3, However,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change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varies. That is, the magnet 42 rotates with the same radius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3, and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magnet 42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t this time.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리드 스위치(41) 인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마그넷(42)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최대로 근접한 후 다시 상기 리드 스위치에서 멀어지게 된다. 즉,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더우 커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2)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례로,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90도 각도에 이르면,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41)의 접점 변경이 도어 개방 온(on) 신호의 발생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가 기설정된 각도까지 개방되면 이를 도어 개방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 각도(예를 들어, 90도) 미만 사이의 구간에서는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2)에 영향을 미쳐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유지되고, 개방 각도에 도달하면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2)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못해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된다.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magnet 42 is positioned near the reed switch 41. Therefore,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can affect the reed switch 41. [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is increased, the magnet 42 moves away from the reed switch after approaching the reed switch at the maximum. That i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becomes larger,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does not affect the reed switch 42.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reaches an angle of 90 degrees,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can be changed. The change of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can be regarded as the generation of the door open-on signal. 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up to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oor opening. In other word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affects the reed switch 42 when the door 20 is closed and less than the opening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so that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When the opening angle is reach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no longer affects the reed switch 42, and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is changed.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다. 즉, 상기 임계점에 이르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며, 이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the reed switch has a critical point of effective magnetic force for switching the contact. That is,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is switched to the critical point, which means that the door is detected to be opened.

따라서, 이러한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을 통하여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도어 개방 각도(기설정된 각도)에서 도어 개방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sensor that senses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t becomes possible to generate the door open-on signal at a desired door opening angle (predetermined angle).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면서 도어 개방 각도에 이르면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임계점을 벗어나게 된다. 이는 반대로, 도어가 도어 개방 각도를 초과하여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 개방 각도에 이르면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각도와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닫힘 각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센서(40)를 통해서 동일한 각도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과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reaches the door opening angl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does not affect the reed switch 41. That is, it is out of the critical point. On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affects the reed switch 41 when the door is opened at the door opening angle when the door is closed with the door exceeding the door opening angle. Accordingly, the door opening angle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and the door closing angle for detecting the closing of the door can be set to be the same. Furthe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and the closing of the door through the same angle through one sensor 40.

다시 말하면, 상기 센서(40)는 동일한 각도를 통해 도어 개방 감지 그리고 도어 닫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각도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된 후 그 다음의 동일한 각도의 감지는 도어 닫힘 감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닫힘 감지 후 동일한 각도는 도어 열림 감지라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nsor 40 can perform door opening detection and door closing detection through the same angle. For example, the detection of the same angle after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at the same angle can be called door closing detection. Also, the same angle after door closing detection can be called door opening detection.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릴 때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힐 때도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배제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경우에도, 도어가 상기 드로워와 간섭되기 전에 미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and the drawer needs to be eliminated not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but also when the door is closed. That is, even when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aid that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before the door is interfered with the drawer.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그넷(4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마다 기설정된 도어의 개방 각도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90도로 설정하여 하나의 마그넷(42)과 리드 스위치(41)를 장착하는 경우, 제품마다 도어 개방 각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일부 제품은 85도 개방 각도를 감지하고, 일부 제품은 90도 그리고 일부 제품은 95도 개방 각도를 감지하여, 제품마다 감지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마그넷(42)의 자력 편차, 마그넷(42)과 리스 스위치(41)의 장착 편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when one magnet 42 is used as shown in FIG. 3,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a deviation of an opening angle of a predetermined door for each product occurs. For example, when one magnet 42 and the reed switch 41 are mounted by set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o 90 degrees, a deviation of the door opening angle may be generated for each product. That is, some products detect an 85 degree opening angle, some products have a 90 degree angle, and some products have a 95 degree opening angle. Such a deviation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magnetic force deviation of the magnet 42, mounting deviation of the magnet 42 and the lease switch 41, and the like.

또한, 하나의 마그넷(42)을 사용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제품 모델별로 특정 모델은 90도의 개방 각도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특정 모델은 85도의 개방 각도가 바람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Further, when one magnet 42 is used,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his is because an open angle of 90 degrees is preferred for certain models by product model, while an open angle of 85 degrees may be preferred for other specific models.

따라서, 기설정된 도어의 개방 각도에 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센서(4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하나의 마그넷(42)을 통해 구현된 센서(40)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마그넷을 이용한 센서(40)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sensor 40 that can chang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lexibly while reducing the variation in the opening angle of the predetermined door.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vide a sensor 40 using a plurality of magne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ensor 40 implemented through one magnet 42.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센서(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복수 개의 마그넷이 구비될 수 있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Basically, this embodiment is very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provided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리드 스위치는 힌지 커버(45)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마그넷(42)는 도어(20)의 캡 데코(2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24)는 도어(20)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42)는 상기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reed switch is located in the hinge cover 45, and the plurality of magnets 42 can be provided in the cab deco 24 of the door 20. The cab deco 24 may be configured to form a lower surface of the door 20. [ Accordingly, the magnet 42 is positioned inside the door 20. [

상기 리드 스위치(41)는 캐비닛(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 전방에 돌출되는 힌지 커버(45)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 특히 캡 데코(24)는 상기 힌지 커버(45)의 상부에서 소정의 상하 갭을 갖고 힌지축(23)을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The reed switch 41 may be fixed to the cabinet 10. For example, the hinge cover 4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10. The door 20, particularly the cab deco 24,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3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cover 45.

상기 마그넷(42)은 수평 마그넷(42a)과 수직 마그넷(4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도어(20)의 전면이나 캐비닛(10)의 전면과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이며,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마그넷이라 할 수 있다. The magnet 42 may include a horizontal magnet 42a and a vertical magnet 42b.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a magnet arrang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The vertical magnet 42b is a magnet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do.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일면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41)는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가로변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세로변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은 상기 리드 스위치의 세로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reed switch 41. [ The reed switch 4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roadside of the reed switch 41.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reed switch 41. The lateral side of the reed switch may be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reed switch.

그리고, 수평 마그넷(42a)과 수직 마그넷(42b)은 막대 형태의 자석으로 도 4에 도시된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높이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vertical magnet 42b are bar-shaped magnets, and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shown in FIG.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후방에서 좌우로 길게 늘어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마그넷(42b)는 리드 스위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로 길게 늘어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마그넷(42a, 42b)는 서로 이격되며 아울러 상기 리드 스위치(41)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마그넷과 수직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40 is close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in a shape elongated from the rear of the reed switch 41 to the left and right.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in the form of elongated back and forth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eed switch. In other words, the two magnets 42a and 42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reed switch 41. Therefore,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vertical magnet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두 개의 마그넷(42a, 42b)이 동시에 상기 리드 스위치(41)로 유효한 자력을 제공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two magnets 42a and 42b simultaneously provide effective magnetic force to the reed switch 41. [

또한,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상기 힌지축(2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마그넷(42b)와 상기 힌지축(24)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즉, 수평 마그넷(42a)의 회전 반경이 수직 마그넷(42b)의 회전 반경 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상기 힌지축(2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평 마그넷(42a)의 회전 반경과 유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hinge axis 23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magnet 42b and the hinge axis 24. [ That is, the turning radius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smaller than the turning radius of the vertical magnet 42b. The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hinge shaft 24 may be set to be similar to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이를 통해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1) 인근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직 마그넷(42b)는 상대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서 먼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수평 마그넷(42a)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중첩 가능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rotated near the reed switch 41 as the door 20 is opened and the vertical magnet 42b is relatively rotat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reed switch 41. [ . This means that the area in which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overlap with the reed switch 41 is relatively large.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서 감지되는 자력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이며, 상기 수직 마그넷(42b)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보조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refore,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reed switch 41 is basicall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vertical magnet 42b is also adversely affected by the reed switch 41 I am crazy.

자력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전제로 하면, 리드 스위치(41)에서 마그넷(42a)의 위치가 멀어짐에 따라 자력의 세기는 매우 급속하게 작아지게 된다. 이는 매우 짧은 구간에서 마그넷이 이동하더라도 매우 큰 자력 세기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자력의 영향이 미치는 위치에서 자력이 영향이 미치지 않는 임계점, 즉 도어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마그넷, 예를 들어 수평 마그넷(42a)만 구비되는 경우 임계점 전후에서 급격한 자력 세기의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임계점 설정이 어렵게 된다. Assum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becomes very small as the position of the magnet 42a in the reed switch 41 becomes farther away. This means that even if the magnet moves in a very short interval, a very large magnitude of magnetic force can be generated.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precisely set the critical point at which the magnetic force does not affect the position of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that is, the door opening angle. In other words, when only one magnet, for example,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provided, a sudden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ccurs before and after the critical point, so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set the critical point.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마그넷(42b)을 통하여 임계점까지는 자력 세기의 변화가 완만하게 진행되다가 임계점 이후에 자력 세기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임계점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보조 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임계점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자력 변화가 제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nge of the magnetic force intensity gradually progresses to the critical point through the vertical magnet 42b, and the change of the magnetic force intensity rapidly occurs after the critical point. That is, since the vertical magnet 42b continuously supplies the auxiliary magnetic force until reaching the critical point, the rapid magnetic force change to the critical point can be restrict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점 즉 도어의 개방 각도를 90도 전후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41)에서 감지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itical point, that i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an be easily set to about 90 degrees.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detected by the reed switch 41.

구체적으로, 수직 마그넷(42b)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수평 마그넷(42a)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직 마그넷(42b)은 고정 마그넷 그리고 수평 마그넷(42a)는 변동 마그넷이라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magnet 42b can move the horizontal magnet 42a shown in FIG. 4 back and forth in a fixed state. That is, the vertical magnet 42b is a fixed magnet and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a variable magnet.

수평 마그넷(42a)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힌지축(23)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다시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기준(즉, 도어가 90도 열린 상태에서)으로 수평 마그넷(42a)과 리드 스위치(41)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수평 마그넷(42a)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미치는 자력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도어(20)가 더욱 개방되어야 한다. 즉, 도어 개방 각도를 90도 초과하여 기설정하기 위해서 수평 마그넷(42a)을 힌지축(23)과 가깝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moved back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hinge shaft 23 is reduced. 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reed switch 41 becomes smaller with the reference shown in Fig. 4 (i.e., when the door is opened at 90 degrees). Therefore, the door 20 must be further opened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reed switch 41 by the horizontal magnet 42a. That is,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horizontally moved close to the hinge shaft 23 in order to set the door opening angle exceeding 90 degrees.

반대로, 수평 마그넷(42a)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힌지축(23)과 멀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 마그넷(42a)와 리드 스위치(41) 사이의 거리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Conversely,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moved forward. That is, it can be horizontally moved away from the hinge shaft 23.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reed switch 41 is increased.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eliminated in a state where the door opening angle is smaller than 90 degrees.

결국, 보조 마그넷인 고정 마그넷(42b)와 주 마그넷인 변동 마그넷(42a)을 통하여 도어 개방 각도를 탄력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lexibly set the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e fixed magnet 42b, which is the auxiliary magnet, and the variable magnet 42a, which is the main magnet.

한편, 전술한 센서(40)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의 하부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마그넷의 상부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4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에 마그넷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 데코와 마주보는 위치에 리드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나, 도어의 개방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 사이의 수직 거리는 고정되며, 도어의 개방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 사이의 수평 거리가 가변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sensor 40 described above, an example in which a reed switch is provided under the magnet has been described. However, on the contrary, a reed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magnet. For example, a magnet may be provided on the door decors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40, and a reed switch may be mounted on the door facing the door decor. In any cas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eed switch is fixed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and the magnet will vary as the door opening angle changes.

본 실시예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단순한 리드 스위치와 마그넷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기설정 도어 개방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과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냉장고의 모델 별로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어느 정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마그넷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넷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With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and the closing of the door at a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gle simply and accurately by using a relatively simple reed switch and a magnet.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gle may be set to some extent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s can be varied and applied flexibly.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40)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드로워(30)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조, 드로워(3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 내지는 구성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드로워를 지지하고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무빙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와 연관되는 드로워의 구체적인 구성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40,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refore,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drawer 30 so as to be movable, and a structure or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drawer 30 are required. Hereinafter, the moving assembly 100 for supporting the drawer and moving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pecific configurations of drawers associated with the moving assembly 100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냉동실 측벽에 결합될 수 있는 무빙 어셈블리(10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냉동실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인 격벽(16)과 상기 냉동실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무빙 어셈블리(100)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는 상기 냉동실 격벽(16) 좌우에 각각 냉동실이 구비되는 경우이며, 냉동실이 하나인 경우 상기 격벽(16)은 냉동실의 좌측 단열벽(좌측 측벽) 또는 우측 단열벽(우측 측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6) 좌우에 각각 냉동실이 구비되는 경우, 양쪽 냉동실이 아닌 어느 하나의 냉동실에만 무빙 어셈블리(10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나,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는 저장실의 측벽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FIG. 5 shows a moving assembly 100 that can be coupl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side wall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re is shown a moving assembly 100, which is positioned on ei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6, which is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eezing chamber barrier wall 16, respectively. Of course, this is the case where the freezing compartment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partition wall 16. When the freezing compartment is one, the partition wall 16 may be a left side wall (left side wall) or a right side wall (right side wall) . When the freezing compartments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6,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installed in only one of the freezing compartments. In either case, the moving assembly 10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좌우 냉동실이 구분되는 경우, 좌측 단열벽 또는 우측 단열벽에 이러한 무빙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은 단열 성능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종래의 단열벽 두께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무빙 어셈블리(100) 저장실 내부 공간이 매우 작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냉동실의 측벽들 중 단열 성능이 우선되지 않는 냉동실 격벽(16)에 이러한 무빙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the right and left freezing chambers shown in Fig. 1 are divided, mounting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left side insulating wall or the right side insulating wall is very dis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n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heat insulating wall thickness is maintained,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very small.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ount this moving assembly 100 on the freezer compartment wall 16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among the side walls of the freezing chamber is not prioritized.

상기 격벽(16)은 좌우 냉동실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동일한 형태의 무빙 어셈블리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냉동실에 모두 자동으로 인출/인입되는 드로워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barrier ribs 16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ribs defining the left and right freezing chambers. That is, the same type of moving assemblies may b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of the partition 16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drawers that are automatically drawn out / drawn into the left and right freezers can be provided.

이하에서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측벽, 특히 좌우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16) 좌우에 각각 무빙 어셈블리(100)가 장착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in which the moving assembly 100 is mounted on the side walls forming the storage compartment,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partition walls 16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storage compart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는 드로워(30)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들을 형성한다. 아울러,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구조들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oving assembly 100 serves to support the drawer 30 movably back and forth. Then, the drawers 30 form structures that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In addition, the drawers 30 can form structures that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는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냉동실의 일측벽 특히 상기 격벽(16)에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전동 구동부 등 다양한 구성들이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통해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가 하나의 어셈블리로 냉동실의 일측벽 특히 상기 격벽(16)에 장착되거나 상기 격벽(1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무빙 어셈블리(100)가 일체로 저장실의 측벽에 결합되거나 측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으며, 추후 유지 보수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일(120)에서 드로워(30)를 분리한 후,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무빙 어셈블리(100) 일체를 상기 격벽(16)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무빙 어셈블리를 모두 형성한 후 상기 격벽(16)에 장착한 후, 상기 레일(120)에 드로워(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및 추후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The moving assembly 100 preferably includes a support frame 110.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rticularly the partition wall 16. As described later,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electric drive unit, and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ne side wall of the freezer chamber, Can be mounted on the partition 16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That is,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an be very simple, and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in the future. This is because, after the drawer 30 is separated from the rail 120, the entire moving assembly 100 including the support frame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as will be described later . On the contrary, after all the moving assemblies are formed, they may be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16, and then the drawers 30 may be coupled to the rails 120. Therefore, manufacturing and subsequent maintenance becomes very easy.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은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상기 저장실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A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The rails 120 may be provided so that drawers are moved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hamber. That is, the drawer 30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hamber through the rail 120. The drawer 30 can be slid back and forth through the rail 120 and moved.

상기 드로워(30)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레일(120)도 이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지지 프레임(110)에 복수 개의 레일(120)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레일(120)이 상하로 장착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drawers 30, a plurality of the rails 12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rails 120 can be mounted on the single support frame 110.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ails 120 can be mounted vertically.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격벽(16)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격벽(16)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130)을 형성한다. 이러한 소정 공간(130)은 저장실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구비되는 구성은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소정 공간을 격리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가 장착되기 위한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110 is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16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130 between the partition wall 16 and the support frame 110. The predetermined space 130 is a space that is not exposed in the storage chamber. Therefore,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is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For this reason,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referred to as an isolation space, and it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ic drive unit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electric drive unit, as described later.

상기 소정 공간, 격리 공간 내지는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13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과 격벽(16)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면(112)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에는 상기 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저장실 내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pace, the isolation space or the electric driving part mounting space 13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partition wall 16, And is not exposed to the inside. On the other hand, configuration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For example,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id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so that the rail 120 may be expos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는 전동 구동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상기 전동 구동부(150)를 덮고 있기 때문이다. The motor driving unit 15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Accordingly,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not substantial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is is because the support frame 110 covers the electric drive part 150. [

구체적으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격벽(16)이 아닌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상기 격벽(16)에서 분리되면, 상기 전동 구동부(150)도 상기 격벽(16)과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electric driving part 15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rather than the partition wall 16. That is, when the support frame 110 is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16, the electric drive part 150 may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16.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구동됨에 따라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드로워(30)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터 어셈블리(160)와 드로워(30)가 이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는 무빙 프레임(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as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driven. The motor driving unit 150 includes a motor assembly 160 for generating a force for moving the drawer 30 and a moving frame 170 for applying a force to the drawer 30 to move the drawer 30 .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이동은 상기 드로워(30)의 전후 이동과 동일한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Here, the back and forth movement can be said to be the same direction as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drawer 30. That is,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30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 전체가 실질적으로 상기 소정 공간(130)에 위치 때문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 전체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 모습이 저장실 내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30)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 일례로 후술하는 전달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For exampl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refore, since the entire moving frame 170 is substantially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he entire moving frame 170 and the moving frame 170 can not be viewed inside the storage room. However, as described late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must be transmitted to the drawer 30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hamb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force, for example, a transmitting member described later,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되는 모터 어셈블리(160)의 힘을 상기 소정 공간(130) 외부에 위치되는 드로워(30)로 전달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170 may transmit the force of the motor assembly 160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o the drawer 30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13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6)에는 관통부(1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16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도 5에 도시된 기준으로 기설정된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시켜 상기 저장실과 격리시킬 경우, 상기 격벽(16)의 좌우 폭이나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폭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이는 저장실 내부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6a)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로 인하여 상기 저장실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a penetration portion 16a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rib 16. The penetration portion 16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motor assembly 160. The motor assembly 160 may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based on the reference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motor assembly 160 is plac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and isolated from the storage room, the width of the partition wall 16 and the width of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excessively large. This means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narrowed. Therefore, the storage spa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motor assembly 160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16a.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가 상기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경우, 좌측의 모터 어셈블리(좌측 냉동실의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16a)를 관통하여 우측의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우측의 모터 어셈블리(우측 냉동실의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16a)를 관통하여 좌측의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50)는 상하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50)는 좌우 폭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상하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50)가 좌우로 나란히 위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무빙 어셈블리로 인한 두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articularly, when the moving assembly 100 is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of the partition 16, a part of the left motor assembly (the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drawers of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And may be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on the right side. Conversely, a portion of the motor assembly on the right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drawers of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on the left through the penetrations 16a. In addition, the two motor assemblies 150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at is, the two motor assemblies 150 may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position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partially overlapped. This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due to the moving assembly, rather than when the two motor assemblies 150 are positioned side by side.

여기서, 상기 관통부(16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6a)에 모터 어셈블리(150)가 형합되어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6) 좌우에 각각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16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는 일측 모터 어셈블리가 관통하고 하측에는 타측 모터 어셈블리가 관통하게 된다. 즉, 관통부(16a)를 통해서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6a)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상기 격벽(16)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 프레임(110)에 의해서 덮히게 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enetration portion 16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motor assembly 150. Therefore, the motor assembly 150 can be formed to be fixed and supported on the penetration portion 16a. When the motor assembly i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6, the penetration portion 16a may be formed long up and down. The one side motor assembly passes through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motor assembly passes through the lower side. That is, the two motor assemblies can be disposed up and down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6a. It is preferable that the penetration portion 16a is covered with the ground frame 110 as the support frame 110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6. [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에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작동하는 모터(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에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즉,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까지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 motor assembly 150 includes a motor 162 that operates through electrical energy. Therefore, electric wires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should be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150. That is, electric wires must be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of the refrigerator to the motor assembly 150.

상기 격벽(16)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상부 개구부(16b)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은 도 1에 도시된 수평 격벽(14) 내부를 통해 상기 수직 격벽(16)의 상부 개구부(16b)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 격벽(14)에는 전선 관통부(16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선이 상기 상부 개구부(16b)에서 상기 전선 관통부(16b)까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관통부(16c)에서 오른쪽으로 전선(16d)이 더욱 연장된 후 전선 결합부(16e)로 마감될 수 있다. 도시된 전선 결합부(16e)는 오른쪽에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150)와 결선되기 위한 전선 결합부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선 관통부(16c)의 왼쪽에도 전선 및 전선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artition 16 may have an upper opening 16b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The wires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may extend through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14 shown in FIG. 1 to the upper opening 16b of the vertical partition 16. A wire penetration portion 16c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14. That is, the electric wire can further extend from the upper opening 16b to the electric wire penetration portion 16b. The wire 16d may extend further to the right from the wire penetration portion 16c and then be finished with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The illustrated wire coupling portion 16e may be referred to as a wire coupl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150 provided on the right side. Likewise, a wire and a wire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wire penetration portion 16c.

상기 격벽(16)에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를 장착하기 전에 수평 격벽(14) 및 수직 격벽(16)을 통해서 전선을 연장시킨 후 상기 전선 관통부(16c)를 전선이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의 말단에 전선 결합부(16e)를 형성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electric wire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14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 before mounting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partition 16 so that the electric wire penetrates the electric wire penetration part 16c. And the wire connecting portion 16e can be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상기 전선 결합부(16e)는 전술한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빙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4)에 장착하기 전에 먼저, 상기 전선 결합부(16e)를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150)를 결선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부(115)와 격벽(16)에 형성되는 체결부(16f)를 통하여 무빙 어셈블리(100)를 격벽(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5, 16f)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류들을 제거하여 무빙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6)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선 결합부(16e)와 모터 어셈블리(100)의 결선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6)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즉, 격벽(16)과의 구조적 그리고 전기적 연결이 제거될 수 있다. The wire connecting portion 16e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described above. Therefore, before mounting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partition wall 14, the motor assembly 150 is first connected through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The moving assembly 100 can be fixed to the partition wall 16 through the coupling part 115 formed o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upling part 16f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6. The fastening portions 115 and 16f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oss for screw connection. Conversely, the screws may be removed to move the moving assembly 100 away from the partition 16. The moving assembly 10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by remov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and the motor assembly 100. [ That is, the structural and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artition 16 can be eliminated.

따라서, 상기 격벽(16)의 구조,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의 구조, 상기 격벽을 통한 전선의 연결 구조 등을 통해서, 무빙 어셈블리(100)의 결합, 분리 그리고 결선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ing assembly 100 can be easily coupled, dis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16, the structure of the moving assembly 10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00)는 모터(16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방향은 상기 격벽(16)과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자체의 크기(원통형 모터의 높이)로 인해 모터 어셈블리(100)의 좌우 폭이 커질 수 있다. The motor assembly 100 includes a motor 162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the motor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may be perpendicular to the partition wall 16. Therefore, the lateral width of the motor assembly 100 can be increased due to the size of the motor itself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moto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의 형상에 따라 원형의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100) 전체의 좌우 폭이 커질 필요없이 모터에 해당하는 부분만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부분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회피홈(116)을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That is, a circular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tor.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can accommodate at least a part of the mo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and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tor without increasing the width of the entire motor assembly 100. The motor escape groove 11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xtended portion.

우측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우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되는 모터 회피홈(116)에 의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들이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레일(120)과 레일(120)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escape groove 116 protrud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right support fra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ther structure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may be interfered by the protruded motor avoidance groove 116. [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between the rail 120 and the rail 120.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세 개의 레일(120)이 장착된다고 가정하면, 우측 지지 프레임에는 중간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좌측 지지 프레임에는 상부 레일과 중간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Assuming that three rails 120 ar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the right support frame may have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formed between the middle rail and the lower rail. Conversely, in the left support frame,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intermediate rail.

이러한 모터 회피홈(116)을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과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6)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소정 공간(130)의 전체 확장으로 인한 저장실 공간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motor escape groove 116, the motor assembly 16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In addition, by forming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the storage space due to the entire expans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130 described above.

만약, 상기 모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00) 전체의 좌우 폭을 더욱 키우는 경우, 일례로 모터 어셈블리의 하우징(16) 전체의 좌우 폭을 더욱 키우는 경우, 상기 모터 어셈블리(100)와 상기 레일 사이의 간섭 회피를 위해 상기 저장실 내부 공간이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I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ire motor assembly 100 are further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motor, for example,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ire housing 16 of the motor assembly are further increased, The spac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will be reduced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rails.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는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지지 프레임(110)에 하나의 드로워(30)에 대응되는 레일(120)과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drawer and exerting a force on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shows a rail 120 corresponding to one drawer 30 in the support frame 110 and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drawer 30.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잡아 당기거나 밀면서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킨다. 이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드로워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레일(120)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 즉 저장실 내부를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drawer 30 is support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rough the rail 120. Generally, a user pulls or pulls the drawer 30 by pulling or pushing the drawer 30. At this time, it is general that the rail 120 is provided so as to facilitate the pull-in and pull-out of the drawer while minimizing a necessary force. Therefore, the rail 120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 특히 모터 어셈블리(16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112)은 상기 측벽 또는 격벽(16)을 마주보는 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112) 부분에서 발생된 힘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11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 drive unit 150, particularly,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Here, the inner surface 112 may be a surface facing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wall 16. Therefore,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force generated in the inner side surface portion 112 of the support frame to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11 of the support frame is required.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슬릿(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113)을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3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a slit 113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sli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to the drawer 30 through the slit 113.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무빙 프레임(170)의 전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112) 부분에서 이동되지만,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일부, 즉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13)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111) 부분에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는 슬릿(113)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may include a transmitting member 171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drawer 30.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slit 113. That is, a part of the moving frame, that is, the transmitting member 171, passes through the slit 113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frame 171. In other words, substantially all of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at the inner side surface 112 of the supporting frame, So as to be moved on the outer side surface 111 of the frame. Accordingly,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lit 113. As shown in FIG.

상기 전달부재(171)는 전동 구동부의 힘,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서,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레일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로워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드로워(3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fer member 171 performs a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force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particularly,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to the drawer 30. [ That is,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ay push the drawer 30 to move the drawer 30 through the rail.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ove the drawer 30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operate the drawer.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상기 레일(120)과 아울러 드로워 홀더(18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드로워(30)에 한 쌍의 레일(120), 하나의 슬릿(113) 그리고 하나의 드로워 홀더(180)가 한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가 복수 개인 경우, 마찬가지로 이들도 복수 개의 세트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ounted with the drawer holder 180 along with the rail 120. Specifically, one drawer 3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rails 120, one slit 113, and one drawer holder 180 as one se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awers 30, these may also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sets.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30)가 인출될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30)가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인출은 전동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드로워의 인입은 드로워 홀더(18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3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In particular, the drawer 30 may be resiliently deformed when it is pulled out and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is retract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drawing of the draw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ectric driving portion, and the drawing of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drawer holder 180. Details of the mechanism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동 구동부(150)와 드로워(3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를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8은 드로워의 조작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를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서 바라본 모습이다.Hereinafter, the mechanism between the electric drive part 150 and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Figure 7 is a view of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viewed from the inner sid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Figure 8 shows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As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housing 110.

모터 어셈블리(16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과 상기 격벽(16) 사이의 소정 공간 내지는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1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partition wall 16 or in the electric drive part mounting space 130. Specifically,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하우징(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는 모터(162)와 기어(162a) 등 동력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61)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62) 형상에 의해서 상기 모터(162)에 해당되는 부분의 하우징(161)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모터 회피홈(116)에 안착될 수 있다.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housing 161 and a power structure such as a motor 162 and a gear 162a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61. [ Therefore, the housing 161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so that the motor assembly 16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61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tor 162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other portions due to the shape of the motor 162, Can be seated.

상기 기어(162a)는 회전 속도의 감속 및 토크 전달을 위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The gear 162a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and transmit the torque.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연결부재(163)를 포함한다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the connecting member 163. FIG.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61 of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 특히 상기 하우징(161)에서 인출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된 하우징(161)에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반대로,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이동시키게 된다.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different lead-out distance from the motor assembly 160, particularly the housing 161. That is, the pull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an be varied.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61 and the moving frame 170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in the fixed housing 161. On the contrary,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61 and the moving frame 170 decreases as the pull-out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decreases. Accordingly, the motor assembly 160 is driven to vary the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as a result,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상기 연결부재(163)의 일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연결부재 결합부(1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연결부재(163)가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63)의 이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is movably fixed to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170. The moving frame 170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ng member engaging portion 174 and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connecting member 163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engaging portion 174.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an be transmitted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63)는 랙(rack)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피니언(pinio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162a) 중 어느 하나가 피니언 기어로서 상기 연결부재(16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162)의 시계방향 회전이 상기 기어(162a)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전방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모터(16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상기 기어(163a)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후방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기어 구성으로 인해 모터의 회전 방향과 연결부재의 이동 방향은 반대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formed in a rack shape, and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pinion shape. That is, any one of the gears 162a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63 as a pinion gear. For example,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162 may be switched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via the gear 162a,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162 may be transmitted to the gear 163a to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 Of course, due to the gear configura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reversed.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정역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인출 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은 연결부재(163)를 밀거나 당기게 되며,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Therefore, the pull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pushes or pulls the connecting member 163, thereby pushing or pulling the moving frame.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력을 드로워(3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3)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ssembly 160 to the drawer 30. Therefore, bas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support frame 110.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드로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드로워가 저장실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가 개방되면 복수 개의 드로워 모두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 개의 드로워의 이동은 일괄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하나의 드로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드로워 모두에게 힘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not only one drawer but also a plurality of drawers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all of the drawers are preferab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awers is performed collectively.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force to not only one drawer but also a plurality of drawers.

상하로 복수 개 배치된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복수 개의 전달부재(171)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달부재들은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전달부재(171)는 하나의 드로워(30)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a force to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drawers,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addition,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mitting members 171. Likewise, the transfer members may be arranged vertically on one moving frame 170. [ One transmitting member 171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one drawer 30.

도 7과 도 8에는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에 3 개의 전달부재(171)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하여 상하로 배치된 3개의 드로워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즉, 단일 연결부재(163)의 이동을 통해서 3 개의 드로워가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150), 하나의 연결부재(163) 그리고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을 통해 복수 개의 드로워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도어(20)와 연동되는 전동 구동부(150)를 하나만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복수 개의 드로워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성이 단순할 수 있고, 쉽고 용이한 제어 로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igs. 7 and 8 show an example in which three transfer members 171 are formed on one moving frame 170. Fig. This means that one moving frame 170 moves and three vertically arranged drawers can be moved. That is, the movement of the single connecting member 163 means that the three drawers can be simultaneous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drawers can be simultaneously moved through one motor assembly 150, one connecting member 163, and one moving frame 170. That is, even though only one electric drive unit 150 is interlocked with one door 20, a plurality of drawers can be easily moved. Therefore,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e, and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the control logic easy and easy.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suppor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112 of the supporting frame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frame 170 is slidably suppor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복수 개의 드로워(3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 연장된 판 형태로 구비되며, 따라서,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할 때 상부와 하부의 이동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the plurality of drawers 3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frame 17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n upper and lower extending plate, so that the movement dev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minimized when the moving frame 170 moves.

이를 위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에 한 쌍 그리고 하부에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 좌우에 4 개의 지지점을 갖고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00)의 전후 이동 시 무빙 프레임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a sliding support portion 17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The sliding supporting portions 17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and a pair of the sliding supporting portions 172 on the lower portion.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oved with four supporting points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ing frame from being twisted when moving the moving frame 100 back and forth.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172) 형성될 위해서 좌우 폭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부분에 전달부재(171)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중간에 형성되는 전달부재 부분에는 이러한 확장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에 형성되는 전달부재(171)가 장기간 사용시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상기 전달부재(171)가 꺾여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enlarged to form the support portions 172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ay be formed on the extended portion. On the other hand, such an extended portion may not be formed in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portion. Therefore, the transfer member 171 formed in the middle may be separated from the moving frame 170 during long-term use. That is, there is a risk th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member 171 and the moving frame 170 is broken. This is because the transfer member 171 may be protruded from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transfer member 171 may be bent and broken when the transfer frame 171 is used for a long tim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중간에 구비되는 전달부재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에는 미도시된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도 보강 리브는 힘을 받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an unillustrated strength reinforcing rib is formed between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moving frame 170 provided in the middle. The strength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가이드 바(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14)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부 가이드 바와 하부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상기 가이드 바(114)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상기 가이드 바(114)를 감싼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A guide bar 114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110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frame 170 more smoothly. The guide bar 11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guide bar may include an upper guide bar and a lower guide bar. The sliding support portion 17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114. Therefore, the sliding support portion 172 can be slid back and forth while the guide bar 114 is wrapped.

상기 가이드 바(114)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 사이에는 POM 재질의 라이너(173, 도 9 참조)가 개재될 수 있다. 즉,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라이너가 개재될 수 있다. POM 재질은 매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그리고 마찰 저항이 적고 자체 윤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바(114)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유가 칠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A liner 173 (see FIG. 9) made of a POM materia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bar 114 and the sliding support portion 172. That is, a liner formed of an engineering plastic such as polyacetal or polyoxymethylene may be interposed. The POM material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friction resistance and self-lubricating properties. Therefore, even if the motorcycle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upported to be smoothly mov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bar 114 is coated with lubricant such as grease.

한편, 도 7에서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상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는,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격벽(16)을 통해 상하로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60)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반대편의 지지 프레임(110)에는 모터 어셈블리(160)가 지지 프레임(110)의 상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7, the motor assembly 160 is moun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vertical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10. [ 5, the two motor assemblies 160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16, respectively. That is,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opposite support frame 110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vertical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10.

이러한 모터 어셈블리(160)의 위치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중심 부분이 아닌 상부로 치우친 부분 또는 하부로 치우친 부분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연결부재(163)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뒤틀리도록 힘을 가할 수밖에 없다.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부분이 아닌 편심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163)는 연장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64)는 상기 연결부재(163)의 말단(즉, 무빙 프레임과 연결되는 말단)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64)는 상기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을 더욱 지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연장부(164)는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하부에서 상부로 더욱 연장되고, 반대 편의 연장부의 경우에는,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상부에서 하부로 더욱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연결부재(163)의 상하 중심과 무빙 프레임의 상하 중심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무빙 프레임(170)의 뒤틀림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연장부(164)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빙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163)를 통해 가해지는 힘과 이동 변위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Due to the position of the motor assembly 160, the connecting member 163 pushes or pulls the upper or lower portion, which is not the upper and lower central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Therefore, bas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63 has to force to twist the moving frame. The connecting member 163 includes an extension 164 to minimize the force exerted on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moving assembly 170 rather than the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s thereof. The extending portion 164 may extend upward or downward from a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i.e., an end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Preferably, the extension 164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vertical center of the moving assembly 170. In other words, the extension 164 shown in FIG. 7 extends further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center of the moving assembly 170, and in the case of the extension of the opposite piece, . Thus, even if the vertical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vertical center of the moving fram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warping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inimized.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y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engaging portion 174 by the extended portion 164.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 engaging portions 174 may be provided to uniformly transmit the force and the moving displacement a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63 to the entir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슬릿(113)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3)은 드로워(30)의 개수와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3)은 지지 프레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슬릿(113)을 따라 전달부재(171)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냉장고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슬릿(113)을 따라 상기 전달부재(171)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관통하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 쪽에 구비되는 드로워(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재(171)가 상기 드로워(30)와 결합되거나 상기 드로워(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드로워와 연결되어 드로워(30)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110 has the slit 113 formed therein. The slits 113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drawers 30. The slit 113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and is formed to be long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upport frame 110 with reference to FIGS. The transfer member 171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slit 113. With the refrigerator as a reference,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slit 113.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drawer 30 provided on the outer side 111 of the supporting frame 110 because the transmitting member penetrates the supporting frame 110. That is,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ay be engaged with the drawer 30 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drawer 30. The transmitting member 171 is connected to the drawer so as to apply a force directly to the drawer 30.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에서 모터 어셈블리(150)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로 더욱 깊숙이 위치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assembly 150 and the moving frame 170 at the initial position is relatively small. In this state, the moving frame 170 is biased to the left. In other words, it is located deeper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센서(40)를 통해 도어(2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즉 도어 개방 신호가 발생되면, 모터 어셈블리(150)가 구동하게 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63)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밀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가 드로워(30)를 밀어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의 모습이 도 7에 도시된 조작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의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163)와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에 위치한 것이라 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163)와 무빙 프레임(170)은 조작위치에 위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지지 프레임(110), 모터 어셈블리의 하우징(161)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rough the sensor 40, that is, when a door open signal is generated, the motor assembly 150 is drive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assembly 150 and the moving frame 170 is It is relatively increased.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3 pushes the moving frame 170 to move the moving frame 170 forward.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pushes the drawer 30 to move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In other words, the appearance of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7 turns into the appearance of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operating position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shown in FIG. 7 are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shown in FIG. It can be said.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positional change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housing 161 of the motor assembly does not occur.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is movable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by being driven by the motor assembly 16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Further,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drawer so as to apply force to the draw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후술하겠지만, 상기 드로워(30)와 상기 무빙 프레임 특히 전달부재(171) 사이의 연결을 걸림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의 해제를 걸림 해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반대로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드로워(30) 사이의 연결 해제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 해제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서 수행되지만, 반대로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과 무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moving frame 171, particularly the transfer member 171, can be referred to as a jam, and such release of the connection can be referred to as jam release. Particularly, when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is preferably releas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 release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no force is applied to the drawer 30 when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n other words, the movement of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150, while conversely, the movement from the oper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150 Or the like.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드로워(30)의 자동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드로워(30)가 무빙 어셈블리(100)에 연결된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automatic movement mechanism of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drawer 30 connected to the moving assembly 100.

상기 드로워(30)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과 상기 바스켓(31)의 외부에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통해 레일(12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과 드로워 프레임(32)은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바스켓(3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의 구조와 드로워(30)와 레일(120)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drawer 30 may include a basket 31 for receiving a stored object and a draw frame 32 provided outside the basket 31. The basket (31) can be movably supported on the rail (120) through the draw frame (32).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ket 31 and the draw frame 32 are integrally movable. The draw frame 32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ket 31. Details of the structure of the drawer 30 and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rail 12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통해 구획된다. 그러나,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는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된 슬릿(113)을 통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draw frame 32 and the moving frame 170 are partitioned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However, the transmitting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may extend to the draw frame 32 through the slit 113 formed in the supporting frame 110. [0053]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연결을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 즉 상기 드로워(30)의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연결 해제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30)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ving frame 17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 frame 32.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witched to the movement of the draw frame 32 or the drawer 30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 frame 32. Conversely,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witched 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30 through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frame 32.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에는 걸림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3)는 후술하는 다른 걸림부재와 구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걸림부재(33)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awer may have a latching member 33 formed thereon. The latching member 33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latching member 33 for the sake of distinction from other latching members described later. The first latching member 33 may be formed on the draw frame 32 and extended toward the moving frame 17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은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으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의 이동은 무빙 프레임(170)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oved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is switched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to the operation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can be generated by a force pushing the moving frame 170 from behi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frame 170 moves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30.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상기 전달부재(171)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드로워(30)가 모두 초기위치 상태일 때에는 양자가 서로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부재(33)를 지속적으로 밀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드로워(30)도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first latching member 33 is preferab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171. When both of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are in the initial position, they are preferab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as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can be continuously pushed. Therefore, the drawer 30 can also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반대로,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 상태일 때 상기 전달부재(171)는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전달부재(171)와 상기 제1걸림부재(33)의 연결 또는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드로워(30)는 조작위치 상태를 유지하고, 전달부재(171) 특히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drawer 30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transmitting member 171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or engagement between the transmitting member 171 and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is released. Therefore, the drawer 30 maintains the operating position state, and the transmitting member 171, particularly the moving frame 170,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30)의 초기위치는 상기 드로워(30)가 여전히 저장실 내부에 위치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드로워(30)를 잡아당겨 상기 드로워(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실을 벗어나도록 인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30)의 최대인출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즉, 최대인출위치는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레일(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인출위치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기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위치와 상기 최대인출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는 기설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may be said to be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30 is still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ly, when using the drawer 30, the user opens the door 20 and pulls the drawer 30 to draw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wer 30 out of the storage room. Therefore, the maximum draw-out position of the drawer 30 can be defined. That is, the maximum draw-out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drawer 30 is drawn out as far as possible in a state where it is supported by the rail 120. Such a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predefined via the rail 120.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peration position and the maximum withdrawing position may be preset.

기본적으로, 상기 레일(120)을 통해 상기 드로워(30)는 초기위치와 최대인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30)는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Basically, the drawer 30 can be movably supported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via the rail 120. [ As described above, by driving the electric driving part 150,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여기서,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에서 상기 최대인출위치(상기 조작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드로워의 인출은 수동 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최대인출위치까지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30)는 수동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is manually pulled out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drawing position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drawing position, so that the drawer 30 can be manually drawn.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30)는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작위치에서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를 더욱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30)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상기 조작위치나 상기 조작위치 인근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물론,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까지 인입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raw the drawer 30. [ When the user uses the drawer 30, the drawer can be further drawn out manually from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use of the drawer 30 is completed, the drawer 30 can be manually pulled. For example, the user can manually draw the drawer 30 up to the operating position or the operating positio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anually pull the drawer 30 to the initial position.

즉, 도어의 개방과 연동되는 드로워(30)의 자동 인출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수행될 수 있고, 조작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는 수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automatic drawing of the drawer 30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can be perform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can be manually drawn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drawing position.

한편,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까지 인출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은 상기 연결부재(163)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의 인입은 항상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rawer 30 is draw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motor assembly 160 may operate to move the connecting member 163 to the initial position. Thus, the draw-in of the drawer 30 can always be performed manually.

일례로, 사용자가 최대인출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드로워(30)를 직접 밀어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대인출위치에서 작동위치까지 드로워(30)를 직접 밀어서 인입시킨 후, 도어(20)를 닫음으로써 드로워(30)를 초기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20)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 바스켓이 상기 드로워(30)를 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20)를 닫을 때 사용자는 드로워를 인입시키는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도어를 닫아야 한다. For example, the user can push the drawer 30 directly from the maximum draw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push the drawer 30 directly from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n pull the drawer 30 to the initial position by closing the door 20.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bas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pushes the drawer 30 as the door is closed. Therefore, when the user manually closes the door 20, the user must close the door by exerting a force greater than a force for pulling the drawer.

이상에서는, 기본적으로 드로워(30)의 자동 인출 관점에서 드로워(30)와 무빙 어셈블리(10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드로워(30)의 인출뿐만 아니라 인입시에도 사용자의 수고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the mechanism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moving assembly 100 has been described basically from the viewpoint of automatic drawing of the drawer 3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labor of the user in drawing the drawer 30 as well as in drawing.

본 실시예에서는, 드로워(30)의 인입 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드로워(30)가 조작위치 또는 상기 조작위치 인근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로워(30)의 자동 인출에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드로워(30)의 자동 인입에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20) 배면의 도어 바스켓)이 상기 드로워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20)를 닫는 힘 이외에 드로워를 인입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 to provide a convenience for the user when the drawer 30 is inser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brought into the operating position or the initial position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required to automatically pull the drawer 30 in the same manner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he user's power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3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impacted on the drawer, and it is unnecessary for the user to exert a force for pulling the drawer in addition to the force for closing the door 20.

이를 위해서, 도 5, 도 6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홀더(18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S. 5, 6 and 8, a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hat is,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like the rail 120.

구체적으로, 슬릿(113)을 기준으로 슬릿(113)의 하부에는 레일(120)이 장착되고 슬릿(113)의 상부에는 드로워 홀더(180)가 장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t 113, and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t 113.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조작위치 또는 조작위치 인근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탄성 복원력을 통해 초기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return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or the vicinity of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를 위해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를 잡고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30.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hold the drawer.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걸이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에는 제2걸림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무빙 프레임의 전달부재(171)와 연결되는 제1걸림부재(33)와는 별도로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에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awer holder 180 may include a hooking member 181. The hooking member 181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30. More specifically, the drawe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latching member (34). That is,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latching member 33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제1걸림부재(33)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atching member 33. Specifically,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raw frame 32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1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는 드로워(30)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34)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의 구간(이를 탄성구간이라 할 수 있다)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10, the hook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provided on the drawer 3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n a s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section),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180 .

상기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가 인출하게 되면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가 인입되면 상기 스프링은 탄성 복원된다. When the drawer 30 is drawn out from the elastic section, the sp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drawer holder 18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the elastic section, the spring is resiliently restored.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는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조작위치까지 인출된다. 드로워(30)가 인출되면서, 상기 드로워(30)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밀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이 인장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이 상기 드로워(30)를 자동적으로 인입되도록 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elastic section, the drawer 30 is automatically drawn fo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part 150. That is,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and the second hooking member 34 provided on the drawer 30 pushes the hooking member 181. The hooking member 181 moves forward together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so that the spring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one example, the spring may be tension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is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drawer 30.

더욱 구체적으로,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를 통해 상기 드로워(30)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드로워(30)에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의 제2걸림부재(34)를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인입하기 위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드로워(30)는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drawer holder (180)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part (15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drawer 30 is removed through the electric drive unit 150, the drawer 30 is subjected to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drawer holder 180. Therefore, the hooking member 181 pulls the second hooking member 34 of the draw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exert any extra force to draw the drawer 30,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제1걸림부재(33)를 밀기 위해서만 구비되는 반면, 상기 걸이부재(181)는 제2걸림부재(34)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당기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30)의 인출 시 상기 제2걸림부재(34)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시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당기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는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및 인출 시 항상 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로워의 인입 시 수동 인입이 아닌 자동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상기 드로워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드로워(30)의 자동 인입은 전술한 최대인출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의 구간이 아닌 조작위치 또는 상기 조작위치 인근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hooking member 181 is pulled by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and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is pulled by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provided for pulling. That is, the hooking member 181 is pulled by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and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ing member 18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are alway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and out of the elastic s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raw in the drawer, not the manual draw,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drawer with great convenience.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pull-in of the drawer 30 is perform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or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not the section from the maximum drawing-out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0 참조하여 드로워 홀더(180)에 의한 드로워의 자동 인입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utomatic draw-in mechanism of the drawer by the drawer holder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3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위치에서부터 상기 조작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이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awer holder 180 is resiliently deformed when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when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drawer 30. Her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drawer holder 18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도 10에서는 탄성구간이 초기위치보다 더욱 전방에서 시작되어 조작위치보다 더욱 전방에서 종료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In Fig. 10, ther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elastic section starts from the front more than the initial position and terminates more forward than the operating position.

먼저, 도 10에서는 초기위치에서의 제2걸림부재(34)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위치에서 제1걸림부재(33)와 전달부재(171)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First, in Fig. 10,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at the initial position is shown. In this initial position,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and the transmitting member 171 are connected.

도어가 개방되면, 전동 구동부(150)가 작동을 하여 전달부재(171)가 전방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33)를 밀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30)가 전방으로 인출되며, 마찬가지로 제2걸림부재(34)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door is opened, the electric drive part 150 operates to push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forward by the transmitting member 171. [ Therefore, the drawer 30 is pulled forward, and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is also moved forward.

도 10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걸이부재(181)가 탄성시작위치와 조작위치에 각각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편의상 하나의 전달부재(181)가 초기위치와 조작위치에 각각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달부재(181)는 초기위치에서 슬릿(113)의 왼쪽에 치우쳐 있고, 조작위치에서는 슬릿(113)의 오른쪽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10,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ne hook member 181 is shown positioned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ne transmission member 181 is shown in an initial position and an operation position,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181 is biased to the left of the slit 113 at the initial position and biased to the right of the slit 113 at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탄성시작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걸이부재(181)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하우징(182)에 형성되는 슬롯(183, 184)의 형상과 상기 걸이부재(181)의 연결관계를 달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moved forwar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reaches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181.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may be preset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so that the shape of the slots 183 and 184 formed in the housing 182 of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shape of the hooking member 181, And the like.

일례로,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0mm라고 할 경우,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30mm 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is 120 mm,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may be set to be 30 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걸이부재(18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드로워 홀더(180)의 스프링은 탄성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탄성시작위치에 이르러 더욱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181)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키게 된다. 그리고, 드로워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작위치에 이르면 탄성 변이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즉, 도 10의 오른쪽에 도시된 걸이부재(181)에는 제2걸림부재(34)가 걸린 상태가 되어, 드로워(30)가 조작위치 상태가 된다. Sinc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and the engaging member 181 is released until the drawer reaches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180 is not elastically deformed. As the drawer reaches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hooking member 181 is moved forward to elastically deform the spring. Then, when the drawer moves further forward and reaches the operating position, the elastic variation further increases. That is,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engaged with the hook member 181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0, and the drawer 30 is in the operated posi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20)의 조작위치에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를 인입시키기 위한 힘을 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위치에서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이 유지(일례로 시계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항상 상기 드로워(20)를 밀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 상태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어의 개방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이 유지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조작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무빙 프레임(17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역구동(일례로 반시계방향 구동)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rawer holder 180 applies a force to draw the drawer 30 at an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20. [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part 150 at the operation position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for example, clockwise drive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maintained so that the door 20 is always opened while the door 20 is being opened. In other words,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is maintained while the opening of the door is maintained,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operating position. Of cour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reversely drive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한편,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에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이 유지되는 것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과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더이사이 연결부재(163)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가 헛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시간 동안 작동을 유지한 후, 역구동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은 사용자가 특정 드로워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드로워를 인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무빙 프레임(170)을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대략 5초 가량 조작위치를 유지한 후 역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30 may cause the electric drive unit 150 to overload. This is because the motor deteriorates because the movable member 163 can not move forward. Accordingly, the motor driving unit 150 can return the moving frame 170 to the initial position by driving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n maintaining th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select a specific drawer and take out the specific drawer. For example,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n the operating position is maintained for about 5 seconds.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에 의한 드로워(20)의 자동 인출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의 인출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드로워(20)를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out of the drawer 20 by the electric driving part 150 i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refore, the withdrawal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That is, the user can pull the drawer 20 by pulling it directly.

조작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 드로워(20)를 인출시킬 때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인출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인출 시 상기 드로워 홀더(18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rawer 20 is pulled out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draw-out position, the drawer holder 18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to obstruct the draw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during manual drawing.

이를 위해 상기 드로워 홀더의 하우징(182)에 형성된 슬롯에 경사 슬롯(18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나란히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183, 184) 중 하부 슬롯(184)의 전방에 경사 슬롯(18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슬롯(185)은 후술하는 다른 경사 슬롯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경사 슬롯(185)이라 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lot 185 in a slot formed in the housing 182 of the drawer holder. Concretely,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lot 185 in front of the lower slot 184 among the two slots 183 and 184 formed vertically and in parallel. The inclined slot 185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nclined slot 185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another inclined slot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경사 슬롯(185)은 상기 슬롯(184)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에서 전방으로 조금만 더 인출하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1경사 슬롯(185)에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18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를 탄성종료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시작위치는 초기위치의 전방이며, 마찬가지로 탄성종료위치는 조작위치의 전방이라 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lot 185 is located in front of the slot 184. When the user draws the drawer 30 slightly further forwar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he hooking member 181 can be restrained in the first inclined slot 185. [ At this time, the hooking member 181 is rotated,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ing member 18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released. The position where the engagement between the hooking member 18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released is referred to as an elastic end position. Therefore,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in this embodiment is forward of the initial position, and similarly, the elastic end position can be said to be in front of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드로워를 최대인출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engagement between the hooking member 181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s released,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drawer manually to the maximum drawing position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drawer holder 18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조작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로워를 인출한 후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frame 170 can maintain the operating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user can manually draw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after drawing the drawer.

이때,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상기 조작위치까지 인입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종료위치와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 따라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가 상기 드로워(30)를 밀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걸이부재(181)와 재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히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드로워(30)를 인출하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잡아당겨, 상기 드로워(30)가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not draw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elastic end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is relatively short. Accordingly, the door can push the drawer 30 as the door is closed. That is, the drawer 30 may be pushed so that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is reconnected to the latching member 181. When the door is closed, the moving frame 17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force for drawing the drawer 30 is removed. Accordingly, the hooking member 181 can pull the second hooking member 34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180, thereby automatically returning the drawer 30 to the initial position .

전술한 바와는 달리, 탄성시작위치와 초기위치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드로워(30)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 변이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즉, 탄성구간이 커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can be made equal. However, in this case, the drawer 30 may be impacted when the drawer 3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case,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amount of the spring becomes relatively large (that is, the elastic section becomes larg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ay decrease with time.

따라서, 탄성시작위치를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드로워의 초기 복귀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그리고 말기 복귀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복귀 속도의 차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us, by setting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o be spaced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initial return speed of the drawer can be made relatively fast and the terminal returning speed can be made relatively slow. Here, the difference in the return speed is very important.

초기 복귀 속도는 도어의 닫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매우 빨리 닫히는데, 도어의 닫힘 속도보다 드로워의 초기 복귀 속도가 늦는다면, 도어에 의해서 드로워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반대로, 말기 복귀 속도가 빠르다면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0)에 의해 상기 레일(120)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는 초기에는 신속히 복귀하다가 말기에는 부드럽고 천천히 복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말기에는 관성에 의해서 드로워가 복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initial return speed is related to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For example, if a door closes very quickly, and the initial return speed of the drawer is slower than the door's closing speed, the door may be impacted by the door. On the contrary, if the terminal return speed is fast, the rail 120 may be subjected to a large impact by the drawer 2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is allowed to return quickly at the beginning and smoothly and slowly return at the en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is returned by the inertia at the end.

한편, 상기 드로워(30)의 인출 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걸이부재(181)와 연결되며, 반대로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상기 걸이부재(181)와의 연결은 해제된다. 이는 전술한 탄성종료위치에서의 구조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부 슬롯(183)의 후단에서 마찬가지로 제2경사 슬롯(186)이 형성되어 탄성시작위치에서 걸이부재(181)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경사 슬롯에서의 걸이부재(18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이 해제된다면, 상기 제2경사 슬롯(186)에서의 걸이부재(18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이 해제된다고 할 수 있다.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latching member 181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drawer 30 is retra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latching member 34 and the latching member 181 is released. This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ructure at the elastic end position described above. A second inclined slot 186 may likewise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lot 183 to allow the hooking member 181 to rotate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If the hooking member 181 in the first inclined slot described above rotates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connection, the hooking member 181 in the second inclined slot 186 rotates clockwise to release the connection can do.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드로워가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drawers can be automatically drawn and automatically drawn in the following order.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복수 개의 드로워는 초기위치 상태이다. 1) A plurality of drawers are in their initial pos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2) 도어의 열림 신호가 발생되면,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무빙 프레임을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드로워가 일체로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되어 멈추게 된다. 2)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door is generated,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to move the moving fram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As a result, a plurality of drawers are integr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stopped.

3) 드로워의 조작위치에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수동으로 더욱 인출할 수 있다.3)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the user can manually pull the drawer further.

4) 도어의 닫힘 신호가 발생되거나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동 구동부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가 드로워를 밀어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4)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a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or the drawer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electric driving part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he moving frame to the initial position. As the door closes, the door can push the drawer to return the drawer to its initial position.

5)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의 탄성 복원력은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될 때 발생된 탄성 변형에 의해서 발생된다. 상기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은 드로워 홀더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5) When the drawer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it can be automatically restored by elastic restoring force. At this ti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generated when the drawer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elastic deformation and the elastic restoration can be generated by a spring provided in the drawer hold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열리면 사용자가 드로워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조작위치로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조작위치에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가 상기 드로워를 밀어 초기위치로 인입될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인입될 수도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to the operating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draw the drawer. As the door is closed at the operating position, the door can be pushed into the initial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and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initial position by u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드로워의 인출과 인입 단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는 드로워(30)의 위치 변화에 따른 드로워 홀더(180)와의 연결 및 연결 해제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drawing and drawing steps of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11 shows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drawer holder 18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in sequence.

도 11(a)는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30)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11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도어의 열림 신호가 발생되면, 전동 구동부가 작동을 하여 드로워를 조작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0(b)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30)가 연결된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시작위치라 할 수 있다.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door is generated, the electric drive unit operates to move the drawer to the operating position. 10 (b) shows the point at which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are connected while the drawer is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is position can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start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초기위치에서 탄성시작위치까지는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레일(120)의 마찰력을 제외하고는 반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드로워의 인출에 방해되는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동 구동부의 초기 작동 시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시작위치에서부터는 드로워 홀더(180)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된다.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일례로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30mm 이격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The reaction force does not act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except for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ail 120 which is substantially negligible. That is, no force is generated that interferes with drawing of the draw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verload of the electric drive part in advanc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part. Then,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180 is elastically deformed from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may be set at a position spaced 30 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for example.

드로워가 상기 탄성시작위치를 벗어나 더욱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은 지속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As the drawer moves further out of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is continuously elastically deformed.

도 10(c)에는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Fig. 10 (c) shows a position where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is elastically deformed.

도 10(d)는 드로워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여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 즉 탄성종료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종료위치에서는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상기 드로워에 가해지지 않는다. 10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further moved forward and the drawer holder 180 is disconnected from the drawer, that is, the elastic end position. Therefore, at the elastic end positio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holder by the spring is not applied to the drawer.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작위치는 도 10(c)와 도 10(d) 사이의 위치임을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 탄성종료위치까지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로워를 인출하여야 하고, 이때에는 매우 짧은 거리 동안 사용자는 드로워 홀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겨야 한다. 사용자는 드로워의 탄성종료위치에서 수동으로 드로워를 더욱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탄성 복원력을 이기면서 드로워를 인출시키지 않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eration position is a position between Figs. 10 (c) and 10 (d). Therefore, the user must manually pull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elastic end position, at which time the user must overcome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spring for a very short distance. The user can manually pull the drawer further from the elastic end position of the drawer. At this time, the user does not withdraw the drawer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반대로 드로워가 인입될 때에는 사용자는 도 10(d)에 도시된 탄성종료위치 보다 더욱 후방으로 드로워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즉, 조작위치까지 드로워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위치에서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가 재연결된다. Conversely, when the drawer is retracted, the user can manually pull the drawer further rearward than the elastic end position shown in Fig. 10 (d). In other words, the drawer can be manually pull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t this operating positio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are reconnected.

도어의 닫힘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전동 구동부가 조작 위치에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 전동 구동부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즉, 전동 구동부를 통해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 드로워에는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드로워는 자동으로 인입되게 된다.When the closing signal of the door is generated, or when the electric drive portion has passed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operation position, the electric drive portion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pushing force of the drawer through the electric drive part is no longer maintained. Therefore, at the operating position, the drawer is provided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spring holder's spring. As a result,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드로워가 인입되면서, 도 10(b)에 도시된 위치까지는 드로워 홀더의 탄성 복원력이 드로워에 제공된다. 따라서, 드로워는 매우 빠른 속도를 갖고 복귀될 수 있다. 아울러, 초기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즉, 도 10(b)와 도 10(a) 사이의 구간에서는 탄성 복원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관성력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까지 복귀될 수 있다. As the drawer is retracted, up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b),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is provided to the drawer. Therefore, the drawer can be returned at a very high speed. In addition, when it comes close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in the section between FIG. 10 (b) and FIG. 10 (a),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released. Therefore, at this time, the drawer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inertia force.

이상에서는,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한 실시예 그리고 드로워의 자동 인입을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자동 인입을 위해, 드로워 적어도 2개의 걸림부재(33, 34)가 구비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embodiments for automatic drawing of drawers and embodiments for automatic drawing of drawer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Specifically, embodiments in which at least two hanging members (33, 34) are provided for automatic draw-out and automatic draw-in of the drawer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하나의 걸림부재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자동 인입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 메커니즘이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2,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utomatic draw-out and automatic draw-in of the drawer can be realized through one latch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asic mechanism or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similar or identical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fore,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모터 어셈블리(160)와 무빙 프레임(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저장실의 일측벽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작동함에 따라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he motor assembly 160 can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and the motor assembly 1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170. Similarly, as the motor assembly 160 operates, the moving frame 170 moves back and forth.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로워 홀더(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홀더도 저장실의 일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드로워 홀더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걸이부재(181)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부재(181)가 드로워(2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holder 180 can be similarly provided. The drawer holder may also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the same drawer hold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hooking member 181 projects laterally without protruding downward or upward. In other words, the hooking member 181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drawer 20.

상기 드로워(30)에는 걸림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36)를 밀어서 드로워(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6)는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의 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36)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36)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2걸림부재(34)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The drawer 30 may be provided with a latching member 36. That is, the drawer 30 is moved forward by pushing the latching member 36. The latching member 36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atch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Therefore, by the frontward movement of the drawer 30, the latching member 36 moves the latching member 181 forward. That is, the engaging member 36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second engaging member 3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181.

그러나, 상기 걸림부재(33)는 무빙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71)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36)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걸림부재(33)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걸림부재(36)가 드로워 홀더(180) 및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the latching member 33 may be moved forward by the transmitting member 171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70. [ That is, the engaging member 36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one latching member 36 is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moving frame 170.

구체적으로, 무빙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71)는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는 걸림부재(36)와 연결된 걸이부재(181)를 밀어서 결과적으로 걸림부재(36)를 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 방향으로 돌출된 걸이부재(181)의 후방 일측에서 상기 걸이부재(181)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mitting member 171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ook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That is, the transmitting member 171 pushes the hooking member 181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36, thereby pushing the engaging member 36 as a result. In other words, the transmitting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ooking member 181 from the rear side of the hooking member 181 protruding in the draw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의 무빙 프레임(170)은 연결부재(18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17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7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engaging portion 174 which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80.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176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tably moved back and forth.

상기 롤러(176)는 무빙 프레임의 상부에 2개소 그리고 하부에 2개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지지점을 갖고 무빙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롤러(176)는 저장실의 일측벽 상에서 롤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 176 may be formed at two places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frame and two places on the lower part. Therefore, the moving frame can be stably moved with four supporting points. Of course, the roller 176 may be provided to be roll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 홀더(18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36)과 상기 드로워 홀더(180) 사이의 간격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Particularly, the transmitting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back and forth within a distance between the engaging member 36 of the drawer and the drawer holder 180.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있으며, 무게를 줄이기 위한 복수 개의 슬릿(17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상하로 배열된 3개의 드로워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 전달부재(171)도 3개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두 개의 전달부재(171)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의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75)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에 형성되는 슬릿(177)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177) 부분에서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중간 전달부재라 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17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lits 175 for reducing weight can be formed. When the moving frame 170 is provided to move three drawers arranged vertically, three transfer members 171 must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two transmitting members 17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ing frame 170.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171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75.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through the slit 177 formed in the middl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slit is not formed in the slit 177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이 가능한 드로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되는 드로워는 일반적인 수동 인출 및 수동 인입되는 드로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the drawers capable of automatic drawing and automatic drawing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rawers described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general manual draw and manually drawn drawers.

상기 드로워(30)는 바스켓(31)과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저장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바스켓(3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rawer 30 may include a basket 31 and a draw frame 32. The basket (31)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stored product. The draw frame (32)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basket (31).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는 바스켓 안착부(38)와 레일(120)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37)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aw frame 32 may include a basket seating portion 38 and a rail engagement portion 37 coupled to the rail 120.

상기 바스켓 안착부(38)에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어 상기 바스켓(31)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스켓(31)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바스켓 안착부(38)에 안착되어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스켓(31)은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상기 바스켓(31)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The basket may be seated in the basket seating part 38 so that the basket 31 can be engaged with the draw frame 32. In particular, the basket 31 may be seated in the basket seating part 38 vertically downward and coupled to the drawer frame. On the contrary, the basket 31 can be disengaged from the draw frame while moving vertically upward. Therefore, the draw frame 32 and the basket 31 can be easily joined and separated.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38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8a)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38a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raw frame. The seating portion 38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38a.

상기 바스켓(31)은 상부 바스켓(31a)와 하부 바스켓(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스켓(31b)가 상기 개구부(38a)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바스켓(31a)가 상기 안착부(38)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스켓(31a)과 하부 바스켓(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ket 31 may include an upper basket 31a and a lower basket 31b. The lower basket 31b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8a and the upper basket 31a may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38. [ The upper basket 31a and the lower basket 31b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37)와 레일은 가급적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il engaging portions 37 may be extend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 frame 32 back and forth.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and the rail are shielded from the view of the user as much as possible.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레일 결합부(37)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바스켓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드로워 데코(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 데코(39)는 바스켓(31)의 전방 하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0)의 전방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37)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upper basket is formed to have a greater lateral width than the lower basket so as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from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draw frame 32 may include a draw decor 39. The draw decor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 frame 32. In particular, the draw decor 39 may be provid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basket 31.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n front of the drawer 30.

한편,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는 전술한 걸림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좌측 냉동실과 우측 냉동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는 드로워 프레임(32)의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0)가 우측 냉동실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측에 구비되는 걸림부재(33)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latching member 33 may be formed on the draw frame 32. The drawer may be commonly us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Accordingly, the latching members 33 may be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raw frame 3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er 30 is form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only the latching member 33 provided on the left side may be used.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는 드로워 홀더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걸림부재 장착부(34a)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장착부(34a)도 드로워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drawer frame 32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for mounting the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with the drawer holder. Similarly, the mounting portions 34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상기 드로워 홀더와 결합되는 걸림부재(34)는 자동 인입을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 인입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재(34)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 일체로 형성된 것과는 달리, 상기 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n engaging member (34) coupled with the drawer holder is provided for automatic withdrawal. Therefore, when the automatic pull-in is not required, the latching member 34 can be omitted. Therefore,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aw frame 32, the engaging member 34 is preferab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aw frame.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레일(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ail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와 일체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 레일(12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rail 1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rawer 3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120 includes a movable rail 121 which moves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drawer 30.

아울러,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121)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movable rail 121.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121)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얹혀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formed to have a channel-shaped cross-section so as to be seated while enclosing the movement rail 121.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engaging portion 37 is engaged with the moving rail 121.

상기 이동 레일(121)의 후단에는 걸림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5)는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걸림부(125)에 삽입되면,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에서 후방 이동과 상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A locking part 125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rail 121. The latching part 125 may be formed to insert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37. Therefore, whe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25, the rearward movement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restricted.

상기 이동 레일(121)의 전단에는 탄성 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128)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홀(37 a)가 형성될 수 있다. Elastic protrusions 128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rail 121. A mounting hole 37a for inserting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

상기 이동 레일(121)에는 상기 탄성 돌기(128)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레일(121)과 결합하는 탄성 돌기 브라켓(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126)의 일측에는 장착부(126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126)은 상기 장착부(126a)를 통해서 상기 이동 레일(12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vable rail 121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projection 126 for engaging with the movable rail 121 to form the elastic projection 128. A mounting portion 126a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lastic projection bracket 126 and an elastic projection supporting portion 126b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elastic projection bracket 126 can be coupled to the movable rail 121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126a.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와 상기 장착부(126b) 사이에는 절개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돌기(128)은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9127)를 통해서 상기 탄성 돌기(128)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 대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A cutout 127 may be formed between the elastic projection supporting portion 126b and the mounting portion 126b.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bent at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126b. Accordingly, the elastic protrusion 128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ortion 126b through the cutout portion 9127. [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돌기(128)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와의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심 쪽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lastic projection supporting portion 126b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elastic projection 128 may be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lastic projection supporting portion 126b. Therefore, the elastic protrusion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with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 126b is reduced. That is,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drawer.

한편, 상기 레일(120)은 고정 레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122)은 상기 이동 레일(121)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 레일(122)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Meanwhile, the rail 120 may include a fixed rail 122. The fixed rail 122 supports the fixed rail 122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121 so as to be slidable.

상기 레일(120)은 레일 브라켓(123, 124)를 통해서, 저장실의 측벽 또는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은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레일의 전방과 후방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20)은 드로워(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The rail 120 may be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support frame 110 through the rail brackets 123 and 124. The rail bracket may include a front rail bracket 123 and a rear rail bracket 124. That is, at least two support points can be form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one rail. These rails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30, respectively.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는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서 전술한 전달부재(171)이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와 상기 브라켓(123, 124)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슬릿(113)이 형성됨을 의미하게 된다.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mov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That is,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171 and the operating position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Therefore, the transmitting member 171 and the brackets 123 and 124 are not interfered. This means that a slit 113 of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드로워(30)와 레일(12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rawer 30 and the rail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Fig.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상기 레일(1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전방을 위로 하고 드로워의 후방을 아래로 하여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이 레일에 구비되는 걸림부(125)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In order to engage the draw frame 32 with the rail 120, the user places the draw frame 32 upwards with the front of the drawer up and the rear of the drawer down as shown in Fig. It can be moved backward.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rail engaging portion 37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125 provided on the rail and is engag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레일(120) 특히 이동 레일(121)의 상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121)을 감싸면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안착되면, 상기 드로워의 좌우 이동은 제한되게 된다. 9, the rail engaging portion 37 may be seated while covering the moving rail 121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il 120, in particular, the moving rail 121. Therefore, when the rail engaging portion 37 is seated on the moving rail 121, lateral movement of the drawer is restricted.

이후,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로워 프레임(32)의 전방을 하방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돌기(128)은 드로워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탄성 돌기(128)는 탄성 복원되어 장착홀(37a)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장착홀(37a)는 상기 이동 레일의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37b)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128)가 상기 장착홀(37a)에 삽입된 후 돌출되더라도 Thereafter, in the state shown in Fig. 17, the user can lower the front of the draw frame 32 downward. At this time, the elastic protrusion 128 is resiliently deformed toward the right and left center of the drawer. Whe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completely seated on the movable rail 121, the elastic protrusion 128 is elastically restored and mounted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37a. The mounting hole 37a may be formed in the side flange 37b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rail. Therefore, even if the elastic projection 128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7a and then protruded

따라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걸림부(125)와 탄성 돌기(128)에 의해서 상기 이동 레일(121)에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draw frame 32 can be fixed to the movable rail 121 by the locking part 125 and the elastic protrusion 128.

한편, 도 17에 도시된 상태는 드로워(30)의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의 초기 위치에서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전방 레일 브라켓(123)와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방 레일 브라켓(124)에 치우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ate shown in Fig. 17 can be referred to a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 It can be seen that the engaging member 33 and the engag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ar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it is biased by the rear rail bracket 124.

상기 드로워(30)가 조작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상기 드로워(30)의 조작 위치와 초기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항상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rawer 30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engaging member 33 and the engag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may be moved forward and biased by the front rail bracket 123. [ Therefore, the engaging member 33 and the engag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are alway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in the interval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30 and the initial position .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 요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trol components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200)를 통해 냉장고의 기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Firs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200. The basic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모터 어셈블리(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모터(162)와 모터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62)는 정역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정방향(시계 방향) 구동에 의해서 전술한 전달부재(1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171)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160.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motor 162 and a motor controller 160. The motor 162 may be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ember 171 can be moved forward by forward (clockwise) driving. Conversely, the transmitting member 171 can be moved backward by reverse driving.

상기, 모터(162)의 구동 방향,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듀티비(duty ratio),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지는 상기 모터 제어부(16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162, the duty ratio applied to the motor, and the driving and stopping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motor control unit 160.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로 이동하는 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의 최대 돌출길이는 상기 전달부재의 조작위치와 대응되고, 상기 연결부재(163)의 최소 돌출길이는 상기 전달부재의 초기위치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63)는 최대 돌출길이와 최소 돌출길이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63 that moves back and forth as described above. The maximum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orresponds to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minimum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orresponds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Therefore, the connecting member 163 is moved between the maximum protrusion length and the minimum protrusion length.

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서 상기 연결부재(163)가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지 조작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두 개의 홀 센서(166, 167)가 구비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member 163 in the motor assembly 160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That is,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two Hall sensors 166 and 167.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마그넷(16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68)은 상기 연결부재(163)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161)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센서(166)에서 상기 마그넷(168)을 인식하면, 상기 전달부재는 초기위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홀센서(167)에서 상기 마그넷(168)을 인식하면, 상기 전달부재는 조작위치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168. The magnet 168 may be provided to move within the housing 16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 Accordingly, when the first hall sensor 166 recognizes the magnet 168,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is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second hall sensor 167 recognizes the magnet 168,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is the operating position.

이러한 홀센서(166, 167)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어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Hall sensors 166 and 167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motor assembly 160 is operating normall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ntrol method described later.

상기 모터 제어부(165)는 기본적으로 센서(40)를 통해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162)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센서(40)는 기설정된 개방 각도(일례로 90도 개방각도)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40)가 일례로 도어가 90도 열린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모터 제어부(165)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인출되도록 상기 모터(162)를 작동시킨다. The motor control unit 165 basically operates the motor 162 when a door opening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Here, the sensor 40 may be a sensor that senses opening of the door at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opening angle). That is, when the sensor 40 senses that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the motor control unit 165 operates the motor 162 to draw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센서(40)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도어 개방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200)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부(165)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개방 신호는 직접 상기 모터 제어부(165)로 전달될 수도 있다. When the sensor 40 detects door opening,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tor control unit 165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200. Of course, the door opening signal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tor control unit 165.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냉장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50)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저장실을 비추는 조명장치(60)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상기 센서(40)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조명장치(60)의 제어만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스위치(50)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개방 각도에서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장치(6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밀착이 해제된 상태를 도어 열림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switch 50. The door switch 50 may be a configuration commonly used in a refrigerator.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by the door switch 50, the lighting device 60 illuminating the storage room can be operated. Here, the door switch 5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40. In other words, it can be basically configured to be provided only for the control of the lighting apparatus 60. [ In one example, the door switch 50 may determine that the door is open at a relatively small opening angle so that the lighting device 60 is activated. Basically,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 in which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is released can be detected by opening the door.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를 전제로 하여 상기 센서(4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가 발생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는 매우 작은 개방 각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센서(4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는 일례로 대략 90도의 개방 각도에서 수행되기 때문이다. 상기 센서(40)와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제어 로직은 후술한다. As described above, door opening detection through the sensor 40 must be performed on the premise of opening detection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switch 50. This is because the door opening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50 is performed at a very small opening angle and the door opening detection through the sensor 40 is performed at an opening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for example. The control logic through the sensor 40 and the door switch 5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6. FIG.

먼저, 도 20을 참조하여 초기 단계(S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초기 단계는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최초로 모터(162)가 구동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모터(162)가 초기 구동을 하여 전달부재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켜 전동 드로워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First, the initial step S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initial stage may be a stage in which the motor 162 is driven for the first tim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motor 162 is initially driven to move the transmitting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initializing the motorized drawer system.

따라서, 초기 단계(S10)가 시작되면, 모터가 동작(S30)한다. 즉, 전달부재(17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작동한다. 이때의 모터 구동 방향을 일례로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이하, 모터 구동 방향이 반시계방향일 때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시계방향일 때 전달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Therefore, when the initial step S10 is started, the motor operates (S30). That is, it operates to return the transmitting member 171 to the initial position. The motor driving direction at this time may be counterclockwise as an example.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moves backward when the motor driv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and the transmitting member moves forward when the motor driving direction is clockwise.

상기 모터의 동작은 소정 듀티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동작은 제1홀센서(166)를 통해서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음이 판단되면 종료된다. 일례로, 상기 제1홀센서(166)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이 정지(S40)한다. The operation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with a predetermined duty ratio. The operation of the motor en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171 ha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first hall sensor 166. For example, when the 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stopped (S40).

또한, 상기 모터의 동작은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되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 시간은 5초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마진을 고려하여 최대로 허용되는 모터 동작 시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동작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1홀센서(166)에서의 온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정상적이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to be stopped when the operation time elapses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5 seconds.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motor operation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margin. Therefore, it is normal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performed until an 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first hall sensor 166 before reaching the predetermined time.

따라서, 모터가 정지(S50)된 후, 상기 모터의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거나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됨을 감지(S50)하면, 전동 드로워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되면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가 시작될 수 있다. Therefore, if it is detected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motor is equal to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otor is stopped (S50) or a signal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generated (S50),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electric drawer system Can be judged. Therefore, if an error occurs,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That is, a step of displaying an error may be started.

여기서, 제2홀센서(167)의 온 신호 발생은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가 아닌 조작 위치에서 발생되는 것이 정상적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S10)에서 제2홀센서(167)의 온 신호 발생은 홀센서들을 포함한 전동 드로워 시스템 전체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Here, it is normal that the ON signal generation of the second hall sensor 167 occurs at the operating position, not the initial position.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an on-signal generation of the second hall sensor 167 in the initial step S10 is an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entire electric drawer system including the hall sensors.

아울러, 모터가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하는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드로워 시스템 전체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달부재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는 드로워에 의한 부하가 상기 모터(162)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the motor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can be sai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ntire electric drawer system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load by the drawer is not applied to the motor 162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한편, 에러가 발생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단계(S100)이 수행될 수 있다. 알림 단계(S100)에서 에러 여부를 다시 판단(S110)하며, 이때 어느쪽 드로워에서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양쪽 냉동실에 각각 전동 드로워가 설치된 경우, 왼쪽 드로워의 에러인지 오른쪽 드로워의 에러인지 판단한다. 전동 드로워의 에러인 경우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n error occurs,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In the notification step S100, whether or not an error has occurred is determined again (S11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of the drawers has generated an error. That is, if an electric drawer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reezing chambers, it is judged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left drawer or an error in the right drawer. In the case of an error of the electric drawer, step (S120)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an error cod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그리고, 에러를 표시한 후 또는 에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후 대기 상태(S200)로 전환된다. 상기 대기 상태(S200)는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라 할 수 있다.Then, after the error is displayed or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n error,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waiting state (S200). The standby state (S200) may be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S200)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S210, S2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한 조건은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스위치(41)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S210)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2, a determination step (S210, S220) for determining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fetching the drawer in the waiting state (S200) may be performed. The condition for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may be referred to as opening detection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40. Specifically, when the reed switch 41 detects opening of the door (S210),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따라서, 상기 센서(40)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모터(162)는 항상 대기 상태(S200)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motor 162 is always kept in the standby state (S200) until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sensor 4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는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를 전제로 한다. 따라서,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이 감지(S200)되면 비로소 인출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detection of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40 is based on detection of door opening through the door switch 50). Therefore, when the door opening through the door switch 50 is detected (S200), the taking-out step S300 can be performed.

그리고,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센서(40)의 에러 여부를 판단(S230)하고 해당되는 에러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대기 상태(S200)로 전환될 수 있다. If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40 is detected and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switch 50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nsor 40 is in error (S230) and the corresponding err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have. Thereafter, it can be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S200).

상기 인출 단계(S300)에서 상기 모터(162)는 드로워(30)를 전방으로 밀도록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162)에는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특히, 드로워(30)에 저장물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단계(S300)에서는 부하에 따라 큰 출력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듀티비를 증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drawing step S300, the motor 162 should be operated to push the drawer 30 forward.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motor 162 in the drawing-out step. Particularly, when the drawer 30 has a large amount of storage, a larger load is requi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output is controlled to be generated in the motor in the drawing step S300.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uty ratio to increase as the load increases.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 단계(S300)는 모터의 회전시 발생하는 신호(FG, Frequency generator)를 산출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0 ms(밀리세컨드)마다 FG를 산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extracting step S300 may include a step S310 of calculating a frequency generator (FG) generated upon rotation of the motor. The FG can be calculated every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0 ms (milliseconds).

그리고, 상기 인출 단계(S300)를 상기 산출된 FG에 따라 듀티비를 달리 하여 상기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 인출 구동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산출된 FG에 따라 복수 개의 부하 조건으로 나눈후, 각 부하 조건에서 기설정된 듀티비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drawing step S300 may include a motor drawing driving step S320 for driving the motor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a different duty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That is, the motor can be driven at a predetermined duty ratio under each load condition after dividing the motor into a plurality of loa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예를 들어, 산출된 FG가 0 내지 50일 때, 듀티비를 180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FG가 51 내지 100일 때, 듀티비를 200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산출된 FG가 증가됨에 따라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일례로, 산출된 FG가 251 이상일 때 듀티비를 250으로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FG is 0 to 50, the motor can be driven at a duty ratio of 180. When the calculated FG is 51 to 100, the motor can be driven with a duty ratio of 200. The duty ratio is increased as the calculated FG is increased. For example, the duty ratio can be controlled to 250 when the calculated FG is 251 or more.

다시 말하면, 산출된 FG가 클수록 부하가 큰 조건으로 판단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In other words, as the calculated FG is larger, the load is determined to be larger and the output of the motor is increased.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는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는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될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기설정된 시간은 3초일 수 있다.The drawing-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until the 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cond Hall sensor 167. [ In addition, the drawing-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until a preset time is reached.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3 seconds.

한편,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 도중 드로워의 인출을 방해하는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매우 무거운 물건이 드로워 전방을 가로 막고 있거나, 레일(120)에 이물질이 침입하여 이동 레일(121)이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지속적으로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에 큰 부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모터 구동 단계가 더이상 지속되지 않고 복귀 단계(S50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disturbance may be generated that interferes with drawing of the drawer during the drawing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That is, a very heavy object may block the front of the drawer, or foreign matter may enter the rail 120, and the moving rail 121 may not be moved. Therefore, in this case, when the motor is continuously driven in the clockwise direction, it can be generated in a large amount in the motor. That is, the motor may be damaged. Therefore, if a fault occur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driving step is no longer continued and the returning step S500 is performed.

물론, 상기 복귀 단계(S500)를 수행하기 전에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5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is present (S350) is performed before performing the returning step (S500).

모터의 구동 단계 도중에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는 상기 FG 산출 사이클이 소정 횟수에 도달될 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번째 FG 산출부터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초기 예를 들어 3번째까지의 FG 산출은 장애물 판단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는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 초기 정지 마찰력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정 횟수부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되며, 이는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가 종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The obstacle determining step S350 may be performed during the driving step of the motor, and the obstacle determining step S350 may be performed when the FG calculating cycle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may be performed from the fourth FG calculation. That is, the FG calculation up to the third, for example, can be excluded from the obstacle judgment. This is because a large load may be generated in the motor relatively due to the initial stopping frictional force of the motor in the drawing-out driving step. Therefore, the obstacle determining step S350 is performed from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is can be performed until the drawing-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is finished.

상기 판단 단계(S350)에서 산출된 FG가 기설정된 장애물 FG 보다 큰 경우 장애물이 없음으로 판단되어 상기 모터 인출 구동 단계가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산출된 FG가 기설정된 장애물 FG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장애물로 인해서 모터의 과부하가 발생되어 상기 모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의 구동을 종료하고 복귀 단계(S500)를 수행하게 된다.If the FG calculated in the determining step S350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obstacle FG,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and the motor drawing driving step may be continued. However, if the calculated FG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obstacle FG,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is not normally driven due to an overload of the motor due to the obstacle.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e motor is terminated and the returning step (S500) is performed.

한편,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이 종료되면,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종료까지 상기 소정 시간, 일례로 3초 이상 소요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도 최대 허용 시간이라 할 수 있으며, 3초 이상 소요된 것은 에러라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홀센서(166)의 온 신호 발생인 경우에도 에러라고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인출 구동 단계(S340)의 종료 즉 인출 단계(S300)가 종료되면 정지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and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motor is finishe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rror is present may be performed (S34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tor takes up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more until the end of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motor.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maximum allowed time,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rror that takes longer than 3 seconds is an error. Further, even if the ON signal of the first Hall sensor 166 is generated, it can be judged as an error. When the end of the motor drawing-out driving step (S340), that is, the drawing-out step (S300) is finished, the stopp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단계(S400)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가 아니다. 즉, 드로어의 인출을 정지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는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제2홀센서(167)를 통해 전달부재가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이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이 정지되는 단계가 상기 정지 단계(S400)라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4, the stopping step S400 is not a step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That is, it may be a step of stopping withdrawal of the drawer.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ferring step of the motor is a step for moving the transferring member forward, and it is judged that the transferring member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rough the second hall sensor 167 an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ferring member is stopped do. That is, the step of stopp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referred to as stopping step S400.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단계(S300)에서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도 상기 모터의 시계방향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상기 드로워를 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소의 출력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rawing step S300, the motor is driven in the clockwise direction. Similarly, the clockwise driving of the motor can be maintained in the stop step S400. However, since the driver is not pushed in the stopping step (S400), the driving of the motor can be maintained with a minimum output.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는 상기 모터에 인가될 수 있는 최소의 듀티비로 상기 모터가 구동(S420)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연관된 모터의 구동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듀티비 중 가장 작은 듀티비로 상기 모터가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드로워 홀더의 탄성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조작하기도 전에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stopping step S400,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to a minimum duty ratio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tor (S420). That is, in the driving of the motor associated with the automatic drawing of the drawer, the motor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with the smallest duty ratio among the duty ratios applied to the motor. This is to prevent the drawer from being automatically drawn in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draw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raw holder in the stop step (S400).

한편, 상기 정지 단계(S400)는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3초 동안 수행(S430)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복귀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pp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3 seconds (S430).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return step S500 may be performed.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지 단계 도중에도 상기 복귀 단계(S500)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도 FG를 산출하는 단계(S41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FG를 통해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밀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40)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산출된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드로워를 민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The user may push the drawer 30 in the stopping step S40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urning step (S500) is performed even during the stopping step. To this end, the step of calculating FG (S410)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stopping step S400. Then, a step S440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pushed the drawer in the direction of drawing through the calculated FG. For example, if the calculated FG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FG, it can be judged that the user drops the draw.

이 경우도 소정의 FG 산출 횟수가 경과된 후 상기 판단 단계(S44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mining step S440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FG calculation times have elapsed.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 단계(S400)는 정상적으로 예를 들어 3초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를 복귀 단계(S500)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복귀 단계에서는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드로워는 전술한 드로워 홀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pping step (S400) can normally be performed, for example, for 3 seconds. Thereafter, the motor may be driven so that the transmitting member 171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return step (S500). In the returning step, the pushing force of the drawer is removed. Therefore, in the returning step, the drawer is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bove-described drawer holder.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단계(S500)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S510)를 포함한다. 즉, 모터의 구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BLDC (Blushless DC) 모터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모터에 구동이 정지하도록 브레이크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단계(S510)는 일례로 10 ms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S510)를 통해서 모터의 급격한 회전 방향 전환으로 인해 모터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5, the returning step S500 includes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S510). That is, a step of temporari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to swit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The motor may be a BLDC (Blushless DC) motor, at which time a brake input may be applied to stop the motor. The step S510 may be performed for 10 ms, for example. Through this step S51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motor itself due to the sudden change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한편, 상기 복귀 단계(S500)는 전술한 초기 단계(S50)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turning step S500 may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initial step S50 described above.

즉, 제1홀센서(166)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거나 기설정된 시간까지 상기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동작(S530)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S540)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최대 허용 시간을 의미하며 일례로 5초일 수 있다. 상기 5초 동안 모터의 구동이 수행되는 것은 에러로 판단(S550)될 수 있다. 물론,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도 에러로 판단(S550)될 수 있다. 에러인 경우에는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N signal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is generated or the motor is oper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time (S530),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stopped (S540).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eans the maximum allowable time, for example, 5 seconds.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motor for 5 seconds may be determined as an error (S550). Of course, when an 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it may be determined as an error (S550). If it is an error,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S540)되면 대기 상태(S200)가 수행되게 된다.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S540), the waiting state (S200)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복귀 단계(S500)에서의 듀티비는 초기 단계(S10)에서의 듀티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출 단계에서 감지된 FG 즉 총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초기 단계(S10)에서와 같은 듀티비로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모터의 정방향 구동이나 역방향 구동에 장애물이 실질적으로 배재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듀티비를 인가하더라도 상기 전달부재가 원활히 복귀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uty ratio in the returning step S500 is larger than the duty ratio in the initial step S10. However, when the FG sensed in the extraction step, that is, the total FG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FG, the motor may be driven with the same duty ratio as in the initial step S10. That is, in this case, the obstacle is substantially disrupted in forward driving or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Therefore, even if a relatively small duty ratio is applied, the transmitting member can be returned smoothly.

한편, 도어가 급격히 닫히는 경우 조작 위치에서의 드로워는 도어의 바스켓과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가 긴급 복귀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드로워가 인출되는 도중에 도어가 급격히 닫히는 경우 드로워는 인출하고 있는 데 도어는 닫혀 드로워와 도워가 충돌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oor is suddenly closed, the drawer at the operating position may hit the basket of the doo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urging the drawer is performed. For example, if a door suddenly closes while the drawer is being withdrawn, the drawer is withdrawing and the door may be closed, causing collision between the drawer and the drawer.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긴급하게 드로워를 복귀시키는 제어 로직이 수행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highly desirable that control logic for urgently returning the drawer is performed.

즉, 전술한 인출 단계(S300)와 정지 단계(S400) 수행 도중 상기 드로워가 긴급 복귀하도록 하는 단계(S70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긴급 복귀 단계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수행될 필요가 없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step S700 is performed so that the drawer is urgently returned during the drawing step S300 and the stop step S400. Of course, this emergency return step need not necessarily be performed when the drawer is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따라서, 먼저, 긴급 복귀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으며, 긴급 복귀 조건이 만족되면, 긴급 복귀 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step S600 of determining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may be performed, and if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is satisfied, the emergency return step S700 may be performed.

상기 긴급 복귀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단계나 정지 단계 수행 도중을 만족하고, 상기 센서(40)에서 도어가 닫힘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41)에서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is satisfied during the withdrawal step or the stop step, and the sensor 40 senses that the door is clos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reed switch 41 senses the closing of the door.

상기 긴급 복귀 단계도 상기 복귀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모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S720), 모터 정지 단계(S740), 에러 판단 단계(S75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에러로 판단되면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The emergency return step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turning step. That is, the step S720 of driving the moto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tep S740 of stopping the motor, and the step S750 of determining the error may be included. Of course, if it is determined to be an error,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한편, 긴급 복귀 단계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소정시간 일례로 10 ms 동안 모터의 구동을 정지한 후 상기 모터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mergency return step is started, the motor may be driven in a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is drive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fter stopping the motor for 10 ms for a predetermined time.

전술한 제어 방법을 통해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로 인해 상기 모터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모터는 복귀 단계 또는 긴급 복귀 단계를 수행하여 모터에 큰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In addition,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motor due to an obstacle, the motor may perform a returning step or an emergency returning step to prevent a large load from being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otor.

10 : 캐비닛 20 : 도어
30 : 드로워 31 : 바스켓
32 : 드로워 프레임 40 : 센서
41 : 리드 스위치 42 : 마그넷
100 : 무빙 어셈블리 110 : 지지 프레임
120 : 레일 150 : 전동 구동부
160 : 모터 어셈블리 170 : 무빙 프레임
180 : 드로워 홀더
10: cabinet 20: door
30: drawer 31: basket
32: Drawer frame 40: Sensor
41: Reed switch 42: Magnet
100: Moving assembly 110: Support frame
120: rail 150: electric drive part
160: motor assembly 170: moving frame
180: Drawer holder

Claims (20)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 홀더를 탄성 변형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A drawer installed in the storage room and configured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when the door is opened;
Wherein the drawer is resilient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drawer move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 electric drive par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drawer holder; And
Wherein the drawer is configured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 그리고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따라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wer holder
A hook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resiliently restored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and a distance of the hook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드로워 홀더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latch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wer holder
And a housing having a slot for receiving the spring and guiding movement of the hooking memb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anger member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및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Wherein the moving frame is mov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ving frame includes a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drawer,
Wherein the transfer member pushes the drawer so that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motor assembly and a transmitting member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Wherein the transmitting member is provided to move the latching member of the drawer forward through the latch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드로워 홀더의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의 돌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걸이부재를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ook member protrudes from the housing of the drawer holder and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of the drawer,
And the transmitting member is provided to push the hook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hooking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eat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oking member, the seating part being in contact with the transmitting memb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이 상기 걸이부재에 전달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상기 걸이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vement of the transmitting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hooking member as the transmitting memb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moved forward, and when the transmitting member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moved backward,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hooking member Is disconnected from the refrigerator.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걸이부재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oor is opened;
A drawer holder including a retain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retaining member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resiliently restored by movement of the retaining member;
An electric drive unit including a transmitting member for pushing the hook memb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and a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transmitting member by electric power; And
Wherein the drawer is configured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latching member and the latching member is maintained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더욱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tching member and the latching member is released as the drawer is further pulled out forward at the operating position so that the drawer is manually pulled ou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를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electric drive part is driven to move the transmitting member backward to move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s the spring is resiliently restored, the hooking member moves the latching member backward so that the drawer is return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6,
Wherein the drawer holder includes a housing having the slot for receiving the spring and guiding movement of the hook memb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드로워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hanger member protrudes toward the draw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이부재를 전방으로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transmitt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latching member and is configured to push the latching member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latching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들 각각에 상기 전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달부재를 일체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plurality of the drawers ar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transfer memb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Wherein the electric driving unit includes a moving frame provided to move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members integrally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KR1020160001300A 2015-11-04 2016-01-05 refrigerator KR102043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300A KR102043211B1 (en) 2016-01-05 2016-01-05 refrigerator
CN202011217557.2A CN112524874B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with a door
CN202011219346.2A CN112524877B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with a door
CN202011218264.6A CN112524876B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with a door
CN202011217885.2A CN112524875B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with a door
US15/554,839 US10612836B2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PCT/KR2016/012607 WO2017078436A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EP16862452.6A EP3217130B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CN201680033647.1A CN107709910B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with a door
EP22201872.3A EP4141365A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EP21167764.6A EP3889528B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TW105135937A TWI627375B (en) 2015-11-04 2016-11-04 Refrigerator
US15/692,431 US10724787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5/692,312 US10557662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5/692,207 US10520246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6/825,009 US10876789B2 (en) 2015-11-04 2020-03-20 Refrigerator
US17/101,927 US11274878B2 (en) 2015-11-04 2020-11-23 Refrigerator
US17/585,023 US11725874B2 (en) 2015-11-04 2022-01-26 Refrigerator
US18/316,761 US20230280090A1 (en) 2015-11-04 2023-05-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300A KR102043211B1 (en) 2016-01-05 2016-01-05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008A Division KR102152715B1 (en) 2019-11-05 2019-11-0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96A true KR20170082096A (en) 2017-07-13
KR102043211B1 KR102043211B1 (en) 2019-11-11

Family

ID=5935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300A KR102043211B1 (en) 2015-11-04 2016-01-0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2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191Y1 (en) * 2006-03-24 2006-06-19 정동욱 Damping system for drawer rail and furniture mounting the system
KR20070114982A (en)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icrowave oven having slide type tray
KR20090102577A (en)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JP2009228911A (en) *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Refrigerator
KR20100130357A (en)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10024883A (en)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191Y1 (en) * 2006-03-24 2006-06-19 정동욱 Damping system for drawer rail and furniture mounting the system
KR20070114982A (en)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icrowave oven having slide type tray
JP2009228911A (en) *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Refrigerator
KR20090102577A (en)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00130357A (en)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10024883A (en)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211B1 (en)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7375B (en) Refrigerator
KR101894879B1 (en) refrigerator
KR102152715B1 (en) refrigerator
KR102410222B1 (en) refrigerator
KR102536874B1 (en) refrigerator
KR102218922B1 (en) refrigerator
KR20170082096A (en) refrigerator
KR20170052409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