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967A -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67A
KR20170078967A KR1020150188805A KR20150188805A KR20170078967A KR 20170078967 A KR20170078967 A KR 20170078967A KR 1020150188805 A KR1020150188805 A KR 1020150188805A KR 20150188805 A KR20150188805 A KR 20150188805A KR 20170078967 A KR20170078967 A KR 2017007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access point
terminal
frequency
respon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1366B1 (en
Inventor
배상준
양해석
이수길
전정우
최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8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366B1/en
Publication of KR2017007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3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면서도,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the access point, in which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mmunication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an active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if the terminal is not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de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broadcasting a probe response frame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the access point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umption current at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to prevent a service delay from occurring.

Description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n the access poin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a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at the 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비주기적인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전원의 인가가 상시 필요한 전자 기기이다. 최근에는 IEEE 802.11ac 기술에 기반한 고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고사양의 부품이 탑재되고 있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의 전류 소모가 많아지고 있다. An access point (AP)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always requires power supply to respond to an aperiodic service request. In recent years, access points have been equipped with high-end components to provide high performance based on IEEE 802.11ac technology, and current consumption of the access point is increasing.

종래,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소모 전류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원을 오프(off)시켜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시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원을 온(on)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부팅 시간으로 인하여 끊김 없는(seamless) 서비스 제공이라는 고객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reduce the consumed current while the access point is not used, the user must manually turn off the power, which hinders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the user desires to use the access point again, the user must manually turn on the power. 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ess time does not meet the customer's demand for providing a seamless service due to the boot time.

미국 공개 특허 제 2015/0282032호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U.S. Patent Publication No. 2015/0282032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ay to reduce the dissipation current at an access point that supports multiple frequency band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an active state of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terminal that is performing an operation; And if the terminal is not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de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broadcasting a probe response frame includ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the access point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authentication) 또는 결합(association)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n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in response to the probe response fra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의 인증 또는 결합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procedur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일 실시 예에서,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이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5GHz 대역 또는 60GHz 대역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 2.4 GHz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5 GHz band or a 60 GHz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And de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n there is no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active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controller for broadcasting the probe response frame including the service set identifier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authentication) 또는 결합(association)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activate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n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in response to the probe response fra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의 인증 또는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procedur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current at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면서도,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umption current at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to prevent a service delay from occurring.

도 1은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SSID를 송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SSID in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e response frame,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e response frame analysis resul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기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 표준은, 전송 속도 및 전송 방식에 따라,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n, IEEE 802.11ac 및 IEEE 802.11ad 등으로 나뉠 수 있다.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s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The IEEE 802.11 standard may be divided into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n, IEEE 802.11ac, and IEEE 802.11ad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speed and transmission method.

한편,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에는 능동 검색(active scan) 방법과 수동 검색(passive scan) 방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 system based on such a wireless LAN technology, there are an active scan method and a passive scan method as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능동 검색 방법은, 단말이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능동 검색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An active search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broadcasts a probe request frame and an access point that receives the probe request frame broadcasts a probe response frame in response to a probe request frame. It is assum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use an active search method.

도 1은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SSID를 송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SSID in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일 수 있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5GHz 대역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access point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via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Here,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 2.4 GHz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5 GHz band.

단계(101)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후의 단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In step 101, the access point may receive a probe request frame from the terminal. The probe request frame may be received via the first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subsequent steps, the access point may broadcast a probe response frame in the frequency bands in which it is available.

단계(103)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 1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 1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는,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된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제 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 및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In step 103, the access point may broadcast a first probe response frame o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first probe response fram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allocated to the access point,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n encryption method.

단계(105)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 2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 2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는,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된 SSID와,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 및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In step 105, the access point may broadcast a second probe response frame on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second probe response fram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SSID assigned to the access point,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n encryption method.

이후, 단말로부터 제 1 프로브 응답 프레임 또는 제 2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authentication) 또는 결합(association) 요청이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응답이 수행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의 인증 또는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first probe response frame or the second probe response frame, the access point performs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frequency band on which the response is performed. Procedure can be performed.

도 2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e response frame.

도 2를 참조하면,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헤더 및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된 SSID 및 부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해당 SSID와 관련된 주파수 정보 및 암호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probe response frame may include a header and a body. The body may include an SSID and additional information assigned to the access point transmitting the probe response fram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requency information and an encryption method associated with the SSID.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analyze the probe response frame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and guide the result to the user.

도 3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e response frame analysis result.

도 3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제 1 프로브 응답 프레임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제 2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irst probe response frame over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probe response frame over the second frequency band are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프로브 응답 프레임 분석 결과(302)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제 1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 분석 결과(304)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제 2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The probe response frame analysis result 302 indicate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first probe response frame over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probe response frame analysis result 304 indicate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second probe response frame over the second frequency band Results are shown.

프로브 응답 프레임 분석 결과(304)에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5GHz)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부가 정보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었기 때문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probe response frame analysis result 304 includes the frequency information (5 GHz)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is is because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robe response frame includes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rans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으며, 각 단계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in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teps shown in FIG. 4 may be omitted, and the order of each step may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제 1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은, 2.4GHz, 5GHz 또는 60GHz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이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5GHz 또는 60GHz 대역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t is assumed that the access point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via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Here, the first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band of 2.4 GHz, 5 GHz, or 60 GHz. For example,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 2.4 GHz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5 GHz or 60 GHz band.

단계(401)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이 활성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 중이거나, 제 1 또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가정한다. In step 401, assume that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of the access point are active.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access point is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or second frequency band, or is capable of receiving the probe request frame through the first or second frequency band.

단계(403)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인지의 여부의 확인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이라는 것은,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단말 간에 결합(association)이 성립 중임을 의미할 수 있다. In step 403, the access point can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in use. Whether or not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in use can be checked periodically. The fact that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in use means that an associ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access point and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제 2 주파수 대역이 사용중이 아닌 경우, 단계(405)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브로드캐스팅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f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not in use, then at step 405, the access point may broadcast a probe response frame including the SSID of the access point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 Broadcasting of the probe response frame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 probe request frame received from the terminal.

단계(407)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 한다는 것은,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킴을 의미할 수 있다. In step 407, the access point may deactivate the second frequency band. In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mean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단계(409)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단계(405)에서 브로드캐스팅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로부터 인증(authentication) 또는 결합(association) 요청이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In step 409, the access point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quest from the terminal to use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presence of a request to use the second frequency band means, for example,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robe response frame broadcast in step 405 can do.

단말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411)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한다는 것은,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온시킴을 의미할 수 있다.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terminal to use the second frequency band, at step 411, the access point may activate the second frequency band. 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mean turning on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단계(413)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인증 및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및 결합 절차는, IEEE 802.11에서 규정하는 방식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step 413, the access point may perform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procedures with the terminal via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defined in IEEE 802.1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부(510) 및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0 and a control unit 52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may be omitted.

통신부(510)는, 제 1 통신 모듈(512) 및 제 2 통신 모듈(5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모듈(512)은, 제 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 모듈(514)은, 제 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일 수 있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5GHz 또는 60GHz 대역일 수 있다. 제 1 통신 모듈(512) 및 제 2 통신 모듈(514)은, 제어부(5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10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2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2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us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 2.4 GHz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5 GHz or 60 GHz b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can b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520. [

제어부(520)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활성 상태에서, 즉 제 1 통신 모듈(512)과 제 2 통신 모듈(514)의 전원 온 상태에서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in the active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in the power-on stat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2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is a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만약,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다면, 제어부(520)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520)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경우, 제 2 통신 모듈(514)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부(5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510)는, 제 2 통신 모듈(514)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If there is no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520 may deactivate the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if there is no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5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to the communication unit 510 .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510 can turn off the pow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한편, 제어부(520)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후, 단말로부터, 해당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또는 결합 요청이 있는 경우,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통신부(510)가 제어부(5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 2 통신 모듈(514)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Meanwhile, when the probe request fram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the absence of a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the controller 520 includes the SSID of the access point and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 And broadcast the generated probe response frame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Thereafter, if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probe response frame, the second frequency band can be activated. This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unit 510 can turn on the pow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14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520. [

제 2 주파수 대역이 활성화되면, 제어부(520)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인증 또는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520 can perform the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procedur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ny of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using various operating systems or platforms. Additionally, such software may be written using any of a number of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s, and may also be compiled into machine code or intermediate code executable in a framework or virtual mach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Also, whe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on one or more processors, one or more programs for carrying out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ussed above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e.g., memory, A floppy disk, a hard disk, a compact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ic tape, or the like).

Claims (10)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an active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if the terminal is not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de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Broadcasting a probe response frame including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f the access point an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authentication) 또는 결합(association)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in response to the probe response frame, 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Lt; / RTI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의 인증 또는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or connection procedur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Lt;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인
통신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frequency band comprises:
2.4 GHz band
Communication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5GHz 또는 60GHz 대역인
통신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band comprises:
In the 5 GHz or 60 GHz band
Communication method.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중인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A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nd inactivates the second frequency band when there is no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in the active stat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Set Identifier) and a probe response frame including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authentication) 또는 결합(association)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활성화하는
액세스 포인트.
7. The apparatus of claim 6,
If there is an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request in response to the probe response frame, activating the second frequency band
Access poi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과의 인증 또는 결합 절차를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8. The apparatus of claim 7,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or association procedur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Access poi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인
액세스 포인트.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frequency band comprises:
2.4 GHz band
Access poi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5GHz 또는 60GHz 대역인
액세스 포인트.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band comprises:
In the 5 GHz or 60 GHz band
Access point.
KR1020150188805A 2015-12-29 2015-12-29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1313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05A KR102131366B1 (en) 2015-12-29 2015-12-29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05A KR102131366B1 (en) 2015-12-29 2015-12-29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67A true KR20170078967A (en) 2017-07-10
KR102131366B1 KR102131366B1 (en) 2020-07-09

Family

ID=5935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05A KR102131366B1 (en) 2015-12-29 2015-12-29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36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89A1 (en)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24374B1 (en) * 2022-09-27 2024-01-12 (주)레오테크코리아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rminal sensing through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14B1 (en) * 2001-10-30 2004-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Integrated 5ghz wlan and 2.4ghz wlan access point
KR20050081083A (en) * 2004-02-12 2005-08-18 주식회사데이콤 Apparatus of dual bandwidth wireless subscriber for portable internet service and wlan service
JP2012085129A (en) * 2010-10-13 2012-04-26 Nec Access Technica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20127444A (en) * 2010-02-12 2012-11-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30017435A (en) * 2011-08-10 2013-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14B1 (en) * 2001-10-30 2004-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Integrated 5ghz wlan and 2.4ghz wlan access point
KR20050081083A (en) * 2004-02-12 2005-08-18 주식회사데이콤 Apparatus of dual bandwidth wireless subscriber for portable internet service and wlan service
KR20120127444A (en) * 2010-02-12 2012-11-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12085129A (en) * 2010-10-13 2012-04-26 Nec Access Technica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17435A (en) * 2011-08-10 2013-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공개 특허 제 2015/0282032호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89A1 (en)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24374B1 (en) * 2022-09-27 2024-01-12 (주)레오테크코리아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rminal sensing through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366B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222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multi-basic service identifier set
TWI459834B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7466090B (en) Access point, wireless terminal,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vailable channels using pointer signals
US94515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lection
EP196124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elected broadcast programs at a mobile station
US10159031B2 (en) Access point, station, and beacon frame sending method and system
EP301310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leasing ssid in wlan
KR20140123086A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tations to connect to wireless hotspots using non-unicode service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89835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vailable channel information within white space band
US11490263B2 (en) Assisted discovery of a local private 3GPP network via a local private non-3GPP wireless network
US11019483B2 (en) Access point supporting at least two virtual networks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communicating with wireless device
WO201813760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100124881A1 (en) Database Based Connectivity For Secure SSID
CN107959945B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102131366B1 (en) Access point supporting multi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8235350B (en)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0470175B2 (en) Mesh network configuration in a white space band
US10433304B2 (en) Method of dedicating frequency channel for probing or for data
US201903133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oaming of wireless network device
US966164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905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US2007023842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ly scan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band
JP201221695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8668344B (en) Access method, station and access point
US1169611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