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007A -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Google Patents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007A
KR20170078007A KR1020150188081A KR20150188081A KR20170078007A KR 20170078007 A KR20170078007 A KR 20170078007A KR 1020150188081 A KR1020150188081 A KR 1020150188081A KR 20150188081 A KR20150188081 A KR 20150188081A KR 20170078007 A KR20170078007 A KR 2017007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moving
menu items
dynam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5337B1 (en
Inventor
백성박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337B1/en
Publication of KR2017007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에서, 해당 앱 실행 결과 상에서의 특정 화면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의 전환 없이 메뉴와 선택 가능 객체들이 화면 내 다른 영역으로 동적 이동하면서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여 현재 메뉴에 대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제공할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션의 연속성을 가진 인터랙션 화면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콘텐츠를 보다 큰 화면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메뉴 이동과 현재 메뉴 식별에 대한 효과적 화면 인터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user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screen operation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is detect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the menu and the selectable objects are dynamically move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new screen interface so that the content display area to be provided can be secured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of the current menu. By providing an interactive screen interface having continuity of motion, the content can be provided on a larger screen, And an effective screen interface for identifying the current menu can be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Description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에서, 해당 앱 실행 결과 상에서의 특정 화면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의 전환 없이 메뉴와 선택 가능 객체들이 화면 내 다른 영역으로 동적 이동하면서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여 현재 메뉴에 대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제공할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In particular, when a specific screen operation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etect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A user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content display area to be provided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of the current menu by allowing the menu and selectable objects to dynamically move to other areas within the screen without switching the scree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사용자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 및 통화 기능(또는, 호(call) 기능)을 수행하여, 그 수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The user device is a device that perform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and a call function (or a call function) and provide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to the user.

이러한 사용자 장치에 계층적 메뉴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가 많은 앱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장치는 복잡한 다층 메뉴 선택과 메뉴간 이동 조작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앱 실행 결과를 표시하며, 이러한 메뉴 선택이나 메뉴간 이동 조작 시 화면이 전체적으로 전환되므로 현재 제공되는 메뉴 위치를 정확히 알기 어렵고 화면 전환에 의해 단절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앱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다층 메뉴 선택과 메뉴간 이동 조작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제한된 사용자 장치의 표시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실제 필요한 콘텐츠 확인을 위한 영역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In a case where an application having a large amount of content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 hierarchical menu is executed in such a user device, the user device displays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in which a screen interface for selecting a complex multi-layer menu and a menu-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understand the presently provided menu position and it is difficult to utiliz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effectively because it provides a disconnected user experience by screen switching. In addition, the screen interface for multi-layer menu selection and menu-moving operation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limited user apparatu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required for actually confirming the contents is reduc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7086호 [명칭: 터치 스크린 인에이블형 착용식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축 인터페이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7086 [titled: Multi-axis interface for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 상에서의 특정 화면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의 전환 없이 메뉴와 선택 가능 객체들이 화면 내 다른 영역으로 동적 이동하면서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여 현재 메뉴에 대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제공할 콘텐츠 표시 영역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screen interface in which a menu and selectable objects are dynamically moved to another area on a screen without switching screens when a specific screen operation on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apparatus is detecte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in which continuity with respect to the current menu is maintained while ensuring a wider content display area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장치의 제한된 화면 상에 다층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이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원하는 메뉴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정 메뉴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확인을 위한 스크롤 조작 시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이 동적으로 이동하여 상단바에 재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메뉴에 대한 시선 집중과 직관적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interface in which multi-layer menu items and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menus are provided in a multi-stage on a limited screen of a user device so as to easily move to a desired menu, A user device for expanding a content display area while maintaining intensive line-of-sight and intuitive continuity with respect to a current menu by dynamically moving and selectively reconfiguring menu items and selection objects provided at a plurality of stages in a scroll operation for confirming content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앱 실행 결과 화면으로 다층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 및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가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화면의 스크롤 동작이 검출되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며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device and detecting a touch input of the user; And a screen interface for providing multi-layer menu items,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menus, and content corresponding to a current menu in a multistage manner on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n the display unit. When a scroll operation of the screen is detected, And a control unit for dynamically moving the item and the selected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item on the upper bar and controlling the content display area to be expan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다층 메뉴 항목 중 일부 항목은 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dynamically remove some items of the multi-layer menu item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이동시키는 메뉴 항목이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의 크기나 형상을 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n dynamically change the size or shape of a menu item to be moved or a selection object to move between menu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영역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을 스크롤하는 속도에 맞추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할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nses an input for scrolling upward in the content providing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menu, and dynamically moves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scroll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display area You can reconfigure it in the top ba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상단바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size of the upper bar in a process of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upper b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을 다층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 및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가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의 스크롤 동작이 검출되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며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apparatus on a multi-layered menu item,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menus, To a screen interface provided as a screen; And if the scroll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ete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provided in the multi-stage and reconfigur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to expand the content display area hav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는, 다층 메뉴 항목 중 일부 항목을 동적으로 제거하거나, 이동시키는 메뉴 항목이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의 크기나 형상을 동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m on the upper bar may include a step of dynamically removing or moving some items of the multi-layered menu items, And dynamically deforming the shap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는,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영역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을 스크롤하는 속도에 맞추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m on the upper bar may include detecting an input for scrolling up the contents providing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menu, And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provided in a multi-stage to reconfigure them in the top ba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 대한 반대 방향 스크롤 동작이 검출되면 재구성된 상단바의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이전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m on the upper bar may include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of the reconstructed upper bar dynamically So as to be restored to the previous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 상에서의 특정 화면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화면의 전환 없이 메뉴와 선택 가능 객체들이 화면 내 다른 영역으로 동적 이동하면서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여 현재 메뉴에 대한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제공할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션의 연속성을 가진 인터랙션 화면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콘텐츠를 보다 큰 화면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메뉴 이동과 현재 메뉴 식별에 대한 효과적 화면 인터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screen interface by dynamically moving menus and selectable objects to different areas on the screen without switching screens when a specific screen operation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tent display area with continuity of the motion by providing the continuity of the current menu while ensuring the content display area to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creen interfac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화면 인터페이스 변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screen interface of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properly understoo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scrib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음성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1, the user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voice output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user device 100 shown in Figure 1 are required, and the user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1, The user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표시부(130)에서 앱 실행 결과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에서 제공되는 메뉴 항목이나 메뉴 항목 이동을 위한 선택 가능 객체가 터치되면 제어부(150)는 해당 메뉴에 대한 앱 실행 결과를 표시부(130)를 통해 화면 전환 방식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의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특정 콘텐츠가 터치될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13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30)에 제공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는 화면을 터치한 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롤이나 터치 앤드 플릭 등을 감지한 제어부(150)에 의해 표시부(130) 상에서 이동되면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을 터치한 후 좌우로 스와이프할 경우 제어부(150)는 메뉴 간을 이동에 따른 앱 실행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If a menu item provid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r a selectable object for moving a menu item is touched in a state where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executes an application execution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a screen switching manner. In addition, when a specific content is touch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can generat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display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30 is moved on the display unit 130 by the controller 150 which senses the scroll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touching the screen, the touch and flip,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screen is swiped to the left or right after the screen is touched,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between the menus on the display unit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부(130)는 앱 실행 결과 화면으로서 계층적 구성의 메뉴들을 적어도 복수 단계로 표시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계층적으로 다단 표시되는 메뉴들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여 해당 메뉴에 대한 앱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복수 단계의 메뉴 표시에 의해 화면의 상당 부분이 점유되는 환경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스크롤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150)는 표시되고 있는 메뉴 항목이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 중에서 현재 메뉴에 관한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크기가 줄어든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객체 표시 영역을 확장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provide a screen interface for displaying hierarchical menus in at least a plurality of levels as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and the controller 150 may include hierarchical multi- And can provide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for the menu. If a scroll input is detected in order to confirm the provided contents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screen is occupied by the menu display of a plurality of stages,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 menu item being displayed or a selection object The object display area is expanded by reconstructing a new screen interface whose size is reduced while dynamically moving menu items and selection objects related to the current menu.

예를 들어, 제 1 수준의 메뉴들이 표시되는 영역, 제 2 수준의 메뉴들(제 1 수준 메뉴 중 선택된 메뉴의 하위 메뉴)이 표시되는 영역, 제 3 수준의 메뉴들(제 2 수준 메뉴 중 선택된 메뉴의 하위 메뉴)이 표시되는 영역 및 제 2 수준의 메뉴들 간을 이동하기 위한 선택 객체로 구성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와 현재 선택된 메뉴에 대한 콘텐츠 목록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콘텐츠 확인을 위해 스크롤 업을 위한 입력을 제공할 경우, 제어부(150)는 제 1 수준의 메뉴들을 제거하고, 제 2 수준의 메뉴 중 현재 선택된 메뉴 항목을 상단 바의 위치로 동적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 2 수준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 역시 상단 바의 위치로 동적 이동시키고, 제 3 수준의 메뉴를 상단 바로 동적 이동시킴으로써 3단으로 표시되던 넓은 면적인 메뉴 선택 화면 인터페이스를 상단 바 하나만 존재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로 동적 전환한다. 이를 통해서 콘텐츠 확인을 위한 화면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현재 선택된 메뉴에 대한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고, 제 2 수준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 역시 재활용되어 그 기능을 지속할 수 있으며, 제 3 수준의 메뉴 선택이 가능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좁은 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스크롤 다운에 의해서 이러한 화면 인터페이스 변화는 역순으로 복원될 수 있다.For example, an area in which first level menus are displayed, an area in which second level menus (a submenu of the selected one of the first level menus) is displayed, a third level menus A sub-menu of a menu) and a selection object for moving between menus of a second level and a screen on which a content list of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s provided, The controller 150 removes the first level menus, dynamically moves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of the second level menu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bar, and moves the second level menu The menu for selecting the object is also dynamically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bar, and the menu of the third level is dynamically moved to the upper right, Dynamically switch to a single screen interface with only one top ba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screen space for content confirmation and to check the continuity of the currently selected menu, and the selection object for moving between the second level menus can also be recycled, A screen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 menu at the third level can be reconstructed with a narrow area. Of course, such a screen interface change can be restored in reverse order by the user's scroll down.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00 may b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a telematics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a navigation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 type A smart TV,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television (TV), a digital television (TV), a digital television (TV) A home theater system,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 an A / V (Audio / Video) system, a flexible terminal, and the like.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The user's touch gestures can include tap, touch & hold, double tap, drag, panning, flick, drag and drop, swipe, and the like.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움직이지 않은 채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The "tap"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immediately touches the screen using a finger or a touch tool (e.g., an electronic pen) and immediately lifts it from the screen without moving.

"터치&홀드(touch & hold)"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예컨대, 2초)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예컨대, 2초)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임계 시간은 구현 예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Touch & hold" represent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touches a screen using a finger or a touch tool (e.g., an electronic pen) and then maintains a touch input over a critical time (e.g., 2 seconds). That i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ouch-in point and the touch-out poi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2 seconds).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touch input is a tap or a touch & hold, the feedback signal may be provided visually, audibly or tactually when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threshold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Double tap" indic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wice with a finger or a stylus.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Drag" means an operation of moving a finger or a touch tool to another position in the screen while the user holds the touch after touching the finger or the touch tool on the screen. The object is moved due to the drag operation or a panning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패닝(panning)"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페이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자체가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페이지 내에서 이동한다."Panning" indicates a case where a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without selecting an object. Since panning does not select a specific object, the object is not moved within the page, but the page itself moves within the screen, or the group of objects moves within the page.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A "flick" represent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drags a finger or touch tool to a critical velocity (e.g., 100 pixel / s) or mor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drag (or panning) from the flick based on whether the moving speed of the finger or the touch too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ritical speed (for example, 100 pixel / s).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Drag & drop" mean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drags an objec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using a finger or a touch tool, and then releases the object.

"핀치(pinch)"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화면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나타낸다. 오브젝트 또는 페이지의 확대(Pinch Open) 또는 축소(Pinch Close)를 위한 제스처이며, 두 손가락의 거리에 따라 확대값이나 축소값이 결정된다.A "pinch" represents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moves two fingers in different directions while touching the screen. It is a gesture for pinch opening or pinch closing of an object or a page, and a magnification value or a reduction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fingers.

"스와이프(swipe)"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로 화면 위의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동작이다. 사선 방향의 움직임은 스와이프 이벤트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A "swipe" is an operation of moving a certain distanc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hile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with a finger or a touch tool. Mo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may not be recognized as a swipe event.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 장치(미도시), 웹 서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or any internal component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an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a service providing device (not shown), a web server (not shown), and the lik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a wireless LAN (WLAN),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a microwave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and Wi-Fi Direct.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 USB communication, an Ethernet, a serial communication, a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information to and from an arbitrary terminal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또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서비스 제공 장치, 웹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Long Term Evolution-Advanced), and the like. The base sta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 web server, and the like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또는 웹 서버)와 통신한다.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r the web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또는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앱 프로그램, 다양한 정보 등을 수신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n application program and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or web server).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he like.

또한, 저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0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user apparatus 100 to operate.

즉, 저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user device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service providing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reside on the user device 100 since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e.g., phone call incoming, outgoing, message receiving, originating functions) of the user device 100.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1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to perform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user device 100. [

또한,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n addition, the user device 100 may operate web storage or operate in connection with web storage, which performs the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20 on the Internet.

또한, 저장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다양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information and the lik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can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by using the user interface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a menu screen including data such as an icon, a list menu, and a combo box. Also, 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touch screen.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an e-ink display,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표시부(130)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such as a stereoscopic system (glasses system), an autostereoscopic system (no-glasses system), a projection system (holographic system) can be applied.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the lik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

음성 출력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1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voice output unit 140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50. Here, the audio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또한, 음성 출력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Also, the voic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guidance voic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

또한, 음성 출력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다양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40 outputs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The control unit 15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user device 100. [

또한, 제어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execute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user device 100 using the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RAM, a ROM, a CPU, a GPU, and a bus, and the RAM, the ROM, the CPU, and the GPU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The CPU accesses the storage unit 12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he CPU 120 performs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Can be performed.

또한,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앱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또는 페이지)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은 복수의 객체(또는 콘텐츠)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의 앱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메뉴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여러 메뉴마다 복수의 서브 메뉴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메뉴 선택을 위한 넓은 화면 인터페이스 영역이 필요하다.In addition, whe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10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r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 Here,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may constitute a single screen by a plurality of sub-scree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bjects (or contents). In particular, since the recent app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s,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menus, and a plurality of submenus can be provided for each of these menus, so a wide screen interface area for menu selection is needed.

또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객체가 터치(또는 선택)된 이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의 스와이프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해당 특정 객체에 대한 터치 앤드 플릭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특정 객체 및 해당 객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객체들이 화면 내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동적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전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해당 특정 객체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 포함된 메뉴, 상품에 대응하는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a swip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detected after one specific object is touched (or select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r when a touch and flick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50 performs a screen switching function of dynamically moving the selected specific object and one or more other objects related to the objec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screen to display a new screen. At this time, the specific object includes a menu included in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roduct, and the like.

즉,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은 복수 단계의 메뉴들이나 메뉴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과 현재 선택된 메뉴에 대한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되고, 사용자가 콘텐츠 확인을 위해 콘텐츠 영역을 터치 후 이동할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콘텐츠 영역을 스크롤하면서 보이지 않는 콘텐츠 영역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That is,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s divided into an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menus or a selection object for moving between menus are displayed, and an area in which a content for the currently selected menu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50 scrolls the corresponding content area and displays the invisible content area on the display unit 13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복수 계층의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이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부(130)에 표시된 상황에서 콘텐츠 영역 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콘텐츠 영역을 터치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상부)으로 스크롤할 경우, 이를 감지한 제어부(150)는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 중 일부와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되도록 하면서 기존 화면 인터페이스는 동적으로 제거하여 메뉴 선택 및 메뉴 간 이동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영역을 줄인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reen interfa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n which the plurality of hierarchical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the menus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the user touches the content area When the user scrolls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the upper direction), the controller 150 dynamically moves some of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provided in the multi-step, Thereby reducing the screen interface area for menu selection and movement between menus.

또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또는 객체)가 선택(또는 클릭)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표시부(130)의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에 해당 콘텐츠(또는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When the content (or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s selected (or clicked),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ntent (or object)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0 Display.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t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사용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not shown) tha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Input / output (I / O) port,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and earphone port. 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user device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a device provid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Thus, the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00 via the port. The interface unit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user device 100 or data in the user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사용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해당 사용자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해당 전원은 사용자 장치(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user device 100 when the user devic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Not shown). The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corresponding power sourc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user device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user device 100 also includes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command or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 operation such as a button operation by the user or a signal according to an arbitrary function selection or a touch / Not shown).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and, a selection, data, and information of a user.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inputt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또한,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입력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부(1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touch screen, a jog wheel, a jog switch, a jog shuttle, a mouse, , A stylus pen, a touch pen, and the like can be used. Particularly,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또한, 사용자 장치(100)의 각각의 구성부(또는 모듈)는 사용자 장치(100)의 메모리(또는 저장부(120))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메모리는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 메모리 일 수 있으며, 외장형 메모리 또는 다른 형태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 시 사용자 장치(100)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mponent (or module) of user device 100 may be software stored on the memory (or storage 120) of user device 100. The memory may be an internal memory of the user device 100 and may be an external memory or other type of storage device. Further, the memory may be a non-volatile memory. The software stored on the memory may include a set of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cause the user device 100 to perform certain opera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u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processor mounted 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an process program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implementation, the processor may be a single-threaded processor,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processor may be a multi-threaded processor. Further, the processor is capable of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on a memory or storage device.

이와 같이, 사용자 장치에 미리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에서, 해당 앱 실행 결과 상에서의 미리 설정된 화면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모션의 연속성을 가진 인터랙션을 통해 선택 가능 객체들이 화면 내 다른 영역으로 동적 이동하면서 선택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화면 전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manner, when a predetermined screen operation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is detect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the user device, the selectable objects are moved to another area on the scree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motion continu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reen switching function to keep the selection function while dynamically mov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앱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선택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또는 페이지)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210)First,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10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r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S210)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은 복수의 객체(또는 콘텐츠)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 화면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ub-scree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bjects (or contents).

일 예로, 사용자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앱이 선택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선택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인 제 1 화면(300)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 1 화면(300)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나타내는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 최상위 복수의 메뉴(예를 들어 추천 메뉴, 쌓기 메뉴, 쓰기 메뉴 등 포함)를 포함하는 제 1-2 서브 화면(320), 최상위 선택 메뉴(예를 들어 쌓기 메뉴)에 따른 상위 메뉴(예를 들어 구매적립) 및 이에 따른 복수의 서브 메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 쇼핑적립 메뉴, 영수증쿠폰 적립 메뉴, 상품쿠폰 메뉴 등 포함)를 포함하는 제 1-3 서브 화면(330), 현재 서브 메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와 관련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4 서브 화면(340) 등을 포함한다. 이때, 제 1-3 서브 화면(330)은 미리 설정된 이미지(331) 상에 상위 메뉴(예를 들어 구매적립)와 해당 상위 메뉴에 따른 서브 메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 쇼핑적립 메뉴, 영수증쿠폰 적립 메뉴, 상품쿠폰 메뉴 등 포함)(332)가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 1-3 서브 화면(330)에는 메뉴의 선택 이동을 위한 서브 메뉴 항목(332) 외에 상위 메뉴(333)를 나타내는 메뉴 항목과 상위 메뉴 간 이동을 위한 메뉴 이동 선택 객체(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객체)(334)를 포함할 수 있다(S220).3,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 first screen 300, which is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step < RTI ID = 0.0 > ). Here, the first screen 300 includes a first sub-screen 310 (upper bar) indicating the points that can be currently used, a plurality of uppermost menus (for example, a recommended menu, a stacking menu, a writing menu, (For example, purchase purchase) and a plurality of submenus (for example, a fashion accumulation menu, a shopping accumulation menu, and a shopping accumulation menu) according to a first sub-screen 320, A first 1-3 sub screen 330 including a menu, a receipt coupon earning menu, a product coupon menu, and the like), a first 1-4 sub screen including contents related to a current sub menu (for example, a fashion accumulation menu) 340). In this case, the first sub-screen 330 displays a submenu (for example, a fashion accumulation menu, a shopping accumulation menu, a receipt A coupon accumulation menu, a coupon menu, etc.) 332 may be positioned. The first sub-screen 330 includes a submenu item 332 for selecting a menu, a menu item indicating a higher menu 333, and a menu movement selection object for moving between upper menus, Object) 334 (S220).

도시된 계층적 메뉴 구성은 최상위 메뉴, 상위 메뉴, 서브 메뉴가 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 것으로서, 최상위 메뉴는 항상 노출되고 상위 메뉴는 메뉴 이동 선택 객체(333)에 의해 메뉴 간 이동하며, 서브 메뉴는 상위 메뉴의 이동에 의해 종속적으로 달리 표시되는 방식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메뉴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 메뉴 선택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제한된 표시부(130)의 표시 영역 중 절반 이상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hierarchical menu structure, the top menu, the top menu, and the submenu are displayed on one screen. The top menu is always exposed and the top menu is moved between the menus by the menu moving selection object 333, The screen interface is displayed in a different manner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upper menu. This specific menu configuration may vary.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more than half of the display area of the limited display unit 130 is used for the screen interface for hierarchical menu selection.

이후,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에서 복수 계층의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이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콘텐츠 영역인 제 1-4 서브 화면(340)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터치하고 미리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상부)으로 스크롤할 경우(S230), 제어부(150)는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 중 일부와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제 1-1 서브 화면(상단바)(310)에 재구성되도록 하면서 기존 화면 인터페이스는 동적으로 제거하여 메뉴 선택 및 메뉴 간 이동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영역을 줄인다(S240).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제 1 화면(300)에서 패션적립 메뉴가 선택된(또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아래에서 수직 방향(예를 들어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의 콘텐츠 영역(제 1-4 서브 화면)(340)의 스크롤이 감지될 때, 제어부(150)는 도 3의 현재 제 1 화면(300)에서 도 4의 제 2 화면(400)으로 아래에서 수직 방향(예를 들어 12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듯이 동적인 화면 전환 기능을 수행한다.Thereafter, in a case where there are screen interfaces in which a plurality of hierarchical menu items and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the menus are provided in a multistage manner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When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area and scrolls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the upper part) (S230) for confirmation, the controller 150 dynamically moves some of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provided in multiple stages The existing screen interface is dynamically removed while being reconstructed in the first sub-screen (upper bar) 310, thereby reducing the screen interface area for menu selection and movement between menus (S240). For example, in the first screen 300 shown in Fig. 3, a content area (for example, from 6 o'clock to 12 o'clock) When the scroll of the first to fourth sub-screens 340 is sensed,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first screen 300 of FIG.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12 o'clock) to perform dynamic screen switching functions.

즉, 도 3에 도시된 제 1 화면(300)에서 패션적립 메뉴가 선택된(또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영역(340)에서 미리 설정된 아래에서 수직 방향(예를 들어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의 스크롤이 감지될 때, 제어부(150)는 도 3의 현재 제 1 화면(300)에서 수직 방향(예를 들어 12시 방향)으로 도 5의 내지 도 10의 동적인 화면 변화를 통해 최종적으로 도 4의 제 2 화면(400)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도 3에서 도 5 내지 도 10을 통해 동적 화면 변화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도 4의 제 2 화면(400)을 표시하게 되며, 도 3의 제 1 화면(300)에 포함된 제 1-1 서브 화면(310), 제 1-2 서브 화면(320), 제 1-3 서브 화면(330) 및 제 1-4 서브 화면(340) 중에서 동적 화면 전환에 따라 최상위 메뉴 항목이 표시되는 제 1-2 서브 화면(320)을 제거하고, 제 1-3 서브 화면(330) 내의 상위 메뉴 항목(333) 및 상위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 및 복수의 서브 메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 쇼핑적립 메뉴, 영수증쿠폰 적립 메뉴, 상품쿠폰 메뉴 등 포함)(332)가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로 이동하면서 재구성 및 재활용되도록 하며, 제 1-4 서브 화면(340)은 더 많은 영역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상태가 되도록 화면 구성을 변화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화면 전환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도, 앞서 미리 선택된 패션적립 메뉴 등으로 구성된 선택 기능을 포함하는 서브 화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 쇼핑적립 메뉴, 영수증쿠폰 적립 메뉴, 상품쿠폰 메뉴 등 포함하는 화면)(또는 해당 서브 화면 중에서 선택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객체)(332)과 해당 서브 화면과 관련한 추가 서브 화면(340)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메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한 메뉴 간 전환도 기존의 서브 메뉴의 선택 및 상위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여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screen 300 shown in FIG. 3, the content is display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from 6 o'clock to 12 o'clock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20 to display the first screen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12 o'clock direction) through the dynamic screen changes of Figs. 5 to 10 Finally, the second screen 400 of FIG. 4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3,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second screen 400 shown in FIG. 4 and performs a dynamic screen change on the first screen 300 shown in FIG. The top menu item 31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ynamic screen switching from among the first sub screen 310, the first sub screen 320, the first sub screen 330, and the first sub screen 340, The first 1-2 sub screen 320 is displayed and the upper menu item 333 in the 1-3 sub screen 330 and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the upper menu and the plurality of submenus (For example, a fashion accumulation menu, a shopping accumulation menu, a receipt coupon accumulation menu, a product coupon menu, and the like) 332 is moved to the first sub screen (upper bar) 310 to be reconfigured and recycled, The -4 sub screen 340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so that the content is provided to more areas. At this time, even when the screen switch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 sub-screen including a selection function including a previously selected fashion accumulation menu (e.g., a fashion accumulation menu, a shopping accumulation menu, a receipt coupon accumulation menu, (Or a plurality of sub-menus / objects including a selection function among the sub-screens) 332 and an additional sub-screen 340 related to the sub-scree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perceive that the user is intentionally changing the menu, and also can maintain the continuity by selecting the existing submenu and using the selected object for moving between the upper menus.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130)의 제 1-1 서브 화면(310)에 구성된 서브 메뉴와 상위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를 선택하거나 제 1-4 서브 화면(340)의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S250), 제어부(150)는 해당 선택 메뉴에 대응되는 앱 실행 결과를 표시부(130)에 표시하거나 해당 선택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S260)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a selection object for moving between the submenu and the upper menu configured on the first sub-screen 310 of the display unit 130 or selects the contents of the first sub-screen 340 (S250 ,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on the display unit 130 or may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0 (S260)

일 예로, 도 4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인 제 2 화면(400) 중에서 쇼핑적립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제 1-4 서브 화면(340)에 쇼핑적립을 위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상위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제 1-1 서브 화면(310)에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다른 상위 메뉴 및 그에 따른 서브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면서 그에 따른 제 1-4 서브 화면(340)의 콘텐츠도 변경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제 2화면(400)에서 'AA 핸드백'이 선택될 때, 제어부(150)는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opping accumulation menu is selected from the second screen 400, which is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FIG. 4,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shopping accumulation menu If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upper menus is selected, the controller 150 displays another upper menu having a similar configuration and submenu items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ents of the first to fourth sub screen 340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When the 'AA handbag' is selected on the second screen 4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can display the detail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인 화면 변화 과정을 도 5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다. 이를 통해서 이미 표시되어 있던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의 동적인 움직임 및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던 화면 인터페이스 영역(310 내지 330)의 축소 과정을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A dynamic screen chang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o FI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confirm the dynamic movement of the selected object and the reduction of the screen interface areas 310 to 330 occupying a wide area, which have been already displayed, for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menus.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화면(300)에는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 최상위 복수의 메뉴(예를 들어 추천 메뉴, 쌓기 메뉴, 쓰기 메뉴 등 포함)를 포함하는 제 1-2 서브 화면(320), 최상위 선택 메뉴(예를 들어 쌓기 메뉴)에 따른 상위 메뉴(예를 들어 구매적립), 상위 메뉴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 상위 메뉴에 따른 복수의 서브 메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 쇼핑적립 메뉴, 영수증쿠폰 적립 메뉴, 상품쿠폰 메뉴 등 포함)를 포함하는 제 1-3 서브 화면(330), 현재 서브 메뉴(예를 들어 패션적립 메뉴)와 관련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4 서브 화면(340)이 표시된다. 5, the first screen 300 includes a first sub-screen 310 (upper bar), a plurality of uppermost menus (for example, a recommended menu, a stacking menu, a writing menu, etc.) (For example, purchase purchase) according to a top-level selection menu (for example, a stacking menu), a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upper menus, A first sub-screen 330 including a plurality of sub-menus (for example, a fashion accumulation menu, a shopping accumulation menu, a receipt coupon accumulation menu, a product coupon menu, etc.) The first to fourth sub-screens 340 inclu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sub-screen 340 are displayed.

사용자가 제 1-4 서브 화면(340)을 터치한 후 위쪽으로 이동시켜 콘텐츠 영역을 스크롤하면 도 6과 같이 최상위 선택 메뉴가 표시된 제 1-2 서브 화면(320)이 줄어들고, 제 1-4 서브 화면(340)이 스크롤 업 되면서 그 표시 영역이 넓어진다. 더불어, 상위 메뉴 항목(예를 들어 구매적립)(333)이 상부로 조금 이동하고, 상위 메뉴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 역시 간격이 좁아지면서 조금 위로 이동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sub-screen 340 and then moves upward to scroll the content area, the first-second sub-screen 320 displayed with the highest-level selection menu is reduced as shown in FIG. 6, The screen 340 is scrolled up and its display area is widened. In addition, the upper menu item (for example, purchase purchase) 333 moves slightly upward, and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upper menus also moves up a little as the interval narrows.

사용자가 제 1-4 서브 화면(340)을 위쪽으로 계속 스크롤 시킴에 따라 도 7과 같이 제 1-2 서브 화면(320)은 제거되고, 제 1-3 서브 화면(330) 역시 줄어들며, 상위 메뉴 항목(예를 들어 구매적립)(333)이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 쪽으로 더욱 이동하고, 상위 메뉴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 역시 간격이 좁아지면서 더 위로 이동한다. 또한, 서브 메뉴(332) 역시 위쪽으로 이동한다. 더불어 제 1-4 서브 화면(340)은 스크롤 업 되면서 그 표시 영역이 더욱 넓어진다. As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the first sub-screen 340 upward, the first-second sub-screen 320 is removed, the first-third sub-screen 330 is also reduced as shown in FIG. 7, The item (for example, purchase purchase) 333 further moves toward the 1-1th sub-screen (upper bar) 310, and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the upper menu is also moved upward . Also, the submenu 332 also moves upward. In addition, the first to fourth sub-screens 340 are scrolled up to enlarge the display area.

사용자가 제 1-4 서브 화면(340)을 위쪽으로 계속 스크롤 시킴에 따라 도 8과 같이 제 1-3 서브 화면(330)은 더욱 줄어들고, 상위 메뉴 항목(예를 들어 구매적립)(333)이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에 크기가 작아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위 메뉴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는 크기가 줄어들고 간격이 더욱 좁아지면서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로 이동한다. 또한, 서브 메뉴(332) 역시 더욱 위쪽으로 이동한다.As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the first 1-4 sub screen 340 upward, the first 1-3 sub screen 330 is further reduced as shown in FIG. 8, and a higher menu item (for example, purchase purchase) 333 The size of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the upper menus is reduced and the interval is further narrowed, so that the first 1-1 sub-screen (upper bar) 310 The upper bar) 310 (FIG. In addition, the submenu 332 also moves upward.

사용자가 제 1-4 서브 화면(340)을 위쪽으로 계속 스크롤 시킴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 1-3 서브 화면(330)은 더욱 줄어들고,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에 배치된 상위 메뉴 양 옆으로 상위 메뉴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가 이동하며, 서브 메뉴(332) 역시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서 제 1-1 서브 화면(310)의 영역 역시 동적으로 증가한다.As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the first sub-screen 340 upward, the first sub-screen 330 is further reduced and the first sub-screen 310 (upper bar)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the upper menus moves to both sides of the arranged upper menus, and the submenu 332 also moves to the 1-1th sub-screen (upper bar) 310. To this end, the area of the first sub-screen 310 also increases dynamically.

사용자가 제 1-4 서브 화면(340)을 위쪽으로 계속 스크롤 시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제 1화면(300) 상에 표시되던 제 1-2 서브 화면(320), 1-3 서브 화면(330)이 없어지고 제 1-1 서브 화면(상단 바)(310)에 상위 메뉴 항목(333), 상위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334), 서브 메뉴 항목(332)가 모두 표시되며 그 크기는 최소화되며,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제 1-4 서브 화면(340)은 그 크기가 최대화 된다. 사용자가 제 1-4 서브 화면(340)을 아래쪽으로 스크롤 다운하면 도 10 내지 도 5의 역순으로 화면 인터페이스 변화가 다시 복원된다.As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the first 1-4 sub screen 340 upward, the first 1-2 sub screen 320, the 1-3 sub screen 330 The upper menu item 333, the selection object 334 for moving between the upper menu items, and the sub menu item 332 are all displayed on the 1st-1st sub-screen (upper bar) 310, And the first to fourth sub-screens 340 for providing contents are minimized in size. When the user scrolls down the first 1-4 sub screen 340, the screen interface change is restored in the reverse order of FIGS. 10 through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reated in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to implement a user apparatus.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A computer program embodying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and installed in a built-in memory such as a user device. Alternatively,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smart card storing and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a us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user apparatus or the like through an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에 미리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에서, 해당 앱 실행 결과 상에서의 미리 설정된 화면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모션의 연속성을 가진 인터랙션을 통해 선택 가능 객체들이 화면 내 다른 영역으로 동적 이동하면서 선택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화면 전환 기능을 제공하여, 모션의 연속성을 가진 인터랙션을 통해 콘텐츠를 보다 큰 화면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더 빠르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screen operation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is detected in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the user device, Selectable objects move dynamically to other areas on the screen, and screen switching function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selec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s on a larger screen through interaction with continuity of motion, and to access information more quickly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제한된 화면 상에 다층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이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원하는 메뉴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정 메뉴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확인을 위한 스크롤 조작 시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이 동적으로 이동하여 상단바에 재구성되도록 하여 현재 메뉴에 대한 시선 집중과 직관적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 장치 분야,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interface in which multi-layer menu items and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menus are provided in a multi-stage on a limited screen of a user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o a desired menu, Menu items and selection objects that are provided in a multi-stage scroll are dynamically moved and reconstructed in the upper bar,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expanding the content display area while maintaining eye-line focus and intuitive continuity with respect to the current menu Which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user devices, dynamic user interfaces, and the like.

10: 사용자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40: 음성 출력부 150: 제어부
10: user equipment 110: communication unit
120: storage unit 130: display unit
140: audio output unit 150:

Claims (10)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앱 실행 결과 화면으로 다층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 및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가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화면의 스크롤 동작이 검출되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며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and detecting a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interface in which a multi-layered menu item, a selection object for moving between menus, and a content according to a current menu are provided in a multistage manner on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on the display unit. When a scroll operation of the screen is detected, And a control unit for dynamically moving the selected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selected objects on the upper bar and controlling the content display area to be expan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층 메뉴 항목 중 일부 항목은 동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ynamically removes some of the multi-layer menu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시키는 메뉴 항목이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의 크기나 형상을 동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ynamically changes the size or shape of the selected menu item for moving menu items or moving between men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영역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을 스크롤하는 속도에 맞추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senses an input for scrolling up the content providing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menu and dynamically moves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provided at a plurality of stages according to the scroll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display area, Lt;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상단바의 크기를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size of the upper bar in a process of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and reconfiguring the menu bar and the selected objects on the upper bar.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을 다층 메뉴 항목과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들 및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가 다단으로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의 스크롤 동작이 검출되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며 콘텐츠 표시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Providing an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device through a display unit to a multi-layer menu item, selection objects for moving between menus, and a screen interface in which contents according to the current menu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nd
When the scroll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ete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provided in the multi-stage and reconfigur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to expand the content display area, / RTI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는,
다층 메뉴 항목 중 일부 항목을 동적으로 제거하거나, 이동시키는 메뉴 항목이나 메뉴 간 이동을 위한 선택 객체의 크기나 형상을 동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dynamically modifying a size or shape of a selected object for moving or removing a menu item or a menu that moves or removes some of the multi-layer menu items dynamical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는,
현재 메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영역을 위쪽으로 스크롤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콘텐츠 표시 영역을 스크롤하는 속도에 맞추어 다단으로 제공되는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Detecting an input for scrolling up the contents providing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menu and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provided at a plurality of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scrolling speed of the contents display area and reconstructing the menu items on the upper ba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상단바에 재구성하는 단계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 대한 반대 방향 스크롤 동작이 검출되면 재구성된 상단바의 메뉴 항목과 선택 객체들을 동적으로 이동시켜 이전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ion objects,
And dynamically moving the menu items and the selected objects of the reconstructed upper bar to restore the previous state when the opposite direction scroll operation to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screen is detected.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10.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is recorded.
KR1020150188081A 2015-12-29 2015-12-29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75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081A KR102475337B1 (en) 2015-12-29 2015-12-29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081A KR102475337B1 (en) 2015-12-29 2015-12-29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07A true KR20170078007A (en) 2017-07-07
KR102475337B1 KR102475337B1 (en) 2022-12-08

Family

ID=5935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081A KR102475337B1 (en) 2015-12-29 2015-12-29 User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3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6845A (en) * 2021-12-01 2022-04-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Interface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en)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therefor
JP2012226516A (en) * 2011-04-19 2012-11-15 Sony Corp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048934A (en) * 2011-07-14 2014-04-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Dynamic context based menus
KR20150067086A (en) 2012-03-20 2015-06-1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Multi-axis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en)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therefor
JP2012226516A (en) * 2011-04-19 2012-11-15 Sony Corp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048934A (en) * 2011-07-14 2014-04-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Dynamic context based menus
KR20150067086A (en) 2012-03-20 2015-06-17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Multi-axis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6845A (en) * 2021-12-01 2022-04-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Interface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296845B (en) * 2021-12-01 2024-03-2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Interface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337B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en) User terminc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xion and methods thereof
KR10230235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119843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0996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n application displayed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KR1022028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applications
EP27254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s in a touch device
US9268481B2 (en) User arrangement of objects on home screen of mobile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P3262842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6938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entire area using partial area touch in a portable equipment
KR102132390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3033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8648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70007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thereof
US20130086523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3092989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1251761B1 (en) Method for Data Transferring Between Applications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EP2743814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EP3215915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EP3113007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40118663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e
JP5801673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1864276B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JP2013200680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