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199A -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199A
KR20170076199A KR1020150186169A KR20150186169A KR20170076199A KR 20170076199 A KR20170076199 A KR 20170076199A KR 1020150186169 A KR1020150186169 A KR 1020150186169A KR 20150186169 A KR20150186169 A KR 20150186169A KR 20170076199 A KR20170076199 A KR 2017007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versation
user conversation
que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오드컨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드컨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드컨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199A/ko
Priority to PCT/KR2016/012371 priority patent/WO2017111287A1/ko
Publication of KR2017007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864
    • G06F17/3089
    • G06F17/3097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MMERCIAL CONTENTS}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시간 메신저에서 사용자 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필요한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증가된 유무선 인터넷 환경을 배경으로 온라인을 이용한 홍보, 매매 등의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매자들은 인터넷과 연결된 데스크탑이나 모바일 단말에서 잡지, 블로그 또는 YouTube의 동영상 등을 검색하다가 마음에 드는 상품을 발견하면, 상품명 등을 검색하여 구매로 이르게 된다. 유명 여배우가 공항에서 들었던 가방 이름, 예능 프로그램에 나온 육아 용품 이름이 포탈 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 상위에 올라가는 경우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사용자는 검색을 위한 웹 페이지를 별도로 열어서 상품명, 제조사, 판매처 등을 검색해야 하고, 이들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이미 알고 있지 않으면 쉽게 검색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판매자들은 제품 홍보를 위해서 상업 광고 이외에도 미디어 협찬, 온라인 사용기 모집 등에 많은 비용을 지출한다. 최근에는 온라인 상의 입소문이 제품 판매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홍보 비용 지출에도 불구하고, 상품명과 판매처 등의 쇼핑 정보를 공개할 수 없는 경우도 빈번하다. 상품명 노출에 대한 매체 시청자들의 사전 승인을 개별적으로 받을 수 없어 간접광고 이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와 판매자 모두 온라인상의 상품 이미지에 대해 보다 직관적인 UI(User Interface) 환경에서 쇼핑 정보를 제공하기를 원하는 니즈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되는 실시간 대화 중에, 별도의 검색어 입력 없이 사용자 대화 패턴을 분석하여, 관련된 쇼핑 정보를 썸네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쇼핑 정보 검색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가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며,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에서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는 기능; 및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대화 중에 관련된 상품 및/또는 서비스의 쇼핑 정보를 썸네일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쇼핑의 편의성이 증가되고, 쇼핑몰 운영자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로 쇼핑몰을 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에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신저 대화창에서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으로 전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랩탑,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상품 색을 요청하고 검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IT 업계에서 백그라운드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백그라운드의 의미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라는 용어는 실행 화면이 표시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에 표시된 페이지 (displayed page in an electronic device)라는 용어는,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화면에 즉시 표시될 수 있도록 전자장치에 로딩된 화면 및/또는 상기 화면 내부의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전체가 상기 페이지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카메라 롤 중인 화면 역시 상기 페이지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온라인 쇼핑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구매자들은 상품 정보를 위한 검색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쇼핑 과정에서 검색의 양태는 매우 다양하다.
구매자들은 구매할 상품을 미리 특정한 상태에서 가격 정보 또는 판매 온라인 샵 정보 등을 검색하거나, 카테고리를 정해 놓은 상태에서 구매할 상품을 특정하기 위해 상품 세부 정보를 검색하거나, 용도를 정해놓은 상태에서 해당 용도에 적합한 상품을 검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온라인 상거래가 활성화될수록 검색을 위한 다수의 액션,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검색 결과를 걸러내는 과정은 점점 더 사용자의 쇼핑 피로감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명 여배우가 어느 행사에서 착용한 특정 패션 아이템을 SNS에서 열람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사용자는 먼저 해당 아이템의 상품명이나 판매처를 알아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웹브라우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잡지명, 여배우 이름, 행사 이름, 아이템 종류, 색상 등의 키워드를 입력하며 상품명이나 제조사를 알아내는 과정을 거친다.
우여곡절 끝에 상품명을 알아낸 사용자는 상품명을 이용하여 온라인 최저가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가격 비교 사이트에 접속하고, 가격 비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비로소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다수의 웹브라우저 실행 과정의 반복 등 복잡한 검색 과정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자들은 추천 상품에 대한 사용자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예를 들어 검색 서비스 제공자들은 사용자가 열람했거나 구입한 상품에 대한 정보,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할 수 있는 인터넷 쿠키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징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크리스마스 선물>을 검색어로 입력한 경우, 최근 사용자가 <코트>를 검색한 이력이 있다면, 상품 데이터베이스에서 <크리스마스 선물> 태그를 달고 있는 상품 중 <코트> 태그를 함께 달고 있는 상품을 우선적으로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트 기반의 검색을 기본으로 하는 종래의 패러다임 아래에서는 사용자 적합성을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위의 예에서 사용자가 코트는 자신이 사용하기 위한 상품으로 검색했고, 크리스마스 선물은 선물하기 위해 용도로 검색한 경우, 종래의 검색 방법으로는 이와 같은 차이를 구별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색 결과 제공에 사용자의 쇼핑 정보 검색의 컨텍스트가 고려된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의 활동 빈도가 높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품 검색 쿼리를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쇼핑 정보를 보다 직관적인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종래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어 백그라운드에서 사용자 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듈은 사용자의 메신저 대화의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쇼핑 의사를 확인하고, 사용자 관심 상품, 카테고리 및 용도 등을 특정해 상품 검색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듈은 쿼리를 쇼핑 정보 검색 서비스 서버에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이를 썸네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메신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친구와 대화 중 칫솔에 대한 온라인 쇼핑몰 상세 정보 페이지의 URL를 공유한 경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대화의 문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칫솔에 대해 쇼핑 의사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URL로부터 해당 칫솔의 명칭 또는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또는 URL 자체, URL에서 추출한 소스 코드 자체를 상품 정보 검색을 위한 쿼리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예를 들어 상기 칫솔의 가격 비교 리스트를 제공받으면, 상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가격 비교 리스트의 대표 상품 또는 추천 상품, 예를 들어 최저가 온라인 쇼핑몰에 판매하는 동일 칫솔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에 상기 가격 비교 리스트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를 담아 메신저 대화 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친구와 대화 중, 사진 파일을 공유받은 경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대화의 문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해당 사진에 포함된 상품 카테고리에 대해 쇼핑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본 장식 검정색 원피스에 대한 쇼핑 의사가 확인되면, 상기 사진 파일에서 해당 상품의 이미지를 특정하여 상품 정보 검색을 위한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품 정보 제공 모듈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예를 들어 리본 장식 검정색 원피스와 관련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제공 받으면 상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추천 상품 리스트의 대표 상품, 예를 들어 사진 이미지와 가장 형태가 동일한 원피스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상기 원피스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에 상기 추천 상품 리스트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를 담아 메신저 대화 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친구와 대화 중, 임의의 SNS 컨텐츠에 대한 URL을 공유한 경우, 쇼핑 정보 모듈은 대화의 문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특정 용도에 대한 쇼핑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크리스마스 선물에 대해 메신저 상에서 SNS 컨텐츠를 공유하면서 친구와 논의한 논의한 경우, 쇼핑 정보 모듈은 상기 URL로부터 예를 들어 컨텐츠의 태그 정보 등을 추출하여 품 정보 검색을 위한 쿼리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품 정보 제공 모듈은 해당 용도에 대한 추천 상품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추천 상품 리스트의 대표 상품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에 상기 추천 상품 리스트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를 담아 메신저 대화 창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쇼핑 정보 제공 서버는 쿼리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매칭되는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가격 비교, 쿠폰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등의 쇼핑 및 기타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에서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단계 110에서 전자 장치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한 모듈을 탑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과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설계되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러그인, 엑티브엑스, 광고 SDK (모듈, API)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데스크탑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웹 브라우징 툴에 설치되는 익스텐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의 대화 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 대화 중 온라인 쇼핑몰 URL이 공유되는 경우, 쇼핑에 대해 관련성 있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키워드가 검색되는 경우, 사용자의 쇼핑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 대화의 패턴을 미리 설정된 범주로 추출하고, 비교 기준 패턴과 유사도 확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쇼핑 의사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과 관련된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구문, 문장의 형태, 이들의 가중치를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기준 패턴으로 미리 생성하고, 사용자 대화의 패턴이 비교 기준 패턴과 일치하는 정도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값을 가지면 사용자의 대화는 쇼핑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단계 130에서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 대화 데이터로부터 상품 검색을 위한 쿼리를 특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리소스가 충분한 경우,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이 대화 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분석하여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관심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상품 검색 서비스 서버에 쿼리를 전송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된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전자 장치의 다른 쇼핑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문의하고, 쿼리를 전달받은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쿼리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온라인 쇼핑과 관련된 사용자 대화 데이터 자체,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온라인 쇼핑몰의 URL,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이미지, 상기 사용자 대화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쿼리로 특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웹페이지 주소 정보, 상기 웹페이지를 실행하는 웹 브라우저의 기록 로그, 상기 기록 로그에서 추출한 데이터,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상기 웹페이지의 스크린 샷을 이용하여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중 핵심 데이터만 추출하여 쿼리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사이즈, 추출 가능한 피쳐 수준, 추출가능한 핵심 오브젝트 포함 여부를 고려하여 핵심 이미지를 추출하여 쿼리를 생성하거나, 텍스트의 경우 반복되는 빈도, 노출 위치 등을 고려하여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쿼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동영상의 경우 해당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프레임을 쿼리로 생성할 수도 있다.
핵심 데이터를 추출하여 쿼리를 생성하는 경우, 이미지와 동영상에 대한 쿼리는 검색의 편의를 위하여 추가로 피쳐를 추출하거나, 파일 자체의 핑거 프린트 정보 (헤시값) 등을 추출하여 쿼리에 부가할 수 도 있다.
앞의 예에서,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칫솔에 대한 온라인 쇼핑몰 상세 정보 페이지의 URL, 리본 장식 검정색 원피스가 포함된 사진 파일, SNS 컨텐츠의 URL 또는 사용자 대화 데이터, 사용자 대화 데이터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쿼리로 특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30에서 쇼핑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 대화 데이터로부터 쿼리 특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능한 경우에만 쿼리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이미지 및/또는 키워드의 개수, 상기 이미지 각각의 크기 및/또는 형태, 상기 페이지의 텍스트, 이미지 추출 가능 여부 및/또는 URL의 형태, 주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에서 쿼리 특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능한 경우에만 쿼리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별도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쿼리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대화의 컨텍스트를 보다 정교하게 계산하고, 상품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 결과를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는 쿼리가 특정 온라인 쇼핑몰의 상세 설명 페이지의 URL인 경우, URL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을 특정하고,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한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쿼리가 쇼핑몰이 아닌 웹페이지의 URL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웹페이지의 구성 정보, 예를 들어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상기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크기, 위치, 색상, 레이아웃, 이미지의 링크 정보 등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해당 페이지에서 사용자의 관심 상품, 상품군 또는 용도를 특정하고, 이에 대한 검색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쿼리가 동영상의 정지 화면 스크린샷 또는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상품 객체들의 크기, 위치, 색상, 레이아웃, 이미지에서 OCR을 통해 추출한 텍스트 정보, 텍스트의 크기, 위치, 색상, 레이아웃 등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해당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관심 상품, 상품군 또는 용도를 특정하고, 이에 대한 검색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쿼리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경우, 서비스 서버는 쿼리에 부가된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 프레임에서 추출된 피쳐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즉, 쿼리에 부가된 피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내의 피쳐 정보와 매칭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서버는 피쳐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레이블로 분류하고, 해당 레이블에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쿼리가 꽃이 찍힌 사진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대화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대화의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쇼핑 정보로 꽃배달 광고 리스트, 꽃꽃이 레슨 프로모션 정보, 및/또는 장미 축제 할인 쿠폰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쿼리가 특정 쇼핑몰 웹사이트의 구두에 대한 URL을 포함하는 사용자 대화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대화의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쇼핑 정보로 해당 구두와 동일한 브랜드의 다른 구두,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 형태 및/또는 같은 계절에 착용하는 구두에 대한 추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해당 구두에 대해 가격 비교 리스트를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150에서 상품 정보 제공 모듈은 수신한 검색 결과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여 사용자 대화가 진행되는 메신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썸네일은 가격 비교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가격 비교 리스트의 대표 상품에 대한 이미지, 상기 가격 비교 서비스의 로고 및/또는 상기 가격 비교 리스트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제목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썸네일은 가격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썸네일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는 웹브라우저 또는 웹브라우징이 가능한 기능을 실행시켜 자세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신저 대화창에서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메신저 대화창에서 사용자가 친구와 텍스트 메시지로 대화하면서 (210), 특정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공유한 (220)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썸네일 (230)을 대화창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쇼핑 정보 모듈은, 사용자 대화 210, 220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쇼핑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20이 온라인 쇼핑몰의 칫솔에 대한 상세 설명 페이지에 대한 URL인 경우, 쇼핑 정보 모듈은 사용자가 쇼핑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URL 또는 URL에서 추출한 상품명 키워드, 상품 이미지 등을 쿼리로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쇼핑 정보 모듈이 해당 쿼리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면, 검색 결과에 대한 썸네일 (242)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242)에 검색 결과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여 메신저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썸네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격 비교 리스트의 대표 상품에 대한 이미지 (242), 가격 비교 서비스의 로고, 가격 비교 리스트에서 최저가 정보 (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242)를 선택하면, 웹브라우저가 실행되면서 220에서 관심을 보인 치솔의 가격 비교 리스트가 표시된 웹페이지가 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4)

  1. 전자 장치가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은,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정되는 사용자 관심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관리 방법.
  3.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며,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4. 전자 장치에서 온라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신저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대화가 온라인 쇼핑과 연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대화에 포함된 URL 주소, 상기 URL 주소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추출한 업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대화의 스크린 샷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대화로부터 온라인 쇼핑에 대한 쿼리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86169A 2015-12-24 2015-12-24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7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69A KR20170076199A (ko) 2015-12-24 2015-12-24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6/012371 WO2017111287A1 (ko) 2015-12-24 2016-10-31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69A KR20170076199A (ko) 2015-12-24 2015-12-24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199A true KR20170076199A (ko) 2017-07-04

Family

ID=5909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169A KR20170076199A (ko) 2015-12-24 2015-12-24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76199A (ko)
WO (1) WO20171112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291B1 (ko) * 2020-03-03 2020-10-28 최영락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표계산 서비스 방법
KR20220010070A (ko) * 2017-12-08 2022-01-25 구글 엘엘씨 음성 구동 컴퓨팅 인프라에 의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링 관리
JP2023168100A (ja) * 2022-05-13 2023-11-2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3171710A (ja) * 2022-05-16 2023-12-05 Line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293A (zh) * 2019-11-08 2021-05-11 游戏橘子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画面撷取的记录通知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21B1 (ko) * 2007-02-23 2013-10-25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30062799A (ko) * 2011-12-05 2013-06-13 매디슨에비뉴 주식회사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KR20150007164A (ko) * 2013-07-10 2015-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곡외판의 보강부재 성형장치
KR101537555B1 (ko) * 2013-11-29 2015-07-20 (주)넷피아 인스턴트 메신저 상의 메시지 바로 검색 지원 방법
KR101511050B1 (ko) * 2014-07-25 2015-04-13 오드컨셉 주식회사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070A (ko) * 2017-12-08 2022-01-25 구글 엘엘씨 음성 구동 컴퓨팅 인프라에 의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링 관리
KR102171291B1 (ko) * 2020-03-03 2020-10-28 최영락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표계산 서비스 방법
JP2023168100A (ja) * 2022-05-13 2023-11-2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3171710A (ja) * 2022-05-16 2023-12-05 Line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287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050B1 (ko)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303728B2 (en) Personalized landing pages
US20130085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rodu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e-commerce activity of a user
KR101806169B1 (ko)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699315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search information
US201201671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r utilizing interactive video with tagged objects
US2021039060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US201700763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providing advertisements for comparison
KR20170076199A (ko)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195227B2 (en) Visual search, discovery and attribu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70067976A (ko) 쇼핑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34021A (ko) 이미지 기반 광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80276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duct Recommendations
KR20170013369A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90528B1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2145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controlled rendering of mobile advertisements
US202000901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and preemptive fashion inventory management &amp; order fulfilment
US10417687B1 (en) Generating modified query to identify similar items in a data store
CN112288516A (zh) 信息推荐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50066645A1 (en) Enhancing Marketing Funnel Conversion Through Intelligent Social Tagging and Attribution
KR101703919B1 (ko)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503637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using retail item inspection data
CN108073609B (zh) 一种页面显示方法和装置
JP4992088B2 (ja) ウェブサーバ装置、ウェブページ管理方法、およびウェブサーバプログラム
KR102062248B1 (ko) 온라인 신문기사의 아티클 이미지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커머셜 이미지를 노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