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932A -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 Google Patents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932A
KR20170075932A KR1020150185492A KR20150185492A KR20170075932A KR 20170075932 A KR20170075932 A KR 20170075932A KR 1020150185492 A KR1020150185492 A KR 1020150185492A KR 20150185492 A KR20150185492 A KR 20150185492A KR 20170075932 A KR20170075932 A KR 2017007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k composition
acrylate oligomer
color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8796B1 (en
Inventor
이정환
유경표
송연균
이광진
김진태
최하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796B1/en
Priority to CN201680076294.3A priority patent/CN108603061A/en
Priority to JP2018533680A priority patent/JP6684912B2/en
Priority to PCT/KR2016/015039 priority patent/WO2017111472A1/en
Publication of KR2017007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9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09D7/123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에 대한 밀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등이 우수한, 프린트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외의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의 혼합물인 광경화형 모노머 5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광 개시제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안료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안료 100 중량부당 분산제 고형분 함량으로, 분산제 3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1 내지 10:1 중량비로 그리고,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5:1 내지 100:1중량비로 혼합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강판에 본 발명의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젯팅하는 단계; 및 경화하여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 그리고, 강판; 및 강판에 본 발명의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을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printed steel sheet excellent in adhesion, workability and solvent resistance to a steel sheet, a method of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a printed steel sheet produced thereby. Specifically, 10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a different acrylate oligomer other tha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50 parts by weight to 8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which is a mixture of a 1-functional group photocurable monomer and a photocurable monomer having 2 or more functional groups;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igment; And 3 to 30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ing agent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the dispers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igment,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acyl acrylate oligom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0: 1 and the 1-functional group photo- The photo-curable monomers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00: 1; a step of jetting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onto a steel sheet; And curing to form a print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And a print layer formed of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steel sheet.

Description

밀착성이 우수한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dhesion, a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a printed steel sheet produced by the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칼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강철에 대한 밀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등이 우수한, 프린트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ink composition, a method of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a printed steel sheet produced thereb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printed steel sheet excellent in adhesion, workability and solvent resistance to steel, a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a printed steel sheet produced thereby.

종래 강판에 무늬가 있는 프린트 강판은 실크스크린이나 롤프린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프린트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 단속적인 배치 타입(batch type)의 공정으로 코일이 아닌 시트(sheet) 상에 대한 프린트 공정으로 제조된다. 롤 프린트 방식으로 프린트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롤에 인쇄무늬를 식각한 후, 식각된 롤에 잉크나 페인트를 묻혀 강판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프린트 강판이 제조된다.
Conventionally, printed steel plates with patterns on steel plates have been produced by silk screen or roll printing. However, in the case of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by a silk screen method, it is produced by a printing process on a sheet, not a coil, by an intermittent batch type process. In the case of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by a roll printing method, a printed steel sheet is manufactured by etching a print pattern on a roll, and then coating the etched roll with ink or paint to coat the steel sheet.

이와 같이, 기존에 프린트 강판은 실크스크린이나 롤프린트, 또는 라미네이팅 방식을 통해 제작되어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프린트 방식은 고해상도의 패턴 인쇄가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이나 롤 제작으로 인한 제작비 상승, 낮은 실수율, 다양한 컬러의 제품 생산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트 방식을 철강에 적용하여 기존 프린트 강판 제작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rinted steel sheet has been manufactured through a silk screen, a roll print, or a laminating method. However, such a conventional printing method can not print a high resolution pattern. In addition,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e production of screen or roll, low error rate, and to produce products of various col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kjet printing method is applied to steel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printing plate making method.

그러나, 철강 소재 위에 직접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젯팅하는 경우에, 흡수층 부재로 인하여 잉크와 소재 간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제품으로서 활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밀착성뿐만 아니라 가공성, 내용제성 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므로 기존의 프린트 강판을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when a color ink composition is jetted directly onto a steel material, it is difficult to ensure adhesion between the ink and the material due to the absorbing layer member, so that it can not be utilized as a product. Further, since it is required to satisfy not only the adhesion but also the processability and the solvent resistance, there is a limit to replace the existing print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철강 소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에서의 젯팅성, 작업성, 가공성, 내용제성이 우수한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or ink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teel materia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excellent in jetting property, workability, processability and solvent resistance in a head.

본 발명은 강판에 잉크젯 방식으로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젯팅성, 및 작업성으로 강판에 대한 프린트층의 밀착성, 가공성 및 내용제성 우수한 프린트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steel sheet excellent in adhesiveness, workability and solvent resistance of a print layer to a steel sheet with excellent jetting property and workability by applying a color ink composition to a steel sheet by an ink jet method.

본 발명은 강판에 대한 밀착성, 가공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f a color ink composition excellent in adhesion, workability and solvent resistance to a steel sheet.

본 발명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외의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a difunctional acrylate oligomer other tha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의 혼합물인 광경화형 모노머 5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50 parts by weight to 8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which is a mixture of a 1-functional group photocurable monomer and a photocurable monomer having 2 or more functional groups;

광 개시제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안료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igment; And

안료 100 중량부당 분산제 고형분 함량으로, 분산제 3 내지 300 중량부를3 to 30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ing agent,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dispers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pigment,

포함하며, ≪ / RTI &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1 내지 10:1 중량비로 그리고,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5:1 내지 100:1중량비로 혼합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0: 1,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of 2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00: Color ink composition.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2,000 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be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2,000.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 aliphatic urethane acrylate may be used.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관능기 수가 3개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have a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3 or less.

상기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acrylate oligomers, and epoxy acrylate oligomers.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관능기 수가 4개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those having not more than 4 functional groups may be used.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3,00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3,000.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관능기 수가 2개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epoxy acrylate oligomer, those having two or less functional groups may be used.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2,000 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The epoxy acrylate oligo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2,000.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릭 트리메틸올프로판 포말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벤질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모르폴린, 비닐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N-비닐-2-피롤리돈, 및 N-비닐카프로락탐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nofunctional photocurable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octyl acrylate, cyclic trimethylolpropane foam acrylate, phenoxybenzyl acrylate, trimethyl cyclohex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benzyl acrylate, lauryl acrylate, isodecyl acrylate Acrylate, acrylate, vinyl ether, vinyl ester,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N-vinyl-2-pyrrolidone, and N-vinylcaprolactam are preferably used.

상기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클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hotocurable monomers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acrylate, hexanedi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neo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glycer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t least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상온에서 점도가 40 cps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40 cps or less at room temperature.

상기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표면 장력이 20 내지 50 dyne/cm일 수 있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may have a surface tension of 20 to 50 dyne / cm.

본 발명은 강판에 본 발명의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젯팅하는 단계; 및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jetting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onto a steel sheet; And

젯팅된 칼라 잉크 조성물을 경화하여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nd curing the jetted color ink composition to form a print layer.

본 발명은, 강판; 및 강판에 상기 본 발명의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을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late, And a printed layer formed of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steel sheet.

상기 프린트 강판은 상기 강판과 프린트층 사이에 칼라 도막층, 크롬층 및 크롬프리층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전처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ed steel sheet may include at least one pretreatment lay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lor coating layer, a chromium layer, and a chrome free layer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print layer.

본 발명의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이로 형성된 프린트층의 철강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프린트층은 우수한 가공성, 내용제성, 강도 및 색감을 갖는 것으로, 상기 프린트층이 형성된 프린트 강판은 고품질의 프린트 강판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상온에서의 점도가 충분히 낮아 잉크젯으로 철강 소재에 적용될 수 있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to a steel of a printed layer formed from the composition. In addition, the print layer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solvent resistance, strength and color, and the printed steel sheet on which the print layer is formed is used as a high-quality printed steel sheet. In addition,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stee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fficiently low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and can be applied to a steel material by an ink jet.

도 1은 강판과 강판에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크롬처리 또는 크롬프리 처리의 전처리층이 구비된 강판에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전처리층, 칼라도막층이 형성된 강판에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을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teel sheet and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n the steel sheet. Fig.
Fig. 2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n a steel sheet provided with a pretreatment layer of chrome treatment or chrome free treatment.
Fig. 3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n a steel sheet having a pretreatment layer and a color coat layer formed there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외의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a different acrylate oligomer other tha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의 혼합물인 광경화형 모노머 5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50 parts by weight to 8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which is a mixture of a 1-functional group photocurable monomer and a photocurable monomer having 2 or more functional groups;

광 개시제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안료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igment; And

안료 100 중량부당 분산제 고형분 함량으로, 분산제 3 내지 300 중량부를3 to 30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ing agent,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dispers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pigment,

포함하며, ≪ / RTI &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1 내지 10:1 중량비로 그리고,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5:1 내지 100:1중량비로 혼합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의 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0: 1,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of 2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00: A color ink composition is provided. Hereinafter, the composition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재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내용제성과 내스크레치성은 양호하지만 가공성이 좋지 않다.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경도와 내용제성이 우수하나 황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가공성, 내용제성, 경도, 밀착성 등 프린트 강판의 프린트층에서 요구되는 대부분의 물성을 만족하며, 특히 가공성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주재로 사용된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Generally, polyester acrylate oligomer, epoxy acrylate oligomer, and urethane acrylate oligomer are used for the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However,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has good solven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but poor processability. The epoxy acrylate oligomer is excellent in hardness and solvent resistance, but has yellowing problem.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satisfies most of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in a print layer of a printed steel sheet such as processability, solvent resistance, hardness, and adhesion, and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processability. Therefore,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mainly used.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밀착성, 경화성, 경도 등의 측면에서 벤젠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preferably an aliphatic urethane acrylate oligomer that does not contain a benzene ring in terms of adhesiveness, curability, hardness and the like.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관능기 수가 3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관능기 수가 1 내지 3개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관능기 수가 3개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는 가져야 경화반응에 의해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may have 3 or less functional groups, preferably 1 to 3 functional groups. When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exceeds 3, the flexibility of the coating film may be insufficient and the processability may be deteriorated.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must be present to form a coating film by a curing reaction.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0 내지 12,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가교 밀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00을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물질의 점도가 높아져 잉크 조성물의 젯팅 가능한 점도를 구현하기에 제약이 따르며, 도막의 가교 밀도가 떨어져 내용제성이 약화될 수 있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00 to 12,000.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 crosslinking density may be high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ore than 12,000, the viscosity of the material generally increases to limit the jetting viscosity of the ink composition. The crosslinking density may be reduced and the solvent resistance may be weakened.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의 비제한적인 예로 Miwon사의 Miramer PU210, Miramer PU2034C, Miramer PU2100, Miramer PU2200, Miramer PU330, Miramer PU340, Miramer PU3200, Miramer PU2560, Cytec사의 EBECRYL 244, EBECRYL 245, EBECRYL 254, EBECRYL 264, EBECRYL 265, EBECRYL 270, EBECRYL 280, EBECRYL 284, EBECRYL 285, EBECRYL 294, EBECRYL 1259, EBECRYL 1290, EBECRYL 4830, EBECRYL 4835, EBECRYL 4883, EBECRYL 8296, EBECRYL 8402, EBECRYL 8465, EBECRYL 8800, EBECRYL 8803, EBECRYL 8804 EBECRYL 8805, EBECRYL 8806, EBECRYL 9215, EBECRYL 9216, EBECRYL 9259, EBECRYL 9260, EBECRYL 9270, EBECRYL 9370, UA 7933, UP 112, UP 136, UP 137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Non-limiting examples of the urethane oligomer include Miramer PU210, Miramer PU2034C, Miramer PU2100, Miramer PU2200, Miramer PU330, Miramer PU340, Miramer PU3200, Miramer PU2560 from Miwon, EBECRYL 244, EBECRYL 245, EBECRYL 254, EBECRYL 264, EBECRYL 265 , EBECRYL 270, EBECRYL 280, EBECRYL 284, EBECRYL 285, EBECRYL 294, EBECRYL 1259, EBECRYL 1290, EBECRYL 4830, EBECRYL 4835, EBECRYL 4883, EBECRYL 8296, EBECRYL 8402, EBECRYL 8465, EBECRYL 8800, EBECRYL 8803, EBECRYL 8804 EBECRYL 8805 , EBECRYL 8806, EBECRYL 9215, EBECRYL 9216, EBECRYL 9259, EBECRYL 9260, EBECRYL 9270, EBECRYL 9370, UA 7933, UP 112, UP 136 and UP 137. One or more of these urethane acrylate oligomers may be selected and used as need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외의 다른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함께 사용한다. 즉, 필요로 하는 물성의 제어 측면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밀착성, 경도, 내용제성, 가공성, 점도 등의 물성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other tha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 of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different acrylate oligomer to suitably control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dhesion, hardness, solvent resistance, processability and viscosity.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의 함량은 컬러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접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등이 약해진다. 상기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분사가 어려워지며, 따라서, 잉크젯 시스템에서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fferent acrylate oligomer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10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mixture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fferent kind of acrylate oligomer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adhesion, workability, solvent resistance and the like are weakened.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becomes too high and the injection becomes difficult,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use in an inkjet system.

상기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The above-mentioned different types of acrylate oligomer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acrylate oligomers, and epoxy acrylate oligomer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관능기 수가 4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관능기 수가 1개 이상 그리고 4개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관능기 수가 4개 초과하면, 가교 밀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는 가져야 중합반응에 의해 프린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As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those having not more than 4 functional groups, preferably not less than 1 and not more than 4 functional groups may be used. If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exceeds 4, the crosslinking density becomes high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must be present to form the print layer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이거나 3,000을 초과하면, 물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3,000.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 or more than 3,000,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physical properties effectively.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Miwon사의 Miramer PS4040, Miramer PS420, CYTEC사 EBECRYL 80, EBECRYL 81, EBECRYL 84, EBECRYL 452, EBECRYL 657, EBECRYL 800, EBECRYL 810, EBECRYL 851, EBECRYL 852, EBECRYL 884, EBECRYL 1657, EBECRYL 1810, UP 039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Non-limiting examples of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include Miramer PS4040, Miramer PS420 from Miwon, EBECRYL 80, EBECRYL 81, EBECRYL 84, EBECRYL 452, EBECRYL 657, EBECRYL 800, EBECRYL 810, EBECRYL 851, EBECRYL 852, 884, EBECRYL 1657, EBECRYL 1810, UP 039,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관능기 수가 2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관능기 수가 1개 이상 그리고 2개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관능기 수가 2개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는 가져야 중합반응에 의해 프린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As the epoxy acrylate oligomer,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2 or less, preferably,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1 or more and 2 or less. When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epoxy acrylate oligomer exceeds 2,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must be present to form the print layer by the polymerization reaction.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2,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미만이거나 2,000을 초과하면,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The epoxy acrylate oligo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2,000.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 or exceeds 2,000, it may be difficult to satisfy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비스페놀A형, 비스페놀F형, 노볼락형 등 종류에 특별히 한정이 없이 비제한적인 예로 Miwon사의 Miramer EA2235, Miramer EA2255, Miramer EA2259, Miramer EA2280, Cytec사의 EBECRYL 600, EBECRYL 604, EBECRYL 605, EBECRYL 606, EBECRYL 608, EBECRYL 629, EBECRYL 645, EBECRYL 648, EBECRYL 1608, EBECRYL 1940, EBECRYL 2959, EBECRYL 3105, EBECRYL 3200, EBECRYL 3201, EBECRYL 3500, EBECRYL 3502, EBECRYL 3600, EBECRYL 3605, EBECRYL 3700, EBECRYL 3701, EBECRYL 3702, EBECRYL 3703, EBECRYL 3708, EBECRYL 3720, EBECRYL 6040, EBECRYL 9686, EBECRYL 9706, EBECRYL 9704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epoxy acrylate oligomer include bisphenol A type, bisphenol F type, novolac typ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o, Miramer EA2235, Miramer EA2255, Miramer EA2259, Miramer EA2280 from Miwon, EBECRYL 600, EBECRYL 604, EBECRYL 605, EBECRYL 606, EBECRYL 608, EBECRYL 629, EBECRYL 645, EBECRYL 648, EBECRYL 1608, EBECRYL 1940, EBECRYL 2959, EBECRYL 3105, EBECRYL 3200, EBECRYL 3201, EBECRYL 3500, EBECRYL 3502, EBECRYL 3600, EBECRYL 3605, EBECRYL 3700 , EBECRYL 3701, EBECRYL 3702, EBECRYL 3703, EBECRYL 3708, EBECRYL 3720, EBECRYL 6040, EBECRYL 9686, EBECRYL 9706, EBECRYL 9704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1 내지 10:1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1 내지 7:1 중량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1 내지 5: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상기 혼합비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균형적인 물성 구현 측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0: 1, preferably 1.2: 1 to 7: 1, more preferably 1.2: 1 to 5: 1 . It is preferable that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fferent acrylate oligomer are mixed in the mixing ratio range in view of achieving a balanced physical property.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의 희석제로서 광경화형 모노머를 포함한다.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로는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가 함께 사용된다.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가 함께 사용함으로써, 프린트층 형성시, 밀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표면경도가 향상된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otocurable monomer as a diluent for the mixture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As the photo-curable monomer, a monofunctional monomer having one functional group and a photo-curable monomer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used together. The combination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of the 1-functional group and the monofunctional monomer of 2 or more functional groups improves the adhesion, processability, solvent resistance and surface hardness when the print layer is formed.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에서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은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모노머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져 잉크젯 시스템을 사용한 철강 소재에 대한 잉크 조성물의 적용이 불가능해진다. 반면에 광경화형 모노머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반적인 도막 물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monomer in the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k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monomer is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becomes high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apply the ink composition to the steel material using the ink jet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photocurable monomer is more than 80 parts by weight, the overall coating film properties are adversely affected.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는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이 낮은 점도를 가지게 하고,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의 밀착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릭 트리메틸올프로판 포말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벤질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모르폴린, 비닐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는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The monofunctional photocurable monomer makes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ow viscosity and improves the adhesion and processability of the print layer formed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n-limiting examples of monofunctional photocurable monomers include isooctyl acrylate, cyclic trimethylol propane foam acrylate, phenoxybenzyl acrylate, trimethyl cyclohex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benzyl acrylate, lauryl acrylate , Isodecyl acrylate, phenoxyethyl acrylate, tetrahydroperfuryl acrylate, ethoxyethoxyethyl acrylate, stear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acrylic morpholine, vinyl ether , Vinyl esters, N-vinyl-2-pyrrolidone, N-vinylcaprolactam and the like. These monofunctional photocurable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의 내용제성 및 표면강도를 향상시킨다.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클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는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에서 관능기는 최대 6관능기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광경화형 모노머가 가질 수 있는 관능기 수가 최대 6개이기 때문이다.
The photocurable monomers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improve the solvent resistance and surface strength of the print layer formed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n-limiting examples of photocurable monomers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include ethylene glycol diacrylate, hexanedi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 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glycer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the like. These bifunctional photopolymerizable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In photocurable monomers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the functional group may be a maximum of six functional group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that the photocurable monomer can have is at most six.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5:1 내지 100: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90:1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6:1 내지 90: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를 상기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점도 조절 측면과 전반적인 도막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1-functional group photo-curable monomer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having 2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00: 1, preferably 5: 1 to 90: 1, more preferably 6: It is preferable to use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1-functional group photo-curable monomer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having 2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mixed in the above ratio in terms of viscosity contro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overall coating film effectively.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및 광경화형 모노머의 중합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광 개시제를 포함한다. 광 개시제로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 잉크 조성물의 광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어떠한 광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otoinitiator to induce polymerization of the mixture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fferent acrylate oligomer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using ultraviolet light. As the photoinitiator, any photoinitiator capable of inducing a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광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시는, 하기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개시제의 예로는 벤조페논 및 치환된 벤조페논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과 같은 티옥산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벤질 디메틸케탈, 비스(2,6)-디메틸펜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5,7-디아이오도-3-부톡시-6-플루오론, 디페닐아이오도늄 플로라이드 및 트리페닐설포늄 헥사플로오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photoinitia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compounds or combinations thereof. Examples of photoinitiators include benzophenone and substituted benzophenones,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thioxanthone such as isopropyl thioxanth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e- Benzyl-2-dimethylamino- (4-morpholinophenyl) butan-1-one, benzyldimethyl ketal, bis (2,6) -dimethylphenoyl) -2,4,4-trimethylpentylphosphine 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ethyl 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at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 2-diphenylethan-1-one, 5,7-diiodo-3-butoxy-6-fluorone, diphenyliodonium fluoride Triphen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광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또한, Irgacure® 184, 500, 369, 379, 907, 819, Darocur® 1173, MBF, TPO, BP, ITX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개시제는 필요에 따라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Non-limiting examples of photoinitiators that can be used in the color ink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 Irgacure® 184, 500, 369, 379, 907, 819, Darocur® 1173, MBF, TPO, BP and ITX. One or more of these photoinitiators may be selected and used as need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에서 상기 광 개시제의 함량은, 칼라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으로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가 5 중량부 미만이면, 프린트층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아 프린트층의 성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다. 반면에,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프린트층에 황변이 발생하거나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된다.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n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the photoinitiator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print layer is not sufficiently cur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int layer is not properly realized.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20 parts by weight, yellowing occurs in the print layer or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deteriorates.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철강 소재에 색을 부여하기 위한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칼라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안료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착색력이 떨어지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떨어져 잉크 안정성이 저하된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gment for imparting color to a steel material. The content of the pigment may be 0.1 part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pigm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tinting strength is poor. When the content of the pigm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dispersibility is deteriorated and the ink stability is lowered.

상기 안료로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s the pigment, organic pigments, inorganic pigment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무기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카본 블랙,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아연황, 레드옥시드, 카드뮴적, 군청, 감청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불용성 아조 안료, 가용성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유기 안료, 퀴나크리돈계 유기 안료, 페릴렌계 유기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유기 안료, 피란트론계 유기 안료, 티오인디고계 유기 안료, 축합 아조계 유기 안료, 벤즈이미다졸론계 유기 안료, 퀴노프탈론계 유기 안료, 이소인돌린계 유기 안료, 니켈아조 옐로우, 디옥사진 바이올렛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는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Non-limiting examples of the inorganic pigments include carbon black, titanium oxide, zinc oxide, zinc sulfur, red oxide, cadmium, zirconium, and persulfat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organic pigment include inorganic pigments such as insoluble azo pigments, soluble azo pigments, phthalocyanine organic pigments, quinacridone organic pigments, perylene organic pigments, isoindolinone organic pigments, pyranthrone organic pigments, Pigments, condensed azo based organic pigments, benzimidazolone based organic pigments, quinophthalone based organic pigments, isoindoline based organic pigments, nickel azo yellow and dioxazine violet. The pigm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if necessary.

상기 안료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화이트, 레드, 그린, 블루, 오렌지, 바이올렛, 브라운 색상, 이들의 혼합물 등 일 수 있다.
The pigments may be cyan, magenta, yellow, black, white, red, green, blue, orange, violet, brown, and mixtures thereof.

유기 안료를 컬러 인덱스(C.I.) 넘버로 예시하면, C. I. 피그먼트 옐로우 1, 2, 3, 12, 13, 14, 16, 17, 20, 24, 73, 74, 75, 83, 93, 95, 97, 98, 109, 110, 114, 117, 120, 125, 128, 129, 130, 137, 138, 139, 147, 148, 150, 151, 153, 154, 155, 166, 168, 180, 185, 213, 214; C. I. 피그먼트 레드 5, 7, 9, 12, 48, 49, 52, 53, 57, 97, 112, 122, 123, 149, 168, 177, 180, 184, 192, 202, 206, 209, 215, 216, 217, 220, 223, 224, 226, 227, 228, 238, 240, 254; C. I. 피그먼트 그린 7, 36, 58; C. I. 피그먼트 블루 15, 15:1, 15:3, 15:4, 15:6, 16, 22, 60, 64; C. I. 피그먼트 오렌지 16, 36, 43, 51, 55, 59, 61;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23, 29, 30, 37, 40, 50; C. I. 피그먼트 브라운 23, 25, 26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organic pigment as a color index (CI) number include CI Pigment Yellow 1, 2, 3, 12, 13, 14, 16, 17, 20, 24, 73, 74, 75, 83, 93, 95, 97 , 98, 109, 110, 114, 117, 120, 125, 128, 129, 130, 137, 138, 139, 147, 148, 150, 151, 153, 154, 155, 166, 168, 180, 185, 213 , 214; CI Pigment Red 5, 7, 9, 12, 48, 49, 52, 53, 57, 97, 112, 122, 123, 149, 168, 177, 180, 184, 192, 202, 206, 209, 216, 217, 220, 223, 224, 226, 227, 228, 238, 240, 254; CI Pigment Green 7, 36, 58; CI Pigment Blue 15, 15: 1, 15: 3, 15: 4, 15: 6, 16, 22, 60, 64; CI Pigment Orange 16, 36, 43, 51, 55, 59, 61; CI Pigment Violet 19, 23, 29, 30, 37, 40, 50; CI Pigment Brown 23, 25, 26, and the like.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해 분산제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고분자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를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가능한 고분자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 Lubrizol사의 SOLSPERSE 분산제, BYK사의 DISPERBYK 분산제, BASF사의 EFKA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ersing agent for dispersing the pigment. As the dispersing agent, a polymeric dispersing agent may be used, and the kin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Non-limiting examples of usable polymer dispersants include SOLSPERSE dispersant from Lubrizol, DISPERBYK dispersant from BYK, and EFKA dispersant from BASF.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s required.

상기 칼라 잉크 조성물에서 분산제의 함량은 통상 안료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분산제는, 분산제 고형분 함량이 안료 100 중량부당 3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분산성과 분산안정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content of the dispersant in the color ink composition generally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pigment. The dispersant preferably has a dispersant solid content of 3 to 3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2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igment in terms of dispersibility and dispersion stability.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에서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젯팅성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안료 입자는 잉크젯 헤드를 통하여 젯팅이 가능하고 노즐 막힘을 일으키지 않도록 충분히 작아야 한다. 또한, 안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안료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충분한 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 nm 미만일 경우 내광견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500 nm를 초과하는 경우 큰 입자에 의한 잉크젯 시스템의 헤드 노즐이 막힐 수 있어 젯팅 안정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Microtrac사의 Nanotrac 250 Particle Size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in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in jetting properties. The pigment particles should be small enough to allow jetting through the inkjet head and not causing nozzle clogg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is preferably from 10 to 500 nm, and more preferably from 50 to 300 nm, in order to exhibit good dispersibility and dispersion stability of the pigment and to express sufficient color although it depends on the kind of the pigment. If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is less than 10 nm, the light fastness may be lowered, and if it exceeds 500 nm, the head nozzle of the ink jet system due to large particles may be clogged, which may result in deterioration of the jetting stability.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was measured using a Microtrac 250 Particle Size Analyzer.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에서 안료는 입자 크기가 매우 작은 것으로 조성물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분산제에 안료를 별도로 먼저 분산시킨 안료 분산액으로 제조한 다음에 칼라 잉크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배합하여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제조한다.
In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gment is very small in particle size and is difficult to evenly disperse into the composition. Accordingly, a pigment dispersion in which the pigment is separately dispersed in the dispersant is prepared first, and then mix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to prepare a color ink composition.

한편, 원하는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분산제와 함께 분산매질 속에 안료를 넣어 습윤, 분쇄, 분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안료 분산액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드 밀링, 볼 밀링, 3롤 밀링 등의 분쇄 기법을 통해 안료를 입자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면서 제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a desired pigment can be obtained by wetting, pulverizing and dispersing a pigment in a dispersion medium together with a dispersing agent. The method of producing the pigment dispers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igment can be produced by adjusting the particle size to a desired size through a pulverizing technique such as bead milling, ball milling, and 3 roll milling.

상기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는 레벨링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부착 증진제 등이 요구되는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veling agent, a defoaming agent, an antioxidant,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dhesion promoter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not lowering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if necessary.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시스템을 통하여 프린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실크스크린이나 롤 프린팅 방식의 조성물에 비해 낮은 점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상온 (15 내지 25℃)에서 40 cps이하, 바람직하게는 30 cps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cps 내지 30 cps의 점도를 갖는다. 상기 점도 범위인 칼라 잉크 조성물이 잉크젯 시스템으로 철강 소재에 도막을 형성하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시스템으로 젯팅하여 대상 소재에 적용 가능한 점도를 가지며, 따라서, 잉크젯 시스템으로 철강 소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이와 같이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잉크젯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수준의 점도가 확보되는 이점을 갖는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viscosity than a conventional silk screen or roll printing composition in order to form a print layer through an ink jet system. Specifically,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of not more than 40 cps, preferably not more than 30 cps, and more preferably 20 cps to 30 cps at room temperature (15 to 25 ° C). The color ink composition having the above viscosity range can be suitably applied to an ink jet system to form a coating film on a steel material. Thus,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applicable to a target material by jetting with an inkjet system, and thus can be applied to a steel material by an inkjet system.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h an advantage that a level of viscosity that can be used in an inkjet system is secured without using an organic solvent.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 시스템이지만, 경화 전에는 잉크젯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재에 프린트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갖으며, 경화되어 철강 소재에 형성된 프린트층은 철강 소재에 대한 만족할 만한 수준의 밀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경도를 갖는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vent-free solventless system, but has a viscosity sufficiently low enough to form a print layer on the material using an ink jet system before curing, and the printed layer formed on the steel material is hardened The processability, the solvent resistance, and the hardness.

또한, 칼라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시스템에서 젯팅하여 철강 소재에 적용하기 위해서 적절한 표면장력을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상온 (15 내지 25℃)에서 20 내지 50 dyne/cm,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0 dyne/cm 의 표면장력을 갖는다. 표면장력이 20 dyne/cm 미만이면, 잉크젯 시스템의 헤드 노즐 부위에 잉크가 맺혀 노즐을 막아 분사를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노즐 빠짐 현상이 발생하며 노즐 부분에서 잉크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표면장력이 50 dyne/cm를 초과하면, 잉크젯 프린터 헤드로의 잉크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연속 젯팅에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철강소재에 젯팅될 경우 소재 표면에 퍼짐(Leveling)성이 떨어져 바람직한 도막 구현이 어려울 수 있으며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ink composition may preferably have an appropriate surface tension for jetting in an ink jet system to be applied to a steel material.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tension of 20 to 50 dyne / cm, preferably 22 to 40 dyne / cm at room temperature (15 to 25 ° C). If the surface tension is less than 20 dyne / cm, ink may be formed at the head nozzle portion of the inkjet system, blocking the nozzle to block the jetting, or may cause nozzle dropout and ink leakage in the nozzle portion. If the surface tension exceeds 50 dyne / cm, ink supply to the inkjet printer head is not smooth and difficult to continuously jetting, or when it is applied to a steel material, And it may be difficult to satisfy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상기 철강 소재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강판을 들 수 있다. 상기 강판으로는 표면에 별도의 전처리 도장이 되지 않는 강판, 및 표면에 별도의 전처리 도장이 된 도장 강판, 표면처리 강판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강판의 종류를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냉연강판, 열연강판, 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 도금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마그네슘 강판, 알루미늄 강판, 아연강판, 티타늄 강판, 컬러도장강판, 내지문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강판의 표면에 적용되는 것으로, 잉크 조성물이 적용되는 강판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0.1mm 내지 10mm 두께의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teel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steel sheet can be mentioned. As the steel sheet, a steel sheet which does not have a separate pretreatment coating on its surface and a coated steel sheet or a surface-treated steel sheet which is separately coated on the surface can be used. The type of the steel sheet to which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steel sheet include a cold-rolled steel sheet, a hot-rolled steel sheet, a galvanized steel sheet, an aluminum-coated steel sheet, a stainless steel sheet, a magnesium steel sheet, Zinc steel sheet, titanium steel sheet, color coated steel sheet, inner fingerprint steel sheet and the like. The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to which the ink composition is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Generally, a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0.1 mm to 10 mm can be u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강판에 본 발명의 강판용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젯팅하는 단계;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젯팅된 칼라 잉크 조성물을 경화하여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칼라 잉크 조성물에 기재된 사항은 프린트 강판 제조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cure the jetted color ink composition to form a print layer.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bove color ink composition are applied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steel sheet.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은 철강 소재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 점도가 낮은 것으로 강판에 잉크젯 시스템으로 젯팅하여 적용될 수 있다.
The print layer formed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to steel materials and has a low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applied to a steel sheet by jetting with an ink jet system.

상기 철강소재, 구체적으로 강판에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시스템으로 젯팅하여 적용된다. 잉크젯 인쇄 시스템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헤드는 크게 헤드 내 가열판에서 순간적인 열 발생을 통해 기포를 형성하여 잉크를 젯팅하는 써멀젯(Thermal jet) 방식과 프린트 헤드 내의 압전식 세라믹 변환기를 전압의 인가로 변화시켜 잉크를 채우고, 젯팅하는 압전식(Piezoelectric) 헤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밖에 연속식, 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잉크젯 인쇄 시스템용의 헤드로 압전식(Piezoelectric) 헤드를 사용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 되지는 않으며, 상기 다양한 유형의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teel material, specifically the steel sheet, by jetting with an inkjet system. The printheads widely used for inkjet printing systems include a thermal jet method in which ink is jetted by forming bubbles through instantaneous heat generation in a heating plate in a head and a piezoelectric jet type To a piezoelectric head for filling and jetting the ink by changing the ink to the ink,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such as a continuous type, an electrostatic typ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iezoelectric head is used as a head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heads may be used.

잉크젯 인쇄 헤드는 칼라 잉크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잠재적 휘발성 및 반응성, 헤드 내구성 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6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내지 상온(15 내지 25℃)의 온도로 젯팅한다. 젯팅되는 액적(drop)의 이동 속도는 4m/s 내지 15m/s의 속도를 가지며, 철강소재와 헤드와의 거리는 1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7mm의 거리를 형성하는 것이 올바른 화상 구현에 유리할 수 있다.
The inkjet printhead typically has a viscosity of less than or equal to 65 占 폚,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50 占 폚, more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50 占 폚, at room temperature (15 to 25 占 폚) due to potential volatility and reactivity of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Lt; / RTI > The moving speed of the jetted droplet has a speed of 4 m / s to 15 m / 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head is preferably 1 mm to 10 mm, preferably 1 mm to 7 mm, .

젯팅된 액적을 통해 형성된 도막의 두께는 구현하고자 하는 화상의 해상도나 인쇄 층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도막의 물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formed through the jetted droplet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to be implemented or the number of print layers,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thickness of 5 to 50 탆, preferably 5 to 30 탆, Can be advantageous.

그 후, 젯팅된 칼라 잉크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서 도막을 형성한다. 경화 수단은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와의 조합으로 배열되어 프린트 헤드와 같이 이동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정적인 고정 경화 수단을 통해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이들은 한가지 종류가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jetted color ink composition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to be cured to form a coating film. The curing means may be arranged in combination with a print head of an ink jet printer to move as the print head and irradiate ultraviolet rays, or may b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hrough static fixed curing means. They may be used in one kind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상기 경화 수단을 통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일반적으로 400nm 내지 320nm 영역의 UV-A, 320nm 내지 290nm 영역의 UV-B, 290nm 내지 100nm 영역의 UV-C로 분류할 수 있다. 수은 램프나 메탈-할라이드 램프, 갈륨램프의 경우 자외선 전 영역에서 복합 파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며 LED 램프의 경우 특정 파장대의 자외선을 LED 모듈의 구성에 따라 조사할 수 있다.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through the curing unit may be classified into UV-A in the range of 400 nm to 320 nm, UV-B in the range of 320 nm to 290 nm, and UV-C of the range of 290 nm to 100 nm. In the case of mercury lamps, metal halide lamps and gallium lamps,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in the entire wavelength range of ultraviolet rays. In the case of LED lamps, ultraviolet rays of a specific wavelength range can be irradia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ED module.

자외선 경화형 램프는 램프 내 발광물질 종류에 따라 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갈륨램프 등으로 구분되며, 조사하는 파장에 따라서는 H-벌브(H-Bulb), D-벌브, A-벌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UV-curing lamps are divided into mercury lamps, metal-halide lamps, and gallium lamps depending on the type of luminescent materials in the lamp. Depending on the wavelength to be irradiated, H-Bulb, D-Bulb and A- Can be classified.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Integration사의 H-Bulb 자외선 램프를 경화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The ink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Bulb ultraviolet lamp of Integration as a curing mea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ype of lamp may be used.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프린터 헤드로부터 철강 소재에 젯팅된 후, 자외선 경화 수단에 의해 경화되어 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화에너지의 양은 관계한 반응물의 양과 타입, 에너지원, 에너지원으로부터의 거리 및 경화되는 도막의 두께 등 많은 인자에 의해 정해지며 통상적으로 자외선 조사량은 약 0.1J/cm2 내지 10J/cm2 이며,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은 약 1초 미만 내지 10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는 공기 중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량 및 노출 시간으로 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물성의 도막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o a coating film after being jetted from a steel material from an inkjet printer head and then cured by ultraviolet curing means. Amount and type of curing energy amount of a reaction product between an energy source, is determined by many factors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thickness of the cured coating film which is from the energy source, typically an ultraviolet irradiation dose of about 0.1J / cm 2 to 10J / cm 2 And the exposure time to ultraviolet rays may be less than about 1 second to 10 minutes or less. In addition,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can occur in air or in an inert environment such as nitrogen. The coating film having desired physical properties can be formed by curing with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mount and the exposure tim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이 적용되는 강판에는 칼라 잉크 조성물의 적용 전에, 칼라 도막층, 크롬층 또는 크롬프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칼라 도막층이 형성된 강판에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색상대비에 의해 원하는 컬러 프린트층을 선명한 색상 및/또는 무늬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크롬층 또는 크롬프리층을 형성함으로써 칼라 도막층 또는 프린트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 위에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클리어 탑 코트층, 자외선 경화 도막층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칼라 도막층, 크롬층, 크롬프리층, 클리어 탑 코트층, 자외선 경화 도막층 등은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강판 처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the steel sheet to which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color coating layer, a chrome layer or a chrome free layer may be formed before application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By applying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teel sheet having a color coat layer formed thereon, a desired color print layer can be realized in a clear color and / or pattern by color contrast. Further, by forming the chromium layer or the chrome-free layer, the adhesion of the color coating layer or the print layer can be improved. Further, a clear top coat layer, an ultraviolet ray curable coating film layer,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print layer formed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necessary. The color coating layer, the chromium layer, the chrome free layer, the clear top coat layer, the ultraviolet ray hardening coating layer, and the like correspond to the steel sheet processing in the technical fiel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an be suitably combined and appli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강판; 및 강판에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프린트 강판에는 상기한 칼라 잉크 조성물 및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에 기재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에 강판과 강판에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크롬처리 또는 크롬프리 전처리로 형성된 전처리층이 구비된 강판에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에 상기 전처리층, 칼라도막층이 형성된 강판에 형성된 프린트층을 갖는 프린트 강판을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plate comprising: a steel plate; And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steel sheet. In the prin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color ink composition and print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re applied equally. 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teel sheet and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n the steel sheet.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n a steel sheet provided with a pretreatment layer formed by chrome treatment or chrome pre-treatment. 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nted steel sheet having a print layer formed on a steel sheet having the pretreatment layer and color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은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프린트층의 내용제성, 경도, 색감 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프린트 강판 또한 고품질의 것으로 프린트 강판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int layer formed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to a steel sheet, and excellent in solvent resistance, hardness, and color tone of the print layer. Therefore, the prin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the same is also of high quality and satisfies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in the printed steel sheet.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specific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칼라 잉크 조성물의 제조
1. Preparation of color ink composition

(실시예 1) (Example 1)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2-PEA),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Example 2)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EBECRYL 3200, Cytec사, 2관능기, Mw 5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n epoxy acrylate oligomer (EBECRYL 3200, 5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yl acrylate (2-PEA), 24.5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yl acrylate (2-PEA),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manufactured by BYK)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3)(Example 3)

블루 안료(PB15:3, 클라리언트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ue pigment (PB15: 3, Clariant),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rp.,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2-PEA),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4)(Example 4)

바이올렛 안료(PV19, 클라리언트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violet pigment (PV19, manufactured by Clariant),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rp., two functional groups, Mw 10,400),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Miwon, ,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HDDA , 5 parts by weight of photoinitiator Irgacure 184 (BASF),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0.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5)(Example 5)

옐로우 안료(PY155, 클라리언트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3 parts by weight of a yellow pigment (PY155, Clariant),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rp., two functional groups,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Miwon, ,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HDDA , 5 parts by weight of photoinitiator Irgacure 184 (BASF),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0.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6)(Example 6)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PA) 24.5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24.5 parts by weight of hydroxypropyl acrylate (2-HP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7)(Example 7)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에톡시 에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EOEOE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20 parts by weight of ethoxyethoxyethyl acrylate (EOEOE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MW 1,800), 25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yl acrylate 5 parts by weight of HDDA, 2 parts by weight of photo-initiator Irgacure 184 (BASF), 3 parts by weight of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photoinitiator Darocur TPO (BASF)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8)(Example 8)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PG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2-PEA),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PGDA), 2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184 (BASF),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Darocur TPO (BASF), a leveling agent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5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10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5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 20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yl acrylate (2-PEA),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10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4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1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4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2-functional group, Mw 10,400),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Miwon, (2-PEA), 20.5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1 part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15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15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1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2-PEA), 15.5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15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1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manufactured by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10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5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29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0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0.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10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 2-functional group, Mw 10,400), 1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 2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2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5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MW 1,800), 29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yl acrylate (2-PEA)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0.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manufactured by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흑색안료(Carbon Black, 데구사사) 3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U2560, Miwon사, 2관능기, Mw 10,400) 25중량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Miramer PS420, Miwon사, 4관능기, Mw 1,800) 10중량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EA) 14.5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15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15중량부,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5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184(BASF사) 2중량부, 광개시제 Irgacure 369(BASF사) 3중량부, 광개시제 Darocur TPO(BASF사) 5중량부, 레벨링제(BYK-UV3510, BYK사) 0.5중량부, 분산제(Solsperse35000, Lubrizol사) 2중량부를 혼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성분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3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Carbon Black, Degussa), 25 parts by weight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Miramer PU2560, Miwon Corp., 2-functional group, Mw 10,400), a polyester acrylate oligomer (Miramer PS420, Miwon, 10 parts by weight of phenoxyethyl acrylate (2-PEA), 15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acrylate (THFA), 15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IBOA), 10 parts by weight of hexanediol di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Irgacure 369 (BASF), 5 parts by weight of a photo initiator Darocur TPO (BASF), 5 parts by weight of a leveling agent (BYK-UV3510, BYK) , And 2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Solsperse 35000, Lubrizol) were mixed to prepare an ink compos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components us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의 칼라 잉크 조성물의 표면장력은 25 내지 30 dyne/cm였으며, 안료는 분산제와 먼저 비드-밀링으로 입도를 조절하면서 배합하여 안료 분산액으로 제조한 다음에 다른 성분과 배합하였다)
(*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lor ink compositions of Examples 1-9 and Comparative Example 1-4 was 25 to 30 dyne / cm, and the pigment was prepared by dispersing the pigment with the dispersing agent while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by bead-milling, With other ingredients)

2. 시편의 제작2. Production of specimen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의 칼라 잉크 조성물을 10~15 um로 도장된 백색도장강판에 InkTec사의 UV프린터 JETRIX KX6SD를 이용하여 젯팅하고 UV 경화하여 5~10㎛ 두께의 프린트층을 형성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인쇄 조건은 하기와 같다.
The color ink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jetted onto a white painted steel plate coated with 10 to 15 μm using a UV printer JETRIX KX6SD manufactured by InkTec and UV cured to form a 5 to 10 μm thick print Layer was formed, and a specimen was prepared. Specific printing conditions are as follows.

사용장비 : InkTec사 JETRIX KX6SD Equipment used: InkTec Inc. JETRIX KX6SD

사용헤드 : Konica Minolta사 KM1024SHBHead used: Konica Minolta KM1024SHB

헤드온도 : 45℃Head temperature: 45 ℃

이미지 해상도 : 1440 x 720 dpiImage resolution: 1440 x 720 dpi

출력모드 : Fine art (12pass)Output mode: Fine art (12pass)

UV광원 : Integration사 Subzero Lamp 170mm H-bulbUV light source: Integration company Subzero Lamp 170mm H-bulb

경화모드 : Normal Full CureCure Mode: Normal Full Cure

자외선 조사 광량 : EIT사 UV Power Puck Ⅱ 측정, 누적광량으로 약 2J/㎠Ultraviolet ray irradiation quantity: Measured by EIT's UV Power Puck Ⅱ, cumulative light quantity is about 2 J / cm 2

자외선 조사 시간: 3초UV irradiation time: 3 seconds

도막두께: 7㎛ Film Thickness: 7㎛

소재와 프린트 헤드와의 거리: 2mmDistance between material and printhead: 2 mm

액적의 이동 속도: 4 m/sec 내지 15 m/sec
Moving speed of droplet: 4 m / sec to 15 m / sec

3. 평가방법3. Evaluation Method

상기와 같이 제작된 시편 및 칼라 잉크 조성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점도, 밀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연필 경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prepared specimen and color ink compositions were evaluated for viscosity, adhesion, processability, solvent resistance, and pencil hardness by the following method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1) 점도(1) Viscosity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BrookField사 점도계 DV II+ CPE-40 시핀들을 사용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The viscosity of the ink composition was measured and evaluated using a BrookField viscometer, DV II + CPE-40, at 25 占 폚.

(2) 평균 입도(2) average particle size

평균 입도는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로 Microtrac사 Nanotrac 250 Particle Size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measured using a Microtrac Nanotrac 250 Particle Size Analyzer a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igment.

(3) 밀착성(3) Adhesion

밀착성은 시편의 위를 가로세로 간격이 1mm가 되도록 커터(cutter)로 10줄씩 그어 100개를 만들고 그 위에 셀로판 접착테이프를 붙인 다음 떼어내어 프린트층의 밀착성을 평가한다.Adhesion was evaluated by evaluating the adhesiveness of the printed layer by attaching a cellophane adhesive tape on the test piece, drawing 10 lines by a cutter on the test piece so that the interval is 1 mm.

(◎: 이상없음(탈락하지 않음), ○: 10개이내 탈락, △: 50개이내 탈락, Χ: 완전탈락)
(⊚: no abnormality (no dropout), ∘: dropout within 10, △: dropout within 50, Χ: dropout completely)

(4) 가공성(4) Processability

가공성은 시편을 3T(3장 소재두께) 180° 굴곡 가공한 후 크랙(crack)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For the workability, the specimen was bent at 180 ° for 3T (3 sheets of material thicknes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a crack occurred.

(◎: 이상없음(크랙발생 없음), Χ: 크랙 발생)
(?: No abnormality (no crack occurred), X: crack occurred)

(5) 내용제성(5) Solvent resistance

내용제성은 거즈에 MEK(메틸에틸케톤)를 묻혀 일정한 힘을 가해 왕복으로 문지른 후 프린트층의 양호한 상태를 관찰하였다. 도막이 용제에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회수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The solvent resistance of the gauze was measured by applying MEK (methyl ethyl ketone) to the gauze, rubbing it with reciprocating force, and observing the good state of the print layer. The number of times the paint film was peeled or damaged in the solvent was evaluated separately.

(◎: 50회 이상, ○: 20회 미만, △: 10회 미만, Χ: 5회 미만)
(?: More than 50 times,?: Less than 20 times,?: Less than 10 times, and X: less than 5 times)

(6) 연필경도(6) Pencil Hardness

연필경도는 JIS K5600-5-4KS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연필경도는 9B~9H까지 순차적으로 측정하였으며, 9B에 근접할수록 경도가 약한 것이고 9H에 근접할수록 경도가 강한 것이다.
The pencil hardn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5600-5-4KS. Herein, the pencil hardness is measured sequentially from 9B to 9H, and the closer to 9B, the weaker the hardness, and the closer to 9H the stronger the hardness.

[표 2] 물성 평가[Table 2] Property evalu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칼라 잉크 조성물의 조성을 만족하는 칼라 잉크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8은 모두 젯팅에 있어서 큰 어려움 없는 점도와 평균 입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이로 형성된 프린트층은 우수한 밀착성, 가공성, 내용제성 및 연필경도를 나타내었다.
As shown in Table 2, all of the color ink compositions satisfying the composition of the color in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satisfactory viscosities and average particle sizes in jetting. In addition, the resulting printed layer exhibited excellent adhesion, processability, solvent resistance and pencil hardness.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및 2로 형성된 프린트층은 균형적인 물성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1관능기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모노머의 혼합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3 및 4는 상반된 물성의 악화를 가지고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총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고 광경화형 모노머가 50중량부 미만인 비교예 5는 점도가 높아 잉크젯 시스템으로 젯팅이 어려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int layer formed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fferent acrylate oligomer was out of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not satisfy the balanced physical properties. It can be confirmed that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and the monomer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deviate from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bring about deteriorated physical properties. In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total content of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different acrylate oligomer wa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was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it was confirmed that jetting with an ink jet system was difficult because of high viscosity.

Claims (16)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이외의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의 혼합물인 광경화형 모노머 5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광 개시제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안료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안료 100 중량부당 분산제 고형분 함량으로, 분산제 3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1:1 내지 10:1 중량비로 그리고,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와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5:1 내지 100:1중량비로 혼합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10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a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a different acrylate oligomer other tha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50 parts by weight to 8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which is a mixture of a 1-functional group photocurable monomer and a photocurable monomer having 2 or more functional groups;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photoinitiato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igment; And
3 to 30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ing agent,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dispers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pigment,
≪ / RTI &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0: 1,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of 2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00: Color ink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2,000 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12,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is an aliphatic urethane acry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관능기 수가 3개 이하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rethane acrylate oligomer has a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3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terologous acrylate oligo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acrylate oligomers, and epoxy acrylate oligom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관능기 수가 4개 이하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is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having four or less functional group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3,000 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lyester acrylate oligomer is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3,0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관능기 수가 2개 이하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poxy acrylate oligomer has a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2 or les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2,000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poxy acrylate oligomer is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2,0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관능기 광경화형 모노머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릭 트리메틸올프로판 포말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벤질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 에톡시 에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모르폴린, 비닐 에테르, 비닐 에스테르, N-비닐-2-피롤리돈, 및 N-비닐카프로락탐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ofunctional photocurable mono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octyl acrylate, cyclic trimethylolpropane foam acrylate, phenoxybenzyl acrylate, trimethyl cyclohex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benzyl acrylate, lauryl acrylate, isodecyl acrylate Acrylate, acrylate, vinyl ether, vinyl ester,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N-vinyl-2-pyrrolidone, and N-vinylcaprolact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관능기 이상의 광경화형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클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실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curable monomers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acrylate, hexanedi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neo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glycer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 / RTI > wherein the color ink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상온에서 점도가 40 cps이하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has a viscosity of 40 cps or less at room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은 표면 장력이 20 내지 50 dyne/cm인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has a surface tension of 20 to 50 dyne / cm.
강판에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을 젯팅하는 단계; 및
젯팅된 칼라 잉크 조성물을 경화하여 프린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material, comprising the steps of: jetting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on a steel sheet; And
And curing the jetted color ink composition to form a print layer.
강판; 및 강판에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철강 소재용 칼라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프린트층을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
Steel plate; And a printed layer formed of a color ink composition for a steel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on a steel shee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강판은 상기 강판과 프린트층 사이에 칼라 도막층, 크롬층 및 크롬프리층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전처리층을 포함하는 프린트 강판.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rinted steel sheet comprises at least one pretreatment lay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lor coating layer, a chromium layer and a chrome free layer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print layer.
KR1020150185492A 2015-12-23 2015-12-23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KR101858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92A KR101858796B1 (en) 2015-12-23 2015-12-23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CN201680076294.3A CN108603061A (en) 2015-12-23 2016-12-21 The excellent color ink compositions for steel material of adhesiveness, the method using its manufacture printed steel plate and the printed steel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JP2018533680A JP6684912B2 (en) 2015-12-23 2016-12-21 Color ink composition for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printed steel sheet produced thereby
PCT/KR2016/015039 WO2017111472A1 (en) 2015-12-23 2016-12-21 Color ink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for steel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steel plate using same, and printed steel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92A KR101858796B1 (en) 2015-12-23 2015-12-23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32A true KR20170075932A (en) 2017-07-04
KR101858796B1 KR101858796B1 (en) 2018-05-18

Family

ID=590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492A KR101858796B1 (en) 2015-12-23 2015-12-23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84912B2 (en)
KR (1) KR101858796B1 (en)
CN (1) CN108603061A (en)
WO (1) WO2017111472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67B1 (en) * 2018-09-28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Heating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0130621A1 (en)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Thin glass-laminated prin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1118254A1 (en) * 2019-12-10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Thin glass-laminated print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flamm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3348073A (en) * 2018-12-19 2021-09-03 Posco公司 Thin glass laminated prin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2177B2 (en) 2019-01-22 2023-07-04 株式会社リコー CURABLE CLEAR INK COMPOSITION, INK SET, CONTAINER, PRINTING METHOD, AND CURED PRODUCT
JP2020132780A (en) * 2019-02-21 2020-08-31 株式会社リコー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active energy ray-curable ink, ink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JP7285309B2 (en) * 2019-02-27 2023-06-01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inkjet ink
KR102214920B1 (en) * 2019-05-31 2021-02-10 (주)세경하이테크 deco-film expressing multi-colors and pattern for touch window
TWI700341B (en) * 2019-07-11 2020-08-01 臺灣永光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Photosensitive ink composition
CN113950213A (en) * 2021-10-19 2022-01-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Shel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958054A (en) * 2022-06-25 2022-08-30 韶关南田精细化工技术有限公司 LED printing base oi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5404028B (en) * 2022-07-13 2023-09-12 上海库弗新材料有限公司 High-color-content ultraviolet light-cured shading black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5055354A (en) * 2022-08-15 2022-09-16 小仙炖霸州食品有限公司 Manufacturing process of stainless iron bottle cap with printed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100652A1 (en) * 2001-06-12 2004-09-2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Inkjet printing
US20030083396A1 (en) * 2001-07-23 2003-05-01 Ylitalo Caroline M. Ink jet ink compositions
KR100451302B1 (en) * 2003-03-19 2004-10-06 유메이드 주식회사 UV Radiation Curing Paint Composition With High Operating Efficiency
CN1632006A (en) * 2004-11-02 2005-06-29 东华大学 Ultraviolet cured printing ink for digital flat ink jet prin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848082B1 (en) 2006-12-28 2008-07-24 (주)디피아이 홀딩스 Photo-curable paint composition and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118570B1 (en) 2009-10-21 2012-02-27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JP5606817B2 (en) * 2010-07-27 2014-10-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Actinic radiation curable inkjet ink composition, printed material, printed material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erial
KR101309977B1 (en) * 2011-12-26 2013-09-17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Coating composition for radiation hardening of excellent workability and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the film formed with the coating composition
CN102634251B (en) * 2012-04-10 2014-01-08 中钞油墨有限公司 Photo-curing silk screen pearly-luster ink applicable to different printing substrat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03769B1 (en) * 2012-12-24 2014-06-03 주식회사 포스코 Ultraviolet-curable color composition and steel sheet us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67B1 (en) * 2018-09-28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Heating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0067765A1 (en)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포스코 Heating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0130621A1 (en)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Thin glass-laminated prin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3348073A (en) * 2018-12-19 2021-09-03 Posco公司 Thin glass laminated prin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900927A4 (en) * 2018-12-19 2022-02-16 Posco Thin glass-laminated prin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3348073B (en) * 2018-12-19 2023-10-31 浦项股份有限公司 Sheet glass laminate printed steel sheet excellent in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1118254A1 (en) * 2019-12-10 2021-06-17 주식회사 포스코 Thin glass-laminated print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flamm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73181A (en)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포스코 Thin glass laminated print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flamm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472A1 (en) 2017-06-29
JP2019507203A (en) 2019-03-14
JP6684912B2 (en) 2020-04-22
KR101858796B1 (en) 2018-05-18
CN108603061A (en)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796B1 (en) Color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KR101819306B1 (en) Ink composition for print steel plate having superior adhes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 steel plate using the same, and print steel plate prepared thereby
JP6405397B2 (en) Energy ray curable inkjet ink composition
US9598591B2 (en) Ink set and printed material
JP5372295B2 (en) Active energy ray curable ink for inkjet recording
US7878642B2 (en) Image forming method, actinic radiation curable ink-jet ink,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20110230582A1 (en) Energy beam-curing inkjet ink composition
JP6445240B2 (en) Photocurable ink composition for ink jet printing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2015081284A (en) Photocurable 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ing, printed matter, and molded article
JP2008080629A (en) Colored plate for outdoor us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WO2014014017A1 (en) Photocurable ink composition for inkjet printing and printed matter
JP4744131B2 (en) UV curable inkjet ink
JP2018065911A (en) Energy ray-curable inkjet ink composition
EP3294818B1 (en) Method of printing
JP2019099748A (en) Ink set, laminate formed by using ink set, image formation method for forming image using ink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JP2011012174A (en) Energy ray-curable ink composition
JP2018095696A (e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active energy ray-curable ink, composition container, image formation apparatus, image formation method and cured product
US20230193063A1 (en) Inkjet ink
JP6991705B2 (en) image
US20230203331A1 (en) Method of inkjet printing
US1095367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matter and printed matter
JP2017095676A (e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sition, active energy ray curable ink, composition accommodating container,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image formation device, image formation method, cured article and structure
JP2017088830A (e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active energy ray curable ink, composition accommodation container, image formation method, image formation device, cured article, image formation article
JP2021091845A (en) Ink, ink set, ink container,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