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740A -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740A
KR20170074740A KR1020160110292A KR20160110292A KR20170074740A KR 20170074740 A KR20170074740 A KR 20170074740A KR 1020160110292 A KR1020160110292 A KR 1020160110292A KR 20160110292 A KR20160110292 A KR 20160110292A KR 20170074740 A KR20170074740 A KR 2017007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processor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이연지
오헌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740A/ko
Priority to EP16205358.1A priority patent/EP3184348A3/en
Priority to CN201611186336.7A priority patent/CN106994946B/zh
Priority to US15/388,701 priority patent/US10452257B2/en
Publication of KR2017007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20Dashboar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6Stacked 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of the same or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3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6/136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by etch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05D1/024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in combination with a la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B60K2350/1004
    • B60K2350/10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9Ic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46Touch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8Instrument input by 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2Light emittin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3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6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9Translucent dashboard s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Backlit symb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5Illumination of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9Adjustment of bright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3Cover plat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other obstacle sensor information, e.g. using RADAR/LIDAR/SONAR sensors for estimating risk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scenes of vehicle interior, e.g. for monitoring passengers or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rearwar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42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출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이벤트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광출력부,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커버하고, 상기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광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켜 형상을 형성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한편, 차량에는, 차량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양한 입력부 및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는, 차량의 내부를 디자인할 때 장애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화 시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광을 출력하고,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차량용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출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이벤트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광출력부,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커버하고, 상기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광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켜 형상을 형성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필요한 경우에만 입력부를 활성화 시키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 의사와 무관한 오입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관이 차량 내부 인테리어와 일체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차량의 실내 디자인에 맞추어 대량으로 빠르게 제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 필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솔더링 기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동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시동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트 포지션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경고 인디케이터(200b) 및 시트 벨트 미착용 경고 인디케이터(200c)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1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1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1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310)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스테레오 카메라(310a)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스테레오 카메라(310a)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부(46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과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에 획득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차량(100) 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메모리(240), 인터페이스부(245), 출력부(250), 프로세서(27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느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입력부(21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터치 센서(213a)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에서 감지되는 터치는 터치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프로세서(2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213a)는,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복수의 패턴(PT)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센서는, 제1 패턴에 대응되고, 제2 터치 센서는, 제2 패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과 적어도 일부가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213a)는,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과 광 경로 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213a)는, 은 나노 페이스트(silver nano paste), 전도성 고분자(PEDOT : conducting polymer) 또는 투명 전도성 필름(Indium-Tin Oxide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의 터치 센서(213a)를 제외한 입력부(210)의 다른 구성 요소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부(210)와 같다.
내부 카메라(22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부 카메라(220)와 동일하다.
생체 감지부(230),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생체 감지부(230)와 동일하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2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프로세서(2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와의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프로세서(270)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로부터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 도어 열림 정보 또는 차량 시동 턴 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햅틱 출력부(253) 및 광출력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출력부(25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254a)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54a)은,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254a)은 복수일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은,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복수의 패턴(PT)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원은, 제1 패턴에 대응되고, 제2 광원은, 제2 패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기를 광으로 전환하는 다양한 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출력부(254)는, 프로세서(2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차량(100)의 대쉬보드, 도어 내측, 루프 내측, 시트, 썬바이저, A필러, B필러 및 C필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출력부(254)를 제외한 출력부(250)의 다른 구성 요소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출력부(254)와 같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이벤트는, 내부 카메라(220) 또는 생체 감지부(230)를 통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이벤트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100)에 포함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는 경우, 터치 센서(213a)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활성화된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디바이스는, 차량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디바이스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차량용 공기조화기, 차량용 윈도우 장치, 차량용 램프, 트렁크 개폐 장치, 후드 개폐 장치, 썬루프 개폐 장치, 주유 도어 개폐 장치, 썬바이저 폴딩 제어 장치, 도어락 장치,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활성화된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기, 상기 차량용 램프, 상기 트렁크 개폐 장치, 상기 후드 개폐 장치, 상기 썬루프 개폐 장치, 상기 주유 도어 개폐 장치, 상기 썬바이저 폴딩 제어 장치, 상기 도어락 장치,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벤트에 따라, 광출력부(254)에서 출력되는 광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제1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광출력부(254)에 포함된다.
프로세서(270)는, 이벤트에 따라, 광출력부(254)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1 색의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2 색의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 도어 열림 정보 또는 차량 시동 턴 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광은, 터치 센서 활성화를 위한 광과 다른 형태(예를 들면, 서로 다른 색, 서로 다른 밝기)로 출력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 탑승을 위해 도어를 여는 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시동을 거는 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 내부 인테리어(예를면, 합성 수지, 패브릭, 나무, 가죽, 금속)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위치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차량 도어가 열릴 때, 시동이 턴 온 될 때,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줄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도어 열림 정보, 차량 시동 턴 온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 시간 경과 후, 광출력부(254)에서 생성되는 광이 디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위치를 인지시킨 후, 다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차량 내부 인테리어와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S810).
프로세서(270)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음성 입력부(211)를 통해,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스쳐 입력부(212)를 통해, 제스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부(213)를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기계식 입력부(214)를 통해, 기계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내부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내부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된 탑승자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자 정보는, 차량의 실내에서 탑승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내부 카메라(220)를 통해, 운전석에 탑승자가 탑승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생체 감지부(23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생체 감지부(230)를 통해, 획득된 탑승자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생체 감지부(230)를 통해 획득된 탑승자의 생체 정보가 메모리(24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수신된 차량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차량 위치 정보, 차량 속도 정보,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 도어 개폐 정보, 시트 벨트 착용 정보,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 ISG(Idle Stop and Go) 기능 온/오프 정보, 탑승자 정보, 운전자 생체 정보, 시트 포지션 정보 및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운전석 도어 개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운전석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탑승자가 위치한 모든 좌석의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값이 0이 아닌 경우,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값이 0이 아닌 상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위치가 기 등록된 지역에 해당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이 생성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S820).
이후에,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30).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차량용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S850).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200e)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시동 장치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시트 포지션 제어 장치(200f)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200a)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멀티 미디어 장치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의 실내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의 대쉬 보드(801)의 일 영역, 차량의 도어 내측(802)의 일 영역, 차량의 콘솔(803)의 일 영역, 차량의 루프 내측의 일 영역, 차량의 시트(804)의 일 영역, 차량의 썬바이저의 일 영역, 차량의 A필러, B필러, C필러의 일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대쉬 보드(801), 도어 내측(802), 콘솔(803), 루프 내측, 시트(804), 썬바이저, A필러, B필러, C필러의 마감재(예를 들면, 합성 수지, 패브릭, 나무, 가죽, 금속)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커버부(810)에 포함되는서페이스(817)는, 상기 마감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제작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반투명 터치 가니쉬(TTG : translucent touch garnish)로 명명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활성화되어,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용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내부 카메라(220) 또는 생체 감지부(230)를 통해 생성된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대쉬 보드(dash board) 인스트루먼트 먼트 판넬(instrument panel) 또는 도어 트림(door trim) 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200a)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200a)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010).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200a)는, 활성화될 수 있다(1020).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200a)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를 제어하여, 광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오디오 볼륨 제어 신호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터치 입력, 기계식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때의 터치 입력은 트리거 입력으로 명명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오브젝트 검출 경고 인디케이터(200b)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경고 인디케이터(200b)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010).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경고 인디케이터(200b)는, 활성화될 수 있다(1020). 오브젝트 검출 경고 인디케이터(200b)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를 제어하여, 광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수신된 오브젝트 검출 정보 수신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과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BSD(Blind Spot Detection) 출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시트 벨트 미착용 경고 인디케이터(200c)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시트 벨트 미착용 경고 인디케이터(200c)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010).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시트 벨트 미착용 경고 인디케이터(200c)는, 활성화될 수 있다(1020). 시트 벨트 미착용 경고 인디케이터(200c)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를 제어하여, 광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시트 벨트 착용 상태 정보 수신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벨트 미착용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시트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공조 제어 장치(200c)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공조 제어 장치(200c)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030).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공조 제어 장치(200c)는, 활성화될 수 있다(1040). 공조 제어 장치(200c)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를 제어하여, 광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잇따.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공조 제어 신호를 차량용 공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터치 입력, 기계식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이때의 터치 입력은 트리거 입력으로 명명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OBD(On Board Diagnostics) 정보 인디케이터(200d)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OBD 정보 인디케이터(200d)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030).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OBD 정보 인디케이터(200d)는, 활성화될 수 있다(1040). OBD 정보 인디케이터(200d)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를 제어하여, 광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31a)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센싱부(120)를 통한 센싱 정보 수신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값 이하의 연료 정보 또는 기준값 이하의 엔진 오일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C-D선을 취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광원, 복수의 터치 센서,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예시하고, 도 12는, 하나의 광원, 하나의 터치 센서,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예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조적 관점에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설명한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커버부(810),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820), 광원(254a), 터치 센서(213a), 프로세서(270), 광가이드 필름(LGF : light guide film)(830), 광 클리어 필름(OCR : optical clear film)(840), 컬러 필름(812), 플라스틱(850) 및 라이트 쉴드 스트럭쳐(light shield structure)(86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810)는, 광출력부(254), 터치 센서(213a) 및 프로세서(270)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81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광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켜 형상(89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커버부(810)는, 패턴부(811), 필름부(813), 제1 투명 시트(transparent film) 및 서페이스(surface)(817)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811)는, 형상(890)에 대응되는 패턴(PT)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811)는, 패턴(PT)을 통해 광(LT)을 투과시킬 수 있다.
패턴부(811)는, 패턴(PT)이 형성된 영역과 패턴(PT)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패턴부(811)는, 패턴(PT)이 형성된 영역에서, 패턴(PT)을 통해 광(LT)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패턴부(811)는, 패턴(PT)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 광(LT)을 차폐할 수 있다.
패턴부(811)는, 차폐용 잉크로 인쇄될 수 있다.
한편, 패턴부(811)에 형성된 패턴(PT)은, 픽토그램(pictogram)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필름부(813)는, 소정의 투과율을 가지고, 패턴(PT)을 투과하는 광(LT)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차량(100)의 실내를 의미할 수 있다.
필름부(813)는, 반투과 필름일 수 있다. 필름부(813)는, PET(polyethylene terephalate), PC(poly carbonate), PS(polystyrene), ABS(acrylate butadiene styrene) 등의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부(813)는,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과 핫멜트(hotmelt) 등의 방법으로 합지될 수 있다.
제1 투명 시트(815)은, 필름부(813)를 투과하는 광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투명 시트(815)은, PET(polyethylene terephalate), PC(poly carbonate), PI(poly imide), PS(polystyrene), PAN(polyacrylonitile) 등의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 시트(815)은, 히트 어닐링(heat annealing)된 내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제1 투명 시트(815)은, 내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서페이스(817)는, 차량 실내 인테리어를 형성하는 재질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페이스(817)는, 합성 수지 재질, 패브릭 재질, 가죽 재질, 나무 재질 또는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서페이스(817)는, 패턴부(811)의 패턴(PT)에 대응되는 영역과, 패턴(PT)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서페이스(817) 중, 패턴(PT)에 대응되는 영역은, 패턴(PT)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PT)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서페이스(817) 영역은, 패턴(PT)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서페이스(817) 영역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 인해, 패턴(PT)을 통해 투과되는 광이, 외부로 잘 출력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서페이스(817)는, 하드 코팅(hard coating)을 통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도를 향상시킴으로 인해, 반복되는 사용자의 터치에도 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서페이스(817)는, 셀프 힐링(self healing)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셀프 힐링 소재는,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한 경우, 스크래치를 자동으로 복원이 가능하게 한다. 셀프 힐링 소재는, 부드러운 고밀도 분자구조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해도, 구조가 파괴되지 않고 변형만 되도록할 수 있다.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은, 광출력부(254), 터치 센서(213a) 및 프로세서(270)가 배치될 수 있다.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은, PET(polyethylene terephalate), PC(poly carbonate), PI(poly imide), 아라미드(Arami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은, 써킷 보드(821), 제2 투명 시트(822), 제1 접착 시트(823), 제3 투명 시트(825), 제2 접착 시트(827) 및 제4 투명 시트(825)를 포함할 수 있다.
써킷 보드(821)는, 광출력부(254), 터치 센서(213a) 및 프로세서(270)가 실장될 수 있다.
써킷 보드(821)는, 동박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써킷 보드(821)는, 실버 페이스트 실크 인쇄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 시트(822)는, 광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투명 시트(822)는, PET(polyethylene terephalate), PC(poly carbonate), PI(poly imide), PS(polystyrene), PAN(polyacrylonitile) 등의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 시트(822)는, 히트 어닐링(heat annealing)된 내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내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 시트(823)는, 제2 투명 시트(822), 제3 투명 시트(825) 및 써킷 보드(821)의 일 영역을 접착할 수 있다.
제1 접착 시트(823)는, 회로가 실장된 상태에서, 프레스 접착이 가능한 저온, 저압 열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 시트(823)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박육 접착 시트일 수 있다. 제1 접착 시트(823)는, 광 투과가 가능한, 투명 접착시트일 수 있다.
제3 투명 시트(825)는, 광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투명 시트(825)는, PET(polyethylene terephalate), PC(poly carbonate), PI(poly imide), PS(polystyrene), PAN(polyacrylonitile) 등의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투명 시트(825)는, 히트 어닐링(heat annealing)된 내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내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 시트(827)는, 제3 투명 시트(825), 제4 투명 시트(829), 써킷 보드(821)의 일 영역 및 터치 센서(213a)을 접착할 수 있다.
제2 접착 시트(827)는, 회로가 실장된 상태에서, 프레스 접착이 가능한 저온, 저압 열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 시트(827)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박육 접착 시트일 수 있다. 제2 접착 시트(827)는, 광 투과가 가능한, 투명 접착시트일 수 있다.
제4 투명 시트(829)는, 광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4 투명 시트(829)는, PET(polyethylene terephalate), PC(poly carbonate), PI(poly imide), PS(polystyrene), PAN(polyacrylonitile) 등의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투명 시트(829)는, 히트 어닐링(heat annealing)된 내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내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810) 및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은, 제3 접착시트(819)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3 접착 시트(819)는, 회로가 실장된 상태에서, 프레스 접착이 가능한 저온, 저압 열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접착 시트(819)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박육 접착 시트일 수 있다. 제3 접착 시트(819)는, 광 투과가 가능한, 투명 접착시트일 수 있다.
광원(254a)은,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광솔더링 기법으로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출력부(254)는, 광솔더링 기법으로, 써킷 보드(821)에 실장될 수 있다.
광솔더링 기법은, 빛에너지 흡수 가열에 의해 솔더 접합 재료가 용융되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하는 기법이다.
터치 센서(213a)는, 패턴부(811)에 형성된 패턴(PT)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213a)는, 수직 방향으로 패턴(PT)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213a)는, 패턴(PT)과 광 경로 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제1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1 터치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제2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2 터치에 대응되는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는, 트리거 입력일 수 있다.
광가이드 필름(830)은, 광출력부(254)에서 생성되는 광을 커버부(810)로 전달할 수 있다.
광가이드 필름(830)은, 광출력부(254)에서 생성되는 광을 커버부(810)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광가이드 필름(830)은, 광을 커버부(810)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광가이드 필름(830)은, PC(poly 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ABS(acrylate butadiene styr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클리어 필름(840)은, 광출력부(254a)에서 생성되는 광을 광가이드 필름(830)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광 클리어 필름(840)은, 우레탄, 아크릴,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름(812)은, 광출력부(254)에서 생성되는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컬러 필름(812)은, 광출력부(254)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변경시킬 수 있다. 가령, 광출력부(254)에서 출력되는 광이 백색광인 경우, 컬러 필름(812)을 거치면서,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컬러 필름(812)은, 패턴부(811)에 형성된 패턴(PT)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라스틱(850)은, 광출력부(254)에서 생성되는 광의 반사를 서포트할 수 있다.
플라스틱(850)은, PC(poly carbonate), PC/ABS(poly carbonate acrylate butadiene styrene), ABS(acrylate butadiene styrene), PA(polyamide) 등의 사출 레진일 수 있다.
플라스틱(850)은, 필름부(813)가 합지된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과 사출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850)은, 커버부(810)에, 광출력부(254), 터치 센서(213a) 및 프로세서(270)가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플라스틱(850)은, 유색 레진으로 사출되어 광을 차폐하고 반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850)은, 광 반사를 서포트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드 쉴드 스트럭쳐(860)는, 광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 라이트 쉴드 스트럭쳐(860)는, 광가이드 필름(830)을 거쳐 커버부(810)로 가이드 되는 광외에,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C-D선을 취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13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2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도 13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2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비교할 때, 각 구성 요소의 배치 순서가 다르다.
도 12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커버부(810),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 플라스틱(850)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커버부(810) 상에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이 배치되고,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 상에 플라스틱(850)이 배치될 수 있다.
반면, 도 13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커버부(810), 플라스틱(850), 투명 연성회로기판(82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커버부(810) 상에 플라스틱(850)이 배치되고, 플라스틱(850) 상에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구성 요소의 배치 순서를 제외하고, 도 12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가이드 필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광가이드 필름(830)은, 제1 광가이드 필름(831), 제2 광가이드 필름(834) 및 제3 광가이드 필름(8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가이드 필름(831)은, 제2 광가이드 필름(83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가이드 필름(831)은 제1 에칭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가이드 필름(831)의 일측면은 제2 광가이드 필름(834)에 접촉되고, 다른 측면은, 제3 광가이드 필름(834)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에칭부(832)는, 광원(254a)에서 생성되어, 광클리어 필름(840)을 거친 광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광이 산란됨에 따라, 패턴(PT)을 거쳐 외부에 출력되는 광이 일정한 색을 가지지 아니하고, 다양한 색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패턴(PT)에 의한 형상(890)을 쉽게 인지하게 하고,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제1 에칭부(832)는, 패턴부(811)에 형성된 패턴(PT)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에칭부(832)는, 패턴(PT)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89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에칭부(832)는, 패턴(PT)과 비슷한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에칭부(832)는, 제1 광가이드 필름(831) 중, 제3 광가이드 필름(837)에 접촉되는 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가이드 필름(831)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3)는, 제2 광가이드 필름(834)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6)와 상이하다. 또한, 제1 광가이드 필름(831)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3)는, 제3 광가이드 필름(837)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8)와 상이하다.
제2 광가이드 필름(834)은, 제1 광가이드 필름(831) 및 커버부(8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가이드 필름(834)은, 제2 에칭부(8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가이드 필름(834)의 일측면은, 제4 접착 시트(839)에 접촉되고, 다른 측면은, 제1 광가이드 필름(831)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에칭부(835)는, 광원(254a)에서 생성되어, 광클리어 필름(840)을 거친 광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광이 산란됨에 따라, 패턴(PT)을 거쳐 외부에 출력되는 광이 일정한 색을 가지지 아니하고, 다양한 색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패턴(PT)에 의한 형상(890)을 쉽게 인지하게 하고,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제2 에칭부(835)는, 패턴부(811)에 형성된 패턴(PT)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에칭부(835)는, 패턴(PT)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89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에칭부(835)는, 패턴(PT)과 비슷한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에칭부(835)는, 제2 광가이드 필름(834) 중, 제1 광가이드 필름(831)에 접촉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가이드 필름(834)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6)는, 제1 광가이드 필름(831)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3)와 상이하다. 제2 광가이드 필름(834)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6)는, 제3 광가이드 필름(837)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8)와 상이하다.
제3 광가이드 필름(837)은, 제1 광가이드 필름(8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광가이드 필름(837)의 일측면은, 제1 광가이드 필름(831)에 접촉되고, 다른 측면은, 플라스틱(850)에 접촉될 수 있다.
제3 광가이드 필름(837)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8)는, 제1 광가이드 필름(831)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3)와 상이하다. 제3 광가이드 필름(837)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8)는, 제2 광가이드 필름(824)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836)와 상이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솔더링 기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원(254a)은, 광솔더링 기법으로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254a)은, 광솔더링 기법으로, 써킷 보드(821)에 실장될 수 있다.
광솔더링 기법은, 빛에너지 흡수 가열에 의해 솔더 접합 재료가 용융되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하는 기법이다.
광솔더링 기법은,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820)에 광원(254a)을 접합시킬 때, 가시광을 투과시켜, 접합 영역(1510)에는 광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고, 접합 영역이 아닌 영역은 광을 통과시켜, 접합 영역(1510)에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광솔더링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흡수 및 투과 제어를 통해 소자의 열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시동 제어 장치로 동작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시동 제어 장치(200e)로 동작되는 경우, 광출력부(254)는, 차량 실내에서 운전석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패턴부(811)의 패턴을 거쳐, 차량 실내로 투과되어 형성되는 형상(1710)은, 차량 시동 입력 버튼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부(811)에는, 시동 입력 버튼 모양의 패턴(PT)이 형성될 수 있다. 광출력부(254)에서 출력되는 광이, 시동 입력 버튼 모양의 패턴(PT)을 거치면시, 시동 입력 버튼 형상(1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을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 장치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동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시동 제어 장치(200e)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시동 제어 장치(200e)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터치 센서(213a), 인터페이스부(245), 광출력부(254)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에서 감지되는 터치는 터치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프로세서(2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와의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프로세서(270)에서 생성되거나 처리된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로부터 정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100) 내 다른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245)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70), 통신 장치(470), 운전 조작 장치(500), 제어부(17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및 센싱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도어 개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시트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ISG 기능 온/오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시트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45)는,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출력부(25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254a)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54a)은,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254a)은 복수일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은,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복수의 패턴(PT)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전기를 광으로 전환하는 다양한 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출력부(254)는, 프로세서(2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이벤트는, 내부 카메라(220) 또는 생체 감지부(230)를 통해 생성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이벤트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는 경우, 터치 센서(213a)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정보를 기초로,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위치 정보, 차량 속도 정보,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 도어 개폐 정보, 시트 벨트 착용 정보,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 ISG(Idle Stop and Go) 기능 온/오프 정보, 탑승자 정보, 운전자 생체 정보, 시트 포지션 정보 및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운전석 도어 개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하고 탑승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위치를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운전석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경우에만 시동을 턴 온하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프로세서(270)는, 탑승자가 위치한 모든 좌석의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탑승자 모두가 시트 벨트를 착용한 경우에만 시동을 턴 온하게 하여, 탑승자 전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만 시동을 턴 온하게 하여, 시동 후, 돌발 상황이나 위험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한다.
프로세서(270)는,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변속 레버가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선(N)에 있을 때만 시동을 턴 온하게 하여, 시동 후, 차량이 움직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알람 출력을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값이 0이 아닌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이 주행 중일 때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비활성화시켜, 시동이 턴 오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속도값이 0이 아닌 상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비상등 턴 온(turn on)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센싱부(12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도 비상상황에서는 시동 턴 오프가 가능하도록 하여,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가 0이고, 엔진이 꺼진 상태라 하여도, ISG 기능에 기초한 경우, 차량의 주행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시동 제어 장치를 비활성화시켜, 시동이 턴 오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위치가 기 등록된 지역에 해당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 등록된 지역은, 사용자의 집 또는 회사와 소정 거리 이내의 지역일 수 있다. 차량(100)이 기 등록된 지역에 위치한 경우, 출차 또는 주차위해 시동 턴 온 또는 턴 오프가 필요한 상태이므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활성화 시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준비를 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부(420)에서 획득한 GPS 정보 또는 카메라(310)에서 획득한 차량 주변 영상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트 포지션 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가 복수의 광원(254a)을 포함하는 경우, 커버부(810)의 패턴부(811)는,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생성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시트의 특정 포지션을 나타내는 광이 생성되도록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장치일 수 있다.
광출력부(254)가 복수의 광원(254a)을 포함하는 경우, 커버부(810)의 패턴부(811)는,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생성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오디오 볼륨 특정 상태를 나타내는 광이 생성되도록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활성화된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메모리(240) 및 햅틱 출력부(253)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탑승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의 실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획득된 실내 영상을 기초로, 탑승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카메라(220)는, 탑승자가 운전석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외 다른 탑승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시동 장치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에 의해서만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운전중 다른 사용자에 의한 잘못된 입력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메모리(240)에 기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탑승한 사람이 운전자임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하고, 터치 센서(213a)를 활성화함으로써, 운전자가 아닌 사람이 차량의 시동을 턴 온하지 못하게 하여, 차량의 도난에 대비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진동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시트 벨트, 시트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햅틱 출력부(253)는, 대시 보드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구현되는 경우, 햅틱 출력부(253)는, 시동 입력 버튼 형상(1710)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제1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 제1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2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 제2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3 기능이 동작되는 경우, 제3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진동 패턴은, 진동 주기, 진동 횟수 또는 진동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시동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 내부 인테리어와 일체감을 이룰 수 있다.
도 1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를 제어하여, 광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일 수 있다. 또는, 이벤트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한 정보의 수신 이벤트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시동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제어 기능들은, 차량의 시동을 턴 온(turn on)하는 제1 기능, 차량에 구비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하는 제2 기능 및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제3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는, 차량의 공조기, 멀티 미디어 장치, 와이퍼, 디젤 엔진 예열 장치 등 액세서리 장치일 수 있다.
도 1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활성화 되는 경우,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 각각에 대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시동을 턴 온(turn on)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시동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시동을 턴 온하는 기능은 제1 기능일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중, 제1 기능(1721)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성되는 광에 의해, ON 형상이(1721)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입력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입력되는 숏 터치(short touch)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제2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차량에 구비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turn on)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시동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에 구비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하는 기능은 제2 기능일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중, 제2 기능(1722)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성되는 광에 의해 ACC 형상(1722)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터치 입력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입력되는 롱 터치(long touch) 입력 또는 더블 터치(double touch)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제3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시동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하는 기능은 제3 기능일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중, 제3 기능(1723)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성되는 광에 의해 OFF 형상(1723)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3 터치 입력은,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입력되는 숏 터치(short touch) 입력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시동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동이 턴 오프 상태인 차량(100)의 도어를 개방하고, 운전석에 앉을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운전석 도어 개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운전석 도어 개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01).
한편, 외부에 표시되는 형상(1800, 1804, 1805, 1806)은, 복수일 수 있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동 버튼 형상(1800), ACC 형상(1804), ON 형상(1805), OFF 형상(1806)과 같이 복수의 형상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광출력부(254)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은, 시동 버튼 형상(1800), ACC 형상(1804), ON 형상(1805), OFF 형상(1806)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ACC 형상(1804)은,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 상태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ON 형상(1805)은, 차량의 시동의 턴 온 상태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OFF 형상(1806)은, 차량의 시동의 턴 오프 상태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광 생성 후, 소정 시간 경과되는 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더 이상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다 뗄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01).
한편, 외부에 표시되는 형상(1800, 1804, 1805, 1806)은, 복수일 수 있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동 버튼 형상(1800), ACC 형상(1804), ON 형상(1805), OFF 형상(1806)과 같이 복수의 형상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광 생성 후, 소정 시간 경과되는 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더 이상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트 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시트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01).
한편, 외부에 표시되는 형상(1800, 1804, 1805, 1806)은, 복수일 수 있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동 버튼 형상(1800), ACC 형상(1804), ON 형상(1805), OFF 형상(1806)과 같이 복수의 형상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광 생성 후, 소정 시간 경과되는 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더 이상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속 레버가 파킹 포지션(P)이나 뉴트럴 포지션(N)에 놓여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 및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02).
한편,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시동 버튼 형상(1800)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70)는, 시동 버튼 형상(1800)이 제1 색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ACC 형상(1804)에 대응되는 광원, ON 형상(1805)에 대응되는 광원, OFF 형상(1806)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동 버튼 형상(1800)에 대응하여서 제1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1 광원 및 제2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2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오프 된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제1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색의 형상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버튼 형상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동의 턴 온 상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 할 수 있다(1803).
한편, 상기 진동 패턴 및 음향은,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패턴(예를 들면, 숏 터치, 롱 터치, 더블 터치)은,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시동 버튼 형상에 대응하여서 제1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1 광원 및 제2 색의 광을 생성하는 제2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오프 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시동이 턴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제2 색의 형상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시동 상태에 따라, 시동 버튼 형상의 투명도, 밝기, 채도, 점멸 속도가 변경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동이 턴 오프 상태인 차량(100)의 도어를 개방하고, 운전석에 앉을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01).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다 뗄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01).
사용자는, 시트 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01).
사용자는, 변속 레버가 파킹 포지션(P)이나 뉴트럴 포지션(N)에 놓여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시동 버튼 형상을 롱 터치 또는 더블 터치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에 구비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1812). 프로세서(270)는, ACC 형상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는, 차량의 공조기, 멀티 미디어 장치, 와이퍼, 디젤 엔진 예열 장치 등 액세서리 장치일 수 있다.
만약, 차량에 시동 및 주행관련 고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경고를 위해 고장에 대응하는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광출력부(254)는, 고장에 대응하는 광이 출력되도록 별도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버튼 형상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03).
다만, 차량에 시동 민 주행 관련 고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차량의 시동의 턴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동이 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의 포지션을 드라이브 포지션(D), 리버스 포지션(R)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온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온된 상태에서,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821).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고,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821).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시동 버튼 형상 표시를 위한 광이 아닌 다른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시동이 턴 온되고, 시동 버튼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를 시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온되고,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1822).
이후에, 터치 센서(213a)를 통한 터치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진동 패턴이 출력이 중단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1823).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온되고,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1822).
이후에, 터치 센서(213a)를 통한 터치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음향 출력이 중단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1823).
이와 같이, 경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동 턴 오프를 할 수 없는 상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1822).
이후에, 터치 센서(213a)를 통한 터치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진동 패턴이 출력이 중단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1823).
프로세서(270)는,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1822).
이후에, 터치 센서(213a)를 통한 터치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음향 출력이 중단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1823).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동이 커진 상태라고 착각할 수 있다. 이경우, 터치 감지에 따라, 경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동 턴 오프를 할 수 없는 상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시동 턴 오프를 해야하는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활성화 되지 않은) 시동 버튼 영역을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시동 턴 오프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엔진 이외의 다른 전자 장치에는 전원이 공급이 유지되게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행 중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정차한 후, 변속 레버를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시동 턴 온 상태에서,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동 턴 온 상태에서,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31).
사용자는, 변속 레버가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에 있는 상태에서, 시동 버튼 형상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동의 턴 오프 상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 할 수 있다(1832).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OFF 형상(1806)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시동 버튼 형성(1800)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뗄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광 출력이 유지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1833).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하차한 후, 도어를 잠글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더 이상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행 중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정차한 후, 변속 레버를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31).
만약, 고속 주행 등으로 인해 엔진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주행 이후, 후열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270)는, 후열 경고 형상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1841).
사용자는, 변속 레버가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에 있는 상태에서, 후열 경고 형상(1845)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동이 꺼지지 않고 후열 중이라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설정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후열 후 자동으로 시동이 턴 오프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1842).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OFF 형상(1806)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뗄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33).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하차한 후, 도어를 잠글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33).
한편, 사용자는, 후열 중에,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고, 하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후열 알림 동작을 지속하고, 후열 후 자동으로 시동이 턴 오프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시동이 턴 오프 상태인 차량(100)의 도어를 개방하고, 운전석에 앉을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1801).
사용자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로,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활성화 되지 않은) 시동 버튼의 영역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1852).
프로세서(270)는, 시동 버튼 둘레에 대응되는 제1 광원에서 제1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ACC 형상(1804)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1852).
여기서, 제1 그룹의 전자 장치는, 차량의 공조기, 멀티 미디어 장치, 와이퍼, 디젤 엔진 예열 장치 등 액세서리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그룹의 전자 장치가 턴 온된 상태에서, 다시,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활성화 되지 않은) 시동 버튼의 영역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그룹의 전자 장치가 턴 온된 상태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제2 그룹의 전자 장치를 턴 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1853).
프로세서(270)는, 시동 버튼 둘레에 대응되는 제2 광원에서 제2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ON 형상(1805)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1853).
여기서, 제2 그룹의 전자 장치는, 클러스터, 램프 등의 액세서리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전자 장치가 턴 온된 상태에서, 다시,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활성화 되지 않은) 시동 버튼의 영역을 터치 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전자 장치가 턴 온된 상태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시동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전자 장치를 포함한, 차량 내 전자 장치가 턴 오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행 중, 비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차량의 비상 정지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비상등을 턴 온 시키고, 사용자는,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활성화 되지 않은) 시동 버튼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상 상황은, 타이어 펑크, 엔진 과열, 냉각수 부족, 운전자 졸음, 장애물과의 충돌 상황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시동이 턴 온된 상태에서, 비상등 턴 온 신호를 수신(1862)하고,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를 감지(1861)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63)
사용자는, 시동 버튼 형상을 기 설정된 터치 패턴에 따라 터치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 할 수 있다(1864).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ISG에 의해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형상이 표시되지 않은(활성화 되지 않은) 시동 버튼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 및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 및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형상에 대응되는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상은, ISG 동작 알림 형상일 수 있다(1871).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를 유지한 채, 제1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31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변속 레버 포지션이 파킹 포지션(P)으로 변경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제2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형상은, 시동 버튼 형상(1800)일 수 있다(1872).
프로세서(270)는, ON 형상(1805)이 표시되도록 ON 형상(1805)에 대응되는 광원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를 유지한 채, 제2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동의 턴 오프 상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 할 수 있다(1873).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OFF 형상(1806)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에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목적지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 및 차량의 GPS 정보를 기초로,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1881).
만약, 차량(100)이 수동 주행 상태인 경우,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출력부(250)를 통해, 산출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만약, 차량(100)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산출된 경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차량(100)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부(420)에서 획득한 GPS 정보 또는 카메라(310)에서 획득한 차량 주변 영상에 기초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100)이 목적지에 도착하거나, 목적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82). 여기서, 형상(1800)는, 시동 버튼 형상(1800)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ON 형상(1805)이 표시되도록 ON 형상(1805)에 대응되는 광원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 버튼 형상(1800)을 터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 패턴이 출력되도록 햅틱 출력부(253)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동의 턴 오프 상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 할 수 있다(1883).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OFF 형상(1806)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의 주차 가능 상태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를 통해,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차량(100)이 주차 가능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차량 주변 영상을 통해, 차량(100)이 위치한 도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이 주차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차량 주변 영상을 통해, 차량(100)이 위치한 주차장 정보(예를 들면, 주차 표지판, 주차 구획선, 기 주차된 차량)를 획득한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이 주차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45)를 통해,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차량(100)이 주차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100)이 주차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1891),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92).
프로세서(270)는, 차량(100)이 주차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1893),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94). 여기서, 형상(1800)는, 시동 버튼 형상(1800)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ON 형상(1805)이 표시되도록 ON 형상(1805)에 대응되는 광원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변속 레버 포지션이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B)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센서(213a)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 할 수 있다(1895).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OFF 형상(1806)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제스쳐 입력부(212)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제스쳐 입력을 트리거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1897).
만약, 차량(100)이 주행 중이거나, ISG 기능에 의해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스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광이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98).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알람을 위한 진동 패턴이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차량(100)이 주차된 상태에서, 제스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180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899). 여기서, 형상(1800)는, 시동 버튼 형상(1800)일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ON 형상(1805)이 표시되도록 ON 형상(1805)에 대응되는 광원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트 포지션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가 복수의 광원(254a)을 포함하는 경우, 커버부(810)의 패턴부(811)는,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생성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시트의 특정 포지션을 나타내는 광이 생성되도록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시트 포지션 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810)의 패턴부(811)는, 복수의 패턴(PT)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각각은, 상기 복수의 패턴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복수의 터치 센서(213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213a) 각각은, 복수의 패턴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트리거 입력으로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 입력은, 터치 센서(213a)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생성되는 광이 패턴(PT)을 통과하면서 형상(2910, 2920, 293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광출력부(254)에서 광이 생성되는 경우, 터치 센서(213a)를 활성화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는, 수신되는 시트 포지션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가령, 제1 상태의 시트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제1 형상(2910)에 대응되는 광원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시트 포지션은, 전후 방향(예를 들면, 전장 방향)으로 복수의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형상(2910, 2920, 2930)은, 시트 포지션의 복수의 상태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형상(2910, 2920, 293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시트 포지션이 전환되도록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포지션이 제1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제2 형상(2920)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시트 포지션이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포지션이 제1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제3 형상(2930)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시트 포지션이 제3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시트 포지션은, 상하 방향(예를 들면, 전고 방향)으로 복수의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형상(3010, 3020, 3030)은, 시트 포지션의 복수의 상태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형상(3010, 3020, 303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시트 포지션이 전환되도록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시트 포지션은, 등받이의 상태가 복수의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형상(3110, 3120, 3130)은, 시트 포지션의 복수의 상태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형상(3110, 3120, 313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시트 포지션이 전환되도록 제어 신호를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구분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외부에 표시되는 형상(3210, 3220, 3230)은 복수일 수 있다. 커버부(810)는, 복수의 형상(3210, 3220, 323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3210a, 3220a, 3230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3210a, 3220a, 3230a)은, 터치 센서(213a)의 활성화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영역(3210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알림 영역(3210a)을 통해, 제1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제1 광을 출력하는 제1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3210a, 3220a, 3230a)은, 터치 센서(213a)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영역(3230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13a)는, 터치 영역(3220a, 3230a)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센서는, 제1 영역(3220a)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2 터치 센서는, 제2 영역(3230a)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용 디바이스에 복수의 단계로 구분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영역(3220a, 3230a)은, 복수의 단계 중,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단계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영역(3220a) 및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제2 영역(3230a)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영역(3220a, 3230a)은, 제1 영역(3220a) 또는 제2 영역(3230a)을 통해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알림 영역(3210a) 및 터치 영역(3220a, 3230a)을 통해, 제2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광출력부(254)는, 제2 광을 출력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차량용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광은, 제1 광보다 더 밝을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드래그 입력을 위한 터치 다운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터치 영역(3220a, 3230a)에서 터치 다운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까지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단계 중 터치 다운 입력에 대응되는 단계로 차량용 디바이스가 제어되도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없기 때문에, 패턴(PT)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없고,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3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도어 열림 정보, 차량 시동 턴 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광출력부(254)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출력부(254)는,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제3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제3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부(811)는, 제1 광원에 대응되는 제1 패턴, 제2 광원에 대응되는 제2 패턴, 제3 광원에 대응되는 제3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에서 생성되는 제1 광 및 제1 패턴에 의해 제1 형상(321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광원에서 생성되는 제2 광 및 제2 패턴에 의해 제2 형상(322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제3 광원에서 생성되는 제3 광 및 제3 패턴에 의해 제3 형상(323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광원, 제2 광원 및 제3 광원에서 광이 출력됨으로 인해, 제1 형상(3210), 제2 형상(3220) 및 제3 형상(323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소정 시간 경과 후, 프로세서(270)는, 제1 광원에서는 제1 광이 출력되고, 제2 광원 및 제3 광원에서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형상(3210)만 외부에 표시되고, 제2 형상(3220) 및 제3 형상(3230)은 외부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213a)는, 제2 패턴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센서(213a)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3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제3 형상(323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제3 형상(3230)이 외부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차량용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70)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지점에 대응되는 단계로 차량용 디바이스가 제어되도록 신호를 차량용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제2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단계에 대응되는 영역까지 광이 출력되어, 제2 형상(32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213a)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 패턴 및 제3 패턴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3 형상(3230)이 외부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형상(3230)에 대응되게 배치된 터치 센서(213a) 중 사용자가 볼 때 좌측 영역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게, 단계가 낮아지도록 차량용 디바이스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설정되는 단계에 대응되는 영역까지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제2 형상(32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형상(3230)에 대응되게 배치된 터치 센서(213a) 중 사용자가 볼 때 우측 영역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게, 단계가 높아지도록 차량용 디바이스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설정되는 단계에 대응되는 영역까지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제2 형상(32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경고 인디케이터(200b) 및 시트 벨트 미착용 경고 인디케이터(200c)로 구현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생성되는 광이 없기 때문에, 패턴(PT)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광이 없고, 형상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시트 벨트 착용/미착용 정보 수신 이벤트 또는 오브젝트 검출 정보 수신 이벤트일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도어 열림 정보, 차량 시동 턴 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광출력부(254)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출력부(254)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패턴부(811)에 형성되는 패턴(PT)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부(811)는, 제1 광원에 대응되는 제1 패턴, 제2 광원에 대응되는 제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 및 제2 광원에서 광이 출력됨으로 인해, 제1 형상(3810), 제2 형상(382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시트 벨트 미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1 광원에서 광이 출력되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형상(3210)이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70)는, 제스쳐 입력부(212)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여, 광 출력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의 손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점점 가까워지는 제스쳐가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량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거나, 광의 색이 점차적으로 밝아지거나, 광출력 시간이 점차적으로 빨라지거나, 광의 점멸 주기가 점차적으로 빨라지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음량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의 손이,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점점 멀어지는 제스쳐가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광량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거나, 광의 색이 점차적으로 어두어지거나, 광출력 시간이 점차적으로 느려지거나, 광의 점멸 주기가 점차적으로 느려지도록 광출력부(254)를 제어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70)는, 음량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음향 출력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

Claims (50)

  1. 광출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이벤트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광출력부,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커버하고, 상기 광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광을 차량 실내로 투과시켜 형상을 형성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형상에 대응되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을 통해 상기 광을 투과시키는 패턴부; 및
    소정의 광투과율을 가지고 상기 패턴을 투과하는 광을 외부로 출력하는 필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패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합성 수지 재질, 패브릭 재질, 가죽 재질, 나무 재질 또는 메탈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필름부 상에 형성되는 서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페이스 중,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보다 얇게 형성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배치되는 투명 연성인쇄회로기판;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기 커버부로 전달하는 광가이드 필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제1광가이드 필름; 및
    상기 제1광가이드 필름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광가이드 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상기 제1광가이드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제3광가이드 필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가이드 필름 또는 상기 제2광가이드 필름 상에 에칭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부는, 상기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부는,
    상기 제1광가이드 필름 중 상기 제3 광가이드 필름에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광가이드 필름 중 상기 제1광가이드 필름에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가이드 필름 및 상기 제2광가이드 필름으로 유입되는 광의 경로는 서로 상이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기 커버부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기 광가이드 필름으로 가이드하는 광클리어 필름(Optical Clear Film);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의 파장을 변경시키는 컬러필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의 반사를 서포트하는 플라스틱;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커버부에, 상기 광출력부,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배치된 상태에서 사출로 성형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제1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터치에 대응하여 광을 생성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제2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터치에 대응되는 차량용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가 실장되는 서킷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출력부는, 광솔더링 기법으로 상기 서킷 보드에 실장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차량 실내에서 운전석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형상은,
    차량 시동 입력 버튼 모양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시동 장치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기능들은,
    차량의 시동을 턴 온(turn on)하는 제1기능;
    차량에 구비된 제1그룹의 전자장치를 턴 온하는 제2기능; 및
    차량의 시동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제3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햅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 위치 정보, 차량 속도 정보,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 도어 개폐 정보, 시트 벨트 착용 정보,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 ISG(Idle Stop and Go) 기능 온/오프 정보, 탑승자 정보, 운전자 생체 정보, 시트 포지션 정보 및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도어 개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석 도어 개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시트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석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시트 벨트 착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탑승자가 위치한 모든 좌석의 시트 벨트 착용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브레이크 페달 눌림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파킹 포지션(P) 또는 뉴트럴 포지션(N)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차 상태에서, 드라이브 포지션(D) 또는 리버스 포지션(R)의 변속 레버 포지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알람 출력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속도값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속도값이 0이 아닌 상태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3.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ISG 기능 온/오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동작되지 않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4. 제 23항에 있어서,
    운전자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위치가 기 등록된 지역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정보는,
    GPS 정보 또는 차량 주변 영상 정보에 기초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7. 제 23항에 있어서,
    탑승자 정보를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석에 위치한 사용자외 다른 탑승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동 장치의 복수의 제어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시트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트 포지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생성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시트의 특정 포지션을 나타내는 광이 생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1.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볼륨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에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에서 생성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오디오 볼륨 특정 상태를 나타내는 광이 생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광의 위치를 변경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광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조절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디바이스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차량용 공기조화기, 차량용 윈도우 장치, 차량용 램프, 트렁크 개폐 장치, 후드 개폐 장치, 썬루프 개폐 장치, 주유 도어 개폐 장치, 썬바이저 폴딩 제어 장치, 도어락 장치,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기, 상기 차량용 램프, 상기 트렁크 개폐 장치, 상기 후드 개폐 장치, 상기 썬루프 개폐 장치, 상기 주유 도어 개폐 장치, 상기 썬바이저 폴딩 제어 장치, 상기 도어락 장치, 시트 포지션 조정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차량의 대쉬보드, 도어 내측, 콘솔, 루프 내측, 시트, 썬바이저, A 필러, B필러 및 C 필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8. 제 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도어 열림 정보, 차량 시동 턴 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도어 열림 정보, 상기 차량 시동 턴 온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광출력부에서 생성되는 광이 디밍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0. 제 1항 내지 제 4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110292A 2015-08-29 2016-08-2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KR20170074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92A KR20170074740A (ko) 2015-12-22 2016-08-2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EP16205358.1A EP3184348A3 (en) 2015-12-22 2016-12-20 Vehicle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CN201611186336.7A CN106994946B (zh) 2015-12-22 2016-12-20 车辆用用户接口装置以及车辆
US15/388,701 US10452257B2 (en) 2015-08-29 2016-12-22 Vehicle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71010P 2015-12-22 2015-12-22
US62/271,010 2015-12-22
US201662294155P 2016-02-11 2016-02-11
US62/294,155 2016-02-11
KR1020160110292A KR20170074740A (ko) 2015-12-22 2016-08-2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740A true KR20170074740A (ko) 2017-06-30

Family

ID=6821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92A KR20170074740A (ko) 2015-08-29 2016-08-29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52257B2 (ko)
EP (1) EP3184348A3 (ko)
KR (1) KR20170074740A (ko)
CN (1) CN106994946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86B1 (ko) 2018-03-09 2018-06-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66849B1 (ko) 2018-03-09 2018-06-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61190B1 (ko) 2018-03-09 2018-06-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61189B1 (ko) 2018-03-09 2018-06-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87938B1 (ko) 2018-03-09 2018-08-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20190079516A (ko) * 2017-12-12 2019-07-05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표면 포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제어기
DE102018127892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5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4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WO2023275889A1 (en) * 2021-06-28 2023-01-05 Tvs Motor Company Limited Secure operation of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0311A1 (en) 2011-08-29 2013-05-02 Tk Holdings Inc. System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an analyte in a vehicle driver
CA2920796C (en) * 2013-08-27 2023-03-28 Automotive Coalition For Traffic Safe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ignition using biometric data
JP2017026230A (ja) * 2015-07-23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装置、空調制御方法、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DE102016106539A1 (de) * 2016-04-11 2017-10-12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Innenverkleidungsteil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6211491A1 (de) * 2016-06-27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eizungs-, Lüftungs- und Klimaanlagen-Systems eines Fahrzeugs
KR102561132B1 (ko) * 2016-09-21 202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019053B2 (en) * 2016-09-23 2018-07-10 Toyota Motor Sales, U.S.A, Inc. Vehicle technology and telematics passenger control enabler
KR101891599B1 (ko) * 2016-09-30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US20180121071A1 (en) * 2016-11-03 2018-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based on vehicle speed
US10671063B2 (en) * 2016-12-14 2020-06-02 Uatc, Llc Vehicle control device
US10462193B2 (en) * 2017-06-07 201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dd-on multimedia playback and capture devices
US20190073040A1 (en) * 2017-09-05 2019-03-07 Future Mobility Corporation Limited Gesture and motion based control of user interfaces
US10421396B2 (en) 2017-10-18 2019-09-24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intentions to riders
US11347218B2 (en) * 2017-11-21 2022-05-31 Shawn Wang Portable universal autonomous driving system
KR101974871B1 (ko) * 2017-12-08 2019-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838425B2 (en) * 2018-02-21 2020-11-17 Waymo Llc Determining and responding to an internal status of a vehicle
EP3575121B1 (en) * 2018-05-29 2021-04-14 TMG - Tecidos Plastificados e Outros Revestimentos para a Indústria Automóvel, S.A. Multi-functional composite structure and process of its production
JP6965212B2 (ja) * 2018-06-25 2021-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CN109109705A (zh) * 2018-07-23 2019-01-01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带触摸控制功能的汽车扶手面板
CN110858420B (zh) * 2018-08-21 2021-12-0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光导组件与门禁控制系统
DE102018214240A1 (de) 2018-08-23 2020-02-27 Benecke-Kaliko Ag Mehrschichtverbundfolie aus Kunststoff
US10845985B2 (en) * 2018-09-14 2020-11-24 Sigmasense, Llc. Identification in touch systems
US20210341123A1 (en) * 2018-10-05 2021-11-04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US10884614B1 (en) * 2018-11-30 2021-01-05 Zoox, Inc. Actuation interface
US10817063B2 (en) 2019-02-11 2020-10-27 Volvo Car Corporation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a vehicle touchscreen using haptic feedback
DE102019107358A1 (de) * 2019-03-22 2020-09-24 Hib Trim Part Solutions Gmbh Fahrzeugzierteil
CN210116215U (zh) * 2019-04-11 2020-02-2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可透光表皮以及包括该可透光表皮的可透光饰件
EP3982830A4 (en) 2019-06-12 2023-07-19 Automotive Coalition for Traffic Safety, Inc. NON-INVASIVE MEASUREMENT SYSTEM OF AN ANALYTE IN A VEHICLE DRIVER
US11460626B2 (en) * 2019-07-29 2022-10-04 Waymo Llc Autonomous vehicle console
KR20210019630A (ko) * 2019-08-12 2021-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화형 자율 주행 시스템
WO2021104963A1 (de) * 2019-11-25 2021-06-03 Lisa Dräxlmaier GmbH Funktionales innenausstatt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unktionalen innenausstattungsteils
JP2023509146A (ja) * 2020-01-02 2023-03-07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内のレーダーベースの監視
CN115362097A (zh) * 2020-04-15 2022-11-1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
JP2022041245A (ja) * 2020-08-31 2022-03-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CN112078474B (zh) * 2020-09-11 2022-02-15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的方法和装置
US11524685B2 (en) * 2020-09-30 2022-12-13 Nissan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river awareness of engine stoppage by a vehicle
USD997107S1 (en) * 2020-12-04 2023-08-29 Zoox, Inc. Door interface system having an animated visual indicator
DE102021104330A1 (de) 2021-02-23 2022-08-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Fortbewegungsmittel sowie Lenkrad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mit transparenter Anzeigeeinrichtung
CN113022589A (zh) * 2021-04-08 2021-06-25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车辆用户信息与个性化设置关联的方法
DE102021205412A1 (de) * 2021-05-27 2022-12-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Computerprogramm, Vorrichtung und Nutzerschnittstelle zum Steuern von Türöffnungsfunktionalitäten von Türen eines Fortbewegungsmittels
WO2023081382A1 (en) * 2021-11-08 2023-05-11 Tesla, Inc. Multi-layer display element for selective display
WO2023117055A1 (en) * 2021-12-21 2023-06-29 Lotus Tech Innovation Centre Gmbh Automotive control unit, automotive interior functional component,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motive interior functional component, vehicle
CN114954302B (zh) * 2022-05-26 2024-05-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不同场景智能显示车机主页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5263632A (zh) * 2022-07-25 2022-11-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利用物理按键与虚拟按键协同控制怠速启停功能的方法、系统及其汽车
EP4365029A1 (en) 2022-11-04 2024-05-08 FERRARI S.p.A. Gesture device for turning on a road vehicle and corresponding roa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8189A (en) * 1981-09-11 1983-05-11 Antivols Simplex Sa Anti 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
US5808374A (en) * 1997-03-25 1998-09-15 Ut Automotive Dearborn, Inc. Driver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control parameters and easy to utilize switches
EP1263626A2 (en) * 2000-03-02 2002-12-11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DE10320100B4 (de) * 2003-05-05 2005-06-16 Framatome Anp Gmbh Technische Anlage mit einer Anzahl von jeweils von einer Anzahl von Trägern abgestützten Systemkomponenten und mit einer Anzahl von druckführenden Leitungen,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einer Kernkraftanlage
DE102004044771B4 (de) * 2004-09-16 2006-08-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bildbasierten Fahreridentifikation in einem Kraftfahrzeug
JP4570974B2 (ja) * 2005-02-04 2010-10-2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始動制御装置および始動制御方法
US8681071B2 (en) * 2005-07-20 2014-03-25 Daniel Deutsch Lighted multiple panel display
FR2963839B1 (fr) * 2010-08-13 2012-08-17 Delphi Tech Inc Panneau de commande comportant une touche resistive
DE102011016427A1 (de) * 2011-04-08 2012-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nzeigeschaltereinheit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Anzeigeschaltereinheit
FR2976867B1 (fr) * 2011-06-23 2013-11-08 Delphi Tech Inc Panneau de commande comportant une touche retro-eclairee de type resistive
DE102012101314B4 (de) * 2012-02-17 2018-07-05 Novem Car Interior Design Gmbh Form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CN203046907U (zh) * 2012-09-17 2013-07-10 绵阳华瑞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组合仪表
CN103870772B (zh) * 2012-12-17 2017-08-08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触摸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A2920796C (en) * 2013-08-27 2023-03-28 Automotive Coalition For Traffic Safe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vehicle ignition using biometric data
CN106163870A (zh) * 2014-01-16 2016-11-23 麦格纳国际公司 用于车辆装饰部件的层叠式透明照明系统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516A (ko) * 2017-12-12 2019-07-05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표면 포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터치 제어기
US10513221B2 (en) 2018-03-09 2019-12-24 Seoyon E-Hwa Co., Ltd. Soft upper trim for switch assembly of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66849B1 (ko) 2018-03-09 2018-06-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US10549685B2 (en) 2018-03-09 2020-02-04 Seoyon E-Hwa Co., Ltd. Soft upper trim for switch assembly of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688922B2 (en) 2018-03-09 2020-06-23 Seoyon E-Hwa Co., Ltd. Soft upper trim for switch assembly of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83777B2 (en) 2018-03-09 2020-03-10 Seoyon E-Hwa Co., Ltd. Soft upper trim for switch assembly of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8127896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2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5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4A1 (de) 2018-03-09 2019-09-12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KR101864686B1 (ko) 2018-03-09 2018-06-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61189B1 (ko) 2018-03-09 2018-06-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61190B1 (ko) 2018-03-09 2018-06-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KR101887938B1 (ko) 2018-03-09 2018-08-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위치 조립용 차량 도어의 소프트 어퍼 트림 및 그 양산공법
US10807522B2 (en) 2018-03-09 2020-10-20 Seoyon E-Hwa Co., Ltd. Soft upper trim for switch assembly of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67783B2 (en) 2018-03-09 2021-04-06 Seoyon E-Hwa Co., Ltd. Soft upper trim for switch assembly of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8127895B4 (de) 2018-03-09 2022-01-13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2B4 (de) 2018-03-09 2021-12-09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3B4 (de) 2018-03-09 2021-12-09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127896B4 (de) 2018-03-09 2022-01-13 Seoyon America Corp.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eichen oberen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WO2023275889A1 (en) * 2021-06-28 2023-01-05 Tvs Motor Company Limited Secure operation of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52257B2 (en) 2019-10-22
US20170228126A1 (en) 2017-08-10
CN106994946B (zh) 2019-12-31
CN106994946A (zh) 2017-08-01
EP3184348A3 (en) 2018-02-28
EP3184348A2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4946B (zh) 车辆用用户接口装置以及车辆
KR101916434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제조 방법 및 차량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68462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30941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91599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KR101959300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KR101777329B1 (ko) 차량용 회생 제동 제어 장치
KR101979269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10199241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333765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20190033368A (ko)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20190009204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143216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41173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443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88133A (ko) 입출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80106227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43344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89067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5043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514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2981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18066A (ko) 차량 제어 방법, 장치, 차량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6228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