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997A -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 Google Patents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997A
KR20170070997A KR1020150178803A KR20150178803A KR20170070997A KR 20170070997 A KR20170070997 A KR 20170070997A KR 1020150178803 A KR1020150178803 A KR 1020150178803A KR 20150178803 A KR20150178803 A KR 20150178803A KR 20170070997 A KR20170070997 A KR 2017007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contact terminal
lan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1375B1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375B1/en
Publication of KR2017007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3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는,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촉 단자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 및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에 걸어진 상기 란스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란스를 탄성 변형시키는 홀더;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nd a connector. One aspect of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lance provided on the housing and selectively hooked to a contact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tact of the contact terminal when the contact member is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lance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housing, A holder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holder; .

Description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0001]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0002]

본 발명은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nd a connector.

커넥터란, 전기적으로 상대물과 접속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대물과 접속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The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ating member and may include a contact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mating member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Prior art documents disclos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넥터(100)는, 하우징(110)에 삽입된 접촉 단자(130)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 부재(11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록킹 부재(11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란스(미도시)가 접촉 단자(130)에 탄성 변형하여 걸린 상태에서, 란스의 탄성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접촉 단자(13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접촉 단자(130)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록킹 부재(112)를 하우징(110)으로부터 탈거시킨 상태에서, 란스를 탄성 변형시킨 후 접촉 단자(112)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Referr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a conventional connector 1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112 for locking a contact terminal 130 inserted in the housing 110. Such a locking member 112 prevent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in a state in which the lanc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engaged with the contact terminal 130, Preventing the housing 110 from being detached arbitrarily. 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contact terminal 130 from the housing, the contact terminal 112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after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112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It is not eas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2189호(명칭: 커넥터)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72189 (name: connecto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접촉 단자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nd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housing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는,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촉 단자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 및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에 걸어진 상기 란스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를 탄성 변형시키는 홀더;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locking structure, comprising: a lance that is provided on a housing and selectively engages with a contact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which prevents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hooked to the contact terminal when it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prevents the lanc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housing. A holder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hold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에서,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촉 단자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 및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에 걸어진 상기 란스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란스를 탄성 변형시키는 홀더; 를 포함한다. 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nce is provided on the housing and selectively hooked to a contact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tact of the contact terminal when the contact member is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lance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housing, A holder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hold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란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란스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 단자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ntilev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tip of the lance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formed in the contact terminal A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홀더에 구비되는 리워크 리브가,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를 탄성 변형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work rib provided in the holder elastically deforms the lance so that the lance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from the hous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워크 리브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홈에 인접하는 상기 접촉 단자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를 탄성 변형시키는 리워크 돌기; 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worked rib includes a se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and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contact terminal adjacent to the engagement groove is seated part; And a rework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such that the lance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a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hous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접촉 단자의 외주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워크 돌기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와 간섭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work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interferes with the lance in the process of coupling or disengaging the holder with th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는,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는 접촉 단자; 상기 접촉 단자 및 상기 접촉 단자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에 삽입되는 상기 접촉 단자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제1 및 제2록킹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홀더에 의하여 상기 란스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에 의하여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탄성 변형되며,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의 탄성 변형이 허용된다.An aspec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terminal coupled to a tip of a cable; A housing hav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contact terminal and a mat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re inserted and a lance selectively hooked to the contact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And a holder separated from the housing or coupled to the housing in either the first or second locking position; Wherein when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housing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is prevented by the holder, and when the holder moves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Wherein when the holder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the lance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holder, and when the holder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is allow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촉 단자에는, 그 외주면 일부가 외주면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차짐으로써 정의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란스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terminal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defined by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being relatively stepped relative to the re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ance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latch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is provided at a tip of the latch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더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제1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and the holder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holder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and in a state where the holder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Is inserted into the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를 탄성 변형시키는 리워크 리브가 구비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elastic deformation such that the lance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holder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워크 리브는, 상기 홀더의 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홈에 인접하는 상기 접촉 단자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를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리워크 돌기; 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worked rib includes: a seating part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and having a seating groove on which a part of the contact terminal adjacent to the holding groove is seated; And a lance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and in which the lance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course of moving the holder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A rework projection for elastically deform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접촉 단자의 외주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formed in the shape of be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워크 돌기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와 간섭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work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and interferes with the lance in the process of coupling or separating the holder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거나 상기 란스와 간섭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가 구비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which contacts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or interferes with the lanc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오삽입 방지 돌기는, 상기 리워크 리브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홀더의 일측에 돌출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rojection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work rib, and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다른 양태는, 케이블의 선단에 결합되는 접촉 단자; 상기 접촉 단자 및 상기 접촉 단자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에 삽입되는 상기 접촉 단자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가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상기 홀더에 의하여 상기 접촉 단자에 걸어진 상기 란스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홀더에 의하여 상기 란스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탄성 변형된다.Another aspec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comprising: a contact terminal coupled to a distal end of a cable; A housing hav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contact terminal and a mat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are inserted and a lance selectively hooked to the contact terminal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And a holder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holder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hous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hooked to the contact terminal is prevented by the holder, an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from the housing, So that the lance is removed from the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홀더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란스를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홀더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란스를 타고 넘어가거나 상기 란스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리워크 리브가 구비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from the housing, the holder may be provided with the lan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a rework rib is provided which is disposed so as to ride over the lance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ance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older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정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역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란스와 간섭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가 구비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housing in a forward direction, the hold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When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housing in the reverse direction,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which interferes with the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에서는, 홀더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홀더에 의하여 접촉 단자에 걸어지는 란스가 탄성 변형되어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접촉 단자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from the housing, the lance that is hooked to the contact terminal by the holder is elastically deformed and removed from the contact termin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terminal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more simp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6 are working stat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holder from a housing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접촉 단자(100), 하우징(200) 및 홀더(30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단자(100)는, 케이블(C)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그 내부에 상기 접촉 단자(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단자(100)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미도시)가 삽입된다. 상기 홀더(300)는,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된 상기 접촉 단자(1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 한다.1 to 3,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ct terminal 100, a housing 200, and a holder 300. The contact terminal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tip of the cable C. [ A mating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with the contact terminal 100 inserted therein. The holder 300 locks the contact terminal 100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so that the contact terminal 100 is not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촉 단자(100)에는, 후술할 란스(220)가 걸리는 걸림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10)은,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부가 외주면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차짐으로써 정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terminal 100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110 in which a lance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caught. The engaging groove 110 is defined by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being relatively stepped as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하우징(200)은, 다면체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200)의 전후면을 통하여 양단이 개방되는 단자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홀(210)의 일단을 통하여 상기 접촉 단자(100)가 삽입되고, 상기 단자홀(210)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상대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접촉 단자(100)에 접속된다.The housing 200 may have a polyhedral shape, for example, a hexahedral shape. A terminal hole 210 is formed in the housing 200 to open both ends of the housing 200 through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200 facing each other. The contact terminal 100 is inserted through one end of the terminal hole 210 and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hole 210 to be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100.

또한 상기 하우징(200)에는 란스(220)가 구비된다. 상기 란스(220)는, 상기 단자홀(210)에 삽입되는 상기 접촉 단자(100)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란스(220)는,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란스(220)는, 상기 접촉 단자(100)가 상기 단자홀(2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하여 상기 걸림홈(110)에 걸린다. 그리고 상기 란스(22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홈(110)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2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a lance 220. The lance 220 is selectively hooked to the contact terminal 100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210. For example, the lance 220 may be formed as a cantilev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200. Therefore, the lance 2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tact terminal 100 into the terminal hole 210, so that the lance 220 is caught in the latch groove 110. A latching protrusion 221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10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lance 220.

상기 하우징(200)에는, 고정 돌기(2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돌기(230)는, 상기 단자홀(210)의 양단, 즉 상기 하우징(200)의 전후면과 직교되는 상기 하우징(20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230. The fixing protrusions 23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erminal hole 210, that is,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200.

상기 홀더(300)는, 예를 들면,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2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300)는,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에 걸어진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0)는,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older 300 may be formed in a 'C' shape that opens upward. The holder 300 is vertically moved and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In this embodiment, the holder 300 prevents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attached to the contact terminal 100 when the housing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The holder 300 elastically deforms the lance 220 so that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housing 2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더(300)는, 제1 및 제2록킹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된다. 상기 홀더(300)가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한 경우에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반대로,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허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sitions.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is prevented by the holder 300. When the holder 300 moves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he lance 22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holder 300 to be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In contrast,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tact terminal 100 into the housing 200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is allowed.

즉,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란스(220)가 상기 홀더(300)의 내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홀더(300)의 내면에 의하여 눌림으로써, 상기 란스(220)가 상기 걸림홈(110)에 걸린 상태에서 이로부터 탈거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의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2록킹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가 상기 걸림홈(110)으로부터 탈거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러나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록킹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단자(1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허용된다. That is, when the holder 3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the lance 22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or is press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Is prevented from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110 when the engaging groove 110 is engag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300 from the housing 200, when the holder 300 moves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he lance 2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latching groove 110. However,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older 300 to the housing 200, when the holder 300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is allowe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상기 홀더(300)에는, 리워크 리브(310)가 구비된다. 상기 리워크 리브(310)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 즉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킨다. 반대로 상기 리워크 리브(310)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과정, 즉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란스(220)와 이격되게 위치된다. The holder 300 is provided with a rework rib 310. The reworked rib 310 may be mov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300 from the housing 200, that is, dur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300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220 so that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In contrast, the reworking rib 310 may be formed by a process in which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that is, the holder 300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moves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ance 2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워크 리브(310)는, 안착부(311) 및 리워크 돌기(315)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311)는, 상기 홀더(300)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부가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부(311)에는 안착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12)은,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워크 돌기(315)는, 실질적으로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킨다. 반대로 상기 리워크 돌기(315)는,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면, 상기 란스(220)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워크 돌기(315)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1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를 타고 넘어간다.In this embodiment, the re-work rib 310 includes a seating portion 311 and a re-work projection 315. The seating portion 311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a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is seated when the holder 3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is end, the seating part 312 is formed in the seating part 311. The seating groove 312 is formed in a shape that matche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When the holder 300 is moved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he lancet protrusion 315 is moved so that the lancet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220). Conversely, when the holder 300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he rework protrusion 315 is spaced apart from the lance 220. And the rework protrusion 315 moves over the lance 22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holder 300 from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o the first locking position.

또한 상기 홀더(300)에는, 오삽입 방지 돌기(320)가 구비된다. 상기 오삽입 방지 돌기(320)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거나 상기 란스(220)와 간섭된다. 즉, 상기 오삽입 방지 돌기(320)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정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역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란스(220)와 간섭된다. 여기서 '정방향'이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홀더(300)의 방향을 의미하고, '역방향'이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홀더(300)의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오삽입 방지 돌기(320)는, 상기 리워크 리브(31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홀더(300)의 일측에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300 is provided with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320.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320 contacts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or interferes with the lance 220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320 contacts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in a normal direction, And is interfered with the lance 220 when it is coupled to the lancet 200 in the reverse direction. Here, 'forward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holder 30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reverse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holder 300 opposite to the directions shown in FIGS. it means. For example,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work rib 310 and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holder 300.

상기 홀더(300)의 양측면에는, 제1 및 제2고정홈(331)(3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홈(331)(332)은, 상기 홀더(300)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홈(331)(332)에는 상기 고정 돌기(230)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230)가 상기 제1고정홈(33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230)만 상기 제2고정홈(332)에 삽입된다.On both sides of the holder 300,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331 and 332 ar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331 and 332 are vertically spaced from both sides of the holder 300. The fixing protrusions 230 ar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331 and 332. That is, when the holder 3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331. When the holder 30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only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3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parating a holder from a housing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이다.4 to 6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holder from a housing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홀더(300)가 제1록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걸림홈(110)에 위치된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방지된다. 이때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측이 안착부(311)의 안착홈(312)에 안착된다. 또한 오삽입 방지 돌기(320)가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된다. 그리고 고정 돌기(230)가 제1고정홈(3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holder 3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located in the locking groove 110 is prevented by the holder 300.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312 of the seating portion 311. Also,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3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331 so that the holder 300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200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즉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면, 리워크 돌기(315)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걸림홈(110)으로부터 탈거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100), 실질적으로 이에 결합된 케이블(C)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접촉 단자(100)를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돌기(230)가 상기 제1고정홈(331)으로부터 각각 탈거된 후 상기 제2고정홈(3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5, when the holder 300 moves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by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3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that is, downward in the drawing, The lance 220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to be detached from the latching groove 110. [ Therefor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contact terminal 100, the cable C substantially coupled thereto, the contact terminal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The holder 3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by being detached from the first fixing groove 331 and then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32, Lt; / RTI >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돌기(230)가 상기 제2고정홈(332)으로부터 탈거된다.Finally, referring to FIG. 6, the holder 30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by continuously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200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herefore,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detached from the second fixing groove 332.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100: 접촉 단자 110: 걸림홈
200: 하우징 210: 단자홀
220: 란스 230: 고정 돌기
300: 홀더 310: 리워크 리브
311: 안착부 315: 리워크 돌기
320: 오삽입 방지 돌기 331, 332: 제1 및 제2고정홈
100: contact terminal 110:
200: housing 210: terminal hole
220: Lance 230: Fixing projection
300: holder 310: reworked rib
311: seat part 315: rework projection
320: erroneous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s 331, 332: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Claims (18)

하우징(200)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접촉 단자(100)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220); 및
상기 하우징(2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에 걸어진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키는 홀더(300); 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A lance 220 provided on the housing 200 and selectively hooked on the contact terminal 100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And
The elastic member 220 is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to prevent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hooked on the contact terminal 100 when the housing 2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A holder 300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220 such that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란스(220)는,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란스(220)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 단자(100)에 형성되는 걸림홈(110)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221)가 구비되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nce 220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200,
And a latching protrusion (221) inserted into a latching groove (110) formed in the contact terminal (10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lance (2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에 구비되는 리워크 리브(310)가,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키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work rib 310 provided in the holder 3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so that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300 from the housing 200. [ 2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 리브(310)는,
상기 홀더(300)의 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홈(110)에 인접하는 상기 접촉 단자(10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312)이 형성되는 안착부(311); 및
상기 안착부(31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키는 리워크 돌기(315); 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rework ribs 310,
A seating part 311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and having a seating groove 312 in which a part of the contact terminal 100 adjacent to the holding groove 110 is seated; And
A rework protrus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311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220 so that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housing 200 315);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312)은,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ting groove (312) is formed in a shape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 돌기(315)는, 상기 안착부(31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와 간섭되는 커넥터의 록킹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work protrusion 315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311 and may have a locking structure of a connector interfering with the lance 220 in a process of coupling or disengaging the holder 300 with the housing 200. [ .
케이블(C)의 선단에 결합되는 접촉 단자(100);
상기 접촉 단자(100) 및 상기 접촉 단자(100)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210)에 삽입되는 상기 접촉 단자(100)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220)가 구비되는 하우징(200); 및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제1 및 제2록킹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홀더(300);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면,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탄성 변형되며,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허용되는 커넥터.
A contact terminal 100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able C;
A terminal hole 210 into which the contact terminal 100 and the mat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100 are inserted is formed and the contact terminal 100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210 A housing 200 having a lance 220; And
A holder 300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or coupled to the housing 200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sitions; Lt; / RTI >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at the first locking position,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is prevented by the holder 300,
When the holder 300 moves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the lancet 22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holder 300 to be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at the second locking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holder 3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and the contact terminal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0, (22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100)에는, 그 외주면 일부가 외주면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차짐으로써 정의되는 걸림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란스(220)는,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기 걸림홈(110)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221)가 구비되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커넥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act terminal 100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110 defined by a relatively stepp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relative to the re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lance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latch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at a tip thereof.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에는, 고정 돌기(23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300)에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고정홈(331)(3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230)가 상기 제1고정홈(331)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230)가 상기 제2고정홈(332)에 삽입되는 커넥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using 200 is provided with fixing protrusions 230,
The holder 30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331 and 3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When the holder 3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331,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332) when the holder (300) is in the second posi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에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탄성 변형시키는 리워크 리브(310)가 구비되는 커넥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lder 300 is provided with the lancet 220 so that the lancet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dur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300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310)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rib (31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 리브(310)는,
상기 홀더(300)의 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걸림홈(110)에 인접하는 상기 접촉 단자(10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312)이 형성되는 안착부(311); 및
상기 안착부(311)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제1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록킹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100)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란스(220)를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리워크 돌기(315); 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work ribs 310,
A seating part 311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and having a seating groove 312 in which a part of the contact terminal 100 adjacent to the holding groove 110 is seated; And
The lancet 2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311 and is detachable from the contact terminal 10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holder 300 from the first locking position to the second locking position. A rework protrusion (315)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lance (2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300) separates from the housing (200); ≪ / RTI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312)은,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ating groove (312)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크 돌기(315)는, 상기 안착부(31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란스(220)와 간섭되는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work protrusion 315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311 and interferes with the lance 220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에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거나 상기 란스(220)와 간섭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320)가 구비되는 커넥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320 is formed in the holder 300 so that the holder 300 contacts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or interferes with the lance 220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 돌기(320)는, 상기 리워크 리브(31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홀더(300)의 일측에 돌출되는 커넥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rroneous 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3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work rib (310), and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holder (300).
케이블(C)의 선단에 결합되는 접촉 단자(100);
상기 접촉 단자(100) 및 상기 접촉 단자(100)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210)에 삽입되는 상기 접촉 단자(100)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란스(220)가 구비되는 하우징(200); 및
상기 하우징(2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홀더(300); 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접촉 단자(100)에 걸어진 상기 란스(220)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홀더(300)에 의하여 상기 란스(220)가 상기 접촉 단자로부터 탈거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커넥터.
A contact terminal 100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able C;
A terminal hole 210 into which the contact terminal 100 and the mat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100 are inserted is formed and the contact terminal 100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e 210 A housing 200 having a lance 220; And
A holder (300) selective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Lt; / RTI >
When the holder 30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housing 200,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220 hooked on the contact terminal 100 by the holder 300 is prevented,
Wherein the holder (300) is elastically deformed such that the lance (220) is detached from the contact termina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300) from the housing (20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에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우징(200)에 대한 상기 홀더(300)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란스(220)를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우징(200)에 대한 상기 홀더(300)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란스(220)를 타고 넘어가거나 상기 란스(22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리워크 리브(310)가 구비되는 커넥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lder 300 may be attached to the holder 300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older 30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00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holder 300 from the housing 200. [ The holder 30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3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0.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older 300 to the housing 200, (310) which rides over the lance (220) or is spaced apart from the lance (2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에는,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정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 단자(100)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홀더(300)가 상기 하우징(200)에 역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란스(220)와 간섭되는 오삽입 방지 돌기(320)가 구비되는 커넥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holder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holder 300 contacts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terminal 100 and the holder 30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320) interfering with the lance (220).
KR1020150178803A 2015-12-15 2015-12-15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KR1024613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803A KR102461375B1 (en) 2015-12-15 2015-12-15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803A KR102461375B1 (en) 2015-12-15 2015-12-15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997A true KR20170070997A (en) 2017-06-23
KR102461375B1 KR102461375B1 (en) 2022-11-01

Family

ID=5928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803A KR102461375B1 (en) 2015-12-15 2015-12-15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37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695A (en) * 2018-12-28 2020-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102264995B1 (en) * 2019-12-18 2021-06-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igh-voltage terminal
EP3944423A1 (en) * 2020-07-24 2022-01-26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CN114069311A (en) * 2020-08-06 2022-02-18 祥峰实业股份有限公司 High-speed transmission signal connector
KR20230092525A (en) 2021-12-17 2023-06-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91A (en) * 1994-03-29 1995-10-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Low fitting force connector
JP2002260781A (en) * 2001-02-27 2002-09-13 Yazaki Corp Connector fitting detection structure
KR200442525Y1 (en) * 2007-02-28 2008-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ead lamp connector
JP2008282721A (en) * 2007-05-11 2008-11-20 Yazaki Corp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KR20150072189A (en) 2013-12-19 2015-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91A (en) * 1994-03-29 1995-10-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Low fitting force connector
JP2002260781A (en) * 2001-02-27 2002-09-13 Yazaki Corp Connector fitting detection structure
KR200442525Y1 (en) * 2007-02-28 2008-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ead lamp connector
JP2008282721A (en) * 2007-05-11 2008-11-20 Yazaki Corp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KR20150072189A (en) 2013-12-19 2015-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695A (en) * 2018-12-28 2020-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102264995B1 (en) * 2019-12-18 2021-06-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igh-voltage terminal
EP3944423A1 (en) * 2020-07-24 2022-01-26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1545777B2 (en) 2020-07-24 2023-01-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CN114069311A (en) * 2020-08-06 2022-02-18 祥峰实业股份有限公司 High-speed transmission signal connector
KR20230092525A (en) 2021-12-17 2023-06-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375B1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725B2 (en) connector
US9608373B2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KR101740170B1 (en) Connector
KR101595657B1 (en) Connector
WO2013069337A1 (en) Connector
US9231342B2 (en) Connector
KR20170070997A (en)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JP6914232B2 (en) Connector structure
JP6176544B2 (en) connector
JP5510346B2 (en) connector
JP2011124057A (en) Lever type connector
JP2019212404A (en) connector
JP2005251540A (en) Connector device
JP2005216813A (en) Split connector
JP6124133B2 (en) connector
JP2003007389A (en) Connector
JP2016091819A (en) connector
JP6292468B2 (en) connector
JP5329339B2 (en) connector
JP6023567B2 (en) Terminal removal jig
JP2016178076A (en) Connector
JP2018137211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enhanced terminal retaining beam
CN111146651B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for hood latch
JP6252386B2 (en) connector
JP7202531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