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580A -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580A
KR20170070580A KR1020150178270A KR20150178270A KR20170070580A KR 20170070580 A KR20170070580 A KR 20170070580A KR 1020150178270 A KR1020150178270 A KR 1020150178270A KR 20150178270 A KR20150178270 A KR 20150178270A KR 20170070580 A KR20170070580 A KR 2017007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driving tendency
attack
lan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수
이태석
양석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580A/en
Publication of KR2017007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자율 주행 로직이, 자율 주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er)되면, 자차의 옆차선에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직이, 옆옆차선의 근접거리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기초로 차선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 주행 로직이, 상기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ne change control method for an unmanned autonomous naviga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autonomous driving lane change comman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riggers, a lane change Determining whether a possible area exists; If the lane changeable area exists, the autonomic driving logic judges a risk of a lane change based on an attack driving tendency of a close-range vehicle in a side lan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utonomic driving logic is changing lanes according to the risk.

Description

ECU, 상기 ECU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 및 이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unmanned vehicle including an ECU, an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ane-

본 발명은 ECU, 상기 ECU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 및 이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 변경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ECU, 상기 ECU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 및 이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U,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a lane change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U capable of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when changing lanes,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a lane change control method therefor.

최근, 자동차의 무인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상기 무인 자율 주행 기술은 운전자의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무인 자율 주행 시에 차선 변경을 할 때, 자기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등의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주변 차량들의 움직임(상대 위치, 상대 속도 등)을 파악하고, 이들 정보를 기초로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utomotive autonomous navigation technology. The unmanne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refers to a technique that allows a vehicle to automatically travel without intervention of a driver. Generally, when changing a lane at the time of unmanned autonomous driving,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movement (relative position, relative speed, etc.) of nearby vehicles from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uch as a radar or LiDAR mounted on the vehicle , And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lane on the basis of these pieces of information.

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gering) 되면, 주변 차량들의 움직임을 계산함으로써, 옆 차선으로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차선 변경 위험도 판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선 변경 위험도 판단은 현재 시점에서의 주변 차량들의 움직임(속도, 가속도를 고려)이 앞으로도 유사하게 진행될 것을 가정한다. 그런데, 만약 옆옆 차선에서 자차와 나란히 주행하고 있는 상대 차량과 자차가 동시에 차선 변경을 하려고 할 경우, 상대 차량이 센서의 사각지대에 위치하여 상대 차량의 횡방향 움직임을 파악하지 못하거나, 기타 이유로 인해 상대 차량의 횡방향 움직임을 늦게 파악했을 때 차량 간 충돌 위험이 있다.That is, when the lane change command is triggered, it calculates the movement of the nearby vehicles,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o the next lane. This can be defined as a lane change risk assessment.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lane change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 motion (speed, acceleration) of the nearby vehicles at the present time. However, if the other vehicle running side by side in the lane next to the vehicle and the vehicle attempt to change the lane at the same time, the other vehicle may be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the sensor and fail to recognize the lateral movement of the opposite vehicle,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when the lateral movement of the opponent vehicle is detected late.

본 발명은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시 옆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ECU, 상기 ECU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 및 이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U capable of preventing a collision with a vehicle traveling in a lane next to the lane when the lane of the unmanned autonomous vehicle is changed,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a lane change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자율 주행 로직이, 자율 주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er)되면, 자차의 옆차선에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직이, 옆옆차선의 근접거리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기초로 차선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 주행 로직이, 상기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of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autonomous running logic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Determining whether a lane changeable area exists in a side lane of the vehicle; If the lane changeable area exists, the autonomic driving logic judges a risk of a lane change based on an attack driving tendency of a close-range vehicle in a side lan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utonomic driving logic is changing lanes according to the ri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자율 주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er)된 후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 옆옆차선의 근접거리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기초로 차선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주제어 로직; 및 상기 주제어 로직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격운전성향을 산출하는 공격운전성향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unmanned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re is a lane changeable area after the autonomous lane change command is triggered, A main logic for determining the risk of the lane change based on the tendency and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lane according to the risk; And an attack driving tendency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logic.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U, 상기 ECU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 및 이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옆옆차선 차량의 횡방향 움직임 이전에 일정 주기 동안의 옆옆차선 차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 움직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반영한 공격운전성향을 이용해 주변 차량의 동시 차선 변경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차선 변경시 충돌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CU, the unmanned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the lane-changing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ateral lane vehicle is allowed to move along the lateral lane vehicle The risk of collision when changing lanes can be reduced by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 lane change of nearby vehicles by us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reflecting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 of the lan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율 주행 로직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3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S3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tonomous driving logic shown in FIG.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 S3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4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ep S36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t least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무인 자율 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이며, 상기 무인 자율 주행 기술은 운전자의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무인 자율 주행 기술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함께 사고 방지를 통한 사용자의 안전을 그 목표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10 is a vehicle to which an autonomous navigation technology is applied, and the autonomous navigation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a vehicle to travel automaticall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driver. The unmanned autonomous navigation technology aims at user convenience and safety of users through accident prevention.

차량(10)은 정보 추출부(100), 자율 주행 로직(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 may include a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00, an autonomous driving logic 200, and a driving unit 300.

정보 추출부(100)는 차량(10)의 주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며, 차량(10)의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측정센서(110), 차량(10)의 주변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120), 및 현재 차량(10)이 주행중인 도로의 교통 정보와 목적지에 대한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00 is configur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10 and includes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10 for obtaining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n object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10, A camera 120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10, and a navigation unit 130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of the road in which the present vehicle 10 is currently traveling.

자율 주행 로직(200)은 무인 자율 주행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자율 주행 로직(200)은 차량(10)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utonomous driving logic 200 may b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autonomous autonomous driving. The autonomous driving logic 200 may be implemented as part of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vehicle 1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위치/속도/가속도 계산부(210)는 정보 추출부(100)로부터의 거리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위치, 속도, 및 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에 대한 위치, 속도, 및 가속도는 다른 차량에 대한 상대 위치, 상대 속도, 및 상대 가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 위치, 상대 속도, 및 상대 가속도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성분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position / speed / acceleration calculation unit 210 may calculate a position, a speed, and an acceleration for a vehicle existing in the vicinit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00. In addition, the position, velocity, and acceleration for such a vehicle may include relative positions relative to other vehicles, relative speed, and relative acceleration. In addition, the relative position, the relative speed, and the relative acceleration may be stored as the componen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위치, 속도, 및 가속도는 거리측정센서(110) 또는 카메라(120)의 매 측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고,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는 주변 차량에 대한 정보는 해당 주변 차량과 매칭(matching)되어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velocity, and acceleration may be updated at every measurement cycle of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110 or the camera 120, and information about the nearby vehicle recognized as being identical may be matched with the surrounding vehicle Lt; / RTI >

주제어 로직(220)은 무인 자율 주행 기능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주제어 로직(220)은 위치/속도/가속도 계산부(210)와 공격운전성향 결정부(230)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구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in logic 220 may be responsible for overall control of the autonomous navigation function. The main control logic 220 may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osition / speed / acceleration calculation unit 210 and the attack driving direction determination unit 230.

공격운전성향 결정부(230)는 주제어 로직(220)의 제어에 따라 주변 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산출하여, 비교가능한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공격운전성향은 일정 시간 동안의 주변 차량의 운전성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주변 차량의 차선 변경 가능성을 예측하여 수치화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aggressive operation tendency determining unit 230 may calculate the aggressive operation tendency of the surrounding vehicles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logic 220, and may display the comparative numerical values. The attack driving tendency means the driving tendency of the surrounding vehicle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may be data obtained by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lane of the surrounding vehic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구동부(300)는 주제어 로직(220)의 제어 신호에 따른 차량(10)의 구동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변속기, 조향 장치 등의 차량 구동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driving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logic 220 and may include configurations that substantially control driving of the vehicle such as a brake, an accelerator, a transmission, .

예컨대, 주제어 로직(220)의 제어 신호가 가속하면서 좌측 차선으로 차선변경을 지시하는 신호일 경우, 구동부(300)의 엑셀레이터는 가속을, 조향 장치는 좌측 방향으로 토크를 가하는 구동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logic 220 accelerates and the signal instructs the lane change to the left lane, the accelerator of the driver 300 can perform acceleration and the steering device can perform drive control to apply torque to the lef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율 주행 로직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3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S3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autonomous driving logic shown in FIG.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tep S30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4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ep S36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차(도 2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차량(10)은 '자차'라 칭하기로 함)의 주행중 주제어 로직(220)은 차선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위한 차선 변경 로직(도 2와 도 3에 도시된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S10). 차선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또는 차선변경명령이 트리거되는 경우)는, 예컨대, 자차의 주행 차선으로 주행중인 주변 차량보다 좌측 차선으로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평균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판단될 경우 또는 경로 안내 정보에 의해 IC 진입이 요구되는 경우 등 일 수 있다.1 to 3, the main control logic 220 in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 vehicle 10 in the description of FIG. 2 to FIG. 7) determines that the lane change is necessary, The lane change logic (the algorithm shown in Figs. 2 and 3) can be executed (S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change is necessary (or the lane-changing command is triggered),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verage speed of the nearby vehicles traveling in the left lane is much faster than the nearby vehicles traveling in the lane of the lane, A case where an IC entry is requested by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주제어 로직(220)은 자차의 옆차선에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은 자차가 차선을 변경하여 진입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의미하며, 주제어 로직(220)은 위치/속도/가속도 계산부(210)의 옆차선에서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를 기초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의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logic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ane changeable area in the next lane of the vehicle (S20). The main control logic 220 controls the position,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n the lateral lane of the position / speed / acceleration calculation unit 210. The lane changeable area indicates a free space in which the car can change and enter the lan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ane changeable area on the basis of the acceleration.

주제어 로직(220)은 주변 차량의 횡방향의 상대 위치를 활용하여, 자차를 기준으로 각 주변 차량의 주행 차로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차가 도로폭이 4m인 직선 도로를 주행중임을 가정할 경우, 주변 차량의 횡방향의 상대 위치가 -4m 전후의 값을 나타낸다면, 상기 주변 차량은 자차의 바로 오른쪽 차선에서 주행 중임을 알 수 있고, 또 다른 차량의 횡방향의 상대 위치가 +8m 전후의 값을 나타낸다면, 상기 주변 차량은 자차의 왼쪽 옆옆 차선에서 주행 중임을 알 수 있다.The main control logic 220 can compute the running lane of each adjacent vehicle based on the own vehicle by utilizing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nearby vehicl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vehicle is running on a straight road having a road width of 4 m, if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indicates a value of around -4 m, the nearby vehicle is traveling in the right lane of the vehicle And i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vehicle in the lateral direction shows a value of around +8 m, it can be seen that the nearby vehicle is traveling in the lane next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또한, 자차가 주행중인 도로가 곡선 도로라 할지라도, 카메라(120)가 차선 인지 정보를 출력해주는 LDW(Lane Departure Warning) 카메라와 같은 차선 인지 카메라로 구현될 경우, 자차의 전방 곡률을 측정하거나, 후방곡률의 경우 지나온 궤적으로부터 계산하여 가상 차선을 그릴 수 있고, 여기에 주변 차량의 상대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주변 차량들의 자차 기준 상대 차로를 계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lane departure warning (LDW) camera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camera 120 is a lane or a lane or a camera, the front curvature of the vehicle may be measured, In the case of the rear curvature, the virtual lane can be calculated from the trajectory that has been passed,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eighboring vehicles can b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earby vehicle.

만일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S20의 No), 자차는 차선 변경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주제어 로직(220)은 S70의 종방향 제어방법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도록 한다.If the lane changeable area does not exist (No in S20), the main control logic 220 caus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ngitudinal control method of S70 to be performed because the vehicle can not change lanes.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S20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차선 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게 되는데(S30), 보다 상세한 단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주제어 로직(220)은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위험도가 제1단계 또는 제2단계라고 판단하는 경우 실질적인 차선 변경을 위한 로직이 진행(S40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며, 위험도가 제3단계라고 판단하는 경우 차선 변경이 아닌 종방향 제어를 위한 로직이 진행(S70 단계로 진행)되도록 한다.If the lane changeable area exists (Yes in S20),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e risk of the lane change (S30), and a more detailed step is shown in Fig.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lane according to the risk. If the risk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or second stage, the logic for the actual lane change proceeds (step S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lane-changing state, the logic for the longitudinal control, not the lane change, proceeds (proceed to step S70).

도 3에서, 주제어 로직(220)은 옆차선의 전방 차량의 TTC(Time To Collision; 충돌소요시간)가 제1 TTC 임계치(a)를 초과하는지와 옆차선의 후방 차량의 TTC가 제2 TTC 임계치(b)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2).3,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at the TTC of the vehicle in the next lane exceeds the first TTC threshold (a) and the TTC of the vehicle in the next lane exceeds the second TTC threshold (b) (S32).

상기 TTC는 주변 차량의 상대 위치, 상대 속도 및 상대 가속도를 고려하여 현재 상태가 지속될 경우 자차와 주변 차량이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The TTC refers to the time taken for the vehicle to collide with the surrounding vehicle when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earby vehicle, the relative speed, and the relative acceleration.

즉, 상기 옆차선의 전방 차량의 TTC는, 자차가 전방 차량과 동일 차로를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행한다고 가정할 때, 자차와 전방 차량이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옆차선의 후방 차량의 TTC는, 자차가 후방 차량과 동일 차로를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행한다고 가정할 때, 자차와 후방 차량이 충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That is, the TTC of the preceding vehicle in the next lane means the time it takes for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to collide, assuming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same lane as the preceding vehicle. Likewise, the TTC of the rear vehicle in the side lane means the time it takes for the vehicle to collide with the rear vehicle, assuming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same lane as the rear vehicle.

제1 TTC 임계치(a)와 제2 TTC 임계치(b) 각각은 자차가 차선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제1 TTC 임계치(a)와 제2 TTC 임계치(b)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ach of the first TTC threshold value (a) and the second TTC threshold value (b)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for the car to change lanes. The first TTC threshold value a and the second TTC threshold value b may be equal to each other,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옆차선의 전방 차량의 TTC가 제1 TTC 임계치(a)를 초과하지 못하거나, 옆차선의 후방 차량의 TTC가 제2 TTC 임계치(b)를 초과하지 못할 경우(S32의 No), 차선 변경시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 충돌 위험이 높으므로 주제어 로직(220)은 현재의 위험도를 제3단계로 정의하고 S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TTC of the vehicle ahead of the next lane does not exceed the first TTC threshold (a), or if the TTC of the vehicle following the next lane does not exceed the second TTC threshold b (No at S32) Since the risk of collision with forward or backward vehicles is high at the time of change,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fines the current risk level as the third level and proceeds to step S70.

상기 위험도는 주제어 로직(220)에 의해 정의되는 차선 변경에 대한 위험한 정도를 의미하며, 제1단계는 정상적으로 차선 변경이 가능한 정도를, 제2 단계는 차선 변경이 가능은 하나 차선 변경시 주의를 요할 정도로 타이트(tight)한 정도를, 제3 단계는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정도를 각각 나타낸다.The risk level refers to the degree of danger with respect to the lane change defined by the main control logic 220. The first level means that the lane change can be normally performed and the second lane change means that the lane change is possible. , And the third stage represents the degree to which the lane change is impossible.

한편, 옆차선의 전방 차량의 TTC가 제1 TTC 임계치(a)를 초과하고, 옆차선의 후방 차량의 TTC가 제2 TTC 임계치(b)를 초과할 경우(S32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옆옆차선에 근접거리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공격운전성향이 성향 임계치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4).On the other hand, if the TTC of the vehicle ahead of the next lane exceeds the first TTC threshold a and the TTC of the vehicle following the second lane exceeds the second TTC threshold b (Yes at S32), the main control logic 220 (S3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oximity distance vehicle exists in the side lane and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less than the slope threshold value (S34).

상기 옆옆차선은 옆차선의 바로 인접한 옆차선을 의미하며, 상기 근접거리차량은 상기 옆옆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량중 자차와 종방향의 상대 거리가 일정 범위(예컨대, 자차의 길이의 1.5배) 이내인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The near side lane means a side lan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ide lane, and the proximity distance is such that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1.5 times the length of the vehicle) It can mean a vehicle.

상기 공격운전성향은 해당 차량의 운전자의 공격적인 성향(예를 들어, 잦은 가속 및 잦은 차선 변경)의 정도를 수치화한 값이며, 상기 공격운전성향이 높을수록 차선변경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격운전성향은 해당 차량의 차선변경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a valu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the aggressive tendency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for example, frequent acceleration and frequent lane change), and the higher the attack driving tendency,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he lane change. Therefore, the attack driving tendency can be predictive information on the lane change of the vehicle.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공격운전성향의 개념 및 산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cept and calculation example of the aggressive driving tendenc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FIG.

도 4에서와 같이 자차, 옆옆차선의 차량B, 및 자차와 동일 차선의 차량C는 각각 등속으로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차량C가 지나치게 서행중이어서 자차가 좌측의 옆차선으로 차선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라 가정한다.As shown in FIG. 4,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A, the vehicle B in the side lane, and the vehicle C in the same lane as the vehicle are running at constant speed, respectively. Further,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C is in excessively slow running, so that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is required to change lanes to the left side lane.

이때,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은 존재하며, 현재 시점(t=T+3)에서 옆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량은 없으므로 옆차선의 전방 또는 후방 차량의 TTC 역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re is a lane changeable area, and since there is no vehicle running in the next lane at the current time (t = T + 3), the TTC of the vehicle ahead or behind the next lane is also not a problem.

그러나, 자차의 차선 변경시 차량A 역시 동시에 차선 변경을 시도한다면, 충돌 위험이 존재한다.However,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if vehicle A is also attempting to change lanes at the same time as changing the lane of the vehicle.

물론, 옆옆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A와 동시 차선 변경으로 인한 충돌 위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차량A의 횡방향 움직임을 파악하여야 하나 이를 사전에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즉, 옆옆차선의 차량A는 순간적으로 센서의 사각 지대에 놓이거나, 차량A의 횡방향 움직임이 없을 때 자차의 차선 변경을 진행하였다가 차량A도 동시에 차선을 빠르게 변경하여(서로를 향한 종방향 움직임으로 순간적인 상대 속도가 높음), 거의 근접한 상태에서 인지되는 경우 등으로 차량A의 횡방향 움직임에 대한 사전 파악이 어렵다.Of course, in order to determine the risk of collision due to the simultaneous lane change of the vehicle A and the driving lane in the side lan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lateral movement of the vehicle A, bu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grasp it in advance. That is, when the vehicle A in the side lane is instantaneously placed on the dead zone of the sensor, or when there is no lateral movement of the vehicle A, the lane change of the vehicle is proceeded, and the vehicle A simultaneously changes the lan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ateral movement of the vehicle A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변 차량들의 공격운전성향을 판단함으로써, 옆옆 차선 주행 차량의 횡방향 움직임을 정확히 포착하지 못하더라도, 공격운전성향이 높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having a high attack driving tendency even if the lateral movement of the vehicle in the side lane can not be captured accurately by determin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nearby vehicles.

다시 도 4에서 차량A는 t=T초(이하의 시간의 단위는 '초')에서 옆차선에서 옆옆차선으로 차선변경을 하고, 계속 가속을 하다가, 차량B로 인해 t=T+2에서 감속을 하여 t=T+3에 도달하였다고 가정한다.Referring again to FIG. 4, the vehicle A makes a lane change from the side lane to the side lane at t = T seconds (the unit of time is 'second') and continues to accelerate. And t = T + 3 is reached.

도 5에서, 속도 그래프와 상대 가속도 그래프를 참조하면, 차량B는 20km/h(이하, 속도의 단위는 “km/h”로 함)으로 등속으로 주행하고 있고, 차량 A는 T부터 T+2까지 -5km/h/sec(이하, 상대 가속도의 단위는 “km/h”로 함)의 상대 가속도로 주행하고 이후 T+3까지 +2의 상대 가속도로 주행한다. 여기서, 상대 가속도는 대상 차량의 상기 대상 차량의 전방 차량에 대한 상대 가속도를 의미하며, 상대 가속도의 부호는 전방 차량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가속도는 -의 부호를 가진다. 또한, T와 T+1 사이에서 차량 A는 차선변경을 1회 수행한다.Referring to the speed graph and the relative acceleration graph in FIG. 5, the vehicle B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f 20 km / h (hereinafter, the unit of speed is referred to as "km / h" (Hereinafter, the unit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is "km / h") to -5 km / h / sec (hereinafter, referred to as "km / h") and then travels at a relative acceleration of +2 up to T + 3. Here, the relative acceleration means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target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sign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has a sign of -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preceding vehicle. Further, between T and T + 1, the vehicle A performs the lane change o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격운전성향은 대상 차량의 상대 가속도의 절대값의 평균(종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과 차선 변경 지수(횡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공격운전성향은 일정 주기 내에서 산출될 수 있는데, 도 4와 도 5에서는 T에서 T+3의 3초의 주기에서 산출된다고 가정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the average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target vehicle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ongitudinal motion) and the lane change index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ateral motion) . The attack operation tendency can be calculated within a certain period. In FIGS. 4 and 5, it is assumed that T and T + 3 are calculated in a period of 3 seconds.

상기 차선 변경 지수는 “(차선 변경 횟수+1)/주기”로 결정되며, 여기서 차선 변경 횟수에 1을 더하는 이유는 차선 변경 횟수가 0일 경우 적절한 공격운전성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The lane change index is determined as " (lane change frequency + 1) / cycle ", and the reason why l is added to the lane change frequency is that a proper attack driving tendency can not be obtained when the lane change frequency is zero.

차량A의 경우, 전방 차량인 차량B에 대한 차량A의 상대 가속도의 절대값의 평균은 (5*2+2*1)/3 = 4로 계산되며, 차선 변경 지수는 (1+1)/3 = 0.67로 계산된다. 이에 따라, 차량A의 공격운전성향은 4 * 0.67 = 2.68로 산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vehicle A, the average of absolute values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 as the preceding vehicle is calculated as (5 * 2 + 2 * 1) / 3 = 4, 3 = 0.67. Accordingly,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vehicle A can be calculated as 4 * 0.67 = 2.68.

도 4와 도 5에서의 차량A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운전 성향을 가진 차량A에 대한 예이며, 이후의 도 6과 도 7에서는 차량A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격운전성향이 낮아지는 케이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case of the vehicle A in FIG. 4 and FIG. 5, it is an example of the vehicle A having a relatively aggressive driving tendency, and in the following FIGS. 6 and 7, the case in which the driving behavior tendency of the vehicle A decreases with time Will be described.

도 6에서 차량A는 T에서 T+3까지는 도 4의 차량A와 동일한 위치, 속도 및 상대 가속도로 주행하다가, T+3에서 T+4까지 감속을 계속하여 T+8까지 차선변경 없이 전방 차량인 차량B와 거의 비슷한 속도로 주행한다고 가정한다.In FIG. 6, vehicle A travels from T to T + 3 at the same position, speed and relative acceleration as vehicle A of FIG. 4, continues deceleration from T + 3 to T + 4,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vehicle B.

도 7에서, 속도 그래프와 상대 가속도 그래프를 참조하면, 차량B는 20으로 등속으로 주행하고 있고, 차량A는 T부터 T+3까지 도 5의 차량A와 동일하게 주행하고 T+4까지 +2의 상대 가속도로 주행하다가, T+8까지 거의 0에 가까운 상대 가속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5와 마찬가지로 T와 T+1 사이에서 차량 A는 차선변경을 1회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7, referring to the speed graph and the relative acceleration graph, the vehicle B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of 20, and the vehicle A travels from T to T + 3 in the same manner as the vehicle A of FIG. 5, , And has a relative acceleration close to zero until T + 8. Also, as in Fig. 5, the vehicle A performs lane change once between T and T + 1.

그리고, 공격운전성향은 도 5와 달리 T에서 T+8의 8초의 주기에서 산출된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calculated in a cycle of T to T + 8 of 8 seconds, unlike FIG.

도 6과 도 7의 차량A의 경우, 전방 차량인 차량B에 대한 차량A의 상대 가속도의 절대값의 평균은 (5*2+2*2+0.1*4)/8 = 1.8로 계산되며, 차선 변경 지수는 (1+1)/8 = 0.25로 계산된다. 이에 따라, 차량A의 공격운전성향은 1.8 * 0.25 = 0.45로 산출될 수 있다.6 and 7, the averag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 as the preceding vehicle is calculated as (5 * 2 + 2 * 2 + 0.1 * 4) / 8 = 1.8, The lane change index is calculated as (1 + 1) / 8 = 0.25. Accordingly,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vehicle A can be calculated as 1.8 * 0.25 = 0.45.

도 4와 도 5의 예에서, T+3에서 S34 단계가 수행될 경우, 주제어 로직(220)은 옆옆차선에 근접거리차량인 차량A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게 되고, 공격운전성향 결정부(230)는 차량A에 대한 공격운전성향을 2.68로 산출할 수 있다. 주제어 로직(220)은 산출된 공격운전성향을 성향 임계치와 비교하게 되는데, 상기 성향 임계치는 차선 변경 가능성이 특정 확률(예컨대, 40%) 이상인 차량이 갖는 공격운전성향으로서, 다수의 실험데이터를 통해 통계적으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향 임계치는 1.5일 수 있다.4 and 5, when the step S34 is performed at T + 3,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A, which is a close range vehicle, exists in the side lane, Can calculate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vehicle A to be 2.68. The main control logic 220 compares the calculated attacking driving tendency with the leaning threshold, which is an attack driving tendency of a vehicle having a lane change possibility of at least a certain probability (for example, 40%) or more. May be a statistically 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propensity threshold may be 1.5.

주제어 로직(220)은 산출된 공격운전성향인 2.68이 성향 임계치인 1.5보다 크므로(S34의 No), 현재의 위험도를 제3단계로 판단하고 S70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e current risk level to be the third risk level and proceeds to step S70 because 2.68, which is the calculated attack driving tendency, is greater than the leaning threshold of 1.5 (No in S34).

도 6과 도 7의 예에서, T+8에서 S34 단계가 수행될 경우, 주제어 로직(220)은 옆옆차선에 근접거리차량인 차량A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게 되고, 공격운전성향 결정부(230)는 차량A에 대한 공격운전성향을 0.45로 산출할 수 있다.6 and 7, when the step S34 is performed at T + 8,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A, which is a close distance vehicle, exists in the side lan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vehicle A to 0.45.

주제어 로직(220)은 산출된 공격운전성향을 성향 임계치와 비교하게 되며, 산출된 공격운전성향인 0.45가 성향 임계치인 1.5보다 작으므로(S34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현재의 위험도를 제1단계로 판단하고 S40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The main control logic 220 compares the calculated attack driving tendency with the leaning threshold, and since the calculated attacking driving tendency 0.45 is smaller than the leaning threshold of 1.5 (Yes in S34),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e current risk It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step and step S40 is performed.

도 6과 도 7에서 예로든 케이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격적인 운전 성향이 줄어드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차량(10)의 운행 중에는 공격운전성향을 산출하는 주기는 일정할 수 있다.6 and 7 illustrate cases in which aggressive driving tendency decreases over time,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the period for calculat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may be constant.

또한, 도 4 내지 도 7의 예에서는 차량 A에 대해서만 공격운전성향이 산출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근접거리차량이 여러 대일 경우, 각 차량에 대해 독립적으로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examples of FIGS. 4 to 7, the case where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calculated only for the vehicle A is described. However, when there are several proximity vehicles, each step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for each vehicle.

S34 단계에 의하면, 주변 차량의 횡방향 움직임 이전에 일정 주기 동안의 주변 차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 움직임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반영한 공격운전성향을 이용해 주변 차량의 동시 차선 변경 가능성을 예측하여, 충돌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step S34,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 lane chang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is predicted us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reflecting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s of the nearby vehicl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before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urrounding vehicles, .

주제어 로직(220)은 위험도를 제1단계로 판단한 이후, 정상적으로 차선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 여기서, 주제어 로직(220)은 차선 변경 가능 영역, 옆차선의 전방/후방 차량의 TTC, 및 공격운전성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충분한 여유를 가지로 차선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main control logic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lane change can be normally performed after determining the risk level as the first level (S40). Here, the main control logic 220 judges whether or not the lane change is possible by considering the lane changeable area, the TTC of the front / rear vehicle of the side lane, and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n a comprehensive manner.

예를 들어,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일정 길이(예컨대, 40m) 이상이고, 옆차선의 전방/후방 차량의 TTC가 제1 TTC 임계치(a)/ 제2 TTC 임계치(b)와의 차이가 일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이고, 공격운전성향과 성향 임계치의 차이가 일정 값(예컨대, 1) 이상이면, 주제어 로직(220)은 여유있게 차선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S40의 Yes), 차선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0).For example, if the lane-changeable area is longer than a certain length (for example, 40 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TC of the front / rear vehicle in the next lane and the first TTC threshold a / the second TTC threshold b is constant (For example, 3 second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and the slope threshol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1), the main control logic 220 determines that the lane change is feasible (S100). ≪ / RTI >

또한,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일정 길이(예컨대, 40m) 미만이거나, 옆차선의 전방/후방 차량의 TTC가 제1 TTC 임계치(a)/ 제2 TTC 임계치(b)와의 차이가 일정 시간(예컨대, 3초) 미만이거나, 공격운전성향과 성향 임계치의 차이가 일정 값(예컨대, 1) 미만이면, 주제어 로직(220)은 여유있는 차선변경이 어렵다고 판단할 수 있다(S40의 N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ane changeable area is less than a certain length (for example, 40 m) or the TTC of the vehicle ahead / behind the next lan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TTC threshold a / second TTC threshold b 3 seconds)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and the slope threshold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1), the main control logic 220 can determine that the spare lane change is difficult (No in S40).

주제어 로직(220)은 S40 단계의 판단 결과, 차선변경을 진행하기에 타이트(tight)하나 차선변경이 불가능하지는 않은 경우(S50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내비게이션(130)이 제공하는 경로 정보를 이용해 차선 변경이 필수적인 구간인지 판단할 수 있다(S60).If the lane change is not impossible (Yes in S50), the main language logic 220 determines that the route provided by the navigation device 130 is a route provided by the navigation device 13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lane change is an essential section using the information (S60).

주제어 로직(220)은 S40 단계의 판단 결과, 차선변경을 진행하기에 충돌위험이 있어 부적절한 경우(S50의 No), S70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the main control logic 220 proceeds to step S7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in proceeding to change the lane (No in step S50).

차선 변경이 필수적인 구간(예컨대, IC 진입 구간)인 경우(S60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차선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0).If the lane change is a necessary period (e.g., the IC entry period) (Yes in S60), the main control logic 220 may out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lane change (SlOO).

차선 변경이 필수적이지 않은 구간(예컨대, 직진 구간)인 경우(S60의 No), 주제어 로직(220)은 S70 단계가 진행되도록 한다.In the case where the lane change is not essential (for example, a straight line section) (No in S60), the main control logic 220 proceeds to step S70.

S70 단계는 차선 변경이 불가능한 상태(위험도가 제3단계)에서, 횡방향 제어(차선 변경)가 아닌 종방향 제어 방법이 결정되는 로직이 시작되는 단계이다.In the step S70, the logic for determining the longitudinal control method, not the lateral control (lane change), is started in a state where the lane change is impossible (the risk level is the third step).

주제어 로직(220)은 자차가 가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The main control logic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meets acceleration conditions (S80).

상기 가속 조건은 자차와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자차와 후방 차량과의 거리보다 크고, 전방 차량의 상대 속도가 후방 차량의 상대 속도보다 큰 조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cceleration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front vehicle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front vehicle is greater than the relative speed of the rear vehicle.

자차가 가속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S80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가속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200).If the vehicle satisfies the acceleration condition (Yes in S80), the main control logic 22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cceleration (S200).

자차가 가속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S80의 No), 주제어 로직(220)은 자차가 감속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If the vehicle does not satisfy the acceleration condition (No in S80), the main control logic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meets the deceleration condition (S90).

상기 감속 조건은 자차와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자차와 후방 차량과의 거리보다 작고, 전방 차량의 상대 속도가 후방 차량의 상대 속도보다 작은 조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eceleration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is smaller than the relative speed of the rear vehic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차가 감속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S90의 Yes), 주제어 로직(220)은 감속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00).If the subject vehicle meets the deceleration condition (Yes in S90), the main control logic 22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deceleration (S300).

자차가 감속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S90의 No), 주제어 로직(220)은 현재의 차선과 현재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400).If the vehicle does not satisfy the deceleration condition (No in S90), the main control logic 22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current lane and the current speed (S400).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storing data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Claims (13)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자율 주행 로직이, 자율 주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er)되면, 자차의 옆차선에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직이, 옆옆차선의 근접거리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기초로 차선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 주행 로직이, 상기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
Determining whether a lane changeable area exists in a next lane of the vehicle when the autonomous driving logic of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riggers the autonomous driving lane change command;
If the lane changeable area exists, the autonomic driving logic judges a risk of a lane change based on an attack driving tendency of a close-range vehicle in a side lane; And
Wherein the autonomous driving logic determines whether to change the lane according to the ri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운전성향은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종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와 횡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산출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near range vehicle and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ateral mov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전방 차량에 대한 상대 가속도의 평균이고,
상기 횡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차선변경횟수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ongitudinal motion is an average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near rang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receding vehicle,
Wherei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ateral movement is a lane-changing number of the near-distanc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상기 공격운전성향을 성향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위험도를 판단하는 (a)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향 임계치는 차선 변경 가능성이 특정 확률 이상인 차량이 갖는 공격운전성향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isk includes:
(A) compar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near range vehicle with a slope threshold to determine the risk,
Wherein the tendency threshold value is an attack driving tendency of a vehicle whose lane change possibil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probabil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상기 공격운전성향이 성향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위험도를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상기 공격운전성향이 성향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위험도를 제3 단계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a)
Determining the risk level to be a first step or a second step whe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close range vehicle is less than a propensity to slope; And
And determining the risk to be a third step whe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close rang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threshold val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옆차선의 전방 차량의 TTC(Time To Collision)가 제1 TTC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옆차선의 후방 차량의 TTC가 제2 TTC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isk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time to collision (TTC) of the vehicle ahead of the next lane exceeds a first TTC threshold;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TC of the vehicle in the next lane exceeds the second TTC threshold.
자율 주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er)된 후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 옆옆차선의 근접거리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기초로 차선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주제어 로직; 및
상기 주제어 로직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격운전성향을 산출하는 공격운전성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If there is a lane changeable area after the autonomous lane change command is triggered, the risk of lane chan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close range lane of the adjacent lane, and whether or not the lane change Decision logic logic; And
And an attack driving tendency determiner for calculat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logic.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격운전성향은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종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와 횡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기초로 산출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a monitoring result of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ar range vehicle and a monitoring result of the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전방 차량에 대한 상대 가속도의 평균이고,
상기 횡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는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차선변경횟수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ongitudinal motion is an average of the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near rang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preceding vehicle,
Wherei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lateral movement is the number of lane change of the close rang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로직은,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상기 공격운전성향을 성향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위험도를 판단하며,
상기 성향 임계치는 차선 변경 가능성이 특정 확률 이상인 차량이 갖는 공격운전성향인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Determining a risk level by comparing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close range vehicle with an inclination threshold value,
Wherein the propensity threshold value is an attack driving tendency of a vehicle whose lane-changing possibility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pecific probabilit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로직은,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상기 공격운전성향이 성향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위험도를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근접거리차량의 상기 공격운전성향이 성향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위험도를 제3 단계로 판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
If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near range vehicle is less than the inclination threshold value, the risk level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stage or the second stage,
And determines the risk level to be the third step whe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close rang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threshold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 로직은,
상기 옆차선의 전방 차량의 TTC(Time To Collision)가 제1 TTC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옆차선의 후방 차량의 TTC가 제2 TTC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ECU.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
Determining whether a time to collision (TTC) of the vehicle ahead of the next lane exceeds a first TTC threshold,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TC of the rearward vehicle in the next lane exceeds a second TTC threshold.
자율 주행 차선 변경 명령이 트리거(triger)된 후 차선 변경 가능 영역이 존재할 경우, 옆옆차선의 근접거리차량의 공격운전성향을 기초로 차선변경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라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주제어 로직, 및 상기 주제어 로직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격운전성향을 산출하는 공격운전성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및
상기 주제어 로직이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무인 자율 주행 차량.
If there is a lane changeable area after the autonomous lane change command is triggered, the risk of lane chan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attack driving tendency of the close range lane of the adjacent lane, and whether or not the lane change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including an attacking driving tendency determining unit for calculating the attacking driv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logic; And
And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logic.
KR1020150178270A 2015-12-14 2015-12-14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KR201700705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70A KR20170070580A (en) 2015-12-14 2015-12-14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70A KR20170070580A (en) 2015-12-14 2015-12-14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80A true KR20170070580A (en) 2017-06-22

Family

ID=5928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70A KR20170070580A (en) 2015-12-14 2015-12-14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58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349A (en) * 2018-10-08 2020-04-20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ing us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and Tendency Information Calculation Apparatus therefor
KR20210123622A (en)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10323550A1 (en) * 2020-04-21 2021-10-21 Mando Corporatio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EP4109816A1 (en) * 2021-06-24 2022-12-28 INTEL Corporation Context-based response to attacks against autonomous systems
US20230031030A1 (en) * 2021-07-23 2023-02-02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349A (en) * 2018-10-08 2020-04-20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ing us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and Tendency Information Calculation Apparatus therefor
KR20210123622A (en)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682304B2 (en) 2020-04-03 2023-06-20 Hl Klemove Corp.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10323550A1 (en) * 2020-04-21 2021-10-21 Mando Corporatio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EP4109816A1 (en) * 2021-06-24 2022-12-28 INTEL Corporation Context-based response to attacks against autonomous systems
US20230031030A1 (en) * 2021-07-23 2023-02-02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1466B1 (en) Risk-based driver assistance for approaching intersections of limited visibility
CN106985780B (en) Vehicle safety auxiliary system
US10479373B2 (en) Determining driver intention at traffic intersections for automotive crash avoidance
JP6318864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6404634B2 (en) Consistent behavior generation of predictive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US9159023B2 (en) System for predicting a driver's intention to change lanes
CN1112844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ravel
JP6468261B2 (en) Automated driving system
US20140142839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US111360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unning of vehicle
CN111942352B (en) Adaptive AEB system considering steering path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57583A (en)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s
KR20110132437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driving maneuver of a motor vehicle and a driver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said method
US11142193B2 (en) Vehicle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vehicle distance control
CN113853640B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170070580A (en) Ecu, autonomous vehicle including the ecu, and method of controlling lane change for the same
US11465616B2 (en) Cross traffic alert with flashing indicator recognition
US20220144269A1 (en) Method for securing a vehicle
CN109318894B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system, vehicle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vehicle
EP3600999A1 (en) Distance control for a vehicle with trailer
US20190232960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20220153266A1 (en) Vehicle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2408746B1 (en) Collision risk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20157830A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2113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 collision avoidance in an automotiv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