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881A -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881A
KR20170052881A KR1020150154952A KR20150154952A KR20170052881A KR 20170052881 A KR20170052881 A KR 20170052881A KR 1020150154952 A KR1020150154952 A KR 1020150154952A KR 20150154952 A KR20150154952 A KR 20150154952A KR 20170052881 A KR20170052881 A KR 2017005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mirror
automobile
remote controller
unfol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0255B1 (en
Inventor
사재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55B1/en
Publication of KR2017005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1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foldable along the vehicle, e.g. in case of external force appli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2Zone surveillance means, e.g. parking lots, truck de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utside mirror of a vehic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an automatic folding/unfolding outside mirro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a user and the outside mirror automatically unfolded when the user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outside mirror of a vehicle comprises: a step of detecting a remote controller in a surrounding of a vehicle;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in a folding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surrounding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in a unfolding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out of the surrounding of the vehicle.

Description

자동차 및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nd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측후방을 관측하기 위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언폴딩 제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an outside mirror for observing a rear side of an automobile.

자동차을 운전할 때, 운전자는 자동차의 전방을 잘 관측해야만 장애물이나 보행자 등을 피해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전방뿐만 아니라 후방과 측후방 역시 주의 깊게 관측해야 한다.When driving a car, the driver must observe the front of the car in order to safely operate the vehicle without obstacles or pedestrians. Also, care must be taken not only in front of the vehicle but also in the rear and rear.

자동차의 후방을 관측하는 것은 자동차의 후방에서 주행중인 타 자동차의 존재 및 주행 상태 등을 관측하기 위함이다. 자동차에는 운전석의 운전자가 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룸 미러(Room Mirror)가 장착된다.Observing the rear of the automobile is to observe the presence and running state of other automobiles in the rear of the automobile. The car is equipped with a room mirror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accompanying magnet so that the driver of the driver's seat can observe the rear.

자동차의 후방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측후방을 관측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2차로 이상의 도로에서 자동차를 운전할 때 차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변경할 차로에 주행중인 다른 자동차들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에도 후방 관측뿐만 아니라 측후방의 관측도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에는 운전석의 운전자가 자동차의 측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운전석 쪽 도어 외측과 동반자석 쪽 도어 외측에 각각 하나씩의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가 장착된다. 승용 차량의 경우 아웃사이드 미러는 1열 좌석을 위한 도어의 외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일부 차종에서는 전륜측 펜더 상부에 장착되거나 엔진 룸의 후드 위에 장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돌출되어야만 운전석의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자동차의 측후방을 최소의 사각(死角)으로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also very important to observe not only the rear of the vehicle but also the side rear of the vehicle. To change a lane when driving a car on a second lane or higher, you must make sure that there are other cars in the lane you are going to change. It is also important to observe the rear side as well as the rear side when backing the vehicle. In order to allow the driver of the driver's seat to observe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an outside mirro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on the driver's seat side and on the outside of the door side of the accompanying magnet. In the case of a passenger vehicle, the outside mirro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for the one row seat so as to protrud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some models, i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wheel side fender or on the hood of the engine room. This is because the driver of the driver's seat can observe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through the outside mirror at a minimum angle of view (blind spot).

주차된 자동차에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이와 같은 돌출된 형태는 자동차 주변의 보행자에게 자칫 방해 요소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구조물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아웃사이드 미러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자동차에서는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를 지원한다.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일정 각도로 차체 쪽으로 접혀서(fold) 아웃사이드 미러의 돌출 정도가 감소하도록 한다. 이전에는 아웃사이드 미러를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접거나 펼치는 수동 방식이었으나, 근래에는 거의 모든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들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폴딩 및 언폴딩)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전동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라고도 한다.In a parked vehicle, such a protruding form of the outside mirror may not only be an obstacle to pedestrians around the automobile, but may also cause damage to the outside mirror due to collision with other structures. To prevent this, most cars have a foldable outside mirror. The foldable outside mirror allows the outside mirror to fold toward the car body at an angle to reduce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outside mirror. Previously, the outside mirror was manually folded or unfolded by hand, but in recent years, almost all of the folding outboard mirrors have been folded or unfolded by the motor's power (folding and unfolding). This type of outside mirror is called an electric folding outside mirror.

센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의 전동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도어의 잠금/해제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폴딩/언폴딩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modern electric folding out-side mirrors are reaching the level of automatically folding / unfolding in response to door lock / unloc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운전자)가 자동차에 접근할 때 자동으로 언폴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사용자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of an outside mirror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an outside mirror automatically unfolding when a user (driver) do.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변에서 원격 제어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원격 제어기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지날 때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고 원격 제어기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벗어나면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outside mirror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 remote controller in the vicinity of an automobile;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a 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around the outside mirror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outside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상술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응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폴딩/언폴딩 제어하는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더 포함하고;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for an automobile, 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vent; Control of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is done with auto folding / unfolding enabled.

상술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서, 원격 제어기의 위치를 고려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의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보다 더 큰 우선권을 갖는다.In the above-described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folding control and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taking into account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more important th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by the automatic folding / Respectively.

상술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서, 자동차에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기준으로 자동차의 일측과 타측이 구분된다.In the above-described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for an automobil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in the automobile.

상술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서, 원격 제어기가 키 FOB이다.In the above-described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of a car, the remote controller is a key FOB.

상술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서, 원격 제어기의 이동은 원격 제어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 carrying the remote controller.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폴딩/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자동차 주변의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원격 제어기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지날 때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고 원격 제어기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벗어나면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bile comprising: an outside mirror which is switched to a folding / unfolding state;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around the automobi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periphery of the outside mirror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ing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outside the periphery of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상술한 자동차에서,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응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폴딩/언폴딩 제어하는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더 포함하고;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In the automobile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folding / unfolding the outside mirror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vent; Control of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is done with auto folding / unfolding enabled.

상술한 자동차에서, 원격 제어기의 위치를 고려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의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보다 더 큰 우선권을 갖는다.In the above-described automobile, the folding control and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have a greater priority tha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by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상술한 자동차에서, 검출부는, 자동차의 일측에서 원격 제어기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와; 자동차의 타측에서 원격 제어기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로 이루어진다.In the automobile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remote controller on one side of the automobile; And a seco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emote controll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상술한 자동차에서, 제 1 검출부의 수신 감도에 의해 자동차의 일측에 제 1 검출 영역이 형성되고; 제 2 검출부의 수신 감도에 의해 자동차의 타측에 제 2 검출 영역이 형성된다.In the automobile described above, the first detection are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tomobile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first detection part; And the second detection are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econd detection part.

상술한 자동차에서, 제 1 검출 영역과 제 2 검출 영역이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 부근에서 중첩되어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In the automobile described above,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the second detection area overlap in the vicinity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to form an overlapping area.

상술한 자동차에서, 제어부는, 원격 제어기가 중첩 영역에서 검출되면 아웃사이드 미러의 언폴딩 제어를 수행한다.In the automobile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performs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cted in the overlapping area.

상술한 자동차에서, 원격 제어기가 키 FOB이다.In the above-described automobile, the remote controller is the key FOB.

상술한 자동차에서, 원격 제어기의 이동은 원격 제어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automobile,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is made by the movement of the user carrying the remote controller.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은, 자동차 주변의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자동차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out-room mirr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ct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around the automobile; Controlling an outside mirror of the vehicle to a folded stat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automobile to the other side and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은, 자동차 주변의 제 1 검출 영역과 제 2 검출 영역에서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자동차 주변의 제 1 검출 영역에서 제 2 검출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outboard mirror control meth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purpose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in a first detection area and a second detection area around the automobile; Controlling the outboard mirror of the vehicle to a folded state whil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oves from the first detection area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around the automobi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은, 자동차 주변의 키 FOB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키 FOB의 위치가 자동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키 FOB의 위치가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outboard mirr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vehicle includes detecting a presence of a key FOB around the automobile; Controlling the outboard mirror of the vehicle to a folded state whil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FOB moves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key FOB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은,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자동차 주변의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자동차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상관없이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기초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out-side mirror control method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mentioned purpose comprises: activating 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an outside mirr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around the vehicle;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of the vehicle to a folding state regardless of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whil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automobile to the other sid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an unfolded state based o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운전자)가 자동차에 접근할 때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언폴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사용자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outside mirror automatically unfolded by an appropriate control of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of an outside mirror when a user (driver)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웰컴 라이팅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차(100)의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자동차로 접근할 때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언폴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용자(운전자)를 고려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언폴딩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에서 키 FOB와의 통신을 통한 사용자(운전자)의 이동 방향 및 위치의 검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well light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olding / unfolding state of the outboard mirror 106 of the automobile 100 shown i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terference that may be caused by automatic unfolding of an outside mirror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4 is a view illustrating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an outside mirror in consideration of a user (driver)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detection of a moving direction and a position of a user (driv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key FOB in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board mirror folding / unfold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of an outside mirror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웰컴 라이팅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는 '웰컴 라이팅 모드(Welcome Lighting Mode)'가 탑재된다. 자동차(100)의 웰컴 라이팅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인 키 FOB(Key FOB)(102)를 휴대한 채 자동차(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차(100)의 헤드 램프(104) 및/또는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퍼들 램프(106a) 등의 등화류가 자동으로 점등하여 자동차(100)의 주변을 밝힘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자동차(100)에 안전하게 접근하여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well lighting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 'Welcome Lighting Mode' is installed. If the user approaches a distanc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100 while carrying the key FOB 102 as a remote controller while the welcom lighting mode of the automobile 100 is activated, And / or the puddle lamp 106a of the outside mirror 106 are automatically turned on to illuminate the periphery of the automobile 100, so that the user can safely access the automobile 100 in a dark environment, .

또한 웰컴 라이팅 모드에는 도어(190)의 잠금/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즉,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에 접근할 때 등화류의 점등과 도어(190)의 잠금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대로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로부터 멀어질 때 등화류의 소등과 도어(190)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welcome lighting mo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locking / unlocking the door 190 may be added. That is, when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approached to the vehicle 100, the lighting of the equalization flow and the unlocking of the door 190 are automatical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equalization flow and lock the door 190 when moving away from the automobile 100.

또한 웰컴 라이팅 모드에는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자동으로 폴딩/언폴딩되기 위한 이벤트는, 예를 들면 키 FOB(102)의 접근/멀어짐이나 도어(190)의 잠금/해제, 엔진의 시동 온/오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는 웰컴 라이팅 기능을 위해 자동차(100)와 키 FOB(102)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마다 웰컴 라이팅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에 대해 '웰컴 라이트 시스템(Welcome Light System)' 또는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와 같은 다른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Also, the welcome lighting mode may include an auto folding / unfolding function.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response to an event that occurs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while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activated. Events for the outside mirror 106 to be automatically folded / unfolded include, for example, approach / escape of the key FOB 102, lock / unlock of the door 190, start / .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the key FOB 102 for the welcome lighting function. Other names such as "Welcome Light System" or "Keyless Entry" are sometimes used for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of welcome lighting for each automobile manufacturer.

키 FOB(102)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리모컨이나 스마트키 등의 원격 제어기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인 키 FOB(102)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자동차(100)의 도어(190) 및 트렁크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또한 키 FOB(102)는 엔진의 시동 온/오프에도 관여한다. 키 FOB(102)의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 수행은 자동차(100)와 키 FOB(102) 사이의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다.The key FOB 102 means a remote controller such as a remote controller for a car or a smart key having various functions. The user can lock / unlock the door 190 and the trunk of the vehicle 100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the key FOB 102 as a remote controller. The key FOB 102 is also involved in starting / stopping the engine. Such various functions of the key FOB 102 ar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omobile 100 and the key FOB 102.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자동차(100)의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아웃사이드 미러(106)는 폴딩(Folding) 상태로서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접힌' 상태이다.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은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차(100)의 주변을 지나는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아웃사이드 미러(106)는 언폴딩(Unfolding) 상태로서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펼쳐진(전개된)' 상태이다.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은 자동차(100)의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0)를 통해 자동차(100)의 측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기본 상태는 언폴딩 상태이고, 필요에 따라 폴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 제어를 위해 별도의 구동부(도 6의 622, 624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a folding / unfolding state of the outboard mirror 106 of the automobile 100 shown in FIG. Outside mirror 106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2 is in a folded state, and outboard mirror 106 is in a 'folded' state. The 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may be for preventing the outside mirror 106 from protrud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lking of the pedestrian passing around the automobile 100. Outside mirror 106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2 is in an unfolding state, and the outside mirror 106 is in an unfolded state.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for allowing a driver of the automobile 100 to observe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100 through the outside mirror 100. [ Therefore, the basic state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the unfolded state, and can be switched to the folding state as necessary. A separate driving unit (see 622 and 624 in FIG. 6) may be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키 FOB(102)가 자동차(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90)가 잠기면 사용자(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도어(190)가 잠긴 것이므로 자동차(100)가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폴딩 상태로 전환한다(도 2의 실선 상태). 키 FOB(102)가 자동차(10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90)의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운전자)가 승차를 위해 도어(190)의 잠금을 해제한 것이므로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언폴딩 상태로 전환한다(도 2의 점선 상태). 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서는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자동으로 언폴딩될 때 자동차(100)의 측면에서 이동 중인 사용자와 충돌(접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이벤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언폴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106)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방해받지 않도록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When the door 190 is locked in a state where the key FOB 102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100, the door 190 is lock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driver) have. Therefore, in this case, the outside mirror 106 is switched to the folding state (solid line state in Fig. 2). When the door 190 is unlocked when the key FOB 102 i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100, the user (driver) has unlocked the door 190 for riding, so that the outside mirror 106 Unfolding state (dotted line state in Fig. 2). However, in the automobi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side mirror 106 is automatically unfolded, collision (contact) with a user moving on the side of the automobile 100 may occur. The embodiment intends to improve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control method of the outside mirror 106 so that the user's access is not disturbed by the outside mirror 106 automatically unfolding in response to a specific event.

도 3은 사용자가 자동차로 접근할 때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언폴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아웃사이드 미러(106)에 의한 '간섭'은 사용자가 자동차(100)에 탑승하기 위해 도어(190)쪽으로 진행할 때 이미 언폴딩된 또는 언폴딩되고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사용자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terference that may be caused by automatic unfolding of an outside mirror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Here, the 'interference' by the outside mirror 106 means that when the user advances toward the door 190 to board the automobile 100, the outside mirror 106, which is already unfolded or unfolded, It means to interfer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자동차(302)(304)가 서로 나란히 주차되어 있을 때 중앙에 위치한 자동차(302)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용자(운전자)는 키 FOB를 휴대한 채 자동차(302)에 탑승하기 위해 자동차(302)의 전방에서 운전석 쪽 도어로 접근한다. 이 경우 자동차(302)의 아웃사이드 미러(3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자동차(302)의 아웃사이드 미러(306)는 사용자의 접근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언폴딩될 것이다. 만약 자동차(302)의 바로 옆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304)와의 간격(d)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겨우 지날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하다면 사용자는 자동차(302)의 아웃사이드 미러(306) 근처를 지날 때 언폴딩되는(또는 이미 언폴딩이 완료된) 아웃사이드 미러(306)의 간섭으로 인해 미처 도어(390)까지 접근하지 못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언폴딩된 아웃사이드 미러(306)와 충돌(접촉)하여 불쾌감을 느끼거나 아웃사이드 미러(306)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3, when a plurality of cars 302 and 304 are parked side by side, a user (driver) who wants to board a car 302 positioned at the center carries the key FOB to the car 302 And approaches the driver's side door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302 for boarding. In this case, if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board mirror 306 of the automobile 302 is activated, the outboard mirror 306 of the automobile 302 will automatically unfold in response to the user's approach. If the distance d to the car 304 parked next to the car 302 is narrow enough to allow the user to barely pass, as shown in Fig. 3, the user can see the outside of the car 302 near the outside mirror 306 (Or already unfolding complete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outside mirror 306 when the user unfolds the unfolded exterior mirror 306 or the user can not access the unfolded door 390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outdoors mirror 306 when the user unfolds Contact with the outside mirror 306 may cause discomfort or damage to the outside mirror 306 may occu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주차 상황에서 사용자가 자동차의 전방에서 도어 쪽으로 접근할 때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언폴딩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언폴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In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from the front of the automobile in the parking situation as shown in Fig. 3, the automatic unfolding time of the outside mirror is controlled so that the interference due to the unfolded outside mirror Do not occu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용자(운전자)를 고려한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언폴딩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자동차(100)(404)가 협소한 간격으로 서로 나란히 주차되어 있을 때 중앙에 위치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의 사용자(운전자)는 키 FOB(102)를 휴대한 채 자동차(100)에 탑승하기 위해 자동차(100)의 전방에서 운전석 쪽 도어(190)로 접근한다. 사용자는 아직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장착 위치를 지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는 자동차(100)의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100)의 전방에서 도어(190) 쪽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더라도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장착 위치를 지나 도어(190)에 접근할 때까지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언폴딩을 보류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는 동안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4 is a view illustrating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an outside mirror in consideration of a user (driver)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4 (A), when a user (driver) of the automobi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at the center when a plurality of cars 100, 404 are parked side by side at narrow intervals, Approaches the driver's side door 190 from the front of the automobile 100 to board the automobile 100 while carrying the key FOB 102. [ The user has not passe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yet. The automobi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the user from the front of the automobile 100 toward the door 190 while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of the automobile 100 is activated. While the user is passing through the outside mirror 106 by holding the automatic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until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190 beyo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So that interference due to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prevented.

이어서,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 운전석 측 도어(190)에 도달하면(즉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도달하면) 비로소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4 (B), when the user reaches the driver's seat side door 190 through the outside mirror 106 (that is, reaches a position where interference due to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does not occur The external mirror 106 is controlled to be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이처럼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도어(190)로 접근하는 동안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나란히 주차된 다른 자동차(404)와의 간격이 협소하더라도 아웃사이드 미러(106)에 의한 간섭 없이 자동차(100)의 운전석 측 도어(190)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또 사용자와 아웃사이드 미러(106)와의 충돌(접촉) 역시 발생하지 않는다.Since the interference of the outside mirror 106 does not occur while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190 of the automobile 100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cars 404 parked side by side is narrow, the outside mirror 106 The door 190 on the driver's seat side of the vehicle 100 can be easily accessed without interference by the user and the collision between the user and the outside mirror 106 does not occu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에서 키 FOB와의 통신을 통한 사용자(운전자)의 이동 방향 및 위치의 검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위치의 검출은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에 의해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와 키 FOB(102) 사이의 통신으로부터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검출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detection of a moving direction and a position of a user (driv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key FOB in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movement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user shown in Fig. 5 is intended to allow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when the user is in a position where it is not interfered by the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Fig. To this end, in the automobi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FOB 102 is carried from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and the key FOB 102 as shown in FIG. 5 And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one us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는 키 FOB(102)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로서 전방 FOB 검출부(502)(제 1 검출부) 및 후방 FOB 검출부(504)(제 2 검출부)가 각각 자동차(10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다. 자동차(10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자동차(100)의 전방과 후방(또는 그 반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100)의 일측(전방)은 자동차(10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앞쪽 차체의 일부를 포함하는 일정 크기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100)의 타측(후방)은 자동차(10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의 차체의 일부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전방 FOB 검출부(502)는 자동차(100)의 앞쪽 차체(예를 들면 전방 범퍼의 내부 또는 엔진 룸의 내부 등)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후방 FOB 검출부(504)는 자동차(100)의 뒤쪽 차체(예를 들면 후방 범퍼의 내부 또는 트렁크의 내부 등)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orward FOB detection unit 502 (first detection unit) and a rear FOB detection unit 504 (second detection unit) a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key FOB 102, 100, respectively.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100 may mean forward and backward (or vice versa) of the automobile 100, respectively. Here, one sid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100 may mean a certain size area including a part of the front side body based o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utomobile 100. The other sid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100 may refer to a predetermined size area including a part of the rear side body based o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utomobile 100.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may be installed at any one of the front body of the automobile 100 (for example, inside the front bumper or inside the engine room).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rear body of the automobile 100 (for example, inside the rear bumper or inside the trunk).

전방 FOB 검출부((502)와 후방 FOB 검출부(504) 각각은 일정한 크기의 검출 영역을 갖는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전방 FOB 검출부(502)는 참조 부호 512로 나타낸 크기의 전방 검출 영역을 갖는다. 전방 FOB 검출부(502)의 전방 검출 영역(512)은 전방 FOB 검출부(502)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의 동심원 형태일 수 있다. 후방 FOB 검출부(504)는 참조 부호 514로 나타낸 크기의 후방 검출 영역을 갖는다. 후방 FOB 검출부(504)의 후방 검출 영역(514)은 후방 FOB 검출부(504)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반경의 동심원 형태일 수 있다. 전방 FOB 검출부((502)의 전방 검출 영역(512)은 전방 FOB 검출부(502)의 수신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방 FOB 검출부(502)의 RF 수신부(도 6의 682 참조)에 마련되는 안테나가 키 FOB(102)에서 발신되는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가 전방 FOB 검출부(502)의 전방 검출 영역(512)으로 정의될 수 있다. 후방 FOB 검출부(504)의 후방 검출 영역(514) 역시 후방 FOB 검출부(504)의 수신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후방 FOB 검출부(504)의 RF 수신부(도 6의 692 참조)에 마련되는 안테나가 키 FOB(102)에서 발신되는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가 후방 FOB 검출부(504)의 후방 검출 영역(514)으로 정의될 수 있다.5,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each have a detectio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The forward FOB detecting unit 502 has a front detection area of a siz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12.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FOB detection unit 502 may be in the form of a concentric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centered on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The rear FOB detection unit 504 includes a rear detection area having a siz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14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f the rear FOB detection part 504 may be in the form of a concentric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centered on the rear FOB detection part 504.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front FOB detection part 502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F receiving unit (see 682 in FIG. 6) of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receives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FOB 102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f the rear FOB detection part 504 may also be defined as the reception range of the rear FOB detection part 504. That is, A range in which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ceiving section (see FIG. 6, 692) can receive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FOB 102 may be defined as the rear detection region 514 of the rear FOB detecting section 504.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서, 전방 검출 영역(512)과 후방 검출 영역(514)이 서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516)이 형성되도록 전방 FOB 검출부(502)와 후방 FOB 검출부(504) 각각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 FOB 검출부(502)의 전방 검출 영역(512)과 후방 FOB 검출부(504)의 후방 검출 영역(514) 각각의 크기가 일정 크기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전방 FOB 검출부(502)와 후방 FOB 검출부(504)의 설치 간격이 너무 먼 경우에는 중첩 영역(516)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전방 FOB 검출부(502)와 후방 FOB 검출부(504)의 설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중첩 영역(516)이 너무 커서 전방 검출 영역(512)과 후방 검출 영역(514), 중첩 영역(516)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전방 검출 영역(512)과 후방 검출 영역(514), 중첩 영역(516)의 구분이 명확하도록 전방 FOB 검출부(502)와 후방 FOB 검출부(504)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In the automobi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on unit 504 are arranged such that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and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verlap each other to form the overlap area 516. [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respective installation positions. That is, since the size of each of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and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f the rear FOB detection unit 504 does not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size,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on unit 504 The overlapping area 516 may not be formed. Conversely, if the install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on unit 504 is too close, the overlapping area 516 is too large to distinguish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the rear detection area 514, and the overlap area 516 This can be difficult. Ther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on unit 504 are determined so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the rear detection area 514, and the overlap area 516 is clear.

또한, 중첩 영역(516)은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장착 위치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차(100)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장착 위치의 바로 뒤쪽 일부에 중첩 영역(5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동차(100)의 1열 좌석이 설치된 부분과 운전석 및 동반자석의 도어(190) 주변을 포함하는 영역에 중첩 영역(51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첩 영역(516)이 형성될 때, 사용자가 휴대한 키 FOB(102) 가 중첩 영역(516)에서 검출되면(즉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 모두에 의해 검출되면) 이는 곧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장착 위치를 벗어나 도어(190) 옆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검출된 후 중첩 영역(516)에서 검출되는 것은 곧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전방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 도어(190) 옆에 도달한 것을 의미한다.Further, the overlapping area 516 may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an overlapping area 516 is formed in a part immediately behi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with reference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utomobile 10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overlap region 516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first row seat of the automobile 100 is installed and a region including the driver's seat and the door 190 of the accompanying magnet. When the overlapping area 516 is formed and the key FOB 102 carried by the user is detected in the overlap area 516 (that is, when both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backward FOB detecting unit 504 detect ) This means that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positioned next to the door 190 out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of the vehicle 100. [ The user who carries the key FOB 102 is detected in the overlap area 516 after being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vehicle 100 as soon as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detects the vehicle 100 And reaches the outside of the door 190 after passing through the outside mirror 106. As shown in Fig.

이처럼, 도 5에 나타낸 전방 검출 영역(512)과 후방 검출 영역(514), 중첩 영역(516)에서의 키 FOB(102)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면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로 접근하는 이동 방향 및 위치를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key FOB 102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the rear detection area 514, and the overlap area 516 shown in FIG. 5 is used, 100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즉,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진행할 때 사용자가 휴대한 키 FOB(102)가 검출되는 영역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전방 검출 영역(512) - 중첩 영역(516) - 후방 검출 영역(514)의 순서가 된다. 반대로,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후방에서 전방 쪽으로 접근할 때 사용자가 휴대한 키 FOB(102)가 검출되는 영역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후방 검출 영역(514) ?? 중첩 영역(516) - 전방 검출 영역(512) 의 순서가 된다. 이와 같은 검출 영역의 순서를 고려하면 자동차(100)에 대한 사용자의 진행 방향 및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검출된 후 연속하여 중첩 영역(516)에서 검출되면 사용자는 자동차(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접근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 중첩 영역(516)이 형성되는 도어(190) 근처에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moves for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the area where the key FOB 102 carried by the user is detected in order,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 (516) -back detection area 514. On the contrary, if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moves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the area where the key FOB 102 carried by the user is detected in order, the rear detection area 514? The overlap area 516 and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in this order. Considering the order of the detection area, the user can accurately know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100. Particularly, when the user is detected in the overlapping area 516 continuously after being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the user approaches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automobile 100 to the overlap area 516 through the outside mirror 106, It can be seen that the door 190 is in the vicinity of the door 190 where the door 190 is formed.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제어 장치는, 시동 검출부(602)와 변속기 위치 검출부(604), 탑승자 검출부(610), 시동 버튼(Start/Stop Button: SSB)(612), 키 FOB 홀더(614), 운전석 도어 모듈(620), 전력 분배 모듈(660), 전방 FOB 검출부(502), 후방 FOB 검출부(504) 및 전원 릴레이부(698)를 포함한다.6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board mirror folding / unfold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outboard mirror folding / unfold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detecting portion 602, a transmission position detecting portion 604, an occupant detecting portion 610, a start button Start A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 rear FOB detecting unit 504, and a power relay unit 698. The main FOB holder 612, the key FOB holder 614, the driver's seat door module 620,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

시동 검출부(602)는 자동차(100)의 엔진의 시동 및 시동 오프를 검출하고, 시동 및 시동 오프에 따른 신호를 전력 분배 모듈(660)로 출력한다.The startup detecting portion 602 detects startup and startup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100,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startup and start-off to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변속기 위치 검출부(604)는 변속기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 정보를 전력 분배 모듈(660)로 제공한다. 변속기 위치 검출부(604)는 변속기 레버가 주차(Parking: P) 위치와 후진(Rear Guard: R) 위치, 중립(Neutral: N) 위치, 주행(Driving: D) 위치 가운데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The transmission position detection unit 604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lever and provide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The transmission position detection unit 604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lever is located at a position between a parking (P) position, a rear guard (R) position, a neutral position (N), and a driving position .

도어 상태 검출부(606)는 도어(190)의 상태, 즉 도어(190)열림/닫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전력 분배 모듈(660)로 통보한다.The door state detecting unit 606 detects the state of the door 190,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190, and notifie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of the detection result.

풋 브레이크 상태 검출부(610)는 풋 브레이크의 잠금/풀림 상태를 검출하여 전력 분배 모듈(660)로 알려준다.The foot brake state detector 610 detects the lock / unlock state of the foot brake and inform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of the lock / unlock state of the foot brake.

탑승자 검출부(610)는 자동차(100)의 좌석 시트에 중량 센서를 설치하고, 중량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승차 여부를 검출하여 전력 분배 모듈(660)로 알려준다. 단, 운전자의 승차 여부는 운전자가 휴대한 키 FOB(102)의 검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에서는 키 FOB(102)가 자동차(100)의 실내와 실외 가운데 어느 곳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운전자의 승차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The occupant detection unit 610 provides a weight sensor on the seat of the vehicle 100, detect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riding through the weight sensor, and inform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of the detection. However, whether the driver is riding can be confirmed by detecting the key FOB 102 carried by the driver. In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key FOB 102 is located in the vehicle or outside the vehicle 100, thereby indirectly check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boarded the vehicle.

시동 버튼(612)은 기존의 키 박스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 시동 방식의 자동차(100)에 채용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시동 버튼(612)을 누를 때마다 엔진의 시동 및 시동 오프가 토글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시동 버튼(612)을 누를 때마다 이그니션1(IGN1), 이그니션2(IGN2), ACC의 순서로 자동차(100)의 전력 상태 전환이 이루어진다.The start button 612 is used for replacing an existing key box. The start button 612 is employed in the button-start type vehicle 100, so that every time the start button 612 is pressed with the brake pedal depressed, do. Each time the start button 612 is pressed while the brake pedal is not depressed, the power state of the automobile 100 is switched in the order of ignition 1 (IGN1), ignition 2 (IGN2), and ACC.

키 FOB 홀더(614)는 키 FOB(10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키 FOB(102)의 삽입/인출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전력 분배 모듈(660)로 전달한다.The key FOB holder 61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key FOB 102 can be inserted and fixed, detects whether the key FOB 102 is inserted / withdrawn,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운전석 도어 모듈(Driver Door Module: DDM)(620)은 도어 제어 모듈(Door Control Module: DCM)로도 불리며, 도어(190)의 액츄에이터 구동과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동, 파워 윈도우의 구동 등에 관여한다. 또한, 운전석 도어 모듈(620)은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버튼(626)으로부터 발생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미러 구동부(622) 및 제 2 미러 구동부(624)를 제어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폴딩/언폴딩 한다.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은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버튼(626)에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폴딩과 언폴딩 상태가 토글된다. 또한, 운전석 도어 모듈(620)은 전력 분배 모듈(660)로 아웃사이드 미러(190)의 폴딩/언폴딩 상태를 통보하고, 전력 분배 모듈(660)로부터 발생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명령에 따라 제 1 미러 구동부(622) 및 제 2 미러 구동부(624)를 제어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90)를 폴딩/언폴딩 한다. 아웃사이드 미러(190)의 폴딩/언폴딩은 아우사이드 미러 구동 버튼(626)의 조작 외에도 웰컴 라이팅 모드에 포함된 아웃사이드 미러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즉, 웰컴 라이팅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고 탑승자가 모두 하차한 상태에서 도어(190)의 잠금/해제에 응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90)의 폴딩/언폴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엔진이 시동 오프된 상태로 주차된 자동차(100)의 경우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에 응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river's door module (DDM) 620 is also referred to as a door control module (DCM), and is involved in driving an actuator of the door 190, driving an outside mirror, driving a power window, and the like. The driver's door module 620 controls the first mirror driver 622 and the second mirror driver 624 in response to an out-side mirror driv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outside mirror driver button 626, 106). ≪ / RTI >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toggles the folding and unfolding states whenever an outside mirror driving signal is generated at the outside mirror driving button 626. [ The driver's door module 620 also inform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of the folding / unfolding status of the outside mirror 190 and inform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of the outboard mirror folding / unfolding command And controls the first mirror driving unit 622 and the second mirror driving unit 624 to fold / unfold the outside mirror 190.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90 is performed through an outside mirror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included in the welcome lighting mode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outside mirror driving button 626. [ That is, the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90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lock / unlock of the door 190 when the welcoming lighting mode is activated and the passengers are all unloaded. Further, in the case of the vehicle 100 parked with the engine turned off, the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in response to the user who carries the key FOB 102 moving away from or approaching the vehicle 100 It may be done automatically.

전력 분배 모듈(Power Division Module: PDM)(660)은 버튼 시동 방식의 자동차(100)에서 전원 릴레이부(698)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전력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시동 버튼(612)의 조명(예를 들면 LED)의 점등을 통해서 자동차(100)의 현재의 전력 상태를 구분해 준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PDM) 660 functions to distribute electric power by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relay unit 698 in the button-driven automobile 100.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PDM) (For example, an LED) to illuminate the current power state of the vehicle 100.

또한, 전력 분배 모듈(660)은 전방 FOB 검출부(502)와 후방 FOB 검출부(504), 시동 검출부(602), 변속기 위치 검출부(604), 도어 상태 검출부(606), 풋 브레이크 상태 검출부(608), 탑승자 검출부(610) 및 운전석 도어 모듈(620)로부터 자동차(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명령을 운전석 도어 모듈(620)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분배 모듈(660)은 키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를 통해 검출한 키 FOB(102)의 상태(예를 들면 위치)와 함께 엔진의 시동 여부, 변속기 위치, 풋 브레이크 상태, 운전자 탑승 여부 및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현재 상태 등의 조건을 함께 고려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폴딩/언폴딩 명령을 발생시켜서 운전석 도어 모듈(620)로 출력한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includes a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and a rear FOB detection unit 504, a startup detection unit 602, a transmission position detection unit 604, a door state detection unit 606, a foot brake state detection unit 608, The occupant detection unit 610 and the driver's seat door module 620 and outputs an outward mirror folding / unfolding command to the driver's door module 620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ngine is started, whether the engine is started or not, along with the state (e.g., position) of the key FOB 102 detected through the key forward FOB detector 502 and the rear FOB detector 504, Folding command of the outside mirror 106 to the driver's door module 620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such as the driver's position, the driver's boarding state,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outside mirror 106. [

전방 FOB 검출부(502)는 키 FOB(102)를 검출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수신부(682) 및 저주파수(Low Frequency: LF) 송신부(684)를 구비하고, 저주파수 송신부(684) 및 무선주파수 수신부(682)를 통해 키 FOB(102)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키 FOB(102)와 전방 FOB 검출부(502)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은 키 FOB(102)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도어(190)의 잠금/해제 등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키 FOB(102) 및 전방 FOB 검출부(502)에서 사용되는 저주파수는 125KHz이고 무선주파수는 447MHz이다.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includes a radio frequency (RF) receiving unit 682 and a low frequency (LF) transmitting unit 684 for detecting the key FOB 102.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includes a low frequency transmitting unit 684, And perfor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102 through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682.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key FOB 102 and the forward FOB detection unit 502 may include for authentica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key FOB 102 o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such as lock / unlock of the door 190 have. The low frequency used in the key FOB 102 and the front FOB detection unit 502 is 125 KHz and the radio frequency is 447 MHz.

후방 FOB 검출부(504)는 키 FOB(102)를 검출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수신부(692) 및 저주파수(Low Frequency: LF) 송신부(694)를 구비하고, 저주파수 송신부(694) 및 무선주파수 수신부(692)를 통해 키 FOB(102)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키 FOB(102)와 후방 FOB 검출부(504)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은 키 FOB(102)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도어(190)의 잠금/해제 등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키 FOB(1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에서 사용되는 저주파수는 125KHz이고 무선주파수는 447MHz이다.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includes a radio frequency (RF) receiving unit 692 and a low frequency (LF) transmitting unit 694 for detecting the key FOB 102.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includes a low frequency transmitting unit 694, And perfor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key FOB 102 through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692.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key FOB 102 and the rear FOB detection section 504 may include for confirm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key FOB 102 o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such as lock / unlock of the door 190 have. The low frequency used in the key FOB 102 and the backward FOB detection unit 504 is 125 KHz and the radio frequency is 447 MHz.

운전석 도어 모듈(620)과 전방 FOB 검출부(502), 후방 FOB 검출부(504), 전력 분배 모듈(660)은 자동차(100)의 내부 제어 네트워크인 캔(Control Area Network: CAN) 통신으로 연결되어 CA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front door FOB detecting unit 502,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and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AN (Control Area Network) communication, which is an internal control network of the vehicle 100,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전원 릴레이부(698)는 자동차(100)의 배터리 및 교류 발전기(Alternator)와 연결되어 전력 분배 모듈(660)의 제어를 받아 시동 버튼(612)의 조작 횟수에 따른 자동차(100)의 전력 상태(스타트, ACC, IGN1, 또는 IGN2)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ower relay unit 698 is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vehicle 100 and the alternator and is controlled by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660 to control the power state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start button 612 Start, ACC, IGN1, or IGN2).

키 FOB(102)는 내부에 고유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키 FOB(102)는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LF 수신부(도시하지 않음)와 RF 송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로부터 LF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인증 정보를 RF 신호에 실어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로 송신한다.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 각각은 키 FOB(102)와의 통신을 통해 키 FOB(102)의 위치를 확인하여 앞서 도 5의 설명에서 언급한 자동차(100) 주변의 전방 검출 영역(512)과 후방 검출 영역(514), 중첩 영역(516)의 어느 영역에 키 FOB(102)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key FOB 102 stores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rein. The key FOB 102 includes an LF receiving unit (not shown) and an RF transmitting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respectively. Each of 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key FOB 102 by communicating with the key FOB 102, It is possible to confirm in which area of the area 512, the rear detection area 514, and the overlap area 516 the key FOB 102 is locat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 방법은 앞서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좁은 간격으로 나란히 주차된 자동차(100)에 탑승하고자 할 때 아웃 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언폴딩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언폴딩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사용자가 도달하였을 때 비로소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자동으로 언폴딩 한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of an outside mirror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control method of the outside mirror shown in FIG. 7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when interference is caused by the automatic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when attempting to board the car 100 parked side by side at narrow intervals The outside mirror 106 is automatically unfolded when the user reaches a position where no interference due to automatic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occurs.

자동차(100)의 웰컴 라이팅 모드를 활성화시킨다(702). 자동차(100)의 웰컴 라이팅 모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차(100)의 멀티펑션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을 통해 웰컴 라이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터치 조작을 통해서도 웰컴 라이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The welcome lighting mode of the automobile 100 is activated (702). The welcome lighting mode of the vehicle 100 can be activated in response to a user's setting. The user can set the welcome lighting mode through operation of a multifunction switch (not shown) of the vehicle 100. [ Or a touch opera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display (not shown) of a multimedia device of a vehicle 100 by a user.

사용자의 웰컴 라이팅 모드의 설정에 의해 자동차(100)의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도 활성화된다(704).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웰컴 라이팅 모드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만을 단독으로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The auto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of the automobile 100 is also activated by setting the user's welcome lighting mode (704). If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not included in the welcoming lighting mode,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can be activated alone.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엔진 시동을 오프하고 자동차(100)에서 하차한 후 도어(190)를 잠그면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자동으로 폴딩된다(706). 도어 잠금 이외의 다른 이벤트에 응답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자동으로 폴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버튼(626)을 직접 조작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폴딩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activated, the outside mirror 106 is automatically folded when the user turns off the engine and locks the door 190 after getting off the automobile 100 706). The outside mirror 106 may be automatically folded in response to an event other than the door lock. For example, the user may directly manipulate the outboard mirror drive button 626 to cause the outboard mirror 106 to be folded.

자동차(100)의 웰컴 라이팅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방 FOB 검출부(502) 및 후방 FOB 검출부(504)는 자동차(100)의 주변에 등록된 키 FOB(102)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708). 여기서 키 FOB(102)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은 곧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주변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것과 같다.The front FOB detecting unit 502 and the rear FOB detecting unit 504 detect whether there is a key FOB 102 registered in the vicinity of the automobil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welcome lighting mode of the automobile 100 is activated. Here,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key FOB 102 is equivalent to detecting whether or not a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present around the automobile 100.

만약 자동차(100)의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키 FOB(102)가 검출되면(710의 '예') 운전석 도어 모듈(620)은 키 FOB(102)가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기초한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잠시 보류한다(712). 즉,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검출되더라도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언폴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잠시 보류하는데, 이는 자동차(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6) 옆을 지나 자동차(10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할 경우를 고려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잠시 보류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이 사용자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f the key FOB 102 is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automobile 100 (Yes in 710), the driver's seat door module 620 detects that the key FOB 102 is detected in the outward mirror 106 (712) without performing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106 based o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external mirror (not shown). That is, even if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vehicle 100, it is temporarily held without performing the automatic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106, The outboard mirror 106 is temporarily held without performing the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106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outside mirror 106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100 by the side of the outside mirror 106, In order to prevent the unfolding of the user from interfering with the progress of the user.

자동차(100)의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검출된 키 FOB(102)가 아웃사이드 미러(106) 주변을 지나 중첩 영역(516)에 도달하면(714의 '예') 운전석 도어 모듈(620)은 비로소 제 1 미러 구동부(622) 및 제 2 미러 구동부(624)를 제어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언폴딩되도록 제어한다(716).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검출된 키 FOB(102)가 중첩 영역(516)에 도달한 것은 곧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언폴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 도어(190) 주변의 중첩 영역(516)에 도달한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언폴딩 제어하더라도 언폴딩된(또는 언폴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사용자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결국 사용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좁은 간격으로 주차된 자동차(100)에 탑승하고자 할 때 언폴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 도어(190) 앞까지 쉽고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190) 앞에 도달하면 폴딩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자동으로 언폴딩 제어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 역시 충실히 수행됨을 알 수 있다.If the key FOB 102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vehicle 100 passes around the outside mirror 106 and reaches the overlap area 516 (YES in 714), the driver's seat door module 620 The first mirror driving unit 622 and the second mirror driving unit 624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outside mirror 106 to unfold (716). The fact that the key FOB 102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reaches the overlap area 516 means that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unfold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vehicle 100 (Or unfolded) even if the outside mirror 106 is controlled to be unfolded, because it means that it has reached the overlapping area 516 around the door 190 passing through the outside mirror 106 having the outside mirror 106. [ The side mirror 10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the user.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and safely reach the door 190 through the unfolded outside mirror 106 when the user intends to board the car 100 parked at a narrow interval as shown in FIG. Also, when the user reaches the front of the door 190, it can be seen that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106 is faithfully performed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unfolding of the folded outside mirror 106.

앞서 설명한 710 단계에서, 만약 키 FOB(102)가 자동차(100)의 후방 검출 영역(514)에서 먼저 검출되면(710의 '아니오') 운전석 도어 모듈(620)은 제 1 미러 구동부(622) 및 제 2 미러 구동부(624)를 제어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즉시 언폴딩되도록 제어한다(716).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후방 검출 영역(514)에서 검출되었으므로 사용자가 자동차(100)에 승차하기 위해 운전석 쪽 도어(190)로 접근하더라도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지나치지 않기 때문에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언폴딩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키 FOB(102)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후방 검출 영역(514)에서 검출되는 경우에는 즉시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언폴딩한다. 이 때 웰컴 라이팅 모드에 따른 퍼들 램프(106a)의 점등이 수반될 수도 있다.If the key FOB 102 is first detected in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f the automobile 100 (NO in 710), the driver's seat door module 620 is moved to the first mirror driver 622 and / And controls the second mirror driver 624 to control the outside mirror 106 to immediately unfold (716). Since the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detected in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f the vehicle 100, even if the user approaches the driver's side door 190 for boarding the automobile 100, the outboard mirror 106 It is not interfered by the 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106 because it is not excessive. Therefore, when a user carrying the key FOB 102 is detected in the rear detection area 514 of the automobile 100, the outboard mirror 106 is unfolded immediately. At this time, lighting of the puddle lamp 106a according to the welcome lighting mode may be accompanied.

또한 714 단계에서, 만약 자동차(100)의 전방 검출 영역(512)에서 검출된 키 FOB(102)가 아웃사이드 미러(106) 주변을 지나지 않은 경우(714의 '아니오') 운전석 도어 모듈(620)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5초)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다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 1 미러 구동부(622) 및 제 2 미러 구동부(624)를 제어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가 언폴딩되도록 제어한다(718). 사용자가 자동차(100)의 전방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운전석 쪽 도어(190) 옆에 도착하기까지 대략 3-5초 정도면 충분하므로, 만약 이 시간 동안 사용자가 휴대한 키 FOB(102)가 아웃사이드 미러(106) 주변을 통과하여 운전석 쪽 도어(190) 앞까지 도착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주변을 통과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기초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06)를 자동으로 언폴딩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714 that the key FOB 102 detected in the front detection area 512 of the vehicle 100 does not pass around the outside mirror 106 (NO in 714) (E.g., 3-5 seconds) elapses, and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the first mirror driving unit 622 and the second mirror driving unit 624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outward mirror 106, (718). It takes about 3-5 seconds until the user starts to mov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to arrive beside the driver's door 190. If the key FOB 102 carried by the user during this time is outside If the user does not intend to pass the outside of the outside mirror 106, the outside mirror 106 is automatically folded / unfolded And automatically unfolds the outside mirror 106 based on the function.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and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echnical though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which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

100 : 자동차
102 : 키 FOB
106 : 아웃사이드 미러
190 : 도어
502 : 전방 키 FOB 검출부
504 : 후방 키 FOB 검출부
512 : 전방 검출 영역
514 : 후방 검출 영역
516 : 중첩 영역
100: Cars
102: Key FOB
106: Outside mirror
190: Door
502: Front key FOB detector
504: rear key FOB detection unit
512: forward detection area
514: rear detection area
516: overlap area

Claims (19)

자동차의 주변에서 원격 제어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지날 때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벗어나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Detecting a remote controller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side mirror to be in a 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periphery of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and controls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out of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Said method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폴딩/언폴딩 제어하는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상기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folding / unfolding the outside mirror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vent;
Wherein the folding control and the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are performed while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is activ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를 고려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상기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의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보다 더 큰 우선권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lding control and the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taking into account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controlled by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having a greater priority tha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by the automatic folding /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자동차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이 구분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side of the automobile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with reference to a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in the automobi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가 키 FOB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s a key FO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이동은 상기 원격 제어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is performed by movement of a user carrying the remote controller.
폴딩/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자동차 주변의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지날 때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주변을 벗어나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An outside mirror which is switched to a folding / unfolding state;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around the automobil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side mirror to be in a 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periphery of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and controls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out of the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폴딩/언폴딩 제어하는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상기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자동차.
8. The apparatus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folding / unfolding the outside mirror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vent;
Wherein the folding control and the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are performed with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activa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를 고려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폴딩 제어 및 언폴딩 제어가 상기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의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제어보다 더 큰 우선권을 갖는 자동차.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olding control and the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taking into account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have a greater priority tha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by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서 상기 원격 제어기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와;
상기 자동차의 타측에서 상기 원격 제어기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 fir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remote controller from one side of the automobile;
And a second detecting unit that detects the remote controll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부의 수신 감도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 제 1 검출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검출부의 수신 감도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타측에 제 2 검출 영역이 형성되는 자동차.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detection are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tomobile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first detection part;
And the second detection are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utomobile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econd detection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영역과 상기 제 2 검출 영역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 부근에서 중첩되어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자동차.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the second detection area overlap in the vicinity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to form an overlapping are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상기 중첩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언폴딩 제어를 수행하는 자동차.
1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And an unfolding control of the outside mirror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cted in the overlapping are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가 키 FOB인 자동차.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s a key FOB.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이동은 상기 원격 제어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자동차.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movement of said remote controller is effected by movement of a user carrying said remote controller.
자동차 주변의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around the vehicle;
Controlling an outside mirror of the automobile to a folded stat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automobile to the other side and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자동차 주변의 제 1 검출 영역과 제 2 검출 영역에서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 주변의 상기 제 1 검출 영역에서 상기 제 2 검출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in a first detection area and a second detection area around the vehicle;
Controlling the outboard mirror of the automobile to a folded state whil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moves from the first detection area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around the automobi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자동차 주변의 키 FOB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키 FOB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키 FOB의 위치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Detecting the presence of a key FOB around the vehicle;
Controlling the outboard mirror of the automobile to be in a folded state whil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FOB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automobil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be in the unfolded state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key FOB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아웃사이드 미러의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자동차 주변의 원격 제어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상기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상관없이 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의 장착 위치를 지나면 상기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를 언폴딩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
Activating an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of the outside mirr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mote controller around the vehicle;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of the vehicle to a folded state regardless of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while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automobile to the other side;
And controlling the outside mirror to an unfolded state based on the automatic folding / unfolding function whe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pass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outside mirror.
KR1020150154952A 2015-11-05 2015-11-05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KR102320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52A KR102320255B1 (en) 2015-11-05 2015-11-05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52A KR102320255B1 (en) 2015-11-05 2015-11-05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81A true KR20170052881A (en) 2017-05-15
KR102320255B1 KR102320255B1 (en) 2021-11-02

Family

ID=5873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952A KR102320255B1 (en) 2015-11-05 2015-11-05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25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849A (en) * 2017-11-21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132972A (en) * 2019-11-22 2019-11-29 주식회사 경신 Apparatus for controlling rearview mirror for rear passengers
US11661007B2 (en) 2019-05-31 2023-05-30 SMR Automotive Systems India Limited Wireless mirror contro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058A (en) * 2000-01-20 2001-07-27 Toyota Motor Corp Automatic mobile object controller, mobile unit position informing unit and mobile unit position detector
JP2007145141A (en) * 2005-11-25 2007-06-14 Fujitsu Ten Ltd Vehicular smart entry system, and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JP2010133099A (en) * 2008-12-03 2010-06-17 Panasonic Corp Ra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20120020746A (en) *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contolling outside mirror unfo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058A (en) * 2000-01-20 2001-07-27 Toyota Motor Corp Automatic mobile object controller, mobile unit position informing unit and mobile unit position detector
JP2007145141A (en) * 2005-11-25 2007-06-14 Fujitsu Ten Ltd Vehicular smart entry system, and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JP2010133099A (en) * 2008-12-03 2010-06-17 Panasonic Corp Radi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20120020746A (en) *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contolling outside mirror unfold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849A (en) * 2017-11-21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661007B2 (en) 2019-05-31 2023-05-30 SMR Automotive Systems India Limited Wireless mirror control device
KR20190132972A (en) * 2019-11-22 2019-11-29 주식회사 경신 Apparatus for controlling rearview mirror for rear passe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255B1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5431B2 (en)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1590962B2 (en)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JP2018035664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9008861B2 (en) 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with a disabling feature
JP2008158578A (en) Getting-off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JP2005133529A (en) Actuating device for vehicular opening/closing body
US20210380098A1 (en)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JP2006274758A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US20190202348A1 (en)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WO2018181327A1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vehicle
JP2009179998A (en) O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JP2010033409A (en)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omputer program,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ccident prevention, an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110834601A (en) Remote controll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KR20170052881A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side mirror of vehicle
CN110626276B (en) Vehicle-mounted electric pedal intelligent control circuit and method
JP5594321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412196B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detection unit
JP6580770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159735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outdoor lights
JP3901779B2 (en) Radio unit for vehicles
JP2015113613A (en) Locking-unlock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JP2017082407A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JP2021146855A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vehicle control
JP2016142077A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803611B2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and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