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241A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241A
KR20170049241A KR1020150150391A KR20150150391A KR20170049241A KR 20170049241 A KR20170049241 A KR 20170049241A KR 1020150150391 A KR1020150150391 A KR 1020150150391A KR 20150150391 A KR20150150391 A KR 20150150391A KR 20170049241 A KR20170049241 A KR 2017004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rrection
saturation
pixe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5628B1 (en
Inventor
손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628B1/en
Publication of KR2017004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mitigating visibility of a logo area as a residual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 logo area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over a threshold period in the display area based on an image signal,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an edge area based on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generates the correction signal that reduces only the brightness of the edge area of the logo area, which is relatively low in visibility, than the image sig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visibility of the logo area as a residual image and imaging process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ewed.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원은 영상(image)을 표시하는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As the era of informationization becomes full-scale, the display field for visually displaying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is rapidly developing. In addition, studies are being continued to develop performance such as thinning, lighten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for various display devices.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Typical 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이러한 표시장치는 한 쌍의 기판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복수의 화소가 각각의 색상 또는 휘도를 갖는 광을 방출하도록 복수의 화소를 구동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Such a display device includes a pair of substrates and a unique light emitting material or polarizing material disposed therebetwee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defined in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displays images by driving a plurality of pixels such that a plurality of pixels emit light having respective hues or brightness.

한편, 일부 영상신호는 표시영역 중 일부 영역에 일정 시간 이상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로고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video signals may include logos that are fixedly arranged in some areas of the display are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제작사 및 제목 등을 나타내기 위한 표지로서, 로고(Logo)가 영상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에 삽입된 로고(Logo)는 표시영역 중 일부 영역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1, a logo may be inserted into the image as a mark for indicating the manufacturer of the image, title, and the like. The logo inserted in the video is fixedly arranged in a part of the display area.

그런데, 표시영역 중 로고가 배치되는 영역(이하, "로고영역"이라 함)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은 화면 전환에 따라 변동되는 색상 또는 휘도를 표시하는 반면, 로고영역의 화소들은 화면 전환에 관계 없이 동일 색상 및 휘도를 표시하여야 한다.However, the pixels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logo is disp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 logo area ") in the display area display the hue or brightness that varies according to screen switching, The same color and brightness should be displayed.

한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경우,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므로,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보다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 시야각이 넓은 장점, 및 1000배 이상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내어 잔상이 적은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ince an image is displayed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a self-luminous element, a separate light source is unnecessary,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thinness and weight reduction, And 1000 times faster reaction rat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그러나, 유기발광소자의 유기층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쉽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기층에 높은 구동전류가 오랜 기간동안 공급될수록, 유기층의 열화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organic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easily deteriorated due to various reasons. Particularly, as the high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organic lay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ayer becomes worse.

그런데, 로고영역의 화소들은 오랜 기간동안 동일한 휘도와 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동됨으로써, 로고영역의 각 화소에 포함된 유기발광소자는 로고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However, since the pixels of the logo region are driven to display the same brightness and colo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included in each pixel of the logo region are subjected to a greater stress than the remaining regions except for the logo region.

이에 따라, 로고영역의 유기발광소자가 로고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다른 유기발광소자보다 더 많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후 다른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이전에 표시된 영상의 로고영역이 잔상으로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수명이 단축 또는 종료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logo region is more deteriorated than the othe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of the remaining regions except for the logo regio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go region of the previously displayed image may be viewed as a residual image even if another image is displayed thereafter, thereby shortening or terminating the lif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원은 로고영역이 잔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alleviate visibility of a logo area as a residual imag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패널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며,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로고영역 처리부, 및 보정신호에 기초하여 패널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defined in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A log area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a corresponding edge area,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And a control section for driving the panel section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여기서, 로고영역 처리부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에 대응한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로고영역 검출부, 로고영역 중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에지영역 검출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채도값 보정부,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계조값 보정부, 및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보정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Here,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logo are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over a threshold period based on the image signal, an edge are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edge area of the logo area, A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for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and a tone correction valu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edge area A gradation value correcting unit, and a correction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보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고, 채도값 보정부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값과 보정계수의 곱을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상기 채도보정값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계조값 보정부는 채도보정값 및 최소값에 기초하여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며, 보정신호 생성부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 중 계조보정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한다.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section calculates the product of the saturation value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a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The tone value correcting section calculates the tone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and the minimum value.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ng section generates at least on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edge area, which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of the red, gree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is replaced with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and a correction signal is generated.

로고영역 처리부는 에지영역 중 너비가 임계 너비 이하인 일부 영역을 피크영역으로 검출하는 피크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도값 보정부는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제 1 보정계수보다 작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The logo region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eak reg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s a peak region, a partial region of the edge region whose width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reshold width. In this case,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section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output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to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is calculated.

더불어, 본원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에 대응한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로고영역 중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기 설정된 소정의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보정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더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logo ima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longer in a display area, detecting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the mark,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with respect to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that is set in advance;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a video signal based on the grayscal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and driving the plurality of pixels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Lt; / RTI >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소정의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며,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로고영역 처리부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a predetermined mark in a display area based on a video signal and detects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logo area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and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구체적으로, 로고영역 처리부는 전체 로고영역에 대해 영상신호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로고영역 중 비교적 시인성이 낮고 로고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에 대해 영상신호를 보정한다.Specifically,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does not correct the video signal with respect to the entire logo area, but corrects the image signal with respect to the edge area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logo, which is relatively low visibility in the logo area.

만일, 전체 로고영역의 휘도를 영상신호보다 감소시키는 영상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로고영역이 어둡게 표시됨으로써, 영상처리가 시인되므로, 오히려 화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If the image processing for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logo area is performed on the image signal, the logo area is displayed dark, so that the image processing is visually recognized. Therefore, the image quality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로고영역 처리부는 로고영역 처리부는 전체 로고영역의 휘도를 영상신호보다 감소시키는 보정신호가 아니라, 로고영역 중 시인성이 비교적 낮은 에지영역의 휘도만을 영상신호보다 감소시키는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로고영역이 잔상으로 시인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를 위한 영상처리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is not a correction signal for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logo area from the image signal, but only the brightness of the edge area of the logo area, A corr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visibility of the logo area as a residual image, but image processing for thi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ewed.

그리고, 로고영역 처리부는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 이때, 보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므로, 채도보정값은 채도값보다 낮은 값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로고영역 처리부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 중 계조보정값보다 큰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으로 치환시킨다. 즉, 로고영역 처리부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정신호를 생성한다.Then,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t this time, since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to be lower than the saturation value. Then, the logo area processing section calculates th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and calculates the tone value of each of the red, green, At least one of which is larger than the correction value is replaced with the tone correction value. That is, the logo region processing section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for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만일,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을 동일한 비율로 감소시키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의 차이가 그대로 유지되고, 결국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 간의 열화 차이는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색감 또는 휘도 차이가 잔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If the gray-scale values of red, green, and blue are reduced at the same ratio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the difference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remains unchanged, By maintaining the difference, the color difference or the luminance difference can be visually recognized as a residual image.

이에 따라,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로고영역 처리부는 로고영역 중 시인성이 비교적 낮은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 중 계조보정값보다 높은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으로 감소시킨다. 이로써,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응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 간의 수명 차이가 완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t least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gradation values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that is relatively low in visibility of the logo region higher tha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as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 This can alleviate the lifetime difference between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더불어, 로고영역 처리부는 에지영역 중 임계 너비 이하의 피크영역을 검출하는 피크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크영역은 로고의 전체적인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작은 너비를 갖는다. 이 경우, 채도값 보정부는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제 1 보정계수보다 낮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In addition,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eak area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 peak area less than the threshold width in the edge area. Here, the peak region has a small width so as not to affect the overall shape of the logo. In this case,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section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in the edge area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is calculated.

즉, 채도값 보정부는 제 1 보정계수보다 낮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시인성이 비교적 낮은 피크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계조보정값은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계조보정값에 비해 더 큰 감소폭으로 감소된다.That is,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section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peak area with relatively low visibility based on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low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ly, the tone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is reduced to a larger decrease width than the tone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in the edge area.

이로써,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의 각 화소는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에 비해 더 낮은 휘도를 표시하므로, 화소의 열화가 더욱 완화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피크영역은 시인성이 낮으므로, 피크영역을 더 어둡게 보정하더라도, 로고영역에 대한 영상처리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a result, each pixel of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displays lower luminance than each pixel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peak area, so that deterioration of the pixel can be further mitigated. In addition, the peak area is low in visibility, so even if the peak area is corrected to be darker, image processing for the logo are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ewed.

도 1은 로고가 삽입된 영상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각 서브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고영역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영상 중 로고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로고영역 중 에지영역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도 6a의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화소들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로고영역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a는 도 6b의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6a의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화소들에 대한 확대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different frames in an image in which a logo is embedd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for each sub-pix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of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diagram showing a logo area in the image of FIG.
FIG. 6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dge region of the logo region of FIG. 6A.
6C is an enlarged view of the pixels of the first line in the area A of FIG. 6A.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of FIG.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eak region among the edge regions of FIG. 6B.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ixels of the first line in the area A 'of FIG. 6A.

이하, 본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Fig.

도 2는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각 서브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고영역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영상 중 로고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로고영역 중 에지영역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c는 도 6a의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화소들에 대한 확대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for each sub-pix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of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diagram showing a logo area in the image of FIG. FIG. 6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dge region of the logo region of FIG. 6A. And FIG. 6C is an enlarged view of the pixels of the first line of the area A in FIG. 6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한 패널부(110),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며,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로고영역 처리부(120), 및 보정신호에 기초하여 패널부(110)를 구동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2,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unit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P defined in a display region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Detects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in the display area,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that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for a video signal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and a control unit 130 that drives the panel unit 110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그리고, 표시장치(100)는 패널부(110)의 게이트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드라이버(Gate Driver: GDR)(140) 및 패널부(110)의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드라이버(Data Driver: DDR)(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gate driver (GDR) 140 for driving the gate line GL of the panel unit 110 and a data driver (not shown) for driving the data line DL of the panel unit 110. [ (Data Driver: DDR)

패널부(110)는 표시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한다. 각 화소(P)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R, G, B)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nel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P defined in the display area. Each pixel P may be composed of sub-pixels R, G, and B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각 서브화소(R, G, B)는 스위치트랜지스터(T1), 스토리지커패시터(Cst), 구동트랜지스터(T2)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3, each of the sub-pixels R, G, and B includes a switch transistor T1, a storage capacitor Cst, a driving transistor T2,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스위치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과, 데이터라인(DL) 및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제 1 노드(n1)는 스토리지커패시터(Cst) 및 구동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된다.The switch transistor T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onnected between the data line DL and the first node n1. The first node n1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and the driving transistor T2.

이러한 스위치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라인(GL)의 게이트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하고, 턴온된 스위치트랜지스터(T1)를 통해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가 제 1 노드(n1), 즉 구동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 및 스토리지커패시터(Cst)로 공급된다.The switch transistor T1 is turned on based on the gate signal of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signal of the data line DL is supplied to the first node n1 via the switch transistor T1 turned on, (T2)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스토리지커패시터(Cst)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노드(n2)는 구동트랜지스터(T2)와 유기발광소자(OLED) 사이의 노드이다.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second node n2. The second node n2 is a node between the driving transistor T2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이러한 스토리지커패시터(Cst)는 턴온한 스위치트랜지스터(T1)를 통해 제 1 노드(n1)로 공급된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로 충진된다. 그리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진된 전압은 구동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된다. 즉,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진된 전압에 따라, 구동트랜지스터(T2)의 채널이 조절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OLE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세기가 조절된다.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harged with the data signal of the data line DL supplied to the first node n1 through the turn-on switch transistor T1.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2. That is, the channel of the driving transistor T 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driving current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adjusted.

구동트랜지스터(T2)는 제 1 노드(n1)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과, 제 1 및 제 2 전원라인(VDD, VSS) 사이에 유기발광소자(OLED)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The driving transistor T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lines VDD and VSS in series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

이러한 구동트랜지스터(T2)는 제 1 노드(n1)에 충진된 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한다. 그리고, 턴온된 구동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제 1 및 제 2 전원라인(VDD, VSS) 사이에 전류 경로가 생성되어, 유기발광소자(OLED)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The driving transistor T2 is turned on based on the signal charged in the first node n1. A current path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lines VDD and VSS through the turned-on driving transistor T2, and a driv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다시, 도 2를 이어서 설명한다.Next, Fig. 2 will be described again.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영상신호(IMAGE) 및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로고영역의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CS for the video signal of the logo area based on the video signal IMAGE and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구체적으로,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소정의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며,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로고영역 처리부(12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detects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a predetermined mark in the display area based on the video signal, and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and a correction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TIMING CONTROLLER: TC)(1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신호(IMAGE) 또는 로그영역 처리부(120)에서 공급되는 보정신호(CS)에 기초하여 패널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A control unit 130 control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panel unit 110 based on a video signal IMAGE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a correction signal CS supplied from the log area processing unit 120 .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30)는 영상신호(IMAGE) 또는 보정신호(CS)뿐만 아니라, 외부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타이밍 신호, 즉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에 더 기초하여, 게이트드라이버(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드라이버(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2,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not only the video signal IMAGE or the correction signal CS but also timing signals supplied from an external system, that i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gate control signal GC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te driver 140 and a data control signal DC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driver 150 are generated.

그리고, 게이트드라이버(140)는 게이트제어신호(GCS)에 기초하여 패널부(110)의 게이트라인(GL)을 구동하고, 데이터드라이버(150)는 데이터제어신호(DCS)에 기초하여 패널부(110)의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한다. 이로써, 영상신호(IMAGE) 또는 보정신호(CS)에 대응하는 영상이 패널부(110)에 표시된다.The gate driver 140 drives the gate line GL of the panel unit 110 based on the gate control signal GCS and the data driver 150 drives the panel unit 110 based on the data control signal DCS. 110). ≪ / RTI > Thu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IMAGE or the correction signal CS is displayed on the panel unit 110.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영상신호(IMAGE)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에 대응하는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로고영역 검출부(121), 로고영역 중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에지영역 검출부(122),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채도값 보정부(123),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계조값 보정부(124) 및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로고영역의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보정신호 생성부(125)를 포함한다.4,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logo area detecting unit 121 that detects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of the display area based on the image signal IMAGE, An edge area detecting unit 122 for detecting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the mark of the logo area, a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2 for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for calculating a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And a correction signal generator 125 for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the video signal of the logo area.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동안 고정적으로 표지에 대응한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0), 로고영역 중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20),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S30),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S40),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0) 및 보정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구동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5,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detecting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 mark on a display area, (S20) of detecting an edge region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the mark of the logo region, calculating (S30) a chroma correction value for the chroma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 step (S40) of generating a grad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a step (S50) of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the image signal based o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and And driving the plurality of pixels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S60).

로고영역 검출부(121)는 외부의 영상신호(IMAGE)를 표시하는 표시영역 중 특정 위치에 임계 시간 이상 고정적으로 로고를 표시하는 로고영역을 검출한다. (S10)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21 detects a logo area that displays a logo fixedly at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display areas displaying the external video signal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10)

예시적으로, 로고영역 검출부(121)는 외부의 영상신호(IMAGE) 중 각 프레임에서,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임계 기간에 대응하는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임계 기간의 프레임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이 소정의 오차범위 이내로 유지되는 화소들을 로고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logo area detecting section 121 detects the respective tone values of red, green, and b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in each frame of the external video signal IMAGE. Then, the frames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period are compared, and pixels whose red, green, and blue gradation values are kept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in the frame of the critical period can be detected as the logo region.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로고영역 중 로고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한다. (S20) 이때,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일반적인 윤곽선 검출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지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Sobel, Prewitt 및 Roberts cross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지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The edge area detecting unit 122 detects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of the logo among the logo area. (S20) At this time, the edge area detecting unit 122 can detect the edge area using a general outline detection mask. For example, the edge area detecting unit 122 may detect an edge area using any one of Sobel, Prewitt, and Roberts cross.

참고로, Sobel 마스크는 에지영역 검출 시의 대표적인 미분연산자로서, x축과 y축으로 각각 한번씩 미분하며, 대각선 방향의 에지성분을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에지성분에 비해 더 민감하게 검출하는 특징이 있다. Prewitt 마스크는 마스크의 비중값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Sobel 마스크와 사실상 동일하고, Sobel 마스크에 비해 계산속도가 더 빠른 장점이 있다. Roberts cross 마스크는 45도 기울기를 갖는 모양이고, 분명한 윤곽선을 검출하는 장점 및 계산속도가 Sobel 마스크 및 Prewitt 마스크에 비해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 잡음에 매우 민감한 단점이 있다.For reference, the Sobel mask is a typical differential operator at the time of edge region detection, and is differentiated once in each of the x-axis and the y-axi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diagonal edge components are detected more sensitively than edge componen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The Prewitt mask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obel mask, except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sk is different, and has a faster calculation speed than the Sobel mask. The Roberts cross mask has a 45-degree slop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detecting a clear contour, and the calculation speed is faster than the Sobel mask and the Prewitt mask, but has a disadvantage of being very sensitive to noise.

예시적으로,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영상신호(IMAGE)에 기초하여, 로고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명도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각 화소의 명도값은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적색의 계조값(R), 녹색의 계조값(G) 및 청색의 계조값(B)에 대한 평균값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edge area detecting unit 122 calculates a brightness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for each pixel of the logo area, based on the video signal IMAGE. Here, the brightness value of each pixel may be an average value for the red gradation value R, the green gradation value G, and the blue gradation value B,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I는 명도값(Intensity)이고, R은 적색의 계조값, G는 녹색의 계조값, B는 청색의 계조값이다. 수학식 1과 같이, 명도값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의 평균치로 치환될 수 있다.In Equation (1), I is a brightness value, R is a red gradation value, G is a green gradation value, and B is a blue gradation value. As shown in Equation (1), the brightness value can be replaced by the average value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그리고,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윤곽선 검출 마스크를 이용하여, 로고영역의 화소들 중 명도값(I)이 소정의 마스크 영역에 대응하는 주변의 이웃한 화소에 비해 임계 차이 이상으로 상이한 화소들을 에지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Then, the edge area detection unit 122 uses the contour detection mask to detect pixels whose brightness values I of the pixels in the logo area differ by at least a threshold difference from neighboring neighboring pixel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ask area, Area can be detected.

채도값 보정부(123)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해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 (S30)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S30)

먼저, 채도값 보정부(123)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채도값을 산출한다. 예시적으로, 각 화소의 채도값은 이하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First,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alculates a satura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edge region. Illustratively,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S는 채도(Saturation)이고, MIN(R,G,B)는 적색의 계조값(R), 녹색의 계조값(G) 및 청색의 계조값(B) 중 최소값이며, MAX(R,G,B)는 적색의 계조값(R), 녹색의 계조값(G) 및 청색의 계조값(B) 중 최대값이다.(R, G, B) is a minimum value among the red gradation value R, the green gradation value G and the blue gradation value B, and MAX (R, G, and B) are the maximum values among the red gradation value R, the green gradation value G, and the blue gradation value B.

수학식 2와 같이, 채도값 보정부(123)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 중 최소값(MIN(R,G,B))과 최대값(MAX(R,G,B))을 검출하고, 최소값(MIN(R,G,B))의 최대값(MAX(R,G,B))에 대한 비율(MIN(R,G,B)/MAX(R,G,B))을 1에서 뺀 나머지를 채도값(S)으로 산출한다.As shown in Equation 2,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orrects the minimum value MIN (R, G, B) among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for each pixel in the edge region and the maximum value MAX G, B) / MAX (R, G, B) with respect to the maximum value MAX (R, G, B) of the minimum value MIN G, B)) is subtracted from 1 to obtain a saturation value (S).

이어서, 채도값 보정부(123)는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S)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Next,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S of each pixel in the edge reg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여기서, 보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다. 그리고, 채도보정값은 각 화소의 채도값(S)과 보정계수의 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화소의 채도값(S)에 대한 채도보정값은 채도값(S)보다 작은 값으로 산출된다.Here,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can be defined as the product of the saturation value (S) of each pixel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ly,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S of each pixel is calculated to be a value smaller than the saturation value S.

계조값 보정부(124)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계조보정값을 산출한다. (S40)The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calculates the tone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S40)

수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값 보정부(124)는 채도보정값(S_C) 및 최소값(MIN(R,G,B))에 기초하여, 수학식 2의 최대값(MAX(R,G,B))을 대신하는 계조보정값(MAX_C)을 산출한다.As shown in Equation (3), the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corrects the maximum value MAX (R, G, B) of Equation 2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 and the minimum value MIN , B) in place of the tone correction value MAX_C.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보정신호 생성부(125)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S50)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125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for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gray level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S50)

구체적으로, 보정신호 생성부(125)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중 계조보정값(MAX_C) 이상인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MAX_C)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Specifically,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or 125 corrects at least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gradation values (R, G, B) of the edge region by at least one of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s MAX_C MAX_C) to generate the correction signal CS.

이후, 제어부(130)는 로고영역 처리부(120)로부터 공급된 보정신호(CS)에 기초하여 패널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P)를 구동한다. (S60)The control unit 130 drives the plurality of pixels P provided in the panel unit 110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CS supplied from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 (S60)

이하에서는 도 1의 로고영역을 예시로 이용하여,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logo area of FIG. 1 as an example.

로고영역 검출부(121)는 도 1의 영상신호에서, 임계 시간 동안 각 색상의 계조값이 오차범위 이내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화소들을 검출한다. 여기서, 오차범위는 기 설정된 동등 또는 균등 범위를 의미한다. 이로써, 도 6a의 도시와 같이, 로고영역(도 1의 "Logo")이 검출된다. (S10)In the image signal of FIG. 1, the logo area detecting unit 121 detects pixels whose tone values of the respective colors remain the same within the error range during the threshold time. Here, the error range means a predetermined equal or equivalent range. Thus, as shown in Fig. 6A, a logo area ("Logo" in Fig. 1) is detected. (S10)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도 6a의 로고영역에 대해 윤곽선 필터 마스크를 적용하여, 도 6b의 도시와 같이, 에지영역을 검출한다. (S20)The edge region detection unit 122 detects the edge region by applying a contour filter mask to the logo region of FIG. 6A, as shown in FIG. 6B. (S20)

채도값 보정부(123)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 (S30)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S30)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화소들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각 화소(P)의 색상은 256 단계의 계조값으로 각각 이루어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조합으로 나타낸다고 가정한다.Specifically, pixels of the first line of the area A shown in Figs. 6A and 6B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eas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hue of each pixel P i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red, green, and blue, each of which has 256 gradation values.

이하의 표 1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각 화소(AP1~AP19)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수학식 1에 따른 각 화소(AP1~AP19)의 명도값(INTENSITY), 및 수학식 2에 따른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7, AP12~AP18)의 채도값(SATURATION)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표 1에서, 명도값(INTENSITY)은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나타내고, 채도값(SATURATION)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나타낸다.The following Table 1 shows the gray scale values (R, G, B) of red, green and blue for each pixel (AP1 to AP19) of the first line in the area A shown in Figs. 6A and 6B, The brightness value INTENTITY of each of the pixels AP1 to AP19 and the saturation value SATURATION of each pixel AP3 to AP7 and AP12 to AP18 of the edge region according to Equation 2. For reference, in Table 1, the brightness value (INTENSITY) indicates the second decimal place, and the saturation value (SATURATION) indicates the third decimal place.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도 6b를 참조하면, 표 1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영역 검출부(122)에 의해 검출된 에지영역의 화소는 AP3~AP7 및 AP12~AP18이라고 가정한다. 예시적으로, 표 1의 예시와 같이,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좌측과 우측에 이웃한 화소 중 적어도 하나와의 명도값 차이가 3 이상인 화소를 에지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it is assumed that the pixels of the edge region detected by the edge region detecting unit 122 are AP3 to AP7 and AP12 to AP18, as indicated by shading in Table 1. Illustratively, as in the example of Table 1, the edge region detection unit 122 can detect a pixel having a brightness value difference of at least 3 between left and right neighboring pixels as an edge region.

이어서, 이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도값 보정부(123)는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7, AP12~AP17)의 채도값(SATURATION)에 대한 채도보정값(S_C)을 산출한다. (S3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다. 예시적으로, 표 2의 예시에서, 보정계수는 0.8이라고 가정한다.Nex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2,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orrects the saturation values (SATURATION) of the pixels (AP3 to AP7, AP12 to AP17) And calculates the correction value S_C. (S30) As mentioned above,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Illustratively, in the example of Table 2, it is assumed that the correction factor is 0.8.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이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값 보정부(124)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7, AP12~AP18)의 채도보정값(S_C)에 기초하여, 계조보정값(MAX_C)을 산출한다. (S40)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3, the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calculates the tone correction value MAX_C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 of each pixel (AP3 to AP7, AP12 to AP18) in the edge area do. (S40)

즉, 앞서 수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값 보정부(124)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7, AP12~AP18)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중 최소값(MIN(R,G,B))과 채도보정값(S_C)에 대응하는 계조보정값(MAX_C)을 산출한다.That is, as shown in Equation (3), the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corrects the tone values R, G, and B of each of red, green, and blue for each pixel (AP3 to AP7, AP12 to AP18) B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value (MIN (R, G, B)) and the tone correction value S_C among the tone correction values MAX_C.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이어서, 보정신호 생성부(125)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7, AP12~AP18)의 계조보정값(MAX_C)에 기초하여,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 (S50)Subsequently,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section 125 generates the correction signal CS based on the tone correction value MAX_C of each pixel (AP3 to AP7, AP12 to AP18) in the edge area. (S50)

이하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신호 생성부(125)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7, AP12~AP18)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중 계조보정값(MAX_C) 이상인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MAX_C)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 참고로, 표 4의 계조보정값(MAX_C)은 표 3의 계조보정값(MAX_C)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4,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125 generates the correction signal for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R, G, B) for each pixel (AP3 to AP7, AP12 to AP18) At least one of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ddl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s replaced with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to generate the correction signal CS. For reference,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n Table 4 is a value obtained by rounding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n Table 3 to the first decimal place.

즉, 에지영역의 화소들(AP3~AP7, AP12~AP18) 중 AP3 화소를 예로 들어보면, 영상신호(IMAGE)에 따른 AP3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은 (212, 156, 6)인데, 그에 따른 계조보정값(MAX_C)은 27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계조보정값(MAX_C)보다 큰 적색 및 녹색의 계조값(R, G)을 계조보정값(MAX_C)으로 치환하면, 보정신호(CS)에 따른 AP3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은 (27, 27, 6)으로 생성된다.In other words, taking AP3 pixels among the pixels (AP3 to AP7, AP12 to AP18) in the edge region as an example, the gray scale values (R, G, B ) Are (212, 156, 6), and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corresponding thereto is calculated as 27. Accordingly, when the red and green tone values R and G larger than the tone correction value MAX_C are replaced with the tone correction value MAX_C, the red, green, and blue (R, G, B) are generated as ( 27 , 27 , 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이후, 제어부(130)는 보정신호 생성부(125)에서 생성된 보정신호(CS)에 기초하여, 패널부(110)를 구동한다. (S60)The control unit 130 drives the panel unit 110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CS generated by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125. [ (S60)

이상과 같이,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로고영역 중 로고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하나의 계조값을 보정하여,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로고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가 전체 로고영역에 대해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로고영역 중 비교적 시인성이 낮은 에지영역에 대해서만 실시된다. 그러므로, 로고영역에 의한 잔상이 개선될 수 있으면서도, 전체 로고영역이 전체적으로 낮은 휘도로 표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로고영역에 대한 영상처리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ray-scale value of red, green, and blue is corrected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logo among the logo regions, .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processing for the logo area is not performed for the entire logo area, but only for the edge area of relatively low visibility among the logo area. Therefore, while the afterimage due to the logo area can be improved, the entire logo are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yed as an overall low brightness, thereby preventing visual processing of the logo area from being viewed.

그리고,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며,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 중 계조보정값보다 큰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한다.Then,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Calculates a grad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pixel, and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At this time,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replaces at least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gradation values larger tha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with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thereby generating the correction signal.

즉,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을 동일한 비율로 감소시킨 값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보정값에 따른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한다.That is, the logo region processing unit 120 does not generate a correction signal by replacing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in the edge region with values reduced by the same ratio, And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by replacing at least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with the tone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tone corr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달리 설명하면,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계조값들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로고영역 처리부(120)에 의한 보정신호(CS)에 의해, 에지영역의 각 화소(P)에 대응한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R, G, B)의 열화 차이가 완화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R, G, B)의 수명 차이가 완화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for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for each pixel in the edge area. Therefore, by the correction signal CS by the logo region processing unit 120, the deterioration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R, G, B corresponding to each pixel P of the edge region can be alleviated Whereby the lifetime difference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R, G and B can be alleviated.

다시 정리하면,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로고영역 전체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로고영역 중 비교적 시인성이 낮고 로고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에 대해 보정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써, 로고영역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감소되지 않으므로, 로고영역에 의한 잔상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처리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does not generate a correction signal for the entire logo area but generates a correction signal for the edg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our of the logo, which is relatively low in visibility of the logo area. As a result, the brightness of the logo area is not reduced as a whole, so that image processing for preventing a residual image due to the logo are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ewed.

그리고, 로고영역 처리부(120)에 의한 보정신호(CS)에 의해,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포함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화소들이 상호 유사한 계조값을 갖도록 차등 비율로 감소된 계조값을 표시한다. 그로 인해, 로고영역에 의한 잔상이 개선될 수 있으면서도,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화소의 열화 정도가 상호 유사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서브화소 간의 수명 차이가 완화될 수 있다.By the correction signal CS by the logo region processing unit 120, the gradation value reduced by the differential ratio is displayed so that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included in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have mutually similar gradation values do. As a result, the afterimage due to the logo region can be improved, and the degrees of deterioration of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can be mutually similar, thereby alleviating the lifetime difference between the sub-pixels.

한편,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의 전체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all pixels of the edge region is calculated based on one correction coefficient.

이와 달리,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영역 중 너비가 비교적 좁아서 비교적 시인성이 낮은 일부 영역에 대해, 다른 나머지 영역보다 더 낮은 보정계수를 적용한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ction coefficient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remaining regions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edge region that is relatively narrow in width and relatively low in visibility.

도 7은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로고영역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a는 도 6b의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6a의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화소들에 대한 확대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of FIG.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eak region among the edge regions of FIG. 6B.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ixels of the first line in the area A 'of FIG. 6A.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로고영역 처리부(120')는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으로 검출하는 피크영역 검출부(126)을 더 포함하는 점과, 채도값 보정부(123')가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피크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제 1 보정계수보다 낮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7,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120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eak area detecting unit 126 for detecting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The correction unit 123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for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peak area, and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peak area based on a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low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4, except that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20) 이후에,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21)를 더 포함하는 점과,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S31)에서 제 1 및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8,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tep (S21) of detecting a peak area in the edge area after step (S20) of detecting the edge area And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s in the step S31 of calculating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피크영역 검출부(126)는 에지영역 중 비교적 시인성이 작은 임계 너비 이하인 일부 영역을 피크영역으로 검출한다. (S21)The peak area detecting unit 126 detects a part of the edge area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width with a relatively low visibility as a peak area. (S21)

그리고, 채도값 보정부(123)는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제 1 보정계수보다 낮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 (S31) 여기서, 제 1 및 제 2 보정계수 각각은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다.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based on the coefficient. (S31) 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s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이하에서는 도 1의 로고영역을 예시로 이용하여,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logo area of FIG. 1 as an example.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이스케일로 나타낸 에지영역 중 B 영역은 C 영역보다 진하고 선명하며 넓은 너비이다. 이에 따라, C 영역은 B 영역에 비해 시인성이 낮고, 좁은 너비이므로, 피크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B area of the edge area shown in gray scale is darker, clearer, and wider than the C area. As a result, the C region has a lower visibility than the B region and has a narrow width, so that it can be detected as a peak region.

즉, 피크영역 검출부(126)는 에지영역 검출부(122)에 의한 에지영역 중 소정의 임계 너비 이하의 일부 영역, 즉 C 영역을 피크 영역으로 검출한다. (S21)That is, the peak area detecting unit 126 detects a part of the edge area by the edge area detecting unit 122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width, that is, C area as a peak area. (S21)

채도값 보정부(123)는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제 1 보정계수보다 작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 (S31)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is calculated. (S31)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화소들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first line of the A 'region shown in FIG. 6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하의 표 5는 도 6a에 도시된 A' 영역 중 첫번째 라인의 각 화소(A'P1~A'P19)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수학식 1에 따른 각 화소(A'P1~A'P19)의 명도값(INTENSITY), 수학식 2에 따른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8, A'P14~A'P17)의 채도값(SATURATION), 채도값(SATURATION)에 대한 채도보정값(S_C1, S_C2)을 나타낸다. 참고로, 표 5에서, 명도값(INTENSITY)은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나타내고, 채도값(SATURATION) 및 채도보정값(S_C1, S_C2)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나타낸다.Table 5 below shows the tone values (R, G, B) of red, green and blue for each pixel (A'P1 to A'P19) of the first line in the area A 'shown in FIG. 6A, Of the pixels A'P3 to A'P8 and A'P14 to A'P17 in the edge region according to Equation (2), and a brightness value (Intensity) of each pixel (A'P1 to A'P19) (SATURATION), and the saturation value (SATURATION). For reference, in Table 5, the brightness value INTENSITY indicates the second decimal place, and the saturation value (SATURATION) and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1, S_C2) indicate the third decimal place.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도 9를 참조하면, 표 5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영역 검출부(122)에 의해 검출된 에지영역의 화소는 A'P3~A'P8 및 A'P14~A'P17이라고 가정한다. (S20) 예시적으로, 표 5의 예시와 같이, 에지영역 검출부(122)는 좌측과 우측에 이웃한 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도값과의 차이가 6 초과인 화소를 에지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t is assumed that the pixels of the edge region detected by the edge region detection unit 122 are A'P3 to A'P8 and A'P14 to A'P17, as shown by shading in Table 5. (S20) Illustratively, as shown in Table 5, the edge region detection unit 122 can detect a pixel having a difference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neighboring pixels from the brightness value of 6 or more as an edge region have.

그리고, 표 5에서 노란색 음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크영역 검출부(126)에 의해 검출된 피크영역은 도 9의 C 영역에 대응하는 화소인 A'P14~A'P17이라고 가정한다. (S21)It is assumed that the peak area detected by the peak area detection unit 126 is A'P14 to A'P17 corresponding to the area C in FIG. 9, as indicated by yellow shading in Table 5. [ (S21)

이어서, 채도값 보정부(123)는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A'P3~A'P8)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S_C1)을 산출하고,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의 각 화소(A'P14~A'P17)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S_C2)을 산출한다. (S31)Next,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3 correct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1 for the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A'P3 to A'P8)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2 for the saturation values of the pixels (A'P14 to A'P17) in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S31)

이때, 제 1 및 제 2 보정계수 각각은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고, 피크영역의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기 위한 제 2 보정계수는 제 1 보정계수보다 작다. 예시적으로, 표 4의 예시에서, 제 1 보정계수는 0.8이고, 제 2 보정계수는 0.6이라고 가정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s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and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for calculating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of the peak reg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Illustratively, in the example of Table 4,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is 0.8 and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is 0.6.

다음,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하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값 보정부(124)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8, A'P14~A'P17)의 채도보정값(S_C1, S_C2)에 기초하여, 계조보정값(MAX_C)을 산출한다. (S40) 즉, 앞서 수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값 보정부(124)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8, A'P14~A'P17)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중 최소값(MIN(R,G,B))과 채도보정값(S_C1, S_C2)에 대응하는 계조보정값(MAX_C)을 산출한다.Next,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6, the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corrects the tone value of each pixel (A'P3 to A'P8, A'P14 to A'P17)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s calculated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s S_C1 and S_C2. (A40). That is, as shown in Equation (3), the tone value correcting unit 124 corrects the tone value of each pixel (A'P3 to A'P8, A'P14 to A'P17) And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value MIN (R, G, B) and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s S_C1 and S_C2 among the blue gradation values R, G and B, respectively.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이어서, 보정신호 생성부(125)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8, A'P14~A'P17)의 계조보정값(MAX_C)에 기초하여,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 (S50)Subsequently,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section 125 generates the correction signal CS based on the tone correction value MAX_C of each pixel (A'P3 to A'P8, A'P14 to A'P17) in the edge area do. (S50)

이하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신호 생성부(125)는 에지영역의 각 화소(A'P3~A'P8, A'P14~A'P17)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 중 계조보정값(MAX_C) 이상인 적어도 하나를 계조보정값(MAX_C)으로 치환하여, 보정신호(CS)를 생성한다. 참고로, 표 7의 계조보정값(MAX_C)은 표 6의 계조보정값(MAX_C)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7,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section 125 corrects the red, green, and blue gradations of the respective pixels (A'P3 to A'P8, A'P14 to A'P17) At least one of the values R, G, and B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s replaced with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to generate the correction signal CS. For reference,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n Table 7 is a value obtained by rounding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n Table 6 to the first decimal place.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즉, 에지영역의 화소들(A'P3~A'P8, A'P14~A'P17) 중 A'P3 화소를 예로 들어보면, 영상신호(IMAGE)에 따른 A'P3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은 (19, 17, 20)이다. A'P3 화소는 피크영역이 아니므로, 제 1 보정계수에 따른 채도보정값(S_C1)에 기초하여 산출된 A'P3 화소의 계조보정값(MAX_C)은 19이다. 이에, 계조보정값(MAX_C)보다 큰 계조값(B)을 계조보정값(MAX_C)으로 치환하면, 보정신호(CS)에 따른 A'P3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은 (19, 17, 19)로 생성된다.In other words, taking A'P3 pixels among the pixels (A'P3 to A'P8, A'P14 to A'P17) in the edge region as an example, red, green And the gray values R, G, and B of blue are (19, 17, 20). Since the A'P3 pixel is not the peak area,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of the A'P3 pixel calculated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1 according to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is 19. If the gradation value B that is larger tha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is replaced with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the gradation value R of each of red, green, and blue for the A'P3 pixel according to the correction signal CS , G, B) are generated as (19, 17, 19 ).

그리고, 에지영역의 화소들(A'P3~A'P8, A'P14~A'P17) 중 A'P14 화소를 다른 예로 들어보면, 영상신호(IMAGE)에 따른 A'P14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은 (205, 153, 5)이다. A'P14 화소는 피크영역이므로, 제 1 보정계수보다 작은 제 2 보정계수에 따른 채도보정값(S_C2)에 기초하여 산출된 A'P14 화소의 계조보정값(MAX_C)은 12이다. 이에, 계조보정값(MAX_C)보다 큰 계조값(R, G)을 계조보정값(MAX_C)으로 치환하면, 보정신호(CS)에 따른 A'P14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R, G, B)은 (12, 12, 5)로 생성된다.When the A'P14 pixel among the pixels (A'P3 to A'P8, A'P14 to A'P17) of the edge region is taken as another example, red, green, and blue colors for the A'P14 pixel according to the video signal IMAGE, (R, G, B) of green and blue are (205, 153, 5). Since the A'P14 pixel is the peak area,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of the A'P14 pixel calculated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S_C2 according to the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is 12. If the gradation values R and G that are larger than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are replaced with the gradation correction value MAX_C, the gradation values of red, green, and blue for the A ' (R, G, B) are generated as ( 12 , 12 , 5).

이상과 같이,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로고영역의 에지영역 중 로고의 전체적인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을 정도로 좁은 너비의 피크영역에 대해, 다른 영역보다 작은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채도보정값을 산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region is applied to a narrow-width peak region so as not to change the overall shape of the logo among the edge regions of the logo region to calculate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do.

그로 인해, 피크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은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보다 더 큰 감소폭으로 작게 산출된다. 이로써, 에지영역 중 피크영역의 각 화소는 다른 나머지 영역의 화소들에 비해 더 낮은 휘도로 구동되므로, 열화가 더욱 방지될 수 있다. 그와 더불어, 피크영역은 로고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임계 너비 이하이므로, 피크영역의 각 화소가 더 낮은 휘도로 구동되더라도, 로고영역에 대한 영상처리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peak area is calculated to be smaller than th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peak area in the edge area. As a result, each pixel of the peak area of the edge area is driven with a lower luminance than the pixels of the other remaining area, so deterioration can be further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peak area is less than the threshold width which does not affect the shape of the logo, image processing for the logo are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ewed even if each pixel of the peak area is driven with lower brightnes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표시장치 110: 패널부
P: 화소
R, G, B: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
120: 로고영역 처리부 130: 제어부
IMAGE: 영상신호 CS: 보정신호
121: 로고영역 검출부 122: 에지영역 검출부
123: 채도값 보정부 124: 계조값 보정부
125: 보정신호 생성부 126: 피크영역 검출부
100: display device 110: panel part
P: pixel
R, G, and B: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20: Logo area processing unit 130:
IMAGE: Video signal CS: Correction signal
121: Logo area detecting unit 122: Edge area detecting unit
123: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124: gray level value correcting unit
125: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126: peak area detection unit

Claims (15)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패널부;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로고영역 처리부; 및
상기 보정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panel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defined in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Detecting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of the display area on the basis of the video signal and detecting an edge area corresponding to the saturation of the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A logo area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and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And
And a control section for driving the panel section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영역 처리부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에 대응한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로고영역 검출부;
상기 로고영역 중 상기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에지영역 검출부;
상기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상기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채도값 보정부;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상기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계조값 보정부; 및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보정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A logo are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over the threshold period based on the video signal;
An edge region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edge region of the logo region;
A saturation value correc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with respect to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the correction coefficient;
A tone value correcting unit for calculating a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And
And a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section for generating the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고,
상기 채도값 보정부는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값과 상기 보정계수의 곱을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상기 채도보정값으로 산출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Wherein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unit calculates the product of the satura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as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값 보정부는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고, 상기 최소값의 상기 최대값에 대한 비율을 1에서 뺀 나머지를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상기 채도값으로 산출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unit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f each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is detected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and a ratio of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minus one is set to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The chroma saturation value of the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값 보정부는
상기 채도보정값 및 상기 최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ray-
And calculates the tone correction value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and the minimum valu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신호 생성부는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 중 상기 계조보정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를 상기 계조보정값으로 치환하여, 상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rr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And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for each pixel in the edge region by the tone correction value, the tone correction value being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ne correction valu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영역 처리부는
상기 에지영역 중 임계 너비 이하의 피크영역을 검출하는 피크영역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go area processing unit
And a peak reg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peak region of a threshold width or less among the edge regio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값 보정부는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 중 상기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보정계수보다 작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aturation value correction unit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with respect to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based on a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표시영역 중 임계 기간 이상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소정의 표지에 대응한 로고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로고영역 중 상기 표지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기 설정된 소정의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계조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소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etecting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ark fixedly displayed in a display area for a threshold period or more based on the video signal;
Detecting an edge region corresponding to a contour of the mark of the logo region;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edge area based on a predetermined correction coefficient;
Calculating a gray level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based on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area;
Generating a correction signal for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ton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the edge area; And
And driving the plurality of pixels based on the correction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정계수는 0과 1 사이의 유리수이고,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상기 채도보정값은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값과 상기 보정계수를 곱한 값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a rational number between 0 and 1,
Wherei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satura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값의 상기 최대값에 대한 비율을 1에서 뺀 나머지를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한 채도값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comprises:
Detecting,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f the respective tone values of red, green, and blue; And
And calculating a remainder obtained by subtracting a ratio of the minimum value from the maximum value to 1 as a satura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edge reg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계조보정값은 상기 채도보정값 및 상기 최소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one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based on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and the minimum value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ne correction valu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지영역의 각 화소에 대해,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값 중 상기 계조보정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를 상기 계조보정값으로 치환하여, 상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rrection signal
And a step of generating the correction signal by replacing at least one of the red, green, and blue tone values of each of the edge areas with the tone correction value by at least one of the tone correction values,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에지영역 중 임계 너비 이하의 피크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fter the step of detecting the edge reg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a peak area less than or equal to a critical width of the edge are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제 1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에지영역 중 상기 피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보정계수보다 작은 제 2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크영역의 각 화소의 채도값에 대한 채도보정값을 산출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turation correction value,
Calculating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with respect to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of the edge area excluding the peak area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s a saturation correction value for a saturation value of each pixel in the peak area based on a second corre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e first correction coefficient.
KR1020150150391A 2015-10-28 2015-10-28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385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391A KR102385628B1 (en) 2015-10-28 2015-10-28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391A KR102385628B1 (en) 2015-10-28 2015-10-28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41A true KR20170049241A (en) 2017-05-10
KR102385628B1 KR102385628B1 (en) 2022-04-11

Family

ID=5874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391A KR102385628B1 (en) 2015-10-28 2015-10-28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28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754A (en) * 2017-10-16 2018-0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he driving method and drive circuit of a kin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isplay device
WO2020022806A1 (en) * 2018-07-27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burn-i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3671710A1 (en) * 2018-12-21 2020-06-24 Lg Elec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00078293A (en) * 2018-12-21 202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10015904A (en) * 2018-06-05 2021-02-10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WO2021040073A1 (en) * 2019-08-27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018311A1 (en) * 2021-08-13 2023-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stationary regio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elevision (tv) luminance reduction
US11922600B2 (en) 2018-08-31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966A (en) * 1991-12-13 1993-07-02 Ricoh Co Ltd Image processor
JP2007329902A (en) * 2006-05-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KR20110115799A (en) * 2010-04-16 2011-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40070792A (en) * 2012-11-27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966A (en) * 1991-12-13 1993-07-02 Ricoh Co Ltd Image processor
JP2007329902A (en) * 2006-05-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KR20110115799A (en) * 2010-04-16 2011-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apparatus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40070792A (en) * 2012-11-27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754A (en) * 2017-10-16 2018-0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he driving method and drive circuit of a kin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isplay device
US10559266B2 (en) 2017-10-16 2020-02-1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ixel driving method, pixel driving and display apparatus
KR20210015904A (en) * 2018-06-05 2021-02-10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WO2020022806A1 (en) * 2018-07-27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burn-i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321883B2 (en) 2018-07-27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burn-i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922600B2 (en) 2018-08-31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EP3671710A1 (en) * 2018-12-21 2020-06-24 Lg Elec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00078293A (en) * 2018-12-21 202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854136B2 (en) 2018-12-21 2020-12-01 Lg Elec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O2021040073A1 (en) * 2019-08-27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018311A1 (en) * 2021-08-13 2023-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stationary regio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elevision (tv) luminance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628B1 (en)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62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796622B2 (en) Display system with compensation techniques and/or shared level resources
KR10196445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Compensation Method Of Degradation Thereof
US10319307B2 (en) Display system with compensation techniques and/or shared level resources
KR102111777B1 (en) Image display and driving mehtod thereof
CN109584796B (en) Display driving method and device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6205485B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the organic LED display device using it
KR101929001B1 (en) Method of compensating stai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having the method of compensating stain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1067231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which red, green and blue data values are reduced when there is no white property in a pixel
JP2010020078A (e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WO2018110056A1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control device, and control program
KR20150139014A (en) Methods of correcting gamma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150015281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53318B1 (en) Display device
US9646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024613A (en) Data convert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6003528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1131830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JP2009133943A (en) Image display
KR10231619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thereof
KR20150027951A (en) Method of driving light-sourc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709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color of display device
KR102642018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0243895A (en) Spontaneous light emissio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55296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for monit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