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797A -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797A
KR20170047797A KR1020150148302A KR20150148302A KR20170047797A KR 20170047797 A KR20170047797 A KR 20170047797A KR 1020150148302 A KR1020150148302 A KR 1020150148302A KR 20150148302 A KR20150148302 A KR 20150148302A KR 20170047797 A KR20170047797 A KR 20170047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or lock
door
terminal
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696B1 (ko
Inventor
이윤경
이철배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6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K9/32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결하고,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여러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도어락 장치가 그 중 하나로서, 단말기와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 출입 관리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도어락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락 장치들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집 주인, 출입 관리자 등) 뿐 아니라, 방문자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들 각각과 연동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말기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락 장치의 종류마다 연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다르므로, 방문자는 여러 종류의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된다. 특히, 방문자는 일회성 방문의 경우에도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바, 이러한 번거로움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락 장치에 패스워드 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패스워드 입력부의 사용이 많아질수록, 패스워드가 노출될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결하고,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키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대하여, 도어 개폐 가능 시간과 도어 개폐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도어 개폐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한 후,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신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이미지 키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이미지 키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도어락 장치의 카메라에 비춤으로써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도어락 장치의 상기 카메라에 비추는 단계, 상기 화면을 상기 카메라에 비추기 위해 수행되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방식을 이용하여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이미지 키를 이용함으로써 단말기에 별도의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가 개폐되므로, 패스워드가 유출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가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어락 장치와 방문자 단말기가 이미지 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관리자 단말기가 도어락 장치와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를 관리하는 동작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방문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도어락 장치의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어락 장치로 수신되는 패스워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키에 저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길 찾기 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키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은 도어락 장치(100), 관리자 단말기(200), 및 방문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0)는, 가정집, 건물, 사무실 등의 출입구에 배치되는 도어(door)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0)는 전자식 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로 구현됨으로써,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100)가 전자식 도어락 장치로 구현되더라도, 실시 예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어락 장치(100)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가 도어락 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한 이미지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키를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되면,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한 도어 개폐 권한, 개폐 가능 시간, 횟수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단말기(200)에는 도어락 장치(100)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200)는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여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방문자 단말기(30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키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페어링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NFC))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방문자 단말기(300)에 입력하고, 입력된 패스워드는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300)가 설정된 도어 개폐 권한에 해당하지 않는 조건에서 패스워드를 전송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0)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더라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시스템(1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도어 개폐부(160), 메모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도어락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도어락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도어락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도어락 장치(100)와 단말기(200 또는 300) 사이, 또는 도어락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도어락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4),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예컨대, 관리자 단말기 등),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도어락 장치(100)에 내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도어락 장치(100)와 다른 단말기(200 또는 300) 사이, 또는 도어락 장치(100)와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2)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4), 또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관리자 단말기(200)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22)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외부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4)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도어락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4)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도어락 장치 내 정보, 도어락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2, proximity sensor), 터치 센서(144, touch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2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4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어락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2), 음향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2)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어 개폐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가 설치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기(30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도어 개폐부(160)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어 개폐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와 관계없이 별도의 물리적 키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계식 도어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도어락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도어락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정보는, 각 방문자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도어 개폐 권한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어락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에 대한 각종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도어락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도어락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S100).
예컨대, 방문자가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하기 위해 도어락 장치(100)를 터치하면, 도어락 장치(100)의 터치 센서(144)에 의해 방문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또는 방문자 단말기(300)가 도어락 장치(100)에 근접하면, 근접 센서(142)가 방문자 또는 방문자 단말기(300)의 근접을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요청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특정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가 웨이크-업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는 항상 웨이크-업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웨이크-업된 카메라(122)를 이용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촬영할 수 있다(S120). 제어부(180)는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S140).
상기 이미지 키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S120 단계와 S140 단계, 및 이미지 키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가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 이미지 키(IM_KEY)를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키(IM_KEY)는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 해당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한 도어 개폐 권한(도어 개폐 가능 시간, 도어 개폐 횟수 등)에 대한 정보, 목적지 정보(예컨대, 도어락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키(IM_KEY)는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이미지(IM1)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IM2)는 상술한 정보(인식 정보, 도어 개폐 권한 정보 등)를 포함하는 코드 형태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미지(IM2)는 QR 코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IM_KEY)는 제1 이미지(IM1)만 표시되고, 제2 이미지(IM2)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미지(IM2)는 제1 이미지(IM1) 뒤에 숨겨져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IM1)는 제2 이미지(IM2)를 가리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제2 이미지(IM2)를 볼 수 없고, 제2 이미지(IM2)에 포함된 각종 정보가 유출되는 것(캡쳐 등을 통해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도어락 장치와 방문자 단말기가 이미지 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를 연결시키기 위해,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에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를 비출 수 있다. 이 때,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이미지 키(또는 제1 이미지(IM1))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에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질 때,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IM1)는 제2 이미지(IM2)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에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를 비추기 위해 방문자 단말기(300)를 움직이면(회전 등), 방문자 단말기(300)의 움직임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키의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제2 이미지(IM2)를 포함하는 화면(311)이 표시될 수 있다.
방문자 단말기(300)가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가 제1 이미지(IM1)를 인식한 후, 제1 이미지(IM1)를 제2 이미지(IM2)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출력하면, 방문자 단말기(300)가 출력된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IM1)를 제2 이미지(IM2)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명령은, 도어락 장치(100)의 음향 출력부(154)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형태의 신호이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브로드캐스트 형태의 신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는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2 이미지(IM2)를 포함하는 화면(311)을 촬영하고, 제어부(180)는 촬영된 화면에 포함된 제2 이미지(IM2)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IM2)에 포함된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 사이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 모듈(116)을 통해 페어링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b)와 (c)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된 후,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IM1)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IM2)를 제1 이미지(IM1)로 다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방문자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제1 이미지(IM1)가 표시된 화면(312)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제2 이미지(IM2)는 확인할 수 없다.
도 7은 관리자 단말기가 도어락 장치와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를 관리하는 동작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되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2)를 이용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포함된 이미지(CI)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CI)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도, 제어부(180)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까지 카메라(122)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CI)를 포함하는 화면(211)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표시된 화면(211)에 기초하여 방문자 단말기(300)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방문자 단말기(300)가 관리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관리 애플리케이션(도어락 장치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자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입력(예컨대, 화면(211)에 대한 터치 입력 등)에 응답하여 방문자 단말기(300)를 등록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방문자 단말기들을 확인 및 관리하거나,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패스워드를 설정하거나, 방문자들의 방문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자 단말기에 대한 도어 개폐 권한을 변경 또는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21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화면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60).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가 도어락 장치(100)에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도어 개폐부(160)를 제어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S160 단계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방문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도어락 장치의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AR)) 방식을 이용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증강 현실 방식을 이용한다 함은,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된 후,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방문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가 포함된 영상(또는 이미지)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도어락 장치(100)를 인식하여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이 표시되기 위한 정보는 이미지 키에 포함되어 있거나,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도어락 장치(100)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방문자 단말기(300)에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을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므로, 보다 복잡한 형태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고, 방문자에 따라 서로 다른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숫자 키패드 화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8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입력 화면 또는 질의 응답을 위한 문자 키패드 입력 화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어락 장치(100)에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거나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패스워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도어락 장치(100)로 패스워드가 전송되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패스워드가 일치함을 의미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해 설정된 도어 개폐 권한 정보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331)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해 설정된 도어 개폐 권한 정보가 "월요일~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 및 "토요일~일요일, 오전 2시부터 오후 4시"이고, 현재 시각이 월요일 오후 1시인 경우,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화면(331)에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이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시각이 월요일 오후 3시인 경우,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해 설정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될 때 이미지 키(제2 이미지(IM2))로부터 상기 권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200)로 상기 사용자의 진입 또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알리는 알림(예컨대, 푸시 알림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 환영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어락 장치로 수신되는 패스워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예컨대, 패스워드 불일치 또는 패스워드 미입력 등), 패스워드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패스워드 오류 발생시, 패스워드 오류가 발생함을 알리는 알림을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수신된 알림에 응답하여 패스워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221)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화면(221)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발신 아이콘과 신고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22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 발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을 입력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0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화면(223)을 터치하면, 패스워드 입력 화면(224)이 표시되고,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224)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는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에 응답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의 (e)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신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방문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 권한이 없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 등 방문자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신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신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0)로 신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고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122)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기 설정된 외부 서버 또는 장치(예컨대, 경찰서 서버 또는 PC, 경비실 PC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키에 저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길 찾기 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이미지 키(IM_KEY)는 목적지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키(제1 이미지(IM1))에 기초하여 길 찾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청을 입력하면(예컨대, 제1 이미지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등), 방문자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 찾기 화면(332)을 표시할 수 있다.
길 찾기 화면(332)은 방문자 단말기(300)에 기 설치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지도 애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되어 표시되거나, 이미지 키(IM_KEY)에 링크된 특정 웹 사이트 등으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길 찾기 화면(332)에 표시되는 출발지는 방문자 단말기(300)에 포함된 위치 정보 모듈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길 찾기 화면(332)에 표시되는 도착지는 제2 이미지(IM2)에 포함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출발지와 도착지를 확인하고 교통 수단을 선택한 후,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 찾기 기능을 실행하면(예컨대, '출발' 아이콘을 선택), 도 11의 (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이 표시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은,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방문자 단말기(300)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d) 내지 (f)에서는 관리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이 표시된 것으로 가정한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을 통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예상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은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선택하여 방문자 단말기(300)로 호 발신 또는 메시지 송신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방문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화면은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선택하여 관리자 단말기(200)로 호 발신이나 메시지 송신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키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241)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241)에 표시된 각종 항목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키에 포함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각종 항목들은 도어 개폐 가능 시간, 횟수, 알람 수신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각종 항목들을 설정한 후 이미지 키 생성 버튼을 선택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2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의 제1 이미지(IM1)의 생성과 관련된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의 제1 이미지(IM1)를 자동으로 생성할 것인지 또는 제1 이미지(IM1)를 직접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24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이미지(IM1)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이미지를 갖는 제1 이미지(IM1)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의 (c) 내지 (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이미지(IM1)를 직접 생성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이미지(IM1)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243 내지 24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의 (c) 내지 (e)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실시 예로서 이미지 설정, 배경 설정, 및 테두리 설정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이미지(IM1)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243 내지 245)을 통해 제1 이미지(IM1)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키를 전송할 방문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제1 이미지를 갖는 이미지 키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키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대하여, 도어 개폐 가능 시간과 도어 개폐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도어 개폐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한 후,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신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9.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키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도어락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대하여, 도어 개폐 가능 시간과 도어 개폐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도어 개폐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도어락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락 장치와 상기 방문자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알리는 알림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패스워드 오류가 발생함을 알리는 알림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신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
  16.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이미지 키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이미지 키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도어락 장치의 카메라에 비춤으로써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도어락 장치의 상기 카메라에 비추는 단계;
    상기 화면을 상기 카메라에 비추기 위해 수행되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AR)) 방식을 이용하여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50148302A 2015-10-23 2015-10-23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36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2A KR102367696B1 (ko) 2015-10-23 2015-10-23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2A KR102367696B1 (ko) 2015-10-23 2015-10-23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97A true KR20170047797A (ko) 2017-05-08
KR102367696B1 KR102367696B1 (ko) 2022-02-28

Family

ID=6016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02A KR102367696B1 (ko) 2015-10-23 2015-10-23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555A1 (ko) * 2017-12-27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모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10211265A (zh) * 2019-05-28 2019-09-06 韦勇 基于ar的家用智能门锁交互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
WO2020111579A1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80283A (ko) 2020-12-07 2022-06-14 김영자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965A (ja) * 2003-02-07 2004-08-26 Denso Wave Inc 電気錠制御システム
KR20120045668A (ko) * 2010-10-29 2012-05-09 김민겸 외부전원연결 또는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KR20130021240A (ko) * 2011-08-22 2013-03-05 한옥희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527852B1 (ko) * 2014-04-16 2015-06-11 주식회사 카티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키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965A (ja) * 2003-02-07 2004-08-26 Denso Wave Inc 電気錠制御システム
KR20120045668A (ko) * 2010-10-29 2012-05-09 김민겸 외부전원연결 또는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KR20130021240A (ko) * 2011-08-22 2013-03-05 한옥희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1527852B1 (ko) * 2014-04-16 2015-06-11 주식회사 카티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키 관리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555A1 (ko) * 2017-12-27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모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79375A (ko) *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모지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11512618A (zh) * 2017-12-27 2020-08-07 三星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包括表情符号的消息的电子设备以其控制方法
US11349978B2 (en) 2017-12-2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including emoji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20111579A1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211265A (zh) * 2019-05-28 2019-09-06 韦勇 基于ar的家用智能门锁交互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
CN110211265B (zh) * 2019-05-28 2024-05-07 韦勇 基于ar的家用智能门锁交互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
KR20220080283A (ko) 2020-12-07 2022-06-14 김영자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696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2195B1 (en) Control imple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hardware device
US20210110686A1 (en) Video monitoring and alarm verification technology
KR102391829B1 (ko) 원격 모니터링을 구비한 전자 자물쇠
EP2738706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US8675071B1 (en) Video monitoring and alarm verification technology
CN108886469B (zh) 用于提供临时账户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852599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7797A (ko)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JP6240838B1 (ja) 住宅管理システム
US11627139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ecurity access permissions between in-camera users
KR201700116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18303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20210019218A (ko) 스마트 도어
KR20140135901A (ko) 출입통제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자 단말기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KR20190094727A (ko)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US202001773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slave device
JP2015121969A (ja) 携帯端末、業務情報管理システム、業務情報管理方法および業務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7361269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13164760A (ja) データ出力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6704380B2 (ja) 外部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TWM521661U (zh) 電子鎖具系統
JP3974350B2 (ja) 情報発行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8056991A (ja) 住宅管理システム
KR101902312B1 (ko) 직관적인 위젯 타입으로 정보 영역을 표시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