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401A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401A
KR20170045401A KR1020177010703A KR20177010703A KR20170045401A KR 20170045401 A KR20170045401 A KR 20170045401A KR 1020177010703 A KR1020177010703 A KR 1020177010703A KR 20177010703 A KR20177010703 A KR 20177010703A KR 20170045401 A KR20170045401 A KR 20170045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xt information
present
user
impor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ublication of KR2017004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4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Scroll)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문맥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 중 제1 부분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되는 중요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부분에 적용될 스크롤 움직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contex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ortion of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screen; Determining a degree of importance of a first portion of the content by reference and determining a scroll movement to be applied to the first portion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importance.

Description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ing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은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Scroll)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ing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최근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웹페이지, 전자 지도와 같은 전자적인 컨텐츠는 물론 신문, 책, 만화와 같이 전통적으로 종이 매체를 통해 제공되어 오던 컨텐츠까지도 개인용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 장치를 통해 전자적인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Recently, mobile terminal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and smart phones and tablets are widely used, and various contents are provided through personal computers or mobile terminal devices. For example, electronic contents such as web pages and electronic maps, as well as content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provided through paper media such as newspapers, books, and comics, are also provided in electronic form through personal computers or mobile terminal devices.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적인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술이 다양하게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에 소개된 기술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물을 단순히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실물의 종이를 넘기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내는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컨텐츠를 스크롤(Scroll)(혹은 드래그(Drag))함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 컨텐츠의 표시 상태를 일률적으로 제어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user interface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help users easily and conveniently use contents provided in an electronic form.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level of providing visual effects such as simply moving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content up, down, left, and right or turning over the actual paper, the content is scrolled (or dragg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ecessary to uniformly control th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an operation input from a user.

이에, 본 발명자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에 관한 문맥 정보 또는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행위에 관한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적용되는 스크롤 움직임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 has developed a technology for adaptively controlling the scroll motion applied to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onstituting the content or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se behavior of the user It came to the follow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획득되는 문맥 정보를 참조로 하여 컨텐츠 중 제1 부분의 중요도를 판단하고, 위의 판단되는 중요도를 참조로 하여 제1 부분에 적용될 스크롤 움직임을 결정함으로써,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에 관한 문맥 정보 또는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행위에 관한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적용되는 스크롤 움직임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contex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rtion of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etermines the importanc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obtained context information, The scroll motion to be applied to the first part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onstituting the content or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se behavior of the user, The other purpose is to adaptively control the mo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Scroll)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문맥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 중 제1 부분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되는 중요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부분에 적용될 스크롤 움직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contex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ortion of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screen; Determining a degree of importance of a first portion of the content by reference and determining a scroll movement to be applied to the first portion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importance.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Scroll)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를 획득하는 문맥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문맥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컨텐츠 중 제1 부분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중요도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되는 중요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부분에 적용될 스크롤 움직임을 결정하는 스크롤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controlling scrolling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the system comprising: a context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contex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art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a screen; There is provided a system including a priorit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importance of a first portion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context information, and a scroll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croll movement to be applied to the first portion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importance level .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other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내용에 관한 문맥 정보 또는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행위에 관한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컨텐츠에 적용되는 스크롤 움직임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에 대한 스크롤 움직임이 해당 컨텐츠의 문맥에 적합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motion applied to the content can be adap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onstituting the content or the contex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se behavior of the user, The scroll movement of the content can be appropriately displayed in the contex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의 효율을 높여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지루함을 덜어주면서도, 사용자가 컨텐츠에 포함된 중요한 부분을 간과하고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 user overlooks an important part included in the content while avoiding the boredom that the user feels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ime spent by the user in using the content Is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immersion feeling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Scroll)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적용되는 스크롤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crol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scroll movement applied to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contents) 또는 컨텐트란, 로컬(local)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거나 통신망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contents or content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igital information or individual information elements, which are stored in a local device or accessibl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etters, codes, sounds, sounds, images, Concept. Such content may comprise, for example, data such as text, images, moving pictures, audio, links (e.g., web link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se data.

스크롤 제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scroll control syste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롤(Scroll)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croll control system and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서버,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장치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의 스크롤 제어 시스템으로 채택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가 통상적으로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자체가 스크롤 제어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stylus) 펜, 적외선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스크롤이나 드래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수반되는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system having memory mean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e.g.,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etc.), a server,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opted as a scroll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terminal itself which normally displays the contents provided to the general user may be a scroll control system. Particularly, the scrol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oll control system that scrolls from a user using a touch screen, a keyboard, a mouse, a stylus pen, an infrared sensor, And input means for inputting various kinds of operations such as dragging and / or dragging, and a display means having a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time information accompanied by provid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crol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 시스템(100)은, 문맥 정보 획득부(110), 중요도 판단부(120), 스크롤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맥 정보 획득부(110), 중요도 판단부(120), 스크롤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스크롤 제어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스크롤 제어 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1, a scroll control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x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an importance level determination unit 120, a scroll control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the importance determining unit 120, the scroll control unit 130,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ystem Lt; / RTI >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scroll control system 1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modules,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These program modules may also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croll control system 100. [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implement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a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맥 정보 획득부(110)는 표시 수단의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may perform a function of obtaining contex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part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ing uni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는 컨텐츠의 해당 부분을 구성하는 내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맥 정보에는 컨텐츠 중 해당 문맥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내용의 종류, 밀집도, 난이도, 물리적 속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컨텐츠 중 해당 문맥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에 포함되는 실질 영역의 크기, 그림의 분량, 문자의 분량, 문자의 의미, 문자의 언어 국적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는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는 자동 인식을 통해 획득되거나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ype, density, difficulty, physical property, and the like of contents constitut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contents.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real area includ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the amount of the figure, the amount of the character,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the language nationality of the character,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may be obtained through automatic recognition that may be performed on the content, or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문맥 정보는 컨텐츠의 해당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이용 행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 행위에 관한 문맥 정보에는, 사용자(즉, 컨텐츠를 이용했거나 이용할 사용자)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이용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사용자(즉,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체류한 시간에 관한 정보, 사용자(즉,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이용한 빈도에 관한 정보, 사용자(즉,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가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선택(클릭, 터치 등)한 횟수에 관한 정보, 사용자(즉,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의 시선 추적(Eye Tracking)에 관한 정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포함되는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의 수 또는 중요도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us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xt information on the user's content use behavior includes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user (i.e., the user who used or used the content) use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the user (i.e., Information about a time at which the user (i.e., a user using the content) uses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user (i.e., a user using the conten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at least one portion (click, touch, etc.), information about eye tracking 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of the user (i.e., the user using the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r importance of points of interest (POIs) included in the portion of the POI.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도 판단부(120)는 위와 같이 획득된 문맥 정보를 참조로 하여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도는 절대적인 수치나 상대적인 우선순위로서 정량화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ortance level determiner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importance level of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ortance can be quantified as an absolute number or a relative priority.

예를 들면, 웹툰(Webtoon) 중 문자의 분량이나 말풍선의 수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많거나 해당 웹툰을 읽은 다른 사용자가 주목한 정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높은 컷(cut)은 다른 컷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For example, a cut having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or speech bubbles in a webtoon, or a user having read the webtoon at a higher level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cuts Can be judged to be high.

다른 예를 들면, 연락처 중 사용자와 연락하는 빈도가 높은 사람의 연락처가 표시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ortion of the contact where the contact with the user is frequently displayed may be determin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por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기사(article) 중 사용자가 아직 읽지 않은 부분은 사용자가 이미 읽은 부분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an article that the user has not yet read may b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a portion that the user has already read.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책 중 해당 전자책을 읽은 다른 사용자의 집중도가 높았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an e-book that has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by another user who reads the e-book may be judg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por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지도 중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관심 지점(POI)을 포함하고 있거나 중요도 또는 인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 지점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rtion of the electronic map that include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oints of interest (POIs) or that includes points of interest having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or popularity may be judged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portions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 제어부(130)는 위와 같이 판단된 중요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적용될 스크롤 움직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 제어부(130)는, 표시 수단의 화면 상에 제1 부분이 표시되면, 위의 결정된 스크롤 움직임을 제1 부분에 적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scroll movement to be appli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impor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or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the scroll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pplying the determined scroll movement to the first por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스크롤 움직임에는, 해당 부분이 표시되는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움직임, 해당 부분이 표시되는 가상의 평면을 회전시키는 움직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oll movement that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contents includes a movement for enlarging or reducing a size at which the portion is displayed, a virtual plane for displaying the portion, Motion, and so 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제어부(130)는, 컨텐츠 중 제1 부분의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이면, 제1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되도록 결정함으로써 제1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croll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first por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when the importanc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content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Can be relatively emphasized and displayed.

도 2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복수의 컷(cut)으로 구성되는 웹툰이 표시 수단의 화면 상에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래 방향의 스크롤 조작(201)을 행하면서 웹툰을 읽는 중에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제1 컷(210)이 화면에 등장하면, 제1 컷(210)이 다른 컷들(220)에 비하여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2의 (a) 및 (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컷(210)이 확대됨에 따라 제1 컷(210)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컷(210)의 해상도가 주변의 다른 컷들(220)의 해상도와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도 2의 (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래 방향의 스크롤 조작(201)을 계속 행함에 따라 제1 컷(210)이 화면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면, 앞서 확대되었던 제1 컷(210)이 점차 축소되어 종전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도 2의 (c) 참조).Referring to FIG. 2, it can be assumed that a webto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cuts having different importance levels is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screen 210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n importance while reading the webtoart while performing the downward scroll operation 201, The cut 210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compared to the other cuts 220 (see FIGS. 2A and 2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image quality of the first cut 210 from being degraded as the first cut 210 is enlarged, (See Fig. 2 (b)).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cut 210 gradually deviates from the screen as the user continues to perform the downward scroll operation 201, the previously enlarged first cut 210 gradually expands And can be displayed in the previous size (see FIG. 2 (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 제어부(130)는, 컨텐츠 중 제1 부분의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이면, 제1 부분이 표시되는 가상의 평면을 가로 축, 세로 축 및 높이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즉, 피치(pitch), 요(yaw) 및 롤(roll)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거나), 제1 부분이 표시되는 가상의 평면을 가로 축, 세로 축 및 높이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제1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mportance level of the first portion of the conte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scroll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virtual plane on which the first portion is displayed as the horizontal axis, (I.e., rotat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pitch, yaw, and roll), or a virtual plane in which the first portion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first portion relatively emphasized and displayed as compared with the other portions by enlarging or reducing along at least one axis of the horizontal axis, the vertical axis and the height axi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중요도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잡고 있는 자세, 사용자의 시선 방향 등의 상황 정보를 더 참조로 하여,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즉, 컨텐츠가 표시되는 가상의 평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거나 컨텐츠(즉, 컨텐츠가 표시되는 가상의 평면)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control unit 130 displays, on the screen of the device, not only the importance of contents but also the context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attitude holding the device, (That is, a virtual plane o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or to enlarge or reduce the content (i.e., the virtual plane o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도 3을 참조하면,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310)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321, 322, 323)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331, 332, 333)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화면 상에 표시될 컨텐츠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321, 322, 323)을 따라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ent 31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rotated (331, 332, 333) around three axes 321, 322, and 323 orthogonal to each other. 3,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enlarged or reduced by zooming in or zooming out along three axes 321, 322, and 323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복수의 연락처 항목으로 구성되는 연락처 리스트(410)가 화면 상에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제1 연락처(411)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연락처 리스트(410)가 제1 축을 중심으로 하여 피치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을 따라 줌인될 수 있다(도 4의 (a)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제2 연락처(412)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연락처 리스트(410)가 제2 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yaw)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축에 직교하는 제1 축을 따라 줌인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제3 연락처(413)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연락처 리스트(410)가 제3 축을 중심으로 하여 롤(roll)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4의 (c) 참조).Referring to FIG. 4, it is assumed that a contact list 4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act item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importance is provided on the screen. In this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list 410 is rotated in the pitch direction about the first axis so that the first contact 411 whose importance level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level can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And can be zoomed along a second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see Fig. 4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list 410 may be rotated (rotated) in the yaw direction about the second axis so that the second contact 412 whose importance level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level can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And can be zoomed in along a first axis orthogonal to the second axis (see FIG. 4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list 410 may be rotated (rotated) in the roll direction about the third axis so that the third contact 413 whose importance level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level can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See Fig. 4 (c)).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롤 제어부(130)는, 위와 같이 획득된 문맥 정보를 참조로 하여,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해당 부분의 문맥 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이 서로 연관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서로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는 피드백에는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촉각적 피드백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각 피드백의 속성(시간, 세기, 패턴, 종류 등)은 문맥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controller 130 refers to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and feedba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contents and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like.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that can b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nt may include visual feedback, auditory feedback, tactile feedback, and the like, and the attributes (time, Type, etc.) can be adap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510, 520, 530, 540)으로 구성되는 컨텐츠 리스트가 화면 상에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첨부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제1 컨텐츠(510)에는 시각적 피드백(551)(예를 들면, 팝업 메시지, 컬러 반전 등)이 대응될 수 있고, 중요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제2 컨텐츠(520) 및 제3 컨텐츠(540)에는 각각 촉각적 피드백(552)(예를 들면, 진동 등) 및 청각적 피드백(553)(예를 들면, 효과음 등)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크롤 조작(501)을 행하는 중에 어떤 컨텐츠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어 있는 피드백(551, 552, 553)이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is assumed that a content lis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510, 520, 530, and 540 having different importance levels is provided on the screen. In such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sual feedback 551 (e.g., a pop-up message, color reversal, etc.) may be associated with the first content 510 containing the attachment, Tactile feedback 552 (e.g., vibration) and auditory feedback 553 (e.g., effect sound) are applied to the second content 520 and the third content 540, respectively, . For example, when a user touches any content while performing the scroll operation 501, feedback 551, 552, and 553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may occu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40)는 스크롤 제어 시스템(100)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scroll control system 10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문맥 정보 획득부(110), 중요도 판단부(120), 스크롤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스크롤 제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문맥 정보 획득부(110), 중요도 판단부(120), 스크롤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the importance determining unit 120, the scroll control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40 .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scroll control system 100 from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the importance determining unit 120, the scroll control unit 130,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perform unique function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스크롤 제어 시스템
110: 문맥 정보 획득부
120: 중요도 판단부
130: 스크롤 제어부
140: 통신부
150: 제어부
100: Scroll control system
110: Context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0:
130:
140:
150:

Claims (1)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Scroll)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KR1020177010703A 2014-08-29 2015-08-31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KR201700454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59 2014-08-29
KR20140113859 2014-08-29
PCT/KR2015/009121 WO2016032303A1 (en) 2014-08-29 2015-08-31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croll on basis of context information, and non-tempor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83A Division KR101730381B1 (en) 2014-08-29 2015-08-31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401A true KR20170045401A (en) 2017-04-26

Family

ID=554000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83A KR101730381B1 (en) 2014-08-29 2015-08-31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KR1020177010703A KR20170045401A (en) 2014-08-29 2015-08-31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83A KR101730381B1 (en) 2014-08-29 2015-08-31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30381B1 (en)
WO (1) WO20160323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26B1 (en) * 2017-12-08 2019-10-21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controlled or synthesized in accordance with an interaction of us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77B1 (en) * 2006-03-30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user data in a portable terminal
KR20090084015A (en) * 2008-01-31 2009-08-05 주식회사 블로그칵테일 Method and system for valuating personal media contents
JP5070194B2 (en) 2008-12-26 2012-1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ontent list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20192118A1 (en) * 2011-01-24 2012-07-26 Migos Charles J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JP5667469B2 (en) * 2011-02-24 2015-02-12 京セラ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20140017429A (en)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screen oper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18A (en) 2016-06-01
KR101730381B1 (en) 2017-04-26
WO2016032303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799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using augmented reality
US10409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gital content using eye movement
CN111339032B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9898180B2 (en) Flexible touch-based scrolling
US10304163B2 (en) Landscape springboard
KR101041338B1 (en) Motion Compensation for Screen
US8863039B2 (en) Multi-dimensional boundary effects
AU2014312481B2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US20120066638A1 (en) Multi-dimensional auto-scrolling
US10839139B2 (en) Glyph aware snapping
JP2016500872A (en) Multi-mode user expressions and user sensations as interactive processing with applications
US11379112B2 (en) Managing conten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enabled device
KR102310654B1 (en) Resizing technique for display content
KR201301150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associated with e-book in terminal
KR20130116241A (en) Branded browser frame
TW201435713A (en) Preserving layout of region of content during modification
CN108292193B (en) Cartoon digital ink
KR101730381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US10073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ly weighted user input elements for performing critical actions
US11592963B2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9530183B1 (en) Elastic navigation for fixed layout content
KR201001076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US20190294292A1 (en) Proximity selector
KR10250883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KR101848475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croll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