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039A -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039A
KR20170042039A KR1020150141444A KR20150141444A KR20170042039A KR 20170042039 A KR20170042039 A KR 20170042039A KR 1020150141444 A KR1020150141444 A KR 1020150141444A KR 20150141444 A KR20150141444 A KR 20150141444A KR 20170042039 A KR20170042039 A KR 2017004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mobile device
augmented reality
user
ro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243B1 (en
Inventor
우운택
김재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4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243B1/en
Publication of KR2017004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mobile device is located in a region of interest (RoI) which indicates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boundary from a point of interest (PoI); a step of executing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to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at least one among the RoI and the PoI on a two-dimensional map through a display part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not located in the RoI; and a step of executing an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to display a PoI menu and a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display part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RoI.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a reality sense of a guide system.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service to a user us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roviding a guide service to a user based on an augmented reality.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향상된 현실감을 갖는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3-차원 (3D) 가상 정보는 사용자의 주위 환경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AR 기술을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현실 정보 및 가상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혼합된 환경을 본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혼합된 정보를 별개의 개체로 해석하지 않고 통합된 개체로 해석하며, 이는 AR의 본질적인 특성을 강조한다. 여기서, AR 은 사용자가 매개 (mediation) 의 부재를 중요시하도록 한다 (비특허문헌 1 참조).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enables a user experience with enhanced realism. Three-dimensional (3D) virtual information uses AR technology to enhance the user's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user sees a mixed environmen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real information and virtual information. Typically, the user interprets the mixed information as an integrated entity rather than as a separate entity, which highlight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R. Here, the AR allows the user to emphasize the absence of mediation (see Non-Patent Document 1).

AR 기술은, 야외 환경과 같은 물리적으로 넓은 지역에서 가이드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온전한 현실감을 유지시킨다. 가이드는 본질적으로, 관광객이 어디에 있는지, 그/그녀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를 아는 것, 그녀가 제기할 수 있는 질문을 예측하고 대답할 수 있는 것, 및 다른 사람들 및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비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가이드 시스템의 본질과 통합된 AR 시각화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여전히 컴퓨터-매개 환경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매개의 부재를 인식하기는 어렵다 (비특허문헌 3 참조). 따라서, 가이드 시스템으로의 적합한 AR 기술의 사용이 중요하다.AR technology maintains a sense of realism when used as a guidance system in a physically large area such as an outdoor environment. The guide essentially provides the ability to know where the tourists are, know what he / she is looking at, predict and answer questions that she may raise, and interact with others and the environment (See Non-Patent Document 2). However, although it is efficient to use the AR visualization technology integrated with the essence of the guide system, it is still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absence of the mediation because it is still 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 (see Non-Patent Document 3). Therefore, the use of suitable AR technology in the guidance system is important.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이 가이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으나, AR 을 이용하는 야외 가이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실내 가이드 시스템에 비해 훨씬 많은 도전과 문제를 발생시킨다 (비특허문헌 4 참조). 증강된 가이드 정보의 연속적인 스트림은 주위에 대한 일정한 사용자 주의를 요구하고, 사용자가 현실 정보에 집중할 수 없게 하는 도움이 되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궁극적으로 실제 및 가상 정보의 증강의 직관적인 특성을 감소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augmented reality can be used for the guide service, but the development of the outdoor guide system using the AR generates much more challenges and problems than the indoor guide system (see Non-Patent Document 4). A continuous stream of augmented guide information requires constant user attention to the surroundings, provides unhelpful information that prevents a user from concentrating on real information, and ultimately provides an intuitive characteristic of enhancing real and virtual information .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46230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4623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55869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5586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1011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4101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22176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22176

R. Azuma, "The challenge of making augmented reality work outdoors." In Mixed Reality: Merging Real and Virtual, 1999, pp. 379-390. R. Azuma, "The challenge of making augmented reality work outdoors." In Mixed Reality: Merging Real and Virtual, 1999, pp. 379-390. G. D. Abowd, et al. "Cyberguide: A mobile context-aware tour guide," Wireless networks, vol. 3, 1997, pp.421-433. G. D. Abowd, et al. "Cyberguide: A mobile context-aware tour guide," Wireless networks, vol. 3, 1997, pp. 421-433. M. Lombard, et al.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 3, 1997, pp.0-0. M. Lombard, et al.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 3, 1997, pp. R.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vol. 6(4), 1997, p.355-385. R.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vol. 6 (4), 1997, pp. 355-385. Sukan, M., Elvezio, C., Oda, O., Feiner, S., & Tversky, B. (2014, October). ParaFrustum: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guiding a user to a constrained set of viewing positions and orientations. InProceedings of the 27th annual ACM symposium on User interface software and technology(pp. 331-340). ACM. Sukan, M., Elvezio, C., Oda, O., Feiner, S., & Tversky, B. (2014, October). ParaFrustum: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guiding a user to a set of viewing positions and orientations. InProceedings of the 27th annual ACM symposium on User interface software and technology (pp. 331-340). ACM. Feiner, S., MacIntyre, B., Hollerer, T., & Webster, A. (1997). A touring machine: Prototyping 3D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s for exploring the urban environment. Personal Technologies, 1(4), 208-217. Feiner, S., MacIntyre, B., Hollerer, T., & Webster, A. (1997). A touring machine: Prototyping 3D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s for exploring the urban environment. Personal Technologies, 1 (4), 208-217.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목적은, 야외 가이드 시스템이 사용자 선호도와 관련한 증강에 의해 선택적으로 AR 을 시각화해야 할 수 있고, 증강이 직관적인 경우에만 증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반응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기반 가이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exempl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outdoor guidance system may have to selectively visualize the AR by the enhancement in relation to the user preference and can be augmented only when intensification is intuiti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mobile device capable of adapting to a reaction.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반 가이드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영역 (Region of Interest, RoI)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관심 영역은 관심 객체 (Point of Interest, PoI) 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의 영역을 나타내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상기 관심 영역 및 관심 객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2 차원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2 차원 지도 뷰 표시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와 관심 객체 메뉴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augmented reality (AR) based guided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a region of interest (RoI) The region representing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a point of interest (PoI);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not located within the area of interest,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area of interest and interest objects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on a two- step;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area of interest, wherei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displays a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and a menu of objects of interes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관심 객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view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interest i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includes the object of interest Step < / RTI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rotation) 또는 병진 (translation)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관심 객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view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interest i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rotation or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 ≪ / RTI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에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방향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view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the direc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in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does not include the object of interest . ≪ / RTI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관심 객체 및 제 2 관심 객체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1 관심 영역은 상기 제 1 관심 객체와 제 2 관심 객체를 전부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first ROI and the second ROI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ROI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ll of the first ROI and the second ROI.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심 객체로부터의 소정의 반경은 35 m 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object of interest may be 35 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관심 영역은 상기 제 1 관심 객체 및 상기 제 2 관심 객체의 중점으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를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region of interest may b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midpoints of the first ROI and the second ROI.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Head-mounted display),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may be a head-mounted display,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GPS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심 객체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from the object location information server of inter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심 객체의 거리를 기반으로, 2 차원 맵이 디스플레이되는 2 차원 뷰 표시 모드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뷰와 증강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가 상호 자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wo-dimensional view display mode in which a two-dimensional map is displayed based on a distance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n object of interest,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in which the augmented contents are displayed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each other.

따라서, 야외 가이드 시스템이 사용자 선호도와 관련한 증강에 의해 선택적으로 AR 을 시각화해야 할 수 있고, 증강이 직관적인 경우에만 증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반응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을 야외 환경에서의 가이드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가이드 시스템의 현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us, the outdoor guidance system may have to selectively visualize the AR by augmentation with respect to user preferences, and can only be augmented if intensification is intuitive, and it may be possible to adapt to user response. In addition, by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guide system in an outdoor environment, the reality of the guide system can be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2 는 관심 영역 및 관심 객체에 대한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의 예시도이다.
도 3 은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 및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system flow diagram of a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for a region of interest and an object of interest.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witching between the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and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u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the mobile device can be implemented.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이하, '야외 공간'이라 함은 실내 공간의 반대 개념으로, 건물이나 외벽으로 쌓여 있지 않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안과 같이 한정된 공간이 아닌, 예를 들어 반경 100 m 이상의 넓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term 'outdoor space' refers to a space opposite to the indoor space, which is not piled up on a building or an outer wall. In addition, it may mean a wide space, for example, a radius of 100 m or more, rather than a limited space such as a building.

한편, '2 차원 (2D) 지도' 는 현재 존재하는 2D 지도 서비스와 같이 조감도에 각종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지도를 의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2D map' may mean a map in which various posi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bird's-eye view as in the existing 2D map service.

한편,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입력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를 통해, 사용자가 바라보는 현실 세계에 3차원의 가상 정보를 출력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의 표시부에 띄워서 보여주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Meanwhil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is a technology in which a user inputs virtual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to an output device (eg, a camera) through an input device (for example,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한편, '가이드'는 사용자가 어느 곳을 투어하고 있는지 알려주고,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지 알려주는 한편, 사용자가 가지고 있을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 환경 또는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Guide' means telling where a user is touring, showing what they are looking at, giving answers to questions they have and allowing them to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or with others .

관련 기술Related Technology

최근 복수의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는 다양한 지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그림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또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2D 지도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가상적인 지도뿐만 아니라, 위성 지도, 로드 뷰와 같은 다양한 시각화 방법을 통해 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Recently, a variety of map services have been provided in various portal sit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various 2D map services based on a web or a smart phone may provide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nd searching for a place desired by a user. In addition to providing virtual maps, you can also provide guides through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such as satellite maps and road views.

[그림 1] 다음 지도[Figure 1] Next map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한편, 예를 들어 Google™ 사의 Google Earth® 와 같이, 2차원적으로 표현한 지도뿐만 아니라 평면 디스플레이에 실제 3차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 정보 (주소, 구역 이름) 등을 검색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현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실 정보를 실감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not only two-dimensional maps such as Google ™ from Google ™, but also actual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on a flat display. In the case where the user searches for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ddress, zone name) and the like, real information can be realistically visualized by providing corresponding real information.

[그림 2] 구글 어스[Figure 2] Google Earth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다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도 서비스나 Google Earth® 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경로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취약점이 있었다. 즉, 지도상에서 특정 주소나 건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할 수는 있지만,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관심있어할 만한 객체의 위치를 정확히 가이드할 수는 없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ap service or Google Earth (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weak point that the user can not provide the correct route. That is, although it is possible to roughly display the location of a specific address or building on a map, it is not possible to precisely guide the position of an object that a user in a particular place may be interested in.

한편, 비특허문헌5를 참조하면, 하기의 그림 3 과 같이, 이미지 기반의 트래킹 기술과 머리 자세를 추정하는 센서를 기반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서서, 어디를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올바른 곳에 서있는지, 올바른 곳을 바라보고 있는지 확인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Non-Patent Document 5, based on an image-based tracking technique and a sensor for estimating a head posture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position where a user should stand in a limited space , And to provide information. It also mentions providing feedback to ensure that you are in the right place, and that you are looking at the right place, depending on your location.

[그림 3][Figur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특허문헌5에서는 실내공간, 즉 매우 한정된 공간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음을 전제로 상기와 같은 안내를 수행하기 때문에, 야외 환경에서의 가이드 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 non-patent document 5, since the above-mentioned guidance is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is located in an indoor space, that is, a very limited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a guide system in an outdoor environment.

비특허문헌6에서는, 하기의 그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 환경에서 네비게이션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면 증강된 가상 정보를 제공하고, 고개를 숙이면 2D 기반의 단순 가상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GPS 센서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In the non-patent document 6, as shown in FIG. 4 below, a system capable of navigating in an urban environment provides augmented virtual information when the user looks at the front, And the like. Also,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virtual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approximate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 GPS sensor.

그러나, 비특허문헌6에서는 정확한 위치 정보가 아닌 대략적인 위치 정보만을 증강시켜 제공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non-patent document 6, there is a limit to provide only the approximate positional information, not the accurate positional information.

[그림 4][Figur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가이드 시스템Guide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은, 예를 들어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Head-mounted display),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야외 공간에서 2D 지도와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술을 이용하여 관광객(사용자)에게 가이드를 해주는 기능적 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2D 지도 뷰와 AR 뷰가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가이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으며, AR 뷰를 통해 2D 지도 뷰에서는 하지 못했던 보다 구체적인 위치를 가이딩 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The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2D space in an outdoor space us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head-mounted display,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Mapping and Augmented Reality (AR) techniques can be used to provide functional elements that guide tourists (us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uide syste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2D map view and the AR view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and a system for guiding a more specific position that the 2D map view can not be provided through the AR view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의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시스템은 실제 사용자 위치 및 관심 객체 (Point of interest, PoI) 를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2차원 지도 뷰 (2D map view) 모드 및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뷰 모드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는 관심 객체가 위치하는 장소 및 관심 객체가 무엇인지 여부와 같은 관심 객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특정한 관심 객체로부터 멀리 위치한 사용자는, 2차원 지도 뷰 모드에서, GPS 기반 2D 맵을 통해 가이드 시스템으로부터 관심 객체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며, 2D 맵 상의 관심 객체 위치의 정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루트를 찾아 관심 객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관심 객체가 위치하고 있는 관심 영역 (Region of Interest, RoI) 에 접근하는 경우,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카메라 뷰(camera input video) 및 관심 객체 메뉴 (PoI Menu) 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1 is a system flow diagram of a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based on an actual user location and a point of interest (PoI). Such a system can automatically and interchangeably switch between a 2D map view mode and an Augmented Reality (AR) view mode. The user of the system is presumed to want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of interest, such as where the object of interest is located and what the object of interest is. A user located away from a particular object of interest ma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from the guide system via a GPS-based 2D map in a two-dimensional map view mode, To access the object of interest. When a user approaches a region of interest (RoI) in which a plurality of objects of interest are located, the system automatically selects an augmented reality view mode that displays a camera input video and a PoI Menu You can switch.

사용자가 관심 영역에 들어가는 경우, 가이드 시스템은 관찰 장소 - 관심 객체 - 관심 객체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이미지-기반 트래킹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 현실 시각화는 제한된 양의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사용자 위치 및 모바일 장치의 회전 (Rotation) 및 병진 (Translation) 을 기반으로 하는 더 많은 정보를 시각화할 수도 있다. 관심 영역에 접근하는 사용자는 먼저 관찰 장소로 가이드될 수 있고, 도착시에, 시스템은 관심 객체의 관찰 지점 (viewpoint) 을 시각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찰 지점과 카메라 위치를 일직선으로 맞추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관심 객체의 증강 현실 콘텐츠가 표시될 수도 있다. When a user enters a region of interest, the guiding system may augment the content of the site-of-interest-object of interest sequentially.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based on image-based tracking represents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Thus, the system may progressively visualize mor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location and the rotation and transla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user approaching the area of interest can be first guided to the observation site, and upon arrival, the system can visualize the viewpoint of the object of interest. When the user aligns the observation point and the camera position in a straight lin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of the object of interest may be displayed for the user's operation.

모바일 mobile 디바이스를Device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Augmented reality based guide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u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에 따르면 야외 공간에서 사용자의 실제 위치와 관심 객체 (Point of Interest, PoI) 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2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와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가 자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2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와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야외 공간에 다수의 관심 객체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관심 객체와 관련된 정보 중에서, 관심 객체의 정확한 위치 및 관심 객체에 담겨있는 정보를 모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s actual position and the point of interest (PoI) in the outdoor space, 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and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and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lect an accurate location of interest objects and objects of interes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ll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영역 (Region of Interest, RoI)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401). 여기서, 상기 관심 영역은 관심 객체 (Point of Interest, PoI) 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a region of interest (RoI) as shown in FIG. 4 (S401) . Here, the region of interest may represent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a point of interest (PoI).

도 2 는 관심 영역 및 관심 객체에 대한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의 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 영역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복수의 관심 객체 (PoI1 내지 PoI8) 가 존재할 수 있으며, 관심 객체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영역이 관심 영역 (RoI1 내지 RoI7) 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관심 객체로부터 어느정도 떨어진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설정할 지 여부는, 관심 객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심 객체로부터의 소정의 반경은 35 m 로 설정될 수 있다.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for a region of interest and an object of interest.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interested objects (PoI1 to PoI8) may be present in the outdoor area, and a region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bject of interest may be a region of interest (RoI1 to RoI7) Lt; / RTI > Whether or not to set an area which is far from the object of interest as the area of interes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object of interest or may vary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object of interest may be set to 35 m.

한편, 제 1 관심 객체 및 제 2 관심 객체가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1 관심 영역은 상기 제 1 관심 객체와 제 2 관심 객체를 전부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관심 영역 RoI 는 관심 객체 PoI 의 개수만큼 존재할 수 있지만, 관심 객체 PoI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일 경우에는 다수의 관심 객체를 하나의 관심 영역으로 통합 지정함으로써, 특정 관심 영역은 복수의 관심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를 참조하면, PoI4 와 PoI5 를 둘러싸고 있는 RoI3 과 같이, 하나의 관심 영역이 2 개의 관심 객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first ROI and the second ROI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ROI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ll of the first ROI and the second ROI. In other words, basically, the ROI can exist as many as the number of PoIs of interest, bu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Is of interes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ROIs are integrated into one ROI, May include objects of interes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one ROI may include two ROIs, such as RoI3 surrounding PoI4 and PoI5.

상기와 같이 하나의 관심 영역이 복수의 관심 객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상기 복수의 관심 객체들의 위치의 중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서 지정할 수도 있다. 즉, 제 1 관심 영역은 상기 제 1 관심 영역에 포함된 제 1 관심 객체 및 제 2 관심 객체의 중점으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영역을 나타낼 수도 있다. When one ROI includes a plurality of ROIs, an ROI having a distance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RO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signated as an ROI, As a region of interest. That is, the first ROI may represent a first ROI included in the first ROI and a regio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second ROI.

다시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 및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4, the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and an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can be freely switched.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아직 관심 객체와 관련된 영역인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관심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 보다는 관심 객체에 근접한 위치로 도달하기 위한 정보가 더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관심 영역 및 관심 객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2 차원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S402). 앞서 인용한 도 2 를 다시 참조하면,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에서는 2 차원 형태의 지도 상에서, 먼저 관심 객체 (PoI 1 내지 PoI 8), 관심 영역 (RoI 1 내지 RoI 7), 또는 양자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If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s not yet located in a region of interest that is an area of interest, the user may be more useful to reach the loca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than the side informa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Thus,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not located within the area of interest,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is provided that displays on the two-dimensional map at least one of the area of interest and the object of interest, (S402). Referring back to FIG. 2 cited above, in the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on the map of the two-dimensional form, first, the objects of interest (PoI 1 to PoI 8), the regions of interest (RoI 1 to RoI 7) can do. Fur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measured based on the GPS sensor of the mobile device can be further displayed.

따라서, 사용자는 2D 맵 뷰에서 자신의 대략적인 위치를 확인하고 관심 객체 PoI 가 존재하는 지역인 관심 영역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위치가 어떠한 관심 영역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서는 2D 맵 뷰로 관심 객체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Thus, the user can confirm his or her approximate position in the 2D map view and easily access the region of interest, which is the region where the PoI of interest is present. That is, when the user's position is not included in any area of interest, the posi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and the user's position can be roughly displayed in the 2D map view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한편, 사용자가 관심 객체가 존재하는 지역인 관심 영역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관심 객체에 대한 지리적인 정보보다는 관심 객체 자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더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와 관심 객체 메뉴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S403). 즉, 사용자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증강 현실 (AR) 뷰로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 입력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ㅂ비디오 스트림이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관심 객체에 연관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의 구현과 관련된 PoI 메뉴 (menu) 를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s approaching the region of interest, which is the region in which the object of interest exists, the user may wan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of interest itself rather than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of interest.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area of interest,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may be performed to display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object of interest menu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S403). That is, when the user is included in the area of interest, the AR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augmented reality (AR) view so that an input device such as a video stream input by the mobile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PoI menu associ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which may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interest.

이어서, 사용자는 카메라 뷰로 전환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특정 관심 객체를 바라보면, 그곳에 매칭된 가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가 나타내는 영상에, 관심 객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관심 객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기반 트래킹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 현실 시각화는 제한된 양의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사용자 위치 및 모바일 장치의 회전 (Rotation) 및 병진 (Translation) 을 기반으로 하는 더 많은 정보를 시각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회전 (rotation) 또는 병진 (translation) 움직임에 응답하여 관심 객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더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n, when the user looks at a particular object of interest with the mobile device switched to the camera view, the user can confirm the virtual information matched thereto. For example, the image represented by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object of interest is included 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interest. On the other hand,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based on image-based tracking may represent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Thus, the system may progressively visualize mor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location and the rotation and translation of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interest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rotation or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한편, 사용자가 관심 영역에 위치한 경우에도, 관심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심 객체의 크기가 매우 작을 수도 있으며, 관심 객체의 주변에 건축물, 건조물 등이 둘러 쌓여 있을 수도 있다. 종래의 지도 기반 위치 안내 서비스에서는 지리적 위치 정보만을 안내함으로써, 이러한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안내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user is located in the area of interest, the user may not immediate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object of interest. For example, the size of the object of interest may be very small, and structures, buildings, and the like may be enclosed in the vicinity of the object of interest. In the conventional map-based location guidance service, only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s guid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guide such specific location.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은,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에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방향을 더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의 표시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와 관심 객체의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관심 객체 방위 정보,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센서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카메라뷰 방위 정보가 이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does not include the interest object, To further display the direction for the object of interes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sensors such as the gyroscop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object orientation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location and the object of interest, The calculated camera view azimuth information may be used.

도 3 은 2 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 및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의 전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의 작동 중에, 사용자가 관심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다시 2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와 다수의 PoI의 위치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의 작동 중에, 사용자가 관심 영역 내로 이동하면, 자동적으로 증강 현실 뷰 모드가 작동될 수 있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witching between the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and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3, when the user moves out of the area of interes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the mode is again switched to the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and the user input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PoIs to the mobile device Can be confirmed through Further, during operation of the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mode, when the user moves into the area of interest, the augmented reality view mode can be automatically activated.

시스템 구성도System configuration diagram

도 5 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은 입력 장치, 관심 영역 및 사용자 위치 인식 콤포넌트, 화면 가시화 콤포넌트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the mobile device can be implemented. 5, an augmented reality-based guide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device, a region of interest and a user location recognition component, a screen visualization component, and an output device ≪ / RTI >

입력 장치는 시스템 입력으로서, 카메라와 같은 입력 장치 뿐만 아니라, GPS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같은 내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영역 및 사용자 위치 인식 콤포넌트는 GPS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관심 객체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획득한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기반 관심 객체 위치 및 사용자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화면 가시화 콤포넌트는 2차원 지도 뷰 표시 모드에 사용되기 위한 2D 지도 기반의 관심 객체 및 사용자 위치를 가시화할 수 있고, 증강 현실 뷰 표시 모드에 사용되기 위한 증강현실 기반 관심 객체 및 관찰 시점을 가시화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s system inputs, an input device such as a camera, as well as an internal sensor such as a GPS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The ROI and the user location recognition component can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GPS sensor and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I acquired from the ROI serv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an image-based object of interest and a user's viewpoint. The screen visualization component can visualize the object of interest and the user location based on the 2D map for use in the 2D map view display mode and can visualize the object of interest and observation point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for use in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mode have. The output device may operate as a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Claims (3)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반 가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영역 (Region of Interest, RoI)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관심 영역은 관심 객체 (Point of Interest, PoI) 로부터 소정 반경 이내의 영역을 나타내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상기 관심 영역 및 관심 객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2 차원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2 차원 지도 뷰 표시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와 관심 객체 메뉴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반 가이드 방법.
An augmented reality (AR) based guiding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a region of interest (RoI), the region of interest representing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a point of interest (PoI);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not located within the area of interest, displaying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a two-dimensional map view display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area of interest and interest objects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on a two- step; And
Displaying a camera view and an object of interest menu of the mobile device on a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area of interest, Augmented reality, AR) based guided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관심 객체와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step,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in a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interest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includes the object of interes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뷰 표시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가 상기 관심 객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뷰에 상기 관심 객체에 대한 방향을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 가이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ugmented reality view display step,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in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a direction for the object of interest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mera view of the mobile device does not include the object of interest.
KR1020150141444A 2015-10-08 2015-10-08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KR102583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44A KR102583243B1 (en) 2015-10-08 2015-10-08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44A KR102583243B1 (en) 2015-10-08 2015-10-08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039A true KR20170042039A (en) 2017-04-18
KR102583243B1 KR102583243B1 (en) 2023-09-27

Family

ID=5870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444A KR102583243B1 (en) 2015-10-08 2015-10-08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24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7134B2 (en) 2017-05-30 2021-08-10 Artglass Usa, Llc Augmented reality smartglasses for use at cultural sites
KR20210132345A (en) 2020-04-27 2021-11-04 (유)엔와이텔 A mobile guide node as an ar marker to support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ervice
US11509742B2 (en) 2019-10-10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mputing service
WO2024034755A1 (en) * 2022-08-12 2024-02-1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on basis of user terminal being positioned in preset custom area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2112A (en) * 2009-07-21 2011-02-03 Kddi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oint of interest
US20110242134A1 (en) * 2010-03-30 2011-10-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character to maintain and exhibit awareness of an observer
KR20110122176A (en) 2009-02-17 2011-11-0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Solar battery module
KR20110134658A (en)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ugumented reality
KR20130041011A (en) 2013-03-20 2013-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Hydrocarbon reforming catalys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uel treatm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49351A (en) * 2011-11-04 2013-05-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matching related information
KR20130055869A (en) 2011-11-21 2013-05-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Icebreaking edge for ship
KR20130138141A (en) * 2012-06-08 201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 arrangement of nearby loc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176A (en) 2009-02-17 2011-11-0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Solar battery module
JP2011022112A (en) * 2009-07-21 2011-02-03 Kddi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point of interest
US20110242134A1 (en) * 2010-03-30 2011-10-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character to maintain and exhibit awareness of an observer
KR20110134658A (en)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ugumented reality
KR20130049351A (en) * 2011-11-04 2013-05-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matching related information
KR20130055869A (en) 2011-11-21 2013-05-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Icebreaking edge for ship
KR20130138141A (en) * 2012-06-08 201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 arrangement of nearby location information
KR20130041011A (en) 2013-03-20 2013-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Hydrocarbon reforming catalys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uel treatm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einer, S., MacIntyre, B., Hollerer, T., & Webster, A. (1997). A touring machine: Prototyping 3D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s for exploring the urban environment. Personal Technologies, 1(4), 208-217.
G. D. Abowd, et al. "Cyberguide: A mobile context-aware tour guide," Wireless networks, vol. 3, 1997, pp.421-433.
M. Lombard, et al.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 3, 1997, pp.0-0.
R.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vol. 6(4), 1997, p.355-385.
R. Azuma, "The challenge of making augmented reality work outdoors." In Mixed Reality: Merging Real and Virtual, 1999, pp. 379-390.
Sukan, M., Elvezio, C., Oda, O., Feiner, S., & Tversky, B. (2014, October). ParaFrustum: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guiding a user to a constrained set of viewing positions and orientations. InProceedings of the 27th annual ACM symposium on User interface software and technology(pp. 331-340). AC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7134B2 (en) 2017-05-30 2021-08-10 Artglass Usa, Llc Augmented reality smartglasses for use at cultural sites
US11509742B2 (en) 2019-10-10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mputing service
KR20210132345A (en) 2020-04-27 2021-11-04 (유)엔와이텔 A mobile guide node as an ar marker to support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service
WO2024034755A1 (en) * 2022-08-12 2024-02-1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on basis of user terminal being positioned in preset custom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243B1 (en)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7567A1 (en) Augmented reality maps
US93612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ing text onto surfaces in geographic imagery
US952596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providing interactive navigational assistance using movable guidance markers
Möller et al. A mobile indoor navigation system interface adapted to vision-based localization
US20090319178A1 (en) Overlay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oints of interest of direction based data services
US9851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rking objects in images displayed on a portable unit
US8620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hysically moving a portable unit to view an image of a stationary map
US8836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3-D object from a 2-D display of a portable unit
KR102583243B1 (en) A method for guid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mobile device
Pierdicca et al. Cyberarchaeology: improved way findings for archaeological parks through mobile augmented reality
Jang et al. Exploring mobile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for pedestrians
Suomela et al. Context compass
Partala et al. Speed-dependent camera control in 3D mobile roadmaps
Suomela et al. Taxonomy for visualiz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Burkard et al. Mobil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framework
JPWO2010150643A1 (en) Information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u et al. Mirrormap: augmenting 2d mobile maps with virtual mirrors
Gardiner et al. EgoViz–a mobile based spatial interaction system
Bednarczyk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Supporting Building Facades Visualization
Liarokapis et al. Navigating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using Location and Orientation-based Services
JP2019045958A (en) Spot information display system
Mantoro et al. Pragmatic framework of 3D visual navigation for mobile user
Mower Creating and delivering augmented scenes
Liarokapis et al. Mixed reality for exploring urban environments.
Schmidt et al. Off-Route Virtual Landmarks To Help Pedestrian Indoor 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