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619A -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 감지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 - Google Patents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 감지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619A
KR20170037619A KR1020177004002A KR20177004002A KR20170037619A KR 20170037619 A KR20170037619 A KR 20170037619A KR 1020177004002 A KR1020177004002 A KR 1020177004002A KR 20177004002 A KR20177004002 A KR 20177004002A KR 20170037619 A KR20170037619 A KR 2017003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river
source
display
connectors
source dr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638B1 (ko
Inventor
스티븐 엘 모레인
타이-치엔 리우
쉬리람 쿨카르니
조셉 커스 레이놀즈
Original Assignee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글래스와 같은 기판 상에 배치된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에 개선된 라우팅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다양한 특징들은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라우팅들의 상이한 특성들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t-형 커넥터는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된 전압이 대략적으로 동등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라우팅들은 위치들에서 지역 소비량을 감소시키도록 테이퍼링될 (즉, 폭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들에서 그러한 실행은 바람직하지만, 더 많은 공간을 갖는 지역들에서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라우팅들은 또한, 개선된 디커플링 커패시턴스와 같은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층된 전원 및 접지 트레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특징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 감지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ROUTING FOR AN INTEGRATED DISPLAY AND INPUT SENSING DEVICE}
실시형태들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소스 드라이버들에 커플링된 커넥터들에 대한 구성들을 라우팅하는 것과 관련된다.
근접 센서 디바이스들 (또한 터치패드들 또는 터치 센서 디바이스들이라 일반적으로 불림) 을 포함하는 입력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전자 시스템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근접 센서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종종 표면에 의해 디마크 (demark) 되는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그 표면에서 근접 센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오브젝트들의 존재, 위치 및/또는 모션을 결정한다. 근접 센서 디바이스들은 전자 시스템을 위해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 디바이스들은 종종 더 큰 컴퓨팅 시스템들 (예컨대,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들에 통합되거나 또는 그에 부수적인 불투명 터치패드들) 에 대한 입력 디바이스들로서 사용된다. 근접 센서 디바이스들은 또한, 종종 더 작은 컴퓨팅 시스템들 (예컨대, 셀룰러폰들에 통합된 터치스크린들) 에서 사용된다.
일부 근접 센서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터치 엘리먼트들과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양자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들을 통해 신호들 및 전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소스 드라이버들은 글래스와 같은 기판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기판에 부착하는 가요성 커넥터를 통해 오프-글래스 (off-glass) 칩들과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가요성 커넥터들은 기판상 라우팅들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들에 커플링된다. 이들 라우팅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또한,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또한, 기판 외부로 연장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과 전력 공급 신호들을 복수의 라우팅들을 통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커넥터들에서의 커넥터들의 수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서의 소스 드라이버들의 수의 비율은 1 대 1 또는 1 대 2 이외의 비율이다.
다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또한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또한,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또한, 디스플레이 신호들과 전력 공급 신호들을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들 중의 제 1 커넥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신호들과 전력 공급 신호들을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2 소스 드라이버와 제 3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들 중의 제 2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입력 디바이스는 복수의 센서 전극들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는 또한,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커플링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더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는 또한,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및 복수의 센서 전극들에 커플링되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구동하고 용량성 감지를 위해 복수의 센서 전극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디바이스는, 기판 외부로 연장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 감지 신호들 및 전력 공급 신호들을 복수의 라우팅들을 통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커넥터들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커넥터들에서의 커넥터들의 수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서의 소스 드라이버들의 수의 비율은 1 대 1 또는 1 대 2 이외의 비율이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들의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서 간략히 요약된 실시형태들의 더 특정적인 설명이 실시형태들을 참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일부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통상적인 실시형태들만을 도시하며, 따라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선 안 되며, 다른 효과적인 실시형태들이 인정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 의 입력 디바이스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도면이다.
도 2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패턴과 연관된 감지 영역에서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전극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센서 전극 패턴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인터페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2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라우팅을 위해 개선된 방식을 채용하는 입력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6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3 대 4 비율의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을 도시한다.
도 6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4 대 6 비율의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을 도시한다.
도 6c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핀들을 더 상세히 예시하는 소스 드라이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t-형 커넥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 의 t-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소스 드라이버 간의 라우팅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8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a 에 대하여 설명된 트레이스 지오메트리 특징들을 도시하는 트레이스 레이아웃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c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b 의 라인들 8C-8C 을 따라 취득된 트레이스 레이아웃의 횡단면도이다.
도 8d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b 의 라인들 8D-8D 을 따라 취득된 트레이스 레이아웃의 횡단면도이다.
도 9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을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기 위한 코너 커넥터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8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커넥터의 회로도 표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가능할 경우, 도면들에 공통인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정하도록 사용되었다. 일 실시형태의 엘리먼트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에 유리하게 통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은 그 특성이 단지 예시적이고,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들을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선행하는 기술 분야, 배경 기술, 간략한 요약 또는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어떤 표현되거나 암시된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의도는 전혀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글래스와 같은 기판 상에 배치된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에 개선된 라우팅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특징들은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라우팅들의 상이한 특성들을 개선한다. 예를 들어, t-형 커넥터는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된 전압이 대략적으로 동등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라우팅들은 위치들에서 지역 소비량을 감소시키도록 테이퍼링될 (즉, 폭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들에서 그러한 실행은 바람직하지만, 더 많은 공간을 갖는 지역들에서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라우팅들은 또한, 개선된 디커플링 커패시턴스와 같은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층된 전원 및 접지 트레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특징들 및 특성들이 하기에 제공된다.
지금부터 도면들에서,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 디바이스 (1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입력 디바이스 (100) 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 시스템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용어 "전자 시스템" (또는 "전자 디바이스") 는 광범위하게, 정보를 전자적으로 프로세싱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시스템을 지칭한다. 전자 시스템들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들은,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넷북 컴퓨터들, 태블릿들, 웹 브라우저들, 전자책 (e-book) 리더기들, 및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들 (PDA들) 과 같은 모든 사이즈들과 형상들의 퍼스널 컴퓨터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전자 시스템들은 입력 디바이스 (100) 또는 별개의 조이스틱들 또는 키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물리적인 키보드들과 같은 합성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전자 시스템들은 (리모트 컨트롤들과 마우스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디바이스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들과 프린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 디바이스들과 같은 주변장치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은 원격 단말들, 키오스크들, 및 비디오 게임 머신들 (예컨대, 비디오 게임 콘솔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 등등) 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은 통신 디바이스들 (스마트 폰들과 같은 셀룰러 폰들을 포함함), 및 미디어 디바이스들 (레코더들, 에디터들, 및 플레이어들, 예컨대 텔레비전들, 셋톱 박스들, 뮤직 플레이어들, 디지털 포토 프레임들, 및 디지털 카메라들을 포함함) 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전자 시스템은 입력 디바이스에 대해 호스트이거나 또는 슬레이브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 (100) 는 전자 시스템의 물리적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적절하게, 입력 디바이스 (100) 는 다음: 버스들, 네트워크들, 및 다른 유선 또는 무선 상호연결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자 시스템의 부분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예들로는 I2C, SPI, PS/2, 범용 직렬 버스 (USB), 블루투스, RF, 및 IRDA 를 포함한다.
도 1a 에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감지 영역 (120) 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오브젝트들 (140) 에 의해 제공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 디바이스 (또한 "터치패드" 또는 "터치 센서 디바이스" 라고도 종종 지칭됨) 로서 도시된다. 예시적인 입력 오브젝트들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들 및 스타일러스들을 포함한다.
감지 영역 (120) 은 입력 디바이스 (100) 가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입력 오브젝트들 (140) 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입력) 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상부, 주위, 내부 및/또는 근방의 임의의 공간을 망라한다. 특정 감지 영역들의 사이즈들, 형상들, 및 위치들은 실시형태마다 상당히 다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신호 대 잡음비들이 충분히 정확한 오브젝트 검출을 방해할 때까지, 감지 영역 (120) 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표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방향들에서 공간내로 연장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이 감지 영역 (120) 이 특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대략 밀리미터 미만, 수 밀리미터, 수 센티미터,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고, 이용된 감지 기술의 타입 및 원하는 정확도에 따라 상당히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들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임의의 표면들과의 비접촉,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입력 표면 (예를 들어, 터치 표면) 과의 접촉, 어느 정도의 양의 인가된 힘 또는 압력으로 커플링된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입력 표면과의 접촉,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입력을 감지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입력 표면들은, 센서 전극들이 내부에 상주하는 케이싱들의 표면들에 의해, 임의의 케이싱들 또는 센서 전극들 상에 제공된 페이스 시트 (face sheet) 들 등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감지 영역 (120) 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입력 표면상으로 돌출될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입력 디바이스 (100) 는 감지 영역 (120) 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센서 컴포넌트들 및 감지 기술들의 임의의 조합을 활용할 수도 있다. 입력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몇몇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용량성, 탄성 (elastive), 저항성, 유도성, 자기 음향성, 초음파, 및/또는 광학적 기법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은 1 차원, 2 차원, 3 차원, 또는 더 높은 차원의 공간들에 걸쳐 있는 이미지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은 특정 축들 또는 평면들을 따라 입력의 투영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일부 구현들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과 하나 이상의 투영들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일부 저항성 구현들에서, 가요성 및 전도성 제 1 레이어는 전도성 제 2 레이어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엘리먼트들에 의해 분리된다. 동작 동안, 이 레이어들에 걸쳐 하나 이상의 전압 구배 (gradient) 들이 생성된다. 가요성 제 1 레이어를 가압하는 것은 그 레이어를 충분히 휘어지게 하여 레이어들 간에 전기 접촉을 생성하여, 레이어들 간의 접촉 포인트(들) 를 반영한 전압 출력들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들 전압 출력들은 포지션 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일부 유도성 구현들에서, 하나 이상의 감지 엘리먼트들은 공진 코일 또는 코일들의 쌍에 의해 유도된 루프 전류들을 픽업 (pickup) 한다. 전류들의 크기, 위상, 및 주파수의 일부 조합이 그 후에 포지션 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일부 용량성 구현들에서, 전압 또는 전류가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인가된다. 인근의 입력 오브젝트들은 전기장의 변화들을 야기하며, 전압, 전류 등의 변화들로서 검출될 수도 있는 용량성 커플링의 검출가능한 변화들을 생성한다.
일부 용량성 구현들은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용량성 감지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들 또는 다른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들을 활용한다. 일부 용량성 구현들에서, 별개의 감지 엘리먼트들은 더 큰 센서 전극들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오믹 쇼트될 수도 있다. 일부 용량성 구현들은 균일하게 저항성일 수도 있는 저항성 시트들을 활용한다.
일부 용량성 구현들은 센서 전극들과 입력 오브젝트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의 변화들에 기초하는 "자기 커패시턴스 (self capacitance)" (또는 "절대 커패시턴스 (absolute capacitance)") 감지 방법들을 활용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근방의 입력 오브젝트는 센서 전극들 근방의 전기장을 바꾸고, 그에 따라 측정된 용량성 커플링을 변화시킨다. 일 구현에서, 절대 커패시턴스 감지 방법은 기준 전압에 대해 센서 전극들을 변조함으로써, 그리고 센서 전극들과 입력 오브젝트들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검출함으로써 동작한다. 기준 전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압 또는 가변 전압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기준 전압은 시스템 접지일 수도 있다.
일부 용량성 구현들은 센서 전극들 간의 용량성 커플링의 변화들에 기초하는 "상호 커패시턴스" (또는 "트랜스커패시턴스 (transcapacitance)") 감지 방법들을 활용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근방의 입력 오브젝트는 센서 전극들 간의 전기장을 바꾸고, 그에 따라 측정된 용량성 커플링을 변화시킨다. 일 구현에서, 트랜스커패시티브 감지 방법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 센서 전극들 (또한 "송신기 전극들") 과 하나 이상의 수신기 센서 전극들 (또한 "수신기 전극들")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검출함으로써 동작한다. 송신기 센서 전극들은 수신기 센서 전극들과 관련하여 변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센서 전극들은 송신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기준 전압과 관련하여 변조될 수도 있고, 수신기 센서 전극들은 결과적인 신호들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준 전압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기준 전압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압 또는 가변 전압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기준 전압은 시스템 접지일 수도 있다. 결과적인 신호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 신호들에, 및/또는 환경적 간섭의 하나 이상의 소스들 (예를 들어, 다른 전자기 신호들) 에 대응하는 효과(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 전극들은 전용 송신기들 또는 수신기들일 수도 있거나, 또는 송신하는 것과 수신하는 것 양자를 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부분으로서 도시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감지 영역 (120) 에서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 (100) 의 하드웨어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IC들) 및/또는 다른 회로부 컴포넌트들의 부분들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호 커패시턴스 센서 디바이스에 대한 프로세싱 시스템은 송신기 센서 전극들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회로부, 및/또는 수신기 센서 전극들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회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또한, 전자적으로 판독가능한 명령들, 예컨대 펌웨어 코드, 소프트웨어 코드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감지 엘리먼트(들) 근방에 함께 위치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의 컴포넌트들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감지 엘리먼트(들)에 가까운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및 다른 곳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00) 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주변장치일 수도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 및 그 중앙 프로세싱 유닛과는 분리된 하나 이상의 IC들 (아마도 연관된 펌웨어를 가짐) 상에서 실행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도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인 프로세서의 부분인 회로들 및 펌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입력 디바이스 (100) 를 구현하는 것에 전용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또한 다른 기능들,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동작시키는 것, 햅틱 액추에이터들을 구동하는 것 등을 수행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의 상이한 기능들을 핸들링하는 모듈들의 세트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모듈은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의 부분인 회로부,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모듈들의 상이한 조합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모듈들은 센서 전극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드웨어 동작 모듈들, 센서 신호들 및 포지션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싱 모듈들, 및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보고 모듈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모듈들은 입력을 검출하도록 감지 엘리먼트(들)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센서 동작 모듈들, 모드 변화 제스처들과 같은 제스처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모듈들, 및 동작 모드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모드 변화 모듈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및 제 2 모듈은 분리된 집적 회로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듈은 제 1 집적 회로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분리된 모듈이 제 2 집적 회로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추가로, 단일 모듈의 부분들이 다수의 집적 회로들에 걸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야기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감지 영역 (120) 에서의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 입력의 부족) 에 응답한다. 예시적인 액션들은 동작 모드들을 변화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커서 이동, 선택, 메뉴 네비게이션, 및 다른 기능들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액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입력 (또는 입력의 부족) 에 관한 정보를 전자 시스템의 일부 부분에 (예를 들어, 별개의 중앙 프로세싱 시스템이 존재한다면, 프로세싱 시스템 (110) 과 별개인 전자 시스템의 이러한 중앙 프로세싱 시스템에)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전자 시스템의 일부 부분은 사용자 입력에 대해 작용하기 위해, 이를 테면 모드 변화 액션들 및 GUI 액션들을 포함하는 전체 범위의 액션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싱 시스템 (110) 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감지 영역 (120) 에서의 입력 (또는 입력의 부족) 을 표시하는 전기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 (100) 의 감지 엘리먼트(들)을 동작시킨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전자 시스템에 제공된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전기 신호들에 대해 임의의 적절한 양의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센서 전극들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전기 신호들을 디지털화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필터링 또는 다른 신호 컨디셔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베이스라인을 감하거나 다르게는 베이스라인을 고려할 수도 있어, 정보가 전기 신호들과 베이스라인 간의 차이를 반영하도록 한다. 또 다른 추가 예들로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포지션 정보를 결정하고, 입력들을 커맨드들로서 인식하고, 핸드라이팅을 인식하는 등등을 할 수도 있다.
"포지션 정보" 는 본 명세서에 사용한 바와 같이, 절대 포지션, 상대 포지션, 속도, 가속도, 및 특히 감지 영역에서의 입력 오브젝트의 존재에 관한 다른 타입들의 공간 정보를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예시적인 "0 차원" 포지션 정보는 근방/먼 또는 접촉/비접촉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1 차원" 포지션 정보는 축을 따르는 포지션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2 차원" 포지션 정보는 평면에서의 모션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3 차원" 포지션 정보는 공간에서의 순간 또는 평균 속도들을 포함한다. 추가 예들은 공간 정보의 다른 표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에 걸쳐 포지션, 모션, 또는 순간 속도를 추적하는 이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포지션 정보에 관한 이력 데이터가 또한 결정 및/또는 저장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10) 에 의해 또는 일부 다른 프로세싱 시스템에 의해 동작되는 추가적인 입력 컴포넌트들로 구현된다. 이들 추가적인 입력 컴포넌트들은 감지 영역 (120) 에서의 입력을 위한 리던던트 기능성, 또는 일부 다른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a 은 입력 디바이스 (100) 를 이용한 아이템들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감지 영역 (120) 근방의 버튼들 (130) 을 도시한다. 다른 타입들의 추가적인 입력 컴포넌트들은 슬라이더들, 볼들, 휠들, 스위치들 등을 포함한다. 반대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어떤 다른 입력 컴포넌트들도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감지 영역 (120) 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액티브 영역의 적어도 부분과 오버랩한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 (100) 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오버랩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센서 전극들을 포함하고 연관된 전자 시스템에 대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동적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임의의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 (LED), 유기 LED (OLED), 음극선관 (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전계발광 (electroluminescence; EL),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디바이스 (100)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물리적 엘리먼트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은 디스플레이 및 감지를 위해 동일한 전기 컴포넌트들의 일부를 활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프로세싱 시스템 (110) 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입력 디바이스 (100) 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팅과 입력 감지 양자를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전극들은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팅할 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전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디스플레이 전극은 Vcom 전극 (공통 전극들) 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 소스 드라이브 라인들 (전극들), 게이트 라인 (전극들), 애노드 서브-픽셀 전극 또는 캐소드 픽셀 전극, 또는 임의의 다른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전극들은 적절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기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극들은 일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예를 들어, IPS (In Plane Switching), FFS (Fringe Field Switching) 또는 PLS (Plane to Line Switching)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에서의 투명 기판 (글래스 기판, TFT 글래스, 또는 임의의 다른 투명 재료) 상에, 일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예를 들어, PV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또는 MV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의 컬러 필터 글래스의 하부 상에, 발광 레이어 (OLED) 위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디스플레이 전극은 또한 "조합 전극" 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데, 이는 이 디스플레이 전극이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각각은 픽셀 또는 서브 픽셀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전극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적어도 2 개의 센서 전극들은 픽셀 또는 서브 픽셀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극을 공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제 1 센서 전극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과 용량성 감지를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전극들을 포함하고, 제 2 센서 전극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은 아니고 용량성 감지를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센서 전극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판들 사이에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모두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팅과 용량성 감지를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전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는 주기들 동안 입력 감지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과 입력 감지 양자를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전극을 동시에 구동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한 제 1 디스플레이 전극과 입력 감지를 위한 제 2 디스플레이 전극을 동시에 구동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오버랩하지 않는 주기들 동안 입력 감지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오버랩하지 않는 주기들은 비-디스플레이 업데이트 주기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비-디스플레이 업데이트 주기들은 공통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라인 업데이트 주기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적어도 디스플레이 라인 업데이트 주기 만큼일 수도 있다. 추가로, 비-디스플레이 업데이트 주기들은 공통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라인 업데이트 주기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라인 업데이트 주기보다 길거나 짧은 것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비-디스플레이 업데이트 주기들은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시작부에서 및/또는 디스플레이 프레임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쉴드 (shield) 신호로 센서 전극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쉴드 신호는 일정한 전압 신호 또는 가변 전압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가변 전압 신호인 쉴드 신호는 가드 신호로 지칭될 수도 있다. 추가로, 센서 전극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형태들은 완전히 기능하는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메커니즘들은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으로서 배포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메커니즘들은 전자 프로세서들에 의해 판독가능한 정보 베어링 매체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 (110) 에 의해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및/또는 기록가능/기입가능 정보 베어링 매체들) 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구현 및 배포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배포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매체의 특정 타입에 상관없이 동등하게 적용한다. 비일시적, 전자적으로 판독가능한 매체들의 예들은, 다양한 디스크들, 메모리 스틱들, 메모리 카드들, 메모리 모듈들 등을 포함한다. 전자적으로 판독가능한 매체들은 플래시, 광, 자기, 홀로그래픽, 또는 임의의 다른 저장 기술에 기초할 수도 있다.
도 1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 (100) 와 통합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150) 의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150) 은 서브-픽셀들 (152), 선택 엘리먼트들 (154), 게이트 라인들 (158), 소스 라인들 (156), 및 소스 드라이버 (160) 를 포함한다.
서브-픽셀 엘리먼트들 (152) 은 디스플레이용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도록 서브-픽셀 컬러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 엘리먼트 (154) 에 의해 활성화될 경우, 임의의 특정 서브-픽셀 엘리먼트 (152) 의 밝기는 변화될 수도 있다. 스크린 엘리먼트 (154)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신호는 그 밝기가 변화될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 엘리먼트들 (152) 에 대응하는 특정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 (158) 과 소스 드라이버 라인 (156) 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서브-픽셀 엘리먼트들 (152) 의 밝기는 그 후, 선택 엘리먼트 (154) 를 통해 변화될 것이다. 선택 엘리먼트들 (154) 은 게이트 드라이버 라인들 (158) 에 커플링된 게이트와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156) 에 커플링된 소스들을 갖는 트랜지스터들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150) 은 글래스와 같은 기판 (180) 상에 배치된다. 소스 드라이버 (160)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 (180) 상에 배치된 커넥터 (170) 를 통해 오프-글래스 타이밍 제어기 또는 다른 제어 칩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타이밍 제어기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은 입력 디바이스 (100) 내의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세서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커넥터 (170) 는 라우팅들 (172) 을 통해 전력 및 신호들을 소스 드라이버 (160) 에 제공한다. 입력 디바이스 (100) 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160) 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들 각각은 서브-픽셀 엘리먼트들 (152) 의 상이한 세트에 할당된다. 커넥터들 (170) 은 오프-기판 (예컨대, 오프-글래스) 제어 칩 (예컨대,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기) 와 소스 드라이버들 (160) 간의 커넥션을 제공하기 위한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들일 수도 있다. 커넥터들 (170) 과 소스 드라이버들 (160) 간의 온-기판 라우팅들의 다양한 특성들 및 특징들은 전력 소비율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성능 인자들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들 특성들이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된다.
타이밍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업데이트 정보 및/또는 입력 감지 정보를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160) 에 제공한다. 소스 드라이버 (160) 는 타이밍 제어기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감지를 위한 센서 전극들과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한 소스 전극들을 구동한다.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 (160) 는 센서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에 통신할 수도 있다. 소스 드라이버들 (160) 은 원시 센서 데이터, 부분적으로 프로세싱되거나 프로세싱된 센서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기는 입력 디바이스의 감지 영역 내에서 하나 이상의 입력 오브젝트들에 대한 포지션 정보를 결정하도록 센서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타이밍 제어기는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에 센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패턴과 연관된 감지 영역에서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전극들 (210) 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센서 전극 패턴의 일부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센서 전극 패턴은 용량성 감지를 수행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 (100) 의 감지 영역 (120) 에 포함될 수도 있다. 감지 전극들의 특정 패턴이 도시되고,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상이하게 동작하는 감지 전극들의 다른 패턴들이 입력 디바이스 (100) 에도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 및 설명의 명확함을 위해, 도 2 는 간단한 직사각형들의 패턴을 도시하고,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 않는다. 추가로,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 전극들 (210) 은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동일한 기판의 상이한 사이드들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230) 의 각각은 기판의 표면들 중 하나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상이한 전극들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230) 의 각각은 함께 부착될 수도 있는 분리된 기판들의 표면들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공통 기판의 동일한 사이드 또는 표면 상에 모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은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이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을 교차하는 영역들에서 점퍼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점퍼들은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로부터 절연된다.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은 제 1 방향으로 확장할 수도 있고,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은 제 2 방향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평행하거나, 직교하거나, 또는 대각방향일 수도 있다. 추가로, 센서 전극들 (210) 은 각각 동일한 사이즈 또는 형상, 또는 상이한 사이즈와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은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보다 더 클 (더 큰 표면 영역)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복수의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은 유사한 사이즈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 전극들 (210) 중 하나 이상의 사이즈 및/또는 형상은 센서 전극들 (210) 중 다른 하나 이상의 사이즈 및/또는 형상과 상이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센서 전극들 (210) 의 각각은 그들의 개별 기판들 상에 임의의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중 하나 이상은 공통 기판의 동일한 사이드 또는 표면 상에 배치되고, 감지 영역 (120) 에서 서로 분리된다. 센서 전극들 (120) 은 행렬 어레이로 배치될 수도 있고, 여기서 각각의 센서 전극은 행렬 센서 전극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센서 전극들 (210) 의 각각의 센서 전극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사이즈 및/또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의 행렬 어레이의 센서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사이즈와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변화할 수도 있다. 행렬 어레이의 각각의 센서 전극은 용량성 이미지의 픽셀에 대응할 수도 있다. 추가로, 행렬 어레이의 2 이상의 센서 전극들은 용량성 이미지의 픽셀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행렬 어레이의 각각의 센서 전극은 복수의 용량성 라우팅 트레이스들의 개별 용량성 라우팅 트레이스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센서 전극들 (210) 의 적어도 2 개의 센서 전극들 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그리드 전극들을 포함한다. 그리드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전극은 기판의 공통 사이드, 공통의 기판의 상이한 사이드들 및/또는 상이한 기판들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그리드 전극(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전압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 전극들 (210) 은 기판 상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도 있지만, 전극들은 예컨대, 커넥션 영역에서 - 감지 영역 (120) 의 외부에 함께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들에서, 플로팅 전극들은 그리드 전극과 센서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프로팅 전극, 그리드 전극 및 센서 전극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공통 전극 전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센서 전극들 (210) 의 절대 커패시턴스의 변화들을 결정하기 위해 센서 전극들 (210) 중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을 변조된 신호들 (즉, 절대 커패시턴스 감지 신호) 로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센서 전극들 (210) 중 제 1 전극 상에 송신기 신호를 구동하고, 결과적인 신호를 센서 전극들 (210) 중 제 2 전극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기 신호(들) 및 절대 커패시티브 감지 신호(들) 은 형상, 진폭, 주파수, 및/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그리드 전극을 쉴드 및/또는 가드 전극으로서 동작시키기 위해 쉴드 신호로 그리드 전극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프로세싱 시스템 (110) 은 그리드 전극과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들 간의 용량성 커플링이 결정될 수도 있도록 송신기 신호로, 또는 그리드 전극의 절대 커패시턴스가 결정될 수도 있도록 절대 용량성 감지 신호로 그리드 전극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쉴드 신호는 일정한 전압 또는 가변 전압 신호 (가드 신호) 중 하나를 갖는 신호를 지칭한다. 가드 신호는 센서 전극을 변조하는 신호와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도 있다. 추가로,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가드 신호는 센서 전극을 변조하는 신호보다 더 크거나 더 적은 진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가드 신호는 센서 전극을 변조하는 신호와 상이한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극을 전기적으로 플로팅하는 것은, 플로팅에 의해, 제 2 전극이 입력 디바이스 (100) 의 근방의 구동된 센서 전극으로부터 용량성 커플링을 통해 원하는 보호 파형을 수신하는 케이스들에서 보호하는 것의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것과 같이, 앞서 논의된 센서 전극 배열들 중 임의의 것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디스플레이 외부 또는 내부에 있는 기판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전극들 (210) 은 입력 디바이스 (100) 에서 렌즈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컬러 필터 글래스와 입력 디바이스의 렌즈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및/또는 그리드 전극(들) 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TFT 기판) 과 컬러 필터 글래스 사이에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글래스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은 입력 디바이스 (100) 의 컬러 필터 글래스와 렌즈 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전극들 (210) 모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글래스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센서 전극들은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판 상에 또는 상이한 기판들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센서 전극 배열들 중 임의의 배열에서, 센서 전극들 (210) 은 센서 전극들 (210) 을 송신기 및 수신기 전극들로 분배함으로써 트랜스커패시티브 감지를 위해 또는 절대 커패시티브 감지를 위해, 또는 이들 양자의 임의의 혼합을 위해 입력 디바이스 (100) 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전극들 (210) 또는 디스플레이 전극들 (예컨대, 소스, 게이트, 또는 기준 (Vcom)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쉴드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과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간의 로컬화된 용량성 커플링의 영역들은 "용량성 픽셀들" 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과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간의 용량성 커플링은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과 연관된 감지 영역에서 입력 오브젝트들의 근접도 및 모션에 따라 변화한다. 추가로,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과 입력 오브젝트 및/또는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과 입력 오브젝트 간의 로컬화된 커패시턴스의 영역들은 또한, "용량성 픽셀들" 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및/또는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의 절대 커패시턴스는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230) 과 연관된 감지 영역에서 입력 오브젝트들의 근접도 및 모션에 따라 변화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센서 패턴은 이들 용량성 커플링들을 결정하기 위해 "스캐닝"된다. 즉,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복수의 센서 전극들 (220) 은 송신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동된다. 송신기들은 하나의 송신기 전극이 한 번에 송신하거나, 또는 다수의 송신기 전극들이 동시에 송신하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다수의 송신기 전극들이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이들 다수의 송신기 전극들은 동일한 송신기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효율적으로 더 큰 송신기 전극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거나, 이들 다수의 송신기 전극들은 상이한 송신기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기 전극들은 제 2 복수의 센서의 결과적인 신호에 대한 그들의 결합된 영향들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코딩 방식들에 따라 상이한 송신기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수신기 센서 전극들 (170) 은 결과적인 신호들을 포착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결과적인 신호들은 용량성 픽셀들에서 용량성 커플링들의 측정치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센서 패턴을 스캔하는 것은 절대 감지 신호들로 제 1 및 제 2 복수의 센서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을 구동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센서 전극들로 결과적인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센서 전극들은, 한 번에 하나의 센서 전극이 구동되고 수신되거나, 또는 다수의 센서 전극들이 동시에 구동되거나 수신되도록, 구동되고 수신될 수도 있다. 결과적인 신호들은 용량성 픽셀들에서 또는 각각의 센서 전극을 따라 용량성 커플링들의 측정치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용량성 픽셀들로부터의 측정치들의 세트는 "용량성 프레임" 을 형성한다. 용량성 프레임은 픽셀들에서 용량성 커플링들을 나타내는 "용량성 이미지" 및/또는 각각의 센서 전극을 따른 용량성 커플링들을 나타내는 "용량성 프로파일"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수의 용량성 프레임들은 다수의 시간 주기들에 걸쳐 획득될 수도 있고, 그들 간의 차이들이 감지 영역에서 입력에 관한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시간 주기들에 걸쳐 획득된 연속하는 용량성 프레임들은 감지 영역에 들어가는, 감지 영역을 나가는, 그리고 감지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오브젝트들의 모션(들) 을 트래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의 배경 커패시턴스는 감지 영역에서 어떤 입력 오브젝트와도 연관되지 않는 용량성 프레임이다. 배경 커패시턴스는 환경 및 동작 조건들에 따라 변화하고, 다양한 방식들로 추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들은 어떤 입력 오브젝트도 감지 영역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지 않을 때 "베이스라인 프레임들" 을 취득하고, 그들의 베이스라인 프레임들을 그들의 배경 커패시턴스들의 추정치들로서 사용한다.
용량성 프레임들은 더 효율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센서 디바이스의 배경 커패시턴스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은 "베이스라이닝된 용량성 프레임들" 을 생성하기 위해 용량성 픽셀들에서 용량성 커플링들의 측정치들을 "베이스라이닝" 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즉, 일부 실시형태들은 용량성 프레임들을 형성하는 측정치들을 "베이스라인 프레임들" 의 적절한 "베이스라인 값들" 과 비교하고, 그 베이스라인 이미지로부터의 변화들을 결정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인터페이스 (3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커넥터 인터페이스 (300) 는 (라우팅들 (172) 과 유사할 수도 있는) 커넥션 트레이스들 (306) 을 통해 (커넥터 (170) 와 유사할 수도 있는) 커넥터 (304) 에 커플링되는 (소스 드라이버 (160) 와 유사할 수도 있는) 소스 드라이버 (302) 를 포함한다. 커넥션 트레이스들 (306) 은 소스 드라이버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해 소스 라인들 (156) 을 구동할 수도 있도록 소스 드라이버 (302) 에 신호들 및 전력을 제공한다.
커넥션 트레이스들 (306) 의 폭들은 커넥터 인터페이스 (300) 의 폭 (308) 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 커넥션 트레이스들 (306) 은 가로 방향으로 라인업되기 때문에, 각각의 커넥션 트레이스 (306) 는 커넥터 인터페이스 (300) 의 폭 (308) 의 특정 부분을 점유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커넥터 (304) 가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160) 에 신호들을 제공하는 도 3 에 도시된 구성에서, 다양한 트레이스들 (306) 의 폭 (예컨대, 커넥터 트레이스 (306) 의 폭 (310)) 은 신호 및 전력의 소스 드라이버 (160) 로의 충분히 낮은 저항성의 전달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일부 상황들에서, 2 대 1 과 같은 상이한 비율의 커넥터들 (304) 대 소스 드라이버 (160) 의 트레이스들은 이하 설명되는 것과 같이, 상이한, 더 적은 바람직한 저항성 특징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2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 (4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상황들에서, 전력 및 신호들을 소스 드라이버들 (302) 에 제공하는 커넥터들 (304) 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적은 커넥터들 (304) 이 더 낮은 제조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혜택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2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 (400) 는 하나의 커넥터 (404) 가 2 개의 상이한 소스 드라이버들 (402) 에 대한 전력 및 신호들을 공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커넥터 (402) 는 전력 및 신호들을 소스 드라이버 (404) 에 전달하는 트레이스들 (407) 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들 (404) 에 커플링된다.
2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 (400) 에 대하여, 트레이스들 (407) 의 수평 전환은 단일 커넥터 (402) 와 2 개의 소스 드라이버들 (404) 간에 라우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트레이스들 (407) 의 수평 전환은 라우팅을 위해 사용가능한 폭이 1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 (300; 도 3) 에서 사용가능한 폭 (308) 과 비교하여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트레이스들 (407) 은 폭 (408) 을 갖는 수평 영역을 통과하고, 폭 (408) 은 1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 (300; 도 3) 로 사용가능한 폭 (308) 보다 훨씬 작다. 폭의 감소는, 트레이스들이 더 좁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트레이스들의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높은 저항성은 더 큰 전력 손실을 초래하고, 배터리 수명등과 같은 2 대 1 커넥터 인터페이스 (400) 를 포함하는 입력 디바이스의 특징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라우팅을 위해 개선된 방식을 채용하는 입력 디바이스 (500) 의 개략도이다. 입력 디바이스 (500) 는 디스플레이 관련 엘리먼트들이 상부에 배치되는 기판 (502), 디스플레이 관련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기 (512), 및 타이밍 제어기 (512) 를 디스플레이 관련 엘리먼트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커넥터들 (510) 을 포함한다. 기판 (502) 뿐만 아니라, (커넥터 (510) 를 포함하는) 기판 (502) 상에 배치된 모든 엘리먼트들은 본원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기 (512) 는 커넥터들 (510) 을 통해, 그리고 라우팅 구성 (513)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들 (508)) 간에 레이아웃된 트레이스들의 시리즈) 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커플링된다.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기판 (502)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 (504) 내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506) (예컨대, 서브-픽셀들) 을 구동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506) 은 입력 감지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은 감지를 위해 입력 감지 엘리먼트들을 구동할 수도 있다. 기판 (502) 은 광학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과 연관된 광학 특성들을 갖는 글래스 기판일 수도 있다. 커넥터들 (510) 은 오프-기판 타이밍 제어기 (512) 와 온-기판 소스 드라이버들 (508)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신호들은,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 (508) 간에 라우팅되는 개별 신호들 및 전력을 위한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라우팅 구성 (513) 을 통해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들 (508) 간에 제공된다. 커넥터 (510) 와 소스 드라이버 간의 접속들은 트레이스 그룹 (516) 및 t-형 커넥터들 (514) 뿐만 아니라, 에지 커넥터들 (518) 로서 도 5 에 도시된다. 트레이스 그룹 (516) 은 전력 및 데이터 신호들을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제공하는 다수의 트레이스들을 포함한다. 전술된 것과 같은 t-형 커넥터들 (514) 은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의 탑 에지들 (520) 에 전력을 제공하는 트레이스들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탑 에지들 (520) 에 대하여, 실리콘 관통 전극 (through silicon via) 들 또는 유사한 기술이 소스 드라이버 (508) 의 다이를 통해 전력 및/또는 신호를 라우팅하는데 사용된다. 에지 커넥터들 (518) 은 유사하게 t-형 커넥터들 (514) 에, 가장 왼쪽 소스 드라이버의 좌상부 코너와 가장 오른쪽 소스 드라이버의 우상부 코너에 전력을 제공한다. 트레이스 그룹들 (516), t-형 커넥터들 (514), 및 에지 커넥터들 (518) 은 본원에 포함된 다양한 트레이스들의 특정 지오메트리를 도시하지 않고, 도 5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트레이스 지오메트리들에 관련된 추가의 세부사항이 하기에 제공된다.
도 4 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입력 디바이스 (500) 는 3 개의 커넥터들 (510) 대 4 개의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의 비율을 포함한다. 이는 도 3 에 도시된 1 대 1 비율과 도 4 에 도시된 2 대 1 비율 간의 중간 구성이다. 3 대 4 비율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활용된 커넥터들 (510) 의 수는 1 대 1 비율을 사용하는 것보다 적으며, 따라서 그 구성과 비교할 때 제작 비용들을 감소시킨다. 3 대 4 비율이 도시되지만, 다른 비율들이 가능한 것에 유의한다.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들 (508) 간에 트레이스들의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한 몇몇 기술들이 개시된다. 잡음 성능, 전압 매칭, 및 다른 특성들을 포함하는 트레이스들의 다른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또한 개시된다.
한 가지 기술은 양자의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제공된 전압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t-형 커넥터들 (514) 의 사용이다. t-형 커넥터들 (514) 을 통해 제공된 전압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506) 을 구동하는 소스 라인들에 대한 전력 공급이다. 2 개의 인접하는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제공된 전압이 균등하지 않다면, 시각적 아티팩트는 밝기 레벨이 전압에 의존하기 때문에, 스크린 상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밝기 차이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뚜렷한 수직선으로서 나타날 수도 있다. t-형 커넥터 (514) 가 이하 더 상세히 논의된다.
다른 기술은 트레이스들에 대한 테이퍼링의 사용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트레이스들은 그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트레이스의 특정 포인트들에서 폭을 증가시키는 것은 그 트레이스의 전체 저항성을 감소시킨다. 이는 트레이스들이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들의 세트로서 모델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레이스들의 세그먼트들이 더 넓을 수록 더 낮은 저항성을 가지며, 이는 트레이스의 총 저항성을 저하시킨다.
추가의 특징들이 라우팅 구성 (513) 의 다양한 양태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하 더 상세히 논의된다. 하나의 그러한 특징은 상이한 타입들의 전력 공급부들 간에 필터링을 제공하는 (도 5 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하 더 상세히 논의되는) 잡음 필터링 코너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그러한 특징은, 라우팅 구성 (513) 에 포함된 트레이스들이 적층된 전력 공급부 및 접지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트레이스들은 트레이스들의 평면들이 서로 평행하여 "평행 플레이트 커패시터" 를 형성하도록 적층된다. 이러한 적층된 구성은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정 장점들을 제공한다. 이들 추가의 특징들 (잡음 필터링 커넥터 및 적층된 트레이스들) 에 관한 추가의 세부사항이 이하 제공된다.
전술된 것과 같이, 도 5 는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들 (508) 간의 라우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그러므로 앞서 설명된 특징들의 모든 양태들의 세부사항들을 반드시 보여주지는 않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한 추가의 세브사항들이 추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제공된다.
도 6a 및 도 6b 는 소스 드라이버들 (508) 로의 전력 및 신호 라우팅이 커넥터들 (510) 간에 분배되는 예시적인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들이다. 이들 도면들은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대한 특정 핀 입력들 및 커넥터들 (510) 이 전력 및 데이터를 핀 입력들에 제공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6a 는 3 대 4 비율의 커넥터들 (510) 대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을 도시하고, 도 6b 는 4 대 6 비율의 커넥터들 (510) 대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을 도시한다.
도 6a 의 3 대 4 구성 (600) 에서, 3 개의 커넥터들 (510) 은 데이터 및 전력을 4 개의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3 개의 커넥터들 (510) 은 입력 핀들 (602) 에서, 데이터 및 전력을 t-형 커넥터들 (514), 트레이스들 (604), 및 에지 커넥터들 (518) 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제공한다. 상이한 입력 핀들 (602) 에는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은 상이한 기능들이 할당된다. 유사하게, 도 6b 의 4 대 6 구성에서, 4 개의 커넥터들 (510) 은 데이터 및 전력을 6 개의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제공한다.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특정 비율들이 도시되고, 커넥터들 (510) 과 소스 드라이버 입력들 간의 특정 접속들이 도시되지만, 다른 비율들 및 핀 접속들이 본원에 제공된 개시물과 일치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c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핀들 (602) 을 더 상세히 예시하는 소스 드라이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소스 드라이버 (508) 는 "VCCH", "VCCT/C", "VCCD", "VCOM", "/ref/i2c/", 및 "SPPI" 로 라벨링된 입력 핀들을 포함한다. VCCH, VCCT/C, 및 VCCD 는 전력 공급 입력 핀들이다. 이들 핀들은 소스 드라이버 (508) 의 상이한 기능들을 위한 전력을 수신한다. VCCH 는 도 1b 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156) 에 대한 전력 공급부이다.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156) 이 디스플레이 영역 (504) 에 디스플레이된 컬러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VCCH 입력에서의 전압은 디스플레이 영역 (504) 에 도시된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VCCT/C 는 터치 프로세싱을 위해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를 전력 공급한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는 샘플링 및 필터링과 같은 아날로그 프로세싱뿐만 아니라, 용량성 터치 감지 동안 터치 감지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전을 수행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VCCD 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입력들에 기초한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의 제어, 및 다른 기능들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로직 코어에 전력을 제공한다. VCOM (또는 "공통 전압") 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준 전압이다. 구체적으로, 소스 드라이버 (508) 는 전압 VCOM 에 대한 공통 디스플레이 전극을 충전한다. 이러한 공통 디스플레이 전극은 서브-픽셀 전극들이 서브-픽셀 밝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충전되는 기준으로서 기능한다. /ref/i2c/ 는 기준 신호이다. SPPI 는 입력 디바이스 (500) 의 터치 및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터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고속 데이터 송신 라인이다. 특정 입력들이 도시되지만, 상이한 입력들 및/또는 입력들의 상이한 배열들을 갖는 소스 드라이버들이 본 개시물에 따르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c 를 함께 참조하여, 소스 드라이버들 (508) 로의 입력들이 분할되는 방식이 지금부터 설명된다. 최상부 소스 드라이버 (508) 에 대하여, 최상부 커넥터 (510) 는 트레이스들 (604) 을 통해 VCCT/C, VCOM, SPPI, /ref/i2c, VCOM, VCCD, 및 VCCT/C 로, 에지 커넥터 (518) 를 통해 최상부 VCCH 로, 그리고 t-형 커넥터 (514) 를 통해 최하부 VCCH 로 접속된다. 아래의 다음의 소스 드라이버에 대하여, 상부 VCCH 는 t-형 커넥터 (514) 를 통해 최상부 커넥터 (510) 에 접속되고, 최상부 VCCT/C 및 VCOM 는 트레이스들 (604) 을 통해 최상부 커넥터 (510) 에 접속된다. SPPI 는 트레이스들 (504) 을 통한 /ref/i2c/, VCOM, VCCD, 및 VCCT/C 및 t-형 커넥터 (514) 를 통한 최하부 VCCH 인 것과 같은 중앙 커넥터 (510) 에 접속된다. 중앙 커넥터 (510) 는 또한 t-형 커넥터 (514) 를 통한 다음-추가-아래의 (next-further-down) 소스 드라이버 (508) 의 최상부 VCCH 에 뿐만 아니라 최상부 VCCT/C, VCCD, VCOM, 및 /ref/i2c/ 에, 그리고 SPPI 에 트레이스들 (604) 을 통해 커플링된다. 최하부 VCOM 및 VCCT/C 는 트레이스들 (604) 을 통해 최하부 커넥터 (510) 에 커플링되고, 최하부 VCCH 는 t-형 커넥터 (514) 를 통해 최하부 커넥터 (510) 에 커플링된다. 최하부 /ref/i2c/ 및 VCCD 를 제외하고 최하부 소스 드라이버 (508) 에 포함된 모든 입력들은 도시된 것과 같은 최하부 커넥터 (510) 에 커플링된다. 도 6b 에서, 상이한 소스 드라이버들 (602) 의 입력 핀들은 도시된 거소가 같은 커넥터들 (510) 에 커플링된다. 에지 커넥터들 (518) 은 에지들에서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대한 VCCH 에 접속한다 (즉, 오직 하나의 다른 소스 드라이버 (508) 의 경계를 이룬다). 핀들에 대한 특정 접속들이 도시되지만, 커넥터들 (510) 간에 입력들을 분할하는 다른 방식들이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는 것을 유의한다.
도 7a 및 도 7b 는 일 예에 따라 t-형 커넥터 (514) 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7a 는 t-형 커넥터 (514)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7b 는 t-형 커넥터 (514) 를 표현하는 회로도이다. t-형 커넥터 (514) 는 2 개의 인접하는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의 맥락에서 도시된다. t-형 커넥터 (514) 는 커넥터 (510) 에 접속된 고 저항성 베이스 부분 (702) 및 고 저항성 베이스 부분 (702) 에 그리고 소스 드라이버들 (508) 의 VCCH 입력 핀에 접속된 저 저항성 상부 부분 (704) 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 (702) 은 베이스 부분 (702) 의 저항성이 상부 부분 (704) 에 대하여 높도록, 낮은 폭을 갖는다. 저 저항성 상부 부분 (704) 은 저항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큰 영역을 가지고, 이는 소스 드라이버 라인 팬아웃들 (706) 사이에 사용가능한 공간을 점유함으로써 수행된다. 일부 예들에서, 상부 부분 (704) 은 팬아웃 영역에서 라우팅될 수도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상부 부분 (704) 은 팬아웃들 (706) 의 형상에 대한 상호보안적인 형상을 갖는다고 할 수도 있다. 상호보안적인 형상은 팬아웃들 (706) 의 에지들을 직면하고 대략적으로 정렬하는 상부 에지들을 갖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도 있다. 이들 소스 드라이버 라인 팬아웃들 (706) 은 소스 드라이버들 (508) 로부터 도 1b 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156) 에 소스 드라이버 신호들을 제공하는 라인들이다.
도 7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t-형 커넥터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함께 커플링된 3 개의 저항기들로서 모델링될 수 있다. 저항기 (R1) 는 베이스 부분 (702) 을 나타내고, 저항기 (R2) 는 상부 부분 (704) 의 좌측 (예컨대, 좌측 절반) 을 나타내고, 저항기 (R3) 는 상부 부분 (704) 의 우측 (예컨대, 우측 절반) 을 나타낸다. 저항 (R1) 이 저항들 (R2 또는 R3) 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R1 은 지배적이며,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대한 입력들 (702) 에서의 전압은 거의 동등하다.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t-형 커넥터는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예컨대, 라인들 (156)) 을 전력공급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 (506) 에서 보여지는 컬러들에 영향을 미친다. 2 개의 인접하는 소스 드라이버들 (508) 에 대한 소스 드라이버 라인 전력에 거의 동등한 전압을 제공하는 t-형 커넥터의 사용은, 시각적 아티팩트가 디스플레이 영역 (504) 을 통한 뚜렷한 수직 라인 (즉, 밝기 차이들) 를 구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8a 및 도 8b 는 커넥터 (510) 와 소스 드라이버들 (508) 간의 영역에서 트레이스들 (예컨대, 트레이스들 (604) 및 에지 커넥터들 (518)) 의 테이퍼링을 도시한다. 테이퍼링은 트레이스들의 그들의 길이에 따른 폭의 변화 (증가 또는 감소) 를 지칭한다. 명확성을 위해, 하나의 커넥터 (510) 와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508) 간의 접속이 도시되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사용되는 특정 트레이스 지오메트리는 입력 디바이스 (500) 내의 다른 커넥터/소스 드라이버 접속들을 수용하도록 변화될 수도 있고 및/또는 복제될 수도 있다.
도 8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510) 와 소스 드라이버 (508) 간의 라우팅 인터페이스 (800) 의 개략도이다. 라우팅 인터페이스 (800)는 3 개의 상이한 영역들 (802) - 제 1 영역 (802(1)), 제 2 영역 (802(2)) 및 제 3 영역 (802(3)) 을 포함한다.
제 1 영역 (802(1)) 은 소스 드라이버 (508) 의 측면과 t-형 커넥터 (514) 아래의 공간을 포함한다. 제 2 영역 (802(2)) 은 커넥터 (510) 의 측면과 소스 드라이버 (508) 아래의 공간을 포함한다. 제 3 영역 (802(3)) 은 소스 드라이버 (508) 아래이지만 제 2 영역 (802(2)) 보다 커넥터 (510) 로부터 떨어진 공간을 포함한다. 특정 지오메트릭 특징들은 트레이스들이 어떤 영역 (802) 에 있는지에 의존하여 트레이스들에 적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소스 드라이버 (508) 의 하부 에지 근처의 트레이스들은 그 트레이스들의 영역을 증가시키고, 그들의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제 1 영역 (802(1)) 내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영역 (802(2)) 에서 커넥터 (510) 에 인접하는 트레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수평적으로 정렬되고, 저항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더 큰 양의 영역을 점유하도록 폭이 증가될 수도 있다. 영역 (802(3)) 에서의 트레이스들은 방향을 변화시키는 (예컨대, 수형으로, 그 후에 수직으로, 그 후에 수평으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이미 소스 드라이버 (508) 에 접속된 트레이스들에 의해 남겨진 영역을 소비하기 위해 폭이 확장된다.
도 8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a 에 대하여 설명된 트레이스 지오메트리 특징들을 도시하는 트레이스 레이아웃 (85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트레이스 레이아웃 (850) 은 다수의 트레이스들 (604), 에지 커넥터 (518), 및 t-형 커넥터 (514) 를 도시한다. 에지 커넥터 (518) 는 전력을 VCCH 에 제공한다. 트레이스 (604(1)) 는 전력을 VCCC/T 및 VCCD 에 제공한다. 트레이스 (604(2)) 는 데이터를 SPPI 에 제공한다. 트레이스 (604(3)) 는 VCOM 을 제공한다. 트레이스 (604(4)) 는 /ref/i2c/ 을 제공한다. 트레이스 (604(5)) 는 전력을 VCCC/T 및 VCCD 에 제공한다. t-형 커넥터는 전력을 VCCH 에 제공한다.
트레이스 지오메트리가 저항 특성들을 개선하도록 변화되는 (예컨대, "테이퍼링되는") 영역들인 제 1 영역 (802(1)), 제 2 영역 (802(2)), 및 제 3 영역 (802(3)) 이 도시된다. 제 1 영역 (802(1)) 내에서, VCCD 및 VCCC/T 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는 트레이스 (604(5)) 는 소스 드라이버 (508) 의 측면에 대한 영역으로 확장하는 폭을 갖는다. 트레이스 (604(5)) 의 이러한 확장은 트레이스의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전력 전달을 개선한다. 소스 드라이버 (508) 의 수평 중앙에 거의 대응하는 소스 드라이버 (508) 아래의 영역인 제 2 영역 (802(2)) 내에서, 트레이스 (604(1)) 및 에지 커넥터 (518) 는 소스 드라이버 (508) 로부터 떨어져서 아래로 확장되고, 저항성을 개선시킨다. 트레이스 (604(1)) 는 VCCD 및 VCCC/T 에 커플링하고, 에지 커넥터 (518) 는 VCCH 에 커플링한다. 제 3 영역 (802(3)) 에서, 트레이스 (604(1)) 및 에지 커넥터 (518) 는 소스 드라이버 (508) 를 향해 다시 위로 확장되고, 다른 트레이스들이 제 3 영역 (802(3)) 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련된 공간을 점유하며, 이미 소스 드라이버 (508) 에 접속되어 있다.
2 개의 상이한 횡단면 표시자들이 도 8b 에 도시되며, 하나의 표시자는 도 8c 를 위한 것이고, 다른 표시자는 도 8d 를 위한 것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횡단면들은 개선된 전력 전달을 위한 트레이스 적층을 도시한다. 특정 위치들이 트레이스 적층을 도시하기 위해 선택되지만, 다양한 트레이스들은 개선된 전력 전달을 위해 적층된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c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b 의 라인들 8C-8C 을 따라 취득된 트레이스 레이아웃 (850) 의 횡단면도이다. 2 개의 엘리먼트들이 도시되며: 트레이스 (604(1)) 및 에지 커넥터 (518) 이다. 도 8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트레이스 (604(1)) 는 VCCD 및 VCCC/T (각각, 디지털 코어 및 터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에 대한 전력을 제공한다. 에지 커넥터 (518) 는 VCCH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에 대한 전력을 제공한다.
트레이스 (604(1)) 및 에지 커넥터 (518) 의 각각은 2 개의 컴포넌트들: 전력 라인 및 접지 라인을 포함한다. 트레이스 (604(1)) 는 전력 라인인 VCCH 와 접지인 VSSH 로 라벨링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전력과 접지를 적층하는 것은 전력 공급부에 대한 일부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를 제공한다.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는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엘리먼트에 의해 경험되는 잡음을 감소시키는 특징이다. 더 구체적으로, 라우팅 트레이스에 포함된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로, 커패시턴스는 소스 드라이버 (508) 에 의해 인출되는 전력이 전력 공급 라인에 이해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시간 동안 충전될 수 있는 전력의 양을 초과할 때 방전될 수 있다. 이는 소스 드라이버 (508) 에 제공된 전력 공급 신호에서 잡음을 감소시킨다.
도 8d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b 의 라인들 8D-8D 을 따라 취득된 트레이스 레이아웃 (850) 의 횡단면도이다. 도 8d 에서, 도시된 엘리먼트는 t-형 커넥터 (514) 이다. 도 8c 에 도시된 엘리먼트들과 마찬가지로, t-형 커넥터 (514) 는 전력을 제공하는 VCCH 와 접지로서 작용하는 VSSH 로 라벨링된 2 개의 적층된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이들 2 개의 적층된 엘리먼트들은 전술된 것과 같은 부수적인 이점들로, 소스 드라이버 라인에 대한 전력 공급부에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를 제공한다.
도 9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을 소스 드라이버 (508) 에 제공하기 위한 코너 커넥터 (900) 의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코너 커넥터 (900) 는 약간의 잡음 필터링을 VCCD 에 제공하면서 VCCD 와 VCCC/T 양자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코너 커넥터 (900) 는 다른 예들에서, 소스 드라이버 (508) 에 대한 상이한 전력 입력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코너 커넥터 (900) 는 고 저항성 부분 (906) 에 의해 접속되는 제 1 부분 (902) 과 제 2 부분 (904) 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902) 은 VCCC/T 에 대한 제 1 핀 (908(1)) 에 커플링되고, 제 2 부분 (904) 은 VCCD 에 대한 제 2 핀 (908(2)) 에 커플링된다. 코너 커넥터 (900) 는 도 8c 와 도 8d 에 대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층된 전력 공급부 및 접지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고저항성 부분 (906) 은 제 1 부분 (902) 또는 제 2 부분 (904) 보다 상당히 좁은 것에 의해 고 저항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오메트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L-형 갭 (910) 은 제 1 부분 (902) 과 제 2 부분 (904) 사이에 존재한다.
제 1 부분 (902) 은 2 개의 전력 트레이스들과 접지 트레이스를 통해 제 1 핀 (908(1)) 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는 3-트레이스 접속에서, 트레이스들 중 2 개는 제 1 부분 (902) 의 평행 플레이트 커패시터의 전력 플레이트에 커플링되고, 트레이스들 중 1 개는 제 1 부분 (902) 의 평행 플레이트 커패시터의 접지 플레이트에 커플링된다. 유사하게, 제 1 부분 (904) 은 전력 트레이스와 접지 트레이스를 통해 제 2 핀 (908(2)) 에 접속된다. 접지 트레이스는 제 2 부분 (904) 의 평행 플레이트 커패시터의 접지 플레이트에 커플링되고, 전력 트레이스는 제 2 부분 (904) 의 평행 플레이트 커패시터의 전력 플레이트에 커플링된다. 특정 수의 트레이스들이 전력을 소스 드라이버 (508) 에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트레이스들이 본 개시물과 일치하게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을 유의한다.
도 9b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커넥터 (900) 의 회로도 표현 (950) 이다. 회로도 표현 (950) 은 코너 커넥터 (900) 가 어떻게 VCCD 에 대한 필터링을 제공하는지를 도시하도록 제시된다. 도 9a 와 도 9b 를 함께 참조하여, 저항기들 (R1 및 R2) 은 제 1 부분(902) 의 각각 적층된 전력 및 접지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커패시턴스 (C1)는 제 1 부분 (902) 의 적층된 전력 및 접지 간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저항기들 (R3 및 R4) 은 실질적으로 저항들 (R1 및 R2) 보다 더 큰 고 저항성 부분 (906) 의 저항을 나타낸다. 커패시턴스 (C2) 는 제 2 부분 (904) 의 적층된 전력 및 접지 간의 커패시턴스이다. 보여질 수 있는 것과 같이, R3 와 C2 간의 접속의 지점은 VCCD 에 커플링된다.
상기 구성은 VCCC/T 의 액션에 의해 유도될 수도 있는 VCCD 에 대한 잡음을 필터링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 2 부분 (904) 에 포함된 커패시턴스는 VCCD 에 의한 사용을 위해 버퍼링된 전하를 제공한다. 추가로, 고 저항성 부분 (906) 은 VCCC/T 가 제 2 부분 (904) 에 포함된 커패시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전류량을 제한하고, 저장된 전하를 임의의 정도로 "보호한다". 이는 VCCD 에서 수신된 전력 공급부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영향을 갖는다.
유리하게, 글래스와 같은 기판 상에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 간의 라우팅 구성을 위한 특징들이 제공된다. 특징들은 소스 드라이버들에 커플링된 트레이스들의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한 특징들 뿐만 아니라, 커넥터 라우팅에 대한 소스 드라이버의 다른 특징들을 개선하기 위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한가지 특징은 매칭된 전압을 2 개의 인접하는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하는 것을 돕도록 성형되는 t-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은 커넥터로부터 소스 드라이버로 전력을 제공하는 라우팅 트레이스들의 테이퍼링이다. 다른 특징들이 또한 개시되고, 커넥터들과 소스 드라이버들 간의 라우팅의 다양한 특성들을 개선한다. t-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트레이스들은 디커플링 커패시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층된 전력 공급부 및 접지 트레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실시형태들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과 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최적으로 설명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그러나, 앞의 설명 및 실시예들이 오직 예시 및 예의 목적들을 위해서만 제시되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기술된 것과 같은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거나 망라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서,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및
    상기 기판 외부로 확장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과 전력 공급 신호들을 복수의 라우팅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에서의 커넥터들의 수와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서의 소스 드라이버들의 수의 비율은 1 대 1 또는 1 대 2 이외의 비율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 제 1 커넥터에 커플링된 입력 핀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 제 2 커넥터에 커플링된 입력 핀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 제 1 커넥터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커플링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t-형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커플링된 좁은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커플링되고 좁은 하부 부분과 비교하여 저 저항성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확장하는 제 1 팬아웃 및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확장하는 제 2 팬아웃을 더 포함하며,
    상기 t-형 커넥터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팬아웃과 상기 제 2 팬아웃 간의 공간을 점유하고 상기 제 1 팬아웃과 상기 제 2 팬아웃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치된 제 1 전력 공급 트레이스 및 제 2 전력 공급 트레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상기 전력 공급 신호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의 상부 에지들에 커플링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을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 커플링하는 트레이스들이 테이퍼링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서,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위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전력 공급 신호들 및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커넥터들 중의 제 1 커넥터; 및
    전력 공급 신호들 및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와 제 3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의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상기 제 1 커넥터에 커플링된 입력 핀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제 2 커넥터에 커플링된 입력 핀들의 제 2 세트를 갖는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에 그리고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커플링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t-형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커플링된 좁은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커플링되고 좁은 하부 부분과 비교하여 저 저항성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확장하는 제 1 팬아웃 및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로부터 확장하는 제 2 팬아웃을 더 포함하며,
    상기 t-형 커넥터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팬아웃과 상기 제 2 팬아웃 간의 공간을 점유하고 상기 제 1 팬아웃과 상기 제 2 팬아웃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치된 제 1 전력 공급 트레이스 및 제 2 전력 공급 트레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상기 전력 공급 신호들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넥터는 상기 제 1 소스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소스 드라이버의 상부 에지들에 커플링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을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 커플링하는 트레이스들이 테이퍼링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9. 입력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센서 전극들;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에 커플링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전극들에 커플링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은 디스플레이 업데이팅을 위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라인들을 구동하고 용량성 감지를 위해 상기 복수의 센서 전극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및
    상기 기판 외부로 확장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 감지 신호들 및 전력 공급 신호들을 복수의 라우팅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 제공하는 복수의 커넥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에서의 커넥터들의 수와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에서의 소스 드라이버들의 수의 비율은 1 대 1 또는 1 대 2 이외의 비율인, 입력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들 중 제 1 커넥터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1 소스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들 중 제 2 소스 드라이버에 커플링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t-형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입력 디바이스.
KR1020177004002A 2014-07-22 2015-07-22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 감지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 KR102362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7772P 2014-07-22 2014-07-22
US62/027,772 2014-07-22
US201562100454P 2015-01-06 2015-01-06
US62/100,454 2015-01-06
US14/805,286 US10216302B2 (en) 2014-07-22 2015-07-21 Routing for an integrated display and input sensing device
US14/805,286 2015-07-21
PCT/US2015/041591 WO2016014698A2 (en) 2014-07-22 2015-07-22 Routing for an integrated display and input sen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619A true KR20170037619A (ko) 2017-04-04
KR102362638B1 KR102362638B1 (ko) 2022-02-11

Family

ID=5516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002A KR102362638B1 (ko) 2014-07-22 2015-07-22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 감지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6302B2 (ko)
KR (1) KR102362638B1 (ko)
CN (1) CN106537311B (ko)
WO (1) WO20160146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665B2 (en) * 2012-09-14 2016-02-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ifetime OLED display
KR102322766B1 (ko) * 2015-09-03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593707B2 (en) * 2017-10-12 2020-03-17 HKC Corporation Limite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TWI666490B (zh) * 2018-06-15 2019-07-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0111739B (zh) * 2019-05-07 2021-01-0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651087B (zh) * 2020-06-11 2022-06-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066779B (zh) * 2021-02-23 2023-01-13 广芯微电子(广州)股份有限公司 一种封装芯片的双电源供电模块及封装芯片
KR20230098455A (ko) * 2021-12-24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3003A1 (en) * 2005-04-05 2006-10-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trix display device
US20090009462A1 (en) * 2007-07-04 2009-01-08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917324B1 (ko) * 2002-11-16 2009-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폰용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5718B1 (en) * 1997-02-05 2003-02-25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6977640B1 (en) * 1997-08-21 2005-12-20 Lg Philips Lcd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notebook computer
US6266119B1 (en) * 1998-01-13 2001-07-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6407795B1 (en) * 1998-03-08 2002-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inspecting method
JP3808224B2 (ja) * 1998-12-02 2006-08-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4118015A (ja) * 2002-09-27 2004-04-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3965695B2 (ja) 2004-01-30 2007-08-29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286299B (en) 2004-02-19 2007-09-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Source driver for display
KR101096712B1 (ko) * 2004-12-28 2011-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TWI292569B (en) 2005-03-11 2008-01-11 Himax Tech Ltd Chip-on-glass liquid crystal display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TWI307872B (en) * 2005-03-11 2009-03-21 Himax Tech Inc Power saving method of a chip-on-glass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232579A1 (en) * 2005-04-14 2006-10-19 Himax Technologies, Inc. WOA panel architecture
US7639244B2 (en) * 2005-06-15 2009-12-29 Chi Mei Optoelectronics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using data drivers with low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KR20080017773A (ko) * 2006-08-22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연성부재
TWI457671B (zh) * 2008-11-10 2014-10-21 Au Optronics Corp 平面顯示器之玻璃基板及顯示用之積體電路晶片
TW200909914A (en) * 2007-08-21 2009-03-01 Himax Tech Ltd Defect repai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of source driver and timing controller thereof
JP2009201317A (ja) 2008-02-25 2009-09-03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静電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方法
KR100968554B1 (ko) * 2008-07-24 2010-07-0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패널용 lcm
US20110164005A1 (en) 2008-09-17 2011-07-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W201040908A (en) 2009-05-07 2010-11-16 Sitronix Technology Corp Source driver system having an integrated data bus for displays
KR101289642B1 (ko) * 2009-05-11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63136B1 (ko) * 2009-05-15 2014-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07554B1 (ko) * 2009-07-10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20110157103A1 (en) * 2009-12-28 2011-06-30 Himax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KR101129242B1 (ko) * 2010-05-18 2012-03-2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칩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CN104575358B (zh) 2010-11-19 2017-05-24 夏普株式会社 数据传送电路、数据传送方法、显示装置、主机侧装置以及电子设备
JP2012164794A (ja) * 2011-02-07 2012-08-30 Sony Corp 積層配線基板
US9053673B2 (en) 2011-03-23 2015-06-09 Parade Technologies, Ltd. Scalable intra-panel interface
JP2013003487A (ja) 2011-06-21 2013-01-07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表示装置
US20130127813A1 (en) * 2011-11-21 2013-05-23 Chen-Tung Lee Display device
KR101418141B1 (ko) 2011-12-13 2014-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315227B1 (ko) * 2012-05-30 2013-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3273330B1 (en) 2012-07-05 2021-10-20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 sensing display device
KR101452288B1 (ko) * 2012-11-19 2014-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514673B2 (en) * 2012-11-22 2016-12-0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226408B2 (en) * 2013-02-27 2015-12-2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6147533B2 (ja) * 2013-03-22 2017-06-14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40354606A1 (en) * 2013-05-28 2014-12-04 Himax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CN103558703B (zh) * 2013-10-12 2016-08-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超窄边框液晶显示器及其驱动电路的cof封装结构
KR102176504B1 (ko) * 2014-02-25 2020-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24B1 (ko) * 2002-11-16 2009-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폰용 액정표시장치
US20060233003A1 (en) * 2005-04-05 2006-10-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trix display device
US20090009462A1 (en) * 2007-07-04 2009-01-08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4698A2 (en) 2016-01-28
CN106537311B (zh) 2020-04-14
US10216302B2 (en) 2019-02-26
CN106537311A (zh) 2017-03-22
US20160026313A1 (en) 2016-01-28
WO2016014698A3 (en) 2016-05-26
KR102362638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8313B2 (en) Display guarding techniques
US10534485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ensing device with improved proximity sensing
US9652072B2 (en) Full in-cell sensor
KR102362638B1 (ko) 통합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 감지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
US9606676B2 (en) Input device
US9594458B2 (en) Shielding with display elements
US9448675B2 (en) Input sensing using a gate select line of a display device
US20170090615A1 (en) Two-dimensional absolute capacitance sensing using electrode guarding techniques
US9715297B2 (en) Flexible display and touch driver IC architecture
US20150309531A1 (en) Capacitive sensors having improved response symmetry
JP2016535882A (ja) 静電容量感知デバイスのための多重センサタッチ統合表示ドライバ構成
CN105718126A (zh) 具有可选功能电极的电容性图像传感器
US9798429B2 (en) Guard electrodes in a sensing stack
US9280233B1 (en) Routing for touch sensor electrodes
US11635858B2 (en) Excitation schemes for an input device
US10037112B2 (en) Sensing an active device'S transmission using timing interleaved with display updates
US9459367B2 (en) Capacitive sensor driving technique that enables hybrid sensing or equalization
US9870105B2 (en) Far-field sensing with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