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364A -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364A
KR20170035364A KR1020150132426A KR20150132426A KR20170035364A KR 20170035364 A KR20170035364 A KR 20170035364A KR 1020150132426 A KR1020150132426 A KR 1020150132426A KR 20150132426 A KR20150132426 A KR 20150132426A KR 20170035364 A KR20170035364 A KR 20170035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rder
information
common
ord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Priority to KR102015013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364A/en
Publication of KR2017003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3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roup ordering system. The system comprises: a power generating unit (20)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and transmit the power to a main power unit; the main power unit (30) configured to receive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an on-off switching circuit (40) of a main power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main MCU to be turned on; and the main MCU (50) configured to control the on-off switching circuit of the main power unit to be turned 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harging with power generated by electromagnetic wave received through an RF antenna on a paper charging battery by using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battery.

Description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인분 음식의 공동주문을 위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음식 주문 배달지 모두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된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공동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ollectively ordering foo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llectively ordering food fo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co-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order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an jointly order food.

종래 인터넷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에서 음식 주문을 중계해주는 시스템이 존재하였고,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화 주문 또는 방문 주문의 불편함을 덜어 주는 이점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고 있다. 다만, 기존에 제공하고 있던 음식 주문 시스템은 단지 전화주문 또는 방문주문을 이용한 주문수단에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문수단으로 변화되는 영향을 줄 뿐이고, 실질적으로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There is a system for relaying food orders in the Internet websites or smartphone apps of the past, and these systems are increasingly used by users because they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s telephone order or visiting order. However, the existing food ordering system only changes the ordering method using a phone order or a visit order to an ordering method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in reality,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substantially, Of the total population.

현재 1인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다양한 소비재들 또한 1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판매되고 있는 사회현실을 반영하면, 음식 주문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음식 주문 시스템은 1인분의 음식을 주문하는 기능을 구비한 시스템이라고 할 것이다. 그 이유는, 1인분의 음식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늘어나고 있지만, 음식점에서는 배달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1인분의 음식을 배달해주는 것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Reflecting the current social reality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grown significantly and diverse consumer goods are also being sold for one, the food ordering system that is practically necessary for users of the food ordering system is to order one meal It is a system equipped with functions. The reason is that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order one meal is increasing, but restaurants are reluctant to deliver one meal to reduce the cost of delivery.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각각 1인분의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 1인분의 음식을 주문한다는 이유로 음식점에서 배달을 거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are located in the vicinity, there is a problem of refusing delivery from a restaurant due to the order of one serving of food when ordering one serving of food.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280호 '음식배달 서비스를 위한 2중 노선 시스템'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2280 'Dual route system for food delivery service' 등록특허공보 제10-1517514호 '주문 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가맹점 단말기'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1751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rder delivery service and merchant terminal for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배경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인분 음식의 공동주문을 위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음식 주문 배달지가 모두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공동주문 방에 참여하여 하나의 음식점에 대해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점은 복수의 1인분 음식 주문 정보를 수집하여 근접한 복수의 배달지로 한번에 배달할 수 있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ll food order deliverie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co- Accordingly, by joining a common order room and jointly ordering one serving of food for one restaurant, the restaurant can collect a plurality of one-person food order information and send it to a food joint Order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동주문 서버를 포함하여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는 시스템이고, 사용자 단말은, 1인분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식점과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 및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1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제1 단말; 및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 및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2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 제1 단말과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는 제2 단말을 포함하고, 공동주문 서버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고, 제1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며,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공동주문 방에 제2 단말의 참여를 허가하며, 제1 단말과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jointly ordering a meal for one person includ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co-order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o enter a common ordering server to enter first ordering information including a first delivery place where a desired restaurant and a one-serving meal and a one-serving meal within a restaurant are delivered, and a co-order A first terminal requesting establishment of a room;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second delivery address where a one-meal meal and a one-meal meal are delivered in a restaurant by connecting to a common order server, and when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 common terminal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a member, and a common order server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a member, The second delivery site is determined to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the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common order room is permit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first terminal is permitt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second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제1 단말과 함께 1인분 음식을 주문하는 제2 단말이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주문하려는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으며, 음식점은 공동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복수의 배달지를 1회의 배달을 통하여 모두 배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점에 1인분 음식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pace is provided for jointly ordering a meal for one person by a second terminal that orders one meal with the first terminal for the same restauran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delivery destination to be ordered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to order it jointly. The restaurant can deliver all the adjacent delivery destinations through one delivery using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delivery of servings of food.

또한, 공동주문 서버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는 제1 회원 인증부;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각각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제2 단말로부터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위한 요청 정보와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위한 참여 정보가 입력되는 제1 정보 입력부; 요청 정보를 기초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는 제1 공동주문 방 개설부;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거리 판단부; 거리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단말의 공동주문 방으로의 참여를 허가하는 제1 참여 허가부; 참여 허가부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로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하는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 제1 단말과 공동주문 방에 참여한 제2 단말에 의하여 각각 입력된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 및 공동주문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on order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first member authentication unit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A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from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nd inputting request information for opening a common order room and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participation in a common order room from a second terminal, ; A first co-order room establishing unit for establishing a co-order room based on the request information; A first distance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 first participation granting unit for granting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common order room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istance determining unit; A first co-order issuing unit for providing opening information of a co-ordering room to a second terminal authorized by the participation granting unit; A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participating in a common order room, respectively; And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order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문 방 통지부는 참여 허가부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로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에 제공하기 때문에, 제1 배달지와 제2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제2 단말이 공동주문 방을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단말은 참여가 허가된 공동주문 방을 직접 탐색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참여 가능한 공동주문 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rdinance room notification unit provides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opening information of the co-ordinance room to the second terminal permitted by the participation permission unit, the first delivery location and the second delivery location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terminal can only browse the common order room so that the second terminal is not inconvenient to directly search for a joint order room for which participation is permitted and can easily recognize the participating common order room.

또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음식점에 비치되는 가맹점 단말을 더 포함하고, 공동주문 서버는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는 경우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food co-orde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erchant terminal provided in the restaurant, and the co-order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ting co-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co-ordering roo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문 방에 제2 단말이 무제한으로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맹점 단말이 과도한 주문을 포함한 공동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음식점이 한번에 배달할 수 있는 음식의 양 초과한 음식의 양을 배달을 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terminal is prevented from unlimited participation in the common order room, the merchant terminal receives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excessive order and the amount of food that the restaurant can deliver at on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food is to be delivered.

또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공동주문 방의 개설 시간 정보를 체크하는 제1 시간 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Further, the food co-ordinat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ime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establishment time information of the co-ordering room, and the co-ordering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the co- ordering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after the co-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제1 단말이 제2 단말의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기약 없이 기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주문 정보의 발생 시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주문에 대하여만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시간 차이로 인한 주문자의 장시간 대기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terminal from suddenly waiting for participation in the second order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Since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s generated only for the order with the small difference in the generation time of the ord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rderer from waiting for a long time due to the time difference.

또한, 공동주문 서버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지 않은 경우, 1인분 음식이 제1 배달지 및 제2 배달지로 배달될 수 있는 지 여부를 가맹점 단말에 문의하는 배달 가능 여부 문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ering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one-person meal can be delivered to the first delivery location and the second delivery location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co-ordering room after the co- And a delivery availability inquiry section for inquiring the delivery destin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지 않은 경우 가맹점 단말에 배달 여부를 문의 하기 때문에, 제1 단말은 제2 단말의 공동주문 방 참여가 없어도 음식점의 상황에 따라 1인분 음식을 배달해 줄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지 여부를 가맹점에 확인하여 1인분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co-order room after the co-ordinance room is open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first terminal inquires of the merchant terminal about the delivery, Even if there is no participation in the room,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restaurant, it is possible to order food for one person by confirming to the merchant whether it is a condition for delivering the food for one person.

또한,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는 통신부에 가맹점 단말로부터 배달 가능 여부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can transmit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only when the answer information on the delivery availability is received from the merchant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인분 음식의 배달이 가능한 음식점에 한하여 공동주문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common order information only to a restaurant where delivery of one meal is possible.

또한, 공동주문 서버는 공동주문 정보가 가맹점 단말로 전송된 경우,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1 결제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the common order server receives the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performs payment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1 settlement perform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수행부는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미리 설정된 결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주문 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은 가맹점 단말의 요청에 의한 별도의 결제단계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공동주문 방에 참여한 후 기다리면 자동으로 결제가 수행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yment performing unit can automatically settl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t pay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user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room does not directly perform a separate settlement step by request of the merchant terminal, but the settle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common order room,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동주문 서버를 포함하여 음식을 추가로 주문하는 시스템이고, 사용자 단말은,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식점과 음식점 내의 복수 개의 음식 및 복수 개의 음식이 배달되는 제1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말; 및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과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2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 제1 단말과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는 제2 단말을 포함하고, 공동주문 서버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고,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공동주문 방을 자동으로 개설하며,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공동주문 방에 제2 단말의 참여를 허가하며, 제1 단말과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additionally ordering food includ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co-order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first terminal for accessing a common order server and inputting first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first delivery address where a plurality of foods and a plurality of foods are delivered to a desired restaurant and a restaurant;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second delivery place where a one-person meal and a one-person meal are delivered in a restaurant by connecting to a common order server, and when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nd a second terminal capable of ordering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common order server registers or authenticate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automatically opens a common order room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llowing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common order room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an transmit the inputted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음식을 주문하기 위한 제1 단말이 제1 주문정보를 입력하면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제1 주문 정보가 전송되며 제1 배달지와 제2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제2 주문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제1 단말에 의해 미리 주문되어 있는 제1 주문 정보와 함께 1인분 음식을 추가로 주문하는 제2 단말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주문하려는 배달지가 인접한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으며, 음식점은 공동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1회의 배달에 의해 인접한 복수의 배달지로 배달을 완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점에 1인분 음식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st terminal for ordering a plurality of foods inputs first order information, a common order room is opened, first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delivery place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ame restaurant, so that the first order information previously ordered by the first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cond terminal which further orders the one-meal meal is provided for the same restaurant , It is possible to jointly order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by confirming whether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or not, and the restaurant can complete the delivery to a plurality of adjacent delivery destinations by one delivery using common order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delivery of a meal to a restaurant.

또한, 공동주문 서버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는 제2 회원 인증부;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각각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제2 단말로부터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위한 참여 정보가 입력되는 제2 정보 입력부; 제1 단말로부터 제1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는 제2 공동주문 방 개설부;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거리 판단부; 거리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단말의 공동주문 방으로의 참여를 허가하는 제2 참여 허가부; 참여 허가부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로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하는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 상기 제1 주문 정보 또는 상기 제1 주문 정보와 상기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2 공동주문 생성부; 및 공동주문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on order serve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member authentication unit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A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inputting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common order room from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co-order room establishing unit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order room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whe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first terminal; A second distance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elivery item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item; A second participation granting unit for granting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common order room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istance determination unit; A second co-order issuing unit for providing opening information of a co-ordering room to a second terminal authorized by the participation granting unit; A second common ord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second terminal that is permitted to participate; And a seco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order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문 방 통지부는 참여 허가부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로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에 제공하기 때문에, 제1 배달지와 제2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제2 단말이 공동주문 방을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단말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된 공동주문 방을 직접 탐색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참여 가능한 공동주문 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rdinance room notification unit provides the second terminal with the opening information of the co-ordinance room to the second terminal permitted by the participation permission unit, the first delivery location and the second delivery location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terminal can only browse the common order room so that the second terminal is not inconvenient to directly search for the common order room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can easily recognize the participating common order room .

또한, 음식점에 비치되는 가맹점 단말을 더 포함하고, 공동주문 서버는, 공동주문 방 개설부에 의해 공동주문 방이 자동으로 개설되면 제1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공동주문 정보 입력부에 참여 정보가 입력되면 제2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order server further includes a merchant terminal provided in the restaurant. When the common order room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common order room establishing unit,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문 전송부는 공동주문 방이 자동으로 개설되면 제1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제2 단말의 참여 여부 의해 제1 주문 정보가 늦게 가맹점 단말로 전송되어 제1 주문 정보에 대하여 늦게 배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동주문 정보 입력부에 참여 정보가 입력되면 제2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음식점으로 하여금 제2 주문 정보에 대하여 신속하게 조리를 시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rder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when the common order room is automatically opene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late due to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1 order information, and when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nput unit,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so that the restaurant is instructed to quickly start the cooking f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can do.

또한, 공동주문 서버는 공동주문 방의 개설 시간 정보를 체크하는 제2 시간 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공동주문 방 통지부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소정 인원이 참여 경우 개설 정보를 제2 단말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on order server further includes a second time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opening time information of the common order room.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ning of the common order room or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are participating, 2 < / RTI > termina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문 방 통지부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소정 인원이 참여하면 개설 정보를 제2 단말에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단말이 제2 단말의 참여를 기약없이 기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ordinance room notification unit does not provide the establishment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ordinance room is opened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waiting unexpectedly.

또한, 공동주문 서버는 제1 주문 정보 또는 제2 주문 정보가 가맹점 단말로 전송된 경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주문 정보 또는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2 결제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the co-order server receives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and receives the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nd a second settlement performing unit for performing settlement on the settl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수행부는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미리 설정된 결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결제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주문 방에 참여한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은 별도로 결제를 수행하지 않고, 자동으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yment performing unit can be automatically settled according to the preset pay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room can perform the settlement automatically without performing the settlement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제1 단말과 함께 1인분 음식을 주문하는 제2 단말이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히가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주문하려는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으며, 음식점은 공동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복수의 배달지를 1회의 배달을 통하여 모두 배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점에 1인분 음식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ystem for collecting fo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is provided for a second terminal that orders a meal for one person together with a first terminal for the same restaurant to jointly order one me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be jointly ordered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elivery destination to be ordered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restaurant can deliver all the adjacent delivery destinations through one delivery using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delivery of food to a restaurant for one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공동주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5는 도 4의 공동주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od co-ord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order server of Figure 1;
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ood co-ord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ood co-ord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order server of FIG.
Figure 6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ood co-ord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 "part" in the descrip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공동주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food co-orde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ordering server of Figure 1,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co-ord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1인분 음식의 공동주문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음식 주문 배달지 모두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공동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제1 단말(10), 제2 단말(20), 공동주문 서버(30) 및 가맹점 단말(40)을 포함한다. 1, a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 when all of the food order delivery points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or co- The second terminal 20, the common order server 30, and the merchant terminal 40. The first terminal 10, the second terminal 20,

이러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이 1인분 음식을 주문 하기 위하여, 제1 단말(10)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제1 배달지로 음식을 주문하고, 제2 단말(20)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음식 주문하는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이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공동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에 따르면, 1인분 음식의 배달에 대한 손해발생으로 인하여 1인분 음식의 배달을 기피하는 음식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1인분 음식의 배달을 요청하기 때문에, 음식점은 1인분 음식의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Such a food co-ordering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order food for the first delivery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like, When the second terminal 20 is adjacen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for food ordering via a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like,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jointly serve food To be order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system of joint food ordering, since at least one user requests delivery of a meal for a restaurant avoiding the delivery of one meal due to damage to the delivery of one meal, There may be no damage caused by delivery of food for one person.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the user terminal in the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

또한, 본 음식 공동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웹 사이트 접속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I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이 스마트폰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lso,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in the food joint system may be smartphones, but may be IPa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 (Hand Personal Computer ), A web pad, a notebook,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phone, a palm PC, an e-book terminal, and a hand held terminal (HHT). Hereinafter,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as a smart phon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단말(10)은 1인분의 음식을 다른 사용자 단말과 함께 주문하기 위하여 음식 주문을 하는 단말 장치로서, 1인분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식점과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 및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1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요청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10 is a terminal device that places a food order to order one person's meal with another user terminal, and connects to the common order server 30 to order one person's foo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delivery place where the one serving food and the one serving food is delivered to the desired restaurant and restaurant, and request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on order room for collectively ordering the one serving food.

상기 제1 단말(10)은 음식 공동 주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고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한다. The first terminal 10 accesses the common order server 30 through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using a food common service and inputs first order information.

상기 음식점은 사용자의 주문에 의해 음식을 조리하고 조리된 음식을 사용자에게 배달하는 식당 또는 가맹점이나 배달업을 하는 업종의 사업장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taurant may include a restaurant or an affiliated store for delivering the cooked food to the user on the order of the user, or a business place of the business type of the delivery business.

상기 1인분 음식은 음식의 종류와 관계없이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1인분 양의 음식이다.The above-mentioned one-person meal is a one-minute amount of food sold at a restaurant regardless of the type of food.

상기 제1 배달지는 제1 단말(10)이 주문한 음식을 제1 단말(10)의 사용자가 수령하는 장소이고, 경도, 위도 또는 지도상에서 표시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달지는 제1 단말(10)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제1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공동주문 서버(3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The first deliverer is a place where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 receives food ordered by the first terminal 10 and may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ongitude, latitude or the map. The first deliverer may be set by the common order server 30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as well as directly inputted by the first terminal 10.

또한, 상기 제1 단말(10)은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한 후에 1인분 음식을 제2 단말(20)과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주문 방은 제1 주문정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참여되며, 참여된 사용자 단말이 공동으로 음식의 주문을 할 수 있도록 그룹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공동주문 방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0 may request opening of a common order room for ordering one person's meal with the second terminal 20 after inputt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Such a co-ordering room includes first ordering informa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involved, and a group is formed in which the participating user terminals can jointly order food. Such a co-ordering room may be displayed via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ordering server 30 by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상기 제2 단말(20)은 1인분의 음식을 제1 사용자 단말과 함께 주문하기 위하여 음식 주문을 하는 단말 장치로서,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여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 및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2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 제1 단말(10)과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단말(20)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별개의 사용자 단말이다. 즉,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한 개의 제1 단말(10),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20), 공동주문 서버(30) 및 가맹점 단말(40)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 is a terminal device that places a food order to order one person's meal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connects to the common order server 30 to deliver one serving food and one serving food in the restaurant The second delivery information can be order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 when the second delivery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Also, the second terminal 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0 as shown in FIG. 1, and each is a separate user terminal. That is, the food co-order system may be composed of one first terminal 10,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 a common order server 30, and a merchant terminal 40.

상기 제2 단말(20)은 스마트폰 등의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고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이 주문을 요청한 음식점과 동일한 음식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주문정보를 입력하고, 공동주문 방에 포함된 제1 주문 정보를 기초로 공동주문 방에 참여하여 제1 단말(10)과 공동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 accesses the common order server 30 through an application or a program installed in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inputs second order information. Also, the second terminal 20 inputs seco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same restaurant as that of the restaurant where the first terminal 10 requested the order, and transmits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 based o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mmon order room. And can order foo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 by participating in the ordering room.

상기 제2 배달지는 제2 단말(20)이 주문한 음식을 제1 단말(10)의 사용자가 수령하는 장소이고, 제2 배달지는 경도, 위도 또는 지도상에서 표시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달지는 제2 단말(20)에 의해 직접 입력되지 않고, 공동주문 서버(30)에 의해 제2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second deliverer is a place where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 receives the food ordered by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second deliverer may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ongitude, latitude or the map. Also, the second deliveries may not be directly input by the second terminal 20 but may be se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 by the common order server 30. [

상기 소정 반경은 음식점이 음식을 배달할 때 제1 배달지 및 제2 배달지를 모두 경유하더라도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는 반경으로서, 음식점 별로 각각 다른 소정 반경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달지 및 제2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 제2 단말(20)은 제1 단말(10)과 공동으로 주문하여도 음식점에 손해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The predetermined radius is a radius at which no damage due to delivery is generated even if the restaurant passes both the first delivering destination and the second delivering destination when the food is delivered, and a different predetermined radius may be set for each restaurant. Accordingly, when the first delivery place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terminal 20 may not damage the restaurant even if ordered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

상기 공동주문 서버(30)는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이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도록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고 제1 배달지 및 제2 배달지로 배달되는 1인분 음식을 음식점에 주문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공동주문 서버(30)는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고, 제1 단말(10)의 요청에 의하여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공동주문 방을 개설한다. 그 후, 상기 제2 단말(20)이 공동주문 방에 참여하면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공동주문 방에 제2 단말(20)의 참여를 허가하며, 제1 단말(10)과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20)에 의하여 입력된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한다.The common order server 30 opens a common ordering room so that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can order them jointly and orders a one-person meal delivered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to a restaurant Server. The common order server 30 registers or authenticates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s a member and transmits a common order room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10 Open. Thereafter, when the second terminal 20 participates in the common order room,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and the second terminal 20 And generates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permitted to participat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동주문 서버(30)는 제1 통신부(300), 제1 회원 인증부(305), 제1 정보 입력부(310), 제1 공동주문 방 개설부(315), 제1 거리 판단부(320), 참여 허가부(325),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330), 제1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335), 제1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340), 제1 시간 체크부(345), 배달 가능 여부 문의부(350), 제1 결제 수행부(355) 및 제1 제어부(3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mmon order server 3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300, a first member authentication unit 305, a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310, a first common order setting unit 315, The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35, the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0, the first common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30, the first common reques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35, the first common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0, A time checking unit 345, a delivery availability inquiry unit 350, a first settlement performing unit 355 and a first control unit 360. [

상기 제1 통신부(300)는 제1 단말(10) 또는 제2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공동주문 서버(3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위한 요청 정보,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위한 참여 정보,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 등을 송수신 한다. 상기 제1 통신부(300)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 CDMA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단말(10) 또는 제2 단말(20)과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제1 단말(10) 또는 제2 단말(2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ME(Mobile Explorer))을 이용하여 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통신부(300)는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0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common order server 3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request information for opening a common order room,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room, informat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on order room, and the lik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00 connect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first or second terminal 10 or 20 based on a protocol stack (for example, a TCP / IP protocol or a CDMA protocol) (For exampl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 Mobile Internet Protocol (ME)) defined in a communication program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for this food common ordering syst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 of network,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300 may be a Wi-Fi, a Bluetooth, an Ultra Wideband (UWB), a ZigBee, a Near Field Communication ), WFD (Wi-Fi Direct),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LTE, LTE-A and equivalent methods.

상기 제1 회원 인증부(305)는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을 위한 장치로서,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음식 주문 정보 또는 배달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authentication unit 305 is a device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s a member and is used for accessing the common order server 30, Food order information or delivery information can be input.

상기 제1 정보 입력부(310)는 음식 공동주문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장치로서,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로부터 각각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제1 단말(10)로부터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위한 요청 정보와 제2 단말(20)로부터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위한 참여 정보가 입력된다.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are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respectively, an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re inpu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respectively, From the first terminal 10, the request information for opening the common order room and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on order room from the second terminal 20 are inputted.

상기 제1 공동주문 방 개설부(315)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음식을 공동주문 할 수 있는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는 장치로서, 제1 단말(10)의 공동주문 방 개설을 위한 요청 정보를 기초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한다.The first co-order room establishing unit 315 is a device for establishing a co-order room in which at least one user can participate and co-order food. The first co- A joint spell room is opened.

상기 제1 거리 판단부(320)는 음식점이 복수의 배달지에 대하여 한번에 모든 배달지로 배달할 수 있는 반경 내에 위치된 배달지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로서,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의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first distanc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staurant is a delivery place located within a radius that can be delivered to all delivery destinations at a time for a plurality of delivery destinations. If the second delivery destin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first delivery plac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ositioned.

상기 참여 허가부(325)는 공동주문 방에 대하여 제2 단말(20)이 참여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장치로서, 제1 거리 판단부(320)가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의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2 단말(20)이 공동정보 방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허가한다. 따라서, 상기 참여 허가부(325)는 제1 정보 입력부(310)에 제2 단말(20)로부터 참여 정보가 입력된 후 제2 단말(20)이 공동주문 방에 참여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여 허가부(325)는 제2 단말(20)로부터 제1 정보 입력부(310)에 참여 정보가 입력되지 않아도 공동정보 방의 참여 허가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배달지가 변경되고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제1 거리 판단부(320)가 판단하면, 참여 허가부(325)는 공동주문 방에 대한 제2 단말(20)의 허가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The first permitting unit 325 permits the second terminal 20 to participate in the common ordering room. When the first distance determining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first delivery place It permits the second terminal 20 to participate in the common information room. Accordingly, the participation granting unit 325 may allow the second terminal 20 to participate in the common ordering room after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o the first information inputting unit 310. Also, the participation granting unit 325 may determine whether participation of the common information room is allowed even if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not input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o 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310. [ In addition, when the first distanc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changed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first delivery place, the participation permission unit 325 determines that the second delivery place It is possible to change whether the terminal 20 is permitted or not.

상기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330)는 제2 단말(20)이 참여할 수 있는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참여 허가부(325)에 의하여 공동주문 방의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20)에 대하여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참여 허가부(325)에 의하여 제2 단말(20)의 참여가 허가된 공동주문 방이라고 하더라도, 제2 배달지가 변경되어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참여 허가부(325)는 공동주문 방에 대한 제2 단말(20)의 허가 여부를 변경하기 때문에,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330)는 변경된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로 제공한다. 또한, 제2 단말(20)로부터 제1 정보 입력부(310)에 참여 정보가 입력되지 않아도 공동정보 방의 허가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참여가 허가된 공동정보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에 통지할 수 있다.The first co-ordinance issuing unit 330 is a device for providing the second terminal 20 with information on the co-ordinance room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 can participate, And provides opening information of the common order room to the second terminal 20 to which the participation of the room is permitted. If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changed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first delivery place even if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econd terminal 20 by the participation permission unit 325, Since the permitting unit 325 changes the permission or denial of the second terminal 20 to the common order room, the first common order issuing unit 330 transmits the opened common room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 to provide.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advance whether or not to permit the common information room even if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not inpu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 to 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310, the open information of the common information room, 20).

이러한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330)는 참여 허가부(325)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20)로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에 제공하기 때문에, 제1 배달지와 제2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제2 단말(20)이 공동주문 방을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단말(20)은 참여가 허가된 공동주문 방을 직접 탐색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참여 가능한 공동주문 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cooperative order issuing unit 330 provides the second terminal 20 with the information of opening the common order room to the second terminal 20 authorized by the participation permitting unit 325, The second terminal 20 can view the common order room only when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accordingly the second terminal 20 is inconvenient to directly search for the common order room in which the participation is permitted It is easy to recognize a co-order room that is missing and can participate.

상기 제1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335)는 공동주문 방에 참여된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의 각각의 주문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공동주문 방에 복수 개의 제2 단말이 참여된 경우, 복수 개의 제2 주문 정보가 포함된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35 generates one information by integrating the ord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participating in the common order room, And generates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Also, when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participate in the common order room,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ord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상기 가맹점 단말(40)은 음식점에 비치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식의 주문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공동주문 정보에 관한 음식이 조리되고 제1 배달지 및 제2 배달지로 배달되도록 음식점에 대하여 요청한다. The merchant terminal 40 is provided in a restaurant and receives a request for food from a user terminal. The merchant terminal 40 requests the restaurant to prepare the food for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and deliver it to the first delivery address and the second delivery address.

상기 제1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340)는 공동주문 방에 참여된 사용자들 동시에 음식점으로 주문할 수 있도록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는 경우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한다.The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34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order information so that users participating in a common order room can order a restaurant at the same time.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common order room, (40).

이러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공동주문 방에 제2 단말(20)이 무제한으로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맹점 단말(40)이 과도한 주문을 포함한 공동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음식점이 한번에 배달할 수 있는 음식의 양 초과한 음식의 양을 배달을 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Such a food co-ordering system prevents unlimited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 in the co-ordering room, so that the merchant terminal 40 receives the co-orde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excessive order and the food that the restaurant can deliver at on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food exceeding the amount to be delivered must be delivered.

상기 제1 시간 체크부(345)는 공동주문 방의 개설 시간 정보를 체크하는 장치로서, 제1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340)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한다.The first time period check unit 345 is a device for checking the establishment time information of the common order room. The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340 transmits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 RTI ID = 0.0 > (40).

이러한 제1 시간 체크부(345)는 공동주문 방의 개설 시간 정보를 체크하고 제1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340)는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하기 때문에, 제1 단말(10)이 제2 단말(20)의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기약 없이 기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주문 정보의 발생 시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주문에 대하여만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시간 차이로 인한 주문자의 장시간 대기를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time check unit 345 checks the open time information of the common order room and the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0 transmits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40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terminal 10 from being hesitantly waiting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second order terminal 20 in the second order terminal 20 and to generate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only for the orders whose difference in the generation times of the plurality of order information is not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stomer from waiting for a long time due to the time difference.

상기 제1 제어부(360)는 공동주문 서버(3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제1 정보 입력부(310)에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위한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고, 제1 배달지 또는 제2 배달지의 정보가 변경되면 제1 거리 판단부(320)가 2 배달지와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 제1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340)가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request information for opening the common order room is input to the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310, the first control unit 36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mon order server 30, The first distance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delivery position or the second delivery position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second delivery position and the first delivery position, And controls the unit 340 to transmit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40.

상기 배달 가능 여부 문의부(350)는 음식점이 1인분 음식을 배달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지 여부를 문의 하는 장치로서,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지 않은 경우, 1인분 음식이 제1 배달지 및 제2 배달지로 배달될 수 있는 지 여부를 가맹점 단말(40)에 문의한다.The delivery availability inquiry unit 350 inquires whether or not the restaurant is allowed to deliver food for one person. When a co-order room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co- If not, it inquires of the franchise terminal 40 whether the one-person meal can be delivered to the first delivery address and the second delivery address.

따라서,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지 않은 경우 가맹점 단말(40)에 배달 여부를 문의 하기 때문에, 제1 단말(10)은 제2 단말(20)의 공동주문 방 참여가 없어도 음식점의 상황에 따라 1인분 음식을 배달해 줄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지 여부를 가맹점에 확인하여 1인분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co-ordering room after the co-ordinance room is open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first terminal 10 inquires of the merchant terminal 40 about delivery, , It is possible to order food for one person by confirming to the franchisee whether or not it is a condition for the delivery of the food for one pers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restaurant.

상기 제1 결제 수행부(355)는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이 주문한 음식에 대한 금액이 가맹점 단말(40) 또는 외부의 결제 서버와 연동되어 결제해 주는 장치로서, 공동주문 정보가 가맹점 단말(40)로 전송된 경우,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The first settlement performing unit 355 is a device for making a payment for the food ordered by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in cooperation with the merchant terminal 40 or an external settlement server, When the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40, paym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nd payment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performed do.

상기 제1 결제 수행부(355)는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하여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의 미리 설정된 결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결제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주문 방에 참여한 제1 단말(10) 또는 제2 단말(20)은 별도로 결제를 수행하지 않고, 자동으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settlement performing unit 355 may automatically settle the settlemen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t pay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10 or the second terminal 20 participating in the common order room can perform the settlement automatically without performing the settlement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음식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S100)을 한다. 그런 다음, 제1 단말(10)이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한 후, 공동주문 서버(30)에 공동주문 방 개설을 요청(S105) 한다. 이때, 공동주문 방 개설 요청에 따라 제1 주문 정보를 포함한 공동주문 방이 개설(S110) 된다. 그런 다음, 제2 단말이 제2 주문 정보를 입력(S115) 하고, 거리 판단부는 제2 배달지와 제1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지 판단(S120)하여 소정 반경에 위치된 경우 제2 단말(20)로 공동정보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S125)한다. 그 후, 제2 단말은 주문하려는 음식점의 정보가 포함된 공동주문 방에 대하여 참여 정보를 입력(S130)한다. 이때, 공동주문 방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20)이 참여될 수 있다. 제1 시간 체크부(345)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S135)하고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인원이 참여한 경우(S140) 공동주문 방에 참여된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의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하여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S160)한다. 만약,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고 공동 주문방에 소정인원이 참여되지 않은 경우(S145), 배달 가능 여부 문의부(350)는 가맹점 단말(40)로 배달여부를 문의(S150)한다. 그 후, 가맹점 단말(40)로부터 배달 가능 답변 정보를 수신한 경우 공동주문 방에 참여된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의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하여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S160)한다. 만약, 가맹점 단말(4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배달 가능 답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종료(S175)된다.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food common order server 30 and joins the membership (S100). Then, after the first terminal 10 input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t requests the common order server 30 to open a common order room (S105). At this time, a common order room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opened (S110)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opening the common order room. Then, the second terminal inputs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S115), and the dista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elivery place and the first delivery place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S120) (S125). ≪ / RTI > Thereafter, the second terminal inputs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to the common order room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to be ordered (S130). At this tim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 can participate in the co-order room. The first time checking unit 345 determines whether a cooperative ordering room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135).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140), the first time- And joint order information fo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 (S160).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co-ordinance room has been open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persons are not participated in the co-ordinance room (S145), the delivery availability inquiry unit 350 inquires of the merchant terminal 40 about the delivery (S150) do. Then, when receiving the deliverable answer information from the merchant terminal 40,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participating in the common order room, (S160). If the delivery possible answer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merchant terminal 40 for a preset time, the process ends (S17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제1 단말과 함께 1인분 음식을 주문하는 제2 단말이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주문하려는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으며, 음식점은 공동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복수의 배달지를 1회의 배달을 통하여 모두 배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점에 1인분 음식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e food common ord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pace is provided for the second terminal for ordering a meal for one person together with the first terminal for the same restaurant, It is possible to jointly order whether the delivery terminal to be ordered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to jointly order the delivery terminal to deliver the plurality of delivery destinations through the one delivery using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delivery of food to a restaurant for one pers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이고, 도 5는 도 4의 공동주문 서버(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od co-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ordering server 50 of FIG. 4, Fig. 6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ood co-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1인분 음식의 공동주문을 위하여 이미 주문되어 있는 음식 주문 배달지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음식 주문 배달지 모두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추가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제1 단말(10), 제2 단말(20), 공동주문 서버(50), 가맹점 단말(40)을 포함한다. 4, a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order delivery point that is already ordered for co-ordering one serving of food and a food order delivery poin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A second terminal 20, a co-order server 50, and a merchant terminal 40. The first terminal 10, the second terminal 20, the co-order server 50, and the merchant terminal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제2 단말(20)이 제1 단말(10)의 음식 주문에 추가하여 1인분 음식을 주문 하기 위하여, 제1 단말(10)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제1 배달지로 음식을 먼저 주문하고, 음식점에서 제1 배달지로 주문 음식을 배달하기 위해 출발하기 전에 제2 단말(20)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제2 배달지로 1인분 음식을 주문하며, 제2 배달지가 제1 배달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이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공동으로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1인분 음식의 배달에 대한 손해발생으로 인하여 1인분 음식의 배달을 기피하는 음식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1인분 음식의 배달을 요청하기 때문에, 음식점은 1인분 음식의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second terminal 20 to order a meal for one person in addition to the food order of the first terminal 10, the first terminal 10 sends food to the first delivery place first And the second terminal 20 orders a one-person meal to the second delivery place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like before starting to deliver the order food from the restauran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orders the first delivery place When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ood can be ordered jointly for the same restaurant. Such a food co-ordering system allows a restaurant to avoid the delivery of one serving of food due to damage to the delivery of one serving of food, so that at least one user requests the delivery of one serving of food, May not result in damage.

여기서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가맹점 단말(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가맹점 단말(40)과 구성이 유사하고, 이하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The first terminal 10,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merchant terminal 40 of the food co-ordin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0, the second terminal 20, (40),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단말(10)은 단독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단말 장치로서,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공동주문 서버(50)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식점과 음식점 내의 복수 개의 음식 및 복수 개의 음식이 배달되는 제1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복수 개의 음식은 1인분의 음식으로 치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10 is a terminal device for ordering food alone. The terminal device 10 is connected to a common order server 50 for ordering food, and a plurality of foods and a plurality of foods in a restaurant, And inputs first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first deliverable to be delivered. The plurality of foods may be substituted with one serving of food.

상기 제2 단말(20)은 제1 주문 정보에 의한 음식의 배달과 공동으로 음식이 배달되기 위해 1인분의 음식을 주문하는 단말 장치로서, 공동주문 서버(50)에 접속하여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과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2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한다.The second terminal 20 is a terminal device for ordering one food for delivery of food in cooperation with the delivery of food by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he terminal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common order server 50, And a second delivery place where one-person food is delivered.

만약, 상기 제2 단말(20)은 원하는 음식점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 단말과 함께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 공동주문 서버(30)에 접속하고 1인분 음식의 주문을 위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1에 도시된 제1 단말(10)의 구성과 같은 기능을 할 수도 있다.If the second terminal 20 does not have a common ordering room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desired restaurant, the second terminal 20 may send a food order server 30, and a common order room for ordering one person's food can be opened. In such a case,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first terminal 10 shown in FIG. 1 may be perform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동주문 서버(50)는 제2 통신부(500), 제2 회원 인증부(505), 제2 정보 입력부(510), 제2 공동주문 방 개설부(515), 제2 거리 판단부(520), 제2 참여 허가부(525),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530), 제2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540), 제2 시간 체크부(545), 결제 수행부(550) 및 제2 제어부(555)를 포함한다.4, the common order server 5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500, a second member authentication unit 505, a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510, a second common order setting unit 515, A second coin order acceptance unit 530, a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40, a second time check unit 545, a settlement unit Unit 550 and a second control unit 555. [

상기 공동주문 서버(50)의 제2 통신부(500), 제2 회원 인증부(505), 제2 정보 입력부(510), 제2 거리 판단부(520), 제2 참여 허가부(525),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530), 제2 시간 체크부(545) 및 제2 제어부(55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공동주문 서버(50)의 구성과 본래 다른 구성이지만, 기능과 동작이 유사하여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500, the second member authentication unit 505, the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510, the second distance determination unit 520, the second participation permission unit 525, The second co-order dispensing portion 530, the second time check portion 545 and the second control portion 555 are connected to the co-order of the food co-ord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5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rver 50,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are simi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공동주문 서버의 a, b, 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a', b', c'의 구성과 그 기능이 동일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a', b', c'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구성 하나씩 나열하면서 설명할 것.A, b and c of the co-order server are the same as those of a ', b' and c 'shown in Figs. 1 to 3, The description of which will be omitted. Describe the other components one by one.

상기 제2 공동주문 방 개설부(515)는 제2 단말(20)이 제1 단말(10)의 주문에 대하여 추가로 1인분 음식을 주문하기위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는 장치로서, 제1 단말(10)로부터 제1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한다. 즉, 공동주문 방은 제1 단말(10)이 공동주문 서버(50)에 접속하여 음식점에 복수 개의 음식 주문을 완료하는 즉시 생성된다.The second co-order room establishing unit 515 is a device for establishing a common order room for the second terminal 20 to order an additional one-person meal for the order of the first terminal 10, Whe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first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a common order room is automatically establish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hat is, the co-order room is created as soon as the first terminal 10 connects to the co-order server 50 and completes a plurality of food orders to the restaurant.

상기 제2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540)는 제2 공동주문 방 개설부(515)에 의해 공동주문 방이 자동으로 개설되면 제1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하고, 공동주문 제2 정보 입력부(510)에 참여 정보가 입력되면 제2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한다.The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540 transmit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40 when the common order room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second common order room opening unit 515, When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510,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40.

상기 공동주문 전송부는 공동주문 방이 자동으로 개설되면 제1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하기 때문에, 제2 단말(20)의 참여 여부 의해 제1 주문 정보가 늦게 가맹점 단말(40)로 전송되어 제1 주문 정보에 대하여 늦게 배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동주문 제2 정보 입력부(510)에 참여 정보가 입력되면 제2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하기 때문에, 음식점으로 하여금 제2 주문 정보에 대하여 신속하게 조리를 시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common order transfer unit transmit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40 when the common order room is opened automatically. Therefore,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40 later due to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40 when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mmon order second information inputting section 5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pt the user to start cooking quickly.

상기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530)는 제2 단말(20)이 참여할 수 있는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인원이 참여한 경우 공동주문 방에 대한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에 제공하지 않는다.The second cooperative order issuing unit 530 is a device for providing the second terminal 20 with information on the cooperative ordering room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 can participate, Or does not provide the second terminal 20 with the opening information for the co-order room when the personnel are involved.

이러한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530)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소정 인원이 참여하면 개설 정보를 제2 단말(20)에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단말(10)이 제2 단말(20)의 참여를 기약없이 기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cooperative order issuing unit 530 does not provide the opened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cooperative ordering room has been opened or when a predetermined person has particip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terminal 20 from being waited on unattended.

상기 제2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535)는 제1 주문 정보 또는 제1 주문 정보와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535)는 제1 주문 정보만 포함된 공동주문 정보 또는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가 함께 포함된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2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535)는 복수 개의 제2 주문 정보가 포함된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35 generates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first order information or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a second terminal permitted to participate. Accordingly, the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35 generates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only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gether. Also, the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35 may generate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order information.

이러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음식을 주문하기 위한 제1 단말(10)이 제1 주문정보를 입력하면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제1 주문 정보가 전송되며 제1 배달지와 제2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제2 주문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동일한 음식점에 대하여 제1 단말(10)에 의해 미리 주문되어 있는 제1 주문 정보와 함께 1인분 음식을 추가로 주문하는 제2 단말(20)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의 주문하려는 배달지가 인접한 지 여부를 확인하여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음식점은 공동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1회의 배달에 의해 인접한 복수의 배달지로 배달을 완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점에 1인분 음식 배달로 인한 손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is food co-order system, when the first terminal 10 for ordering a plurality of foods inputs first order information, a common order room is opened, first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delivery address and the second delivery address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terminal 20 for ordering additional one-meal food together with the first order information previously ordered by the first terminal 10 with respect to the same restauran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delivery terminal to be ordered of the first terminal 10 and the second terminal 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order them jointly. Also, the restaurant can complete the delivery to the adjacent delivery destinations by one delivery using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delivery of the food for one person to the restaurant.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d co-ord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 단말은 음식 공동주문 서버(5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S200)을 한다. 그런 다음, 제1 단말(10)이 제1 주문 정보를 입력(S205)하고, 제2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540)는 제1 주문 정보가 포함된 공동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2 단말(20)이 제2 주문 정보를 입력(S220). 하고, 제2 거리 판단부(520)는 제2 배달지와 제1 배달지가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지 판단(S225)하여 소정 반경에 위치된 경우 제2 단말(20)로 공동정보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S230)한다. 그 후, 제2 단말(20)은 주문하려는 음식점의 정보가 포함된 공동주문 방에 대하여 참여 정보를 입력(S235)한다. 이때, 공동주문 방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20)이 참여될 수 있다. 제2 시간 체크부(545)는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S240)하고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인원이 참여한 경우(S245) 제2 주문 정보에 대한 금액을 자동으로 결제(S250)하며, 제2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540)는 제2 주문 정보를 가맹점 단말(40)로 전송(S255)한다. 만약,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고 공동 주문방에 소정인원이 참여되지 않은 경우(S240) 종료된다.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food common order server 50 and joins the membership (S200). Then, the first terminal 10 input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S205), and the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40 transmits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40 do. Then, the second terminal 20 inputs second order information (S220). The second distance determination unit 52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elivery place and the first delivery place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S225). If the second delivery position and the first delivery position are located at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cond distance determination unit 520 provides the common information room open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 S230). Then, the second terminal 20 inputs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to the common order room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to be ordered (S235). At this time,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20 can participate in the co-order room. The second time check unit 545 determines whether a cooperative ordering room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240). If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have participated in the predetermined time (S245), the second time checking unit 545 automatically S250), and the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40 transmits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40 (S255).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co-ordinance room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are not participated in the co-ordinance room (S240), the process end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제1 단말 20: 제2 단말
30,50: 공동주문 서버 40: 가맹점 단말
300: 제1 통신부 305: 제1 회원 인증부
310: 제1 정보 입력부 315: 제1 공동주문 방 개설부
320: 제1 거리 판단부 325: 제1 참여 허가부
330: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 335: 제1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
340: 제1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 345: 제1 시간 체크부
350: 배달 가능 여부 문의부 355: 제1 결제 수행부
360: 제1 제어부 500: 제2 통신부
505: 제2 회원 인증부 510: 제2 정보 입력부
515: 제2 공동주문 방 개설부 520: 제2 거리 판단부
525: 제2 참여 허가부 530: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
535: 제2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 540: 제2 주문 정보 전송부
545: 제2 시간 체크부 550: 제2 결제 수행부
555: 제2 제어부
10: first terminal 20: second terminal
30, 50: co-order server 40: merchant terminal
300: first communication unit 305: first member authentication unit
310: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315: first common order room setting unit
320: first distance determination unit 325: first participation permission unit
330: first co-order issuing unit 335: first co-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40: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5: first time check unit
350: Delivery availability inquiry unit 355: First payment performing unit
360: first control unit 500: second communication unit
505: second member authentication unit 510: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515: second co-order room setting unit 520: second distance judgment unit
525: second participation permitting unit 530: second common order issuing unit
535: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40: second order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545: second time checking unit 550: second payment performing unit
555: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동주문 서버를 포함하여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는 시스템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1인분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식점과 상기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 및 상기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1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1인분 음식을 공동으로 주문하기 위한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요청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 및 상기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2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2 배달지가 상기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는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문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며, 상기 제2 배달지가 상기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공동주문 방에 상기 제2 단말의 참여를 허가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A system for jointly ordering one serving of food, includ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co-ordering server networked with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mmon ordering server to order one serving of food and inputs first ordering information including a desired restaurant and a first delivery place where the one serving food and the one serving food in the restaurant are delivered, A first terminal requesting establishment of a co-order room for co-ordering the one-meal meal;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on order server and includes a second delivery address where the one-meal food and the one-meal food in the restaurant are delivered, and wherein the second delivery address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 second terminal capable of being ordered with the first terminal, if the terminal is located,
Wherein the common order server registers or authenticate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and opens the common order room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up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ermits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common order room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generates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 by th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서버는,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는 제1 회원 인증부;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각각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공동주문 방의 개설을 위한 요청 정보와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위한 참여 정보가 입력되는 제1 정보 입력부;
상기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는 제1 공동주문 방 개설부;
상기 제2 배달지가 상기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거리 판단부;
상기 거리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의 공동주문 방으로의 참여를 허가하는 제1 참여 허가부;
상기 참여 허가부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로 상기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하는 제1 공동주문 방 통지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공동주문 방에 참여한 제2 단말에 의하여 각각 입력된 상기 제1 주문 정보와 상기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공동주문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first member authentication unit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re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request information for opening the common order room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particip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A first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first information;
A first co-order room establishing unit for establishing the co-order room based on the request information;
A first distanc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 first participation granting unit for granting participation in the common order room of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istance determining unit;
A first co-order issuing unit for providing the co-ordering room establishment information to a second terminal permitted by the participation granting unit;
A first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common order room, respectively; And
And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mon order ser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에 비치되는 가맹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문 서버는,
상기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는 경우 상기 공동주문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erchant terminal provided in the restaurant,
The co-
And a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common order roo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방의 개설 시간 정보를 체크하는 제1 시간 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는 상기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공동주문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irst time check unit for checking the open time information of the co-order room,
Wherein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after the co-order room is open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방이 개설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공동주문 방에 소정 인원이 참여하지 않은 경우, 상기 1인분 음식이 상기 제1 배달지 및 상기 제2 배달지로 배달될 수 있는 지 여부를 상기 가맹점 단말에 문의하는 배달 가능 여부 문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If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has not elapsed after the cooperative ordering room has been open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ether the one-person meal can be delivered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nd the second delivery place, Further comprising a delivery availability inquiry part inquiring the delivery order inquiry pa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배달 가능 여부에 대한 답변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공동주문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merchant terminal only when the answer information on the delivery availability is received from the merchant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정보가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주문 정보 및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1 결제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settlem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settlement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o settl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when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 execution unit operable to: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동주문 서버를 포함하여 음식을 추가로 주문하는 시스템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음식점과 상기 음식점 내의 복수 개의 음식 및 상기 복수 개의 음식이 배달되는 제1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1 주문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공동주문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음식점 내의 1인분 음식과 상기 1인분 음식이 배달되는 제2 배달지를 포함하는 제2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2 배달지가 상기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공동으로 주문할 수 있는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문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고,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공동주문 방을 자동으로 개설하며, 상기 제2 배달지가 상기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공동주문 방에 상기 제2 단말의 참여를 허가하며, 상기 제1 주문 정보 또는 상기 제1 주문 정보와 상기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A system for ordering additional food includ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co-ordering server networked with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mmon order server for ordering food, and the first terminal for inputting first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desired restaurant, a plurality of foods in the restaurant, and a first delivery destination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foods are delivered, ;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a one-person meal in the restaurant and a second delivery order in which the one-person meal is delivered, the second order being connected to the common order server, A second terminal capable of being ordered with the first terminal, if the terminal is located,
Wherein the common order server registers or authenticate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and automatically opens the common order room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generates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second order information entered by the second termin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서버는,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회원으로 등록 또는 인증하는 제2 회원 인증부;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각각 제1 주문 정보와 제2 주문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공동주문 방의 참여를 위한 참여 정보가 입력되는 제2 정보 입력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공동주문 방을 개설하는 제2 공동주문 방 개설부;
상기 제2 배달지가 상기 제1 배달지에 대하여 소정 반경 내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거리 판단부;
상기 거리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의 공동주문 방으로의 참여를 허가하는 제2 참여 허가부;
상기 참여 허가부에 의하여 허가된 제2 단말로 상기 공동주문 방의 개설 정보를 제공하는 제2 공동주문 방 통지부;
상기 제1 주문 정보 또는 상기 제1 주문 정보와 상기 참여가 허가된 제2 단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제2 공동주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공동주문 서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 second member authentication unit for registering or authentica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s members;
A second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inputting participation inform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common order room from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common order setting unit for automatically setting a common order room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whe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first terminal;
A second distanc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elivery pla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first delivery place;
A second participation granting unit for granting particip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common order room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istance determining unit;
A second co-order issuing unit for providing opening information of the co-ordering room to a second terminal authorized by the participation granting unit;
A second common order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common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first order information and second order information inputted by the second terminal for which participation is permitted; And
And a seco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mon order serv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에 비치되는 가맹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문 서버는,
상기 공동주문 방 개설부에 의해 상기 공동주문 방이 자동으로 개설되면 상기 제1 주문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공동주문 정보 입력부에 상기 참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주문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공동주문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merchant terminal provided in the restaurant,
The co-
When the common order room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common order room opening unit, the first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and when the participatio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input unit, And a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o the common order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방의 개설 시간 정보를 체크하는 제2 시간 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문 방 통지부는, 상기 공동주문 방이 개설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소정 인원이 참여한 경우 상기 공동주문 방에 대한 개설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ime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open time information of said common order room,
Wherein the common order room notification unit does not provide opening information for the common order room to the second termi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ning of the common order room or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have participat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문 정보 또는 제2 주문 정보가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주문 정보 또는 제2 주문 정보에 대응되는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2 결제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rchant terminal, the paym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ttlement of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information or the second order information And a second settlement performing unit performing the settlement of the food order.
KR1020150132426A 2015-09-18 2015-09-18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KR201700353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426A KR20170035364A (en) 2015-09-18 2015-09-18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426A KR20170035364A (en) 2015-09-18 2015-09-18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64A true KR20170035364A (en) 2017-03-31

Family

ID=5850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426A KR20170035364A (en) 2015-09-18 2015-09-18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364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904A (en) * 2017-12-15 2019-06-25 타킷 주식회사 Method for joint orders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001188B1 (en) * 2018-12-18 2019-10-01 김병준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Joint order-delivery Service
KR20200002523A (en) * 2018-06-29 2020-01-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bundle delivery using reservation
KR102106578B1 (en) 2019-12-04 2020-05-04 (주)케이티씨에스 System for sharing food delivery and method thereof
KR20210132814A (en) 2020-04-28 2021-11-05 나건우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by sharing delivery food
KR102409980B1 (en) * 2021-12-08 2022-06-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based joint ordering application device and distance-based joint ordering system comprising it
KR20230000541A (en) 2021-06-25 2023-01-03 현준희 Food ordering and delivery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230055848A (en) 2021-10-19 2023-04-26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public delivery system using the delivery app
KR102532042B1 (en) 2022-03-03 2023-05-15 이영수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t delivery order service
KR20230171152A (en) * 2022-06-13 2023-12-20 정재근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joint delivery ord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24058293A1 (en) * 2022-09-13 2024-03-21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280A (en) 2009-01-29 2010-07-16 심상근 Dual routing system for meal delivery services
KR101517514B1 (en) 2013-05-08 2015-05-04 유한회사 알지피코리아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and delivery services and member store terminal for th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280A (en) 2009-01-29 2010-07-16 심상근 Dual routing system for meal delivery services
KR101517514B1 (en) 2013-05-08 2015-05-04 유한회사 알지피코리아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and delivery services and member store terminal for the system and method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904A (en) * 2017-12-15 2019-06-25 타킷 주식회사 Method for joint orders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02523A (en) * 2018-06-29 2020-01-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bundle delivery using reservation
KR102001188B1 (en) * 2018-12-18 2019-10-01 김병준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Joint order-delivery Service
WO2020130480A1 (en) * 2018-12-18 2020-06-25 김병준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joint order-delivery service
KR102106578B1 (en) 2019-12-04 2020-05-04 (주)케이티씨에스 System for sharing food delivery and method thereof
KR20210132814A (en) 2020-04-28 2021-11-05 나건우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rdering by sharing delivery food
KR20230000541A (en) 2021-06-25 2023-01-03 현준희 Food ordering and delivery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230055848A (en) 2021-10-19 2023-04-26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public delivery system using the delivery app
KR102409980B1 (en) * 2021-12-08 2022-06-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based joint ordering application device and distance-based joint ordering system comprising it
KR102532042B1 (en) 2022-03-03 2023-05-15 이영수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t delivery order service
KR20230130583A (en) 2022-03-03 2023-09-12 이영수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t delivery order service
KR20230171152A (en) * 2022-06-13 2023-12-20 정재근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joint delivery order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24058293A1 (en) * 2022-09-13 2024-03-21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5364A (en) System for food joint ordering
US20200359167A1 (en) Map interface with message marker for location-based messages
EP338465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factor authentication
US9247010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real-time social and business interactions/networking
US20160189461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ased vendor/customer interface
US201301734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co-located group as an authorization mechanism
JP66970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order information and ticket sharing
US20230049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ransferring money
US11495080B2 (en) Enhanced peer-to-peer networking exchange
US20220253827A1 (en) Transmitting data based on retrieval locations
US11861742B2 (en) Bi-directional real-time tab control
JP2017036973A (en) Route search program and route search method
KR102042848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arpool
KR1017362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eeting place
JP2017027460A (en) Interviewee confirmation program and venue order program
CN101866507A (en) Reservation queuing system based on short messages
KR20150077481A (en) order processing method and an online chat solution for using smartphone
KR101682192B1 (en)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using beacon
KR20210112616A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tore
US20160093003A1 (en) Operation management
TWI579796B (en) Smart Ticket Automatic Media Matching and Matching System
KR2014014756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function facility service and social safety net building using bluetooth
AU2015101271A4 (en) A hotel management system adapted for interfacing with authori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160086066A (en) Method of guiding a taxi-sharing
JP6788704B2 (en) Server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