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338A -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 Google Patents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338A
KR20170028338A KR1020170026670A KR20170026670A KR20170028338A KR 20170028338 A KR20170028338 A KR 20170028338A KR 1020170026670 A KR1020170026670 A KR 1020170026670A KR 20170026670 A KR20170026670 A KR 20170026670A KR 20170028338 A KR20170028338 A KR 20170028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present
edi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4682B1 (en
Inventor
염광윤
Original Assignee
염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광윤 filed Critical 염광윤
Priority to KR102017002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82B1/en
Publication of KR2017002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editing method using a touchscreen. The content editing method using a touchscreen relates to a computer device configured to,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edit one or more pieces of content sequentially arranged and to complete a content package, wherein the content edit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moving first content in a first direction; a step of moving second content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tep of generating an additional interface for new content, 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tent editing to be very convenient.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편집하고 추가하며, 삭제할 수 있는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edit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diting method capable of intuitively editing, adding, and deleting a plurality of contents arranged on a touch screen.

반도체설계 기술 및 무선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우리 생활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휴대용 이동통신과 컴퓨팅이 가능한 기기들은 인간이 특정한 컨텐츠를 소비하거나, 카카오톡,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즐기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점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환경의 급격한 발전으로 텍스트, 음성, 영상, 이미지 등의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공유하는 활동들이 증가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design technology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re transforming our lives in an innovative way.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and computing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are widely used for human consumption of specific contents,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KakaoTalk, Twitter, and Facebook, and increasingly influential in our lives hav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mobile devices, there have been increasing activities for creating and sharing contents such as text, voice, image, and image.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하여 컨텐츠가 생성되고는 있으나, 4인치 내지 6인치 디스플레이의 한계로 인하여 관련한 컨텐츠의 효율적인 편집이 어려운 상황이며, 8인치 내지 11인치의 태플릿 컴퓨터의 경우에도 큰 디스플레이를 가지고는 있지만, 직관적이지 못한 인터페이스의 한계로 인하여 컨텐츠의 편집, 추가, 삭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332644호 등은 새로운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있으나, 대부분 ‘편집버튼’ 글자로 표현하는 방식에 머물러 있으며, 편리하고 간단한 컨텐츠 편집 인터페이스는 쉽게 나타지 않고있다.Although contents are generated by such a mobile device,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edit related contents due to limitations of a 4-inch to 6-inch display, and even in the case of 8- to 11-inch tablet computers, ,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dit, add, and delete contents due to the limit of the interface which is not intuitiv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332644 proposes a new content editing interface, but most of them are expressed in the form of an 'edit button' character, and a convenient and simple content editing interface is not readily available .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편집, 추가, 삭제가 편리한 컨텐츠 편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editing method which is easy to edit, add, and delete contents using a touch screen.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제1컨텐츠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컨텐츠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다른 방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diting content us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editing one or more contents arranged in order by a signal input from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moving a first content in a first direction; Moving the second content in a second direction; Creating a new content addition interface, 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tep of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특정한 제1축의 선상에서 상호 대향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mutually opposed on a line of a specific first axis.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과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content.

상기 제1컨텐츠와 상기 제2컨텐츠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축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과 상기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제1축에 대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축의 선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nd visualizing the first content in a first axis;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content, and assigning the time difference to the first axis; And moving the generated additional interface on a line in the first axis.

상기 추가인터페이스를 제1컨텐츠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은 제1컨텐츠의 생성시간에 근접하게 설정되고, 제2컨텐츠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은 제2컨텐츠의 생성시간에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interface is moved toward the first content, the generation time of the new content is set close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content, and when moving toward the second content, It can be set close to the generation time.

상기 추가인터페이스에 상기 신규컨텐츠의 신규생성시간을 표시하고, 상기 추가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축 선상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생성시간을 변경시킬 수 있다.The creation time of the new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additional interface, and the creation time may be changed by moving the additional interface on the first axi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트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제3컨텐츠를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3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방향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이루는 컨텐츠축의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ing a content package by editing one or more contents arranged in order by a signal input from a touch screen, In a third direction; And changing the third content into an edit mode, wherein the third direction is a direction different from one direction of a content axis formed by one or more contents.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컨텐츠축과 수직일 수 있다.The third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content axis.

상기 편집모드는 상기 제3컨텐츠의 일측에 상기 제3컨텐츠를 내용수정모드로 변환시키는 제1버튼 및 상기 제3컨텐츠를 삭제모드로 변환시키는 제2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The editing mode may include displaying a first button for converting the third content into the content modification mode and a second button for converting the third content into the deletion mode on one side of the third content.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음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ontent may be any one of a text, an image, a moving image, a location record, a map, and a vo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제한된 디스플레이상에서 많은 컨텐츠를 손쉽게 편집, 추가, 삭제할 수 있으며, 추가되는 컨텐츠의 정보도 쉽게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edit, add and delete a large amount of contents on a limited display with a very simple operation, and to easily input information of added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S100과 S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시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1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2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of a conten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S100 and S200 of Fig. 1.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ax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new content addi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genera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conten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S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S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스크린(10)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ent editing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이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도 1의 S100과 S20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22)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16)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시간(24)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to 5, a conten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FIG. 1 is a flowchart of a conten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S100 and S200 of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axis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new content addition interface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time 2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터치스크린(10)(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제1컨텐츠(12)를 제1방향(18)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컨텐츠(14)를 제2방향(2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16)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18)과 상기 제2방향(20)은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18)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방향(2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18)과 상기 제2방향(20)은 특정한 제1축(22)의 선상에서 상호 대향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content edit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diting a content package by editing one or more contents arranged in order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s 10 and 10 A computer device comprising: moving a first content (12) in a first direction (18); Moving the second content (14) in a second direction (20); Creating a new content addition interface 16, wherein the first direction 18 and the second direction 20 may be in different directions.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18) and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2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first direction (18) and the second direction (20) are mutually opposed on a line of a specific first axis (22).

컨텐츠패키지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음성으로 구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2007년 아이폰이 등장한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은 급격한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카메라, 마이크, 디스플레이,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들이 직접 컨텐츠를 생산해내는 시대가 도래하였고, 사용자들의 여행기록, 영화감상, 음식점 탐방 등의 행동에는 상시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컴퓨터가 동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채집되는 컨텐츠는 블로그, 피드, 타임라인 컨텐츠와 같은 융합된 컨텐츠 패키지로 다양한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있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등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서 전달되고 있다.Content package means information composed of text, image, moving picture, location record, map, and voice. Since the launch of the iPhone in 2007,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has progressed at a rapid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cameras, microphones, displays, and mobile interfaces, users are beginning to produce their own content. , And restaurant visits, mobile computers such as smart phones were always accompanied. The contents to be collected on such a mobile device are shared by various people as a fused content package such as a blog, a feed, and a timeline content, and a content sharing platform such as Facebook, Twitter, Naver blog, .

제1컨텐츠(12) 및 제2컨텐츠(14)는 일반모드일 경우 특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컨텐츠 패키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텐츠 패키지는 특정한 플랫폼 또는 게시물이 되기 전의 편집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컨텐츠(12)를 제1방향(18)으로 이동시키면서, 제2컨텐츠(14)를 제2방향(20)으로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추가인터페이스(16)가 등장할 수 있다. 추가인터페이스(16)는 신규컨텐츠를 불러오는 역할을 하며, 추가인터페이스(16)의 등장과 동시에 갤러리, 메모장, 음성 앱(어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를 호출하는 모듈이 동작하게 된다. 추가인터페이스(16)의 생성 이후에 등장하는 컨텐츠 호출앱은 운영체제에서 지정될 수 있으며, 중간에 어떠한 앱을 구동하여 어떠한 유형의 컨텐츠를 호출할지 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second content 14 may be placed in a content package with a specific interval in a normal mode. The content package may be in an editable state prior to becoming a particular platform or pos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content 12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18 while the second content 14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20, The interface 16 may appear. The additional interface 16 plays a role of loading new content, and a module for calling contents from a gallery, a notepad, and a voice application (application) operates simultaneously with the appearance of the additional interface 16. The content calling application appearing after the creation of the additional interface 16 may be designated in the operating system, an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ich type of content to call by driving an application in the middle.

제1방향(18)과 제2방향(20)은 다른방향일 수 있는데, 이러한 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권장된다. 여기서 ‘동시’라는 것은 초단위까지 정확히 일치할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오차범위내에서의 시간대를 의미할 수 있다.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10)에서 두 손가락을 오므렸다가 피는 행동에 의해 특정한 이미지를 확대시키는 행동패턴을 의미하는 ‘핀치 투 줌’같은 멀티터치행위에 의해서 상기의 제1방향(18)과 제2방향(20)의 다른 방향으로의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direction 18 and the second direction 20 may b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t is recommended that movement in this direction occurs simultaneously. Here, 'simultaneous' does not mean that the unit of time is exactly equal to the unit of seconds, but it can mean the time zone within a specific error range. Touch operation such as 'pinch-to-zoom', which means a behavior pattern of enlarging a specific image by pinching two fingers on a multi-touch capable touch screen 10,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second content 14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two directions 20 can be performed.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는 터치스크린(10)상에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중심을 기준으로 선상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제1축(22)이라고 할 수 있다. 제1방향(18)과 제2방향(20)은 특정한 제1축(22)의 선상에서 상호 대향일 수 있다.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second content 14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and can be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axis 22. The first direction 18 and the second direction 20 may be mutually opposite on a line of a particular first axis 22. [

상기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과 상기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사진, 음성, 영상 등의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의 내용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컨텐츠가 생성된 시간도 중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컨텐츠 생성시간(24)은 향후 컨텐츠를 재정렬하는데 일정한 기준을 제공해주므로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타화하여 컨텐츠에 내장시키는 경우가 많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second content 14. [ In the case of contents such as text, photographs, audio, and video, not only the contents are important but also the time at which the contents are generated is important. Such a content creation time 24 provides a certain standard for rearranging contents in the future, and is often metadataized and embedded in contents in many cases.

상기 제1컨텐츠(12)와 상기 제2컨텐츠(14)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축(22)으로 시각화하는 단계; 상기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과 상기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상기 제1축(22)에 대입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추가인터페이스(16)를 상기 제1축(22)의 선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규컨텐츠를 추가하는 경우, 신규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베이스가 되는 추가인터페이스(16)가 등장할 수 있다. 하지만, 추가인터페이스(16)가 곧 신규컨텐츠인 것은 아니며, 신규컨텐츠가 위치할 위치를 가늠할 수 있게해주는 임시적인 영역이 추가인터페이스(16)라고 할 수 있다. 추가인터페이스(16)는 임시적인 영역을 상징하므로,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인터페이스(16)에 놓이게될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정보를 추가인터페이스(16)의 이동에 따라서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축(22)은 기본적으로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 사이의 거리일 수 있으나,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을 용이하게 입력하기 위하여, 제1컨텐츠(12)와 제2컨텐츠(14)의 거리를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과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에 대비하여, 추가인터페이스(16)의 이동에 따라서 그 사이의 시간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second content (14) and visualizing the distance in a first axis (22);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a generation time (24) of the first content (12) and a generation time (24) of the second content (14) and assigning the time difference to the first axis (22); And moving the generated additional interface (16) on a line of the first axis (22). When adding new content, an additional interface 16, which serves as a base for adding new content, may appear. However, the additional interface 16 is not a new content immediately, and the additional area 16 is a temporary area that allows a new content to be located. Since the additional interface 16 represents a temporary area, it can be moved freely. Thus, the creation time 24 information of the new content to be placed on the additional interface 16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additional interface 16. [ The first axis 22 may be basically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second content 14. In order to easily input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new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14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additional interface 16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first content 12 and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second content 14. [ And a time value between the time points.

상기 추가인터페이스(16)를 제1컨텐츠(12)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은 제1컨텐츠(12)의 생성시간(24)에 근접하게 설정되고, 제2컨텐츠(14)를 향하여 이동시킬 경우, 신규컨텐츠의 생성시간(24)은 제2컨텐츠(14)의 생성시간(24)에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인터페이스(16)에 상기 신규컨텐츠의 신규생성시간(24)을 표시하고, 상기 추가인터페이스(16)를 상기 제1축(22) 선상에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생성시간(24)을 변경시킬 수 있다.When the additional interface 16 is moved toward the first content 12,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new content is set close to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first content 12,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new content can be set to be close to the generation time 24 of the second content 14. In this case, (24) of the new content is displayed on the additional interface (16) and the creation time (24) is changed as the additional interface (16) is moved on the first axis .

도 6 내지 도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보안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편집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1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2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S. 6 to 8, an object Internet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 6 is a flowchart of a content edi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S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트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은, 터치스크린(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제3컨텐츠(26)를 제3방향(28)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3컨텐츠(26)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컨텐츠(26)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이루는 컨텐츠축(30)의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28)은 상기 컨텐츠축(30)과 수직일 수 있다.The content editing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uter apparatus for completing a contents package by editing one or more contents arranged in order by a signal inputted from a touch screen 10, (26) in a third direction (28); And changing the third content 26 into an edit mode, wherein the third content 26 is a direction different from one direction of the content axis 30 formed by one or more contents. The third direction (28) may be perpendicular to the content axis (30).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편집의 경우, 사진, 텍스트 컨텐츠를 ‘불러오기’버튼을 클릭한 후, 컨텐츠를 불러들여 컨텐츠 패키지를 만든다. 그 이후, 개별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대체하거나 삭제할때는 ‘수정하기’또는 ‘삭제하기’와 같은 텍스트 설명문구가 표기된 버튼을 클릭한 후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방식의 편집의 경우, 좁은 디스플레이상에 많은 부분을 텍스트 버튼이 차지하게 되고, 여러 번 터치를 하게되므로 편집과 삭제가 번거롭게 진행되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생산기기가 아닌 소비기기로 남게하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단순한 유저인터페이스에 의한 컨텐츠 편집 및 삭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3컨텐츠(26)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로 이루어진 컨텐츠패키지의 컨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가 있을 경우, 대부분 컨텐츠의 너비가 동일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도 일정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컨텐츠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특정한 컨텐츠축(30)을 기준으로 하나의 단위 컨텐츠를 그 축에서 벗어나도록 스와이프(문지르기)하면, 해당 단위 컨텐츠를 편집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중요 실시예 중 하나이다. 제3방향(28)은 컨텐츠축(30)과 수직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수직’은 정확히 90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의 단위 컨텐츠의 이동방향을 말한다.In the case of content editing on a mobile device, the user clicks the "import" button for the photo and text content, and then creates the content package by calling the content. Thereafter, when modifying, replacing, or deleting individu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modify or delete the content after clicking a button with a textual description such as "edit" or "delete". In this type of editing, there is a side effect that the text button occupies a large portion on the narrow display, and the user touches the touch panel many times, so that editing and deleting are troublesome and the mobile device is left as a consumer device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it and delete content by a simple user interface.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content 26 may be one of contents of a content package including one or more contents.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tents are present, the width of the contents is mostly the same, and even if they are not the same, the contents are gener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a certain central axis. Therefore, if one unitary content is swiped off the axis on the basis of a specific content axis 30, changing the unit content to the editing mode is one of the importa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direction 28 may be perpendicular to the content axis 30, but 'vertical' in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mean exactly 90 degrees but refers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it content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상기 편집모드는 상기 제3컨텐츠(26)의 일측에 상기 제3컨텐츠(26)를 내용수정모드로 변환시키는 제1버튼(32) 및 상기 제3컨텐츠(26)를 삭제모드로 변환시키는 제2버튼(34)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편집모드는 단위 컨텐츠 하나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수정모드와 단위 컨텐츠 하나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삭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컨텐츠의 위치를 수정하는 위치수정모드일 수 있으며, 단위 컨텐츠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모드일 수 있다. The editing mode includes a first button 32 for converting the third content 26 into a content modification mode and a second button 32 for converting the third content 26 into a delete mode, And displaying the button (34). The editing mode may include a content modification mode for allowing one unit content to be modified and a deletion mode for allowing one unit content to be deleted. Also, it may be a position correction mod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unit contents, and may be a rotation mode for enabling rotation of the unit contents.

컨텐츠패키지는 복수개의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모드일 경우, 컨텐츠를 스크롤 다운하면서 연속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컨텐츠(26)를 제3방향(28)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3컨텐츠(26)는 편집모드로 변경되며, 편집모드에서는 상기 제3컨텐츠(26)를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제1버튼(32) 또는 제2버튼(34)은 수정, 삭제를 각각 담당할 수 있으며, 이는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또, 추가적으로 위치수정, 회전의 역할을 하는 제3버튼, 제4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The content packag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ents, and in the normal mode, the contents can be continuously browsed while scrolling down. However, when the third content 26 is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28, the third content 26 is changed to the edit mode, and in the edit mode, the third content 26 can be modified and deleted. The first button 32 or the second button 34 can take charge of correction and deletion, respectively, which can be mutually changed. In addition, a third button and a fourth button serving as position correction and rotation may be additionally added.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위치기록, 지도, 음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ontent may be any one of a text, an image, a moving image, a location record, a map, and a vo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터치스크린
12: 제1컨텐츠
14: 제2컨텐츠
16: 추가인터페이스
18: 제1방향
20: 제2방향
22: 제1축
24: 생성시간
26: 제3컨텐츠
28: 제3방향
30: 컨텐츠축
32: 제1버튼
34: 제2버튼
10: Touch screen
12: First contents
14: Second content
16: Additional interface
18: First direction
20: the second direction
22: 1st axis
24: Generation time
26: Third content
28: Third direction
30: Contents axis
32: First button
34: Second button

Claims (1)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컨텐츠패키지를 완성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제1컨텐츠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컨텐츠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신규컨텐츠 추가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편집방법.
A computer apparatus for completing a content package by editing one or more contents arranged in order by a signal inputted from a touch screen,
Moving the first content in a first direction;
Moving the second content in a second direction;
Creating a new content addition interface,
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different directions.
KR1020170026670A 2017-02-28 2017-02-28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KR102174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70A KR102174682B1 (en) 2017-02-28 2017-02-28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70A KR102174682B1 (en) 2017-02-28 2017-02-28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08A Division KR101713287B1 (en) 2014-02-28 2014-02-28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338A true KR20170028338A (en) 2017-03-13
KR102174682B1 KR102174682B1 (en) 2020-11-05

Family

ID=5841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70A KR102174682B1 (en) 2017-02-28 2017-02-28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6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3788A (en) * 2018-09-30 2019-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mobile terminal of mobi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ear'(2013.01.23.)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3788A (en) * 2018-09-30 2019-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mobile terminal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82B1 (en)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49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230708B1 (en) User terminc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xion and methods thereof
WO2020147665A1 (en) Fil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04882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016127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067648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146402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different content for an application based on selected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037465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20150227166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20289290A1 (en)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application windows displayed on mobile terminal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2013017981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28384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KR20140072731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6671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CN110168487A (en) A kind of method of toch control and device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51292A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089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KR20170028338A (en)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KR101713287B1 (en) Contents editing method using thouchscreen
CN111580706B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of
CN114153350A (en) Map scal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