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202A -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202A
KR20170016202A KR1020150109646A KR20150109646A KR20170016202A KR 20170016202 A KR20170016202 A KR 20170016202A KR 1020150109646 A KR1020150109646 A KR 1020150109646A KR 20150109646 A KR20150109646 A KR 20150109646A KR 20170016202 A KR20170016202 A KR 2017001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area
vehicle
spe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9521B1 (en
Inventor
김영신
문제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521B1/en
Publication of KR2017001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5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control method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using at least one sensor mounted on a vehicle to obtain information on a pedestrian in a sensing area; a step of calculating a safe area for the pedestrian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a step of calculating a travelable area, which is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safe area, among the sensing areas; and a step of setting a first limit range for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second limit range for a steering wheel angle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Description

보행자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0001] DESCRIPTION [0002]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로에 대한 차량의 주행을 차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revent a vehicle from traveling to a path where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is expected.

자율 비상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시스템은 보행자 등의 장애물과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1차적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이러한 경고에 운전자가 반응하지 않는 경우 2차적으로 차량의 제동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The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is a system that primarily warns the driver when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such as a pedestrian is expected and brakes the vehicle secondarily when the driver does not respond to the warning, It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safety of

한편, 자율 비상 제동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보행자 등의 장애물을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요구되는바, 현재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의 각종 센서가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990호 및 제10-2015-0001119등이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to operate correctly, it is required to accurately detect an obstacle such as a pedestrian, and various sensors such as a camera, a radar, and a rider are currently mounted on the vehicle.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hereto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13-0021990 and 10-2015-0001119.

그러한, 위 선행 문헌을 비롯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보행자 인식 성능 향상 및 그에 따른 충돌 방지만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에 불과하다. 즉, 종래 기술들은, 오로지 제동을 통해 충돌을 방지하고자 할 뿐, 많은 보행자들로 붐비는 장소 등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로에 대한 진행을 미리 차단하는 방안에 대하여는 전혀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Such prior arts including the above prior art documents are merely proposed for solving only pedestrian recognitio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consequent collision prevention. That is, in the prior art, when the vehicle runs on a place crowded with many pedestrians, it is desired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pedestrian from proceeding in advance, It is not present at al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로를 미리 정의하고, 정의된 경로에 대한 차량의 주행을 차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defining a path in which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is expec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의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감지 영역 중, 상기 안전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주행 가능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가능 영역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1 제한 범위 및 스티어링 휠 각도에 대한 제2 제한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pedestrian in a sensing area using at least one sensor mounted on a vehicle, Calculating a safe area for the pedestria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btained pedestrian; Calculating a travelable area, which is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safe area, of the sensing area; And setting a first limit range for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a second limit range for the steering wheel angle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또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감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기 저장된 보행자 특징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보행자인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may include: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in the sensing area based on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And processing the object as the pedestrian if the object matches the pre-stored pedestrian featur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차량의 일측에 장착되는 레이더, 라이다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dar, a driver, and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주변 영상의 뷰를 변환하여 탑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주행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상기 탑뷰 영상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nverting a view of a surrounding image of the sensing area generated by the camera to obtain a top view image; And displaying a first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afe area and a second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ravelable area on the top view image.

또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보행자의 위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may include a position, a speed,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또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의 속도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속도를 기초로, 상기 안전 영역의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fe area for the pedestrian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safe area based on the changed speed when the speed of the pedestrian is changed.

또한, 상기 보행자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안전 영역은, 상기 보행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제1 길이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일 수 있다.Further, when the pedestrian is in a stop state, the safe area may be a circle having a radius of the first length centered on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또한, 상기 보행자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보행자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위치 변화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은, 상기 예측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제2 길이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일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pedestrian is moving, predi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It can be a circle with a radius of two lengths.

또한, 상기 제1 제한 범위 및 상기 제2 제한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vehicle within the first limit range and the second limit range.

또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제1 제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 각도가 상기 제2 제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n alarm messag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out of the first limit range or when the steering wheel angle of the vehicle is out of the second limit range.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상되는 영역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영역 내로의 차량 진입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ry of the vehicle into the set area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previously setting an area where a collision with the pedestrian is expec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보행자의 위치 및 움직임을 추적하고, 추적된 결과에 따라, 차량의 주행이 차단되는 영역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보행자의 이동 특성(즉, 위치, 속도 및 방향)에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보행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pedestrian are tracked, and the area in which the running of the vehicle is blocked is updat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tracked result, , The position, the speed and th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pedestrian safety above a certain level.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가 수행한 보행자 검출 결과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가 보행자의 안전 영역을 산출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을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보행자 각각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가 도 5의 (b)에 도시된 주행 가능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제한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how an example of a pedestrian detection result performed by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safe area of a pedestrian.
FIG. 5 shows a result of calculating a safe area for each of the pedestrians shown in FIG. 3B, using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the speed and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shown in Fig. 5 (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FIG.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는, 센서부(110), 정보 저장부(120), 보행자 검출부(130), 출력부(140), 구동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1,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 pedestrian detection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0033]

센서부(110)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오브젝트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센싱 신호는 센서부(110)가 감지 영역에 대한 감지 결과로서 출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senses various objects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At this time, the sensing signal may be a signal that the sensor unit 110 outputs as a result of sensing the sensing area.

이러한,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카메라(112), 레이더(114), 라이다(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센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센서 등 그 밖에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112, a radar 114, and a driver 116. However, the type of the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ultrasonic sensor or any other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bject.

특히, 카메라(112)는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12)는 차량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112)는 차량의 전후좌우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어,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방 영상 및 우측방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영상들은 후술할 제어부(160)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 과정에 의해, 차량을 마치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다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camera 112 photographs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peripheral image. For example, the camera 112 may be mounted on a front side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amera 112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to generate a forward image, a rear imag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 ≪ / RTI > By such a synthesiz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same surround view image as when the vehicle is turned from top to bottom.

정보 저장부(120)는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저장부(120)는 오브젝트별 특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한 제어부(160)는 정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오브젝트별 특징 정보를,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되는 오브젝트와 비교하여,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되는 오브젝트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20)는 차량의 제원(예, 전고, 전폭, 전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object. The control unit 160 compares the object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with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so that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is classified can do.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specifications (e.g., full height, full width, and total length) of the vehicle.

또한, 정보 저장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출력된 센싱 신호를 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the sensing signal output by the sensor unit 110 either permanently or temporarily.

또한, 정보 저장부(12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programs for operating the controller 160, and input / output data.

또한, 정보 저장부(120)는 후술한 제어부(160)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각종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provide at least a part of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6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정보 저장부(120)는 후술할 출력부(140)가 출력할 상황별 경보 메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an alarm messa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to be output by the output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정보 저장부(120)는 뷰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뷰 변환 정보란, 예컨대 카메라(112)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을 탑뷰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 또는 3차원 공간과 2차원 평면 간의 상호 변환을 위한 정보 등, 어느 한 뷰에 대한 정보를 다른 뷰에 대한 정보로 변환 내지 투영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the view conversion information. Here, the view convers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converts information about a view, such as information for converting a peripheral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112 into a top-view image, or information for mutual conversion betwee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 two- And may be information for converting or projecting information on the view.

이러한 정보 저장부(12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플래시 정보 저장부(12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카드 타입의 정보 저장부(12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각종 타입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b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card typ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nd the like And media.

보행자 검출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검출한다. 이러한, 보행자 검출부(130)는 비교 모듈(132), 보행자 정보 산출 모듈(134) 및 보행자 트래킹 모듈(136)을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rian detection unit 130 detects a pedestrian around the vehicle based on a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10. [ The pedestrian detection unit 130 may include a comparison module 132, a pedestri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34, and a pedestrian tracking module 136.

비교 모듈(132)은 센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정보 정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오브젝트별 특징 정보와 비교하여,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오브젝트의 유형이 무엇인지, 즉 보행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mparison module 132 compare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10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object stored in the inform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nd outputs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It is possible to judge the type of the pedestrian, that is, the pedestrian.

보행자 정보 산출 모듈(134)은 비교 모듈(132)에 의해 보행자가 검출 시, 검출된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 정보 산출 모듈(134)는 보행자의 크기, 위치, 속도 및 이동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pedestri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34 can calculat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 is detected by the comparison module 132. [ For example, the pedestri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34 can calculate information on the size, position, speed, moving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pedestrian.

보행자 트래킹 모듈(136)은 검출된 보행자가 센서부(110)의 감지 영역을 벗어날 때까지, 해당 보행자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트래킹 모듈(136)은 검출된 보행자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한 보행자를 다른 보행자와는 독립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The pedestrian tracking module 136 may track the pedestrian until the detected pedestrian leaves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unit 110. [ Further, the pedestrian tracking module 136 can track any one pedestrian independently of the other pedestrian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etected pedestrians.

출력부(140)는 차량 또는 보행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출력한다. 특히, 출력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140)는 음향 모듈(142) 및 디스플레이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모듈(142)은 경보 메시지를 청각적 신호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44)은 경보 메시지를 시각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output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or the pedestrian to a signal of a form recognizable by the user.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n alarm message indicating a risk of collision with a pedestrian in at least one manner. For example, the output 140 may include a sound module 142 and a display module 144. The sound module 142 outputs the alarm message as an audible signal, and the display module 144 can output the alarm message as a visual signal.

구동부(150)는 차량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속도 조절 모듈(152) 및 조향 조절 모듈(15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5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speed adjusting module 152 and a steering adjusting module 154.

속도 조절 모듈(152)는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가감하거나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속도 조절 모듈(152)는 차량에 구비된 제동 장치를 구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키거나,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여, 차량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peed adjusting module 152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peed of the vehicle or keep i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speed adjustment module 152 may adjust the speed of the vehicle by driving the braking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o decelerate the vehicle, or adjust the amount of fuel supplied to the engine.

조향 조절 모듈(154)은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예, 헤딩 앵글)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조절 모듈(154)은 차량에 구비된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장치의 모터를 제어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teering control module 154 can mainta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e.g., the heading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54 may control a motor of an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provided in the vehicle to control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not to be rotat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제어부(160)는 보행자 보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센서부(110), 정보 저장부(120), 보행자 검출부(130), 출력부(140) 및 구동부(150)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 The control unit 160 processes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sensor unit 11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the pedestrian detection unit 130, the output unit 140, and the driving unit 15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an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

이러한 제어부(160)는 뷰변환 모듈(162), 안전영역 산출 모듈(164) 및 주행가능영역 산출 모듈(166)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view transformation module 162, a safe region calculation module 164, and a travelable region calculation module 166. [

뷰변환 모듈(162)은 센서부(110)(110)에 의해 생성된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의 뷰를 변환할 수 있다.The view conversion module 162 may convert the view of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units 110 and 110.

예를 들어, 뷰변환 모듈(162)은 차량의 전후좌우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카메라(112)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영상들(예,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방 영상 및 우측방 영상)을 합성하여, 마치 차량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iew conversion module 162 may convert a plurality of images (e.g., a front image, a rear imag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generated by a camera 112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So as to generate an arousal view image as if looking down the vehicle from the top.

다른 예를 들어, 레이더(114) 등에 의해 감지된 감지 영역 내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해당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탑뷰 평면에 투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the sensing area sensed by the radar 114 or the like can be projected onto a top view plan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rea.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안전영역 산출 모듈(164)는 보행자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별 안전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영역이란, 차량과 보행자와의 충돌을 차단하기 위해 정의되는 영역으로서, 차량의 진입이 제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The safe area calculation module 164 can calculate the safe area for each pedestria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 detected by the pedestrian detection part 130. [ Here, the safe area is defined as an area for block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and means an area where entry of the vehicle is restricted.

주행가능영역 산출 모듈(164)은 안전영역 산출 모듈(164)에 의해 산출된 보행자별 안전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주행이 허용되는 영역인 주행 가능 영역을 산출한다. 예컨대, 감지 영역에 대한 오브젝트 감지를 수행한 센서부(110)(11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안전영역 산출 모듈(164)이 해당 감지 영역 중 일부분을 전술한 안전 영역으로 산출한 경우, 주행가능영역 산출 모듈(164)은 해당 감지 영역 중 안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적어어 일부를 주행 가능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travelable area calculation module 164 calculates a travelable area that is an area where the vehicle is allowed to travel based on the safe area for each pedestrian calculated by the safety area calculation module 164. For example, when the safety area calculation module 164 calculates a part of the sensing area as the above-described safe area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10 (110) that has performed object sensing on the sensing area, The possible area calculation module 164 may calculate a small part of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safe area among the corresponding detection areas as the travelable area.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보행자 보호 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can be mounted on a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의 오브젝트에 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60 may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an object in the sensing area using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10 (S210).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비교 모듈(132)을 이용하여,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차량으로부터 감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 중 기 저장된 보행자 특징과 매칭되는 오브젝트를 보행자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보행자가 동시에 검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 unit 160 detects at least one object in the sensing area from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110 using the comparison module 132, An object matched with the pedestrian characteristic can be detected as a pedestrian. 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pedestrians located in the detection area can be detected at the same time.

이어서, 제어부(160)는 보행자 정보 산출 모듈(134)을 이용하여,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20). 이때, 보행자에 대한 정보란, 검출된 보행자의 크기, 위치(예, 차량에 대한 횡방향 거리 및 종방향 거리), 속도, 이동 방향 등 보행자와 관련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Next, the control unit 160 can acquire information on the detected pedestria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110 using the pedestri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34 (S22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related to the pedestrian such a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etected pedestrian (e.g., the lateral distance and the longitudinal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he speed,

한편, 단계 S210 및 단계 S220이 수행되는 중, 제어부(160)는 보행자 트래킹 모듈(136)을 이용하여, 기 검출된 보행자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Meanwhile, during steps S210 and S220, the control unit 160 may track the detected pedestria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using the pedestrian tracking module 136. [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뷰변환 모듈(162)을 이용하여, 단계 S220을 통해 획득한 보행자 정보의 뷰를 변환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차량에 대한 보행자의 위치(예, 차량을 기준으로 보행자의 횡방향 거리 및 종방향 거리)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2차원의 탑뷰 평면에 대한 보행자의 좌표값(즉, x좌표 및 y축 좌표)을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을 탑뷰 평면에 투영할 수 있다. 다만, S23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Next, the control unit 160 may convert the view of the pedestria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step S220 using the view conversion module 162 (S230). For exampl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relative to the vehicle (for example, the lateral distance and the longitudinal distance of the pedestria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two-dimensional top view plan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s (i.e., x-coordinate and y-axis coordinate) of the pedestrian and project the calculated coordinate values on the top view plane.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230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단계 S220 또는 단계 S230가 수행되면, 제어부(160)는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한다(S240). 이때, 안전 영역은 단계 S210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감지 영역 내에 포함되는 영역이다.If step S220 or step S230 is performed, the controller 160 calculates a safe area for the pedestria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 (S240). At this time, the safe area is an area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ensing area in the description of step S210.

예를 들어, 정지 중인 보행자는, 해당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모든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확률로 이동할 수 있는바, 이 경우 제어부(160)는 정지 중인 보행자의 현재 위치을 중심으로 하고, 기 설정된 제1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정지 중인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destrian in the stop state can move at the same probability with respect to all directions centering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0 may cent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topped pedestrian, A circle whose distance is a radius can be calculated as a safe area for a pedestrian stopping.

다른 예를 들어, 이동 중인 보행자의 경우, 해당 보행자의 위치는 계속적으로 변경되는바, 제어부(160)는 이동 중인 보행자의 향후 위치를, 현재 위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예측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기 설정된 제2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이동 중인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moving pedestrian,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is continuously changed, and the controller 160 can predict the future position of the moving pedestria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speed, and mov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can calculate a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as a radius around the predicted position as a safe area for a moving pedestrian.

이때, 위 두 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above two examples, the second distance may have a value larger than the first distance.

한편, 제어부(160)는 보행자의 속도 또는 이동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파라미터를 기초로, 안전 영역의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제어부(160)는 안전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행자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이동 방향을 따라 길어지는 막대 형상의 안전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is changed, the controller 16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safe area based on the changed parameters. For example, as the speed of the pedestrian increases, the control unit 160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safe area. As another example, when the pedestrian moves in one direction, the control unit 160 can calculate the bar-shaped safe area that is elonga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이어서, 제어부(160)는 감지 영역 중, 단계 S240을 통해 산출된 안전 영역과는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주행 가능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S250). 이때, 제어부(160)는 감지 영역 중, 안전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영역을 주행 가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안전 영역을 제외한 감지 영역의 나머지 모든 영역 중, 차량이 현재 위치로부터 연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폭(> 차량의 폭)이 형성된 영역을 주행 가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60 may calculate the travelable area, which is an area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safety area calculated through step S240 (S25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may set all the remaining areas of the sensing area except for the safe area as the travelable area. Alternatively, of all the remaining areas of the detection area other than the safe area, an area in which the vehicle can continuously travel from the present position (width of the vehicle) is formed as the travelable area.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주행 가능 영역을 기초로, 차량의 속도 및 스티어링 휠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26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주행 가능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기초로,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1 제한 범위를 설정하거나, 스티어링 휠 각도에 대한 제2 제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160 may set a limiting range to at least one of the vehicle speed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S260). Specifically, based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travelable region, the control unit 160 can set a first limit range for the speed of the vehicle or a second limit range for the steering wheel angle.

예를 들어, 주행 가능 영역이 작아질수록, 차량의 속도가 감소해야만 주행 가능 영역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 제한 범위의 상한은 낮아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smaller the travelable area, the less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be, so that the upper limit of the first limit range may be lowered.

다른 예를 들어, 주행 가능 영역이 넓어질수록, 제2 제한 범위는 역시 넓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ider the travelable area, the wider the second limiting range.

또 다른 예를 들어, 주행 가능 영역이 차량의 폭 이상이 형성된 막대기 형상(예, 보행자 없는 직선 도로)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제한 범위에 대한 설정없이, 제2 제한 범위만을 설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travelable area is a bar shape (for example, a straight road without a pedestrian) on which the width of the vehicle is formed, the controller 160 can set only the second restriction area without setting the first restriction area have.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구동부(150)를 이용하여, 단계 S260을 통해 설정된 제한 범위 내에서 차량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S270). Next,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within the set limit through step S260 using the driving unit 150 (S270).

구체적으로, 구동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제1 제한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운전자가 액셀레이터 페달을 계속 밟고 있더라도, 차량의 속도가 제1 제한 범위의 상한에 도달하면, 그 후에 액셀레이터 페달에 의한 가속 명령을 무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50 can maintain the speed of the vehicle within the first limit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 For example, even if the driver of the vehicle continues to depress the accelerator pedal, if the speed of the vehicle reaches the upper limit of the first limit range, then the acceleration command by the accelerator pedal can be ignored thereafter.

또한, 구동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2 제한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 각도가 제2 제한 범위의 하한 또는 상한에 도달하면, 구동부(150)는 스티어링 휠 각도를 기초로 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 제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50 can mainta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in the second limit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 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wheel angle reaches the lower limit or the upper limit of the second limit range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 driving unit 150 can stop the driving direc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teering wheel angle.

다른 예로,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 각도가 제2 제한 범위의 하한 또는 상한에 도달하면, 구동부(150)는 차량에 구비된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의 모터의 회전력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현재의 스티어링 휠을 반대방향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teering wheel angle reaches the lower limit or the upper limit of the second limit range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 driver 150 adjusts the rotational force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of the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 The current steering wheel can be forcib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운전자에 의해 제1 제한 범위 및 제2 제한 범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한계값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60)는 출력부(140)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reaches the limi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triction range and the second restriction range, the control unit 160 can output the alarm message to the driver using the output unit 140. [

또는, 운전자가 제1 제한 범위 및 제2 제한 범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벗어나도록 차량을 조작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출력부(140)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차량의 속도가 제1 제한 범위를 벗어난 양 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각도가 제2 제한 범위를 벗어난 양을 기초로, 복수개의 서로 다른 경보 메시지들 중 운전자에게 출력할 어느 하나의 경보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제1 제한 범위를 제1 값만큼 벗어난 경우, 시각적 형식의 제1 경보 메시지를 선택 및 출력하고, 차량의 속도가 제1 제한 범위를 제2 값(>제1 값)만큼 벗어난 경우, 음향 및 시각 형식의 제2 경보 메시지를 선택 및 출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vehicle so as to deviate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restriction range and the second restriction range, the control unit 160 can output an alarm message to the driver using the output unit 140.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alarm messages to output to the driver based on the amount of the vehicle speed out of the first limit range or the steering wheel angle of the vehicle out of the second limit range Can be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out of the first limit range by a first value, a first warning message in visual form is selected and output, an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imit (second value) When out of order, a second alarm message in acoustical and visual format can be selected and output.

한편, 도시되지 있지는 않으나, 제어부(160)는 단계 S210을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 중, 카메라(112)에 의해 생성된 감지 영역에 대한 주변 영상이 포함된 경우, 해당 주변 영상의 뷰를 변환하여 탑뷰 영상을 획득하고, 단계 S240을 통해 산출된 안전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단계 S250을 통해 산출된 주행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모듈(144)을 통해 탑뷰 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urrounding image for the sensing area generated by the camera 112 is included in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through step S210, the controller 160 converts the view of the surrounding image, The first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afe area calculated through step S240 and the second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ravelable area calculated through step S250 are displayed on the top view image through the display module 144 Can be display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가 수행한 보행자 검출 결과의 일 예를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부(110)가 오브젝트를 감지를 수행하는 감지 영역은, 차량(1) 전방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영역인 것으로 가정한다.3A and 3B show an example of a pedestrian detection result performed by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nsing area where the sensor unit 110 performs sensing of the object is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1.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센서부(110)의 카메라(112)는 차량(1) 전방을 촬영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영상(3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보행자 검출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전방 영상(310)을 포함하는 센서부(110)의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8명의 보행자(P1-P8)가 검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3A, the camera 112 of the sensor unit 110 may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1 to generate a front image 3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edestrian detecting unit 130 detects at least one pedestrian present in the sensing area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of the sensor unit 110 including the front image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 3A illustrates a case where eight pedestrians (P 1 -P 8 ) are detected.

또한, 보행자 검출부(130)는, 검출된 보행자들(P1-P8)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행자들(P1-P8)의 정보에는, 보행자들(P1-P8) 각각의 위치, 속도 및 이동 방향이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보행자 검출부(130)는, 보행자(P1-P8)의 속도 및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벡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detection unit 130 can calculate th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pedestrians (P 1 -P 8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edestrian-is the information (P 1 P8), it is assumed to be included in the pedestrian (P 1 -P 8), each of the position, speed and direction of travel. At this time, the pedestrian detecting unit 130 may calculate a vector corresponding to the velocity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s P 1 -P 8 .

다음으로,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보행자들(P1-P8) 각각의 위치를, 2차원의 탑뷰 평면(320)에 대하여 투영한 결과를 예시한다. 탑뷰 평면(320)은 차량(1)의 일 위치를 원점(O)으로 하고, 차량(1)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X축 및 차량(1)의 중심선과 평행한 Y축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기준에 따라, 탑뷰 평면(320)의 원점(O), X축 및 Y축이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FIG. 3B illustrates the result of project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edestrians P 1 -P 8 shown in FIG. 3A onto the two-dimensional top view plane 320. The top view plane 320 may be a plane consisting of an X axis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1 and a Y axis parallel to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1 with a position of the vehicle 1 as the origin O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origin O, the X axis, and the Y axis of the top view plane 320 may be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other criteria.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보행자들(P1-P8) 각각의 위치는, 도 3b에 도시된 탑뷰 평면(320)에서 하나의 좌표로 변환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8명의 보행자들(P1-P8)의 위치는, 도 3b에 도시된 8개의 좌표(C1-C8)와 순서대로 대응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edestrians (P 1 -P 8 ) shown in FIG. 3A can be converted to one coordinate in the top view plane 320 shown in FIG. 3B.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eight pedestrians P 1 -P 8 shown in FIG. 3A can correspond to the eight coordinates (C 1 -C 8 ) shown in FIG. 3B in order.

예컨대, P1의 좌표인 C1은 (x1, y1), P2의 좌표인 C2는 (x2, y2), P3의 좌표인 C3은 (x3, y3), P4의 좌표인 C4는 (x4, y4), P5의 좌표인 C5는(x5, y5), P6의 좌표인 C6은 (x6, y6), P7의 좌표인 C7은 (x7, y7) 및 P8의 좌표인 C8은 (x8, y8)로 탑뷰 평면(320)에 투영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ordinates of C 1 of P 1 is (x 1, y 1), the coordinates of C 2 of P 2 is (x 2, y 2), a C 3 of the P 3 coordinates (x 3, y 3), coordinates of C 4 of the P 4 is the (x 4, y 4), P -coordinate of C 5 of 5 (x 5, y 5), the coordinates of C6 of P 6 are (x 6, y 6), P 7 The coordinates C 7 can be projected onto the top view plane 320 as (x 7 , y 7 ) and C 8 as the coordinates of P 8 (x 8 , y 8 ).

또한, 제어부(160)는 보행자들(P1-P8) 각각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탑뷰 평면(320)의 벡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탑뷰 평면(320)의 벡터(도 4a 및 도 4b 참조)는 X축 방향 속도 및 Y축 방향 속도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convert the velocity and the moving direction of each of the pedestrians P 1 -P 8 into a vector of the top view plane 320. For example, the vector of the top view plane 320 (see FIGS. 4A and 4B)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the X-axis direction velocity and the Y-axis direction velocity.

한편, 센서부(110)는 차량(1) 전방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만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바, 보행자별 좌표(C1- C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탑뷰 영상(320)의 전체 영역 중, 실제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S) 내에만 위치할 수 있다.The pedestrian coordinates (C 1 - C 8 ) of the sensor unit 110 are assumed to be sensed only in the sensing area in front of the vehicle 1, Only the region S corresponding to the actual sensing region can be locate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가 보행자의 안전 영역을 산출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행자의 위치 및 벡터는 도 3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탑뷰 평면에 대응되도록 변환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4A and 4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safe area of a pedestria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and vector of the pedestrian are transformed to correspond to the top view plan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B.

제어부(160)는 보행자별 위치 및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산출된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circle)을 전술한 안전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calculate a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s a safe area based on a point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and motion vector of each pedestrian.

이때, 제어부(16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보행자 각각에 대한 안전 영역의 중심을 연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an calculate the center of the safe area for each of the pedestrian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x는 보행자의 X축 좌표, y는 보행자의 Y축 좌표, x'는 보행자의 X축 속도, y'는 보행자의 Y축 속도, k는 가중치, rx은 원의 중심의 X축 좌표, ry은 원의 중심의 Y축 좌표를 의미한다. 이때, k의 단위는 시간이고, 고정된 상수이거나, 보행자의 속도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가감되는 변수일 수 있다.In Equation 1, x is a pedestrian's X coordinate, y is the Y coordinate of the pedestrian, x a "is the pedestrian X-axis velocity, y 'is the Y-axis speed of the pedestrian, k is the center of the weight, r x is won X axis coordinates, and r y means Y axis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circle. In this case, the unit of k is a time, a fixed constant, or a variable that is added or subtracted by the controller 160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pedestrian.

우선, 도 4a는 정지 중인 보행자(Pn)에 대하여 원의 형상으로 산출되는 안전 영역(410)을 예시한다. 정지 중인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탑뷰 평면의 한 좌표인 Cn는 (xn, yn)로 표현되고, 벡터인 Vn은 (xn', yn')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n'은 보행자(Pn)의 X축 방향 속도이고, yn'는 보행자(Pn)의 Y축 방향 속도일 수 있다. 이때, 정지 중인 보행자(Pn)는 속도가 0이므로, Vn은 (0, 0)으로 산출될 것이다.First, FIG. 4A illustrates a safety zone 410 calculated in the form of a circle with respect to a pedestrian P n that is stationary. C n, which is a coordinate of the top view plan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stopping, is represented by (x n , y n ), and the vector V n can be expressed by (x n ', y n '). Here, x n 'is an X-axis direction speed of the pedestrian (P n), y n' may be the Y-axis direction speed of the pedestrian (P n). At this time, since the speed of the pedestrian P n that is stationary is zero, V n will be calculated as (0, 0).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안전 영역(410)의 중심(r1)의 좌표는 보행자(Pn)의 위치와 동일한 Cn이 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반지름이 제1 길이(R1)인 안전 영역(410)을 산출할 수 있다.Substituting this into Equation ( 1 ),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r 1 ) of the safe area 410 becomes C n which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P n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may calculate the safety zone 410 having the radius of the first length R1.

다음으로, 도 4b는 이동 중인 보행자(Pt)에 대하여 원의 형상으로 산출되는 안전 영역(420)을 예시한다. 이동 중인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탑뷰 평면의 한 좌표인 Ct은 (xt, yt)로 표현되고, 벡터인 Vt은 (xt', yt')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t'은 보행자(Pt)의 X축 방향 속도이고, yt'는 보행자(Pt)의 Y축 방향 속도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a 및 (b)에 도시된 보행자들(P1-P8) 각각의 벡터는 V1 내지 V8로 산출될 수 있다.Next, FIG. 4B illustrates a safe area 420 calculated in the shape of a circle with respect to the moving pedestrian P t . Ct, which is a coordinate of the top view plan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pedestrian, is represented by (x t , y t ), and the vector V t can be expressed by (x t ', y t '). Here, x t 'is the X-axis direction velocity of the pedestrian (P t ) and y t ' may be the Y-axis direction velocity of the pedestrian (P t ). For example, the vector of each of the pedestrians (P 1 -P 8 ) shown in FIGS. 3A and 3B may be calculated as V 1 to V 8 .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면, 안전 영역(420)의 중심(r2)은 보행자(Pn)의 위치인 Ct로부터 X축으로 kxt'만큼 이동하고, Y축으로 kyt'만큼 이동한 좌표인 (xt + kxt', yt + kyt')를 가지게 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반지름이 제2 길이(R2)인 안전 영역(420)을 산출할 수 있다.Substituting this into Equation 1, the center r 2 of the safe area 420 moves by kx t 'from the position C t of the pedestrian P n to the X axis and moved by ky t ' along the Y axis (X t + k x t ', y t + k y t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may calculate the safe area 420 having the radius of the second length R2.

한편, 도 4a의 제1 길이(R1)와 제2 길이(R2)는 서로 동일한 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length R1 and the second length R2 of FIG. 4A may be the same value.

또는, 제2 길이(R2)가 제1 길이(R1)보다 큰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자의 속도가 빠를수록, 같은 시간 동안 더 넓은 영역으로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60)는 보행자의 속도가 증가하면, 그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안전 영역을 확대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length R2 may be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R1. More specifically, as the speed of the pedestrian increases, the pedestrian may move to a wider area for the same time. Therefore, when the speed of the pedestrian increases, the safe area may be enlarged by the corresponding siz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을 이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보행자 각각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한 결과를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행자별 안전 영역의 반지름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며, X축 및 Y축은 생략하기로 한다.5 show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afe area for each of the pedestrians shown in FIG. 3B, using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by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radii of the safety zones for each pedestrian are all the same, and the X and Y axes are omitted.

도 5의 (a)에 따르면, 모든 보행자들(도 3a의 부호 P1-P8 참조)이 이동 중인 경우, 보행자들(P1-P8)의 좌표(C1-C8) 및 벡터(V1-V8)를 기초로 산출된 안전 영역들(501-508)을 예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 영역들(501-508)의 중심은 좌표(C1-C8)로부터 벡터(V1-V8)에 대응하는 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안전 영역은 다른 안전 영역과 겹치거나 이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of Figure 5, all of the pedestrian (see FIG marks P 1 -P 8 of 3a) coordinates (C 1 -C 8) and the vector of the case that is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P 1 -P 8) ( V 1 -V 8 ).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of the safe areas 501-508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vector (V 1 -V 8 ) from the coordinates (C 1 -C 8 ). At this time, one of the safety areas may overlap or be separated from the other safety areas.

도 5의 (b)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안전 영역들(501-508)을 기초로, 산출된 주행 가능 영역(510)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면적(S) 중, 안전 영역들(501-508)과는 중첩되지 영역 내에서 주행 가능 영역(510)을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5B, the calculated travelable area 510 is illustrated based on the safety areas 501-508 shown in FIG. 5A.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60 may calculate the travelable area 510 within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safety areas 501-508 among the area S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rea.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저장부(120)에는 차량(1)의 제원 정보가 기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제어부(160)는 차량의 전장 및 전폭을 기초로, 안전 영역들(501-508)과는 중첩되지 영역 중, 차량(1)이 통과 가능한 영역을 탐색하고, 탐색된 영역을 주행 가능 영역(510)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be a state in which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is stored in advanc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searches the area where the vehicle 1 can pass, of the areas overlapping with the safety areas 501-508, based on the full length and the full width of the vehicle, (510).

예컨대, 도 5의 (b)에 도시된 주행 가능 영역(510)은,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탑뷰 평면의 영역(S) 중, 안전 영역들(501-508)과 겹치지 않음과 동시에 차량(1)이 통과 가능한 폭 및 길이가 확보된 영역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velable area 510 shown in Fig. 5B does not overlap with the safety areas 501-508 among the area S of the top view plan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rea, May be an ensured width and length.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장치(100)가 도 5의 (b)에 도시된 주행 가능 영역(510)을 기초로, 차량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제한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the speed and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510 shown in Fig. 5 (b) .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주행 가능 영역(510)을 기초로, 차량(1)의 속도 및 주행 방향 중 어느 하나에 제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차량(1)의 주행 방향에 대한 제한은, 스티어링 휠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차량(1)의 움직임에 맞춰, 차량(1)의 속도 및 주행 방향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제한 범위를 계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160 can set a restriction range to any one of the speed an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510. The limitation o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can be realized by limiting the steering wheel angl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an continuously update the predetermined limit range for each of the speed and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of the vehicle 1.

일 예로, 차량(1)이 안전 영역과 가까워질수록, 제어부(160)는 차량(1)의 속도에 대한 상한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oser the vehicle 1 is to the safe zone, the less the upper limit for the speed of the vehicle 1 can be.

다른 예로, 주행 가능 영역(510)의 폭이 좁아질수록, 제어부(160)는 스티어링 휠 각도에 대한 제한 범위를 점차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narrower the width of the travelable area 510, the smaller the limitation on the steering wheel angle can be.

제어부(160)는 차량(1)의 속도에 대한 제1 제한범위 및 스티어링 휠 각도에 대한 제2 제한범위를 구동부(150)로 제공하여, 구동부(150)가 차량(1)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스티어링 휠 각도의 추가적인 변화를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the driving unit 150 with a first limiting range for the speed of the vehicle 1 and a second limiting range for the steering wheel angle so that the driving unit 150 reduces the speed of the vehicle 1 Or to block further changes in the steering wheel angle.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주행 가능 영역(510)의 경계 내에서, 차량(1)의 중심이 제1 위치(601), 제2 위치(602) 및 제3 위치(603)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driving unit 150 so that the center of the vehicle 1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601, the second position 602 And the third position 603 in this order.

물론, 어떠한 보행자도 검출되지 않거나 차량(1)과 안전 영역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보행자와의 충돌 가능성이 매우 적거나 없으므로, 이 경우 제어부(160)는 차량(1)의 속도 및 주행 방향에 대한 제한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Of course, when no pedestrian is detected or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afe area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pedestrian is very small or absent. In this cas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limitation on the driving direction may not be se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보행자 보호 장치
110: 센서부
120: 정보 저장부
130: 보행자 검출부
140: 출력부
150: 구동부
160: 제어부
100: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110:
120: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Pedestrian detection unit
140:
150:
160:

Claims (10)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의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감지 영역 중, 상기 안전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인 주행 가능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가능 영역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1 제한 범위 및 스티어링 휠 각도에 대한 제2 제한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Using at least one sensor mounted on a vehicle to obtain information on a pedestrian in a sensing area;
Calculating a safe area for the pedestria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btained pedestrian;
Calculating a travelable area, which is an area not overlapping with the safe area, of the sensing area; And
Setting a first limit range for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a second limit range for the steering wheel angle based on the travelable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감지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기 저장된 보행자 특징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보행자인 것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comprises: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in the sensing area based on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And
Processing the object as the pedestrian if the object matches the pre-stored pedestrian feat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차량의 일측에 장착되는 레이더, 라이다 및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or comprises:
And at least one of a radar, a driver, and a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주변 영상의 뷰를 변환하여 탑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주행 가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상기 탑뷰 영상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Converting a view of a peripheral image of the sensing area generated by the camera to obtain a top view image; And
Displaying a first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afe area and a second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ravelable area on the top view ima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보행자의 위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may be,
The position, the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에 대한 안전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자의 속도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속도를 기초로, 상기 안전 영역의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afe area for the pedestrian may include:
And changes at least one of a size and a shape of the safe area based on the changed speed when the speed of the pedestrian is chang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안전 영역은,
상기 보행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제1 길이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인,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pedestrian is in a stopped state,
The safe area may include:
Wherein the pedestrian has a radius of a first length centered on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보행자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보행자의 위치 변화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은,
상기 예측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제2 길이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인,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predi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 is moving,
The safe area may include:
And a radius of the second length is centered on the predict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 범위 및 상기 제2 제한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rolling the vehicle within the first limit range and the second limit ran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제1 제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 각도가 상기 제2 제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utputting an alarm messag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out of the first limit range or the steering wheel angle of the vehicle is out of the second limit ran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50109646A 2015-08-03 2015-08-03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3395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46A KR102339521B1 (en) 2015-08-03 2015-08-03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46A KR102339521B1 (en) 2015-08-03 2015-08-03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02A true KR20170016202A (en) 2017-02-13
KR102339521B1 KR102339521B1 (en) 2021-12-16

Family

ID=5815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46A KR102339521B1 (en) 2015-08-03 2015-08-03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52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879A (en) * 2002-09-27 2004-04-15 Clarion Co Ltd Parking assis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065755A (en) * 2006-09-11 2008-03-21 Hitachi Ltd Mobile device
JP2011248640A (en) * 2010-05-27 2011-12-08 Honda Motor Co Lt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879A (en) * 2002-09-27 2004-04-15 Clarion Co Ltd Parking assis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8065755A (en) * 2006-09-11 2008-03-21 Hitachi Ltd Mobile device
JP2011248640A (en) * 2010-05-27 2011-12-08 Honda Motor Co Lt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521B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1750B2 (en) Image-based velocity control for a turning vehicle
JP6246392B2 (en) Collision risk calculation device, collision risk display device, vehicle body control device
KR101759804B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EP3581451A1 (en) Lane keeping assist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afety in preceding vehicle follower longitudinal control
US1137710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102660838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5410730B2 (en) Automobile external recognition device
EP2960131A2 (en) Warning device and travel control device
JP6654923B2 (en) Map information output device
JP5897787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KR20200029050A (en) Driving control method and driving control device for driving support vehicles
US1153525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driving of vehicle
KR20200086764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10127267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5771930B2 (en) Traveling track creation device
KR20180126224A (en) vehicle handling methods and devices during vehicle driving
US1119541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predicating collision
KR20200029806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544029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6004188A (en) Obstacle recognition method and obstacle recognition device
US20230182722A1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apparatus
KR102370138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16202A (en)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633086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KR202301235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y using traffic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