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785A -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785A
KR20170015785A KR1020150108946A KR20150108946A KR20170015785A KR 20170015785 A KR20170015785 A KR 20170015785A KR 1020150108946 A KR1020150108946 A KR 1020150108946A KR 20150108946 A KR20150108946 A KR 20150108946A KR 20170015785 A KR20170015785 A KR 2017001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er
environmental condition
ser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129B1 (ko
Inventor
정승호
김영진
신현재
오준섭
원영민
이상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129B1/ko
Priority to US15/215,823 priority patent/US20170034281A1/en
Priority to PCT/KR2016/008016 priority patent/WO2017022988A1/en
Priority to EP16833224.5A priority patent/EP3329660B1/en
Priority to CN201680044965.8A priority patent/CN107852427B/zh
Publication of KR2017001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네트워크 장치가 개시된다.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가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Network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home)에 설치되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 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러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가정 내 정보자원의 공유와 개별 제품들의 효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가전제품, 전자기기 뿐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조건을 한번 등록하면 프라이빗한 서비스 공간에서 등록된 환경 조건에 따른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이동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진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제1 서비스 공간에서 제2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상황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에 대한 권장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진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진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더 저장하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특정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제1 서비스 공간에서 제2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황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에 대한 권장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사용자 진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진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기저장된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환경 조건이 수신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빗한 서비스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각각 서로 다른 서비스 공간(또는 서비스 장소)에 설치되며, 해당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모든 전기, 전자 제품을 유무선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장소는, 홈 내, 회사 내, 차량 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 공간 내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IoT 서비스는 가전제품,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인터넷 허브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등으로 구현되어, 특정 장소 내에서 자신과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후술하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각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macro)"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명령들을, 하나의 명령으로 새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서버(200)로부터 제어 명령 자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신된 제어 명령을 각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각 디바이슬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디바이스는 IoT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 및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등, 블라인드, 조도 센서 등 조명 관련 디바이스, 에어컨, 난방기, 보일러, 온도 센서 등 난방 관련 디바이스, 공기 청정기, 가습기, 습도 센서 등 대기 관련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디바이스는 냉장고, 세탁기, 모니터, DVD 플레이어,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전자 액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200)는 각각 서로 다른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제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특히,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 다양한 객체(예를 들어, 식물, 동물 등)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항목별로 설정된 정보이거나,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모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종 운영 체계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간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중앙 서버(또는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상의 유틸리티 데이터 서버(utility data server)에 프로그램을 두고 그때 그때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불러와서 사용하는 웹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서비스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환경 조건을 관리하는 서버(200)에 액세스하여 서버(200)에 환경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서버(200)에 액세스하여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에 대한 설명은 도 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각각 서로 다른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제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 다양한 객체(예를 들어, 식물, 동물 등)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된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기설정된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해당 서비스 공간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도 1의 서버(2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와 통신을 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하지만, 도 2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기능을 도 1에서 서버(200)가 수행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반적인 동작 관계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서버(200) 및 네트워크 장치(100)가 설치된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서버(200)로부터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해당 서비스 공간 내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1394, 와이파이(Wifi)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서버(200) 및 복수의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110)가 하나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미도시) 및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미도시)가 별개의 통신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10)가 서버(200) 및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과 통신하는 방식은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공간, 즉 네트워크 장치(100)가 설치된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진입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해당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통신부(110)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구비하고 다니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통신부(110)에 연결된다 함은, 네트워크 장치(100)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 장치(100)가 허브 인터넷 장치로 구현되고, 허브 인터넷 장치가 와이파이 공유기(또는 와이파이 AP(access point)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와이파이 공유기에 연결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식, 카메라를 통한 얼굴 인식, NFC 통신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홈 도어락이 네트워크 내의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 홈 도어락 장치에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도어락 장치는 인식된 지문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장치(100)에서 해당 지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홈 도어락 장치에 NFC 리더기가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NFC 태그가 구비되는 경우, NFC 통신을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별도의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특정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과정 상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GPS 위성(미도시)에서 송출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프로세서(120)가 해당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검출된 현재 서비스 공간의 환경 조건에 기초하여, 서버(200)에서 수신된 환경 조건에 대응되는 상태가 되도록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서비스 공간의 현재 온도가 29도이고, 사용자가 서버(200)에 등록한 온도가 26도인 경우, 현재 온도가 타겟 온도까지 낮아지도록 에어컨을 턴 온시킴과 동시에 에어컨의 타겟 온도를 자동으로 26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련 디바이스 예를 들어, 블라인드의 올림/내림 상태, 빛 차단 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관련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매크로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macro)"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명령들을, 하나의 명령으로 새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온도 조건에 관련된 디바이스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인 경우,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매크로 명령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제어의 경우 에어컨 및 블라인드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명령을 설정하여 두고, 한번의 제어 명령 만으로 에어컨 및 블라인드를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현재 서비스 공간의 환경 조건을 검출한 후,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환경 조건에 대응되는 관련 디바이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200)에서 네트워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현재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카테고리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관련 카테고리, 난방 관련 카테고리, 대기 관련 카테고리를 각각 카테고리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조건이 "조도"인 경우 조명 관련 카테고리 내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카테고리 명칭, 디바이스 명칭 등을 서버(200)에서 제공한 명칭(또는 식별자)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들은 서버(200)에서 제공한 동일한 명칭으로 카테고리 및 각 카테고리 내의 디바이스 들을 관리하여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서버(200)로부터 조명, 난방 및 대기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조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또는 그 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환경 조건을 등록하거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예를 들어 라식 수술한 한 사용자에 대한 권장 정보 등)를 선택하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바이스 제어시, 자연 환경 조건, 예를 들어, 현재 날씨, 현재 시간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 "자외선 차단"이라는 환경 조건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현재 시간이 낮인 경우에는 블라인드를 자동으로 내릴 수 있으나, 현재 시간이 밤이거나, 비가 오는 흐린 날씨인 경우에는 블라인드에 대해 별도의 동작 제어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경우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된 환경 조건 뿐 아니라,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객체는 식물, 동물 등과 같은 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서 키우는 식물의 성장과 관련된 환경 조건을 서버(200)에 등록하면, 프로세서(120)는 기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 요청, 기설정된 시간 도래시 등)에 따라 해당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 공간에 없더라도 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디바이스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환경 조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컨텐츠 제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음악 컨텐츠 재생을 조건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집에 진입한 경우 집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음악 컨텐츠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홈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하고, 차에 진입한 경우에도 차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음악 컨텐츠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카 오디오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에서 컨텐츠 재생이 이루어지던 도중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고 사용자가 차로 이동한 경우, 집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재생 시점을 서버(200)에 업로드하고, 차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에 따르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서비스 공간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100) 및, 이동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기등록된 환경 조건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1394, 와이파이(Wifi)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210)가 하나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미도시)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미도시)가 별개의 통신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210)가 네트워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 각각과 통신하는 방식은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이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20)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 및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여기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서버(200)에 접속하여 항목 별로 원하는 조건을 등록하거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예를 들어 라식 수술한 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 정보 등),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예를 들어, 특정 식물을 기르는데 적합한 환경 조건 정보 등)를 선택하여 등록함으로써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저장부(220)는 각 서비스 장소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1 내지 100-3)에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바이스의 모델명,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복수의 디바이스가 위치한 서비스 공간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230)는 특정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특정 서비스 공간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GPS 위성(미도시)에서 송출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프로세서(230)가 해당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특정 서비스 공간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객체는 식물, 동물 등과 같은 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가 제1 서비스 공간에서 제2 서비스 공간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각 서비스 공간 내에 구비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비교 판단하여 제1 디바이스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제2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디바이스의 제품명, 모델명, 기능 정보 등에 기초하여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제1 디바이스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제2 디바이스가 결정되면, 각 디바이스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1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제2 서비스 공간에서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집에서 자동차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집에 구비된 TV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에 구비된 DMB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가 집에서 TV를 보고 있던 중 자동차로 이동하면 자동차에서 TV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인 DMB 장치를 판단하고, 자동차에 구비된 DMB 장치를 자동으로 턴 온 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DMB 장치에서 TV를 통해 보고 있던 채널을 자동으로 튜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집에 구비된 TV에서 시청하던 ABC 채널이 TV에서는 11번 채널이지만 자동차에 구비된 DMB 장치에서 22번인 경우, 프로세서(230)는 DMB 장치에서 ABC 채널에 대응되는 22번 채널을 판단하여 해당 채널이 튜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TV와 DMB 장치의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 공간 내에 구비된 각 장치에서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4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2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RAM(231), ROM(232), 메인 CPU(233), 그래픽 처리부(2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35-1 ~ 235-n), 버스(236)를 포함한다.
RAM(231), ROM(232), 메인 CPU(233), 그래픽 처리부(2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35-1 ~ 235-n) 등은 버스(2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35-1 내지 2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233)는 저장부(2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33)는 ROM(2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20)에 저장된 O/S를 RAM(2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33)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231)에 복사하고, RAM(23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부(234)는 환경 조건에 대한 다양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230)의 동작은 저장부(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20)는 서버(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c는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에 따르면, 저장부(220)에는 베이스 모듈(221), 센싱 모듈(222), 통신 모듈(223), 프리젠테이션 모듈(224)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221)이란 서버(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221)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스토리지 모듈,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보안 모듈 및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222)은 네트워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각종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조도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2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223)은 외부 장치와 통신에 이용되는 디바이스 모듈,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2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2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 통신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310)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0)는 환경 조건을 항목 별로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 환경 조건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UI 화면, 네트워크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UI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제공된 UI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00)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장치(100)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a는 다른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500) 내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 통신 인터페이스(또는 통신부)(320), 프로세서(330), 메모리(또는 저장부)(3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버스(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301), 제 2 외부 전자 장치(302), 또는 서버(200))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400)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1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401)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WiFi 신호로부터 WiFi 정보를 추출하고, WiFi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리(User seat))를 결정할 수 있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3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340’)은, 예를 들면, 커널(341), 미들웨어(3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3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앱”)(3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341), 미들웨어(343), 또는 API(3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다양한 로그(log)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생성된 다양한 로그(log) 데이터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그 데이터에는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 ? 사용자의 일정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 ?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커널(3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343), API(3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360), 프로세서(330), 또는 메모리(34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341)은 미들웨어(343), API(3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7)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343)는, 예를 들면, API(3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7)이 커널(3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3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347)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시스템 리소스(예: 프로세서(330), 메모리(340), 버스(36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3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3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47)이 커널(341) 또는 미들웨어(3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5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버스(36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2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310-350)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301, 302) 각각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1,302), 또는 서버(2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1, 302), 또는 서버(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1, 302), 또는 서버(200))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의 세부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예를 들면,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 통신 모듈(3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330), 가입자 식별 모듈(324), 메모리(340), 인터페이스(350), 센서 모듈(370), 입력 장치(380), 오디오 모듈(290), 카메라 모듈(391), 전력 관리 모듈(395), 배터리(396), 인디케이터(397), 및 모터(3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3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30)의 세부 구성은 도 4b에 도시된 프로세서(23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320)은, 도 5b의 통신 인터페이스(3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321),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3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3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3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3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은 프로세서(33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 또는 NFC 모듈(3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 또는 NFC 모듈(3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3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3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 또는 NFC 모듈(3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3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342) 또는 외장 메모리(34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34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34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34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37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37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370A), 자이로 센서(370B), 기압 센서(370C), 마그네틱 센서(370D), 가속도 센서(370E), 그립 센서(370F), 근접 센서(370G), 컬러(color) 센서(37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370I), 온/습도 센서(370J), 조도 센서(37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370L)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37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7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프로세서(33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37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33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370)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330)는 제스쳐 센서(370A), 자이로 센서(370B), 가속도 센서(370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적인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30)는 가속도 센서(374E)의 출력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정지 상태에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도보 이동중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달리는 중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동차로 이동 중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장치(38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382),(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384), 키(key)(38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38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8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38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38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38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38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388)는 마이크(예: 마이크(3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0) 는 패널(312), 홀로그램 장치(314), 및 프로젝터(3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31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312)은 터치 패널(38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31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31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10)는 패널(312), 홀로그램 장치(314), 또는 프로젝터(3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5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352), USB(universal serial bus)(35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356), 또는 D-sub(D-subminiature)(35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50)는,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32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35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9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39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3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90)은, 예를 들면, 스피커(391), 리시버(392), 이어폰(393), 또는 마이크(394)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330)는 마이크(394)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미팅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95)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98)은,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98)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399)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399)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96)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33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397)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한편, 네트워크 장치(100) 및 서버(200)의 세부 구성은 도 5b 및 5c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세부 구성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각각 서로 다른 서비스 공간 즉, 홈(610), 사무소(620), 자동차(630)에 설치되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각 서비스 공간 내의 디바이스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100-1, 100-2, 100-3)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환경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온도 20~22도, 습도 40~50%, 30분 동안 환기와 같은 환경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공간, 예를 들어 집(610)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집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00-1)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댁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해당 환경 조건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 장치(100-1)는 온도 센서로부터 집 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집 내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인 20~22 도로 조정되도록 난방 조절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100-1)는 그외에 사용자가 설정한 다른 환경 조건 즉, "습도 40~50%, 30분 동안 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창문, 가습기 등 다른 디바이스의 도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장치(100-1)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네트워크 장치(100)에 연결(예를 들어, 와이파이가 연결된 경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도어락 장치(710)을 통해 기기 인증(예를 들어, NFC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도어락 장치(710)를 통해 사용자 인증(예를 들어, 지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등에 사용자가 홈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무소(620)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무소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00-2)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무소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해당 환경 조건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630)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00-3)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해당 환경 조건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버(200)에 원하는 환경 조건을 등록하는 것만으로 자신이 어느 서비스 공간에 가든 원하는 환경 조건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외의 타인이 서버(200)에 특정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는 등록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환경 조건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가 라식 수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권장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에 등록하면, 서버(200)는 해당 환경 조건을 사용자에게 권장 정보로 제공하고, 실제 라식 수술을 받은 사용자는 서버(200)에서 제공된 권장 정보를 선택하여 자신의 환경 조건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권장 환경 조건 중 "라식 수술 권장 환경 조건"(910)을 선택한 후, 등록 버튼(911)을 선택하면, 해당 환경 조건이 사용자의 환경 조건으로 등록될 수 있다. 등록 버튼(911)을 선택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 님의 환경 조건으로 등록되었습니다"(912)와 같은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200)에 특정 사용자가 라식 수술을 받은 사실이 사용자 프로파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가 해당 권장 환경 조건을 해당 사용자의 환경 조건으로 자동으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사용자가 집(810), 사무소(820) 등의 서비스 공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각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00-1, 100-2)는 서버(200)로부터 환경 조건을 제공받아 그에 대응되도록 각 서비스 공간 내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810)에 진입한 경우, 등록된 환경 조건이 "조도 300~400 Lux, 자외선 노출 금지"인 경우, 네트워크 장치(100-1) 블라인드 상태를 확인하여 블라인드가 올라가 있는 경우, 블라인드를 내리고, 전등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조도에 부합하도록 전등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 환경 조건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해가 다 진 밤인 경우에는 블라인드를 내릴 필요가 없으므로 블라인드가 올려져 있는 경우에도 별도로 내리는 제어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외의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객체에 대한 환경 조건이 서버(200)에 등록되고, 집에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00-1)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등록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댁 내의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해당 환경 조건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서 화분을 기르고자 하는 경우, 화분이 자라기에 최적의 환경 조건을 서버(200)에 등록하고, 집에 화분을 가져오면 네트워크 장치(100-1)는 서버(200)에 등록된 환경 조건에 기초하여 습도, 온도, 조명 등을 제어하도록 관련 디바이들(예를 들어, 조명, 블라인드, 온도, 가습기, 난방 컨트롤러 등)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 조건이 기록된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NFC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한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해당 식물의 생육 환경 조건을 검색하여 서버(200)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서버(200)는 네트워크 장치(100-1)로부터 관련 디바이스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주기 상태, 현재 온도, 현재 조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의 현재 환경 조건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특정 객체에 대한 권장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에서 검색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서버(200)에서 제공된 권장 정보를 선택하여 특정 객체에 대한 환경 조건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권장 환경 조건 중 "허브 생육 조건"을 선택한 후, 등록 버튼(1111)을 선택하면, 해당 환경 조건이 허브 생육 조건으로 등록될 수 있다. 등록 버튼(1111)을 선택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 님의 허브 생육 조건으로 등록되었습니다"(1112)와 같은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객체에 대한 식별 정보를 서버(200)에 등록하는 것만으로 서버(200)가 자동으로 해당 객체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허브"라는 식별 정보를 서버(200)에 등록하면, 서버(200)가 자동으로 "허브"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검색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외의 타인의 서비스 공간에 적용된 환경 조건을 그대로 자신의 환경 조건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인의 집을 방문한 경우 타인의 집에 적용된 환경 조건이 마음에 드는 경우, 타인의 집에 적용된 환경 조건을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저장한 후,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타인의 집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4)로부터 현재 적용 중인 환경 조건을 수신하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타인의 집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냅 샷 이미지에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환경 조건이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서버(200)가 수신된 스냅 샷 이미지로부터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조건은 스냅 샷 이미지 포맷 내에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포맷의 리저브 필드(reserved field)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냅 샷 이미지에 복수의 디바이스가 포함된 경우,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은 하나의 메타 데이터 내의 서로 다른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냅 샷 이미지에 복수의 디바이스가 포함된 경우, 제1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메타 데이터, 제2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스냅 샷 이미지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메타 데이터에 디바이스 정보를 추가하여 JPEG 포맷의 스냅 샷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b의 상측 도면은 스냅 샷 이미지의 구조(120)를 나타내고, 도 12b의 하측 도면은 스냅샷 이미지를 실제 편집기로 오픈했을 때의 이진 정보(12200)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APPn Section(1230)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기본 정보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 메타 정보 외에 원하는 데이터를 스냅샷 이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APPn Section(1230) 각각은 Marker Number(1240), Data Size(1250), Data(1260)를 포함할 수 있다. Marker Number(1240)는 APPn Section(1230)의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Marker Number(1240) 뒤에 위치하는 Data Size(1250)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Data Size(1250)의 뒤에 위치하는 Data(1260)는 실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Data(1260)는 최대 524362 byte를 저장할 수 있으며, 촬영 이미지에 식별된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IP 정보 및 맥 어드레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Data(1260)에 디바이스의 통신 프로토콜, 디바이스 명, 제조사,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기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스냅샷 이미지 내에서의 디바이스의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x, y, width, height) 등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JPEG 포맷의 스냅샷 이미지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포맷의 이미지라면 얼마든지 이용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바이스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파일로 생성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파일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기존에 이용되는 이미지 정보를 스냅 샷 이미지로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Xml 포맷의 파일로 생성하여 두 개의 파일이 있는 경우에만 디바이스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타인의 집에 적용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UI 화면 형태로 수신하여 확인한 후 이를 그대로 캡쳐하여 서버(20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또는 네트워크 장치(100-4)로부터 제공된 환경 조건을 카피하여 서버(200)에 등록하거나, 일부 수정하여 서버(200)에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사용자의 서비스 공간(1210, 1220)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1, 100-2)는 서버(2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공간(1210, 1220) 내의 관련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타인의 서비스 공간에 적용된 환경 조건을 손쉽게 자신의 서비스 공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환경 조건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이동된 서비스 공간 내에서도 연속적인 환경 조건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 공간(1310)에서 컨텐츠를 감상하던 도중 다른 서비스 공간(1330)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전 서비스 공간(1310)에 적용된 컨텐츠 재생 조건을 그대로 이동된 서비스 공간(1330)에 연속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1310)에서 특정 음악 컨텐츠를 감상하거나, 특정 방송 채널을 시청하던 중 집에서 나가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집(1310)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1)로부터 해당 컨텐츠 재생 조건을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저장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차(1330)로 이동하게 되면, 차(1330)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3)는 서버(200)로부터 해당 컨텐츠 재생 조건을 수신하여 관련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오디오를 턴온하여 해당 음악 컨텐츠의 대응되는 재생 시점부터 자동으로 재생하거나, DMB 장치를 턴온하여 대응되는 채널을 자동으로 튜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집(1310)의 컨텐츠 재생 조건을 그대로 캡쳐하여 자동차(1330)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감상하던 음악 컨텐츠를 집에서 나올 때 듣던 재생 시점부터 연속하여 감상하거나, 집(1310)에서 시청하던 방송 채널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집(1310)을 나가게 되는 경우 집(1310)에 적용된 컨텐츠 재생 조건을 네트워크 장치(100-1)가 바로 서버(2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차(1330)를 타게 되면 서버(200)가 차(1330)에 설치된 네트워트 장치(100-3)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집(1310)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1) 및 차(1330)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100-3)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개입 없이 컨텐츠 재생 조건을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시퀀스도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액세스한 후(S1410), 자신이 원하는 환경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S1420).
이어서,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면(S1430), 사용자 진입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440).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는 사용자 진입이 감지되면 서버(200)에 등록된 환경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는 서버(200)에 등록된 환경 조건이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환경 조건에 따라 관련 디바이스를 제어한다(S1460).
한편, 또 다른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제2 네트워크 장치(100-2)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면(S1470), 사용자 진입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S1470), 서버(200)로부터 등록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80). 이 후, 제2 네트워크 장치(100-2)는 수신된 환경 조건에 따라 관련 디바이스를 제어한다(S149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시퀀스도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액세스한 후(S1505), 자신이 원하는 환경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S1510).
이어서,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면(S1515), 사용자 진입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520). 또는,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는 사용자 진입이 감지되면 서버(200)에 등록된 환경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는 해당 서비스 공간의 현재 환경 조건을 센싱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525).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S1520 단계를 생략하고, 센싱된 정보 만을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현재 환경 조건에 기초하여, 등록된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관련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1530). 이어서, 서버(200)는 관련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제1 네트워크 장치(100-1)로 전송한다(S1535).
이 경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관련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S1540).
한편, 또 다른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제2 네트워크 장치(100-2)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면(S1545), 해당 서비스 공간의 현재 환경 조건을 센싱(S1550)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555).
서버(200)는 수신된 현재 환경 조건에 기초하여, 등록된 환경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관련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S1560). 제2 네트워크 장치(100-2)로 전송한다(S1565).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검출되면(S1610:Y),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S1620).
이어서,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S1630).
한편, S162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진입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S1630 단계에서는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가 수신한다(S1710).
이어서, 해당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기 저장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한다(S1720).
여기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복수의 디바이스는,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제1 서비스 공간에서 제2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특정 상황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에 대한 권장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또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 또는 기타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빗한 서비스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네트워크 장치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Claims (20)

  1.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이동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진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상기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제1 서비스 공간에서 제2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상황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에 대한 권장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상기 프로세서가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환경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진입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를 더 저장하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객체에 특화된 환경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관련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공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진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특정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기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는 조명, 난방 및 대기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조명 관련 디바이스, 난방 관련 디바이스 및 대기 관련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 서비스 공간에서 제2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비스 공간에 구비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2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특정 상황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 조건에 대한 권장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환경 조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정보이거나, 상기 서버가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권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50108946A 2015-07-31 2015-07-31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46A KR102423129B1 (ko) 2015-07-31 2015-07-31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5/215,823 US20170034281A1 (en) 2015-07-31 2016-07-21 Network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PCT/KR2016/008016 WO2017022988A1 (en) 2015-07-31 2016-07-22 Network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EP16833224.5A EP3329660B1 (en) 2015-07-31 2016-07-22 Network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201680044965.8A CN107852427B (zh) 2015-07-31 2016-07-22 网络装置、服务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46A KR102423129B1 (ko) 2015-07-31 2015-07-31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85A true KR20170015785A (ko) 2017-02-09
KR102423129B1 KR102423129B1 (ko) 2022-07-22

Family

ID=5788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946A KR102423129B1 (ko) 2015-07-31 2015-07-31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34281A1 (ko)
EP (1) EP3329660B1 (ko)
KR (1) KR102423129B1 (ko)
CN (1) CN107852427B (ko)
WO (1) WO2017022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679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7469B2 (en) * 2016-07-29 2020-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djusting ambience of a room
US10165054B2 (en) * 2017-03-13 2018-12-25 Kiturami Co., Lt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oT boilers using central management server
CN108712484A (zh) * 2018-05-10 2018-10-26 武汉思美特云智慧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多个控制终端同步显示的系统
CN109541959B (zh) * 2019-01-17 2022-04-01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智能家居系统多用户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30007211A1 (en) * 2021-06-30 2023-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ambient illuminance sens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1715A1 (en) * 2002-06-27 2008-09-11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20100289643A1 (en) * 2009-05-18 2010-11-18 Alarm.Com Remote device control and energy monitoring
US20150195100A1 (en) * 2014-01-06 2015-07-09 Allure Energy, Inc. Hom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7072A1 (en) * 2001-05-17 2004-09-09 Ilkka Salminen Smart environment
JP2005056207A (ja) * 2003-08-05 2005-03-03 Sanyo Electric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宅内機器制御サーバおよび仲介サーバ
US20060075075A1 (en) * 2004-10-01 2006-04-06 Malinen Jouni I Method and system to contextually initiate synchronization services on mobile terminals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US8299889B2 (en) * 2007-12-07 2012-10-30 Cisco Technology, Inc. Home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presence and mobility vi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CN102546324B (zh) * 2011-10-19 2015-09-23 无锡物联网产业研究院 一种物联网智能家居系统及方法
KR101718894B1 (ko) * 2011-11-29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432210B2 (en) 2012-09-12 2016-08-30 Zuli, Inc. System for monitor and control of equipment
US20140279889A1 (en) * 2013-03-14 2014-09-18 Aliphcom Intelligent device connection for wireless media ecosystem
US9928672B2 (en) * 2013-12-05 2018-03-27 Wallflower Labs Inc.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ppliances and powered devices using radio-enabled proximity sensing
CN104501371B (zh) * 2014-12-08 2017-12-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空调器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和集成控制器
US9911318B2 (en) * 2015-03-27 2018-03-06 Google Llc Configuring a smart hom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1715A1 (en) * 2002-06-27 2008-09-11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20100289643A1 (en) * 2009-05-18 2010-11-18 Alarm.Com Remote device control and energy monitoring
US20150195100A1 (en) * 2014-01-06 2015-07-09 Allure Energy, Inc. Hom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679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129B1 (ko) 2022-07-22
CN107852427B (zh) 2021-02-02
US20170034281A1 (en) 2017-02-02
EP3329660B1 (en) 2020-05-06
CN107852427A (zh) 2018-03-27
EP3329660A4 (en) 2018-06-27
WO2017022988A1 (en) 2017-02-09
EP3329660A1 (en)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6331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控制方法
US10347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s using a voice tag
EP3329660B1 (en) Network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70099602A1 (en) Theme appl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US10075896B2 (e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beacon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9832607B2 (en) Method of processing beacon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7637028B (zh) 电子设备和网关及用于其的控制方法
US10225791B2 (en) Device sear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60051390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필터 제공 방법
KR20160137224A (ko)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08601A (ko)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US1039776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US110235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KR201701158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외부장치 제어 방법
EP3123352B1 (en) Data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70006224A1 (en) Camera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04696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046279A1 (en) Content security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314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KR20160027855A (ko) 전자 장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7639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