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870A -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870A
KR20170011870A KR1020150105290A KR20150105290A KR20170011870A KR 20170011870 A KR20170011870 A KR 20170011870A KR 1020150105290 A KR1020150105290 A KR 1020150105290A KR 20150105290 A KR20150105290 A KR 20150105290A KR 20170011870 A KR20170011870 A KR 20170011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tent
unit
state
mov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870A/ko
Priority to CN201680037067.XA priority patent/CN107810460A/zh
Priority to US15/217,515 priority patent/US20170024025A1/en
Priority to PCT/KR2016/008012 priority patent/WO2017018732A1/en
Publication of KR2017001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상태 또는 거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에서 상기 콘텐트를 제공 중 일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CONTENT}
본 개시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에게 콘텐트의 제공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시청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이동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상태 또는 거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에서 상기 콘텐트를 제공 중 일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방송 콘텐트를 수신하는 튜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공 중이던 상기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정지된 시점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따.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중이던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정지된 시점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장착된 손잡이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차단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차단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트를 녹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트를 녹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에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50)가 장착된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50)가 장착되고, 디스플레이부(115)를 포함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 단말,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 기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들고 이동 할 때, 손잡이부(50)가 필요한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크기는 15인치, 17인치, 19인치, 또는 27인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자 장치(100)의 크기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인치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50)의 상태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일 때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잡힐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5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일부 영역으로 삽입되거나(도 1의 (a), 도 6의 (a)) 또는, 거치 상태에서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후술할 도 4의 (a), 도 5의 (a) 참조).
또한,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50)의 상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들고 이동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5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를 편리하게 들고 이동할 수 있기에 적합한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트는, 동영상, 사진, 음악, 텍스트, 인터넷 기반 콘텐트 또는 방송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콘텐트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트에 영상이 포함된 경우,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또는/및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콘텐트는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콘텐트는 IoT 네트워크 기반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가전 기기, 또는 스마트 사무용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 중일 때(도 1의 (a)),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도 1의 (b)). 이후, 전자 장치(100)가 다시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재개할 수 있다(도 1의 (a)).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TV를 테이블에 거치 상태로 놓고 비디오를 시청하던 중, 사용자가 이동하게 되면, 휴대용 TV는 자동으로 콘텐트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다시 휴대용 TV를 거치 상태로 놓으면, 휴대용 TV는 사용자가 시청하던 비디오를 정지된 시점에 이어서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휴대용 TV를 시청하던 중 이동하고자 할 때, 휴대용 TV에 재생 중이던 비디오를 정지시키는 동작 없이, 또한, 목적지에 도착하여 다시 비디오를 재생시키는 동작 없이도, 시청하던 비디오를 놓치는 부분 없이 이어서 시청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싱부(14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35),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트(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일 때, 재생 중인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이 정지된 시점의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이 정지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35)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35)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튜너부(135)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35)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바이스(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13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40)는, 손잡이부 센서(140a), 모션 센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 센서(140a)는, 손잡이부(50)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 센서(140a)는 온/오프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부 센서(140a)는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부 센서(140a)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 센서(140a)는 빛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모션 센서(140b)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중임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140b)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145),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141) 및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싱부(1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바이스(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 중 일 때,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제공 중이던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정지된 시점부터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전자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전자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를 가지는 전자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의 전자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장착된 손잡이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일 때는 손잡이부(50a)가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뒷면에 손잡이부(50a)가 장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50a)의 일 면에 마련된 돌기가 전자 장치(100)의 뒷면에 마련된 홈(10a)에 끼워져 슬라이딩 형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a)를 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a)가 전자 장치(100)의 윗면 위쪽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50a)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 감지하기 위한 손잡이 센서(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 센서(140a)는 손잡이부(50a)가 거치 상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0a)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었을 때 접촉될 수 있는 면의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손잡이부 센서(140a)는 온/오프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손잡이부 센서(140a)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 센서(140a)는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 센서(140a)가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성된 경우에, 손잡이(50a)가 위 방향으로 올라가 위치함에 따라 손잡이부 센서(140a)는 손잡이부(50a)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일 때는 손잡이부(50b)가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뒷면에 손잡이부(50b)가 장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50b)는 삼각 형태의 받침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b)를 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접듯이 이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b)가 전자 장치(100)의 윗면 위쪽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50b)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 감지하기 위한 손잡이 센서(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 센서(140a)는 손잡이부(50a)가 거치 상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0a)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었을 때 접촉될 수 있는 면의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손잡이부 센서(140a)는 온/오프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손잡이부 센서(140a)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 센서(140a)는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부 센서(50a)가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현된 경우에, 손잡이부(50b)가 위 방향으로 접힘에 따라 손잡이부 센서(140a)는 손잡이부(50b)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센싱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를 참조하면, 손잡이부(50c)가 거치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 손잡이부(50c)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부(50c)가 전자 장치(100)에 밀착된 형태일 때, 손잡이부(50c)와 전자 장치(100) 사이에 손을 끼워 손잡이부(50c)를 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잡게 되면, 손잡이부(50c)의 형태는 전자 장치(100)위에 세워진 형태이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뽑힌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도 6의 (b)).
일 실시 예에 따라, 손잡이부 센서(140a)는 손잡이부(50c)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부 센서(140a)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나, 손잡이부 센서(50c)의 장착 위치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손잡이부 센서(140a)는 온/오프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손잡이부 센서(140a)는 손잡이부(50c)가 전자 장치(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당겨지면(화살표 방향), 온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손잡이부 센서(50c)의 동작은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 센서(50c)는 손잡이부(50c)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당겨지면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센서(140a)는 온/오프 스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 센서(150a)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로 구현된 손잡이부 센서(150a)는 손잡이부(50)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50)를 잡으면, 손잡이부 센서(140a)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잡힌 상태인 것으로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손잡이부 센서(140a)는 빛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부 센서(140a)가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빛 센서로 구성될 경우에, 손잡이부 센서(140a)는, 손잡이부(50c)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당겨지면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광부에서 수신하여 손잡이부(50c)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당겨진 것을 센싱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 센서(140a)에서 출력되는 센싱 값은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 센서(140a)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손잡이부(50)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손잡이부의 다른 예들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좌측 및 우측에 손잡이부(50d, 50e)가 각각 장착된 예이다. 도 7의 (a)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사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손잡이 센서(140a)는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된 손잡이부 각각에 근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우측에 손잡이부(50f)가 장착된 예이다. 도 7의 (b)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사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손잡이 센서(140a)는 우측에 부착된 손잡이부(50f)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좌측에 손잡이부(50g)가 장착된 예이다. 도 7의 (c)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사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손잡이 센서(140a)는 좌측에 부착된 손잡이부(50g)에 근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손잡이부(50h)가 끈 형태로 전자 장치(100)에 장착된 예이다. 도 7의 (d)의 경우에, 손잡이부의 사용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손잡이 센서(140a)는 손잡이부(50h)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하는 연결부 또는 전자 장치(100)에 대향되는 손잡이부(50h) 면의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손잡이부(50a~50h)는 전자 장치(100)의 외관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외관과 손잡이부(50a~50h)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50a~50h)는 전자 장치(100)의 외관 재질과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외관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손잡이부(50a~50h)는 가죽, 합성 피혁, 천, 또는 철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의 단계 S801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테이블 위에 놓고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도 1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의 단계 S802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는 손잡이부 센서(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손잡이부 센서(140a)를 통해 손잡이부(50)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임을 감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는 모션 센서(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40b)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모션 센서(140b)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중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라, 모션 센서(140b)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145),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141) 및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802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 중이던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테이블 위에 놓고 비디오를 시청하던 중, 장소 이동을 위해 전자 장치(100)의 손잡이부(50)를 잡고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는 손잡이부 센서(140a), 모션 센서(140b)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면, 비디오의 재생을 정지할 수 있다.
도 8의 단계 S803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손잡이부 센서(140a), 모션 센서(140b)를 포함하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손잡이부(50)를 잡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전자 장치(100)를 테이블 등에 올려놓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손잡이부 센서(140a), 모션 센서(140b)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가 아닌 거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정지했던 콘텐트의 제공을 재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차단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단계 S901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902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단계 S901, S902, S903에 관해서는 도 8의 단계 S801, S802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의 단계 S904에서,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9의 단계 S905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904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이동 상태의 지속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1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5)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의 소모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단계 S905에서 디스플레이부(1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 이후, 일정 시간이 더 경과하면,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140)와,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 중이던 태스크를 기억하기 위한 램(RAM) 등의 최소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차단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115)에는 콘텐트의 재생이 정지된 시점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이동 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5)는 오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의 소모 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의 단계 S1101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102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1102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단계 S1101, S1102, S1103에 관해서는 도 8의 단계 S801, S802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의 단계 S1104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1의 단계 S1105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1104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단계 S1103 단계에서 콘텐트의 제공이 정지된 시점의 비디오를 이어서 다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소 이동 후에도 비디오를 놓치는 부분 없이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이동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115)가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5)를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자동으로 이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비디오를 재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 없이도, 이동 전에 시청하던 비디오를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단계 S1301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302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303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1302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단계 S1301, S1302, S1303에 관해서는 도 8의 단계 S801, S802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의 단계 S1304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5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1304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콘텐트를 다시 재생할지에 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 S1306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콘텐트를 정지한 시점에 이어서 재생하도록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콘텐트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트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이동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115)가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5)를 오프시킬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콘텐트를 다시 재생할지에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트를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정지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시청하기 위한 선택 메뉴(11)(예컨대, ‘이어서 보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트를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시청 중이던 콘텐트를 처음 부분부터 시청하기 위한 선택 메뉴(12)(예컨대, ‘처음부터 보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재생 중이던 콘텐트를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시청하던 콘텐트를 다시 재생시키지 않고 종료시키기 위한 선택 메뉴(13)(예컨대, ‘종료하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트를 녹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의 단계 S1501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방송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를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02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503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1502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단계 S1502, S1503에 관해서는 도 8의 단계 S801, S802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의 단계 S1504에서, 제어부(180)는 방송 콘텐트의 제공이 정지된 시점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거치 상태에서 방송 콘텐트를 제공하던 중,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방송 콘텐트 제공을 정지하고, 정지된 시점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를 녹화하여 저장부(19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05에서,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인지 여부를 센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06에서, 제어부(180)는 단계 S1505에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방송 콘텐트를 제공할지에 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07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방송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방송 콘텐트를 계속 시청할 것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재개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콘텐트를 녹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거치 상태에서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함에 따라, 정지된 시점의 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거치 상태에서 제공 중이던 방송 콘텐트의 제공이 정지된 시점부터,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방송 콘텐트를 시청하던 중 장소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방송 콘텐트를 놓치는 부분 없이 나중에 시청할 수 있도록 녹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의 (a)는 도 16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의 이동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방송 콘텐트의 제공이 정지된 시점부터,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가 녹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제어부(180)는 방송 콘텐트를 제공할지에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방송 콘텐트를 제공하던 중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정지된 시점의 방송 콘텐트를 이어서 시청하기 위한 선택 메뉴(21)(예컨대, ‘녹화 영상 이어서 보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녹화된 영상을 재생시킴으로써, 방송 콘텐트의 시청이 정지된 시점에 이어서, 사용자는 방송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방송 콘텐트를 제공하던 중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현재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를 시청하기 위한 선택 메뉴(22)(예컨대, ‘현재 방송 보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함으로써, 실시간 방송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방송 콘텐트를 제공하던 중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거치 상태로 다시 변경된 경우에도 녹화를 계속 하기 위한 선택 메뉴(23)(예컨대, ‘녹화 계속 하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튜너부(13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의 녹화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거치 상태에서 방송 콘텐트를 제공하던 중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정지한 경우, 시청하던 방송 콘텐트를 다시 시청하지 않고 종료시키기 위한 선택 메뉴(24)(예컨대, ‘종료하기’)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의 (b)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방송 콘텐트를 제공할지에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가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이전의 거치 상태일 때 제공 중이던 방송 콘텐트(도 16의 (a) 참조))를 곧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이동 상태로부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녹화된 영상을 재생시킴으로써, 방송 콘텐트의 시청이 정지된 시점에 이어서 사용자는 방송 콘텐트를 곧바로 시청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8, 9, 11, 13, 15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40 : 센싱부
180 : 제어부

Claims (12)

  1.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상태 또는 거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에서 상기 콘텐트를 제공 중 일 때,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임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방송 콘텐트를 수신하는 튜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공 중이던 상기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정지된 시점부터 수신되는 상기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거치 상태에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한 시점의 콘텐트를 이어서 제공하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잡힐 수 있는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 상태로 변경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이동 상태로부터 상기 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 상태로부터 이동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중이던 방송 콘텐트의 제공을 정지하고, 상기 정지된 시점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트가 녹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05290A 2015-07-24 2015-07-24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11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90A KR20170011870A (ko) 2015-07-24 2015-07-24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201680037067.XA CN107810460A (zh) 2015-07-24 2016-07-22 一种提供内容的电子设备和方法
US15/217,515 US20170024025A1 (en) 2015-07-24 2016-07-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content
PCT/KR2016/008012 WO2017018732A1 (en) 2015-07-24 2016-07-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90A KR20170011870A (ko) 2015-07-24 2015-07-24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70A true KR20170011870A (ko) 2017-02-02

Family

ID=5783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290A KR20170011870A (ko) 2015-07-24 2015-07-24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024025A1 (ko)
KR (1) KR20170011870A (ko)
CN (1) CN107810460A (ko)
WO (1) WO2017018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7188A (ja) * 2016-12-14 2018-06-2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グリップベルト及び撮像装置
CN109194894B (zh) * 2018-08-30 2021-09-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投影录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79609A (zh) * 2018-09-17 2019-02-22 郑州搜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机顶盒
CN109725729B (zh) * 2019-01-02 2021-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图像控制装置、显示控制装置和显示装置
US11591329B2 (en) * 2019-07-09 2023-02-28 Incyte Corporation Bicyclic heterocycles as FGFR inhibitors
CN111399392B (zh) * 2020-04-02 2022-02-0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基于智慧屏的智能家居交互控制方法、装置和智慧屏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6034B2 (en) * 2000-12-01 2004-04-06 Manuel M. Casanova, Jr. Grip pressure detector assembly
EP1607191A1 (en) * 2003-03-23 2005-12-21 Sony Corporation Robo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50219228A1 (en) * 2004-03-31 2005-10-06 Motorola,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US7568116B2 (en) * 2006-04-14 2009-07-28 Clever Innovations, Inc. Automated display device
CN101211618A (zh) * 2006-12-28 2008-07-0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影音播放系统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9520743B2 (en) * 2008-03-27 2016-12-13 Echostar Technologies L.L.C.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remote control electronics
TW201005503A (en) * 2008-07-16 2010-02-0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00079508A1 (en) * 2008-09-30 2010-04-01 Andrew Hodge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US20100115123A1 (en) * 2008-10-09 2010-05-06 Mmi Broadcasting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broadcasting
US20110243532A1 (en) * 2010-03-31 2011-10-0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of video stabilization during movement
US9607652B2 (en) * 2010-08-26 2017-03-28 Blast Motion Inc. Multi-sensor event detection and tagging system
US9406336B2 (en) * 2010-08-26 2016-08-02 Blast Motion Inc. Multi-sensor event detection system
US8977318B2 (en) * 2011-02-10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JP2013065085A (ja) * 2011-09-15 2013-04-11 Nec Saitama Ltd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101866272B1 (ko) * 2011-12-15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2015038664A (ja) * 2011-12-27 2015-02-26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EP2613555A3 (en) * 2012-01-06 2014-04-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eye movement sensor and grip pattern sensor to control streaming of contents
US8802958B2 (en) * 2012-07-05 2014-08-12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035905B2 (en) * 2012-12-19 2015-05-1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40080257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점등 제어 방법
KR102004884B1 (ko) * 2013-01-07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40237076A1 (en) * 2013-02-21 2014-08-21 On Location Engagements, Inc. Content Management And Delivery of On Location Engagements
US20140259189A1 (en) * 2013-03-11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Review system
EP2956825B1 (en) * 2013-03-15 2020-06-24 Apple Inc. Facilitating transactions with a user account using a wireless device
US9602963B2 (en) * 2013-03-15 2017-03-21 Apple Inc. Facilitating access to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using wireless devices
WO2014143843A1 (en) *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Controlling wireless device access to host device functionality
WO2014148741A1 (en) * 2013-03-20 2014-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75557B2 (en) * 2013-04-19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Grip force sensor array for one-handed and multimodal interaction on handheld devices and methods
KR102075117B1 (ko) * 2013-04-22 2020-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3324283A (zh) * 2013-05-23 2013-09-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控制视频播放的方法及其终端
KR102153006B1 (ko) * 2013-05-27 2020-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47703B1 (ko) * 2013-08-09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258524B2 (en) * 2013-09-30 2016-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eaming playback within a live video conference
JP6271205B2 (ja) * 2013-10-01 2018-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134764B2 (en) * 2013-12-20 2015-09-15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based on a manner of holding the apparatus
US9870083B2 (en) * 2014-06-1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evice multi-user sensor correlation for pen and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CN104049759A (zh) * 2014-06-25 2014-09-17 华东理工大学 触摸屏和行为感知联合的指令输入与防护方法
CN104580727B (zh) * 2014-12-29 2018-10-23 北京智产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装置
US20160212483A1 (en) * 2015-01-21 2016-07-21 Arris Enterprises, Inc. Hybrid program change for ip-enabled multimedia devices
US10097924B2 (en) * 2015-09-25 2018-10-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otion-based orientation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732A1 (en) 2017-02-02
CN107810460A (zh) 2018-03-16
US20170024025A1 (en)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324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17844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1023470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03293B1 (ko)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98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567002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11870A (ko)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72221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23790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1047713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60099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86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70034603A (ko)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41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2017028576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2201037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26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827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운드 제어방법
KR202100561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56490A (ko) 알림 이벤트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1077A (ko)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