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212A -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212A
KR20170011212A KR1020150103451A KR20150103451A KR20170011212A KR 20170011212 A KR20170011212 A KR 20170011212A KR 1020150103451 A KR1020150103451 A KR 1020150103451A KR 20150103451 A KR20150103451 A KR 20150103451A KR 20170011212 A KR20170011212 A KR 2017001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ttery pack
battery
pack accor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4250B1 (en
Inventor
박창욱
양근주
윤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0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50B1/en
Publication of KR2017001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2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dable battery pack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battery pack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First and second frames, having an inner surfac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appearance of the battery cell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hollow storage parts. Each of the hollow storage parts is equipped with the battery cells to form a unit module. At least unit modules are combin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a bus bar, in order to form a module structure. A sub frame, equipped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battery cell,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ase, equipped wit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are combin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structure.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A battery pack with an expandable structure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having an expandable structure.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which is proposed as a solution for air pollution in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Therefore, the types of applications using secondary batteries are diversifying due to the advantages of secondary batteries, and it is expected that secondary batteries will be applied to many fields and products in the future.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and a prismatic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and a pouch-shaped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a pouch-shaped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거나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팩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전지 1 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전지팩의 사용이 요구된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ingle battery or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nal equipment to be used. For example, a small device such as a cell phone can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a single battery output and capacity, while a medium or large devic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etc., The use of packs is required.

전지팩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배열한 뒤,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이룬 전지 구조물로서, 상기 단위전지들을 고정하고 배열하는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전지팩의 단위전지로 사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는 외형적 특성상 배열 구조를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The battery pack is a battery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arrang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and sequentially electrically connecte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structure for fixing and arranging the unit cells. Particularly,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used as a battery has many difficulties in maintaining an array structure due to its external characteristics.

도 1에는 종래의 전지팩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도 1을 참조하면, 규격이 다른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셀 프레임들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셀 프레임들(11, 12, 13)에는 다른 개수의 원통형 이차전지들(10)이 장착되어 있다. (a)의 셀 프레임은 10S4P (10직렬4병렬), (b)의 셀 프레임은 13S4P (13직렬4병렬), (c)의 셀 프레임은 13S3P (13직렬3병렬) 전지팩으로서 각각의 용량 및 이에 포함되는 전지셀의 개수도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cell frames constituting battery packs of different sizes are shown. A different number of cylindrical rechargeable batteries 10 are mounted in each of the cell frames 11, 12, and 13. (13 serials, 4 parallel), a cell frame of 13S4P (13 serial 3 parallel), a cell frame of 13S4P (13 serial 4 parallel), and a cell frame of 13S4P And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therein is also different.

이와 같이, 종래의 전지팩들은 규격, 용량 등이 변경되는 경우에 개별적으로 설계해서 제작해야 하므로 설계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us, conventional battery packs have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es are complicated because they must be individu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when the standard, capacity, and the like are changed.

또한, 종래의 전지팩들은 상호 호환 가능한 구조가 아니어서 다른 전지팩의 프레임들을 사용할 수 없고, 다른 용량의 전지팩을 제작하는 경우에 각각 별도의 제작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금형비, 인건비 등과 같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conventional battery packs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frames of other battery packs can not be used, and when battery packs of different capacities are manufactured, they are manufactured separately. Therefore, costs such as a mold cost and a labor cost increas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전지팩들을 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금형 제작 없이 확장이 용이한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확장이 용이한 블록 구조의 셀 프레임들을 채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expanded without forming additional molds in order to construct battery packs of various siz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Thereby providing a battery pack.

또한, 다수 개의 전지셀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전지셀들을 장착 및 탈리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이 용이한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which is easy to apply to various devices by allow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s well as one battery cell to be mounted and detach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having an expandable structure,

복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팩으로서,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전지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구조를 가진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상호 결합에 의해 중공 수납부들을 형성하고 있고;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having an inner surfac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battery cell form hollow holders by mutual engagement;

상기 중공 수납부들 각각에 전지셀이 장착되어 단위모듈을 이루고 있으며;A battery module is mounted on each of the hollow accommodation portions to form a unit module;

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둘 이상의 단위모듈들이 결합되어 모듈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고,Wherein at least two unit modules are combined to form a module structur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a bus bar,

상기 모듈 구조체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을 추가 장착할 수 있는 보조 프레임과,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장착된 BMS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module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uxiliary frame capable of additionally mounting one or more battery cells and a BMS case equipped wit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ar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structure.

즉,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확장이 용이하고 각종 디바이스에서 요구하는 규격에 적용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an expandabl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that can be easily expanded by a simple structure and applicable to a standard required by various device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상호 결합에 의해 둘 이상의 중공 수납부들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be structured to form two or more hollow receivers by mutual engagement.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는 전지셀의 일측 단부 외면을 감싸는 구조의 셀 장착부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cell mounting portions having a structure for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ell are formed.

이 경우에,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서, 프레임 외면에 위치한 셀 장착부는 전지셀의 일측 단부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개방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cell mount position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may be an open structure that partially encloses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ell.

이 때,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은, 상호 결합되는 방향의 내면에, 끼워맞춤 구조의 제 1 결합구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first fitting portions of a fitting structur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n a direction of mutual coupling.

이 경우에, 상기 제 1 결합구는 후크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member may have a hook structure.

또한, 상기 제 1 결합구의 외주에는 결합구들의 중심축에 대해 십자 형태로 지지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upling hole may have a cross-shaped support portion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upling holes.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BMS 케이스의 외면에는 모듈 구조체의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BMS cas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rame of the module structure and a second hook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re formed.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외면에는 BMS 케이스의 제 2 후크가 삽입 고정되는 후크 체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structure, hooks for fastening the second hook of the BMS cas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다른 경우에, 상기 BMS 케이스는 둘 이상의 단위모듈들에 걸쳐 결합될 수 있다.In other cases, the BMS case may be coupled across more than one unit modul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프레임에서, 모듈 구조체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의 외면은 전지셀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specific example, in the auxiliary frame,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coupled to the module structur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이 경우에, 상기 보조 프레임은 전지셀들이 개별적으로 장착 및 탈리 가능하도록 전지셀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개방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frame may be an open structure that enclose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o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individually mounted and detach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프레임의 중앙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프레임의 중앙 외면에는 다른 단위모듈의 홀들과 결합되는 보스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holes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bosses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to be coupled with the holes of the other unit modules.

단위모듈들 사이에 위치하는 단위모듈의 상하면에는 절연성 양면 접착제 또는 커버 플레이트들이 부착될 수 있다.An insulating double-sided adhesive or cover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nit module positioned between the unit module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결합구들, 홀들 및 보스들은 전지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fittings, holes and bo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s.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버스 바는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외주부에 단위모듈들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단위모듈들이 결합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bus bar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a protruding manner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unit modules, and can serve as a guide when the unit modules are coupled.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들에는 단위모듈들이 결합될 때 결합 및 분리를 위한 나사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s may further include a screw coupling part for coupling and disassembling when the unit modules are coupled.

상기 접속부재는, 전지셀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구조가 다른 둘 이상의 접속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connecting member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본 발명은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including a battery pack.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컴퓨터, 휴대폰, 웨어러블 전자기기, 무선 청소기, 파워 툴(power tool), 무인 비행체,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group of computers, mobile phones, wearable electronic devices, wireless cleaners, power tools, unmanned aerial vehicle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EV) Can be selected.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device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은, 다양한 규격의 전지팩들을 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금형 제작 없이 연결이 가능한 블록 구조이므로 간단하면서 콤팩트한 구조로 확장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of the expand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mpact structure and is easy to expand because it is a block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without forming additional molds to construct battery packs of various siz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oviding a battery pack having a small size.

또한, 전지셀들을 추가 장착 및 탈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이 용이한 전지팩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providing a battery pack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various devices by additionally mounting and removing the battery cells.

도 1은 종래의 전지팩들의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 및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전지셀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들의 모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제 1 프레임, 제 2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BMS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의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정면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FIGS. 2 to 4 are schematic diagrams of unit modules including a battery pack of an expandab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to 7 are schematic views of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nd a subframe constituting a battery pack of an expan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n auxiliary frame and a BMS case constituting a battery pack of an expan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the side of Fig. 8; Fig.
10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Fig. 8.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 및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전지셀을 포함하는 단위 모듈들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2 to 4 are schematic diagrams of unit modules including a battery pack having an expandabl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단위모듈들(131, 132, 133)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전지모듈 어셈블리들(121, 122, 123, 124, 125, 126)은 각각 3개 또는 4개의 단위모듈들(131, 132, 133)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단위모듈들(131, 132, 133)에서 전지셀들(101)을 탈리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 접속 구조를 변경하여 결합하면 전지모듈 어셈블리들(121, 122, 123, 124, 125, 126)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4 togeth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is shown. The battery module assemblie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each have three or four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respectively. The battery module assemblie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may be formed by removing the battery cells 101 from the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or by changing the serial or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

제 1 단위모듈(131)의 전지셀들(101)은 접속부재들(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재들(160)은 전지셀들(101)을 연결시키기 위해 구조가 다른 둘 이상의 접속부재들(160)로 구성되어 있다.The battery cells 101 of the first unit module 131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s 160. The connecting members 160 are composed of two or more connecting members 160 having different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101.

단위모듈들(131, 132, 133)이 버스 바(16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모듈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The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ar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bus bar 161 to form a module structure.

단위모듈들(131, 132, 133)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단위모듈(132)의 상하면에는 절연성 접착 테이프(180)가 부착되어 있어 누전을 방지하고 단위모듈들(131, 132, 133)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The insulating adhesive tape 180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unit module 132 located between the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to prevent electric leakage, .

단위모듈들(131, 132, 133)의 결합은 제 1 단위모듈(131)의 홀(117)에 제 2 단위모듈(132)의 보스(118)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단위모듈들(131, 132, 133)의 홀들(117) 및 보스들(118)의 결합 방향으로 전지모듈의 확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홀들(117) 및 보스들(118)은 전지셀들(10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위치하고 있다.The coupling of the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is achieved by coupling the bosses 118 of the second unit module 132 to the holes 117 of the first unit module 131.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module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es 117 and the bosses 118 of the unit modules 131, 132, and 133 are coupled. The holes 117 and the bosses 118 are located in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s 101.

도 4 (a)에 3S4P (3직렬4병렬) 구조의 단위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b)에는 4S3P (4직렬3병렬) 구조의 단위모듈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c)에는 4S4P (4직렬4병렬) 구조의 단위모듈이 도시되어 있다.FIG. 4A shows a unit module having a 3S4P (3-serial 4-parallel) structure. FIG. 4B shows a unit module of a 4S3P (4-serial 3-parallel) structure, and FIG. 4C shows a unit module of a 4S4P (4-serial 4-parallel) structure.

도 3의 (e), (f)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전지셀은 한 개 차이이고, 두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한 개의 전지셀을 장착 또는 탈리하면 상호 용이하게 변경되는 구조이다.The battery module assemblies of FIGS. 3 (e) and 3 (f) have only one battery cell, and the two battery module assemblies are easily changed when one battery cell is mounted or removed.

단위모듈들(131, 132, 133)을 연결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 BL17 13S3P, (b) BL17 10S4P, (c) 14S3P, (d) 15S3P, (e) 19S3P, (f) 13S4P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도 3 (b)의 BL17 10S4P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경우에 단위모듈을 하나 더 연결할 경우 도 3 (f)의 13S4P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 BL17 13S3P, (b) BL17 10S4P, (c) 14S3P, (d) 15S3P, (e) 19S3P, f) Construct a battery module assembly of 13S4P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BL17 10S4P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 3 (b),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13S4P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 3 (f) by connecting another unit modul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제 1 프레임, 제 2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모식도이다.5 to 7 are schematic views of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nd a subframe constituting a battery pack of an expan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은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5 to 7,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have an inner surfac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에는 상호 결합에 의해 복수의 전지셀들을 수납하는 중공 수납부들(114a, 114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의 중공 수납부들(114a, 114b) 각각에 전지셀들이 장착되는 구조이다.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formed with hollow holders 114a and 114b for hol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mutual engagement. The battery cells are mounted on the hollow storage portions 114a and 114b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respectively.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에는 전지셀의 일측 단부 외면을 감싸는 구조의 셀 장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들의 외면에 위치한 셀 장착부(115)는 전지셀의 일측 단부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개방 구조(115a, 115b)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formed with a cell mounting portion 115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ell. The cell mounting portion 115 loca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includes open structures 115a and 115b that partiall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ell.

제 1 프레임(111) 및 제 2 프레임(112)은 상호 결합되는 방향의 내면에, 후크 끼워맞춤 구조의 제 1 결합구들(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구들(151)은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의 전지셀들(10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위치하고 있다.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first fitting portions 151 of a hook fitting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in the direction of mutual coupling. The first coupling members 151 are located in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first frame 111 and the battery cells 101 of the second frame 112.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이 결합되어 단위 프레임 결합체(110)를 이루고 있고, 홀들(도 2: 117) 및 보스들(118)에 의해 결합되면 화살표와 같이 모듈 구조체(130)를 이루는 구조이다.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unit frame assembly 110. When the unit frame assembly 110 is coupled by the holes 118 and the bosses 118, ).

제 1 결합구(151)의 외주에는 결합구들(151)의 중심축에 대해 십자 형태로 지지부들(153)이 형성되어 있다.Supports 153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51 in a cross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upling members 151.

보조 프레임(113)에서, 모듈 구조체(130)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113)의 외면은 전지셀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auxiliary frame 113,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13 coupled to the module structure 1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보조 프레임(113)은 제 1 프레임(111) 및 제 2 프레임(112)과 함께 전지셀을 일부 감싸는 개방 구조(115c)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셀들이 개별적으로 장착 및 탈리 가능하도록 전지셀의 다른 외면 일부를 감싸는 개방 구조(115d)로 이루어져 있다.The auxiliary frame 113 comprises an opening structure 115c that partially encloses the battery cell together with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and has an outer surface 115c that allows the battery cells to be separately mounted and removed, And an opening structure 115d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open structure.

보조 프레임(113)은 모듈 구조체(130)의 외면에 전지셀들을 추가 장착하여 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들(111, 112)의 결합 방향에 평행하게 슬라이드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후크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어 결합력이 강화된다.The auxiliary frame 113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structure 130 in a sliding manner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rames 111 and 112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bus bar, So that the bonding force is enhanced.

도 8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구조의 전지팩을 구성하고 있는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BMS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 및 도 10에는 도 8의 측면 및 정면 모식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n auxiliary frame, and a BMS case constituting a battery pack of an expanda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and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 8, respectively.

도 8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제 1 프레임들 및 제 2 프레임들이 홀들 및 보스들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들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now to Figures 8-10, frames are shown in which first and second frames are combined by holes and bosses.

BMS 케이스(150)의 외면에는 모듈 구조체(130)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프레임(111) 및 제 2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제 2 후크(155)가 형성되어 있다.A first frame 111 constituting the module structure 130 and a second hook 155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1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MS case 150. [

제 1 프레임(111) 및 제 2 프레임(112)의 외면에는 BMS 케이스(150)의 제 2 후크(155)가 삽입 고정되는 후크 체결부들(111a)이 형성되어 있다.Hook fastening portions 111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111 and the second frame 112 so that the second hooks 155 of the BMS case 150 are inserted and fixed.

BMS 케이스(150)는 둘 이상의 프레임들(111, 112)에 걸쳐 결합되어 있고, BMS 케이스(150)에는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BMS(157)가 장착되어 있다.The BMS case 150 is coupled over two or more frames 111 and 112 and the BMS case 150 is equipped with a BMS 15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20)

복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팩으로서,
전지셀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면 구조를 가진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상호 결합에 의해 중공 수납부들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중공 수납부들 각각에 전지셀이 장착되어 단위모듈을 이루고 있으며;
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둘 이상의 단위모듈들이 결합되어 모듈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듈 구조체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전지셀을 추가 장착할 수 있는 보조 프레임과,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장착된 BMS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having an inner surfac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battery cell form hollow holders by mutual engagement;
A battery module is mounted on each of the hollow accommodation portions to form a unit module;
Wherein at least two unit modules are combined to form a module structure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a bus bar,
Wherein an outer frame of the module structure is combined with a BMS case equipped wit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and an auxiliary frame capable of additionally mounting one or more battery ce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 is a cylindrical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상호 결합에 의해 둘 이상의 중공 수납부들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form two or more hollow receivers by mutual engag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는 전지셀의 일측 단부 외면을 감싸는 구조의 셀 장착부가 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has at least two cell mounting portions that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e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서, 프레임 외면에 위치한 셀 장착부는 전지셀의 일측 단부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개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5.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cell mounting portion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has an opening structure that partially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attery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은, 상호 결합되는 방향의 내면에, 끼워맞춤 구조의 제 1 결합구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formed with first fitting portions of a fitting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in a direction of mutual coupl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구는 후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coupling member has a hook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구의 외주에는 결합구들의 중심축에 대해 십자 형태로 지지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8]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upport part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upling hole in a cross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coupling 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MS 케이스의 외면에는 모듈 구조체의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cond hook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f the module structure on an outer surface of the BMS cas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외면에는 BMS 케이스의 제 2 후크가 삽입 고정되는 후크 체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hook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such that a second hook of the BMS case is inserted and fix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MS 케이스는 둘 이상의 단위모듈들에 걸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MS case is coupled to two or more unit modu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에서, 모듈 구조체에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의 외면은 전지셀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subframe coupled to the module structure in the subfram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전지셀들이 개별적으로 장착 및 탈리 가능하도록 전지셀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개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frame comprises an open structure that surrounds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o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separately mounted and deta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중앙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프레임의 중앙 외면에는 다른 단위모듈의 홀들과 결합되는 보스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more holes are formed on a central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bosses are formed on a central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the bosses being coupled with holes of other unit modules. 제 5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구들, 홀들 및 보스들은 전지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15.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5 or 14, wherein the first coupling means, the holes and the bosses are located in space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외주부에 단위모듈들의 결합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단위모듈들이 결합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s bar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the unit modules, and serves as a guide when the unit modules are coupl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들에는 단위모듈들이 결합될 때 결합 및 분리를 위한 나사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s further include a screw coupling part for coupling and separation when the unit modules are coup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전지셀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구조가 다른 둘 이상의 접속부재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two or more connecting member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device compris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휴대폰, 웨어러블 전자기기, 무선 청소기, 파워 툴(power tool), 무인 비행체,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20. The device of claim 19, wherein the device is a computer, a mobile phon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wireless cleaner, a power tool,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 / RTI >
KR1020150103451A 2015-07-22 2015-07-22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KR1020742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51A KR102074250B1 (en) 2015-07-22 2015-07-22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51A KR102074250B1 (en) 2015-07-22 2015-07-22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12A true KR20170011212A (en) 2017-02-02
KR102074250B1 KR102074250B1 (en) 2020-02-06

Family

ID=5815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451A KR102074250B1 (en) 2015-07-22 2015-07-22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50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511B1 (en) * 2018-07-30 2020-01-23 주식회사 이트라이언 Battery pack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strong bonding force
WO2022270950A1 (en) * 2021-06-24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ell module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1616265B2 (en) 2018-10-19 2023-03-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26630B2 (en) 2018-10-19 2023-04-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37339B2 (en) 2018-10-19 2023-04-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62778B2 (en) 2018-10-19 2024-01-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76243B2 (en) 2018-10-19 2024-01-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901529B2 (en) 2018-10-19 202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0405A1 (en) * 2006-02-13 2007-08-16 Lg Chem, Ltd. Spacer for production of battery pack
KR20080013040A (en) * 2006-08-07 2008-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case
JP2011216366A (en) * 2010-03-3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KR20120107371A (en) * 2011-03-21 2012-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cell holder of improved connecting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2013110080A (en) * 2011-11-24 2013-06-06 Captex Co Ltd Battery pack module
JP2014139867A (en) * 2011-05-10 2014-07-3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0405A1 (en) * 2006-02-13 2007-08-16 Lg Chem, Ltd. Spacer for production of battery pack
KR20080013040A (en) * 2006-08-07 2008-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case
JP2011216366A (en) * 2010-03-3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KR20120107371A (en) * 2011-03-21 2012-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cell holder of improved connecting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2014139867A (en) * 2011-05-10 2014-07-3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JP2013110080A (en) * 2011-11-24 2013-06-06 Captex Co Ltd Battery pack modul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511B1 (en) * 2018-07-30 2020-01-23 주식회사 이트라이언 Battery pack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strong bonding force
US11616265B2 (en) 2018-10-19 2023-03-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26630B2 (en) 2018-10-19 2023-04-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637339B2 (en) 2018-10-19 2023-04-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62778B2 (en) 2018-10-19 2024-01-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876243B2 (en) 2018-10-19 2024-01-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901529B2 (en) 2018-10-19 202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22270950A1 (en) * 2021-06-24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ell module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50B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1212A (en) Battery Pack with Expandable Structure
KR101653307B1 (en) A Battery Module Assembly including Unit-Modules
US9929427B2 (en) Battery module having reinforcing barrier with metal member
KR101680709B1 (en) Battery module case
EP3067959B1 (en) Battery pack including bushing for connecting end plate
KR101393436B1 (en) Battery module and cell-cartridge
KR101799565B1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KR102169632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235650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4246680A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device
US9331316B2 (en) Battery cell holder
CN105706272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module having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KR102074245B1 (en) Pack Frame of Expandable Structure
KR101465491B1 (en) Battery module and cell-cartridge
KR20170078381A (en) Extensible stack module housing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US10461382B2 (en) Receptacle for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such a receptacle
KR102386201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3129074A1 (en) Power supply device
KR102019884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101541364B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Assembly Property
KR101533991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KR20150115252A (en) Battery module array having 2-cell with center case type module
CN210607441U (en) Modular battery pack
KR20130110951A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KR101936414B1 (en)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for simultaneous storage and battery pack using the battery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