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717A -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 Google Patents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717A
KR20170010717A KR1020160090456A KR20160090456A KR20170010717A KR 20170010717 A KR20170010717 A KR 20170010717A KR 1020160090456 A KR1020160090456 A KR 1020160090456A KR 20160090456 A KR20160090456 A KR 20160090456A KR 20170010717 A KR20170010717 A KR 2017001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2ha2
pmq
influenza
pga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용택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1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7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djuvant and an antigen having a neutralization ability with respect to various influenza antigens. The vaccine composition may induce excellent humoral immunity, cellular immunity and mucosal immunity effects compared to existing cholera toxin with respect to five types of different influenza virus sub-types.

Description

점막부착성 고분자 아주번트기반 인플루엔자 백신{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0002]

본원은,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 및 항원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cin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influenza A, comprising a mucosal adhesion enhancer composition and an antigen.

백신접종이 인플루엔자 및 이와 연관된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에 가장 비용-효과적인 생의학적 접근법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백신 제조 공정은 효율적이지 못하고, 이러한 백신의 투여는 여전히 간편하지 못하다.Although the vaccine is the most cost-effective biomedical approach to preventing influenza and related complications, current vaccine manufacturing processes are not efficient and administration of such vaccines is still inconvenient.

한편, 백신 균주는 반복되는 항원소변이(antigenic drift)에 기인하여 돌고 있는(circulating) 바이러스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계졀에 따른 소변이 변이체 (seasonal drift variants) 뿐만 아니라, 가끔씩 출현하는 재조합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교차-보호의 포텐셜을 갖는 항-인플루엔자 백신의 개발은 필수적이다.On the other hand, vaccine strains are required to be periodically updated to respond to viruses that are circulating due to repeated antigenic drift. Specifical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anti-influenza vaccine with cross-protection potential against seasonal drift variants as well as occasional recombinant viruses.

상기 백신의 개발 후보군으로서, 인플루엔자 매트릭스 단백질 2, 구체적으로는 엑토도메인 (M2e) 은 인플루엔자 균주들 중에서 훌륭하게 보존된 것이고, 인플루엔자 A 서브타입에 대항하여 교차-보호를 유도하는 매력적인 타겟으로 고려되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스탈크 도메인(stalk domain), 구체적으로 헤마글루티닌 (HA) 의 융합 펩타이드 (HA2) 는 강력하게 보존된 또 다른 영역으로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특정의 서브타입 및 심지어 다양한 서브타입에 대하여 교차-보호와 함께 특이적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M2 및 HA2-기반 백신은 면역원성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며, 동물 실험에서 사망률(mortality)은 감소시켰지만 질병률(morbidity)은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As a candidate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the vaccine, the influenza matrix protein 2, specifically the ectodomain (M2e), is well conserved among the influenza strains and is considered an attractive target to induce cross-protection against the influenza A subtype. Similarly, the fusion domain of the stalk domain, specifically the hemagglutinin (HA) (HA2), is another region that is strongly conserved and has been shown to be a subtype of influenza A virus, Specific antibody response with cross-protection against < RTI ID = 0.0 > However, these M2 and HA2-based vaccines have the disadvantage of low immunogenicity and have reduced mortality but not morbidity in animal studies.

따라서,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백신 아주번트로 M2 및 HA2-기반 백신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주목해 왔다. 수백가지의 서로 다른 아주번트들을 신규한 백신에 대하여 지난 수 세대에 걸쳐서 시험하였지만, 대다수는 효능의 부족, 수인할 수 없을 정도의 국부적 또는 전신성인 독성, 제조의 어려움, 낮은 안정성, 및 과도한 비용을 포함하는 한계로 인하여 인간에 대한 사용이 승인 되어지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지금까지, 인간 백신에 있어서 알루미늄-기반 미네랄 염이 아주번트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아주번트는 서브유닛 단백질 항원에 대항하여 충분한 항체-특이적 채액성 면역을 유도하거나 세포-매개 면역을 자극할만큼 충분히 강력하지는 않다. 나아가, 상기 아주번트는 몇몇의 인간 대상에서 알러지 반응과 결합된 면역글로불린 E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Thus, many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increasing the immunogenicity of M2 and HA2-based vaccines with various vaccine adjuvants. Hundreds of different very bunts have been tested over the last few generations for new vaccines, but the majority have been found to lack efficacy, unacceptable local or systemic toxicity, manufacturing difficulties, low stability, and excessive costs Due to the limitations involved, human use has not been approved. For the above reasons, so far, aluminum-based mineral salts in human vaccines have been the most widely used as very bunt. However, the aztans are not strong enough to induce sufficient antibody-specific lipid immunity against subunit protein antigens or to stimulate cell-mediated immunity. Furthermore, the zombant can induce an immunoglobulin E antibody response coupled with an allergic response in some human subjects.

상기 점막 표면, 구체적으로 호흡기 점막은 다수의 감염원의 주요한 출입 포인트이고, 감염에 대한 첫 번째 방어 역할을 하므로, 점막 백신은 점막 및 전신성 면역 각각에서의 보호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강력한 차세대 백신접종 전략으로서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점막 백신은 전신성 백신에 대하여 생산 및 조절의 관점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점막 백신은 대량 백신접종에 실용적이며, 오염된 주사 바늘로 인해 발생하는 혈액을 통한(blood-borne) 감염의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투여의 용이성, 의료적인 훈련 없이도 개인에 의한 전달의 가능성 및 준수의 개선은 점막 백신 전략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하는, 감염의 유행성 확산의 예방의 이점으로 여겨진다. The mucosal surface, specifically the respiratory mucosa, is a major access point for many infectious agents and is the first defense against infection, so that the mucosal vaccine is a powerful next generation vaccine that can induce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in mucosal and systemic immunity, respectively It shows the form of strategy. Mucosal vaccines provide benefits in terms of production and regulation for systemic vaccines. Specifically, mucosal vaccines are practical for large-volume vaccination and do not pose a risk of blood-borne infection caused by contaminated needles. The ease of administration, the possibility of delivery by individuals without medical training, and the improvement of compliance are considered to be an advantage of mucosal vaccine strategies, particularly prevention of epidemic spread, including influenza virus infection.

그러나, 현재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점막 백신은 몇 안되며, 이는 효과적인 점막 백신접종이, 효과적인 점막 면역 생성의 어려움 및 안전하고 효과적인 점막 아주번트 및 전달 시스템의 부재 등으로, 상당히 까다롭기 때문이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4204호 참조).However, few commercially available mucosal vaccines are presently available because effective mucosal vaccination is quite challenging due to the difficulty of producing effective mucosal immunity and the lack of a safe and effective mucosal avant-bundle and delivery system 10-2013-0044204).

본원은,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 및 항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고분자,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toll-like receptor agonist), 및 사포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항원은 서열번호 1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sM2 항원 단백질과 A/EM/Korea/W149/06(H5N1) 바이러스의 HA2 항원단백질 내 아미노산 잔기 15-137 서열을 갖는 단백질이 결합된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n mucoadhesive adhesive avant-form composition and an antigen, wherein the mucoadhesive adhesive multi-blunt composition comprises a complex of an anionic polymer, a toll-like receptor agonist, and a saponin, Wherein said antigen is an influenza A virus comprising an sM2 antigen protei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residue 15-137 sequence in the HA2 antigen protein of A / EM / Korea / W149 / 06 (H5N1) There is provided a therapeutic vaccine composition.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기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술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describ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원의 일 측면은,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 및 항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고분자,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toll-like receptor agonist), 및 사포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항원은 서열번호 1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sM2 항원 단백질과 A/EM/Korea/W149/06(H5N1) 바이러스의 HA2 항원단백질 내 아미노산 잔기 15-137 서열을 갖는 단백질이 결합된 항원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mucoadhesive adhesive budent composition and an antigen, wherein the muco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 complex of an anionic polymer, a toll-like receptor agonist, and a saponin Wherein the antigen comprises an antigenic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residue 15-137 sequence in the HA2 antigen protein of A / EM / Korea / W149 / 06 (H5N1) And a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본원의 일 구현예에 의할 때, 상기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은 상기 인플루엔자 A 의 서브타입인 H5N1, H1N1, H5N2, H7N3 및 H9N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플루엔자 A 서브타입에 대항하여 교차-보호를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fluenza A therapeutic vaccine composition is a cross-protection against influenza A subty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5N1, H1N1, H5N2, H7N3 and H9N2 subtypes of the influenza A Lt; / RTI >

본원의 일 구현예에 의할 때, 상기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은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이 분말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fluenza A therapeutic vaccine composition may be a powder of the mucoadhesive avant-born composition.

본원의 구현예들은 컨센서스 매트릭스 단백질-2 (sM2) 및 (HA2)의 스탈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 sM2HA2 에 기반한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효율적인 점막 아주번트 시스템으로서, 폴리-γ-글루탐산 (γ-PGA)-기반의 신규한 인플루엔자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Embodiments herein are efficient mucosubstance systems for influenza vaccines based on the recombinant fusion protein sM2HA2 comprising the Stalks domains of consensus matrix proteins-2 (sM2) and (HA2), including poly-gamma -glutamic acid ) -Based novel influenza vaccine composition.

본원의 구현예들은 재조합 융합 단백질 sM2HA2 및 점막부착성 γ-PGA/MPLA/QS21 아주번트에 기반한 신규한 점막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규한 점막 백신 조성물은 간편하고 강력한 전략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면역 반응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 대항하여 광범위한 보호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신규한 점막 백신 조성물의 면역원성 및 효능은 쥣과의 동물 모델로 평가하였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novel mucosal vaccine composition based on recombinant fusion protein sM2HA2 and mucoadhesive gamma-PGA / MPLA / QS21 aztans. The novel mucosal vaccine compositions can be prepared by a simple and robust strategy, can enhance the immune response, and can ensure broad protection against various influenza subtypes. The immunogenicity and efficacy of the novel mucosal vaccine compositions was assessed with an animal model of < RTI ID = 0.0 >

본원은,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효율적인 점막 아주번트 시스템으로서, 컨센서스 매트릭스 단백질-2 (sM2) 및 HA (HA2)의 스탈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 sM2HA2, 및 폴리-γ-글루탐산(γ-PGA)에 기반하는 신규한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mbinant fusion protein sM2HA2 comprising the Stalks domain of consensus matrix proteins-2 (sM2) and HA (HA2), and poly-gamma -glutamic acid (gamma-PGA) as an efficient mucosubstantial system for influenza vaccines, Lt; RTI ID = 0.0 > vaccine < / RTI >

상기 폴리-γ-글루탐산 (γ-PGA)-기반 백신 아주번트 시스템은 sM2HA2 의 점막부착성 전달 비히클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소수성 면역자극성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MPLA) 및 QS21 의 결합에 대한 강력한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sM2HA2 및 조합 아주번트 γ-PGA/MPLA/QS21 (CA-PMQ) 의 비강내 공-투여(co-administration) 는 고도의 보호성을 나타내는 점막의, 전신성, 세포-매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sM2HA2/CA-PMQ 면역화는 질병 증상을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 (H5N1, H1N1, H5N2, H7N3 및 H9N2) 에 의한 치사적 감염(lethal infection) 에 대항하여 적어도 6 달 동안 지속되는 완전한 보호를 부여할 수 있다. The poly-gamma -glutamic acid (y-PGA) -based vaccine zbuntu system not only acts as mucosal adhesion delivery vehicle for sM2HA2, but also acts as a hydrophobic immunostimulatory 3-O-desacyl-4'-monophosphoryl lipid A ) ≪ / RTI > and < RTI ID = 0.0 > QS21. ≪ / RTI > The intranasal co-administration of the sM2HA2 and the combined azturate gamma-PGA / MPLA / QS21 (CA-PMQ) can induce a mucosal, systemic,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with a high degree of protection have. The sM2HA2 / CA-PMQ immunization can prevent disease symptoms and provide complete protection against lethal infection by various influenza subtypes (H5N1, H1N1, H5N2, H7N3 and H9N2) for at least 6 months Can be given.

따라서, 본원은, CA-PMQ 와 조합된 sM2HA2 의 점막 투여는 광범위한 교차-보호성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강력한 전략이 될 수 있고, 점막 아주번트로서의 CA-PMQ 는 효과적인 점막 백신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Thus, the present application shows that mucosal administration of sM2HA2 in combination with CA-PMQ can be a powerful strategy for a wide range of cross-protective influenza vaccines and that CA-PMQ as a mucosal avant-bundle can be used against an effective mucosal vaccine do.

도 1a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조합 단백질 항원 (sM2HA2) 및 점막부착성 고분자 (γ-PGA)-기반 조합 아주번트 (CA-PMQ, γ-PGA/MPLA/QS21) 의 조합을 이용한,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교차-보호에 대한 백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A) γ-PGA, MPLA, QS21, 및 sM2HA2 의 화학적 및 분자적 구조.
도 1b 는 항-바이러스성 점막 및 전신성 면역을 위한 CA-PMQ 기반의 백신접종을 나타낸 것이다: γ-PGA 는 sM2HA2 백신의 점막부착성 전달 비히클로서 작용할 수 있음.
도 2a 내지 2e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A-PMQ 의 특성화 및 아주번트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1: OVA 단독 (20 μg), 2: OVA + γ-PGA/MPLA/QS21 (PMQ), 3: OVA + CT (1 μg) 로 백신화된 마우스 내에서 (A) 혈청 IgG, (B) 비강 세척 IgA 및 (C) 혈청 IgG 이소타입에 대한 항체-특이성의 유도 및 (D) IL-4 및 (E) IFN-γ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A-PMQ 가 재조합 sM2HA2 백신과 함께 전달될 때, sM2 및 HA2 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A-PMQ-아주번트된 sM2HA2 백신이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 대항하여 개선된 교차-보호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A-PMQ-아주번트된 sM2HA2 가,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에 의한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는 장기 지속되는 면역 반응 및 보호 효능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높은 표지 효율을 갖는 123I-표지된 OVA (OVA(123I)) 의 선별을 위하여 크기-배제 PD-10 탈염 컬럼을 사용하여 결정된, 123I 활성 (막대) 및 OVA 용출 양 (4-2 의 노란색 부분): 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A-PMQ 가 sM2 및 HA2 에 특이적인 IgG 아-강들(sub-classes)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여 sM2HA2 단백질의 적절한 투여량 및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예비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a shows the effect of various combinations of recombinant protein antigens (sM2HA2) and mucoadhesive polymer (gamma-PGA) -based combination aztamiv (CA-PMQ, gamma-PGA / MPLA / QS21) (A) The chemic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γ-PGA, MPLA, QS21, and sM2HA2.
Figure 1b shows a CA-PMQ-based vaccination for anti-viral mucosal and systemic immunity. [Gamma] -PGA may serve as a mucoadhesive delivery vehicle for the sM2HA2 vaccine.
Figures 2A-2E illustrate the characterization and the avant-bunt characteristic of the CA-PMQ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depicting the results of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in a mouse vaccinated with 1: OVA alone (20 μg), 2: OVA + γ-PGA / MPLA / QS21 (PMQ), 3: OVA + CT (D) IL-4 and (E) IFN-y cytokines in (A) serum IgG, (B) nasal wash IgA and (C) serum IgG isotype.
Figure 4 illustrates the enhancement of the immune response to sM2 and HA2 when CA-PMQ is delivered with the recombinant sM2HA2 vaccine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5 shows tha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MQ-succumbed sM2HA2 vaccine confer improved cross-protection against various influenza subtypes.
Figure 6 shows that CA-PMQ-succumbed sM2HA2 induces long-lasting immune responses and protective efficacy against lethal infections by various influenza subtypes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7, for the screening of 123 I- labeled OVA (OVA (123 I)) having a high labeling effici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ize-determined using a rule PD-10 desalting column, 123 I activity ( Bar) and OVA elution amount (yellow portion of 4-2).
Figure 8 shows that CA-PMQ induces IgG sub-classes specific for sM2 and HA2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experiment to determine the proper dose and efficacy of sM2HA2 protein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ombination thereof" includ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chine form means one or more combinations or combin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nstituents describ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chine form, And the lik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of "A and / or B" means "A or B, or A and B".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형질전환 숙주세포로 사용되는 미생물은 생체 적용시 독성이 없거나 약독화된 미생물이라면 그람음성균인 대장균, 살모넬라 타이피, 살모넬라 타이피미리움, 비브리오 콜레라,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 시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람얀성균인 바실러스,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커스, 스테필로코커스, 리스테리아 모노싸이토제네스, 스트랩토코커스 등을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식용이 가능한 미생물인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스트랩토코커스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을 포함 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바실러스 속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락토바실러스 료터리, 락코바실러스 불가리커스 및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스트랩토코커스 속은 스트랩토코커스 서모필러스; 비피도박테리움 속은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비피도박테리움 론검, 비피도박테리움 슈도론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속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icroorganism used as the transformed host cell can be any microorganism which is not toxic or attenuated when applied to a living organism, such as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 Salmonella typhimurium, Vibrio cholera, Mycobacterium bovis, And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Bacill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aphylococcus, Listeria monocytogenes, Streptococcus and the like which can be used as the Gram-Yan bacteria can be used. . The lactic acid bacteria may include Lactobacillus genus, Streptococcus genus, and Bifidobacterium genus. Typically, the genus Bacillus 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ermentum, Lactobacillus delbrueus Lactobacillus jones, Lactobacillus family,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Lactobacillus casei; Strap Tortoise Cocker Strap Tortoise Cocker Spaniel Moss; The genus of Bifidobacterium is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more preferably, Lactobacillus lactobacillus casein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DNA를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DNA 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파지 입자 또는 간단하게 잠재적 게놈 삽입물일 수 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 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플라스미드가 현재 벡터의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므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플라스미드" 및 "벡터"는 때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플라스미드 벡터를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플라스미드 벡터는 (a) 숙주세포당 수백 개의 플라스미드 벡터를 포함하도록 복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제 개시점, (b) 플라스미드 벡터로 형질전환된 숙주세포가 선발될 수 있도록 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c) 외래 DNA 절편이 삽입될 수 있는 제한효소 절단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적절한 체한효소 절단부위가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통상의 방법에 따른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댑터 도는 링커를 사용하면 벡터와 외래 DNA를 용이하게 라이게이션할 수 있다. 라이게이션 후에, 벡터는 적절한 숙주세포로 형질전환 되어야 한다. 형질전환은 Sambrook, et al., supra의 1.82 섹션에 기술된 칼슘 클로라이드 방법을 사용해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기천공법(Neumann, et al., EMBO J., 1:841, 1982) 또한 이러한 세포들의 형질전환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vector" means a DNA construct containing a DNA sequence operably linked to a suitable regulatory sequence capable of expressing the DNA in an appropriate host. The vector may be a plasmid, phage particle or simply a potential genome insert. Once transformed into the appropriate host, the vector may replicate and function independently of the host genome, or, in some cases, integrate into the genome itself. As the plasmid is the most commonly used form of the current vector, the term "plasmid" and "vector" are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smid vector. Typical plasmid vectors that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include (a) a cloning start point that allows replication to be efficiently made to include several hundred plasmid vectors per host cell, (b) a host cell transformed with the plasmid vector And (c) a restriction enzyme cleavage site into which the foreign DNA fragment can be inserted. Although there is no appropriate truncated enzyme cleavage site, the synthetic oligonucleotide adapter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can easily ligate the vector and foreign DNA using a linker. After ligation, the vector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appropriate host cell. Transformation can be readily accomplished using the calcium chloride method described in section 1.82 of Sambrook, et al., Supra. Alternatively, electroporation (Neumann, et al., EMBO J., 1: 841, 1982) can also be used to transform such cel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에 따른 항원의 세포표면 발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As a vector used for cell surface expression of an antig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ctor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한편, 숙주세포에서 형질감염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유전자가 선택된 발현 숙주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현 조절서열 및 해당 유전자는 세균 선택 마커 및 복제 개시점을 같이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재조합벡터 내에 포함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expression level of a transfected gene in a host cell, the gene must be operably linked to a transcriptional and detoxification regulatory sequence that functions in a selected expression host. Preferably, the expression control sequence and the gene are contained within a recombinant vector containing a bacterial selection marker and a replication origi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형질전환” 은 DNA를 숙주로 도입하여 DNA가 염색체 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완성에 의해 복제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 transformation " means introducing DNA into a host and allowing the DNA to replicate as an extrachromosomal factor or by chromosomal integr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백신"은 질병에 대한 예방의 목적으로 생유기물을 사용하여 면역 시스템을 자극시키는데 사용되는 약제를 의미한다. 면역 활성화는 유기체 내에서 항체 생성, T-림프구의 자극, 또는 다른 면역세포(예: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항원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에 대한 자세한 면역학의 개관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들은 쉽게 이해된다 (Barrett, J.T., Textbook of Immunology, 1983). 항원으로서의 목적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된 미생물 백신의 투여대상은 포유동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vaccine" means an agent used to stimulate the immune system using biological organisms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against disease. Immunization refers to a process for efficiently removing an antigen by stimulating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stimulation of T-lymphocytes, or other immune cells (such as macrophages) in an organism. An overview of the detailed immunology above is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arrett, J. T., Textbook of Immunology, 1983). The subject to be transfected with the transformed microbial vaccine expressing the target protein as an antigen may be a mammal, more preferably a huma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점막부착성”은 해당 물질이 상피세포의 점막층 당단백질의 히드록실기와 수소결합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점막에 부착되는 특성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mucoadhesiveness " may be intended to refer to the property that the substance is attached to the mucosa through interaction of the hydroxyl group of the protein per mucosal layer of the epithelial cell with hydrogen bond or the like, But may not be limit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과도한 실험적 부담 없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채로 여러 벡터, 발현 조절 서열 및 숙주 중에서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벡터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숙주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이는 벡터가 그 안에서 복제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벡터의 복제 수, 복제 수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및 당해 벡터에 의해 코딩되는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항생제 마커의 발현도 또한 고려되어야만 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appropriate choices among a variety of vectors, expression control sequences, and hosts without undue experiment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selecting a vector, the host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the vector must be replicated within it. The number of copies of the vector, the ability to control the number of copies, and the expression of other proteins encoded by the vector, such as antibiotic markers, must also be considered.

본원의 일 측면은,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 및 항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고분자,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toll-like receptor agonist), 및 사포닌의 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항원은 서열번호 1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sM2 항원 단백질과 A/EM/Korea/W149/06(H5N1) 바이러스의 HA2 항원단백질 내 아미노산 잔기 15-137 서열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mucoadhesive adhesive budent composition and an antigen, wherein the muco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 complex of an anionic polymer, a toll-like receptor agonist, and a saponin Wherein said antigen comprises influenza A virus comprising an sM2 antigen protei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residue 15-137 sequence in the HA2 antigen protein of A / EM / Korea / W149 / 06 (H5N1) There is provided a therapeutic vaccine composition.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은, 상기 인플루엔자 A 의 서브타입인 H5N1, H1N1, H5N2, H7N3 및 H9N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플루엔자 A 서브타입에 대항하여 교차-보호를 유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fluenza A therapeutic vaccine composition is cross-protected against an influenza A subty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btypes H5N1, H1N1, H5N2, H7N3 and H9N2 of the influenza A .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M2 단백질은 H5N1, H5N2, H1N1, H7N3 및 H9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M2 단백질 보존서열을 변형시켜 합성한 것으로서,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을 제거한 세포외 및 세포질 도메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콘센서스 서열(consensus sequence)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서열번호 1).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2 protein is synthesized by modifying the M2 protein conserved sequence of H5N1, H5N2, H1N1, H7N3, and H9N2 influenza viruses, and is a cone containing only the extracellular and cytoplasmic domain portions from which the transmembrane domain has been removed. It can be expressed as a census sequence (SEQ ID NO: 1).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HA2 단백질은 A/EM/Korea/W149/06(H5N1) 바이러스의 HA2 항원단백질 내 아미노산 잔기 15-137 서열을 갖는 단백질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HA2 protein is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residue 15-137 sequence in the HA2 antigen protein of A / EM / Korea / W149 / 06 (H5N1) viru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M2HA2 단백질은 상기 서열번호 1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sM2 항원 단백질과 상기 A/EM/Korea/W149/06(H5N1) 바이러스의 HA2 항원단백질 내 아미노산 잔기 15-137 서열을 갖는 단백질을 결합한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2HA2 protein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sM2 antigen protei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the amino acid residue 15-137 of the HA2 antigen protein of the A / EM / Korea / W149 / 06 (H5N1) Lt; / RTI >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카르복실기 및/또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생체친화성 고분자로서, 폴리감마글루탐산, 히알루론산,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다당류,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the anionic polymer is a biocompatible poly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and / or a hydroxy group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amma glutamic acid, hyaluronic acid, cellulose, polyacrylic acid, 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 RTI > and the lik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난용성 면역활성화 물질이 계면활성제 없이 수용액에 용이하면서 재현성있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동결건조 안정제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이 안정하게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백신의 항원과 정전기적 인력 또는 친유성 결합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nionic polymer enables the poorly soluble immunostimulatory substance to be easily and reproducib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without a surfactant. The anionic polymer serves as a lyophilization stabilizer so that the mucoadhesive adhesive lotion composition can be stably prepared in powder form,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nionic polymer can interact with the antigen of the vaccine through electrostatic attraction or lipophilic linkag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감마글루탐산(γ-PGA)은 미생물종 (바실리)에 의하여 천연합성되며, 다양한 적용들 (예를 들어서,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에 사용되는 고-음이온성 고분자이며,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비-세포독성을 나타낸다. 상기 γ-PGA는 재조합 단백질 항원을 위한 점막부착성 전달 비히클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3-O-데스아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MPLA) 및 QS21 과 같은 소수성 면역자극성 화합물의 결합을 위한 간편하면서도 강력한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olygamma glutamic acid (gamma -PGA) is naturally synthesized by microorganism species (Vasili) and is a high-anion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e.g.,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And exhibits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non-cytotoxicity. The γ-PGA may serve as a mucosal adhesion delivery vehicle for recombinant protein antigens and may also bind a hydrophobic immunostimulatory compound such as 3-O-desacyl-4'-monophosphoryl lipid A (MPLA) and QS21 It can provide a simple but powerful strategy.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MPLA(Monophosphoryl lipid A),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플라겔렌(flagellin), 시피지(CpG), 폴리아이시[poly(I:C)],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ll-like receptor agonis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PLA (monophosphoryl lipid A), imiquimod, recipe mod, flagellin, CpG, poly (I : C), and combinations thereof.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MPLA는 살모넬라 미네소타(Salmonella minnesota)의 Re595 균주 유래의 지질다당류 (LPS)의 무독화된 유도체이며, 톨-유사 수용체 (TLR) 패밀리의 멤버인 TLR4을 통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항원 표시 세포 (APCs)로서 작용하는 MPLA-자극 수지상 세포는, 증가된 수준의 공-자극 분자를 발현하고, B- 및 T-세포의 활성화 및 분화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그러나, MPLA는 수용액 내에서 분산되기 어려운 난용성 화합물이다. 이에, 에멀젼으로의 제형화,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 또는 도움 지질(helper lipids)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으로의 제형화, 및 리포솜 내 함유를 포함하는, 용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ne embodiment herein, the MPLA is a detoxified derivative of a lipopolysaccharide (LPS) derived from the Re595 strain of Salmonella minnesota , which acts through TLR4, a member of the toll-like receptor (TLR) family . MPLA-stimulated dendritic cells acting as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express increased levels of co-stimulatory molecules and secrete cytokines that are important for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 and T-cells. However, MPLA is a poorly soluble compound that is difficult to disperse in aqueous solution. Accordingly,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increase solubility, including formulation into emulsions, formulation into aqueous dispersions containing small amounts of surfactant or helper lipids, and inclusion in liposome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은 QS21, Quil A, QS7, QS17, β-에스킨, 디지토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aponi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QS21, Quil A, QS7, QS17, beta-eskin, digitonin, and combinations thereof.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분말 형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ucoadhesive ejbant composition may be in powder form.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상기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toll-like receptor agonist), 및 상기 사포닌은 약 1 : 약 0.001 내지 약 1 : 약 0,01 내지 약 10 의 중량비, 예를 들어, 약 1 : 약 0.01 : 약 0.01 또는 약 1 : 약 1 : 약 1의 중량비로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herein, the anionic polymer, the toll-like receptor agonist, and the saponin have a weight ratio of about 1: about 0.001 to about 1: about 0.01 to about 10 , For example, about 1: about 0.01: about 0.01, or about 1: about 1: about 1.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수용액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herein, the mucoadhesive ejbant composition may be used by dissolving it in an aqueous solution,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상기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 및 상기 사포닌을 용해시키는 용매는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 에탄올(ethanol),아세톤(aceto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dissolving the anionic polymer, the tol-like receptor agonist and the sapon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ylsulfoxide (DMSO), ethanol, aceton, dimethylformamide (DMF ), Chloroform (chloroform), and combinations thereof.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 및 항원은 약 1 : 약 0.1 내지 약 10 의 중량비로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ucosal adhesion enhancer composition and the antigen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about 1: about 0.1 to about 10,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irus is type A influenza viru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경구용 또는 식용으로 섭취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비강 투여용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accine is preferably capable of ingestion for oral use or food, and is preferably for nas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인체 및 동물 예방용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닭, 칠면조, 거위, 오리, 꿩, 메추라기, 비둘기, 타조 등과 같은 야생조류, 가금류, 돼지, 개 및 고양이 등의 예방용인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accine is preferably for human and animal prophylaxis, more preferably wild birds such as chickens, turkeys, geese, ducks, pheasants, quail, doves, ostriches, poultry, Cat,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음이온성 고분자로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이용하여, MPLA/QS21/항원을 조합하여 백신 조성물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γ-PGA 는 소수성 MPLA, QS21 및 단백질 항원의 결합에 대한 간편하고 강력한 전략을 제공한다. sM2HA2 단백질 및,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을 제외하고 세포외 및 세포질 도메인의 잔기에 걸친 컨센서스 서열 sM2의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sM2는 pRSET A 벡터 내에서 A/EM/Korea/W149/06 (H5N1) 유래 융합 펩타이드 HA2 (잔기 15-137) 와 컨쥬게이트되어 있다. 원핵의 발현 시스템으로부터 정제된 sM2HA2 단백질은 SDS-PAGE 에 의해 검출된다.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 염색 (왼쪽 패널) 은 상기 단백질이 25 kDa 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나아가, 단백질은 항-M2 (중간 패널) 및 항-HA2 항체 (오른쪽 패널) 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레인 1: sM2HA2 유전자가 없는 pRSET A 벡터를 함유하는 E. coli 의 세포 용해물 전체; 레인 2: 정제된 sM2HA2 단백질.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vaccine composition by combining MPLA / QS21 / antigen using polygamma glutamic acid as an anionic polym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γ-PGA provides a simple and robust strategy for binding of hydrophobic MPLA, QS21 and protein antigens. sM2HA2 protein and the consensus sequence sM2 over the extracellular and cytoplasmic domain residues except for the transmembrane domain, wherein sM2 is the fusion peptide HA2 derived from A / EM / Korea / W149 / 06 (H5N1) in the pRSET A vector (Residues 15-137). The purified sM2HA2 protein from the prokaryotic expression system is detected by SDS-PAGE. Kumasi Brilliant Blue staining (left panel) shows that the protein has a molecular weight of 25 kDa. Furthermore, the protein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using anti-M2 (middle panel) and anti-HA2 antibody (right panel): lane 1: whole cell lysate of E. coli containing pRSET A vector without sM2HA2 gene ; Lane 2: Purified sM2HA2 protein.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윤리 선언Ethics Declaration

동물을 사용한 모든 실험은 실험실 연구 동물의 관리 및 사용에 대한 한국 NIH 지침에 따라 실시하였다. 모든 마우스 실험과정은 동물 관리 및 사용은 바이오리더스 코포레이션(BioLeaders Corporation, 대한민국, 대전)의 동물 실험 위원회, 프로토콜 번호 BSL-ABSL-13-010에 의해 승인되었다. 바이오리더스의 IACUC는 대한민국의 농림축산검역본부(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QIA))에 등록된 곳이다. 동물들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였다.All experiments with animals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NI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All mouse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approved by the animal experiment committee, protocol number BSL-ABSL-13-010 of BioLeaders Corporation, Daejeon, Korea, for animal care and use. BioReaders' IACUC is registered in the Republic of Korea's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QIA). We did our best to minimize the pain of the animals.

<γ-PGA/MPLA/QS21 복합체의 제조>< Production of? -PGA / MPLA / QS21 complex>

γ-PGA (Mw, 5 kDa)을 바이오리더스 코포레이션(대전, 대한민국)으로부터 준비하였다. MPL(Avanti Polar Lipids Inc), QS21(Desert King Chile Inc.) 및 OVA(Boryung Pharmaceutical Co.). MPLA (1 mg, 0.57 mmol) 및 QS21 (1 mg, 0.50 mmol) 를 DMSO 및 20% THF의 혼합 용매 각각 용해시켰다. 상기 두 용매를 γ-PGA (13.3 mg)와 혼합하였고, 실온에서 5 분 동안 강하게 교반하면서 10 mL 의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γ-PGA (Mw, 5 kDa) was prepared from BioReaders Corporation (Daejeon, Korea). MPL (Avanti Polar Lipids Inc), QS21 (Desert King Chile Inc.) and OVA (Boryung Pharmaceutical Co.). MPLA (1 mg, 0.57 mmol) and QS21 (1 mg, 0.50 mmol) were dissolved in a mixed solvent of DMSO and 20% THF, respectively. The two solvents were mixed with γ-PGA (13.3 mg) and dissolved in 10 mL of distilled water with vigorous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상기 반응 이후에, 상기 용액을 25℃에서 24 시간 동안 흔들면서 배양하였다. 상기 용액을 동결건조하였고, 10 mL 증류수에 재-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3 일 동안 탈이온수에서 셀룰로오스 막 튜브 (MWCO 12-14 kDa)로 투석하였다. After this reaction, the solution was incubated with shaking for 24 hours at 25 &lt; 0 &gt; C. The solution was lyophilized and re-dissolved in 10 mL of distilled water. The solution was dialyzed against cellulose membrane tubes (MWCO 12-14 kDa) in deionized water for 3 days.

이후, 상기 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최종 산물 (γ-PGA/MPLA/QS21 복합체)을 파우더로 수득하였다.Thereafter, the solution was lyophilized to obtain the final product (? -PGA / MPLA / QS21 complex) as a powder.

<상기 γ-PGA/MPLA/QS21 복합체의 특성화><Characterization of γ-PGA / MPLA / QS21 complex>

FTIR-ATR (Cary 630 FTIR Spectrometer, Agilent Technologies) 분석을 위하여, 상기 γ-PGA/MPLA 복합체(γ-PGA:MPLA (1:5 (w/w))를 DMSO-d6 : D2O (8:2(v/v))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켰다. 그리고, 상기 γ-PGA/QS21 복합체(γ-PGA:QS-21 (1:5 (w/w))를 또한 DMSO-d6 : D2O (8:2(v/v))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켰다. The γ-PGA / MPLA complex (γ-PGA: MPLA (1: 5 (w / w)) was dissolved in DMSO-d 6 : D 2 O (8: PGA: QS-21 (1: 5 (w / w)) was also added to a solution of DMSO-d 6 : D 2 O (8: 2 (v / v)).

상기 γ-PGA 복합체 샘플의 분자량 및 몰 반경(molar radius)은 굴절률(RI) 및 MALLS(multi-angle laser light-scattering) 검출기를 구비한 SEC(size-exclus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스태틱 레이저 광-산란 검출기(static laser light-scattering detecors)로 SEC 크로마토그램의 각 보유 시간을 측정하였다. 산란 강도는 각 보유 시간에서의 농도에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별개의 농도-감응성의 RI 검출기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점도 검출기가 첨부되었을 때 0.8 mL/min의 유속으로 용리되었다. 세 개의 연속되어 연결된 HPLC-SEC 컬럼(TSKgel GMPWXL, TOSHO)이 사용하였다. The molecular weight and molar radius of the γ-PGA conjugate sample were measured b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SEC) equipped with a refractive index (RI) and a 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 (MALLS) detector. Each retention time of the SEC chromatogram was measured with a static laser light-scattering detector. The scattering intensity is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at each retention time, as measured by a separate concentration-sensitive RI detector. The system was eluted at a flow rate of 0.8 mL / min when a viscosity detector was attached. Three consecutively connected HPLC-SEC columns (TSKgel GMPWXL, TOSHO) were used.

이러한 특성화는 컬럼 오븐 내에서 40℃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γ-PGA 및 γ-PGA 복합체 (γ-PGA/MPLA/QS21 및 γ-PGA/MPLA/QS21+ OVA)를 SEC 분석에서 이동상인 0.1 M NaNO3에 용해시켰으며, 여과하였고(기공 크기 = 220 nm; Millex-GV), 그리고 주입하였다(200㎕). 광 산란을 DAWN Heleos II MALLS 검출기로 측정하였다. RI 검출기로는 Viscotek VE3580 RI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PBS에 재부유시킨 상기 γ-PGA/MPLA/QS21+OVA의 여기 및 형광 방출 스펙트럼은 형광 분광광도계 (FS-2, Scinco,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γ-PGA의 부동 활성(antifreeze activities)은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계산된 값을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This characterization was carried out at 40 &lt; 0 &gt; C in a column oven. The γ-PGA and γ-PGA complexes (γ-PGA / MPLA / QS21 and γ-PGA / MPLA / QS21 + OVA) were dissolved in 0.1 M NaNO 3 as a mobile phase in SEC analysis, 220 nm; Millex-GV), and injected (200 μl). Light scattering was measured with a DAWN Heleos II MALLS detector. A Viscotek VE3580 RI detector was used as the RI detector. Excitation and fluorescence emission spectra of the γ-PGA / MPLA / QS21 + OVA resuspended in PBS were obtained using a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FS-2, Scinco, Korea). The anti-freeze activities of γ-PGA were measured using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the calculated valu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은 γ-PGA/MPLA/QS21 내에서 γ-PGA의 부동 활성을 DSC로 측정한 후에 계산한 것이다.Table 1 shows the calculated activity of γ-PGA in γ-PGA / MPLA / QS21 after DSC measurement.

<PGA/MPLA/QS21 의 저장 안정성 및 아주번트 효과><Storage stability of PGA / MPLA / QS21 and a very bunt effect>

상기 γ-PGA/MPLA/QS21 (CA-PMQ) 복합체의 저장 안정성 및 아주번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혈청 내에서의 상기 OVA 항원-특이적 IgG 반응을 4 달의 보관-수명(shelf-life) 저장 (22-29℃) 이후에 분석하였다. 상기 항체의 역가는 각 마우스 (n=5)의 혈청 샘플에 대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In order to test the storage stability and the avant-bulb effect of the γ-PGA / MPLA / QS21 (CA-PMQ) complex, the OVA antigen-specific IgG response in the serum was stored for 4 months in a shelf- After storage (22-29 &lt; 0 &gt; C). The titers of the antibodies were determined using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n serum samples from each mouse (n = 5).

우선, 96-웰 면역흡착 플레이트(눈크, Denmark)를 100 μL의 각 항원(1 μg mL-1)으로 4℃에서 밤새 감작시켰다. 상기 플레이트를 차단시켜(PBST 중의 2 % BSA, 37℃에서 1 시간) 비특이 결합을 방지한 후, 차단 완충용액 내에 희석된, 100 μL의 2 배 계열 희석된 시료를 상기 플레이트에 첨가(37℃에서 1 시간)한 후, 1:4000으로 희석된 HRP-결합 염소 항-마우스 IgG 항체(Southern Biotech)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100 μL의 퍼옥시다아제 기질 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e, TMB; BD Pharmingen)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2M의 H2SO4를 첨가하여 종료시켰다. 흡광도는 450 nm의 파장에서 ELISA 판독기(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로 기록하였다. 종점 역가는 0.2의 광학 밀도(O.D.) 컷오프 수치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First, a 96-well immunoadsorption plate (Snow, Denmark) was sensitized with 100 μL of each antigen (1 μg mL -1 ) overnight at 4 ° C. After blocking the plate (2% BSA in PBST, 1 hour at 37 ° C)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100 μl of a 2-fold serial diluted sample diluted in blocking buffer was added to the plate (37 ° C For 1 hour), HRP-conjugated goat anti-mouse IgG antibody (Southern Biotech) diluted 1: 4000 was added. After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100 μL of peroxidase substrate tetramethylbenzidine (TMB; BD Pharmingen) was added to each well.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the addition of 2M H 2 SO 4 . Absorbance was recorded with an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at a wavelength of 450 nm. The endpoint reversal was determined using an optical density (OD) cutoff value of 0.2.

<< in vivoin vivo SPECT/CT 이미징> SPECT / CT Imaging>

요오드 시험관 방법을 이용하여 OVA를 123I로 방사선표지하였다. 간략히, Na123I을 요오드 시험관 (Pierce, Rockford, IL, 미국)에 첨가하였고, 5 분 동안 서서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1 mL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용해시킨 OVA 0.4 mg를 첨가하였고, Na123I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하게 하였다. 상기 방사선표지된 OVA (123I) 를 PD-10 컬럼 (Pierce)을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상기 산물을 원심 분리기(컷-오프: 10 kDa, Millipore, Billerica, MA, 미국)를 이용하여 응축시켰다 (도 7).OVA was radiolabeled with 123 I using an iodine tube method. Briefly, Na 123 I was added to an iodine tube (Pierce, Rockford, Ill., USA) and stirred gently for 5 minutes. To this solution was added 0.4 mg of OVA dissolved in 1 mL of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and allowed to react with Na 123 I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he radiolabeled OVA ( 123 I) was purified using a PD-10 column (Pierce) and the product was condensed using a centrifuge (cut-off: 10 kDa, Millipore, Billerica, Mass., USA) 7).

그 후, 상기 OVA (123I) 를 PBS (대조군 용)와 혼합하거나 CA-PMQ 를 PBS에 용해시킨 후에, 사용에 앞서 30 분 동안 반응하게 하였다. OVA (123I) : CA-PMQ의 질량 비는 1:5 이었다. 대략 40 ㎕ 의 샘플을 BALB/c 마우스 (생후 6 주, 대략 20 g)에 비강내 투여하였다. 동물 SPECT 및 CT 를 대한민국 기초과학 오창 연구원 (청원, 대한민국)의 인비온 PET/CT/SPECT (Siemens, Knoxville, TN, 미국)에서 수행하였다. 투여 6 시간 및 12 시간 후에, 상기 마우스를 스캔하였다The OVA ( 123 I) was then mixed with PBS (control) or the CA-PMQ was dissolved in PBS and allowed to react for 30 minutes prior to use. The mass ratio of OVA ( 123 I): CA-PMQ was 1: 5. Approximately 40 [mu] l of sample was intranasally administered to BALB / c mice (6 weeks old, approximately 20 g). Animal SPECT and CT were performed in Inbion PET / CT / SPECT (Siemens, Knoxville, TN, USA) of Korea Basic Science Research Center (Cheongwon, Korea). After 6 hours and 12 hours of administration, the mice were scanned

<재조합 sM2HA2 융합 단백질의 제조>&Lt; Preparation of recombinant sM2HA2 fusion protein >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을 제외한 세포외 및 세포질 잔기에 걸친 컨센서스 sM2 를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H5N1, H1N1 및 H9N2 서브타입 서열의 분석으로부터 수득하였다. Consensus sM2 across the extracellular and cytoplasmic residues except the transmembrane domain wa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H5N1, H1N1 and H9N2 subtype sequences in the database.

기존의 연구들은, 상기 세포외 도메인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서브타입 중에서도 특히 (아미노산이) 잘-보존되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 보호를 할 수 있는 단일클론 항체의 유도를 위한 에피토프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xtracellular domain is recognized as an epitope for the in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hat are well-conserved among influenza virus subtypes (amino acids) and can protect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 .

상기 보존된 에피토프 (아미노산) 의 역할을 고려하면서,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다른 서브타입과의 최적의 상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H5N1 의 14 (E-G) 및 18 (R-K) 위치의 잔기를 변형하였다. 상기 컨센서스 주형을, 말단에 제한효소 사이트 (SecI 및 Eco RI) 를 포함하는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으로 증폭하였다. 이후, 상기 유전자를 TA 클로닝 방법 (Promega, 미국) 을 사용하여 pGEM-T 간편 벡터(Easy vector) 내로 클로닝하였다. 그 후, 상기 유전자 단편을 절단하였고, 플라스미드 pRSET A-sM2 를 형성하기 위하여 대응 사이트를 이용하여 pRSET A 벡터 (인비트로젠, 미국) 의 다중-클로닝 사이트 내로 프래임-내(in-frame) 삽입하였다. In order to ensure optimal homology with the other subtypes used in the examples herein, the residues at positions 14 (EG) and 18 (RK) of H5N1 were modified to account for the conserved epitope (amino acid) Respectively. The consensus template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a specific primer containing restriction enzyme sites (SecI and Eco RI) at the ends. The gene was then cloned into pGEM-T Easy vector using the TA cloning method (Promega, USA). The gene fragment was then cut and inserted in-frame into the multi-cloning site of the pRSET A vector (Invitrogen, USA) using the corresponding site to form the plasmid pRSET A-sM2 .

유사하게, A/EM/Korea/W149/06 (H5N1) 로부터의 HA2 유전자 (잔기 15-137) 를 5' 및 3' 말단 사이트 각각에 Eco RI 및 Hind III 사이트를 삽이함으로써 변형하였고, 타겟 단백질의 원핵의 발현에 대한 플라스미드 pRSET-A-sM2HA2 를 형성하였다. 상기 플라스미드 구조체를 제한효소의 절단으로 확인하였고, 시퀀싱으로 입증하였다 (솔젠트, 대전, 대한민국). Similarly, the HA2 gene (residue 15-137) from A / EM / Korea / W149 / 06 (H5N1) was modified by inserting Eco RI and Hind III sites at the 5 'and 3' end sites, respectively, Gt; pRSET-A-sM2HA2 &lt; / RTI &gt; for the expression of the prokaryotic nuclei of pRSET-A-sM2HA2. The plasmid construct was confirmed by restriction enzyme cleavage and proved by sequencing (Solgent, Daejeon, Korea).

E. coli BL21 (DE3) 세포를 열 충격 방법을 사용하여 pRSET-A-sM2HA2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시켰다. 이후, 상기 콜로니를 100 μg/mL 의 앰피실린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LPC)에 따르면 96.9% 순도; 칼바이오켐, 미국) 및 35 mg/mL 의 클로람페니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LPC)에 따르면 97% 순도; 칼바이오켐) 이 공급된 5 mL 의 LB 브로스에 부착(seeding)하였고, 37 ℃ 에서 교반하면서 재성장시켰다. E. coli BL21 (DE3) cells were transformed with the pRSET-A-sM2HA2 plasmid using the heat shock method. Thereafter, the colonies were treated with 100 μg / mL of ampicillin (96.9% purity according to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LPC); Calbiochem, USA) and 35 mg / mL chloramphenicol (according to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LPC) 97 % Purity; Calbiochem) was seeded in 5 mL of LB broth and re-grown with stirring at 37 &lt; 0 &gt; C.

그 후, 세포를 대용량 LB 배지에서 37 ℃ 에서 2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밤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으로 0.6 의 광학 밀도 (OD600) 에 도달하였을 때, 2 mM 의 이소프로필-β-D-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 (99% 순도; 바이오 베이직, 온타리오, 캐나다) 을 첨가한 후에 30 ℃ 에서 추가로 12 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타겟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배양물은 4 ℃ 에서 20 분 동안 6,000 ×g 에서 원심분리하여 수득하였다. 이후, 세포 펠릿을 20 mM 트리스-HCl(Tris-HCl), 0.5 M NaCl, 10% 글리세롤 및 프로테아제 억제인자 (1 mM 페닐메틸술포닐 플루오라이드, 시그마-알드리치, 서울, 대한민국) 를 포함하는 20 Ml 의 냉 완충액에서 재-부유하였다. 박테리아 용해를 25% 진폭으로 2-초 펄스 및 1 초 정지의 간격으로 3 분 동안의 초음파 처리로 수행하였고, 이후 4 ℃에서 원심분리하였다 (12,000 ×g, 20 분). The cells were then incubated overnight in a large volume LB medium at 37 DEG C with stirring at 200 rpm. When the incubation reached an optical density (OD 600 ) of 0.6, 2 mM isopropyl -? - D-thiogalactopyranoside (99% purity; Bio-Basic, Ontario, Canada) For an additional 12 hours to induce the expression of the target protein. The cultures were obtained by centrifugation at 6,000 x g for 20 minutes at 4 ° C. The cell pellet was then incubated with 20 Ml of a solution containing 20 mM Tris-HCl, 0.5 M NaCl, 10% glycerol and protease inhibitor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Sigma-Aldrich, &Lt; / RTI &gt; in cold buffer. Bacterial lysis was performed by ultrasonication at 25% amplitude for 3 minutes at intervals of 2-second pulse and 1-second stop, followed by centrifugation (12,000 x g, 20 minutes) at 4 ° C.

그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고, 잔여 펠릿은 봉입체 (IBs) 로서 잔류하였다. 상기 봉입체를 변성 완충액 (20 mM 트리스-HCl, 0.5 M NaCl, 10% 글리세롤 및 6 M 우레아) 에서 재-부유하였고, 1 분 동안 초음파처리하였으며 바로 전과 같이 원심분리하였다. 부유물 상층액을 제거하였고, 잔류 펠릿을 변성 완충액 II (20 mM 트리스-HCl, 0.5 M NaCl, 8 M 우레아, pH 8.0) 에서 재-부유하였고 4℃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펠릿을 초음파 처리하였고 바로 전과 같이 원심분리하였다. The supernatant was then removed and the remaining pellets remained as inclusion bodies (IBs). The inclusion bodies were re-suspended in denaturing buffer (20 mM Tris-HCl, 0.5 M NaCl, 10% glycerol and 6 M urea), sonicated for 1 minute and centrifuged immediately before. The supernatant suspension was removed and the residual pellet was re-suspended in denaturing buffer II (20 mM Tris-HCl, 0.5 M NaCl, 8 M urea, pH 8.0) and stirred overnight at 4 ° C. The pellet was sonicated and immediately centrifuged as before.

그 후, 상층액을 상기 봉입체로부터 레스큐된 단백질(rescued protein)로 분리하였고, His-태그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퀴아젠, 미국) 로 정제하였다. 이후, 4 ℃ 및 PBS 에서 상기 정제된 단백질을 투과 셀룰로오스 막 (분자 컷-오프: 12-14 kDa, 스펙트럼 연구소, 이스트 다마끼, 오클랜드, 미국) 을 사용하여 투석하였다. The supernatant was then separated from the inclusion bodies into rescued proteins and purified by His-tag affinity chromatography (Qiagen, USA). The purified protein was then dialyzed at 4 ° C and in PBS using a permeable cellulose membrane (molecular cut-off: 12-14 kDa, Spectrum Research, East Damascus, Auckland, USA).

상기 타겟 단백질을 SDS-PAGE 로 확인하였고, 브래드포드 분석 (바이오-래드, 허큘리스, CA, 미국) 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면역 검출을 위하여, 마우스 항-히스티딘 항체 (1:500, 인비트로젠, 칼스테드, CA, 미국) 및 토끼 항-M2 및 항-HA2 항체 (1:1000)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상기 토끼 항-M2 및 항-HA2 항체는 KLH-컨쥬게이트된 M2 및 HA2 펩타이드를 2-주 간격으로 두 번 토끼에 근육 내 접종함으로써 수득하였다. 상기 정제된 단백질은 백신 항원으로 사용되었다.The target protein was identified by SDS-PAGE and its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using Bradford assay (Bio-Rad, Hercules, Calif., USA). Western blot analysis using a mouse anti-histidine antibody (1: 500, Invitrogen, Carlsbad, CA, USA) and rabbit anti-M2 and anti-HA2 antibody (1: 1000) was performed for immunodetection. The rabbit anti-M2 and anti-HA2 antibodi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obtained by intramuscular inoculation of KLH-conjugated M2 and HA2 peptides in rabbits twice weekly. The purified protein was used as a vaccine antigen.

<동물 그룹핑 및 백신접종><Animal Grouping and Vaccination>

SPF (specific pathogen free) BALB/c (생후 5 주) 마우스 (n=380) 를 삼타코 (서울, 대한민국) 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마우스를 SPF 환경에서 보관하였고 IACUC(대전, 대한민국)의 승인을 얻었다. 상기 마우스를 각각 5 군을 포함하는 5 실험 세트로 분리하였다. 5 세트 중에서, 3 세트는 각 군 당 14 개체의 마우스를, 2 세트는 각 군 당 17 개체의 마우스를 가졌다. 각 세트 중 3 개 군의 마우스를 20 μL 의 sM2HA2 (2 μg) 단독 또는, CA-PMQ 또는 CT 아주번트와 함께 1-주 간격으로 3 회 비강내 백신화하였다. 대조군으로서, 각 세트 중 2 개 군을 PBS 또는 CA-PMQ 단독으로 유사하게 처리하였다. Specific pathogen free (SPF) BALB / c mice (n = 380) were purchased from Samtako (Seoul, Korea). The mice were stored in SPF environment and obtained the approval of IACUC (Daejeon, Korea). The mice were separated into five experimental sets, each containing five groups. Of the 5 sets, 3 sets had 14 mice per group and 2 sets had 17 mice per group. Three groups of mice in each set were intranasally vaccinated with 20 [mu] l of sM2HA2 (2 [mu] g) alone or with CA-PMQ or CT azantes at 1-week intervals. As a control group, two of each set were similarly treated with PBS or CA-PMQ alone.

모든 마우스를 접종 전에 에테르로 마취시켰고, 본 발명은 생물안정도수준(BSL)-2 실험실 시설에서 수행되었다. -1 (실험 전), 7 (첫 번째), 21(두 번째), 35(세 번째), 및 180 (장기 지속) 일 차에, 혈액 샘플을 안구-후면(retro-orbital) 망상조직에서 수득하였고, 혈청을 원심분리로 분리하였으며, 추후의 분석을 위하여 -20 ℃ 에서 보관하였다. 최후 백신접종의 1 주 및 24 주 후에, 각 군의 3 마리의 마우스를 임의로 희생시켜 폐 및 창자로부터 샘플을 수득하였으며, 점막 IgA 연구를 위하여 70 ℃ 에서 보관하였다. CTL 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35 일 차에 한 세트 중 임의로 3 마리의 마우스에서 비장을 무균으로 수득하였다.All mice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prior to inocul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performed in a biosafety level (BSL) -2 laboratory facility. Blood samples were obtained in retro-orbital reticulation at day -1 (pre-experiment), 7 (first), 21 (second), 35 (third), and 180 The serum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and stored at -20 ° C for later analysis. After 1 and 24 weeks of the last vaccination, 3 mice from each group were randomly sacrificed to obtain samples from the lungs and intestines and stored at 70 [deg.] C for mucosal IgA study. To analyze the CTL response, spleens were aseptically obtained from arbitrary 3 mice in one of the sets on day 35.

<sM2 및 HA2에 특이적인 항체>< Specific antibodies to sM2 and HA2 >

이소타입 (IgG1 및 IgG2a), 및 점막 IgA (폐 및 창자) 를 포함하는 혈청 IgG 값은, 전술된 바와 같이 코팅 항원으로서의 sM2 및 HA2 단백질을 사용한 ELISA 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기 코팅 항원은 pRSET A-sM2 및 pRSET A-HA2 플라스미드의 E.coli 발현에 의해 수득하였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His-태그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퀴아젠, 미국) 로 정제하였다. 96-웰 ELISA 플레이트 (눈크, 로스킬라이드, 덴마트) 를 4 ℃ 및 코팅 완충액 (pH 9.6) 에서 밤새 300 ng/웰 의 sM2 또는 HA2 단백질로 코팅하였다. 0.05% 트윈 20 (PBST) 을 함유하는 PBS 로 세척한 후에, 상기 플레이트를 300 μL 의 10% 의 스킴 밀크로 블록하였다.Serum IgG values, including isotype (IgG1 and IgG2a), and mucosal IgA (lung and bowel) were determined using an ELISA using sM2 and HA2 proteins as coating antigens as described above. The coating antigens used in the examples herein were obtained by E. coli expression of pRSET A-sM2 and pRSET A-HA2 plasmids and purified by His-tag-affinity chromatography (quiagen, USA) as described above . 96-well ELISA plates (Snow, Rochelle, Dermat) were coated with 300 ng / well sM2 or HA2 protein overnight at 4 占 폚 and in coating buffer (pH 9.6). After washing with PBS containing 0.05% Tween 20 (PBST), the plate was blocked with 300 μL of 10% skim milk.

IgG, IgG1, IgG2a 의 검출을 위하여 2% 스킴 밀크를 함유하는 PBS 내에서 1:200 으로 희석된 마우스 혈청, 또는 국부 IgA (폐 및 창자)의 검출을 위한 균질화된 조직으로부터의 희석되지 않은 상층액을 지정된 웰에 넣어주고 37 ℃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Unlabelled supernatant from homogenized tissue for detection of 1: 200 diluted mouse serum in PBS containing 2% skim milk for detection of IgG, IgG1, IgG2a, or local IgA (lung and intestine) Were added to designated wells and cultured at 37 DEG C for 2 hours.

그 후, 1:3,000 으로 희석된 호스래디쉬 퍼옥시데이즈-컨쥬게이트된 염소 항-마우스 IgG, IgG1, IgG2a 또는 IgA (시그마-알드리치, 세인트 루이스, 미국)를 첨가하였다. 37 ℃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한 이후, 테트라메틸벤지딘 (TMB, 밀리포어, 베드포드, MA) 을 함유하는 100 μL 의 기질 용액을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반응을 10 분 동안 진행시켰다. 2N의 H2SO4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에, 450 nm 에서의 광학 밀도를 ELISA 자동 판독기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reafter,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mouse IgG, IgG1, IgG2a or IgA (Sigma-Aldrich, St. Louis, USA) diluted 1: 3,000 was added. After 2 hours of incubation at 37 ° C, 100 μL of substrate solution containing tetramethylbenzidine (TMB, Millipore, Bedford, Mass.) Was added to the plate and the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for 1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by adding 2N H 2 SO 4 , the optical density at 450 nm was measured using an ELISA automatic reader (Molecular Devices).

<sM2 및 HA2 에 특이적인 T-세포 ELISPOT><T-cell ELISPOT specific for sM2 and HA2>

지라세포에서의 인터페론 (IFN)-γ 및 인터류킨 (IL)-4 ELISPOT 분석을 전술된 바와 같이, 마우스 IFN- γ 및 IL-4 ELISPOT 키트 (BD 바이오사이언스, 미국) 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Interferon (IFN) -γ and interleukin (IL) -4 ELISPOT assays in spleen cells were performed using mouse IFN-? And IL-4 ELISPOT kits (BD Biosciences, USA) as described above.

간략하게는, BD ELISPOT 96-웰 플레이트를 4 ℃ 에서 밤새 PBS 내에서 항-마우스 IFN-γ 및 IL-4 포획 항체 (5 μg/mL) 로 코팅하였다. 상기 항체를 제거한 후에, 플레이트를 10% 소태아 혈청 (인비트로젠, 칼스테드, CA, 미국) 를 함유한 완전한 RPMI 1640 배지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블록하였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Briefly, BD ELISPOT 96-well plates were coated with anti-mouse IFN- [gamma] and IL-4 capture antibodies (5 [mu] g / mL) in PBS overnight at 4 [deg.] C. After removing the antibody, the plate was block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complete RPMI 1640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Carlsbad, Calif., USA)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백신화된 마우스로부터의 지라세포를 무균으로 분리하였고, sM2 또는 HA2 단백질 (1 μg/웰), 배지 단독 (음성 대조군), 아주번트 단독 또는 5 μg/mL 파이토헤마글루티닌 (양성 대조군, 인비트로젠, 칼스테드, CA, 미국) 을 포함하는 배지에 5×105 세포/웰로 첨가하였다. 5% CO2 하의 37 ℃ 에서 24 시간 배양 후에, 플레이트를 비오틴이 부착된 항-마우스 IFN-γ 및 IL-4 항체, 스트렙타비딘-호스래디쉬 퍼옥시데이즈, 및 기질 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Zygotic cells from vaccinated mice were aseptically isolated and incubated with either sM2 or HA2 protein (1 ug / well), medium alone (negative control), avant alone or 5 ug / mL phytohemagglutinin (positive control, bit halogen, Ted Carlsbad, CA, USA was added) 5 × 10 5 cells / well in medium containing.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at 37 ° C under 5% CO 2 , the plates were treated sequentially with biotin-conjugated anti-mouse IFN-γ and IL-4 antibody,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and substrate solution .

최종적으로, 스팟을 이뮤노스캔 엔트리(ImmunoScan Entry) 분석기 (셀룰러 테크놀로지, 셰이커 헤이츠, 미국) 를 이용하여 카운팅하였다.Finally, spots were counted using an ImmunoScan Entry analyzer (Cellular Technologies, Shaker Heights, USA).

<바이러스 및 공격 접종 시험><Virus and Attack Inoculation Test>

CA-PMQ 로 아주번트화된 sM2HA2 백신의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대항하는 보호 효능을 조사 및 비교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병원균 A/EM/Korea/W149/06(H5N1), A/Puerto Rico/8/34(H1N1), A/Aquatic bird/Korea/W81/2005 (H5N2), A/Aquatic bird/Korea/W44/2005(H7N3) 또는 A/Chicken/Korea/116/2004(H9N2)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으로 감염시켰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든 바이러스는 최영기 박사님(의과 대학 및 의학 연구소, 충북국립대학교, 청주, 대한민국)으로부터 제공받았다. In order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rotective efficacy of various influenza viruses against the highly fluxed sM2HA2 vaccine with CA-PMQ, mice were treated with the pathogens A / EM / Korea / W149 / 06 (H5N1), A / Puerto Rico / 8 / Infected with the A / Aquatic bird / Korea / W81 / 2005 (H5N2), A / Aquatic bird / Korea / W44 / 2005 (H7N3) or A / Chicken / Korea / 116/2004 (H9N2) influenza subtypes. All the viruses used in the examples of this application were received from Dr. Choi, Young-Gi (Medical School and Medical Research Center, National University of Chungbuk, Cheongju, Korea).

마우스를 마취시켰고 최후 백신접종의 1 주 후에, 20 μL 의 PBS 내 함유된 MLD50 의 10 배의 마우스-적합화된 바이러스로 비강내 감염시켰다. 마우스를 13 일 동안 관찰하였고, 체중 감소 및 생존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간 포인트를 고정시켰다. 폐에서의 바이러스 역가를 체크하기 위하여 각 군에서 6 마리의 마우스를 3 및 5 dpi 에서 희생시켰고, 각 군에서 5 마리의 마우스는 생존 시험에 사용하기 위해서 남겨 놓았다. 생존율은 사망 또는 동물을 안락사시키는 시점인 25% 체중 감소의 컷-오프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하였고, 최종 관찰 후에 생존한 모든 마우스는 5 분 동안 CO2 를 흡입시켜 인도적으로 안락사시켰다.The mice were anesthetized and one week after the last vaccination, they were intranasally infected with a 10-fold mouse-adapted virus of MLD 50 contained in 20 μL of PBS. Mice were observed for 13 days and time points were fixed to measure weight loss and survival. Six mice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t 3 and 5 dpi to check for viral titer in the lungs and 5 mice in each group were left for use in the survival test. Survival was determined based on cut-off of 25% weight loss, which is the time of death or euthanasia of the animal. All efforts to minimize pain were made and all mice surviving after the final observation were humanely euthanized by inhalation of CO 2 for 5 minutes.

<폐의 바이러스 역가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Virus Titer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the Lung>

50% 조직 배양 감염 투여량 (TCID50) 분석을 수행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33) 폐의 바이러스 역가를 결정하였다. 간략하게는, 폐 조직을 항균제 및 항진균제 (깁코, 그랜드 아일랜드, NY, 미국) 를 포함하는 PBS 내에서 균질화하였고 세포성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2,000×g 로 원심분리하였다. 모든 샘플은 즉시 순차적으로 10-배 희석하였고, 37 ℃ 및 습한 대기하에서 1 시간 동안 컨플루언트(confluent) MDCK 세포와 배양하였다. L-1-토실아마이드-2-페닐에틸 클로로메틸 케톤 (TPCK) 트립신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락포드, 미국) 을 포함하는 중층 배지를 상기 감염된 세포에 첨가하였고, 7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A 50% tissue culture infectious dose (TCID 50 )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viral titer of the lungs (33) as described above. Briefly, lung tissue was homogenized in PBS containing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gents (Gibco, Grand Island, NY, USA) and centrifuged at 12,000 x g to remove cellular floats. All samples were immediately serially diluted 10-fold and incubated with confluent MDCK cells for 1 hour at 37 ° C and a humid atmosphere. An intermediate layer medium containing L-1-tosylamide-2-phenylethyl chloromethyl ketone (TPCK) trypsin (Thermofisher Scientific, Rockford, USA) was added to the infected cells and incubated for 72 hours.

바이러스 역가는 세포 변성 효과 (cytopathic effect, CPE) 를 관찰할 후에 헤마글루티닌 (HA) 테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하였고, 리드 및 멘치(Reed and Muench) 방법으로 계산하였으며, Log10 TCID50/폐 조직으로 나타내었다. 조직병리학 측면에서, 폐 조직은 5 dpi 에서 에테르 혼수-마취시킨 마우스로부터 수득하였다. 상기 조직을 즉시 10% 중성 완충된 포르말린으로 고정시켰고, 파라핀 왁스에 포매하였으며, 박편하였고, 슬라이드에 올려놓았으며, 에오신 염료로 염색하였다.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는 전술된 바와 같이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The virus titr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hemagglutinin (HA) test after observing the cytopathic effect (CPE), calculated by the Reed and Muench method, and the Log 10 TCID 50 / lung tissue Respectively. In terms of histopathology, lung tissue was obtained from an ether coma-anesthetized mouse at 5 dpi. The tissue was immediately fix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embedded in paraffin wax, flaked, placed on a slide, and stained with eosin dye. Histopathologic changes were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s described above.

<통계적인 분석><Statistical Analysis>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 (S.D.) 로 나타내었고, 적어도 3 회의 독립적인 실험을 대표한다. 군 간의 차이는 분산 분석 (ANOVA)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평균들은 스튜던트 티-테스트로 비교하였다. <0.05 및 <0.01 의 P-값을 각각 중요한 수치 및 매우 중요한 수치로 간주하였다. 생존의 비교는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6.0 을 사용하여 로그-랭크 테스트로 수행하였다.Data are presented as means ± SD (SD) and represent at least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he averages were compared by Student T-test. Values of <0.05 and <0.01 were considered significant and very significant, respectively. Comparisons of survival were performed in a log-rank test using GraphPad Prism 6.0.

<sM2HA2 재조합 단백질 및 γ-PGA/MPLA/QS21 아주번트의 제조>Preparation of < sM2HA2 Recombinant Protein and [gamma] -PGA / MPLA / QS21 &

도 1 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센서스 매트릭스 단백질-2 (sM2) 및 (HA2)의 스탈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 sM2HA2 및 점막부착성 조합 아주번트 γ-PGA/MPLA/QS21 (CA-PMQ) 의 조합으로 구축될 수 있는 전반적인 백신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recombinant fusion protein sM2HA2 and the mucoadhesive combination succulent gamma-PGA / MPLA / QS21 (CA-PMQ (SEQ ID NO: 2)) containing the Stach domain of consensus matrix proteins- &Lt; / RTI &gt; of the vaccine system.

도 1a 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수성 MPLA, QS21, 및, 음이온성 γ-PGA 를 사용하는 재조합 단백질의 동시 결합에 대한 간편하고 강력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백신 시스템은 γ-PGA 및 MPLA/QS21 사이의 수소-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유도된 복합체의 형성 및 γ-PGA 및 단백질 항원 사이의 이온성 및 소수성 상호작용-유도된 복합체의 형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a, 위쪽 및 중간 패널).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보호의 범위를 개선하기 위하여, 우수하게-보존된 sM2 및 HA2 융합 구조체를 수득하였다 (도 1a, 아래쪽 패널). 상기 재조합 단백질 (sM2HA2) 은 E. coli 의 봉입체로부터 다시 접었고(refolded), His-태그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으며 투과 셀룰로오스 막을 이용하여 투석하였다. 상기 정제된 단백질을 SDS-PAGE 및, 토끼 항-M2 및 항-HA2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쿠마시 염색 및 면역블로팅을 통하여, 단백질은 예측한 바와 같이 25 kDa 의 분자량에서 관찰되었다 (도 1a, 아래쪽 패널). Figure 1A shows a simple and robust strategy for simultaneous binding of recombinant proteins using hydrophobic MPLA, QS21, and anionic gamma-PGA in this example. The vaccine system is prepared by the formation of hydrogen-binding and hydrophobic interaction-induced complexes between γ-PGA and MPLA / QS21 and the formation of ionic and hydrophobic interaction-induced complexes between γ-PGA and protein antigens (Fig. 1A, upper and middle panels). To improve the range of protection against influenza A virus, well-conserved sM2 and HA2 fusion constructs were obtained (Fig. 1A, bottom panel). The recombinant protein (sM2HA2) was refolded from the inclusion bodies of E. coli, purified by His-tagged affinity chromatography, and dialyzed using a permeable cellulose membrane. The purified protein was confirm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using rabbit anti-M2 and anti-HA2 antibody. Through coomassie staining and immunoblotting, the protein was observed at a molecular weight of 25 kDa as predicted (Fig. 1A, bottom panel).

상기 γ-PGA 내의 카르복시기의 존재는 점막층과의 강력한 상호작용 모이어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γ-PGA 및, 점액 당단백질 내의 양성자-받개 간의 수소 결합의 결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CA-PMQ 는 sM2HA2 의 점막부착성 전달 비히클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강력한 점막 및 전신성인 항-바이러스 면역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b). γ-PGA 를 MPLA 및 QS21 과 혼합하였을 때, 비수용성 MPLA 및 양친성 QS21 은 수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pH 5.5-7.4 에서 이온화된 카르복시기로부터의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인하여, γ-PGA 의 코일링되지 않은 팽창된 상태는 MPLA 및 QS21 과의 수소 결합 및 2 차 상호작용을 더 용이하게 한다.The presence of a carboxyl group in the? -PGA can provide a strong interaction moiety with the mucosal layer. These interactions are thought to be the result of hydrogen bonding between γ-PGA and proton-acceptor in the mucous glycoprotein. Thus, CA-PMQ can act as a transmucosal delivery vehicle for sM2HA2 and can induce strong mucosal and systemic anti-viral immunity (FIG. 1B). When γ-PGA is mixed with MPLA and QS21, water-insoluble MPLA and amphipathic QS21 can be easi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Due to the electrostatic repulsion from ionized carboxy groups at pH 5.5-7.4, the uncoiled expanded state of? -PGA facilitates hydrogen bonding and secondary interaction with MPLA and QS21.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FTIR-ATR 스펙트럼 결과는 도 2a 에 나타내었으며, 구체적으로는 γ-PGA, MPLA, QS21, γ-PGA/MPLA, γ-PGA/QS21 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내의 원 표시는 γ-PGA (2,509.11 cm-1) 의 감소된 카르복시산 양성자화(Protonation) 및 증가된 수소 결합 (3,435.31 cm- 1)의 화학적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The results of the FTIR-ATR spectroscopy in the present example are shown in FIG. 2A. Specifically, the FTIR spectra of γ-PGA, MPLA, QS21, γ-PGA / MPLA and γ-PGA / QS21 are shown. Encircled in the figure is the protonated carboxylic acid (Protonation) and increased hydrogen bonding of reducing γ-PGA (2,509.11 cm -1) - it shows the following chemical shifts (3,435.31 cm 1).

도 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γ-PGA 의 MPLA 및 QS21 과의 수소-결합 상호작용을 뒷받침한다. 상기 γ-PGA 의 MPLA 및 QS21 과의 상호작용은 특성분석되었고, 주목할만한 두 부분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서, 2,509.11 cm-1 에서의 카르복시산 피크, 3,416.31 cm-1 에서의 수소 및 카르복시산염의 조합). 3416.31 cm- 1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수소-결합은 γ-PGA 의 MPLA 및 QS21 과의 분자-간 수소 결합으로 증가하였다. As shown in Figure 2a, it supports hydrogen-binding interactions with MPLA and QS21 of gamma-PGA. The interaction with MPLA and QS21 in the γ-PGA was analyzed characteristics, the two parts were noteworthy (for example, hydrogen, and carboxylic acid salts of carboxylic acids in combination peak, 3,416.31 cm -1 at 2,509.11 cm -1). 3416.31 cm-1, the hydrogen representing the point-bonding molecules with MPLA and QS21 in the γ-PGA-increased to cross hydrogen bond.

상기 카르복시산 피크 (2,509.11 cm-1 에서의) 는 또한 γ-PGA 의 카르복시산 기들이 MPLA 및 QS21 과의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됨에 따라서 복합체 제형화 이후에 감소하였다. 상기 γ-PGA 의 소수성 주 사슬은 또한 MPLA 및 QS21 의 소수성 알킬 사슬과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The above carboxylic acid peak (at 2,509.11 cm -1 ) also decreased after complex formulation as the carboxylic acid groups of? -PGA were used to form hydrogen bonds with MPLA and QS21. The hydrophobic main chain of? -PGA can also interact by hydrophobic interaction with the hydrophobic alkyl chains of MPLA and QS21.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OVA (오발부민), 단백질 항원 모델, 또한 γ-PGA 에 결합될 수 있다. γ-PGA 매트릭스 내 이온성 및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한 OVA 의 효율적인 분산은 형광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도 2b 에, 본 실시예에 따른 γ-PGA/OVA (FITC) 복합체의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OVA (FITC) 를 γ-PGA 와 혼합하였을 때, OVA (FITC) 의 여기 및 방출 피크 모두가 증가하였다. 나아가, OVA (FITC) 의 방출 피크는 청색-편이를 나타낸 반면에, OVA (FITC) 의 여기 밴드는 적색-편이되었으며, 이는 γ-PGA 가 분산제로서 작용하고, OVA (FITC) 와 소수성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OVA (FITC) 의 뭉침을 방해하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To investigate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s, OVA (ovalbumin), a protein antigen model, can also be coupled to γ-PGA. The efficient dispersion of OVA through ionic and hydrophobic interactions in the γ-PGA matrix was studied using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2B shows the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um of the γ-PGA / OVA (FITC) complex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B, when OVA (FITC) is mixed with γ-PGA, OVA FITC) were both increased. Furthermore, the emission peak of OVA (FITC) showed a blue-shift whereas the excitation band of OVA (FITC) became red-shifted, indicating that γ-PGA acts as a dispersant and has a hydrophobic interaction with OVA (FITC) (FITC), which is the main cause of OVA.

한편, 도 2c 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γ-PGA (검은색 사각형), γ-PGA/MPLA/QS21 복합체 (파란색 삼각형), 및 γ-PGA/MPLA/QS21-OVA 복합체 (붉은색 원)의 몰 질량에 대한 몰 반경의 GPC-MALLS 분석 (

Figure pat00002
)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2c 에 나타낸 GPC-MALLS 데이터와 같이, γ-PGA 를 MPLA, QS21 및 OVA 와 혼합한 후에, 기울기 (몰 반경을 몰 질량으로 나눈 것) 가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γ-PGA, MPLA, QS21, 및 OVA 의 복합체가 형성되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MPLA 및 QS21 과의 결합 후에, CA-PMQ 복합체는, 백신 아주번트의 서로 다른 형태의 추후의 제형화 및 투여 전에 다양한 바이러스성 항원의 조합을 위한 중간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파우더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입자-기반 또는 하이드로겔-타입 백신 아주번트). 동결건조된 CA-PMQ 복합체는 저장 안정성 측면에서 냉장(냉동) 보관을 요하는 액체 제형인 전통적인 아주번트에 비하여 이점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FIG. 2C shows the moles of γ-PGA (black square), γ-PGA / MPLA / QS21 complex (blue triangle) and γ-PGA / MPLA / QS21-OVA complex GPC-MALLS analysis of moles radius to mass (
Figure pat00002
) Results. As shown in the GPC-MALLS data shown in FIG. 2C, it was shown that the slope (the molar radius divided by the molar mass) decreased after mixing the γ-PGA with MPLA, QS21 and OVA, , &Lt; / RTI &gt; QS21, and OVA were formed. After conjugation with MPLA and QS21, the CA-PMQ complex can be stored in powder form that can be used as an intermediate for the combination of various viral antigens prior to further formulation and administration of different forms of vaccine embryo (Particle-based or hydrogel-type vaccine). The lyophilized CA-PMQ composites have advantages over traditional aztans, which are liquid formulations that require refrigeration (frozen) storage in terms of storage stability.

나아가, CA-PMQ 복합체의 동결건조 공정에서, γ-PGA 는 MPLA 및 QS21 의 동해방지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동결건조에 의한 샘플 제조 중에, 동결 및 해동 공정은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빈번하게 손상시킨다. 바실리에서 생성된 γ-PGA 는 높은 산성의 아미노산 조성으로 인하여 높은 부동 활성을 갖는 것으로 기대된다. γ-PGA 의 부동 활성을 DSC 로 측정하였고 계산하여 표 1 에 나타내었다. γ-PGA 의 부동 활성은 상당하였다 (표 1). Furthermore, in the lyophilization process of the CA-PMQ complex,? -PGA can act as an antidandruff agent for MPLA and QS21. During sample preparation by lyophilization, the freezing and thawing process frequently damages the biologically active material. Γ-PGA produced in Vasily is expected to have high immobilization activity due to its high acidic amino acid composition. The immobilized activity of γ-PGA was measured by DSC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he immobilized activity of γ-PGA was significant (Table 1).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결건조된 CA-PMQ 복합체의 면역자극 활성을 제조-후 4 달 째에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도 2d 에 나타내었다: OVA 단독 (1), CA-PMQ 로 아주번트화된 직후의 OVA (2) 및 제형화한 지 4 달 후 (3) 에 시험한 OVA-특이적 항체 역가. 상기 도 2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체 역가 수치는 거의 동일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γ-PGA-기반 물질이 간편하고 강력한 제조 전략에 의하여 소수성 면역자극성 물질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the lyophilized CA-PMQ complexes in this example was checked at 4 months after manufactur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d: Immediately after OVA alone (1), very burnt to CA-PMQ Of OVA-specific antibody titers tested in OVA (2) and 4 months after formulation (3). As shown in FIG. 2D, the antibody titer values were almost the same.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the? -PGA-based materials can be used for binding hydrophobic immunostimulatory materials by a simple and robust manufacturing strategy.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OVA (항원 모델로서의) 및 CA-PMQ 로 구성된 조합 백신 시스템의 점막부착성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SPECT/CT 를 이용하여 결정된 비강 내 OVA 항원의 체류 시간을 도 2e 에 나타내었다: CA-PMQ 의 존재 및 부재 하에 [123I]-표지된 OVA (OVA (123I)) 의 비강 투여 후 6 시간 및 12 시간 째의 SPECT 이미지들(붉은색 점 원: 비강, 노란색 화살표: 갑상선). γ-PGA 의 점막부착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OVA 를 CA-PMQ 에 첨가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비강내 투여하였다. 투여된 투여량의 인 비보(in vivo ) 컨디션을 추적하기 위하여, OVA 를 요오드 (123I) 로 표지하였고, 마이크로 SPECT/CT (single positr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이미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4.5 mL 의 분획물에서 대략적으로 500 μL 를 얻은 후에 이를 응축시켰다. 상기 반응을 두 개의 회분조에서 동시에 수행하였고, 총 1 mL 의 OVA(123I) 가 생성되었다. The present example also examined mucoadhesive properties of a combined vaccine system consisting of OVA (as an antigen model) and CA-PMQ,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intranasal OVA antigen determined using SPECT / CT is shown in Figure 2e : SPECT images at 6 hours and 12 hours after nasal administration of [ 123 I] -labeled OVA (OVA ( 123 I))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A-PMQ (red dot circle: nasal cavity, yellow arrow: ). To investigate the mucoadhesive properties of γ-PGA, OVA was added to CA-PMQ and the mixture was intranasally administered. In order to keep track of in vivo (in vivo) of the administered dose condition, was labeled OVA as iodine (123 I), was carried out micro SPECT / CT (single positr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 computed tomography) imaging. Specifically, approximately 500 μL of each 4.5 mL fraction was obtained and then condensed. The reac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wo batches and a total of 1 mL of OVA ( 123 I) was produced.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SPECT/CT 전신 이미징을 수행하는 것으로, CA-PMQ 와 함께 투여된 OVA (123I) 의 강력한 SPECT 신호를 관찰하였다. 상기 신호는 12 시간 이후에도 강력하게 남아 있었다. 대조적으로, OVA (123I) 가 단독으로 투여되었을 때의 신호는 점막 섬모의 청소 메커니즘에 의하여 6 시간 내에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As shown in FIG. 2e, by performing micro SPECT / CT system imaging, we observed a strong SPECT signal of OVA ( 123 I) administered with CA-PMQ. The signal remained strong after 12 hours. In contrast, the signal when OVA ( 123 I) was administered alone sharply decreased within 6 hours by the mucociliary clearance mechanism.

이러한 실험적 결과는 γ-PGA 가 점막층 내로 동시-전달된 OVA 항원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비강 상피 세포에 대한 통제된-방출 저장고로서 작용하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γ-PGA 가 물리적 사슬 얽힘을 통하여 뮤신 분자와 상호작용하고, 올리고당 사슬의 당 잔기와의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상기 γ-PGA 는 비강 분비물 (pH 6.0-6.5) 의 pH 에서 코일링되지 않은 팽창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온화된 관능기로부터 발생한 정전기적 반발력은 γ-PGA 가 점액의 당단백질과 기계적인 사슬 얽힘 및 2 차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Thes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γ-PGA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of OVA antigen co-transferred into the mucosal layer and acts as a controlled-release reservoir for nasal epithelial cells. Through the present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gamma -PGA can interact with the mucin molecule through physical chain entanglement and form a hydrogen bond with the sugar residue of the oligosaccharide chain. Since the γ-PGA is in an uncoiled state at the pH of the nasal secretion (pH 6.0-6.5), the electrostatic repulsive force generated from the ionized functional groups is such that γ-PGA is involved in the mucus glycoprotein and mechanical chain entanglement and 2 Thereby facilitating vehicle interactions.

CA-PMQ 의 면역 반응을 유도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백질 항원 모델로서의 OVA 단백질을 CA-PMQ 와 함께 비강내 경로를 통하여 투여하였으며, 항체 역가는 ELISA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CA-PMQ/OVA 군에 의해서 유도된 OVA-특이적 혈청 IgG 의 수준은 OVA 단독 군에 의해서 유도된 수준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도 3A). 유사하게, 높은 수준의 OVA-특이적 IgA 역가가 접종 사이트에서 검출되었다 (도 3B). 추가적으로, OVA-특이적 IgG1 및 IgG2a 수준을 또한 검출하였으며, IgG1 및 IgG2a 모두는 CA-PMQ 또는 CT 와 함께 OVA 가 접종된 군에서, OVA 단독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증가하였다 (도 3C). To determine the inducing effect of CA-PMQ on the immune response, OVA protein as a protein antigen model was administered via the intranasal route with CA-PMQ, and antibody titers were determined using an ELISA assay. The level of OVA-specific serum IgG induced by the CA-PMQ / OV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duced by the OVA alone group (FIG. 3A). Similarly, high levels of OVA-specific IgA titers were detected at the inoculation site (FIG. 3B). In addition, OVA-specific IgG1 and IgG2a levels were also detected, and both IgG1 and IgG2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VA-inoculated group with CA-PMQ or CT compared to OVA alone (FIG. 3C).

세포성 면역 반응은 백신화된 마우스로부터의 지라세포 내에서의 (D) IL-4 및 (E) IFN-γ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통해 분석하였다. OVA 펩타이드 (SIINFEKL, 5 μg mL-1) 로 백신화된 마우스(n=5)의 지라세포를 자극하였고, ELISPOT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OVA 만으로 면역화된 마우스 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CA-PMQ로 백신화된 마우스는 OVA 단백질로 자극된 비장에서 더 많은 IL-4 및 IFN-γ-분비 세포의 수를 나타내었다 (도 3D 및 3E). 상기 결과는 상기 CA-PMQ 시스템이, 강력한 점막 면역뿐만 아니라, 채액성 및 세포성 면역 반응 모두를 강력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아주번트로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the generation of (D) IL-4 and (E) IFN-y cytokines in splenocytes from vaccinated mice. Spleen cells of vaccinated mice (n = 5) with OVA peptide (SIINFEKL, 5 μg mL -1 ) were stimulated and determined using ELISPOT analysis. Compared with OVA alone immunized mice or controls, mice vaccinated with CA-PMQ showed more IL-4 and IFN-y-secretory cells in the spleen stimulated with OVA protein (Figures 3D and 3E)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PMQ system can function as an effective multinucleate capable of strongly inducing strong mucosal immunity as well as lean body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모든 데이터는 세 번 얻었으며, 평균 값 ± 표준편차 (SD) 로 나타내었다. 별표들은 OVA/PMQ, OVA/CT 와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P<0.01; *P<0.05).All data were obtained three times and expressed as mean ± SD. Asterisk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VA / PMQ, OVA / CT and controls (** P <0.01; * P <0.05).

- - sM2HA2sM2HA2 를 CA- CA- PMQPMQ 와 함께 점막  With mucosa 백신접종하는Vaccinated 것은  Thing sM2sM2 - 및 HA2-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하였다:- &lt; / RTI &gt; and HA2-specific immune response:

CA-PMQ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군들을 2 μg 의 sM2HA2 단독 또는 CA-PMQ의 조합으로 비강내 면역화하였다. 상기 CA-PMQ의 성분은 실제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된 것이며, 이의 안정성 프로필(safety profile)은 이미 측정되었다. CA-PMQ 의 마우스 내 투여 이후, 체중 감소 및 호흡기 고통이 관찰되어지지 않았다. 잘 알려진 점막 아주번트 콜레라 독소 (CT) 와 CA-PMQ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마우스 군들을 CT 와 sM2HA2를 함께 사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면역화하였다. To determine the ability of CA-PMQ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groups of mice were intranasally immunized with 2 [mu] g of sM2HA2 alone or a combination of CA-PMQ. The components of the CA-PMQ are actually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and their safety profile has already been measured. Following intra-mouse administration of CA-PMQ, weight loss and respiratory distress were not observed. To compare the effects of well-known mucosal very cholera toxin (CT) and CA-PMQ, mouse groups were immunized in a similar manner using CT and sM2HA2 together.

BALB/c 마우스는 0, 2 및 4 주 차에 sM2HA2 단독, CA-PMQ 또는 CT 아주번트와 함께의 sM2HA2, CA-PMQ 단독, 또는 PBS 로 면역화되었다. 혈청 샘플은 -1 (전), 7 (첫 번째), 21 (두 번째) 및 35 (세 번째) 일 차에 채취하였다. 혈청 IgG, 폐 및 창자 IgA 는 ELISA 로 검출하였고 450nm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M2- 또는 HA2-특이적 전신성 및 국소적 항체의 측정을 위하여, ELISA 플레이트를 정제된 sM2 또는 HA2 단백질 (3 μg/mL) 로 코팅하였다. (A) sM2 에 특이적인 혈청 IgG 항체 (B) 폐 (왼쪽 패널) 및 창자 (오른쪽 패널) 내의 sM2 에 특이적인 점막 IgA. (C) HA2 에 특이적인 혈청 IgG 항체 및 (D) 폐 (왼쪽 패널) 및 창자 (오른쪽 패널) 내의 HA2 에 특이적인 점막 IgA. 지라세포는 마지막 면역화의 10 일 후에 수득하였다. 세포들을 sM2 또는 HA2 단백질로 인 비트로(in vitro) 재-자극하였고, 사이토카인-형성 세포 지점을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5 X 105 지라세포 당 IFN-γ 및 IL-4 지점-형성 세포를 결정하였다.BALB / c mice were immunized with sM2HA2 alone, sM2HA2, CA-PMQ alone, or PBS with CA-PMQ or CT ejbant at 0, 2 and 4 week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at -1 (pre), 7 (first), 21 (second) and 35 (third) days. Serum IgG, lung and intestinal IgA were detected by ELISA and absorbance at 450 nm was measured. For the measurement of sM2- or HA2-specific systemic and local antibodies, ELISA plates were coated with purified sM2 or HA2 protein (3 [mu] g / mL). (A) Serum IgG antibodies specific to sM2 (B) Specific mucosal IgA in the lungs (left panel) and intima (right panel). (C) serum IgG antibodies specific for HA2 and (D) HA2-specific mucosal IgA in the lungs (left panel) and intestines (right panel). Spleen cells were obtained 10 days after the last immunization. Cells were re-stimulated in vitro with sM2 or HA2 protein and cytokine-forming cell points were determined by analysis. IFN-y and IL-4 locus-forming cells were determined per 5 x 10 5 splenocytes.

sM2 (도 4A) 및 HA2 (도 4C) 에 특이적인 혈청 IgG 반응은, CA-PMQ 아주번트와 함께한 sM2HA2 군에서는 sM2HA2 단독 군보다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도되었다. PBS 및 CA-PMQ 단독으로 백신접종된 대조군은, CA-PMQ 및 CT 없는 sM2HA2 군에서 보여진 것 보다 높은 수준의 sM2- 또는 HA2-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하지 못하였고, 이는 상기 증가된 반응이 CA-PMQ 또는 CT 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유사하게, sM2 및 HA2 에 특이적인 높은 IgA 역가가 접종 및 비접종 사이트 모두에서 검출되었다.  Serum IgG responses specific for sM2 (Fig. 4A) and HA2 (Fig. 4C) were induced to a much higher level in the sM2HA2 group with CA-PMQ aztunate than in the sM2HA2 alone group. Controls vaccinated with PBS and CA-PMQ alone failed to induce higher levels of sM2- or HA2-specific immune responses than those seen in the CA-PMQ and sM2HA2 without CT groups, -PMQ or CT. &Lt; / RTI &gt; Similarly, high IgA titers specific for sM2 and HA2 were detected in both inoculated and non-inoculated sites.

도 4B 및 D (왼쪽 패널)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CA-PMQ 또는 CT 아주번트와 함께 sM2HA2 를 사용하여 면역화된 마우스는, sM2HA2 단독 또는 상기 대조군을 사용하여 면역화된 마우스 보다, 매우 높은 수준의 폐 점막 IgA 를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도, sM2HA2/CA-PMQ 또는 sM2HA2/CT 를 이용한 백신접종은 창자에서도 높은 수준의 sM2- 및 HA2-특이적 IgA 를 유도하였다 (도 4B 및 4D, 오른쪽 패널). As shown in Figures 4B and D (left panel), mice immunized with sM2HA2 with CA-PMQ or CT azantes were significantly more immunocompetent than mice immunized with sM2HA2 alone or with the control, IgA. Interestingly, vaccination with sM2HA2 / CA-PMQ or sM2HA2 / CT also induced high levels of sM2- and HA2-specific IgA in the gut (Figs. 4B and 4D, right panel).

추가적으로, sM2- 및 HA2-특이적인 IgG1 및 IgG2a 수준을 또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BALB/c 마우스는 0, 2 및 4 주 차에 sM2HA2 단독, CA-PMQ 또는 CT 아주번트 함께의 sM2HA2, CA-PMQ 단독 또는 PBS 로 비강내 면역화되었다. 혈청 샘플은 -1 (실험 전), 7 (첫 번째), 21 (두 번째) 및 35 (세 번째) 일 차에 채취하였다. sM2- 또는 HA2-특이적인 IgG1 및 IgG2a 항체의 측정을 위하여, ELISA 플레이트를 정제된 sM2 또는 HA2 단백질 (3 μg/mL) 로 코팅하였다. 항체의 흡광도는 간접(indirect) ELISA 를 이용하여 450 nm 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In addition, sM2- and HA2-specific IgG1 and IgG2a levels were also measured. Specifically, BALB / c mice were intranasally immunized with sM2HA2 alone, sM2HA2, CA-PMQ alone, or PBS with CA-PMQ or CT eubtane at 0, 2 and 4 week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at -1 (pre-experiment), 7 (first), 21 (second) and 35 (third) days. For the measurement of sM2- or HA2-specific IgG1 and IgG2a antibodies, ELISA plates were coated with purified sM2 or HA2 protein (3 μg / mL). Absorbance of the antibody was measured by absorbance at 450 nm using an indirect ELISA.

도 8A 는 sM2 에 특이적인 IgG1 (왼쪽 패널) 및 IgG2a (오른쪽 패널) 항체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HA2 에 특이적인 IgG1 (왼쪽 패널) 및 IgG2a (오른쪽 패널) 항체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8A shows the results of IgG1 (left panel) and IgG2a (right panel) antibodies specific for sM2, and Figure 8B shows the results of IgG1 (left panel) and IgG2a (right panel) antibodies specific for HA2.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역화 증강 이후에 CA-PMQ 또는 CT 와 함께 sM2HA2 가 접종된 군에서, sM2HA2 단독 및 상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IgG1 및 IgG2a 모두 매우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도 8A 및 8B). IgG1 은 IgG2a 보다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As shown in Fig. 8, both IgG1 and IgG2a increased to a very high level when compared to sM2HA2 alone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group in which sM2HA2 was inoculated with CA-PMQ or CT after immunization enhancement (Figs. 8A and 8B ). IgG1 was more prominent than IgG2a.

종합하였을 때, 이러한 결과들은 sM2HA2/CA-PMQ 를 이용하여 비강내 경로를 통하여 백신접종하였을 경우, sM2HA2 단독 또는 CA-PMQ 보다 sM2- 및 HA2-특이적 IgG 및 IgA 반응을 더 효과적으로 유도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는 강력한 점막 아주번트 CT 와 비슷하거나 어느 정도 개선된 것이다. 추가적으로, sM2HA2/CA-PMQ 가 마우스 내에서 상당한 수준의 IgG1 및 IgG2a 를 유도하고, Th1 및 Th2 세포로 하여 각각 IgG2a 및 IgG1 항체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새로이 도입된 백신 접근법이 채액성 및 세포 매개 면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ccination with the sM2HA2 / CA-PMQ vaccine resulted in more effective induction of sM2- and HA2-specific IgG and IgA responses than either sM2HA2 alone or CA-PMQ , Which is similar to or somewhat improved by powerful mucosal avant-bleated CT. Additionally, since the sM2HA2 / CA-PMQ induces significant levels of IgG1 and IgG2a in the mouse and increases the production of IgG2a and IgG1 antibodies, respectively, into Th1 and Th2 cells, the newly introduced vaccine approach Suggesting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cell lysing and cell-mediated immunity.

바 표시는 군 (n=5) 의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는 3 개의 독립적인 실험들을 대표하는 것이다. 별표는 sM2HA2/CA-PMQ, sM2HA2/CT 군 및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0.01; *P<0.05).Bar indications represent the ± standard deviation of the group (n = 5). The data represent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The asterisk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2HA2 / CA-PMQ, sM2HA2 / CT and control groups (** P <0.01; * P <0.05).

- CA-- CA- PMQPMQ  The sM2HA2sM2HA2 백신에 의해 유도된  Vaccine-induced sM2sM2 - 및 HA2-특이적 T-세포 반응을 증진시켰다: - &lt; / RTI &gt; and HA2-specific T-cell response:

T-세포 반응은 효과적인 면역 반응의 조절에 있어서 중요하며, 광범위한 교차-보호 면역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보호 면역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라세포 내 IFN-γ 및 IL-4-분비 세포의 유도를 최종 부스팅의 1 주 후에 ELISPOT 으로 검출하였다. IFN-γ 및 IL-4 를 생성하는 지라세포를 (도 4E) sM2 및 (도 4F) HA2 단백질로 자극하였다. CA-PMQ 로 백신화된 마우스는, sM2HA2 단독으로 면역화된 마우스 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sM2 및 HA2 단백질로 자극된 비장 내에서 매우 높은 수의 IFN-γ-분비 세포 개체수를 나타내었다 (도 4E 및 4F, 왼쪽 패널). T-cell responses are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an effective immune response and are known to contribute to a wide range of cross-protective immunity. To investigate this protective immune mechanism, the induction of intracellular IFN-y and IL-4-secreting cells was detected by ELISPOT one week after the final boosting. The spleen cells producing IFN-y and IL-4 were stimulated with HA2 protein (Fig. 4E) and sM2 (Fig. 4F). Mice vaccinated with CA-PMQ showed a very high number of IFN-y-secreting cell populations in the spleen stimulated with sM2 and HA2 proteins as compared to the mice immunized with sM2HA2 alone or the control (Fig. 4E and Fig. 4E) 4F, left panel).

또한, sM2HA2 가 CA-PMQ 와 함께 접종된 마우스의 비장 내에서는, sM2HA2 단독으로 백신화된 마우스 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매우 증가된 수의 IL-4-분비 세포가 검출되었다 (도 4E 및 4F, 오른쪽 패널).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오로지 단독 배경 수준의 사이토카인-분비 세포가 검출된 것에 반하여, sM2HA2 재조합 단백질은 또한 어떠한 아주번트 없이도, sM2 및 HA2 단백질로 자극된 후에 비장 내에서, 검출될 수 있는 수준의 IFN-γ 및 IL-4-분비 세포 모두를 유도할 수 있었고 (도 4E 및 4F), 이것은 상기 융합 단백질 sM2HA2 자체로서 세포성 면역을 유도할 수 있고, In addition,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IL-4-secreting cells were detected in the spleen of mice inoculated with sM2HA2 with CA-PMQ compared to the mice vaccinated with sM2HA2 alone or the control (Fig. 4E and 4F, Right panel). However, sM2HA2 recombinant protein was also detected in the spleen after being stimulated with the sM2 and HA2 proteins, without any mutant, while levels of IFN- [gamma] - secretase were detected in the spleen, whereas in the control only sole background levels of cytokine- gamma and IL-4-secreting cells (Fig. 4E and 4F), which can induce cellular immunity as the fusion protein sM2HA2 itself,

상기 CA-PMQ 는 이러한 면역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CT 와 함께 sM2HA2 로 백신화된 마우스는, sM2 및 HA2 단백질로 자극된 후에 비장 내에서 유사한 수준의 IFN-γ 및 IL-4-분비 세포를 나타내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CA-PMQ 와 함께 sM2HA2 로 비강내 면역화하는 것은, sM2- 및 HA2-특이적 T-세포 면역 반응을 강력한 점막 아주번트로 알려진 CT 의 사용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진시킨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CA-PMQ indicates that this immunity can be greatly enhanced. Importantly, mice vaccinated with sM2HA2 with CT showed similar levels of IFN-y and IL-4-secreting cells in the spleen after stimulation with the sM2 and HA2 protein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intranasal immunization with sM2HA2 in combination with CA-PMQ enhances the sM2- and HA2-specific T-cell immune responses to levels comparable to the use of CT known as strong mucosal avant-bundle.

바 표시는 군 (n=5) 의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는 3 개의 독립적인 실험들을 대표하는 것이다. 별표는 sM2HA2/CA-PMQ, sM2HA2/CT 군 및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0.01; *P<0.05).Bar indications represent the ± standard deviation of the group (n = 5). The data represent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The asterisk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M2HA2 / CA-PMQ, sM2HA2 / CT and control groups (** P <0.01; * P <0.05).

- CA-- CA- PMQPMQ -- 아주번트된Very bunched sM2HA2sM2HA2 백신은 보호를 확실히 하고,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에 의한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폐의 특성을 개선하였다: The vaccine ensures protection and improves lung characteristics against lethal infections by various influenza subtype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sM2HA2-유도된 면역 반응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백신화된 마우스를 10 LD50 의 마우스-적합화된 H5N1, H1N1, H5N2, H7N3 또는 H9N2 인플루엔자 A 서브타입으로 공격 접종하였다. 보호 효능을 생존율 및 체중 감소로 평가하였고, 감염-후 13 일 동안 매일 (dpi) 관찰하였다. To evaluate sM2HA2-induced immunoreactivity against lethal infections by influenza virus, vaccinated mice were challenged with 10 LD50 mouse-adapted H5N1, H1N1, H5N2, H7N3 or H9N2 influenza A subtypes Respectively. Protection efficacy was assessed as survival rate and weight loss and observed daily (dpi) for 13 days post-infection.

구체적으로는, BALB/c 마우스는 0, 2 및 4 주 차에 sM2HA2 단독, CA-PMQ 또는 CT 아주번트와 함께의 sM2HA2, CA-PMQ 단독 또는 PBS 로 면역화되었다. 마우스는 마지막 부스팅의 2 주 후에 10 LD50 의 마우스-적합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서브타입으로 비강내 감염되었다. 폐 조직 내의 바이러스 역가를 3 및 5 dpi 에서의 MDCK 세포주 내의 TCID50 에 의해 결정하였다. 5 dpi 에서, 폐는 한 세트의 각 군으로부터 임의로 추출되었고,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전에 이를 고정시키고 에오신으로 염색하였다. Specifically, BALB / c mice were immunized with sM2HA2 alone, sM2HA2, CA-PMQ alone or with PBS with CA-PMQ or CT esbunt, at 0, 2 and 4 weeks. Mice were intranasally infected with 10 LD 50 mouse-adapted influenza virus subtypes 2 weeks after the last boost. Virus titers in lung tissue were determined by TCID 50 in MDCK cell lines at 3 and 5 dpi. At 5 dpi, the lungs were randomly extracted from one set of each group and fixed and stained with eosin prior to observation under an optical microscope.

도 5A 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A/EM/Korea/W149/06(H5N1) 로 감염시킨 후의 체중 (위쪽 패널), 생존 (중간 패널, 로그-랭크(log-rank) 테스트, P= 0.00063) 및 폐 바이러스 역가 (아래쪽 패널)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 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A/Puerto Rico/8/34(H1N1) 로 감염시킨 후의 체중 (위쪽 패널), 생존 (중간 패널, 로그-랭크 테스트, P = 0.00063) 및 폐 바이러스 역가 (아래쪽 패널)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5C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A/Aquatic bird/Korea/W81/2005(H5N2) 로 감염시킨 후의 체중 (위쪽 패널), 생존 (중간 패널, 로그-랭크 테스트, P = 0.00063) 및 폐 바이러스 역가 (아래쪽 패널)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5D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A/Aquatic bird/Korea/W44/2005(H7N3)로 감염시킨 후의 체중 (위쪽 패널), 생존 (중간 패널, 로그-랭크 테스트, P = 0.00063) 및 폐 바이러스 역가 (아래쪽 패널)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5E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A/Chicken/Korea/116/2004(H9N2) 로 감염시킨 후의 체중 (위쪽 패널), 생존 (중간 패널, 로그-랭크 테스트, P = 0.00063) 및 폐 바이러스 역가 (아래쪽 패널) 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2HA2 또는 대조군으로 백신화된 마우스의 폐와 대조적으로, sM2HA2/CA-PMQ 로 백신화된 마우스의 폐는 염증성 세포의 침투가 없는 깨끗한 허파꽈리를 나타내었다.Figure 5A shows the body weight (upper panel), survival (intermediate panel, log-rank test, P = 0.00063) after infection with A / EM / Korea / W149 / 06 (H5N1) 5B shows the change in body weight (upper panel), survival (middle panel, logarithmic panel) after infection with A / Puerto Rico / 8/34 (H1N1) in this example, 5C shows the change in body weight after infection with A / Aquatic bird / Korea / W81 / 2005 (H5N2) in the present example (upper panel, ), Survival (middle panel, log-rank test, P = 0.00063) and lung virus titer (lower panel), and FIG. 5D shows the change in A / Aquatic bird / Korea / W44 / 2005 ), Survival (middle panel, log-rank test, P = 0.00063) and lung virus titers (lower panel) (Middle panel, log-rank test, P = 0.0001) after infecting with A / Chicken / Korea / 116/2004 (H9N2) in this example, 0.00063) and lung virus titers (lower panel). As shown in Figure 5F, in contrast to the lungs of sM2HA2 or vaccinated mice as a control, the lungs of mice vaccinated with sM2HA2 / CA-PMQ showed clear lung vacuoles free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예측된 바와 같이, 대조군 내 면역화되지 않은 군의 마우스는 치사적 인플루엔자 감염에 대항하여 생존하지 못하였다. CA-PMQ 또는 CT 없이 sM2HA2 로만 백신화된 마우스에서는 유의적인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고 (도 5A-5E, 위쪽 패널), 0-40% 의 개체가 다양한 서브타입의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생존하였다 (도 5A-5E, 중간 패널). 대조적으로, sM2HA2 를 CA-PMQ 와 함께 투여한 마우스는 H1N1, H5N1, H5N2 및 H9N2 의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100% 생존하였고 (도 5A-5C 및 5E, 중간 패널), H7N3 의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80% 생존하였다 (도 5D, 중간 패널). sM2HA2/CT 로 백신화된 마우스는, H1N1, H7N3 및 H9N2 인플루엔자 서브타입 의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100% 생존하였고 (도 5B, 5D 및 5E, 중간 패널), H5N1 및 H5N2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의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여 각각, 60% (도 5A, 중간 패널) 및 80% (도 5C, 중간 패널) 생존하였다. sM2HA2/CT 로 면역화된 마우스가 sM2HA2/CA-PMQ 로 면역화된 마우스에 대하여 유사한 수준의 보호 (60-100%) 를 나타낸 반면에, sM2HA2/CT-백신화된 마우스의 경우에서는 유의적인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도 5A-5E, 위쪽 패널), As expected, mice in the non-immunized group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urvive the lethal influenza infection. Significant weight loss was observed in mice vaccinated with sM2HA2 only without CA-PMQ or CT (Fig. 5A-5E, top panel) and 0-40% of individuals survived against various lethal infections of various subtypes 5A-5E, middle panel). In contrast, mice administered sM2HA2 with CA-PMQ survived 100% against the lethal infection of H1N1, H5N1, H5N2 and H9N2 (FIG. 5A-5C and 5E, middle panel) 80% survived (Figure 5D, middle panel). mice vaccinated with sM2HA2 / CT survived 100% against the lethal infections of the H1N1, H7N3 and H9N2 influenza subtypes (Figures 5B, 5D and 5E, middle panel), and the lethality of the H5N1 and H5N2 influenza subtypes (Figure 5A, middle panel) and 80% (Figure 5C, middle panel), respectively, against infection. mice immunized with sM2HA2 / CT showed a similar level of protection (60-100%) to mice immunized with sM2HA2 / CA-PMQ, whereas in the case of sM2HA2 / CT-vaccinated mice significant weight loss (Figures 5A-5E, top panel), &lt; RTI ID = 0.0 &gt;

이것은 상기 CT-아주번트된 군에서는 치사적 감염에 대항하는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3M2eC+CT 의 비강내 백신접종은 사망률(mortality)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질병률(morbidity)까지는 개선시킬 수 없는 항체를 유도하는 것을 입증한 종전의 연구들과 일치하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sM2HA2 가 CA-PMQ 와 함께 투여된 마우스는 사소한 정도의 질병의 징후들을 나타내었고, 단지 일시적이고 경미한 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었다.This indicates that protection against lethal infection is not effective in the CT-very bunted group.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demonstrating that intranasal vaccination with 3M2eC + CT could improve mortality but induce antibodies that can not be improved to morbidity. In contrast, mice administered with sM2HA2 with CA-PMQ exhibited minor signs of disease and only showed a temporary and slight decrease in body weight.

sM2HA2/CA-PMQ 백신에 의해 관찰되는 보호 효능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공격 접종된 마우스의 폐의 바이러스 역가를 3 및 5 dpi 에서 측정하여 바이러스성 클리어런스를 평가하였다. 상기 sM2HA2/CA-PMQ-면역화된 마우스는, H5N2, H7N3 및 H9N2 바이러스가 공격 접종된 경우에, 3 일 차에는 감소된 폐의 바이러스 역가를 나타내었고, 5 일 차에는 감염을 완전히 클리어하였다 (도 5C-5E, 아래쪽 패널). To further better understand the protective efficacy observed with the sM2HA2 / CA-PMQ vaccine, the viral titer of the lungs of the inoculated mice was measured at 3 and 5 dpi to evaluate the viral clearance. The sM2HA2 / CA-PMQ-immunized mice exhibited reduced lung viral titers at day 3 when challenged with H5N2, H7N3 and H9N2 viruses, and completely cleared the infection at day 5 (Fig. 5C-5E, bottom panel).

유사하게, H5N1 및 H1N1 의 치사적 감염의 경우에, CA-PMQ-아주번트된 sM2HA2 로 면역화된 마우스는 5 dpi 에서, sM2HA2 단독 면역화된 마우스 또는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하여 폐의 바이러스 역가의 유의적인 감소 나타내었다 (도 5A 및 5B, 아래쪽 패널). 또한, sM2HA2/CT-면역화된 마우스의 폐의 바이러스 클리어런스는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의 감염에 대한 생존 결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lethal infection of H5N1 and H1N1, mice immunized with CA-PMQ-very burnt sM2HA2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ung viral titer at 5 dpi compared to sM2HA2 alone immunized mice or control mice (Figs. 5A and 5B, bottom panel). In addition, the virus clearance of the lungs of sM2HA2 / CT-immunized mice was observed to be associated with survival outcomes for infection with various influenza subtypes.

폐의 바이러스 클리어런스와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H5N2 바이러스로 공격 접종된 마우스의 폐의 대표 샘플을 수득한 후에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sM2HA2/CA-PMQ 로 면역화된 마우스는 폐 염증이 감소되거나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sM2HA2로 면역화된 마우스 또는 대조군의 폐에서는 심각한 정도의 폐 염증의 명백한 징후들이 관찰되었다 (도 5F).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with the clearance of the virus in the lung. 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lungs of mice challenged with the H5N2 virus were obtained and examin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Mice immunized with sM2HA2 / CA-PMQ showed reduced or no pulmonary inflammation, while apparent signs of severe pulmonary inflammation were observed in the lungs of mice or controls immunized with sM2HA2 (Fig. 5F).

종합해보면, 이러한 결과들은 CA-PMQ 보존된 융합 단백질과 조합된 sM2HA2 는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에 대항하는 보호 효능을 현저히 개선함을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CA-PMQ 에 의하여 유도된 sM2- 및 HA2-특이적 면역 반응은 바이러스 복제를 효율적으로 통제하는데에 기여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M2HA2 in combination with the CA-PMQ conserved fusion protein significantly improves the protective efficacy against various influenza subtypes, and that the sM2- and HA2-specific It can be seen that the immune response contributes to the efficient control of viral replication.

오차 바(Error bars)는 체중의 평균 ±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별표는 군(n=5)들 간 체중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는 3 개의 독립적인 실험들을 대표하는 것이다. 폐 바이러스 역가에서, 별표는 5 dpi 에서 sM2HA2/CA-PMQ, sM2HA2/CT 및 대조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0.01; *P<0.05).Error bars represent the mean ± SD of body weight. The asterisk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between the groups (n = 5). The data represent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In pulmonary viral titer, an asterisk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2HA2 / CA-PMQ, sM2HA2 / CT and the control group at 5 dpi (** P <0.01; * P <0.05).

- CA-- CA- PMQPMQ -- 아주번트된Very bunched sM2HA2에sM2HA2 의한 장기  Long term 지속되는Persistent 면역 반응 및 보호를 유도하였다: Immune response and protection were induced:

면역 반응 및 보호의 지속 기간은 효과적인 백신의 중요한 기준이다. 따라서, sM2HA2/CA-PMQ 에 의해 유도된 면역의 지속성을, 면역화의 6 달 후에 ELISA 에 의한 혈청 IgG 및 점막 IgA 의 검출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Immune responses and the duration of protection are important criteria for effective vaccines. Thus, the persistence of immunity induced by sM2HA2 / CA-PMQ was examined through the detection of serum IgG and mucosal IgA by ELISA 6 months after immunization.

구체적으로는, 마우스 세트들은 스케쥴에 따라서 PBS, CA-PMQ, sM2HA2, sM2HA2/CA-PMQ 또는 sM2HA2/CT 로 비강내 백신화되었다. 혈청은 최종 백신접종의 0, 35, 및 180 일 후에 얻었다. 폐 및 창자 샘플은 180 일 차에 얻었다. 장기 지속되는 IgG, IgG1, IgG2a 및 IgA 의 장기 지속되는 항체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코팅 항원으로서 sM2 또는 HA2 단백질을 이용하여 ELISA를 세 번 수행하였다. 최종 백신접종의 6 달 후에 마우스를 A/Puerto Rico/8/34(H1N1) 바이러스 (10 MLD50) 의 치사량으로 공격 접종하였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sM2 (왼쪽) 및 HA2 (오른쪽) 각각에 특이적인 IgG, IgG1 및 IgG2a 항체 레벨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 (왼쪽) 및 창자 (오른쪽) 에서, sM2 (위쪽 패널) 및 HA2 (아래쪽 패널) 특이적인 IgA 항체 레벨을 나타낸 것이며, 도 5C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H1N1 바이러스로 감염시킨 후의 초기 체중 (왼쪽) 및 생존 (오른쪽)의 %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Specifically, mouse sets were intranasally vaccinated with PBS, CA-PMQ, sM2HA2, sM2HA2 / CA-PMQ or sM2HA2 / CT according to schedule. Serum was obtained 0, 35, and 180 days after the last vaccination. Lung and bowel samples were obtained on 180 day tea. To confirm long-lasting antibody levels of long-lasting IgG, IgG1, IgG2a and IgA, ELISA was performed three times using sM2 or HA2 protein as a coating antigen. Six months after the final vaccination, the mice were inoculated with lethal doses of A / Puerto Rico / 8/34 (H1N1) virus (10 MLD 50 ). FIG. 5A shows IgG, IgG1 and IgG2a antibody levels specific to sM2 (left) and HA2 (right) in this example, and FIG. 5B shows antibody levels specific for lung (left) and intestinal (Left) and survival (right) percent change after infecting with the H1N1 virus in the present example, and FIG. 5C shows the IgA antibody level Lt; / RTI &gt;

sM2HA2/CA-PMQ 로 면역화된 마우스에서는, 부스팅의 6 달 후에도 sM2 및 HA2 에 특이적인 혈청 IgG 뿐만 아니라 폐 및 창자 IgA 가 유사한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도 6A 및 6B). 유사하게, sM2HA2/CA-PMQ 를 이용한 최종 백신접종의 6 달 이후에도 T-헬퍼 세포 아형이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Th2 와 연관된 IgG1 및 Th1 과 연관된 IgG2a 와 같은 IgG 아형을 ELISA 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흥미롭게도, sM2HA2/CA-PMQ 로 백신화된 마우스는 백신접종 이후에 sM2 및 HA2 모두에 특이적인 IgG1 및 IgG2a 를 유의적인 수준으로 나타내었고, 상기 IgG1 및 IgG2a 는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수준 검출되었다 (도 6A). In mice immunized with sM2HA2 / CA-PMQ, similar levels of sM2 and HA2-specific serum IgG as well as lung and intestinal IgA were detected after 6 months of boosting (FIGS. 6A and 6B). Similar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T-helper cell subtype also acts after 6 months of the final vaccination with sM2HA2 / CA-PMQ, IgG subtypes such as IgG1 associated with Th2 and IgG2a associated with Th1 were measured by ELISA Respectively. Interestingly, mice vaccinated with sM2HA2 / CA-PMQ showed significant levels of IgG1 and IgG2a specific for both sM2 and HA2 after vaccination, and IgG1 and IgG2a levels were detec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6A).

종합해보면, 이러한 결과는 sM2HA2/CA-PMQ 가 최종의 백신접종 이후 적어도 6 달까지 지속되는 채액성 및 세포-매개 면역 반응 모두를 유도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보호의 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면역화된 마우스를 인플루엔자 A/Puerto Rico/8/34(H1N1) 헤테로서브타입으로 공격 접종하였다. 체중 변화 및 생존을 13 dpi 까지 관찰하였다. 상기 대조군 마우스는 >30%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고 감염의 9 일 후에 사망하였다 (도 6C, 왼쪽 패널).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2HA2 / CA-PMQ induces both fluid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lasting up to at least 6 months after the final vaccination. To determine the duration of protection, immunized mice were challenged with influenza A / Puerto Rico / 8/34 (H1N1) heterosubtype. Weight change and survival were observed up to 13 dpi. The control mice exhibited > 30% weight loss and died 9 days after infection (Fig. 6C, left panel).

대조적으로, 상기 sM2HA2/CA-PMQ-백신화된 마우스가 예상치 못한 일정한 퍼센트의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상기 체중은 13 dpi 까지 회복되었고, 마우스는 감염에 대항하여 100% 생존하였으며, 이는 백신접종 직후의 효능과 유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C, 오른쪽 패널). 나아가, sM2HA2 단독으로 면역화된 마우스는 급격한 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11 dpi 에 100% 마우스고 쓰러졌으며(succumbed), 이는 상기 CA-PMQ 가 장기 지속되는 면역에 기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In contrast, the sM2HA2 / CA-PMQ-vaccinated mice exhibited an unexpectedly constant percentage weight loss, but the body weight recovered to 13 dpi and the mice survived 100% against the infection, (Figure 6C, right panel). Furthermore, mice immunized with sM2HA2 alone showed a rapid weight loss and were 100% mice and succumbed to 11 dpi, indicating that the CA-PMQ contributes to long-lasting immunity.

종합해보면, 이러한 결과는 상기 CA-PMQ 가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에 대항하는 재조합 sM2HA2 백신의 면역 반응 및 보호 효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면역의 장기 지속성을 보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PMQ not only improves the immune response and protective efficacy of the recombinant sM2HA2 vaccine against various influenza subtypes, but also assures long-term persistence of immunity.

바 표시는 평균 ±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것이다. 별표는 sM2HA2/CA-PMQ, sM2HA2/CT 및 대조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P<0.01; *P<0.05).The bars indicate mean ± standard deviation. The asterisk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2HA2 / CA-PMQ, sM2HA2 / CT and the control group. (** P <0.01; * P < 0.05).

다양한 표면 항원에 기반한 현재의 인플루엔자 백신은, 예측하지 못한 유행성 인플루엔자의 발병에 대항하여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는 데에 적절하지 못하다. 지난 수 십년에 걸쳐서, 광범위한 교차-보호 뿐만 아니라 간편한 제조 및 투여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시도되었다. 특히, M2e 및 HA2 를 이용한 교차-보호를 유도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상기의 연구 기록들을 고려하였을 때,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sM2 및 HA2 (sM2HA2) 에 기반한 융합 백신이 유의적인 교차-보호를 일으킬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에, 본원의 실시예는 상기 두 개의 유망한 타겟의 융합 플라스미드를 구성하였고, 상기 융합 플라스미드를 고도로 효율적인 미생물 발현 시스템 (E. coli) 에서 발현하였으며, 광범위한 교차-보호 면역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기능성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적절한 경로 및 아주번트의 선택은 서브유닛 백신 개발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 Current influenza vaccines based on various surface antigens are not adequate to provide effective protection against the onset of unforeseen pandemic influenza.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attempted to develop new vaccines that can provide for ease of manufacture and administration as well as extensive cross-protection. In particular, studies were conducted to induce cross-protection using M2e and HA2. Given the above studies,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 fusion vaccine based on sM2 and HA2 (sM2HA2) to cause significant cross-protection. Thus, the examples herein constituted the fusion plasmids of the two promising targets, and the fusion plasmids were expressed in a highly efficient microbial expression system (E. coli) and tested for extensive cross-protection immunity.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route and azuret to stimulate the functional immune response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subunit vaccine.

이전의 연구들은 상기 비강내 점막 경로가 전신성 투여 보다 마우스 내의 교차-보호 면역을 유도하다는 데에 우월함을 나타내었다. 다른 연구들은 교차-보호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및 유전적 컨쥬게이트 (캐리어 분자 또는 바이러스 입자) 또는, 재조합 또는 생 인플루엔자 백신과 DNA 의 조합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백신들은 아주번트와 함께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신화된 동물들이 상당한 체중 감소를 나타낸 바와 같이, 완벽한 보호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nasal mucosal pathway is superior to inducing cross-protective immunity in mice than systemic administration. Othe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chemical and genetic conjugates (carrier molecules or viral particles) or recombinant or live influenza vaccines and DNA to improve cross-protection. Unfortunately, these vaccines did not exhibit perfect protection, as vaccinated animals exhibited significant weight loss despite being administered with very bunt.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교차-보호를 개선하기 위하여 신규한 조합 아주번트인 CA-PMQ 룰 최초로 제조하였고 투여하였다. 더 중요한 것은, 본원의 실시예를 통하여 CA-PMQ 와 함께 2 개의 잘-보존된 융합 단백질 (sM2 및 HA2) 2 μg 만으로 백신접종 하는 것은, 치사적 인플루엔자 A 서브타입의 상대적으로 높은 투여량의 공격 접종에 대항하여 광범위한 보호를 부여하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In the present example, a new combination adjuvant CA-PMQ rule was first manufactured and administered to improve cross-protection. More importantly, vaccination with only 2 [mu] g of two well-conserved fusion proteins (sM2 and HA2) with CA-PMQ through the examples herein resulted in a relatively high dose of attack of the lethal influenza A subtype It has proven to give broad protection against inocula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sM2HA2 의 투여량 및 효능을 결정하기 위하여 예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마우스는 0, 2 및 4 주 차에 다양한 투여량 (2, 5 및 10 μg)의 sM2HA2 단백질로 아주번트 없이 비강내 면역화되었고, 최종 부스팅의 2 주 후에 10 LD50 의 마우스-적합화된 인플루엔자 A/Puerto Rico/8/34(H1N1) 서브타입으로 공격 접종되었다. H1N1 바이러스로 감염시킨 후의 (A) 초기 체중 및 (B) 생존의 % 변화를 나타내었다.Prelimina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ose and efficacy of sM2HA2 on influenza virus infection. Specifically, the mice were intranasally immunized intranasally with varying doses (2, 5 and 10 [mu] g) of sM2HA2 protein at 0, 2 and 4 weeks, and after 2 weeks of final boosting 10 LD 50 mouse- (H1N1) subtype of influenza A / Puerto Rico / 8/34. (A) initial body weight and (B)% survival after infection with the H1N1 virus.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2HA2 를 아주번트 없이 비강내 경로를 통하여 3 번 투여 (2 μg/투여) 한 경우, H1N1 의 치사적 감염 대항하여 40% 생존 및 급격한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CA-PMQ-아주번트된 sM2HA2 를 투여할 경우, sM2HA2-특이적 항체의 수준을 증진시켰다. 상기 백신이 점막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유의적인 수준의 점막 IgA 가 폐 및 창자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나아가, 유의적인 수준의 혈청 IgG, 특별히 IgG1 및 IgG2a, 가 또한 상기 CA-PMQ-아주번트된 sM2HA2 백신에 의하여 유도되었다. 일반적으로, Th2 세포가 마우스 내의 IgG1 항체를 유도하는 반면에, Th1 세포는 IgG2a 항체의 생산을 향상시킨다. IgG 아형 모두 강력한 중화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IgG2a 는 보체 및 Fc 수용체와 유효하게 상호작용하는 것을 알려져 있고 바이러스 클리어런스에 기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when sM2HA2 was administered 3 times (2 μg / dose) through the intranasal route without very bunting, 40% survival and rapid weight loss were observed against the lethal infection of H1N1.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level of sM2HA2-specific antibody was enhanced when CA-PMQ-very burnt sM2HA2 was administered. Because the vaccine was delivered through the mucosal route, significant levels of mucosal IgA were observed in both the lungs and intestines. Furthermore, significant levels of serum IgG, especially IgG1 and IgG2a, were also induced by the CA-PMQ-very burnt sM2HA2 vaccine. Generally, Th1 cells induce IgG1 antibodies in mice whereas Th1 cells enhance IgG2a antibody production. Although both IgG subtypes have potent neutralizing abilities, IgG2a is known to interact effectively with complement and Fc receptors and can contribute to virus clearance.

따라서, 치사적 감염 이후의 sM2HA2/CA-PMQ-백신화된 마우스 폐의 바이러스 역가의 감소는, 바이러스 클리어런스에 있어서의 sM2- 및 HA2-특이적 IgG1 또는 IgG2a 의 유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세포성 면역 반응은 백신접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Th1-타입 (IFN-γ) 및 Th2-타입 (IL-4) 사이토카인 반응을 ELISPOT 으로 관찰하였고, 아주번트화된 sM2HA2 면역화된 마우스 내 sM2 및 HA2 단백질 모두의 자극에 의한 반응에서 높은 수준의 IFN-γ 가 검출되었지만, sM2HA2 단독 또는 대조군 마우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CA-PMQ-아주번트된 sM2HA2 로 면역화된 마우스 내 IL-4 역시 면역화되지 않은 마우스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CA-PMQ-아주번트된 sM2HA2 의 점막 백신 시스템이 강력한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마우스를 계통 군 1 (H1, H5, H9) 및 군 2 (H7) 로부터의 굉장히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 으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Thus, a reduction in the viral titer of sM2HA2 / CA-PMQ-vaccinated mouse lung following a lethal infection indicates the induction of sM2- and HA2-specific IgG1 or IgG2a in the virus clearance.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ccination. The Th1-type (IFN-y) and Th2-type (IL-4) cytokine responses were observed by ELISPOT in the examples herein and the response by stimulation of both the sM2 and HA2 proteins in the highly burnt sM2HA2 immunized mouse 0.0 &gt; IFN-y, &lt; / RTI &gt; but not in sM2HA2 alone or in control mice. IL-4 in mice immunized with CA-PMQ-very burnt sM2HA2 was also observed at a much higher level than unimmunized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cosal vaccine system of CAM-PMQ-succumbed sM2HA2 induces a potent cellular immune response and that mice receive a very different influenza subtype from group 1 (H1, H5, H9) and group 2 - to protect against.

추가적으로, 본원의 실시예는 CA-PMQ-아주번트된 재조합 sM2HA2 가 심지어 최종 백신접종의 6 달 후에도, 장기 지속되는 면역을 유도하였고, 다양한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에 의한 치사 감염에 대항하는 보호를 부여하였음을 증명하였다(도 6). 이는 성공적인 백신이라면 중요한 것이다. 면역 아주번트는 거대한 이종 군이며, 2 개의 아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면역자극제 및 전달 시스템. 두 번 째 타입은 점막 장애물을 극복하고 항원 흡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인 반면에, 첫 번재 카테고리의 아주번트는 특이적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면역 시스템을 자극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example demonstrated that CA-PMQ-succumbed recombinant sM2HA2 induced long-lasting immunity even after 6 months of the final vaccination and provided protection against lethal infection by various influenza subtypes (Fig. 6). This is important if you are a successful vaccine. Immunity A very bun is a huge heterozygot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mmune stimulants and delivery systems. The second type is to enhance the immune response by overcoming mucosal obstacles and increasing the uptake of antigen, while the first category of aztans stimulates the immune system by interacting with specific receptors.

제약 산업에서, 동일한 물질의 새로운 제형화는 효과 및 성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새로운 물질로서 인식된다. 아주번트 제형화의 사용 및 생산의 편리성 또한,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개선시키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본원의 실시예는, 점막부착성 고분자-기반 (예를 들어서, γ-PGA) 항원 전달 시스템 및 난용성 면역자극제 화합물 (예를 들어서, MPLA 및 QS21) 의 결합에 대한 간편하고 강력한 제형화 전략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달 시스템의 아주번트와 상기 γ-PGA/MPLA/QS21 복합체에 기반한 면역자극성 화합물의 신규한 조합은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강력한 후보군이다.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new formulation of the same material has a very large impact on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and is thus recognized as a new substance. The use of multi-bun formulations and the ease of production are also essential in improving bioavailability. Embodiments herein provide a simple and robust formulation strategy for the combination of mucoadhesive polymer-based (e.g., gamma-PGA) antigen delivery systems and poorly soluble immunostimulatory compounds (e. G., MPLA and QS21) to provide. In this regard, the novel combination of the delivery system of Zambant and the immunostimulatory compound based on the &lt; RTI ID = 0.0 &gt; y-PGA / MPLA / QS21 &lt; / RTI &gt; complex is a powerful candidate group for inducing a potent immune response.

상기 비강 경로는 생리학적인 특성 및 면역학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주사바늘 없는 투여의 유망한 대안 형태이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 및 질병 관리 및 예방 본부와 같은 세계 보건의 주요한 기관들은, 면역화 스케쥴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발전된 전달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연구 노력의 투자 필요성을 주창해 왔다. 이러한 목표의 달성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다수의 감염성 질병에 대한 백신접종의 범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점액 백신 전달 전략이 강력한 주사바늘 없는 백신 전달 방법으로 평가되지만, 점막 섬모의 청소 메커니즘이 면역 시스템의 항원의 전달을 저해하는 한계가 있었다. The nasal passages are a promising alternative form of needle-free administration due to their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Indee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leading organizations in the world's health, such as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ve advocated the need to invest research efforts in developing advanced delivery technologies that can simplify immunization schedules. Achieving this goal can improve the range of vaccination against a number of infectious disease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Although the mucus vaccine delivery strategy is evaluated as a powerful method of needle-free vaccine delivery, the mucociliary clearance mechanism has limited its ability to inhibit the delivery of the antigen in the immune system.

따라서, 창자 및 비강 점막과 같은 항원의 생물학적인 장애물에 대한 통과를 개선할 수 있는 점액 백신 전달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효과적인 점막 백신접종에 대한 과제는 효과적인 점막 면역을 발생시키는 것 및 안전하고 효과적인 점막 아주번트 및 전달 시스템의 부재의 어려움을 수반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기 CA-PMQ 시스템은 모두 채액성 및 세포성 면역을 증진시키는 천연 성분으로 구성된다. 미생물종 (바실리)에 의해 천연 합성되는 상기 γ-PGA 는, 재조합 단백질 항원에 대한 점막부착성 전달 비히클로서 작용할 수 있고, 또한 소수성 MPLA 및 QS21 를 결합시킬 수 있는 간편하고 강력한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novel approach to a mucosal vaccine delivery system that can improve the passage of antigens, such as intestinal and nasal mucosa, to biological barriers. Challenges for effective mucosal vaccination involve the generation of effective mucosal immunity and the difficulty of a safe and effective mucosal delivery and delivery system. The CA-PMQ system used in the examples herein is composed of natural ingredients that promote both sedimentation and cellular immunity. The γ-PGA, which is naturally synthesized by a microbial species (basil), can serve as a mucoadhesive delivery vehicle for recombinant protein antigens and can also provide a simple and robust strategy for binding hydrophobic MPLA and QS21 .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γ-PGA 내의 이온화되지않은 카르복시기의 존재는 점액과의 강력한 상호작용에 핵심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γ-PGA 와 점액 당단백질 내의 양성자-받개 간의 수소 결합의 결과이다. 점막부착성 고분자는 뮤신 분자와 물리적 사슬 얽힘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고, 뒤이어 올리고당 사슬 상의 당 잔기와 수소 결합 형성하여, 강화된 젤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따라서 상기 고분자를 연장된 기간의 시간 동안 부착성이 있는 상태로 유지시킨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배지 pH (6.2) 에서 상기 고분자가 이온화된 작용기로부터 발생한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인한 코일링되지 않은 팽창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분자는 점액 당단백질과의 물리적 사슬 얽힘 및 2차 상호작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γ-PGA 내 다수의 카르복시기가 존재하므로, 상기 고분자는 다른 고분자들과 비교하였을 때, 자신의 수소-결합 기의 접근성을 증대시키는 데에 더 유리한 거대분자 형태를 띠게 된다. In the present example, it i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non-ionized carboxy group in? -PGA is critical for strong interaction with mucus. This interaction is the result of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γ-PGA and the proton-acceptor in the mucous glycoprotein. The mucoadhesive polymer can interact with the mucin molecule with physical chain entanglement and subsequently hydrogen bonds with sugar moieties on the oligosaccharide chain to form an enhanced gel network and thus the polymer is adherent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It is possible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it keeps it as it is. Since the polymer at the pH of the medium (6.2) is in an uncoiled and unexpanded state due to the electrostatic repulsion generated from the ionized functional groups, the polymer can more easily facilitate physical chain entanglement and secondary interaction with mucus glycoprotein have. Since a large number of carboxyl groups are present in γ-PGA, the polymer has a macromolecular morphology,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its hydrogen-bonding group when compared to other polymers.

지금까지, 백신의 개발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타겟 질병 또는 병원균에 특이적인 항원의 발견 및 생산에 주목하여 왔다. 그들은 또한, 오로지 단일의 면역자극제를 활용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아주번트와 함께하였을 때의 항원의 항원성을 시험하였다. 최적의 예방 또는 치료 면역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유도된 면역의 강도 및 지속성은 질병의 유형에 따라 통제되어야 했다. To date, most researcher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vaccines have focused on the discovery and production of antigens specific for target diseases or pathogens. They also tested the antigenicity of an antigen when combined with only a few of the very bunts that could utilize a single immunostimulant. In order to produce optimal prophylactic or therapeutic immunity, the intensity and persistence of the induced immunity had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ease.

그러나, 면역자극제 및 전달 비히클을 포함하는 복합체 아주번트 시스템을 제형화하기에 부족한 지식 또는 역량으로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이 제한되었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상기 CA-PMQ 아주번트는 아주번트의 조합으로 제형화되었고, 강력하고 장기 지속하는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CA-PMQ 는 감염성 질병뿐만 아니라 암 면역요법에 대한 백신 개발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에게 우수한 아주번트 후보군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vaccines with limited knowledge or ability to formulate complex avant-systems including immunostimulants and delivery vehicles has been limited. The CA-PMQ eubuntus, disclosed in the Examples herein, is formulated in a combination of aztans and is capable of inducing a potent, long-lasting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From this viewpoint, the CA-PMQ can be an excellent candidate for researchers who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gainst cancer diseases as well as cancer immunotherapies.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120>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130> DP20160351KR <150> KR 15/0102465 <151> 2015-07-20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0 <212> PRT <213> Influenza A Virus <400> 1 Met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Asn Gly Trp Glu 1 5 10 15 Cys Lys Cys Ser Asp Ser Ser Asp Pro Asp Arg Leu Phe Phe Lys Cys 20 25 30 Ile Tyr Arg Arg Leu Lys Tyr Gly Leu Lys Arg Gly Pro Ser Thr Glu 35 40 45 Gly Val 50 <110>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120>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130> DP20160351KR <150> KR 15/0102465 <151> 2015-07-20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0 <212> PRT <213> Influenzae Virus <400> 1 Met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Asn Gly Trp Glu   1 5 10 15 Cys Lys Cys Ser Asp Ser Ser Asp Pro Asp Arg Leu Phe Phe Lys Cys              20 25 30 Ile Tyr Arg Arg Leu Lys Tyr Gly Leu Lys Arg Gly Pro Ser Thr Glu          35 40 45 Gly Val      50

Claims (6)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 및 항원을 포함하고,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고분자,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toll-like receptor agonist), 및 사포닌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항원은 서열번호 1 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sM2 항원 단백질과 A/EM/Korea/W149/06(H5N1) 바이러스의 HA2 항원단백질 내 아미노산 잔기 15-137 서열을 갖는 단백질이 결합된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
Mucoadhesive &lt; RTI ID = 0.0 &gt; adherent &lt; / RTI &gt; composition and antigen,
The mucoadhesive adhesion enhancer composition comprises a complex of an anionic polymer, a toll-like receptor agonist, and a saponin,
Wherein the antigen is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 protein having an amino acid residue 15-137 sequence in the HA2 antigen protein of A / EM / Korea / W149 / 06 (H5N1)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A 의 서브타입인 H5N1, H1N1, H5N2, H7N3 및 H9N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플루엔자 A 서브타입에 대항하여 교차-보호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an induce cross-protection against the influenza A subty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ubtypes of influenza A, H5N1, H1N1, H5N2, H7N3 and H9N2.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폴리감마글루탐산, 히알루론산,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다당류,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ionic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amma glutamic acid, hyaluronic acid, cellulose, polyacrylic acid, 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and combinations thereof.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아고니스트는 MPLA(Monophosphoryl lipid A), 이미퀴모드, 레시퀴모드, 플라겔렌(flagellin), 시피지(CpG), 폴리아이시[poly(I:C)],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ll-like receptor agonis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PLA (monophosphoryl lipid A), imiquimod, recyquimod, flagellin, CpG, poly (I: C) &Lt; / RTI &gt; and combinations thereof.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은 QS21, Quil A, QS7, QS17, β-에스킨, 디지토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apon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QS21, Quil A, QS7, QS17, beta-eskin, digitonin, and combinations thereof.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부착성 아주번트 조성물은 분말인 것인,
인플루엔자 A 치료용 백신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coadhesive adhesive is a powder.
Vaccine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uenza A
KR1020160090456A 2015-07-20 2016-07-18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KR2017001071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02465 2015-07-20
KR1020150102465 2015-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717A true KR20170010717A (en) 2017-02-01

Family

ID=5810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456A KR20170010717A (en) 2015-07-20 2016-07-18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071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9134A (en) * 2023-01-31 2023-05-26 四川大学 Application of aescin and/or salt compound thereof as adjuvant in vacc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9134A (en) * 2023-01-31 2023-05-26 四川大学 Application of aescin and/or salt compound thereof as adjuvant in vacc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79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enhancing immune responses
AU2011260215B2 (en) Oral vaccine comprising an antigen and a Toll-like receptor agonist
RU2468034C2 (en)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methods
ES2761693T3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mprove immune responses to Eimeria
JP687403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Enhance the Immune Response to Eimeria or Limit Eimeria Infections
ES2753142T3 (en) Vaccine and methods to reduce a Campylobacter infection
US9913893B2 (en) Vaccine vectors and methods of enhancing immune responses
EA018765B1 (en) Influenza antigen delivery vectors and constructs
L Subiza et al. New developments in oral vaccines and mucosal adjuvants
KR101525180B1 (en) Cell Surface Expression Vector for Influenza Virus Antigen and Microorganisms Transformed Thereby
JP2001522235A (en)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using targeting molecules
KR20170010717A (en) Mucoadhesive polymer adjuvant-based influenza vaccine
Gursel et al. Use of CpG oligonucleotides as mucosal adjuvants
US20140242112A1 (en) Novel vaccine
US20220332770A1 (en) High-Density Flagellin-Displaying Virus-Like Particle As Vaccine Carrier
Hu Enhancement of CD8+ T Cells by the Type II Heat-Labile Enterotoxins LT-IIb and LT-IIc
Lavelle et al. Mucosal Vaccines, Adjuvants and Delivery 2016-A Meetings Management Conference, Lausanne, Switzerland, September 14-16, 2016
US20140127252A1 (en) Tularemia-taa/cd40l vaccine
BR112012018027B1 (en) Vaccine vectors and methods of improving immune respo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