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37U - Card type second battery - Google Patents

Card type second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37U
KR20170001537U KR2020150006884U KR20150006884U KR20170001537U KR 20170001537 U KR20170001537 U KR 20170001537U KR 2020150006884 U KR2020150006884 U KR 2020150006884U KR 20150006884 U KR20150006884 U KR 20150006884U KR 20170001537 U KR20170001537 U KR 201700015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charging
battery
battery member
typ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전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전산
Priority to KR2020150006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537U/en
Publication of KR20170001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3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카드형 보조 배터리가 개시된다. 카드형 보조 배터리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ard type auxiliary battery is disclosed.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includes a case body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battery member installed in the case body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a charging unit installed on the case body to connect the battery member and the cellular phon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ember.

Description

카드형 보조 배터리{CARD TYPE SECOND BATTERY}Card type auxiliary battery {CARD TYPE SECOND BATTERY}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폰의 원활한 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which is easy to carry and which enables smooth charging of a mobile phone.

일반적으로 정보기술 산업의 화두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서비스 등이 있다. Generally speak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s focused on smart phones and mobile services.

이러한 정보 기술 산업은,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미국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 한국, 일본 등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Thes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are dominated by US companies such as Apple, Google and Microsoft, and are entering the European, Korean and Japanese markets.

앞으로의 정보기술은 컴퓨터의 성능이나 소프트웨어의 품질 자체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욕구 파악, 적정가격 산정 등 종합적인 서비스로 발전할 것이다.Future information technology will develop not only the performance of computer and the quality of software itself but also comprehensive service such as grasping consumer 's desire and calculating appropriate price.

그 중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한 태블릿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현재 정보기술의 집약체로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은 영화, 음악뿐 아니라 문서작업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하나 이상 소지할 정도로 그 판매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Among them, tablets and smartphones, which are easy to use and portable, are currently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s an intensive inform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tablet computers and smart phones are capable of documenting not only movies and music, The sales volume is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정보기기들이 출현함에 따라 그 주변기기인 소위 액세서리도 대거 출시되고 있다. 액서서리 중 거치대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정보기기를 책상 위에 세워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ith the advent of these information devices, so-called accessories, which are peripheral devices thereof, are being released. Among the accessories, the tabletop has a merit that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portable tablet computer can be mounted on a desk.

그러나 종래 출시된 거치대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부피가 너무 커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와 함께 들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radles are too expensive or too bulky to carry around with information devices such as a tablet computer.

아울러,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용량의 한계에 의해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use of a smart phone or a mobile phon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use the battery due to the limit of the battery capacity.

공개특허공보 10-2015-0030125Patent Document 10-2015-003012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슬림한 카드 타입의 보조 배터리를 구현하여 휴대폰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which realizes a slim card-type auxiliary battery and which facilitates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case body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battery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a charging unit installed on the case body to connect the battery member and the cellular phon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ember.

충전부는,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과, 충전 케이블에 고정되어 휴대폰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와, 충전 단자의 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part may include a charging cable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member, a charging terminal fixed to the charging cable and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terminal.

케이스 바디의 측면에는 충전부가 설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with a live part.

제어부는,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과,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배터리부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와,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의 작동과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ower button provided on the case body, a charging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case body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member, a control board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battery member, . ≪ / RTI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배터리부재가 내장된 상태에서 휴대가 용이한 슬림한 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위치에서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의 충전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lim type which is easy to carry in a state where a battery member is built in, thereby facilitating charging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t a location where power supply is not easy .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일부를 개방하여 배터리부재가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충전부가 케이스 바디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member is exposed by opening a part of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of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unit of FIG. 1 is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case body.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일부를 개방하여 배터리부재가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member is exposed by opening a part of the card-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of FIG. 1,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of FI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100)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10)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20)와,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20)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30)와,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1 to 5,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body 10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charging unit 30 installed on the case body 10 for connecting the battery unit 20 and the cellular phone and a charging unit 30 installed on the case body 10 for connecting the battery unit 20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operation.

케이스 바디(10)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며, 표면에는 편평면이 형성되어, 거치 장소의 바닥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바디(10)는 카드 타입으로 휴대가 용이하도록 표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림한 두께를 이룰 수 있다. The case body 10 has a plate shape, and a flat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so that the case body 10 can be plac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ce. The case body 10 is a card type and can be slim to have a thicknes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surface area for easy portability.

이러한 케이스 바디(10)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충전부(30)가 설치되는 삽입홈(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 in which a charging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삽입홈(11)은 케이스 바디(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케이스 바디(10)의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은 케이스 바디(10)의 측면 둘레의 일부분 즉, 충전부(30)가 설치되는 위치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충전부(3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insertion groove 11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body 10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The insertion groove 11 may be formed only a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that is, at a position where the charging part 30 is installed. The charg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는 배터리부재(20)를 내장하기 위한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바디(10)는 낙하 또는 소정의 압력의 작용시 손상되지 않도록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또는 충격 흡수를 위한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n inser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member 20 may be formed in the case body 10. The case body 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n engineering plastic material having a durable durability or a rubber material for shock absorption so that the case body 10 is not damaged during a drop or a predetermined pressure.

배터리부재(2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충방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member 20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body 10 and can be installed in the case body 10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discharged.

이러한 배터리부재(20)는 이차 전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니켈 카드뮴(Ni Cd) 전지와 니켈 수소(Ni 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 ion) 이차 전지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battery member 20 is applicable to a secondary battery. Such a secondary battery can be applied to a nickel cadmium (NiCd) battery, a nickel hydride (NiMH) battery, a lithium (Li) battery,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배터리부재(2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부재(2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battery member 20 is exemplarily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10, at least two battery members 20 may be provided. Further, the battery member 2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e body 10 to facilitate replacement.

여기서, 배터리부재(20)와 휴대폰은 충전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member 20 and the cellular phone can be connected by the charging unit 30 and charged.

도 5는 도 1의 충전부가 케이스 바디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unit of FIG. 1 is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case bod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3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부재(20)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31)과, 충전 케이블(31)에 고정되어 휴대폰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33)와, 충전 단자(33)의 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부(35)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charging unit 30 includes a charging cable 31 connected to a battery member 20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10, a charging member 31 fixed to the charging cable 31, A terminal 33 and an engaging portion 35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terminal 33. [

충전 케이블(31)은 일단은 배터리부재(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충전 케이블(31)은 케이스 바디(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된 상태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31 is connected to the battery member 20 at one end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0 at the other end. The charging cable 31 may b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so as to be drawn out.

따라서, 충전 케이블(31)은 케이스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케이스 바디(10)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케이블(31)은 미사용 상태에서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바, 외력에 의한 단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the charging cable 3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10,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case body 10 can be realized. Further, since the charging cable 31 is located inside the case body 10 in an unused state, the charging cable 3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onnected due to an external force.

이러한 충전 케이블(31)의 단부에는 충전 단자(33)가 고정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33 may be fixed to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31.

충전 단자(33)는 충전 케이블(31)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에 삽입 고정되는 8핀 또는 5핀 등의 충전 단자로 적용될 수 있다. The charging terminal 3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31 and may be applied as a charging terminal such as an 8-pin or 5-pin inserted and fixed to the cellular phone.

여기서 8핀 단자()와 5 핀 단자()는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로 충전 케이블(31)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충전 단자(33)는 8핀 단자 또는 5핀 단자 등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자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8-pin terminal () and the 5-pin terminal ()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31 in a detachable state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Of course, the charging terminal 33 is not limited to an 8-pin terminal or a 5-pin terminal, and may be appli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mobile phone.

이와 같이, 충전 단자(33)는 충전 케이블(31)의 단부에 설치되는 바,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 등의 소정의 장소에서 휴대폰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100)는 슬림한 카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바, 용이하게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terminal 3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harging cable 31, so that the cellular phone can be easily charged at a predetermined place such as an outdoor place where charging is not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10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slim card type,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it easily.

한편, 케이스 바디(10)에는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mobile phone.

제어부(40)는,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41)과,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며 배터리부재(2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43)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20)의 작동과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 power button 41 provided on the case body 10, a charging display unit 43 provided on the case body 10 for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unit 20, 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battery member 20.

전원 버튼(41)은 케이스 바디(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튼 타입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버튼(41)은 버튼 타입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타입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The power button 4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and can be installed in a push button manner. However, the power button 4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button type, and may be variously applied to a touch type or the like.

충전 표시부(43)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되어, 충전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발광될 수 있다.The charge display section 4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lights, and can be emit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state of charge.

제어 기판(45)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버튼(41)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부재(20)의 전원을 충전 케이블(31)을 이용하여 휴대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기판(45)은 배터리부재(20)의 과충전 또는 휴대폰의 과충전 등의 이상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board 45 is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10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unit 20 to be stably supplied to the cellular phone using the charging cable 31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ower button 41 . The control board 45 can be controlled so as to prevent overcharging of the battery member 20 or abnormality such as overcharging of the cellular phon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100)는, 내부에 배터리부재(20)가 내장된 상태에서 휴대가 용이한 슬림한 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위치에서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의 충전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as a slim type which is easy to carry while the battery member 20 is housed therein,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charging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t a position where feeding is not easy.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200)는, 케이스 바디(10)의 외측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디스플레이(11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6,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harging display 110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e on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10.

충전 디스플레이(110)는 배터리부재(20)의 충전 상태를 문자 또는 그래프 등의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The charging display 110 can visually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member 20, such as a character or a graph, so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5ㅘ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d-typ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65 ㅘ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 바디(10)의 측면에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6, in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groove 210 in which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mounted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

따라서,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는 케이스 바디(10)의 측면에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ortab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can be easily charg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 [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10...케이스 바디 11...삽입홈
20...배터리부재 30...충전부
31...충전 케이블 33...충전 단자
35...걸림부 40...제어부
41...전원 버튼 43...충전 표시부
45...제어 기판 110..충전 디스플레이
210..거치홈
10 ... case body 11 ... insertion groove
20 ... battery member 30 ... live part
31 ... Charging cable 33 ... Charging terminal
35 ... engaging portion 40 ... control portion
41 ... power button 43 ... charge indicator
45 ... control board 110 .. charge display
210 .. Mounting groove

Claims (4)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와 상기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A case body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therein;
A battery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A charger installed in the case body to connect the battery member to the mobile phon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case body to control operation of the battery unit;
And a card type auxili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
상기 충전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충전 단자의 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unit includes:
A charging cable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member;
A charging terminal fixed to the charging cable and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a card type auxiliary batte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충전부가 설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charging unit is installed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부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의 작동과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을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wer button provided on the case body;
A charging display unit installed on the case body and displaying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member; And
A control board installed inside the case body to control operation and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battery member;
And an auxiliary battery.
KR2020150006884U 2015-10-23 2015-10-23 Card type second battery KR2017000153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84U KR20170001537U (en) 2015-10-23 2015-10-23 Card type second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84U KR20170001537U (en) 2015-10-23 2015-10-23 Card type second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37U true KR20170001537U (en) 2017-05-08

Family

ID=5871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84U KR20170001537U (en) 2015-10-23 2015-10-23 Card type second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537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99Y1 (en) * 2017-07-14 2018-05-04 전영수 Spare battery with cradle of portabl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125A (en) 2013-09-11 2015-03-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125A (en) 2013-09-11 2015-03-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upporter for both mobile phone and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99Y1 (en) * 2017-07-14 2018-05-04 전영수 Spare battery with cradle of port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US20100315041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with quick release feature
KR101391547B1 (en)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KR20130129489A (en) Mobile case using variable chargeable battery
US20070182372A1 (en) Four-in-one mobile phone charging stand
CA2665897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79314A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US7183744B2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US20060244418A1 (en) Battery modul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8549Y1 (en) A wireless charged spare battery and stand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30090667A (en) Portable charger for cell phone
CN102694888A (en) Mobile phone and call body thereof
US20030013506A1 (en) Stand-by batter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KR101162362B1 (en)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KR20170001537U (en) Card type second battery
KR200480607Y1 (en) Second battery with supporting rest for hand phone
KR101551184B1 (en) Large capacity type battery case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1658200B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TWM397037U (en) Three-in-one lithium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power bank, power capacity detection and charger
KR20140001056U (en) Auxiliary power providing device
JP6178815B2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170000026U (en) Sub battery and charger
KR101523699B1 (en) Battery pack pouch apparatus with charger and discharger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2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31

Effective date: 20181018